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1461B1 - 스포츠 데이터 분석 솔루션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포츠 데이터 분석 솔루션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1461B1
KR102531461B1 KR1020210160815A KR20210160815A KR102531461B1 KR 102531461 B1 KR102531461 B1 KR 102531461B1 KR 1020210160815 A KR1020210160815 A KR 1020210160815A KR 20210160815 A KR20210160815 A KR 20210160815A KR 102531461 B1 KR102531461 B1 KR 102531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information
user
sensor
senso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0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8948A (ko
Inventor
장준영
Original Assignee
장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준영 filed Critical 장준영
Publication of KR20220068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8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1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1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센서 장치가 구비된 공 및 상기 센서 장치로부터 수집된 센서 정보를 분석하는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센서 정보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스포츠 데이터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스포츠 데이터 분석 솔루션 제공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스포츠 데이터 분석 솔루션 제공 시스템 {Sports data analysis solution providing system}
본 발명은 스포츠 데이터 분석 솔루션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함께 이동통신 단말기,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notebook),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또는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운동과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또는 기능)이 제공되고 있으며,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헬스 케어를 위한 다양한 운동 프로그램(exercise program)들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단순히 운동을 보조하는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실제 사용자들이 운동을 함으로써 측정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운동과 관련된 다양한 콘텐츠(예: 운동 기록, 운동에 대한 지표 등)를 제공하는 서비스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스포츠 데이터 분석 솔루션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스포츠 데이터 분석 솔루션 제공 시스템은, 센서 장치가 구비된 공 및 상기 센서 장치로부터 수집된 센서 정보를 분석하는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센서 정보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스포츠 데이터 분석 결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공은, 상기 센서 장치, 상기 공의 외피 내부에 위치하는 내피 튜브 및 상기 센서 장치와 상기 내피 튜브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장력체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장치는, 상기 장력체에 의해 상기 내피 튜브의 내부 공간 중앙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은, 상기 내피 튜브 안쪽면에 위치하는 무선충전 모듈; 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충전 모듈은 상기 센서 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센서 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 장치는, 상기 공의 위치 및 움직임을 측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 모듈 및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외부로 송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사용자 센서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센서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 움직임 및 생체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센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공에 구비된 센서 장치로부터 수집된 센서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센서 장치로부터 획득된 센서 정보에 기초하여 스포츠 데이터 분석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공에 구비된 센서 장치로부터 수집된 센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공의 위치 및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센서 장치로부터 획득된 센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각각의 위치 및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공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사용자 각각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공의 움직임 정보와 연관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공의 움직임 정보 및 연관된 사용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각각에 대한 플레이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공의 움직임 정보 및 연관된 사용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공의 움직임을 하나 이상의 유형으로 분류하고, 분류된 유형별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분류된 상기 공의 움직임 각각에 대한 평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상기 공을 포함하는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장치;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공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센서 정보 분석 결과와 상기 영상을 분석하여 획득된 공의 움직임 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스포츠 데이터 분석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실제 스포츠 경기를 수행함에 따라 수집되는 스포츠 데이터를 분석하여, 스포츠 경기에 대한 지표 및 경기 기록을 포함하는 스포츠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스포츠 데이터 분석을 통한 스포츠 콘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경제 및 산업적 측면에서, 생활 스포츠 산업에 선도적으로 대응함으로써 능동적인 스포츠 매치 유도를 통한 국민건강 증진 및 자동 구장 예약 기술을 통한 영세 사업장의 경제적 부가가치 창출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는 형태로 진입장벽이 낮고 초기비용이 저렴한 장점을 이용해 축구에 대한 관심이 높으나 관련 인프라가 부족한 베트남, 우즈베키스탄 시장과 같은 개발도상국 시장에 용이하게 진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장기적으로 빅 데이터 기반 축구지도자과정, 빅 데이터 에이전트 등 새로운 분야의 직종을 창출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포츠 데이터 분석 솔루션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포츠 데이터 분석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경기 모사 시나리오에 의한 시스템 성능 측정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또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 또는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또는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컴퓨터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하드웨어 장치를 의미하는 것이고, 실시 예에 따라 해당 하드웨어 장치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적 구성도 포괄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톱, 노트북 및 각 장치에서 구동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 및 애플리케이션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또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각 단계들은 컴퓨터(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되나, 각 단계의 주체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예에 따라 각 단계들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다른 장치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포츠 데이터 분석 솔루션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100), 공(200), 사용자 센서 장치(300) 및 사용자 단말(400)이 도시되어 있다.