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1473B1 - 프레스 핏 핀 - Google Patents

프레스 핏 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1473B1
KR102531473B1 KR1020160033964A KR20160033964A KR102531473B1 KR 102531473 B1 KR102531473 B1 KR 102531473B1 KR 1020160033964 A KR1020160033964 A KR 1020160033964A KR 20160033964 A KR20160033964 A KR 20160033964A KR 102531473 B1 KR102531473 B1 KR 102531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connection
central
insertion part
p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3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9848A (ko
Inventor
맹현수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3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1473B1/ko
Publication of KR20170109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9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1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1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8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terminals for insertion into holes
    • H01R12/585Terminals having a press fit or a compliant portion and a shank passing through a hole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01R13/41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by permanent deformation of contact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6Securing by a separate resilient retaining piece supported by base or case, e.g. collar or metal contact-retention clip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06Lead-in-hole components, e.g. affixing or retention before soldering, spacing means
    • H05K3/308Adaptations of l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에 삽입되는 제1 삽입부 및 제2 삽입부 및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삽입부에는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1 경사면이 형성되어 제1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삽입부에는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2 경사면이 형성되어 제2 홈부가 형성되는 프레스 핏 핀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프레스 핏 핀{Press Fit Pin}
실시예는 인쇄회로기판과 결합시 변형을 최소화하는 프레스 핏 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쇄회로 기판에 커넥터를 결합하기 위해서 인쇄회로기판상에 형성된 결합홀에 접속단자 핀을 삽입한 후 땜납 재료를 이용하여 납땜하는 방법, 일명 솔더링(soldering) 결합방법이 많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땜납재료를 이용한 솔더링 결합 방법은 환경문제를 비롯하여 솔더링 작업시 발생되는 유해증기 등에 의해 작업자의 건강을 위협하는 문제가 있으며, 솔더링 작업시 발생하는 고열로 인해 인쇄회로기판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최근에는 땜납재료를 이용한 솔더링 결합기술에 대한 대안으로서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결합홀에 끼워 맞춤 방식으로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프레스 핏 핀을 이용한 결합방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프레스 핏 핀은 일반적으로 암 커넥터와 같은 전기 도전성 요소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는 결합부와, 이 결합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인쇄 회로 기판 등에 형성된 홀에 삽입될 때, 휘거나 변형되어 핀이 구멍에 맞게 압착 결합 도리 수 있게 하는 하나 이상의 힌지 영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핀은 핀과 홀 사이에 마착 삽입에 의해 홀 내에 고정되고, 핀과 홀의 도전성 표면 사이에 무납땜 전기 접속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프레스 핏 핀이 효율적인 결합을 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접촉면적을 확보하고 적절한 압력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접촉압력이 너무 적으면 접촉면적이 불충분으로 핀이 쉽게 이탈할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더 높은 접촉압력을 얻기 위해 더 큰 크기 및 형상의 프레스 핏 핀을 사용하여 접촉압력을 증가하는 경우 부적절한 삽입력 때문에 인쇄회로기판과 프레스 핏 핀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실시예는 인쇄회로기판에 삽입시 변형을 최소화하는 프레스 핏 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인쇄회로기판에 삽입되는 제1 삽입부 및 제2 삽입부; 및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삽입부에는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1 경사면이 형성되어 제1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삽입부에는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2 경사면이 형성되어 제2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는 상기 연결부의 단면의 중심으로부터 점대칭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단면형상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접촉하는 면에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삽입되는 방향의 모서리가 곡면처리될 수 있다.