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1360B1 - garbage bag hanger - Google Patents

garbage bag hang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1360B1
KR102531360B1 KR1020230045773A KR20230045773A KR102531360B1 KR 102531360 B1 KR102531360 B1 KR 102531360B1 KR 1020230045773 A KR1020230045773 A KR 1020230045773A KR 20230045773 A KR20230045773 A KR 20230045773A KR 102531360 B1 KR102531360 B1 KR 102531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garbage bag
cover
bag hold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57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민서은
염수자
Original Assignee
민서은
염수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서은, 염수자 filed Critical 민서은
Priority to KR1020230045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136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1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13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6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 B65F1/1415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for flexible receptables, e.g. bags,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2001/1653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Suspend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Apparatuses For Manual Packaging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쓰레기봉투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설치면에 안착되는 다수의 지지부 및, 지지부의 상단에 결합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쓰레기봉투 거치대로서, 덮개부는 가장자리측 하면이 지지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봉투가 통과되도록 통과홀이 상하로 관통되는 외측 덮개와, 통과홀의 내부를 대응되는 형상으로 수평하게 커버하고, 일측이 통과홀의 내측면에 상하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내측 덮개 및,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내측 덮개의 상면에 결합되고, 개방위치로 상승시 내측 덮개를 상승시켜 통과홀을 상하로 개방시키는 손잡이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rbage bag holder, which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parts seated on an installation surface and a cover part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support part, wherein the cover part has an edge-side lower surface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part, and a bag An outer cover through which the through hole passes vertically to pass through, an inner cover which horizontally covers the inside of the through hole in a corresponding shape, and one side of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and an inner cover that can be gripped by the user. It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and includes a handle for opening the through hole vertically by raising the inner cover when it is raised to an open position.

Description

쓰레기봉투 거치대{garbage bag hanger}Garbage bag hanger

본 발명은 쓰레기봉투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사이즈의 봉투를 거치시킬 수 있는 쓰레기봉투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rbage bag hol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garbage bag holder capable of holding bags of various sizes.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발생하는 쓰레기는 종량제 쓰레기봉투에 담긴 상태로 배출되고 있으며, 쓰레기봉투는 지정된 장소에 세워진 상태로 사용되거나 쓰레기통에 끼워진 상태로 사용된다.In general, garbage generated from homes or offices is discharged in a state of being contained in a volume-rate garbage bag, and the garbage bag is used while standing in a designated place or inserted into a trash can.

이러한 쓰레기봉투는 입구를 벌린 상태에서 쓰레기를 투입시켜야 하는 구조를 가지므로, 쓰레기통에 끼워진 상태로 사용하는 경우 쓰레기봉투에 쓰레기를 채우는 과정이 번거로웠고, 쓰레기가 모두 채워진 쓰레기봉투를 쓰레기통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과정이 번거로웠다.Since these garbage bags have a structure in which garbage must be put in with the mouth open, the process of filling the garbage bag with garbage is cumbersome when used while inserted into the garbage can, and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garbage bag filled with garbage from the garbage can is difficult. The process was cumbersome.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쓰레기봉투를 안정적으로 세워놓을 수 있는 쓰레기봉투용 거치대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쓰레기봉투 거치대는 지면에 안착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설치대와, 설치대의 상부에 결합되고, 쓰레기봉투의 상단이 관통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중공이 상하로 관통되는 링 형상의 지지대 등으로 구성되고, 지지대에 거치된 쓰레기봉투의 상단은 별도의 체결부재에 의해 지지대에 고정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garbage bag holder capable of stably standing the garbage bag is widely used. Conventional garbage bag holders are composed of a mounting bracket that is seated on the ground and has a space inside, and a ring-shaped support that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mounting table and has a hollow penetrating vertically so that the top of the garbage bag is fixed in a penetrating state. And, the upper end of the garbage bag mounted on the support is fixed to the support by a separate fastening member.

그런데, 종래의 쓰레기봉투 거치대는 쓰레기봉투를 거치시키기 위한 지지대의 직경이 고정적이므로 다양한 사이즈의 쓰레기봉투를 거치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즉 지지대의 중공보다 사이즈가 작은 쓰레기봉투의 경우 설치가 불가하고, 지지대의 중공보다 사이즈가 큰 쓰레기봉투의 경우 봉투의 입구와 하단이 접힌 상태로 설치되므로 쓰레기봉투의 내부에 쓰레기를 모두 채워 넣는데 어려움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diameter of the support for holding the garbage bag is fixed in the conventional garbage bag holder, it is difficult to mount garbage bags of various sizes. In other words, it is impossible to install a garbage bag smaller than the hollow of the support, and in the case of a garbage bag larger than the hollow of the support, it is difficult to fill the inside of the garbage bag with all the garbage because the entrance and bottom of the bag are installed in a folded state. there was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19692호(2013년 02월 27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쓰레기봉투 거치대가 개시되어 있다.As prior literatur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19692 (February 27, 2013), in which a garbage bag holder is disclosed.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사이즈의 봉투를 거치시킬 수 있는 쓰레기봉투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arbage bag holder capable of holding bags of various sizes.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봉투 거치대는 설치면에 안착되는 다수의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 결합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쓰레기봉투 거치대로서, 상기 덮개부는 가장자리측 하면이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봉투가 통과되도록 통과홀이 상하로 관통되는 외측 덮개와, 상기 통과홀의 내부를 대응되는 형상으로 수평하게 커버하고, 일측이 상기 통과홀의 내측면에 상하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내측 덮개 및,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내측 덮개의 상면에 결합되고, 개방위치로 상승시 상기 내측 덮개를 상승시켜 상기 통과홀을 상하로 개방시키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arbage bag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garbage bag holder including a plurality of support parts seat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and a cover part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support part, wherein the cover part has an edge-side lower surface on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part, and the bag An outer cover through which the passage hole passes vertically to pass through, an inner cover that horizontally covers the inside of the passage hole in a corresponding shape, and one side of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assage hole, and a user to grip It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cover so as to be able to,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andle for opening the through hole vertically by raising the inner cover when raised to an open position.

또한, 상기 내측 덮개는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통과홀의 내주면에 연결되고, 반대되는 자유단이 상기 통과홀의 중심위치로 나선을 이루면서 수평하게 반복 회전되며, 점진적으로 회전반경이 감소되면서 상기 통과홀을 폐쇄시키며, 상기 손잡이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자유단의 상면에 결합되고, 개방위치로 상승시 상기 봉투의 상단이 선택적으로 거치되도록 상기 내측 덮개의 폭방향에 다수의 삽입 간격을 형성시킬 수 있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inner cov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onnect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assage hole, and the opposite free end spirals toward the center of the passage hole and is repeatedly rotated horizontally, gradually reducing the rotation radius to close the passage hole. The handle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ree end so that the user can grip it, and a plurality of insertion gaps can be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ner cover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envelope is selectively held when it is raised to the open position. .

