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3263B1 - Detachable dish drying rack - Google Patents

Detachable dish drying ra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3263B1
KR102533263B1 KR1020220127612A KR20220127612A KR102533263B1 KR 102533263 B1 KR102533263 B1 KR 102533263B1 KR 1020220127612 A KR1020220127612 A KR 1020220127612A KR 20220127612 A KR20220127612 A KR 20220127612A KR 102533263 B1 KR102533263 B1 KR 102533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isposed
shelf
coupled
suppor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76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점성
Original Assignee
김점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점성 filed Critical 김점성
Priority to KR1020220127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326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2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9/00Drying devic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tea-cloths
    • A47L19/04Crockery baskets; Draining-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9/00Drying devic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tea-cloths
    • A47L19/02Draining-boards

Abstract

본 실시예는 분리 가능한 식기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분리 가능한 식기건조대는, 제1선반과, 상기 제1선반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을 포함하는 제1본체; 및 상기 제1본체 상에 배치되며, 제2선반과, 상기 제2선반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3프레임 및 제4프레임을 포함하는 제2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3프레임은 상하 방향으로 마주하게 배치되어,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프레임과 상기 제4프레임은 상하 방향으로 마주하게 배치되어,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This embodiment relates to a detachable dish drying rack. A detachable dish drying rack according to one side includes a first body including a first shelf, and first frames and second frames respectively disposed on opposite sides of the first shelf; and a second body disposed on the first body and including a second shelf, and a third frame and a fourth frame respective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shelf, wherein the first frame and the third frame The frames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re mutually detachably coupled, and the second frame and the fourth frame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r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Description

분리 가능한 식기건조대{Detachable dish drying rack}Detachable dish drying rack {Detachable dish drying rack}

본 실시예는 분리 가능한 식기건조대에 관한 것이다.This embodiment relates to a detachable dish drying rack.

식기건조대는 접시 등의 식기류를 안치하고 식기류에 부착된 물을 자연 낙하시킴으로서 식기류를 건조시키는 주방용품으로, 통상적으로 싱크대 상부에 위치되는 수납장의 싱크대 개수구 근방 하측벽에 설치하여 사용한다. 식기건조대는 식기류를 안치하는 식기건조선반, 이 건조선반이 안치되는 동체부재, 식기류로부터 낙하하는 물을 수집하는 물받이, 및 식기건조선반을 수납장 하측벽에 부착시키는 역할을 하는 고정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A dish drying rack is a kitchen appliance that dries tableware by setting tableware such as dishes and allowing water attached to the tableware to fall naturally. The dish drying rack is composed of a dish drying rack for storing dishes, a body member in which the drying rack is placed, a water tray for collecting water falling from dishes, and a fixing member for attaching the dish drying rack to the lower wall of the storage cabinet. Common.

종래의 식기건조대는 식기건조선반을 제외한 각 구성부분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일체형 식기건조대는 물받이에 이물질이 있는 경우 식기류를 모두 내려놓고 식기건조대 자체를 기울여서 이물질을 꺼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식기건조대 자체의 부피로 인해 보관, 운반이 매우 불편하였다. Conventional dish drying racks are integrally formed with each constituent part except for the dish drying rack. In such an integrated dish drying rack, when there are foreign substances in the drip pan, it is inconvenient to put down all dishes and tilt the dish drying rack itself to take out the foreign substances. In addition, due to the volume of the dish drying rack itself, storage and transportation were very inconvenient.

또한, 식기를 더 구매하여 식기 건조대가 더 필요한 경우, 식기 건조대는 크기가 규격화 되어있어, 식기 건조대를 또 구매하게 되면 공간과 부피를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In addition, when more tableware is purchased and more dish drying racks are needed, the sizes of the dish drying racks are standardized,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large amount of space and volume are occupied when another dish drying rack is purchased.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4273호(2002. 11. 07. 공개)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294273 (published on November 7, 2002)

본 발명은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식기의 거치 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으며, 보관과 운반이 편리한 분리 가능한 식기건조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tachable dish drying rack that can be adjusted in height, can secure a wide space for holding dishes, and is convenient to store and transport.

본 실시예에 따른 분리 가능한 식기건조대는, 제1선반과, 상기 제1선반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을 포함하는 제1본체; 및 상기 제1본체 상에 배치되며, 제2선반과, 상기 제2선반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3프레임 및 제4프레임을 포함하는 제2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3프레임은 상하 방향으로 마주하게 배치되어,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프레임과 상기 제4프레임은 상하 방향으로 마주하게 배치되어,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A detachable dish drying rack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body including a first shelf and first frames and second frames respective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shelf; and a second body disposed on the first body and including a second shelf, and a third frame and a fourth frame respective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shelf, wherein the first frame and the third frame The frames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re mutually detachably coupled, and the second frame and the fourth frame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r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본체와 제2본체 간 거리 조절에 의해 식기건조대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height of the dish drying rack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또한, 도마 거치대와 컵 거치대 등을 통하여, 식기의 거치 공간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securing a wider space for holding tableware through a cutting board holder and a cup hold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 가능한 식기건조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본체와 제2본체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일 측면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3의 일 측면과 이웃한 다른 측면을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본체와 제2본체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본체와 제2본체의 분리 상태에서의 사용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받이 프레임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본체와 컵 거치대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마 거치대의 측면을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본체와 제2본체 간 높이 조절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구조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건조대 내 물받이 프레임 설치 구조의 변형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부재의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부의 하면을 도시한 평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tachable dish drying r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one side of Figure 2;
4 is a plan view showing one side and another side adjacent to FIG. 3;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e in a separated state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ip tray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first body and the cup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lan view showing the side of the chopping board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ight adjustment structure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eight adjus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a height adjus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dified example of a drip tray frame installation structure in a dish drying r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ight adjust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is a plan view showing the lower surface of the height adjus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ome of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if it i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of the components among the embodiments can be selectively implemented. can be used by combining and substituting.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explicitly specifically defined and described, can be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can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can be interpreted in consideration of contextual meanings of related technologie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B,C 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Also,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may also include the plural form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phrase, and when described as “at least one (or more than one) of A and (and) B and C”, a combination of A, B, and C Can include one or more of all possible combination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Also,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o describe component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term is not limited to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 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to, coupl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lso the component It may also include cases of being 'connected', 'combined', or 'connected' due to another component between the and other components.

또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 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it is described as being formed or disposed on the "top (top) or bottom (bottom)" of each component, the top (top) or bottom (bottom) is not only when two components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but also It also includes cases where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are formed or disposed between two components. In addition, when expressed as “up (up) or down (down)”, it may include the meaning of not only the upward direction but also the downward direction based on one componen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건조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본체와 제2본체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일 측면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일 측면과 이웃한 다른 측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본체와 제2본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본체와 제2본체의 분리 상태에서의 사용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받이 프레임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본체와 컵 거치대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마 거치대의 측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h drying r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one side of FIG. A plan view showing, 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djacent to Figure 3,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e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sepa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receiving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first body and the cup holder according to the example, and FIG. 9 is a plan view showing the side of the cutting board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건조대(10)는, 제1본체(100), 제2본체(200), 컵 거치대(300) 및 도마 거치대(400)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9, a dish drying rack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ody 100, a second body 200, a cup holder 300, and a cutting board holder 400. can do.

상기 제1본체(100)와 상기 제2본체(200)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본체(100)는 상기 제2본체(200)의 하부에 배치된다는 점에서 하부 본체로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제2본체(200)는 상기 제1본체(100)의 상부에 배치된다는 점에서 상부 본체로 이름할 수 있다.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may be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body 100 may be referred to as a lower body in that it is disposed under the second body 200 . The second body 200 may be referred to as an upper body in that it is disposed above the first body 100 .

상기 제1본체(100)는, 제1프레임(120), 제2프레임(130) 및 제1선반(15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body 100 may include a first frame 120, a second frame 130 and a first shelf 150.

