KR102534094B1 - 인접한 장비들과 연관된 데이터를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인접한 장비들과 연관된 데이터를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4094B1
KR102534094B1 KR1020210102572A KR20210102572A KR102534094B1 KR 102534094 B1 KR102534094 B1 KR 102534094B1 KR 1020210102572 A KR1020210102572 A KR 1020210102572A KR 20210102572 A KR20210102572 A KR 20210102572A KR 102534094 B1 KR102534094 B1 KR 102534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communicator
data
devices
clien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2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0777A (ko
Inventor
정덕교
서정원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클라우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클라우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클라우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2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4094B1/ko
Publication of KR20230020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0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4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4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28Restricting access to network management systems or functions, e.g. using authorisation function to access network configu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4Processing captured monitoring data, e.g. for logfile generation
    • H04L43/045Processing captured monitoring data, e.g. for logfile generation for graphical visualisation of monitoring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6Generation of reports
    • H04L43/065Generation of reports related to network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key management in a packet dat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2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managing network security; network security policies in gener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80Wirel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제 1 통신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제 2 통신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기들과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통신기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상 데이터 서버에 액세스하여 인접한 장비들 중 적어도 일부의 장비들과 연관된 암호화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통신기를 이용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반의 인증 데이터 송신기가 감지될 때, 상기 인증 데이터 송신기로부터 상기 제 2 통신기를 통해 인증 키를 수신하고; 상기 인증 키에 기반하여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상기 적어도 일부의 장비들에 대응하는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리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시각화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인접한 장비들과 연관된 데이터를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 및 방법{CLIENT TERMINAL AND METHOD TO PROVIDE DATA ASSOCIATED WITH ADJACENT FACILITIES}
본 발명은 장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장비들과 연관된 데이터를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업들에 네트워크 장비들(혹은 서버)을 대여하고 그 네트워크 장비들의 운용을 대행하는 인터넷 데이터 센터가 발달하고 있다. 인터넷 데이터 센터는 네트워크 장비들을 24시간 접속 가능한 상태로 관리하고, 네트워크 장비들에 대한 보안을 높은 수준으로 유지하는 등 다양한 요구들에 부합해야 한다.
한편, 블루투스 4.0 BLE(Bluetooth Low Energy)는 저전력이 요구되는 다양한 근거리 통신 응용 분야들에 적용을 위하여 개발된 무선 통신 기술이다. BLE(Bluetooth Low Energy)를 적용한 비콘 기술은, 무선 통신 반경 내에 위치한 근거리 사용자에게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한 위치 감지가 어려운 실내와 같은 장소에서, 비콘 장치는 주변의 사용자 단말기들에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비콘 장치는 현재 다양한 서비스들 및 제품들에 적용되어 활성화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현재 시장에 출시된 대부분의 비콘 장치들은 신호 송신을 담당하는 SoC(System On Chip)와 배터리를 탑재하고 있다.
위 기재된 내용은 오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들에 대한 배경 기술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그것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알려진 선행 기술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이해될 수 없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인터넷 데이터 센터의 장비들과 연관된 데이터가 향상된 보안 수준으로 관리 및 제공될수 있도록 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비콘 장치로부터의 인증 키에 기반한 복호화를 수행함으로써 장비들과 연관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절차는 장비들과 연관된 데이터가 향상된 보안 수준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제 1 통신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제 2 통신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기들과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통신기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상 데이터 서버에 액세스하여 인접한 장비들 중 적어도 일부의 장비들과 연관된 암호화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통신기를 이용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반의 인증 데이터 송신기가 감지될 때, 상기 인증 데이터 송신기로부터 상기 제 2 통신기를 통해 인증 키를 수신하고; 상기 인증 키에 기반하여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상기 적어도 일부의 장비들에 대응하는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리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시각화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프로세서는 외부의 비콘 장치를 상기 인증 데이터 송신기로서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증 키는 상기 비콘 장치의 아이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는 사설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통신기를 이용하여 상기 사설 네트워크를 감지하고;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사설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고; 