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8883B1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8883B1
KR102528883B1 KR1020180012355A KR20180012355A KR102528883B1 KR 102528883 B1 KR102528883 B1 KR 102528883B1 KR 1020180012355 A KR1020180012355 A KR 1020180012355A KR 20180012355 A KR20180012355 A KR 20180012355A KR 102528883 B1 KR102528883 B1 KR 102528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roller
housing
display devic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2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2980A (ko
Inventor
강승규
표종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2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8883B1/ko
Publication of KR20190092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2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8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8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5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ortable display standar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68Modular articulated structures, e.g. stands, and articulation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에 대해 승강하는 커버;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가 승강하는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변을 마주하는 레일; 그리고, 상기 커버에 결합되고, 상기 일변에 인접하여, 상기 레일을 따라 구르는 롤러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유기 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비하여 휘도 특성 및 시야각 특성이 우수하고 백라이트 유닛을 필요로 하지 않아 초박형으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는 하우징에 수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상하로 승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를 승강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부를 필요한 만큼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부를 안정적으로 승강시키는 것이 문제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리드스크류를 디스플레이부를 승강시키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부가 전방으로 기울지 않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부가 안정적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레일을 따라 구르는 롤러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부가 안정적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롤러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부가 안정적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을 지지하는 슬라이드 및 레일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에 대해 승강하는 커버;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가 승강하는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변을 마주하는 레일; 그리고, 상기 커버에 결합되고, 상기 일변에 인접하여, 상기 레일을 따라 구르는 롤러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일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제1 빔;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빔과 대향하는 제2 빔; 그리고, 상기 제1 빔과 상기 제2 빔 사이에 형성되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롤러 어셈블리는: 상기 홈을 따라 구르는 제1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 어셈블리는: 상기 제1 롤러와 이격되고, 상기 홈을 따라 구르는 제2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 어셈블리는: 상기 제1 빔을 따라 구르는 제3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빔은,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3 롤러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롤러 어셈블리는: 상기 제2 빔을 따라 구르는 제4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빔은,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4 롤러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하우징의 일 측면에 설치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 어셈블리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돌출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롤러 어셈블리는: 상기 커버에 체결되고,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2 롤러가 고정되는 제1 바디; 그리고, 상기 제1 바디에 체결되고, 상기 제3 롤러와 상기 제4 롤러가 고정되는 제2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 어셈블리는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일 측과 타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하우징의 일 측면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5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5 롤러는, 상기 커버의 일 측과 마찰됨으로써 구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커버의 전면에 결합되는 제1 슬라이드; 그리고, 상기 커버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커버가 승강하는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제2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슬라이드는, 상기 제2 레일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레일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1 마운트;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레일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2 마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커버의 후면에 결합되는 제2 슬라이드; 그리고, 상기 커버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커버가 승강하는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슬라이드는, 상기 바를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바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3 마운트;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설치되고, 상기 바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4 마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커버가 승강하는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리드스크류; 상기 커버에 결합되고, 상기 리드스크류를 따라 움직이는 제3 슬라이드; 그리고,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리드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모터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커버의 전면에 결합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플레이트의 상측으로 이격되고, 상기 커버의 전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슬라이드는, 상기 플레이트의 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상면은 제1 홀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커버는 상기 제1 홀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커버의 후면에 설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타이밍컨트롤러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상면은 제2 홀을 포함하고, 상기 타이밍컨트롤러보드는, 상기 커버가 승강함에 따라, 상기 제2 홀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의 후면을 마주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는 전자기판; 그리고, 상기 타이밍컨트롤러보드와 상기 전자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리드스크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를 승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가 전방으로 기울지 않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에 결합되고 레일을 따라 구르는 롤러를 구비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가 안정적으로 승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는 하우징에 포함된 롤러에 의해 가이드됨으로써, 안정적으로 승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을 지지하는 슬라이드 및 레일을 구비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가 안정적으로 승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2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동일한 참조 번호에 대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특정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설명하더라도, 필요한 경우, 상기 특정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참조 번호를 언급할 수 있으며, 상기 특정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참조 번호는, 나머지 도면에 상기 참조 번호가 나타난 경우에 한하여 사용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A, B, (a), (b), 상측, 하측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구성요소가 제2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장착’, ‘체결’, ‘접촉’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제1 구성요소가 제2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장착’, ‘체결’, ‘접촉’ 또는 ‘접속’ 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은 물론, 제3 구성요소가 제1 구성요소와 제2 구성요소 사이에 ‘연결’, ‘결합’, ‘장착’, ‘체결’, ‘접촉’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높이, 길이, 너비, 폭 등의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혼용될 수 있으며,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부(20)와 하우징(3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는 디스플레이 패널 어셈블리(20)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20)이라고 칭할 수 있다. 하우징(30)은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는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3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는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30)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하우징(3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제1 방향(DR1), +x축 방향, -x축 방향,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x축 방향은 우측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x축 방향은 좌측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가 화면을 표시하는 방향을 +z축 방향 또는 전방이라고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가 화면을 표시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을 -z축 방향 또는 후방이라고 할 수 있다. 제3 방향(DR3)은 +z축 방향 또는 -z축 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높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제2 방향(DR2), +y축 방향, -y축 방향,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y축 방향은 상측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y축 방향은 하측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제 3 방향(Third Direction, DR3)은 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에 수직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1 방향(DR1)과 제2 방향(DR2)을 통칭하여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제3 방향(DR3)은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이라고 할 수 있다.