상기 제1프레임(120)은 상기 제1선반(150)의 일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선반(150)의 일 측면은 상기 제1프레임(1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120)은 복수의 다리부(122, 124)와, 상기 복수의 다리부(122, 124)를 상호 연결하는 제1연결부(121, 도 6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다리부(122, 124)는 제1다리부(122)와, 제2다리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다리부(122)와 상기 제2다리부(124)는 상호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121)는 상기 제1다리부(122)와 상기 제2다리부(124)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다리부(122), 상기 제1연결부(121) 및 상기 제2다리부(124)에 의해 상기 제1프레임(120)은 단면이 대략 “U”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frame 12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rst shelf 150 . One side of the first shelf 15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frame 120 . The first frame 1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leg parts 122 and 124 and a first connection part 121 (see FIG. 6 ) interconnecting the plurality of leg parts 122 and 124 . The plurality of leg parts 122 and 124 may include a first leg part 122 and a second leg part 124 . The first leg part 122 and the second leg part 124 may be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The first connection part 121 may be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first leg part 122 and the second leg part 124 . By the first leg part 122, the first connection part 121, and the second leg part 124, the first frame 120 may have a substantially “U” shape in cross section.

상기 제1다리부(122)와 상기 제2다리부(124)는 상기 제1선반(150)의 코너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다리부(122)와 상기 제2다리부(124)는 상기 제1선반(150)의 모서리에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leg part 122 and the second leg part 124 may be disposed at the corner of the first shelf 150 . The first leg part 122 and the second leg part 124 may be disposed at the corner of the first shelf 150 .

상기 제1프레임(120)은 상기 제1다리부(122)와 상기 제2다리부(124)를 연결하는 지지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는 상기 제1다리부(122)와 상기 제2다리부(124)를 연결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는 상기 제1연결부(121)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는 상기 제1연결부(121)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frame 120 may include a support bar connecting the first leg part 122 and the second leg part 124 . The support bar may be arranged to connect the first leg part 122 and the second leg part 124 . The support bar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121 . The support bar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nnection part 121 in a vertical direction.

상기 지지바에는 상기 제1선반(150)이 결합될 수 있다. The first shelf 150 may be coupled to the support bar.

상기 지지바는 제1지지바(126)와 제2지지바(12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바(126)와 상기 제2지지바(128)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며, 상호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본체(100)의 사용 상태에 따라, 상기 제1선반(150)은 상기 제1지지바(126)와 결합되거나, 상기 제2지지바(128)와 결합될 수 있다. The support bar may include a first support bar 126 and a second support bar 128 . The first support bar 126 and the second support bar 128 are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may be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Depending on the state of use of the first body 100, the first shelf 150 may be combined with the first support bar 126 or the second support bar 128.

상기 제2프레임(130)은 상기 제1선반(150)의 타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선반(150)을 기준으로 상기 제1프레임(120)와 상기 제2프레임(130)은 상호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프레임(130)은 복수의 다리부(132, 134)와, 상기 복수의 다리부(132, 134)를 상호 연결하는 제2연결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다리부(132, 134)는 제3다리부(132)와, 제4다리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다리부(132)와 상기 제4다리부(134)는 상호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131)는 상기 제3다리부(132)와 상기 제4다리부(134)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다리부(132), 상기 제4다리부(134) 및 상기 제2연결부(131)에 의해 상기 제2프레임(130)은 단면이 대략 “U”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second frame 130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helf 150 . Based on the first shelf 150, the first frame 120 and the second frame 130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The second frame 1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leg parts 132 and 134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131 interconnecting the plurality of leg parts 132 and 134 . The plurality of leg parts 132 and 134 may include a third leg part 132 and a fourth leg part 134 . The third leg part 132 and the fourth leg part 134 may be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1 may be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third leg part 132 and the fourth leg part 134 . By the third leg part 132, the fourth leg part 134,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1, the second frame 130 may have a substantially “U” shape in cross section.

상기 제3다리부(132)와 상기 제4다리부(134)는 상기 제1선반(150)의 코너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선반(150)의 네 코너에는 상기 제1다리부(122), 상기 제2다리부(124), 상기 제3다리부(132) 및 상기 제4다리부(134)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The third leg part 132 and the fourth leg part 134 may be disposed at the corner of the first shelf 150 . That is, the first leg part 122, the second leg part 124, the third leg part 132, and the fourth leg part 134 are provided at the four corners of the first shelf 150, respectively. can be placed.

상기 제2프레임(130)은 상기 제3다리부(132)와 상기 제4다리부(134)를 연결하는 지지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는 상기 제3다리부(132)와 상기 제4다리부(134)를 연결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는 상기 제2연결부(131)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는 상기 제2연결부(131)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frame 130 may include a support bar connecting the third leg part 132 and the fourth leg part 134 . The support bar may be arranged to connect the third leg part 132 and the fourth leg part 134 . The support bar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1 . The support bar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1 in a vertical direction.

상기 지지바에는 상기 제1선반(150)이 결합될 수 있다. The first shelf 150 may be coupled to the support bar.

상기 지지바는 제3지지바(136)와 제4지지바(13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지지바(136)와 상기 제4지지바(138)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며, 상호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지지바(136)는 상기 제1지지바(126)와 동일 높이를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4지지바(138)는 상기 제2지지바(128)와 동일 높이를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본체(100)의 사용 상태에 따라, 상기 제1선반(150)은 상기 제3지지바(136)와 결합되거나, 상기 제4지지바(138)와 결합될 수 있다. The support bar may include a third support bar 136 and a fourth support bar 138 . The third support bar 136 and the fourth support bar 138 are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may be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The third support bar 136 may be disposed to form the same height as the first support bar 126 . The fourth support bar 138 may be disposed to form the same height as the second support bar 128 . Depending on the state of use of the first body 100, the first shelf 150 may be combined with the third support bar 136 or the fourth support bar 138.

상기 제1선반(150)은 상기 제1프레임(120)와 상기 제2프레임(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선반(15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선반(150)은 다수의 철근 또는 철사가 상호 조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shelf 15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frame 120 and the second frame 130 . The first shelf 15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The first shelf 150 may be formed by assembling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or wires.

상기 제1선반(150)은 베이스(156) 및 펜스(1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56)는 상기 제1선반(150)의 바닥면을 형성하며, 상면으로부터 하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베이스(156) 상에 식기가 거치 시, 상기 홀을 통하여 물이 하방으로 낙하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56)의 상면에는 타 영역보다 상방으로 돌출되어, 식기를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식기는 상기 베이스(156)의 홀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shelf 150 may include a base 156 and a fence 154 . The base 156 forms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helf 150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holes penetrating from the top surface to the bottom surface. Accordingly, when dishes are placed on the base 156, water may fall downward through the hole. A plurality of support parts for supporting dishes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56 by protruding upward from other areas. In some cases, the tableware may be disposed to pass through the hole of the base 156 .

상기 펜스(154)는 상기 제1선반(150)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펜스(154)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제1선반(150)의 양 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펜스(154)는 제1방향을 따라 상호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펜스(154)를 통하여 상기 베이스(156) 상에 식기가 지지될 수 있다. The fence 154 may form a side surface of the first shelf 150 . The fence 154 may be provided in plural and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shelf 150, respectively. The plurality of fences 154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long the first direction. Dishes may be supported on the base 156 through the fence 154 .