상기 사설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데이터 서버에 액세스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접한 장비들은 인터넷 데이터 센터의 네트워크 장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은 인터넷 데이터 센터의 네트워크 장비들과 연관된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서버에 액세스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비들 중 적어도 일부의 장비들과 연관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인증 데이터 송신기가 감지될 때 상기 인증 데이터 송신기로부터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인증 키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증 키에 기반하여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상기 적어도 일부의 장비들에 대응하는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시각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인증 키를 수신하는 단계는 외부의 비콘 장치를 상기 인증 데이터 송신기로서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증 키는 상기 비콘 장치의 아이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는 사설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설 네트워크를 감지하는 단계;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사설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단계; 및 상기 사설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데이터 서버에 액세스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일부의 장비들 중 어느 하나에 부착된 인쇄물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일부의 장비들 중 상기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식별자에 대응하는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센서를 통해 상기 인쇄물로부터 QR 코드의 이미지가 감지될 수 있으며, 상기 감지된 QR 코드의 이미지로부터 상기 식별자가 추출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일부의 장비들 중 상기 어느 하나에 대한 점검 결과를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상기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른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장치에 의해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저장 매체는, 상기 컴퓨터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제 1 통신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제 2 통신기,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 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제 1 통신기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상 데이터 서버에 액세스하여 인접한 장비들 중 적어도 일부의 장비들과 연관된 암호화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통신기를 이용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반의 인증 데이터 송신기가 감지될 때, 상기 인증 데이터 송신기로부터 상기 제 2 통신기를 통해 인증 키를 수신하고; 상기 인증 키에 기반하여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상기 적어도 일부의 장비들에 대응하는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리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시각화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상기 인증 데이터 송신기는 비콘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인증 키는 상기 비콘 장치의 아이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는 사설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 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제 1 통신기를 이용하여 상기 사설 네트워크를 감지하고;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사설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고; 상기 사설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데이터 서버에 액세스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인터넷 데이터 센터의 장비들과 연관된 데이터가 향상된 보안 수준으로 관리 및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비들과 연관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네트워크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의 복호화부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터넷 데이터 센터의 장비들과 연관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제공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데이터 서버에 액세스하는 방법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7은 인터넷 데이터 센터의 장비들과 연관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제공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기, 데이터 서버, 및 비콘 장치의 동작들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1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9는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장비에 대한 점검 결과를 처리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기, 데이터 서버, 및 검증 서버의 동작들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구현하기에 적합한 컴퓨터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장비 관리 모듈 혹은 그것의 설치 파일을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서버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단지,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X, Y, 및 Z 중 적어도 어느 하나", 그리고 "X, Y, 및 Z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는 X 하나, Y 하나, Z 하나, 또는 X, Y, 및 Z 중 둘 또는 그 이상의 어떤 조합 (예를 들면, XYZ, XYY, YZ, ZZ) 으로 해석될 수 있다. 여기에서, "및/또는"은 해당 구성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비들과 연관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시스템(100)은 네트워크(105), 클라이언트 단말기(110), 데이터 서버(120), 및 비콘 장치(BCN)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시스템(100)은 여기에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다양한 방법들을 수행하도록 동작하는 복수의 장치들, 서버들,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장치들 및/또는 서버들은 다른 방식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장치들 및/또는 서버들에 의해 제공되는 동작들 및 서비스들은 여기에 설명된 실시 예들을 위해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으며, 더 많은 수 혹은 더 적은 수의 장치들 및/또는 서버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장치들 및/또는 서버들은 동일 혹은 상이한 기업체들에 의해 구동 및/또는 유지될 수 있다.
