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3357B1 - 호열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축산 고형분을 부숙하는 퇴비용 부숙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호열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축산 고형분을 부숙하는 퇴비용 부숙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3357B1
KR102533357B1 KR1020210040191A KR20210040191A KR102533357B1 KR 102533357 B1 KR102533357 B1 KR 102533357B1 KR 1020210040191 A KR1020210040191 A KR 1020210040191A KR 20210040191 A KR20210040191 A KR 20210040191A KR 102533357 B1 KR102533357 B1 KR 102533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illus
compost
kctc
seq
nucleotide sequ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0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5259A (ko
Inventor
이상종
이혜현
이승협
김미희
추샛별
김민정
지정환
김공민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엘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엘바이오텍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엘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210040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3357B1/ko
Publication of KR20220135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5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2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using specific microorganisms or substances, e.g. enzymes, for activating or stimulating the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05F11/08Organic fertilisers containing added bacterial cultures, mycelia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3/00Fertilisers from human or animal excrements, e.g. man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3/00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additives not having a specially fertilising activity
    • C05G3/80Soil conditio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02Separating microorganisms from their culture media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07Bacillus
    • C12R2001/075Bacillus thuringiens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Abstract

본 발명은 호열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축산 고형분을 부숙하는 퇴비용 부숙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퇴비용 부숙제의 제조방법은, 70~100℃에서 생존능을 갖으면서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을 갖는 바실러스 장저우엔시스(Bacillus zhangzhouensis) LBIO1(KCTC 14239BP),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을 갖는 바실러스 스트라토스페리쿠스(Bacillus stratosphericus) LBIO2(KCTC 14240BP), 서열번호 3의 염기서열을 갖는 바실러스 에스피(Bacillus sp.) LBIO3(KCTC 14241BP), 서열번호 4의 염기서열을 갖는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페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cs) LBIO4(KCTC 14242BP) 및 서열번호 5의 염기서열을 갖는 패니바실러스 바르시노넨시스(Paenibacillus barcinonensis) LBIO5(KCTC 14243BP)를 포함하는 호열성 미생물 배양액, 당밀, 염화나트륨을 넣고 혼합한 후 발효시켜 발효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및 상기 발효물을 반탄화숯에 함침한 후 건조하여 토양개량 효능도 갖는 퇴비용 부숙제를 제조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해, 매일 각 농장에서 발생되는 각종 축산 고형분을 자연에서 빠른 시간안에 발효시켜 단기간에 부숙완료시킬 수 있으면서 토양 개량 효과도 갖는 퇴비용 부숙제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호열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축산 고형분을 부숙하는 퇴비용 부숙제 및 이의 제조방법{Formulation of compost decomposition for decompositing livestock excrement using Thermophilic microorganism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호열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축산 고형분을 부숙하는 퇴비용 부숙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호열성 미생물을 이용함에 따라 축산 고형분을 단기간에 부숙완료시킴과 동시에 토양도 개량시킬 수 있는 퇴비용 부숙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축분뇨의 연간 발생량은 2016년 기준으로 4699만톤으로 추정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통상의 비육돈의 한마리당 하루 4~5㎏씩의 돈분(豚糞)과 뇨(尿)가 방출되며, 소 한마리당 하루 40kg~50kg씩 /닭 한 마리당 하루 1.2kg~1.5kg씩 /오리 한마리당 하루 1.5~2.3kg씩 방출되고 있다. 다시말해, 일일 수만돈의 축산분뇨는 기르는 축산농가에서 매일 발생되는 것으로써, 이러한 축분과 뇨를 처리하는 것이 매우 큰 문제로 대두 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돈분과 뇨는 축산 분뇨 중에서도 부양물이 가장 많아 현재까지 적당한 정화방법이 없으며, 현재는 이들 농가에서 여러단의 침전조를 거쳐 처리하고 있긴 하지만, 대량으로 처리하는데는 적절치 못하며, 전조로부터 유출되는 물에 희석시켜 일반 하천에 방류시키는 경우도 많아 이들에 의한 하천오염이 큰 문제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축산농가에서 양산되는 가축분뇨에 따른 환경오염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가축분뇨와 수분 조절제로서의 기능을 담당하는 왕겨, 톱밥 등을 혼합하여 쌓아두었다가 일정시간이 지난 후 퇴비공장으로 반출하여 처리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가축분뇨와 왕겨 및 톱밥을 이용하여 퇴비를 제조할 경우 생산적인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이 야기된다. 즉, 축산농가에서 양산되는 가축분뇨를 별도로 수거 처리한 후, 이를 방치하여 쌓아두면 발효가 이루어지지 않고 오히려 썩는 문제로 인해 악취가 오랜시간동안 발생되고, 파리나 모기의 온상이 되며 하천 유실에 따른 환경문제로 발생되는 등 여러 문제점들이 일어나게 된다.
이에, 최근에는 이러한 양질의 부숙 퇴비로 제조하기 까지에는 톱밥이나 왕겨를 이용하되 활용 액상 미생물을 함께 뿌려가면서 혼합하여 발효를 시키는 방법을 적용하고 있긴하나 이는 수분 함수율이 너무 높아서 부숙이 잘 이루어지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부분의 축산농가에서는 과잉 공급되는 가축분을 쉽고 신속하게 처리하기 위해 완전히 숙성이 되지 않은 미숙성된 가축분 퇴비를 농작물에 사용하거나 축산분뇨 유기질 비료 공장으로 반출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경우 미숙성된 퇴비로 인해 오히려 농작물의 뿌리 썩음병이나 역병이 발병되게 되며, 특히, 미부숙된 퇴비의 발효과정 중에 발생하는 가스에 의하여 오히려 농작물이 죽거나 생육에 장애를 입히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장마철에는 하천으로 흘러들어가서 비료과다에 의한 질병 문제, 녹조문제 등을 야기하는 등 환경문제로 매년 몸살을 앓고 있는 현실을 개선코자 정부 방침이 재정된 바 있다. 다시말해, 최근에는 축산 사육에 닭, 오리, 돼지, 소, 염소 등 사육에 있어서 발생되는 축산 고형분을 각 농장에서 완전 부숙하여 반출하도록 2020년 3월 법적 시행이 된 바 있어 수분 함수율이 높은 축산 고형분을 빠른시간 내에 발효되고 분해시켜 즉각 퇴비화 할수 있는 유용미생물을 활용화한 퇴비 부숙제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45629호 '유익 미생물로 발효시킨 분상의 축산분뇨 분해제 및 그 제조방법'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73157호 '미생물제제를 활용한 악취 저감된 마분퇴비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매일 각 농장에서 발생되는 각종 축산 고형분을 자연에서 빠른 시간안에 발효시켜 단기간에 부숙완료시킬수 있으면서 토양개량 효능도 갖는 퇴비용 부숙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퇴비용 부숙제의 제조방법은, 70~100℃에서 생존능을 갖으면서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을 갖는 바실러스 장저우엔시스(Bacillus zhangzhouensis) LBIO1(KCTC 14239BP),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을 갖는 바실러스 스트라토스페리쿠스(Bacillus stratosphericus) LBIO2(KCTC 14240BP), 서열번호 3의 염기서열을 갖는 바실러스 에스피(Bacillus sp.) LBIO3(KCTC 14241BP), 서열번호 4의 염기서열을 갖는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페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cs) LBIO4(KCTC 14242BP) 및 서열번호 5의 염기서열을 갖는 패니바실러스 바르시노넨시스(Paenibacillus barcinonensis) LBIO5(KCTC 14243BP)를 포함하는 호열성 미생물 배양액, 당밀, 염화나트륨을 넣고 혼합한 후 발효시켜 발효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및 상기 발효물을 반탄화숯에 함침한 후 건조하여 토양 개량 효능도 갖는 퇴비용 부숙제를 제조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제1단계의 발효물 제조시, 상기 미생물 배양액 1kg당 상기 당밀 5~15g, 상기 염화나트륨 0.5~3g을 넣고 혼합한 후, 25~35℃에서 48~72시간동안 발효하여 제조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제2단계의 퇴비용 부숙제 제조시, 피트모스를 더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축산 고형분 발효시 발생되는 발열에도 호열성 유용미생물이 생존할 수 있는 퇴비용 부숙제가 제공되며, 이를 통해 축산 고형분 발효시 고온(70℃이상)이 발생되어 보다 빠르게 축산 고형분을 완전히 부숙시킬 수 있어 매우 경제적으로 사용가능하게 된다.
