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2651B1 - Greenhouse crop management system - Google Patents

Greenhouse crop managemen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2651B1
KR102532651B1 KR1020220156620A KR20220156620A KR102532651B1 KR 102532651 B1 KR102532651 B1 KR 102532651B1 KR 1020220156620 A KR1020220156620 A KR 1020220156620A KR 20220156620 A KR20220156620 A KR 20220156620A KR 102532651 B1 KR102532651 B1 KR 102532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p
image
information
crops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66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류희경
이우람
임창진
성황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로프트
류희경
이우람
임창진
성황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로프트, 류희경, 이우람, 임창진, 성황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로프트
Priority to KR1020220156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265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2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26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06Labels or label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plant recepta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81Earth observation
    • G06T2207/30188Vegetation; Agricul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ultimedia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eenhouse crop management system. The greenhouse crop management system comprises: a plurality of crop beds arranged inside a greenhouse; an automatic collection device which transmits crop images generated by photographing actual crops grown in the plurality of crop beds; and a greenhouse crop management device, wherein the greenhouse crop management device includes: a collection unit which collects crop images from the automatic collection device and stores them in an image DB; an analysis unit which preprocesses the crop image stored in the image DB and identifies crops in the image included in the preprocessed crop image through image analysis of the preprocessed crop image; and a crop management unit which stores and manages information on crops in the identified video in the crop DB.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recording and management of crop information quickly and efficiently without hassle.

Description

온실 작물 관리 시스템 {GREENHOUSE CROP MANAGEMENT SYSTEM}Greenhouse Crop Management System {GREENHOUSE CROP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온실 작물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eenhouse crop management system.

작물의 생산, 재배, 수확, 유통 등이 이루어지는 농업 분야에서는 관리되는 작물의 수가 방대함에 따라, 이들 작물들을 효율적이고 능률적으로 관리 가능한 기술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In the agricultural field where crop production, cultivation, harvesting, distribution, etc. are performed, as the number of managed crops is vast, technology capable of efficiently and efficiently managing these crops is essential.

그런데, 종래에는 일예로 관리되는 작물의 수가 방대하고 특히나 관리되는 작물들의 종류가 다양할 경우, 특정 작물을 수확한 후 수확된 작물의 정보를 기록하고 관리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수확된 작물의 품종, 종류 등이 무엇인지를 일일이 신경쓰며 확인해야 했고, 작물의 품종, 종류 등의 확인이 이루어지고 나면, 이후 작물 정보의 입력을 희망할 때마다 사용자가 특정 위치에 고정 설치된 작물 정보 기록 장치(일예로, 데스크탑 PC 등)로 이동하여 작물 정보 기록 장치에서 확인된 작물을 검색하고, 검색된 작물과 관련해 입력하고자 하는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 등을 반복적으로 수행해야 했는바, 사용자로 하여금 시간이 오래 걸리고 수고로운(번거로운) 측면이 있었다.However, in the prior art, when the number of crops to be managed is vast and the types of crops to be managed are diverse, in particular, in recording and managing the information of the harvested crop after harvesting a specific crop, the user selects the variety of the harvested crop, It wa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what kind of crop it was and check it individually, and after checking the variety and type of crop, whenever the user wants to input crop information thereafter, the crop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fixed at a specific location (for example , desktop PC, etc.), search for crops identified in the crop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and input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arched crops. There was a (cumbersome) aspect.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70144호에 개시되어 있다.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70144.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특정 작물을 수확하여 수확된 작물의 정보를 기록하고 관리함에 있어서 수고로움(번거로움) 없이 빠르고 효율적으로 작물 정보의 기록 및 관리가 가능한 온실 작물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in which a user harvests a specific crop and records and manages information about the harvested crop, so that the crop information can be recorded and managed quickly and efficiently without trouble (convenience). It aims to provide a viable greenhouse crop management system.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실 작물 관리 시스템은, 온실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작물 배드; 상기 복수개의 작물 배드에서 재배되는 실물 작물들을 촬영하여 생성된 작물 영상을 전송하는 자동 수집 장치; 및 온실 작물 관리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온실 작물 관리 장치는, 상기 자동 수집 장치로부터 작물 영상을 수집하여 영상 DB 에 저장하는 수집부; 상기 영상 DB에 저장된 작물 영상을 전처리한 전처리된 작물 영상에 대한 영상 분석을 통해 전처리된 작물 영상 내에 포함되어 있는 영상 내 작물들을 식별하는 분석부; 및 식별된 상기 영상 내 작물들의 정보를 작물 DB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작물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greenhouse crop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crop beds disposed inside the greenhouse; an automatic collecting device for transmitting crop images generated by photographing actual crops grown in the plurality of crop beds; and a greenhouse crop management device, wherein the greenhouse crop management device includes: a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crop images from the automatic collection device and stores them in an image DB; an analyzer for identifying crops included in the preprocessed crop image through image analysis of the preprocessed crop image obtained by preprocessing the crop image stored in the image DB; and a crop management unit that stores and manages information on the identified crops in the image in a crop DB.

또한, 상기 자동 수집 장치는, 상기 복수개의 작물 배드를 이동하면서 촬영을 통해 작물 영상을 생성하되, 각 작물 배드에 기 부착된 배드 식별용 태그를 통해 작물 배드의 식별정보를 감지하고, 상기 배드 식별용 태그를 인식한 후 복수개의 작물 배드에 대하여 이동하면서, 복수개의 작물 배드 각각의 상측을 일정 시간 간격마다 촬영함에 따라 복수개의 작물 배드에서 재배되는 작물들의 적어도 일부를 시계열적으로 촬영함으로써 복수의 작물 영상을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tomatic collection device generates a crop image through photographing while moving the plurality of crop beds, detec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rop bed through a bed identification tag attached to each crop bed, and identifies the bed After recognizing the dragon tag, while moving with respect to the plurality of crop beds, the upper sid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rop beds is photographed at regular time intervals, and at least some of the crops grown in the plurality of crop beds are photographed in time-sequential manner. Images can be created and transmitted.

또한, 상기 분석부는, 상기 자동 수집 장치에서 작물 영상의 촬영 전 인식된 작물 배드의 식별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영상 DB에 저장된 복수의 작물 영상을 작물 배드별 관련 작물 영상들로 구분하고, 구분된 상기 작물 배드별 관련 작물 영상들을 기반으로, 작물 배드마다 관련 작물 영상들 간의 특징점 비교 및 영상 정합을 포함한 전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작물 배드마다 하나의 통합된 통합 작물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전처리된 작물 영상으로서 생성하고, 이후 작물 배드별 통합 작물 영상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영상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각 통합 작물 영상 데이터 내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영상 내 작물들을 식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nalysis unit divides the plurality of crop images stored in the image DB into crop images related to each crop bed in consideration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rop bed recognized before capturing the crop image in the automatic collection device, and Based on the related crop images for each crop bed, preprocessing including feature point comparison and image matching between related crop images is performed for each crop bed to generate one integrated integrated crop image data as the preprocessed crop image for each crop bed, , Then, by performing image analysis on each of the integrated crop image data for each crop bed, crops in the image included in each integrated crop image data can be identified.

또한, 상기 영상 내 작물들은 상기 실물 작물들에 대응되는 영상 내 작물들이고, 상기 작물 관리부는, 상기 분석부에서 식별된 상기 영상 내 작물들 각각마다 개별 작물 ID를 부여하고, 상기 영상 내 작물들 각각에 대하여, 영상 내 작물에 부여된 개별 작물 ID 정보, 영상 내 작물이 수용되어 있는 작물 배드의 식별정보, 및 영상 내 작물이 포함된 영상을 서로 연계시킨 정보를 영상 내 작물의 정보로서 작물 DB에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rops in the image are crops in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actual crops, and the crop management unit assigns an individual crop ID to each of the crops in the image identified by the analysis unit, and each of the crops in the image Regarding, the individual crop ID information assigned to the crop in the imag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rop bed in which the crop in the image is accommodated, and the information linking the image including the crop in the image to each other are stored in the crop DB as crop information in the image. can be stored and managed.

또한, 상기 분석부는, 상기 수집부에서 추가로 수집된 추가 작물 영상이 존재하는 경우, 영상 분석을 통해 상기 추가 작물 영상 내에 QR 코드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QR 코드가 존재하면, 상기 QR 코드의 부착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작물 관리부는, 상기 분석부에서 식별된 상기 QR 코드의 부착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작물 DB에 저장된 상기 영상 내 작물들의 정보 중 상기 식별된 QR 코드의 부착 위치에 대응되는 영상 내 작물의 정보를 QR 대응 영상 내 작물의 정보로서 식별하고, 상기 QR 코드에 기 저장된 URL 정보를 상기 식별된 QR 대응 영상 내 작물의 정보 내에 더 포함시켜 상기 작물 DB에 더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nalysis unit, when there is an additional crop image additionally collected by the collection unit, determines whether a QR code exists in the additional crop image through image analysis, and if the QR code exists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QR code is present.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code is identified, and the crop management unit, based on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QR code identified by the analysis unit, determines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identified QR code among information on crops in the image stored in the crop DB. The crop information in the corresponding image is identified as crop information in the QR corresponding image, and the URL information pre-stored in the QR code is further included in the crop information in the identified QR corresponding image to be further stored and managed in the crop DB. can do.

또한, 상기 온실 작물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실물 작물들 중 사용자에 의해 수확된 어느 한 실물 작물인 수확 실물 작물을 포장한 포장재의 일영역에 마련된 QR 코드를 촬영한 후, 상기 QR 코드의 촬영에 의해 제공되는 웹페이지에서 상기 수확 실물 작물의 생육정보를 입력하여 업로드하고, 상기 작물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생육정보가 업로드되면, 상기 작물 DB에서 업로드된 상기 생육정보의 입력이 이루어진 상기 웹페이지에 대응하는 URL 정보와 매칭되는 매칭 URL 정보를 가진 영상 내 작물의 정보를 식별하되, 상기 매칭 URL 정보를 가진 영상 내 작물의 정보가 상기 식별된 QR 대응 영상 내 작물의 정보인 경우, 업로드된 상기 생육정보를 상기 식별된 QR 대응 영상 내 작물의 정보 내에 더 포함시켜 상기 작물 DB에 더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eenhouse crop management system further includes a user terminal possessed by a user, and the user terminal is located in a region of a packaging material in which a real harvest crop, which is any one real crop harvested by the user among the real crops, is packaged. After photographing the prepared QR code, input and upload growth information of the harvested real crop on a web page provided by photographing the QR code, and the crop management unit, when the growth information is uploaded from the user terminal, the Identify crop information in an image having matching URL information that matches the UR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web page in which the growth information uploaded from the crop DB is input, and the information of the crop in the image having the matching URL information In the case of crop information in the identified QR-corresponding image, the uploaded growth information may be further included in crop information in the identified QR-corresponding image to be further stored and managed in the crop DB.

또한, 상기 온실 작물 관리 시스템은, 상기 실물 작물들 중 어느 한 실물 작물이 사용자에 의해 수확된 수확 실물 작물인 경우, 상기 수확 실물 작물에 대하여 제공되는 한 쌍의 QR 코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QR 코드는, 서로 동일한 URL 정보를 포함하는 스티커 형태로 마련되되, 상기 한 쌍의 QR 코드 중 어느 한 QR 코드는, 상기 수확 실물 작물이 수확된 이후, 상기 복수개의 작물 배드 상에서의 상기 수확 실물 작물이 수확된 위치에 부착되는 것이고, 상기 한 쌍의 QR 코드 중 다른 한 QR 코드는, 수확된 상기 수확 실물 작물이 포장재로 포장된 이후 포장된 상기 수확 실물 작물의 포장재의 일영역에 부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eenhouse crop management system further includes a pair of QR codes provided for the actual harvested crop when any one of the real crops is a real harvested crop harvested by a user, and A pair of QR codes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sticker containing the same URL information, and any one of the pair of QR codes is used for the harvesting on the plurality of crop beds after the harvested real crop is harvested. It is attached to the location where the real crop is harvested, and the other QR code of the pair of QR codes will be attached to one area of the packaging material of the harvested real crop that is packed after the harvested real crop is packed with the packaging material. can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is only illustrative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dditional embodiments may exist in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온실 작물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특정 작물을 수확하여 수확된 작물의 정보를 기록하고 관리함에 있어서 수고로움(번거로움) 없이 빠르고 효율적으로 작물 정보의 기록 및 관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greenhouse crop management system, the user harvests a specific crop and records and manages information on the harvested crop quickly and efficiently without effort (convenience). It can be recorded and managed.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온실 작물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상업 농가에서 다양한 센서(영상 센서)를 활용해 작물 영상을 자동으로 수집하면서, 작물별 ID를 자동으로 부여하고, 사용자(재배사)가 수확된 작물을 직접 측정하여 수동으로 입력한 수동 데이터인 수확 작물의 생육정보를 손쉽게 작물 DB에 기록되도록 하면서 이를 해당 작물의 작물 영상 데이터(즉, 수확된 해당 작물의 작물 영상 또는 통합 작물 영상 데이터)와 결합(연계)시켜 함께 기록되고 관리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greenhouse crop management system, while automatically collecting crop images using various sensors (image sensors) in commercial farms, automatically assigning IDs for each crop, and providing a user ( The growth information of the harvested crop, which is manually entered by the grower) directly measuring the harvested crop, is easily recorded in the crop DB, and converts it to the crop image data (i.e., crop image or integrated crop of the harvested crop) video data) and combined (linked) to be recorded and managed together.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and other effects may exis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실 작물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실 작물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실 작물 관리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greenhouse crop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6 are views for explaining a greenhouse crop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operational flowchart of a greenhouse crop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or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It also includes cases where it is "connected to".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member is said to be located “on”, “above”, “on top”, “below”, “below”, or “below” another member, this means that a member is positioned “on” another member.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in contact with a member but also the case where another member exists between two members.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실 작물 관리 시스템(1)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실 작물 관리 시스템(1)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greenhouse crop management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6 are views for explaining a greenhouse crop management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실 작물 관리 시스템(1)을 본 시스템(1)이라 하기로 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기재)된 사항은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본 시스템(1) 및 본 장치(10)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greenhouse crop management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referred to as the present system 1. In addition, matters shown (described) in FIGS. 1 to 6 may be equally applied to descriptions of the present system 1 and the present apparatus 10 even if omitted below.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시스템(1)은 온실 작물 관리 장치(10), 복수개의 작물 배드(20)(21, 22, …), 자동 수집 장치(30), 사용자 단말(40) 및 한 쌍의 QR 코드(50)(51, 52)를 포함할 수 있다.1 to 6, the system 1 includes a greenhouse crop management device 10, a plurality of crop beds 20 (21, 22, ...), an automatic collection device 30, and a user terminal 40. and a pair of QR codes 50 (51, 52).

온실 작물 관리 장치(10)는 복수개의 작물 배드(20)에서 재배되는 실물 작물들에 관한 각종 정보를 저장(기록)하고 관리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The greenhouse crop management device 10 may refer to a device for storing (recording) and managing various information about real crops grown in a plurality of crop beds 20 .

온실 작물 관리 장치(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실 작물 관리 장치(10)로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장치(10)라 지칭하기로 한다. 본 장치(10)는 일예로 온실 작물 관리와 관련된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본 장치(10)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40)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재배하는 많은 수의 작물들(실물 작물들)을 효율적으로 관리(즉, 온실 작물의 정보의 기록, 확인, 관리 등)를 수행할 수 있다.The greenhouse crop management device 10 is a greenhouse crop management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will be referred to as the present device 10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device 10 may provide, for example, a web page, app page, program, or application related to management of greenhouse crops to a user terminal 40 possessed by a user using the device 10, through which the user can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manage a large number of cultivated crops (actual crops) (ie, record, check, manage information of greenhouse crops, etc.).

즉, 본 장치(10)는 일예로 사용자 단말(40)에 설치되는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어플, 앱)의 형태로 구현 가능한 장치일 수 있으며, 이를 달리 표현하면, 본 장치(10)를 통해 제공되는 온실 작물 관리 방법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구현되어 사용자 단말(40)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일예로 본 장치(10)는 사용자 단말(40)과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서버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서버의 형태로 마련된 본 장치(10)는, 본 장치(10)에 의해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 등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40)의 작동(일예로 화면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한 설명에서는 본 장치(10)가 일예로 서버의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이러한 경우 본 장치(10)는 온실 작물 관리 서버, 서버(혹은 본 서버)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That is, the device 10 may be, for example, a device that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or application (application, app) installed on the user terminal 40. In other words, provided through the device 10 The greenhouse crop management metho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or application and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user terminal 40 .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as another example, the device 1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server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user terminal 40, and the device 10 provided in the form of a server,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ration (for example, screen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40 connected to the application provided by (10).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1 , the device 10 will be described as being provided in the form of a server as an example. In this case, the device 10 is a greenhouse crop management server, server (or main server), etc. can be referred to.

또한, 본 발명에서 본 장치(10)에 의해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어플, 앱)은 온실 작물 관리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이는 설명의 편의상 본 앱이라 지칭될 수 있다. 본 장치(10)는 본 앱의 제공을 통해 온실 작물 관리 플랫폼(본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pplication (app, app) provided by the device 10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greenhouse crop management application, which may be referred to as this app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device 10 may provide a greenhouse crop management platform (this platform) through the provision of this app.

복수개의 작물 배드(20)(21, 22, …)는 온실의 내부(온실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작물 배드(20)(21, 22, …)는 작물이 재배되는 부재(트레이)를 의미할 수 있다. 복수개의 작물 배드(20)는 제1 작물 배드(21), 제2 작물 배드(2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작물 배드(20) 각각에는 복수개의 실물 작물이 서로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어 재배될 수 있다.A plurality of crop beds 20 (21, 22, ...) may be arranged inside the greenhouse (inside the greenhouse). A plurality of crop beds 20 (21, 22, ...) may refer to members (trays) on which crops are grown. The plurality of crop beds 20 may include a first crop bed 21 , a second crop bed 22 , and the like. In each of the plurality of crop beds 20, a plurality of actual crop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cultivated.

본 발명에서, 복수개의 작물 배드(20)에서 재배되는 작물(작물들)은 실물 작물(실물 작물들)이라는 용어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고려되는 작물(실물 작물)로는 옆경채, 과채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온실, 상업 농가 등에서 재배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작물이 적용될 수 있다. 복수개의 작물 배드(20)의 구체적인 형상, 소재(재료) 등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 없이, 종래에 기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되는 다양한 작물 배드(복수의 작물 재배가 가능한 형태의 작물 배드)가 적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ps (crops) grown in the plurality of crop beds 20 may be otherwise referred to as actual crops (real crops). Crops (actual crops) consider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various types of crops that can be cultivated in greenhouses, commercial farms, and the like. The specific shape, material (material), etc. of the plurality of crop beds 20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various crop beds previously known or developed in the future (crop beds capable of cultivating a plurality of crops) may be applied. .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복수개의 작물 배드(20) 중 어느 한 작물 배드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복수개의 작물 배드(20) 각각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복수개의 작물 배드(20)에서 재배되는 실물 작물들 중 어느 한 실물 작물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실물 작물들(복수의 실물 작물) 각각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of any one crop bed among the plurality of crop beds 20 can be equally applied to the descrip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rop beds 20, even if omitted below. Similarly, the description of any one real crop among the real crops grown in the plurality of crop beds 20 will be equally applied to the description of each of the real crops (a plurality of real crops), even if omitted below. can

본 발명에서 복수개의 작물 배드(20) 각각에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영역에 작물 배드의 식별을 위한 배드 식별용 태그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배드 식별용 태그는, 각 작물 배드마다 각기 다르게 부여되는 작물 배드의 식별정보(고유 식별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해 인식 가능하도록 하는 태그로서, 일예로 RFID, 비콘, NFC 등의 태그일 수 있다. 배드 식별용 태그는 일예로 스티커 형태로 구현되어 복수개의 작물 배드(20) 각각마다 부착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작물 배드(20) 각각과 1:1 대응되도록 부착된 복수개의 배드 식별용 태그는, 각자 배드 식별용 태그가 부착된 작물 배드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each of the plurality of crop beds 20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bed identification tag for identifying crop beds in one area. The bed identification tag is a tag capable of recogniz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crop bed differently assigned to each crop be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may be, for example, a tag such as RFID, beacon, or NFC. The bed identification tag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ticker, for example, and can be attach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rop beds 20 . That is, the plurality of bed identification tags attached in a 1:1 correspondence with each of the plurality of crop beds 20 may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rop bed to which each bed identification tag is attached.