한편, 상기 내측 덮개는 상기 통과홀의 내부에 수평하게 배치되어 일측이 상기 통과홀의 내측면에 상하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개폐홀이 상하로 관통되며, 상면에 상기 손잡이가 결합되는 제1회동부재 및, 상기 개폐홀의 내부에 수평하게 배치되어 일측이 상기 개폐홀의 내측면에 상하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면에 상기 손잡이가 결합되는 제2회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ner cover is horizontally disposed inside the passage hole, one side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assage hole, the opening and closing hole penetrates vertically, and the first rotation member to which the handle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and , It may include a second rotational member that is disposed horizontally inside the opening and closing hole, one side of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hole, and the handle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또한, 상기 제1회동부재는 상기 통과홀의 내측면과 상기 제2회동부재의 외측면 사이에 다수가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면서 수평하게 배열되고, 일측이 상하회동 가능하게 서로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he first rotational members having different diameters are arranged horizontally between an inner surface of the passage hole and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rotational member, and one side thereof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be able to rotate up and down.

또한, 일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가압단이 마주하는 방향으로 탄성 파지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가압단이 외측 덮개 또는 상기 내측 덮개를 상하방향에서 파지하는 하나 이상의 고정 클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pair of pressing ends protruding to one side may be elastically gripped in opposite directions, and the pressing ends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fixing clip parts for gripping the outer cover or the inner cover in a vertical direction.

또한, 상기 지지부는 길이방향측 상단이 상기 외측 덮개의 하면에 결합되고, 내부의 길이조절홈이 하방으로 개방되며, 일측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고정바와, 길이방향측 상단이 상기 길이조절홈의 하방을 통해 슬라이드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고, 일측의 조절홀이 상하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슬라이드바 및, 일측의 삽입단이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조절홀로 관통 결합되고, 반대되는 조절단이 상기 슬라이드바의 외부로 노출되는 조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portion has a longitudinal upper end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outer cover, an inner length adjustment groove open downward, a fixing bar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on one side, and a longitudinal upper end of the length adjustment groove. A slide bar that is inserted to be able to slide up and down through a downward direction, and an adjustment hole on one side is arrang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an insertion end on one side is coupled to the control hole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an opposite control end is connected to the slide bar. It may include a control member exposed to the outside of.

또한,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통과홀과 동일 선상에 위치되도록 중공이 상하로 관통되며, 상기 외측 덮개가 상면에 안착되는 베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se portion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through which the hollow vertically penetrates so as to be positioned on the same line as the through hole, and the outer cover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may further include a base portion.

또한, 일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가압단이 마주하는 방향으로 탄성 파지 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 클립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가압단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외측 덮개 또는 상기 내측 덮개를 상하방향에서 파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fixing clips provided to be elastically gripped in a direction in which a pair of pressing ends protruding to one side face each other, wherein the pressing ends extend upward and downward between the base portion and the outer cover or the inner cover. It can be gripped in any direction.

또한, 상기 베이스부는 가장자리를 따라 원주를 이루면서 길이를 갖고, 길이방향 양측이 양측으로 분할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방향 일측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대응되는 일측이 암수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직경조절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se portion has a length while forming a circumference along the edge,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an be divided into two sides, formed concavely 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portion, and the corresponding one side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male and female A diameter adjustment groove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상기 베이스부의 하면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상단이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다수의 장착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formed concavely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and into which an upp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is selectively inserted.

본 발명은 다양한 사이즈의 봉투를 거치시킬 수 있어 범용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봉투의 입구를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부피 축소가 가능한 구조를 가지므로 이동 및 보관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universally because bags of various sizes can be placed, the entrance of the bag can be easily opened and closed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 and it has a structure that can reduce volume, so it is easy to move and store. It has a convenient effec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봉투 거치대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봉투 거치대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봉투 거치대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봉투 거치대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봉투 거치대의 덮개부를 개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봉투 거치대의 덮개부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삽입 간격을 통해 봉투의 상단을 삽입시키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봉투 거치대의 고정 클립부를 이용해 봉투의 상단을 덮개부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봉투 거치대의 덮개부에 봉투의 상단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덮개부를 폐쇄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봉투 거치대의 덮개부에 체결홈과 체결돌기를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봉투 거치대의 덮개부를 사각형 형태로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봉투 거치대의 고정 클립부에 가압돌기를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봉투 거치대에 베이스부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봉투 거치대에 베이스부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봉투 거치대에 베이스부가 적용되고, 고정 클립부를 이용해 봉투의 상단을 덮개부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봉투 거치대에 베이스부가 적용되고, 덮개부에 봉투의 상단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덮개부를 폐쇄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봉투 거치대의 베이스부에 직경조절 구조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봉투 거치대의 베이스부에 직경조절 구조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봉투 거치대에 안착홈과 안착돌기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봉투 거치대에서 내측 덮개를 다른 형태로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봉투 거치대의 내측 덮개를 다단 개폐 구조로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봉투 거치대의 내측 덮개를 다단 개폐 구조로 적용하고, 내측 덮개를 상부로 개방시키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봉투 거치대의 지지부를 다른 형태로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a garbage bag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a garbage bag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view for showing a garbage bag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garbage bag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lid of the garbage bag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6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inserting an upper end of a bag through an insertion gap in a state in which the lid of the garbage bag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7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fixing the upper end of the bag to the cover part by using the fixing clip part of the garbage bag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part is closed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end of the bag is fixed to the cover part of the garbage bag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fastening grooves and fastening protrusions are applied to the lid of the garbage bag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over portion of a garbage bag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 a rectangular shape.
11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ressing protrusion is applied to a fixing clip portion of a garbage bag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base portion is applied to a garbage bag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base portion is applied to a garbage bag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base part is applied to the garbage bag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upper end of the bag is fixed to the cover part using the fixing clip part.
15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base unit is applied to a garbage bag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lid unit is closed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end of the bag is fixed to the lid unit.
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iameter adjusting structure is applied to a base portion of a garbage bag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iameter adjusting structure is applied to a base portion of a garbage bag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seating grooves and seating protrusions are applied to the garbage bag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inner cover is applied in a different form in a garbage bag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ner cover of the garbage bag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 a multi-stag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21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inner cover of the garbage bag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 a multi-stag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and the inner cover is opened upward.
22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of the garbage bag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 a different form.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hieve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person who has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봉투 거치대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봉투 거치대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봉투 거치대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봉투 거치대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봉투 거치대의 덮개부를 개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봉투 거치대의 덮개부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삽입 간격을 통해 봉투의 상단을 삽입시키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봉투 거치대의 고정 클립부를 이용해 봉투의 상단을 덮개부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봉투 거치대의 덮개부에 봉투의 상단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덮개부를 폐쇄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arbage bag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garbage bag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a garbage bag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showing a garbage bag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of the garbage bag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and FIG. 6 is a garbage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ront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inserting the top of an envelope through the insertion gap in a state in which the cover of the bag holder is opened, and FIG. 7 is a front view showing the fixing of the top of the bag to the cover using the fixing clip of the garbage bag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front view showing the process of doing, and FIG. 8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part is closed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end of the bag is fixed to the cover part of the garbage bag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봉투 거치대의 덮개부에 체결홈과 체결돌기를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봉투 거치대의 덮개부를 사각형 형태로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봉투 거치대의 고정 클립부에 가압돌기를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봉투 거치대에 베이스부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봉투 거치대에 베이스부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봉투 거치대에 베이스부가 적용되고, 고정 클립부를 이용해 봉투의 상단을 덮개부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봉투 거치대에 베이스부가 적용되고, 덮개부에 봉투의 상단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덮개부를 폐쇄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9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fastening grooves and fastening protrusions are applied to the lid of the garbage bag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d of the garbage bag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 a rectangular shape. 11 is a front sectional view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a pressing protrusion is applied to the fixing clip of the garbage bag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state in which the base is applied to the garbage bag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Figure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se portion is applied to the garbage bag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base portion is applied to the garbage bag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 fixing clip 15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fixing the top of the bag to the cover, and FIG. 15 shows a state in which the base is applied to the garbage bag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ver is closed while the top of the bag is fixed to the cover. This is a cross-section for illustration purposes.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봉투 거치대의 베이스부에 직경조절 구조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봉투 거치대의 베이스부에 직경조절 구조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봉투 거치대에 안착홈과 안착돌기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봉투 거치대에서 내측 덮개를 다른 형태로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봉투 거치대의 내측 덮개를 다단 개폐 구조로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봉투 거치대의 내측 덮개를 다단 개폐 구조로 적용하고, 내측 덮개를 상부로 개방시키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봉투 거치대의 지지부를 다른 형태로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iameter adjusting structure is applied to the base of the garbage bag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7 shows a state in which the diameter adjusting structure is applied to the base of the garbage bag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ating groove and a seating protrusion are applied to a garbage bag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9 is a garbage bag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n inner cover is applied in a different form. 20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ner cover of the garbage bag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 a multi-stag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and FIG. 21 is a plan view for showing the inner cover of the garbage bag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ront sectional view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a multi-stag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is applied and the inner cover is opened upward, and FIG. 22 is a plan view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of the garbage bag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 a different form.