네트워크(105)는 클라이언트 단말기(110), 데이터 서버(120), 및 검증 서버(130)와 같은 네트워크 시스템(100) 내 구성 요소들을 연결한다. 네트워크(105)는 공용 네트워크(public network), 적어도 하나의 사설 네트워크(private network), 유선 네트워크, 무선 네트워크, 다른 적절한 타입의 네트워크, 및 그것들의 조합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시스템(100) 내 구성 요소들 각각은 유선 통신 기능 및 무선 통신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네트워크(105)를 통해 상호 간 통신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는 네트워크(105)를 통해 데이터 서버(120)와 통신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는 데이터 서버(12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인접한 장비들(IDCF)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장비들(IDCF)은 인터넷 데이터 센터(internet data center)의 네트워크 장비들일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네트워크 장비가 네트워크를 통해 불특정 다수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점을 고려할 때 그와 연관된 정보는 상대적으로 높은 보안 레벨을 요한다. 실시 예들에서, 장비들(IDCF)과 연관된 정보는 장비들(IDCF) 각각의 시리얼 넘버, 위치, 사양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기(110)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정보를 참조하여 장비들(IDCF) 각각에 찾아가서 그것들을 점검하고 점검 결과를 클라이언트 단말기(110)에 입력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는 입력된 점검 결과를 데이터 서버(120)에 전송할 것이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는 근거리 무선 통신(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을 통해 인접한 비콘 장치(BCN)를 감지하고, 비콘 장치(BCN)로부터 인증 키를 수신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는 인증 키를 이용하여 데이터 서버(12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해석(예를 들면, 복호화)함으로써 장비들(IDCF)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장비들(IDCF)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는 비콘 장치(BCN)와 인접하게 위치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인증 키를 획득해야 하며, 이는 장비들(IDCF)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위치가 제한됨을 의미하므로 장비들(IDCF)에 대한 정보의 보안은 향상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기(110)의 사용자는 비콘 장치(BCN)와 인접한 지역 외에서는 장비들(IDCF)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없으며, 따라서 정해진 지역 외에서 장비들(IDCF)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그것들에 대한 점검 결과를 허위로 작성하기 어렵다.
실시 예들에서,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는 프로그램 코드들 및/또는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데이터 서버(120)와 통신하는 등 여기에 설명된 클라이언트 단말기(110)의 동작들을 수행하는 컴퓨터 장치일 수 있다. 위 프로그램 코드들 및/또는 명령어들은 네트워크(105)에 연결된 클라이언트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설치 파일에 포함될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는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설치 파일을 실행하여 해당 응용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설치된 응용 소프트웨어를 실행함으로써 여기에 설명된 클라이언트 단말기(110)의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는 컴퓨터 장치, 예를 들면 UMPC(Ultra Mobile PC), 워크스테이션, 넷북(net-book),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포터블(portable) 컴퓨터, 웹 타블렛(web tablet), 무선 전화기(wireless phone), 모바일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e-북(e-book),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등과 같은 정보를 유선 및/또는 무선 환경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시스템(100)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반의 인증 데이터 송신기, 예를 들면 비콘 장치(BCN)를 포함할 수 있다. 비콘 장치(BCN)는 블루투스 통신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주변 장치와 통신을 개설하고, 개설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인증 키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비콘 장치(BCN)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기(110)에 자신의 아이디를 전송할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는 비콘 장치(BCN)의 아이디를 인증 키로서 사용할 수 있다.
데이터 서버(120)는 네트워크(105)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기(110)와 통신할 수 있다. 데이터 서버(120)는 장비들(IDCF)에 대한 정보를 그것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단말기(110)에 제공할 수 있다. 장비들(IDCF)마다 점검이 요구되는 날짜와 담당자가 다르므로, 데이터 서버(12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를 통해 접속하는 사용자 아이디 및 접속 시간 등에 따라 장비들(IDCF)을 결정하고 결정된 장비들(IDCF)에 대한 정보를 암호화하여 클라이언트 단말기(11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네트워크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의 복호화부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클라이언트 단말기(200)는 네트워크 통신기(210), 근거리 통신기(220), 통신 인터페이스(I/F)(230), 장비 관리기(240),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250), 및 디스플레이 장치(26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통신기(210)는 네트워크(105)에 접속하여 외부의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실시 예들에서, 네트워크 통신기(210)는 와이파이 통신과 같은 무선 통신을 통해 네트워크(105)에 접속하여 데이터 서버(120)와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통신기(210)는 장비 관리기(240)로부터의 데이터를 데이터 서버(120)에 전송하며, 데이터 서버(120)로부터의 데이터를 장비 관리기(240)에 전달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기(220)는 인접한 장치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개설하고, 개설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한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근거리 통신기(220)는 비콘 장치(BCN)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개설하고,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비콘 