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8949B1 - 상황에 따른 경보가 가능한 조립형 센서 - Google Patents

상황에 따른 경보가 가능한 조립형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8949B1
KR102528949B1 KR1020220163644A KR20220163644A KR102528949B1 KR 102528949 B1 KR102528949 B1 KR 102528949B1 KR 1020220163644 A KR1020220163644 A KR 1020220163644A KR 20220163644 A KR20220163644 A KR 20220163644A KR 102528949 B1 KR102528949 B1 KR 102528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alarm
level
prefabricated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3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현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퀘어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퀘어루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퀘어루트
Priority to KR1020220163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89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8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8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상황에 따른 경보가 가능한 조립형 센서는 조립형 센서가 설치되는 설치 공간의 환경 데이터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상기 환경 데이터를 PRS(Percentile Reinforcement Step Number) 상수로 변환하는 수치 변환부; 상기 PRS 상수의 범위에 따라 경보 수준을 설정하는 경보 설정부; 및 상기 경보 수준에 따라 상이한 강도의 경보를 자동으로 출력하는 자동 경보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는 상기 조립형 센서의 본체에 탈부착 가능하게 조립된다. 본 발명의 상황에 따른 경보가 가능한 조립형 센서를 통하여 외부 환경을 고려하여 경보 수준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상황에 따른 경보가 가능한 조립형 센서{ASSEMBLED SENSORS CAPABLE OF SITUATIONAL ALARMS}
본 발명은 조립형 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황에 따른 경보가 가능한 조립형 센서에 관한 것이다.
센서는 자연계에 존재하는 대상물의 정보를 측정해, 전기 신호로 바꾸는 장치를 의미한다. 최근 기술의 발달에 따라, 다양한 대상물의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센서들은 제품에 패키지 형태로 부착된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제품의 유지 관리 보수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생활에서 많이 사용되는 공기 청정기와 같은 장치는 공장에서 셋팅된 디폴트 값에 따라 단순히 LED 색깔을 바꾸는 정도의 환경 오염의 정도를 표시한다.
공기 청정기가 설치된 장소를 주로 이용하는 대상 연령층 또는 환자인지 중환자인지 등을 고려하여 환경 오염의 수준을 섬세하게 조절하여 제어하는 기능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또 다른 예로서, 가습기의 경우 외부 날씨가 쾌적한지 비가 오는지를 고려하여 자동으로 습도 조절을 하지 못하고, 단순히 공장에서 셋팅된 디폴트 값에 따라 수동으로 습도 조절 강도를 조절한다.
등록특허 공보 10-243734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황에 따른 경보가 가능한 조립형 센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 목적은, 상황에 따른 경보가 가능한 조립형 센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황에 따른 경보가 가능한 조립형 센서는,
상기 조립형 센서가 설치되는 설치 공간의 환경 데이터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상기 환경 데이터를 PRS(Percentile Reinforcement Step Number) 상수로 변환하는 수치 변환부;
상기 PRS 상수의 범위에 따라 경보 수준을 설정하는 경보 설정부; 및
상기 경보 수준에 따라 상이한 강도의 경보를 자동으로 출력하는 자동 경보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는 상기 조립형 센서의 본체에 탈부착 가능하게 조립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이산화탄소 센서, 미세 먼지 센서, 초 미세 먼지 센서, 휘발성 유기 화합물 센서, 및 소음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보 수준을 상기 설치 공간의 결정 인자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하는 자동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정 인자는 상기 조립형 센서가 설치된 장소를 이용하는 대상 고객의 평균 연령대, 상기 조립형 센서가 설치된 장소의 시설 유형, 상기 설치 공간의 외부의 대기 환경, 상기 설치 공간의 날씨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보 수준은 양호 단계, 주의 단계, 위험 단계로 구분되고, 상기 대상 고객이 영유아, 임산부 또는 노약자인 경우 또는 상기 시설 유형이 병원 또는 요양시설인 경우 상기 양호 단계의 경보 수준 및 상기 주의 단계의 경보 수준의 최저값은 높아지고, 상기 위험 단계의 경보 수준의 최고값은 높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동 제어부는 상기 경보 수준에 따라 상기 자동 경보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경보의 유형을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호 단계에서의 경보 유형은 LED의 그린색으로 표현되고,
상기 주의 단계에서의 경보 유형은 상기 LED의 주황색으로 표현되고, 추가로 주의 단계임을 알리는 경고 문자가 상기 조립형 센서의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발송되고,