도 1 내지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봉투 거치대는 설치면(10)에 안착되는 다수의 지지부(100) 및, 지지부(100)의 상단에 결합되는 덮개부(200)를 포함하며, 덮개부(200)는 외측 덮개(210)와, 내측 덮개(220) 및, 손잡이(230)를 포함한다.1 to 22, the garbage bag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parts 100 seat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10 and a cover part 200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art 100, The cover part 200 includes an outer cover 210, an inner cover 220, and a handle 230.

다수의 지지부(100)는 후술 될 덮개부(200)를 설치면의 상부에 일정 높이로 위치시키기 위한 것으로, 지지부(100)들은 상하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하단이 설치면에 안착되며, 덮개부(200)를 기준으로 방사상에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upport parts 100 are for positioning the cover part 200 to be described later at a certain height on the upper part of the installation surface, the support parts 100 have a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lower end is seat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and the cover part Based on (200), a plurality of radially may be arranged in a spaced apart state.

여기서, 지지부(100)들은 상단이 덮개부(200)의 하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하단이 덮개부(200)의 외곽을 향해 벌어져 경사진 각도를 형성할 수 있고, 지지부(100)들 간의 간격과 지지부(100)의 개수 및 위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며, 지지부(100)의 하단에는 설치면에 안착시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받침부재(고무, 실리콘 등)가 더 결합될 수 있다.Here, the support parts 100 may form an inclined angle by spreading their lower ends toward the outer edge of the cover part 200 in a state where the upper end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part 200, and the gap between the support parts 100 and The number and position of the support part 100 can be variously applied as needed, and a supporting member (rubber, silicone, etc.) can be further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art 100 to improve frictional force when seat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100)는 길이방향측 상단이 후술 될 외측 덮개(210) 또는 베이스부(400)의 하면에 결합되고, 내부의 길이조절홈(111)이 하방으로 개방되며, 일측에 관통홀(112)이 형성되는 고정바(110)와, 길이방향측 상단이 길이조절홈(111)의 하방을 통해 슬라이드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고, 일측의 조절홀(121)이 상하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슬라이드바(120) 및, 일측의 삽입단이 관통홀을 통해 조절홀(121)로 관통 결합되고, 반대되는 조절단이 슬라이드바(120)의 외부로 노출되는 조절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par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outer cover 210 or the base part 4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t the top of the longitudinal side, and the length adjustment groove 111 inside is opened downward. , A fixing bar 110 having a through hole 112 formed on one side, and an upp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slidably inserted through the lower side of the length adjustment groove 111, and the adjustment hole 121 on one side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lide bar 120 arranged along the slide bar 120 and the insertion end of one side are coupled to the control hole 121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the control member 130 whose opposite control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lide bar 120 can include

고정바(110)는 상하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측면이 원주는 이루거나 측면을 따라 다수의 다각면이 형성되는 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단이 후술 될 외측 덮개(210) 또는 후술 될 베이스부(400)의 하면에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fixing bar 110 has a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may have a beam shape in which a side surface forms a circumference or a plurality of polygonal surfaces are formed along the side surface, and the upper end is an outer cover 210 to be described later or a base part to be described later. It can be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400).

길이조절홈(111)은 고정바(110)의 상하방향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고, 관통홀(112)은 고정바(110)의 폭방향으로 관통되어 길이조절홈(111)과 외부를 연통시킬 수 있으며, 관통홀(112)의 내주면에는 조절부재(130)의 삽입단과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The length adjustment groove 111 may have a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ixing bar 110, and the through hole 112 penetrat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xing bar 110 to communicate the length adjustment groove 111 and the outside. A screw thread may be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112 so as to be coupled with the insertion end of the adjusting member 130 in a screwing manner.

슬라이드바(120)는 상하방향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상단이 길이조절홈(111)의 하방을 통해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으며, 슬라이드바(12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조절홀(121)들 중 하나와 관통홀(112)을 동일 선상에 위치시킬 수 있다.The slide bar 120 may have a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upper end may be inserted through the lower side of the length adjusting groove 111 to sl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may be adjusted by moving the slide bar 120 in the vertical direction. One of the holes 121 and the through hole 112 may be located on the same line.