장치(BCN)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장비 관리기(240)에 전달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LTE D2D(Device-to-Device)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마그네틱 보안 전송(Magnetic Secure Transmission)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과 같은 상대적으로 가까운 거리에서 서로 접촉하지 않은 채 정보를 전달하는 다양한 방식들의 기술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30)는 네트워크 통신기(210)와 근거리 통신기(220), 그리고 장비 관리기(240) 사이를 인터페이싱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30)는 네트워크 통신기(210) 및 근거리 통신기(22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장비 관리기(24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230)는 장비 관리기(24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네트워크 통신기(210) 및 근거리 통신기(220) 중 하나에 전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250)는 장비 관리기(240)와 디스플레이 장치(260) 사이를 인터페이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250)는 장비 관리기(240)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60)가 영상, 이미지, 아이템, 아이콘, 오브젝트와 같은 다양한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혹은 그것으로 이루어진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장비 관리기(240)는 제어부(241), 인증 키 획득부(242), 및 복호화부(2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41)는 장비 관리기(240)의 제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어부(241)는 네트워크 통신기(210)를 통해 데이터 서버(120)에 액세스하여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에 인접한 장비들 중 적어도 일부,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장비들(IDCF)에 대응하는 암호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1의 네트워크(105)는 라우터(101), 사설 네트워크(102), 및 공용 네트워크(103)를 포함할 수 있다. 라우터(101)는 장비들(IDCF)과 인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라우터(101)는 라우터(101)로부터 일정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라우터(101)는 와이파이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사설 네트워크(102)는 라우터(101)를 통해 접근될 수 있으며, 공용 네트워크(103)를 통해 데이터 서버(120)에 연결된다.
실시 예들에서, 데이터 서버(120)는 사설 네트워크(102)를 통해 액세스하는 장치에만 장비들(IDCF)에 대응하는 암호화 데이터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데이터 서버(120)는 사설 네트워크(102)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아이피로부터의 액세스만 허용하고, 그 외 아이피들로부터의 액세스를 금지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기(110)의 제어부(241)는 라우터(101)를 통해 사설 네트워크(102)에 접근하고, 사설 네트워크(102)를 통해 데이터 서버(120)에 액세스함으로써, 데이터 서버(120)로부터 암호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기(110)의 사용자는 라우터(101)의 커버리지 내에 찾아가야 장비들(IDCF)에 대응하는 암호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반면 그외 지역에서는 암호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없으며, 이는 암호화 데이터에 대한 보안이 향상됨을 의미한다.
도 3에서, 데이터 서버(120)는 공용 네트워크(103)를 통해 사설 네트워크(102)에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나,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데이터 서버(120)는 공용 네트워크(103) 없이 사설 네트워크(102)에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인증 키 획득부(242)는 제어부(241)의 제어에 따라 동작한다. 인증 키 획득부(242)는 근거리 통신기(220)를 이용하여 비콘 장치(BCN)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비콘 장치(BCN)로부터 근거리 통신기(220)를 통해 인증 키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비콘 장치(BCN)는 자신의 아이디를 인증 키 획득부(242)에 제공할 수 있으며, 인증 키 획득부(242)는 비콘 장치(BCN)의 아이디를 인증 키로서 획득할 수 있다.
복호화부(243)는 제어부(241)의 제어에 따라 동작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복호화부(243)는 제어부(241)에 의해 획득된 암호화 데이터(ECRPD), 그리고 인증 키 획득부(242)에 의해 획득된 인증 키(AK)를 수신할 수 있다. 복호화부(243)는 인증 키(AK)에 따라 암호화 데이터(ECRPD)를 복호화하여 장비들(IDCF)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복호화부(243)는 다양한 복호화 알고리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장비들(IDCF)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기(200)는 비콘 장치(BCN) 및/또는 라우터(101, 도 3 참조)과 인접한 지역에서만 암호화 데이터(ECRPD)를 복호화할 수 있으며, 해당 지역 외에서는 암호화 데이터(ECRPD)를 복호화할 수 없다. 나아가 클라이언트 단말기(200)는 라우터(101)의 커버리지 외에서는 암호화 데이터(ECRPD)를 획득할 수도 없다. 이에 따라 장비들(IDCF)에 대한 정보의 보안은 향상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241)는 장비들(IDCF)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260)에 시각화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장비들(IDCF)에 대한 정보는 장비들(IDCF)을 나타내는 리스트, 그리고 장비들(IDCF) 각각에 대응하는 상세 정보, 예를 들면 시리얼 넘버, 위치, 사양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41)는 장비들(IDCF)을 나타내는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장치(260)에 디스플레이하며, 리스트의 아이템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선택된 아이템에 대응하는 장비의 상세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제어부(241), 인증 키 획득부(242), 및 복호화부(243) 각각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제어부(241), 인증 키 획득부(242), 및 복호화부(243) 중 적어도 일부는 통합될 수 있으며, 더 많은 구성 요소들로 분리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터넷 데이터 센터의 장비들과 연관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제공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S110단계에서,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그것의 네트워크 통신기(도 2의 210 참조)를 통해 데이터 서버에 액세스하여 인터넷 데이터 센터의 장비들과 연관된 암호화 데이터를 수신한다.