좌우 방향(LR)은 제1 방향(DR1)과 평행할 수 있고, 상하 방향(UD)은 제2 방향(DR2)과 평행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0)는 하우징(3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가 하우징(30) 외부로 노출되는 정도는 필요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0)은 플렉서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유기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10)에 대해 유기 표시 패널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액정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계 방출 표시 패널(Field Emission Display, FED)도 적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이미지를 표시하는 전면을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전면과 대향하는 후면을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전면은 광 투과성 재질로 덮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투과성 재질은 유리, 수지 또는 플라스틱일 수 있다.
커버는(12)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면에 결합, 체결 또는 부착될 수 있다. 커버(12)는 플레이트(12), 모듈 커버(12), 디스플레이 패널 커버(12), 패널 커버(12)라고 칭할 수 있다. 플레이트(11)는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12)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면에 부착되는 경우, 커버(12)와 디스플레이 패널(10) 사이에 접착층(AD)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12)는 디스플레이 패널(10)보다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바(11)는 강성바(11) 또는 플레이트(11)라고 칭할 수 있다. 바(11)는 커버(12)의 전면에 결합될 수 있다. 바(11)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바(12)는 커버(12)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바(11)는 디스플레이 패널(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전자기판(13)은 커버(12)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전자기판(13)은 PCB(13), 회로기판(13), 기판(13), 보드(13) 또는 타이밍컨트롤러보드(timing controller board, 13)라고 칭할 수 있다. 전자기판(13)은 커버(12)의 중앙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서브커버(14)는 커버(12)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서브커버(14)는 커버(14)라고 칭할 수 있다. 서브커버(14)는 전자기판(13)을 커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는 디스플레이 패널(10), 커버(12), 바(11), 접착층(AD), 전자기판(13) 및 서브커버(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베이스(31)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31)는 커버(31), 밑면(31), 바텀(31) 또는 바텀커버(31)라고 칭할 수 있다. 베이스(31)는 빔(31B)을 포함할 수 있다. 빔(31B)은 프레스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빔(31B)은 베이스(31)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홀(31C, 31D, 31E, 31F, 31G, 31H, 31I)은 베이스(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할 수 있다.
사이드커버(32, 33)는 좌측커버(32)와 우측커버(33)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커버(32, 33)는 커버(32, 33)라고 칭할 수 있다. 사이드커버(32, 33)는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고,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일 수 있다. 사이드커버(32, 33)는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연결부재(35)는 사이드커버(32, 33)와 베이스(31)가 형성하는 코너에 위치할 수 있다. 연결부재(35)는 사이드커버(32, 33)와 베이스(31)에 연결될 수 있다. 레일(260)은 사이드커버(32, 33)의 내측에 연결될 수 있다. 레일(260)은 y축과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
탑커버(35)는 베이스(31)와 마주할 수 있다. 탑커버(35)는 상부커버(35) 또는 커버(35)라고 칭할 수 있다. 탑커버(35)는 일측이 우측커버(33)의 상측과 연결되고, 타측이 좌측커버(32)의 상측과 연결될 수 있다. 탑커버(35)는 베이스(31)보다 면적이 작을 수 있다. 탑커버(35)는 홀(34A, 34B)를 포함할 수 있다. 홀(34A)은 탑커버(35)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홀(34B)은 탑커버(35)의 중앙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고, 홀(34A)에 연결될 수 있다. 홀(34C, 34D, 34E, 34F, 34G, 34H, 34I)은 탑커버(35)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할 수 있다.
