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4038B1 - Remote controller including hand strap - Google Patents

Remote controller including hand stra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4038B1
KR102534038B1 KR1020210149077A KR20210149077A KR102534038B1 KR 102534038 B1 KR102534038 B1 KR 102534038B1 KR 1020210149077 A KR1020210149077 A KR 1020210149077A KR 20210149077 A KR20210149077 A KR 20210149077A KR 102534038 B1 KR102534038 B1 KR 102534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over
hand strap
remote control
pair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90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63719A (en
Inventor
박병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성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성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성전자
Priority to KR1020210149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4038B1/en
Publication of KR20230063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37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4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40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007Bracelet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functions or with means for attaching othe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185Attachment of fasteners to straps or chai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3Handles; Gri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핸드스트랩을 구비하는 리모컨은, 리모컨본체; 상기 리모컨본체가 수용되며, 상기 리모컨본체보다 큰 공간을 형성하는 배터리커버; 및 상기 배터리커버 내측에 구비되며,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부와, 상기 한 쌍의 고정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걸림돌기에 일측 또는 타측이 걸림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일단에 결합되는 고리부를 포함하는 핸드스트랩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핸드스트랩을 구비하는 리모컨은, 간단한 구조로 핸드스트랩을 탈착 또는 회전시켜 배터리커버의 외측 또는 내측에 선택적으로 배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핸드스트랩의 사용 및 보관이 편리하다. 또한 핸드스트랩을 배터리커버의 내부에 보관하는 경우, 배터리커버의 외측으로 고리부의 형상이 보이지 않아 외관이 미려한 리모컨을 제공 가능하다.
A remote control having a hand strap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mote control body; a battery cover accommodating the remote controller body and forming a larger space than the remote controller body; and a pair of fixing parts provided inside the battery cover and having a locking protrusion, a coupling part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fixing parts and having one side or the other side engaged with the locking protrusion, and one end of the coupling part It includes a handstrap including a hook to be coupled.
The remote control having a hand str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place the hand strap on the outside or inside of the battery cover by detaching or rotating the hand strap with a simple structure, so that the use and storage of the hand strap are convenient. In addition, when the hand strap is stored inside the battery cov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mote control with a beautiful appearance because the shape of the ring part is not visible to the outside of the battery cover.

Description

핸드스트랩을 구비하는 리모컨{Remote controller including hand strap}Remote controller including hand strap {Remote controller including hand strap}

본 발명은 리모컨에 관한 것으로, 핸드스트랩이 구비되어 파지하기에 용이한 핸드스트랩을 구비하는 리모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control, and is to provide a remote control having a hand strap that is provided with a hand strap and is easy to grip.

일반적으로 리모컨이란, 소정거리 떨어져 있는 기기나 기계의 원격제어에 쓰이는 전자장치로서, 텔레비전, 에어컨, 공기청정기 등 다양한 전자제품이나, 드론 등의 장비를 제어하는데 다양하게 쓰일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텔레비전, 에어컨 등의 전자기기를 편리하게 이용하기 위하여 리모컨을 조작하여 채널이나, 음량, 전원 ON/OFF 등을 제어할 수 있다. In general, a remote control is an electronic device used for remote control of a device or machin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can be used in various ways to control various electronic products such as televisions, air conditioners, and air purifiers, or equipment such as drones. That is, in order to conveniently use electronic devices such as televisions and air conditioners, users can control channels, volume, power ON/OFF, and the like by manipulating remote controllers.

이러한 리모컨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핸드스트랩이 탈부착 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핸드스트랩을 손에 쥐거나 손목에 끼워 사용함으로써 리모컨을 컨트롤 할 시, 이탈 및 분실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종래의 핸드스트랩은 리모컨커버에 고정되어 있거나, 리모컨 커버의 외측에 홀이 형성되어 홀에 핸드스트랩의 일단을 묶어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핸드스트랩이 리모컨커버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 분리가 어려워 핸드스트랩을 사용하지 않는 사용자에게는 불편함을 초래 수 있으며, 외관 홀에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탈착이 번거롭고, 핸드스트랩을 분리 후에는 보관이 어려워 분실의 우려가 있다.The remote control can have a detachable hand strap for user's convenience, and the user can prevent separation and loss when controlling the remote control by holding the hand strap in his hand or putting it on his wrist. The conventional hand strap described above is fixed to a remote control cover, or a hole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remote control cover so that one end of the hand strap is tied to the hole and used. However, when the hand strap is fixed to the remote control cover, it is difficult to separate it, which can cause inconvenience to users who do not use the hand strap. It is difficult and there is a risk of loss.

