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3142B1 -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3142B1
KR102533142B1 KR1020210011815A KR20210011815A KR102533142B1 KR 102533142 B1 KR102533142 B1 KR 102533142B1 KR 1020210011815 A KR1020210011815 A KR 1020210011815A KR 20210011815 A KR20210011815 A KR 20210011815A KR 102533142 B1 KR102533142 B1 KR 102533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breeding
virtual
user
c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1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8620A (ko
Inventor
이홍구
한성구
박신애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11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3142B1/ko
Priority to PCT/KR2021/018447 priority patent/WO2022124755A1/ko
Publication of KR20220108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8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25Fostering virtual charac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63F13/33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using wide area network [WAN] connections
    • A63F13/335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using wide area network [WAN] connections using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3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output arrangements for receiving control signals generated by the game device
    • A63F2300/308Details of the user interfa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4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sed by details of platform network
    • A63F2300/407Data transfer via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60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 A63F2300/65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for computing the condition of a game charact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94Unusual game types, e.g. virtual coo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7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livestock or poul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되며,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위한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가상 젖소 사육을 위한 사용자 조작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 조작 입력에 대응하는 사육 행위 결과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사육 행위 결과 데이터는, 상기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에 반영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CATTLE BREEDING CONTENT USING USER TERMINAL}
본원은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신체적 건강에 대한 1차원적인 관심뿐만 아니라, 삶의 만족도, 마음과 정신의 치유 등을 추구하는 힐링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관련하여, 동물교감치유는 동물과의 정서적 유대를 통해 심리적 안정, 즐거움, 스트레스 감소 등의 심리 및 정서적 치유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점차 주목받고 있으며, 이러한 동물교감치유는 심리 및 정서적 치유 효과뿐만 아니라, 관찰력, 어휘구사능력, 기억력, 생명존중의식 향상 등의 인지적 효과와 이타심, 사회성, 공동체 생활 적응, 김장 완화, 고독감 해소 등의 사회적 효과까지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하여, 농장을 통한 축산체험 프로그램은 단순 1회성 관광이 아니라 자연과 생명의 소중함을 일깨울 수 있는 체험이며, 농촌인구의 감소와 고령화, 수입축산물의 개방으로 인한 경쟁력 약화, 일자리 창출 및 축산물 소비위축 등 현 축산업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도입되어 축산제품들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견학하고 즉석에서 맛보는 등 다양한 체험활동 기회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축산체험 프로그램은 농장의 위치적 특성, 방문객을 위한 위생, 안전 등에서 개선 사항이 여전히 존재한다. 따라서, 스마트 폰 등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축산체험과 관련된 콘텐츠를 실제 농장에서 이루어지는 사육 프로세스와 연계하여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24547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농축산업 연계 자원을 활용한 가상 콘텐츠 기반의 활동 참여와 교감을 통해 참여자의 심리적, 사회적, 인지적, 신체적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상 콘텐츠의 참여를 통해 사용자가 흥미를 느끼면서도 자연스럽게 젖소 사육을 위해 요구되는 지식을 습득하도록 하는 전문 축산산업 인적자원 육성을 위한 고도화된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위한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가상 젖소 사육을 위한 사용자 조작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 조작 입력에 대응하는 사육 행위 결과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육 행위 결과 데이터는, 상기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에 반영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조작 입력에 따른 사육 행위가 실제 젖소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한 예측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예측 데이터를 고려하여 상기 사육 행위 결과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조작 입력에 따른 사육 행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를 통해 가상으로 사육되는 대상체에 대응하는 실제 젖소의 사육 환경을 제어하는 농장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예측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허용 수준을 미충족하면, 상기 예측 데이터가 상기 허용 수준을 충족하도록 하는 상기 사용자 