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0595B1 - 자동 개기 기능을 갖는 수건 건조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개기 기능을 갖는 수건 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0595B1
KR102530595B1 KR1020210134375A KR20210134375A KR102530595B1 KR 102530595 B1 KR102530595 B1 KR 102530595B1 KR 1020210134375 A KR1020210134375 A KR 1020210134375A KR 20210134375 A KR20210134375 A KR 20210134375A KR 102530595 B1 KR102530595 B1 KR 102530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wel
towels
holder
drying
automatic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4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0963A (ko
Inventor
김용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루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루비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루비즈
Priority to KR1020210134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0595B1/ko
Publication of KR20230050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0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0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0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26Mechanically-driven towel dispensers, e.g. with storing devices for soiled tow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02Towels
    • A47K10/025Holders; Box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04Towel racks; Towel rails; Towel rods; Towel rolls, e.g. rotatable
    • A47K10/06Towel racks; Towel rails; Towel rods; Towel rolls, e.g. rotatable combined with means for drying tow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48Drying by means of hot air
    • A47K10/485Drying by means of hot air combined with a textile or paper towel dispen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으로 수건을 개어주는 기능을 가진 자동 개기 기능을 갖는 수건 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개기 기능을 갖는 수건 건조 장치는, 상면에 개폐도어를 구비하는 몸체; 상기 몸체 내부 상측에 마련되며, 수건을 거치시키는 수건 거치부; 상기 수건 거치부에 거치된 수건을 건조시키는 수건 건조부; 상기 수건 거치부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수건 거치부로부터 건조된 수건을 전달 받고, 전달 받은 수건을 돌돌 말은 형태로 개는 수건 개기부 및 상기 수건 개기부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수건 개기부로부터 개어진 수건이 전달되고, 전달된 수건이 적재되는 수건 적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개기 기능을 갖는 수건 건조 장치{Towel dryer with automatic rolling function}
본 발명은 수건 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건 건조 후 자동 수건 개기 기능까지 갖춘 자동 개기 기능을 갖는 수건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체에 묻은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건은 숙박업소, 목욕업소, 운동업소, 미용업소 등 생활업소와, 가정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생활 필수품 중 하나이다. 이러한 수건은 빨래 후 한국등록특허 제10-0986965호의 '수건 건조대' 등에 널어 건조하고, 수동으로 개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수건 건조대에 일일이 널어 건조하고 개는 수동의 방식은 많은 노동력을 요구하는 방식으로서 꽤나 번거롭고 건강을 헤칠 수 있는 작업이며, 특히, 숙박업소, 목욕업소, 운동업소, 미용업소 등의 수건을 다량으로 취급하는 생활업소에서는 큰 노동과 시간을 할애해야 하는 작업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수건 건조 후 자동으로 수건 개기 기능까지 갖춘 자동 개기 기능을 갖는 수건 건조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개기 기능을 갖는 수건 건조 장치는, 상면에 개폐도어를 구비하는 몸체; 상기 몸체 내부 상측에 마련되며, 수건을 거치시키는 수건 거치부; 상기 수건 거치부에 거치된 수건을 건조시키는 수건 건조부; 상기 수건 거치부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수건 거치부로부터 건조된 수건을 전달 받고, 전달 받은 수건을 돌돌 말은 형태로 개는 수건 개기부 및 상기 수건 개기부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수건 개기부로부터 개어진 수건이 전달되고, 전달된 수건이 적재되는 수건 적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건 거치부는, 환봉으로 구성되어 수건을 '∩'형태로 거치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수건 거치대 및 상기 수건 거치대를 회전시켜 수건을 하방으로 전달시키는 거치대 회전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건 건조부는, 상기 수건 거치부의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수건 거치부에 거치된 수건을 살균 램프광으로 조사하며 살균 및 건조하는 살균건조램프 및 상기 몸체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여 수건 거치부에 거치된 수건을 열풍으로 건조하는 열풍건조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건 개기부는,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 사이에 해당되는 중앙부 일부가 절개되어 요(凹)형의 단면을 형성하며, 상기 수건 거치부로부터 전달되는 수건의 일단부가 개방된 중앙부에 삽입되는 수건 개기대; 상기 수건 개기대의 개방된 중앙부에 수건의 일단부가 위치될 시 수건 개기대를 회전시켜 수건을 돌돌 마는 개기대 회전모터 및 상기 개기대 회전모터에 의해 수건이 돌돌 말아지면 상기 수건 적재부를 향해 각도를 조절해 돌돌 말아진 수건을 낙하시키는 각도조절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건 개기부는, 상기 수건 개기대 상측에 설치되며, 수건 거치부에서 수건 개기대로 전달되는 수건이 중심을 관통하여 수건 개기대로 정확히 전달되도록 안내하는 중심부가 