한편 상기한 종래의 핸드스트랩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리모컨 커버의 내부에 핸드스트랩을 수납하도록 릴에 감아 보관하는 방법이 개발된 바 있으나, 구조가 복잡하고, 추가부품이 요구되어 리모컨을 제작 시 비용이 비싸진다는 단점이 있으며, 외부와 내부가 연통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리모컨의 내부로 핸드스트랩을 보관했음에도 외관에서 보인다는 단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above-mentioned disadvantages of the conventional hand strap, a method of winding and storing the hand strap on a reel to accommodate the inside of the remote control cover has been developed, but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additional parts are required, resulting in cost when manufacturing the remote control.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is becomes expensive, an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visible from the outside even though the hand strap is stored inside the remote control because it is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outside and the inside are in communication.

종래의 리모컨의 핸드 스트랩에 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9-0034460호가 개시되어 있다.As a technology for a hand strap of a conventional remote control,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34460 is disclosed.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탈착이 간편하고 분실위험이 적으며, 리모컨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할 수 있는 핸드스트랩을 구비한 리모컨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mote control having a hand strap that is easy to attach and detach, has a low risk of loss, and can maintain a beautiful appearance of the remote control.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드스트랩을 구비하는 리모컨은 리모컨본체; 상기 리모컨본체가 수용되며, 상기 리모컨본체보다 큰 공간을 형성하는 배터리커버; 및 상기 배터리커버 내측에 구비되며,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부와,상기 한 쌍의 고정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걸림돌기에 일측 또는 타측이 걸림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일단에 결합되는 고리부를 포함하는 핸드스트랩을 포함한다.A remote control having a hand str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remote control main body; a battery cover accommodating the remote controller body and forming a larger space than the remote controller body; and a pair of fixing parts provided inside the battery cover and having a locking protrusion, a coupling part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fixing parts and having one side or the other side engaged with the locking protrusion, and one end of the coupling part It includes a handstrap including a hook to be coupled.

여기서 상기 고정부는, 제 1프레임과, 상기 제 1프레임에 이격 배치되며, 상기 배터리커버의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제 2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fixing unit may include a first frame and a second fram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rame and having a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inward from the battery cover.

또한 상기 결합부는, 양측면에 상기 제 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이 삽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고정홈의 내측면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와 걸림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upling part includes a body formed with a fixing groov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into which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re inserted, and a pair of protrusion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groove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to engage with the locking protrusion. It is preferable that coupling protrusions are formed.

이때 상기 한 쌍의 결합돌기 중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돌기와 상기 걸림돌기가 걸림결합되는 경우, 상기 고리부는 상기 배터리커버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결합돌기 중 상기 몸체의 타측에 형성된 결합돌기와 상기 걸림돌기가 걸림결합되는 경우, 상기 고리부는 상기 배터리커버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engaging protrus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among the pair of engaging protrusions and the locking protrusion are engaged, the ring part is disposed inside the battery cover, and the coupling protrusion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among the pair of engaging protrusions is engaged. When the protrusion and the protrusion are interlocked, the ring portion may be disposed outside the battery cover.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드스트랩을 구비하는 리모컨은, 리모컨본체; 상기 리모컨본체가 수용되며, 상기 리모컨본체보다 큰 공간을 형성하는 배터리커버; 및 상기 배터리커버 내측에 구비되며, 걸림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회전고정부와, 상기 한 쌍의 회전고정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걸림홈에 걸림결합되는 결합체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고정부에 회전결합되는 회전결합부와, 상기 회전결합부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고리부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a remote control having a hand stra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mote control body; a battery cover accommodating the remote controller body and forming a larger space than the remote controller body; and a pair of rotating fixing parts provided inside the battery cover and having a locking groove formed thereon, and an assembly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rotating fixing parts and engaged with the locking groove, wherein the rotating fixing part is formed. It includes a rotation coupling portion coupled to rotation, and a ring portion coupl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on coupling portion.

여기서 상기 회전고정부는, 상부가 서로 이격배치되어 마주보는 면에 상기 걸림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체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rotating fixing part may include a pair of fixing bodies having upper por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having the locking groove formed on surfaces facing each other.

또한 상기 회전결합부를 회전함으로써 상기 고리부를 상기 배터리커버의 외측 또는 내측에 선택적으로 배치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ring portion can be selectively placed on the outside or inside of the battery cover by rotating the rotation coupling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핸드스트랩을 구비하는 리모컨은, 간단한 구조로 핸드스트랩을 탈착 또는 회전시켜 배터리커버의 외측 또는 내측에 선택적으로 배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핸드스트랩의 사용 및 보관이 편리하다.The remote control having a hand str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place the hand strap outside or inside the battery cover by detaching or rotating the hand strap with a simple structure, so that the use and storage of the hand strap are convenient.