S120단계에서,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그것의 근거리 통신기(도 2의 220 참조)를 통해 근거리 무선 통신 기반의 비콘 장치가 주변에서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기는 예를 들면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스캐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근거리 통신기는 주변의 비콘 장치를 감지할 수 있다. 비콘 장치가 감지되지 않을 때 S130단계가 수행된다. S130단계에서, 암호화 데이터가 드롭된다. 비콘 장치가 감지될 때 S140단계가 수행된다.
S140단계에서,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비콘 장치로부터 근거리 통신기를 통해 인증 키를 수신한다. 근거리 통신기는 비콘 장치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개설하며, 인증 키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된다. S150단계에서,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인증 키에 기반하여 암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장비들에 대응하는 리스트를 생성한다.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다양한 복호화 알고리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장비들에 대응하는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증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함으로써 장비들에 대응하는 리스트가 얻어질 수 있다. 이때, 해당 장비들은 비콘 장치와 인접한 인터넷 데이터 센터의 네트워크 장비들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비콘 장치와 인접한 지역에서만 암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장비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해당 지역 외에서는 암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장비들에 대한 정보의 보안은 향상될 수 있다.
S160단계에서,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장비들에 대응하는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시각화하여 사용자가 장비들 각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데이터 서버에 액세스하는 방법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5의 S110단계는 도 6의 순서도에 따른 실시 예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S210단계에서,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그것의 네트워크 통신기(도 2의 210 참조)를 통해 사설 네트워크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네트워크 통신기는 주변의 무선 통신 기반의 라우터(도 3의 101 참조)를 스캐닝하여 사설 네트워크를 감지할 수 있다. 라우터는 사설 네트워크로의 게이트웨이로서 기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네트워크 통신기는 와이파이 통신을 통해 라우터와의 채널을 개설할 수 있으며, 이때 사설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아이피를 부여받을 수 있다. 사설 네트워크가 감지될 때, S220단계가 수행된다.
S220단계에서,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사설 네트워크가 감지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S230단계에서,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사설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사설 네트워크에 액세스한다.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라우터와의 채널을 개설함으로써 사설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다.
S240단계에서,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사설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서버에 액세스한다.
이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라우터와 인접한 지역에서만 데이터 서버로부터 암호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으며, 해당 지역 외에서는 암호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암호화 데이터에 대한 보안은 향상될 수 있다.
도 7은 인터넷 데이터 센터의 장비들과 연관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제공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기, 데이터 서버, 및 비콘 장치의 동작들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1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S310단계에서,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는 데이터 서버(120)에 액세스하여 암호화 데이터를 획득한다.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는 도 5의 110단계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마찬가지로 사설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서버(120)에 액세스할 수 있다.
S320단계에서,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는 비콘 장치(BCN)에 액세스하여 인증 키를 획득한다.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는 도 5의 S120단계 및 S140단계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마찬가지로 비콘 장치(BCN)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개설하고, 개설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인증 키를 획득할 수 있다.
S330단계에서,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는 인증 키에 따라 암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장비들의 리스트를 생성한다. S340단계에서,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는 장비들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시각화한다.