자동 수집 장치(30)는 실물 작물의 작물 영상을 획득할 때, 해당 실물 작물이 위치한 작물 배드에 부착되어 있는 배드 식별용 태그를 인식함으로써, 해당 실물 작물이 위치한 작물 배드의 식별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작물 배드의 식별정보를 획득된 작물 영상과 연계시켜 본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자동 수집 장치(30)의 일영역에는 작물 배드에 부착된 배드 식별용 태그의 인식을 위한 리더기(태그 리더기, 미도시)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When acquiring a crop image of a real crop, the automatic collection device 30 recognizes a tag for identifying the bed attached to the crop bed where the real crop is located, thereby obtain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rop bed where the corresponding real crop is located.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cquired crop bed may be linked to the acquired crop image and transmitted to the apparatus 10. To this end, a reader (tag reader, not shown) for recognizing a tag for identifying a bed attached to a crop bed may be provided in one area of the automatic collection device 30 .

자동 수집 장치(30)는, 복수개의 작물 배드(20)에서 재배되는 실물 작물들(특히, 전체 실물 작물들 중 적어도 일부의 실물 작물들)을 촬영하여 생성된 작물 영상을 본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자동 수집 장치(30)는 일영역에 마련된 영상 센서(31)를 포함할 수 있다. 자동 수집 장치(30)는 영상 센서(31)를 통해 복수개의 작물 배드(20)에서 재배되는 실물 작물들 중 적어도 일부의 실물 작물을 촬영함으로써 작물 영상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작물 영상을 본 장치(10)로 네트워크(2)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The automatic collecting device 30 transmits crop images generated by photographing real crops grown in the plurality of crop beds 20 (in particular, at least some real crops among all real crops) to the device 10. can transmit The automatic collection device 30 may include an image sensor 31 provided in one area. The automatic collecting device 30 may generate a crop image by photographing at least some real crops among the real crops grown in the plurality of crop beds 20 through the image sensor 31, and view the generated crop image. It can be transmitted over the network 2 to the device 10.

영상 센서(31)는 일예로 RGB, 뎁스(depth)(거리/깊이), 초분광, 열화상 등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센서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영상 센서(31)는 일예로 RGB 센서, 뎁스 이미지 획득이 가능한 비전 센서, 초분광 센서 및 열화상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센서(31)는 이미지 센서, 카메라, 영상 촬영 장치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image sensor 31 may mean a sensor capable of acquiring images such as RGB, depth (distance/depth), hyperspectral, and thermal images. That is, the image sensor 31 may include, for example, at least one of an RGB sensor, a vision sensor capable of obtaining a depth image, a hyperspectral sensor, and a thermal image sensor. The image sensor 31 may be otherwise referred to as an image sensor, a camera, or an image capture device.

자동 수집 장치(30)는 온실 내부를 이동하면서 복수개의 작물 배드(20)에서 재배되는 실물 작물들의 적어도 일부의 실물 작물을 자동으로 촬영하고, 촬영에 의해 생성된 작물 영상을 본 장치(10)로 제공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자동 수집 장치(30)는 일예로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갠트리 시스템(Gantry system) 또는 모바일 로봇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자동 수집 장치(30)는 갠트리 시스템 또는 모바일 로봇일 수 있다.The automatic collecting device 30 automatically photographs at least some real crops of the real crops grown in the plurality of crop beds 20 while moving inside the greenhouse, and transmits the crop image generated by the photographing to the apparatus 10. It may mean a device provided. Such an automatic collection device 30 may be implemented as a gantry system or a mobile robot, as shown in FIG. 2 , for example. That is, the automatic collection device 30 may be a gantry system or a mobile robot.

자동 수집 장치(30)는 자동 제어를 통해(일예로, 제어부(16)에 의한 자동 제어를 통해) 온실 내에 여러 위치를 이동하면서 적어도 일부의 실물 작물의 작물 영상을 촬영 및 획득하여 본 장치(10)로 전송(제공)할 수 있다. 자동 수집 장치(30)는 온실 내부를 이동하면서 리더기(미도시)로 작물 배드별로 부착되어 있는 배드 식별용 태그(일예로 RFID)의 인식을 통해 작물 배드의 식별정보를 획득(인식)하고 본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The automatic collection device 30 moves to various locations in the greenhouse through automatic control (eg, through automatic control by the control unit 16) and captures and obtains crop images of at least some real crops, thereby providing the apparatus 10 ) can be transmitted (provided). The automatic collection device 30 acquires (recogniz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rop bed through the recognition of a tag (eg RFID) for identifying the bed attached to each crop bed with a reader (not shown) while moving inside the greenhouse. (10) can be sent.

특히나, 자동 수집 장치(30)는 복수개의 작물 배드(20)에 대하여, 작물 배드의 길이방향(일예로 작물 배드 상에서 실물 작물들이 더 많이 배열되어 있는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작물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예로 작물 배드의 길이방향이라 함은 도 3에 도시된 도면을 기준으로 일예로 '1시와 2시 사이'-'7시와 8시 사이'의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automatic collection device 30 can take crop images while mov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rop bed (for example, the direction in which more real crops are arranged on the crop bed) with respect to the plurality of crop beds 20. . For example,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rop bed may mean, for example, 'between 1 o'clock and 2 o'clock' - 'between 7 o'clock and 8 o'clock' based on the drawing shown in FIG. 3 .

사용자 단말(40)은 복수개의 작물 배드(20)로 실물 작물들을 재배하는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을 소지한 사용자는 재배사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40 may refer to a terminal possessed by a user who cultivates real crops with a plurality of crop beds 20 . A user possessing the user terminal 40 may be otherwise referred to as a redisan or the like.

사용자 단말(40)은 일예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 노트북, 웨어러블 디바이스, 데스크탑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 단말(40)은 이동 및 휴대가 가능한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임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사용자 단말(40)이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 단말인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user terminal 40 is, for example,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terminal, smartphone, smartpad, tablet PC, laptop, wearable It may include all types of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devices and desktop PCs,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preferable that the user terminal 40 is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that can be moved and carried. Hereinafter, the user terminal 40 will be described as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한 쌍의 QR 코드(50)(51, 52)는 실물 작물들에 대한 수확 관리의 편의, 및 수확된 실물 작물에 대한 정보(즉, 후술하여 설명하는 생육정보)의 입력 편의를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서, 스티커 형태로 마련되는 것일 수 있다. 한 쌍의 QR 코드(50)(51, 52)는 제1 QR 코드(51)와 제2 QR 코드(52)를 포함할 수 있고, 한 쌍의 QR 코드(50) 각각에는 서로 동일한 URL 정보가 부여(포함)될 수 있다.A pair of QR codes 50, 51 and 52 are provided for the convenience of harvest management for real crops and for the convenience of inputting information on the harvested real crops (ie, growth information to be described later). , I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sticker. The pair of QR codes 50, 51 and 52 may include a first QR code 51 and a second QR code 52, and each of the pair of QR codes 50 has the same URL information as each other. Can be granted (included).

본 발명에서 한 쌍의 QR 코드(50)는, 복수개의 작물 배드(20)에서 재배되는 실물 작물들의 개수만큼 또는 수확된 작물의 개수만큼 복수개 마련될 수 있다. 즉, 실물 작물들의 개수(또는 수확된 작물의 개수)가 2000개인 경우, 본 시스템(1)에는 한 쌍의 QR 코드(50)가 2000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일예로 작물 배드에 작물들을 동일하게 재배한다 하더라도 일부 작물들의 경우 재배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죽거나 수확이 안될 수도 있으므로, 바람직하게 한 쌍의 QR 코드(50)가 수확된 작물(수확된 실물 작물)의 개수만큼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한 쌍의 QR 코드(50)는 수확된 실물 작물(즉, 수확 실물 작물)마다 부여되는 것일 수 있으며, 한 쌍의 QR 코드(50)의 구체적인 활용 방식은 후술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QR codes 50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as many as the number of actual crops grown in the plurality of crop beds 20 or as many as the number of harvested crops. That is, when the number of real crops (or the number of harvested crops) is 2000, 2000 pairs of QR codes 50 may be provided in the present system 1.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even if crops are equally grown in a crop bed, some crops may die or not be harvested because cultivation is not normally performed, so preferably a pair of QR codes 50 are harvested crops (harvested real thing) It may be desirable to provide as many as the number of crops). According to this, a pair of QR codes 50 may be assigned to each harvested real crop (ie, harvested real crop), and a specific utilization method of the pair of QR codes 5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do.

본 장치(10)는 자동 수집 장치(30) 및 사용자 단말(40) 각각과 네트워크(2)를 통해 연동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장치(10)는 복수개의 작물 배드(20) 각각과 네트워크(2)를 통해 연동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The device 10 may transmit/receive data by interworking with each of the automatic collection device 30 and the user terminal 40 through the network 2 . In addition, the apparatus 10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by interlocking with each of the plurality of crop beds 20 through the network 2 .

네트워크(2)는 일예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다양한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The network 2 is, for example, a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network, a Long Term Evolution (LTE) network, a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network, the Internet, a Local Area Network (LAN), and a Wireless 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PAN (Personal Area Network), Bluetooth (Bluetooth) network,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network, satellite broadcasting network, analog broadcasting network,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network, etc. It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various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상술한 설명을 토대로, 본 장치(1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Based on the above description, the present device 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이때, 본 발명의 일예에서는, 자동 수집 장치(30)가 작물 영상을 촬영해 본 장치(10)로 전송하면, 본 장치(10)가 '작물 영상을 기반으로 특징점 비교, 영상 정합, 통합 작물 영상 데이터의 생성, 개별 작물 ID 부여'의 과정을 처리(수행)하는 것으로 예시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일예로, 본 장치(10)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예시한 상술한 '작물 영상을 기반으로 특징점 비교, 영상 정합, 통합 작물 영상 데이터의 생성, 개별 작물 ID 부여'의 과정은 자동 수집 장치(30)에서(특히 자동 수집 장치 내 제어부(미도시)에서) 수행될 수도 있고, 이러한 경우 자동 수집 장치(30)가 개별 작물 ID가 부여된 영상 내 작물들 각각에 대한 정보(즉, 영상 내 작물들의 정보)를 본 장치(10)로 전송하면 이를 작물 관리부(15)가 바로 작물 DB(14)에 저장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on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utomatic collection device 30 shoots a crop image and transmits it to the device 10, the device 10 performs 'comparison of feature points based on the crop image, image matching, and integrated crop image' It is exemplified as processing (performing) the process of generating data and assigning individual crop IDs, but this is only one example to help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limited thereto. As another example, the process of 'comparison of feature points based on crop images, image matching, generation of integrated crop image data, and assignment of individual crop IDs', which is exemplified by the apparatus 10, is carried out by the automatic collection device 30 (Especially in a control unit (not shown) in the automatic collection device), and in this case, the automatic collection device 30 provides information on each of the crops in the image to which individual crop IDs are assigned (ie, information on crops in the image) ) is transmitted to the device 10, the crop management unit 15 may directly store it in the crop DB 14.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장치(10)는 수집부(11), 영상 DB(12), 분석부(13), 작물 DB(14), 작물 관리부(15) 및 제어부(16)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S. 1 to 6, the device 10 includes a collection unit 11, an image DB 12, an analysis unit 13, a crop DB 14, a crop management unit 15, and a control unit 16 ) may be included.

수집부(11)는, 자동 수집 장치(30)로부터 작물 영상을 수집하여 영상 DB(12)에 저장할 수 있다(step1).The collection unit 11 may collect crop images from the automatic collection device 30 and store them in the image DB 12 (step 1).

여기서, 자동 수집 장치(30)는, 일예로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개의 작물 배드(20)를 이동하면서 기 설정된 일정 이동간격마다(일예로 50cm 간격마다) 적어도 일부의 실물 작물들에 대한 촬영을 수행함으로써 작물 영상을 생성하되, 촬영 수행시 각 작물 배드에 기 부착된 배드 식별용 태그(일예로 RFID 태그)의 인식을 통해 생성된 작물 영상 내 작물 배드의 식별정보를 감지(인식, 획득)할 수 있다. 즉, 자동 수집 장치(30)는 배드 식별용 태그를 인식하고 복수개의 작물 배드(20)에 대해 이동하면서, 이동 시에 일정 이동간격(즉, 일예로 50cm의 간격)만큼 이동할 때마다 복수개의 작물 배드(20) 각각의 상측을 촬영함으로써 시계열적으로(실시간으로) 작물 영상을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작물 영상을 본 장치(1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자동 수집 장치(30)는 획득된 작물 영상을 본 장치(10)로 제공할 때, 작물 영상의 획득시에 배드 식별용 태그를 인식함으로써 감지된 작물 배드의 식별정보를 작물 영상에 함께 연계시킨 상태로 제공할 수 있다.Here, the automatic collection device 3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moves a plurality of crop beds 20 at predetermined predetermined moving intervals (for example, at intervals of 50 cm) to at least some real crops. A crop image is generated by performing a photographing of the crop, but when the photographing is performe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rop bed is detected (recognized, obtain) can be obtained. That is, the automatic collection device 30 recognizes the tag for identification of the bed and moves with respect to the plurality of crop beds 20, while moving by a predetermined moving interval (ie, an interval of 50 cm in one example), a plurality of crops each time it moves. By photographing the upper side of each bed 20 , crop images may be acquired in time series (in real time), and the obtained crop images may be provided to the apparatus 10 . At this time, when the automatic collection device 30 provides the obtained crop image to the present device 10,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tected crop bed is linked to the crop image by recognizing the tag for identifying the bad when the crop image is acquired. It can be provided as-is.

이를 통해, 수집부(11)는 자동 수집 장치(30)로부터 작물 영상을 실시간으로(시계열적으로) 획득(수집)하여 영상 DB(12)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영상 DB(12)에는 복수개의 작물 영상이 저장될 수 있고, 각 작물 영상에는 자동 수집 장치(30)로부터 획득된 작물 배드의 식별정보(즉, 작물 영상 내에 포함되어 있는 작물 배드의 식별정보)가 함께 연계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Through this, the collection unit 11 may obtain (collect) crop images in real time (time-sequentially) from the automatic collection device 30 and store them in the image DB 12 . At this time, a plurality of crop images may be stored in the image DB 12, and in each crop image, crop b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automatic collection device 30 (ie, crop b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rop image) ) may be linked together and stored.

분석부(13)는, 영상 DB(12)에 저장된 작물 영상을 전처리한 전처리된 작물 영상에 대한 영상 분석을 통해 전처리된 작물 영상 내에 포함되어 있는 영상 내 작물들을 식별(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내 작물들은 실물 작물들에 1:1 대응되는, 영상(작물 영상) 내에서의 작물들을 의미할 수 있다.The analysis unit 13 may identify (recognize) crops included in the preprocessed crop image through image analysis of the preprocessed crop image obtained by preprocessing the crop image stored in the image DB 12 . Here, the crops in the image may mean crops in an image (crop image) that correspond 1:1 to actual crops.

이때, 분석부(13)는, 전처리된 작물 영상의 생성을 위해, 자동 수집 장치(30)에서 작물 영상의 촬영 전 인식된 작물 배드의 식별정보를 고려하여, 영상 DB(12)에 저장된 복수의 작물 영상을 작물 배드별 관련 작물 영상들로 구분할 수 있다. 이후, 분석부(13)는 구분된 상기 작물 배드별 관련 작물 영상들을 기반으로, 작물 배드마다 관련 작물 영상들 간의 특징점 비교 및 영상 정합(Image registration)을 포함한 전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작물 배드마다 하나의 통합된 통합 작물 영상 데이터를 전처리된 작물 영상으로서 생성할 수 있다(step2). 이후 분석부(13)는, 작물 배드별 통합 작물 영상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영상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각 통합 작물 영상 데이터 내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영상 내 작물들(즉, 실물 작물들에 대응되는 영상 내 작물들)을 식별(특히, 개별적으로 식별, 개별 인식)할 수 있다(step3).At this time, the analysis unit 13 consider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rop bed recognized before capturing the crop image in the automatic collection device 30 in order to generate a preprocessed crop image, and stores a plurality of images stored in the image DB 12. Crop images may be divided into crop images related to each crop bed. Thereafter, the analysis unit 13 performs preprocessing including feature point comparison and image registration among crop images related to each crop bed based on the crop images related to each crop bed, thereby integrating one crop bed for each crop bed. integrated crop image data may be generated as a preprocessed crop image (step 2). Thereafter, the analysis unit 13 performs image analysis on each of the integrated crop image data for each crop bed, so that the crops in the image included in each integrated crop image data (ie, the crops in the image corresponding to real crops) ) can be identified (in particular, individually identified, individually recognized) (step 3).

일예로 복수개의 작물 배드(20)가 20개이고, 각 작물 배드마다 10개의 작물 영상이 촬영됨에 따라, 영상 DB(12) 내에 복수의 작물 영상으로서 총 200개의 작물 영상이 저장되어 있다고 하자.As an example, suppose that there are 20 crop beds 20 and 10 crop images are taken for each crop bed, so that a total of 200 crop images are stored as a plurality of crop images in the image DB 12.

이러한 경우, 분석부(13)는 일예로 인식된 작물 배드의 식별정보를 고려하여, i) 영상 DB(12)에 저장된 200개의 작물 영상 중 제1 작물 영상 내지 제10 작물 영상의 경우, 제1 작물 배드(21)에서 재배되는 실물 작물들을 촬영함으로써 획득된 작물 영상들(즉, 제1 작물 배드 관련 작물 영상들)로 구분하고, ii) 제11 작물 영상 내지 제20 작물 영상의 경우, 제2 작물 배드(22)에서 재배되는 실물 작물들을 촬영함으로써 획득된 작물 영상들(즉, 제2 작물 배드 관련 작물 영상들)로 구분하며, iii) 제21 작물 영상 내지 제30 작물 영상의 경우, 제3 작물 배드(미도시)에서 재배되는 실물 작물들을 촬영함으로써 획득된 작물 영상들(즉, 제3 작물 배드 관련 작물 영상들)로 구분하는 것과 같이, 영상 DB(12)에 저장된 복수의 작물 영상을 작물 배드별 관련 작물 영상들로 구분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nalysis unit 13 consider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cognized crop bed as an example, i) in the case of the 1st to 10th crop images among 200 crop images stored in the image DB 12, the first Real crops grown in the crop bed 21 are divided into crop images (ie, crop images related to the first crop bed) obtained by photographing, and ii) in the case of the 11th to 20th crop images, the second Real crops grown in the crop bed 22 are divided into crop images obtained by photographing (ie, crop images related to the second crop bed), iii) in the case of the 21st to 30th crop images, the third A plurality of crop images stored in the image DB 12 are divided into crop images (that is, crop images related to a third crop bed) obtained by photographing real crops grown in a crop bed (not shown). It can be divided into crop images related to each bed.