또한 핸드스트랩을 배터리커버의 내부에 보관하는 경우, 배터리커버의 외측으로 고리부의 형상이 보이지 않아 외관이 미려한 리모컨을 제공 가능하다.In addition, when the hand strap is stored inside the battery cov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mote control with a beautiful appearance because the shape of the ring part is not visible to the outside of the battery cove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드스트랩을 구비하는 리모컨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핸드스트랩을 구비하는 리모컨의 분해사시도,
도 3는 도 1의 핸드스트랩을 구비하는 리모컨의 고정부와 결합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핸드스트랩을 구비하는 리모컨의 핸드스트랩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1의 핸드스트랩을 구비하는 리모컨의 핸드스트랩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드스트랩을 구비하는 리모컨을 도시한 사시도,
도 7는 도 6의 핸드스트랩을 구비하는 리모컨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6의 핸드스트랩을 구비하는 리모컨의 회전고정부와 회전결합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6의 핸드스트랩을 구비하는 리모컨의 핸드스트랩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mote control having a hand str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emote control having a hand strap of Figure 1;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ing part and a coupling part of the remote control having a hand strap of FIG. 1;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ed state of the hand strap of the remote control having a hand strap of Figure 1;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hand strap of a remote controller having the hand strap of FIG. 1;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mote control having a hand stra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mote control having a hand strap of Figure 6;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tating fixing part and a rotating coupling part of the remote control having a hand strap of FIG. 6;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ed state of the hand strap of the remote control having a hand strap of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usual or dictionary meaning, and the inventor appropriately uses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explain his/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at the time of this application, they are equivalent alternatives that can be replace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ations may exist.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드스트랩을 구비하는 리모컨(10; 이하 리모컨)는 TV, 에어컨 등의 전자기기에 적용되어, TV의 채널변경 및 에어컨의 ON/OFF 등을 제어하기 위한 원격제어장치인 것으로, 공기청정기, 청소기 등의 다양한 전자기기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부연하면 상기 리모컨(10)은 전자기기를 컨트롤하기 위한 회로기판,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배터리부, 작동표시를 위한 LED부 등의 부품들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는 적용되는 전자기기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하여 적용시킬 수 있을 것이며 공지된 것으로서 여기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1 to 5, a remote control (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remote control) having a hand str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TV and an air conditioner to change channels of the TV and turn on/off the air conditioner. It is a remot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OFF, etc.,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electronic devices such as air purifiers and vacuum cleaners. In other words, the remote controller 10 may further include components such as a circuit boar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s, a battery unit for providing power, and an LED unit for displaying operation, but these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depending on the applied electronic device. It can be changed and applied, and as it is well know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리모컨(10)은 리모컨본체(100), 배터리커버(200), 핸드스트랩(300)을 포함한다.The remote control 10 includes a remote control body 100, a battery cover 200, and a hand strap 300.

상기 리모컨본체(100)는 리모컨의 기능을 위한 내부부품들이 수용되는 구성으로, 상부커버(110)와 하부커버(12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상부커버(110)는 리모컨의 상부 판인 것으로, 리모컨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제어를 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버튼, 조작 휠 등을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하부커버(12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커버(110)에 의하여 상부가 폐쇄될 수 있다. 상기 하부커버(120)의 내부에는 회로기판이 구비되어 상기 상부커버(110)의 조작 버튼 등과 연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remote control body 100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internal parts for the function of the remote control are accommodated, and includes an upper cover 110 and a lower cover 120. That is, the upper cover 110 is an upper plate of a remote control, and may include buttons, a control wheel, and the like that can be operated by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perform desired control through the remote control. A space is formed inside the lower cover 120, and an upper portion may be closed by the upper cover 110. A circuit board may be provided inside the lower cover 120 to interlock with the operation buttons of the upper cover 110 .

상기 배터리커버(200)는 상기 리모컨본체(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리모컨본체(100)를 수용하도록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배터리커버(200)는 리모컨을 작동시키기 위한 배터리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리모컨본체(100)보다 큰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연하면 상기 상부커버(110)는 상기 배터리커버(200)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커버(200)의 상부를 폐쇄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하부커버(120)는 상기 배터리커버(200) 내부의 일측에 배치됨으로써 타측에는 후술(後述) 할 핸드스트랩(300)이 수용될 공간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attery cover 200 is provided under the remote control body 100 to form a space to accommodate the remote control body 100 . The battery cover 200 may contain a battery for operating the remote controller, and preferably has a larger space than the remote control body 100 . In other words, the upper cover 110 is preferably formed in a siz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battery cover 200 and configured to close the upper portion of the battery cover 200, and the lower cover 120 is the battery cover. By being disposed on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200, it is preferable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hand strap 300 to be described later will be accommodated on the other side.

