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2096B1 - 날씨정보 기반의 ai 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잠수복 - Google Patents

날씨정보 기반의 ai 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잠수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2096B1
KR102532096B1 KR1020210112882A KR20210112882A KR102532096B1 KR 102532096 B1 KR102532096 B1 KR 102532096B1 KR 1020210112882 A KR1020210112882 A KR 1020210112882A KR 20210112882 A KR20210112882 A KR 20210112882A KR 102532096 B1 KR102532096 B1 KR 102532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ver
information
signal
abnormal sign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2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0790A (ko
Inventor
박해영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한국해양개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한국해양개발공사 filed Critical 유한회사 한국해양개발공사
Priority to KR1020210112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2096B1/ko
Publication of KR20230030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0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2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2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2Divers' equipment
    • B63C11/04Resilient s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2Divers' equipment
    • B63C11/12Diving m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2Divers' equipment
    • B63C11/26Communication means, e.g. means for signalling the presence of d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022/00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or watch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2Divers' equipment
    • B63C2011/021Diving computers, i.e. portable computers specially adapted for divers, e.g. wrist worn, watertight electronic devices for detecting or calculating scuba diving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날씨정보 기반의 AI 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잠수복에 관한 것으로, 바다 해상에 띄워져 파고, 유속, 풍향, 풍속, 수질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센서를 구비하여 실시간으로 해상정보를 검출하는 스마트 부이장치, 상기 스마트 부이장치를 통해 검출되는 해상정보를 수신 받으며, 상기 파고, 유속, 풍향, 풍속, 바닷물의 화학적 특성에 해당하는 해상정보가 일정 범위 이상의 값으로 검출되면 이상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통해 이상신호를 출력하고, 이상신호 발생에 따라 무선통신방식으로 송신하는 중앙단말기 및 상기 중앙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해상정보에서 이상신호가 발생하면 해당 정보를 무선통신방식으로 수신 받으며, 잠수중인 잠수부의 심박수, 혈압 또는 체온을 체크하는 인체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인체감지센서에서 신호를 수신하여 잠수부의 이상 유무를 판정하고, 잠수부의 인체 이상 발생 시에 수면위의 이상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부가 구비된 잠수부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날씨정보 기반의 AI 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잠수복{Functional diving suit equipped with weather information-based AI functions}
본 발명은 날씨정보 기반의 AI 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잠수복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날씨정보 기반을 통해 잠수부의 잠수 시 날씨 정보 제공을 통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능성 잠수복에 관한 것이다.
지속적인 레저 산업의 성장에 힘입어 스쿠버다이빙 역시 지난 1968년 군대에서 민간으로 보급된 이래 인구수가 계속 증가추세에 있다. 초기에는 고가의 장비 때문에 대중화에 어려움을 겪었으나 인터넷의 발달로 많은 동호회가 생겨나며 관련 인구가 증가하기 시작해 현재 30 ~ 35만 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된다.
또한, 대학 다이빙동아리의 증가로 지난 2015년 대학다이빙연합회가 출범하여 젊은 층의 참여가 활발하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다이빙 협회 차원에서도 다이빙 인구 증가를 위해 관련 교육 프로그램 증설, 다이빙 장비 구매 알선 등 여러 가지 노력을 하고 있어 다이빙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정부차원에서도 수중레저산업의 법적 근거마련을 위한 '해중레저 활성화에 관한 법률'을 2014년 발의하여 현재 심사 중에 있으며, 이외에도 수중레저 저변 확대를 위해 국가차원의 스킨스쿠버 체험프로그램 및 수중사진대전, 수중레저 페스티벌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위와 같이 해양수산부를 중심으로 해양레저산업을 육성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며 다이빙 분야는 위 산업에서 가장 유망한 분야로 꼽히고 있다. 또한, 레저스포츠 인구 증가가 곧 레저스포츠 장비 시장의 급성장으로 이어진 전례로 볼 때, 다이빙 장비시장 역시 향후 성장세가 예상되고, 그만큼 안전성 확보를 위한 다이빙장비 내지는 구조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잠수부들은 수중작업의 특성상, 그룹을 이루어 작업하는 것보다 외부와 격리된 단독작업이 많다. 또한, 해양이나 하천과 같은 물속에서 작업하므로 활동이 자유롭지 않고, 공기통에 의지하여 호흡하므로 두뇌활동이 저하되어 주변의 위험요소들 (공기잔량 부족, 위험 해양생물, 빠른 조류)에 대처하기 어렵다. 따라서, 수중 잠수부들의 안전을 지키고 보다 안전한 수중활동을 위해 잠수복에 안전장비나 첨단 장비를 적용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다이빙 장비 분야는 몇 년간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레저 산업 분야에 힘입어 동반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이러한 시장흐름에 착안하여 잠수부들의 안전을 고려한 첨단 잠수복 개발이 활발하다.