이후, 분석부(13)는, 일예로 i) 제1 작물 배드 관련 작물 영상들(즉, 제1 작물 영상 내지 제10 작물 영상) 간에 특징점 추출 후 비교 과정 및 영상 정합 과정을 포함한 전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제1 작물 배드(21)에 대응하는 제1 통합 작물 영상 데이터(즉, 제1 전처리된 작물 영상)를 생성하고, ii) 제2 작물 배드 관련 작물 영상들(즉, 제11 작물 영상 내지 제20 작물 영상) 간에 특징점 추출 후 비교 과정 및 영상 정합 과정을 포함한 전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제2 작물 배드(22)에 대응하는 제2 통합 작물 영상 데이터(즉, 제2 전처리된 작물 영상)를 생성하는 등과 같이, 복수개의 작물 배드(20) 각각마다 통합 작물 영상 데이터(즉, 전처리된 작물 영상)를 생성할 수 있다(step2). 이에 따르면, 전처리의 수행을 통해 생성된 작물 배드별 통합 작물 영상 데이터에는, 제1 작물 배드(21)에 대응하는 제1 통합 작물 영상 데이터, 제2 작물 배드(22)에 대응하는 제2 통합 작물 영상 데이터, 제3 작물 배드(미도시)에 대응하는 제3 통합 작물 영상 데이터, …, 제n 작물 배드에 대응하는 제n 통합 작물 영상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n의 값은 본 시스템(1)에 포함된 작물 배드의 총 개수(즉, 복수개의 작물 배드의 개수)에 해당하는 값일 수 있다. 통합 작물 영상 데이터의 생성 예는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다.Thereafter, the analysis unit 13, for example, i) extracts feature points between the crop images related to the first crop bed (ie, the first crop image to the tenth crop image), and then performs preprocessing including a comparison process and an image matching process. , generates first integrated crop image data (ie, the first pre-processed crop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crop bed 21, and ii) crop images related to the second crop bed (ie, 11th to 10th crop images) 20 crop images) by performing pre-processing including a comparison process and an image matching process after extracting feature points, thereby generating second integrated crop image data (ie, second pre-processed crop imag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rop bed 22 As such, integrated crop image data (ie, pre-processed crop image) may be generat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crop beds 20 (step 2). According to this, in the integrated crop image data for each crop bed generated through the preprocessing, the first integrated crop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first crop bed 21 and the second integrated crop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rop bed 22 Image data, third integrated crop image data corresponding to a third crop bed (not shown), . . . , n-th integrated crop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n-th crop bed) may be included. Here, the value of n may be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total number of crop beds included in the present system 1 (ie, the number of a plurality of crop beds). An example of generating integrated crop image data may be more easily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FIG. 4 .

step2의 수행 이후 분석부(13)는, 생성된 작물 배드별 통합 작물 영상 데이터(즉, 제1 통합 작물 영상 데이터 내지 제n 통합 작물 영상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영상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각 통합 작물 영상 데이터(즉, 작물 배드별 통합 작물 영상 데이터 각각) 내에 포함되어 있는 영상 내 작물들을 식별(개별 인식)할 수 있다. 이때, 분석부(13)에 의해 식별되는 영상 내 작물들은, 복수개의 작물 배드(20)에 대응하는 복수의 통합 작물 영상 데이터(즉, 작물 배드별 통합 작물 영상 데이터 전체)에 포함되어 있는 영상 내 작물들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는 복수개의 작물 배드(20)에서 재배되는 실물 작물들에 대응(1:1 대응)되는 영상 내 작물들을 의미할 수 있다. 일예로 복수개의 작물 배드(20)에서 재배되는 실물 작물들의 총 개수가 2000개라면, 분석부(13)에서 식별된 영상 내 작물들의 개수 역시 2000개일 수 있다.After performing step 2, the analysis unit 13 performs image analysis on each of the generated integrated crop image data (that is, the first integrated crop image data to the n-th integrated crop image data) for each crop bed, thereby generating each integrated crop image. It is possible to identify (individually recognize) the crops in the image included in the data (that is, each of the integrated crop image data for each crop bed). At this time, the crops in the image identified by the analysis unit 13 are in the image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integrated crop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crop beds 20 (that is, the entire integrated crop image data for each crop bed). This means crops, which may mean crops in the image that correspond (1:1 correspondence) to actual crops grown in the plurality of crop beds 20 . For example, if the total number of real crops grown in the plurality of crop beds 20 is 2000, the number of crops in the image identified by the analysis unit 13 may also be 2000.

또한, step2에서 영상 분석으로는 기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되는 다양한 영상(이미지) 분석(처리) 기법이 적용될 수 있고, 일예로 객체 식별 기법(물체 인식 기법) 등이 적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the image analysis in step 2, various video (image) analysis (processing) techniques known or developed in the future may be applied, and for example, an object identification technique (object recognition technique) may be applied.

또한, 분석부(13)는 생성된 작물 배드별 통합 작물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딥러닝 모델을 적용(즉, 딥러닝 모델을 이용한 영상 분석을 적용)함으로써, 작물 배드별 통합 작물 영상 데이터 각각에 포함되어 있는 작물들(즉, 영상 내 작물들)을 식별(개별 인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nalysis unit 13 applies a deep learning model to the generated integrated crop image data for each crop bed (that is, applies image analysis using a deep learning model), thereby included in each integrated crop image data for each crop bed. It is possible to identify (individual recognition) crops (ie, crops in the image) that are present.

여기서, 딥러닝 모델은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알고리즘 모델, 기계학습(머신러닝) 모델, 신경망 모델(인공 신경망 모델), 뉴로 퍼지 모델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딥러닝 모델은 예시적으로 컨볼루션 신경망(Convolution Neural Network, CNN, 합성곱 신경망), 순환신경망(RNN, Recurrent Neural Network), 딥 신경망(Deep Neural Network) 등 종래에 이미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되는 다양한 신경망 모델이 적용될 수 있다.Here, the deep learning model may mean an artificial intelligence (AI) algorithm model, a machine learning (machine learning) model, a neural network model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a neuro fuzzy model,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deep learning model is conventionally known or developed in the future, such as a Convolution Neural Network (CNN), a Recurrent Neural Network (RNN), and a Deep Neural Network, by way of example. Various neural network models may be applied.

즉, 분석부(13)는 기 학습된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작물 배드별 통합 작물 영상 데이터 각각에 포함되어 있는 영상 내 작물들을 식별(개별 인식)할 수 있으며, 상기 식별(개별 인식)을 통해 식별된 영상 내 작물들 각각의 재배 위치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That is, the analysis unit 13 can identify (individual recognition) the crops in the images included in each of the integrated crop image data for each crop bed using a pre-learned deep learning model, and through the identification (individual recognition) Cultivation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crops in the identified image may be derived.

여기서, 재배 위치 정보는 영상 내 작물이 어느 작물 배드 내에서 어느 지점(어느 행의 어느 열)에 위치해 있는지의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실물 작물들에 대응(1:1 대응)하는 영상 내 작물들 중 어느 한 영상 내 작물인 제1 영상 내 작물의 재배 위치 정보는, 제1 영상 내 작물에 대응하는 실물 작물(즉, 복수의 실물 작물 중 제1 실물 작물)이 재배되고 있는 작물 배드 상에서의 행/열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작물 배드(21)에서 6(행) x 50(열)에 해당하는 총 300 개의 실물 작물들이 재배되고 있고, 이때, 제1 실물 작물이 제1 작물 배드(21) 상에서 5번째 행의 3번째 열에서 재배되고 있는 작물인 경우, 상기 제1 실물 작물에 대응하는 제1 영상 내 작물의 재배 위치 정보는, 일예로 (5,3)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Here, the cultivation location information may mean information on which point (which row and which column) the crop in the image is located in which crop bed. That is, the cultivation position information of a crop in the first image, which is a crop in any one image among crops in the image corresponding to real crops (1: 1 correspondence), is a real crop corresponding to the crop in the first image (ie, multiple crops). It may refer to row/column information on a crop bed in which a first real crop among real crops) is grown. Illustratively, a total of 300 actual crops corresponding to 6 (rows) x 50 (columns) are grown in the first crop bed 21, and at this time, the first actual crops are grown on the first crop bed 21 at 5 In the case of a crop being grown in a third column of a row, cultivatio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rop in the first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al crop may be expressed as (5,3), for example.

상술한 step2에서 분석부(13)가 영상 내 작물들을 식별(개별 인식)하고 영상 내 작물들 각각의 재배 위치 정보를 도출하고 나면, 이후, 작물 관리부(15)는 분석부(13)에서 식별된 영상 내 작물들(영상 내 작물들 각각)의 정보를 작물 DB(14)에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After the analyzer 13 identifies (individually recognizes) the crops in the image in step 2 described above and derives the cultivation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crops in the image, the crop management unit 15 then identifies the crops identified in the analyzer 13 Information on the crops in the image (each of the crops in the image) can be stored and managed in the crop DB 14 .

구체적으로, 작물 관리부(15)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분석부(13)에서 식별된 상기 영상 내 작물들 각각마다 개별 작물 ID를 부여할 수 있고(step3), 이후 상기 영상 내 작물 각각에 대하여, 영상 내 작물에 부여된 개별 작물 ID 정보, 영상 내 작물이 수용되어 있는(즉, 영상 내 작물에 대응하는 실물 작물이 재배되고 있는) 작물 배드의 식별정보, 및 영상 내 작물이 포함된 영상을 서로 연계시킨 정보를 영상 내 작물의 정보로서 작물 DB(14)에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작물 DB(14)의 구축이 완료될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4 , the crop management unit 15 may assign an individual crop ID to each of the crops in the image identified by the analysis unit 13 (step 3), and then to each crop in the image. , individual crop ID information assigned to the crop in the imag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rop bed in which the crop in the image is accommodated (that is, where the actual crop corresponding to the crop in the image is grown), and the image including the crop in the image Information linked to each other can be stored and managed in the crop DB 14 as crop information in the image, and through this, the construction of the crop DB 14 can be completed.

즉, 작물 DB(14)에는 분석부(13)에서 식별된 영상 내 작물들 각각마다의 정보(영상 내 작물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작물 DB(14)에 저장된 영상 내 작물들의 정보는 일예로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작물 DB(14)에는 일예로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실물 작물들 각각마다(혹은 식별된 영상 내 작물들 각각마다), [개별 작물 ID-배드 번호(즉, 작물 배드의 식별정보)-영상 정보(즉, 작물 영상 또는 통합 작물 영상 데이터)]가 서로 연계된 형태로의 정보가 저장되고 관리될 수 있다.That is, information on each of the crops in the image identified by the analysis unit 13 (information on the crop in the image) may be stored in the crop DB 14 . Information on crops in images stored in the crop DB 14 may be as shown in FIG. 4 , for example. In other words, in the crop DB 14,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each of the actual crops (or each of the crops in the identified image), [individual crop ID-bad number (i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rop bed) )-image information (ie, crop image or integrated crop image data)] may be stored and managed.

일예로 작물 DB(14)에 저장된 영상 내 작물들의 정보(즉, 복수개의 영상 내 작물의 정보) 중 어느 한 영상 내 작물인 제1 영상 내 작물의 정보에는, 제1 영상 내 작물에 개별적으로 부여된 작물 ID 정보인 개별 작물 ID 정보, 제1 영상 내 작물이 수용되어 있는 작물 배드의 식별 정보, 및 제1 영상 내 작물이 포함된 영상이 서로 연계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제1 영상 내 작물의 개별 작물 ID 정보는 일예로 제1 영상 내 작물에 부여된 고유 식별정보 및 앞서 분석부(13)에 의해 도출된 제1 영상 내 작물의 재배 위치 정보(즉, 행/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상 내 작물의 작물 배드의 식별 정보는, 제1 영상 내 작물에 대응하는 실물 작물이 재배되고 있는 작물 배드의 식별 정보로서, 이는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자동 수집 장치(30)가 배드 식별용 태그를 인식함으로써 획득(감지, 식별)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는 제1 영상 내 작물이 존재하는 영상(작물 영상 또는 통합 작물 영상 데이터)에 기 포함되어 있는(연계되어 저장되어 있는) 작물 배드의 식별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획득되는 정보일 수 있다. 제1 영상 내 작물이 포함된 영상은 제1 영상 내 작물이 포함되어 있는 작물 영상 또는 통합 작물 영상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For example, information on crops in a first image, which is a crop in any one image among information on crops in an image stored in the crop DB 14 (that is, information on crops in a plurality of images), is individually assigned to the crop in the first image. Individual crop ID information that is the crop ID information obtain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rop bed in which the crop in the first image is accommodated, and images including the crop in the first image may be stored in association with each other. Here, the individual crop ID information of the crop in the first image is, for exampl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signed to the crop in the first image and cultivation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rop in the first image derived by the analysis unit 13 (that is, row / column informati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rop bed of the crop in the first image i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rop bed in which the real crop corresponding to the crop in the first image is grown. It may refer to information obtained (detection, identification) by recognizing , which is included in (stored in association with) an image (crop image or integrated crop image data) in which crops exist in the first image. It may be information obtained by extrac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 An image including crops in the first image may mean a crop image including crops in the first image or integrated crop image data.

상술한 설명에서, 제1 영상 내 작물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영상 내 작물들 각각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description of the crops in the first image may be equally applied to the description of each of the crops in the image, even if omitted below.

즉, 작물 DB(14)에는 복수개의 작물 배드(20)에서 재배되는 실물 작물들 각각마다, 각각의 실물 작물에 대응하는 영상 내 작물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실물 작물의 개수가 2000개라면, 영상 내 작물들의 수 역시 2000개임에 따라, 작물 DB(14)에는 2000개의 실물 작물에 대한 정보(즉, 영상 내 작물의 정보)가 저장되고 관리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작물 DB(14)가 구축(구축 완료)될 수 있다. That is, in the crop DB 14 , for each of the real crops grown in the plurality of crop beds 20 , information on the crop in the image corresponding to each real crop may be stored. If the number of real crops is 2000, since the number of crops in the image is also 2000, information on 2000 real crops (ie, crop information in the image) can be stored and managed in the crop DB 14. Through this process, the crop DB 14 may be constructed (construction completed).

일예로, 작물 DB(14)에는 개별 작물 ID별로 DB가 구축되어 있을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작물 DB(14)에는 개별 작물 ID 각각마다(즉, 실물 작물 각각마다) 1:1 대응되도록 생성된 복수개의 개별 DB가 포함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rop DB 14, a DB may be established for each individual crop ID. In other words, the crop DB 14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dividual DBs generated in a 1:1 correspondence to each individual crop ID (ie, to each actual crop).

작물 DB(14)가 구축된 이후, 자동 수집 장치(30)는 실물 작물들의 생육 기간 중에 매일매일 실물 작물들을 촬영하고, 촬영에 의해 생성된 작물 영상을 본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After the crop DB 14 is built, the automatic collecting device 30 may photograph real crops every day during the growing period of the real crops and transmit crop images generated by the photographing to the apparatus 10 .

이때, 작물 관리부(15)는 일예로 자동 수집 장치(30)로부터 매일 수집(획득)되는 작물 영상들(즉, 추가로 수집되는 추가 작물 영상들)에 대하여 영상 분석을 통해 영상 내 작물들의 개별 작물 ID를 식별하고, 식별된 개별 작물 ID 정보를 고려하여 수집된 작물 영상들을 해당 작물 영상과 관련된 개별 DB에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즉, 작물 관리부(15)는, 자동 수집 장치(30)로부터 수집되는 작물 영상들을, 식별된 개별 작물 ID를 기준으로 복수개의 개별 DB에 구분하여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At this time, for example, the crop management unit 15 performs image analysis on crop images collected (obtained) daily from the automatic collection device 30 (ie, additional crop images additionally collected), and individual crops of the crops in the image.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ID and store and manage crop images col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identified individual crop ID information in an individual DB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crop image. That is, the crop management unit 15 may classify, store, and manage crop images collected from the automatic collection device 30 in a plurality of individual DBs based on identified individual crop IDs.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일예로 식별된 영상 내 작물들의 정보를 작물 DB(14)에 저장한 이후(즉, 작물 DB(14)의 구축이 완료된 이후), 분석부(13)는 수집부(11)에서 추가로 수집된 추가 작물 영상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추가 작물 영상에 대한 영상 분석을 통해 상기 추가 작물 영상 내에 QR 코드(51)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분석부(13)는 판단 결과 상기 QR 코드(51)가 존재하면, 추가 작물 영상에 대하여 영상 분석(일예로 딥러닝 모델을 이용한 영상 분석)을 적용함으로써 QR 코드(51)의 부착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식별되는 QR 코드(51)의 부착 위치는, QR 코드(51)가 부착되어 있는 작물 배드 상에서의 QR 코드의 부착 위치로서, 해당 작물 배드 상에서의 QR 코드가 부착된 행/열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6 , after storing information on crops in an image identified as an example in the crop DB 14 (that is, after construction of the crop DB 14 is completed), the analysis unit 13 is a collection unit. If there is an additional crop image additionally collected in (11),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a QR code 51 exists in the additional crop image through image analysis of the additional crop image. At this tim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QR code 51 exists, the analysis unit 13 determines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QR code 51 by applying image analysis (eg, image analysis using a deep learning model) to the additional crop image. can be identified. Here,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identified QR code 51 is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QR code on the crop bed to which the QR code 51 is attached, meaning row/column information to which the QR code is attached on the corresponding crop bed. can do.

이후, 작물 관리부(15)는, 분석부(13)에서 식별된 상기 QR 코드(51)의 부착 위치를 기반으로, 작물 DB(14)에 저장된 영상 내 작물들의 정보 중 상기 식별된 QR 코드(51)의 부착 위치에 대응되는 영상 내 작물의 정보(즉, 개별 작물 ID 정보)를 QR 대응 영상 내 작물의 정보로서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QR 대응 영상 내 작물의 정보를 사용자(재배사)에 의해 실제 수확이 이루어진 수확 작물의 정보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QR 코드(51)에 기 저장된 URL 정보를 상기 식별된 QR 대응 영상 내 작물의 정보 내에 더 포함(연계)시켜 작물 DB(14)에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QR 코드(51)에 기 저장된 URL 정보는, 분석부(13)가 추가 작물 영상에 포함되어 있는 QR 코드(51)를 인식함으로써 자동 식별(획득)되는 정보일 수 있다.Thereafter, the crop management unit 15, based on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QR code 51 identified by the analysis unit 13, identifies the identified QR code 51 among information on crops in the image stored in the crop DB 14. ) is identified as crop information (ie, individual crop ID information) in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attachment position of ) as crop information in the QR-corresponding image, and the information of the crop in the identified QR-corresponding image is actually used by the user (the grower). It is determined that the harvested crop information is harvested, and the URL information pre-stored in the QR code 51 is further included (linked) in the crop information in the identified QR corresponding image to be stored and managed in the crop DB 14. can do. Here, the URL information pre-stored in the QR code 51 may be information automatically identified (obtained) by the analyzer 13 recognizing the QR code 51 included in the additional crop image.

이에 따르면, 작물 DB(14)에는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실물 작물들 각각마다(혹은 식별된 영상 내 작물들 각각마다), [개별 작물 ID-배드 번호-영상 정보]가 서로 연계된 형태로 정보가 저장되고 관리될 수 있는데, 이때, 사용자에 의해 수확이 이루어진 수확 실물 작물의 경우, QR 코드 정보를 더 추가하여 [개별 작물 ID-배드 번호-영상 정보-QR 코드 정보(즉, URL 정보)]가 서로 연계된 형태로 정보가 저장되고 관리될 수 있다. 즉, 작물 DB(14)에 저장된 실물 작물들에 대응하는 영상 내 작물들의 정보 중 일예로 수확된 수확 실물 작물에 대응하는 영상 내 작물의 정보는, 수확이 이루어진 실물 작물의 재배 위치에 QR 코드(51)의 부착이 이루어짐에 따라 QR 대응 영상 내 작물의 정보라 달리 지칭될 수 있고, 이는 [개별 작물 ID-배드 번호-영상 정보-QR 코드 정보(즉, URL 정보)]가 서로 연계된 형태로 저장되고 관리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s described above, in the crop DB 14, information is stored in a form in which [individual crop ID-bad number-image information] is linked to each other for each real crop (or for each crop in the identified image) In this case, in the case of a real harvested crop harvested by a user, QR code information is further added so that [individual crop ID-bad number-image information-QR code information (i.e., URL information)] is mutually Information can be stored and managed in an associated form. That is, among the information of crops in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real crops stored in the crop DB 14, information on the crop in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real crop harvested as an example is a QR code ( 51) can be referred to as crop information in the corresponding QR image, which is in the form of [individual crop ID-bad number-image information-QR code information (i.e., URL information)] linked to each other. can be stored and managed.

또한, 본 시스템(1)은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40)은, 복수개의 작물 배드(20) 상에 재배되고 있는 실물 작물들 중 사용자에 의해 수확된 어느 한 실물 작물인 수확 실물 작물(일예로 제1 수확 실물 작물)을 포장한 포장재의 일영역에 마련된 QR 코드(52)를 촬영한 후, 상기 QR 코드(52)의 촬영에 의해 제공되는 웹페이지에서 상기 수확 실물 작물(제1 수확 실물 작물)의 생육정보를 수동으로 입력하여 업로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system 1 may include a user terminal 40 possessed by the user. 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40 packs a harvested real crop (for example, a first harvested real crop), which is any one real crop harvested by the user among real crops grown on the plurality of crop beds 20. After photographing the QR code 52 provided on one area of the packaging material, manually input the growth information of the harvested real crop (first harvested real crop) on the web page provided by the photographing of the QR code 52 can be uploaded.

달리 말하면, 사용자 단말(40)은 사용자가 포장재의 일영역에 마련된 QR 코드(52)를 촬영한 것으로 감지되면, 촬영된 QR 코드(52)를 인식하여 인식된 QR 코드(52)에 저장된 URL 정보에 대응하는 웹페이지를 사용자 단말(4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는 사용자 단말(40)의 작동(화면 표시)을 제어할 수 있는데, 일예로 사용자 단말(40)에서 QR 코드(52)의 촬영이 감지된 경우, 상기 웹페이지가 사용자 단말(40)의 화면에 표시(노출)되도록 사용자 단말(4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user has photographed the QR code 52 provided in one area of the packaging material, the user terminal 40 recognizes the photographed QR code 52 and the URL information stored in the recognized QR code 52. A web page corresponding to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40 . That is, the control unit 16 can control the operation (screen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40. For example, when the user terminal 40 detects the shooting of the QR code 52, the web page is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The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40 can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exposed) on the screen of (40).