또한, 토양 개량의 효능까지 갖음에 따라 토양개량제로써의 사용도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호열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축산 고형분을 부숙하는 퇴비용 부숙제의 제조공정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호열성 확인을 위해 유용미생물 중 하나인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을 갖는 바실러스 장저우엔시스(Bacillus zhangzhouensis) LBIO1(KCTC 14239BP)을 대상으로 100℃에서의 시간별 생존율을 나타낸 사진도면이다.
도 3은 호열성 확인을 위해 유용미생물 중 하나인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을 갖는 바실러스 스트라토스페리쿠스(Bacillus stratosphericus) LBIO2(KCTC 14240BP)을 대상으로 100℃에서의 시간별 생존율을 나타낸 사진도면이다.
도 4는 호열성 확인을 위해 유용미생물 중 하나인 서열번호 3의 염기서열을 갖는 바실러스 에스피(Bacillus sp.) LBIO3(KCTC 14241BP)을 대상으로 100℃에서의 시간별 생존율을 나타낸 사진도면이다.
도 5는 호열성 확인을 위해 유용미생물 중 하나인 서열번호 4의 염기서열을 갖는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페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cs) LBIO4(KCTC 14242BP)을 대상으로 100℃에서의 시간별 생존율을 나타낸 사진도면이다.
도 6은 호열성 확인을 위해 유용미생물 중 하나인 서열번호 5의 염기서열을 갖는 패니바실러스 바르시노넨시스(Paenibacillus barcinonensis) LBIO5(KCTC 14243BP)를 대상으로 100℃에서의 시간별 생존율을 나타낸 사진도면이다.
도 7은 상기 도 4의 동종균주로 유용미생물 중 하나인 Bacillus firmus(왼), Bacillus infantis(오른)를 대상으로 고온(100℃)에서의 생존율을 나타낸 사진(비교군)이다.
도 8은 적용 유용미생물들에 대한 효소활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적용 유용미생물들에 대한 악취저감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돼지, 오리의 분변에 실시예 1의 퇴비부숙제를 적용하여 부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육계닭의 분변에 실시예 1의 퇴비부숙제를 적용하여 부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삼계닭, 토종닭의 분변에 실시예 1의 퇴비부숙제를 적용하여 부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한우, 젖소의 분변에 실시예 1의 퇴비부숙제를 적용하여 부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실험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호열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축산 고형분을 부숙하는 퇴비용 부숙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호열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축산 고형분을 부숙하는 퇴비용 부숙제의 제조공정>
1. 제1공정: 발효물 제조(S10)
본 공정에서는 70~100℃에서 생존능을 갖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을 갖는 바실러스 장저우엔시스(Bacillus zhangzhouensis) LBIO1(KCTC 14239BP),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을 갖는 바실러스 스트라토스페리쿠스(Bacillus stratosphericus) LBIO2(KCTC 14240BP), 서열번호 3의 염기서열을 갖는 바실러스 에스피(Bacillus sp.) LBIO3(KCTC 14241BP), 서열번호 4의 염기서열을 갖는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페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cs) LBIO4(KCTC 14242BP) 및 서열번호 5의 염기서열을 갖는 패니바실러스 바르시노넨시스(Paenibacillus barcinonensis) LBIO5(KCTC 14243BP)를 포함하는 호열성 미생물 배양액, 당밀, 염화나트륨을 넣고 혼합한 후 발효시켜 발효물을 제조하는 하는 것이 특징이다.
설명하면, 축산 고형분의 퇴비화를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미생물 배양액의 효능이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게 된다.
이에 본 공정에서 적용가능한 미생물로는 호열성을 갖는 유용미생물로는 70∼100℃에서 생존능을 갖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자가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서 2020년 07월 15일에 기탁하여 받은 것으로 70~100℃에서 생존능을 갖으며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을 갖는 바실러스 장저우엔시스(Bacillus zhangzhouensis) LBIO1(KCTC 14239BP),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을 갖는 바실러스 스트라토스페리쿠스(Bacillus stratosphericus) LBIO2(KCTC 14240BP), 서열번호 3의 염기서열을 갖는 바실러스 에스피(Bacillus sp.) LBIO3(KCTC 14241BP), 서열번호 4의 염기서열을 갖는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페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cs) LBIO4(KCTC 14242BP) 및 서열번호 5의 염기서열을 갖는 패니바실러스 바르시노넨시스(Paenibacillus barcinonensis) LBIO5(KCTC 14243BP)를 혼합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추가로 호열성을 갖는 유용미생물로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커스(Bacillus methylotrophicus),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파시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균주를 더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호열성 유용미생물에 파에니바실러스 바시노넨시스(Paenibacillus barcinonensis), 바실러스 마리스플라비(Bacillus marisflavi),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Bacillus licheniformis), 바실러스 슈도미코이데스(Bacillus pseudomycoides), 바실러스 네알소니이(Bacillus nealsonii), 룸멜리이바실러스 스타베키시(Rummeliibacillus stabekisii),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벨레젠시스(Bacillus velezensis), 바실러스 토요넨시스(Bacillus toyonensis), 피치아 만서리카(Pichia manshurica), 지오바실러스 스테아로써모필러스(Geobacillus stearothermophilus), 시크로바실러스 시크로듀란스(Psychrobacillus psychrodurans), 바실러스 인판티스(Bacillus infantis) 중 어느 하나이상으로 이루어진 일반 미생물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가장 좋으며, 이때 상기 균주들이 모두 동량 존재하는 가장 좋다.
다시말해, 상기 미생물 배양액에는 70~100℃에서 생존하는 호열성을 갖는 유용미생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이는 하기 축산 고형분을 후숙발효시켜 분해하는 과정에서 발효분해물의 온도가 일시적으로 70℃이상까지 올라갈 수도 있는 바, 발효분해과정에서도 유용미생물들이 생존할 수 있기 위해서는 반드시 호열성을 갖는 균주를 적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특히 70℃이상이 발생되어 잡초 풀씨도 소멸화 되는 바, 축산분을 퇴비로 바로 사용도 가능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미생물 배양액에는 호열성을 갖는 유용미생물을 포함하되, 호열성을 갖지 않는 일반 미생물들도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가장 좋다.