S350단계에서, 클라이언트 단말기(110)의 사용자는 리스트의 장비들 중 어느 하나에 부착된 인쇄물을 촬영할 수 있으며, 이때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는 그것의 센서를 이용하여 인쇄물을 감지함으로써 해당 장비의 식별자를 획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8을 참조하면,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는 센서 인터페이스(370) 및 이미지 센서(3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통신기(310), 근거리 통신기(320), 통신 인터페이스(330), 장비 관리기(340),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350), 및 디스플레이 장치(360)는 도 2의 네트워크 통신기(210), 근거리 통신기(220), 통신 인터페이스(230), 장비 관리기(240),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250), 및 디스플레이 장치(260)와 각각 마찬가지로 구성되는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된다. 센서 인터페이스(370)는 장비 관리기(340)와 이미지 센서(380) 사이를 인터페이싱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380)는 촬영되는 인쇄물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여 장비 관리기(340)에 전달하며, 장비 관리기(340)는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QR 코드를 감지하고, 감지된 QR 코드로부터 해당 장비의 식별자를 추출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S360단계에서,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는 식별자에 대응하는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그것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한다. 실시 예들에서,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는 데이터 서버(120)에 액세스하여 식별자에 대응하는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수신하고, 수신된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래픽 인터페이스는 사용자로 하여금 장비에 대한 점검 결과를 입력하도록 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장비에 대한 점검 결과를 처리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기, 데이터 서버, 및 검증 서버의 동작들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9를 참조하면, S410단계에서,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는 도 7의 S360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된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장비에 대한 점검 결과를 수신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그래픽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체크 리스트의 각 항목을 장비에 대해 점검하고, 점검 결과를 그래픽 인터페이스에 입력할 수 있다.
S420단계에서,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는 획득된 점검 결과 데이터를 데이터 서버(120)에 전송한다. 클라이언트 단말기(110)는 도 5의 S110단계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마찬가지로 사설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서버(120)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S430단계에서, 데이터 서버(120)는 점검 결과 데이터를 검증 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검증 서버는 네트워크(105)를 통해 데이터 서버(120)와 연결된 구성 요소일 수 있다.
검증 서버는 S440단계에서 점검 결과 데이터를 검증하며, S450단계에서 검증 결과를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 단말기(110) 및/또는 관리자의 단말기에 알릴 수 있다.
도 10은 도 8의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구현하기에 적합한 컴퓨터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컴퓨터 장치(1000)는 이미지 센서(CMR), 네트워크 통신기(1100), 근거리 통신기(1200), 디스플레이 장치(1300), 불휘발성 저장 매체(1400),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500), 및 시스템 메모리(16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CMR)는 프로세서(1500)의 제어에 응답하여 외부의 오브젝트를 촬영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며,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를 프로세서(15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CMR)는 도 8의 이미지 센서(380)로서 제공될 수 있다.
네트워크 통신기(1100)는 프로세서(1500)의 제어에 응답하여 네트워크(105, 도 1 참조)에 접속하도록 구성된다. 근거리 통신기(1200)는 프로세서(1500)의 제어에 응답하여 주변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개설하고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한 통신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300)는 프로세서(1500)에 의해 처리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실시 예들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30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통신기(1100), 근거리 통신기(1200), 및 디스플레이 장치(1300)는 도 8의 네트워크 통신기(310), 근거리 통신기(320), 및 디스플레이 장치(360)로서 제공될 수 있다.
