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0947B1 - Mounting bracket for tongue jack wheel of trailer and tongue jack wheel assembly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ounting bracket for tongue jack wheel of trailer and tongue jack wheel assembly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0947B1
KR102530947B1 KR1020220103360A KR20220103360A KR102530947B1 KR 102530947 B1 KR102530947 B1 KR 102530947B1 KR 1020220103360 A KR1020220103360 A KR 1020220103360A KR 20220103360 A KR20220103360 A KR 20220103360A KR 102530947 B1 KR102530947 B1 KR 102530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tongue jack
shaft
ground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33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보윤
윤정희
정창묵
황보준
양세연
최민혁
Original Assignee
(주)캠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캠앤코 filed Critical (주)캠앤코
Priority to KR1020230056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7585A/en
Priority to KR1020230056537A priority patent/KR202300675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0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09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24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 B60D1/42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for being adjustable
    • B60D1/46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for being adjustable vertically
    • B60D1/465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for being adjustable vertically comprising a lifting mechanism, e.g. for coupling while lif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48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 B60D1/5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resiliently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48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 B60D1/54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collapsible or retractable when not in use, e.g. hide-away h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58Auxiliary devices
    • B60D1/62Auxiliary devices involving supply lines, electric circuits, or the like
    • B60D1/64Couplings or joi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6Trailers
    • B62D63/062Trailers with one axle or two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6Trailers
    • B62D63/08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48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 B60D1/54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collapsible or retractable when not in use, e.g. hide-away hitches
    • B60D2001/542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collapsible or retractable when not in use, e.g. hide-away hitche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pivot axis
    • B60D2001/544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collapsible or retractable when not in use, e.g. hide-away hitche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pivot axis one pivot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8Semi-trailers, articulate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mounting bracket for a tongue jack wheel of a trailer connected to a vehicle to be transferred, which comprises: a coupling body unit directly coupled to a support frame of a trailer for connection between the vehicle and the trailer; and a connection body unit provided in a lower portion of the coupling body unit and connecting a tongue jack wheel to the coupling body unit. An upper end part of a support shaft of the tongue jack wheel is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on body unit.

Description

트레일러의 텅잭휠 장착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텅잭휠 어셈블리{MOUNTING BRACKET FOR TONGUE JACK WHEEL OF TRAILER AND TONGUE JACK WHEEL ASSEMBLY INCLUDING THE SAME}Tongue jack wheel mounting bracket of a trailer and a tongue jack wheel assembly including the same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트레일러의 텅잭휠 장착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텅잭휠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 to a trailer tongue jack wheel mounting bracket and a tongue jack wheel assembly including the same.

일반적으로 트레일러의 지지프레임(또는 A프레임)을 차량에 연결하거나, 분리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잭휠이 사용된다. 잭휠은 하부에 휠을 구비하고, 지지프레임과 인접한 지점에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어 휠 측이 지면에 접촉되면서 지지프레임을 수평한 상태로 받쳐줄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In general, a jack wheel is used as a means for facilitating an operation of connecting or separating a support frame (or A frame) of a trailer from a vehicle. The jack wheel has a wheel at the bottom and is installed in a state standing at a point adjacent to the support frame to have a structure capable of supporting the support frame in a horizontal state while the wheel side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하지만, 잭의 수직샤프트 부분을 고정하기 위한 종래의 장착 브라켓들은 관성브레이크를 부착했을 때에만 트레일러의 지지프레임에 설치 가능하였다. 그에 따라, 텅잭휠 장착 브라켓의 제조 원가가 상승하고 제품의 비용 상승으로 이어지는 문제가 존재하였다.However, conventional mounting brackets for fixing the vertical shaft portion of the jack could be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of the trailer only when the inertia brake was attached.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tongue jack wheel mounting bracket increases and the cost of the product increases.

미국등록특허공보 제10,974,555호(2021.04.13.)US Patent Registration No. 10,974,555 (2021.04.13.)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전술한 종래의 선반 장치의 문제점들을 개선한 선반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관성브레이크의 장착 없이도 텅잭휠을 결합하여 지지할 수 있는 트레일러의 텅잭휠 장착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텅잭휠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to provide a shelving device that improves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shelving device described above, and includes a tongue jack wheel mounting bracket of a trailer capable of combining and supporting a tongue jack wheel without mounting an inertia brake, and including the same To provide a tongue jack wheel assembly.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사항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 설명할 다양한 실시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matter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are not limit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various embodiments to be described below. can be considered by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에 연결되어 이송되는 트레일러의 텅잭휠 장착 브라켓에 있어서, 차량과 트레일러의 연결을 위한 트레일러의 지지프레임에 직접 결합되는 결합바디부; 및 상기 결합바디부의 하부에 마련되고, 텅잭휠을 상기 결합바디부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바디부의 하부에 상기 텅잭휠의 지지샤프트의 상단부가 결합되는 것인, 트레일러의 텅잭휠 장착 브라켓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tongue jack wheel mounting bracket for a trailer that is transported connected to a vehicle includes: a coupling body portion that is directly coupled to a support frame of the trailer for connecting the vehicle and the trailer; and a connection body provided under the coupling body and connecting the tongue jack wheel to the coupling body, wherei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shaft of the tongue jack wheel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on body. Jackwheel mounting brackets can be provided.

상기 결합바디부는, 상기 트레일러의 지지프레임의 양 측면에 직접 접촉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바디부는, 상기 한 쌍의 결합플레이트 사이에서 상기 한 쌍의 결합플레이트의 하단을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 및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체결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플레이트에는, 상기 텅잭휠의 지지샤프트의 상단부가 결합될 수 있다.The coupling body portion includes a pair of coupling plates directly contact-coupled to both sides of the support frame of the trailer, and the coupling body portion connects lower ends of the pair of coupling plates between the pair of coupling plates. connecting plate to; and a fastening plate extending downward from a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late, and an upper end of a support shaft of the tongue jack wheel may be coupled to the fastening plate.

상기 결합바디부는, 상기 트레일러의 지지프레임의 양 측면에 접촉 결합된 한 쌍의 결합지지블록으로서, 중공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면이 개방된 한 쌍의 결합지지블록; 상기 한 쌍의 결합지지블록 개방된 하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결합지지블록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한 쌍의 승강가이드; 및 상기 한 쌍의 결합지지블록 각각의 폐쇄된 상면 및 상기 한 쌍의 승강가이드 각각의 사이에 배치되고, 탄성 복원력을 갖는 제1 완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바디부는, 상기 한 쌍의 승강가이드의 하면에 결합되고 지면에 평행하게 배치된 연결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승강가이드 및 상기 연결플레이트는, 상기 제1 완충부재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 지지될 수 있다.The coupling body portion is a pair of coupling support blocks contact-coupled to both sides of the support frame of the trailer, formed in a hollow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having an open lower surface; a pair of lift guides each coupled to an open lower portion of the pair of coupling support blocks and movable in a vertical direction within the coupling support blocks; and a first buffer member disposed between a closed upper surface of each of the pair of coupling support blocks and each of the pair of lift guides and hav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wherein the connection body portion comprises: It is composed of a connection plate coupled to a lower surface and disposed parallel to the ground, and the pair of elevating guides and the connection plate may be downwardly supported by the first buffer member.

상기 결합바디부는, 상기 한 쌍의 결합지지블록의 내측 상단부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피에조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피에조블록 각각의 하면에 상기 제1 완충부재의 상단이 접촉 지지되고, 상기 한 쌍의 피에조블록 각각은, 외부로부터 전류를 인가받도록 구성되고, 인가받는 전류 크기에 따라 지면에 수직한 방향 길이가 변화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완충부재는, 상기 피에조블록의 지면에 수직한 방향 길이 변화에 따라 상기 승강가이드를 가압하는 지지력의 크기가 변화될 수 있다.The coupling body part further includes a pair of piezo blocks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inner upper end of the pair of coupling support blocks, and the upper end of the first buffer member is contacted and supported on the lower surface of each of the pair of piezo blocks. , Each of the pair of piezo blocks is configured to receive a current from the outside, and is configured to change a length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applied current, and the first buffer member is on the ground of the piezo block As the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changes, the magnitude of the supporting force for pressing the elevating guide may change.

상기 장착 브라켓은, 상기 트레일러가 연결된 상기 차량의 주행 속도 정보를 취득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취득한 상기 차량의 주행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피에조블록에 인가되는 전류 값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The mounting bracket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acquires driving speed information of the vehicle to which the trailer is connected, and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size of a current value applied to the piezo block based on the acquired driving speed information of the vehicle. can decide

상술한 장착 브라켓, 및 상기 장착 브라켓에 결합된 텅잭휠을 포함하는 텅잭휠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텅잭휠은,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지지샤프트; 및 상기 지지샤프트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지면에 접지 가능한 지지휠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샤프트는, 상기 지지샤프트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동되는 조절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tongue jack wheel assembly including the mounting bracket and the tongue jack wheel coupled to the mounting bracket, the tongue jack wheel includes: a support shaft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a support wheel rotatably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support shaft and capable of contacting the ground, and the support shaft may include an adjustment cylinder driven to adjust the length of the support shaft.

상기 지지샤프트는, 조절실린더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1 수직샤프트; 상기 제1 수직샤프트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2 수직샤프트; 및 상기 제1 수직샤프트 및 상기 제2 수직샤프트를 연결하는 완충샤프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직샤프트의 하단에 상기 지지휠이 결합되고, 상기 완충샤프트부에는, 상기 제1 수직샤프트와 상기 제2 수직샤프트를 상기 지지샤프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탄성 지지하기 위한 제2 완충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The support shaft may include a first vertical shaft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control cylinder; a second vertical shaft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first vertical shaft; And a buffer shaft unit connecting the first vertical shaft and the second vertical shaft, wherein the support wheel is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second vertical shaft, and the buffer shaft unit includes the first vertical shaft and the A second buffer member may be provided to elastically support the second vertical shaf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shaft.