즉, 상기 일반 미생물들은 통상의 축산분뇨에서 발췌된 균주들로써, 축산 고형분의 분해능이 매우 높은 바, 하기 축분 후숙발효시 60℃까지는 생존하고 있어 60℃까지는 축산 고형분의 분해능을 나타나게 된다. 그 다음 60℃를 초과하게 되면 호열성을 갖는 상기 유용 미생물들이 작용하여 분해촉진역할을 하게 되는 바, 75℃이상이 되면 하기 부숙이 단시간에 완전히 이루어져 퇴비사용이 즉각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배양액이란, 균주를 배양한 배지 내에 포함되어 있는 모든 물질을 의미할 수 있으며, 예컨대 균주 배양의 결과물인 대사물 또는 분비물을 포함하는 물질 또는 그 파쇄물을 의미할 수 있고 균주 자체도 배양물 내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양액은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방법에 따라 배양할 수 있다.
상기 배지로는 통상의 배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호열성을 갖는 유용미생물을 포함하는 미생물 균주들을 20~35℃에서 24~72시간 동안 배양하여 1×107 CFU/ml 이상 농도의 미생물 배양액을 준비하는 것이 특징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지에 상기 미생물 균주들을 모두 동량 접종한 다음 20~35℃에서 24~72시간동안 0.05 내지 0.4 vvm(vol/vol/min)의 통기량과 교반속도 100 내지 200 rpm(rotary/min), 내압 0.1 내지 1 kgf/㎠으로 배양할 수 있으며, 상기 배지의 pH는 6.0 내지 9.0 인 것이 가장 적합하다.
이러한 상기 미생물 배양액은 상기 미생물 배양액 1kg당 상기 당밀 5~15g, 상기 염화나트륨 0.5~3g을 넣고 혼합한 후, 발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상기 당밀은 상기 미생물 배양액 1kg당 5~15g, 상기 염화나트륨은 0.5~3g씩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이는 유용미생물의 생장을 촉진시켜주기 위한 것으로써 당밀이 5g미만으로 함유되거나 염화나트륨이 0.5g미만으로 함유될 경우에는 유용미생물의 생장 촉진능이 발휘되지 않아 상승된 축산 고형분의 분해능을 얻기 어려우며 당밀의 함량이 15g을 초과하거나 염화나트륨의 함량이 3g을 초과할 경우에는 초과물에 따라 오히려 유용미생물의 생장을 방해하게 될 우려가 있게 된다.
또한, 본 공정에서 적용되는 특정 발효조건으로는 25~35℃에서 48~72시간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상기 발효조건은 유용미생물의 호열성을 유지하는 등 미생물들의 효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조건으로써, 상기 발효조건을 벗어날 경우 발효조건이 맞지 않아 미생물들이 나타내는 호열성이 오히려 떨어지게 된다.
2. 제2공정: 퇴비용 부숙제 제조(S20)
본 공정에서는 상기 발효물을 반탄화숯에 함침한 후 건조하여 토양개량 효능도 갖는 퇴비용 부숙제를 제조하는 것이 특징이다.
설명하면, 상기 발효물 자체를 그대로 축분과 혼합할 경우 미생물이 생존하는 기간이 짧아 부숙의 속도가 더디게 된다.
이에, 본 공정에서는 이러한 미생물의 생존능을 높이면서 토양개량의 효능까지 얻을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발효물을 반탄화숯에 함침하여 사용하게 된다.
여기서, 반탄화숯이란 나무를 200~300℃, 가압상태하에 3~4시간동안 태워 완전 탄화되지 않고 50~60%(w/w)정도만이 탄화되어 형성된 숯을 의미하는 것으로써, 완전탄화된 숯은 pH 8~10으로 토양에 사용할 시 오히려 작물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는 반면, 반탄화 숯은 pH가 6~7 정도이며 미생물을 내포할 수있는 기공도 형성되어 있어 퇴비부숙제의 용도로 사용하기 매우 적합하다.
특히, 완전탄화숯은 탄소함량이 80~90%인 것으로 미생물 확산성이 느리고 탄소외 유기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순수 탄소결합만을 가지고 있는 상태인 반면, 탄소반탄화숯은 미생물 확산성이 빠르고 탄소외에 유기물이 존재하여 육묘 성장을 가능하게 하며, 대부분의 헤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는 빠르게 분해하고, 리그닌은 천천히 분해되어 토양미생물에 지속적인 먹이가 되어 통기성, 보수력, 보비력을 증가시키는 장점을 갖고 있는 바, 이를 토양에 적용하게 되면 토양개량 효능을 얻게 된다.
이에 상기 발효물에 반탄화숯을 완전히 잠기도록 넣고 20~24시간동안 함침 시킨 후, 20~25℃에서 10~20시간동안 서서히 건조시켜 본 발명의 퇴비용 부숙제로 바로 적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퇴비용 부숙제의 수분함량은 10~20중량%정도인 것으로 상기 수분함량이 10 중량%미만일 경우에는 과도한 수분함량의 조절로 인해 미생물이 파괴될 우려가 있게 되며, 2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제품화 자체 보관상 문제가 될 우려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퇴비용 부숙제에는 피트모스를 더 첨가하여 구성되기도 한다.
여기서 피트모스(peat moss)란, 이탄토, 습지, 늪 등에 수생식물류나 습지식물의 잔재가 연못 등에 퇴적 부식화 되어 쌓인 유기물질을 의미하는 것으로써 pH 3.5~4.5로 산성이며 이 역시 통기성, 보수력, 보비력을 증가시키는 장점을 갖고 있어 원예용 재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재료 중에 하나이다.
이에, 상기 피트모스를 상기 퇴비용 부숙제 전체중량을 기준으로 30~50중량부로 넣어 사용함에 따라 토양개량 효능을 더욱 상승시킬수 있게 된다.
이렇게 제조된 상기 퇴비용 부숙제는 축산 고형분과 혼합한 후 후숙발효하여 최종 퇴비화가 가능하도록 부숙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축산 고형분 1ton당 상기 퇴비용 부숙제 20~200kg을 넣어 배합시킨 후 자연상태 그대로 방치한 채로 후숙발효하여 퇴비화가 가능하도록 부숙완료를 시키며, 축분의 상태에 따라 후숙발효기간이 달라지긴 하나 30~70일내에는 부숙완료가 이루어지게 되며 이는, 기존 6개월 정도의 시간이 필요했던 퇴비의 제조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축산 고형분으로는 소, 돼지, 양, 염소 등의 포유류와 꿩, 닭, 오리, 칠면조 등의 가금류의 분뇨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본 발명에 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나,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퇴비부숙제1 제조
먼저, 70~100℃에서 생존능을 갖으며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을 갖는 바실러스 장저우엔시스(Bacillus zhangzhouensis) LBIO1(KCTC 14239BP),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을 갖는 바실러스 스트라토스페리쿠스(Bacillus stratosphericus) LBIO2(KCTC 14240BP), 서열번호 3의 염기서열을 갖는 바실러스 에스피(Bacillus sp.) LBIO3(KCTC 14241BP), 서열번호 4의 염기서열을 갖는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페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cs) LBIO4(KCTC 14242BP) 및 서열번호 5의 염기서열을 갖는 패니바실러스 바르시노넨시스(Paenibacillus barcinonensis) LBIO5(KCTC 14243BP)를 각각 32℃에서 약 72시간동안 배양하여 1×107 CFU/ml 농도의 배양액 형태로 각각 제조한 후 동량 혼합한 유용미생물 배양액을 준비하였다.