개방된'Y'형의 수건 가이드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건 적재부는, 상측이 개방되어 내부는 수건의 수용이 가능한 수건 적재함을 포함하며, 상기 수건 적재함은, 상기 몸체로부터 탈거 가능하거나 전면에 적재함 개폐도어를 마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동 개기 기능을 갖는 수건 건조 장치는, 상기 몸체 내부에 형성된 열기 또는 습기를 배출하기 위한 공기 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 배출부는, 상기 몸체에 마련되는 다수의 배출공으로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배출공은 일부 또는 전체가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되어 열과 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거나, 상기 몸체에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배출팬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자동 개기 기능을 갖는 수건 건조 장치는, 상기 몸체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 및 상기 개폐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개폐도어를 락킹(locking)하는 락킹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락킹장치는, 상기 온도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몸체 내부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 이하로 내려갔을 경우에만 언락킹(unlocking)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개기 기능을 갖는 수건 건조 장치는, 자동으로 수건을 건조하면서 개어, 수건 사용이 많은 업소 등에서 매우 유용하게 쓰일 수 있으며, 가정에서도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개기 기능을 갖는 수건 건조 장치는, 심미적이고 고급스럽게 수건을 돌돌 말아 개는 방식으로써, 고급 서비스 업종에서도 사용이 용이하며, 나아가 사용된 수건인지 아닌지 쉽게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개기 기능을 갖는 수건 건조 장치는, 열기로 인해 화상 등을 방지하는 다양한 안전장치를 갖추어 사용자의 안전성을 확보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만 한정되지 않고, 명세서 및 도면으로부터 예측 가능한 모든 효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개기 기능을 갖는 수건 건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개기 기능을 갖는 수건 건조 장치의 후측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개기 기능을 갖는 수건 건조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개기 기능을 갖는 수건 건조 장치의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개기 기능을 갖는 수건 건조 장치의 몸체 내부 일부 구성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상태에서 수건이 수건 거치대에 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수건이 수건 개기대로 전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상태에서 수건 개기대가 수건을 돌돌 말은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상태에서 수건 개기대가 각도조절장치에 의해 각도가 조절되어 수건을 수건 적재부로 낙하시키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4의 상태에서 수건이 수건 거치대에 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상태에서 수건이 수건 개기대로 전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상태에서 수건 개기대가 수건을 돌돌 말은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상태에서 수건 개기대가 각도조절장치에 의해 각도가 조절되어 수건을 수건 적재부로 낙하시키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개기 기능을 갖는 수건 건조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개기 기능을 갖는 수건 건조 장치의 후측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개기 기능을 갖는 수건 건조 장치의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개기 기능을 갖는 수건 건조 장치의 정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개기 기능을 갖는 수건 건조 장치의 몸체 내부 일부 구성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6은 도 3의 상태에서 수건이 수건 거치대에 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수건이 수건 개기대로 전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상태에서 수건 개기대가 수건을 돌돌 말은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9는 도 8의 상태에서 수건 개기대가 각도조절장치에 의해 각도가 조절되어 수건을 수건 적재부로 낙하시키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10은 도 4의 상태에서 수건이 수건 거치대에 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1은 도 10의 상태에서 수건이 수건 개기대로 전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의 상태에서 수건 개기대가 수건을 돌돌 말은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3은 도 12의 상태에서 수건 개기대가 각도조절장치에 의해 각도가 조절되어 수건을 수건 적재부로 낙하시키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개기 기능을 갖는 수건 건조 장치는, 몸체(10), 수건 거치부(20), 수건 건조부(30), 수건 개기부(40) 및 수건 적재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몸체(10)는 본 발명의 자동 개기 기능을 갖는 수건 건조 장치의 각 부의 하우징을 이루면서 상면에 개폐도어(15)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개폐도어(15)의 형태는 접철식으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개폐도어(15)의 형태는 어느 특정한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슬라이딩식, 탈거식, 단순 오픈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개폐도어(15)는 락킹(locking) 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락킹 장치(미도시)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몸체(10) 내부에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부들이 설치될 하나의 공간이 마련되고, 몸체(10) 내부 상측 공간에는 수건 거치부(20)가 마련될 수 있다.