국내 다이빙 사고는 과거 7년간 총 102건의 사망사고가 있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잠수부 1만 명당 사망자 수는 0.56명으로 다이빙 선진국인 미국, 일본에 비해 2~3배 이상 높은 실정이다. 국내 연도별 다이빙 사고원인(2000 ~ 2013)을 분석한 결과 크게 잠수부 과실, 교육 부재, 환경 요인, 안전사고, 선박충돌 등 7가지 원인으로 분류되고 있다.(해양경찰청 내부자료 ?? 2014) 이중 안전사고가 19.3%로 가장 높았으며 수중 환경적 요인도 1.93%로 집계되고 있다. 위와 같은 기간 연도별 다이빙 사고결과를 종합한 결과 사고 310건 중 사망이 281건으로 대부분의 다이빙 사고 발생 시 사망하는 것으로 집계되어 사고 예방에 대한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으며, 다이빙 관련 사고는 사전 교육을 통해 어느 정도예방 가능하지만, 해양 환경은 변수가 다양하며 잠수부가 대처할 시간 없이 위협하는 경우가 많아 교육을 통한 예방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다이빙 사고 발생 시 이를 빠르게 감지하고 대처하여 잠수부의 생명을 지킬 수 있는 보완책이 요구되며 이 중 다이빙 장비에 추가 기능을 탑재하는 것이 가장 현실적인 방법이라 볼 수 있다.
KR 제 10-2014-0120789호 KR 제 10-2011-0033540호 KR 제 10-1782014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잠수부가 잠수 임무를 수행하는 동안 날씨 변동에 따른 해양 정보를 잠수부가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잠수부의 잠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능성 잠수복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다의 해양 상태를 정밀히 검출하여 실시간 정보를 제공함에 따라 잠수부의 잠수 임무(작업) 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다 해상에 띄워져 파고, 유속, 풍향, 풍속, 수질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센서를 구비하여 실시간으로 해상정보를 검출하는 스마트 부이장치, 상기 스마트 부이장치를 통해 검출되는 해상정보를 수신 받으며, 상기 파고, 유속, 풍향, 풍속, 바닷물의 화학적 특성에 해당하는 해상정보가 일정 범위 이상의 값으로 검출되면 이상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통해 이상신호를 출력하고, 이상신호 발생에 따라 무선통신방식으로 송신하는 중앙단말기 및 상기 중앙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해상정보에서 이상신호가 발생하면 해당 정보를 무선통신방식으로 수신 받으며, 잠수중인 잠수부의 심박수, 혈압 또는 체온을 체크하는 인체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인체감지센서에서 신호를 수신하여 잠수부의 이상 유무를 판정하고, 잠수부의 인체 이상 발생 시에 수면위의 이상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부가 구비된 잠수부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잠수부 단말기는, 상기 중앙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이상신호 발생에 따라 이상신호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광을 발산하는 발광부와, 음향신호를 발산하는 음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중앙단말기는, 기상 정보를 분석 및 검출하여 기상정보를 안내하는 외부기상서버로부터 현재 기상 정보를 수신 받아 상기 잠수부 단말기에게 제공할 이상 신호를 분석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잠수부 단말기는, 상기 잠수부가 착용하는 수경에 설치되어 잠수부의 홍채 정보(동공, 망막)를 검출하는 홍채인식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홍채인식센서를 통해 잠수부의 이상신호 검출 시 상기 잠수부 단말기는 이상 신호를 상기 중앙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 부이장치는, 파도의 높이를 검출하는 파고센서, 바다 수심 내의 유속 상태를 검출하는 유속센서, 바다의 수질 상태를 검출하는 수질센서 및 잠수부가 위치한 해상 주변의 풍속을 검출하는 풍속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마트 부이장치는, 상기 잠수부가 잠수된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일정 거리 떨어진 곳으로 적어도 3개 이상 설치되어 각각의 위치에서 검출되는 해상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중앙 단말기로 제공하며, 다수의 스마트 부이장치를 통해 