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0933B1 - Connector - Google Patents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0933B1
KR102530933B1 KR1020170168387A KR20170168387A KR102530933B1 KR 102530933 B1 KR102530933 B1 KR 102530933B1 KR 1020170168387 A KR1020170168387 A KR 1020170168387A KR 20170168387 A KR20170168387 A KR 20170168387A KR 102530933 B1 KR102530933 B1 KR 102530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isposed
lower housing
fixing memb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83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68214A (en
Inventor
이철훈
전성원
김재형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케이유엠 유한책임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케이유엠 유한책임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8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0933B1/en
Publication of KR20190068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82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0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09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01R13/6463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using twisted pairs of wir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상부 하우징; 상기 상부 하우징 하부에 배치되며 터미널 수용부를 갖는 하부 하우징; 케이블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터미널 수용부에 배치된 터미널; 및 상기 하부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위치 및 제2 위치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위치에서 배치되는 경우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을 서로 상하 방향으로 이격시키고, 상기 제2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의 이격 간격이 제거되면서 상기 터미널 수용부에 삽입된 터미널에 걸림턱을 제공하여 상기 터미널이 상기 터미널 수용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터미널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커넥터가 개시된다.upper housing; a lower housing disposed below the upper housing and having a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a terminal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able and disposed in the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And slidably coupled to the lower housing and selectively disposed at first and second positions, and when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second position A connector including a terminal fixing member preventing the terminal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by providing a locking jaw to the terminal inserted into the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while removing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when disposed in the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is initiated.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Connector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추가 구성품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서로 꼬인 관계의 복수의 전선으로 구성되는 트위스트 케이블의 꼬임 구조를 유지하고 오픈 아이(open-eye)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조립성이 우수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maintain a twisted structure of a twisted cable composed of a plurality of wires in a twisted relationship without using additional components and to prevent open-eye occurrence. It relates to a connector that can be assembled and has excellent assembly properties.

차량 등에 구비되는 전기 부품은 신호, 접지, 전원 등을 인가하고 주고 받기 위해 커넥터 구조를 적용하고 있다. 통상, 커넥터 제작 시 커넥터의 하우징과 전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터미널을 결합하는 공정에서는, 작업자가 전선의 단부를 잡고 터미널을 하우징 내로 삽입하여 고정하는 방식으로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Electrical components provided in vehicles and the like apply a connector structure to apply and receive signals, grounds, power, and the like. In general, in a process of coupling a connector housing and a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a wire when manufacturing a connector, a worker holds an end of a wire and inserts and fixes the terminal into the housing.

한편, 신호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복수의 전선들을 서로 꼬인 관계로 구현한 트위스트 케이블이 이더넷 통신 등에 적용되고 있다. 트위스트 케이블은 서로 꼬인 관계의 전선들에 각각 전달되는 전류의 흐름이 발생하는 자기장을 상호 상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전자기적 잡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할 때, 트위스트 케이블은 복수의 전선 간 꼬임 구조를 유지하는 것이 전기적 성능에 매우 유리하다.Meanwhile, in order to eliminate signal noise, a twisted cable in which a plurality of wires are twisted with each other is used for Ethernet communication. The twisted cable can reduce electromagnetic noise because the magnetic fields generated by the flow of current respectively transmitted to the wires in a twisted relationship can be mutually canceled. Considering this point, it is very advantageous for the electrical performance of the twisted cable to maintain a twisted structure between a plurality of wires.

그런데, 트위스트 케이블에 커넥터 구조를 적용함에 있어서, 종래의 커넥터 제작 방식과 같이 전선의 단부를 집어 커넥터 하우징에 밀어 넣는 방식을 적용하게 되면, 전선의 단부는 서로 꼬인 구조를 제거하여 일정 길이 이상의 서로 평행한 구조로 배치되어야 한다. 특히, 밀어 넣는 힘 등에 의해 전선 간 서로 대응되는 영역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볼록하게 전선의 형상이 변경되는 오픈아이(open-eye)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By the way, in applying the connector structure to the twisted cable, if the method of pinching the end of the wire and pushing it into the connector housing as in the conventional connector manufacturing method is applied, the end of the wire is parallel to each other over a certain length by removing the twisted structure. They must be placed in a single structure. In particular, an open-eye phenomenon in which the shapes of wires are changed convexly in opposite directions in reg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by a pushing force or the like may occur.

이와 같이, 종래의 커넥터 구조나 제작 방식에 의하면, 트위스트 케이블 전선의 꼬임 구조가 파괴되는 구간이 발생하거나 전선의 오픈아이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신호의 왜곡 등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저전류 및 저전압의 특성을 가지는 신호전달 목적의 이더넷 커넥터는, 꼬임 파괴나 오픈아이 현상에 의해 신호 왜곡 뿐만 아니라 신호 왜곡으로 인한 디지털 기기의 이상 출력이 발생할 수 있으며, 자동차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여러 제어기(control unit)의 신호 오류로 인한 주행 중 장비의 이상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In this way,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connector structure or manufacturing method, a section in which the twisted structure of the twisted cable wire is destroyed or an open eye phenomenon of the wire may occur, thereby causing a problem such as signal distortion. In particular, Ethernet connectors for signal transmission with low current and low voltage characteristics can cause not only signal distortion due to twist breakage or open eye phenomenon, but also abnormal output of digital devices due to signal distortion. Anomalies in the equipment may occur during driving due to signal errors in several control units.