조절부재(130)는 슬라이드바(120)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삽입단의 외주면에는 관통홀(112)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고, 조절부재(130)의 조절단은 삽입단보다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절부재(130)의 삽입단을 관통홀(112)을 통해 결합시키고, 슬라이드바(120)가 고정바(110)의 하부로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한 후, 조절부재(130)를 잠금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삽입단이 관통홀(112)과 조절홀(121)을 통해 삽입되어 슬라이드바(120)를 고정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The adjusting member 130 i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lide bar 120, and a thread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end so as to be screwed into the through hole 112, and the adjusting member ( 130) may be formed with a larger diameter than the insertion end. For example, after coupling the insertion end of the adjusting member 130 through the through hole 112 and adjusting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slide bar 120 to the bottom of the fixing bar 110, the adjusting member 130 When rotating in the locking direction, the insertion end is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 112 and the control hole 121 to position the slide bar 120 in a fixed manner.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500)는 도 22에서처럼 길이방향측 상단이 외측 덮개(210) 또는 후술 될 베이스부(400)의 하면에 결합되고, 내부의 길이조절홈(511)이 하방으로 개방되며, 일측에 관통홀(512)이 형성되는 고정바(510)와, 길이방향측 상단이 길이조절홈(511)의 하방을 통해 슬라이드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고, 일측에 걸림홈(521)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슬라이드바(520)와, 길이조절홈(511)의 내부에서 슬라이드바(520)의 상단을 하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제1탄성부재(530)와, 관통홀(512)의 양측으로 수평회전중심을 형성하는 회전축(540)과, 회전축(54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의 걸림단(551)이 걸림홈(521)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부의 누름단(552)을 슬라이드바(520)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누르는 경우 걸림단(551)이 후방의 걸림 해지위치로 회동되는 걸림부재(550) 및, 누름단(552)을 슬라이드바(52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여 걸림단(551)을 전방의 걸림 위치로 회동시키는 탄성부재(560)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support part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2, the upper end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oupled to the outer cover 210 or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art 40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internal length adjustment groove 511 The fixing bar 510, which is open downward and has a through hole 512 formed on one side, and the upp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inserted to be able to slide up and down through the lower side of the length adjustment groove 511, and the locking groove on one side ( 521) is concavely formed, the slide bar 520, the first elastic member 530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upper end of the slide bar 520 downward inside the length adjusting groove 511, and the through hole 512 I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540 and the rotation shaft 540 forming the horizontal rotation center on both sides of the, the lower end 551 protrudes in a direction facing the locking groove 521, and the upper pressing When the step 552 is pressed in the direction facing the slide bar 520, the locking member 550 and the pressing end 552 are rotated to the rear lock release position of the locking end 551 with the slide bar 520. It may include an elastic member 560 that elastically supports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rotates the locking end 551 to a forward locking position.

고정바(510)는 상하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측면이 원주는 이루거나 측면을 따라 다수의 다각면이 형성되는 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단이 후술 될 외측 덮개(210) 또는 베이스부(400)의 하면에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길이조절홈(511)은 고정바(510)의 상하방향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The fixing bar 510 has a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may have a beam shape in which a side surface forms a circumference or a plurality of polygonal surfaces are formed along the side surface, and the upper end is the outer cover 210 or the base portion 400 to be described later. ) can be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ength adjustment groove 511 may have a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ixing bar (510).

슬라이드바(520)는 상하방향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상단이 길이조절홈(511)의 하방을 통해 대응되게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으며, 슬라이드바(520)를 상부의 걸림위치로 상승시키는 경우 걸림부재(550)의 누름단(552)이 걸림홈(521)으로 삽입된다. 이때 누름단(552)의 상단이 걸림홈(521)의 상단에 걸림 위치되고, 제1탄성부재(530)가 상부로 압축되어 길이가 감소되고, 슬라이드바(520)가 길이조절홈(511)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slide bar 520 may have a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upper end may be inserted correspondingly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length adjusting groove 511 to sl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slide bar 520 may be placed in an upper engaging position. When raising to , the pressing end 552 of the engaging member 550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 521 . At this time, the top of the pressing end 552 is positioned to be caught at the top of the locking groove 521, the first elastic member 530 is compressed upward to reduce the length, and the slide bar 520 is length-adjusting groove 511 You can keep the inserted state in .

제1탄성부재(530)는 상단이 길이조절홈(511)의 상단에 지지되고, 하단이 슬라이드바(520)의 하단을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걸림부재(550)의 누름단(552)을 눌러 걸림단(551)을 걸림홈(521)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 제1탄성부재(530)의 압축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드바(520)가 하강되면서 길이가 신장될 수 있다.The first elastic member 530 may have a coil spring shape with an upper end supported by the upper end of the length adjusting groove 511 and a lower end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slide bar 520, and the pressing end of the engaging member 550. When the locking end 551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groove 521 by pressing 552, the length of the slide bar 520 may be extended while the slide bar 520 is lowered by the compressive elastic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530.

외측 덮개(210)는 지지부(100)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 위치되는 부분으로, 가장자리측 하면이 지지부(100)의 상단에 결합되고, 봉투(종량제 봉투 등, 10)가 통과되도록 통과홀(211)이 상하로 관통된다. 여기서 외측 덮개(210)는 탄성 변형 후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도록 플라스틱(plastic) 등의 소재로 제작될 수 있고, 가장자리를 따라 원주를 이루면서 길이를 갖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통과홀(211)은 내측 덮개(22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관통될 수 있다.The outer cover 210 is a part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at regular intervals by the support part 100, and the lower edge side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art 100, and the through hole so that the envelope (10) passes through (211) is penetrated vertically. Here, the outer cover 210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plastic so that it can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after elastic deformation, may have a ring shape having a length while forming a circumference along the edge, and a through hole ( 211) may be penetrat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cover 220.

외측 덮개(210)는 지지부(100)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 위치되는 부분으로, 가장자리측 하면이 지지부(100)의 상단에 결합되고, 봉투(종량제 봉투 등, 10)가 통과되도록 통과홀(211)이 상하로 관통된다. 여기서 외측 덮개(210)는 탄성 변형 후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도록 플라스틱(plastic) 등의 소재로 제작될 수 있고, 가장자리를 따라 원주를 이루면서 길이를 갖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통과홀(211)은 내측 덮개(22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관통될 수 있다.The outer cover 210 is a part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at regular intervals by the support part 100, and the lower edge side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art 100, and the through hole so that the envelope (10) passes through (211) is penetrated vertically. Here, the outer cover 210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plastic so that it can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after elastic deformation, may have a ring shape having a length while forming a circumference along the edge, and a through hole ( 211) may be penetrat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cover 220.

내측 덮개(220)는 외측 덮개(210)의 통과홀(211)을 개폐시키기 위한 것으로, 통과홀(211)의 내부를 대응되는 형상으로 수평하게 커버하고, 일측이 통과홀(211)의 내측면에 상하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The inner cover 220 i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through hole 211 of the outer cover 210, covers the inside of the through hole 211 horizontally in a corresponding shape, and one side is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211. It is connected so that it can rotate up and dow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 덮개(220)는 도 1, 2, 4에서처럼 길이방향 일측이 통과홀(211)의 내주면에 연결되고, 반대되는 자유단(221)이 통과홀(211)의 중심위치로 나선을 이루면서 수평하게 반복 회전되며, 점진적으로 회전반경이 감소되면서 통과홀(211)을 폐쇄시킬 수 있다.In the inner cover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onnect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211, as shown in FIGS. 1, 2, and 4, and the opposite free end 221 is the It is repeatedly rotated horizontally while forming a spiral to the center position, and the through hole 211 can be closed while the rotation radius is gradually reduced.