획득된 해상 정보를 상기 중앙 단말기가 수신하여 해상 정보의 평균값을 검출한 후 여기서 검출된 평균값을 기준으로 이상신호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잠수부 단말기는, 잠수 활동을 수행하는 다수의 잠수부에 각각 구비되도록 복수개로 구성되며, 상기 인체감지센서를 통해 특정 잠수부에 이상신호가 발생하게 되면 나머지 잠수부 단말기로 특정 잠수부의 이상신호에 대한 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은 잠수부가 활동하는 해양 근처에 설치되는 스마트 부이장치를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해양의 상태정보를 검출하고 이를 통해 잠수부에게 무선통신 방식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해상의 날씨 변동에 따른 위험성 정보를 제공하여 결과적으로 잠수부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잠수부가 착용하는 홍채인식센서를 통해 잠수부의 동공, 망막 정보를 검출하여 잠수부의 생체 정보를 검출하고, 생체 정보 검출에 따른 이상 신호가 발생할 경우 잠수부 관리 선박에 위치한 중앙단말기로 이상신호를 제공하여 신속한 안전조치를 이행할 수 있어 잠수부의 작업 안정성을 한층 더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날씨정보 기반의 AI 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잠수복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날씨정보 기반의 AI 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잠수복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날씨정보 기반의 AI 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잠수복의 스마트 부이 장치의 상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날씨정보 기반의 AI 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잠수복에서 스마트 부이의 설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날씨정보 기반의 AI 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잠수복에서 복수 잠수부 단말기 구성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날씨정보 기반의 AI 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잠수복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날씨정보 기반의 AI 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잠수복은, 바다 해상에 띄워져 파고, 유속, 풍향, 풍속, 수질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센서를 구비하여 실시간으로 해상정보를 검출하는 스마트 부이장치, 상기 스마트 부이장치를 통해 검출되는 해상정보를 수신 받으며, 상기 파고, 유속, 풍향, 풍속, 바닷물의 화학적 특성에 해당하는 해상정보가 일정 범위 이상의 값으로 검출되면 이상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통해 이상신호를 출력하고, 이상신호 발생에 따라 무선통신방식으로 송신하는 중앙단말기 및 상기 중앙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해상정보에서 이상신호가 발생하면 해당 정보를 무선통신방식으로 수신 받으며, 잠수중인 잠수부의 심박수, 혈압 또는 체온을 체크하는 인체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인체감지센서에서 신호를 수신하여 잠수부의 이상 유무를 판정하고, 잠수부의 인체 이상 발생 시에 수면위의 이상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부가 구비된 잠수부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날씨정보 기반의 AI 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잠수복은 잠수 활동 영역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스마트 부이장치를 통해 실시간으로 파고, 유속, 풍향, 풍속, 수질 등의 해상정보를 수집하여 잠수 활동의 위험 상황 발생 시 잠수부가 휴대폰 잠수부 단말기로 이상신호를 제공함에 따라 잠수 활동 중단과 신속과 수면 복귀 등 잠수부의 잠수 안정 활동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주요 기술적 요지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날씨정보 기반의 AI 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잠수복의 전체 구성도이다.