상기 지지샤프트는, 상기 제2 수직샤프트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수평지지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텅잭휠은, 상기 수평지지블록에 마련된 접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지부는,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안착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플레이트는, 하방 이동됨에 따라 지면에 면상 접촉되어 상기 텅잭휠에 접지 마찰을 제공할 수 있다.The support shaft further includes a horizontal support block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a lower end of the second vertical shaft, and the tongue jack wheel further includes a ground portion provided on the horizontal support block, and the ground portion is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 seating plate is configured to be movable in one direction, and the seating plate makes surface contact with the ground as it moves downward to provide ground friction to the tongue jack wheel.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에 연결되어 이송되는 트레일러의 텅잭휠 장착 브라켓, 및 상기 장착 브라켓에 결합된 텅잭휠을 포함하는 텅잭휠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장착 브라켓은, 트레일러의 지지프레임에 직접 결합되는 결합바디부; 및 상기 결합바디부의 하부에 마련되고, 텅잭휠을 상기 결합바디부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바디부의 하부에 상기 텅잭휠의 지지샤프트의 상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텅잭휠은,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상기 지지샤프트; 및 상기 지지샤프트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지면에 접지 가능한 지지휠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샤프트는, 상기 지지샤프트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동되는 조절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샤프트는, 조절실린더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1 수직샤프트; 상기 제1 수직샤프트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2 수직샤프트; 및 상기 제1 수직샤프트 및 상기 제2 수직샤프트를 연결하는 완충샤프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직샤프트의 하단에 상기 지지휠이 결합되고, 상기 완충샤프트부에는, 상기 제1 수직샤프트와 상기 제2 수직샤프트를 상기 지지샤프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탄성 지지하기 위한 제2 완충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샤프트는, 상기 제2 수직샤프트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수평지지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텅잭휠은, 상기 수평지지블록에 마련된 접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지부는,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안착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플레이트는, 하방 이동됨에 따라 지면에 면상 접촉되어 상기 텅잭휠에 접지 마찰을 제공하는 것인, 텅잭휠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a tongue jack wheel assembly including a tongue jack wheel mounting bracket of a trailer connected to a vehicle and transported, and a tongue jack wheel coupled to the mounting bracket, the mounting bracket is attached to a support frame of the trailer Coupling body portion that is directly coupled; and a connection body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oupling body portion and configured to connect the tongue jack wheel to the coupling body portion, wherein an upper end portion of a support shaft of the tongue jack wheel is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on body portion, and the tongue jack wheel, The support shaft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a support wheel rotatably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support shaft and capable of contacting the ground, wherein the support shaft includes an adjustment cylinder driven to adjust the length of the support shaft, wherein the support shaft includes an adjustment cylinder A first vertical shaft coupled to the lower end of; a second vertical shaft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first vertical shaft; And a buffer shaft unit connecting the first vertical shaft and the second vertical shaft, wherein the support wheel is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second vertical shaft, and the buffer shaft unit includes the first vertical shaft and the A second buffer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a second vertical shaf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shaft is provided, and the support shaft further includes a horizontal support block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a lower end of the second vertical shaft, , The tongue jack wheel further includes a grounding portion provided on the horizontal support block, the grounding portion includes a seating plate configured to be movab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the seating plate is flat on the ground as it moves downwar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ongue jack wheel assembly, which is brought into contact to provide ground friction to the tongue jack wheel.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에 연결되어 이송되는 트레일러의 텅잭휠 장착 브라켓, 및 상기 장착 브라켓에 결합된 텅잭휠을 포함하는 텅잭휠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장착 브라켓은, 트레일러의 지지프레임에 직접 결합되는 결합바디부; 및 상기 결합바디부의 하부에 마련되고, 텅잭휠을 상기 결합바디부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텅잭휠은,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지지샤프트; 및 상기 지지샤프트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지면에 접지 가능한 지지휠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바디부의 하부에 상기 텅잭휠의 지지샤프트의 상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결합바디부는, 상기 한 쌍의 결합지지블록의 내측 상단부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피에조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피에조블록 각각의 하면에 상기 제1 완충부재의 상단이 접촉 지지되고, 상기 한 쌍의 피에조블록 각각은, 외부로부터 전류를 인가받도록 구성되고, 인가받는 전류 크기에 따라 지면에 수직한 방향 길이가 변화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완충부재는, 상기 피에조블록의 지면에 수직한 방향 길이 변화에 따라 상기 승강가이드를 가압하는 지지력의 크기가 변화되고, 상기 장착 브라켓은, 상기 트레일러가 연결된 상기 차량의 주행 속도 정보를 취득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취득한 상기 차량의 주행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피에조블록에 인가되는 전류 값의 크기를 결정하는 것인, 텅잭휠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a tongue jack wheel assembly including a tongue jack wheel mounting bracket of a trailer connected to a vehicle and transported, and a tongue jack wheel coupled to the mounting bracket, the mounting bracket is attached to a support frame of the trailer Coupling body portion that is directly coupled; and a connection body provided below the coupling body and connecting the tongue jack wheel to the coupling body, wherein the tongue jack wheel includes a support shaft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a support wheel rotatably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support shaft and capable of contacting the ground, an upper end of the support shaft of the tongue jack wheel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on body, and the coupling body unit, It further includes a pair of piezo blocks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inner upper end of the support block, the upper end of the first buffer member is contacted and supported on the lower surface of each of the pair of piezo blocks, and each of the pair of piezo blocks, It is configured to receive current from the outside, and is configured to change the length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applied current, and the first buffer member is configured to change the length of the piezo block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The magnitude of the supporting force pressing the is changed, and the mounting bracket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obtains driving speed information of the vehicle to which the trailer is connected, and the control unit, based on the acquired driving speed information of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ongue jack wheel assembly, which determines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value applied to the piezo block.

상기 조절실린더는, 구동실린더, 및 상기 구동실린더로부터 인출되거나 상기 구동실린더 내로 인입되는 인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실린더는 상기 연결바디부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The control cylinder may include a drive cylinder and a drawing member drawn out from the drive cylinder or drawn into the drive cylinder, and the drive cylinder may be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on body.

상기 제1 수직샤프트는, 상단부에 마련된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제1 샤프트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면이 개방되도록 중공 형성되고, 원통형의 결합삽입구를 구비할 수 있다. The first vertical shaft includes a coupling portion provided at an upper end, and a first shaft body extending downward from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coupling portion may be hollow so that an upper surface thereof is open and may have a cylindrical coupling insertion hole. .

상기 제1 샤프트바디는 지면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기 결정된 길이를 갖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 수직샤프트의 상단부 외경이 수평 방향으로 확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결합삽입구의 직경은 상기 인출부재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인출부재의 하단부는 상기 결합삽입구 내에 삽입 위치될 수 있다.The first shaft body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the coupling part is formed by extending the outer diameter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vertical shaf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diameter of the coupling insert Is formed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withdrawing member, the lower end of the withdrawing member may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insertion hole.

상기 완충샤프트부는 상기 제1 샤프트바디 및 상기 제2 샤프트바디의 외경보다 큰 외경 크기를 갖는 연결커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커버부는 중공 형성되고, 상기 연결커버부의 내부에는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는 원통형의 제2 가이드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The shock absorber shaft further includes a connection cover having a larger outer diameter than the outer diameters of the first shaft body and the second shaft body, the connection cover is hollow, and the inside of the connection cover i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 cylindrical second guide spac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may be formed.

상기 제1 샤프트바디의 하단부는 상기 연결커버부의 상단부로 삽입되고, 상기 제2 샤프트바디의 상단부는 상기 연결커버부의 하단부로 삽입되고, 상기 제1 수직샤프트 및 상기 제2 수직샤프트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연결커버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lower end of the first shaft body is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cover par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haft body is inserted into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cover part, and the first vertical shaft and the second vertical shaft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can move relatively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cover part.

상기 제1 수직샤프트는, 상기 제2 완충부재의 상단에 접촉 지지되고 상기 제2 완충부재를 통해 상기 제2 수직샤프트가 상방 이동되어 전달되는 가압 하중을 검출하는 하중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vertical shaft may further include a load detection unit that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an upper end of the second buffer member and detects a applied load transmitted as the second vertical shaft moves upward through the second buffer member.

상기 하중검출부는 상기 제1 샤프트바디의 하단에 마련될 수 있고, 상기 하중검출부의 하면은 상기 제1 샤프트바디의 하면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하중검출부는 상기 제2 샤프트바디의 상면을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load detection unit may be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first shaft body, a lower surface of the load detection unit forms a par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haft body, and the load detection unit is disposed to face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haft body. It can be.

상기 하중검출부에서 검출된 가압 하중 크기는 상기 제어부로 전달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중검출부에서 검출된 하중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피에조블록으로의 전류 인가여부 및/또는 상기 피에조블록에 인가되는 전류 값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The magnitude of the applied load detected by the load detection unit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or not to apply current to the piezo block and/or the current value applied to the piezo block based on the magnitude of the load detected by the load detection unit. size can be determined.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관성브레이크의 장착 없이도 텅잭휠을 트레일러의 지지프레임에 직접 결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tongue jack wheel can be directly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of the trailer without installing an inertia brake.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트레일러를 연결한 차량의 주행 동안 지지휠을 통해 전달된 충격량이 완충되는바, 장착 브라켓의 내구성이 보다 향상되고 텅잭휠과 지지프레임 사이의 연결 부위가 파손되는 안전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amount of impact transmitted through the support wheel during driving of the vehicle connected to the trailer is buffered, so that the durability of the mounting bracket is further improved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tongue jack wheel and the support frame is damaged. safety issues can be avoided.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차량의 주행 속도 및 텅잭휠을 통해 전달된 충격 하중의 크기에 연계하여 장착 브라켓에서의 완충 세기가 조절되는바, 주행 환경에 따라 완충 성능이 최적화되어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buffer strength of the mounting bracket is adjusted in association with the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and the magnitude of the impact load transmitted through the tongue jack wheel, so that the buffer performance is optimized and applied according to the driving environment. can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장착 브라켓에 구비된 완충부재의 내구성 및 내부식성이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durability and corrosion resistance of the buffer member provided in the mounting bracket may be improved.

실시예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된, 첨부 도면은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다양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텅잭휠 장착 브라켓을 구비한 트레일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의 텅잭휠 장착 브라켓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텅쟁휠 장착 브라켓의 종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텅잭휠 장착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텅쟁휠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텅잭휠 어셈블리의 장착 브라켓의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장착 브라켓의 작동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4에 도시된 텅잭휠 어셈블리의 지지샤프트 일부의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4에 도시된 텅잭휠 어셈블리의 접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접지부의 분해사시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접지부의 작동 예시를 나타낸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ncluded as part of the detailed description to aid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the accompanying drawings provide various embodiments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describe technical features of the various embodiments.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railer having a tongue jack wheel mounting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ongue jack wheel mounting bracket of a trai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3 is a view showing a longitudinal cross-section of the Tungjaeng wheel mounting bracket shown in FIG.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ongue jack wheel mounting bracket and a tongue jack wheel assembly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ongitudinal section of a mounting bracket of the tongue jack wheel assembly shown in FIG. 4;
Figure 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mounting bracket shown in Figure 5
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ongitudinal section of a part of the support shaft of the tongue jack wheel assembly shown in FIG. 4;
8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ground portion of the tongue jack wheel assembly shown in FIG. 4;
Figure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grounding unit shown in Figure 8;
10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grounding unit shown in FIG. 8;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ollowing examples are presented to sufficient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without being limited to only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In the drawings, in order to clarify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ion of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may be omitted, and the size of components may be slightly exaggerated to aid understanding.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preferred example of the disclosed invention, and there may be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replace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in this specification at the time of filing of the present application.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or numerals presented in each drawing in this specification indicate parts or components that perform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 The shapes and siz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used to describe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and/or limit the disclosed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used herei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and the terms are one It is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a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and/or”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recited items or any one of a plurality of related recited items.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 "상단", "하단", "상부", "하부"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terms "upper", "lower", "upper", "lower", etc. used below are defined based on the drawings, and the shape and location of each component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 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 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is specification does not describe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and general content or overlapping content between the embodiment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omitted.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장치'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 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장치'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장치'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term 'unit, module, device' used in the specification may be implemented as software or hardware, and according to embodiments, a plurality of 'units, modules, devices'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component, or a single 'unit,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module,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components.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of being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of being indirectly connected, and indirect connection includes being connected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do.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when a certain component is said to "include",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aforementioned terms.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Expressions in the singular number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In each step, the identification code is us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explain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from the specified order unless a specific order is clearly described in context. there is.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텅잭휠 장착 브라켓(1)을 구비한 트레일러(2)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2)의 텅잭휠 장착 브라켓(1)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텅쟁휠 장착 브라켓(1)의 종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trailer 2 having a tongue jack wheel mounting bracke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FIG. 2 is a tongue jack wheel of a trailer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a schematic view of the mounting bracket 1, and FIG. 3 is a view showing a longitudinal section of the Tungjaeng wheel mounting bracket 1 shown in FI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텅잭휠 장착 브라켓(1)은, 차량(3)과 트레일러(2)의 연결을 위한 트레일러(2)의 지지프레임(21)에 직접 결합되는 결합바디부(11), 및 결합바디부(11)의 하부에 마련되고 텅잭휠을 결합바디부(11)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바디부(13)를 포함할 수 있다.1 to 3, the tongue jack wheel mounting bracke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ttached to the support frame 21 of the trailer 2 for connecting the vehicle 3 and the trailer 2. It may include a coupling body portion 11 that is directly coupled, and a connection body portion 13 provided below the coupling body portion 11 and connecting the tongue jack wheel to the coupling body portion 11.

연결바디부(13)의 하부에 텅잭휠의 지지샤프트의 상단부가 결합될 수 있다. 결합바디부(11)는, 트레일러(2)의 지지프레임(21)의 양 측면에 직접 접촉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플레이트(1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21)은 중공의 사각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고, 결합플레이트(12)는 평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결합플레이트(12)는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An upper end of the support shaft of the tongue jack wheel may be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on body 13 . The coupling body portion 11 may include a pair of coupling plates 12 that are directly contact-coupled to both sides of the support frame 21 of the trailer 2 . The support frame 21 may be formed in a hollow rectangular frame, and the coupling plate 12 may be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A pair of coupling plates 12 may be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연결바디부(13)는, 한 쌍의 결합플레이트(12) 사이에서 한 쌍의 결합플레이트(12)의 하단을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14), 및 연결플레이트(14)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체결플레이트(15)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플레이트(14)는 평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지면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체결플레이트(15)는 평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연결플레이트(14)의 중심부에서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connecting body portion 13 is formed by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late 14 connecting the lower end of the pair of coupling plates 12 between the pair of coupling plates 12, and the coupling plate 14. A fastening plate 15 may be included. The connection plate 14 may be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and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ground. The fastening plate 15 may be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and may be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t the center of the connecting plate 14 .