하우징(30)은 베이스(31), 사이드커버(32, 33), 탑커버(3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0)은 커버(30) 또는 케이스(30)라고 칭할 수 있다.
우측커버(33)는 빔(33B)을 포함할 수 있다. 빔(33B)은 프레스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빔(33B)은 우측커버(33)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홈(36)은 우측커버(33)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롤러(35)는 홈(36)에 위치할 수 있다. 롤러(35)는 디스플레이부(20)의 측면과 접할 수 있다. 롤러(35)는 디스플레이부(20)가 z축에 대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좌측커버(32)는 우측커버(33)와 대칭을 이루도록 빔 또는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0)는 하우징에 수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의 일부는 하우징(3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는 제1 홀(34A) 또는 제2 홀(34B)을 통해 상하로 승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가 승강함에 따라, 서브커버(14)는 제2 홀(34B)을 통과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의 전면은 전방을 향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마운트(131, 132)는 홀(31C, 34C)에 설치될 수 있다. 리드스크류(130)는 상단과 하단이 마운트(131, 132)에 결합될 수 있다. 리드스크류(130)는 볼스크류(130)라고 칭할 수 있다. 리드스크류(130)는 y축과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 풀리(133)는 리드스크류(130)에 결합될 수 있다. 풀리(133)는 리드스크류(130)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마운트(111)는 베이스(31)에 설치될 수 있다. 마운트(111)는 리드스크류(130)와 인접할 수 있다. 모터어셈블리(110)는 마운트(111)에 체결될 수 있다. 풀리(113)는 모터어셈블리(110)의 구동축에 결합될 수 있다. 풀리(113)는 모터어셈블리(110)의 구동축과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풀리(113, 133)는 벨트(112)로 맞물릴 수 있다. 리드스크류(130)는 모터어셈블리(110)가 구동됨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슬라이드(120)는 풀리(133)와 마운트(13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슬라이드(120)는 제1 바디(121) 또는 제2 바디(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121)는 제1 파트(121a) 또는 제2 파트(12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트(121a)는 디스플레이부(20)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파트는(122b)는 제1 파트(121a)의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바디(122)는 제3 파트(122a) 또는 제4 파트(122b)를 포함할 수 있다. 나사산은 제3 파트(122a)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파트(122a)는 리드스크류(130)에 맞물릴 수 있다. 리드스크류(130)는 제3 파트(122a)를 관통할 수 있다. 제4 파트(122b)는 제3 파트(122a)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파트(121b)는 제4 파트(122b)에 체결될 수 있다. 제3 파트(122a)는 제2 파트(121b)를 관통할 수 있다. 슬라이드(120)는 리드스크류(13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모터어셈블리(110)의 구동축은 기어와 결합할 수 있다. 리드스크류(130)는 기어와 결합할 수 있다. 모터어셈블리(110)의 기어는 리드스크류(130)의 기어와 직접 맞물릴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마운트(141, 142)는 홀(31D, 34D)에 설치될 수 있다. 바(140)는 상단과 하단이 마운트(141, 142)에 결합될 수 있다. 바(140)는 샤프트(140), 가이드(140), 가이드바(140), 가이드샤프트(140)라고 칭할 수 있다. 바(140)는 y축과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 슬라이드(150)는 마운트(141, 14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슬라이드(150)는 제1 바디(151) 또는 제2 바디(1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151)는 제1 파트(151a) 또는 제2 파트(15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트(151a)는 디스플레이부(20)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파트(151b)는 제1 파트(151a)의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바디(152)는 제3 파트(152a) 또는 제4 파트(15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파트(152a)는 바(140)에 맞물릴 수 있다. 바(140)는 제3 파트(152a)를 관통할 수 있다. 제4 파트(152b)는 제3 파트(152a)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파트(151b)는 제4 파트(152b)에 체결될 수 있다. 제3 파트(152a)는 제2 파트(151b)를 관통할 수 있다. 