수건 거치부(20)는 몸체(10) 내부 상측에 마련되며, 수건(TW)을 거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건 거치부(20)는 환봉으로 구성되어 수건(TW)을 '∩'형태로 거치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수건 거치대(21) 및 수건 거치대(21)를 회전시켜 수건(TW)을 하방으로 전달시키는 거치대 회전모터(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거치대 회전모터(22)는 수건(TW)이 건조된 이후에 수건 거치대(21)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수건 거치대(21)에는 수건(TW)의 건조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습도센서나 수분센서 등이 마련될 수도 있다. 습도센서나 수분센서 등의 수건 건조상태를 체크하는 센서들이 건조완료신호를 거치대 회전모터(22)로 전달하면 거치대 회전모터(22)가 회전할 수 있다.
한편, 거치대 회전모터(22)는 상술한 자동방식 외에도 사용자에 의해 리모트 컨트롤러 등으로 제어될 수도 있다.
수건 거치부(20)에 거치된 수건(TW)은 수건 건조부(30)에서 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
수건 건조부(30)는 수건 거치부(20)의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수건 거치부(20)의 수건 거치대(21)에 거치된 수건을 살균 램프광으로 조사하며 살균 및 건조하는 살균건조램프(31) 및 몸체(10)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여 수건 거치부(20)에 거치된 수건을 열풍으로 건조하는 열풍건조장치(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살균건조램프(31)가 발광하는 살균 램프광은 UV광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살균과 건조를 함께 수행할 수 있는 램프라며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살균건조램프(31)는 수건 거치대(21)의 측방이나 전방, 후방 등의 주위의 위치에서 몸체(10)에 복수로 설치되어 수건 거치대(21)에 걸려진 수건을 향해 살균 램프광을 조사하며 열풍건조장치(32)와 함께 이중으로 건조를 수행할 수도 있다.
열풍건조장치(32)는 열선이나 열전소자 등의 열 발생장치(미도시)와, 열 발생장치를 향해 바람을 발생시켜 열 발생장치에서 나오는 열을 이용해 열풍을 생성하는 열풍생성팬(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열풍건조장치(32)는 수건의 건조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몸체(10)의 내부 하측에 위치될 수 있으나,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몸체(10) 내부에서 위치가 다양할 수도 있고, 몸체(10) 외부에 마련되어 열풍을 몸체(10) 내부로 생성하여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열풍건조장치(32)가 몸체(10) 내부 하측에 위치할 경우 고온의 상승기류에 의해 몸체(10) 상측에 위치한 수건 거치대(21)로 열풍이 보다 잘 전달되어 수건의 건조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상기의 수건 건조부(30)의 작용에 의해 수건 거치대(21)에 거치된 수건이 건조되면 거치대 회전모터(22)가 회전하여 건조된 수건을 수건 개기부(40)로 전달할 수 있다.