종래에는 트위스트 케이블의 꼬임 구조를 유지하기 위해 추가적인 고정 구조물이나 재킷형 트위스트 케이블 등을 사용하거나, 자동화 설비 등을 마련하여 조립 중 꼬임 구조가 해제되는 구간을 최소화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해결 방안들은 모두 추가적인 구성 요소들이나 추가적인 조립 설비 등이 요구되므로 생산 단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maintain the twisted structure of the twisted cable, an additional fixed structure or jacketed twisted cable is used, or an automated facility is provided to minimize the section where the twisted structure is released during assembly. However, since all of these conventional solutions require additional components or additional assembly facilities, the production cost increases.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The matters described as the background art above are only for improving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taken as an admission that they correspond to prior art alread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KR 10-2014-0107070 AKR 10-2014-0107070 A JP 1998-172651 AJP 1998-172651 A

이에 본 발명은, 별도의 추가 구성품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서로 꼬인 관계의 복수의 전선으로 구성되는 트위스트 케이블의 꼬임 구조를 유지하고 오픈 아이(open-eye)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조립성이 우수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the twisted structure of a twisted cable composed of a plurality of wires in a twisted relationship without using additional components, prevent the occurrence of open-eye, and have excellent assemblability. Providing a connector is a technical challenge to be solved.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상부 하우징;upper housing;

상기 상부 하우징 하부에 배치되며 터미널 수용부를 갖는 하부 하우징;a lower housing disposed below the upper housing and having a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케이블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터미널 수용부에 배치된 터미널; 및a terminal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able and disposed in the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and

상기 하부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위치 및 제2 위치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위치에서 배치되는 경우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을 서로 상하 방향으로 이격시키고, 상기 제2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의 이격 간격이 제거되면서 상기 터미널 수용부에 삽입된 터미널에 걸림턱을 제공하여 상기 터미널이 상기 터미널 수용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터미널 고정부재;It is slidably coupled to the lower housing and selectively disposed at first and second positions, and when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t the second position. When disposed, the terminal fixing member prevents the terminal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by providing a locking jaw to the terminal inserted into the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while removing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를 포함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It provides a connector that includes.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면에는,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터미널 수용부에 삽입된 터미널에 걸림턱을 제공하는 터미널 고정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erminal fixing member is disposed in the second position, a terminal fixing protrusion providing a locking jaw to the terminal inserted into the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there is.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하부 하우징의 제1 방향의 일단은 상기 터미널이 삽입되도록 개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the lower housing in the first direction may be opened to insert the terminal.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의 단부에 상기 제1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된 외벽 및 상기 외벽 사이에 상기 외벽과 나란히 형성된 내벽을 포함하고, 상기 외벽과 상기 내벽 사이에 상기 터미널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housing includes an outer wall formed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at an end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an inner wall formed parallel to the outer wall between the outer wall, The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may be formed between the outer wall and the inner wall.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외벽과 상기 내벽에는,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가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가이드하는 슬라이딩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liding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terminal fixing member to slide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may be formed on the outer wall and the inner wall.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는,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를 형성하는 상기 하부 하우징의 일부분에 걸림이 형성되는 복수의 홈부를 가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fixing member may have a plurality of grooves formed to engage a portion of the lower housing forming the sliding guide portion at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로부터 하부로 연장된 측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벽부의 내면은 상기 하부 하우징의 외벽의 외면과 접촉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housing includes an upper plate portion positioned above the lower housing and a side wall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upper plate portion, and an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portion may contact an outer surface of an outer wall of the lower housing. there is.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하부 하우징의 외벽의 외면에는 가이드용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기 측벽부의 내면에는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대 위치를 결정하도록 상기 가이드용 돌출부를 수용하고 가이드 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otrusion for a guide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an outer wall of the lower housing, and a protrusion for a guide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of the upper housing to determine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A guide groove for accommodating and guiding may be formed.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용 돌출부는 상기 가이드 홈의 일단에 배치되고,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용 돌출부는 상기 가이드 홈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erminal fixing member is disposed in the first position, the protrusion for the guide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guide groove, and when the terminal fixing member is disposed in the second position, the guide The dragon protrusion may be disposed at one end of the guide groove.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의 상면 일부는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기 측벽부 일부를 지지하고,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는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기 측벽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erminal fixing member is disposed in the first position, a portion of an upper surface of the terminal fixing member supports a portion of the side wall portion of the upper housing, and the terminal fixing member is disposed in the second position. When disposed in the position, the terminal fixing membe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ide wall portions of the upper housing.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하부 하우징의 제1 방향의 일단에 대응되는 상기 상부 하우징의 일단 하부에는 상기 터미널에 연결된 상기 케이블을 고정하도록 하부로 돌출된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ib protruding downward may b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one end of the upper housing corresponding to one end of the lower housing in the first direction to fix the cable connected to the terminal.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하부 하우징의 제1 방향의 일단에는 상기 케이블을 고정하도록 상부로 돌출된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ib protruding upward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lower housing in the first direction to fix the cable.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As another means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양단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된 측벽부를 포함하는 상부 하우징;an upper housing including an upper plate portion and side wall portions extending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upper plate portion;

상기 상부 하우징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측벽부의 내면에 접촉하는 외벽을 가지며 상기 외벽에 나란한 방향의 일단이 개방되고 개방된 일단과 연결된 터미널 수용부를 갖는 하부 하우징;a lower housing disposed below the upper housing, having an outer wall in contact with an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portion, having an open 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outer wall, and a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open end;

상기 하부 하우징의 개방된 일단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터미널 수용부에 배치되며 상기 하부 하우징의 개방된 일단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는 케이블에 연결된 터미널; 및a terminal inserted from the open end of the lower housing, disposed in the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and connected to a cable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open end of the lower housing; and

상기 하부 하우징의 외벽의 수직 방향으로 상기 하부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위치 및 제2 위치에 배치되는 터미널 고정부재를 포함하며,And a terminal fixing member slidably coupled to the lower housing in a vertical direction of an outer wall of the lower housing and disposed at first and second positions,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의 상면 일부가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기 측벽부 일부를 지지하여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을 서로 이격시키고, When the terminal fixing member is disposed in the first position,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erminal fixing member supports a portion of the side wall portion of the upper housing to separate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from each other,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기 측벽부 사이에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가 배치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의 이격 간격이 제거되고,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가 상기 터미널 수용부에 삽입된 터미널에 걸림턱을 제공하여 상기 터미널이 상기 터미널 수용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When the terminal fixing member is disposed at the second position, the terminal fixing member is disposed between the sidewall portion of the upper housing to eliminate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and the terminal fixing member Provided is a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by providing a locking jaw to the terminal inserted in the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to prevent the terminal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상판부의 하면 중 상기 터미널 수용부에 안착된 터미널 상부에 대응되는 영역에는 상기 터미널에 걸림턱을 제공하는 터미널 고정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erminal fixing protrusion providing a locking jaw to the terminal may be form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an upper portion of the terminal seated in the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among the lower surfaces of the upper plate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하부 하우징은 그 외벽에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가 상기 외벽에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housing may guide the terminal fixing member on its outer wall to slide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outer wall.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는,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를 형성하는 상기 하부 하우징의 일부분에 걸림이 형성되는 복수의 홈부를 가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fixing member may have a plurality of grooves formed to engage a portion of the lower housing forming the sliding guide portion at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하부 하우징의 외벽의 외면에는 가이드용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기 측벽부의 내면에는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대 위치를 결정하도록 상기 가이드용 돌출부를 수용하고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otrusion for a guide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an outer wall of the lower housing, and a protrusion for a guide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of the upper housing to determine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A guide groove for accommodating and guiding may be formed.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용 돌출부는 상기 가이드 홈의 일단에 배치되고,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용 돌출부는 상기 가이드 홈의 타단에 배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erminal fixing member is disposed in the first position, the protrusion for the guide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guide groove, and when the terminal fixing member is disposed in the second position, the guide The dragon protrusion may be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guide groove.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하부 하우징의 제1 방향의 일단에 대응되는 상기 상부 하우징의 일단 하부에는 상기 터미널에 연결된 상기 케이블을 고정하도록 하부로 돌출된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ib protruding downward may b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one end of the upper housing corresponding to one end of the lower housing in the first direction to fix the cable connected to the terminal.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하부 하우징의 제1 방향의 일단에는 상기 케이블을 고정하도록 상부로 돌출된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ib protruding upward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lower housing in the first direction to fix the cable.

