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2129B1 - Dental device of using Ultrasound Generation Device - Google Patents

Dental device of using Ultrasound Genera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2129B1
KR102532129B1 KR1020160025427A KR20160025427A KR102532129B1 KR 102532129 B1 KR102532129 B1 KR 102532129B1 KR 1020160025427 A KR1020160025427 A KR 1020160025427A KR 20160025427 A KR20160025427 A KR 20160025427A KR 102532129 B1 KR102532129 B1 KR 102532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ltrasonic
ultrasound
unit
generating element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54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03106A (en
Inventor
윤만순
Original Assignee
에코디엠랩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코디엠랩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코디엠랩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5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2129B1/en
Publication of KR20170103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310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2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21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2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characterised by the drive of the dental tools
    • A61C1/07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characterised by the drive of the dental tools with vibratory drive, e.g. ultraso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61Air and water supply systems;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C1/0076Sterilising operating fluids or fluid supply elements such as supply lines,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초음파를 이용하는 치과용 장치가 개시된다. 카트리지부는 몸체부로부터 탈착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전면에 함몰된 형태로 제공되는 초음파 발생 소자를 가진다. 초음파 발생 소자는 공진 주파수에서 적어도 2종류의 초음파 신호를 발생한다. 이를 위해 초음파 발생 소자는 제1 초음파 발생영역을 통해 초점을 형성하지 않는 제1 초음파 신호를 생성하고, 제2 초음파 발생영역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초점을 가지는 제2 초음파 신호를 생성한다. 이를 통해 보다 넓은 면적 또는 환부에 초음파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A dental device using ultrasound is disclosed. The cartridge unit has a detachable structure from the body unit and has an ultrasonic generating element provided in a recessed shape on the front surface. The ultrasonic generating element generates at least two types of ultrasonic signals at a resonance frequency. To this end, the ultrasonic generating element generates a first ultrasonic signal that does not form a focus through the first ultrasonic generating region and generates a second ultrasonic signal having at least one focus through the second ultrasonic generating region.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supply ultrasonic energy to a wider area or affected area.

Description

초음파 발생 소자를 이용한 치과용 장치{Dental device of using Ultrasound Generation Device}Dental device using ultrasonic generation device {Dental device of using Ultrasound Generation Device}

본 발명은 치과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초음파 발생 소자를 이용한 치과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ntal apparatus using an ultrasonic generating element.

초음파를 이용하는 분야는 의료, 미용 및 환경 처리 분야로서 최근에 비침습적인 잇점으로 인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초음파 집속 기능을 이용한 피부 미용 분야가 최근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피부 내부로 집속되는 초음파는 주름의 근본 원인인 피부근막층(superficial musculoaponeurotic system:SMAS)에 열을 전달하고, 공급되는 열에 의해 피부 조직을 수축 또는 응고시킴을 통해 주름을 개선한다.Fields using ultrasound have recently been widely used due to non-invasive advantages in medical, cosmetic and environmental treatment fields. In particular, the field of skin beauty using an ultrasonic focusing function has recently been actively researched. Ultrasonic waves focused into the skin deliver heat to the superficial musculoaponeurotic system (SMAS), which is the root cause of wrinkles, and improve wrinkles by contracting or coagulating skin tissue by the supplied heat.

초음파를 발생시키고 이를 특정의 지점에 집속시키는 초음파 집속 소자는 압전 소재로 구성되며, 광학 원리에 의해 특정의 지점에 집속된다. 이를 위해 초음파 집속 소자는 구면 렌즈 형상을 가진다. 통상적으로 구면 렌즈를 통과한 빛은 파장에 따라 다른 초점거리를 가지며, 장파장일수록 초점거리가 감소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광학적 원리에 따라 통상의 초음파 집속 소자에 전압이 인가되면, 두께 진동 모드에서 발생하는 초음파 에너지는 곡률 반경의 중심에 집중되며, 집속 동작이 수행된다.An ultrasonic focusing element that generates ultrasonic waves and focuses them on a specific point is made of a piezoelectric material and is focused on a specific point by an optical principle. To this end, the ultrasound focusing element has a spherical lens shape. In general, light passing through a spherical lens has a different focal length depending on the wavelength, and the focal length decreases as the wavelength increases. According to this optical principle,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a conventional ultrasonic focusing element, ultrasonic energy generated in the thickness vibration mode is concentrated at the center of a radius of curvature, and a focusing operation is performed.