상기 핸드스트랩(300)은 한 쌍의 고정부(310), 결합부(320), 고리부(330)를 포함한다.The hand strap 300 includes a pair of fixing parts 310, coupling parts 320, and hook parts 330.

상기 한 쌍의 고정부(310)는 핸드스트랩의 고리부(330)를 리모컨에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배터리커버(200) 내측에 구비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한 쌍의 고정부(310)는 상기 배터리커버(200)의 일단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배터리커버(20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고정부(310)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고정부(310)는 각각 제 1프레임(311)과 제 2프레임(312)을 포함한다. The pair of fixing parts 310 are configured to couple the ring part 330 of the hand strap to the remote control, and are provided inside the battery cover 200 . More specifically, the pair of fixing parts 310 are preferably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one end of the battery cover 200, and are preferably formed integrally with the battery cover 200. The pair of fixing parts 31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pair of fixing parts 310 each include a first frame 311 and a second frame 312 .

상기 제 1프레임(311)은 상기 배터리커버(200) 내측면에 결합된다. 부연하면 상기 제1프레임(311)은 상기 배터리커버(20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막대형상으로 형성된다.The first frame 311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attery cover 200 . In other words, the first frame 311 is preferably formed integrally with the battery cover 200, and is formed in a rod shape.

상기 제 2프레임(312)은 상기 제 1프레임(311)에 상기 배터리커버(200)의 내측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상기 제2프레임(312)에는 돌출된 걸림돌기(3121)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3121)는 상기 배터리커버(20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cond frame 312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rame 311 toward the inside of the battery cover 200 . A protruding protrusion 3121 is formed on the second frame 312 . Preferably, the protrusion 3121 protrudes inward from the battery cover 200 .

상기 결합부(320)는 상기 한 쌍의 고정부(31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320)는 상기 한 쌍의 고정부(31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고정부(310)에 걸림결합된다. 즉 상기 결합부(320)는 상기 한 쌍의 고정부(310)가 서로 이격된 공간으로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320)는 중심점을 기준으로 일측과 타측이 대칭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320)는 상기 걸림돌기(3121)에 일측 또는 타측이 선택적으로 걸림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결합부(320)는, 몸체(321)와, 한 쌍의 결합돌기(3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upling part 32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pair of fixing parts 310 . The coupling part 320 is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fixing parts 310 and engaged with the pair of fixing parts 310 . That is, the coupling part 320 is coupled to a space in which the pair of fixing parts 31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coupling part 320 is formed so that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a center point, and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coupling part 320 is selectively engaged with the locking protrusion 3121 . To this end, the coupling portion 320 may include a body 321 and a pair of coupling protrusions 322 .

상기 몸체(321)는 양측면에 한 쌍의 고정홈(321H)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321H)에는 상기 제 1프레임(311)과 상기 제2프레임(312)이 삽입된다. 즉 상기 한 쌍의 고정홈(321H)에 상기 한 쌍의 고정부(310)가 각각 삽입될 수 있다.The body 321 is formed with a pair of fixing grooves 321H on both sides. The first frame 311 and the second frame 312 are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321H. That is, the pair of fixing parts 310 may b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pair of fixing grooves 321H.

상기 한 쌍의 결합돌기(322)는 상기 고정홈(321H)의 내측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3121)와 걸림결합된다. 상기 한 쌍의 결합돌기(322)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320)가 상기 한 쌍의 고정부(310) 사이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결합돌기(322)는 상기 제 1프레임(311)과 상기 제 2프레임(312)에 각각 맞닿도록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322)가 상기 걸림돌기(3121)의 상부에서 하부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걸림돌기(3121)의 하부에 걸리도록 결합될 수 있다.The pair of coupling protrusions 322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groove 321H and engage with the locking protrusion 3121 . It is preferable that the pair of coupling protrusions 322 protrude in directions facing each other. Therefore, when the coupling part 320 is coupled between the pair of fixing parts 310, the pair of coupling protrusions 322 are attached to the first frame 311 and the second frame 312, respectively. It can be inserted so that it abuts. The coupling protrusion 322 moves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protrusion 3121 to the lower side, so that it can be coupled so as to be caught on the lower portion of the protrusion 3121 .