조작 입력에 대한 피드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예측 데이터가 상기 허용 수준을 충족하면, 해당 사용자 조작 입력에 따른 상기 사육 행위에 대한 정보를 상기 농장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농장 단말로부터 상기 실제 젖소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육 행위 결과 데이터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한 지역 정보에 따른 실제 계절 및 기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업데이트된 상기 콘텐츠 데이터는 상기 실제 계절 및 기후 정보와 연동된 가상 환경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가상 환경 정보를 상기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에 반영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 제공 방법은,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위한 콘텐츠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인가된 가상 젖소 사육을 위한 사용자 조작 입력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조작 입력에 따른 사육 행위가 실제 젖소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한 예측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예측 데이터를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 조작 입력에 대응하는 사육 행위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사육 행위 결과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농축산업 연계 자원을 활용한 가상 콘텐츠 기반의 활동 참여와 교감을 통해 참여자의 심리적, 사회적, 인지적, 신체적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가상 콘텐츠의 참여를 통해 사용자가 흥미를 느끼면서도 자연스럽게 젖소 사육을 위해 요구되는 지식을 습득하도록 하는 전문 축산산업 인적자원 육성을 위한 고도화된 교육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가상의 젖소 사육 콘텐츠와 오프라인 축산농가, 실제 관련제품 등을 연계함으로써 관련 산업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다.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콘텐츠 데이터의 세부 사항을 결정하기 위해 필요한 사용자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가 제공되는 메인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사용자 조작 입력에 대한 피드백 데이터가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사용자의 성취도에 따른 리워드 정보가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 제공을 위한 서버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 제공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은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 제공 시스템(10)(이하, '콘텐츠 제공 시스템(10)'이라 한다.)은 서버(100), 사용자 단말(200) 및 농장 단말(300)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0), 사용자 단말(200) 및 농장 단말(300) 상호간은 네트워크(20)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20)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20)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wifi 네트워크,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사용자 단말(200) 및 농장 단말(300)은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등과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기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서버(100)로부터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위한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여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를 출력하는 디바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콘텐츠 데이터는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를 통해 가상으로 사육되는 대상체(1), 대상체(1)의 상태, 가상 계절, 가상 기후, 가상 질병 유행 상태, 가상 사육 관리 도구, 대상체(1)의 주변 배경, 가상 시간 등과 같은 다양한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 내 가상 요소들에 대한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농장 단말(300)은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 상에서 가상으로 사육되는 대상체(1)에 대응하는 실제 젖소의 사육 환경을 제어하는 디바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00)은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에 참여하는 사용자가 보유한 단말로서,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와 연계된 사용자 조작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조작 입력에 따라 결정된 사육 행위 결과 데이터가 반영된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를 출력하는 디바이스이고, 농장 단말(300)은 사용자 조작 입력에 따른 사육 행위를 필요에 따라 실제 젖소의 사육 환경에 적용하고, 실제 젖소의 사육 환경에 대한 실제 정보를 서버(100)로 제공하여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에 실제 농장(2)의 환경, 가상으로 사육되는 대상체(1)에 대응하는 실제 젖소와 연계된 상황, 상태 등이 반영되도록 마련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콘텐츠 제공 시스템(10)은,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 상에서 가상으로 사육되는 대상체(1)에 대응하는 실제 젖소가 사육되는 농장(2)에 마련된 센서(21) 및 촬영 장치(2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센서(21)는 농장(2)의 사육 환경에 대한 센싱 정보(예를 들면, 농장(2)의 온도, 습도, 농장(2) 내의 소정의 영역에서의 진동, 음향, 압력 등의 각종 정보) 및 농장(2) 내에서 사육되는 실제 젖소의 생체 신호에 대한 센싱 정보(예를 들면, 대상체(1)에 대응되는 실제 젖소의 심박, 위치, 움직임, 체온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도록 마련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촬영 장치(22)는 농장(2) 내의 소정의 영역에 설치되어 대상체(1)에 대응하는 실제 젖소를 촬영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촬영 장치(22)에 의해 획득되는 농장(2) 또는 실제 젖소에 대한 영상은 농장 단말(300) 또는 촬영 장치(22)로부터 서버(100)로 전달되어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 상에 반영되어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출력되는 것일 수 있다.