한편, 압전 소재로 구성된 초음파 집속 소자는 공진 주파수에서 최대 변위를 가지므로, 이를 특정의 장치에 적용하여 구동할 경우, 소정의 진폭과 공진 주파수를 가진 신호가 공급되어야만 한다.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신호가 초음파 집속 소자에 공급되면, 초음파 집속 소자는 두께 방향의 변화를 통한 공진이 발생되며, 두께에 따라 공진 주파수가 변경되고, 인가된 공진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로 진동하는 초음파를 발생시킨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ultrasonic focusing element made of a piezoelectric material has a maximum displacement at a resonance frequency, when applied to a specific device and driven, a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amplitude and resonance frequency must be supplied. When a signal having a resonance frequency is supplied to the ultrasonic focusing element, resonance is generated through a chang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ultrasonic focusing element, the resonance frequency is chang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and ultrasonic waves vibrating at the same frequency as the applied resonance frequency are generated. let it

종래의 원판 형태 또는 렌즈 형태의 초음파 집속 소자를 두께 진동 모드에서 구동하는 경우, 공진점에서 두께 방향으로 최대 변위가 나타난다. 또한, 압전 소재의 종류에 따라 초음파 집속 소자는 고유의 주파수 정수를 가지며, 주파수 정수는 하기의 수학식 1로 표현될 수 있다.When a conventional disk-shaped or lens-shaped ultrasonic focusing element is driven in the thickness vibration mode, the maximum displacement occurs at the resonance point in the thickness direction.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piezoelectric material, the ultrasonic focusing element has a unique frequency constant, and the frequency constant may be expressed by Equation 1 below.

Figure 112016020590603-pat00001
Figure 112016020590603-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Nt는 주파수 정수, fr은 1차 공진 주파수, t는 시편의 두께를 나타낸다.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시편의 두께에 따른 공진 주파수가 결정된다. 예컨대, 주파수 정수가 2100이라면, 2 MHz의 두께 방향의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압전 소재의 두께는 하기의 수학식 2와 같이 결정된다.In Equation 1, Nt is a frequency constant, f r is a primary resonant frequency, and t is the thickness of the specimen. The resonant frequency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specimen is determined by Equation 1 above. For example, if the frequency constant is 2100, the thickness of the piezoelectric material having a resonant frequency of 2 MHz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determined by Equation 2 below.

Figure 112016020590603-pat00002
Figure 112016020590603-pat00002

즉, 2 MHz의 두께 방향의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초음파 집속 소자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이를 구성하는 압전 소재의 두께를 1.05 mm로 구성해야 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초음파 집속 소자를 구성하는 압전 소재의 조성 또는 재질을 변경하여 주파수 정수를 변화시킴을 통해 원하는 공진 주파수를 갖는 초음파 집속 소자를 제작할 수 있다.That is, it can be seen that in order to manufacture an ultrasonic focusing element having a resonant frequency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2 MHz, the thickness of the piezoelectric material constituting the element must be 1.05 mm. In addition, the ultrasonic focusing element having a desired resonant frequency may be manufactured by changing the frequency constant by changing the composition or material of the piezoelectric material constituting the ultrasonic focusing element.

이와 같이 초음파 집속을 위한 초음파 집속 소자는 구면 렌즈의 원리와 두께 진동 모드의 주파수 정수를 이용하여 원하는 초점거리를 갖도록 설계할 수 있다. 즉, 원하는 공진 주파수를 갖도록 두께를 조절하고, 구면을 갖는 반구 형태의 소자로 제작하여, 원하는 주파수와 초점거리를 가지는 초음파 집속 소자를 제작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ultrasonic focusing element for ultrasonic focusing can be designed to have a desired focal length by using the principle of a spherical lens and the frequency constant of the thickness vibration mode. That is,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n ultrasonic focusing device having a desired frequency and focal length by adjusting the thickness to have a desired resonant frequency and fabricating a hemispherical device having a spherical surface.

또한, 초음파 집속이 발생되는 지점은 반구형의 초음파 집속 소자의 곡률 반경과 일치한다. 또한, 초점거리는 파장에 반비례하므로, 주파수를 변환하여 피부로부터의 초음파 집속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가진 초음파 집속 소자는 발생 주파수에 따라 초점거리가 변경된다. 초점거리는 하기의 수학식 3에 따른다.In addition, the point where ultrasonic focusing occurs coincides with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hemispherical ultrasonic focusing element. In addition, since the focal length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wavelength, the ultrasonic focusing distance from the skin can be adjusted by changing the frequency. Therefore, the focal length of the ultrasonic focusing element having the same radius of curvatur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generation frequency. The focal length follows Equation 3 below.

Figure 112016020590603-pat00003
Figure 112016020590603-pat00003

상기 수학식 3에서 f는 초점거리, d는 렌즈의 직경, λ는 파장을 나타낸다. 상기 수학식 3에서 파장이 짧을수록 초점거리도 길어지므로, 주파수를 변경하여 피부 아래의 침투깊이를 조절할수 있다. 다만, 주파수를 증가시키면, 에어리 원판(airy disk)가 작아지면서 높은 집속도를 얻을 수 있다.In Equation 3, f represents the focal length, d represents the diameter of the lens, and λ represents the wavelength. In Equation 3, since the shorter the wavelength, the longer the focal length, the depth of penetration under the skin can be adjusted by changing the frequency. However, when the frequency is increased, an airy disk becomes smaller and a high focusing speed can be obtained.