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공(200)에는 센서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센서 장치로부터 수집된 센서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센서 정보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다양한 스포츠 데이터 분석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100)는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통해 얻어지는 실시간 측위 데이터(예: 스포츠 경기에 참여한 참여자들의 측위 데이터)를 생성, 저장, 분석 및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마추어 축구 매치 분야에 적용하여, 축구 경기에 참여하는 아마추어들의 실시간 측위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한 결과를 축구 경기에 참여한 참여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아마추어 축구 동호회에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축구 경기에 참여한 참여자의 실시간 측위 데이터를 분석하여, 실시간 움직임 등 경기에 대한 지표를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축구와 같은 생활 스포츠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축구 경기가 종료된 이후, 경기에 참여한 참여자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여, 축구 경기에 참여한 참여자들에게 경기 기록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경기 기록을 제공한 이후, 해당 경기 기록을 다른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스포츠 데이터에 대한 진입 장벽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스포츠 데이터 분석 플랫폼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는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사용자 센서 장치(300) (예: 사용자 신체의 적어도 일부분에 착용, 부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내부에 별도의 센서 모듈이 구비된 공(200), 그리고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수신기를 통해 수신된 센서 정보를 전달받아 분석함으로써, 스포츠 분석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센서 모듈을 통해 측정된 스포츠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스포츠 데이터를 정제함으로써 스포츠 콘텐츠를 생성하며, API를 통해 스포츠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공 안에 구비되는 센서는 위치 및 움직임을 측정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사용자의 디바이스에는 측위 센서 및 건강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를 포함하여 수집된 센서 데이터들을 블루투스를 통해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공과 사용자에게 구비된 센서 및 기 설치된 측위 시설을 통해 획득되는 측위 데이터를 전송하고, 이를 머신러닝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며, 분석한 결과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전문 분석관 없이 스포츠 데이터를 전문적으로 분석하고 이에 따라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서버의 누적 데이터로 선수에 대한 전체적인 능력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능력치를 직관적인 UI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스포츠 데이터 분석 플랫폼은, 기술적인 측면에서, 위치 측위 기술을 이용하여 실내 외 위치 측위 데이터를 수집하며, 측위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기 스마트폰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수집된 위치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용자의 행동패턴을 추적하고 향후 행동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반경 범위가 작은 실내 축구장에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을 설치하여 사용자와 공의 대략적인 위치를 측정하고 유소년의 놀이문화와 레슨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관찰이 필요한 유소년의 레슨 및 놀이 문화에 적용하여 다양한 디바이스와 스포츠 종류별로 상이한 공 등에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태그를 삽입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공의 내부구조와, 이를 활용하는 스포츠 데이터 분석 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공(200)은, 외피(260), 외피(260)의 내부에 위치하는 내피 튜브(bladder, 210), 중앙에 위치하는 센서 장치(220), 센서 장치(220)와 내피 튜브(210)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장력체(231, 233, 235, 237), 내피 튜브 안쪽면에 위치하고, 센서 장치(220)와 전원선(240)을 통해 유선으로 연결되어 센서 장치(220)에 전원을 공급하는 무선충전 모듈(250)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센서 장치(220)의 위치를 측위하는 외부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장력체는 공(200) 내부공간의 중앙과 내피 튜브(210) 내부를 이어주는 장력체(231, 233, 235, 237)는 와이어, 탄성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센서 장치(220)는 장력체(231, 233, 235, 237)에 의해 내피 튜브(210)의 내부 공간 중앙에 위치한다. 즉, 공(200) 내부에 바람을 주입할 때, 내피 튜브(210)가 팽창하면서 내피 튜브(210)와 연결된 복수의 장력체(231, 233, 235, 237)가 내피 튜브(210) 안에 위치하는 센서 장치(220)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잡아당김으로써, 센서 장치(220)가 내피 튜브(210) 내부의 공간에 부유하는 형태로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내피 튜브(210)에는 장력체(231, 233, 235, 237)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232, 234, 236, 238)가 마련될 수 있으며, 고정부(232, 234, 236, 238)의 형태는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고정부(232, 234, 236, 238)는 내피 튜브(210) 안쪽에 부착되기 위한 점착부 및 장력체(231, 233, 235, 237)를 고정하기 위한 고리부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를 통해, 센서 장치(220)가 공의 중앙에 위치함으로써 공의 위치를 더욱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센서 장치(220)가 특정한 위치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내부 공간에 부유하는 형태로 위치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공(200)은 내부의 센서 장치(220) 및 무선충전 모듈(250)이 외부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보호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공(200)의 외피(260)에는 내피 