이렇게 준비된 상기 유용미생물 배양액 1kg, 당밀 5g, 염화나트륨 1g을 넣고 혼합한 후 35℃에서 48시간동안 발효시켜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상기 발효물 1kg에 반탄화숯 1kg을 넣고 24시간동안 함침시킨후, 20℃에서 15시간동안 서서히 건조처리하여 20중량%의 수분함량을 갖는 퇴비용 부숙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퇴비부숙제2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상기 유용미생물로 바실러스 코리코치(Bacillus horikoshii),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커스(Bacillus methylotrophicus),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파시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파에니바실러스 바시노넨시스(Paenibacillus barcinonensis), 바실러스 마리스플라비(Bacillus marisflavi),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Bacillus licheniformis), 바실러스 슈도미코이데스(Bacillus pseudomycoides), 바실러스 네알소니이(Bacillus nealsonii), 룸멜리이바실러스 스타베키시(Rummeliibacillus stabekisii),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벨레젠시스(Bacillus velezensis), 바실러스 토요넨시스(Bacillus toyonensis), 피치아 만서리카(Pichia manshurica), 지오바실러스 스테아로써모필러스(Geobacillus stearothermophilus), 시크로바실러스 시크로듀란스(Psychrobacillus psychrodurans), 바실러스 인판티스(Bacillus infantis)를 더 혼합한 미생물 배양액을 적용하여 퇴비부숙제2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퇴비부숙제3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상기 퇴비부숙제1에 피트모스를 상기 퇴비부숙제1 중량을 기준으로 30중량부 넣고 혼합하여 퇴비부숙제3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퇴비부숙제4 제조
상기 실시예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상기 유용미생물로 다른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와 바실러스 인판티스(Bacillus infantis)가 동량혼합된 유용미생물 배양액을 사용하여 퇴비부숙제4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퇴비부숙제5 제조
상기 실시예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상기 반탄화숯 대신 완전탄화된 숯을 적용하여 퇴비부숙제5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퇴비부숙제6 제조
퇴비부숙제6으로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유용미생물 배양액을 준비하였다.
<비교예 4> 퇴비부숙제7 제조
상기 실시예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상기 반탄화숯 대신 왕겨를 적용하여 퇴비부숙제7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유용미생물의 동종균주별 호열성 확인
1. 실험방법
Bacillus zhangzhouensis, Bacillus stratosphericus, Bacillus sp., Bacillus amyloliquefaciencs, Paenibacillus barcinonensis, Bacillus firmus, Bacillus infantis 총 7균주를 대상으로 각각 Nutrient Broth(NB) 5 ml에 각각 접종하여 35℃에서 16시간동안 진탕 배양한 후, 배양된 균주 배양액들을 35℃에서 7일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시킨 배양액을 2개의 튜브에 각 1 ml씩 첨가한 후, 배양액 1 ml가 첨가된 2개의 튜브 중 한 튜브는 25℃에서 5시간 반응시키고, 다른 한 튜브는 100℃에서 5시간 반응시켰다.
35℃와 100℃에서 반응시킨 튜브의 배양물을 Nutrient medium agar plate에 각각 도말 한 후 35℃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된 Nutrient medium agar plate를 사진촬영하여 CFU(Colony Forming Unit)를 측정하였다.
2. 실험결과
상기 실험결과, 하기 표 1 및 도 2 내지 도 7과 같이 나타났다.
35℃에서의 생존율 100℃에서의 생존율
Bacillus zhangzhouensis 100% 100%
Bacillus stratosphericus 100% 100%
Bacillus sp. 100% 100%
Bacillus amyloliquefaciencs 100% 100%
Paenibacillus barcinonensis 100% 10%
Bacillus firmus 100% 0%
Bacillus infantis 100% 0%
상기 표 1에 나타나 있듯이 Bacillus zhangzhouensis, Bacillus stratosphericus, Bacillus sp., Bacillus amyloliquefaciencs, Paenibacillus barcinonensis 균주들 모두 35℃ 및 100℃에서는 100%의 생존율을 나타내었으며, 도 2 내지 6에 나타나 있듯이 상기 5종의 균주들에 대하여 시간별 생존능에는 다소 차이가 있긴하였으나, 100℃인 고온에서도 생존을 하는 것은 확인한 바, 본 발명과 같은 70℃이상의 고온의 발효분해공정이 적용되는 경우에는 호열성을 갖는 Bacillus zhangzhouensis, Bacillus stratosphericus, Bacillus sp., Bacillus amyloliquefaciencs, Paenibacillus barcinonensis 균주들이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일반 기본배지(na배지)를 적용한 균주보다 일반 기본배지에 균주를 분리해낸 시료를 2% 첨가한 배지에서 훨씬 더 생존능이 높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에 반면, 상기 표 1, 도 7에 나타나 있듯이, 동종균주인 Bacillus firmus Bacillus infantis 역시 35℃에서는 100%의 생존율을 나타내었지만, 100℃에서 0%의 생존율을 나타내는 바, 바실러스 속 균주 모두 70℃이상의 호열성을 나타내는 것은 아님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2> 호열성 미생물들의 효소활성 확인
1. 실험방법
(재)농축산용미생물 산업육성지원센터에 의뢰하여 본 발명에서 적용한 호열성 미생물 총 5종에 대하여 amylase, protease, cellulase측정하였다. 아울러, 비교대상으로 기존 보유하고 있던 호열성이 아닌 다른 동종균주인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페시언스도 함께 효소활성도를 확인하였다.
2. 실험결과
그 결과, 도 8에 나타나 있듯이 Amylase activity는 서열번호 4의 염기서열을 갖는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페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cs) LBIO4(KCTC 14242BP) 균주가 가장 우수하게 나타남을 확인하였으며,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을 갖는 바실러스 장저우엔시스(Bacillus zhangzhouensis) LBIO1(KCTC 14239BP),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을 갖는 바실러스 스트라토스페리쿠스(Bacillus stratosphericus) LBIO2(KCTC 14240BP), 서열번호 3의 염기서열을 갖는 바실러스 에스피(Bacillus sp.) LBIO3(KCTC 14241BP)에서도 Amylase activity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Protease activity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을 갖는 바실러스 장저우엔시스(Bacillus zhangzhouensis) LBIO1(KCTC 14239BP)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서열번호 3의 염기서열을 갖는 바실러스 에스피(Bacillus sp.) LBIO3(KCTC 14241BP)에서도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Cellulase activity 서열번호 5의 염기서열을 갖는 패니바실러스 바르시노넨시스(Paenibacillus barcinonensis) LBIO5(KCTC 14243BP)만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즉, 축분을 부숙하기 위해서는 단백질, 탄수화물, 섬유질 분해가 중요하게 작용한다. 이에 상기와 같은 미생물들은 이러한 효소활성들을 갖고 있는 균주들인바, 혼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적합함을 알 수 있으며, 특히 같은 동종균주인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페시언 균주들끼리 비교해 보아도 본 발명에서 적용한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페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cs) LBIO4(KCTC 14242BP)는 Amylase activity가 매우 높은 반면 호열성을 갖지 않는 B. amylo 2는 Protease activity을 다소 나타내고 있는 바, 본 발명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는 유용미생물의 종류들로 반드시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을 갖는 바실러스 장저우엔시스(Bacillus zhangzhouensis) LBIO1(KCTC 14239BP),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을 갖는 바실러스 스트라토스페리쿠스(Bacillus stratosphericus) LBIO2(KCTC 14240BP), 서열번호 3의 염기서열을 갖는 바실러스 에스피(Bacillus sp.) LBIO3(KCTC 14241BP), 서열번호 4의 염기서열을 갖는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페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cs) LBIO4(KCTC 14242BP) 및 서열번호 5의 염기서열을 갖는 패니바실러스 바르시노넨시스(Paenibacillus barcinonensis) LBIO5(KCTC 14243BP)를 모두 적용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2> 호열성 미생물들의 악취저감능력 확인
1. 실험방법
(재)농축산용미생물 산업육성지원센터에 의뢰하여 본 발명에서 적용한 호열성 미생물 총 5종에 대하여 총악취저감능력 및 황화수소 저감능력을 측정하였다.