상기 커넥터에 따르면, 커넥터 조립 시 하우징에 터미널을 삽입하는데 있어 과도한 힘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트위스트 케이블의 꼬임이 풀리는 직선구간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오픈 아이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굳이 고가의 자켓 타입 트위스트 케이블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According to the connector, since excessive force is not required to insert the terminal into the housing when assembling the connector, the straight section where the twisted cable is untwisted can be minimized, and open eyes can be prevented. You don't have to use .

특히, 상기 커넥터에 따르면, 상부 하우징에 마련된 걸림턱과 별도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이중 걸림 구조로 터미널의 위치를 고정함으로써 터미널 이탈 방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connector, by using a locking jaw provided on the upper housing and a separate fixing member to fix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in a double locking structu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terminal detachment prevention performance.

또한, 상기 커넥터에 따르면 터미널 고정부재의 설치 위치만 변경 시키면서 쉽게 커넥터 조립을 할 수 있으므로, 고가의 조립 장비 등이 요구되지 않는다.In addition, since the connector can be easily assembled while changing only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terminal fixing member according to the connector, expensive assembly equipment and the like are not required.

또한, 상기 커넥터에 따르면, 상하부 하우징에 각각 구비된 리브를 이용하여 트위스트 케이블의 꼬임 구조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 트위스트 케이블의 꼬임 구조가 풀리는 현상과 꼬임 구조가 풀린 직선 구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픈 아이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nector, deformation of the twisted structure of the twisted cable can be prevented by using ribs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upper and lower housings, thereby preventing the unwinding of the twisted cable structure and the open eye that may occur in the straight section where the twisted structure is released. phenomenon can be prevented.

이에 따라, 상기 케이블은 제조 단가를 저감할 수 있으며, 우수한 전기적인 성능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Accordingly,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cable can be reduced and excellent electrical performance can be secur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분해 구조를 조립한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상부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상부 하우징을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선을 따라 상부 하우징을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하부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C-C'선을 따라 하부 하우징을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터미널 고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의 (a) 내지 (c)는 각각 도 8에 도시된 터미널 고정부재의 정면도, 측면도 및 후면도이다.
도 10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하부 하우징과 터미널 고정부재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b)는 (a)에 도시된 D-D'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이 나타난 사시도이다.
도 11의 (a) 내지 (e)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조립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조립 과정의 일부를 순서대로 도시한 것으로,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의 결합구조가 나타나도록 상부 하우징의 측벽부의 단면이 드러나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c)에 도시된 E-E'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c)에 도시된 F-F'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1의 (e)에 도시된 G-G'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1의 (e)에 도시된 H-H'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1의 (e)에 도시된 I-I'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ssembled appearance of an exploded structure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pper housing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pper housing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3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pper housing taken along line BB′ of FIG. 3 .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ower housing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ower housing taken along line C-C′ of FIG. 6;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erminal fixing member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o (c) of FIG. 9 are a front view, a side view, and a rear view of the terminal fixing member shown in FIG. 8, respectively.
Figure 10 (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lower housing of the connector and the terminal fix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 is a cut along the line D-D 'shown in (a)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section.
11 (a) to (e) are perspective views sequentially illustrating a connector assembly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a) to (d) show a part of the assembly process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side wall of the upper housing is shown so that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is shown. It is a perspective view that is shown so that it is revealed.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cut along line E-E' shown in (c) of FIG. 11;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cut along line F-F′ shown in FIG. 11(c).
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cut along the line G-G′ shown in FIG. 11(e).
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cut along line H-H' shown in (e) of FIG. 11;
FIG. 1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cut along line II′ shown in FIG. 11(e).

이하,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connector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분해 구조를 조립한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ssembled appearance of an exploded structure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는, 상부 하우징(10)과, 상부 하우징(10)의 하부에서 상부 하우징(10)에 결합되는 하부 하우징(20)과, 하부 하우징(20)에 마련되는 터미널 수용부에 배치되며 일단이 케이블(50)에 연결된 터미널(30) 및 상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20)의 조립 과정에서 상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20) 사이의 상대적 위치를 결정하고 최종 조립 시 터미널(30)이 하부 하우징(2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차단하는 터미널 고정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and 2,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housing 10, a lower housing 20 coupled to the upper housing 10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housing 10, Disposed in the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provided in the lower housing 20, one end connected to the cable 50, the upper housing 10 and the lower housing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terminal 30 and the upper housing 10 and the lower housing 20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terminal fixing member 40 that determines the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 terminals 20 and blocks the terminal 3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lower housing 20 during final assembly.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상부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상부 하우징을 절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B-B'선을 따라 상부 하우징을 절개한 단면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pper housing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pper housing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3,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pper housing of FIG. This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pper housing cut along line B'.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하우징(10)은 상판부(11)와 상판부의 양단에서 하부로 연장된 측벽부(13)을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다.As shown in FIGS. 3 to 5 , the upper housing 10 has a structure including an upper plate portion 11 and side wall portions 13 extending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upper plate portion.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부 하우징(10)에서 측벽부(13)가 연장되지 않는 단부의 수직 방향을 제1 방향으로 칭하고, 제1 방향의 수직 방향, 즉 측벽부(13)의 수직 방향을 제2 방향으로 칭하기로 한다. 하부 하우징(20)의 외벽과 접촉하는 측벽부(13)의 내면에는 하부 하우징의 가이드용 돌출부가 수용되는 가이드 홈(131)이 형성될 수 있다.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end of the upper housing 10 at which the side wall portion 13 does not extend is referred to as a first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irst direction, that is,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ide wall portion 13 Let's call it in two directions. A guide groove 131 accommodating a guide protrusion of the lower housing may be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portion 13 contacting the outer wall of the lower housing 20 .