이후, 사용자는 QR 코드(52)가 부착되어 있는 포장재에 수용되어 있는 수확 실물 작물(즉, 제1 수확 실물 작물)에 대한 생육정보를 측정한 후, 사용자 단말(40)의 화면에 표시된 웹페이지에서 측정된 생육정보를 수동으로 입력(일예로, 직접 타이핑하여 입력)하고 저장완료 버튼을 누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40)은 저장완료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클릭 입력에 응답하여, 사용자로부터 웹페이지를 통해 입력받은 생육정보를 본 장치(10)로 업로드(전송, 제공)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user measures the growth information of the actual harvested crop (ie, the first harvested actual crop) accommodated in the packaging material to which the QR code 52 is attached, and then the web pag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40. It is possible to manually input the growth information measured in (for example, directly input by typing) and press the save completion button. Accordingly, the user terminal 40 may upload (transmit, provide) the growth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hrough the web page to the device 10 in response to the user's click input on the storage completion button.

여기서, 생육정보는 수확 실물 작물에 대한 생육정보로서, 생중량(Fresh Weight, FW, 생체중) 정보, 건조 중량(dry weight, 건물중) 정보, 및 엽면적(leaf area, 잎면적)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growth information is growth information about the actual harvested crop, and may include fresh weight (FW, live weight) information, dry weight (dry weight) information, and leaf area information. can

생중량 정보는, 가장 보편적으로 측정되는 세포의 생육을 나타내는 지표(즉, 가장 간단하게 측정할 수 있는 생육지표의 하나)로서, 수확된 실물 작물의 현 상태의 무게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건조 중량 정보는 적당한 방법으로 수분을 제거하는 조작을 실시한 후의 시료의 중량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엽면적 정보는 잎의 크기, 즉 잎장과 잎폭의 크기에 따라 구성되는 잎의 면적(잎면적)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Fresh weight information is the most commonly measured indicator of cell growth (ie, one of the simplest measurable growth indicators), and refers to information about the weight of a real harvested crop in its current state. Dry weight information refers to information about the weight of a sample after performing an operation of removing water by an appropriate method. The leaf area information means information on the area (leaf area) of a leaf compos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leaf, that is, the size of leaf length and leaf width.

이때, 본 발명에서 고려되는 생중량, 건조 중량 및 옆면적 등의 정보의 측정 방식으로는, 종래에 기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되는 다양한 방식으로의 생육정보 측정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t this time, as the method of measuring information such as fresh weight, dry weight and side area considered 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ethods of measuring growth information in the past or developed in the future may be applied, and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do it with

작물 관리부(15)는, 사용자 단말(40)로부터 상기 생육정보가 업로드되면, 작물 DB(14)에서(즉, 작물 DB에 저장된 영상 내 작물들의 정보 중에서) 업로드된 생육정보의 입력이 이루어진 상기 웹페이지에 대응하는 URL 정보와 매칭되는 매칭 URL 정보를 가진 영상 내 작물의 정보를 식별하되, 상기 매칭 URL 정보를 가진 영상 내 작물의 정보(즉, 개별 작물 ID 정보)가 앞서 말한 상기 식별된 QR 대응 영상 내 작물의 정보인 경우, 업로드된 상기 생육정보를 상기 식별된 QR 대응 영상 내 작물의 정보 내에 더 포함(연계)시켜 작물 DB(14)에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When the growth information is uploaded from the user terminal 40, the crop management unit 15 is configured to input the growth information uploaded from the crop DB 14 (ie, among the information on crops in images stored in the crop DB). Identify crop information in an image having matching URL information that is matched with UR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age, and crop information (ie, individual crop ID information) in an image having matching URL information corresponds to the identified QR In the case of crop information in the image, the uploaded growth information may be further included (linked) in the information of the crop in the identified QR-corresponding image to be stored and managed in the crop DB 14.

즉, 작물 DB(14)에 저장된 실물 작물들에 대응하는 영상 내 작물들의 정보 중 일예로 사용자에 의해 수확되고 생육정보의 입력이 이루어진 영상 내 작물의 정보(즉, QR 대응 영상 내 작물의 정보 중에서도 생육정보의 입력이 이루어진 영상 내 작물의 정보)는, [개별 작물 ID-배드 번호-영상 정보-QR 코드 정보(즉, URL 정보)-생육정보]가 서로 연계된 형태로 저장되고 관리될 수 있다.That is, among information of crops in the image corresponding to real crops stored in the crop DB 14, information on crops in the image harvested by the user and input of growth information (i.e., information on crops in the QR-compatible image) The crop information in the image in which the growth information was input) can be stored and managed in a form in which [individual crop ID-bad number-image information-QR code information (i.e., URL information)-growth information] is linked to each other. .

한편, 본 시스템(1)은, 실물 작물들 중 어느 한 실물 작물이 사용자에 의해 수확된 수확 실물 작물인 경우, 상기 수확 실물 작물에 대하여 제공되는 한 쌍의 QR 코드(50)(51, 52)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system (1), when any one of the real crops is a harvested real crop harvested by the user, a pair of QR codes 50, 51, 52 provided for the harvested real crop can include

여기서, 한 쌍의 QR 코드(50)(51, 52)는 제1 QR 코드(51)와 제2 QR 코드(52)를 포함하고, 서로 동일한 URL 정보를 포함하는 스티커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Here, the pair of QR codes 50, 51 and 52 may include a first QR code 51 and a second QR code 52, and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sticker including the same URL information.

여기서, 한 쌍의 QR 코드(50) 중 어느 한 QR 코드는 제1 QR 코드(51)를 의미할 수 있다. 한 쌍의 QR 코드(50) 중 어느 한 QR 코드(즉, 제1 QR 코드(51))는 수확 실물 작물이 사용자에 의해 수확된 이후, 복수개의 작물 배드(20) 상에서의 상기 수확 실물 작물이 수확된 위치(즉, 수확 실물 작물의 재배되었던 재배 위치)에 부착되는 것일 수 있다. Here, any one of the pair of QR codes 50 may mean the first QR code 51. One QR code (ie, the first QR code 51) of the pair of QR codes 50 indicates that after the harvested actual crop is harvested by the user, the harvested actual crop on the plurality of crop beds 20 is It may be attached to the location where it was harvested (ie, the location where the actual harvested crop was grown).

반면, 한 쌍의 QR 코드(50) 중 다른 한 QR 코드는 제2 QR 코드(52)를 의미할 수 있다. 한 쌍의 QR 코드(50) 중 다른 한 QR 코드(즉, 제2 QR 코드(52))는, 사용자에 의해 수확된 수확 실물 작물이 포장재로 포장된 이후 포장된 상기 수확 실물 작물의 포장재의 외면의 일영역에 부착되는 것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nother one of the pair of QR codes 50 may mean the second QR code 52. Another QR code (ie, the second QR code 52) of the pair of QR codes 50 is the outer surface of the packaging material of the actual harvested crop harvested by the user after being packaged in the packaging material. It may be attached to one area of.

본 발명의 일예에서는, 실물 작물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실물 작물에 대한 수확이 일예로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즉, 사용자에 의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물 작물에 대한 수확은 별도로 마련된 수확 기기(수확 장치)를 통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on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rvesting of at least one real crop among the real crops is illustrated as being made by the user (ie, done manually by the user) as an example, but this is one way to help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nly an example 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harvesting of real crops may be performed automatically through a separately prepared harvesting device (harvesting device).

또한, 본 발명에서 수확이 이루어진 실물 작물인 수확 실물 작물은, 일예로 사용자(또는 별도로 마련된 포장 기기)에 의해 포장재에 담겨 포장될 수 있다. 여기서, 포장재는 일예로 지퍼백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포장재는 지퍼백, 일회용 비닐, 포장용기, 일회용 용기 등 수확된 작물(실물 작물)의 포장(일예로 밀폐 포장)이 가능한 부재라면 무엇이든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arvested actual crops, which are real crops harvest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ackaged in a packaging material by a user (or a separately provided packaging device), for example. Here, the packaging material may be, for example, a zipper bag,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ackaging material is a member capable of packaging (eg, airtight packaging) of harvested crops (real crops) such as a zipper bag, disposable vinyl, packaging container, disposable container, etc. Anything can be applied.

또한, 앞서 말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한 쌍의 QR 코드(50)는, 복수개의 작물 배드(20)에서 재배되는 실물 작물들 중 수확이 이루어진 수확 실물 작물마다 부여되는 것으로서, 본 시스템(1)에는 수확된 수확 실물 작물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한 쌍의 QR 코드(50)가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QR codes 50 are assigned to each crop harvested among real crops grown in a plurality of crop beds 20, and in this system 1 A pair of QR codes 50 may be provided in the same number as the number of actual harvested crops.

이하에서는, 상술한 step4에서 작물 DB(14)가 구축된 이후의 본 시스템(1)의 동작 과정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즉, 한 쌍의 QR 코드(50)의 구체적인 활용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ng process of the present system 1 after the crop DB 14 is constructed in step 4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at is, a specific utilization method of a pair of QR codes 50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step4에서 작물 DB(14)가 구축된 이후,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자동 수집 장치(30)는 실물 작물들의 생육 기간 중에 매일매일 실물 작물들을 촬영하고, 촬영에 의해 생성된 작물 영상을 본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작물 관리부(15)는 일예로 자동 수집 장치(30)로부터 매일 수집(획득)되는 작물 영상들(즉, 추가로 수집되는 추가 작물 영상들)에 대하여 영상 분석을 통해 영상 내 작물들의 개별 작물 ID를 식별하고, 식별된 개별 작물 ID 정보를 고려하여 수집된 작물 영상들을 해당 작물 영상과 관련된 개별 DB에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After the crop DB 14 is built in step 4, as described above, the automatic collection device 30 photographs the actual crops every day during the growing period of the actual crops, and the device 10 that views the crop image generated by the photographing can be sent to At this time, for example, the crop management unit 15 performs image analysis on crop images collected (obtained) daily from the automatic collection device 30 (ie, additional crop images additionally collected), and individual crops of the crops in the image.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ID and store and manage crop images col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identified individual crop ID information in an individual DB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crop image.

이때,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예로 사용자는 복수개의 작물 배드(20)에서 재배되는 실물 작물들의 생육 상태를 확인하고, 이들 실물 작물들 중 수확이 필요한 실물 작물을 수확 실물 작물로서 수확할 수 있다(step5). 이때, step5에서 실물 작물들 중 어느 하나의 실물 작물인 제1 실물 작물이 수확되었다고 하자. 이러한 수확된 제1 실물 작물은 제1 수확 실물 작물이라는 용어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5, for example, the user checks the growth state of real crops grown in the plurality of crop beds 20, and harvests real crops that need to be harvested among these real crops as real crops. can (step 5). At this time, it is assumed that a first real crop, which is one of the real crops, is harvested in step 5. This harvested first physical crop may be otherwise referred to by the term first harvested physical crop.

step5에서 제1 실물 작물이 수확되고 나면, 이후 사용자는 한 쌍의 QR 코드(50)를 준비한 후 제1 실물 작물을 수확한 작물 배드 상의 위치(즉, 제1 수확 실물 작물의 수확이 이루어진 작물 배드 상의 위치)에 한 쌍의 QR 코드(50)(51, 52) 중 어느 한 QR 코드인 제1 QR 코드(51)를 부착시키고(step6), 이후 수확한 제1 실물 작물인 제1 수확 실물 작물을 포장재(일예로 지퍼백)에 넣어 포장한 후 포장재의 외면 일영역에 한 쌍의 QR 코드(50)(51, 52) 중 나머지 QR 코드인 제2 QR 코드(52)를 부착시킬 수 있다(step7). 이때, step6과 step7 은 서로 간에 순서를 바꾸어 수행(진행)될 수도 있다.After the first real crop is harvested in step 5, the user then prepares a pair of QR codes 50, and then the location on the crop bed where the first real crop is harvested (ie, the crop bed where the first harvested real crop is harvested) The first QR code 51, which is one of the pair of QR codes 50 (51, 52), is attached to (step 6), and the first harvested real crop, which is the first real crop harvested thereafter, After packaging in a packaging material (for example, a zipper bag), a second QR code 52, which is the remaining QR code among the pair of QR codes 50, 51 and 52, may be attached to one area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ackaging material (step 7 ). At this time, steps 6 and 7 may be performed (progressed) by changing the order of each other.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 step7의 과정이 수행된 이후 자동 수집 장치(30)는, 제1 QR 코드(51)가 부착되어 있는 작물 배드에서 재배되는 실물 작물들의 적어도 일부를 추가로(신규로) 촬영하고, 추가 촬영에 의해 생성된 신규한 작물 영상을 추가 작물 영상으로서 생성하여 본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자동 수집 장치(30)는 제1 QR 코드(51)가 부착되어 있는 작물 배드의 일영역에 부착되어 있는 배드 식별용 태그를 리더기(미도시)로 인식함으로써 해당 작물 배드의 식별정보를 획득한 후, 획득된 작물 배드의 식별정보가 포함된 추가 작물 영상을 본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Next, referring to FIG. 6, after the process of step 7 is performed, the automatic collection device 30 additionally (newly) at least some of the real crops grown in the crop bed to which the first QR code 51 is attached. ), and a new crop image generated by additional shooting may be generated as an additional crop image and transmitted to the device 10 . At this time, the automatic collection device 30 acquir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rop bed by recognizing the tag for identification of the bed attached to one area of the crop bed to which the first QR code 51 is attached with a reader (not shown). After that, an additional crop image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cquired crop bed may be transmitted to the device 10 .

이후, 분석부(13)는 제1 QR 코드(51)의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는 추가 작물 영상이 자동 수집 장치(30)로부터 수집(수신)되면, 수집된 추가 작물 영상에 대한 영상 분석을 통해 제1 QR 코드(51)의 부착 위치(즉, 작물 배드 상에서의 QR 코드가 부착된 행/열 정보)를 식별하고, 식별된 제1 QR 코드(51)의 부착 위치를 제1 수확 실물 작물이 수확된 위치(즉, 제1 수확 실물 작물이 수확되기 전 재배되었던 작물 배드 상에서의 재배 위치)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작물 관리부(15)는 분석부(13)에서 식별된 제1 QR 코드(51)의 부착 위치를 기반으로, 작물 DB(14)에 저장된 영상 내 작물들의 정보 중 제1 QR 코드(51)의 부착 위치에 대응되는 개별 작물 ID 정보를 가진 영상 내 작물의 정보를 QR 대응 영상 내 작물의 정보로서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QR 대응 영상 내 작물의 정보를 사용자(재배사)에 의해 실제 수확이 이루어진 수확 실물 작물의 정보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1 QR 코드(51)에 기 저장된 URL 정보를 상기 식별된 QR 대응 영상 내 작물의 정보 내에 더 포함(연계)시켜 작물 DB(14)에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step8).Thereafter, when the additional crop image including the image of the first QR code 51 is collected (received) from the automatic collection device 30, the analyzer 13 analyzes the image of the collected additional crop image. 1 Identify the attachment location of the QR code 51 (ie, row/column information to which the QR code is attached on the crop bed), and identify the attachment location of the identified first QR code 51 to harvest the first harvest real crop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location (ie, the cultivation location on the crop bed where the first crop was grown before harvesting). Thereafter, the crop management unit 15 determines the first QR code 51 among information on crops in the image stored in the crop DB 14 based on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first QR code 51 identified by the analysis unit 13. The crop information in the image having the individual crop I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crop is identified as crop information in the QR-corresponding image, and the crop information in the identified QR-corresponding image is actually harvested by the user (grower). It is determined that the information is of a real harvested crop, and the URL information pre-stored in the first QR code 51 is further included (linked) in the information of the crop in the identified QR corresponding image to be stored and managed in the crop DB 14. You can (step 8).

즉, step8에서 분석부(13)는, 추가 작물 영상 내에 포함되어 있는 제1 QR 코드(51)의 부착 위치의 식별함으로써, 이를 통해 제1 QR 코드(51)가 부착된 해당 위치에서 수확된 제1 수확 실물 작물의 수확 위치(즉, 제1 수확 실물 작물이 재배되었던 재배 위치)를 식별(인식)할 수 있고, 이후 작물 관리부(15)는 추가 작물 영상에서 영상 분석을 통해 인식된 제1 QR 코드(51)의 URL 정보를, 작물 DB(14)에 저장된 영상 내 작물들의 정보 중 식별된 제1 QR 코드(51)의 부착 위치(혹은 식별된 제1 수확 실물 작물의 수확 위치)에 대응하는 개별 작물 ID 정보를 가진 영상 내 작물의 정보에 연계시켜 저장할 수 있다. That is, in step 8, the analysis unit 13 identifies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first QR code 51 included in the additional crop image, and through this, the first QR code 51 harvest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is attached. After identifying (recognizing) the harvesting location of the actual harvested crop (that is, the cultivation location where the first harvested actual crop was grown), the crop management unit 15 then analyzes the image of the additional crop image and recognizes the first QR. The URL information of the code 51 corresponds to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identified first QR code 51 among the information on crops in the image stored in the crop DB 14 (or the harvest position of the identified first harvest real crop) It can be stored in association with crop information in images having individual crop ID information.

이후, 사용자는 포장재에 포장된 제1 수확 실물 작물을 포장재로부터 꺼낸 후 제1 수확 실물 작물의 생육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step9). 이후, 사용자는 측정된 제1 수확 실물 작물의 생육정보를 본 장치(10)의 작물 DB(14)에 기록(저장)하기 위해, 제1 수확 실물 작물이 포장되어 있던 포장재의 외면에 부착되어 있던 제2 QR 코드(52)를 자신이 소지한 사용자 단말(40)로 촬영함으로써 제2 QR 코드(52)에 포함된 URL에 대응하는 웹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step10). 즉, 사용자 단말(40)은 사용자에 의해 제2 QR 코드(52)의 촬영이 이루어지면, 촬영된 제2 QR 코드(52)의 URL 정보에 대응되는 웹페이지를 사용자 단말(40)의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user can measure the growth information of the first harvest real crops after taking the first harvest real crops packed in the packaging material out of the packaging material (step 9). Then, in order to record (save) the measured growth information of the actual crop of the first harvest in the crop DB 14 of the apparatus 10, the user may use the material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ackaging material in which the actual crop of the first harvest was wrapped. By photographing the second QR code 52 with the user terminal 40 possessed by the user, it is possible to access a web page corresponding to the URL included in the second QR code 52 (step 10). That is, when the user terminal 40 captures the second QR code 52 by the user, the web page corresponding to the URL information of the captured second QR code 52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40. can be displayed on

이후, 사용자는 step9에서 측정된 제1 수확 실물 작물의 생육정보를 사용자 단말(40)의 화면에 표시된 웹페이지에 입력(기입)할 수 있다(step11). 이후, 사용자 단말(40)에서 저장완료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클릭 입력이 이루어지면, 사용자 단말(40)은 웹페이지에서 입력된 제1 수확 실물 작물의 생육정보를 본 장치(10)에 업로드할 수 있다.Thereafter, the user may input (write) the growth information of the actual crop of the first harvest measured in step 9 into the web pag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40 (step 11). Thereafter, when the user clicks input on the storage completion button in the user terminal 40, the user terminal 40 can upload the growth information of the actual crop of the first harvest input from the web page to the device 10. there is.

이후, 작물 관리부(15)는, 사용자 단말(40)로부터 업로드된 생육정보(제1 수확 실물 작물의 생육정보)를 해당 개별 작물 ID정보에 연계시켜 작물 DB(14)에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step12). 즉, step12 에서 작물 관리부(15)는, 사용자 단말(40)로부터 제1 수확 실물 작물의 생육정보가 업로드되면, 작물 DB(14) 내에서(즉, 작물 DB에 저장된 영상 내 작물들의 정보 중에서) 업로드된 제1 수확 실물 작물의 생육정보의 입력이 이루어진 상기 웹페이지에 대응하는 URL 정보(즉, 제2 QR 코드(52)의 URL 정보)와 매칭되는 매칭 URL 정보(즉, 제1 QR 코드(51)의 URL 정보)를 가진 영상 내 작물의 정보(즉, 제1 수확 실물 작물의 개별 작물 ID 정보에 대응되는 영상 내 작물의 정보)를 식별한 후, 식별된 영상 내 작물의 정보에 업로드된 제1 수확 실물 작물의 생육정보를 함께 연계시켜 작물 DB(14)에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Thereafter, the crop management unit 15 may store and manage the growth information uploaded from the user terminal 40 (growth information of the actual crop of the first harvest) in the crop DB 14 by linking it to the corresponding individual crop ID information. (step12). That is, in step 12, the crop management unit 15, when the growth information of the first harvest real crop is uploaded from the user terminal 40, in the crop DB 14 (ie, among the information of crops in the image stored in the crop DB) Matching URL information (that is, the first QR code (that is, the first QR code (that is, the first QR code After identifying the information of the crop in the image (that is, the information of the crop in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individual crop ID information of the first harvest real crop) having the URL information of 51), uploaded to the information of the crop in the identified image The growth information of the actual crops of the first harvest may be stored and managed in the crop DB 14 by linking them together.