한편, 잇몸과 같이 피부가 약하고 면적이 좁고, 잇몸에 둘러싸여진 세라믹 재질의 치아와 같이 초음파 전달이 용이한 물질이 포함된 구강 구조의 경우, 초음파 집속 소자의 형태 및 집속 강도의 미세한 조절이 요구된다. 기존의 초음파 칫솔의 경우, 칫솔모가 삽입된 헤드부에 사각형 형상의 초음파 소자를 삽입하고, 칫솔모에 초음파 진동 에너지를 전달한다. 이러한 캐비테이션 효과를 유도하는 칫솔은 상용화된 상태이나, 초음파의 전달시 손실이 심하여 치주질환과 같은 염증에 대한 치료효과가 감소된다. 즉, 염증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염증부위에 열 에너지를 인가하여 통증을 치료하는 것이 효율적이나, 기존의 칫솔모를 이용하는 경우, 특정 부위에 온열효과를 주기가 어렵다. 또한, 기존의 피부 주름 개선용으로 사용되는 초음파 집속 소자는 하나의 지점에 초음파가 집속되고, 과도한 열 에너지가 공급되어 정상적인 세포까지 괴사시키는 부작용이 있으며, 따라서, 안정성에 문제가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n oral structure including a material that is easy to transmit ultrasonic waves, such as a tooth made of ceramic material surrounded by a gum, and a weak skin such as gums, fine adjustment of the shape and focusing strength of the ultrasonic focusing element is required. .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ultrasonic toothbrush, a square-shaped ultrasonic element is inserted into a head portion into which bristles are inserted, and ultrasonic vibration energy is transmitted to the bristles. Toothbrushes that induce such a cavitation effect are commercially available, but the loss of ultrasonic waves during transmission is severe, and thus the therapeutic effect on inflammation such as periodontal disease is reduced. That is, in order to treat inflammation, it is efficient to treat pain by applying thermal energy to an inflamed area, but it is difficult to apply a thermal effect to a specific area when using an existing toothbrush head. In addition, conventional ultrasound focusing devices used to improve skin wrinkles have a side effect of focusing ultrasound on one point and supplying excessive heat energy to necrosis normal cells, and thus have a problem in stability.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보다 넓은 환부에 초음파 에너지를 공급하여 환부를 치료할 수 있는 치과용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ntal device capable of treating the affected area by supplying ultrasonic energy to a wider affected area.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2종류의 초음파 신호를 생성하는 초음파 발생 소자를 사용한다. 초음파 발생 소자는 카트리지부의 표면으로부터 함몰된 형태로 제공되며, 이를 통해 넓은 환부에 초음파 에너지를 공급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uses an ultrasonic generating element that generates two types of ultrasonic signals. The ultrasonic generating element is provided in a recessed form from the surface of the cartridge part, and supplies ultrasonic energy to a wide affected area through it.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치과용 장치는 평면파와 집속파를 동시에 구동할 수 있는 초음파 집속소자를 가진다. 사용자는 구강 내의 치아와 잇몸에 물 또는 젤 타입의 매질을 사용하여 치과용 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환부에서의 온열 효과와 캐비테이션 현상을 유발하고, 적절한 부위에 초음파를 집속하여 치과 질환을 치료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dental apparatus has an ultrasonic focusing element capable of simultaneously driving a plane wave and a focused wave. A user may operate the dental appliance by using a water or gel-type medium on teeth and gums in the oral cavity.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nduce a thermal effect and a cavitation phenomenon in the affected area, and treat dental diseases by focusing ultrasound on an appropriate area.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림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도 1의 카트리지부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도 1의 초음파 발생 소자를 도시한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도 1의 초음파 발생 소자를 도시한 다른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도 3에 도시된 초음파 발생 소자의 동작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dental applian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artridge portion of Figure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ultrasonic generating element of FIG.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other cross-sectional view and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ultrasonic generating element of FIG.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ultrasonic generating element shown in Figure 3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changes and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and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description of each figur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y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don'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실시예Exampl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모식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dental applian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장치는 카트리지부(100)와 본체부(200)를 가진다.Referring to FIG. 1 , the dent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cartridge unit 100 and a body unit 200 .

카트리지부(100)는 본체부(200)와 탈착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본체부(200)로부터 구동신호를 수신하고, 초음파 집속 동작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카트리지부(100)는 카트리지 하우징(110), 초음파 발생 소자(120) 및 카트리지 체결부(130)를 가진다.The cartridge unit 100 has a detachable structure from the body unit 200, receives a driving signal from the body unit 200, and performs an ultrasonic focusing operation. To this end, the cartridge unit 100 has a cartridge housing 110, an ultrasonic generating element 120, and a cartridge fastening unit 130.

카트리지 하우징(110)은 카트리지부(100)의 외곽을 감싸며, 절연성을 가지는 소재로서 고분자 소재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110)의 말단부에는 초음파 발생 소자(120)가 부착된다. 예컨대 카트리지 하우징(110)과 초음파 발생 소자(120)는 에폭시 등의 접착제에 의해 서로 부착되고, 연결된다.The cartridge housing 110 surrounds the outer periphery of the cartridge unit 100 and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polymer material as a material having insulating properties. In addition, the ultrasonic generating element 120 is attached to the distal end of the cartridge housing 110 . For example, the cartridge housing 110 and the ultrasonic generating element 120 are attached to and connected to each other by an adhesive such as epoxy.