슬라이드(150)는 바(14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마운트(161, 162)는 홀(31E, 34E)에 설치될 수 있다. 바(160)는 상단과 하단이 마운트(161, 162)에 결합될 수 있다. 바(160)는 샤프트(160), 가이드(160), 가이드바(160), 가이드샤프트(160)라고 칭할 수 있다. 바(160)는 y축과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 슬라이드(170)는 마운트(161, 16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슬라이드(170)는 제1 바디(171) 또는 제2 바디(17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171)는 디스플레이부(20)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바디(172)는 바(160)에 맞물릴 수 있다. 바(160)는 제2 바디(172)를 관통할 수 있다. 제1 바디(171)는 제2 바디(172)에 체결될 수 있다. 제2 바디(172)는 제1 바디(171)를 관통할 수 있다. 슬라이드(170)는 바(16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바(150, 160)은 리드스크류(130)에 대해 대칭일 수 있다. 슬라이드(150, 170)는 리드스크류(130)에 대해 대칭일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마운트(411, 421)는 탑커버(34)의 하면에 체결될 수 있다. 마운트(411, 421)는 마운트(141, 131, 16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브라켓(414, 424)은 디스플레이부(20)의 후면에 체결될 수 있다. 브라켓(414, 424)은 슬라이드(150, 17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회전축은 마운트(411)에 체결될 수 있다. 스프링(410, 420)은 마운트(411, 421)에 체결될 수 있다. 스프링(410)은 회전축에 감길 수 있다. 스프링(410, 420)은 회전축에 감기는 제1 파트(412, 422)와 브라켓(414, 424)에 체결되는 제2 파트(413, 4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파트(413, 423)는 디스플레이부(20)의 후면을 마주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가 상승하면, 스프링(410, 420)은 디스플레이부(20)를 상측으로 당길 수 있다. 스프링(410, 420)은 디스플레이부(20)의 상승 시, 모터어셈블리(110)의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스프링(410, 420)은 디스플레이부(20)의 하강 시, 디스플레이부(20)가 자체 무게로 인해 급격히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결합돌기(11a)는 플레이트(11)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11a)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슬라이드(180, 190)는 플레이트(11)에 설치될 수 있다. 슬라이드(180, 190)는 체결부재(S)를 통해 결합돌기(11a)에 체결될 수 있다. 제1 파트(180a)는 플레이트(11)의 전면과 접촉할 수 있다. 제2 파트(180b)는 제1 파트(180a)의 좌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파트(180c)는 제1 파트(180a)의 우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4 파트(180d)는 제1 파트(180a)의 중앙에서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파트(180b)와 제3 파트(180c)는 제4 파트(180d)에 대해 대칭일 수 있다. 체결부재(S)는 제2 파트(180b) 및 제1 파트(180a)를 관통하여 결합돌기(11a)에 체결될 수 있다. 체결부재(S)는 제3 파트(180c) 및 제1 파트(180a)를 관통하여 결합돌기(11a)에 체결될 수 있다. 제5 파트(180e)는 제4 파트(180d)에서 좌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6 파트(180f)는 제4 파트(180d)에서 우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4 파트(180d), 제5 파트(180e) 및 제6 파트(180f)를 통칭하여 블럭(180g), 가이드블럭(180g), 레일가이드블럭(180g)이라고 칭할 수 있다. 슬라이드(180, 190)는 리드스크류(130)에 대해 대칭일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마운트(182, 192)는 탑커버(34)에 체결될 수 있다. 마운트(183, 193)는 베이스(31)에 체결될 수 있다. 레일(181, 191)은 좌측 레일(181)과 우측 레일(191)을 포함할 수 있다. 좌측 레일(181)은 마운트(182, 183)에 결합될 수 있다. 우측 레일(191)은 마운트(192, 193)에 결합될 수 있다. 레일(181, 191)은 슬라이드(180, 190)와 맞물릴 수 있다. 레일(181, 191)은 y축과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 슬라이드(180, 190)는 레일(181, 19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드(180, 190) 또는 레일(181, 191)이 없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0)는 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슬라이드(180, 190) 또는 레일(181, 191)이 없이 디스플레이부(20)가 승강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0)는 전방으로 기울어지거나, 앞뒤로 흔들릴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슬라이드(180, 190) 및 레일(181, 191)을 구비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의 승강 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슬라이드(180, 190) 및 레일(181, 191)을 구비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2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슬라이드(181g)는 레일(182)에 맞물릴 수 있다. 