상기 제1선반(150)의 측면에는 상기 제1프레임(120) 및 상기 제2프레임(130)과 결합되는 제1결합부(15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152), 상기 베이스(156) 및 상기 펜스(154)는 한몸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152)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제1선반(150)의 양 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1결합부(152)는 상기 제1방향에 수직인 제2방향으로 상호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A first coupling part 152 coupled to the first frame 120 and the second frame 130 may b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first shelf 150 . The first coupling part 152, the base 156 and the fence 154 may be formed as one body. The first coupler 152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and dispos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first shelf 150, respectively. The plurality of first coupling parts 152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상기 제1결합부(152)는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152)는 링(Ring)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152)는 상기 베이스(156)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152)의 하면에는 타 영역보다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바(126, 128, 136, 138)와 걸림이 이루어지는 제1걸림부(152a)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걸림부(152a)를 통하여 상기 제1선반(150)의 양 측면은 각각 제1지지바(126)와 상기 제3지지바(136)에 결합되거나, 상기 제2지지바(128)와 상기 제4지지바(138)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선반(150)과 상기 제1프레임(120), 상기 제1선반(150)과 상기 제2프레임(130)의 결합 시, 상기 제1걸림부(152a)는 상기 지지바(126, 128, 136, 138)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coupling part 152 may be formed in a closed loop shape. The first coupling part 152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The first coupling part 152 may be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base 156 . A first hooking part 152a may be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part 152 to protrude downward from other areas and engage the support bars 126 , 128 , 136 , and 138 . Therefore, both side surfaces of the first shelf 150 are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bar 126 and the third support bar 136 through the first hanging part 152a, or the second support bar ( 128) and the fourth support bar 138. When the first shelf 150 and the first frame 120 and the first shelf 150 and the second frame 130 are coupled, the first hanging part 152a is connected to the support bar 126, 128, 136, 138) may be disposed outside.

상기 제1본체(100)는 물받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받이부(160)는 상기 제1선반(15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물받이부(160)의 내측에는 물이 수용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식기로부터 낙하한 물은 상기 제1선반(150)을 통과하여 상기 물받이부(160)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물받이부(160)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물받이부(160)는 다수의 통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통공을 통하여 물이 하방으로 낙하될 수 있다. The first body 100 may include a water receiving portion 160 . The drip tray 160 may be disposed below the first shelf 150 . A space for receiving water may be formed inside the drip tray 160 . Water falling from the tableware may pass through the first shelf 150 and be accommodated in the drip tray 160 . The drip tray 160 may be omitted. The drip tray 160 may includ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not shown). Water may fall downward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상기 식기건조대(10)는 물받이 프레임(18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받이 프레임(180)은 베이스판(182)과, 상기 베이스판(182)의 일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지지판(184)과, 상기 베이스판(182)의 타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지지판(18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판(184)와 상기 제2지지판(186)은 상기 베이스판(182)과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182)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제1지지판(184)의 길이는, 상기 베이스판(182)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제2지지판(186)의 길이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182)의 표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지지판(184)의 높이는 상기 제2지지판(186)의 높이 보다 짧을 수 있다. The dish drying rack 10 may include a drip tray frame 180 . The gutter frame 180 includes a base plate 182, a first support plate 184 bent and extended from one end of the base plate 182, and a second support plate 184 bent and extended from the other end of the base plate 182. A support plate 186 may be included. The first support plate 184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186 may be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base plate 182 . A length of the first support plate 184 protruding from the surface of the base plate 182 may be smaller than a length of the second support plate 186 protruding from the surface of the base plate 182 . The height of the first support plate 184 bas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plate 182 may be shorter than the height of the second support plate 186 .

상기 물받이 프레임(180)은 상기 제1선반(15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제1본체(100)가 상기 제2본체(200)의 하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선반(150)의 하측에 상기 물받이 프레임(180)의 배치 시, 상기 제1지지판(184)과 상기 제2지지판(186)은 상기 베이스판(182)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베이스판(182)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지지판(184)과 상기 제2지지판(186)의 서로 다른 높이에 의해 상기 베이스판(182)은 지면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므로, 상기 제1선반(150)으로부터 낙하된 물이 용이하게 하방으로 유동될 수 있다. The drip tray frame 180 may be disposed under the first shelf 150 . 2, in a state where the first body 100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200, when the water receiving frame 180 is disposed below the first shelf 150, the first The first support plate 184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186 may be disposed below the base plate 182 so that the base plate 182 is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In this case, since the base plate 182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ground due to the different heights of the first support plate 184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186, water falling from the first shelf 150 It can easily flow downward.

한편, 제1본체(100)와 상기 제2본체(200)의 분리 시에는, 상기 물받이 프레임(18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판(184)과 상기 제2지지판(186)이 상기 베이스판(182)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상기 물받이 프레임(180)의 상, 하면이 바뀔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베이스판(182)의 상면에는 식기 등이 놓일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물받이 프레임(180)은 상기 제1본체(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are separated, the drip tray frame 180, as shown in FIG. 7, the first support plate 184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186 )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water receiving frame 180 may be changed so that the base plate 182 has a shape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82 . In this case, a space in which dishes or the like can be placed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82 . In this case, the water receiving frame 180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body 100 .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물받이 프레임(180)은 다양한 사용 상태에 따라 상기 물받이부(160)의 하부에서 낙하되는 물을 외부로 방출되도록 가이드하거나, 상기 제1본체(100) 상에 배치되어 식기가 놓이는 공간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Therefore, the drip tray frame 18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guides the water fall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drip tray 160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ccording to various usage conditions, or is disposed on the first body 100 to serve as a tableware. Additional space may be provided.

한편, 상기 물받이 프레임(180)은 상기 베이스판(182)으로부터 돌출되는 다리판(183)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판(182)으로부터 상기 다리판(183)이 돌출되는 방향은, 상기 제1지지판(184)과 상기 제2지지판(186)이 돌출되는 방향에 반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물받이 프레임(180)의 다양한 자세 변경에 따라 상기 다리판(183)은 상기 베이스판(182)을 지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gutter frame 180 may further include a leg plate 183 protruding from the base plate 182,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leg plate 183 protrudes from the base plate 182 is, The protruding directions of the first support plate 184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186 may be opposite to each other. Accordingly, the leg plate 183 may support the base plate 182 according to various posture changes of the drip tray frame 180 .

한편, 상기 제1본체(100)와 상기 제2본체(200)의 결합 상태에서, 상기 제1선반(150)의 하부에 상기 물받이 프레임(180)의 배치 시, 상기 제1지지판(184)은 상기 제1프레임(120)과 상기 제2프레임(130)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지지판(186)은 상기 제1프레임(120)과 상기 제2프레임(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drip tray frame 180 is disposed under the first shelf 150 in a coupled state between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the first support plate 184 It is disposed outside the first frame 120 and the second frame 130,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186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frame 120 and the second frame 130. .

상기 제2본체(200)는, 제3프레임(220), 제4프레임(230), 제2선반(250) 및 커버 프레임(21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body 200 may include a third frame 220 , a fourth frame 230 , a second shelf 250 and a cover frame 210 .

상기 제3프레임(220)은 상기 제2선반(250)의 일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선반(250)의 일 측면은 상기 제2프레임(2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프레임(220)은 복수의 다리부(222, 224)와, 상기 복수의 다리부(222, 224)를 상호 연결하는 제3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다리부(222, 224)는 제5다리부(222)와, 제6다리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5다리부(222)와 상기 제6다리부(224)는 상호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연결부는 상기 제5다리부(222)와 상기 제6다리부(224)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5다리부(222), 상기 제3연결부 및 상기 제6다리부(224)에 의해 상기 제3프레임(120)은 단면이 대략 “U”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third frame 22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econd shelf 250 . One side of the second shelf 250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frame 220 . The second frame 2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leg parts 222 and 224 and a third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plurality of leg parts 222 and 224 to each other. The plurality of leg parts 222 and 224 may include a fifth leg part 222 and a sixth leg part 224 . The fifth leg part 222 and the sixth leg part 224 may be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The third connection part may be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fifth leg part 222 and the sixth leg part 224 . By the fifth leg part 222, the third connection part, and the sixth leg part 224, the third frame 120 may have a substantially “U” shape in cross section.

상기 제1본체(100)와 상기 제2본체(200)의 결합 시, 상기 제5다리부(222)는 상기 제1다리부(122)와 상하 방향으로 마주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6다리부(224)는 상기 제2다리부(124)와 상하 방향으로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5다리부(222)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제1리브(223)가 형성되고, 상기 제1다리부(122)의 상면에는 상기 제1리브(223)가 결합되는 리브홀(123, 도 5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6다리부(224)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제2리브(225)가 형성되고, 상기 제2다리부(124)의 상면에는 상기 제2리브(225)가 결합되는 리브홀이 형성될 수 있다. When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are coupled, the fifth leg portion 222 is arranged to face the first leg portion 122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sixth leg portion 224 may be disposed to face the second leg portion 124 in a vertical direction. A first rib 223 protruding downward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fth leg part 222, and a rib hole 123 to which the first rib 223 is coupled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leg part 122. , see FIG. 5) may be formed. A second rib 225 protruding downward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ixth leg part 224, and a rib hole to which the second rib 225 is coupled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leg part 124. It can be.