튜브(210)를 넣고 빼기 위해 개폐 가능한 출입구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입구는 접착제, 버튼, 지퍼 등 다양한 개폐수단을 이용하여 개폐될 수 있으며, 내피 튜브(210) 및 센서 장치(220)를 수리하거나 교체해야 할 경우 내피 튜브(210)의 바람을 뺀 뒤 출입구를 통해 꺼내고 넣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센서 장치(220)는 각각의 장력체(231, 233, 235, 237)로부터 받는 힘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센서 장치(220)는 각각의 장력체(231, 233, 235, 237)로부터 받는 힘을 측정하여, 장력체(231, 233, 235, 237)로부터 받는 힘이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 상이할 경우 장력체에 손상이 발생하거나, 균형이 맞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센서 장치(220)가 중앙에 위치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공의 무게 밸런스가 떨어질 수 있고, 센서 장치(220)가 손상되거나 정확한 측위가 불가능할 수 있으므로, 센서 장치(220)는 위치를 조정하거나 장력체(231, 233, 235, 237)를 수리하라는 알림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센서 장치(220)는 장력체를 감아서 끌어당길 수 있는 롤러 및 롤러를 구동하기 위한 동력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스스로 센서 장치(220)가 내피 튜브(210)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센서 장치(220)는 공(200)의 위치 및 움직임을 측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 모듈 및 센서 모듈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외부로 송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센서 모듈은 6축 또는 9축의 IMU 센서, 블루투스 모듈 또는 UWB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센서 모듈은 IMU센서를 이용하여 공의 움직임을 판단하고, UWB 모듈 및 외부의 수신장치를 이용하여 공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여 측정된 센서 정보를 외부의 수신 장치로 전달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포츠 데이터 분석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개시된 실시 예에서, 스포츠 데이터 분석 시스템에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사용자 센서 장치(300)가 포함된다.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사용자가 스포츠에 참여하는 경우, 복수의 센서 장치(310, 320)가 각각의 사용자에게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 센서 장치(310, 320)는, 사용자의 위치, 움직임 및 생체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센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공(200)에 구비된 센서 장치(220)로부터 수집된 센서 정보 및 사용자 센서 장치(310, 320)로부터 획득된 센서 정보에 기초하여 스포츠 데이터 분석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100)는 공(200)에 구비된 센서 장치(220)로부터 수집된 센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공(200)의 위치 및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고, 사용자 센서 장치(310, 320)로부터 획득된 센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각각의 위치 및 움직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공(200)의 위치 정보 및 사용자 각각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공(200)의 움직임 정보와 연관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공(200)의 움직임 정보 및 연관된 사용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각각에 대한 플레이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100)는 공(200)과 가까이 위치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해당 사용자가 공(200)을 이용하여 플레이하는 사용자라고 판단할 수 있다. 혹은, 컴퓨팅 장치(100)는 공(200)에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져 공(200)의 움직임에 변화가 발생하였을 경우, 해당 변화를 일으킨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사용자가 공(200)을 차서 공(200)의 이동방향이 변경된 경우, 공(200)은 해당 시점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가장 가까이 위치한 사용자 센서 장치(310)가 무엇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컴퓨팅 장치(100)는 사용자 센서 장치(310)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해당 공을 찬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서로 다른 복수의 사용자가 공(200)의 이동방향이 변경된 시점에 공(200)과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하였을 경우, 컴퓨팅 장치(100)는 공(200)의 이동방향 및 사용자의 이동방향에 기초하여 해당 공을 찬 사용자를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200)의 움직임이 변하기 전까지 각 사용자의 이동방향과, 공의 움직임이 변하여 공이 이동한 방향을 비교하여, 사용자의 이동방향과 공이 이동한 방향이 가까울수록 해당 사용자가 공을 찼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공(200)의 움직임 정보 및 연관된 사용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공(200)의 움직임을 하나 이상의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100)는 공(200)이 이동한 속도, 거리, 공(200)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들의 위치정보 등에 기초하여 각각의 움직임이 패스(혹은, 패스 중에서도 짧은 패스, 긴 패스, 센터링 등으로 분류), 드리블, 슛 등 다양한 분류들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200)의 움직임이 변화하기 전과 후에 해당 공(200) 근처에 위치하는 사용자가 동일할 경우 해당 움직임은 드리블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공(200)의 움직임이 변화하기 전과 후의 사용자가 상이할 경우 해당 움직임은 패스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공(200)의 움직임이 변화한 후 공(200)의 위치가 골라인을 벗어나거나, 공(200)이 골키퍼의 위치로 이동하였을 경우, 슛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이와 같이 분류된 유형별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분류된 상기 공의 움직임 각각에 대한 평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스의 경우 공(200)이 사용자 센서 장치(310)의 위치에서 다른 사용자의 사용자 센서 장치(320)의 위치로 이동하였고, 양쪽 사용자가 같은 팀일 경우, 패스가 성공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양쪽 사용자가 다른 팀일 경우, 패스가 실패하여 커트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슛의 경우 공(200)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골 성공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골 성공여부 외에도 공의 속도, 움직임, 회전 정보에 기초하여 슛을 평가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슛을 찬 사용자를 판단하고, 해당 사용자에게 슛의 평가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사용자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각 사용자의 히트맵, 뛴 거리, 시간대별 움직임, 수비 및 공격지표 등 다양한 평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에서는 공(200)의 위치 및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각 사용자의 슛 횟수, 패스 횟수, 볼 점유 시간, 슛, 패스, 드리블의 평가정보 등을 다양하게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경기 모사 시나리오에 의한 시스템 성능 측정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개시된 실시 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모사 시나리오들을 생성할 수 있다.