카트리지 하우징(110)의 말단부에 부착된 초음파 발생 소자(120)는 본체부(200)로부터 공급되는 구동신호에 의해 초음파를 발생한다. 상기 초음파 발생 소자(120)에 공급되는 구동신호는 초음파 발생 소자(120)가 가지는 고유의 공진 주파수를 가진다. 특히, 상기 공진 주파수는 초음파 발생 소자(120)의 재질 및 형태에 따라 2 이상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초음파 발생 소자(120)의 양쪽 표면에는 소정의 배선이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일측 표면과 이와 대향하는 타측 표면에 2개의 배선이 연결되고, 2개의 배선 사이에 의해 정의되는 교류 신호에 의해 상기 초음파 발생 소자(120)는 초음파 발생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배선들은 카트리지 하우징(110)에 의해 정의되는 카트리지 내부 공간을 통해 결선된다.The ultrasonic generating element 120 attached to the distal end of the cartridge housing 110 generates ultrasonic waves by a driving signal supplied from the main body 200 . The driving signal supplied to the ultrasonic generating element 120 has a unique resonance frequency of the ultrasonic generating element 120. In particular, the resonant frequency may have two or more values depending on the material and shape of the ultrasonic generating element 120 . In addition, predetermined wires may be connected to both surfaces of the ultrasonic generating element 120 . For example, two wires are connected to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opposite thereto, and the ultrasonic generating element 120 performs an ultrasonic generating operation by an AC signal defined by the two wires. The wires are wired through the inner space of the cartridge defined by the cartridge housing 110 .

카트리지 체결부(130)는 본체부(200)에 체결될 수 있다. 본체부(200)와 결합되는 양상은 다양한 형태로 제공된다. 즉, 카트리지부(100)와 본체부(200) 사이에 탈부착이 용이하고, 본체부(200)로부터 구동신호를 카트리지부(100)에 전달할 수 있는 구조라면 여하한 형태라도 가능할 것이다. 특히, 카트리지 체결부(130)를 이용하여 카트리지부(100)가 본체부(200)와 탈부착이 가능하면, 카트리지부(100)의 다양한 선택을 통하여 다양한 주파수를 제공할 수 있다. The cartridge fastening part 130 may be fastened to the body part 200 . The aspect coupled with the body portion 200 is provided in various forms. That is, it is easy to attach and detach between the cartridge unit 100 and the body unit 200, and any structure that can transmit a driving signal from the body unit 200 to the cartridge unit 100 will be possible. In particular, if the cartridge unit 100 is attachable and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unit 200 using the cartridge fastening unit 130, various frequencies can be provided through various selections of the cartridge unit 100.

예컨대, 다른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초음파 발생 소자가 부착된 카트리지부를 본체부에 탈착할수도 있다. 이를 통해 치과 질환의 깊이와 환부에 적절한 카트리지부를 선택하여 본체부(200)에 연결할 수 있으며, 본체부(200)로부터 공급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초음파를 환부에 공급할 수 있다.For example, a cartridge unit to which an ultrasonic generating element having a different resonance frequency is attached may be detached from the body unit.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select a cartridge unit suitable for the depth of dental disease and the affected area and connect it to the main body unit 200, and supply ultrasonic waves to the affected unit according to a driving signal supplied from the main body unit 200.

본체부(200)는 본체 체결부(210), 회로부(220) 및 전원부(230)를 가진다.The body part 200 has a body fastening part 210, a circuit part 220 and a power supply part 230.

본체 체결부(210)는 카트리지 체결부(130)와 결합된다. 또한, 결합을 통해 회로부(220)에서 공급되는 구동신호를 카트리지부(100)에 전달한다. The body fastening part 210 is coupled with the cartridge fastening part 130 . In addition, the driving signal supplied from the circuit unit 220 is transmitted to the cartridge unit 100 through the coupling.

회로부(220)는 구동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회로부(220)는 전원부(23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신호에 대한 주파수 또는 진폭을 변경하여 구동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회로부(220)는 본체부(200)에 부착된 제어 버튼 또는 외부에서 원격으로 인가되는 제어 신호를 통해 외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구동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ircuit unit 220 generates a driving signal. In addition, the circuit unit 220 generates a driving signal by changing the frequency or amplitude of the power signal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230 . In addition, the circuit unit 220 may receive a control signal from the outside through a control button attached to the body unit 200 or a control signal remotely applied from the outside and control the driving signal.

예컨대, 제어 신호에 의해 구동 신호의 진폭은 조절될 수 있으며, 구동 신호가 가지는 주파수 레벨도 변경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amplitude of the driving signal may be adjusted by the control signal, and the frequency level of the driving signal may also be changed.