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가 삽입되는 방향의 적어도 일면에는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삽입시 접촉면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선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가 연결되는 가로방향의 거리와 상기 제1 홈부와 상기 제2 홈부의 최내각점을 연결하는 거리가 20:1의 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홈부와 상기 제2 홈부는 25~35도의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인쇄회로기판에 삽입되는 제1 삽입부 및 제2 삽입부;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를 연결하는 중앙부;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중앙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삽입부를 상기 중앙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삽입부에는 상기 제1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1 경사면이 형성되어 제1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부에는 제1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1 중앙경사면이 형성되어 제1 중앙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삽입부에는 상기 제2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2 경사면이 형성되어 제2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부에는 제2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2 중앙경사면이 형성되어 제2 중앙홈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는 상기 중앙부의 중심에서 점대칭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인쇄회로기판에 삽입시 프레스 핏 핀의 변형을 최소화하여 프레스 핏 핀의 변형에 따른 제품의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프레스 핏 핀의 삽입형상을 변형하여 도금의 벗겨짐을 방지하여 제품의 부식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핏 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세부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프레스 핏 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 실시 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 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실시 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2 구성 요소는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1 구성 요소도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 실시 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어느 한 element가 다른 element의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 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핏 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프레스 핏 핀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핏 핀(1)은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되는 결합홀(미도시)에 삽입되는 제1 삽입부(10) 및 제2 삽입부(30), 연결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삽입부(10)와 제2 삽입부(30)는 연결부(50)에 의해 연결되며,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되는 결합홀(미도시)에 삽입된다. 제1 삽입부(10)와 제2 삽입부(30)는 결합홀(미도시)에 삽입되는 길이방향의 기둥 형상으로 마련되며, 결합홀에 삽입시 연결부(50)의 탄성변형을 통해 결합홀에 억지끼움 형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제1 삽입부(10)에는 연결부(50)와 연결되는 제1 경사면(12)이 형성되어 제1 홈부(14)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제2 삽입부(30)에는 연결부(50)와 연결되는 제2 경사면(32)이 형성되어 제2 홈부(34)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홈부(14)와 제2 홈부(14)는 연결부(50)를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형성되며, 제1 삽입부(10)와 제2 삽입부(30)의 단면 형상은 연결부(50)의 단면 중심(c)으로부터 점대칭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는 대칭 구조를 통해 프레스 핏 핀(1)이 인쇄회로기판과 결합시 안정적인 수축이 일어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연결부(50)는 서로 마주보는 면에 제1 삽입부(10)와 제2 삽입부(30)가 연결되며,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연결부(50)는 중심이 중앙부에 위치하므로 프레스 핏 핀(1)을 제작시 제1 삽입부(10)와 제2 삽입부(30)가 연결되더라도 점대칭 구조를 이용하여 전체 중심이 연결부(50)의 단면 중심(c)과 일치하도록 하여 프레스 핏 핀(1)의 안정적인 변형을 유도할 수 있다. 이는 프레스 핏 핀(1)과 인쇄회로기판이 결합시 제1 삽입부(10)와 제2 삽입부(30)가 가압되어 전체 프레스 핏 핀(1)이 수축되는 경우, 전체 중심이 일치하지 않아 예상하지 못한 형태로 변형되어 인쇄회로기판 자체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삽입부(10)와 제2 삽입부(30)에는 인쇄회로기판과 접촉하는 면에 제1 돌출부(16) 및 제2 돌출부(36)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돌출부(16)와 제2 돌출부(36)는 연결부(50)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며, 연결부(50)를 기준으로 대칭구조를 가져 인쇄회로기판에 삽입시 동일한 하중을 받도록 하여 연결부의 일정한 수축 변형을 유도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제1 돌출부(16)와 제2 돌출부(36)는 곡면의 형상으로 구비되어 일정영역에서 인쇄회로기판과 결합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 삽입부(10)와 제2 삽입부(30)가 인쇄회로 기판에 삽입되는 방향의 적어도 일면에는 경사부(18, 38)가 형성될 수 있다.
경사부(18,38)는 제1 삽입부(10)와 제2 삽입부(30)가 결합홀(미도시)에 삽입되는 경우, 프레스 핏 핀(10)의 삽입부를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되는 결합홀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하게 삽입 초기에 결합홀과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경사부(18,38)는 프레스 핏 핀(1)이 인쇄회로기판에 삽입시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해 45도 이하의 완경사를 가질 수 있다. 종래에는 프레스 핏 핀 결합시 마찰열로 도금 피먹 부분이 벗겨짐이 발생하거나, 인쇄회로기판의 결합홀의 도금이 벗겨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는 자체의 부식으로 이어져 인쇄회로기판의 동작에 문제를 야기하였다. 그러나 삽입부에 경사부(18,38)를 형성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3은 프레스 핏 핀의 세부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삽입부(10)와 제2 삽입부(30)의 모서리가 곡면처리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서리는 제1 삽입부(10)와 제2 삽입부(30) 각각의 가로방향에 배치되는 면과 세로방향에 배치되는 면이 만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모서리를 곡면처리하여 도금이 벗겨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삽입부(10)와 제2 삽입부(30) 각각의 가로방향에 배치되는 면은 인쇄회로기판과 접촉하는 면일수 있다. 또한, 곡면 처리되는 모서리 사이에는 단면상 선형으로 나타나는 평면이 배치될 수 있다. 이는 프레스 핏 핀(1)이 삽입된 후, 마찰면이 부족하여 프레스 핏 핀(10)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