체결플레이트(15)에는, 텅잭휠의 지지샤프트의 상단부가 결합될 수 있다.An upper end of the support shaft of the tongue jack wheel may be coupled to the fastening plate 15 .

한 쌍의 결합플레이트(12) 각각에는 결합플레이트(12)와 지지프레임(21) 상호간의 결합을 위한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제1 체결홀(12a)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체결플레이트(15)에는 체결플레이트(15)와 텅잭휠의 지지샤프트 상호간의 결합을 위한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제2 체결홈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1 체결홀(12a)은 각각의 결합플레이트(12)에서 복수 개로 구비되어 수평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고, 제2 체결홀(15a)은 체결플레이트(15)에서 복수 개로 구비되어 수평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A first coupling hole 12a into which a coupling member for coupling the coupling plate 12 and the support frame 21 to each other is inserted may be formed through each of the pair of coupling plates 12 . A second fastening groove into which a fastening member for coupling between the fastening plate 15 and the support shaft of the tongue jack wheel is inserted may be formed through the fastening plate 15 . The first fastening holes 12a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in each coupling plate 12 and spaced apa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s 15a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in the fastening plate 15 and move horizontally. may be spaced apart.

결합플레이트(12) 및 연결플레이트(14) 중 적어도 하나는, 3mm 내지 5mm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약 4mm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coupling plate 12 and the connection plate 14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thickness of 3 mm to 5 mm, and may be more preferably formed to have a thickness of about 4 mm.

도 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텅잭휠 장착 브라켓(10) 및 이를 포함하는 텅쟁휠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텅잭휠 어셈블리(1000)의 장착 브라켓(10)의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장착 브라켓(10)의 작동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ongue jack wheel mounting bracket 10 and a tongue jack wheel assembly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FIG. 5 is a mounting bracket of the tongue jack wheel assembly 1000 shown in FIG. 4 ( 10) schematically showing the longitudinal section, and FIG. 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mounting bracket 10 shown in FIG.

도 6의 (a)는 결합바디부(100)의 피에조블록(140)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의 (b)는 결합바디부(100)의 피에조블록(140)에 전류가 인가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6(a)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current is not applied to the piezo block 140 of the coupling body 100, and FIG. 6(b) shows the piezo block 140 of the coupling body 100 It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in which current is applied to.

도 4,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텅잭휠 장착 브라켓(10)은, 차량(3)과 트레일러(2)의 연결을 위한 트레일러(2)의 지지프레임(21)에 직접 결합되는 결합바디부(100), 및 결합바디부(100)의 하부에 마련되고 텅잭휠(300)을 결합바디부(100)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바디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바디부(200)의 하부에 텅잭휠(300)의 지지샤프트(310)의 상단부가 결합될 수 있다. 4, 5 and 6, the tongue jack wheel mounting bracket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 support frame of the trailer 2 for connecting the vehicle 3 and the trailer 2 ( 21), and a coupling body portion 200 provided below the coupling body portion 100 and connecting the tongue jack wheel 300 to the coupling body portion 100. can An upper end of the support shaft 310 of the tongue jack wheel 300 may be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on body 200 .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텅잭휠 장착 브라켓(10)을 포함하는 텅잭휠 어셈블리(1000)는, 장착 브라켓(10)에 결합된 텅잭휠(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ongue jack wheel assembly 1000 including the tongue jack wheel mounting bracket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further include a tongue jack wheel 300 coupled to the mounting bracket 10.

텅잭휠(300)은,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지지샤프트(310), 및 지지샤프트(310)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지면에 접지 가능한 지지휠(32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휠(320)은 차량(3)의 주행 시 트레일러(2)의 전방을 지면에 대해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트레일러(2)의 전방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tongue jack wheel 300 may include a support shaft 310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a support wheel 320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shaft 310 and capable of contacting the ground. can The support wheel 320 may be configured to support the front of the trailer 2 on the ground while the vehicle 3 is running, and prevent the front of the trailer 2 from tilting.

지지샤프트(310)는, 지지샤프트(310)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동되는 조절실린더(311)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질린더에 의해 지지샤프트(310)의 길이가 조절됨에 따라 지지휠(320)의 지면으로부터의 이격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The support shaft 310 may include an adjustment cylinder 311 driven to adjust the length of the support shaft 310 . As the length of the support shaft 310 is adjusted by the control lever, the height of the support wheel 320 separated from the ground may be adjusted.

결합바디부(100)는, 한 쌍의 결합지지블록(110), 한 쌍의 승강가이드(120), 한 쌍의 제1 완충부재(130), 및 한 쌍의 피에조블록(1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upling body portion 100 may include a pair of coupling support blocks 110, a pair of lift guides 120, a pair of first buffer members 130, and a pair of piezo blocks 140. can

한 쌍의 결합지지블록(110)은, 트레일러(2)의 지지프레임(21)의 양 측면에 접촉 결합될 수 있고, 각각이 하면이 개방된 중공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지지블록(110)이 중공 형성됨에 따라, 각각의 결합지지블록(110) 내에는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제1 가이드공간(110a)이 마련될 수 있다.The pair of coupling support blocks 110 may be contact-coupled to both sides of the support frame 21 of the trailer 2, and each may be formed in a hollow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with lower surfaces open. As the coupling support block 110 is hollow, a first guide space 110a may be provided in each coupling support block 11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한 쌍의 승강가이드(120)는 한 쌍의 결합지지블록(110)의 개방된 하부에 각각 결합될 수 있고, 결합지지블록(110)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승강가이드(120)는 제1 가이드공간(110a)을 따라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다.The pair of elevating guides 120 may be coupled to open lower portions of the pair of coupling support blocks 110, respectively, and may be provided to move vertically within the coupling support block 110. Preferably, each elevating guide 120 may be eleva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long the first guide space 110a.

한 쌍의 제1 완충부재(130) 각각은, 한 쌍의 결합지지블록(110) 각각의 폐쇄된 상면 및 한 쌍의 승강가이드(120) 각각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탄성 복원력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완충부재(130)는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압축될 수 있고, 반대로 신장되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Each of the pair of first shock absorbing members 13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closed upper surface of each of the pair of coupling support blocks 110 and between each of the pair of lift guides 120, and are configured to have elastic restoring force. It can be. That is, the first buffer member 130 may be compres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may provide elastic restoring force in an oppositely extended direction.

연결바디부(200)는, 한 쌍의 승강가이드(120)의 하면에 결합되고 지면에 평행하게 배치된 연결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연결바디부(200)는 한 쌍의 승강가이드(120)가 제1 가이드공간(110a)을 따라 승강됨에 따라 일체로 상하 이동될 수 있다.The connection body part 200 may be composed of a connection plat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air of elevating guides 120 and disposed parallel to the ground. That is, the connection body 200 may move up and down integrally as the pair of lift guides 120 move up and down along the first guide space 110a.

한편, 한 쌍의 승강가이드(120) 및 연결플레이트는, 제1 완충부재(130)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노면의 변화나 트레일러(2)의 전방이 하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에 의해 지지휠(320)이 지면과 접촉되어 간섭에 의해 상방 이동되는 경우, 승강가이드(120) 및 연결플레이트는 제1 완충부재(130)를 압축하며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고, 제1 완충부재(130)가 압축되며 지지휠(320)로부터 전달되는 지면 접촉에 의한 충격이 완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air of elevating guides 120 and the connection plate may be supported downwardly by the first shock absorbing member 130 . Therefore, when the support wheel 32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and moves upward due to interference due to a change in the road surface or a downward tilt of the front of the trailer 2, the elevating guide 120 and the connection plate are the first shock absorbing member It can move upward while compressing the 130, the first shock absorbing member 130 is compressed, and the impact caused by contact with the ground transmitted from the support wheel 320 can be cushioned.

결합지지블록(110)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지지프레임(21)은 중공의 사각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upling support block 11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the support frame 21 may be formed in a hollow rectangular frame.

각각의 결합지지블록(110)은, 트레일러(2)의 지지프레임(21)의 양 측면에 각각 직접 접촉 결합되는 결합플레이트(111)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플레이트(111)는 결합지지블록(110)의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된 4개 측벽 중 지지프레임(21)에 접하는 측벽에 위치될 수 있다. 결합플레이트(111)는 평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결합플레이트(111)는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Each coupling support block 110 may include coupling plates 111 that are directly contact-coupled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support frame 21 of the trailer 2, respectively. Coupling plate 111 may be located on a sidewall in contact with the support frame 21 among four sidewalls vertically disposed on the ground of the coupling support block 110 . The coupling plate 111 may be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A pair of coupling plates 111 may be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지지프레임(21) 및 결합플레이트(111)는 복수 개의 제1 체결부재(4)에 의해 결합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제1 체결부재(4)는 지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체결부재(4)는 리벳 또는 볼트일 수 있다.The support frame 21 and the coupling plate 111 may be coupled by a plurality of first fastening members 4, and the plurality of first fastening members 4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ground. there is. The first fastening member 4 may be a rivet or bolt.

각각의 결합지지블록(110)에서, 결합지지블록(110)의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된 4개 측벽 중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의 내측면에는 함몰되어 형성된 제1 가이드홈(110b)이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가이드홈(110b)은 결합지지블록(110)의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된 4개 측벽 모두의 내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결합지지블록(110)의 횡단면에 있어서, 제1 가이드홈(110b)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each coupling support block 110, a first guide groove 110b formed by being recessed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a pair of sidewalls facing each other among four sidewalls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of the coupling support block 110 It can be. Preferably, the first guide groove 110b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all four side walls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of the coupling support block 110 . In the cross section of the coupling support block 110, the first guide groove 110b may be formed in a square shape.

제1 가이드홈(110b)은 지면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가이드홈(110b)의 하단은 폐쇄될 수 있다. 즉, 결합지지블록(110)의 횡단면에 있어서, 4개 측벽의 제1 가이드홈(110b)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 영역의 면적은 결합지지블록(110)의 개방된 하면의 면적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guide groove 110b may extend along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Meanwhile, the lower end of the first guide groove 110b may be closed. That is, in the cross section of the coupling support block 110, the area of the square area formed by the first guide grooves 110b on the four side walls may be wider than the area of the open lower surface of the coupling support block 110. there is.

또한, 한 쌍의 승강가이드(120) 각각의 상단에는 수평 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제1 돌출부재(121)가 마련될 수 있다. 승강가이드(120)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돌출부재(121)는 승강가이드(120)의 상단부의 가로 및 세로 폭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돌출부재(121)는 결합지지블록(110)의 제1 가이드홈(110b)에 삽입되어 위치될 수 있고, 제1 가이드홈(110b)을 따라 상하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first protruding member 121 protruding outward in a horizontal direction may b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each of the pair of elevating guides 120 . The elevation guide 120 may be formed in a hexahedral shape, and the first protruding member 121 may be formed by horizontally and vertically extending horizontal and vertical widths of an upper end of the elevation guide 120 . The first protruding member 121 may be position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first guide groove 110b of the coupling support block 110, and may be configured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first guide groove 110b.

즉, 승강가이드(120)가 승강되는 경우, 제1 돌출부재(121)는 제1 가이드홈(110b) 내에서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하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제1 가이드홈(110b)의 하단은 폐쇄된바, 승강가이드(120)는 제1 돌출부재(121)와 제1 가이드홈(110b)의 폐쇄된 하면 상호간의 간섭에 의해 결합지지블록(11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That is, when the elevation guide 120 is elevated, the first protruding member 121 may move up and dow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within the first guide groove 110b. On the other hand, since the lower end of the first guide groove 110b is closed, the elevating guide 120 is a coupling support block ( 110) may not be separated.

상술한 한 쌍의 피에조블록(140) 각각은, 한 쌍의 결합지지블록(110)의 내측 상단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피에조블록(140)은 결합지지블록(110)의 폐쇄된 상면 아래에 배치될 수 있고, 피에조블록(140)의 상면은 결합지지블록(110)의 폐쇄된 상면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피에조블록(140) 각각의 하면에 제1 완충부재(130)의 상단이 접촉 지지될 수 있다.Each of the pair of piezoblocks 140 described above may be disposed at an inner upper end of the pair of coupling support blocks 110, respectively. Preferably, each piezo block 140 may be disposed under the closed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support block 11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iezo block 140 may be supported on the closed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support block 110. . 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buffer member 130 may be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each of the pair of piezoblocks 140 .