또한, 상기 회로부(220)는 구동 신호를 통해 초음파 발생 소자()에 공급되는 전력을 확인하고, 인가되는 전력이 기설정된 소정의 하한값과 상한값 내의 값을 가지도록 구동 신호의 주파수 또는 진폭을 조절할 수 있다. 이는 초음파 발생 소자(120)가 압전 소재로 이루어지고, 공진 모드의 동작시 공급되는 전력을 제한하거나, 사용자 또는 시술자의 요구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구비된다.In addition, the circuit unit 220 may check the power supplied to the ultrasonic generator through the driving signal, and adjust the frequency or amplitude of the driving signal so that the applied power has a value within a predetermined lower limit and upper limit. there is. This is provided so that the ultrasonic generating element 120 is made of a piezoelectric material, limits the power supplied during resonance mode operation, or satisfies the requirements of a user or operator.

전원부(230)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상용 전원을 수신한다. 예컨대, 상용 전원이 60Hz의 주파수와 220V의 RMS값을 가지면, 전원부(230)는 이를 수신하고, 회로부(220)가 구동 신호를 생성하기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전원부(230)는 내부에 에너지 저장 장치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230 receives commercial power applied from the outside. For example, if commercial power has a frequency of 60 Hz and an RMS value of 220 V, the power supply unit 230 receives it and supplies power necessary for the circuit unit 220 to generate a driving signal. To this end, the power supply unit 230 may separately include an energy storage device therein.

도 2는 본 발명의 바림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도 1의 카트리지부를 도시한 모식도이다.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artridge portion of Figure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카트리지부는 카트리지 하우징(110), 초음파 발생 소자(120) 및 카트리지 체결부(130)를 가진다.Referring to FIG. 2 , the cartridge unit has a cartridge housing 110 , an ultrasonic generating element 120 and a cartridge fastening unit 130 .

특히, 카트리지 하우징(110) 내부에는 카트리지 체결부(130)로부터 연결되는 제1 배선(141) 및 제2 배선(142)이 배치된다. 제1 배선(141)은 초음파 발생 소자(120)의 배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배선(142)은 초음파 발생 소자(120)의 전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배선(141) 및 제2 배선(142)을 통해 교류 형태의 구동 신호는 전달된다.In particular, a first wire 141 and a second wire 142 connected from the cartridge coupling part 130 are disposed inside the cartridge housing 110 . The first wiring 14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ultrasonic generating element 120, and the second wiring 14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ultrasonic generating element 120. An alternating current driving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wiring 141 and the second wiring 142 .

또한, 초음파 발생 소자(120)는 카트리지 하우징(110)에 고정된다. 초음파 발생 소자(120)는 양면에 인가되는 교류 형태의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진동 동작을 일으키고 진동 동작에 의한 초음파 발생 동작을 수행한다. 초음파 발생 소자(120)는 고유의 진동 주파수인 공진 주파수를 가진다. 따라서, 공진 주파수와 동일하거나 이에 근접한 주파수의 구동 신호가 인가되며 진동에 따른 초음파 발생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초음파 발생 소자(120)는 전면과 후면에 은 또는 구리 박막이 도포될 수 있다. 도포된 금속 박막은 전극으로 지칭될 수 있다. 즉, 압전 소자인 초음파 발생 소자(120)의 배면에는 제1 전극이 형성되고, 초음파 발생 소자(120)의 전면에는 제2 전극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전극은 제1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전극은 제2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In addition, the ultrasonic generating element 120 is fixed to the cartridge housing 110 . The ultrasonic generating element 120 generates a vibration operation in response to an alternating current driving signal applied to both sides and performs an ultrasonic generation operation by the vibration operation. The ultrasonic generating element 120 has a resonant frequency, which is a unique vibration frequency. Therefore, a driving signal having a frequency equal to or close to the resonance frequency is applied, and an ultrasonic generating operation according to vibration may be performed. To this end, silver or copper thin films may be applied to the front and back surfaces of the ultrasonic generating element 120 . The applied metal thin film may be referred to as an electrode. That is, a first electrode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ultrasonic generating element 120, which is a piezoelectric element, and a second electrode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ultrasonic generating element 120. Also, the first electrod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electrod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wire.

또한, 상기 초음파 발생 소자(120)는 카트리지 하우징(110)의 표면으로부터 함몰된 형태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즉, 초음파 발생 소자(120)를 고정하고 지지하는 카트리지 하우징(110)의 표면에 비해 상기 초음파 발생 소자(120)는 함몰된 형태로 고정된다. 초음파 발생 소자(120)와 카트리지 하우징(110)의 접합 또는 고정은 에폭시 등의 접착제 또는 적절한 체결 수단을 통해 수행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ultrasonic generating element 120 is preferably provided in a form recessed from the surface of the cartridge housing 110. That is, compared to the surface of the cartridge housing 110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ultrasonic generating element 120, the ultrasonic generating element 120 is fixed in a recessed shape. Bonding or fixing of the ultrasonic generating element 120 and the cartridge housing 110 is preferably performed through an adhesive such as epoxy or an appropriate fastening means.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도 1의 초음파 발생 소자를 도시한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ultrasonic generating element of FIG.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초음파 발생 소자(120)는 대략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가진다. 또한, 원형의 초음파 발생 소자(120)는 중심 부위의 제1 초음파 발생영역(121)을 가지고, 외곽에는 제2 초음파 발생영역(122)을 가진다.Referring to FIG. 3 , the ultrasonic generating element 120 has a substantially circular planar shape. In addition, the circular ultrasonic generating element 120 has a first ultrasonic generating region 121 in the center and a second ultrasonic generating region 122 on the periphery.