하부 하우징(20)과 대면하는 상판부(11)의 하면에는 터미널(30)이 터미널 수용부에 안착된 후 이탈을 방지하도록 걸림턱을 제공할 수 있는 터미널 고정 돌기(111)가 형성될 수 있다. 터미널 고정 돌기(111)에 의해 터미널(30)의 위치가 고정되는 구조는 이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A terminal fixing protrusion 111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portion 11 facing the lower housing 20 to provide a locking jaw to prevent separation after the terminal 30 is seated in the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A structur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30 is fixed by the terminal fixing protrusion 111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또한, 하부 하우징(20)의 제1 방향 단부에는 터미널(30)에 연결된 케이블(50)을 고정하기 위해 하부로 돌출된 리브(113)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리브(113)에 의해 케이블(50)을 고정하는 구조 역시 이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a rib 113 protruding downward may be formed at an end of the lower housing 20 in the first direction to fix the cable 50 connected to the terminal 30 . A structure for fixing the cable 50 by the rib 113 will also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하부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C-C'선을 따라 하부 하우징을 절개한 단면도이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wer housing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ower housing taken along line C-C′ of FIG. 6 .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하우징(20)은 상부 하우징(10)의 측벽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는 외벽(21)을 가지며 외벽 사이에 터미널(30)이 안착되는 터미널 수용부(25)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서로 꼬인 관계의 두 개의 전선으로 이루어진 트위스트 케이블에 사용되는 커넥터의 경우, 외벽(21) 사이에 외벽(21)과 나란하게 내벽(2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외벽(21)과 내벽(23) 사이에 각각 하나씩 터미널(30)이 배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6 and 7, the lower housing 20 has an outer wall 21 that can be disposed parallel to the side wall of the upper housing 10, and a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in which the terminal 30 is seated between the outer walls. (25) can be forme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connector used for a twisted cable composed of two wires in a twisted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an inner wall 23 may be formed parallel to the outer wall 21 between the outer wall 21, and the outer wall 21 and the inner wall ( 23) may be disposed between the terminals 30, respectively, one by one.

조립 과정에서 터미널(30)은 하부 하우징(20)의 제1 방향의 일단부에서 타단부까지 삽입되는데 삽입 과정에 터미널(30)이 진입하는 것을 방해하는 요소들이 없어 큰 외력을 가하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원하는 위치까지 터미널(30)이 이동할 수 있다.During the assembly process, the terminal 30 is inserted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lower housing 20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re are no elements that hinder the entry of the terminal 30 during the insertion process, so that the desired operation is easily performed without applying a large external force. The terminal 30 can move to the location.

하부 하우징(20)의 제1 방향 타단부에는 타 커넥터과의 연결시 타 커넥터에 구비된 터미널이 하부 하우징(20)에 수용된 터미널(30)과의 전기적 접속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대터미널 인입구(201)가 형성될 수 있다. At the other end of the lower housing 20 in the first direction, a mating terminal inlet 201 is provided so that the terminal provided in the other connector can form an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terminal 30 accommodated in the lower housing 20 when connected to the other connector. can be formed.

하부 하우징(20)의 외벽(21) 및 내벽(23)에는 제2 방향으로 터미널 고정부재(40)가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가이드부(27)가 형성될 수 있다.A sliding guide part 27 may be formed on the outer wall 21 and the inner wall 23 of the lower housing 20 to allow the terminal fixing member 40 to slide in the second direction.

또한, 하부 하우징(20)의 제1 방향의 일단부, 즉 터미널(30)이 터미널 수용부(25)에 안착되었을 때 터미널(30)에 연결된 케이블이 위치하는 영역에는 상부로 돌출된 리브(29)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리브(29)는 전술한 상부 하우징(10)에 구비된 리브(113)와 유사하게 케이블(50)의 구조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리브(29)에 의해 케이블(50)을 고정하는 구조는 이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lower housing 20 in the first direction, that is, an area where a cable connected to the terminal 30 is located when the terminal 30 is seated in the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25, has a rib 29 protruding upward. ) can be formed. Similar to the rib 113 provided in the upper housing 10 described above, the rib 29 serves to fix the structure of the cable 50. A structure for fixing the cable 50 by the rib 29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하부 하우징(20)의 외벽(21)의 외면에는 가이드용 돌출부(211)가 형성된다. 가이드용 돌출부(211)는 상부 하우징(10)의 측벽부(13)의 내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131)에 수용되어 가이드 홈(131)이 형성하는 경로에 따라 가이드용 돌출부(211)가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조립 과정에서, 터미널 고정 부재(40)가 제1 위치에 있는 경우 가이드 홈(131)의 일단에 가이드용 돌출부(211)가 배치되고, 터미널 고정 부재(40)가 제2 위치에 이동되어 상부 하우징(10)이 완전히 상부 하우징(20)과 결합될 때에는 가이드 홈(131)의 타단으로 가이드용 돌출부(211)가 이동하게 된다.A guide projection 211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wall 21 of the lower housing 20 . The guide protrusion 211 is accommodated in the guide groove 131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portion 13 of the upper housing 10 so that the guide protrusion 211 moves along the path formed by the guide groove 131. can do. During the assembly process, when the terminal fixing member 40 is in the first position, the guide protrusion 211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guide groove 131, and the terminal fixing member 40 is moved to the second position to the upper housing. When (10) is completely coupled to the upper housing 20, the guide protrusion 211 moves to the other end of the guide groove 131.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터미널 고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의 (a) 내지 (c)는 각각 도 8에 도시된 터미널 고정부재의 정면도, 측면도 및 후면도이다. 또한, 도 10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하부 하우징과 터미널 고정부재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b)는 (a)에 도시된 D-D'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이 나타난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erminal fixing member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a) to (c) are front, side, and rear views of the terminal fixing member shown in FIG. 8, respectively. am. In addition, Figure 10 (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lower housing of the connector and the terminal fix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 is a D-D 'line shown in (a)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cut along.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터미널 고정부재(40)의 형상은 다양한 구현예 중 하나에 해당하는 것으로, 상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20) 등 주변 요소들의 설계에 따라 적절하게 변형될 수 있다. The shape of the terminal fixing member 40 shown in FIGS. 8 to 10 corresponds to one of various embodiments, and can be appropriately modified according to the design of peripheral elements such as the upper housing 10 and the lower housing 20. there is.