제7 파트(182a)는 제5 파트(181e) 또는 제6 파트(181f)와 마주할 수 있다. 제7 파트(182a)는 제5 파트(181e) 또는 제6 파트(181f)와 접촉할 수 있다. 홈(182b)은 제7 파트(182a)에 형성될 수 있다. 홈(182b)은 레일(182)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체결부재(S)는 홈(182b)에 위치할 수 있고, 레일(182)과 마운트(183)를 체결할 수 있다. 제8 파트(182c)는 제7 파트(182a)의 좌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9 파트(182d)는 제8 파트(182c)에서 우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8 파트(182c)와 제9 파트(182d)는 제5 파트(181e)를 감쌀 수 있다. 제5 파트(181e)는 제7 파트(182a)와 제9 파트(182d) 사이에 맞물릴 수 있다. 제10 파트(182e)는 제7 파트(182a)의 우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1 파트(182f)는 제10 파트(182e)에서 좌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0 파트(182e)와 제11 파트(182f)는 제6 파트(181f)를 감쌀 수 있다. 제6 파트(181f)는 제7 파트(182a)와 제11 파트(182f) 사이에 맞물릴 수 있다. 제4 파트(181d)는 제9 파트(182d)와 제11 파트(182f)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마운트(183)는 레일(182)을 감쌀 수 있다. 마운트(183)는 제12 파트(183b) 또는 제13 파트(183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2 파트(183b)는 제7 파트(182a), 제8 파트(182c) 또는 제10 파트(182e)를 감쌀 수 있다. 제13 파트(183a)와 베이스(31)는 체결부재(S)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바(430, 440)는 사이드커버(32, 33)에 설치될 수 있다. 바(430, 440)는 상하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스피커(450)는 바(430, 440)에 체결될 수 있다. 스피커(450)는 전방으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1 파트(211)는 y축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파트(211)는 복수의 홀(211a, 21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파트(212)는 제1 파트(211)의 후단에서 좌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파트(213)는 제1 파트(211)의 전단에서 좌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파트(212)와 제3 파트(213)는 마주할 수 있다. 제2 파트(212)와 제3 파트(213)는 제1 파트(211)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파트(212)는 홀(212a)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파트(213)는 홀(213a)을 포함할 수 있다. 홀(212a, 212b)은 마주할 수 있다. 제2 파트(212)는 전방으로 연장되는 돌기(21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파트(214)는 제2 파트(212)의 아래로 이격될 수 있다. 제4 파트(214)는 제1 파트(211)의 후단에서 좌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5 파트(215)는 제3 파트(213)의 아래로 이격될 수 있다. 제5 파트(215)는 제1 파트(211)의 후단에서 좌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6 파트(216)는 제4 파트(214)의 아래로 이격될 수 있다. 제6 파트(216)는 제1 파트(211)의 후단에서 좌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7 파트(217)는 제5 파트(215)의 아래로 이격될 수 있다. 제7 파트(217)는 제1 파트(211)의 전단에서 좌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6 파트(216)와 제7 파트(217)는 마주할 수 있다. 제6 파트(216)와 제7 파트(217)는 제1 파트(211)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6 파트(216)는 홀(216a)을 포함할 수 있다. 제7 파트(217)는 홀(217a)을 포함할 수 있다. 홀(216a, 217a)은 마주할 수 있다. 제7 파트(217)는 전방으로 연장되는 돌기(217b)를 포함할 수 있다.
제8 파트(218a)는 제1 파트(211)의 후단에서 우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8 파트(218a)는 제2 파트(212)와 제4 파트(214) 사이에서 우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9 파트(218b)는 제8 파트(218a)의 우측에 연결될 수 있다. 제9 파트(218b)는 홀(218g)을 포함할 수 있다. 제10 파트(218e)는 제1 파트(211)의 후단에서 우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0 파트(218e)는 제4 파트(214)와 제6 파트(216) 사이에서 우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1 파트(218d)는 제10 파트(218e)의 우측에 연결될 수 있다. 제11 파트(218d)는 홀(218f)을 포함할 수 있다. 제12 파트(218c)는 제9 파트(218b)와 제11 파트(218d)를 연결할 수 있다.