상기 제1다리부(122)와 상기 제5다리부(222) 사이, 상기 제2다리부(124)와 상기 제6다리부(224) 사이에는 결합 영역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129)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29)는 상기 제1다리부(122)와 상기 제5다리부(222) 또는 상기 제2다리부(124)와 상기 제6다리부(224)의 외면을 동시에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Between the first leg part 122 and the fifth leg part 222 and between the second leg part 124 and the sixth leg part 224, a guide part 129 for guiding the coupling area is provided. can be placed. The guide part 129 may be disposed to cover outer surfaces of the first leg part 122 and the fifth leg part 222 or the second leg part 124 and the sixth leg part 224 at the same time. can

상기 제5다리부(222)와 상기 제6다리부(224)는 상기 제2선반(250)의 코너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5다리부(222)와 상기 제6다리부(224)는 상기 제2선반(250)의 모서리에 배치될 수 있다. The fifth leg part 222 and the sixth leg part 224 may be disposed at the corner of the second shelf 250 . The fifth leg part 222 and the sixth leg part 224 may be disposed at the corner of the second shelf 250 .

상기 제3프레임(220)은 상기 제5다리부(222)와 상기 제6다리부(224)를 연결하는 지지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는 상기 제5다리부(222)와 상기 제6다리부(224)를 연결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는 상기 제3연결부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는 상기 제3연결부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third frame 220 may include a support bar connecting the fifth leg part 222 and the sixth leg part 224 . The support bar may be arranged to connect the fifth leg part 222 and the sixth leg part 224 . The support bar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third connection part. The support bar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third connection part in a vertical direction.

상기 지지바에는 상기 제2선반(250)이 결합될 수 있다. The second shelf 250 may be coupled to the support bar.

상기 지지바는 제5지지바(226)와 제6지지바(22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5지지바(226)와 상기 제6지지바(228)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며, 상호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선반(250)은 상기 제5지지바(226)와 결합되거나, 상기 제6지지바(228)와 결합될 수 있다. The support bar may include a fifth support bar 226 and a sixth support bar 228 . The fifth support bar 226 and the sixth support bar 228 are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may be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The second shelf 250 may be combined with the fifth support bar 226 or the sixth support bar 228 .

상기 제4프레임(230)은 상기 제2선반(250)의 타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선반(250)을 기준으로 상기 제3프레임(220)와 상기 제4프레임(230)은 상호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4프레임(230)은 복수의 다리부(232, 234)와, 상기 복수의 다리부(232, 234)를 상호 연결하는 제4연결부(231, 도 4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다리부(232, 234)는 제7다리부(232)와, 제8다리부(2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7다리부(232)와 상기 제8다리부(234)는 상호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4연결부(231)는 상기 제7다리부(232)와 상기 제8다리부(234)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7다리부(232), 상기 제8다리부(234) 및 상기 제4연결부(231)에 의해 상기 제4프레임(230)은 단면이 대략 “U”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fourth frame 230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helf 250 . Based on the second shelf 250, the third frame 220 and the fourth frame 230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The fourth frame 2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leg parts 232 and 234 and a fourth connection part 231 (see FIG. 4 ) interconnecting the plurality of leg parts 232 and 234 . The plurality of leg parts 232 and 234 may include a seventh leg part 232 and an eighth leg part 234 . The seventh leg part 232 and the eighth leg part 234 may be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The fourth connection part 231 may be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seventh leg part 232 and the eighth leg part 234 . By the seventh leg part 232, the eighth leg part 234, and the fourth connection part 231, the fourth frame 230 may have a substantially “U” shape in cross section.

상기 제1본체(100)와 상기 제2본체(200)의 결합 시, 상기 제7다리부(232)는 상기 제3다리부(132)와 상하 방향으로 마주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8다리부(234)는 상기 제4다리부(134)와 상하 방향으로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7다리부(232)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제3리브(233)가 형성되고, 상기 제3다리부(132)의 상면에는 상기 제3리브(233)가 결합되는 리브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8다리부(234)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제4리브(235)가 형성되고, 상기 제4다리부(134)의 상면에는 상기 제4리브(235)가 결합되는 리브홀이 형성될 수 있다. When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are coupled, the seventh leg portion 232 is arranged to face the third leg portion 132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eighth leg portion 234 may be disposed to face the fourth leg portion 134 in a vertical direction. A third rib 233 protruding downward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venth leg part 232, and a rib hole to which the third rib 233 is coupled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hird leg part 132. It can be. A fourth rib 235 protruding downward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eighth leg part 234, and a rib hole to which the fourth rib 235 is coupled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urth leg part 134. It can be.

한편, 제1 내지 제4리브(223, 225, 233, 235)는 별도의 부재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4리브(223, 225, 233, 235)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의 외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너트와, 상기 스크류의 외면에 배치되는 철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철선은 양단이 각각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철선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복수의 너트 사이에 나선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4리브(223, 225, 233, 235)를 통하여 상기 제1본체(100)와 상기 제2본체(200)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Meanwhile, the first to fourth ribs 223, 225, 233, and 235 may be separate members. In this case, the first to fourth ribs 223, 225, 233, and 235 are formed in a rod shape, It may include a screw having a screw thread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 plurality of nut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crew, and a wir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crew. Both ends of the iron wire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respectively. At least a portion of the wire may be helically coupled between the plurality of nuts. Accordingly,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may be more firmly coupled through the first to fourth ribs 223 , 225 , 233 , and 235 .

상기 제3다리부(132)와 상기 제7다리부(232) 사이, 상기 제4다리부(134)와 상기 제8다리부(234) 사이에는 결합 영역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139, 도 5 참조)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39)는 상기 제3다리부(132)와 상기 제7다리부(232) 또는 상기 제4다리부(134)와 상기 제8다리부(234)의 외면을 동시에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Between the third leg part 132 and the seventh leg part 232 and between the fourth leg part 134 and the eighth leg part 234, a guide part 139 for guiding the coupling area (Fig. 5) may be placed. The guide part 139 may be disposed to cover outer surfaces of the third leg part 132 and the seventh leg part 232 or the fourth leg part 134 and the eighth leg part 234 at the same time. can

상기 제7다리부(232)와 상기 제8다리부(234)는 상기 제2선반(250)의 코너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선반(250)의 네 코너에는 상기 제5다리부(222), 상기 제6다리부(224), 상기 제7다리부(232) 및 상기 제8다리부(234)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The seventh leg part 232 and the eighth leg part 234 may be disposed at the corner of the second shelf 250 . That is, the fifth leg part 222, the sixth leg part 224, the seventh leg part 232, and the eighth leg part 234 are provided at the four corners of the second shelf 250, respectively. can be placed.

상기 제4프레임(230)은 상기 제7다리부(232)와 상기 제8다리부(234)를 연결하는 지지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는 상기 제7다리부(232)와 상기 제8다리부(234)를 연결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는 상기 제4연결부(231)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는 상기 제4연결부(231)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fourth frame 230 may include a support bar connecting the seventh leg portion 232 and the eighth leg portion 234 . The support bar may be arranged to connect the seventh leg part 232 and the eighth leg part 234 . The support bar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fourth connection part 231 . The support bar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ourth connection part 231 in a vertical direction.

상기 지지바에는 상기 제1선반(150)이 결합될 수 있다. The first shelf 150 may be coupled to the support bar.

상기 지지바는 제7지지바(236)와 제8지지바(23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7지지바(236)와 상기 제8지지바(238)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며, 상호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7지지바(236)는 상기 제5지지바(226)와 동일 높이를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8지지바(238)는 상기 제6지지바(228)와 동일 높이를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선반(250)은 상기 제7지지바(236)와 결합되거나, 상기 제8지지바(238)와 결합될 수 있다. The support bar may include a seventh support bar 236 and an eighth support bar 238 . The seventh support bar 236 and the eighth support bar 238 are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may be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The seventh support bar 236 may be arranged to form the same height as the fifth support bar 226 . The eighth support bar 238 may be disposed to form the same height as the sixth support bar 228 . The second shelf 250 may be combined with the seventh support bar 236 or the eighth support bar 238 .