수건 개기부(40)는 수건 거치부(20) 하측에 마련되어 수건 거치부(20)로부터 건조된 수건을 전달 받고, 전달 받은 수건을 돌돌 말은 형태로 개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건 개기부(40)는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 사이에 해당되는 중앙부 일부가 절개되어 요(凹)형의 단면을 형성하며, 수건 거치부(20)로부터 전달되는 수건의 일단부가 개방된 중앙부에 삽입되는 수건 개기대(41)와, 수건 개기대(41)의 개방된 중앙부에 수건의 일단부가 위치될 시 수건 개기대(41)를 회전시켜 수건을 돌돌 마는 개기대 회전모터(42) 및 개기대 회전모터(42)에 의해 수건이 돌돌 말아지면 상기 수건 적재부(50)를 향해 각도를 조절해 돌돌 말아진 수건을 낙하시키는 각도조절장치(4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수건 거치부(20)로부터 건조된 수건은 일단부가 요(凹)형의 단면을 형성하여 일부가 절개된 수건 개기대(41)의 중앙부로 삽입되고, 수건의 일단부가 삽입되면 개기대 회전모터(42)는 이를 감지하여 수건을 돌돌 말아 갠 후에, 다 개어지면 각도조절장치(43)가 동작하여 수건 적재부(50)를 향해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수건이 수건 적재부(50)를 향해 낙하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수건 개기대(41)에는 수건의 일단부가 중앙부에 위치하는지 감지하기 위해 중앙부에 초음파 센서 등의 수건위치감지센서를 마련할 수 있고, 수건을 돌돌 마는 동안 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수건이 중앙부에 위치될 경우 내측에서 돌출되어 수건을 고정시키는 수건고정수단 등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수건이 돌돌 말아 졌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수건 개기대(41) 주위로 초음파 센서나 포토 센서 등의 수건의 갠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수건상태감지센서를 마련할 수도 있다.
한편, 수건 개기부(40)는 수건 거치부(20)에서 수건 개기대(41)로 전달되는 수건이 정확히 안내되도록 수건 가이드핀(4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수건 가이드핀(44)은 수건 개기대(41) 상측에 설치되며, 수직 방향을 양측으로 하는 중심부가 개방된 'Y'형으로 마련되어, 수건 거치부(20)에서 수건 개기대(41)로 전달되는 수건이 중심을 관통하여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수건 가이드핀(44)은 'Y'형으로써 상측은 비교적 넓으며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써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이 보다 쉽고 정확하기 유도되며, 하측이 수건 개기대(41)의 상측에 대응되므로 수건이 정확히 수건 개기대(41)로 안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수건 거치대(21)를 회전시키는 거치대 회전모터(22)와 수건 개기대(41)를 회전시키는 개기대 회전모터(42)의 회전방향은 반대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로 엇갈린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수건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고 더 잘 돌돌 말아질 수 있다.
수건 적재부(50)는 상측이 개방되어 내부는 수건의 수용이 가능한 수건 적재함(5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수건 적재함(55)은 도면과 같이 열풍건조장치(32) 등이 몸체(10) 하측에 마련될 경우, 열풍건조장치(32) 등을 양측에 배치하고 수건 적재함(55)은 그 사이 중심부로 두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건 적재함(55)을 중심에 배치할 경우, 수건 적재함(55)을 향해 각도를 조절하여 수건을 낙하시켜야 하는 수건 개기대(41) 등을 그 상측의 양측으로 배치할 수 있어 보다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몸체(10)의 형태나 다른 구성 부품들과의 간섭 등을 고려할 수 있고, 목적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한정되지는 않는다.
수건 적재함(55)은 몸체(10)로부터 탈거 가능하거나 전면에 적재함 개폐도어(미도시)를 마련하여 수건 개기대(41)가 수건 적재함(55)을 향해 각도를 조절하여 낙하시킴으로써 적재된 수건을 사용자가 쉽게 꺼내어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개기 기능을 갖는 수건 건조 장치는, 몸체(10) 내부에 형성된 열기 또는 습기를 배출하기 위한 공기 배출부(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공기 배출부(60)은 몸체(10)에 마련되는 다수의 배출공(미도시)으로 구성되거나, 몸체(10)에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배출팬(65)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공기 배출부(60)이 다수의 배출공일 경우 배출공은 몸체 곳곳에 마련될 수도 있고, 한 부분에 집약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다수의 배출공은 일부 또는 전체가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되어 열과 습기를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면에 제1 배출공 군이 형성되고, 타면에 제2 배출공 군이 형성되면, 각 군의 배출공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는 도어 등을 각기 마련하여 제1 배출공 군은 개방하고 제2 배출공 군은 폐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배출공이 20개 있다고 가정하면, 20개의 각 배출공에 도어 등을 각기 마련하여 12개는 열고, 8개는 폐쇄하는 등 각 배출공마다 개별적으로 개폐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열과 습기 조절을 보다 세밀하게 제어할 수가 있다.