상기 위험 단계에서의 경보 유형은 상기 LED의 빨간색으로 표현되고, 상기 경고 문자의 상기 사용자 단말로의 발송에 추가하여, 경고 알림음이 울리는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립형 센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 가능한 통신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험 단계에서의 경고 알림음이 울리게 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상황에 따른 경보가 가능한 조립형 센서를 이용하여, 조립형 센서가 설치된 위치의 주변 환경을 고려하여 경보 수준을 자동으로 제어하여 경고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황에 따른 경보가 가능한 조립형 센서는 센서가 설치되는 곳이 다중 시설인지, 노인 위주 시설인지, 아이 중심 시설인지를 고려하고, 주변(외부)의 대기 환경을 고려하거나 실시간 상황 산불 등을 고려하여 경보 수준을 자동으로 가변하여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황에 따른 경보가 가능한 조립형 센서는 경보 수준에 따라 경보 유형을 달리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상황에 따른 경보가 가능한 조립형 센서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상황에 따른 경보가 가능한 조립형 센서에 설치 가능한 다양한 센서를 이용한 실내 공기질 수집 항목의 측정주기, 단위 및 범위를 요약한 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상황에 따른 경보가 가능한 조립형 센서의 동작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각 분류의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 3a는 각 센서의 측정 예시값과 환산 수치의 레벨을 도시하고, 도 3b는 이산화탄소와 미세먼지에 대한 PRS(Percentile Reinforcement Step Number) 상수와 LED의 경보 출력 유형, 위험군을 표시하고, 도 3c는 위험군 분류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상황에 따른 경보가 가능한 조립형 센서의 네트워크 연결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 및/또는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또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상충되는 경우에는, 정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의 기재가 우선할 것이다.
도면에서 제안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기술한 "부"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단위 또는 블록을 의미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제1, 제2,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시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실시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상황에 따른 경보가 가능한 조립형 센서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황에 따른 경보가 가능한 조립형 센서(1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10 내지 150), 수치 변환부(191), 경보 설정부(192), 자동 경보 출력부(193), 자동 제어부(194), 통신 장치(170) 및 전원 장치(180)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110 내지 150)는 상황에 따른 경보가 가능한 조립형 센서(100)가 설치되는 설치 공간의 환경 데이터를 감지한다.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는 상황에 따른 경보가 가능한 조립형 센서(100)의 본체에 탈부착 가능하게 조립된다.
수치 변환부(191)는 환경 데이터를 PRS(Percentile Reinforcement Step Number) 상수로 변환한다.
경보 설정부(192)는 PRS 상수의 범위에 따라 경보 수준을 설정한다.
자동 경보 출력부(193)는 경보 수준에 따라 상이한 강도의 경보를 자동으로 출력한다.
자동 제어부(194)는 경보 수준을 설치 공간의 결정 인자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한다.
결정 인자는 상황에 따른 경보가 가능한 조립형 센서(100)가 설치된 장소를 이용하는 대상 고객의 평균 연령대, 조립형 센서가 설치된 장소의 시설 유형, 설치 공간의 외부의 대기 환경, 설치 공간의 날씨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일 예로서, 대상 고객의 평균 연령대는 일반, 청소년, 영-유아, 노약자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대상 고객의 분류는 임산부, 환자, 중-고 위험환자로 구분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조립형 센서가 설치된 장소의 시설 유형은 다중 시설인지, 노인 위주 시설인지, 아이 중심 시설인지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설치 공간의 외부의 대기 환경은 미세 먼지가 나쁘거나, 자외선 지수가 높은 것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일 예로서, 설치 공간의 날씨는 장마철, 바람이 강한 날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경보 수준은 3단계 : 양호 단계, 주의 단계, 및 위험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경보 수준은 5단계 : 양호 단계, 약간 양호 단계, 주의 단계, 약간 주의 단계 및 위험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황에 따른 경보가 가능한 조립형 센서(100)는, 대상 고객이 영유아, 임산부 또는 노약자인 경우 또는 시설 유형이 병원 또는 요양시설인 경우 양호 단계의 경보 수준 및 주의 단계의 경보 수준의 최저값은 높아지고, 상기 위험 단계의 경보 수준의 최고값은 높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자동 제어부(194)는 대상 고객이 보호대상자일 경우 양호 단계와 주의 단계의 범위는 좁아지고, 위험 단계의 범위는 넓어지도록 제어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자동 제어부(194)는 대상 고객이 청소년 및 장년인 경우 양호 단계와 주의 단계의 범위는 넓어지고, 위험 단계의 범위는 좁아지도록 제어된다
자동 제어부는 경보 수준에 따라 자동 경보 출력부(193)에서 출력되는 경보의 유형을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로서, 양호 단계에서의 경보 유형은 LED의 그린색으로 표현되고, 주의 단계에서의 경보 유형은 LED의 주황색으로 표현되고, 추가로 주의 단계임을 알리는 경고 문자가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발송된다.