이에 따르면, 한 쌍의 QR 코드(50)(51, 52)의 활용에 의해, 본 장치(10)는 사용자가 수확된 실물 작물에 대한 생육정보를 사용자 단말(40)을 이용한 제2 QR 코드(52)의 인식에 기반하여 손쉽게 기입 가능하도록 하고, 나아가 기입된 생육정보가 본 장치(10)의 작물 DB(14) 내에 자동으로 기록(저장)되고 데이터베이스화되어 관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by utilizing a pair of QR codes 50 (51, 52), the device 10 transmits the growth information on the real crops harvested by the user to the second QR code using the user terminal 40 ( 52), and furthermore, the entered growth information can be automatically recorded (saved) in the crop DB 14 of the present device 10 and converted into a database so that it can be managed.

제어부(16)는 본 장치(10)에 포함된 각 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16)는 본 장치(10)와 네트워크(2)를 통해 연동된 자동 수집 장치(3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본 장치(10)와 네트워크(2)를 통해 연동된 사용자 단말(40)의 작동(일예로 화면 표시)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6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each unit included in the device 10 .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6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collection device 30 interlocked with the device 10 through the network 2, and interlocked with the device 10 through the network 2.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40 (for example, screen display) may be controlled.

다시 말하자면, 본 시스템(1)에서는, 자동 수집 장치(30)가 RFID를 이용해 작물 배드를 인식하고, 이후 자동 수집 장치(30)가 이동하면서 작물 영상(일예로 동영상 혹은 이미지)을 촬영하여 본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작물 영상은 RGB, Depth, 초분광, 및 열화상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영상(이미지)일 수 있다.In other words, in the present system 1, the automatic collection device 30 recognizes the crop bed using RFID, and then the automatic collection device 30 takes a crop image (eg, a video or image) while moving, and the device (10) can be sent. In this case, the crop image may be an image (image) related to at least one of RGB, depth, hyperspectral, and thermal images.

이후, 수집부(11)는 자동 수집 장치(30)로부터 수집한 작물 영상을 영상 DB(12)에 저장할 수 있고, 일예로 수집한 작물 영상이 동영상인 경우, 동영상에서 일정 간격으로 키프레임을 추출하여 영상 DB(12)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 분석부(13)는 영상 DB(12)에 저장된 작물 영상들(달리 표현하면, 복수의 키프레임)에서 인접한 작물 영상끼리(즉, 인접한 키프레임끼리) 특징점을 추출한 후 비교하고 영상 정합을 수행함으로써, 복수개의 작물 배드(20) 각각에 대하여 한 개의 모자이크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모자이크 이미지는 상술한 통합 작물 영상 데이터라는 용어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즉, 분석부(13)는 특징점 추출 후 비교 및 영상 정합 등의 전처리(영상 전처리 과정)를 통해, 작물 배드별로 1개의 모자이크 이미지(즉, 통합 작물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복수개의 작물 배드(20) 각각에서는, 가로 200개와 세로 6개에 해당하는 1200개의 실물 작물들이 재배될 수 있다.Thereafter, the collection unit 11 may store crop images collected from the automatic collection device 30 in the image DB 12, and for example, when the collected crop images are videos, key frames are extracted from the videos at regular intervals. and stored in the image DB 12. Thereafter, the analysis unit 13 extracts feature points from adjacent crop images (ie, adjacent key frames) from the crop images stored in the image DB 12 (in other words, a plurality of key frames), compares them, and performs image matching. By performing this, it is possible to generate one mosaic imag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crop beds 20 . Here, the mosaic image may be otherwise referred to as the above-described integrated crop image data. That is, the analysis unit 13 may generate one mosaic image (ie, integrated crop image data) for each crop bed through preprocessing (image preprocessing process) such as comparison and image matching after feature point extraction. Illustratively, in each of the plurality of crop beds 20, 1200 actual crops corresponding to 200 horizontally and 6 vertically may be cultivated.

분석부(13)는 작물 배드별 통합 작물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딥러닝 모델의 적용 및 영상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작물 배드별 통합 작물 영상 데이터 내 작물들(즉, 영상 내 작물들) 각각을 개별 인식(식별)할 수 있다. 이때, 딥러닝 모델의 적용 및 영상 처리의 적용에 의해, 작물 배드별 통합 작물 영상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작물들(영상 내 작물들) 각각에 대한 행/열 정보가 식별(인식)될 수 있고, 이는 도 3에서의 step3에 대응하는 이미지와 같은 모습일 수 있다. 즉, 딥러닝 모델의 적용에 의한 통합 작물 영상 데이터에서의 개별 작물들의 작물 행과 열의 인식 결과 화면은 도 3의 step3에 도시된 이미지와 같은 화면일 수 있다. 이후, 작물 관리부(15)는 개별 인식된 영상 내 작물들 각각마다 개별 작물 ID를 부여(즉, 개별 작물별 ID를 부여)할 수 있다.The analysis unit 13 individually recognizes each of the crops (ie, crops in the image) in the integrated crop image data for each crop bed by applying a deep learning model and performing image processing on the integrated crop image data for each crop bed ( can be identified). At this time, by applying a deep learning model and applying image processing, row/column information for each of the crops (crops in the image) included in the integrated crop image data for each crop bed can be identified (recognized), This may be the same as the image corresponding to step 3 in FIG. 3 . That is, the screen as a result of recognizing rows and columns of individual crops in the integrated crop image data by applying the deep learning model may be the same as the image shown in step 3 of FIG. 3 . Thereafter, the crop management unit 15 may assign an individual crop ID to each of the crops in the individually recognized image (ie, assign an ID for each individual crop).

상술한 본 발명의 일예에서는, 자동 수집 장치(30)가 작물 영상을 촬영해 본 장치(10)로 전송하면, 본 장치(10)가 '작물 영상을 기반으로 특징점 비교, 영상 정합, 통합 작물 영상 데이터의 생성, 개별 작물 ID 부여'의 과정을 처리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일예로, 본 장치(10)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예시한 상술한 '작물 영상을 기반으로 특징점 비교, 영상 정합, 통합 작물 영상 데이터의 생성, 개별 작물 ID 부여'의 과정은 자동 수집 장치(30)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이러한 경우 자동 수집 장치(30)가 개별 작물 ID가 부여된 영상 내 작물들 각각에 대한 정보(즉, 영상 내 작물들의 정보)를 본 장치(10)로 전송하면 이를 작물 관리부(15)가 해당 정보를 작물 DB(14)에 바로 저장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utomatic collection device 30 captures a crop image and transmits it to the device 10, the device 10 performs 'comparison of feature points based on the crop image, image matching, and integrated crop image' Although the process of generating data and assigning individual crop IDs has been exemplified as processing, this is only an example to help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As another example, the process of 'comparison of feature points based on crop images, image matching, generation of integrated crop image data, and assignment of individual crop IDs', which is exemplified by the apparatus 10, is carried out by the automatic collection device 30 In this case, when the automatic collection device 30 transmits information on each of the crops in the image to which individual crop IDs have been assigned (ie, information on crops in the image) to the device 10, it is transmitted to the crop management unit ( 15) may directly store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in the crop DB 14.

앞서 말한 바와 같이, 본 장치(10) 내 작물 DB(14)에는 개별 작물 ID 별로 개별 DB가 구축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장치(10)는 실물 작물의 생육 기간 중에 매일 자동 수집 장치(30)를 통해 수집되는 작물 영상 등의 데이터를 시계열적으로 획득하여 작물 DB(14)에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본 장치(10)는 개별 작물 ID를 기준으로 데이터들을 구축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in the crop DB 14 in the apparatus 10, individual DBs may be built for each individual crop ID. In addition, the apparatus 10 may obtain time-sequentially data such as crop images collected through the automatic collection device 30 every day during the growth period of real crops, store them in the crop DB 14, and manage them. The apparatus 10 may build data based on individual crop IDs.

사용자는 실물 작물들에 대한 작물들의 생육 상태를 고려하여, 작물의 생육별로 수확할 작물을 임의로 선택한 후 수확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한 쌍의 QR 코드(50) 스티커를 준비하고, 한 쌍의 QR 코드(50)(51, 52) 중 제1 QR 코드(51)를 실물 작물을 수확한 부분에 부착시키고, 이후 수확한 실물 작물을 포장재(일예로 지퍼백)에 넣은 뒤 나머지 한 QR 코드인 제2 QR 코드(52)를 포장재의 외면에 부착시킬 수 있다.The user may select crops to be harvested for each growth of the crops at random in consideration of the growth conditions of actual crops, and then harvest the crops. Then, the user prepares a pair of QR code 50 stickers, attaches the first QR code 51 of the pair of QR codes 50, 51, 52 to the harvested part of the real crop, and then After putting the harvested real crop into a packaging material (for example, a zipper bag), the second QR code 52, which is the remaining QR code, may be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ackaging material.

이후, 자동 수집 장치(30)는 자동 수집 장치(30)에서 제1 QR 코드(51)를 인식하여 수확된 실물 작물의 위치를 인식하고, 관련 정보(일예로 제1 QR 코드(51)의 URL 정보)를 본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본 장치(10)는 자동 수집 장치(30)로부터 획득한 관련 정보를 작물 DB(14)에 더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Thereafter, the automatic collection device 30 recognizes the first QR code 51 in the automatic collection device 30 to recognize the location of the harvested real crop, and provides related information (eg URL of the first QR code 51). information) to the device 10. Thereafter, the device 10 may further store and manage related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automatic collection device 30 in the crop DB 14 .

이후, 재배사는 포장재에 담긴 작물을 꺼낸 뒤 생육정보를 측정하고, 사용자 단말(40)로 포장재에 부착된 제2 QR 코드(52)를 촬영하여 그에 대응하는 웹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웹페이지에서 생육정보를 기입한 후 업로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작물 관리부(15)는 업로드된 생육정보를 작물 DB(14) 내에서 해당 생육정보에 대응되는 작물(즉, 수확 실물 작물)의 개별 작물 ID에 연계시켜 더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Thereafter, the grower can take out the crop contained in the packaging material, measure the growth information, photograph the second QR code 52 attached to the packaging material with the user terminal 40, and access the corresponding web page. Then, the user can fill in the growth information on the web page and then upload it, and through this, the crop management unit 15 transmits the uploaded growth information to the crop DB 14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growth information (i.e., the actual harvested product). Crops) can be further stored and managed by linking them to individual crop IDs.

이러한 본 시스템(1)은 온실 작물 관리 시스템으로서, 온실 작물 데이터 수집 시스템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This present system 1 is a greenhouse crop management system, and may be otherwise referred to as a greenhouse crop data collection system.

본 시스템(1) 및 본 장치(10)는, 상업 농가에서 다양한 영상 센서(31)를 활용해 작물 영상을 자동으로 수집하면서, 작물별(실물 작물별)로 개별 ID를 자동으로 부여하고, 이후 개별 ID가 부여된 실물 작물들 각각마다, 사용자(재배사)가 직접 측정한 수동 데이터인 생육정보를 손쉽게 작물 DB(14)에 저장되도록 하면서 특히나 관련 영상들(작물 영상 또는 통합 작물 영상 데이터)이 함께 결합(연계)된 상태로 저장되고 관리되도록 할 수 있다.This system 1 and this device 10 automatically collect crop images using various image sensors 31 in commercial farms, automatically assign individual IDs for each crop (by actual crop), and then For each of the actual crops to which individual IDs have been assigned, the growth information, which is manually measured by the user (the grower), is easily stored in the crop DB 14, especially with related images (crop image or integrated crop image data). It can be stored and managed in a combined (associated) state.

본 발명에서, 자동 수집 장치(30)에서 촬영되는 작물 영상은, 다양한 센서(영상 센서)로 촬영된 영상(이미지)로서, 일예로 RGB, depth, 초분광, 열화상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p image captured by the automatic collection device 30 is an image (image) captured by various sensors (image sensor), and may be, for example, at least one of RGB, depth, hyperspectral, and thermal images. there is.

또한, 본 발명에서 작물 DB(14)에 저장되는 생육정보는, 사용자(재배사)가 직접 실물 작물을 수확하여 생육정보를 측정한 후 사용자 단말(40)을 통해 직접 수동으로 입력함으로써 획득되는 데이터(즉, 수동 데이터)일 수 있다. 이러한 생육정보에는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작물(실물 작물)의 생체중, 건물중, 잎면적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rowth information stored in the crop DB 14 is obtained by a user (grower) directly harvesting a real crop, measuring the growth information, and then manually inputting the data through the user terminal 40 ( That is, manual data). As described above, such growth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live weight, dry weight, and leaf area of crops (actual crops).

본 시스템(1)에서 고려되는 온실 내부에는 여러 배드(즉, 복수개의 작물 배드(20))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각 작물 배드에는, 수십에서 수백개의 작물들(실물 작물들)이 수용/재배 될 수 있다. Several beds (that is, a plurality of crop beds 20) may be provided inside the greenhouse considered in this system 1, and in each crop bed, tens to hundreds of crops (actual crops) are accommodated/cultivated. It can be.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자동 수집 장치(30)는 갠트리시스템(Gantry system)이거나 모바일 로봇일 수 있고, 작물 영상을 촬영해 수집할 수 있다. 자동 수집 장치(30)는 제어부(16)에 의한 자동제어를 통해 온실 내에 여러 위치를 이동하면서 데이터(작물 영상)를 수집할 수 있다. 배드별로 RFID가 미리 부착되어 있을 수 있으며, 자동 수집 장치(30)는 이동하면서 RFID의 인식을 통해 각 배드의 고유 식별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utomatic collecting device 30 may be a gantry system or a mobile robot, and may capture and collect crop images. The automatic collection device 30 may collect data (crop images) while moving to various locations within the greenhouse through automatic control by the controller 16. RFID may be previously attached to each bed, and the automatic collection device 30 may recogniz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bed through RFID recognition while moving.

본 시스템(1)에서 자동 수집 장치(30)는, 일예로 온실 내 작물들(실물 작물들)에 대하여 자동으로 ID(즉, 개별 작물 ID)를 부여하면서 시계열로 작물 영상을 촬영해 획득(수집)할 수 있다. 또한, 자동 수집 장치(30)는 여러 배드를 이동하면서 작물 영상을 수집할 수 있고, 각 배드에 기 부착된 RFID의 인식을 통해 해당 배드의 식별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자동 수집 장치(30)는 일예로 작물 영상(일예로 동영상)을 촬영한 후, 촬영된 작물 영상에서 특정 프레임을 뽑아 영상 정합(Image registration)을 통해 배드별로 하나의 모자이크 이미지(즉, 통합 작물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해당 모자이크 이미지에 대한 영상 분석(딥러닝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영상 내 작물들 각각마다(즉, 실물 작물들 각각마다) 개별 작물 ID를 자동으로 부여할 수 있다. 이후, 자동 수집 장치(30)는 영상 처리(또는 딥러닝 분석)을 통해 영상 내 작물들의 식별(개별 인식) 및 개별 작물 ID의 부여를 완료하고 나면, 각각의 작물들(즉, 영상 내 작물들 각각 혹은 실물 작물들 각각)이 어떠한 배드 내에서 어느 지점(행/열)에 위치해 있는지 판단(식별, 파악)할 수 있다.In this system 1, the automatic collection device 30, for example, captures (collects) images of crops in time series while automatically assigning IDs (ie, individual crop IDs) to crops (actual crops) in the greenhouse. )can do. In addition, the automatic collection device 30 may collect crop images while moving several beds, and recogniz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bed through the recognition of the RFID previously attached to each bed. In addition, the automatic collection device 30 takes, for example, a crop image (eg, a video), and then extracts a specific frame from the captured crop image and creates a mosaic image (ie, integration) for each bed through image registration. By generating crop image data) and performing image analysis (deep learning analysis) on the mosaic image, an individual crop ID can be automatically assigned to each crop in the image (ie, each real crop). Thereafter, after the automatic collection device 30 completes identification (individual recognition) of crops in the image through image processing (or deep learning analysis) and assignment of individual crop IDs, each crop (ie, crops in the image) Each or each of the actual crops) can be determined (identified, grasped) at which point (row/column) within which bed.

또한, 자동 수집 장치(30)는, 사용자(재배사)가 특정 실물 작물을 수확한 후 부착해 놓은 QR 코드(즉 제1 QR 코드(51))를 영상 센서(31)를 통해 촬영한 추가 작물 영상의 영상 분석을 통해 인식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어떠한 개별 작물 ID를 가진 실물 작물이 수확되었는지를 자동으로 식별(인식, 판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utomatic collection device 30 captures additional crop images through the image sensor 31 of the QR code (ie, the first QR code 51) attached by the user (the grower) after harvesting a specific real crop. It can be recognized through image analysis of the image,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identify (recognize, discriminate) which actual crops with individual crop IDs have been harvested.

본 장치(10)는, 사용자(재배사)가 임의의 실물 작물을 수확한 후 수확된 실물 작물에 대하여 입력한 수동 데이터(수동으로 입력된 생육정보, 특히 측정된 생육정보)를 사용자 단말(40)로부터 수집하여 작물 DB(14)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본 장치(10)는, 사용자가 측정된 생육정보를 기입함에 있어서, 측정된 생육정보에 대응하는 수확 실물 작물에게 부여된 개별 작물 ID가 무엇인지를 따로 신경 쓸 필요 없이, 해당 개별 작물 ID가 무엇인지 신경쓰지 않고도 해당 작물(수확 실물 작물)의 생육정보를 QR 코드(특히 제2 QR 코드(52))의 촬영을 통해 손쉽게 작물 DB(14)에 업로드하여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The apparatus 10 transmits manual data (manually inputted growth information, in particular, measured growth information) entered by a user (grower) after harvesting a real crop to the user terminal 40. It can be collected from and stored in the crop DB 14. At this time, when the user enters the measured growth information, the device 10 does not need to separately care about the individual crop ID given to the harvested actual crop corresponding to the measured growth information, and the individual crop ID It is possible to easily upload and store the growth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crop (harvested actual crop) to the crop DB 14 by photographing the QR code (particularly, the second QR code 52) without worrying about what is.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 QR 코드는 스티커 형태로 마련되고, 같은 내용(즉, 같은 URL 정보)을 포함하도록 2장씩 1쌍으로 구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한 쌍의 QR 코드(50)(51, 52)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QR 코드(50)는 한 쌍의 QR 코드 스티커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QR codes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stickers, and configured in pairs of two to include the same content (ie, the same URL information).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QR codes 50, 51 and 52 may be provided. Such a pair of QR codes 50 may be otherwise referred to as a pair of QR code stickers or the like.

사용자(재배사)는, 수동으로 생육정보를 측정할 작물(실물 작물)을 선택해 수확한 후, 한 쌍의 QR 코드(50) 중 한장의 QR 코드(즉, 제1 QR 코드(51))를 수확한 자리(즉, 작물 배드 상의 수확 위치)에 붙이고, 나머지 한장의 QR 코드(즉, 제2 QR 코드(52))를 수확한 작물을 담은 포장재(일예로, 지퍼백, 비닐봉투 등)에 부착할 수 있다. 사용자(재배사)는 수확한 작물의 생육정보를 측정하고 사용자 단말(40)을 이용해 제2 QR 코드(52)를 찍어 해당 정보(측정된 생육정보)를 입력(기입)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제2 QR 코드(52)를 사용자 단말(40)로 촬영하면, 이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40)은 서버로 연결되고 사용자 단말(40)의 화면에는 생육정보의 기입을 위한 웹페이지(즉, 제2 QR 코드 내 URL 정보에 대응하는 웹페이지)가 표시(노출)될 수 있다. The user (grower) manually selects and harvests the crop (actual crop) whose growth information is to be measured, and then harvests one QR code (ie, the first QR code 51) of the pair of QR codes 50. It is attached to one spot (ie, the harvesting position on the crop bed), and the remaining QR code (ie, the second QR code 52) is attached to the packaging material (eg, zipper bag, plastic bag, etc.) containing the harvested crop. can The user (grower) may measure the growth information of the harvested crop and input (write)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measured growth information) by taking a second QR code 52 using the user terminal 40 . At this time, when the user captures the second QR code 52 with the user terminal 40, in response to this, the user terminal 40 is connected to the server and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40 displays a web page for writing growth information. (That is, a web page corresponding to URL information in the second QR code) may be displayed (exposed).