하부 하우징(20)의 외벽(21)과 내벽(23)에는 터미널 고정 부제(40)의 측면 형상에 대응되는 슬라이딩 가이드부(27)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슬라이딩 가이드부(27)에 터미널 고정부재(40)가 삽입되어 제2 방향으로 슬라이딩 할 수 있다. A sliding guide part 27 corresponding to the side shape of the terminal fixing member 40 may be formed on the outer wall 21 and the inner wall 23 of the lower housing 20, and the terminal is fixed to the sliding guide part 27. The member 40 can be inserted and slid in the second direction.

터미널 고정부재(40)는 제2 방향의 단부에 내벽(23)에 형성된 슬라이딩 가이드부(27)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고 상부에서 누르는 힘에 의해 슬라이딩 가이드부(27)의 상부로 터미널 고정부재(40)가 탈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돌출부(41)가 형성될 수 있다.The terminal fixing member 40 facilitates insertion into the sliding guide portion 27 formed on the inner wall 23 at the end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terminal fixing member ( 40) may be formed with a protrusion 41 for preventing escape.

또한, 터미널 고정부재(40)에는 슬라이딩 가이드부(27)를 따라 제2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면서 특정 위치에서 슬라이딩을 중단하게 할 수 있는 복수의 홈 구조(43, 45)를 가질 수 있다. 이 홈 구조(43, 45)는 슬라이딩 가이드부(27)가 슬라이딩 가이드부(27)가 형성되는 하부 하우징(20)의 일부분에 의한 걸림이 발생되게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9의 (c)에서 터미널 고정부재(40)가 슬라이딩 가이드부를 따라 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 홈 구조(43)에 하부 하우징(20)의 일부분이 걸리면서 제1 위치에 터미널 고정부재(40)가 배치될 수 있다. 이어 도 9의 (c)에서 우측 방향으로 터미널 고정부재(40)를 이동시키는 힘이 더 작용하는 경우 터미널 고정부재(40) 제1 홈 구조(43)에 의해 형성된 걸림이 해제되고 터미널 고정부재(40)의 이동이 시작되며, 제2 홈 구조(45)에 하부 하우징(20)의 일부분이 걸리면서 제2 위치에 터미널 고정부재(40)가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inal fixing member 40 may have a plurality of groove structures 43 and 45 capable of stopping sliding at a specific position while sliding in the second direction along the sliding guide part 27 . The groove structures 43 and 45 allow the sliding guide part 27 to be caught by a part of the lower housing 20 in which the sliding guide part 27 is formed. For example, in (c) of FIG. 9, when the terminal fixing member 40 moves to the right along the sliding guide, a portion of the lower housing 20 is caught in the first groove structure 43 and the terminal is in the first position. A fixing member 40 may be disposed. Subsequently, when a force for moving the terminal fixing member 40 in the right direction in FIG. 9 (c) is further applied, the jamming formed by the first groove structure 43 of the terminal fixing member 40 is released, and the terminal fixing member ( 40) starts to move, and while a part of the lower housing 20 is caught in the second groove structure 45, the terminal fixing member 40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position.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터미널(30)은 커넥터가 다른 커넥터와 결합될 때 다른 커넥터의 전기 접촉부와 접속을 형성하는 요소이다. 터미널(30)에는 그 높이가 변동되는 단차부(31)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단차부(31)가 상부 하우징(10)의 터미널 고정 돌기(111)나 터미널 고정부재(40)에 걸림을 형성함으로써 터미널(30)이 커넥터 내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1, terminal 30 is an element that forms a connection with the electrical contacts of another connector when the connector is mated with the other connector. A stepped portion 31 whose height varies may be formed in the terminal 30 . The stepped portion 31 is caught by the terminal fixing protrusion 111 of the upper housing 10 or the terminal fixing member 40, thereby preventing the terminal 3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inside of the connector.

이하에서는 전술한 것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커넥터의 조립 과정에 대한 설명은 커넥터의 작용 효과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Hereinafter, an assembly process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A description of the assembly process of the connector will be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effect of the connector's operation.

도 11의 (a) 내지 (e)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조립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12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조립 과정의 일부를 순서대로 도시한 것으로,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의 결합구조가 나타나도록 상부 하우징의 측벽부의 단면이 드러나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다.11 (a) to (e) are perspective views sequentially illustrating a connector assembly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a) to (d) of FIG. 12 show a part of the assembly process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and the side wall portion of the upper housing is shown so that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is shown.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먼저, 도 1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하우징(20)의 슬라이딩 가이드부(27)에 터미널 고정부재(30)를 배치한다. 터미널 고정부재(30)는 하부 하우징(20)의 외벽으로부터 내부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이드부(27)를 따라 제1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면서 삽입될 수 있으며, 제1 홈 구조(43)에 하부 하우징(20)의 외벽 일부분이 걸리면서 도 11의 (a)와 같은 제1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a) of FIG. 11, the terminal fixing member 30 is disposed on the sliding guide part 27 of the lower housing 20. The terminal fixing member 30 may be inserted while sliding in a first direction along the sliding guide part 27 from the outer wall of the lower housing 20 to the inside, and the lower housing 20 in the first groove structure 43 A portion of the outer wall of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position as shown in (a) of FIG. 11 while being caught.