한 쌍의 피에조블록(140) 각각은, 외부로부터 전류를 인가받도록 구성되고, 인가받는 전류 크기에 따라 지면에 수직한 방향 길이가 변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피에조블록(140)은 다수의 피에조소자가 결합지지블록(110)의 길이 방향(즉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Each of the pair of piezoblocks 140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current from the outside, and may be configured to have a length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depending on the magnitude of the applied current. The piezo block 140 may be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piezo element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upling support block 110 (that i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바람직하게, 피에조블록(140)에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 인가되는 전류 값의 크기에 따라 피에조블로의 지면에 수직한 방향 체적 또는 부피가 변화될 수 있다. 반대로, 피에조블록(140)으로의 전류 인가가 해제되는 경우, 피에조블록(140)의 부피 또는 체적은 다시 감소될 수 있다. 제1 완충부재(130)는, 피에조블록(140)의 지면에 수직한 방향 길이 변화에 따라 승강가이드(120)를 가압하는 완충 지지력의 크기가 변화될 수 있다.Preferably, when a current is applied to the piezoblock 140, the volume or volume of the piezoblock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applied current. Conversely, when the current application to the piezo block 140 is released, the volume or volume of the piezo block 140 may be reduced again. In the first buffer member 130, the magnitude of the buffering force for pressing the elevating guide 120 may change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length of the piezo block 140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장착 브라켓(10)은, 트레일러(2)가 연결된 차량(3)의 주행 속도 정보를 취득하는 제어부(미도시 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트레일러(2)가 연결된 차량(3) 내에 마련된 차량 시스템 제어부(미도시 됨)에 데이터를 송수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차량 시스템 제어부로부터 차량(3)의 주행 속도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The mounting bracket 10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not shown) that acquires driving speed information of the vehicle 3 to which the trailer 2 is connected. The control unit may be connected to a vehicle system controller (not shown) provided in the vehicle 3 to which the trailer 2 is connected to transmit/receive data, and may obtain driving speed information of the vehicle 3 from the vehicle system controller.

또한, 장착 브라켓(10)의 제어부는 취득한 차량(3)의 주행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피에조블록(140)으로의 전류 인가여부 및/또는 피에조블록(140)에 인가되는 전류 값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차량 시스템 제어부란, 차량(3) 내에 구비되어 차량 연료 정보, 차량 속도 정보, 및 차량 상태 정보 등을 검출하고 산출하기 위한 차량 통합 제어부일 수 있고, 또는 VSM(Vehicle Stability Management)시스템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of the mounting bracket 10 determines whether or not to apply current to the piezo block 140 and/or the size of the current value applied to the piezo block 140 based on the acquired driving speed information of the vehicle 3. can The vehicle system control unit may be a vehicle integrated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vehicle 3 to detect and calculate vehicle fuel information, vehicle speed information, and vehicle condition information, or may be a Vehicle Stability Management (VSM) system.

지지샤프트(310)는, 지지샤프트(310)의 하단부에 마련되고 지면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수평프레임(3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shaft 310 may further include a horizontal frame 315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support shaft 310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ground.

수평프레임(315)은, 지지샤프트(310)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 일측으로 연장된 휠프레임(3151), 및 지지샤프트(310)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 타측으로 연장된 수평지지블록(3152)을 포함할 수 있다. 휠프레임(3151)은 서로 대향하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고, 한 쌍의 휠프레임(3151) 사이에는 지지휠(32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horizontal frame 315 includes a wheel frame 3151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shaft 310 to one si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horizontal support block 3152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shaft 310 to the other si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an do. The wheel frames 3151 may be configured as a pair facing each other, and a support wheel 320 may be rotatably coupled between the pair of wheel frames 3151 .

도 7은 도 4에 도시된 텅잭휠 어셈블리(1000)의 지지샤프트(310) 일부의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 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ongitudinal section of a part of the support shaft 310 of the tongue jack wheel assembly 1000 shown in FIG. 4 .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지지샤프트(310)는, 조절실린더(311)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1 수직샤프트(312), 제1 수직샤프트(312)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2 수직샤프트(314), 및 제1 수직샤프트(312)와 제2 수직샤프트(314)를 연결하는 완충샤프트부(3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수직샤프트(314)의 하단에 수평프레임(315)이 결합될 수 있다.4 and 7, the support shaft 310 includes a first vertical shaft 312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adjusting cylinder 311 and a second vertical shaft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vertical shaft 312. 314, and a buffer shaft unit 313 connecting the first vertical shaft 312 and the second vertical shaft 314 may be further included. A horizontal frame 315 may b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vertical shaft 314 .

제1 수직샤프트(312)는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제2 수직샤프트(314)는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수직샤프트(312)는 제2 수직샤프트(314)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고, 제1 수직샤프트(312)와 제2 수직샤프트(314)는 완충샤프트부(313)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vertical shaft 312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the second vertical shaft 314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The first vertical shaft 312 may be located above the second vertical shaft 314, and the first vertical shaft 312 and the second vertical shaft 314 may be interconnected through a buffer shaft unit 313. there is.

조절실린더(311)는 구동실린더(311a) 및 인출부재(311b)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실린더(311a)는 연결바디부(20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구동실린더(311a)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The control cylinder 311 may include a driving cylinder 311a and a drawing member 311b. The drive cylinder 311a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on body 200 . The drive cylinder 311a may be configured as a hydraulic cylinder.

인출부재(311b)는 제1 수직샤프트(3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인출부재(311b)는, 구동실린더(311a)의 작동에 의해 구동실린더(311a)의 하부로부터 하측으로 인출되거나 구동실린더(311a)의 하부로 인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출부재(311b)의 하단은 제1 수직샤프트(312)의 상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The withdrawing member 311b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vertical shaft 312 . The withdrawing member 311b may be drawn downward from the lower part of the driving cylinder 311a or drawn into the lower part of the driving cylinder 311a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cylinder 311a. The lower end of the withdrawing member 311b may b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vertical shaft 312 .

제1 수직샤프트(312)는, 상단부에 마련된 결합부(3121), 및 결합부(312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제1 샤프트바디(3122)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3121)는 상면이 개방되도록 중공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원통형의 결합삽입구(3121a)를 구비할 수 있다. The first vertical shaft 312 may include a coupling portion 3121 provided at an upper end, and a first shaft body 3122 extending downward from the coupling portion 3121 . The coupling part 3121 may be hollow so that its upper surface is open, and may have a cylindrical coupling insertion hole 3121a through it.

제1 샤프트바디(3122)는 지면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기 결정된 길이를 갖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결합부(3121)는 제1 수직샤프트(312)의 상단부 외경이 수평 방향으로 확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shaft body 3122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the coupling portion 3121 is formed by extending the outer diameter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vertical shaft 312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t can be.

결합삽입구(3121a)의 직경은 인출부재(311b)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인출부재(311b)의 하단부는 결합삽입구(3121a) 내에 삽입 위치될 수 있다. 인출부재(311b) 및 결합부(3121)는 수평 방향으로 체결되는 제2 체결부재(5)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The diameter of the coupling insertion hole 3121a may be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withdrawal member 311b, and the lower end of the withdrawal member 311b may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insertion hole 3121a. The withdrawing member 311b and the coupling part 3121 may be mutually coupled by the second fastening member 5 faste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제2 수직샤프트(314)는, 제1 샤프트바디(3122)와 동일한 외경 크기를 갖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된 제2 샤프트바디(3141)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vertical shaft 314 may include a second shaft body 3141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o have the same outer diameter as the first shaft body 3122 .

완충샤프트부(313)에는, 제1 수직샤프트(312)와 제2 수직샤프트(314)를 지지샤프트(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탄성 지지하기 위한 제2 완충부재(3132)가 마련될 수 있다.A second buffer member 3132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first vertical shaft 312 and the second vertical shaft 314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shaft 310 may be provided in the buffer shaft unit 313. .

완충샤프트부(313)는 제1 샤프트바디(3122) 및 제2 샤프트바디(3141)의 외경보다 큰 외경 크기를 갖는 연결커버부(31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커버부(3131)는 중공 형성될 수 있고, 내부에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는 원통형의 제2 가이드공간(3131b)이 형성될 수 있다. The buffer shaft part 313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cover part 3131 having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s of the first shaft body 3122 and the second shaft body 3141 . The connection cover part 3131 may be hollow, and a cylindrical second guide space 3131b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may be formed therein.

제2 가이드공간(3131b)의 직경(즉 연결커버부(3131)의 내경)은 제1 샤프트바디(3122) 및 제2 샤프트바디(314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샤프트바디(3122)의 하단부는 연결커버부(3131)의 상단부로 삽입될 수 있고, 제2 샤프트바디(3141)의 상단부는 연결커버부(3131)의 하단부로 삽입될 수 있다. 제1 수직샤프트(312) 및 제2 수직샤프트(314)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결커버부(3131)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diameter of the second guide space 3131b (that is, the inner diameter of the connection cover part 3131) may be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s of the first shaft body 3122 and the second shaft body 3141. The lower end of the first shaft body 3122 may be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on cover part 3131,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haft body 3141 may be inserted into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on cover part 3131. The first vertical shaft 312 and the second vertical shaft 314 may be relatively movable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cover part 313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2 완충부재(3132)는 연결커버부(3131)의 제2 가이드공간(3131b)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지지샤프트(310)의 하면 및 제2 지지샤프트(310)의 상면에 접촉되어 탄성 지지할 수 있다.The second buffer member 3132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guide space 3131b of the connection cover part 3131, and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shaft 31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shaft 310. can be supported elastically.

연결커버부(3131)의 내주면에는 함몰되어 형성된 제2 가이드홈(3131a)이 마련될 수 있다. 연결커버부(3131)의 횡단면에 있어서, 제2 가이드홈(3131a)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A second guide groove 3131a formed by being recessed may be provid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cover part 3131 . In the cross section of the connection cover part 3131, the second guide groove 3131a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제2 가이드홈(3131a)은 지면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가이드홈(3131a)의 상단 및 하단은 폐쇄될 수 있다. 즉, 연결커버부(3131)의 횡단면에 있어서, 제2 가이드홈(3131a)에 의해 형성되는 원형 영역의 면적은 연결커버부(3131)의 개방된 상면 및 하면의 면적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guide groove 3131a may extend along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Meanwhil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econd guide groove 3131a may be closed. That is, in the cross section of the connection cover part 3131, the area of the circular area formed by the second guide groove 3131a may be larger than the open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nnection cover part 3131.

또한, 제1 샤프트바디(3122)의 하단에는 수평 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제1 돌출가이드(3122a)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돌출가이드(3122a)는 원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돌출가이드(3122a)는 제1 샤프트바디(3122)의 하단의 직경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돌출가이드(3122a)는 제2 가이드홈(3131a)에 삽입되어 위치될 수 있고, 제2 가이드홈(3131a)을 따라 상하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first protruding guide 3122a protruding outward in a horizontal direction may be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first shaft body 3122 . The first protruding guide 3122a may be formed in a disk shape, and the first protruding guide 3122a may be formed such that the diameter of the lower end of the first shaft body 3122 extends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first protruding guide 3122a may be position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second guide groove 3131a, and may be configured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second guide groove 3131a.

또한, 제2 샤프트바디(3141)의 상단에는 수평 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제2 돌출가이드(3141a)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돌출가이드(3141a)는 원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돌출가이드(3141a)는 제2 샤프트바디(3141)의 상단의 직경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돌출가이드(3141a)는 제2 가이드홈(3131a)에 삽입되어 위치될 수 있고, 제2 가이드홈(3131a)을 따라 상하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second protruding guide 3141a protruding outward in a horizontal direction may b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second shaft body 3141 . The second protruding guide 3141a may be formed in a disk shape, and the second protruding guide 3141a may be formed by extending the diameter of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haft body 3141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second protruding guide 3141a may be position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second guide groove 3131a, and may be configured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second guide groove 3131a.