자동 수집 장치(30)가 작물 배드(20)에 부착되어 있는 QR 코드(즉 제1 QR 코드)를 이미 인식하였으므로, 본 장치(10)는 사용자가 수확된 실물 작물에게 부여된 ID(개별 작물 ID)가 무엇인지 신경 쓸 필요 없이 사용자 단말(40)의 화면에 표시된 웹페이지에서 측정된 생육정보를 기입하여 저장완료 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이에 응답하여 수확된 실물 작물에 대하여 사용자가 수동으로 입력한 데이터(즉,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생육정보)가, 작물 DB(14) 내에서 해당 관련 작물(즉, 수확된 실물 작물)의 개별 작물 ID에 자동으로 연계되어 저장(기록)되고 관리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본 장치(10)는 사용자가 저장완료 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사용자가 입력한 생육정보가, 작물 DB(14) 내에서도 특히나 해당 관련 작물의 개별 작물 ID에 대응하도록 생성된 개별 DB(즉, 수확된 실물 작물의 개별 DB) 내에 자동으로 연계되어 저장(기록)되도록 할 수 있다.Since the automatic collection device 30 has already recognized the QR code (ie, the first QR code) attached to the crop bed 20, the device 10 determines the ID (individual crop ID) assigned to the real crop harvested by the user. ), just fill in the growth information measured on the web pag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40 and press the save completion button without having to worry about what the user terminal 40 is. Data (i.e., growth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can be stored (recorded) and managed in the crop DB (14) by being automatically linked to the individual crop ID of the relevant crop (i.e., actual harvested crop). there is. In particular, in the apparatus 10, when the user presses the storage completion button, the growth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is stored in an individual DB (i.e., It can be automatically linked and stored (recorded) in individual DB) of actual harvested crops.

이러한 본 시스템(1) 및 본 장치(10)는, 사용자가 특정 작물을 수확하여 수확된 작물의 정보를 기록하고 관리함에 있어서 수고로움(번거로움) 없이 빠르고 효율적으로 작물 정보의 기록 및 관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0)는 다음과 같은 기능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This system 1 and this device 10 enable the user to record and manage crop information quickly and efficiently without the hassle (convenience) of harvesting a specific crop and recording and managing the harvested crop information. can make it In addition, the device 10 may provide the following functions.

일예로, 앞선 일예에서는 제어부(16)가, 사용자 단말(40)에서 제2 QR 코드(52)의 촬영이 이루어진 경우, 제2 QR 코드(52)에 저장된 URL 정보에 대응하는 웹페이지를 사용자 단말(40)의 화면에 표시함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웹페이지를 통해 수확 실물 작물의 생육정보의 입력(기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는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일예로, 제어부(16)는 사용자 단말(40)에서 제2 QR 코드(52)의 촬영시에 사용자 단말(40)의 화면의 일영역에 마련된 정보 제공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이 이루어졌는지 여부에 따라, 사용자 단말(40)의 화면에 표시(노출)되는 데이터의 종류를 달리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previous example, when the second QR code 52 is photographed in the user terminal 40, the control unit 16 sends a web page corresponding to the URL information stored in the second QR code 52 to the user terminal. As displayed on the screen of (40), it is exemplified that the user can input (write) the growth information of the harvested real crop through the web page, but this is not limited thereto. 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 unit 16 determines whether the user's selection input for the information providing button provided in one area of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40 is made when the second QR code 52 is captured by the user terminal 40.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type of data displayed (expos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40 may be differently controlled.

구체적으로, 제어부(16)는 사용자 단말(40)에서 QR 코드 인식 모드(즉, 카메라 활성 ON 상태)일 때, 사용자 단말(40)의 화면의 일영역에 정보 제공 버튼을 표시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roller 16 may display an information providing button on one area of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40 when the user terminal 40 is in a QR code recognition mode (ie, camera activation state).

이때, 제어부(16)는 사용자 단말(40)에서 정보 제공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클릭) 입력 없이 제2 QR 코드(52)의 촬영이 이루어진 경우, 이를 생육정보의 입력(기입)을 요청하는 신호로 인식하여, 제2 QR 코드(52)에 저장된 URL 정보에 대응하는 웹페이지를 사용자 단말(4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포장재 내 수확 실물 작물에 대하여 측정된 생육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6 requests input (write) of growth information when the second QR code 52 is photographed without the user's selection (click) input for the information providing button in the user terminal 40. Recognized as a signal, a web page corresponding to the URL information stored in the second QR code 52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40, and through this, input of growth information measured for the actual harvested crop in the packaging material can make this possible.

반면, 제어부(16)는 사용자 단말(40)에서 정보 제공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클릭) 입력 후 제2 QR 코드(52)의 촬영이 이루어진 경우, 이를 작물 DB(14)에 저장된 정보들(영상 내 작물들의 정보) 중에서 제2 QR 코드(52)가 부착된 포장재에 담긴 수확 실물 작물과 관련하여 기록된 모든 정보(즉, 해당 수확 실물 작물의 정보)의 제공을 요청하는 신호로 인식하여, 작물 DB(14) 내에서 상기 제2 QR 코드(52)의 URL 정보와 매칭되는 매칭 URL 정보를 가진 영상 내 작물의 정보(즉, 수확 실물 작물의 개별 작물 ID 정보에 연계되어 저장된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40)의 화면에 표시(노출)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수확 실물 작물에 대하여 저장된 기록들(일예로 생육정보나 영상 정보 등의 기록 히스토리 정보)을 보기 위해 별도로 본 장치(10)에 접속해 로그인하고 원하는 수확 실물 작물의 ID 를 직접 검색하여 확인하는 등의 번거로움 필요 없이, 간단히 정보 제공 버튼을 클릭한 후 제2 QR 코드(52)를 촬영하는 행위를 하는 것 만으로도, 작물 DB(14)에 저장된 수확 실물 작물에 관한 정보들(기록들)을 손쉽게 사용자 단말(40)(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로 제공받아 즉시 확인 가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second QR code 52 is photographed after the user selects (clicks) the information providing button in the user terminal 40, the control unit 16 converts it into information stored in the crop DB 14 ( Recognize it as a signal requesting the provision of all information recorded in relation to the actual harvested crop contained in the packaging material to which the second QR code 52 is attached (i.e., information on the actual harvested crop) among the information of the crops in the image), Extract information of the crop in the image having matching URL information that matches the URL information of the second QR code 52 in the crop DB 14 (ie, information stored in association with individual crop ID information of the actual harvested crop) It can be displayed (expos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40. According to this, the user separately accesses and logs in to the device 10 to view stored records (for example, record history information such as growth information or image information) of the actual crop to be harvested, and directly searches for the ID of the actual crop to be harvested. Without the hassle of confirming by simply clicking the information provision button and then taking a picture of the second QR code 52, the information about the harvested real crop stored in the crop DB 14 (record s) can be easily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40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and immediately checked.

즉, 제어부(16)는, 사용자 단말(40)에서 정보 제공 버튼의 클릭 없이 제2 QR 코드(52)가 촬영되면 생육정보 기입이 가능한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한편, 정보 제공 버튼의 클릭 후 제2 QR 코드(52)가 촬영되면 작물 DB(14)에 저장되어 있는 관련 수확 실물 작물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second QR code 52 is captured without clicking the information providing button in the user terminal 40, the control unit 16 provides a web page where growth information can be entered, while after clicking the information providing button, the second QR code 52 is provided. When the QR code 52 is photographed, information of the actual harvested crop stored in the crop DB 14 may be provided.

또한, 제어부(16)는 사용자가 자신이 재배하는 작물들(실물 작물들)의 생육 상태를 스스로 진단(체크,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생육진단 리스트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40)로 제공할 수 있다. 생육진단 리스트는 온라인 상에 수집된 작물 종류별 이상 상태 정보를 토대로 제어부(16)에 의해 기 생성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생육진단 리스트는 작물 종류별 질병이나 이상, 문제, 증상 등이 있는지를 사용자가 스스로 진단할 수 있도록 함에 있어서 확인(체크)이 필요한 항목들(문항들)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생육진단 리스트는 작물의 종류마다 각 작물의 특성에 맞추어 기 생성된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6 may generate a growth diagnosis list that allows the user to self-diagnose (check, check) the growth status of crops (actual crops) grown by the user, and provide the generated list to the user terminal 40. there is. The growth diagnosis list may be pre-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16 based on abnormal state information for each crop type collected online. Such a growth diagnosis list may refer to a list including items (questions) that need to be checked (checked) in order for the user to self-diagnose whether there is a disease, abnormality, problem, symptom, etc. for each crop type. Such a growth diagnosis list may be pre-genera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rop type.

이때, 사용자가 이러한 생육진단 리스트를 통해 자신이 재배하는 작물들(실물 작물들)의 현 상태 내지 이상 여부를 진단(체크)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진단 편의(즉, 자가 진단 결과의 도출 편의)를 위해, 제어부(16)는 생육진단 리스트를 다음과 같이 제공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diagnosing (checking) the current state or abnormality of the crops (actual crops) that the user cultivates through this growth diagnosis list, the user's diagnosis convenience (ie, the convenience of deriving self-diagnosis results) To this end, the controller 16 may provide a growth diagnosis list as follows.

사용자 단말(40)은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일예로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태블릿 PC, 노트북,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과 같이 휴대 가능한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user terminal 40 may be, for example, a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 smart pad, a tablet PC, a laptop computer, or a wearable device.

구체적으로, 제어부(16)는 사용자 단말(40)의 작동(일예로 화면 표시)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는 사용자 단말(40)에서 리스트 제공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일예로 화면의 일영역에 표시된 리스트 제공 버튼을 사용자가 클릭한 경우), 기 생성된 생육진단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40)의 화면에 표출시키되, 상기 표출시, 사용자 단말(40)의 화면액정 크기와 상기 생육진단 리스트 내 복수개의 항목의 항목 글자 개수를 고려하여, 상기 복수개의 항목 중 사용자 단말(40)의 한 화면에 노출되는 최대 항목의 개수를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어부(16)에 의해 제공되는 생육진단 리스트를 기반으로 재배하는 실물 작물들의 현 상태 내지 이상 여부를 스스로 진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6 may control the operation (for example, screen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40 .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6, when a list provision request is made from the user terminal 40 (for example, when the user clicks a list provision button displayed on one area of the screen), the controller 16 sends the previously generated growth diagnosis list to the user terminal 40. ) is displayed on the screen, but on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40 among the plurality of items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40 in consideration of the screen liquid crystal size of the user terminal 40 and the number of letters in the plurality of items in the growth diagnosis list. The maximum number of items exposed to can be adjusted differently. The user can self-diagnose the current state or abnormality of actual crops being cultivated based on the growth diagnosis list provided by the control unit 16 .

생육진단 리스트 내 항목의 정보(항목의 개수, 항목 내용 등)는 일예로 본 장치(10)를 관리하는 관리자에 의해 설정, 변경 및 관리될 수도 있다. 생육진단 리스트 내 항목은 진단 문항, 진단 점검문항, 진단항목 등의 용어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생육진단 리스트는 복수개의 항목(일예로 복수개의 질의 정보)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개의 항목으로서 예시적으로 ‘작물이 배추인 경우, 외면에 검은 반점이 분포해 있는가?’, ‘작물이 시금치인 경우, 시금치의 잎이 노란색을 띄는가?’ 등이 포함될 수 있다.Information on the items in the growth diagnosis list (number of items, content of items, etc.) may be set, changed, and managed by, for example, a manager who manages the apparatus 10 . Items in the growth diagnosis list may be referred to differently by terms such as diagnosis items, diagnosis check items, and diagnosis items. The growth diagnosis list may include a plurality of items (for example, a plurality of quality information), and as examples of the plurality of items, 'if the crop is cabbage, are there black spots distributed on the outer surface?', 'the crop is spinach In the case of , are the leaves of spinach yellow?'

이때, 제어부(16)는 생육진단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40)의 화면에 표출시킬 때(표시할 때), 사용자 단말(40)의 화면액정 크기가 제 1 기준에 속하면 생육진단 리스트를 제 1 표시방식으로 표시하고, 상기 화면액정 크기가 제 1 기준보다 큰 제 2 기준에 속하면 생육진단 리스트를 제 2 표시방식으로 표시하며, 상기 화면액정 크기가 제 2 기준보다 큰 제 3 기준에 속하면 생육진단 리스트를 제 3 표시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40)의 화면액정 크기라 함은 사용자 단말(40)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액정 패널의 크기를 의미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displaying (displaying) the growth diagnosis list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40, the controller 16 displays the growth diagnosis list as the first standard if the screen liquid crystal size of the user terminal 40 falls within the first criterion. If the screen LCD size belongs to the second criterion larger than the first criterion, the growth diagnosis list is displayed in the second display method, and if the screen LCD size belongs to the third criterion larger than the second criterion, The growth diagnosis list can be displayed in a third display method. Here, the screen liquid crystal size of the user terminal 40 may mean the size of the liquid crystal panel of the display screen of the user terminal 40 .

또한, 상기 제 1 표시방식은, 생육진단 리스트 내 상기 복수개의 항목 각각을 1 개씩 순차적으로 화면에 표시하는 방식이고, 상기 제 2 표시방식은, 사용자 단말(40)의 한 화면 상에 표시되는 항목 글자 개수의 전체 글자 개수가 미리 설정된 최대 글자 개수(일예로 50 자) 이하가 되도록 하는 항목 개수만큼씩 화면에 표시하는 방식이며, 상기 제 3 표시방식은 상기 복수개의 항목 전체를 사용자 단말(40)의 한 화면 내에 표시하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display method is a method of sequentially displaying each of the plurality of items in the growth diagnosis list on the screen one by one, and the second display method is an item displayed on on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40 It is a method of displaying on the screen as many items as the number of items so that the total number of characters is less than a preset maximum number of characters (eg 50 characters), and the third display method is a method of displaying all of the plurality of items on the user terminal 40 It may mean a method of displaying within one screen of.

또한, 상기 제 1 기준은 사용자 단말(40)의 화면액정의 크기인 화면액정 크기가 10 인치 미만에 해당하는 범위이고, 상기 제 2 기준은 상기 화면액정 크기가 10 인치 이상 19 인치 미만에 해당하는 범위이고, 상기 제 3 기준은 상기 화면액정 크기가 19 인치 이상에 해당하는 범위일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수치의 구체적인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구체적인 수치 값은 본 장치(10)를 관리하는 관리자에 의해 다양하게 설정 및 변경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criterion is a rang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screen liquid crystal of the user terminal 40, which is less than 10 inches, and the second criterion is a range corresponding to a size of 10 inches or more and less than 19 inches. range, and the third criterion may be a range corresponding to the screen liquid crystal size of 19 inches or more. At this time, specific examples of numerical values mention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one example to help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pecific numerical values can be set and changed in various ways by an administrator who manages the device 10 .

또한, 생육진단 리스트는, 상기 복수개의 항목 각각에 대한 응답란이 일예로 복수의 선택지 중 어느 한 선택지를 선택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복수의 선택지는 ‘예(YES)’를 선택하는 제 1 선택지 및 ‘아니오(NO)’를 선택하는 제 2 선택지를 포함할 수 있다. Further, in the growth diagnosis list, a response fiel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items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for example, one option among a plurality of options is selected. Illustratively, the plurality of options may include a first option for selecting 'YES' and a second option for selecting 'NO'.

통상 사람들이 가지고 다니는 스마트폰(핸드폰)과 같은 휴대 단말은 화면액정 크기가 6 인치, 7 인치, 8 인치 등과 같이 다양한 크기로 존재하고, 갤럭시탭 등의 태블릿 PC 나 노트북 등은 휴대 가능하면서도 핸드폰보다는 화면액정의 크기가 더 크게 마련되어 10 인지, 11 인치 등의 화면액정 크기를 가지며, 데스크탑 PC 는 19 인치 이상 등과 같이 핸드폰, 태블릿 PC 등과 대비하여서는 비교적 큰 화면액정 크기를 가지는 경향이 있다. Mobile terminals such as smartphones (cell phones) that people usually carry exist in various sizes such as 6-inch, 7-inch, and 8-inch screen liquid crystals, and tablet PCs or laptops such as the Galaxy Tab are portable, but rather than mobile phones. The size of the screen liquid crystal is larger and has a screen liquid crystal size of 10 inches or 11 inches, and desktop PCs tend to have a relatively large screen liquid crystal size compared to mobile phones and tablet PCs such as 19 inches or more.

이처럼, 본 장치(10)를 이용하는 사용자들마다 각자 자신이 소지한 단말의 화면액정 크기가 제각기 다를 수 있다. 그런데, 다양한 화면액정 크기를 갖는 단말의 특성을 전혀 고려하는 것 없이 사용자 단말(40)에 대하여 생육진단 리스트를 단순히 고정된 단일 표시방식(예시적으로, 생육진단 리스트의 모든 정보가 한 화면 상에 모두 표시되도록 하는 형태의 표시방식)으로 제공한다면, 상대적으로 작은 화면액정 크기를 가진 사용자 단말(40)을 소지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40)을 통하여 생육진단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각 항목의 내용들을 확인할 때에, 각 항목 내 글자가 너무 작아서 한눈에 파악하기 어려워, 별도로 화면을 확대하거나 하는 등의 제스처를 취해야 하는 불편함(번거로움)이 존재했다.As such, each user who uses the device 10 may have a different screen liquid crystal size of a terminal he or she possesses. However, withou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erminals having various screen liquid crystal sizes, the growth diagnosis list is simply fixed to a single display method for the user terminal 40 (eg, all information of the growth diagnosis list is displayed on one screen). If it is provided in a display method in which all items are displayed), a user possessing a user terminal 40 having a relatively small screen liquid crystal size, the contents of each item included in the growth diagnosis list through the user terminal 40 When checking the items, the text in each item is too small to understand at a glance, so there was inconvenience (convenience) of having to make a gesture such as enlarging the screen separately.

이에, 제어부(16)는 생육진단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40)의 화면에 표시할 때, 사용자 단말(40)의 화면액정 크기와 생육진단 리스트 내 복수개의 항목의 항목 글자 개수를 고려하여, 사용자 단말(40)의 한 화면상에 표시되는 항목의 개수를 유동적으로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displaying the growth diagnosis list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40, the controller 16 considers the size of the screen liquid crystal of the user terminal 40 and the number of letters of a plurality of items in the growth diagnosis list. The number of items displayed on one screen of (40) can be flexibly adjusted differently.

예시적으로, 제 2 표시방식에 대해 예를 들면, 생육진단 리스트 내에 전체 15 개의 항목이 포함되어 있고, 제 1 항목의 글자 개수는 8 자, 제 2 항목의 글자 개수는 10 자, 제 3 항목의 글자 개수는 9 자, 제 4 항목의 글자 개수는 15 자, 제 5 항목의 글자 개수는 10 자 등과 같다고 하자. 이때, 제어부(16)는 사용자 단말(40)의 화면액정 크기가 12 인치인 경우, 생육진단 리스트를 제 2 표시방식으로 사용자 단말(4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 1 항목 내지 제 5 항목까지의 글자 개수를 전부 합한 전체 글자 개수가 총 52 자 이므로, 이는 기 설정된 최대 글자 개수(일예로 50 자)를 초과하므로, 제어부(16)는 기 설정된 최대 글자 개수 이하가 되도록 하는 항목 개수만큼씩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기 위해 생육진단 리스트와 관련하여 첫 페이지에는 4 개의 항목(즉, 제 1 항목 내지 제 4 항목)까지만 사용자 단말(40)의 한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6)는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한 화면에 표시되는 항목 개수를 달리 제어할 수 있다. Exemplarily, for the second display method, for example, a total of 15 items are included in the growth diagnosis list, the number of letters in the first item is 8, the number of letters in the second item is 10, and the number of letters in the third item is 8. Suppose that the number of characters in is 9 characters, the number of characters in the 4th item is 15 characters, the number of characters in the 5th item is 10 characters, and so on.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6 may display the growth diagnosis list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40 in the second display method when the screen liquid crystal size of the user terminal 40 is 12 inches. At this time, since the total number of characters by adding all the numbers of characters from the first item to the fifth item is 52 characters, which exceeds the preset maximum number of characters (for example, 50 characters), the control unit 16 determines the preset maximum number of characters. Only up to four items (ie, the first to fourth items) are displayed on on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40 on the first page in relation to the growth diagnosis list in order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by the number of items that are less than or equal to the number of items. can do. The controller 16 may differently control the number of items displayed on one screen in this way.

또한, 제어부(16)는, 생육진단 리스트가 제 1 표시방식으로 사용자 단말(40)의 화면에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개의 항목 중 화면에 표시된 제 1 항목과 관련하여 제 1 항목의 응답으로서 제 1 항목에 대응하는 복수의 선택지 중 어느 한 선택지를 미리 설정된 시간(일예로 1.5 초)이상 누르는 입력(누름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 생육진단 리스트 내에서 제 1 항목 다음에 위치한 제 2 항목에 대한 화면 표시를 요청하는 신호로 판단하여 제 2 항목이 사용자 단말(40)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a state where the growth diagnosis list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40 in the first display method, the control unit 16 provides a response to the first item in relation to the first item displayed on the screen among the plurality of items. When an input (press input) is made to press any one of the plurality of options corresponding to item 1 for more than a preset time (eg, 1.5 seconds), the screen for the second item located next to the first item in the growth diagnosis list The second item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40 by determining the display request signal.