잠수복(100)과 수경은 잠수 시에 착용하는 장비로써, 인체가 물에 접촉하는 경우에는 공기 중에 있는 인체보다 빨리 열을 빼앗기게 된다. 이러한 원인으로 인해 잠수복은 물속에 있는 인체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보온목적으로 반드시 착용해야 하는 장비이고, 인체에 거친 물속 환경으로부터 물리적으로 보호해주는 목적으로 착용한다. 잠수복은 인체와 잠수복 사이에 얇은 막을 형성하게 되어 차가운 물로 인해 인체열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잠수복(100)은 이러한 잠수복 고유의 기능뿐만 아니라 인체감지센서와 잠수부 단말기(200)를 포함하고 있어 이를 통해서 잠수부의 심박수, 혈압 또는 체온을 실시간으로 체크하며, 이와 더불어 수경에 구성된 홍채인식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망막상태를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잠수부의 인체 이상 정보를 검출하고 이상신호 발생 시 긴급신호를 발생시켜 신속하게 구조 활동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잠수부 활동을 지원하는 선박으로 중앙 단말기(300)가 구성되고, 상기 중앙 단말기는 상기 잠수부 단말기(200)와 실시간으로 통신을 통해 외부 이상신호나 잠수부 이상신호 발생 시 해당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요 구성으로는 스마트 부이장치(400)가 잠수부의 잠수 활동 해양 영역에 복수개 구성된다. 상기 스마트 부이장치(400)는 해상의 파고, 유속, 풍향, 풍속, 수질 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게 되고, 여기서 획득한 해상 정보가 잠수 활동에 부적합 시 이상 신호를 제공하여 잠수 활동 중단을 통해 잠수부의 활동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기상서버(500)와 상기 중앙 단말기(300)가 실시간으로 통신을 통해 전체 기상 정보를 수신받게 되고, 마찬가지로 기상 변화 발생 시 잠수부의 잠수 활동 중단을 요청하게 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날씨정보 기반의 AI 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잠수복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날씨정보 기반의 AI 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잠수복의 스마트 부이 장치의 상세 구성도이다.
우선, 상기 잠수부 단말기(200)는 인체감지센서(210), 제어부(220), 전원부(230), 무선통신부(240) 그리고 표시부(250)로 구성된다. 상기 잠수부 단말기는 잠수부가 휴대하여 잠수 활동을 수행하는 것으로써, 스마트 잠수복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기능을 가진다. 또한, 잠수부 단말기는 잠수부의 신체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홍채인식센서(211), 인체감지센서(21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고 물에 노출되지 않도록 방수처리가 될 수 있다.
제어부(220)에서 송신된 구조신호를 수신하여 잠수부의 조난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240)를 포함하고, 이 신호를 외부에서 수신하는 상기 중앙 단말기(300)에서는 잠수부의 구조신호를 수신하여 광을 발산하거나 음성을 출력하는 표시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무선통신부(240)는 3G, 4G, Wibro, WiFi, Bluetooth, Zigbee 등 다양한 통신모듈을 포함하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각 무선통신부(240)를 구성하는 통신모듈들은 주로 송수신모듈을 의미한다.