도 11의 (a)에 도시된 제1 위치는 제2 방향에서 하부 하우징(20)의 외벽면 밖으로 터미널 고정부재(30)가 노출된 위치로, 상부 하우징(10)에 대한 걸림을 형성할 수 있는 위치이다.The first position shown in (a) of FIG. 11 is a position where the terminal fixing member 30 is exposed out of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lower housing 20 in the second direction, and can form a hook for the upper housing 10. is a location

즉, 도 11의 (b)와 같이, 상부 하우징(10)을 하부 하우징(20)의 상부에 배치할 때, 터미널 고정부재(30)는 상부 하우징(10)이 하부로 이동하는 것을 일정 높이에서 차단하는 걸림턱이 된다. 이 과정에서는,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하우징(10)의 측벽부에 형성된 가이드 홈(131)의 일단에 가이드용 돌출부(211)가 위치하게 된다. That is, as shown in (b) of FIG. 11, when the upper housing 10 is disposed above the lower housing 20, the terminal fixing member 30 prevents the upper housing 10 from moving downward at a certain height. It becomes a stumbling block. In this process, as shown in (a) of FIG. 12 , the guide projection 211 is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guide groove 131 formed on the side wall of the upper housing 10 .

도 11의 (b)와 같은 공정에서 상부 하우징(10)의 상판(11)의 하면은 하부 하우징(20)의 상단에 완전하게 밀착하지 못하고, 터미널 고정부재(40)에 의한 걸림에 의해 상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20)이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가 된다.In the process as shown in (b) of FIG. 11,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1 of the upper housing 10 does not completely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lower housing 20, and is caught by the terminal fixing member 40 to the upper housing. (10) and the lower housing 20 are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이어, 도 11이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50)이 연결된 터미널(30)이 하부 하우징(20)의 제1 방향 일단으로 삽입되어 제1 방향 타단에 이동하여 터미널 수용부에 배치될 수 있다.Subsequently, as shown in (c) of FIG. 11, the terminal 30 to which the cable 50 is connected is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lower housing 20 in the first direction and moved to the other end in the first direction to be disposed in the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It can be.

도 13은 도 11의 (c)에 도시된 E-E'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1의 (c)에 도시된 F-F'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the line E-E' shown in (c) of FIG. 11, and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F-F' shown in (c) of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도 13 및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터미널 고정부재(14)는 제2 방향에서 하부 하우징(30)의 외벽 밖으로 노출되고, 외벽 밖에 위치한 터미널 고정부재(14)의 일 부분이 상부 하우징(10)을 하부에서 지지하여 상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20)이 일정 간격(d) 이격되게 한다. 이로써, 터미널(30)이 쉽게 하부 하우징(20)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하여 원하는 위치에 쉽게 안착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3 and 14, the terminal fixing member 14 is exposed outside the outer wall of the lower housing 30 in the second direction, and a portion of the terminal fixing member 14 located outside the outer wall is attached to the upper housing 10. is supported from the bottom so that the upper housing 10 and the lower housing 20 are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 As a result, the terminal 30 can be easily moved from one end of the lower housing 20 to the other end and can be easily seated in a desired position.

이어, 도 11의 (d) 및 도 12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터미널 고정부재(40)는 제2 방향에서 하부 하우징(20)의 내부로 이동된다. 터미널 고정부재(40)가 하부 하우징(20)의 내부로 이동하게 되면, 상부 하우징(10)의 걸림이 해제 되고, 상부 하우징(10)이 하부로 더 이동하여 하부 하우징(20)과 밀착하게 될 수 있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S. 11(d) and 12(b), the terminal fixing member 40 is moved into the lower housing 20 in the second direction. When the terminal fixing member 40 moves into the lower housing 20, the upper housing 10 is unhung, and the upper housing 10 moves further downward to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housing 20. can

이어, 도 12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 하우징(10)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조작을 하게 되면, 상부 하우징(10)의 측벽부에 형성된 가이드 홈(131)의 구조에 따라 하부 하우징(20)의 가이드용 돌출부(211)가 가이드 홈(131)의 타단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Subsequently, as shown in (c) of FIG. 12, when an operation is performed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upper housing 10, the lower The guide protrusion 211 of the housing 20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other end of the guide groove 131 .

이어, 도 11의 (e) 및 도 12의 (d)와 같이 가이드용 돌출부(211)가 가이드 홈(131)의 타단까지 완전히 이동하면서 상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20)이 밀착하여 최종적인 커넥터 구조를 완성하게 된다. 물론, 도 11의 (e) 및 도 12이 (d)와 같은 구조에서 상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20)의 결합 상태가 유지되게 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나, 이러한 구조는 공지의 다양한 구조를 적용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주된 기술 사상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므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S. 11(e) and 12(d), the guide protrusion 211 completely moves to the other end of the guide groove 131, and the upper housing 10 and the lower housing 20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the final This completes the typical connector structure. Of course, various structures may be applied to maintain the coupled state of the upper housing 10 and the lower housing 20 in the structure shown in (e) of FIG. 11 and (d) of FIG. 12, but this structure is known in the art. Since various structures are applied and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main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5는 도 11의 (e)에 도시된 G-G'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1의 (e)에 도시된 H-H'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7은 도 11의 (e)에 도시된 I-I'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the line G-G' shown in (e) of FIG. 11, and 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H-H' shown in (e) of FIG. 11 , and FIG. 1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cut along line II′ shown in FIG. 11(e).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것과 같이, 터미널 고정부재(30)가 하부 하우징(20)의 내부로 삽입되면, 터미널(30)에 형성된 단차 구조의 후방에 배치되어 터미널(30)에 걸림을 형성한다. 또한, 상부 하우징(10)의 상판 하면에 돌출된 터미널 고정 돌기(111)도 터미널(30)에 형성된 단차 구조에 대한 걸림턱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는, 상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20)의 결합 과정에서 이중 걸림 구조로 터미널(3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5 and 16, when the terminal fixing member 30 is inserted into the lower housing 20, it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stepped structure formed on the terminal 30 to engage the terminal 30. do. In addition, the terminal fixing protrusion 111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of the upper housing 10 also serves as a stopper for the stepped structure formed on the terminal 30 . 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terminal 30 from being separated due to the double hooking structure during the coupling process between the upper housing 10 and the lower housing 20 .

또한,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부 하우징(10)에 형성된 리브(113)과 하부 하우징(20)에 형성된 리브(29)는 하우징 내에서 케이블을 고정하게 된다. 특히, 꼬임 구조의 트위스트 케이블의 경우, 상부 하우징(10)의 리브(113)은 꼬임 구조의 나선 사이에 삽입되어 꼬임 구조가 풀리는 현상과 꼬임 구조가 풀린 직선 구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픈 아이(open-eye)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16 and 17, the rib 113 formed on the upper housing 10 and the rib 29 formed on the lower housing 20 fix the cable within the housing.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twisted cable with a twisted structure, the rib 113 of the upper housing 10 is inserted between the spirals of the twisted structure, resulting in a phenomenon in which the twisted structure is released and an open eye (open-eye) that may occur in a straight section where the twisted structure is released. eye) phenomenon can be prevented.