도 2는 콘텐츠 데이터의 세부 사항을 결정하기 위해 필요한 사용자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에 참여하는 사용자의 학습 수준 및 콘텐츠 참여 목적 중 적어도 하나와 연계된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의 학습 수준과 연계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연령, 학력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사용자의 콘텐츠 참여 목적은 단순 체험 목적, 전문가 육성(교육) 참여 목적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관련하여, 사용자의 콘텐츠 참여 목적이 전문가 육성(교육) 참여 목적에 부합할수록 사용자가 단순 체험 목적의 콘텐츠 참여 목적과 대비하여 고도화된 참여 목적을 가지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의 학습 수준과 연계된 사용자 정보(연령, 학력 등), 사용자의 참여 목적을 소정의 범위 내에서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막대(바) 형상의 오브젝트를 이동(드래그)하여 범위 구간 내의 소정의 영역에 위치시키는 입력 등)을 수신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예로,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의 학습 수준과 연계된 사용자 정보, 콘텐츠 참여 목적 등과 관련한 복수의 선택 항목의 리스트를 출력하거나 사용자의 학습 수준과 연계된 사용자 정보, 콘텐츠 참여 목적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질의, 리커트(Likert) 척도 등의 설문 정보를 제공하고 이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방식으로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에 참여하는 사용자의 학습 수준 및 콘텐츠 참여 목적 중 적어도 하나와 연계된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 축산 관련 상식 또는 젖소 관련 상식을 포함하는 학습 수준 파악을 위한 질의에 대한 응답으로써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축산 관련 상식 또는 젖소 관련 상식에 대한 퀴즈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퀴즈의 응답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데이터화 하여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응답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학습 수준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100)는, 수신한 응답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초급, 중급, 고급 중 어느 하나로 학습 수준을 판단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0)는 사용자의 학습 수준 및 콘텐츠 참여 목적을 동시에 고려하여 사육 콘텐츠의 내용을 결정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0)는 가상의 사육 콘텐츠를 통해 사육할 수 있는 대상체(1)의 수를 사용자에 대하여 도출된 학습 수준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0)는 가상의 사육 콘텐츠 상에서 대상체(1)가 성장하는 속도를 사용자의 콘텐츠 참여 목적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학습 수준이 높게 평가(예를 들면, 고급 수준으로 평가)될수록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사육 콘텐츠 상에서 사용자가 사육/조작할 수 있는 대상체(1)의 수가 많아지도록 콘텐츠의 내용이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서버(100)는 소정의 주기(예를 들면, 대상체(1)가 성장하는데 소요되는 미리 설정된 성장 주기 등)마다 사용자의 학습 수준을 재평가하기 위하여 질의 정보를 재차 제공하고, 질의 정보에 기초하여 새롭게 평가된 사용자의 변동된 학습 수준을 반영하여 평가 이후 시점에 가상의 사육 콘텐츠 상에서 사용자가 조작/사육할 수 있는 대상체(1)의 수가 증감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사용자의 콘텐츠 참여 목적이 고도화될수록(달리 말해, 전문가 육성(교육) 참여 목적에 부합할수록) 가상의 사육 콘텐츠를 통해 사육되는 대상체(1)의 성장 속도가 대상체(1)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환경의 실제 동물의 성장 속도와 유사한 속도로 결정되고, 사용자의 콘텐츠 참여 목적이 단순 체험 목적 등 고도화된 참여 목적에 부합하지 않을수록 가상의 사육 콘텐츠를 통해 사육되는 대상체(1)의 성장 속도가 대상체(1)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환경의 실제 동물의 성장 속도 대비 짧은 속도로 성장하도록 하는 속도로 결정(달리 말해, 대상체(1)의 성장 주기가 짧아지도록 결정)될 수 있다.
이렇듯, 본원에서 개시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10)은 사용자의 학습 수준 및 콘텐츠 참여 목적이 종합적으로 고려된 가상의 사육 콘텐츠의 콘텐츠 내용을 세부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서버(100)는 수신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의 세부적인 사항(설정)을 결정하고, 결정된 사항(설정)에 따른 콘텐츠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하면, 서버(100)는 수신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 상에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조작 입력의 유형,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의 성취도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리워드의 유형, 사용자 조작 입력에 따른 예측 데이터에 대한 허용 수준, 예측 데이터에 따라 생성되는 피드백 데이터의 내용(수준), 사용자 조작 입력에 대응하는 사육 행위에 대한 정보의 농장 단말(300)로의 전송 여부 등을 다양하게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이 위치한 지역 정보에 따른 실제 계절 및 기후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농장(2) 또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포함하는 지역의 날씨(기후) 정보를 제공하는 별도의 외부 서버(기상 서버 등)로부터 지역 정보에 따른 실제 계절 및 기후 정보를 획득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서버(100)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업데이트된 콘텐츠 데이터는 실제 계절 및 기후 정보와 연동된 가상 환경 정보를 포함하도록 서버(100)로부터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되고, 사용자 단말(200)은 수신한 가상 환경 정보를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에 반영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가 제공되는 메인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위한 콘텐츠 데이터를 서버(100)로부터 수신하여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가상 젖소 사육을 위한 사용자 조작 입력을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 상에서 가상으로 사육되는 대상체(1)를 가상 환경의 배경 영역(3) 내에 배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경 영역(3)은 촬영 장치(22) 또는 농장 단말(300)로부터 서버(100)로 제공된 농장(2)을 