상기 표시부(250)는 LED와 같이 저전력 광원을 사용할 수 있으며, LED 광의 전원 또한 자체전원 내지는 각종 신재생에너지원을 활용하여 공급받을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부품(스피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 원거리까지 수십에서 수백 dB의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일 수 있으며, 주파수의 간섭을 막기 위해서 파도소리에 의한 파장영역과 다른 파장영역을 갖도록 음향을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20)는 인체감지센서(210)에서 심박수, 혈압 또는 체온의 이상여부를 체크한 신호를 수신하여 잠수부의 이상 유무를 판정한다. 만일 잠수부의 이상이 발견되면 상기 중앙 단말기(300)로 이상신호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잠수부가 착용하는 수경에 설치된 홍채인식센서(211)는 잠수부가 일정시간을 간격으로 홍채인식센서에 자신의 눈을 인식하도록 사용 메뉴얼에 따라 사용하여야 하며, 만약 해당 행위를 실시하기 않을 경보 신호를 발생시켜 잠수부에 주의를 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정시간 간격으로 인식된 잠수부의 홍채 정보(동공, 망막 등)는 제어부에서 검출하여 특정 신호 이상값을 오버한 경우 잠수부에 이상신호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고 이상신호를 발생시켜 구조신호를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인체감지센서(210)의 검출값은 잠수부의 이상발생기준 심박수, 혈압 또는 체온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정상 심박수는 성별에 따라 나이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다. 남자의 경우 1분에 70 ~ 76회가 보통이며, 여자의 경우 1분에 73 ~ 78회가 보통이다. 잠수부의 성별, 나이에 따라서 정상 심박수에 차이가 있는 점으로 인해 잠수부마다 이상발생기준 심박수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상발생기준을 세밀하게 분류하기 위해서 잠수부 자신의 정상심박수를 입력하고, 이상발생기준을 잠수부 자신이 설정할 수 있다. 혈압과 체온 또한 마찬가지로 자신의 이상혈압의 기준이 되는 혈압과 이상체온의 기준이 되는 이상체온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미부호)를 통해 스스로 입력할 수 있다. 타이머는 잠수부의 이상발생기준 심박수, 혈압 또는 체온의 지속시간을 판단한다. 잠수부에 이상 징후가 포착되더라도, 곧 안정적으로 돌아올 수 있는 경우가 있으며, 이 경우 이상발생기준 심박수, 혈압 또는 체온의 지속시간이 짧아 실제 제어부가 구조신호를 송신할 필요가 없는 경우이다. 만일 잠수부에게 이상 징후가 포함되어 기 정해진 시간동안 지속되거나 정상상태로 회복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는 타이머에서 측정된 지속시간을 판단하여 구조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제어부(220)는 또한 잠수부의 심박수, 혈압 또는 체온의 이상 정도에 따라 무선통신부(240), 표시부(250)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잠수부의 심박수가 급격히 올라간 상태이나 체온이나 혈압은 정상인 경우 잠수부 잠수영역과 인접한 거리에 있는 사람이 인지할 수 있도록 음향부에서만 소리로 경보를 울릴 수 있도록 제어가 가능하며, 체온이나 혈압, 심박수 모두 이상 징후가 포착된 경우 무선통신부(220)와 표시부(250) 모두에서 잠수부의 이상 징후 포착으로 인한 경고를 발생시키게 된다.
제어부(220)는 잠수부의 심박수, 혈압 또는 체온이상이 발견된 경우 응급신호를 발생시켜 중앙 단말기(300)로 수신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자세하게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홍채인식센서(211)와 인체감지센서(210)에서 검출되는 잠수부의 홍채정보, 심박수, 혈압 정보를 통해 기준값 이상이 되었을 경우 이상신호를 발생시킨다.
도 3은 중앙 단말기와 스마트 부이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중앙 단말기(300)는 잠수부 활동을 지원하는 선박에 설치되는 단말기로써, 잠수부의 활동을 지원하고 잠수부가 일정 시간 잠수 활동 후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선박이다. 상기 중앙 단말기는 앞서 설명한 잠수부 단말기(200)와 실시간으로 무선 통신하여 잠수부의 이상 신호 발생 시 구조에 대응할 수 있으며, 더불어 외부 해상신호를 수신 받아 상기 잠수부 단말기(200)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스마트 부이장치(400)는 잠수부가 활동하는 해양 주변으로 다수가 설치된다. 상기 스마트 부이장치는 해상정보를 관측 및 수집하여 잠수 활동에 부적합한 관측정보가 발생하면, 이에 따른 이상신호를 상기 중앙 단말기(300)에 제공하고 여기서 다시 잠수부 단말기(200)로 제공하여 잠수부의 잠수 활동 중지를 명령한다.