상기 고리부(330)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고리인 것으로, 상기 결합부(320)의 일단에 결합된다. 즉 상기 고리부(330)는 상기 결합부(320)의 결합 위치에 따라 상기 배터리커버(200)의 외측 또는 내측에 선택저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핸드스트랩(10)을 이용하기 원할 경우, 상기 고리부(330)가 상기 배터리커버(200)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결합부(320)의 일면이 상기 배터리커버(200)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결합시키며, 사용자가 핸드스트랩(10)을 이용하지 않고 보관하기를 원할 경우, 상기 고리부(330)가 상기 배터리커버(200)의 내측에 공간에 배치되도록 상기 결합부(320)의 일면이 상기 배터리커버(200)의 내부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결합부(320)를 반대로 돌려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고리부(330)가 결합되는 상기 결합부(320)의 일면은 상기 배터리커버(200)의 외측면과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리부(330)가 상기 배터리커버(200)의 내부에 보관되는 경우, 외측에서 확인되지 않아 리모컨의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가능하다.The ring part 330 is a ring for a user to hold, and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coupling part 320 . That is, the ring part 330 may be selectively disposed outside or inside the battery cover 200 according to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coupling part 320 . That is, when the user wants to use the hand strap 10, one surface of the coupling part 320 is placed outside the battery cover 200 so that the ring part 330 is disposed outside the battery cover 200. When the user wants to store without using the hand strap 10, the coupling part 320 is placed in the space inside the battery cover 200 so that the ring part 330 is placed in the battery cover 200. The coupling part 320 may be coupled by turning it in the opposite direction so that one surface is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battery cover 200 . At this time, one surface of the coupling part 320 to which the ring part 330 is coupled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attery cover 200, so that the ring part 330 is stored inside the battery cover 200. If it is, it is not confirmed from the outside, so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beautiful appearance of the remote control.

도 4를 참조하여 부연하면, 도 4에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결합돌기(322) 중 상기 몸체(321)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돌기(322)와 상기 걸림돌기(3121)가 걸림결합되는 경우, 상기 고리부(300)는 상기 배터리커버(200)의 내측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결합돌기(322) 중 상기 몸체(321)의 타측에 형성된 결합돌기(322)는 상기 제 1프레임(311)에 맞닿도록 배치되어 상기 배터리커버(200)의 내측방향으로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고정결합가능하다.Referring to FIG. 4, as shown in (B) in FIG. 4, the coupling protrusion 322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321 among the pair of coupling protrusions 322 and the locking protrusion 3121 ) is engaged, the ring part 300 is disposed inside the battery cover 200. At this time, among the pair of coupling protrusions 322, the coupling protrusion 322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321 is disposed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first frame 311 so as to flow inward of the battery cover 200. can be prevented, so it can be stably fixedly coupled.

또한 도 4에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결합돌기(322) 중 상기 몸체(321)의 타측에 형성된 결합돌기(322)와 상기 걸림돌기(3121)가 걸림결합되는 경우, 상기 고리부(300)는 상기 배터리커버(200)의 외측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결합돌기(322) 중 상기 몸체(321)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돌기(322)는 상기 제 1프레임(311)에 맞닿도록 배치되어 상기 배터리커버(200)의 내측방향으로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고정결합가능하다. In addition, as shown in (A) of FIG. 4, when the coupling protrusion 322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321 and the locking protrusion 3121 of the pair of coupling protrusions 322 are engaged, The ring part 300 is disposed outside the battery cover 200 . At this time, among the pair of coupling protrusions 322, the coupling protrusion 322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321 is disposed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first frame 311 so as to flow inward of the battery cover 200. can be prevented, so it can be stably fixedly coupled.

즉 상기 핸드스트랩(300)은 상기 결합부(320)가 일측과 타측이 대칭되도록 형성되어 방향전환만으로 간단하게 상기 고리부(330)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어 사용이 용이하다. 한편, 상기 배터리커버(200)는, 상기 고정부(310)가 형성되는 외측면의 일부가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고리부(330)를 상기 배터리커버(200)의 외측 또는 내측에 선택적으로 배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배터리커버(200)의 일부를 개방시켜 결합부(320)를 상기 고정부(310)에 탈착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at is, the hand strap 300 is easy to use because the coupling part 320 is formed so that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re symmetrical, so that the position of the ring part 330 can be changed simply by changing the direction. Meanwhile, the battery cover 200 is preferably configured such that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n which the fixing part 310 is formed can be opened and closed. Therefore, in order to selectively place the ring part 330 outside or inside the battery cover 200, a part of the battery cover 200 is opened to attach the coupling part 320 to the fixing part 310. It is preferable to be configured to detach.

다음으로 도 6 내지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드스트랩을 구비하는 리모컨(10; 이하 리모컨)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하는 동일부재이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모컨(10)은 리모컨본체(100), 배터리커버(200), 핸드스트랩(400)을 포함한다.Next, referring to FIGS. 6 to 9 , a remote control (hereinafter referred to as remote control) 10 having a handstra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Here, sinc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shown in FIGS. 1 to 5 are the same members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repetitive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The remote control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mote control body 100, a battery cover 200, and a hand strap 400.