불휘발성 저장 매체(1400)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multimedia card) 등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저장된 데이터를 유지하는 저장 매체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불휘발성 저장 매체(1400)는 프로세서(1500)의 제어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기입하고 독출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1500)는 이미지 센서(CMR), 네트워크 통신기(1100), 근거리 통신기(1200), 디스플레이 장치(1300), 불휘발성 저장 매체(1400), 및 시스템 메모리(1600)의 동작들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500)는 복수의 처리 유닛들(혹은 복수의 코어들)을 포함하여 연산, 비교 등의 다양한 처리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50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500)는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 processing uni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0)는 프로그램 코드들 및/또는 명령어들을 시스템 메모리(1600)에 로딩하고, 로딩된 프로그램 코드들 및/또는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도 8의 장비 관리기(340)의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0)는 장비 관리 모듈(1620)을 시스템 메모리(1600)에 로딩하고, 로딩된 장비 관리 모듈(1620)을 실행함으로써 도 8의 장비 관리기(340)의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500)는 임의의 클라이언트 서버로부터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된 설치 파일을 설치하여 장비 관리 모듈(1620)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500)는 운영 체제(1610)를 시스템 메모리(1600)에 로딩하고, 로딩된 운영 체제(1610)를 실행하여 컴퓨터 장치(1000)의 제반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운영 체제(1610)는 이미지 센서(CMR), 네트워크 통신기(1100), 근거리 통신기(1200), 디스플레이 장치(1300), 불휘발성 저장 매체(1400), 및 시스템 메모리(1600)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운영 체제(1610) 하에서 동작하는 응용 프로그램들, 예를 들면 장비 관리 모듈(162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운영 체제(1610)는 장비 관리 모듈(1620)이 컴퓨터 장치(1000)의 하드웨어 장치들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환경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운영 체제(1610)는 도 8의 통신 인터페이스(330),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350), 및 센서 인터페이스(370)로서 제공될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1600)는 램(Random Access Memory, RAM), 롬(Read Only Memory, ROM), 및 다른 타입들의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 시스템 메모리(1600)는 프로세서(1500)와 분리된 구성 요소로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시스템 메모리(1600)의 적어도 일부는 프로세서(150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1600)는 필요에 따라 복수의 구성 요소들로 분리될 수 있다.
도 11은 도 10의 장비 관리 모듈 혹은 그것의 설치 파일을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서버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클라이언트 서버(2000)는 도 10의 컴퓨터 장치(1000)와 네트워크(105, 도 1 참조)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컴퓨터 장치(1000)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클라이언트 서버(2000)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클라이언트 서버(2000)는 통신기(2100), 프로세서(2200), 및 데이터베이스(230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기(2100)는 네트워크(105)를 통해 컴퓨터 장치(1000)와 통신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300)는 컴퓨터 장치(100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예를 들면 도 10의 장비 관리 모듈(1620) 혹은 해당 프로그램 코드들 및/또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설치 파일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300)는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멀티미디어 카드 등과 같은 불휘발성 저장 매체들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0)는 컴퓨터 장치(1000)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데이터베이스(2300)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신기(2100)를 통해 컴퓨터 장치(1000)에 제공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장치(1000)에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다.
비록 특정 실시 예들 및 적용 례들이 여기에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들 및 변형들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클라이언트 단말기
120: 데이터 서버
BCN: 비콘 장치
IDCF: 인터넷 데이터 센터의 네트워크 장비들

Claims (15)

  1.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제 1 통신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제 2 통신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기들과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통신기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상 데이터 서버에 액세스하여 인접한 장비들 중 적어도 일부의 장비들과 연관된 암호화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통신기를 이용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반의 인증 데이터 송신기가 감지될 때, 상기 인증 데이터 송신기로부터 상기 제 2 통신기를 통해 인증 키를 수신하고;
    상기 인증 키에 기반하여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상기 적어도 일부의 장비들에 대응하는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리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시각화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반의 외부의 비콘 장치를 상기 인증 데이터 송신기로서 감지하고 상기 비콘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비콘 장치의 아이디를 상기 인증 키로서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사설 네트워크(Private Network)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통신기를 이용하여 상기 사설 네트워크를 감지하고;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사설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고;
    상기 사설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데이터 서버에 액세스하도록 구성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장비들은 인터넷 데이터 센터의 네트워크 장비들을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
  6. 인터넷 데이터 센터의 네트워크 장비들과 연관된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서버에 액세스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비들 중 적어도 일부의 장비들과 연관된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인증 데이터 송신기가 감지될 때 상기 인증 데이터 송신기로부터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인증 키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증 키에 기반하여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상기 적어도 일부의 장비들에 대응하는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시각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인증 키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반의 외부의 비콘 장치를 상기 인증 데이터 송신기로서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비콘 장치로부터 상기 비콘 장치의 아이디를 상기 인증 키로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삭제
  8. 삭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사설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설 네트워크를 감지하는 단계;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사설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단계; 및
    상기 사설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데이터 서버에 액세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일부의 장비들 중 어느 하나에 부착된 인쇄물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일부의 장비들 중 상기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식별자에 대응하는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센서를 통해 상기 인쇄물로부터 QR 코드의 이미지가 감지되고, 상기 감지된 QR 코드의 이미지로부터 상기 식별자가 추출되는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일부의 장비들 중 상기 어느 하나에 대한 점검 결과를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상기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른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3.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장치에 의해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제 1 통신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제 2 통신기,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 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제 1 통신기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상 데이터 서버에 액세스하여 인접한 장비들 중 적어도 일부의 장비들과 연관된 암호화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통신기를 이용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반의 인증 데이터 송신기가 감지될 때, 상기 인증 데이터 송신기로부터 상기 제 2 통신기를 통해 인증 키를 수신하고;
    상기 인증 키에 기반하여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상기 적어도 일부의 장비들에 대응하는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리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시각화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며,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반의 외부의 비콘 장치가 상기 인증 데이터 송신기로서 감지되고,
    상기 비콘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비콘 장치의 아이디가 상기 인증 키로서 사용되는 저장 매체.