또한, 제어부(16)는 제 1 표시방식으로 생육진단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시킬 때(즉, 복수개의 항목 중 1 개의 항목씩만을 한 화면 상에 표시되도록 할 때), 1 개의 항목 각각이 사용자 단말(40)의 한 화면 상에 꽉 찬 형태(즉, 최대한 글자 개수를 키워서 한 화면 상에 크게 표시될 수 있는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controller 16 displays the growth diagnosis list on the screen in the first display method (that is, when only one item among a plurality of items is displayed on one screen), each item is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40) can be displayed in a full form on one screen (ie, a form that can be displayed large on one screen by increasing the number of characters as much as possible).

제 1 표시방식과 관련하여 예를 들면, 일예로 사용자 단말(40)의 화면에 제 1 항목이 표시된 이후, 사용자는 제 1 항목에 대한 응답으로서 응답란 내 ‘예(YES)’라는 선택지를 미리 설정된 시간(일예로 1.5 초)이상 눌렀다 뗄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제어부(16)는 이를 생육진단 리스트 내에서 제 1 항목 그 다음에 위치하는 제 2 항목을 화면에 표시해 달라는 요청 신호로 인식하여, 그 다음 항목인 제 2 항목을 자동으로 사용자 단말(4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6)는 생육진단 리스트 내 복수개의 항목 각각에 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1 개씩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Regarding the first display method, for example, after the first item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40, the user presets the option 'YES' in the response column as a response to the first item. It can be pressed and released for more than a time (eg, 1.5 seconds).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6 recognizes this as a request signal to display the second item located next to the first item in the growth diagnosis list on the screen, The second item, which is the next item, may be automatically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40 . The controller 16 can display each of the plurality of items in the growth diagnosis list on the screen one by one as described above.

이에 따르면, 제어부(16)는 사용자 단말(40)의 화면액정 크기 및 생육진단 리스트 내 각 항목의 글자 개수를 고려하여 다양한 유형(제 1 표시방식 내지 제 3 표시방식)으로 생육진단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바, 사용자가 별도로 화면을 확대하거나 축소하는 등의 번거로움 없이 각 항목에 대한 응답을 편하고 빠르게 입력(선택 입력, 체크) 가능하도록 하고, 각 항목을 불편함 없이 확인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the controller 16 displays the growth diagnosis list in various types (first to third display methods)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screen liquid crystal of the user terminal 40 and the number of letters of each item in the growth diagnosis list. It can be displayed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and quickly input responses to each item (selective input, check) without the hassle of separately expanding or reducing the screen, and can check each item without any inconvenience. there is.

즉, 본 장치(10)는 사용자가 생육진단 리스트 내에 포함된 복수개(일예로 40개)의 항목 각각에 대한 확인을 보다 빠르고 번거로움 없이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는바, 결과적으로 사용자에게 자신이 재배하는 다양한 종류의 작물들의 현 상태(이상이 있는지 등)의 자가 진단시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고, 재배하는 작물의 현 상태를 빠르게 확인(체크)하여 이상이 있을 경우 그에 대한 조치를 신속히 취할 수 있다.That is, the present device 10 can provide a user with a faster, hassle-free and convenient way to check each of a plurality of (for example, 40) items included in the growth diagnosis list. As a result, the user It can provide the convenience of self-diagnosis of the current state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of various types of crops grown by oneself, and the current state of the cultivated crops can be quickly checked (checked) to take action if there is an abnormality can be taken quickly.

또한, 제어부(16)는 사용자 단말(40)의 화면의 일영역에 판매점 정보 제공 버튼을 표시(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판매점 정보 제공 버튼은, 판매점에 대한 정보의 제공을 요청하는 버튼으로서, 이때 판매점이라 함은 사용자가 작물을 재배하고 관리함에 있어서 작물 재배시 필요한 관련 용품들(일예로, 작물 배드, 무농약, 작물 종자, 온도센서, 습도센서 등)을 판매하는 오프라인 매장(즉, 농업자재 판매점)을 의미할 수 있다.Also, the controller 16 may display (provide) a store information providing button on one area of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40 . Here, the store information provision button is a button requesting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on the store, and at this time, the store refers to the related products (eg, crop beds, non-pesticides, It may mean an offline store (ie, an agricultural material store) that sells crop seeds, temperature sensors, humidity sensors, etc.).

사용자가 일예로 사용자 단말(40)에서 구매 희망 용품의 종류를 선택한 후 화면의 일영역에 표시된 판매점 정보 제공 버튼을 클릭한 경우, 이에 응답하여 제어부(16)는 본 장치(10) 내 판매점 DB(미도시)에 기 등록된 복수의 농업자재 판매점의 정보(특히, 사용자가 선택한 구매 희망 용품의 종류를 판매하는 복수의 농업자재 판매점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 user clicks a store information providing button displayed on one area of the screen after selecting the type of product desired to be purchased on the user terminal 40, the control unit 16 in response to this selects the store DB in the device 10 ( (not shown)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agricultural material stores pre-registered (in particular,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agricultural material stores that sell the type of product the user wants to purchase) may be provided.

판매점 DB(미도시)에는 농업자재 판매점의 정보로서 농업자재 판매점의 업체명, 영업시간, 주소 등이 저장될 수 있다. 판매점 DB는 본 장치(10) 내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부(16)는 복수의 농업자재 판매점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40)의 화면에 제공할 때, 복수의 농업자재 판매점의 위치가 마크 아이콘으로 표시된 판매점 표시지도(map)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The sales store DB (not shown) may store the company name, business hours, address, etc. of the agricultural material store as information on the agricultural material store. The store DB may be provided in the device 10 . When providing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agricultural material stores to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40, the control unit 16 may display a store display map in which locations of the plurality of agricultural material stores are indicated by mark icons on the screen. .

제어부(16)는 판매점 표시지도의 표시시, 사용자가 판매점 정보 제공 버튼을 선택(클릭)한 선택 시점을 기준으로, 복수의 농업자재 판매점 중 선택 시점에 이용이 가능한 이용가능 농업자재 판매점에 대응하는 마크 아이콘을 선택 시점에 이용이 불가능한 이용불가 농업자재 판매점에 대응하는 마크 아이콘 보다 식별이 용이한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When displaying the store display map, the control unit 16, based on the selection time when the user selects (clicks) the store information providing button, corresponds to an available agricultural material store that can be used at the time of selection among a plurality of agricultural material stores. The mark icon may be displayed in a form that is easier to identify than a mark icon corresponding to an unavailable agricultural material store that is unavailable at the time of selection.

이때, 이용가능 농업자재 판매점에 대응하는 마크 아이콘을 이용불가 농업자재 판매점 보다 식별이 용이한 형태로 표시한다는 것은, 일예로 색상을 다르게 하여 표시한 형태, 시각적으로 강조된 형태(예를 들어, 이용가능 농업자재 판매점에 대응하는 마크 아이콘의 테두리 선의 색상이나 두께 등을 더 짙고 두껍게 하는 형태), 및 크기가 확장된 형태 중 적어도 하나로 표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At this time, displaying the mark icon corresponding to the available agricultural material store in a form that is easier to identify than the unavailable agricultural material store is, for example, a form displayed in a different color, a visually emphasized form (eg, available It may mean displaying at least one of a form in which the color or thickness of the border line of the mark icon corresponding to the agricultural material store is darker and thicker) and a form in which the size is expanded.

일예로 사용자가 자신의 현재 위치(사용자 단말(40)의 현재의 GPS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자신의 주변에 위치해 있는 농업자재 판매점의 정보를 제공받고자 하여 사용자가 판매점 정보 제공 버튼을 선택(클릭)하고, 사용자의 현 위치의 주변에 3개의 농업자재 판매점이 위치해 있다고 하자. 이러한 경우, 제어부(16)는 복수의 농업자재 판매점으로서 3개의 농업자재 판매점(즉, 제1 농업자재 판매점 내지 제3 농업자재 판매점)의 위치를 마크 아이콘으로 표시되어 있는 판매점 표시지도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selects (clicks) a store information provision button in order to be provided with information on agricultural material stores located around the user based on their current location (current GP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40) Suppose that there are three agricultural material stores located around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6 displays a store display map on the screen in which the locations of three agricultural material stores (ie, the first agricultural material store to the third agricultural material store) are displayed as mark icons as a plurality of agricultural material stores. can do.

여기서, 각각의 농업자재 판매점은 영업시간(일예로 제1 농업자재 판매점은 24시간, 제2 농업자재 판매점은 6:00~23:00, 제3 농업자재 판매점은 5:00~23:00등) 등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각각의 농업자재 판매점은 개인 사정(각 농업자재 판매점을 운영하는 사장의 개인 사정), 휴가기간 일정 차이 등의 이유로 문 닫는 시기(영업 시간)가 각기 다를 수 있다.Here, each agricultural material store has business hours (for example, the first agricultural material store is 24 hours, the second agricultural material store is 6:00 to 23:00, the third agricultural material store is 5:00 to 23:00, etc. ), etc., may be different. In addition, each agricultural material store may have different closing times (business hours) due to personal circumstances (personal circumstances of the president who runs each agricultural material store), vacation period schedule differences, and the like.

일예로, 사용자가 판매점 정보 제공 버튼을 선택한 시점(해당 시간대)에, 제1 농업자재 판매점과 제2 농업자재 판매점은 정상 영업 중이고, 제3 농업자재 판매점은 개인 사정으로 인해 현재 영업을 하고 있지 않은 상태라고 하자. 이러한 경우, 제어부(16)는 제1 농업자재 판매점과 제2 농업자재 판매점을 이용가능 농업자재 판매점으로 인식하고, 제3 농업자재 판매점을 이용불가 농업자재 판매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For example, at the time when the user selects the store information provision button (corresponding time zone), the first agricultural material store and the second agricultural material store are operating normally, and the third agricultural material store is not currently operating due to personal circumstances. Let's call it a state.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6 may recognize the first agricultural material store and the second agricultural material store as usable agricultural material store, and recognize the third agricultural material store as unavailable agricultural material store.

이에, 제어부(16)는 이용가능 농업자재 판매점(즉, 제1/제2 농업자재 판매점)에 대응하는 마크 아이콘을 이용불가 농업자재 판매점 (즉, 제3 농업자재 판매점)에 대응하는 마크 아이콘과 대비해 보다 인식 또는 식별이 용이한 형태로 판매점 표시지도(map)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어부(16)는 이용불가 농업자재 판매점에 대응하는 마크 아이콘 대비, 이용가능 농업자재 판매점에 대응하는 마크 아이콘을 보다 크기를 크게 하여 표시하거나, 색을 더 진하게 하여 표시하거나, 깜빡이는 효과를 넣어 표시하는 등 차이를 두어 표시를 달리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6 converts the mark icon corresponding to the available agricultural material store (ie, the first/second agricultural material store) to the mark icon corresponding to the unavailable agricultural material store (ie, the third agricultural material store) In contrast, it can be displayed on a store display map in a form that is easier to recognize or identify. Illustratively, the control unit 16 displays a mark icon corresponding to an available agricultural material store in a larger size, a darker color, or a flickering icon corresponding to an unavailable agricultural material store compared to a mark icon corresponding to an unavailable agricultural material store. You can change the display by adding a difference, such as adding an effect.

이처럼, 제어부(16)는 사용자가 판매점 정보 제공 버튼을 선택한 시점(선택 시점)을 기준으로, 각 농업자재 판매점마다의 개인 사정 및 휴가기간 일정 차이에 의한 문 닫는 시기(갑작스런 문 닫는 시기)가 고려된 영업 시간을 고려하여, 판매점 정보 제공 버튼이 선택된 선택 시점에서의 현재 이용가능 농업자재 판매점과 현재 이용이 불가능한 이용불가 농업자재 판매점을 서로 구분하여 달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현 시점에 영업을 하고 있어 지금 당장 이용가능한 농업자재 판매점에 대한 정보를 보다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바, 사용자가 보다 헤매지 않고 빠르게 이용가능 농업자재 판매점을 찾아 이용할 수 있도록 도움 줄 수 있다.In this way, the control unit 16 considers the closing time (sudden closing time) due to personal circumstances and vacation period schedule differences for each agricultural material store based on the time point (selection time) when the user selects the store information providing button. Considering the set business hours, the currently available agricultural material store and the currently unavailable agricultural material store are distinguished and displayed differently at the time of selection when the store information provision button is selected, so that the user is operating at the current time. Since it is possible to more intuitively grasp information on available agricultural material stores, it is possible to help users find and use available agricultural material stores quickly without wandering.

여기서, 특정 농업자재 판매점에 대한 문 닫는 시기(갑작스런 문 닫는 시기) 정보(즉, 개인 사정에 의해 문이 닫혀있는지, 휴가 기간 등에 의해 문이 닫혀있는 상태인지 등의 정보)는, 일예로 해당 농업자재 판매점과 관련하여 인터넷 상에 복수의 사용자들에 의해 업로드된 소셜 데이터의 실시간 분석을 통해 판단될 수 있다. 이러한 문 닫는 시기 정보는 판매점 DB(미도시)에 등록된 영업시간과는 별도로 문 닫는 시기의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소셜 데이터는 일예로 인스타, 페이스북 등에 업로드된 게시글, 네이버 등의 블로그, 뉴스기사 등의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closing time (sudden closing time) information (that is, whether the door is closed due to personal circumstances, whether the door is closed due to a vacation period, etc.) for a specific agricultural material store is, for example, the corresponding agriculture It can be determined through real-time analysis of social data uploaded by a plurality of users on the Internet in relation to a material store. This closing time information may refer to information on closing time separately from the business hours registered in the store DB (not shown). Social data may refer to data such as posts uploaded to Instagram and Facebook, blogs such as Naver, and news articles, for example.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복수의 농업자재 판매점의 위치가 표시된 판매점 표시지도를 통해, 일예로 자신의 현 위치 혹은 사용자가 직접 지정한 특정 위치로부터 가까이 위치해 있는 농업자재 판매점을 쉽게 찾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the user can easily find, for example, an agricultural material store located close to his or her current location or a specific location directly designated by the user through a store display map in which the locations of a plurality of agricultural material stores are displayed.

특히나, 사용자는 판매점 표시지도 상에 표시된 복수의 농업자재 판매점 중 특히나 현재 바로 이용가능한 이용가능 농업자재 판매점을 보다 쉽고 빠르게 찾아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바, 일예로 사용자가 특정 농업자재 판매점(일예로 작물 배드를 판매하는 판매점, 작물 종자를 판매하는 판매점 등)를 방문하였는데 휴가 등의 이유로 문이 닫혀서 이용이 불가능한 경우에 다른 농업자재 판매점을 다시 찾아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 등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해당 농업자재 판매점에 일일이 전화해 현재 이용가능한지(즉, 특정 용품의 구매가 가능한지) 등을 문의하는 등의 번거로움 필요 없이, 제어부(16)를 통해 제공되는 판매점 표시지도로 하여금 현재 이용가능한 농업자재 판매점의 정보를 보다 직관적으로 빠르게 파악하여 이용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user can more easily and quickly find and use an available agricultural material store that is currently immediately available among a plurality of agricultural material stores displayed on the store display map. For example, the user can use a specific agricultural material store (eg If you visit a store that sells crop beds, a store that sells crop seeds, etc.) and cannot use it because the door is closed due to vacation, etc., you can solve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go to another agricultural material store again. In addition, there is no need for the user to call the corresponding agricultural material store one by one and inquire whether it is currently available (ie, whether a specific product can be purchased), etc. Information on available agricultural material stores can be grasped and used more intuitively and quickly.

또한, 분석부(13)는 작물 배드별 통합 작물 영상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기 학습된 딥러닝 모델을 이용한 영상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작물 배드별 통합 작물 영상 데이터에서 식별(개별 인식)된 영상 내 작물들 중에서 이상이 있는 영상 내 작물인 이상 영상 내 작물이 존재하는지 분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nalysis unit 13 performs image analysis using a pre-learned deep learning model on each of the integrated crop image data for each crop bed, thereby identifying (individually recognizing) the crops in the image from the integrated crop image data for each crop bed. Among them, it is possible to analyze whether there is a crop in the abnormal image, which is a crop in the image with an abnormality.

여기서, 분석부(13)는 일예로 영상 내 작물들 중 '어느 한 영상 내 작물의 크기'가 그(즉, 어느 한 영상 내 작물)와 이웃한 '이웃 영상 내 작물들의 크기의 평균'과 대비하여 기 설정된 허용 크기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기 설정된 허용 크기범위를 벗어나는 상기 어느 한 영상 내 작물을 이상이 있는(특히, 성장이 더딘) 이상 영상 내 작물인 것으로 판단(감지,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내 작물의 크기는 일예로 통합 작물 영상 데이터에서의 해당 영상 내 작물이 차지하는 픽셀의 면적(픽셀 개수)를 기반으로 도출되는 정보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작물 배드(21) 상에서 3행 3열에 위치하는 영상 내 작물의 경우, 그와 이웃한 이웃 영상 내 작물들의 개수는 총 8개(즉, 2행 2열, 2행 3열, 2행 4열, 3행 2열, 3행 4열, 4행 2열, 4행 3열, 4행 4열 각각에 위치한 8개의 영상 내 작물들)일 수 있고, 분석부(13)는 이들 8개의 이웃 영상 내 작물들의 크기를 평균한 값과 어느 한 영상 내 작물의 크기를 비교함으로써, 어느 한 영상 내 작물이 이상 영상 내 작물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Here, the analysis unit 13 compares, for example, the 'size of a crop in a certain image' among the crops in an image with the 'average of the sizes of crops in a neighboring image' adjacent to it (that is, the crop in a certain image). Therefore, if it is out of the preset allowable size range, it is determined (detected, identified) that the crop in any one image outside the preset allowable size range is an abnormal (in particular, slow-growing) crop in the image. Can be. Here, the size of the crop in the image may be, for example, information derived based on the pixel area (number of pixels) occupied by the crop in the corresponding image in the integrated crop image data. Illustratively, in the case of a crop in the image located in 3 rows and 3 columns on the first crop bed 21, the number of crops in the neighboring image is 8 in total (ie, 2 rows and 2 columns, 2 rows and 3 columns, 2 rows and 4 columns, 3 rows and 2 columns, 3 rows and 4 columns, 4 rows and 2 columns, 4 rows and 3 columns, and 4 rows and 4 columns respectively), and the analysis unit 13 may be these crops in the image. By comparing the average value of the sizes of crops in eight neighboring images with the size of crops in any one imag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a crop in any one image is a crop in an abnormal image.

이때, 제어부(16)는 분석부(13)에서 이상 영상 내 작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면, 이후 이상 영상 내 작물이 존재함에 대한 알림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4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알림 정보에는 알림 문구 정보, 이상 영상 내 작물의 이상 증상 정보, 및 이상 영상 내 작물의 재배 위치 정보(즉, 해당 이상 영상 내 작물이 위치해 있는 작물 배드 상에서의 행/열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알림 정보는 예시적으로 '제2 작물 배드의 5행 68열에서 재배되고 있는 실물 작물이 생육(성장)이 더딘 것으로 보이니 확인 바랍니다' 등과 같은 정보일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40)을 통해 제공받은 알림 정보를 확인한 후, 온실 내부에 방문하여 해당 이상 영상 내 작물의 상태를 직접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조치를 취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analysis unit 13 analyzes that crops in the abnormal image exist, the control unit 16 may generate no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existence of crops in the abnormal image and provide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40 . At this time,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notification text information, abnormal symptom information of crops in the abnormal image, and cultivatio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rop in the abnormal image (ie, row/column information on the crop bed where the crop in the abnormal image is located). there is. Here,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may exemplarily be information such as 'Please check that the actual crops grown in the 5th row and 68th column of the second crop bed appear to have slow growth (growth)'. Thereafter, the user can check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user terminal 40, visit the inside of the greenhouse, directly check the state of the crop in the abnormal image, and take action if necessary.

즉, 제어부(16)로부터 알림 정보를 제공받은 사용자는 알림 정보에 대응하는 이상 영상 내 작물(즉, 이상이 있는 실물 작물인 이상 실물 작물)의 상태를 직접 눈으로 확인하기 위해, 이상 영상 내 작물이 위치해 있는 장소인 온실 내부에 방문할 수 있다.That is, the user receiving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control unit 16 directly checks the state of the crop in the abnormal image corresponding to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ie, the crop in the abnormal image, which is a real crop with abnormality). You can visit inside the greenhouse, where it is located.