위험 단계에서의 경보 유형은 LED의 빨간색으로 표현되고, 경고 문자의 사용자 단말로의 발송에 추가하여, 경고 알림음이 울리는 것을 포함한다.
상황에 따른 경보가 가능한 조립형 센서(100)는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위험 단계에서의 경고 알림음이 울리게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황에 따른 경보가 가능한 조립형 센서(100)가 설치된 장소의 사용자에게 경고 알림음의 볼륨을 높이도록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제어할 수 있다. 알림음의 볼륨을 높여서 노약자 등의 청력이 약한 사람들이 쉽게 위험 수준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체(160)는 센서의 프레임을 의미하며,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는 다른 장치들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 장치(170) 및 조립형 센서(100)에 부착된 센서들(110, 120, 130, 140, 150) 및 통신 장치(17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장치(1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 장치(170)는 시스템 서버(450)와 통신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과도 통신할 수 있다. 통신 장치(170)는 와이 파이, 블루투스 등이 가능하다.
상황에 따른 경보가 가능한 조립형 센서(1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본체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는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에 고정구 및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센서에 나사 홀 및 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센서를 탈부착하기 위한 모든 공지 기술이 적용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일례에 따라, 센서의 상부에 고정홈이 형성되고 센서의 하부에 고정구가 형성된 경우, 하부에 위치한 제1 센서의 제1 고정홈으로 상부에 위치한 제2 센서의 제2 고정구를 삽입함으로써, 제1 센서에 제2 센서가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에 위치한 제2 센서의 제2 고정구를 제1 센서의 제1 고정홈에서 분리함으로써, 제2 센서를 제1 센서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센서의 상부에 고정구가 형성되고 센서의 하부에 고정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가 탈부착 가능하게 됨으로써, 유지 보수 관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 즉, 조립형 센서에 부착되어 있는 일부의 센서의 고장 발생 시에도, 고장이 발생한 일부의 센서를 탈거함으로써, 쉽게 조립형 센서를 유지 보수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황에 따른 경보가 가능한 조립형 센서(100)에 탈부착될 수 있는 센서는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이산화탄소 센서, 미세 먼지 센서, 초 미세 먼지 센서, 진동 센서, 휘발성 유기 화합물 센서, 포름알데히드 센서, 일조량 센서 및 소음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센서일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의 범위가 예시된 센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자연계에 존재하는 대상물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정보라면, 어떠한 센서라도 상황에 따른 경보가 가능한 조립형 센서(100)에 탈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황에 따른 경보가 가능한 조립형 센서(100)는 측정 지역의 측정 정보를 측정하여, 측정 정보를 시스템 서버(45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황에 따른 경보가 가능한 조립형 센서(100)에 다양한 센서들이 부착됨으로써, 하나 이상의 측정 정보를 시스템 서버(45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상황에 따른 경보가 가능한 조립형 센서(100)는 제1 센서(50), 제2 센서(140), 제3 센서(130), 제4 센서(120) 및 제5 센서(110)를 포함한 일례를 도시한다.
센서들(110, 120, 130, 140, 150) 각각은 상술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이산화탄소 센서, 미세 먼지 센서, 초 미세 먼지 센서, 진동 센서, 휘발성 유기 화합물 센서, 포름알데히드 센서, 일조량 센서 및 소음 센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다양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라면 각 센서들은 중복되지 않게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일례에서도, 제1 센서(50)는 미세 먼지 센서 및 초 미세 먼지 센서이고, 제2 센서(140)는 포름알데히드 센서이고, 제3 센서(130)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 센서이고, 제4 센서(120)는 일조량 센서이고, 제5 센서(110)는 소음 센서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이산화탄소 센서, 미세 먼지 센서, 초 미세 먼지 센서, 휘발성 유기 화합물 센서, 및 소음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센서의 종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상황에 따른 경보가 가능한 조립형 센서에 설치 가능한 다양한 센서를 이용한 실내 공기질 수집 항목의 측정주기, 단위 및 범위를 요약한 표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황에 따른 경보가 가능한 조립형 센서를 이용한 실내 공기질 수집 항목은 실내 온도, 실내 습도, 이산화탄소,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VOC 및 소음 측정을 포함한다.