제13 파트는 제1 파트(211)의 전단에서 우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3 파트는 제3 파트(213)와 제5 파트(215) 사이에서 우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3 파트는 제1 파트(211)에 대해 제8 파트(218a)와 대칭일 수 있다. 제14 파트(219b)는 제13 파트의 우측에 연결될 수 있다. 제14 파트(219b)는 홀(219g)을 포함할 수 있다. 제14 파트(219b)는 제1 파트(211)에 대해 제9 파트(218b)와 대칭일 수 있다. 제15 파트는 제1 파트(211)의 전단에서 우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5 파트는 제5 파트(215)와 제7 파트(217) 사이에서 우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6 파트(219d)는 제15 파트의 우측에 연결될 수 있다. 제16 파트(219d)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제16 파트(219d)는 제1 파트(211)에 대해 제11 파트(218d)와 대칭일 수 있다. 제17 파트(219c)는 제14 파트(219b)와 제16 파트(219d)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바디(210)는 제1 파트(211) 내지 제17 파트(219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롤러(220)는 제9 파트(218b)와 제14 파트(219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롤러(220)는 휠(220)이라고 칭할 수 있다. 핀(221)은 롤러(220) 및 홀(218g, 219g)을 통과할 수 있다. 핀(221)은 축(221) 또는 회전축(221)이라고 칭할 수 있다. 고정부재(222, 223, 도 17 참조)는 핀(221)을 z축 방향으로 구속시킬 수 있다. 롤러(220)는 핀(221)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롤러(230)는 제11 파트(218d)와 제16 파트(219d)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롤러(230)는 휠(230)이라고 칭할 수 있다. 핀(231)은 롤러(230) 및 홀(218f, 219f)을 통과할 수 있다. 핀(231)은 축(231) 또는 회전축(231)이라고 칭할 수 있다. 고정부재(232)는 핀(231)을 z축 방향으로 구속시킬 수 있다. 롤러(230)는 핀(231)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롤러(220, 230)는 우레탄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롤러(220, 230)는 우레탄 재질을 포함함으로써, 롤링 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1 파트(241)는 체결부재를 통해 제1 파트(211)의 상부에 체결될 수 있다. 제1 파트(241)는 제1 파트(211)의 우측에 체결될 수 있다. 제1 파트(241)는 z축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 파트(242)는 제1 파트(241)의 후단에서 우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파트(243)는 제2 파트(242)의 우측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파트(242)는 홀(243a)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파트(244)는 제3 파트(243)의 후단에서 우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5 파트(245)는 제4 파트(244)의 우측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5 파트(245)는 홀(245a)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파트(243)와 제5 파트(245)는 마주할 수 있다. 홀(243a, 245a)은 마주할 수 있다.
제6 파트(246)는 제1 파트(241)의 전단에서 우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6 파트(246)는 제1 파트(241)에 대해 제2 파트(242)와 대칭일 수 있다. 제7 파트(247)는 제6 파트(246)의 우측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7 파트(247)는 홀(247a)을 포함할 수 있다. 제7 파트(247)는 제1 파트(241)에 대해 제3 파트(243)와 대칭일 수 있다. 제8 파트(248)는 제7 파트(247)의 전단에서 우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8 파트(248)는 제1 파트(241)에 대해 제4 파트(244)와 대칭일 수 있다. 제9 파트(249)는 제8 파트(248)의 우측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9 파트(249)는 홀(249a)을 포함할 수 있다. 제9 파트(249)는 제1 파트(241)에 대해 제5 파트(245)와 대칭일 수 있다. 제7 파트(247)와 제9 파트(249)는 마주할 수 있다. 홀(247a, 249a)은 마주할 수 있다. 제10 파트(240h)는 제3 파트(243)에서 돌출되고, 좌측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11 파트(240g)는 제7 파트(247)에서 돌출되고, 좌측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바디(240)는 제1 파트(241) 내지 제11 파트(249g)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디(240)는 제1 바디(210)에 대해 대칭일 수 있다. 제2 바디(240)는 스프링(240)으로 칭할 수 있다. 제2 바디(240)는 탄성이 높은 재질일 수 있다. 제2 바디(240)는 탄성이 높은 금속 재질일 수 있다.