이때, 총악취저감능력은 돼지 분뇨에 각 균주들을 처리하고 48시간 후에 측정한 것이며, 황화수소 저감능은 각 균주들 1%씩을 돼지슬러리에 처리하여, 25℃에서 24시간동안 처리한 후 확인한 것이다.
2. 실험결과
그 결과, 도 9 및 하기 표 2와 같이 나타났다.
LBIO1 LBIO2 LBIO3 LBIO4 LBIO5
황화수소
(무처리구에 비해 저감된 비율%)
0.00 -4.08 22.45 -20.41 -20.41
도 9에 나타나 있듯이, 돼지분뇨에 대해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을 갖는 바실러스 스트라토스페리쿠스(Bacillus stratosphericus) LBIO2(KCTC 14240BP), 서열번호 4의 염기서열을 갖는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페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cs) LBIO4(KCTC 14242BP) 및 서열번호 5의 염기서열을 갖는 패니바실러스 바르시노넨시스(Paenibacillus barcinonensis) LBIO5(KCTC 14243BP)에서 악취저감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상기 표 2에 나타나 있듯이 서열번호 3의 염기서열을 갖는 바실러스 에스피(Bacillus sp.) LBIO3(KCTC 14241BP)에서는 황화수소 감소능이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3> 퇴비부숙제의 퇴비 부숙효과 및 작물생육 촉진효과 확인
1. 실험방법
축산 고형분(돼지분) 1ton씩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의 퇴비부숙제들 및 비교예 1 내지 4의 퇴비부숙제들을 각각 100kg씩 넣은 후 40일이 경과된 후 부숙상태를 확인하였으며, 이때 테스트 항목으로 수분함수율 및 황화수소(H2S)농도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이때, 시험가스의 농도는 가스검지관(구 KS I 2218:2009)에 의해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부숙상태 확인 후 각각의 부숙된 축분들을 잔디종자에 각각 처리하여 작물생육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때, 25 ± 2℃(주간), 62 ± 5%의 습도, 15 시간의 광주기 조건하에 7일 간격으로 각 pot 당 100㎖씩 수분공급, 각 pot 당 50g 씩 배양토와 함께 각 부숙된 축분들을 교반하여 각각 시비하였다.
식물체 지상부의 높이(height)를 조사하기 위해, 상기 처리후 30일 째에 각 추출된 표본에서 가장 큰 표본 10개체의 지상부 높이를 버어니어 캘리버스(VERNIER CALIPER)를 이용하여 0.01cm 단위로 측정하였다.
대조구는 상기와 같이 잔디종자를 키우되, 일반 원예용 퇴비(h사)를 처리하고 잔디종자를 키웠다.
상기 실험결과, 하기 표 3과 같이 나타났다.
수분 함수율 H2S 가스 감소율(%) 잔디종자의 높이
대조구 - - 4.42±0.51
실시예1 49% 85% 9.95±0.62
실시예2 45% 88% 9.02±0.33
실시예3 49% 85% 10.59±0.25
비교예1 58% 20% -
비교예2 49% 85% -
비교예3 50% 80% 5.21±0.22
비교예4 57% 25% -
상기 표 3에 나타나 있듯이 실시예 1의 퇴비부숙제, 실시예2의 퇴비부숙제, 실시예3의 퇴비부숙제 처리시 황화수소 감소율이 높게 나타남을 확인하였으며, 수분함수율도 낮아지는 것으로 본 발명의 퇴비용 부숙제가 퇴비 부숙을 촉진시켜 빠르게 안정화를 이룬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실시예 2의 경우에는 호열성을 갖는 유용미생물과 일반 미생물들을 함께 적용한 것으로써, 축분에서 60℃까지는 높은 축산 고형분의 분해능을 갖는 일반 미생물들이 그 분해능을 나타내고, 그 다음 서서히 온도가 올라가 60℃를 초과할 시 호열성을 갖는 상기 유용 미생물들이 작용하여 분해촉진효과를 나타내는 바, 황화수소감소율이 가장 낮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또한, 작물생육촉진능에서는 실시예 1,2,3 모두 생육촉진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피트모스를 추가한 실시예 3의 경우 가장 높게 나타나는 바, 모두 토양개량제로써 사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이에 반면, 비교예 1의 퇴비부숙제 처리구에서는 호열성이 없는 다른 균주들을 적용한 것으로써 퇴비화 당시 발생되는 고열로 인해 미생물이 거의 사멸되는 바, 이 역시 퇴비화하기 어려움을 확인하였으며, 비교예 4의 퇴비부숙제 처리구에서는 왕겨를 그대로 적용한 것으로써 충분한 미생물 함침이 이루어지지 않아 발효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음에 따라 이 역시 퇴비화하기에는 더욱 더 시간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비교예 1, 4 모두 부숙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로 작물에 처리됨에 따라 작물이 썩는 것으로 토양 개량제로써의 활용은 어려움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2의 경우에는 탄화숯 자체 미생물 함침이 충분히 이루어져 부숙은 완료됨을 확인하였으나, 탄화숯 자체의 높은 ph로 인해 작물이 생장하지 못함을 확인한 바, 작물생장에는 오히려 악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3의 경우에도 미생물 자체의 효능으로 인해 부숙이 이루어지긴 하였으나, 생존하고 있는 미생물의 기간이 짧고 미생물만으로는 작물생육의 효능은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4> 축분별 실제 현장에서의 퇴비부숙제 효능검증
1. 실험방법
돼지, 육계닭, 삼계닭, 토종닭, 젖소, 오리, 한우 총 7종의 축분을 대상으로 현장에서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퇴비부숙제를 각각 처리하여 부숙제의 효능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때 축산 고형분 1ton당 상기 퇴비용 부숙제 100kg씩을 넣고 배합하여 그대로 방치하였으며, 돼지는 30일, 오리는 50일, 육계닭, 삼계닭, 토종닭은 56일, 젖소와 한우는 70일이 경과 된 시점에 부숙상태를 확인하였다.
각 대조구는 퇴비용 부숙제를 처리하지 않고 쌓아놓은 그대로 방치한 뒤 상기 처리구의 결과시점에 함께 부숙상태를 확인하였다.
2. 실험결과
상기 실험결과, 도 10 내지 도 13에 나타나 있듯이 7종의 축종 모두 실시예 1의 퇴비용 부숙제 처리시 30~70일내에 부숙이 완료됨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매일 각 농장에서 발생되는 각종 축산 고형분을 자연에서 빠른 시간안에 발효시켜 단기간에 부숙완료시킬 수 있으면서 토양 개량 효과도 갖는 퇴비용 부숙제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를 통해 축산 고형분을 완전히 부숙시킬 수 있어 악취 없이 토양에 바로 사용할 수 있는 퇴비를 함께 제공할 수 있음을 상기 실험들을 통해 확인하였다.