제1 돌출가이드(3122a)는 제2 가이드홈(3131a)의 상단부에 위치될 수 있고, 제2 돌출가이드(3141a)는 제2 가이드홈(3131a)의 하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가이드홈(3131a)의 상단 및 하단은 폐쇄된바, 제1 수직샤프트(312)는 제1 돌출가이드(3122a)와 제2 가이드홈(3131a)의 폐쇄된 상면 상호간의 간섭에 의해 연결커버부(3131)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수 있고, 제2 수직샤프트(314)는 제2 돌출가이드(3141a)와 제2 가이드홈(3131a)의 폐쇄된 하면 상호간의 간섭에 의해 연결커버부(3131)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The first protruding guide 3122a may be positioned at an upper end of the second guide groove 3131a, and the second protruding guide 3141a may be positioned at a lower end of the second guide groove 3131a. In addition, since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econd guide groove 3131a are closed, the first vertical shaft 312 is formed by interference between the closed upper surfaces of the first protruding guide 3122a and the second guide groove 3131a. It may not be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cover part 3131, and the second vertical shaft 314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cover part 3131 by interference between the closed surfaces of the second protruding guide 3141a and the second guide groove 3131a. ) may not be separated from

제1 수직샤프트(312)는 제2 완충부재(3132)에 의해 연결커버부(3131)의 상측으로 가압되어 탄성 지지될 수 있고, 제2 수직샤프트(314)는 제2 완충부재(3132)에 의해 연결커버부(3131)의 하측으로 가압되어 탄성 지지될 수 있다.The first vertical shaft 312 may be elastically supported by being pressed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connection cover 3131 by the second buffer member 3132, and the second vertical shaft 314 is attached to the second buffer member 3132. It may be pressed to the lower side of the connection cover part 3131 and elastically supported by it.

제1 수직샤프트(312)는 제2 완충부재(3132)의 상단에 접촉 지지되고 제2 완충부재(3132)를 통해 제2 수직샤프트(314)가 상방 이동되어 전달되는 가압 하중을 검출하는 하중검출부(3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중검출부(3123)는 제1 샤프트바디(3122)의 하단에 마련될 수 있고, 하중검출부(3123)의 하면은 제1 샤프트바디(3122)의 하면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하중검출부(3123)는 제2 샤프트바디(3141)의 상면을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vertical shaft 312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second buffer member 3132, and the second vertical shaft 314 is moved upward through the second buffer member 3132 to detect a applied load transmitted through a load detection unit. (3123) may be further included. The load detection unit 3123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shaft body 3122,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load detection unit 3123 may form a par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haft body 3122. The load detection unit 3123 may be disposed to face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haft body 3141 .

하중검출부(3123)에서 검출된 가압 하중 크기는 장착 브라켓(10)의 제어부로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는 하중검출부(3123)에서 검출된 하중 크기에 기초하여, 피에조블록(140)으로의 전류 인가여부 및/또는 피에조블록(140)에 인가되는 전류 값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The applied load size detected by the load detection unit 3123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of the mounting bracket 10 .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whether to apply current to the piezo block 140 and/or determine the size of the current value applied to the piezo block 140 based on the magnitude of the load detected by the load detection unit 3123 .

바람직하게, 제어부는, 하중검출부(3123)에서 검출된 하중 크기 및 취득한 차량(3)의 주행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피에조블록(140)으로의 전류 인가여부 및/또는 피에조블록(140)에 인가되는 전류 값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or not to apply current to the piezo block 140 and/or applies the current to the piezo block 140 based on the magnitude of the load detected by the load detection unit 3123 and the acquired traveling speed information of the vehicle 3. The size of the current value can be determined.

예를 들어, 차량(3)의 주행 속도가 기 설정된 기준 속도 미만인 경우, 제어부는 피에조블록(140)에 전류를 인가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하중검출부(3123)에서 검출된 가압 하중 크기가 기 설정된 기준 하중 이상인 경우, 제어부는 피에조블록(140)에 전류를 인가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승강가이드(120)에 대한 제1 완충부재(130)의 감쇠력이 상대적으로 소프트하게 적용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traveling speed of the vehicle 3 is less than a preset reference speed, the controller may not apply current to the piezo block 140 . Meanwhile, when the magnitude of the applied load detected by the load detection unit 3123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load, the controller may not apply current to the piezo block 140 . Through this, the damping force of the first buffer member 130 relative to the elevation guide 120 can be applied relatively softly.

또한, 차량(3)의 주행 속도가 기 설정된 기준 속도 이상인 경우, 제어부는 피에조블록(140)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고, 이 때 인가되는 전류 크기는 차량(3)의 주행 속도 크기에 비례할 수 있다. 하중검출부(3123)에서 검출된 가압 하중 크기가 기 설정된 기준 하중 미만인 경우, 제어부는 피에조블록(140)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고, 이 때 인가되는 전류 크기는 검출된 가압 하중의 크기에 반비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승강가이드(120)에 대한 제1 완충부재(130)의 감쇠력이 상대적으로 하드하게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3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reference speed, the control unit may apply current to the piezoblock 140, and the magnitude of the applied current at this time will be proportional to the magnitude of the traveling speed of the vehicle 3. can When the magnitude of the applied load detected by the load detection unit 3123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reference load, the controller may apply a current to the piezo block 140, and the magnitude of the applied current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magnitude of the detected applied load. can Through this, the damping force of the first shock absorbing member 130 with respect to the elevation guide 120 can be applied relatively hard.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3)의 주행 속도 및/또는 지면에서 지지휠(320)을 통해 전달되는 상방 가압 하중의 크기에 따라 제1 완충부재(130)의 감쇠력이 조절되는바, 지지프레임(21)과 장착 브라켓(10) 상호간의 연결 부위 그리고 트레일러(2)에 과도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amping force of the first buffer member 130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3 and / or the magnitude of the upward pressure load transmitted from the ground through the support wheel 320, the support frame ( 21) and the mounting bracket 10, and transmission of excessive vibration to the trailer 2 can be prevented.

한편, 제1 완충부재(130) 및 제2 완충부재(3132) 중 적어도 하나는, 니켈(Ni), 구리(Cu), 탄소(C), 실리콘(Si), 나이오븀(Nb), 붕소(B), 망간(Mn), 알루미늄(Al), 크롬(Cr), 및 바나듐(V)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t least one of the first buffer member 130 and the second buffer member 3132 is nickel (Ni), copper (Cu), carbon (C), silicon (Si), niobium (Nb), boron ( B), manganese (Mn), aluminum (Al), chromium (Cr), and vanadium (V).

바람직하게, 제1 완충부재(130) 및 제2 완충부재(3132) 중 적어도 하나는, 니켈(Ni) 0.3~0.5wt%, 구리(Cu) 0.25~0.35wt%, 탄소(C) 0.5~0.55wt%, 실리콘(Si) 1.4~1.7wt%, 나이오븀(Nb) 0.01~0.04wt%, 붕소(B) 0.0005~0.0025wt%, 망간(Mn) 0.55~0.75wt%, 알루미늄(Al) 0.02~0.06wt%, 크롬(Cr) 0.6~0.8wt%, 바나듐(V) 0.05~0.10wt% 및 잔부의 철(Fe)과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at least one of the first buffer member 130 and the second buffer member 3132 contains 0.3 to 0.5 wt% of nickel (Ni), 0.25 to 0.35 wt% of copper (Cu), and 0.5 to 0.55 wt% of carbon (C). wt%, Silicon (Si) 1.4~1.7wt%, Niobium (Nb) 0.01~0.04wt%, Boron (B) 0.0005~0.0025wt%, Manganese (Mn) 0.55~0.75wt%, Aluminum (Al) 0.02~ It may be formed of a composition containing 0.06wt%, chromium (Cr) 0.6-0.8wt%, vanadium (V) 0.05-0.10wt%, and the balance of iron (Fe) and unavoidable impurities.

더욱 바람직하게, 제1 완충부재(130) 및 제2 완충부재(3132) 중 적어도 하나는, 니켈(Ni) 0.4wt%, 구리(Cu) 0.3wt%, 탄소(C) 0.53wt%, 실리콘(Si) 1.5wt%, 나이오븀(Nb) 0.03wt%, 붕소(B) 0.0015wt%, 망간(Mn) 0.6wt%, 알루미늄(Al) 0.04wt%, 크롬(Cr) 0.7wt%, 바나듐(V) 0.08wt% 및 잔부의 철(Fe)과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at least one of the first buffer member 130 and the second buffer member 3132 includes nickel (Ni) 0.4wt%, copper (Cu) 0.3wt%, carbon (C) 0.53wt%, silicon ( Si) 1.5wt%, Niobium (Nb) 0.03wt%, Boron (B) 0.0015wt%, Manganese (Mn) 0.6wt%, Aluminum (Al) 0.04wt%, Chromium (Cr) 0.7wt%, Vanadium (V ) 0.08wt% and the balance of iron (Fe) and unavoidable impurities.

상술한 제1 완충부재(130) 및 제2 완충부재(3132) 중 적어도 하나는, 인(P) 0.017wt% 이하 및 황(S) 0.01wt% 이하를 더 포함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above-described first buffer member 130 and second buffer member 3132 may further include 0.017 wt% or less of phosphorus (P) and 0.01 wt% or less of sulfur (S).