상기 스마트 부이장치(400)는 해상의 파도 높이를 측정하는 파도센서(410), 바다의 유속을 측정하는 유속센서(420), 풍향과 풍속정보를 측정하는 풍속센서(440) 그리고 수질정보를 검출하는 수질센서(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해상의 날씨 정보가 실시간으로 변동하기 때문에 잠수부가 잠수 활동을 하는 동안 잠수 활동에 적합하지 않는 날씨 변동으로 인해서 이를 알지 못하고 잠수부의 조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상기 스마트 부이장치는 잠수부 활동 영역의 해상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제공하기 때문에 잠수부 활동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부이장치(400)는 잠수부가 활동하는 지역의 반경 2 ~ 4킬로미터(km) 내에서 3 ~ 5개 정도 설치될 수 있으며, 스마트 부이장치가 설치되는 해상에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상기 중앙 단말기(300)로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외부 기상서버(500)는 각 국가의 기상정보를 담당하는 기상센터 서버에 해당하는 것으로, 기상서버에서 수집되는 기상정보를 상기 중앙 단말기로 수신받아 해상 날씨 변동에 따른 정보를 상기 잠수부 단말기(200)에 제공하여 잠수부의 안정성을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날씨정보 기반의 AI 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잠수복에서 스마트 부이의 설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 부이장치(400)는 잠수부의 잠수 활동 반경으로 다수개 설치된다. 반경 2 ~ 4km 내에서 다수개 설치하여 주변의 해상 정보와 수질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잠수 활동 위험정보가 검출되면 상기 중앙 단말기(200)로 제공하여 잠수부들의 잠수 활동을 관리한다.
이때, 상기 스마트 부이장치(400)에서 검출되는 해상정보는 다수의 스마트 부이장치에서 검출되는 평균값을 상기 중앙 단말기(300)가 산출하여 최종적으로 잠수부 단말기(200)에 제공한다. 다수의 스마트 부이장치를 통해 잠수부 활동 영역 주변의 해상 정보를 각각 관측하고 이를 통합적으로 해석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잠수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날씨정보 기반의 AI 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잠수복에서 복수 잠수부 단말기 구성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해양 잠수 활동에서는 다수의 잠수부가 잠수 활동을 펼치면서 잠수 활동을 개시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잠수부가 휴대하고 있는 각각의 잠수부 단말기(200)를 구성하고 있으며, 이는 다수의 잠수부 중에서 특정 잠수부의 이상신호가 발생하였을 경우 나머지 잠수부 단말기로 해당 신호를 제공한다. 해당 잠수부에 응급 상황이 발생되면 나머지 잠수부 단말기(200)의 표시부(250)로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신호 출력은 각각의 잠수부 단말기에 대하여 고유ID가 할당되어 있으며, 고유ID에 해당하는 신호를 획득할 수 있도록 상기 표시부(250)에 출력하면, 나머지 잠수부들이 해당 잠수부를 구조할 수 있도록 지원하게 된다. 앞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표시부(250)는 발광형태 또는 음향출력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발광 신호의 점멸 방식이나 색상 출력으로 구분할 수 있고, 음향 신호의 경우에는 해당 고유 ID에 따른 음향 신호를 출력하여 해당 잠수부 신호를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잠수부가 활동하는 해양 근처에 설치되는 스마트 부이장치를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해양의 상태정보를 검출하고 이를 통해 잠수부에게 무선통신 방식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해상의 날씨 변동에 따른 위험성 정보를 제공하여 결과적으로 잠수부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잠수부가 착용하는 홍채인식센서를 통해 잠수부의 동공, 망막 정보를 검출하여 잠수부의 생체 정보를 검출하고, 생체 정보 검출에 따른 이상 신호가 발생할 경우 잠수부 관리 선박에 위치한 중앙단말기로 이상신호를 제공하여 신속한 안전조치를 이행할 수 있어 잠수부의 작업 안정성을 한층 더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잠수복
200 : 잠수부 단말기
210 : 인체감지센서
211 : 홍채인식센서