상기의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4239BP 20200715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4240BP 20200715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4241BP 20200715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4242BP 20200715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4243BP 20200715
<110> Lbio technology co.,ltd <120> Formulation of compost decomposition for decompositing livestock excrement using Thermophilic microorganism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130> LBIO-10 <160> 5 <170> KopatentIn 2.0 <210> 1 <211> 1561 <212> DNA <213> Bacillus zhangzhouensis LBIO1 <400> 1 tctgctcagg acgaacgctg gcggcgtgcc taatacatgc aagtcgagcg gacagaaggg 60 agcttgctcc cggatgttag cggcggacgg gtgagtaaca cgtgggtaac ctgcctgtaa 120 gactgggata actccgggaa accggagcta ataccggata gttccttgaa ccgcatggtt 180 caaggatgaa agacggtttc ggctgtcact tacagatgga cccgcggcgc attagctagt 240 tggtggggta atggctcacc aaggcgacga tgcgtagccg acctgagagg gtgatcggcc 300 acactgggac tgagacacgg cccagactcc tacgggaggc agcagtaggg aatcttccgc 360 aatggacgaa agtctgacgg agcaacgccg cgtgagtgat gaaggttttc ggatcgtaaa 420 gctctgttgt tagggaagaa caagtgcgag agtaactgct cgcaccttga cggtacctaa 480 ccagaaagcc acggctaact acgtgccagc agccgcggta atacgtaggt ggcaagcgtt 540 gtccggaatt attgggcgta aagggctcgc aggcggtttc ttaagtctga tgtgaaagcc 600 cccggctcaa ccggggaggg tcattggaaa ctgggaaact tgagtgcaga agaggagagt 660 ggaattccac gtgtagcggt gaaatgcgta gagatgtgga ggaacaccca gtggcgaagg 720 cgactctctg gtctgtaact gacgctgagg agcgaaagcg tggggagcga acaggattag 780 ataccctggt agtccacgcc gtaaacgatg agtgctaagt gttagggggt ttccgcccct 840 tagtgctgca gctaacgcat taagcactcc gcctggggag tacggtcgca agactgaaac 900 tcaaaggaat tgacgggggc ccgcacaagc ggtggagcat gtggtttaat tcgaagcaac 960 gcgaagaacc ttaccaggtc ttgacatcct ctgacaaccc tagagatagg gctttccctt 1020 cggggacaga gtgacaggtg gtgcatggtt gtcgtcagct cgtgtcgtga gatgttgggt 1080 taagtcccgc aacgagcgca acccttgatc ttagttgcca gcatttagtt gggcactcta 1140 aggtgactgc cggtgacaaa ccggaggaag gtggggatga cgtcaaatca tcatgcccct 1200 tatgacctgg gctacacacg tgctacaatg gacagaacaa agggctgcga gaccgcaagg 1260 tttagccaat cccataaatc tgttctcagt tcggatcgca gtctgcaact cgactgcgtg 1320 aagctggaat cgctagtaat cgcggatcag catgccgcgg tgaatacgtt cccgggcctt 1380 gtacacaccg cccgtcacac cacgagagtt tgcaacaccc gaagtcggtg aggtaacctt 1440 tatggagcca gccgccgaag gtggggcaga tgattggggg tgaagtcgta acaaggtagc 1500 cgtatcggaa ggtgcggctg gatccccccc tctttttaaa ctgggaccac tcccttccag 1560 t 1561 <210> 2 <211> 1554 <212> DNA <213> Bacillus stratosphericus LBIO2 <400> 2 gccccccccc ctttttttta agttttttat tctgtcagga cgaacgctgg cggcgtgcct 60 aatacatgca agtcgagcgg acagaaggga gcttgctccc ggatgttagc ggcggacggg 120 tgagtaacac gtgggtaacc tgcctgtaag actgggataa ctccgggaaa ccggagctaa 180 taccggatag ttccttgaac cgcatggttc aaggatgaaa gacggtttcg gctgtcactt 240 acagatggac ccgcggcgca ttagctagtt ggtggggtaa tggctcacca aggcgacgat 300 gcgtagccga cctgagaggg tgatcggcca cactgggact gagacacggc ccagactcct 360 acgggaggca gcagtaggga atcttccgca atggacgaaa gtctgacgga gcaacgccgc 420 gtgagtgatg aaggttttcg gatcgtaaag ctctgttgtt agggaagaac aagtgcgaga 480 gtaactgctc gcaccttgac ggtacctaac cagaaagcca cggctaacta cgtgccagca 540 gccgcggtaa tacgtaggtg gcaagcgttg tccggaatta ttgggcgtaa agggctcgca 600 ggcggtttct taagtctgat gtgaaagccc ccggctcaac cggggagggt cattggaaac 660 tgggaaactt gagtgcagaa gaggagagtg gaattccacg tgtagcggtg aaatgcgtag 720 agatgtggag gaacaccagt ggcgaaggcg actctctggt ctgtaactga cgctgaggag 780 cgaaagcgtg gggagcgaac aggattagat accctggtag tccacgccgt aaacgatgag 840 tgctaagtgt tagggggttt ccgcccctta gtgctgcagc taacgcatta agcactccgc 900 ctggggagta cggtcgcaag actgaaactc aaaggaattg acgggggccc gcacaagcgg 960 tggagcatgt ggtttaattc gaagcaacgc gaagaacctt accaggtctt gacatcctct 1020 gacaacccta gagatagggc tttcccttcg gggacagagt gacaggtggt gcatggttgt 1080 cgtcagctcg tgtcgtgaga tgttgggtta agtcccgcaa cgagcgcaac ccttgatctt 1140 agttgccagc attcagttgg gcactctaag gtgactgccg gtgacaaacc ggaggaaggt 1200 ggggatgacg tcaaatcatc atgcccctta tgacctgggc tacacacgtg ctacaatgga 1260 cagaacaaag ggctgcaaga ccgcaaggtt tagccaatcc cataaatctg ttctcagttc 1320 ggatcgcagt ctgcaactcg actgcgtgaa gctggaatcg ctagtaatcg cggatcagca 1380 tgccgcggtg aatacgttcc cgggccttgt acacaccgcc cgtcacacca cgagagtttg 1440 caacacccga agtcggtgag gtaaccttta tggagccagc cgccgaaggt ggggcagatg 1500 attgggggtg aagtcgtaac aaggtagccg tatcggaagg tgcggctgat ccct 1554 <210> 3 <211> 1618 <212> DNA <213> Bacillus SP. LBIO3 <400> 3 cgtccccttg atgagtgcta gtgttagagg gtttccgccc tttagtgctg cagcaaacgc 60 attaagcact tccgcctggg gagtacggtc gcaagactga aactcaaagg aattgacggg 120 ggcccgcaca agcggtggag catgtggttt aattcgaagc aacgcgaaga accttaccag 180 gtcttgacat cctctgacaa ccctagagat agggcttccc cttcgggggc agagtgacag 240 gtggtgcatg gttgtcgtca gctcgtgtcg tgagatgttg ggttaagtcc cgcaacgagc 300 gcaacccttg atcttagttg ccagcattca gttgggcact ctaaggtgac tgccggtgac 360 aaaccggagg aaggtgggga tgacgtcaaa tcatcatgcc ccttatgacc tgggctacac 420 acgtgctaca atgggcagaa caaagggcag cgaagccgcg aggctaagcc aatcccacaa 480 atctgttctc agttcggatc gcagtctgca actcgactgc gtgaagctgg aatcgctagt 540 aatcgcggat cagcatgccg cggtgaatac gttcccgggc cttgtacaca ccgcccgtca 600 caccacgaga gtttgtaaca cccgaagtcg gtgaggtaac cttttggagc cagccgccga 660 aggtgggaca gatgattggg gggtgaagtc gtaacaaggt agccgtatcg gaaggtgcgg 720 ctggataccc cccctttttt aaaagtgggt cccccccctt aaaagtttgt tccttggttc 780 ttgctgggtc ggtttgcttc ttttcttcta tggtggcggt tccccttgcg ttttcgcccc 840 tttttggtgg tgctggggga cgttctacgt ttcctccggc gggggtaacg ttgccatgtt 900 tctgaacgcc ccccgggtgt tgcggcgcgg gtgttttacg ttcgagatgt aagaggcttg 960 cttggacgat attgcagaga aatatttgtc gggaggatat