  14. 삭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사설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 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제 1 통신기를 이용하여 상기 사설 네트워크를 감지하고;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사설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고;
    상기 사설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데이터 서버에 액세스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는 저장 매체.
KR1020210102572A 2021-08-04 2021-08-04 인접한 장비들과 연관된 데이터를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 및 방법 KR102534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572A KR102534094B1 (ko) 2021-08-04 2021-08-04 인접한 장비들과 연관된 데이터를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572A KR102534094B1 (ko) 2021-08-04 2021-08-04 인접한 장비들과 연관된 데이터를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0777A KR20230020777A (ko) 2023-02-13
KR102534094B1 true KR102534094B1 (ko) 2023-05-26

Family

ID=85202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2572A KR102534094B1 (ko) 2021-08-04 2021-08-04 인접한 장비들과 연관된 데이터를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409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6656B1 (ko) * 2020-06-23 2021-04-07 주식회사 이노스코리아 다기능을 가지는 보안 연결을 제공하는 보안 통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8323A (ko) * 2015-01-28 2016-02-17 주식회사 에스아포스트로피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위치 기반 디지털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952012B1 (ko) * 2017-04-25 2019-02-25 조선남 비콘을 이용한 시설물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6656B1 (ko) * 2020-06-23 2021-04-07 주식회사 이노스코리아 다기능을 가지는 보안 연결을 제공하는 보안 통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0777A (ko) 2023-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126906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unique device identifiers to enhance security
US20200342364A1 (en) Short-range device communications for secured resource access
TWI539838B (zh) 用於接取憑證供應的方法與裝置
RU2538343C2 (ru) Сервер и способ работы с сервером, энергонезависимый машиночитаемый носитель данных, мобильный клиентский терминал и способ работы с терминалом
US9703539B2 (en) Viral application distribution
KR101932871B1 (ko) 서비스 프로세싱 방법 및 장치, 및 서비스 서버
US9503965B2 (en) Set-top box setup via near field communication
US20120324482A1 (e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sioning applications to in vehicle infotainment systems with secured access
KR20160063110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정보 전송 방법
US2015017292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Network Access Parameter Sharing
US20160119320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cure deployment and use of bluetooth low energy beacons and other network devices
US9900742B1 (en) Wireless device detection, tracking, and authentication platform and techniques
CN103891331A (zh) 移动风险评估
WO2014197497A9 (en) Geospatial asset tracking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acquiring, manipulating and presenting telematic metadata
US11451641B2 (en) Method for enabling smart device to access network, network access method, apparatus, device, syste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WO2013154588A1 (en) Autonomous aggregated search platform and methods using the same
EP3128771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in the electronic device
CN106658665A (zh) 一种用于建立无线连接的方法与设备
US2016015646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2009075688A (ja) 携帯装置の位置に関する情報とファイル用暗号鍵とを管理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および方法
US9477917B1 (en) System and method of context specific identity in a radio frequency identity (RFID) chip
KR102534094B1 (ko) 인접한 장비들과 연관된 데이터를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 및 방법
US20170366534A1 (en) Application delivery metho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server
JP2016126564A (ja) 電子チケットの誤使用を防止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JP2019020925A (ja) 訪問管理システム及び訪問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