여기서, 내측 덮개(220)의 자유단(221)은 나선을 이루면서 수평하게 회전되어 외측 덮개(210)의 중심위치에 위치될 수 있고, 탄성 변형 후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도록 플라스틱(plastic) 등의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내측 덮개(220)와 외측 덮개(210)는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Here, the free end 221 of the inner cover 220 may be rotated horizontally while forming a spiral to be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outer cover 210, and plastic (plastic) to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after elastic deformation. It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and the inner cover 220 and the outer cover 210 may be integrally molded.

이와 다른 형태로, 외측 덮개(210)는 도 10에서처럼 가장자리를 따라 4개의 코너부위가 형성되도록 벤딩되어 사각 링 형태로 길이를 가질 수 있고, 내측 덮개(220)는 통과홀(211)과 대응되도록 가장자리를 따라 4개의 코너부위가 형성되도록 벤딩되어 사각 링 형태로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외측 덮개(210)와 내측 덮개(220)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In a different form, the outer cover 210 may be bent to form four corners along the edge as shown in FIG. It may be bent to form four corners along the edge to have a length in the form of a square ring, and the shapes of the outer cover 210 and the inner cover 220 may be applied in various ways as needed.

손잡이(230)는 내측 덮개(220)의 자유단(221)을 개방위치로 상승시키거나 폐쇄위치로 하강시키기 위한 것으로, 하단이 자유단(221)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으나, 손잡이(230)가 자유단(221)의 상면에 결합되는 형태는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The handle 230 is for raising the free end 221 of the inner cover 220 to an open position or lowering it to a closed position, and the lower end may b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free end 221, but the handle 230 A shap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ree end 221 can be applied in various ways.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으로 손잡이(230)를 파지한 후 개방위치로 상승시키는 경우, 도 5에서처럼 자유단(221)의 상승에 의해 내측 덮개(220)의 길이방향이 외측 덮개(210)의 상부로 이격되면서 통과홀(211)을 상하방향으로 개방시킨다. 이때 내측 덮개(220)의 폭방향 양측에 삽입 간격이 형성되고, 내측 덮개(220)의 폭방향에 직경이 다른 다수의 삽입 간격이 각각 형성된다.For example, when the user grips the handle 230 with his hand and then raises it to the open position, as shown in FIG. 5, the free end 221 rises so that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inner cover 220 changes from that of the outer cover 210. While spaced apart from the top, the through hole 211 is ope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is time, insertion interval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cover 220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insertion intervals having different diameters are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ner cover 220, respectively.

이 상태에서, 도 6에서처럼 봉투(10)를 덮개부(200)의 하방에 위치시킨 후 봉투(10)의 상단을 통과홀(211)의 하방을 통해 삽입 간격으로 통과시킬 수 있고, 봉투(10)의 상단을 외측 덮개(210) 또는 내측 덮개(220)의 상면으로 밀착시킨 후, 도 7에서처럼 후술 될 고정 클립부(300)를 이용해 봉투(10)를 외측 덮개(210) 또는 내측 덮개(220)에 고정시킬 수 있다.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6, after positioning the envelope 10 under the lid part 200, the upper end of the envelope 10 can be passed through the lower passage hole 211 at an insertion interval, and the envelope 10 ) After the upper end of the outer cover 210 or the inner cover 22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over 210 or the inner cover 220, the envelope 10 is attached to the outer cover 210 or the inner cover 220 using the fixing clip part 300 to be described later as shown in FIG. ) can be fixed.

이후, 도 8에서처럼 자유단(221)을 폐쇄위치로 하강시키는 경우, 상부로 펼쳐진 내측 덮개(220)가 수평하게 안착되면서 통과홀(211)을 폐쇄시키고, 내측 덮개(220)의 폭방향이 나선을 이루면서 서로 밀착되므로 삽입 간격을 모두 폐쇄시킬 수 있으며, 봉투(10)의 상단은 내측 덮개(220)와 외측 덮개(210)의 사이 또는 외측 덮개(210)의 폭방향에 밀착된 상태로 거치될 수 있다.Then, as shown in FIG. 8, when the free end 221 is lowered to the closed position, the inner cover 220 spread upward is seated horizontally to close the passage hole 211,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ner cover 220 is spiral. Since they adhere to each other while forming, all insertion intervals can be closed, and the upper end of the envelope 10 can be mounted between the inner cover 220 and the outer cover 210 or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over 210 in the width direction. can

즉, 손잡이(230)를 들어올리는 경우 내측 덮개(220)의 폭방향에 서로 다른 직경의 삽입 간격이 형성되므로, 다양한 용량의 봉투(10)를 선택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고, 손잡이(230)를 승강시키는 동작으로 통과홀(211)을 쉽게 개폐시킬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at is, when the handle 230 is lifted, insertion intervals of different diameters are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ner cover 220, so that bags 10 of various capacities can be selectively placed, and the handle 230 can be moved up and down. It is possible to easily open and close the through hole 211 by the operation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

또한, 도 9에서처럼 외측 덮개(210)의 내주면과 내측 덮개(220)의 폭방향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다수의 체결홈(240) 및, 내측 덮개(220)의 폭방향 양측으로 돌출되어 체결홈(240)에 대응되게 삽입되는 체결돌기(25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체결홈(240)과 체결돌기(250)의 위치 및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9, a plurality of fastening grooves 240 concavely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over 210 and the inner cover 220, and the fastening grooves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inner cover 220 in the width direction ( 240) may further include a fastening protrusion 250 inserted to correspond to, and the position and number of the fastening groove 240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250 can be variously applied as needed.

예를 들어, 자유단(221)을 폐쇄위치로 하강시키는 경우 체결돌기(250)와 체결홈(240)이 수직하게 결합되므로, 내측 덮개(230)가 외력에 의해 수평하게 유동되지 않고, 체결홈(240)과 체결돌기(250)에 의해 내측 덮개(220)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으므로 손잡이(230)를 하강시 내측 덮개(220)의 폭방향에 틈이 형성되지 않는다.For example, when the free end 221 is lowered to the closed position, since the fastening protrusion 250 and the fastening groove 240 are vertically coupled, the inner cover 230 does not move horizontally by an external force and the fastening groove Since the position of the inner cover 220 is not changed by the 240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250, no gap is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ner cover 220 when the handle 230 is lowered.