상기 제2선반(250)은 상기 제3프레임(220)와 상기 제4프레임(2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선반(25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선반(250)은 다수의 철근 또는 철사가 상호 조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shelf 25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third frame 220 and the fourth frame 230 . The second shelf 25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The second shelf 250 may be formed by assembling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or wires.

상기 제2선반(250)은 베이스(256) 및 펜스(2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56)는 상기 제2선반(250)의 바닥면을 형성하며, 상면으로부터 하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베이스(256) 상에 식기가 거치 시, 상기 홀을 통하여 물이 하방으로 낙하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56)의 상면에는 타 영역보다 상방으로 돌출되어, 식기를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식기는 상기 베이스(256)의 홀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shelf 250 may include a base 256 and a fence 254 . The base 256 forms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shelf 250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holes penetrating from the top surface to the bottom surface. Accordingly, when dishes are placed on the base 256, water may fall downward through the hole. A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for supporting dishes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256 by protruding upward from other regions. In some cases, the tableware may be disposed to pass through the hole of the base 256 .

상기 펜스(254)는 상기 제2선반(250)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펜스(254)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제2선반(250)의 양 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펜스(254)는 제1방향을 따라 상호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펜스(254)를 통하여 상기 베이스(256) 상에 식기가 지지될 수 있다. The fence 254 may form a side surface of the second shelf 250 . The fences 254 may be provided in plural and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shelf 250, respectively. The plurality of fences 254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long the first direction. Dishes may be supported on the base 256 through the fence 254 .

상기 제2선반(250)의 측면에는 상기 제3프레임(220) 및 상기 제4프레임(230)과 결합되는 제2결합부(25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252), 상기 베이스(256) 및 상기 펜스(254)는 한몸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252)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제2선반(250)의 양 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2결합부(252)는 상기 제1방향에 수직인 제2방향으로 상호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A second coupling part 252 coupled to the third frame 220 and the fourth frame 230 may b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second shelf 250 . The second coupling part 252, the base 256 and the fence 254 may be formed as one body. The second coupling part 252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and may be respectively dispos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second shelf 250 . The plurality of second coupling parts 252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도 2에서는 상기 제2결합부(252)가 상기 제1결합부(152)와 상이한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상기 제2결합부(252)를 통한 상기 제3프레임(220) 및 상기 제4프레임(230)과의 걸림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상기 제2결합부(252)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결합부(152)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물론 상기 제2결합부(252)의 형상과 상기 제1결합부(152)의 형상이 상이할 수도 있다. In FIG. 2, the second coupling part 252 is shown as having a different shape from the first coupling part 152, but this is due to the third frame 220 and the first coupling part 252 through the second coupling part 252. It is shown as an example to explain the hooking structure with the 4 frame 230,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252 may have the same shape as the first coupling part 152 as shown in FIG. there is. Of course, the shape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52 and the shap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152 may be different.

상기 제2결합부(252)는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252)는 링(Ring)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252)는 상기 베이스(256)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252)의 하면에는 타 영역보다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바(226, 228, 236, 238)와 걸림이 이루어지는 제2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걸림부를 통하여 상기 제2선반(250)의 양 측면은 각각 제5지지바(226)와 상기 제7지지바(236)에 결합되거나, 상기 제6지지바(228)와 상기 제8지지바(238)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선반(250)과 상기 제3프레임(220), 상기 제2선반(250)과 상기 제4프레임(230)의 결합 시, 상기 제2걸림부는 상기 지지바(226, 228, 236, 238)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coupling part 252 may be formed in a closed loop shape. The second coupling part 252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The second coupling part 252 may be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base 256 . A second hooking part may be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second coupling part 252 to protrude downward from other regions and to engage the support bars 226 , 228 , 236 , and 238 . Therefore, both side surfaces of the second shelf 250 are coupled to the fifth support bar 226 and the seventh support bar 236 through the second hanging part, or the sixth support bar 228 and the It may be coupled to the eighth support bar 238. When the second shelf 250 and the third frame 220 and the second shelf 250 and the fourth frame 230 are coupled, the second catching portion is the support bar 226, 228, 236, 238) may be disposed outside.

상기 커버 프레임(210)은 상기 제3프레임(220)과 상기 제4프레임(23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프레임(21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에 다른 물품이 놓이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커버 프레임(210)은 상기 제1 내지 제4프레임(120, 130, 220, 240)과는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커버 프레임(210)의 재질은 나무일 수 있다. 상기 커버 프레임(210)은 상기 제3프레임(220)과 상기 제4프레임(230)에 각각 나사 결합될 수 있다. The cover frame 210 may be disposed on the third frame 220 and the fourth frame 230 . The cover frame 210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may form a space on the top surface of which other articles are placed. The cover frame 21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to fourth frames 120, 130, 220, and 240. For example, the material of the cover frame 210 may be wood. The cover frame 210 may be screwed to the third frame 220 and the fourth frame 230 respectively.

본 실시예에 따른 식기건조대(10)는 상기 제1본체(100)와 상기 제2본체(200)가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다양한 실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식기 건조대(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본체(100)와 상기 제2본체(200)가 상하 방향으로 결합된 상태이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본체(100)와 상기 제2본체(200)가 분리된 상태일 수 있다. Since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ar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the dish drying rack 1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For example, in the dish drying rack 10,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are vertically coupled, or as shown in FIG. 6. As it is,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may be in a separated state.

한편, 상기 제1본체(100)와 상기 제2본체(200)가 분리된 상태일 경우, 상기 물받이 프레임(180)은 도 6을 기준으로, 상기 제1본체(100)의 상면 상에 배치되어 커버 역할을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are separated, the drip tray frame 180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ody 100 with reference to FIG. can serve as a cover.

상기 식기건조대(10)는 컵 거치대(30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sh drying rack 10 may include a cup holder 300 .

상기 컵 거치대(300)에는 컵이 거치될 수 있다. 상기 컵 거치대(300)는 상기 제1프레임(120), 상기 제2프레임(130), 상기 제3프레임(220) 및 상기 제4프레임(230)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A cup may be mounted on the cup holder 300 . The cup holder 300 may be coupled to any one of the first frame 120 , the second frame 130 , the third frame 220 and the fourth frame 230 .

상세히, 상기 컵 거치대(300)는, 제1거치부(310)와, 제2거치부(320)와, 제1프레임 결합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거치부(310)와, 상기 제2거치부(320)와, 상기 제1프레임 결합부(330)는 한몸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detail, the cup holder 300 may include a first holder 310, a second holder 320, and a first frame coupling part 330. The first holding part 310, the second holding part 320, and the first frame coupling part 330 may be formed as one body.

상기 제1거치부(310)는 적어도 일부가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결합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결합바는 도 8을 기준으로, 제1결합바(312)와 제2결합바(3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바(312)와 상기 제2결합바(314)는 일단이 상호 연결되고, 타단이 상호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바(312)와 상기 제2결합바(314) 사이에는 식기가 거치대는 거치 공간(3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거치 공간(316)에 거치되는 식기는 와인잔일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바(312)와 상기 제2결합바(314)는 서로 가까워지도록 소정의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The first holder 3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upling bars, at least some of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plurality of coupling bars may include a first coupling bar 312 and a second coupling bar 314 based on FIG. 8 . The first coupling bar 312 and the second coupling bar 314 may have one end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other e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holding space 316 for holding dishes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coupling bar 312 and the second coupling bar 314 . Tableware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316 may be a wine glass. The first coupling bar 312 and the second coupling bar 314 may have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so as to come closer to each other.