촬영한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구축)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촬영 장치(22) 또는 농장 단말(300)로부터 수신산 농장(2)의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체(1)가 배경 영역(3) 내에 배치되는 공간의 면적, 위치, 배경 영역(3)에 대상체(1)와 상호 작용하도록 배치되는 다른 가상의 젖소에 대한 정보, 배경 영역(3)에 햇빛이 들어오는 방향, 배경 영역(3)에 배치되는 소정의 오브젝트(먹이통, 급수통 등)의 배치 정보 등을 실제 농장(2)과 대응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이 위치한 지역 정보 및 농장 별로 사육되는 실제 젖소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농장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복수의 농장 정보 중 어느 하나의 농장을 선택하는 사용자 선택 입력을 수신하고, 선택된 농장에서 사육되는 실제 젖소에 대응하여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를 통해 가상으로 사육 가능한 대상체(1)의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복수의 농장 단말(300)로부터 농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와 농장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와 농장 단말(300)의 위치를 비교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와 농장 단말(300)의 위치가 소정의 오차 범위 이내에 위치할 경우, 서버(100)는 해당 농장 단말(300)과 연계된 농장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수신한 농장의 이름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복수의 농장 정보 중 어느 하나의 농장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된 농장에서 사육되는 실제 젖소에 대응하는 가상의 대상체(1)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은 어느 하나의 농장 이름을 선택 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선택 받은 농장의 농장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은 해당 농장에서 사육 중인 젖소의 목록을 젖소의 이미지로 표시할 수 있다. 이외에도, 사용자 단말(200)은 농장의 위치, 농장의 주소, 농장의 이력, 농장의 평수, 농장 운영자에 대한 정보 등의 다양한 농장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 인가된 대상체(1)의 목록 중 사용자가 가상으로 사육하려는 대상체(1)를 선택하는 대상체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 상에서 출력되는 대상체(1)의 특성(예를 들면, 연령, 외형, 질병, 성별 등)을 결정하고, 결정된 특성을 반영하여 대상체(1)를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이 위치한 지역 주위에서 실제로 사육할 수 있는 젖소에 대응하는 대상체(1)를 추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대상체(1)를 사육하고, 가상의 대상체(1)에 대응하는 실제 젖소의 사육 결과를 농장(2)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실제 젖소를 키우는 듯한 현실감을 느낄 수 있고, 자신이 사육한 젖소의 사육 결과를 확인함으로써 성취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와 관련하여, 대상체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된 대상체(1)의 특성에 따라 후술하는 사용자 조작 입력에 따른 사육 행위가 실제 젖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예측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분석 알고리즘의 내용, 피드백 데이터의 출력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허용 수준, 피드백 데이터의 내용 등이 선택된 실제 젖소의 특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대상체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된 대상체(1)가 매우 연령이 어린 젖소인 경우, 서버(100)는 대상체(1)의 연령을 고려하여 전술한 분석 알고리즘, 허용 수준, 피드백 데이터 등이 연령이 어린 젖소를 타겟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를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메인 인터페이스 등) 상에 대상체(1)와 대응하는 실제 젖소의 영상을 출력하도록 마련되는 입력 수단(도 3의 B)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입력 수단은 버튼, 아이콘 등의 형태로 형상화 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 실제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입력 수단이 선택된 경우, 농장 단말(300) 또는 촬영 장치(22)로부터 획득한 농장(2)의 실제 영상을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를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메인 인터페이스 등) 상에 사용자의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 참여에 따른 리워드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마련되는 입력 수단(도 3의 C)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입력 수단은 버튼, 아이콘 등의 형태로 형상화 될 수 있다. 이러한, 리워드 정보를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서버(100)는 콘텐츠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조작 입력에 대응하는 사육 행위 결과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 조작 입력은 영양 관련 요소, 행동 관련 요소, 환경 관련 요소, 번식 관련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영양 관련 요소는 대상체(1)에게 제공되는 먹이(사료)의 유형, 사료가 특정 성분을 포함 또는 미포함하는지 여부, 사료의 성분 배합, 사료의 투입 시간, 사료의 투입 주기, 사료의 투입량 등에 대한 조작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행동 관련 요소는 대상체(1)와 연계된 섭식, 음수, 반추, 이상, 이유(젖을 떼었을 때의 스트레스), 휴식 행위, 사회적 행동, 착유 행동, 되새김질 등과 관련한 조작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번식 관련 요소는 대상체(1)와 연계된 번식(발정 행위 등)과 관련한 조작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환경 관련 요소는 대상체(1) 또는 대상체(1)에 대응하는 실제 젖소가 위치하는 공간의 온도, 습도, 조도 등의 주변 환경 관련 파라미터에 대한 조작 정보, 젖소가 위치하는 공간에 대한 정화(청소) 행위, 해충(예를 들면, 파리, 모기 등)에 의한 괴롭힘을 해소하기 위한 방역(살충제 투여 등) 수행, 소음, 악취, 밀사, 분진, 바닥오염, 미생물 오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제공되는 영양 관련 요소, 행동 관련 요소, 환경 관련 요소, 번식 관련 요소 등의 구체적인 세부 항목은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에 대하여 수집(수신)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설계(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콘텐츠 참여 목적이 전문가 육성에 