실내 공기질 수집 항목의 수집 주기는 1초 내지 1분의 범위 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상황에 따른 경보가 가능한 조립형 센서의 동작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각 분류의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 3a는 각 센서의 측정 예시값과 환산 수치의 레벨을 도시하고, 도 3b는 이산화탄소와 미세먼지에 대한 PRS(Percentile Reinforcement Step Number) 상수와 LED의 경보 출력 유형, 위험군을 표시하고, 도 3c는 위험군 분류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a는 각 센서의 측정 예시값과 환산 수치의 레벨을 도시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공기질 수집 환산 수치 단계는 실내 온도, 실내 습도, 이산화탄소,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VOC 및 소음 측정의 각 항목에 대하여 1 레벨에 5레벨로 구분된다.
도 3b는 이산화탄소와 미세먼지에 대한 PRS(Percentile Reinforcement Step Number) 상수와 LED의 경보 출력 유형, 위험군을 표시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산화탄소는 PRS 상수 1.0 내지 0.9는 양호 상태로 분류되고, 0.6는 약간 주의 상태로 분류되고, 0.3은 주의 상태로 분류된다.
약간 주의 상태에서 영-유아, 임산부, 노약자 (CP); 환자, 중-고 위험환자(MCP)군은 위험군으로 분류된다.
주의 상태에서는 영-유아, 임산부, 노약자 (CP); 환자, 중-고 위험환자(MCP)군 뿐만 아니라 일반, 청소년(N)군도 위험군으로 분류된다.
도 3c는 위험군 분류의 일 예를 보여준다.
일반, 청소년(N); 영-유아, 임산부, 노약자 (CP); 환자, 중-고 위험환자(MCP)로 분류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상황에 따른 경보가 가능한 조립형 센서의 네트워크 연결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황에 따른 경보가 가능한 조립형 센서(100)에 탈부착 가능한 임의의 센서는 4구 포트 형태의 이지 커넥터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황에 따른 경보가 가능한 조립형 센서(100)는 와이 파이, 블루투스 연결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를 통하여 시스템 서버(450)에 접속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황에 따른 경보가 가능한 조립형 센서(100)는 고향집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고향집에 계시는 어머니(410)는 임의의 센서의 위험 단계에서 LED 색깔을 통하여 공기질이 오염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
회사에서 일하는 아들(420) 및 서울집에 있는 딸(430)은 핸드폰의 앱을 통하여 어머니가 계시는 고향집의 공기질이 오염되었음을 알 수 있다.
공기질이 오염되었음을 인지하였을 때 고향집에 계시는 어머니(410)가 빨라 인지할 수 있도록 경고 알림음의 소리 볼륨을 최대로 조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 및/또는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장치들을 구현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50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컴퓨팅 장치(5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510), 버스(550), 통신 인터페이스(570), 프로세서(510)에 의하여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591)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530)와, 컴퓨터 프로그램(591)을 저장하는 스토리지(59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5에는 본 개시의 실시예와 관련 있는 구성 요소들 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개시가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도 5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 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컴퓨팅 장치(500)의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51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또는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510)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5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구비할 수 있다.
메모리(530)는 각종 데이터, 명령 및/또는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530)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스토리지(590)로부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591)을 로드 할 수 있다. 메모리(530)는 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나,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버스(550)는 컴퓨팅 장치(500)의 구성 요소 간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버스(550)는 주소 버스(Address Bus), 데이터 버스(Data Bus) 및 제어 버스(Control Bus) 등 다양한 형태의 버스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570)는 컴퓨팅 장치(500)의 유무선 인터넷 통신을 지원한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570)는 인터넷 통신 외의 다양한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570)는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통신 인터페이스(57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스토리지(590)는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591)과 각종 데이터를 비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590)는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또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591)은 메모리(530)에 로드 될 때 프로세서(510)로 하여금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51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자들이 수행한 다양한 실시예 가운데 몇 개의 예만을 들어 설명하는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8)