gcgttgccca gaccaatata 1020 taaagggagt ggcctcccca tgtgtgaggc ctgaagtgtt ttgggtgtga gagagcgtgg 1080 ccacgccccc cccaaaagag agagtggttt gtttttctcc cacaaaaaaa agtgattttt 1140 tatataatgt aatctctaca catgtgagtg tggtctttga atcgtagata ggtgtggata 1200 aatgggaaaa tagtctcggg tagtatcccc accacatatg atggtgttgt ttttatttat 1260 gtgtggcacc cctcgtgtgt gcataatggg ggggggagga gggggggggg gcgcgggcgg 1320 gggggtgggt gtatcccccc ctcttatttt ttttgggggg gggggggggg cggggtgctt 1380 ttgtgggggg gggagtaata tattttattt ttttttaggg aggggggggg gcggcggatg 1440 cggcgtggtg ggagcgcgtc ggtcgcctgt gtcaaaaaca aaagaataaa gaagagtggg 1500 gagggtagcg tgcacttatt gatgtcgtct ttggtgaggg cggagctagg ggaagaagag 1560 gtgggagggc ggtgccgggg gggggggcag aaaaaaaaaa aaaaagagtc tgtttttt 1618 <210> 4 <211> 1576 <212> DNA <213> Bacillus amyloliquefaciens LBIO4 <400> 4 ccttttttaa attttttttt attcgctcag gacgaacgct ggcggcgtgc ctaatacatg 60 caagtcgagc ggacagatgg gagcttgctc cctgatgtta gcggcggacg ggtgagtaac 120 acgtgggtaa cctgcctgta agactgggat aactccggga aaccggggct aataccggat 180 ggttgtctga accgcatggt tcagacataa aaggtggctt cggctaccac ttacagatgg 240 acccgcggcg cattagctag ttggtgaggt aacggctcac caaggcgacg atgcgtagcc 300 gacctgagag ggtgatcggc cacactggga ctgagacacg gcccagactc ctacgggagg 360 cagcagtagg gaatcttccg caatggacga aagtctgacg gagcaacgcc gcgtgagtga 420 tgaaggtttt cggatcgtaa agctctgttg ttagggaaga acaagtgccg ttcaaatagg 480 gcggcacctt gacggtacct aaccagaaag ccacggctaa ctacgtgcca gcagccgcgg 540 taatacgtag gtggcaagcg ttgtccggaa ttattgggcg taaagggctc gcaggcggtt 600 tcttaagtct gatgtgaaag cccccggctc aaccggggag ggtcattgga aactggggaa 660 cttgagtgca gaagaggaga gtggaattcc acgtgtagcg gtgaaatgcg tagagatgtg 720 gaggaacacc agtggcgaag gcgactctct ggtctgtaac tgacgctgag gagcgaaagc 780 gtggggagcg aacaggatta gataccctgg tagtccacgc cgtaaacgat gagtgctaag 840 tgttaggggg tttccgcccc ttagtgctgc agctaacgca ttaagcactc cgcctgggga 900 gtacggtcgc aagactgaaa ctcaaaggaa ttgacggggg cccgcacaag cggtggagca 960 tgtggtttaa ttcgaagcaa cgcgaagaac cttaccaggt cttgacatcc tctgacaatc 1020 ctagagatag gacgtcccct tcgggggcag agtgacaggt ggtgcatggt tgtcgtcagc 1080 tcgtgtcgtg agatgttggg ttaagtcccg caacgagcgc aacccttgat cttagttgcc 1140 agcattcagt tgggcactct aaggtgactg ccggtgacaa accggaggaa ggtggggatg 1200 acgtcaaatc atcatgcccc ttatgacctg ggctacacac gtgctacaat ggacagaaca 1260 aagggcagcg aaaccgcgag gttaagccaa tcccacaaat ctgttctcag ttcggatcgc 1320 agtctgcaac tcgactgcgt gaagctggaa tcgctagtaa tcgcggatca gcatgccgcg 1380 gtgaatacgt tcccgggcct tgtacacacc gcccgtcaca ccacgagagt ttgtaacacc 1440 cgaagtcggt gaggtaacct ttatggagcc agccgccgaa ggtgggacag atgattgggg 1500 gtgaagtcgt aacaaggtag ccgtatcgga aggtgcggct ggatccctcc ccctttctaa 1560 acgggaaccg cccccc 1576 <210> 5 <211> 1608 <212> DNA <213> Paenibacillus barcinonensis LBIO5 <400> 5 tttgtattct gctcaggacg aacgctggcg gcatgcctaa tacatgcaag tcgagcggag 60 ttgacggaaa gcttgctttc ctgagactta gcggcggacg ggtgagtaac acgtaggcaa 120 cctgccctca agcttgggac aactaccgga aacggtagct aataccgaat acttgttttc 180 ttcgcctgaa ggaaactgga aagacggagc aatctgtcac ttgaggatgg gcctgcggcg 240 cattagctag ttggtgaggt aacggctcac caaggcgacg atgcgtagcc gacctgagag 300 ggtgatcggc cacactggga ctgagacacg gcccagactc ctacgggagg cagcagtagg 360 gaatcttccg caatgggcga aagcctgacg gagcaatgcc gcgtgagtga tgaaggtttt 420 cggatcgtaa agctctgttg ccagggaaga acgcttggga gagtaactgc tctcaaggtg 480 acggtacctg agaagaaagc cccggctaac tacgtgccag cagccgcggt aatacgtagg 540 gggcaagcgt tgtccggaat tattgggcgt aaagcgcgcg caggcggtca tgtaagtctg 600 gtgtttaatc ccggggctca accccggatc gcactggaaa ctgcgtgact tgagtgcaga 660 agaggagagt ggaattccac gtgtagcggt gaaatgcgta gagatgtgga ggaacaccag 720 tggcgaaggc gactctctgg gctgtaactg acgctgaggc gcgaaagcgt ggggagcaaa 780 caggattaga taccctggta gtccacgccg taaacgatga atgctaggtg ttaggggttt 840 cgataccctt ggtgccgaag ttaacacatt aagcattccg cctggggagt acggtcgcaa 900 gactgaaact caaaggaatt gacggggacc cgcacaagca gtggagtatg tggtttaatt 960 cgaagcaacg cgaagaacct taccaggtct tgacatccaa ctaacgaggc agagatgcgt 1020 taggtgccct tcggggaaag ttgagacagg tggtgcatgg ttgtcgtcag ctcgtgtcgt 1080 gagatgttgg gttaagtccc gcaacgagcg caacccttat atttagttgc cagcatttcg 1140 gatgggcact ctaaatagac tgccggtgac aaaccggagg aaggtgggga tgacgtcaaa 1200 tcatcatgcc ccttatgacc tgggctacac acgtactaca atggccggta caacgggcag 1260 tgaagccgcg aggtggaacc aatcctaaaa agccggtctc agttcggatt gcaggctgca 1320 actcgcctgc atgaagtcgg aattgctagt aatcgcggat cagcatgccg cggtgaatac 1380 gttcccgggt cttgtacaca ccgcccgtca caccacgaga gtttataaca cccgaagtcg 1440 gtggggtaac cgcaaggagc cagccgccga aggtgggata gatgattggg gtgaagtcgt 1500 aacaaggtag ccgtatcgga aggtgcggct ggatcacctc ctttctagct ggatctcctc 1560 cttatagttt gaacctggct cagtatagat ggagctgaat acctggat 1608

Claims (4)

  1. 70~100℃에서 생존능을 갖으며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을 갖는 바실러스 장저우엔시스(Bacillus zhangzhouensis) LBIO1(KCTC 14239BP),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을 갖는 바실러스 스트라토스페리쿠스(Bacillus stratosphericus) LBIO2(KCTC 14240BP), 서열번호 3의 염기서열을 갖는 바실러스 에스피(Bacillus sp.) LBIO3(KCTC 14241BP), 서열번호 4의 염기서열을 갖는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페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cs) LBIO4(KCTC 14242BP) 및 서열번호 5의 염기서열을 갖는 패니바실러스 바르시노넨시스(Paenibacillus barcinonensis) LBIO5(KCTC 14243BP)를 포함하는 호열성 미생물 배양액 1kg당 당밀 5~15g, 염화나트륨 0.5~3g을 넣고 혼합한 후 25~35℃에서 48~72시간동안 발효시켜 발효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및,
    상기 발효물에 피트모스를 더 혼합한 후, 이를 50~60%(w/w)정도 탄화된 반탄화숯에 완전히 잠기도록 넣고 20~24시간동안 함침 시킨 후, 20~25℃에서 10~20시간동안 서서히 건조시켜 황화수소 악취저감능 및 토양개량 효능도 갖는 퇴비용 부숙제를 제조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축산 고형분을 부숙하는 퇴비용 부숙제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축산 고형분을 부숙하는 퇴비용 부숙제.