220 : 제어부
230 : 전원부
240 : 무선통신부
250 : 표시부
300 : 중앙 단말기
310 : 음향부
320 : 발광부
330 : 무선통신부
400 : 스마트 부이장치
410 : 파고센서
420 : 유속센서
430 : 화학센서
440 : 풍속센서
500 : 외부 기상서버

Claims (7)

  1. 바다 해상에 띄워져 파고, 유속, 풍향, 풍속, 수질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센서를 구비하여 실시간으로 해상정보를 검출하는 스마트 부이장치;
    상기 스마트 부이장치를 통해 검출되는 해상정보를 수신 받으며, 상기 파고, 유속, 풍향, 풍속, 바닷물의 화학적 특성에 해당하는 해상정보가 일정 범위 이상의 값으로 검출되면 이상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통해 이상신호를 출력하고, 이상신호 발생에 따라 무선통신방식으로 송신하는 중앙단말기; 및
    상기 중앙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해상정보에서 이상신호가 발생하면 해당 정보를 무선통신방식으로 수신 받으며, 잠수중인 잠수부의 심박수, 혈압 또는 체온을 체크하는 인체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인체감지센서에서 신호를 수신하여 잠수부의 이상 유무를 판정하고, 잠수부의 인체 이상 발생 시에 수면위의 이상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부가 구비된 잠수부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잠수부 단말기는 상기 중앙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이상신호 발생에 따라 이상신호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광을 발산하는 발광부와, 음향신호를 발산하는 음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발광부의 발광 신호 점멸 방식이나 색상 출력으로 구분하거나 음향신호의 경우에는 해당 고유 ID에 따른 음향신호를 출력하여 잠수부의 신호를 인식하도록 하며,
    상기 중앙단말기는 기상 정보를 분석 및 검출하여 기상정보를 안내하는 외부기상서버로부터 현재 기상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잠수부 단말기에게 제공할 이상 신호를 분석하여 제공하고,
    상기 잠수부 단말기는 상기 잠수부가 착용하는 수경에 설치되어 잠수부의 홍채 정보(동공, 망막)를 검출하는 홍채인식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홍채인식센서를 통해 잠수부의 이상신호 검출 시 상기 잠수부 단말기는 이상 신호를 상기 중앙단말기로 제공하며,
    상기 스마트 부이장치는,
    파도의 높이를 검출하는 파고센서;
    바다 수심 내의 유속 상태를 검출하는 유속센서;
    바다의 수질 상태를 검출하는 수질센서; 및
    잠수부가 위치한 해상 주변의 풍속을 검출하는 풍속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마트 부이장치는 상기 잠수부가 잠수된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일정 거리 떨어진 곳으로 적어도 3개 이상 설치되어 각각의 위치에서 검출되는 해상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중앙 단말기로 제공하며,
    다수의 스마트 부이장치를 통해 획득된 해상 정보를 상기 중앙 단말기가 수신하여 해상 정보의 평균값을 검출한 후 여기서 검출된 평균값을 기준으로 이상신호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잠수부 단말기는 잠수 활동을 수행하는 다수의 잠수부에 각각 구비되도록 복수개로 구성되며, 상기 인체감지센서를 통해 특정 잠수부에 이상신호가 발생하게 되면 나머지 잠수부 단말기로 특정 잠수부의 이상신호에 대한 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씨정보 기반의 AI 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잠수복.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10112882A 2021-08-26 2021-08-26 날씨정보 기반의 ai 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잠수복 KR102532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882A KR102532096B1 (ko) 2021-08-26 2021-08-26 날씨정보 기반의 ai 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잠수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882A KR102532096B1 (ko) 2021-08-26 2021-08-26 날씨정보 기반의 ai 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잠수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0790A KR20230030790A (ko) 2023-03-07