탄소(C)는 재료의 강도와 경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탄소(C)가 0.5중량% 미만일 경우, 조성물의 강도 등이 급격히 저하될 수 있으며, 탄소(C)가 0.55중량% 초과일 경우, 조성물의 인성 등이 저하될 수 있다. 탄소(C)는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5~0.55wt%인 것이 바람직하다.Carbon (C) can increase the strength and hardness of materials. When the amount of carbon (C) is less than 0.5% by weight, the strength of the composition may decrease rapidly, and when the amount of carbon (C) exceeds 0.55% by weight, the toughness of the composition may decrease. Carbon (C) is preferably 0.5 to 0.55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실리콘(Si)은 조성물의 경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실리콘(Si)이 1.4wt% 미만일 경우, 조성물이 충분한 경도 등을 확보할 수 없으며, 실리콘(Si)이 1.7wt% 초과일 경우, 조성물의 인성 등이 저하될 수 있다. 실리콘(Si)은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1.4~1.7wt%인 것이 바람직하다.Silicon (Si) can increase the hardness of the composition. When silicon (Si) is less than 1.4wt%, the composition cannot secure sufficient hardness, etc., and when silicon (Si) is greater than 1.7wt%, toughness and the like of the composition may be lowered. Silicon (Si) is preferably 1.4 ~ 1.7wt% with respect to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니켈(Ni)은 조성물의 내식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니켈(Ni)이 0.3wt% 미만일 경우, 충분한 내석성 등을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니켈(Ni)이 0.5wt% 초과일 경우, 내식성의 상승보다 제조비용의 상승이 더 크기 때문에 경제성이 저하될 수 있다. 니켈(Ni)은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3~0.5wt%인 것이 바람직하다.Nickel (Ni) can improve the corrosion resistance of the composition. If nickel (Ni) is less than 0.3wt%, it may be difficult to secure sufficient stone resistance, etc., and if nickel (Ni) is more than 0.5wt%, the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is greater than the increase in corrosion resistance, resulting in a decrease in economic feasibility. can Nickel (Ni) is preferably 0.3 to 0.5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나이오븀(Nb)은 결정립을 미세화하여 조성물의 인성 향상 및 부식속도를 지연시킬 수 있다. 나이오븀(Nb)이 0.01wt% 미만일 경우, 충분한 인성 향상 및 부식속도를 지연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나이오븀(Nb)이 0.04wt% 초과일 경우, 얻는 효과에 비해 비용이 증가하여 경제성이 저하될 수 있다. 나이오븀(Nb)은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01~0.04wt%인 것이 바람직하다.Niobium (Nb) can improve the toughness of the composition and delay the corrosion rate by miniaturizing the crystal grains. If niobium (Nb) is less than 0.01wt%, sufficient toughness improvement and corrosion rate retardation effect cannot be obtained, and if niobium (Nb) is more than 0.04wt%, cost increases compared to the effect obtained, resulting in reduced economic efficiency. It can be. Niobium (Nb) is preferably 0.01 to 0.04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구리(Cu)는 조성물의 내식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리(Cu)가 0.25wt% 미만일 경우, 충분한 내식성 등을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구리(Cu)가 0.35wt% 초과일 경우, 적열취성 등이 발생할 수 있다. 구리(Cu)는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25~0.35wt%인 것이 바람직하다.Copper (Cu) may improve corrosion resistance of the composition. If copper (Cu) is less than 0.25wt%, it may be difficult to secure sufficient corrosion resistance, etc., and if copper (Cu) is more than 0.35wt%, red heat brittleness may occur. Copper (Cu) is preferably 0.25 to 0.35 wt% based on the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붕소(B)는 결정립계 강화를 통해 부식 등을 지연시킬 수 있다. 붕소(B)가 0.0005wt% 미만일 경우, 만족할 만한 부식 지연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붕소(B)가 0.0025wt% 초과일 경우, Fe23(CB)6 등의 붕소화합물이 생성되어 붕소(B)의 함량이 줄어들며, 붕소 화합물은 피로 파손의 기점이 되어 조성물의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붕소(B)는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0005~0.0025wt%인 것이 바람직하다.Boron (B) can retard corrosion through grain boundary reinforcement. If boron (B) is less than 0.0005wt%, a satisfactory corrosion retardation effect cannot be obtained, and if boron (B) is more than 0.0025wt%, boron compounds such as Fe 23 (CB) 6 are generated and boron (B) The content of is reduced, and the boron compound becomes the starting point of fatigue failure, and the strength of the composition may be reduced. Boron (B) is preferably 0.0005 to 0.0025 wt% based on the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망간(Mn)은 조성물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망간(Mn)이 0.55wt% 미만일 경우, 조성물의 강도향상 효과가 충분하지 못할 수 있으며, 0.75wt% 초과일 경우, 조성물 내에 편성이 형성되어 강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망간(Mn)은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55~0.75wt%인 것이 바람직하다.Manganese (Mn) can enhance the strength of the composition. If the content of manganese (Mn) is less than 0.55wt%, the effect of improving the strength of the composition may not be sufficient, and if it is more than 0.75wt%, the strength may be lowered due to formation in the composition. Manganese (Mn) is preferably 0.55 to 0.75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크롬(Cr)은 조성물의 내산화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크로뮴(Cr)이 0.6wt% 미만일 경우, 내산화성을 향상시키기 어려울 수 있으며, 0.8중량 % 초과일 경우, 조성물의 취성이 증가할 수 있다. 크롬(Cr)은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6~0.8wt%인 것이 바람직하다.Chromium (Cr) can improve the oxidation resistance of the composition. When the amount of chromium (Cr) is less than 0.6 wt%, it may be difficult to improve oxidation resistance, and when it is greater than 0.8 wt%, the brittleness of the composition may increase. Chromium (Cr) is preferably 0.6 to 0.8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바나듐(V)은 조성물의 인성 및 복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나듐(V)이 0.05wt% 미만일 경우, 조성물의 충분한 인성 및 복원성을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0.10wt% 초과일 경우, 바나듐(V) 탄화물을 생성하여 조성물의 강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바나듐(V)은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05~0.10wt%인 것이 바람직하다.Vanadium (V) can improve the toughness and recovery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If vanadium (V) is less than 0.05wt%, it may be difficult to secure sufficient toughness and resilience of the composition, and if it is more than 0.10wt%, vanadium (V) carbide may be formed to reduce the strength of the composition. Vanadium (V) is preferably 0.05 to 0.10 wt% based on the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알루미늄(Al)은 탈산제로서 첨가될 수 있다. 알루미늄(Al)이 0.02wt% 미만일 경우, 탈산제로서 기능이 약할 수 있으며, 0.06wt% 초과일 경우, 조성물의 강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알루미늄(Al)은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02~0.06wt%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Aluminum (Al) may be added as a deoxidizer. When aluminum (Al) is less than 0.02wt%, the function as a deoxidizer may be weak, and when it is greater than 0.06wt%, the strength of the composition may be reduced. Aluminum (Al) may be preferably 0.02 to 0.06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제1 완충부재(130) 및 제2 완충부재(3132) 중 적어도 하나가 상술한 조성물로 형성됨에 따라 제1 완충부재(130) 및/또는 제2 완충부재(3132)의 강도 및 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모래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완충부재 표면의 스크래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As at least one of the first buffer member 130 and the second buffer member 3132 is formed of the above-described composition, the strength and toughness of the first buffer member 130 and/or the second buffer member 3132 can be improved. can Through this, scratches on the surface of the buffer member caused by sand or the like can be suppressed.

또한, 제1 완충부재(130) 및/또는 제2 완충부재(3132)의 내부식성이 향상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완충부재 표면의 스크래치에 의해 노출되는 완충부재의 부식이 억제될 수 있다.In addition, corrosion resistance of the first buffer member 130 and/or the second buffer member 3132 may be improved, and thus corrosion of the buffer member exposed by scratches on the surface of the buffer member may be suppressed.

도 8은 도 4에 도시된 텅잭휠 어셈블리(1000)의 접지부(33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접지부(330)의 분해사시도이다.FIG. 8 is a schematic view of the grounding part 330 of the tongue jack wheel assembly 1000 shown in FIG. 4 , and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grounding part 330 shown in FIG. 8 .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텅잭휠(300)은, 수평지지블록(3152)에 마련된 접지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지부(330)는,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안착플레이트(333)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플레이트(333)는, 하방 이동됨에 따라 지면에 면상 접촉되어 텅잭휠(300)에 접지 마찰을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8 and 9 , the tongue jack wheel 300 may further include a grounding portion 330 provided on the horizontal support block 3152 . The grounding unit 330 may include a seating plate 333 configured to be movab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s the seating plate 333 moves downward, it may come into surface contact with the ground to provide ground friction to the tongue jack wheel 300 .

접지부(330)는,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세장형으로 형성된 수직막대(331), 및 지면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세장형으로 형성된 수평막대(3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안착플레이트(333)는 수직막대(331)의 하단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고, 안착플레이트(333)와 수직막대(331)는 동반하여 상하 이동될 수 있다.The grounding unit 330 may further include a vertical bar 331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formed in an elongated shape, and a horizontal bar 332 disposed parallel to the ground and formed in an elongated shape. The seating plate 333 may be integral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bar 331, and the seating plate 333 and the vertical bar 331 may move up and down together.

또한, 수평지지블록(3152)에는, 수직막대(331)가 삽입 위치되는 수직막대(331) 삽입홈(3152a), 및 수평막대(332)가 삽입 위치되는 수평막대(332) 삽입홈(3152b)이 마련될 수 있다. 수직막대(331) 삽입홈(3152a)은 수평지지블록(3152)을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하여 마련될 수 있고, 수평막대(332) 삽입홈(3152b)은 수평지지블록(3152)을 지지휠(320)의 회전축와 평행한 방향으로 관통하여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support block 3152 has a vertical bar 331 insertion groove 3152a into which the vertical bar 331 is inserted, and a horizontal bar 332 insertion groove 3152b into which the horizontal bar 332 is inserted. this can be provided. The vertical rod 331 insertion groove 3152a may be provided through the horizontal support block 3152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the horizontal rod 332 insertion groove 3152b supports the horizontal support block 3152. It may be provided through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axis of rotation of the wheel 320 .

수직막대(331) 및 수평막대(332)는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수평막대(332)에는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막대관통구(3327)가 마련될 수 있고, 수직막대(331)는 막대관통구(3327) 내에 삽입되어 위치될 수 있다. 즉, 수직막대(331)는 수평막대(332)를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The vertical bar 331 and the horizontal bar 332 may be arranged to be orthogonal to each other. The horizontal bar 332 may be provided with a bar through-hole 3327 penetrat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the vertical bar 331 may be inserted into the bar through-hole 3327 and positioned. That is, the vertical bar 331 may be disposed through the horizontal bar 332 .

막대관통구(3327)는 수평막대(33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장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수평막대(332)는 막대관통구(3327)에 삽입된 수직막대(331)에 대하여 수평막대(33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수평 이동될 수 있다.The bar through-hole 3327 may be formed in a long hole structure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bar 332 . That is, the horizontal rod 332 may be relatively horizontally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rod 332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rod 331 inserted into the rod through-hole 3327.

수직막대(331)의 상단에는 걸림지지블록(3311)이 형성될 수 있다. 지면에 평행한 평면에 있어서, 걸림지지블록(3311)은 수직막대(331)의 단면적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걸림지지블록(3311)의 하면 및 수평지지블록(3152)의 상면 사이에는 제1 탄성부재(3313)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3313)는, 수평지지블록(3152)으로부터 걸림지지블록(3311)을 상방으로 가압 지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안착플레이트(333)는 수평지지블록(3152) 측으로 상방 이동되어 위치될 수 있다.A locking support block 3311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bar 331 . In a plane parallel to the ground, the holding block 3311 may be formed to have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vertical bar 331 . A first elastic member 3313 may be dispos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locking support block 331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support block 3152 . The first elastic member 3313 may provide elastic force so as to press and support the locking support block 3311 upward from the horizontal support block 3152 . Through this, the seating plate 333 may be moved upward toward the horizontal support block 3152 and positioned.

수직막대(331)의 하단에는, 안착플레이트(333)와 결합되기 위해 마련된 결합돌기(3314)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3314)는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안착플레이트(333)의 중심부에는 결합돌기(3314)와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rod 331, a coupling protrusion 3314 provided to be coupled with the seating plate 333 may be formed. The coupling protrusion 3314 may be formed in a spiral shape, and a coupling groove having a shape complementary to the coupling protrusion 3314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eating plate 333 .

수평막대(332)의 길이 방향 일단에는 한 쌍의 제1 연결축(3322)이 돌출 연장될 수 있고, 한 쌍의 제1 연결축(3322)의 말단에는 제1 걸림플레이트(3321)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걸림플레이트(3321)는 평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수평지지블록(3152)의 지면에 수직한 측면을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A pair of first connecting shafts 3322 may protrude and extend at one end of the horizontal bar 33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first engaging plate 3321 is integrally formed at an end of the pair of first connecting shafts 3322. can be combined The first locking plate 3321 may be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and may be disposed so that a side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of the horizontal support block 3152 faces each other.

또한, 수평막대(332)의 길이 방향 타단에는 한 쌍의 제2 연결축(3324)이 돌출 연장될 수 있고, 한 쌍의 제2 연결축(3324)의 말단에는 제2 걸림플레이트(3323)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제2 걸림플레이트(3323)는 평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수평지지블록(3152)의 지면에 수직한 측면을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걸림플레이트(3321)와 제2 걸림플레이트(3323)는 상호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pair of second connecting shafts 3324 may protrude and extend at the other end of the horizontal bar 33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cond locking plate 3323 may be provided at an end of the pair of second connecting shafts 3324. can be combined integrally. The second locking plate 3323 may be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and may be disposed so that the side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of the horizontal support block 3152 faces. The first locking plate 3321 and the second locking plate 3323 may be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또한, 각각의 제2 연결축(3324) 상에는 탄성 복원력을 갖는 제2 탄성부재(3325)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탄성부재(3325)는 일단에서 수평지지블록(3152)의 지면에 수직한 외측면에 접촉 지지될 수 있고, 타단에서 제2 걸림플레이트(3323)의 내측면에 접촉 지지될 수 있다. 즉, 제2 탄성부재(3325)는, 수평지지블록(3152)으로부터 제2 걸림플레이트(3323)를 외측으로 가압 지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 second elastic member 3325 hav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may be disposed on each second connecting shaft 3324 . The second elastic member 3325 may be supported in contact with an outer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of the horizontal support block 3152 at one end, and may be supported in contact with an inner surface of the second locking plate 3323 at the other end. That is, the second elastic member 3325 may provide an elastic force so as to press and support the second locking plate 3323 outward from the horizontal support block 3152 .

제2 탄성부재(3325)에 의해 수평막대(332)가 길이 방향 일측으로 가압 지지되는 경우, 수평막대(332)의 타단에 위치된 제2 걸림플레이트(3323)는 수평지지블록(3152)의 외측면으로 가압되어 접촉 지지될 수 있다.When the horizontal bar 332 is pressed and supported in one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second elastic member 3325, the second locking plate 3323 located at the other end of the horizontal bar 332 is outside the horizontal support block 3152. It can be pressed to the side and supported in contact.

한편, 각각의 제1 연결축(3322)과 제1 걸림플레이트(3321)는 볼트부재(3326)에 의해 체결될 수 있고, 각각의 제2 연결축(3324)과 제2 걸림플레이트(3323)는 볼트부재(3326)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each of the first connecting shaft 3322 and the first engaging plate 3321 may be fastened by a bolt member 3326, and each of the second connecting shaft 3324 and the second engaging plate 3323 are It may be fastened by a bolt member 3326.