상기 리모컨본체(100)는 리모컨의 기능을 위한 내부부품들이 수용되는 구성으로, 상부커버(110)와 하부커버(12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상부커버(110)는 리모컨의 상부 판인 것으로, 리모컨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제어를 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버튼, 조작 휠 등을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하부커버(12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커버(110)에 의하여 상부가 폐쇄될 수 있다. 상기 하부커버(120)의 내부에는 회로기판이 구비되어 상기 상부커버(110)의 조작 버튼 등과 연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remote control body 100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internal parts for the function of the remote control are accommodated, and includes an upper cover 110 and a lower cover 120. That is, the upper cover 110 is an upper plate of a remote control, and may include buttons, a control wheel, and the like that can be operated by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perform desired control through the remote control. A space is formed inside the lower cover 120, and an upper portion may be closed by the upper cover 110. A circuit board may be provided inside the lower cover 120 to interlock with the operation buttons of the upper cover 110 .

상기 배터리커버(200)는 상기 리모컨본체(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리모컨본체(100)를 수용하도록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배터리커버(200)는 리모컨을 작동시키기 위한 배터리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리모컨본체(100)보다 큰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연하면 상기 상부커버(110)는 상기 배터리커버(200)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커버(200)의 상부를 폐쇄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하부커버(120)는 상기 배터리커버(200) 내부의 일측에 배치됨으로써 타측에는 후술(後述) 할 핸드스트랩(400)이 수용될 공간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attery cover 200 is provided under the remote control body 100 to form a space to accommodate the remote control body 100 . The battery cover 200 may contain a battery for operating the remote controller, and preferably has a larger space than the remote control body 100 . In other words, the upper cover 110 is preferably formed in a siz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battery cover 200 and configured to close the upper portion of the battery cover 200, and the lower cover 120 is the battery cover. By being disposed on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200, it is preferable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hand strap 400 to be described later will be accommodated on the other side.

상기 핸드스트랩(400)은 한 쌍의 회전고정부(410), 회전결합부(420), 고리부(430)를 포함한다.The hand strap 400 includes a pair of rotation fixing parts 410, a rotation coupling part 420, and a ring part 430.

상기 한 쌍의 회전고정부(410)는 핸드스트랩의 고리부(430)를 리모컨에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배터리커버(200) 내측에 구비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한 쌍의 회전고정부(410)는 상기 배터리커버(200)의 일단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배터리커버(20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고정부(410)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고정부(410)는 각각 걸림홈(411)이 형성되며, 각각 상부가 서로 이격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체(421)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air of rotation fixing parts 410 are configured to couple the ring part 430 of the hand strap to the remote control, and are provided inside the battery cover 200. More specifically, the pair of rotating fixing parts 410 are preferably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one end of the battery cover 200, and are preferably formed integrally with the battery cover 200. The pair of fixing parts 41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pair of fixing parts 410 consist of a pair of fixing bodies 421 each having a locking groove 411 formed thereon and having upper por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한 쌍의 고정체(412)는 상부가 서로 이격배치되어 마주보는 면에 상기 걸림홈(411)이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고정체(412)의 서로 이격된 공간으로 후술(後述)할 결합체(421)가 결합되며, 상기 걸림홈(411)은 상기 결합체(421)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단면이 원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upper portions of the pair of fixtures 41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locking grooves 411 are formed on facing surfaces. An assembly 421 to be described later is coupled to a space spaced apart from the pair of fixtures 412, and the locking groove 411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assembly 421. desirable.

상기 회전결합부(420)는 상기 한 쌍의 회전고정부(410)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회전결합부(42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회전고정부(410) 사이에 배치된다. 즉, 상기 회전결합부(420)는 상기 한 쌍의 회전고정부(410)가 서로 이격된 공간으로 결합된다. 상기 회전결합부(420)는 결합체(421)가 형성된다.The rotation coupling part 42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pair of rotation fixing parts 410 . The rotation coupling part 42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rotation fixing parts 410 . That is, the rotation coupling part 420 is coupled to a space in which the pair of rotation fixing parts 41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rotary coupling part 420 is formed with an assembly 421 .

상기 결합체(421)는 상기 회전결합부(420)를 상기 회전고정부(410)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회전결합부(420)의 양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다. 즉 상기 결합체(421)는 상기 회전결합부(420)의 양측면에 각각 돌출되어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한 쌍의 상기 결합체(421)는 상기 회전결합부(420)가 상기 한 쌍의 회전고정부(410) 사이에 결합될 때, 상기 한 쌍의 고정체(412) 사이로 각각 삽입되어, 상기 걸림홈(411)에 걸림결합 될 수 있다. 상기 결합체(421)는 단면이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411)에 삽입된 채로 회전가능하다. The coupling body 421 is configured to rotatably couple the rotation coupling portion 420 to the rotation fixing portion 410, and is formed to protrude from both sides of the rotation coupling portion 420.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coupling body 421 is configured as a pair by protruding from both side surfaces of the rotation coupling part 420, respectively. That is, when the pair of coupling bodies 421 are coupled between the pair of rotation fixing units 410, the rotation coupling unit 420 is inserted between the pair of fixtures 412, respectively, and the locking unit 421 is engaged. It can be engaged with the groove 411. The assembly 421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and is rotatable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411 .