이와 유사하게, 하부 하우징(20)에 형성된 리브(29)는 두 전선 사이에 돌출됨으로써 두 전선의 위치를 고정하여 꼬임 구조가 풀리는 현상과 꼬임 구조가 풀린 직선 구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픈 아이 현상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Similarly, the rib 29 formed on the lower housing 20 protrudes between the two wires to fix the position of the two wires to prevent the twisted structure from unraveling and the open eye phenomenon that can occur in a straight section where the twisted structure is released. can help you do that.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relation to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improv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by the claims below. It will b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0: 상부 하우징 11: 상판부
13: 측벽부 111: 터미널 고정 돌기
113: 리브 131: 가이드 홈
20: 하부 하우징 21: 외벽
23: 내벽 25: 터미널 수용부
27: 슬라이딩 가이드부 29: 리브
201: 상대터미널 인입구 30: 터미널
31: 단차부 40: 터미널 고정부재
41: 돌출부 43, 45: 홈 구조
50: 케이블
10: upper housing 11: top plate
13: side wall portion 111: terminal fixing protrusion
113: rib 131: guide groove
20: lower housing 21: outer wall
23: inner wall 25: terminal receiving portion
27: sliding guide part 29: rib
201: opposite terminal entrance 30: terminal
31: stepped portion 40: terminal fixing member
41: protrusion 43, 45: groove structure
50: cable

Claims (20)

상부 하우징;
상기 상부 하우징 하부에 배치되며 터미널 수용부를 갖는 하부 하우징;
케이블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터미널 수용부에 배치된 터미널; 및
상기 하부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위치 및 제2 위치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위치에서 배치되는 경우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을 서로 상하 방향으로 이격시키고, 상기 제2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의 이격 간격이 제거되면서 상기 터미널 수용부에 삽입된 터미널에 걸림턱을 제공하여 상기 터미널이 상기 터미널 수용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터미널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면에는,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터미널 수용부에 삽입된 터미널에 걸림턱을 제공하는 터미널 고정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upper housing;
a lower housing disposed below the upper housing and having a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a terminal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able and disposed in the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and
It is slidably coupled to the lower housing and selectively disposed at first and second positions, and when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t the second position. When disposed, a terminal fixing member preventing the terminal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by providing a locking jaw to the terminal inserted into the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while removing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and
A terminal fix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to provide a locking jaw to the terminal inserted into the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when the terminal fixing member is disposed in the second position.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의 제1 방향의 일단은 상기 터미널이 삽입되도록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
A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of the lower housing in the first direction is opened to insert the terminal.
상부 하우징;
상기 상부 하우징 하부에 배치되며 터미널 수용부를 갖는 하부 하우징;
케이블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터미널 수용부에 배치된 터미널; 및
상기 하부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위치 및 제2 위치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위치에서 배치되는 경우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을 서로 상하 방향으로 이격시키고, 상기 제2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의 이격 간격이 제거되면서 상기 터미널 수용부에 삽입된 터미널에 걸림턱을 제공하여 상기 터미널이 상기 터미널 수용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터미널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하우징의 제1 방향의 일단은 상기 터미널이 삽입되도록 개방되며;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의 단부에 상기 제1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된 외벽 및 상기 외벽 사이에 상기 외벽과 나란히 형성된 내벽을 포함하고, 상기 외벽과 상기 내벽 사이에 상기 터미널 수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upper housing;
a lower housing disposed below the upper housing and having a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a terminal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able and disposed in the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and
It is slidably coupled to the lower housing and selectively disposed at first and second positions, and when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t the second position. When disposed, a terminal fixing member preventing the terminal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by providing a locking jaw to the terminal inserted into the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while removing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and
one end of the lower housing in the first direction is opened to insert the terminal;
The lower housing includes an outer wall formed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at an end portion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an inner wall formed parallel to the outer wall between the outer wall and between the outer wall and the inner wall. A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terminal receiving portion is formed.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외벽과 상기 내벽에는,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가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가이드하는 슬라이딩 가이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4,
A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a sliding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terminal fixing member to slide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is formed on the outer wall and the inner wall.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는,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를 형성하는 상기 하부 하우징의 일부분에 걸림이 형성되는 복수의 홈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terminal fixing member has a plurality of grooves formed to engage with a portion of the lower housing forming the sliding guide portion at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로부터 하부로 연장된 측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벽부의 내면은 상기 하부 하우징의 외벽의 외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5,
The upper housing includes an upper plate portion positioned above the lower housing and a sidewall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upper plate portion, and an inner surface of the sidewall portion contacts an outer surface of an outer wall of the lower housing.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의 외벽의 외면에는 가이드용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기 측벽부의 내면에는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대 위치를 결정하도록 상기 가이드용 돌출부를 수용하고 가이드 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7,
A protrusion for a guide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outer wall of the lower housing, and a guide groove for accommodating and guiding the protrusion for a guide to determine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sidewall of the upper housing. A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용 돌출부는 상기 가이드 홈의 일단에 배치되고,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용 돌출부는 상기 가이드 홈의 타단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8,
When the terminal fixing member is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the protrusion for guide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guide groove, and when the terminal fixing member is disposed at the second position, the protrusion for guide is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guide groove. A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in.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의 상면 일부는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기 측벽부 일부를 지지하고,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는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기 측벽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8,
When the terminal fixing member is disposed in the first position,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erminal fixing member supports a portion of the side wall portion of the upper housing, and when the terminal fixing member is disposed in the second position, the terminal is fixed. A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a member is disposed between the side wall portions of the upper housing.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의 제1 방향의 일단에 대응되는 상기 상부 하우징의 일단 하부에는 상기 터미널에 연결된 상기 케이블을 고정하도록 하부로 돌출된 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3,
A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a rib protruding downward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one end of the upper housing corresponding to one end of the lower housing in the first direction to fix the cable connected to the terminal.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의 제1 방향의 일단에는 상기 케이블을 고정하도록 상부로 돌출된 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3,
A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a rib protruding upward is formed at one end of the lower housing in the first direction to fix the cable.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양단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된 측벽부를 포함하는 상부 하우징;
상기 상부 하우징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측벽부의 내면에 접촉하는 외벽을 가지며 상기 외벽에 나란한 방향의 일단이 개방되고 개방된 일단과 연결된 터미널 수용부를 갖는 하부 하우징;
상기 하부 하우징의 개방된 일단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터미널 수용부에 배치되며 상기 하부 하우징의 개방된 일단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는 케이블에 연결된 터미널; 및
상기 하부 하우징의 외벽의 수직 방향으로 상기 하부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위치 및 제2 위치에 배치되는 터미널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의 상면 일부가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기 측벽부 일부를 지지하여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을 서로 이격시키고,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기 측벽부 사이에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가 배치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의 이격 간격이 제거되고,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가 상기 터미널 수용부에 삽입된 터미널에 걸림턱을 제공하여 상기 터미널이 상기 터미널 수용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하부 하우징은 그 외벽에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가 상기 외벽에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가이드하는 슬라이딩 가이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an upper housing including an upper plate portion and side wall portions extending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upper plate portion;
a lower housing disposed below the upper housing, having an outer wall in contact with an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portion, having an open 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outer wall, and a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open end;
a terminal inserted from the open end of the lower housing, disposed in the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and connected to a cable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open end of the lower housing; and
And a terminal fixing member slidably coupled to the lower housing in a vertical direction of an outer wall of the lower housing and disposed at first and second positions,
When the terminal fixing member is disposed in the first position,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erminal fixing member supports a portion of the side wall portion of the upper housing to separate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from each other,
When the terminal fixing member is disposed at the second position, the terminal fixing member is disposed between the sidewall portion of the upper housing to eliminate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and the terminal fixing member A locking jaw is provided to the terminal inserted into the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to prevent the terminal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Th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housing has a sliding guide portion formed on its outer wall to guide the terminal fixing member to slide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outer wall.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의 하면 중 상기 터미널 수용부에 안착된 터미널 상부에 대응되는 영역에는 상기 터미널에 걸림턱을 제공하는 터미널 고정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3,
A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a terminal fixing protrusion providing a locking jaw to the terminal is form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an upper portion of the terminal seated in the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among the lower surfaces of the upper plate.
삭제delete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는,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를 형성하는 상기 하부 하우징의 일부분에 걸림이 형성되는 복수의 홈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3,
Th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terminal fixing member has a plurality of grooves formed to engage with a portion of the lower housing forming the sliding guide portion at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의 외벽의 외면에는 가이드용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기 측벽부의 내면에는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대 위치를 결정하도록 상기 가이드용 돌출부를 수용하고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3,
A protrusion for a guide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outer wall of the lower housing, and a guide groove for accommodating and guiding the protrusion for a guide to determine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sidewall of the upper housing. A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용 돌출부는 상기 가이드 홈의 일단에 배치되고,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용 돌출부는 상기 가이드 홈의 타단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7
When the terminal fixing member is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the protrusion for guide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guide groove, and when the terminal fixing member is disposed at the second position, the protrusion for guide is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guide groove. A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in.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의 제1 방향의 일단에 대응되는 상기 상부 하우징의 일단 하부에는 상기 터미널에 연결된 상기 케이블을 고정하도록 하부로 돌출된 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3,
A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a rib protruding downward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one end of the upper housing corresponding to one end of the lower housing in the first direction to fix the cable connected to the terminal.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의 제1 방향의 일단에는 상기 케이블을 고정하도록 상부로 돌출된 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3,
A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a rib protruding upward is formed at one end of the lower housing in the first direction to fix the cable.
KR1020170168387A 2017-12-08 2017-12-08 Connector KR1025309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387A KR102530933B1 (en) 2017-12-08 2017-12-08 Conn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387A KR102530933B1 (en) 2017-12-08 2017-12-08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214A KR20190068214A (en) 2019-06-18
KR102530933B1 true KR102530933B1 (en) 2023-05-11