또한, 상부로 펼쳐진 내측 덮개(220)가 수평하게 안착되면서 통과홀(211)을 폐쇄시키고, 봉투(10)의 상단은 내측 덮개(220)와 외측 덮개(210)의 사이 또는 외측 덮개(210)의 폭방향에 밀착된 상태로 거치될 수 있다. 즉 손잡이(230)를 들어올리는 경우 내측 덮개(220)의 폭방향에 서로 다른 직경의 삽입 간격이 형성되므로, 다양한 용량의 봉투(10)를 선택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inner cover 220 spread upward is seated horizontally to close the passage hole 211, and the upper end of the envelope 10 is between the inner cover 220 and the outer cover 210 or the outer cover 210 It can be moun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width direction of. That is, when the handle 230 is lifted, insertion intervals of different diameters are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ner cover 220, so that the envelopes 10 of various capacities can be selectively plac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측 덮개(220)는 도 19 내지 21에서처럼 통과홀(211)의 내부에 수평하게 배치되어 일측이 통과홀(211)의 내측면에 상하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개폐홀(231a)이 상하로 관통되며, 상면에 손잡이(240)가 결합되는 제1회동부재(231) 및, 개폐홀(231a)의 내부에 수평하게 배치되어 일측이 개폐홀(231a)의 내측면에 상하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면에 손잡이(240)가 결합되는 제2회동부재(232)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ner cover 2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orizontally disposed inside the through hole 211 as shown in FIGS. The hole 231a penetrates vertically, and the first rotation member 231 to which the handle 240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is horizontally disposed inside the opening and closing hole 231a, so that one side is the inner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hole 231a. It may include a second pivoting member 232 that is connected to be able to pivot up and down, and the handle 240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제1회동부재(231)는 통과홀(211)의 내측면과 제2회동부재(232)의 외측면 사이에 다수가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면서 수평하게 배열되고, 수평하게 접하는 일측이 상하회동 가능하게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외곽에 위치된 제1회동부재(231)의 일측이 통과홀(211)의 내측면과 수평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통과홀(211)의 내측면은 원주를 이룰 수 있고, 제1회동부재(231)는 가장자리가 원주를 이루는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rotational member 231 is arranged horizontally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passage hole 211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rotational member 232 while having a plurality of different diameters, and one side in contact horizontally can rotate up and down.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one side of the first rotational member 231 located outside may be connected horizontally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211. Here, the inner surface of the passage hole 211 may form a circumference, and the first rotation member 231 may have a disk shape with edges forming a circumference.

제2회동부재(232)는 통과홀(211)의 중심부위에 위치된 제1회동부재(231)의 개폐홀(231a)에 수평하게 위치되고, 제2회동부재(232)의 일측이 개폐홀(231a)의 내측면과 수평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개폐홀(231a)의 내측면을 원주를 이룰 수 있고, 제2회동부재(232)는 가장자리가 원주를 이루는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second pivoting member 232 is positioned horizontally in the opening/closing hole 231a of the first pivoting member 231 located above the center of the through hole 211, and one side of the second pivoting member 232 is the opening/closing hole ( 231a) may be connected horizontally with the inner surface. Here, the inner surface of the opening/closing hole 231a may form a circumference, and the second rotational member 232 may have a disk shape with an edge forming a circumference.

즉, 제2회동부재(232)를 개방시키는 경우 도 21의 상측 도면에서처럼 최소 직경을 갖는 개폐홀(231a)이 개방되므로 작은 용량의 봉투(10) 등을 거치시킬 수 있고, 제1회동부재(231)를 개방시키는 경우 도 21의 하측 도면에서처럼 최소 직경보다 큰 개폐홀(231a)이 개방되므로 중간 또는 큰 용량의 봉투(10) 등을 거치시킬 수 있다.That is, when the second rotational member 232 is opened, the opening and closing hole 231a having the minimum diameter is opened as shown in the upper drawing of FIG. 231) is opened, as shown in the lower drawing of FIG. 21, since the opening and closing hole 231a larger than the minimum diameter is opened, an envelope 10 with a medium or large capacity can be plac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봉투 거치대는 일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가압단(310)이 마주하는 방향으로 탄성 파지 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 클립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가압단(310)은 외측 덮개(210) 또는 내측 덮개(220)와 삽입 간격을 통과한 봉투(10)의 상단을 상하방향에서 파지한다.In addition, the garbage bag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fixing clip parts 300 provided to be elastically gripped in a direction in which a pair of pressing ends 310 protruding to one side face each other. In addition, the pressing end 310 grips the upper end of the outer cover 210 or the inner cover 220 and the envelope 10 passing through the insertion gap in the vertical direction.

여기서, 고정 클립부(300)는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금속(steel), 플라스틱(plastic) 등의 소재로 제작될 수 있고, 가압단(310)의 돌출된 전단은 마주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압단(310)들의 사이 간격이 전방으로 더 넓게 개방되므로 가압단(310)들의 사이 간격을 통해 외측 덮개(210) 또는 내측 덮개(220)를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다.Here, the fixing clip portion 300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metal or plastic so as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and the protruding front end of the pressing end 310 is incli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acing direction. can be bent In this case, since the gap between the pressing ends 310 is wider forward, the outer cover 210 or the inner cover 220 can be easily inserted through the gap between the pressing ends 310 .

예를 들어, 도 6에서처럼 봉투(10)를 덮개부(200)의 하방에 위치시킨 후 봉투(10)의 상단을 통과홀(211)의 하방을 통해 삽입 간격으로 통과시킬 수 있고, 봉투(10)의 상단을 외측 덮개(210) 또는 내측 덮개(220)의 상면으로 밀착시킨 후, 도 7에서처럼 후술 될 고정 클립부(300)를 이용해 봉투(10)를 외측 덮개(210) 또는 내측 덮개(220)에 고정시킬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after positioning the envelope 10 under the cover 200, the upper end of the envelope 10 may pass through the lower passage hole 211 at an insertion interval, and the envelope 10 ) After the upper end of the outer cover 210 or the inner cover 22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over 210 or the inner cover 220, the envelope 10 is attached to the outer cover 210 or the inner cover 220 using the fixing clip part 300 to be described later as shown in FIG. ) can be fix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봉투 거치대는 가압단(310)의 마주하는 일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가압돌기(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압돌기(320)는 봉투(10)의 표면을 가압하기 위한 것으로, 가압돌기(320)의 돌출된 단부는 곡면을 이루면서 볼록하게 돌출될 수 있다.Meanwhile, the garbage bag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pressing protrusions 320 each protruding from the facing surface of the pressing end 310 . The pressing protrusion 320 is for pressing the surface of the bag 10, and the protruding end of the pressing protrusion 320 may protrude convexly while forming a curved surface.