  1. 상황에 따른 경보가 가능한 조립형 센서로서,
    상기 조립형 센서가 설치되는 설치 공간의 환경 데이터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상기 환경 데이터를 PRS(Percentile Reinforcement Step Number) 상수로 변환하는 수치 변환부;
    상기 PRS 상수의 범위에 따라 경보 수준을 설정하는 경보 설정부;
    상기 경보 수준에 따라 상이한 강도의 경보를 자동으로 출력하는 자동 경보 출력부; 및
    상기 경보 수준을 상기 설치 공간의 결정 인자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하는 자동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는 상기 조립형 센서의 본체에 탈부착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이산화탄소 센서, 미세 먼지 센서, 초 미세 먼지 센서, 휘발성 유기 화합물 센서, 및 소음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결정 인자는 상기 조립형 센서가 설치된 장소를 이용하는 대상 고객의 평균 연령대, 상기 조립형 센서가 설치된 장소의 시설 유형, 상기 설치 공간의 외부의 대기 환경, 상기 설치 공간의 날씨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경보 수준은 양호 단계, 주의 단계, 위험 단계로 구분되되,
    상기 조립형 센서를 구성하는 제1 센서와 상기 제1 센서와 상이한 제2 센서의 양호 단계, 주의 단계, 위험 단계의 상기 PRS 상수의 범위는 상이하고,
    상기 대상 고객이 영유아, 임산부 또는 노약자인 경우 또는 상기 시설 유형이 병원 또는 요양시설인 경우 상기 양호 단계의 경보 수준 및 상기 주의 단계의 경보 수준의 상기 PRS 상수의 최저값은 높아지고, 상기 위험 단계의 경보 수준의 상기 PRS 상수의 최고값은 높아지고,
    상기 자동 제어부는 상기 경보 수준에 따라 상기 자동 경보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경보의 유형을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양호 단계에서의 경보 유형은 LED의 그린색으로 표현되고,
    상기 주의 단계에서의 경보 유형은 상기 LED의 주황색으로 표현되고, 추가로 주의 단계임을 알리는 경고 문자가 상기 조립형 센서의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발송되고,
    상기 위험 단계에서의 경보 유형은 상기 LED의 빨간색으로 표현되고, 상기 경고 문자의 상기 사용자 단말로의 발송에 추가하여, 경고 알림음이 울리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조립형 센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 가능한 통신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험 단계에서의 경고 알림음이 울리게 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제어되되,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조립형 센서가 설치된 상기 설치 공간으로부터 원격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에 따른 경보가 가능한 조립형 센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20163644A 2022-11-30 2022-11-30 상황에 따른 경보가 가능한 조립형 센서 KR102528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3644A KR102528949B1 (ko) 2022-11-30 2022-11-30 상황에 따른 경보가 가능한 조립형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3644A KR102528949B1 (ko) 2022-11-30 2022-11-30 상황에 따른 경보가 가능한 조립형 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8949B1 true KR102528949B1 (ko) 2023-05-03

Family

ID=86380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3644A KR102528949B1 (ko) 2022-11-30 2022-11-30 상황에 따른 경보가 가능한 조립형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894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8100A (ko) * 2017-06-19 2018-12-28 박지현 실내 환경 모니터링 센서 장치
KR20200085482A (ko) * 2019-01-07 2020-07-15 주식회사 스마트시티그리드 실내 주요 환경변화에 따른 공기질 정보 제공 장치
KR20210083592A (ko) * 2019-12-27 2021-07-07 주식회사 세스코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시스템
KR102437341B1 (ko) 2021-06-08 2022-08-29 주식회사 스퀘어루트 조립형 센서를 이용한 환경 정보 수집 및 분석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8100A (ko) * 2017-06-19 2018-12-28 박지현 실내 환경 모니터링 센서 장치
KR20200085482A (ko) * 2019-01-07 2020-07-15 주식회사 스마트시티그리드 실내 주요 환경변화에 따른 공기질 정보 제공 장치
KR20210083592A (ko) * 2019-12-27 2021-07-07 주식회사 세스코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시스템
KR102437341B1 (ko) 2021-06-08 2022-08-29 주식회사 스퀘어루트 조립형 센서를 이용한 환경 정보 수집 및 분석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91213B2 (en) Smart-home device installation guidance
US10619873B2 (en) Intelligent ventilation system
US10521722B2 (en) Disturbance detection, predictive analysis, and handling system
KR20120126705A (ko) 시설물 환경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US2018003525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forcing wireless regulatory compliance
KR102528949B1 (ko) 상황에 따른 경보가 가능한 조립형 센서
Oturak et al. A cost-effective IoT based smart home application
CN205246129U (zh) 一种室内环境检测报警设备
EP3376174B1 (en) Environmental sensor
US20230104639A1 (en) System and method for notifying detection of vaping, smoking, or potential bullying
KR200428098Y1 (ko) 이더넷통신기반 벽 탁상형 웹 맞춤정보 단말장치
EP4150251A1 (en) Selecting a sensor data processing method in accordance with a type of a lighting device
CN105487425A (zh) 一种基于avr单片机的智能建筑感知系统
KR20070115147A (ko) 이더넷통신기반 벽 탁상형 웹 맞춤정보 단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