제1 초음파 발생영역(121)과 제2 초음파 발생영역(122)은 상호간에 동일한 재질을 가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초음파 발생영역(121)은 곡률 반경을 가지지 않는 평면 형상을 가진다. 또한, 제2 초음파 발생영역(122)은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가지는 곡면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1 초음파 발생영역(121)과 제2 초음파 발생영역(122)은 상호간에 동일한 두께를 가짐이 바람직하며 물리적으로 분리되지 않고 연결된 일체의 상태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ultrasonic generating region 121 and the second ultrasonic generating region 122 have the same material as each other. In addition, the first ultrasound generating region 121 has a planar shape without a radius of curvature. In addition, the second ultrasound generating region 122 has a curved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of curvature. The first ultrasonic generating region 121 and the second ultrasonic generating region 122 preferably have the same thickness and are provided in an integral state connected without being physically separated.

특히, 제1 초음파 발생영역(121)은 대략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제1 초음파 발생영역(121)은 초점을 가지지 않으며, 집속파가 아닌 평면파의 초음파를 형성한다.In particular, the first ultrasound generating region 121 has a substantially circular planar shape. Accordingly, the first ultrasound generating region 121 does not have a focus and generates ultrasound of a plane wave rather than a focused wave.

또한, 제2 초음파 발생영역(122)은 제1 초음파 발생영역(121)의 주변부에 형성되며, 대략 구형의 단면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제2 초음파 발생영역(122)은 적어도 하나의 초점을 가지며, 평면파가 아닌 집속 초음파를 형성한다.In addition, the second ultrasonic generation region 122 is formed around the first ultrasonic wave generation region 121 and has a substantially spherical cross-sectional shape. Accordingly, the second ultrasound generating region 122 has at least one focal point, and generates focused ultrasound waves instead of plane waves.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도 1의 초음파 발생 소자를 도시한 다른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4 is another cross-sectional view and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ultrasonic generating element of FIG.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초음파 발생 소자(120)는 대략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가진다. 다만, 상기 도 4의 초음파 발생 소자(120)의 장축은 직선의 형상을 가지고, 단축은 일정한 곡면의 형상을 가짐이 바람직하다. Referring to FIG. 4 , the ultrasonic generating element 120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nar shape.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long axis of the ultrasonic generator 120 of FIG. 4 has a straight line shape and the short axis has a constant curved shape.

또한, 초음파 발생 소자(120)는 중심 부위의 제1 초음파 발생영역(123)을 가지고, 외곽에는 제2 초음파 발생영역(124)을 가진다.In addition, the ultrasonic generating element 120 has a first ultrasonic generating region 123 in the center and a second ultrasonic generating region 124 on the periphery.

제1 초음파 발생영역(123)과 제2 초음파 발생영역(124)은 상호간에 동일한 재질을 가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초음파 발생영역(123)은 곡률 반경을 가지지 않는 평면 형상을 가진다. 또한, 제2 초음파 발생영역(124)은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가지는 곡면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1 초음파 발생영역(123)과 제2 초음파 발생영역(124)은 상호간에 동일한 두께를 가짐이 바람직하며 물리적으로 분리되지 않고 연결된 일체의 상태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ultrasonic generating region 123 and the second ultrasonic generating region 124 have the same material as each other. In addition, the first ultrasound generating region 123 has a planar shape without a radius of curvature. In addition, the second ultrasonic wave generating region 124 has a curved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of curvature. The first ultrasonic generating region 123 and the second ultrasonic generating region 124 preferably have the same thickness and are provided in an integral state connected without being physically separated.

특히, 제1 초음파 발생영역(123)은 대략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제1 초음파 발생영역(124)은 초점을 가지지 않으며, 집속파가 아닌 평면파의 초음파를 형성한다.In particular, the first ultrasound generating region 123 has a substantially circular planar shape. Accordingly, the first ultrasound generation region 124 does not have a focus and generates ultrasound of a plane wave rather than a focused wave.

또한, 제2 초음파 발생영역(124)은 제1 초음파 발생영역(123)의 주변부에 형성되며, 대략 구형의 단면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제2 초음파 발생영역(124)은 적어도 하나의 초점을 가지며, 평면파가 아닌 집속 초음파를 형성한다.In addition, the second ultrasonic wave generating region 124 is formed around the first ultrasonic wave generating region 123 and has a substantially spherical cross-sectional shape. Accordingly, the second ultrasonic wave generation region 124 has at least one focal point and generates focused ultrasonic waves instead of plane waves.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도 3에 도시된 초음파 발생 소자의 동작을 도시한 모식도이다.Figure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ultrasonic generating element shown in Figure 3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제1 초음파 발생영역(121)은 초점을 가지지 않으므로 평면파를 발생한다. 따라서, 특정 영역에서 초음파의 집속동작을 발생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5 , since the first ultrasound generating region 121 does not have a focus, plane waves are generated. Therefore, a focusing operation of ultrasonic waves in a specific area is not generated.