제1 파트(251)는 체결부재를 통해 제1 파트(211)의 하부에 체결될 수 있다. 제1 파트(251)는 제1 파트(211)의 우측에 체결될 수 있다. 제1 파트(251)는 z축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 파트(252)는 제1 파트(251)의 후단에서 우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파트(253)는 제2 파트(252)의 우측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파트(252)는 홀(253a)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파트(254)는 제3 파트(253)의 후단에서 우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5 파트(255)는 제4 파트(254)의 우측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5 파트(255)는 홀(255a)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파트(253)와 제5 파트(255)는 마주할 수 있다. 홀(253a, 255a)은 마주할 수 있다.
제6 파트는 제1 파트(241)의 전단에서 우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6 파트는 제1 파트(251)에 대해 제2 파트(252)와 대칭일 수 있다. 제7 파트는 제6 파트(256)의 우측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7 파트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제7 파트는 제1 파트(251)에 대해 제3 파트(253)와 대칭일 수 있다. 제8 파트는 제7 파트의 전단에서 우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8 파트는 제1 파트(251)에 대해 제4 파트(254)와 대칭일 수 있다. 제9 파트(259)는 제8 파트의 우측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9 파트(259)는 홀(259a)을 포함할 수 있다. 제9 파트(259)는 제1 파트(251)에 대해 제5 파트(255)와 대칭일 수 있다. 제7 파트와 제9 파트(249)는 마주할 수 있다. 제7 파트의 홀과 제9 파트(259)의 홀(259a)은 마주할 수 있다. 제10 파트(250d)는 제3 파트(253)에서 돌출되고, 좌측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11 파트는 제7 파트에서 돌출되고, 좌측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3 바디(250)는 제1 파트(251) 내지 제11 파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바디(250)는 제1 바디(210)에 대해 대칭일 수 있다. 제3 바디(250)는 스프링(250)으로 칭할 수 있다. 제3 바디(250)는 탄성이 높은 재질일 수 있다. 제3 바디(250)는 탄성이 높은 금속 재질일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롤러(240a)는 제3 파트(243)와 제5 파트(245)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롤러(240a)는 휠(240a)이라고 칭할 수 있다. 핀(240b)은 롤러(240a) 및 홀(243a, 245a)을 통과할 수 있다. 핀(240b)은 축(240b), 회전축(240b)이라고 칭할 수 있다. 고정부재(240c, 240i, 도 17 참조)는 핀(240b)을 z축 방향으로 구속시킬 수 있다. 롤러(240a)는 핀(240b)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롤러(240d)는 제7 파트(247)와 제9 파트(249)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롤러(240d)는 휠(240d)이라고 칭할 수 있다. 핀(240e)은 롤러(240d) 및 홀(247a, 249a)을 통과할 수 있다. 핀(240e)은 축(240e), 회전축(240e)이라고 칭할 수 있다. 고정부재(240f, 240j, 도 17 참조)는 핀(240e)을 z축 방향으로 구속시킬 수 있다. 롤러(240d)는 핀(240e)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롤러(250a)는 제3 파트(253)와 제5 파트(255)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롤러(250a)는 휠(250a)이라고 칭할 수 있다. 핀(250b)은 롤러(250a) 및 홀(253a, 255a)을 통과할 수 있다. 핀(250b)은 축(250b) 또는 회전축(250b)이라고 칭할 수 있다. 고정부재(250c)는 핀(250b)을 z축 방향으로 구속시킬 수 있다. 롤러(250a)는 핀(250b)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롤러(250d)는 제7 파트와 제9 파트(259)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롤러(250d)는 휠(250d)이라고 칭할 수 있다. 핀은 롤러(250d) 및 홀(259a)을 통과할 수 있다. 핀은 축 또는 회전축이라고 칭할 수 있다. 고정부재는 핀을 z축 방향으로 구속시킬 수 있다. 롤러(250d)는 핀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롤러(240a, 240d, 250a, 250d)는 POM(polyoxymethylene)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240a, 240d, 250a, 250d)는 POM 수지를 포함함으로써, 롤링 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롤러 어셈블리(200)는 제1 바디(210), 제2 바디(240), 제3 바디(250) 및 롤러(220, 230, 240a, 240d, 250a, 250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 어셈블리(200)는 롤러(200), 가이드(200), 가이드롤러(200), 가이드롤러 어셈블리(200), 스프링(200), 스프링가이드(200), 스프링 어셈블리(200)라고 칭할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롤러 어셈블리(200)는 디스플레이부(20)에 체결될 수 있다. 