KR1020210040191A 2021-03-29 2021-03-29 호열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축산 고형분을 부숙하는 퇴비용 부숙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33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191A KR102533357B1 (ko) 2021-03-29 2021-03-29 호열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축산 고형분을 부숙하는 퇴비용 부숙제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191A KR102533357B1 (ko) 2021-03-29 2021-03-29 호열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축산 고형분을 부숙하는 퇴비용 부숙제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5259A KR20220135259A (ko) 2022-10-07
KR102533357B1 true KR102533357B1 (ko) 2023-05-18

Family

ID=83595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0191A KR102533357B1 (ko) 2021-03-29 2021-03-29 호열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축산 고형분을 부숙하는 퇴비용 부숙제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335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9191Y1 (ko) 1999-07-29 2000-02-15 안태완 사료혼합기
KR101029764B1 (ko) * 2010-12-01 2011-04-19 라현수 축산분뇨, 하수슬러지를 토양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시키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효퇴비 제조방법
KR101346594B1 (ko) 2013-07-19 2014-01-03 (주)오앤케이테크 스크류 하우징과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KR101651156B1 (ko) 2015-07-14 2016-09-21 주식회사 에스케이글로벌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1799750B1 (ko) * 2016-11-03 2017-11-23 대한민국 암모니아 악취 저감용 미생물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98566B1 (ko) 2020-01-14 2020-04-10 (주)조은이엔티 유기성 폐기물의 퇴비화 제조방법 및 유기성 폐기물의 퇴비화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5629B1 (ko) 2008-01-04 2010-03-04 윤순복 유익 미생물로 발효시킨 분상의 축산분뇨 분해제 및 그제조방법
KR101001437B1 (ko) * 2008-04-15 2010-12-14 나종광 유기성 폐기물 처리용 발효장치 및 처리 방법
KR101017719B1 (ko) * 2008-04-30 2011-02-25 김경화 교반장치
KR20100004590A (ko) * 2008-07-04 2010-01-13 주식회사 진테크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70073157A (ko) 2015-12-18 2017-06-28 주식회사 에코그린팜 미생물제제를 활용한 악취 저감된 마분퇴비 및 그 제조방법
KR101891792B1 (ko) * 2017-02-13 2018-09-28 (주)에코위드 음식물쓰레기용 압축 처리장치
KR101924307B1 (ko) * 2018-11-07 2018-11-30 김기찬 유기성폐기물의 퇴비화 발효조 및 가연성 생활쓰레기 고형연료화 설비의 건조조 교반설비의 에스컬레이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9191Y1 (ko) 1999-07-29 2000-02-15 안태완 사료혼합기
KR101029764B1 (ko) * 2010-12-01 2011-04-19 라현수 축산분뇨, 하수슬러지를 토양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시키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효퇴비 제조방법
KR101346594B1 (ko) 2013-07-19 2014-01-03 (주)오앤케이테크 스크류 하우징과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KR101651156B1 (ko) 2015-07-14 2016-09-21 주식회사 에스케이글로벌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1799750B1 (ko) * 2016-11-03 2017-11-23 대한민국 암모니아 악취 저감용 미생물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98566B1 (ko) 2020-01-14 2020-04-10 (주)조은이엔티 유기성 폐기물의 퇴비화 제조방법 및 유기성 폐기물의 퇴비화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5259A (ko) 2022-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43173B2 (en) Biochars for use with animals
KR102235297B1 (ko)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퇴비용 부숙제 및 이와 축산 고형분을 이용하여 제조된 퇴비
US10472297B2 (en) Biochars for use in composting
US5198252A (en)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fodder and/or soil improving agents from waste material
US10265670B2 (en) Biochar extracts and method for capturing material extracted from biochar
KR101098823B1 (ko) 축사 악취 제거용 미생물 제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미생물 제제를 포함하는 양돈용 사료
CN103664287B (zh) 一种利用水生植物制备的生物有机肥
CN103396180B (zh) 一种利用金针菇菌渣处理病死动物的方法
CN110240374B (zh) 一种利用蝇蛆进行牲畜粪便无害化处理方法
Butt et al. The intensive production of Lumbricus terrestris L. for soil amelioration
KR20150075167A (ko) 지렁이분변토를 이용하는 바이오 비료의 제조방법
CN110041151B (zh) 一种用于养蚕废弃物的无害化处理工艺
CN110521735A (zh) 一种青稞专用根腐病防治菌剂及其制备方法
KR102281219B1 (ko) 스테비아 발효추출물 및 유용미생물을 포함하여 작물의 생육촉진능을 갖는 토양개량제
CN103081809A (zh) 一种用于生态养猪的发酵床的垫料及其制作方法
CN112661545A (zh) 一种适合山区异位发酵床处理畜禽粪污的方法
CN110305819B (zh) 一株羽毛高效降解菌株及其应用
KR102186233B1 (ko) 부식물질 및 유산균을 포함하는 가축 분뇨 악취 제거용 조성물
KR102533357B1 (ko) 호열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축산 고형분을 부숙하는 퇴비용 부숙제 및 이의 제조방법
AU2017212836A1 (en) Biochars for use with animals
CN113913344B (zh) 一种有机物料腐熟剂及其制备方法
CN108975958A (zh) 一种家禽粪便的无菌处理系统和制备生物有机肥的方法
US11053171B2 (en) Biochars for use with animals
CN113875547A (zh) 一种有机生态型韭菜栽培基质
CN110437017A (zh) 一种畜禽粪便生产微生物肥料并控制农田面源污染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