또한, 제2 초음파 발생영역(122)은 초점을 가지므로 초음파 집속 동작을 유발한다.In addition, since the second ultrasound generation area 122 has a focus, an ultrasound focusing operation is induced.

또한, 제1 초음파 발생영역(121)에서 생성되는 제1 초음파(125)와 제2 초음파 발생영역(122)에서 생성되는 제2 초음파(126)는 동일 주파수를 가진다. 따라서, 제1 초음파(125)와 제2 초음파(126)가 진행하는 중첩 영역(127)에서는 파형의 중첩에 따른 상쇄 또는 간섭 현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특정의 초점을 향하는 제2 초음파(126)의 에너지는 중첩 영역(127)을 벗어나면 상당부분 약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ultrasonic wave 125 generated in the first ultrasonic wave generating region 121 and the second ultrasonic wave 126 generated in the second ultrasonic wave generating region 122 have the same frequency. Therefore, in the overlapping region 127 where the first ultrasound 125 and the second ultrasound 126 proceed, an offset or interference phenomenon occurs due to the overlapping of the waveforms. Accordingly, the energy of the second ultrasonic wave 126 directed to a specific focus may be significantly weakened when it leaves the overlapping region 127 .

즉, 제1 초음파(125)는 평면파이고, 조사되는 환부의 영역을 결정할 수 있으며, 제2 초음파(126)는 조사되는 환부의 영역에서 제1 초음파(125)와 중첩되어 넓은 면적에 대해 에너지를 집속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ultrasound 125 is a plane wave and can determine the area of the affected area to be irradiated, and the second ultrasound 126 is overlapped with the first ultrasound 125 in the area of the affected area to be irradiated to radiate energy over a large area. can concentrate

상술한 구조의 치과용 장치는 평면파와 집속파를 동시에 구동할 수 있는 초음파 집속소자를 가진다. 사용자는 구강 내의 치아와 잇몸에 물 또는 젤 타입의 매질을 사용하여 치과용 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환부에서의 온열 효과와 캐비테이션 현상을 유발하고, 적절한 부위에 초음파를 집속하여 치과 질환을 치료할 수 있다.The dental apparatus having the above structure has an ultrasonic focusing element capable of simultaneously driving a plane wave and a focused wave. A user may operate the dental appliance by using a water or gel-type medium on teeth and gums in the oral cavity.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nduce a thermal effect and a cavitation phenomenon in the affected area, and treat dental diseases by focusing ultrasound on an appropriate area.

100 : 카트리지부 110 : 카트리지 하우징
120 : 초음파 발생 소자 200 : 본체부
210 : 본체 체결부 220 : 회로부
230 : 전원부
100: cartridge unit 110: cartridge housing
120: ultrasonic generating element 200: main body
210: body fastening part 220: circuit part
230: power supply

Claims (8)