예를 들어, 봉투(10)의 상단을 외측 덮개(210) 또는 내측 덮개(220)의 상면으로 밀착시킨 후, 도 7에서처럼 가압단(310)의 사이 간격을 통해 외측 덮개(210)와 봉투(10)의 상단 또는 내측 덮개(220)와 봉투(10)의 상단을 삽입시키는 경우 가압돌기(320)의 전단이 봉투(10)의 표면을 좁은 단면적으로 가압하므로 봉투(10)를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For example, after the top of the envelope 1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cover 210 or the inner cover 220, the outer cover 210 and the envelope ( 10) When the top or inner cover 220 and the top of the envelope 10 are inserted, the front end of the pressing protrusion 320 presses the surface of the envelope 10 with a narrow cross-sectional area, so the envelope 10 can be firmly fixed. there i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봉투 거치대는 도 12 내지 18에서처럼 지지부(100)의 상단에 결합되고, 통과홀(211)과 동일 선상에 위치되도록 중공이 상하로 관통되며, 외측 덮개(210)가 상면에 안착되는 베이스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garbage bag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art 100 as shown in FIGS. It may further include a base part 400 seated on the upper surface.

베이스부(400)는 지지부(100)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 위치되는 부분으로, 하면이 지지부(100)의 상단에 결합되고, 봉투(10)가 통과되도록 중공이 상하로 관통된다. 여기서 베이스부(400)는 플라스틱(plastic) 등의 소재로 제작될 수 있고, 가장자리를 따라 원주를 이루면서 길이를 갖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base part 400 is a part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at a regular interval by the support part 100, the lower surface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art 100, and the hollow is vertically penetrated so that the envelope 10 passes. Here, the base part 400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plastic, and may have a ring shape having a length while forming a circumference along an ed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400)는 도 16과 17에서처럼 가장자리를 따라 원주를 이루면서 길이를 갖고, 길이방향 양측이 양측으로 분할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6 and 17 , the base portion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ength while forming a circumference along the edge, and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divided into both sides.

또한, 베이스부(400)의 길이방향 일측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대응되는 일측이 암수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직경조절홈(410) 및, 베이스부(400)의 하면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지지부(100)의 상단이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다수의 장착홈(4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diameter adjusting groove 410 is formed concavely on one side of the base part 4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corresponding one side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male and female, and is concavely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art 400, A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420 into which an upper end of the support 100 is selectively inserted may be further included.

이 경우, 베이스부(400)의 길이방향 일측은 직경조절홈(410)에 대응되게 삽입될 수 있는 형상과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직경조절홈(410)은 베이스부(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베이스부(400)의 직경을 조절한 후 장착홈(420)을 이용해 고정바(110)의 결합 위치를 선택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one side of the base portion 4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have a shape and length that can be inserted to correspond to the diameter adjusting groove 410, and the diameter adjusting groove 410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portion 400. It can be extended along, and after adjusting the diameter of the base portion 400,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fixing bar 110 can be selectively changed using the mounting groove 420.

즉, 베이스부(400)의 직경을 조절할 수 있어 봉투(10)의 사이즈에 따라 중공의 직경을 조절할 수 있어 지지부(100)가 지지하는 폭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중공의 직경에 맞는 덮개부(500)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직경이 조절된 중공을 개폐시킬 수 있다.That is, since the diameter of the base part 400 can be adjusted, the diameter of the hollow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bag 10, so that the width supported by the support part 100 can be adjusted in various ways. By selectively applying the cover part 500, it is possible to open and close the hollow whose diameter is adjus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봉투 거치대는 도 18에서처럼 베이스부(400)의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베이스부(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는 다수의 안착홈(430) 및, 안착홈(430)에 대응되게 삽입되도록 외측 덮개(510)의 하면으로부터 하부로 돌출되는 다수의 안착돌기(5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안착돌기(540)의 하단은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테이퍼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garbage bag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cave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art 400 as shown in FIG. 18, and a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are arranged in a spaced apart mann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part 400. 430 and a plurality of seating protrusions 540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outer cover 510 to be inserted into the seating groove 430 may be further included. Here, the lower end of the seating protrusion 540 may have a tapered shape in which a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lower end.

예를 들어, 덮개부(500)를 베이스부(400)의 상면에 안착시키는 경우 안착돌기(540)가 안착홈(430)에 대응되게 삽입되므로, 덮개부(500)를 정진 위치에 정확하게 안착시킬 수 있고, 덮개부(500)가 외력에 의해 수평하게 유동되지 않는다.For example, when the cover part 500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art 400, since the seating protrusion 540 is inserted to correspond to the seating groove 430, the cover part 500 can be accurately seated in the proper position. In addition, the cover part 500 does not flow horizontally by an external force.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다양한 사이즈의 봉투를 거치시킬 수 있어 범용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봉투의 입구를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부피 축소가 가능한 구조를 가지므로 이동 및 보관이 편리하다.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universally because bags of various sizes can be placed, the entrance of the bag can be easily opened and closed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 and it has a structure capable of volume reduction, so it can be moved and convenient storage.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봉투 거치대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of the garbage bag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so far, it is obvious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limits that do not deviate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conveyed, and should be defined by not onl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ut also those equivalent to these claims.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at i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봉투 100: 지지부
110: 고정바 111: 길이조절홈
112: 관통홀 120: 슬라이드바
121: 조절홀 130: 조절부재
200: 덮개부 210: 외측 덮개
211: 통과홀 220, 220-1: 내측 덮개
221: 자유단 230: 손잡이
240: 체결홈 250: 체결돌기
260: 안착돌기 300: 고정 클립부
310: 가압단 320: 가압돌기
400: 베이스부 410: 직경조절홈
420: 장착홈 430: 안착홈
500: 지지부 510: 고정바
511: 길이조절홈 512: 관통홀
520: 슬라이드바 521: 걸림홈
530: 제1탄성부재 540: 회전축
550: 걸림부재 551: 걸림단
552: 누름단 560: 제2탄성부재
10: envelope 100: support
110: fixed bar 111: length adjustment groove
112: through hole 120: slide bar
121: control hole 130: control member
200: cover part 210: outer cover
211: through hole 220, 220-1: inner cover
221: free end 230: handle
240: fastening groove 250: fastening protrusion
260: seating protrusion 300: fixing clip part
310: pressure end 320: pressure protrusion
400: base part 410: diameter adjustment groove
420: mounting groove 430: seating groove
500: support 510: fixed bar
511: length adjustment groove 512: through hole
520: slide bar 521: locking groove
530: first elastic member 540: rotation shaft
550: engaging member 551: engaging end
552: pressing end 560: second elastic member

Claims (10)