이때, 제어부(16)는, 알림 정보를 제공받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40)의 카메라를 ON 으로 활성화시켜 사용자 단말(40) 상에 온실 내부의 공간이 표출되도록 카메라를 위치시킨 것으로 감지된 경우(즉, 사용자 단말(40)의 화면 상에 온실 내부의 공간에 대한 온실 내부 영상이 표출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사용자 단말(40)의 화면에 표출된 온실 내부 영상 상에, 알림 정보에 대응하는 이상 영상 내 작물(혹은 이상 실물 작물)의 위치가 표시되도록 사용자 단말(4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controller 16 detects that the user who has received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activates the camera of the user terminal 40 to ON and positions the camera so that the space inside the greenhouse is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40 ( That is,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greenhouse interior image for the space inside the greenhouse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40), on the greenhouse interior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40, corresponding to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The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40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location of the crop (or the ideal real crop) in the ideal image is displayed.

즉, 제어부(16)는 알림 정보를 제공받은 사용자가 자신이 소지한 사용자 단말(40)로 온실 내부의 공간을 카메라로 비추면, 이를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40)의 화면 상에 표출된 온실 내부 영상 상에 이상 영상 내 작물에 대응되는 이상 실물 작물의 위치 표시를 요청하는 신호로 인식하여, 사용자 단말(40)에 표출된 온실 내부 영상 상에 이상 영상 내 작물에 해당하는 부분을 마크(일예로 동그라미 표시, 해당 영역을 깜빡임으로 표시 등)로 표시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40)의 현 위치로부터 이상 영상 내 작물의 위치까지의 남은 이격 거리의 정보(즉, 몇미터 남았는지 등에 대한 이동 경로 정보 등)를 사용자 단말(40)의 화면에 표출(노출)되고 있는 온실 내부 영상 상에 오버레이 하여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40)의 현 위치는 사용자 단말(40)에 내장된 GPS 센서를 이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 unit 16, when the user who has been provided with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uses the user terminal 40 possessed to illuminate the interior space of the greenhouse with a camera, the user displays the inside of the greenhous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40. It is recognized as a signal requesting display of the location of the crop in the abnormal image corresponding to the crop in the abnormal image on the image, and marks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crop in the abnormal image on the image inside the greenhouse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40 (for example, displaying a circle, blinking the corresponding area, etc.), or information on the remaining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40 to the position of the crop in the abnormal image (ie, movement path information about how many meters are left, etc.) etc.) can be overlaid on the inside image of the greenhouse being displayed (expos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40 to be displayed. Her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40 may be obtained using a GPS sensor built into the user terminal 40 .

이때, 제어부(16)는 온실 내부 영상 상에 이상 영상 내 작물에 해당하는 부분을 마크로 표시할 때, 이상 영상 내 작물이 복수개의 작물 배드(20) 중 어느 배드에 위치하는 지와 해당 작물 배드에서 몇번째 행/열에 위치해 있는지 등의 재배 위치 정보, 사용자 단말(40)의 현 위치 정보 및 사용자 단말(40)의 자세 정보에 기반한 카메라가 비추는 방향 정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온실 내부 영상 상에 이상 영상 내 작물에 해당하는 부분(영역)을 마크로 표시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control unit 16 displays a part corresponding to the crop in the abnormal image as a mark on the image inside the greenhouse, the controller 16 determines which of the plurality of crop beds 20 the crop in the abnormal image is located in and which crop bed is located in the corresponding crop bed. Comprehensively considering cultivation location information such as which row/column it is located in,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40, and orientation information of the camera based on posture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40, etc. A part (region) corresponding to the crop in the abnormal image may be displayed as a mark.

이러한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본 장치(10)는, 알림 정보를 제공받고 사용자가 이상 영상 내 작물에 해당하는 이상 실물 작물의 직접 확인을 위해 이상 실물 작물이 재배되고 있는 온실 내부의 공간에 실제 방문하였을 때, 카메라를 ON 시켜 온실 내부의 공간을 비추는 행위를 통해 온실 내부의 공간 내에서 이상 영상 내 작물에 해당하는 실물 작물(즉, 이상 실물 작물)이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즉, 이상 실물 작물의 재배 위치)를 보다 직관적이고 빠르게 인식/식별하고, 그에 따라 이상 영상 내 작물에 대한 발빠른 증상 확인, 조치 등이 이루어지도록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방대한 양의 재배 작물들에 대한 관리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By providing this function, the device 10 receives notification information and when the user actually visits the space inside the greenhouse where the abnormal real crop is being grown in order to directly check the abnormal real crop corresponding to the crop in the abnormal image. At this time, by turning on the camera and illuminating the space inside the greenhouse, you can determine where the actual crop corresponding to the crop in the ideal image (i.e., the abnormal real crop) is located (i.e., the cultivation location of the ideal real crop) within the space inside the greenhouse. ) can be recognized/identified more intuitively and quickly, an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ovide prompt symptom checks and actions for crops in abnormal images, and to provide users with the convenience of managing a vast amount of cultivated crops. there is.

이하에서는 상기에 자세히 설명된 내용을 기반으로, 본 발명의 동작 흐름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based on the detail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flow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reviewed.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실 작물 관리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7 is an operational flowchart of a greenhouse crop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온실 작물 관리 방법은 앞서 설명된 본 장치(1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본 장치(1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온실 작물 관리 방법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greenhouse crop management method shown in FIG. 7 may be performed by the apparatus 10 described above. Therefore, even if the content is omitted below, the description of the device 10 can be equally applied to the description of the greenhouse crop management method.

도 7을 참조하면, 단계S11에서 수집부는, 자동 수집 장치로부터 작물 영상을 수집하여 영상 DB 에 저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in step S11, the collection unit may collect crop images from the automatic collection device and store them in an image DB.

다음으로, 단계S12에서 분석부는, 영상 DB에 저장된 작물 영상을 전처리한 전처리된 작물 영상에 대한 영상 분석을 통해 전처리된 작물 영상 내에 포함되어 있는 영상 내 작물들을 식별할 수 있다.Next, in step S12, the analysis unit may identify crops included in the preprocessed crop image through image analysis of the preprocessed crop image obtained by preprocessing the crop image stored in the image DB.

다음으로, 단계S13에서 작물 관리부는, 식별된 상기 영상 내 작물들의 정보를 작물 DB에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Next, in step S13, the crop management unit may store and manage information on the identified crops in the image in a crop DB.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1 내지 S13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In the foregoing description, steps S11 to S13 may be further divided into additional steps or combined into fewer steps, depending 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some steps may be omitted if necessary, and the order of steps may be chang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실 작물 관리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greenhouse crop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command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thos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 includes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media,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as well as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act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또한, 전술한 온실 작물 관리 방법은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eenhouse crop management method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mputer program or application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and executed by a computer.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 온실 작물 관리 시스템
10: 온실 작물 관리 장치
11: 수집부 12: 영상 DB
13: 분석부 14: 작물 DB
15: 작물 관리부 16: 제어부
1: Greenhouse crop management system
10: greenhouse crop management device
11: collection unit 12: image DB
13: analysis unit 14: crop DB
15: crop management unit 16: control unit

Claims (5)

온실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작물 배드; 상기 복수개의 작물 배드에서 재배되는 실물 작물들을 촬영하여 생성된 작물 영상을 전송하는 자동 수집 장치; 온실 작물 관리 장치; 및 상기 실물 작물들 중 어느 한 실물 작물이 사용자에 의해 수확된 수확 실물 작물인 경우, 상기 수확 실물 작물에 대하여 제공되는 한 쌍의 QR 코드를 포함하되,
상기 온실 작물 관리 장치는,
상기 자동 수집 장치로부터 작물 영상을 수집하여 영상 DB 에 저장하는 수집부;
상기 영상 DB에 저장된 작물 영상을 전처리한 전처리된 작물 영상에 대한 영상 분석을 통해 전처리된 작물 영상 내에 포함되어 있는 영상 내 작물들을 식별하고, 상기 수집부에서 추가로 수집된 추가 작물 영상 내에 QR 코드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QR 코드가 존재하면 상기 QR 코드의 부착 위치를 식별하는 분석부;
식별된 상기 영상 내 작물들의 정보를 작물 DB에 저장하고 관리하되, 상기 분석부에서 식별된 상기 QR 코드의 부착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QR 코드에 기 저장된 URL 정보를 상기 작물 DB에 더 저장하고 관리하고, 상기 실물 작물들 중 수확된 수확 실물 작물의 생육정보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업로드되면, 업로드된 상기 생육정보를 상기 작물 DB에 더 저장하고 관리하는 작물 관리부; 및
사용자 단말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QR 코드는, 서로 동일한 URL 정보를 포함하는 스티커 형태로 마련되되,
상기 실물 작물들 중 어느 하나의 실물 작물인 제1 실물 작물이 수확되고 나면, 이후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한 쌍의 QR 코드 중 어느 한 QR 코드인 제1 QR 코드는 제1 실물 작물을 수확한 작물 배드 상의 위치에 부착되고, 상기 한 쌍의 QR 코드 중 나머지 QR 코드인 제2 QR 코드는 사용자에 의하여 수확된 제1 실물 작물인 제1 수확 실물 작물이 포장된 포장재의 외면 일영역에 부착되며,
상기 분석부는,
상기 제1 QR 코드의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는 추가 작물 영상이 자동 수집 장치로부터 수집되면, 수집된 추가 작물 영상에 대한 영상 분석을 통해 제1 QR 코드의 부착 위치를 식별하고, 식별된 제1 QR 코드의 부착 위치를 제1 수확 실물 작물이 수확된 위치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작물 관리부는, 분석부에서 식별된 제1 QR 코드의 부착 위치를 기반으로, 작물 DB에 저장된 영상 내 작물들의 정보 중 제1 QR 코드의 부착 위치에 대응되는 개별 작물 ID 정보를 가진 영상 내 작물의 정보를 QR 대응 영상 내 작물의 정보로서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QR 대응 영상 내 작물의 정보를 사용자에 의해 실제 수확이 이루어진 수확 실물 작물의 정보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1 QR 코드에 기 저장된 URL 정보를 상기 식별된 QR 대응 영상 내 작물의 정보 내에 더 연계시켜 작물 DB에 저장하고 관리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가 포장재에 포장된 제1 수확 실물 작물을 포장재로부터 꺼낸 후 제1 수확 실물 작물의 생육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제1 수확 실물 작물의 생육정보를 작물 DB에 기록하기 위해 제1 수확 실물 작물이 포장되어 있던 포장재의 외면에 부착되어 있던 제2 QR 코드에 대한 촬영이 이루어지면, 촬영된 제2 QR 코드의 URL 정보에 대응되는 웹페이지를 화면 상에 표시하고, 측정된 제1 수확 실물 작물의 생육정보를 상기 웹페이지에 입력한 이후 저장완료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클릭 입력이 이루어지면, 웹페이지에서 입력된 제1 수확 실물 작물의 생육정보를 상기 온실 작물 관리 장치에 업로드하고,
상기 작물 관리부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수확 실물 작물의 생육정보가 업로드되면, 작물 DB 내에서 업로드된 제1 수확 실물 작물의 생육정보의 입력이 이루어진 상기 웹페이지에 대응하는 URL 정보와 매칭되는 매칭 URL 정보를 가진 영상 내 작물의 정보를 식별한 후, 식별된 영상 내 작물의 정보에 업로드된 제1 수확 실물 작물의 생육정보를 함께 연계시켜 작물 DB에 저장하고 관리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에서 제2 QR 코드의 촬영시에 사용자 단말의 화면의 일영역에 마련된 정보 제공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이 이루어졌는지 여부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데이터의 종류를 달리 제어하되,
사용자 단말에서 정보 제공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 없이 제2 QR 코드의 촬영이 이루어진 경우, 생육정보의 입력을 요청하는 신호로 인식하여, 제2 QR 코드에 저장된 URL 정보에 대응하는 웹페이지를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여 포장재 내 수확 실물 작물에 대하여 측정된 생육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고,
사용자 단말에서 정보 제공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 후 제2 QR 코드의 촬영이 이루어진 경우, 작물 DB에 저장된 정보들 중에서 제2 QR 코드가 부착된 포장재에 담긴 수확 실물 작물과 관련하여 기록된 정보의 제공을 요청하는 신호로 인식하여, 작물 DB 내에서 상기 제2 QR 코드의 URL 정보와 매칭되는 매칭 URL 정보를 가진 영상 내 작물의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는 것인, 온실 작물 관리 시스템.
A plurality of crop beds disposed inside the greenhouse; an automatic collecting device for transmitting crop images generated by photographing actual crops grown in the plurality of crop beds; greenhouse crop management devices; And when any one of the real crops is a harvested real crop harvested by a user, a pair of QR codes provided for the harvested real crop,
The greenhouse crop management device,
a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crop images from the automatic collection device and stores them in an image DB;
Through image analysis of the pre-processed crop image obtained by pre-processing the crop image stored in the image DB, crops in the image included in the pre-processed crop image are identified, and a QR code is generated in the additional crop image additionally collected by the collection unit. an analysis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QR code exists and identifies an attachment position of the QR code if the QR code exists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Store and manage the information of the identified crops in the image in the crop DB, but based on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QR code identified in the analysis unit, URL information pre-stored in the QR code is further stored and managed in the crop DB a crop management unit configured to further store and manage the uploaded growth information in the crop DB when growth information of a harvested real crop among the real crops is uploaded from a user terminal; and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The pair of QR codes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sticker containing the same URL information,
After the first real crop, which is any one of the real crops, is harvested, the first QR code, which is any one of the pair of QR codes, is then harvested by the user. The second QR code, which is the remaining QR code among the pair of QR codes, is attached to one area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ackaging material in which the first real crop, which is the first real crop harvested by the user, is packed,
The analysis unit,
When the additional crop image including the image of the first QR code is collected from the automatic collection device,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first QR code is identified through image analysis of the collected additional crop image, and the identified first QR code Determining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first harvested actual crop as being the harvested position,
The crop management unit, based on the attachment location of the first QR code identified by the analysis unit, crops in the image having individual crop I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ttachment location of the first QR code among information on crops in the image stored in the crop DB The information of the crop is identified as the information of the crop in the QR corresponding image, and the information of the identified crop in the QR corresponding image is determined to be the information of the actual harvested crop that has been actually harvested by the user, and is pre-stored in the first QR code. Store and manage the URL information in the crop DB by further linking the URL information to the information of the crop in the identified QR-compatible image,
The user terminal measures the growth information of the first harvest real crop after the user removes the first harvest real crop packaged in the packaging material from the packaging material, and records the measured growth information of the first harvest real crop in the crop DB. When the second QR code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ackaging material in which the first crop was packaged is photographed, a web page corresponding to the URL information of the captured second QR code i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measured When the user clicks on the storage completion button after inputting the growth information of the actual crops of the first harvest on the web page, the growth information of the actual crops of the first harvest input from the web page is uploaded to the greenhouse crop management device. do,
When the growth information of the actual crop of the first harvest is uploaded from the user terminal, the crop management unit matches UR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web page in which the growth information of the actual crop of the first harvest uploaded in the crop DB is input. After identifying crop information in the image with URL information, the growth information of the first harvest real crop uploaded to the crop information in the identified image is linked together to store and manage in the crop DB,
The control unit,
When the second QR code is captured by the user terminal, the type of data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is controlled differently depending on whether the user's selection input is made to the information providing button provided in one area of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
When the second QR code is captured without the user's selection input for the information providing button in the user terminal, it is recognized as a signal requesting input of growth information, and the web page corresponding to the URL information stored in the second QR code is displayed to the user. It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so that it is possible to input the growth information measured for the actual crop harvested in the packaging material,
When the second QR code is photographed after the user's selection input for the information providing button at the user terminal, the information recorded in relation to the harvested actual crop contained in the packaging material to which the second QR code is attached among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crop DB Recognizing it as a signal requesting provision, extracting crop information in an image having matching URL information matching the URL information of the second QR code in the crop DB and displaying it on the screen of a user terminal, greenhouse crop management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영상 DB에 저장된 복수의 작물 영상을 작물 배드별 관련 작물 영상들로 구분하고, 구분된 상기 작물 배드별 관련 작물 영상들을 기반으로 작물 배드마다 하나의 통합된 통합 작물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전처리된 작물 영상으로서 생성하고,
작물 배드별 통합 작물 영상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영상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영상 내 작물들을 식별하는 것인, 온실 작물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analysis unit,
The plurality of crop images stored in the image DB are divided into crop images related to each crop bed, and based on the crop images related to each crop bed, one integrated crop image data for each crop bed is converted to the preprocessed crop image. create as,
A greenhouse crop management system that identifies crops in the image by performing image analysis on each of the integrated crop image data for each crop b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물 관리부는,
상기 분석부에서 식별된 상기 영상 내 작물들 각각마다 개별 작물 ID를 부여하고,
상기 영상 내 작물들 각각에 대하여, 영상 내 작물에 부여된 개별 작물 ID 정보, 영상 내 작물이 수용되어 있는 작물 배드의 식별정보, 및 영상 내 작물이 포함된 영상을 서로 연계시킨 정보를 영상 내 작물의 정보로서 작물 DB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것인, 온실 작물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crop management department,
Assigning an individual crop ID to each of the crops in the image identified by the analysis unit,
For each of the crops in the image, individual crop ID information assigned to the crop in the imag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rop bed in which the crop in the image is accommodated, and information linking the images including the crop in the image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A greenhouse crop management system that is stored and managed in a crop DB as information of.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20156620A 2022-11-21 2022-11-21 Greenhouse crop management system KR1025326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6620A KR102532651B1 (en) 2022-11-21 2022-11-21 Greenhouse crop managemen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6620A KR102532651B1 (en) 2022-11-21 2022-11-21 Greenhouse crop management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2651B1 true KR102532651B1 (en) 2023-05-15

Family

ID=86394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6620A KR102532651B1 (en) 2022-11-21 2022-11-21 Greenhouse crop management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265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7253B1 (en) * 2023-07-09 2023-11-06 주식회사 성호에스아이코퍼레이션 Smart Farm System Through Video-based Crop Cultivation Growth Platform Construc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2724B1 (en) * 2016-09-08 2018-04-16 아인정보기술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crop through the video image
KR20210014268A (en) * 2019-07-30 2021-02-09 서우엠에스 주식회사 A mushroom cultivating management system based on Augmented Reality by using an autonomous driving robo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2724B1 (en) * 2016-09-08 2018-04-16 아인정보기술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crop through the video image
KR20210014268A (en) * 2019-07-30 2021-02-09 서우엠에스 주식회사 A mushroom cultivating management system based on Augmented Reality by using an autonomous driving robo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7253B1 (en) * 2023-07-09 2023-11-06 주식회사 성호에스아이코퍼레이션 Smart Farm System Through Video-based Crop Cultivation Growth Platform Constru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en et al. An AIoT based smart agricultural system for pests detection
US11703855B2 (en) Adaptive cyber-physical system for efficient monitoring of unstructured environments
US11564357B2 (en) Capture of ground truthed labels of plant traits method and system
Channe et al. Multidisciplinary model for smart agriculture using internet-of-things (IoT), sensors, cloud-computing, mobile-computing & big-data analysis
US20180209949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op health monitoring
EP293642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ed micro farming
CN111479459A (en) 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predicting growth status or disease/pest occurrence status
Behera et al. On-tree fruit monitoring system using IoT and image analysis
KR102532651B1 (en) Greenhouse crop management system
Banerjee et al. IoT based agricultural business model for estimating crop health management to reduce farmer distress using SVM and machine learning
Jagyasi et al. Event based experiential computing in agro-advisory system for rural farmers
Khobragade et al. Potato Leaf Disease Detection Using CNN
Saha et al. A crop-monitoring system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ing
Morchid et al. Intelligent detection for sustainable agriculture: A review of IoT-based embedded systems, cloud platforms, DL, and ML for plant disease detection
Saha et al. ML-based smart farming using LSTM
Poblete-Echeverría et al. Digital technologies: smart applications in viticulture
Nambi et al. Drones for Fruit Producers
Suryawanshi et al. Aerial imagery for plant disease detection by using machine learning of typical crops in marathwada
KR102549367B1 (en) Data coll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transpiration of crops
Theodorou et al. Decision Making in Precision Agriculture-The Case of VEL OS Intelligent Decision Support System
Rajapaksha et al. Analyzing the Best Ways of Optimizing Rice Production through Machine Learning Technologies
Khan et al. Drip Fertigation Technologies
Saiz-Rubio Digital Agriculture
Naito Data-Driven Management to Increase Produce Quality
Velamuri Data-Driven Management in Agricul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