각각의 시나리오는 공과 사용자가 이동하여야 할 순서와 방법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각 사용자가 행동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가 행동을 수행할 경우, 컴퓨팅 장치(100)는 사용자 센서 장치(300)와 공의 센서 장치(200)로부터 수집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행동을 판단 및 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경기 모사 시나리오는 시스템 개발 과정에서는 시스템 성능을 측정하고 고도화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숙련된 사용자가 모사 시나리오에 따라 정확하게 행동을 수행하고, 컴퓨팅 장치(100)는 수집된 센서 정보로부터 판단된 행동 정보를 모사 시나리오와 비교하여 시스템의 성능을 측정하고, 부족한 부분은 보완할 수 있다.
시스템 개발이 완료되어 활용되는 과정에서는, 이는 사용자의 훈련을 위한 시스템으로 활용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모사 시나리오에 기반한 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훈련 프로그램에 따라 정확하게 행동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측정 및 평가하고, 부족한 부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정확한 프로그램에 따라 훈련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시스템은 공(200)을 포함하는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 혹은 실외 축구장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카메라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공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100)는 비전 분석 기술을 이용하여 공과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센서 정보를 분석한 결과와 영상을 분석하여 획득된 공의 움직임 정보를 조합하여 스포츠 데이터 분석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분석을 통해 획득된 정보를 센서 정보에 기초하여 보정하거나, 추가적인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그 반대도 가능하다. 즉, 영상 분석을 통해 획득된 정보와 센서를 통해 획득한 정보가 상이할 경우, 둘 중 어느 한 쪽의 정보를 수정하거나, 그 평균값 등에 기초한 조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영상으로 획득된 정보의 경우 위치정보 및 공과 사용자간의 관계에 대한 정보를 좀 더 명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면, 센서를 통해 획득한 정보는 공을 찬 강도나 가속도, 움직임 변화, 공의 회전 등을 더 명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양쪽에서 수신되는 정보를 조합하여, 더 정확하고 구체적인 분석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분석방법 및 그 결과는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들은 사용자 단말(400)을 이용하여 이를 열람하고, 훈련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정보들을 제공하는 온라인 플랫폼이 제공됨으로써, 아마추어 및 프로 선수들이 자신의 플레이를 리뷰하고, 학습하며, 나아가 서로 소통하는 커뮤니티 및 커머스 플랫폼으로도 성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센서 정보에 기반하여 플레이를 재구성할 수 있으며, 녹화된 영상이 아닌 센서 정보에 기초한 3D 리플레이가 생성될 수 있다. 사용자들은 3D 리플레이를 통해 자신들의 플레이를 리뷰하고 원하는 부분을 다시 보거나 저장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도이다.
프로세서(102)는 하나 이상의 코어(core, 미도시) 및 그래픽 처리부(미도시) 및/또는 다른 구성 요소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연결 통로(예를 들어, 버스(bus)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02)는 메모리(104)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도 1 내지 도 4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을 수행한다.