한편, 공기 배출부(60)이 배출팬(65)으로 마련되고 배출팬(65)이 복수로 마련될 경우, 배출팬도 몸체(10) 곳곳에 마련될 수도 있고, 한 곳에 집약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개기 기능을 갖는 수건 건조 장치는, 온도감지센서(미도시) 및 락킹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온도감지센서는 몸체(1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구성되고, 락킹장치는 개폐도어(15)가 폐쇄된 상태에서 개폐도어(15)를 락킹(locking)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이들을 연계하여, 락킹장치가 온도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몸체 내부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 이하로 내려갔을 경우에만 언락킹(unlocking)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몸체(10) 내부에서 비교적 고온으로 형성되는 열기가 외부로 갑작스레 배출되어 화상 등을 입히거나, 실수로 개폐도어(15)를 개방하는 것 등을 방지할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개기 기능을 갖는 수건 건조 장치는, 자동으로 수건을 건조하면서 개어, 수건 사용이 많은 업소 등에서 매우 유용하게 쓰일 수 있으며, 가정에서도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개기 기능을 갖는 수건 건조 장치는, 심미적이고 고급스럽게 수건을 돌돌 말아 개는 방식으로써, 고급 서비스 업종에서도 사용이 용이하며, 나아가 사용된 수건인지 아닌지 쉽게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개기 기능을 갖는 수건 건조 장치는, 열기로 인해 화상 등을 방지하는 다양한 안전장치를 갖추어 사용자의 안전성을 확보한 장점이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 : 몸체
15 : 개폐도어
20 : 수건 거치부
21 : 수건 거치대
22 : 거치대 회전모터
30 : 수건 건조부
31 : 살균건조램프
32 : 열풍건조장치
40 : 수건 개기부
41 : 수건 개기대
42 : 개기대 회전모터
43 : 각도조절장치
44 : 수건 가이드핀
50 : 수건 적재부
55 : 수건 적재함
60 : 공기 배출부
65 : 배출팬
TW: 수건

Claims (10)

  1. 상면에 슬라이딩 또는 탈거 형태로 개폐도어를 구비하는 몸체;
    상기 몸체 내부 상측에 마련되며, 수건을 거치시키는 수건 거치부;
    상기 수건 거치부에 거치된 수건을 건조시키는 수건 건조부;
    상기 수건 거치부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수건 거치부로부터 건조된 수건을 전달 받고, 전달 받은 수건을 돌돌 말은 형태로 개는 수건 개기부 및
    상기 수건 개기부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수건 개기부로부터 개어진 수건이 전달되고, 전달된 수건이 적재되는 수건 적재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건 거치부는,
    환봉으로 구성되어 수건을 '∩'형태로 거치하며, 수건의 건조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습도센서 또는 수분센서가 마련되는 수건 거치대 및
    상기 수건 거치대를 회전시켜 수건을 하방으로 전달시키는 거치대 회전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수건 건조부는,
    상기 수건 거치부의 인접한 위치에 복수로 설치되어 수건 거치부에 거치된 수건을 살균 램프광으로 조사하며 살균 및 건조하는 살균건조램프 및
    상기 몸체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여 수건 거치부에 거치된 수건을 열풍으로 건조하는 열풍건조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습도센서 또는 수분센서는 건조완료신호를 거치대 회전모터로 전달하면 거치대 회전모터가 회전하도록 하고,
    상기 살균건조램프는 수건 거치대에 걸려진 수건을 열풍건조장치와 함께 이중으로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개기 기능을 갖는 수건 건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건 개기부는,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 사이에 해당되는 중앙부 일부가 절개되어 요(凹)형의 단면을 형성하며, 상기 수건 거치부로부터 전달되는 수건의 일단부가 개방된 중앙부에 삽입되는 수건 개기대;
    상기 수건 개기대의 개방된 중앙부에 수건의 일단부가 위치될 시 수건 개기대를 회전시켜 수건을 돌돌 마는 개기대 회전모터 및
    상기 개기대 회전모터에 의해 수건이 돌돌 말아지면 상기 수건 적재부를 향해 각도를 조절해 돌돌 말아진 수건을 낙하시키는 각도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자동 개기 기능을 갖는 수건 건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건 개기부는,
    상기 수건 개기대 상측에 설치되며, 수건 거치부에서 수건 개기대로 전달되는 수건이 중심을 관통하여 수건 개기대로 정확히 전달되도록 안내하는 중심부가 개방된'Y'형의 수건 가이드핀을 더 포함하는 자동 개기 기능을 갖는 수건 건조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건 적재부는,
    상측이 개방되어 내부는 수건의 수용이 가능한 수건 적재함을 포함하며,
    상기 수건 적재함은,
    상기 몸체로부터 탈거 가능하거나 전면에 적재함 개폐도어를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개기 기능을 갖는 수건 건조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내부에 형성된 열기 또는 습기를 배출하기 위한 공기 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자동 개기 기능을 갖는 수건 건조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부는,
    상기 몸체에 마련되는 다수의 배출공으로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배출공은 일부 또는 전체가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되어 열과 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개기 기능을 갖는 수건 건조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부는,
    상기 몸체에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배출팬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개기 기능을 갖는 수건 건조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 및
    상기 개폐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개폐도어를 락킹(locking)하는 락킹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락킹장치는,
    상기 온도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몸체 내부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 이하로 내려갔을 경우에만 언락킹(unlocking)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개기 기능을 갖는 수건 건조 장치.