KR102532096B1 true KR102532096B1 (ko) 2023-05-12

Family

ID=85512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2882A KR102532096B1 (ko) 2021-08-26 2021-08-26 날씨정보 기반의 ai 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잠수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209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08454A (ja) * 2009-03-10 2010-09-24 Seiko Epson Corp ダイビングログブックを作成する携帯型情報処理装置
JP2015112928A (ja) * 2013-12-10 2015-06-22 五洋建設株式会社 潜水士情報取得方法および潜水士情報取得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3540A (ko) 2009-09-25 2011-03-31 구남인 Led가 부착된 잠수복
KR20140120789A (ko) 2013-04-03 2014-10-14 윤삼걸 발열장치가 구성된 잠수복상의
KR101782014B1 (ko) 2016-05-16 2017-09-26 주식회사 서브원 스마트 잠수복을 포함하는 지능형 수중위험감지시스템
KR20190128800A (ko) * 2018-05-09 2019-11-19 박해영 홍채인식센서를 이용한 스마트 산업 잠수복
KR102166842B1 (ko) * 2018-12-21 2020-10-16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소형 수환경 측정 장치 및 이를 적용한 수환경 자료 관리 시스템
KR20210027733A (ko) * 2019-09-03 2021-03-11 주식회사 서브원 모바일장치 및 gps신호를 이용한 잠수복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08454A (ja) * 2009-03-10 2010-09-24 Seiko Epson Corp ダイビングログブックを作成する携帯型情報処理装置
JP2015112928A (ja) * 2013-12-10 2015-06-22 五洋建設株式会社 潜水士情報取得方法および潜水士情報取得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0790A (ko) 202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2014B1 (ko) 스마트 잠수복을 포함하는 지능형 수중위험감지시스템
US1171536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otential drowning incident detection
KR101782990B1 (ko) IoT 기반 스마트 해녀 안전 시스템
AU2006212052A1 (en) Signalling and localization device for an individual in the sea and method for use thereof
US11294074B2 (en) Tracking system and method
KR101205411B1 (ko) 초음파와 무선신호 기반 해상 위치추적 시스템 및 방법
CN102971211A (zh) 用于人员落水情况的船上被动式安全系统及设备
KR101633347B1 (ko) 위치식별 비콘과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자동 조난 신고 시스템
US20230094370A1 (en) Dive mask for underwater communication
US20210312782A1 (en) Man location and man overboard detection system
JP2017178040A (ja) IoT基盤のスマート海女安全システム
KR20160146390A (ko) 해난 구조용 스마트 밴드
KR102532096B1 (ko) 날씨정보 기반의 ai 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잠수복
KR20190128800A (ko) 홍채인식센서를 이용한 스마트 산업 잠수복
CN206243413U (zh) 一种智能防溺水救生装置
KR101942020B1 (ko) 군집통신 기반의 부표용 riu 시스템
CN108010274A (zh) 一种基于水环境检测的预警方法及可穿戴设备
KR20210012385A (ko) 스마트 안전구명조끼를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
KR20130075058A (ko) 해양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CN204833546U (zh) 可穿戴防水声光编号呼救器及身份救援系统
CN106428464A (zh) 一种智能防溺水救生装置及方法
CN103280073A (zh) 水下人员作业安全监控系统
KR102632000B1 (ko) 해상 조난자 식별 시스템
KR101835351B1 (ko) 부력복을 이용한 위급 상황 감지 시스템
CN203740108U (zh) 潜水逃生报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