설치면에 안착되는 다수의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 결합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쓰레기봉투 거치대로서,
상기 덮개부는 가장자리측 하면이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봉투가 통과되도록 통과홀이 상하로 관통되는 외측 덮개;
상기 통과홀의 내부를 대응되는 형상으로 수평하게 커버하고, 일측이 상기 통과홀의 내측면에 상하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내측 덮개; 및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내측 덮개의 상면에 결합되고, 개방위치로 상승시 상기 내측 덮개를 상승시켜 상기 통과홀을 상하로 개방시키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봉투 거치대.
A garbage bag holder including a plurality of support parts seat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and a cover part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support part,
an outer cover having a bottom edge side of the cover portion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and having passage holes vertically passing through the envelope;
an inner cover horizontally covering the inside of the passage hole in a corresponding shape and having one side rotatably connect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passage hole; and
and a handle that is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inner cover so that a user can grip it and opens the passage hole vertically by raising the inner cover when it is raised to an open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덮개는,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통과홀의 내주면에 연결되고, 반대되는 자유단이 상기 통과홀의 중심위치로 나선을 이루면서 수평하게 반복 회전되며, 점진적으로 회전반경이 감소되면서 상기 통과홀을 폐쇄시키며,
상기 손잡이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자유단의 상면에 결합되고, 개방위치로 상승시 상기 봉투의 상단이 선택적으로 거치되도록 상기 내측 덮개의 폭방향에 다수의 삽입 간격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봉투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1,
The inner cover,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onnect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and the opposite free end spirals toward the center of the through hole and is repeatedly rotated horizontally, closing the through hole as the rotation radius gradually decreases,
the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insertion intervals are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ner cover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bag is selectively held when it is raised to an open position and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ree end so that the user can grip it.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덮개는,
상기 통과홀의 내부에 수평하게 배치되어 일측이 상기 통과홀의 내측면에 상하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개폐홀이 상하로 관통되며, 상면에 상기 손잡이가 결합되는 제1회동부재 및,
상기 개폐홀의 내부에 수평하게 배치되어 일측이 상기 개폐홀의 내측면에 상하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면에 상기 손잡이가 결합되는 제2회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봉투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1,
The inner cover,
A first rotational member horizontally disposed inside the passage hole, one side of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assage hole, the opening and closing hole penetrates vertically, and the handle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The garbage bag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rotational member disposed horizontally inside the opening and closing hole, one side of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hole, and to which the handle is coupled to an upper surfa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동부재는,
상기 통과홀의 내측면과 상기 제2회동부재의 외측면 사이에 다수가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면서 수평하게 배열되고, 일측이 상하회동 가능하게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봉투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3,
The first rotation member,
The garbage bag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horizontally arranged with different diameters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passage hol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rotation member, and one side is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be able to rotate up and down.
제1항에 있어서,
일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가압단이 마주하는 방향으로 탄성 파지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가압단이 외측 덮개 또는 상기 내측 덮개를 상하방향에서 파지하는 하나 이상의 고정 클립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봉투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1,
A pair of pressing ends protruding to one side are elastically gripped in opposite directions, and the pressing ends further include one or more fixing clip portions for gripping the outer cover or the inner cover in the vertical direction. envelope sta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길이방향측 상단이 상기 외측 덮개의 하면에 결합되고, 내부의 길이조절홈이 하방으로 개방되며, 일측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고정바와,
길이방향측 상단이 상기 길이조절홈의 하방을 통해 슬라이드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고, 일측의 조절홀이 상하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슬라이드바 및,
일측의 삽입단이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조절홀로 관통 결합되고, 반대되는 조절단이 상기 슬라이드바의 외부로 노출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봉투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A fixing bar having an upp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outer cover, an inner length adjustment groove opening downward, and a through hole formed on one side;
A slide bar whose upp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inserted to be able to slide up and down through the lower side of the length adjustment groove, and the adjustment hole on one side is arrang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The garbage bag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djustment member, the insertion end of one side of which is coupled to the adjustment hole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the opposite adjustment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lide ba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통과홀과 동일 선상에 위치되도록 중공이 상하로 관통되며, 상기 외측 덮개가 상면에 안착되는 베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봉투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1,
The garbage bag cradle further comprises a base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support, through which a hollow is vertically penetrated so as to be positioned on the same line as the through hole, and on which the outer cover is seated on an upper surface.
제7항에 있어서,
일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가압단이 마주하는 방향으로 탄성 파지 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 클립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압단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외측 덮개 또는 상기 내측 덮개를 상하방향에서 파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봉투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7,
It further includes one or more fixing clips provided to be elastically gripped in a direction in which a pair of pressing ends protruding to one side face each other,
The garbage bag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ing end grips the base portion and the outer cover or the inner cover in a vertical direc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가장자리를 따라 원주를 이루면서 길이를 갖고, 길이방향 양측이 양측으로 분할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방향 일측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대응되는 일측이 암수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직경조절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봉투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7,
The base portion has a length while forming a circumference along an edge, and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divided into both sides,
The garbage bag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iameter adjustment groove formed concavely on one side of the base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to which the corresponding one side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male and female direction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하면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상단이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다수의 장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봉투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7,
The garbage bag holder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concavely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art and into which an upper end of the support part is selectively inserted.
KR1020230045773A 2023-04-07 2023-04-07 garbage bag hanger KR1025313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5773A KR102531360B1 (en) 2023-04-07 2023-04-07 garbage bag hang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5773A KR102531360B1 (en) 2023-04-07 2023-04-07 garbage bag hang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1360B1 true KR102531360B1 (en) 2023-05-12

Family

ID=86385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5773A KR102531360B1 (en) 2023-04-07 2023-04-07 garbage bag hang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136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2710A (en) * 2001-10-19 2003-04-26 김진희 A litterbin for garbagebag support
KR20130019692A (en) * 2011-08-17 2013-02-27 광주광역시 광산구 Garbage bag support
KR101390006B1 (en) * 2013-07-11 2014-04-30 구홍식 Supporting device for sack
KR20140144436A (en) * 2013-06-11 2014-12-19 김은규 garbage bag support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2710A (en) * 2001-10-19 2003-04-26 김진희 A litterbin for garbagebag support
KR20130019692A (en) * 2011-08-17 2013-02-27 광주광역시 광산구 Garbage bag support
KR20140144436A (en) * 2013-06-11 2014-12-19 김은규 garbage bag supporter
KR101390006B1 (en) * 2013-07-11 2014-04-30 구홍식 Supporting device for sac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0474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olding an object on a surface
US5234251A (en) Seat arm attachment
US4488697A (en) Bag holder
US6332551B1 (en) Self-sealing container
US20140131530A1 (en) Modular Beverage Holder
US9102192B2 (en) Portable art easel
AU5253698A (en) Secured receptacle holder
EP2014582A1 (en) Garbage container provided with a compactor
CN108698808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ripping a container during lid opening
KR102531360B1 (en) garbage bag hanger
US5109995A (en) Beverage drinking set with straw holder
US5076527A (en) Sucking on device which is easily to be lifted but is not easily getting overturned
US4664455A (en) Lidless garbage bag holder
US7461821B2 (en) Flexible trash can frame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US4986417A (en) Structure of stationery case
US9676550B2 (en) Bag supporting device
KR101875498B1 (en) Tumbler cap
US20190320769A1 (en) Umbrella holder
CN110342098A (en) A kind of sealing container locked fastly with pressing
KR20130019692A (en) Garbage bag support
US20220306379A1 (en) Garbage Receptacle Assembly
US6666353B1 (en) Tube organizer and dispensing aid
KR200479861Y1 (en) Hanger of garbage bag
US20040094682A1 (en) Device for suspending objects
KR930005129Y1 (en) Device for outletting paper cu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