KR1020210134375A 2021-10-08 2021-10-08 자동 개기 기능을 갖는 수건 건조 장치 KR102530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4375A KR102530595B1 (ko) 2021-10-08 2021-10-08 자동 개기 기능을 갖는 수건 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4375A KR102530595B1 (ko) 2021-10-08 2021-10-08 자동 개기 기능을 갖는 수건 건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0963A KR20230050963A (ko) 2023-04-17
KR102530595B1 true KR102530595B1 (ko) 2023-05-09

Family

ID=86128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4375A KR102530595B1 (ko) 2021-10-08 2021-10-08 자동 개기 기능을 갖는 수건 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059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8553A (ja) * 2004-02-04 2005-08-18 Takehiko Kakehi タオルの自動折り畳み供給装置
KR200445359Y1 (ko) * 2009-05-06 2009-07-23 손창용 수건의 건조 및 살균이 용이한 수건승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4268B1 (ko) * 1994-12-21 1998-10-01 구자홍 드럼 세탁기의 도어 열림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991782B1 (ko) * 2017-11-10 2019-10-01 주식회사 비온시이노베이터 옷을 자동으로 접어주는 기능과 살균 건조 기능을 갖춘 세탁물 보관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8553A (ja) * 2004-02-04 2005-08-18 Takehiko Kakehi タオルの自動折り畳み供給装置
KR200445359Y1 (ko) * 2009-05-06 2009-07-23 손창용 수건의 건조 및 살균이 용이한 수건승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0963A (ko) 2023-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55357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101667916B1 (ko) 푸시 앤 푸시 도어락 장치
US5870836A (en) Portable clothes dryer
US20130145648A1 (en) Filter guide having latch device of filter cover and clothes-drying machine using the same
CN104294529A (zh) 衣物处理设备
EP3000930B1 (en) Method of controlling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102530595B1 (ko) 자동 개기 기능을 갖는 수건 건조 장치
FR2931171A1 (fr) Seche-linge a vapeur et a souffle chaud, et son procede de commande.
NO168782B (no) Toerketrommel
KR101991782B1 (ko) 옷을 자동으로 접어주는 기능과 살균 건조 기능을 갖춘 세탁물 보관함
US8015727B2 (en) Dryer rack
KR20100096388A (ko) 건조기
KR101674170B1 (ko) 수건 건조기
KR100845843B1 (ko) 리프레쉬 장치
US10662572B2 (en) Clothes dryer
US20030084590A1 (en) Drying apparatus
US6266893B1 (en) Inverted bonnet hair dryer
KR200397164Y1 (ko) 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신발건조기
EP3415678A1 (en) Secondary drying chamber for a clothes dryer
US7191544B1 (en) Lint removal system
KR20170002886A (ko) 의류처리장치
KR20180121101A (ko) 접이식 수건건조장치
KR200425321Y1 (ko) 수건보관함
CN109402990B (zh) 衣物处理方法及衣物处理装置
KR20120133473A (ko) 의류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