Family

ID=67103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8387A KR102530933B1 (en) 2017-12-08 2017-12-08 Conn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0933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7923A (en) 2001-11-22 2003-05-30 Sumitomo Wiring Syst Ltd Connector
JP2009259521A (en) 2008-04-15 2009-11-05 Yazaki Corp Shielded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44011B2 (en) 1996-12-12 2002-01-07 住友電装株式会社 Split connector
JP3638070B2 (en) * 1996-12-26 2005-04-13 矢崎総業株式会社 J / B connector connection structure
JP3427665B2 (en) * 1997-03-14 2003-07-22 住友電装株式会社 connector
JP3632811B2 (en) * 1997-09-17 2005-03-23 住友電装株式会社 Connector with retainer
DE102012015581A1 (en) * 2012-08-07 2014-02-13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Connectors
KR102039749B1 (en) 2013-02-27 2019-11-01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Joint connector assembl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7923A (en) 2001-11-22 2003-05-30 Sumitomo Wiring Syst Ltd Connector
JP2009259521A (en) 2008-04-15 2009-11-05 Yazaki Corp Shielded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214A (en) 2019-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74868B1 (en) Optical connector
KR101631792B1 (en) Connector
JP2724697B2 (en) Floating panel mounting structure for electrical connectors
US7950968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detachable cover
WO2018163788A1 (en) Shielded terminal and shielded connector
US10971851B2 (en) Miniaturized connector with a terminal holding member
JP6206392B2 (en) Joint connector
CN109768419B (en) Connector with a locking member
JP2018129134A (en) Fitting connector
US11038289B2 (en) Electrical connector
JP5139188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KR101105537B1 (en) Divided connector
JP2013098072A (en) Waterproof connector
US20090247009A1 (en) Coaxial connector and a structure for attaching the coaxial connector to a connector housing
US10720718B2 (en) Branch connector and communication network
US7892018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two cable loading stop elements
KR102530933B1 (en) Connector
KR20030087539A (en) Connector structure
US9116316B2 (en) Optical connector, male connector housing for optical connector, and female connector housing for optical connector
JP6011510B2 (en) Connectors and wire harnesses
KR102591645B1 (en) Connector assembly
WO2015019847A1 (en) Connector
JP2014229376A (en) Shield connector
WO2017217208A1 (en) Connector
US20190081427A1 (en)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