제1 삽입부(10)와 제2 삽입부(30) 및 연결부(50)의 가로방향의 거리(A)와 제1 홈부(14)의 최내각점과 제2 홈부(34)의 최내각점을 연결한 거리(d)는 일정비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A:d의 비는 20:1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 홈부(14)와 제2 홈부(34)의 경사각은 25~35도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0도의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사각과 거리비는 압축되는 힘과 연결부가 하중에 의해 수축되는 정도를 고려한 것으로, 상기의 거리비와 경사각에 따를 때 제1 삽입부(10)와 제2 삽입부(30)가 가로방향으로 수축이 발생하게 된다. 상세하게, 제1 삽입부(10)와 제2 삽입부(30)는 인쇄회로기판과 접촉하는 면과 연결부(50)를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형성되는 제1 홈부(14)와 제2 홈부(34)를 포함하기 때문에, 인쇄회로기판에 프레스 핏 핀(1)이 삽입될 때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삽입부(10)와 제2 삽입부(30)에는 가로방향으로 하중이 인가된다. 그리고, 상기 하중은 프레스 핏 핀(1)에 형성된 제1 홈부(14)와 제2 홈부(34)를 통해 프레스 핏 핀(1)의 수축을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사각과 거리비는 압축되는 힘, 즉 프레스 핏 핀(1)에 인가되는 하중과 상기 하중에 의해 프레스 핏 핀(1)이 수축되는 정도를 고려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로 방향의 수축을 유도하여 프레스 핏 핀이 변형시 인쇄회로기판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핏 핀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핏 핀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프레스 핏 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프레스 핏 핀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5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3과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프레스 핏 핀(1`)은 인쇄회로기판에 삽입되는 제1 삽입부(10`) 및 제2 삽입부(30`), 제1 삽입부(10`)와 제2 삽입부(30`)를 연결하는 중앙부(70), 제1 삽입부(10`)와 중앙부(70)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60) 및 제2 삽입부(30`)와 중앙부(70)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삽입부(10)에는 제1 연결부(60)와 연결되는 제1 경사면(12`)이 형성되어 제1 홈부(14`)가 형성되고, 중앙부(70)에는 제1 연결부(60)와 연결되는 제1 중앙경사면(72)이 형성되어 제1 중앙홈부(73)가 형성되며, 제2 삽입부(30`)에는 제2 연결부(80)와 연결되는 제2 경사면(32`)이 형성되어 제2 홈부(34`)가 형성되고, 중앙부(70)에는 제2 연결부(80)와 연결되는 제2 중앙경사면(74)이 형성되어 제2 중앙홈부(75)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프레스 핏 핀(1`)은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되는 결합홀의 크기가 큰 경우, 연결부가 제1 삽입부와 제2 삽입부의 결합홀과의 접촉면이 멀어지게 된다. 이때,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연결부에서 발생하는 모멘트의 양이 미세하게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미세한 차이는 가로방향의 수축이 아닌 세로방향의 변형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결합홀의 직경이 증가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연결부(60, 80)를 구성하여 삽입부와 연결부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삽입부(10`)와 제2 삽입부(30`)는 중앙부(70)의 중심에서 점대칭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제1 삽입부(10`)와 제1 연결부(60) 및 제2 삽입부(30`)와 제2 연결부(80)의 결합구조 및 형상이 양측을 연결하는 중앙부(70)의 중심으로부터 점대칭 구조를 형성하여 동일한 변형을 유도하기 위함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프레스 핏 핀
10 : 제1 삽입부 12 : 제1 경사면
14 : 제1 홈부 16 : 제1 돌출부
18, 38 : 경사부
30 : 제2 삽입부 32 : 제2 경사면
34 : 제2 홈부 36 : 제2 돌출부
50 : 연결부
60 : 제1 연결부
70 : 중앙부
80 : 제2 연결부

Claims (11)

  1. 인쇄회로기판과 접촉하는 면을 구비하는 제1 삽입부 및 제2 삽입부; 및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삽입부에는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1 경사면이 형성되어 제1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삽입부에는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2 경사면이 형성되어 제2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의 사이에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연결부에 의해 상기 제1 홈부와 상기 제2 홈부가 가로방향으로 이격되며,
    상기 제1 홈부는 상기 연결부의 단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연결부의 세로방향 일측에만 가로방향으로 오버랩되고,
    상기 제2 홈부는 상기 연결부의 단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연결부의 세로방향 타측에만 가로방향으로 오버랩되는 프레스 핏 핀.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는 상기 연결부의 단면의 중심으로부터 점대칭의 구조를 가지는 프레스 핏 핀.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단면형상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프레스 핏 핀.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접촉하는 면에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가 구비되는 프레스 핏 핀.