상기 제2거치부(320)는 상기 제1거치부(31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거치부(320)는 상기 제1거치부(310)와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거치부(320)는 상기 제2결합바(314)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거치부(320)의 상단에는 적어도 1회 이상 절곡된 절곡부(3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거치부(320)에는 컵이 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holder 320 may be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first holder 310 . The second holder 320 may be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first holder 310 . For example, the second holder 320 may have a shape protruding upward from the second coupling bar 314 . A bent portion 322 bent at least once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second holding portion 320 . A cup may be mounted on the second holder 320 .

상기 제1프레임 결합부(330)는 상기 제1프레임(120), 상기 제2프레임(130), 상기 제3프레임(220) 및 상기 제4프레임(230)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 결합부(330)는 상기 제1거치부(310)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 결합부(33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거치부(310)와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 결합부(330)는 적어도 1회 이상 절곡된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프레임 결합부(330)는 상기 제1거치부(310)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332)와, 상기 수평부(332)의 연장된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수직부(33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frame coupler 330 may be combined with any one of the first frame 120 , the second frame 130 , the third frame 220 and the fourth frame 230 . The first frame coupling part 330 may have a shape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first holding part 310 .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frame coupling part 330 may be disposed perpendicularly to the first holding part 310 . The first frame coupling part 330 may have an area bent at least once. For example, the first frame coupling part 330 includes a horizontal part 332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first holding part 310 and bent downward from an extended end of the horizontal part 332 to extend. It may include a vertical portion 334 to be.

상기 제1프레임 결합부(330)는 상기 제1 내지 제8지지바(126, 128, 136, 138, 226, 228, 236, 238)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 결합부(330)는 상기 제1 내지 제4연결부(121, 131, 231)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 결합부(330)는 제1결합부(152) 또는 제2결합부(252)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 결합부(330)는 어느 일 영역이 상기 제1 내지 제8지지바(126, 128, 136, 138, 226, 228, 236, 238), 상기 제1 내지 제4연결부(121, 131, 231), 제1결합부(152), 상기 제2결합부(252) 중 하나와 결합되고, 다른 일 영역이 상기 제1 내지 제8지지바(126, 128, 136, 138, 226, 228, 236, 238), 상기 제1 내지 제4연결부(121, 131, 231), 제1결합부(152), 상기 제2결합부(252) 중 하나와 결합될 수 있다. The first frame coupling part 330 may be coupled to any one of the first to eighth support bars 126 , 128 , 136 , 138 , 226 , 228 , 236 , and 238 . The first frame coupling part 33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to fourth connection parts 121 , 131 , and 231 . The first frame coupling portion 33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152 or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52 . The first frame coupling part 330 has one region of the first to eighth support bars 126, 128, 136, 138, 226, 228, 236, 238, the first to fourth connection parts 121, 131 and 231), the first coupling portion 152,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52 are coupled, and the other area is the first to eighth support bars 126, 128, 136, 138, 226, 228, 236, 238), the first to fourth connection parts 121, 131, 231, the first coupling part 152,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252.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프레임 결합부(330)는 적어도 일부가 폐루프 형상인 상기 제1결합부(152)를 관통하도록 결합되고, 다른 일부가 상기 제1연결부(12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8 ,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frame coupling portion 330 is coupled to pass through the first coupling portion 152 having a closed loop shape, and the other portion is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21. can be supported by

상기 식기건조대(10)는 도마 거치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마 거치대(400)는 도 1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마와 같은 플레이트 형상의 식기가 거치될 수 있다. 상기 도마 거치대(400)는 제3거치부(410), 제4거치부(420) 및 제2프레임 결합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거치부(410), 상기 제4거치부(420) 및 상기 제2프레임 결합부(430)는 한몸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dish drying rack 10 may include a cutting board holder 400 . As shown in FIGS. 1 and 9 , the chopping board holder 400 may hold plate-shaped dishes such as cutting boards. The cutting board holder 400 may include a third holder 410 , a fourth holder 420 and a second frame coupling unit 430 . The third holder 410, the fourth holder 420, and the second frame coupling part 430 may be formed as one body.

상기 제3거치부(410)와 상기 제4거치부(420)는 상호 둔각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마가 상기 제3거치부(410)의 상면에 의해 일 측면이 지지되고, 상기 제4거치부(420)의 내면에 의해 타 측면이 지지될 수 있다. The third holder 410 and the fourth holder 420 may be arranged to form an obtuse angle with each other. Accordingly, one side of the chopping board may be support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third holder 410 and the other side may be support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fourth holder 420 .

상기 제2프레임 결합부(430)는 상기 제3거치부(410)의 일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프레임 결합부(430)는 상기 제3거치부(410)와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프레임 결합부(430)는 상기 제1 내지 제8지지바(126, 128, 136, 138, 226, 228, 236, 238)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프레임 결합부(430)는 상기 제1 내지 제4연결부(121, 131, 231)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프레임 결합부(430)는 제1결합부(152) 또는 제2결합부(252)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프레임 결합부(430)는 어느 일 영역이 상기 제1 내지 제8지지바(126, 128, 136, 138, 226, 228, 236, 238), 상기 제1 내지 제4연결부(121, 131, 231), 제1결합부(152), 상기 제2결합부(252) 중 하나와 결합되고, 다른 일 영역이 상기 제1 내지 제8지지바(126, 128, 136, 138, 226, 228, 236, 238), 상기 제1 내지 제4연결부(121, 131, 231), 제1결합부(152), 상기 제2결합부(252) 중 하나와 결합될 수 있다. The second frame coupling part 430 may be bent downward from one side of the third holding part 410 to extend. The second frame coupling part 430 may be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third holding part 410 . The second frame coupling part 430 may be coupled to any one of the first to eighth support bars 126 , 128 , 136 , 138 , 226 , 228 , 236 , and 238 . The second frame coupling part 43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to fourth connection parts 121 , 131 , and 231 . The second frame coupling portion 43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152 or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52 . The second frame coupling part 430 has one region of the first to eighth support bars 126, 128, 136, 138, 226, 228, 236, 238, the first to fourth connection parts 121, 131 and 231), the first coupling portion 152,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52 are coupled, and the other area is the first to eighth support bars 126, 128, 136, 138, 226, 228, 236, 238), the first to fourth connection parts 121, 131, 231, the first coupling part 152,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252.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프레임 결합부(430)는 적어도 일부가 폐루프 형상인 상기 제1결합부(152)를 관통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frame coupling part 430 may pass through the first coupling part 152 having a closed loop shape.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식기건조대(10)가 제1본체(100)와 제2본체(200)를 포함하는 2개의 층으로 구성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상기 본체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하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식기건조대(10)는 제1본체, 제2본체, 제3본체를 포함하는 3개의 층으로 구성되거나, 제1본체, 제2본체, 제3본체 및 제4본체를 포함하는 4개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sh drying rack 10 has been described as being composed of two layers including a first body 100 and a second body 200 as an example, but this is exemplary, and the body includes a plurality of layers. It is provided and can be coup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For example, the dish drying rack 10 is composed of three layers including a first body, a second body, and a third body, or a first body, a second body, a third body, and a fourth body. It can consist of 4 layers.