한편, 프로세서(102)는 프로세서(102) 내부에서 처리되는 신호(또는, 데이터)를 일시적 및/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미도시) 및 롬(ROM: Read-Only Memory,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2)는 그래픽 처리부, 램 및 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온칩(SoC: system on chip)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04)에는 프로세서(102)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들(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04)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하게,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컴퓨팅 장치
200 : 공
300 : 사용자 센서 장치
400 : 사용자 단말

Claims (8)

  1. 센서 장치가 구비된 공; 및
    상기 센서 장치로부터 수집된 센서 정보를 분석하는 컴퓨팅 장치; 를 포함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컴퓨팅 장치는,
    센서 정보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스포츠 데이터 분석 결과를 제공하고,
    상기 시스템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사용자 센서 장치;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센서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 움직임 및 생체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센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공에 구비된 센서 장치로부터 수집된 센서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센서 장치로부터 획득된 센서 정보에 기초하여 스포츠 데이터 분석 결과를 생성하며,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공에 구비된 센서 장치로부터 수집된 센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공의 위치 및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센서 장치로부터 획득된 센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각각의 위치 및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공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사용자 각각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공의 움직임 정보와 연관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공의 움직임 정보 및 상기 공의 움직임과 연관된 사용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각각에 대한 플레이 분석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공의 움직임 정보 및 연관된 사용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공의 움직임을 하나 이상의 유형으로 분류하고,
    분류된 유형별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분류된 상기 공의 움직임 각각에 대한 평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정보 및 상기 공의 위치 및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관한 평가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공 및 사용자의 이동 순서 및 방법을 포함하는 모사 시나리오를 형성하고 상기 모사 시나리오에 기반한 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상기 훈련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행동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측정 및 평가하는,
    스포츠 데이터 분석 솔루션 제공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은,
    상기 센서 장치;
    상기 공의 외피 내부에 위치하는 내피 튜브; 및
    상기 센서 장치와 상기 내피 튜브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장력체; 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장치는,
    상기 장력체에 의해 상기 내피 튜브의 내부 공간 중앙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데이터 분석 솔루션 제공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공은,
    상기 내피 튜브 안쪽면에 위치하는 무선충전 모듈; 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충전 모듈은 상기 센서 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센서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스포츠 데이터 분석 솔루션 제공 시스템.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장치는,
    상기 공의 위치 및 움직임을 측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 모듈; 및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외부로 송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 을 포함하는,
    스포츠 데이터 분석 솔루션 제공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공을 포함하는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장치;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공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센서 정보 분석 결과와 상기 영상을 분석하여 획득된 공의 움직임 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스포츠 데이터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스포츠 데이터 분석 솔루션 제공 시스템.
KR1020210160815A 2020-11-19 2021-11-19 스포츠 데이터 분석 솔루션 제공 시스템 KR1025314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55880 2020-11-19
KR1020200155880 2020-11-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8948A KR20220068948A (ko) 2022-05-26
KR102531461B1 true KR102531461B1 (ko) 2023-05-11

Family

ID=81808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0815A KR102531461B1 (ko) 2020-11-19 2021-11-19 스포츠 데이터 분석 솔루션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1461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056B1 (ko) * 2007-10-16 2009-12-22 최미연 축구공
KR20170114452A (ko) * 2016-04-04 2017-10-16 동봉철 스마트 밴드 및 스마트 공을 이용한 스포츠 트레이닝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8948A (ko) 2022-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47956A1 (en) A system and method to analyze and improve sports performance using monitoring devices
US20140018181A1 (en) Golf swing analysis method and apparatus
US20160042652A1 (en) Body-motion assessment device, dance assessment device, karaoke device, and game device
US11769424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measuring and interpreting metrics of an athletic action and an object associated therewith
US8774467B2 (en) Predictive flight path and non-destructive marking system and method
US20220080263A1 (en) Sports Operating System
CN103990279B (zh) 基于互联网的高尔夫击球模拟方法
CN109847321B (zh) 一种运动员训练辅助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US20220277463A1 (en) Tracking dynamics using a computerized device
CN104001330B (zh) 基于互联网的高尔夫击球模拟系统
US20200188732A1 (en) Wearable Body Monitors and System for Analyzing Data and Predicting the Trajectory of an Object
US11850498B2 (en) Kinematic analysis of user form
US11941916B2 (en) Practice drill-related features using quantitative, biomechanical-based analysis
US11024053B1 (en) User analytics using a mobile device camera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CN105848737B (zh) 解析装置、记录媒体和解析方法
KR102531461B1 (ko) 스포츠 데이터 분석 솔루션 제공 시스템
US10441848B1 (en) System for automatic evaluation of martial arts moves
Malawski Real-Time First Person Perspective Tracking and Feedback System for Weapon Practice Support in Fencing.
US20130225294A1 (en) Detecting illegal moves in a game using inertial sensors
KR20210047169A (ko) 가상 구기 스포츠 정보에 대한 자동 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
Khan et al. The aware cricket ground
US2024004227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asuring and analyzing the motion of a swing and matching the motion of a swing to optimized swing equipment
US11944868B2 (en) Golf coaching system and method
KR20240013019A (ko) 골프 트레이닝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골프 트레이닝 방법
Zhang Application of optical motion capture based on multimodal sensors in badminton player motion recogni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