  5. 제1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 각각의 가로방향에 배치되는 면과 세로방향에 배치되는 면이 만나는 위치에 배치되는 모서리가 곡면처리되는 프레스 핏 핀.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가 삽입되는 방향의 적어도 일면에는 경사부가 형성되는 프레스 핏 핀.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삽입시 접촉면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단면상 선형으로 나타나는 평면을 가지는 프레스 핏 핀.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가 연결되는 가로방향의 거리와 상기 제1 홈부와 상기 제2 홈부의 최내각점을 연결하는 거리가 20:1의 비를 가지는 프레스 핏 핀.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부와 상기 제2 홈부는 25~35도의 경사각을 가지는 프레스 핏 핀.
  10. 인쇄회로기판과 접촉하는 면을 구비하는 제1 삽입부 및 제2 삽입부;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를 연결하는 중앙부;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중앙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삽입부를 상기 중앙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삽입부에는 상기 제1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1 경사면이 형성되어 제1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부에는 제1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1 중앙경사면이 형성되어 제1 중앙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중앙부 사이에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1 연결부에 의해 상기 제1 홈부와 상기 제1 중앙홈부가 가로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2 삽입부에는 상기 제2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2 경사면이 형성되어 제2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부에는 제2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2 중앙경사면이 형성되어 제2 중앙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삽입부와 상기 중앙부 사이에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2 연결부에 의해 상기 제2 홈부와 상기 제2 중앙홈부가 가로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1 홈부는 상기 제1 연결부의 단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연결부의 세로방향 일측에만 가로방향으로 오버랩되며,
    상기 제1 중앙홈부는 상기 제1 연결부의 단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연결부의 세로방향 타측에만 가로방향으로 오버랩되고,
    상기 제2 중앙홈부는 상기 제2 연결부의 단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연결부의 세로방향 일측에만 가로방향으로 오버랩되고,
    상기 제2 홈부는 상기 제2 연결부의 단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연결부의 세로방향 타측에만 가로방향으로 오버랩되는 프레스 핏 핀.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는 상기 중앙부의 중심에서 점대칭 구조를 가지는 프레스 핏 핀.
KR1020160033964A 2016-03-22 2016-03-22 프레스 핏 핀 KR102531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964A KR102531473B1 (ko) 2016-03-22 2016-03-22 프레스 핏 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964A KR102531473B1 (ko) 2016-03-22 2016-03-22 프레스 핏 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9848A KR20170109848A (ko) 2017-10-10
KR102531473B1 true KR102531473B1 (ko) 2023-05-11

Family

ID=60190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3964A KR102531473B1 (ko) 2016-03-22 2016-03-22 프레스 핏 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147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3970A (en) 1979-02-26 1980-09-23 Electronics Stamping Corporation Compliant backplane electrical connector
JP2004273256A (ja) * 2003-03-07 2004-09-30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プレスフィット端子
JP2005129274A (ja) * 2003-10-21 2005-05-19 Fujitsu Ten Ltd プレスフィット端子および接続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29176B2 (ja) * 1996-09-20 1999-08-03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プレスフィットピン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3970A (en) 1979-02-26 1980-09-23 Electronics Stamping Corporation Compliant backplane electrical connector
JP2004273256A (ja) * 2003-03-07 2004-09-30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プレスフィット端子
JP2005129274A (ja) * 2003-10-21 2005-05-19 Fujitsu Ten Ltd プレスフィット端子および接続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9848A (ko) 2017-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8123B1 (ko) 프로브 핀
US10096941B2 (en) Electrical connector
US9300064B2 (en) Connector
US10396481B2 (en) Mezzanine electrical connector
US7422447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tepped housing
US20200067217A1 (en) Connector assembly and connector
US9660361B2 (en) Connector with secure wafer retention
US7448877B1 (en) High density flexible socket interconnect system
KR20200002214U (ko) 플로팅 커넥터
US11381014B2 (en) Electrical contact having two side-by-side parts with joined bottom ends thereof
US20150270633A1 (en) Connector Assembly
US20220052487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foolproof structure
KR102430924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US10141677B2 (en) Electrical connector
JP2017533554A (ja) 雌雄同体電気コネクタ
KR102531473B1 (ko) 프레스 핏 핀
US7887356B1 (en) Socket connector having protursions for positioning IC package
US4868713A (en) Memory card housing a smiconductor device
US10973125B2 (en) Flex board spacer
JP2017050269A (ja) コネクタ
US9865947B2 (en) SIM connector
CN111224252A (zh) 具抗静电放电的板对板浮动式连接器
CN109980383A (zh) Usb插座及usb插座安装结构
KR102321920B1 (ko)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위한 가이드 부재 장치
KR102294959B1 (ko)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위한 가이드 부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