이하에서는, 제1본체(100)와 제2본체(200) 간 높이 조절이 가능한 식기건조대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modified example of a dish drying rack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between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will be described.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본체와 제2본체 간 높이 조절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구조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ight adjustment structure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eight adjustmen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another modifica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본 변형예에서는 제1본체와 제2본체가 전술한 리브 및 리브홀을 한 결합 구조가 아닌, 컵 거치대(300) 또는 도마 거치대(400)를 통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데 특징이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변형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을 하고, 나머지 부분에 있어서는 전술한 설명을 원용하기로 한다. In this modified example,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combined in a height-adjustable structure through the cup holder 300 or the chopping board holder 400, rather than the above-described rib and rib hole combined structure. Therefore, only the characteristic parts of this modified example will be described below, and the above description will be used for the remaining parts.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제1본체(100)와 제2본체(200) 간 상하 방향 이격거리 변경에 의해 식기건조대는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2본체(200) 내 제3프레임(220) 또는 제4프레임(230)(도 2 참조)에는 제1너트(51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너트(510)는 상기 제3프레임(220) 또는 제4프레임(230)의 다리부(222, 232, 224, 234)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너트(510)는 상기 다리부(222, 232, 224, 234)에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너트(510)는 상기 도마 거치대(400)의 일단과 결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너트(510)는 상기 컵 거치대(300)의 일단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너트(510)를 통하여 상기 제2본체(200)와 상기 도마 거치대(400) 또는 상기 제2본체(200)와 상기 컵 거치대(300)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0 and 11 , the height of the dish drying rack can be adjusted by changing the vertical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 In detail, the first nut 510 may be coupled to the third frame 220 or the fourth frame 230 (see FIG. 2 ) of the second body 200 . The first nut 510 may be coupled to the legs 222 , 232 , 224 , and 234 of the third frame 220 or the fourth frame 230 . The first nut 510 may be coupled to the leg parts 222 , 232 , 224 , and 234 by welding. The first nut 510 may be coupled to one end of the cutting board holder 400 .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12 , the first nut 510 may be coupled to one end of the cup holder 300 . Accordingly, the second body 200 and the cutting board holder 400 or the second body 200 and the cup holder 300 may be mutually coupled through the first nut 510 .

상기 제1너트(510)는 홀을 포함하며, 상기 홀의 내주면에는 나사산 또는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nut 510 includes a hole, and a screw thread or a screw groove may be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e.

상기 제1본체(100)에는 제2너트(53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너트(530)는 상기 제1본체(100)의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너트(530)는 상기 제1본체(100) 내 제1프레임(120) 또는 제2프레임(130)에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너트(530)는 상기 제1프레임(120) 또는 제2프레임(130)의 다리부(122, 132, 124, 134)와 결합될 수 있다. A second nut 53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body 100 . The second nut 53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body 100 . The second nut 53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120 or the second frame 130 within the first body 100 . The second nut 530 may be coupled to the leg parts 122 , 132 , 124 , and 134 of the first frame 120 or the second frame 130 .

상기 제2너트(530)는 홀을 포함하며, 상기 홀의 내주면에는 나사산 또는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nut 530 includes a hole, and a screw thread or a screw groove may be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e.

상기 제1너트(510)와 상기 제2너트(530)에는 볼트(52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볼트(520)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 또는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볼트(520)는 상기 제1너트(510) 내 홀과, 상기 제2너트(530) 내 홀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A bolt 52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nut 510 and the second nut 530 . The bolt 520 is formed in a bar shape, and a screw thread or a screw groove may b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bolt 520 may be screwed into a hole in the first nut 510 and a hole in the second nut 530 .

상기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상기 제2너트(530)의 회전을 통하여 상기 제1본체(100)와 상기 제2본체(200) 간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너트(530)의 시계 방향 회전 시, 상기 제1본체(100)와 상기 제2본체(200)가 상호 가까워지며, 상기 식기건조대의 높이가 낮아질 수 있다. 상기 제2너트(530)의 반시계 방향 회전 시, 상기 제1본체(100)와 상기 제2본체(200)가 상호 멀어지며, 상기 식기건조대의 높이가 높아질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structure,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may be adjusted through rotation of the second nut 530 . For example, when the second nut 530 rotates clockwise,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come closer to each other, and the height of the dish drying rack may decrease. When the second nut 530 rotates counterclockwise,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height of the dish drying rack may increase.

특히, 제2본체(200)와 도마 거치대(400), 제2본체(200)와 컵 거치대(300)가 제1너트(510)를 통하여 컴팩트하게 결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particular,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second body 200 and the cutting board holder 400, and the second body 200 and the cup holder 300 can be compactly coupled through the first nut 510.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건조대 내 물받이 프레임 설치 구조의 변형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부의 하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a drip tray frame installation structure in a dish drying r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ight adjust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 plan view showing a lower surface of the height adjusting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식기건조대(10)는 물받이 프레임(6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선반(150)의 하부에 배치되는 물받이 프레임(180, 도 2참조)을 제1물받이 프레임이라 하고, 제1본체(100)와 제2본체(200) 사이에 배치되는 물받이 프레임(600)을 제2물받이 프레임(600)이라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3 to 15 , the dish drying rack 10 may further include a drip tray frame 600 . In this case, the water receiving frame (180, see FIG. 2) disposed under the first shelf 150 is referred to as the first water receiving frame, and the water receiving frame disposed between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600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water receiving frame 600 .

상기 제2물받이 프레임(600)은 상기 제1본체(100)와 상기 제2본체(200) 사이에 배치되는 높이 조절 수단(700)을 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The second drip tray frame 600 may be moved in a vertical direction through a height adjusting unit 700 disposed between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

높이 조절 수단(700)는, 지지봉(710), 제1너트(722), 제2너트(724) 및 높이 조절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eight adjusting unit 700 may include a support rod 710 , a first nut 722 , a second nut 724 and a height adjusting unit 730 .

지지봉(710)은 물받이 프레임(600)의 코너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봉(710)은 제1본체(100)의 제1다리부 내지 제4다리부(122, 124, 132, 134)의 상면에 하단이 결합되고, 제2본체(200)의 제5다리부 내지 제8다리부(222, 224, 232, 234)의 하면에 상단이 결합될 수 있다. 지지봉(71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 또는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다리부 내지 제4다리부(122, 124, 132, 134)의 상면에는 지지봉(710)의 하단이 나사 결합되는 나사홀이 형성되고, 제5다리부 내지 제8다리부(222, 224, 232, 234)의 하면에는 지지봉(710)의 상단이 나사 결합되는 나사홀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봉(710)은 제1본체(100) 및 제2본체(200)에 각각 상, 하단이 나사 결합될 수 있다. The support bar 710 may be disposed at a corner area of the drip tray frame 600 . The support bar 710 has lower ends coupled to upper surfaces of the first to fourth leg parts 122, 124, 132, and 134 of the first body 100, and the fifth to fourth leg parts of the second body 200. Upper ends may be coupled to lower surfaces of the eighth leg parts 222 , 224 , 232 , and 234 . A screw thread or a screw groove may b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bar 710 . A screw hole into which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rod 710 is screwed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to fourth leg parts 122, 124, 132, and 134, and the fifth to eighth leg parts 222 and 224 , 232, 234) may be formed with a screw hole into which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rod 710 is screwed. Accordingly,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upport bar 710 may be screwed to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respectively.

한편, 높이 조절 수단(700)의 결합을 위해, 전술한 실시예의 리브 및 리브홀을 통한 다리부 간 결합 구조가 생략될 수 있다. Meanwhile, for coupling of the height adjusting means 700,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legs through the ribs and rib hole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may be omitted.

제1너트(722)와 제2너트(724)는 지지봉(710)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제1너트(722)와 제2너트(724)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The first nut 722 and the second nut 724 may be screw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rod 710 . The first nut 722 and the second nut 724 may be spaced apart in a vertical direction.

높이 조절부(730)는 지지봉(710)의 외면에 결합될 수 있다. 높이 조절부(730)는 상하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높이 조절부(730)는 지지봉(710)의 외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The height adjusting unit 730 may be coup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bar 710 . The height adjusting unit 73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open upper and lower surfaces. The height adjusting unit 730 may move up and down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bar 710 .

높이 조절부(730)는 몸체(732)와, 몸체(732)의 일단에 형성되는 가압부(734)와, 몸체(732)의 외면에 배치되어 가압부(734)를 조절하는 조절부(736)와, 몸체(732)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물받이 프레임(600)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부(739)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eight adjusting unit 730 includes a body 732, a pressing unit 734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732, and an adjusting unit 736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body 732 to adjust the pressing unit 734. ), and a support part 739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732 to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 receiving frame 600.

몸체(732)는 상하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732)는 지지봉(710)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body 732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open upper and lower surfaces. The body 732 may be disposed to surround the support bar 710 .

몸체(732)의 일단에는 가압부(734)가 배치될 수 있다. 가압부(734)는 내측에 지지봉(710)이 결합되는 홀(731)을 기준으로 상호 분리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A pressing part 734 may be disposed at one end of the body 732 . The pressing unit 734 may include a plurality of members disposed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based on the hole 731 to which the support bar 710 is coupled therein.