수직막대(331)의 상부 외주면에는 함입되어 형성된 걸림홈(3312)이 마련될 수 있다. 걸림홈(3312)에는 수평막대(332)의 관통구의 내주면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접촉 지지될 수 있다. 수평막대(332)의 관통구 내주면이 걸림홈(3312)에 삽입 지지되는 경우, 수직막대(331)의 상하 이동은 수평막대(332)와의 간섭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An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ertical rod 331 may be provided with a locking groove 3312 formed by being recessed. At least a part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of the horizontal bar 332 may be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3312 and supported in contact therewith. Wh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of the horizontal bar 332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3312,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vertical bar 331 may be limited by interference with the horizontal bar 332.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접지부(330)의 작동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의 (a)는 안착플레이트(333)가 상측으로 이동된 상태로 위치된 모습(이하, 접지 해제 위치)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의 (b)는 안착플레이트(333)가 하측으로 이동되어 고정된 모습(이하, 접지 고정 위치)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10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operation of the grounding unit 330 shown in FIG. 8 . 10(a)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ating plate 333 is positioned in a state of being moved upwar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ground release position), and FIG. 10(b) shows the seating plate 333 moving downward. It is a drawing showing a fixed stat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ground fixing position).

도 10의 (a)를 참조하면, 접지 해제 위치에서, 수직막대(331)는 걸림지지블록(3311)이 제1 탄성부재(3313)에 의해 상방으로 가압됨에 따라 수평지지블록(3152)으로부터 상측으로 이동되어 위치될 수 있고, 안착플레이트(333) 또한 수직막대(331)와 동시에 상측으로 이동되어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이 때, 수평막대(332)의 관통구 내주면은 수직막대(331)의 외주면 중 걸림홈(3312) 하측의 외주면에 접촉 위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a) of FIG. 10, in the ground release position, the vertical rod 331 moves upward from the horizontal support block 3152 as the locking support block 3311 is pressed upward by the first elastic member 3313. It may be moved and positioned, and the seating plate 333 may also be moved upward at the same time as the vertical bar 331 and positioned away from the ground. At this tim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of the horizontal bar 332 may be positioned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side of the locking groove 3312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ertical bar 331 .

사용자가 제2 탄성부재(3325)가 압축되도록 제2 걸림플레이트(3323)를 눌러 수평지지블록(3152) 측으로 가압하고, 동시에 제1 탄성부재(3313)가 압축되도록 걸림지지블록(3311)을 눌러 하측으로 가압하는 경우, 수직막대(331) 및 안착플레이트(333)는 하방 이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접지부(330)는 접지 해제 위치에서 접지 고정 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The user presses the second locking plate 3323 to compress the second elastic member 3325 and presses it toward the horizontal support block 3152, and at the same time presses the locking support block 3311 to compress the first elastic member 3313 When pressing downward, the vertical bar 331 and the seating plate 333 may be moved downward. Through this, the ground unit 330 may be switched from a ground release position to a ground fixed position.

도 10의 (b)를 참조하면, 접지 고정 위치에서, 수직막대(331)의 걸림홈(3312) 내에는 수평막대(332)의 관통홈의 내주면 일측이 삽입되어 위치될 수 있다. 이 때, 걸림홈(3312) 내에 삽입된 수평막대(332)는 제2 탄성부재(3325)에 의해 수평 방향 일측으로 가압 지지될 수 있고, 걸림홈(3312)에 접촉된 관통구의 내주면을 통해 수직막대(331)를 수평 방향 일측으로 가압 지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b) of FIG. 10 , in the ground fixing position, one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hole of the horizontal rod 332 may be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3312 of the vertical rod 331 and positioned. At this time, the horizontal rod 332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3312 may be supported by a second elastic member 3325 to one si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vertically throug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hole in contact with the locking groove 3312. The bar 331 may be supported by pressing one si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즉, 수직막대(331)의 걸림홈(3312)에 수평막대(332)가 삽입된 상태에서 수직막대(331)가 수평막대(332)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가압 지지되는바, 수직막대(331)와 수평막대(332) 상호간은 지면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접촉 간섭될 수 있고, 수직막대(331)의 상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horizontal bar 332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3312 of the vertical bar 331, the vertical bar 331 is pressed and suppor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the horizontal bar 332, the vertical bar 331 and the horizontal bar 332 may be contacted and interfered with each other along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vertical movement of the vertical bar 331 may be restricted.

접지 고정 위치에서 하방 이동되어 위치된 안착플레이트(333)는 지면에 접지될 수 있고, 지면과 안착플레이트(333) 상호간의 접지 마찰력에 의해 지면 상에서 지지휠(320)이 흔들리거나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seat plate 333 moved downward from the ground fixing position can be grounded to the ground, and the support wheel 320 can be prevented from shaking or moving on the ground due to the contact friction force between the ground and the seat plate 333. can

한편, 안착플레이트(333)의 하면에는 복수의 접지돌출부(333a)가 마련될 수 있다. 접지돌출부(333a)는 안착플레이트(333)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고, 안착플레이트(333)가 지면에 접지될 때 안착플레이트(333)와 지면 사이에 향상된 접지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Meanwhile, a plurality of ground protrusions 333a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plate 333 . The ground protrusion 333a may protrude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plate 333 and provide improved ground friction between the seating plate 333 and the ground when the seating plate 333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there is.

이를 통해, 바닥면과 안착플레이트(333) 사이의 미끄러짐이 방지될 수 있고, 트레일러(2) 전방의 지지휠(320) 부분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Through this, slipping between the bottom surface and the seating plate 333 can be prevented, and the position of the support wheel 320 in front of the trailer 2 can be stably fixed.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개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Although the present disclosure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representative embodiments in the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disclosure pertain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disclosure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fined, and should be defined by not onl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ut also those equivalent to these claims.

1000: 텅잭휠 어셈블리
1, 10: 장착 브라켓
11: 결합바디부
12: 결합플레이트
12a: 제1 체결홀
13: 연결바디부
14: 연결플레이트
15: 체결플레이트
15a: 제2 체결홀
100: 결합바디부
110: 결합지지블록
110a: 제1 가이드공간
110b: 제1 가이드홈
111: 결합플레이트
120: 승강가이드
121: 제1 돌출부재
130: 제1 완충부재
140: 피에조블록
200: 연결바디부
300: 텅잭휠
310: 지지샤프트
311: 조절실린더
311a: 구동실린더
311b: 인출부재
312: 제1 수직샤프트
3121: 결합부
3121a: 결합삽입구
3122: 제1 샤프트바디
3122a: 제1 돌출가이드
3123: 하중검출부
313: 완충샤프트부
3131: 연결커버부
3131a: 제2 가이드홈
3131b: 제2 가이드공간
3132: 제2 완충부재
314: 제2 수직샤프트
3141: 제2 샤프트바디
3141a: 제2 돌출가이드
315: 수평프레임
3151: 휠프레임
3152: 수평지지블록
3152a: 수직막대 삽입홈
3152b: 수평막대 삽입홈
320: 지지휠
330: 접지부
331: 수직막대
3311: 걸림지지블록
3312: 걸림홈
3313: 제1 탄성부재
3314: 결합돌기
332: 수평막대
3321: 제1 걸림플레이트
3322: 제1 연결축
3323: 제2 걸림플레이트
3324: 제2 연결축
3325: 제2 탄성부재
3326: 볼트부재
3327: 막대관통구
333: 안착플레이트
333a: 접지돌출부
2: 트레일러
21: 지지프레임
3: 차량
4: 제1 체결부재
5: 제2 체결부재
1000: tongue jack wheel assembly
1, 10: mounting bracket
11: coupling body
12: coupling plate
12a: first fastening hole
13: connection body
14: connection plate
15: fastening plate
15a: second fastening hole
100: coupling body
110: coupling support block
110a: first guide space
110b: first guide groove
111: coupling plate
120: lifting guide
121: first protruding member
130: first buffer member
140: piezo block
200: connection body
300: tongue jack wheel
310: support shaft
311: adjusting cylinder
311a: drive cylinder
311b: withdrawal member
312: first vertical shaft
3121: joint
3121a: coupling insert
3122: first shaft body
3122a: first protrusion guide
3123: load detection unit
313: buffer shaft unit
3131: connection cover
3131a: second guide groove
3131b: second guide space
3132: second buffer member
314: second vertical shaft
3141: second shaft body
3141a: second protruding guide
315: horizontal frame
3151: wheel frame
3152: horizontal support block
3152a: vertical rod insertion groove
3152b: horizontal rod insertion groove
320: support wheel
330: ground
331: vertical bar
3311: jamming support block
3312: catch groove
3313: first elastic member
3314: coupling protrusion
332: horizontal bar
3321: first locking plate
3322: first connecting shaft
3323: second holding plate
3324: second connecting shaft
3325: second elastic member
3326: bolt member
3327: bar through hole
333: seating plate
333a: ground protrusion
2: trailer
21: support frame
3: vehicle
4: first fastening member
5: second fastening member

Claims (10)