해당하는 등 사용자 정보가 보다 고도화된 수준의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에 부합하는 경우, 영양 관련 요소, 행동 관련 요소, 환경 관련 요소, 번식 관련 요소 각각에 대하여 사용자 조작이 가능한 항목의 수가 많아지도록 설정되고, 반대로 콘텐츠 참여 목적이 단순 체험에 해당하는 등 사용자 정보가 비교적 가벼운 수준의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에 부합하는 경우, 영양 관련 요소, 행동 관련 요소, 환경 관련 요소, 번식 관련 요소 각각에 대하여 사용자 조작이 가능한 항목의 수가 적어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하면,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수신한 사용자 정보(콘텐츠 참여 목적, 학습 수준 등)를 평가하여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 구현 수준을 수치화하고, 수치화된 구현 수준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미만이면, 행동 관련 요소의 세부 항목으로서 번식, 접종 등과 같은 보다 복잡도가 높은 선택 사항은 배제하도록 동작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서버(100)는 사용자 조작 입력에 따른 사육 행위가 실제 젖소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한 예측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서버(100)는 사용자 조작 입력에 따른 사육 행위가 실제 젖소에 대하여 적용될 경우, 대상체(1)에 대응하는 실제 젖소의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예측되는 영향을 출력으로서 제공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분석 알고리즘을 보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버(100)가 보유한 예측 데이터 생성을 위한 분석 알고리즘은 농장(2)의 환경 정보, 실제 계절 및 기후 정보, 대상체(1)에 대응하는 실제 젖소의 상태 정보 및 사용자 조작 입력에 따른 사육 행위에 기초하여 실제 젖소의 심리 상태(스트레스 수준, 천적에 의한 불안, 농장(2) 내 다른 동물(예를 들면, 닭, 고양이, 개 등)에 대한 친근감 표현, 모자행동, 이유 등으로 표현되는 모성애, 풀을 뜯는 채식 행동을 나타내는 초식성, 하루에 7-8시간 되새김질 하는 반추 행동 특성, 무리 내 서열 경쟁에 따른 서열성 등), 건강 상태(특정 질병의 발병 확률, 이를테면 독초 섭취에 따라 병을 얻거나 반대로 신선(건강)한 풀을 섭취하여 건강 상태가 회복되거나 곡물사료의 지나친 섭취에 의한 비만 상태화, 오랜 시간 저장되어 곰팡이 오염이 발생한 사료 섭취로 인한 젖소화기 장애, 간질환 발병, 활동성, 우유 내 체세포 수 등의 생산성, 채식성, 설사 등의 분뇨 상태, 맥박/열 등의 생리 상태, 반추시간, 침분비 정도 등), 영양 상태(건초섭취에 따른 체중감소, 털상태 불량, 신선한 초원의 풀 섭취로 인한 체증 증가 및 외관의 긍정적 변화, 피부 상태, 유량 및 유성분, 증체량 등의 생산성, 활동성, 분뇨 상태 등) 등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미리 설정된 허용 범위를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원에서는 종래에 이미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되는 다양한 인공지능 기반의 학습 알고리즘 모델을 통해 실제 젖소의 상태 정보, 농장(2)의 환경 정보, 사용자 조작 입력에 따른 사육 행위를 입력하면 해당 사육 행위에 대한 영향을 출력(도출)하는 분석 알고리즘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생성된 예측 데이터를 고려하여 사용자 조작 입력에 대응하는 사육 행위 결과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0)는 생성된 예측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허용 수준을 미충족하면, 예측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허용 수준을 충족하도록 하는 사용자 조작 입력에 대한 피드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는 사용자 조작 입력에 대한 피드백 데이터가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예시적으로 대상체(1)에 먹이를 공급하도록 하는 조작 정보가 포함된 사용자 조작 입력이 인가된 경우, 서버(100)가 해당 시점의 대상체(1)에 대응하는 실제 젖소의 상태 정보에 따르면 해당 조작 정보를 실제 젖소에 대하여 적용할 경우 먹이가 허용 수준을 벗어나도록 과도하게 자주 공급되어 예측 데이터가 허용 수준을 미충족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내용을 반영한 피드백 데이터(5)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 조작 입력이 인가된 후 이에 대응하는 피드백 데이터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형태로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은 팝업, 대화창 등의 형태로 피드백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으나,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다양한 표시 형태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예측 데이터가 허용 수준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실제 젖소의 상태 정보는 농장 단말(300)을 통해 서버(100)로 전송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서버(100)는 실제 젖소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조작 입력에 따른 사육 행위에 대한 평가(예측)를 수행할 뿐만 아니라, 수신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사육 행위 결과 데이터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여기서, 사육 행위 결과 데이터는 사용자 조작 입력에 따른 반응으로서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의 변경 사항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원에서 개시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인가된 사용자 조작 입력이 대상체(1)에 미치는 영향뿐만 아니라, 대상체(1)에 대응하는 실제 젖소의 상태 정보, 농장(2)의 상황과 연관된 정보 등을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생성된 예측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허용 수준을 충족하면, 해당 사용자 조작 입력에 따른 사육 행위에 대한 정보를 농장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농장 단말(300)은 서버(100)로부터 사용자 조작 입력에 따른 사육 행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를 통해 가상으로 사육되는 대상체(1)에 대응하는 실제 젖소의 사육 환경을 제어하는 단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농장 단말(300)은 환경 관련 요소에 해당하는 사용자 조작 입력에 따라 농장(2)에 구비된 환경 요소를 가변하는 환경 제어 모듈(미도시)을 조작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사용자 조작 입력이 농장(2)의 온도를 올리도록 하는 내용인 경우, 농장 단말(300)은 서버(100)로부터 사용자 조작 입력 또는 사용자 조작 입력에 따른 사육 행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난방 제어 모듈(미도시)이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사용자 조작 입력에 따른 사육 행위를 실제 농장(2)에 항상 반영할 경우, 대상체(1)에 대응하는 실제 젖소에 