조절부(736)는 일단이 가압부(734)의 외면에 결합될 수 있다. 조절부(736)는 몸체(732)와 토션 스프링(미도시)을 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조절부(736)를 가압 시, 몸체(732)의 복수의 부재는 상호 멀어지도록 이동되며 홀(731)의 직경이 증가될 수 있다. 이 경우, 높이 조절부(730)는 지지봉(710)의 외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adjusting unit 736 may be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ressing unit 734 . The adjusting unit 736 may be coupled through the body 732 and a torsion spring (not shown). Accordingly, when the control unit 736 is pressed by the user's external force, the plurality of members of the body 732 are moved away from each other, and the diameter of the hole 731 may be increased. In this case, the height adjusting unit 730 may move up and down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rod 710 .

그리고, 사용자의 외력이 해제되면, 토션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부(734)의 복수의 부재 간 간격이 작아지고, 홀(731)의 직경 또한 작아져 지지봉(710)의 외면 상에서 높이 조절부(73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And, when the user's external force is released,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members of the pressing part 734 is reduc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torsion spring, and the diameter of the hole 731 is also reduced, so that the height adjusting unit ( 730) may be fixed.

한편, 몸체(732)의 외면에는 토션 스프링의 배치를 위한 결합부(738)가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a coupling part 738 for disposing a torsion spring may be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body 732 .

지지부(739)는 몸체(732)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지지부(739)는 물받이 프레임(600)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739)는 몸체(732)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support part 739 may protrud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732 . The support part 739 may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 receiving frame 600 . The support 739 may be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body 732 .

상기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추가 물받이 프레임(600)을 통하여 제2본체(200)에서 낙하되는 물을 추가로 수용할 수 있고, 높이 조절 수단(700)에 의해 물받이 프레임(6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structure, water falling from the second body 200 can be additionally accommodated through the additional water receiving frame 600, and the height of the water receiving frame 600 can be adjusted by the height adjusting means 700. There are advantages to being able to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In the above, even though all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ed as on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with one or more to operate. In addition, terms such as 'include', 'comprise' or 'having'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present unless otherwise stated, and thus exclude other components. I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able to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defined otherwise. Common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y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exampl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식기건조대
100: 제1본체
120: 제1프레임
130: 제2프레임
150: 제1선반
160: 물받이부
200: 제2본체
10: Dish drying rack
100: first body
120: first frame
130: second frame
150: first shelf
160: water receiving part
200: second body

Claims (8)

제1선반과, 상기 제1선반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을 포함하는 제1본체; 및
상기 제1본체 상에 배치되며, 제2선반과, 상기 제2선반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3프레임 및 제4프레임을 포함하는 제2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3프레임은 상하 방향으로 마주하게 배치되어,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프레임과 상기 제4프레임은 상하 방향으로 마주하게 배치되어,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 사이에 배치되는 물받이 프레임;
상기 물받이 프레임의 하면을 지지하는 높이 조절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높이 조절 수단은,
지지봉; 및
상기 지지봉의 외면에 배치되는 높이 조절부; 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 조절부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물받이 프레임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몸체의 일단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봉의 외면을 가압하는 복수의 부재를 포함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 내 복수의 부재 간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분리 가능한 식기건조대.
a first body including a first shelf and first frames and second frames respectively disposed on opposite sides of the first shelf; and
A second body disposed on the first body and including a second shelf, and a third frame and a fourth fram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shelf, respectively;
The first frame and the third frame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as to be separable,
The second frame and the fourth frame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be separable,
a drip tray frame disposed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It further includes; height adjusting means for suppor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drip tray frame,
The height adjustment means,
support rod; and
a height adjusting unit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bar; including,
The height adjustment unit includes a body, a support unit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to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 receiving frame, and a pressing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members disposed on one end of the body and press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bar; A detachable dish drying rack comprising an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a distance between a plurality of members in the pressing unit.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 또는 상기 제2본체의 측면에 결합되는 도마 거치대 또는 컵 거치대를 포함하는 분리 가능한 식기건조대.
According to claim 1,
A detachable dish drying rack comprising a cutting board holder or a cup holder coupled to a side surface of the first body or the second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의 상하 방향 거리가 조절되는 분리 가능한 식기건조대.
According to claim 1,
A detachable dish drying rack in which a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is adjuste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본체의 외면에 결합되는 제1너트;
상기 제1본체의 외면에 결합되는 제2너트; 및
상기 지지봉은 상기 제1너트와 상기 제2너트를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분리 가능한 식기건조대.
According to claim 4,
a first nut coup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a second nut coup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body; and
The detachable dish drying rack is coupled so that the support rod passes through the first nut and the second nu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너트는 상기 제1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너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의 상하 방향 거리가 조절되는 분리 가능한 식기건조대.
According to claim 5,
The second nu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body, and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in a vertical direction is adjusted according to rotation of the second nu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 프레임은 제1 물받이 프레임이고,
상기 제1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물받이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물받이 프레임은,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지지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타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판과 상기 제2지지판의 높이는 상이한 분리 가능한 식기건조대.
According to claim 1,
The water receiving frame is a first water receiving frame,
Further comprising a second gutter frame disposed under the first body,
The gutter frame includes a base plate, a first support plate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base plate, and a second support plate protru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base plate,
A detachable dish drying rack having different heights between the first support plate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삭제delete
KR1020220127612A 2022-10-06 2022-10-06 Detachable dish drying rack KR1025332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7612A KR102533263B1 (en) 2022-10-06 2022-10-06 Detachable dish drying ra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7612A KR102533263B1 (en) 2022-10-06 2022-10-06 Detachable dish drying rac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3263B1 true KR102533263B1 (en) 2023-05-17

Family

ID=86547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7612A KR102533263B1 (en) 2022-10-06 2022-10-06 Detachable dish drying ra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3263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273Y1 (en) 2002-07-25 2002-11-07 주식회사 스타픽스 A Suspension Type Tableware Dryer
KR20170004021U (en) * 2016-05-18 2017-11-29 (주)대한솔루션 Corner shelf
JP2020108783A (en) * 2019-01-04 2020-07-16 广東偉経商務有限公司 Storage shelf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KR20220000906U (en) * 2020-10-20 2022-04-27 주식회사 나래 Built-up type muti stage dish dry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273Y1 (en) 2002-07-25 2002-11-07 주식회사 스타픽스 A Suspension Type Tableware Dryer
KR20170004021U (en) * 2016-05-18 2017-11-29 (주)대한솔루션 Corner shelf
JP2020108783A (en) * 2019-01-04 2020-07-16 广東偉経商務有限公司 Storage shelf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KR20220000906U (en) * 2020-10-20 2022-04-27 주식회사 나래 Built-up type muti stage dish dry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02704B2 (en) Device for drying objects
US6357605B1 (en) Device for drying objects
AU640556B2 (en) A stackable and collapsible shelf
AU2001259694A1 (en) Device for drying objects
US7637220B2 (en) Collapsible shelf device
US4066295A (en) Chair and base frame therefor
KR101995690B1 (en) Prefabricated kitchen utensils drying rack
KR102533263B1 (en) Detachable dish drying rack
KR100810078B1 (en) Sectional shelf
KR200472125Y1 (en) Braket for fixing oblique line type leg of furniture and hinge by using the same
RU2268212C2 (en) Tray-like rest to support container for liquid storage and transportation
KR101813789B1 (en) Shelf for Dishes
KR200491625Y1 (en) Tableware dryer
KR20220000906U (en) Built-up type muti stage dish dryer
KR102162747B1 (en) Multi-purpose shelf
KR20150003370U (en) Dish drying rack
KR20220052150A (en) Dish drying rack
KR200385652Y1 (en) Frying pan supporter
KR200405626Y1 (en) Separable shelf for kitchen
KR20210000984U (en) Dish drying rack
KR20140004832U (en) slide rack
CN210433265U (en) Combined tableware mat
KR200496538Y1 (en) Shelf
KR200377376Y1 (en) Shelf for Kitchen
CN210870586U (en) Chair with detachable to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