상기 고리부(430)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고리인 것으로, 상기 회전결합부(420)의 외주면에 결합된다. 즉 상기 고리부(430)는 상기 회전결합부(42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배터리커버(200)의 외측 또는 내측에 선택적으로 배치 가능하다.The ring part 430 is a ring for a user to hold, and is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on coupling part 420 . That is, the ring part 430 can be selectively placed on the outside or inside of the battery cover 200 by rotating the rotation coupling part 420 .

즉,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핸드스트랩(10)을 이용하기 원할 경우, 상기 고리부(430)가 상기 배터리커버(200)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회전결합부(420)를 회전시켜 배치시킬 수 있다. 또한 도 9의 (B)와 (C)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핸드스트랩(10)을 이용하지 않고 보관하기를 원할 경우, 상기 고리부(430)가 상기 배터리커버(200)의 내측에 공간에 배치되도록 상기 회전결합부(420)를 회전시켜 배치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결합부(42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리부(430)가 상기 배터리커버(200)의 내부에 보관되는 경우, 외측에서는 상기 고리부(430)가 확인되지 않아 리모컨의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가능하다.That is, as shown in (A) of FIG. 9, when the user wants to use the hand strap 10, the rotation coupling part ( 420) can be rotated and placed. Also, referring to (B) and (C) of FIG. 9 , when the user wants to store without using the hand strap 10, the ring part 430 is located in the space inside the battery cover 200. It can be arranged by rotating the rotation coupling part 420 so as to be placed. At this time, the rotation coupling portion 42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when the ring portion 430 is stored inside the battery cover 200,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remote control is not confirmed because the ring portion 430 is not confirmed. can be maintained beautifully.

즉 상기 핸드스트랩(400)은 상기 회전결합부(420)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회전만으로 간단하게 상기 고리부(430)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어 사용이 용이하다. 한편, 상기 배터리커버(200)는, 상기 회전고정부(410)가 형성되는 외측면의 일부가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고리부(430)를 상기 배터리커버(200)의 외측 또는 내측에 선택적으로 배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배터리커버(200)의 일부를 개방시켜 회전결합부(420)를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at is, the hand strap 400 is coupled so that the rotation coupling part 420 is rotatable, and the position of the ring part 430 can be changed simply by rotation, so it is easy to use. Meanwhile, the battery cover 200 is preferably configured such that a portion of an outer surface on which the rotating fixing part 410 is formed can be opened and close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open a part of the battery cover 200 to rotate the rotation coupling part 420 in order to selectively place the ring part 430 outside or inside the battery cover 200. .

본 발명에 따른 핸드스트랩을 구비하는 리모컨(10)은, 간단한 구조로 핸드스트랩(300,400)을 탈착 및 회전시켜 배터리커버(200)의 외측 또는 내측에 선택적으로 배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핸드스트랩(300,400)의 사용 및 보관이 편리하다.The remote control 10 having a hand str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detach and rotate the hand straps 300 and 400 with a simple structure so that they can be selectively placed outside or inside the battery cover 200, and the hand strap ( 300,400) is convenient to use and store.

또한 핸드스트랩(300,400)을 배터리커버(200)의 내부에 보관하는 경우, 배터리커버(200)의 외측으로 고리부(330,430)의 형상이 보이지 않아 외관이 미려한 리모컨을 제공 가능하다.In addition, when the hand straps 300 and 400 are stored inside the battery cover 200, the shape of the hook parts 330 and 430 is not visible to the outside of the battery cover 200, so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mote control with a beautiful appearanc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on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 : 리모컨 100 : 리모컨본체
110 : 상부커버 120 : 하부커버
200 : 배터리커버 300.400 : 핸드스트랩
310 : 고정부 311 : 제1프레임
312 : 제2프레임 3121 : 걸림돌기
320 : 결합부 321 : 몸체
321H : 고정홈 322 : 결합돌기
330,430 : 고리부 410 : 회전고정부
411 : 걸림홈 412 : 고정체
420 : 회전결합부 421 : 결합체
430 : 고리부
10: remote control 100: remote control body
110: upper cover 120: lower cover
200: battery cover 300.400: hand strap
310: fixing part 311: first frame
312: second frame 3121: stumbling block
320: coupling part 321: body
321H: fixing groove 322: coupling protrusion
330,430: ring part 410: rotation fixing part
411: locking groove 412: fixture
420: rotation coupling part 421: coupling body
430: ring part