오히려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본원에서 개시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10)은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도록 사용자 조작 입력에 따른 사육 행위가 실제 젖소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한 예측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허용 수준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해당 사육 행위에 대한 정보를 농장 단말(300)로 전송하여 실제 오프라인 농장 환경에 반영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실제 농장(2)에서 젖소의 사육 환경을 본원에서의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를 통해 제어하는 경험(체험)을 제공하면서도 농장(2)에서 실제로 사육되는 대상체(1)에 대응하는 젖소가 올바르게 사육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수신한 사용자 정보(콘텐츠 참여 목적, 학습 수준 등)를 평가하여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 구현 수준을 수치화하고, 수치화된 구현 수준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미만이면, 사용자 조작 입력에 따른 사육 행위를 실제 농장(2)에 반영하는 프로세스를 선택적으로 비활성화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동 사용자가 단순 체험 목적의 콘텐츠 참여 목적으로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에 참여할 경우에는 사용자 조작 입력에 따른 사육 행위가 농장 단말(300)로 미전송되는 것일 수 있다.
도 5는 사용자의 성취도에 따른 리워드 정보가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서버(100)는 생성된 사육 행위 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와 연계된 리워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0)는 산출된 사육 행위 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를 통해 가상으로 사육되는 대상체(1)의 상태 또는 대상체(1)에 대응하는 실제 젖소의 상태에 따른 사용자의 성취도를 연산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연산된 사용자의 성취도에 따라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와 연계된 오프라인 산출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리워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오프라인 산출물은 예시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젖소를 통해 획득할 수 있는 제품(예를 들면, 우유, 치즈 등), 젖소의 사육 정보를 획득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서적, 강의 수강권, 농장 체험권, 축산 관련 체험 및 교육 프로그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관련하여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성취도에 따라 제공(지급)되는 리워드 정보의 유형은 사용자의 학습 수준, 콘텐츠 참여 목적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사용자의 연령이 유아, 아동 등이고 사용자의 콘텐츠 참여 목적이 단순 체험 목적에 부합하는 경우 제공되는 리워드는 아동 사용자를 타겟하여 젖소 관련 동화 서적, 젖소 관련 완구 등으로 결정되는 반면, 사용자가 축산업계 종사자 또는 축산 관련 종사를 희망하는 학습자에 해당하거나 사용자의 콘텐츠 참여 목적이 전문가 육성에 부합하는 경우 제공되는 리워드는 관련 자격증 획득을 위한 학습 도서, 전문강의 수강권 등으로 결정되는 등의 사용자의 수준, 연령 등에 따른 맞춤형의 리워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리워드 정보의 유형은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평가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사용자의 생체 신호, 건강 상태 관련 응답, 질병 이력 등의 건상 상태를 수신하고, 수신한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기초하여 평가 정보를 도출하고 이에 기초하여 리워드 정보의 유형(예를 들면, 오프라인 산출물의 제품 유형 등)을 결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 제공을 위한 서버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서버(100)는 콘텐츠 관리부(110), 콘텐츠 구동부(120), 데이터 분석부(130), 오프라인 중계부(140) 및 리워드 제공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관리부(110)는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위한 콘텐츠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관리부(110)는 사용자의 학습 수준 및 콘텐츠 참여 목적 중 적어도 하나와 연계된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콘텐츠 구동부(120)는 콘텐츠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200)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인가된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와 연계된 사용자 조작 입력을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구동부(120)는 수신한 사용자 조작 입력에 대응하는 사육 행위 결과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구동부(120)는 수신한 대상체(1)에 대응하는 실제 젖소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사육 행위 결과 데이터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데이터 분석부(130)는 수신한 사용자 조작 입력에 대응하는 사육 행위 결과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분석부(130)는 생성된 예측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허용 수준을 미충족하면, 예측 데이터가 허용 수준을 충족하도록 하는 사용자 조작 입력에 대한 피드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오프라인 중계부(140)는 사용자 조작 입력에 따른 사육 행위에 대한 정보를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를 통해 가상으로 사육되는 대상체(1)에 대응하는 실제 젖소의 사육 환경을 제어하는 농장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오프라인 중계부(140)는 생성된 예측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허용 수준을 충족하면, 해당 사용자 조작 입력에 따른 사육 행위에 대한 정보를 농장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오프라인 중계부(140)는 농장 단말(300)로부터 대상체(1)에 대응하는 실제 젖소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리워드 제공부(150)는 사육 행위 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와 연계된 리워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워드 제공부(150)는 사육 행위 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를 통해 가상으로 사육되는 대상체의 상태에 따른 사용자의 성취도를 연산하고, 연산된 성취도에 