구동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구동신호를 수신하여 표면으로부터 함몰된 형태로 제공되는 초음파 발생 소자를 동작시키기 위한 카트리지부;
상기 카트리지부의 외곽을 감싸고 절연성 소재로 이루어진 카트리지 하우징;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에 부착되고,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의 표면으로부터 함몰된 형태로 제공되며, 초음파를 발생하기 위한 상기 초음파 발생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초음파 발생 소자는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 제1 초음파 발생영역과 제2 초음파 발생영역을 포함하는, 치과용 장치.
a body portion for generating a driving signal;
a cartridge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ody unit and receiving the driving signal to operate an ultrasonic generating element provided in a recessed form from a surface;
A cartridge housing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cartridge unit;
Attached to the cartridge housing, provided in a recessed form from the surface of the cartridge housing, the ultrasonic generating element for generating ultrasonic waves; and
The ultrasonic generating element includes a first ultrasonic generating region and a second ultrasonic generating region having the same thickn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카트리지부와 접속되고, 탈착이 이루어지고, 체결을 통해 상기 구동신호를 상기 카트리지부에 전달하기 위한 본체 체결부;
상기 본체 체결부에 상기 구동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구동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회로부; 및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회로부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ody portion
A main body fastening unit connected to the cartridge unit, being detachable, and transmitting the driving signal to the cartridge unit through fastening;
a circuit unit for transmitting the driving signal to the body fastening unit and generating the driving signal; and
A dental apparatus comprising a power supply unit for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and supplying power required for operation of the circuit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부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구동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본체부와 체결되는 카트리지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artridge unit
The dental apparatus comprising a cartridge fastening part that receives the driving signal supplied from the main body part and is engaged with the main body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발생 소자에는 제1 배선 및 제2 배선이 연결되고, 상기 제1 배선은 상기 초음파 발생 소자의 배면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배선은 상기 초음파 발생 소자의 전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 first wiring and a second wiring are connected to the ultrasonic generating element, the first wiring is connected to a rear surface of the ultrasonic generating element, and the second wiring is connected to a front surface of the ultrasonic generating element. Dent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be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발생 소자는
곡률 반경을 가지지 않는 평면 형상을 가지는 제1 초음파 발생영역; 및
상기 제1 초음파 발생영역의 주변부에 형성되고, 곡률 반경을 가지는 곡면 형상의 제2 초음파 발생영역을 포함하는 치과용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ultrasonic generating element
a first ultrasound generating region having a planar shape with no radius of curvature; and
A dental apparatus comprising a curved second ultrasonic wave generating region formed around the first ultrasonic wave generating region and having a radius of curvatur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초음파 발생영역은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가지고, 평면파의 초음파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장치.[6] The denta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first ultrasound generating area has a circular planar shape and generates plane wave ultrasoun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초음파 발생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초점을 가지고, 집속 초음파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장치.[6] The denta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second ultrasound generating area has at least one focal point and generates focused ultrasound wav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초음파 발생영역과 상기 제2 초음파 발생영역은 물리적으로 일체로 연결된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장치.The denta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ultrasound generating area and the second ultrasound generating area are provided in a physically integrally connected form.
KR1020160025427A 2016-03-03 2016-03-03 Dental device of using Ultrasound Generation Device KR1025321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5427A KR102532129B1 (en) 2016-03-03 2016-03-03 Dental device of using Ultrasound Gener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5427A KR102532129B1 (en) 2016-03-03 2016-03-03 Dental device of using Ultrasound Genera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3106A KR20170103106A (en) 2017-09-13
KR102532129B1 true KR102532129B1 (en) 2023-05-12

Family

ID=59967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5427A KR102532129B1 (en) 2016-03-03 2016-03-03 Dental device of using Ultrasound Genera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212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3268B1 (en) * 2021-09-14 2022-04-08 주식회사 메타소닉 Transducer of integrated type which generates complex ultrasonic soun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0118A (en) * 2003-01-29 2004-08-19 Yasuyuki Sugano Ultrasonic gingival sulcus laveur
JP2009131339A (en) * 2007-11-29 2009-06-18 Toei Denki Kogyo Kk Ultrasonic oral cavity washer
KR101538896B1 (en) 2014-12-30 2015-07-22 에코디엠랩 주식회사 High intensity focused ultrasonic piezoelectric actu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8881A (en) * 2008-01-16 2009-07-21 주식회사 메디슨 Ultrasound probe having surface curved piezoelectric vibrator
KR100991977B1 (en) * 2008-03-31 2010-11-04 주식회사 쿠보텍 Dental therapy apparatus that the ultrasound and ultraviolet rays and ozone water operation is possib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0118A (en) * 2003-01-29 2004-08-19 Yasuyuki Sugano Ultrasonic gingival sulcus laveur
JP2009131339A (en) * 2007-11-29 2009-06-18 Toei Denki Kogyo Kk Ultrasonic oral cavity washer
KR101538896B1 (en) 2014-12-30 2015-07-22 에코디엠랩 주식회사 High intensity focused ultrasonic piezoelectric actu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3106A (en) 2017-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4544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upling an ultrasound source to tissue
US1000448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ultrasound power output and stability
US8162858B2 (en) Ultrasonic medical treatment device with variable focal zone
US9555267B2 (en) Direct contact shockwave transducer
WO1996027358A1 (en) Multi-frequency ultrasound therapy systems and methods
JP2008515557A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ed heat treatment of human surface tissue
KR101672631B1 (en) High intensity focused ultrasonic apparatus for caring skin
KR20180061105A (en) Ultrasonic transducer
KR101770253B1 (en) An Apparatus for Caring a Skin Using a Ultrasonic Wave Having a Structure of Multi Frequencies Emitting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532129B1 (en) Dental device of using Ultrasound Generation Device
KR101259381B1 (en) Applicator for HIFU
KR102117636B1 (en) Ultrasound treatment cartridge and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12239791A (en) Focused sonic therapeutic apparatus
CN110124207A (en) A kind of wearable flexible optical power therapentic equipment
KR102355303B1 (en) Focused ultrasonic system for face skincare
JP3216192U (en) Focused sonotherapy device using planar element
US20020151940A1 (en) Transcutaneous spine trauma and disorders treatment using ultrasonically induced confined heat (ulich) zone
KR101887046B1 (en) Piezoelectric Element of generating Ultrasound used in Pain Relief
KR100521247B1 (en) A thermo-hydraulic shock wave generator
KR102549380B1 (en) A highly intensity focused ultrasonic apparatus for caring the skin
KR102280904B1 (en) Focused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apparatus using electromagnetic coil
KR101803529B1 (en) Ultrasound transducer
KR20230105451A (en) Multi-frequency ultrasonic oscillation probe and dental device including 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