Claims (7)

리모컨본체;
상기 리모컨본체가 수용되며, 상기 리모컨본체보다 큰 공간을 형성하는 배터리커버; 및
상기 배터리커버 내측에 구비되며,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부와,
상기 한 쌍의 고정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걸림돌기에 일측 또는 타측이 걸림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일단에 결합되는 고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에 이격 배치되며, 상기 배터리커버의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제2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양측면에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이 삽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고정홈의 내측면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와 걸림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결합돌기 중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돌기와 상기 걸림돌기가 걸림결합되는 경우, 상기 고리부는 상기 배터리커버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결합돌기 중 상기 몸체의 타측에 형성된 결합돌기와 상기 걸림돌기가 걸림결합되는 경우, 상기 고리부는 상기 배터리커버의 외측에 배치되는 핸드스트랩을 구비하는 핸드스트랩을 구비하는 리모컨.
remote control body;
a battery cover accommodating the remote controller body and forming a larger space than the remote controller body; and
A pair of fixing parts provided inside the battery cover and having a locking protrusion;
A coupling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fixing portions and having one side or the other side engaged with the locking protrusion;
It includes a ring part coupled to one end of the coupling part,
the fixing part,
a first frame;
A second fram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rame and having a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inward from the battery cover;
the coupling part,
A body formed with fixing grooves on both sides of which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re inserted;
And a pair of engaging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groove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to be engaged with the catching protrusion,
When the coupling protrus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and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pair of coupling protrusions are engaged, the ring portion is disposed inside the battery cover,
When the coupling protrusion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and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pair of coupling protrusions are engaged, the hook portion remote control having a hand strap having a hand strap disposed outside the battery cov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10149077A 2021-11-02 2021-11-02 Remote controller including hand strap KR1025340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077A KR102534038B1 (en) 2021-11-02 2021-11-02 Remote controller including hand stra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077A KR102534038B1 (en) 2021-11-02 2021-11-02 Remote controller including hand stra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3719A KR20230063719A (en) 2023-05-09
KR102534038B1 true KR102534038B1 (en) 2023-05-18

Family

ID=86409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9077A KR102534038B1 (en) 2021-11-02 2021-11-02 Remote controller including hand stra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4038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7424A (en) * 2000-07-12 2002-01-22 Izawa Sutoratsupu Seisakusho:Kk Fastener of strap for personal effects
JP2011015961A (en) * 2009-07-10 2011-01-27 Shenzhen Futaihong Precision Industrial Co Ltd Portable strap mounting part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2268792B1 (en) * 2020-06-22 2021-06-24 주식회사 오성전자 Strap coupling structure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0979A (en) * 1993-03-08 1994-09-16 Tokai Riken Kk Strap antenna for portable telephone se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7424A (en) * 2000-07-12 2002-01-22 Izawa Sutoratsupu Seisakusho:Kk Fastener of strap for personal effects
JP2011015961A (en) * 2009-07-10 2011-01-27 Shenzhen Futaihong Precision Industrial Co Ltd Portable strap mounting part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2268792B1 (en) * 2020-06-22 2021-06-24 주식회사 오성전자 Strap coupling structure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3719A (en) 202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85574B2 (en) Handheld gimbal and handheld structure
CN205896649U (en) Handheld cloud platform and holding structure thereof
US10185348B2 (en) Joystick structure and remote controller
US6230724B1 (en) Operation mechanism for a parasol
JP2000049472A (en) Cord case
CN218669856U (en) Supporting seat, fan and lamp
JP2008059547A (en) Computer mouse with dual directional slide lid
CN110291682A (en) Antenna structure, remote controler and unmanned vehicle system
KR102534038B1 (en) Remote controller including hand strap
US6330843B1 (en) Ratchet screwdriver with rotation control mechanism
KR20160125056A (en) Accessary for holding mobile device
KR20080005004U (en) Earphone case
US11391555B2 (en) Compact-sized tape measure
CN208315736U (en) Antenna structure and remote controler
US5366187A (en) Multi-position power cord holding device
KR100964737B1 (en) Device For Adjusting Of String
CN220749768U (en) Side handle capable of switching holding direction
KR970003999Y1 (en) Rotation keyboard
CN209743961U (en) Self-timer and driving mechanism thereof
JPH07327284A (en) Remote control unit
CN214594685U (en) Electric hair drier
JP2009224921A (en) Remote controller
US20200174518A1 (en) Apparatus for converting mobile device into wearable
JPH03133267A (en) Remote control package
JP3132378U (en) Can l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