따라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와 연계된 오프라인 산출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리워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에 자세히 설명된 내용을 기반으로, 본원의 동작 흐름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 제공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 제공 방법은 앞서 설명된 콘텐츠 제공 시스템(1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콘텐츠 제공 시스템(1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 제공 방법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S11에서 서버(100)는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위한 콘텐츠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2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콘텐츠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200)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인가된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를 위한 사용자 조작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3에서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사용자 조작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한 사용자 조작 입력에 따른 사육 행위가 실제 젖소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한 예측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4에서 서버(100)는 예측 데이터를 고려하여 사용자 조작 입력에 대응하는 사육 행위 결과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5에서 서버(100)는 생성된 사육 행위 결과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1 내지 S15는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전술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 제공 방법은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 제공 시스템
100: 서버
110: 콘텐츠 관리부
120: 콘텐츠 구동부
130: 데이터 분석부
140: 오프라인 중계부
150: 리워드 제공부
200: 사용자 단말
300: 농장 단말
21: 센서
22: 촬영 장치
20: 네트워크

Claims (8)

  1.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교육 및 컨설팅을 위한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 제공 시스템으로서,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위한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가상 젖소 사육을 위한 사용자 조작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 조작 입력에 대응하는 사육 행위 결과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조작 입력에 따른 사육 행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를 통해 가상으로 사육되는 대상체에 대응하는 실제 젖소의 사육 환경을 제어하는 농장 단말,
    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에 참여하는 사용자의 학습 수준 및 콘텐츠 참여 목적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학습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될수록 상기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 상에서 사용자가 사육할 수 있는 대상체의 수가 많아지도록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결정하고, 상기 콘텐츠 참여 목적이 상대적으로 고도화된 참여 목적에 부합할수록 상기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를 통해 사육되는 대상체의 성장 주기가 상기 실제 젖소의 성장 주기와 상대적으로 유사하도록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결정하고, 상기 콘텐츠 참여 목적이 상기 고도화된 참여 목적에 부합하지 않을수록 상기 대상체의 성장 주기가 상기 실제 젖소의 성장 주기 대비 단축되도록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결정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학습 수준 및 상기 콘텐츠 참여 목적을 평가하여 상기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의 구현 수준을 수치화하고, 상기 수치화된 구현 수준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미만이면, 상기 사용자 조작 입력에 따른 사육 행위에 대한 정보를 상기 농장 단말로 미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조작 입력은 상기 대상체에게 제공되는 사료의 유형, 상기 사료의 특정 성분의 포함 여부, 상기 사료의 성분 배합, 투입 시간, 투입 주기 및 투입량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조작 정보를 포함하는 영양 관련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사육 행위 결과 데이터는,
    상기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에 반영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출력되는 것인, 콘텐츠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조작 입력에 따른 사육 행위가 실제 젖소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한 예측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예측 데이터를 고려하여 상기 사육 행위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인, 콘텐츠 제공 시스템.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예측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허용 수준을 미충족하면, 상기 예측 데이터가 상기 허용 수준을 충족하도록 하는 상기 사용자 조작 입력에 대한 피드백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인, 콘텐츠 제공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예측 데이터가 상기 허용 수준을 충족하면, 해당 사용자 조작 입력에 따른 상기 사육 행위에 대한 정보를 상기 농장 단말로 전송하는 것인, 콘텐츠 제공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농장 단말로부터 상기 실제 젖소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육 행위 결과 데이터를 업데이트 하는 것인, 콘텐츠 제공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한 지역 정보에 따른 실제 계절 및 기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업데이트 하고,
    상기 업데이트된 상기 콘텐츠 데이터는 상기 실제 계절 및 기후 정보와 연동된 가상 환경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가상 환경 정보를 상기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에 반영하여 출력하는 것인, 콘텐츠 제공 시스템.