차량에 연결되어 이송되는 트레일러의 텅잭휠 장착 브라켓에 있어서,
차량과 트레일러의 연결을 위한 트레일러의 지지프레임에 직접 결합되는 결합바디부; 및
상기 결합바디부의 하부에 마련되고, 텅잭휠을 상기 결합바디부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바디부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바디부의 하부에 상기 텅잭휠의 지지샤프트의 상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결합바디부는,
상기 트레일러의 지지프레임의 양 측면에 접촉 결합된 한 쌍의 결합지지블록으로서, 중공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면이 개방된 한 쌍의 결합지지블록;
상기 한 쌍의 결합지지블록 개방된 하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결합지지블록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한 쌍의 승강가이드; 및
상기 한 쌍의 결합지지블록 각각의 폐쇄된 상면 및 상기 한 쌍의 승강가이드 각각의 사이에 배치되고, 탄성 복원력을 갖는 제1 완충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바디부는, 상기 한 쌍의 승강가이드의 하면에 결합되고 지면에 평행하게 배치된 연결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승강가이드 및 상기 연결플레이트는, 상기 제1 완충부재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 지지되는 것인, 트레일러의 텅잭휠 장착 브라켓.
In the tongue jack wheel mounting bracket of the trailer connected to the vehicle and transported,
Coupling body portion directly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of the trailer for connection between the vehicle and the trailer; and
A connection body portion provided below the coupling body portion and for connecting a tongue jack wheel to the coupling body portion
including,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shaft of the tongue jack wheel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connection body,
The coupling body part,
A pair of coupling support blocks contact-coupled to both sides of the support frame of the trailer, formed in a hollow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having an open lower surface;
a pair of lift guides each coupled to an open lower portion of the pair of coupling support blocks and movable in a vertical direction within the coupling support block; and
A first buffer member disposed between the closed upper surface of each of the pair of coupling support blocks and each of the pair of lifting guides and hav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including,
The connection body portion is composed of a connection plat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air of lifting guides and disposed parallel to the ground,
The pair of elevating guides and the connecting plate are supported downwardly by the first buffer member, wherein the tongue jack wheel mounting bracket of the trail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바디부는, 상기 한 쌍의 결합지지블록의 내측 상단부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피에조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피에조블록 각각의 하면에 상기 제1 완충부재의 상단이 접촉 지지되고,
상기 한 쌍의 피에조블록 각각은, 외부로부터 전류를 인가받도록 구성되고, 인가받는 전류 크기에 따라 지면에 수직한 방향 길이가 변화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완충부재는, 상기 피에조블록의 지면에 수직한 방향 길이 변화에 따라 상기 승강가이드를 가압하는 지지력의 크기가 변화되는 것인, 장착 브라켓.
The method of claim 1,
The coupling body part further includes a pair of piezo blocks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inner upper ends of the pair of coupling support blocks,
The upper end of the first buffer member is contacted and supported on the lower surface of each of the pair of piezo blocks,
Each of the pair of piezoblocks is configured to receive current from the outside, and is configured to change in length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applied current,
The mounting bracket of the first buffer member, wherein the magnitude of the supporting force for pressing the lifting guide changes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length of the piezo block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장착 브라켓은, 상기 트레일러가 연결된 상기 차량의 주행 속도 정보를 취득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취득한 상기 차량의 주행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피에조블록에 인가되는 전류 값의 크기를 결정하는 것인, 장착 브라켓.
The method of claim 4,
The mounting bracket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obtains driving speed information of the vehicle to which the trailer is connected,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a magnitude of a current value applied to the piezo block based on the acquired driving speed information of the vehicle.
청구항 5에 기재된 장착 브라켓, 및 상기 장착 브라켓에 결합된 텅잭휠을 포함하는 텅잭휠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텅잭휠은,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지지샤프트; 및
상기 지지샤프트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지면에 접지 가능한 지지휠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샤프트는, 상기 지지샤프트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동되는 조절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인, 텅잭휠 어셈블리.
In the tongue jack wheel assembly comprising the mounting bracket according to claim 5 and a tongue jack wheel coupled to the mounting bracket,
The tongue jack wheel,
a support shaft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A support wheel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shaft and groundable to the ground
including,
The tongue jack wheel assembly, wherein the support shaft includes an adjustment cylinder driven to adjust the length of the support shaft.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지지샤프트는,
조절실린더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1 수직샤프트;
상기 제1 수직샤프트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2 수직샤프트; 및
상기 제1 수직샤프트 및 상기 제2 수직샤프트를 연결하는 완충샤프트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직샤프트의 하단에 상기 지지휠이 결합되고,
상기 완충샤프트부에는, 상기 제1 수직샤프트와 상기 제2 수직샤프트를 상기 지지샤프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탄성 지지하기 위한 제2 완충부재가 마련되는 것인, 텅잭휠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6,
The support shaft is
A first vertical shaft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control cylinder;
a second vertical shaft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first vertical shaft; and
Buffer shaft unit connecting the first vertical shaft and the second vertical shaft
Including more,
The support wheel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vertical shaft,
The tongue jack wheel assembly, wherein the buffer shaft unit is provided with a second buffer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first vertical shaft and the second vertical shaf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shaft.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지지샤프트는, 상기 제2 수직샤프트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수평지지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텅잭휠은, 상기 수평지지블록에 마련된 접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지부는,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안착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플레이트는, 하방 이동됨에 따라 지면에 면상 접촉되어 상기 텅잭휠에 접지 마찰을 제공하는 것인, 텅잭휠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7,
The support shaft further includes a horizontal support block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lower end of the second vertical shaft,
The tongue jack wheel further includes a grounding portion provided on the horizontal support block,
The grounding part includes a seating plate configured to be movab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The tongue jack wheel assembly, wherein the seating plate makes surface contact with the ground as it moves downward to provide ground friction to the tongue jack wheel.
차량에 연결되어 이송되는 트레일러의 텅잭휠 장착 브라켓, 및 상기 장착 브라켓에 결합된 텅잭휠을 포함하는 텅잭휠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장착 브라켓은,
트레일러의 지지프레임에 직접 결합되는 결합바디부; 및
상기 결합바디부의 하부에 마련되고, 텅잭휠을 상기 결합바디부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바디부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바디부의 하부에 상기 텅잭휠의 지지샤프트의 상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텅잭휠은,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상기 지지샤프트; 및
상기 지지샤프트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지면에 접지 가능한 지지휠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샤프트는, 상기 지지샤프트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동되는 조절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샤프트는,
조절실린더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1 수직샤프트;
상기 제1 수직샤프트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2 수직샤프트; 및
상기 제1 수직샤프트 및 상기 제2 수직샤프트를 연결하는 완충샤프트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직샤프트의 하단에 상기 지지휠이 결합되고,
상기 완충샤프트부에는, 상기 제1 수직샤프트와 상기 제2 수직샤프트를 상기 지지샤프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탄성 지지하기 위한 제2 완충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샤프트는, 상기 제2 수직샤프트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수평지지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텅잭휠은, 상기 수평지지블록에 마련된 접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지부는,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안착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플레이트는, 하방 이동됨에 따라 지면에 면상 접촉되어 상기 텅잭휠에 접지 마찰을 제공하는 것인, 텅잭휠 어셈블리.
In the tongue jack wheel assembly including a tongue jack wheel mounting bracket of a trailer connected to a vehicle and transported, and a tongue jack wheel coupled to the mounting bracket,
The mounting bracket is
Coupling body portion that is directly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of the trailer; and
A connection body portion provided below the coupling body portion and for connecting a tongue jack wheel to the coupling body portion
including,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shaft of the tongue jack wheel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connection body,
The tongue jack wheel,
The support shaft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A support wheel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shaft and groundable to the ground
including,
The support shaft includes an adjustment cylinder driven to adjust the length of the support shaft,
The support shaft is
A first vertical shaft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control cylinder;
a second vertical shaft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first vertical shaft; and
Buffer shaft unit connecting the first vertical shaft and the second vertical shaft
Including more,
The support wheel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vertical shaft,
The buffer shaft unit is provided with a second buffer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first vertical shaft and the second vertical shaf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shaft,
The support shaft further includes a horizontal support block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lower end of the second vertical shaft,
The tongue jack wheel further includes a grounding portion provided on the horizontal support block,
The grounding part includes a seating plate configured to be movab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The tongue jack wheel assembly, wherein the seating plate makes surface contact with the ground as it moves downward to provide ground friction to the tongue jack wheel.
차량에 연결되어 이송되는 트레일러의 텅잭휠 장착 브라켓, 및 상기 장착 브라켓에 결합된 텅잭휠을 포함하는 텅잭휠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장착 브라켓은,
트레일러의 지지프레임에 직접 결합되는 결합바디부; 및
상기 결합바디부의 하부에 마련되고, 텅잭휠을 상기 결합바디부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바디부
를 포함하고,
상기 텅잭휠은,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지지샤프트; 및
상기 지지샤프트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지면에 접지 가능한 지지휠
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바디부는,
상기 트레일러의 지지프레임의 양 측면에 접촉 결합된 한 쌍의 결합지지블록으로서, 중공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면이 개방된 한 쌍의 결합지지블록;
상기 한 쌍의 결합지지블록 개방된 하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결합지지블록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한 쌍의 승강가이드; 및
상기 한 쌍의 결합지지블록 각각의 폐쇄된 상면 및 상기 한 쌍의 승강가이드 각각의 사이에 배치되고, 탄성 복원력을 갖는 제1 완충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바디부의 하부에 상기 텅잭휠의 지지샤프트의 상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결합바디부는, 상기 한 쌍의 결합지지블록의 내측 상단부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피에조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피에조블록 각각의 하면에 상기 제1 완충부재의 상단이 접촉 지지되고,
상기 한 쌍의 피에조블록 각각은, 외부로부터 전류를 인가받도록 구성되고, 인가받는 전류 크기에 따라 지면에 수직한 방향 길이가 변화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완충부재는, 상기 피에조블록의 지면에 수직한 방향 길이 변화에 따라 상기 승강가이드를 가압하는 지지력의 크기가 변화되고,
상기 장착 브라켓은, 상기 트레일러가 연결된 상기 차량의 주행 속도 정보를 취득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취득한 상기 차량의 주행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피에조블록에 인가되는 전류 값의 크기를 결정하는 것인, 텅잭휠 어셈블리.
In the tongue jack wheel assembly including a tongue jack wheel mounting bracket of a trailer connected to a vehicle and transported, and a tongue jack wheel coupled to the mounting bracket,
The mounting bracket is
Coupling body portion that is directly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of the trailer; and
A connection body portion provided below the coupling body portion and for connecting a tongue jack wheel to the coupling body portion
including,
The tongue jack wheel,
a support shaft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A support wheel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shaft and groundable to the ground
including,
The coupling body part,
A pair of coupling support blocks contact-coupled to both sides of the support frame of the trailer, formed in a hollow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having an open lower surface;
a pair of lift guides each coupled to an open lower portion of the pair of coupling support blocks and movable in a vertical direction within the coupling support block; and
A first buffer member disposed between the closed upper surface of each of the pair of coupling support blocks and each of the pair of lifting guides and hav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including,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shaft of the tongue jack wheel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connection body,
The coupling body part further includes a pair of piezo blocks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inner upper ends of the pair of coupling support blocks,
The upper end of the first buffer member is contacted and supported on the lower surface of each of the pair of piezo blocks,
Each of the pair of piezoblocks is configured to receive current from the outside, and is configured to change in length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applied current,
In the first buffer member, the magnitude of the supporting force for pressing the elevating guide changes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length of the piezo block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The mounting bracket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obtains driving speed information of the vehicle to which the trailer is connected,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value applied to the piezo block based on the acquired driving speed information of the vehicle.
KR1020220103360A 2022-08-16 2022-08-18 Mounting bracket for tongue jack wheel of trailer and tongue jack wheel assembly including the same KR1025309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6521A KR20230067585A (en) 2022-08-16 2023-04-28 Mounting bracket for tongue jack wheel of trailer and tongue jack wheel assembly including the same
KR1020230056537A KR20230067586A (en) 2022-08-16 2023-04-28 Mounting bracket for tongue jack wheel of trailer and tongue jack wheel assembly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2075 2022-08-16
KR20220102075 2022-08-16
KR20220102422 2022-08-17
KR1020220102422 2022-08-17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6521A Division KR20230067585A (en) 2022-08-16 2023-04-28 Mounting bracket for tongue jack wheel of trailer and tongue jack wheel assembly including the same
KR1020230056537A Division KR20230067586A (en) 2022-08-16 2023-04-28 Mounting bracket for tongue jack wheel of trailer and tongue jack wheel assembly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0947B1 true KR102530947B1 (en) 2023-05-11

Family

ID=8637903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3360A KR102530947B1 (en) 2022-08-16 2022-08-18 Mounting bracket for tongue jack wheel of trailer and tongue jack wheel assembly including the same
KR1020230056537A KR20230067586A (en) 2022-08-16 2023-04-28 Mounting bracket for tongue jack wheel of trailer and tongue jack wheel assembly including the same
KR1020230056521A KR20230067585A (en) 2022-08-16 2023-04-28 Mounting bracket for tongue jack wheel of trailer and tongue jack wheel assembly including the same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6537A KR20230067586A (en) 2022-08-16 2023-04-28 Mounting bracket for tongue jack wheel of trailer and tongue jack wheel assembly including the same
KR1020230056521A KR20230067585A (en) 2022-08-16 2023-04-28 Mounting bracket for tongue jack wheel of trailer and tongue jack wheel assembly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530947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91050B1 (en) * 2003-11-19 2006-01-31 Sanford Dana L Drive mechanism for trailer
KR100974555B1 (en) 2008-10-13 2010-08-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for mounting subsidiary mat for a vehicle
KR101855871B1 (en) * 2016-11-11 2018-05-09 전준석 Trailers for boat easy to loading and unload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91050B1 (en) * 2003-11-19 2006-01-31 Sanford Dana L Drive mechanism for trailer
KR100974555B1 (en) 2008-10-13 2010-08-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for mounting subsidiary mat for a vehicle
KR101855871B1 (en) * 2016-11-11 2018-05-09 전준석 Trailers for boat easy to loading and unloa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7585A (en) 2023-05-16
KR20230067586A (en) 2023-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94581B2 (en) Spread active clamp group for vehicle leaf spring
CA1212135A (en) Leaf spring lift axle suspension system
EP1282787B1 (en) Suspension strut with damping
US20090174167A1 (en) Suspension Assemblies Having Resilient Member And Vehicles Including Same
MXPA05012265A (en) Lightweight, low part-count, suspension system for wheeled vehicles.
EP1727764B1 (en) Balancing apparatus for elevator
CA2729332C (en) Pad for leaf spring
US20040055108A1 (en) Industrial caster wheel with elastomeric spring/damper member and adjustment member
JP2008001356A (en) Shock absorber
KR102530947B1 (en) Mounting bracket for tongue jack wheel of trailer and tongue jack wheel assembly including the same
CN103386869B (en) For the suspension vibration-proof structure of engineering truck
KR102275467B1 (en) Vehicle cab suspension
EP3668731B1 (en) Multi-functional suspension bushing
KR20210063735A (en) Silencer for leaf spring of vehicle
KR100726508B1 (en) Leaf spring structure
KR101724479B1 (en) Vehicle for leaf spring
CN210337455U (en) Forklift and axle
US11124037B2 (en) Vehicle overload suspension system
CN213501706U (en) Semitrailer double-axle suspension
KR100991331B1 (en) Lift cylinder assembly of truck
KR102212501B1 (en) Bearings for plate spring suspensions of vehicles
KR200311935Y1 (en) A front suspention system of a car
CN213831264U (en) Double-front-axle suspension system, crane chassis and automobile crane
JP5112801B2 (en) Work vehicle
CN113829871B (en) Frequency-adjustable shock-absorbing lightweight fuel tank brac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