  8.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교육 및 컨설팅을 위한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교육 및 컨설팅을 위한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 제공 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에 참여하는 사용자의 학습 수준 및 콘텐츠 참여 목적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위한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인가된 가상 젖소 사육을 위한 사용자 조작 입력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를 통해 가상으로 사육되는 대상체에 대응하는 실제 젖소의 사육 환경을 제어하는 농장 단말로 상기 사용자 조작 입력에 따른 사육 행위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조작 입력에 따른 사육 행위가 실제 젖소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한 예측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예측 데이터를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 조작 입력에 대응하는 사육 행위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사육 행위 결과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학습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될수록 상기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 상에서 사용자가 사육할 수 있는 대상체의 수가 많아지도록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 참여 목적이 상대적으로 고도화된 참여 목적에 부합할수록 상기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를 통해 사육되는 대상체의 성장 주기가 상기 실제 젖소의 성장 주기와 상대적으로 유사하도록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결정하고, 상기 콘텐츠 참여 목적이 상기 고도화된 참여 목적에 부합하지 않을수록 상기 대상체의 성장 주기가 상기 실제 젖소의 성장 주기 대비 단축되도록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사육 행위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학습 수준 및 상기 콘텐츠 참여 목적을 평가하여 상기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의 구현 수준을 수치화하고, 상기 수치화된 구현 수준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미만이면, 상기 사용자 조작 입력에 따른 사육 행위에 대한 정보가 상기 농장 단말로 미전송되도록 생략되는 것이고,
    상기 사용자 조작 입력은 상기 대상체에게 제공되는 사료의 유형, 상기 사료의 특정 성분의 포함 여부, 상기 사료의 성분 배합, 투입 시간, 투입 주기 및 투입량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조작 정보를 포함하는 영양 관련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KR1020210011815A 2020-12-07 2021-01-27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533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815A KR102533142B1 (ko) 2021-01-27 2021-01-27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CT/KR2021/018447 WO2022124755A1 (ko) 2020-12-07 2021-12-07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을 이용한 가상 농작물 재배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815A KR102533142B1 (ko) 2021-01-27 2021-01-27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8620A KR20220108620A (ko) 2022-08-03
KR102533142B1 true KR102533142B1 (ko) 2023-05-15

Family

ID=82847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1815A KR102533142B1 (ko) 2020-12-07 2021-01-27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3142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3818A (ko) * 2001-06-30 2001-09-03 남일호 네트워크를 통하여 농축산물의 재배 및 사육이 가능한사이버 농장 시스템 및 운영 방법
KR102078653B1 (ko) * 2018-05-08 2020-02-19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게임을 이용한 가상 화분 재배 시스템 및 방법
KR102260011B1 (ko) * 2019-03-22 2021-06-03 주식회사 업데이터 디지털 트윈 기반의 지능형 원격농장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8620A (ko) 2022-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tépanoff et al. Animal autonomy and intermittent coexistences: North Asian modes of herding
Vaarst et al. Danish stable schools for experiential common learning in groups of organic dairy farmers
Rooney et al. A practitioner's guide to working dog welfare
Neave et al. Dairy farmers' perspectives on providing cow-calf contact in the pasture-based systems of New Zealand
Kling-Eveillard et al. Farmers’ representations of the effects of precision livestock farming on human-animal relationships
Vigors et al. What are the positives? exploring positive welfare indicators in a qualitative interview study with livestock farmers
US11538087B2 (en) Pet food recommendation devices and methods
Pond et al. Animal welfare in animal agriculture
Brando et al. Handling and training of wild animals: evidence and ethics-based approaches and best practices in the modern zoo
Howell et al. Companion rabbit and companion bird management practices among a representative sample of guardians in Victoria, Australia
KR102533142B1 (ko)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가상 젖소 사육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533143B1 (ko)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가상 말 사육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oke Exploring types of programs: dog rescue, rehabilitation and training
KR102540499B1 (ko) 모바일 게임을 이용한 양계 체험 시스템 및 양계 체험 제공 방법
KR102540498B1 (ko)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가상 양돈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540500B1 (ko) 모바일 게임을 이용한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Littlewood et al. The agency domain and behavioral interactions: assessing positive animal welfare using the Five Domains Model
Vermilya Identity, gender, and tracking: The reality of boundaries for veterinary students
Constancis et al. Introduction and development of foster cow systems on organic dairy farms in France
Calvert Ready for the Robot: Bovines in the Integrated Circuit
Yeates Individualism and nonindividualism in the application of nonhuman animal welfare to policy
KR20220108619A (ko)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가상 반려동물 양육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Lopez Identification of stimuli and challenges to improve the environment of captive kea
Halprin et al. Happy animals at small scales: farmers’ portrayal of local food systems in New Jersey as an organic answer for farm animal welfare ethical concerns
Wray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Utah Farm Field Day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