체결부재(S)는 롤러 어셈블리(200), 커버(12) 및 바(11)를 결합시킬 수 있다. 체결부재(S)는 홀(212a, 213a), 디스플레이부(20)를 관통하여 돌기(213b)에 결합될 수 있다. 체결부재(S)는 홀(216a, 217a), 디스플레이부(20)를 관통하여 돌기(213b)에 결합될 수 있다. 롤러 어셈블리(200)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롤러 어셈블리(200)는 레일(260)에 맞물릴 수 있다. 롤러 어셈블리(200)는 디스플레이부(2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롤러 어셈블리(200)는 리드스크류(130)에 대해 대칭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의 높이가 최대로 낮은 경우, 디스플레이부(20)는 하우징(30)에 최대로 수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의 높이가 최대로 낮은 경우, 디스플레이부(20)는 하우징(3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하우징(30)의 외부로 노출된 디스플레이부(20)는 가로 길이 W1, 세로 길이 H1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로 길이 W1과 세로 길이 H1의 비는 48:9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0)는 시간 정보, 날씨 정보, 온도 정보, 습도 정보 또는 음악재생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우측커버(33)는 빔(33B, 33f, 33g)을 포함할 수 있다. 빔(33B, 33f, 33g)은 우측커버(33)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빔(33f, 33g)은 레일(26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공간(33d, 261, 33e)은 빔(33B, 33f, 33g)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레일(260) 또는 롤러 어셈블리(200)는 공간(33d, 261, 33e)에 수용될 수 있다.
레일(260)은 우측커버(33)에 결합될 수 있다. 레일(260)은 체결부재를 통해 우측커버(33)에 체결될 수 있다. 레일(260)은 우측커버(33)의 높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파트(260a)는 우측커버(33)의 내측면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파트(260b)는 제1 파트(260a)의 후단에서 빔(33f)을 따라 좌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파트(260c)는 제2 파트(260b)의 좌측단에서 빔(33f)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4 파트(260d)는 제3 파트(260c)의 후단에서 빔(33f)을 따라 우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5 파트(260e)는 제4 파트(260d)의 우측단에서 우측커버(33)의 내측면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6 파트(260f)는 제5 파트(260e)의 후단에서 빔(33g)을 따라 좌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7 파트(260g)는 제6 파트(260f)의 좌측단에서 빔(33g)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8 파트(260h)는 제7 파트(260g)의 후단에서 빔(33g)을 따라 우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9 파트(260i)는 제8 파트(260h)의 우측단에서 우측커버(33)의 내측면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레일(260)은 제1 파트(260a) 내지 제9 파트(260i)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파트(260b), 제3 파트(260c) 및 제4 파트(260d)를 통칭하여 빔이라고 칭할 수 있다. 제6 파트(260f), 제7 파트(260g) 및 제8 파트(260h)를 통칭하여 빔이라고 칭할 수 있다.
롤러(220)는 공간(33d)에 위치할 수 있다. 롤러(220)는 제5 파트(260e)에 접촉할 수 있다. 롤러(220)는 제5 파트(260e)를 가압할 수 있다. 롤러(220)는 제5 파트(260e)를 따라 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롤러(220)가 없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0)는 수평을 유지하지 못하고 기울어질 수 있다. 롤러(220) 없이 디스플레이부(20)가 승강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0)는 흔들리거나 회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롤러(220)를 구비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의 승강 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롤러(220)를 구비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2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롤러(220d)는 공간(33d)에 위치할 수 있다. 롤러(220d)는 제2 파트(260b)에 접촉할 수 있다. 롤러(220d)는 제2 파트(260b)를 가압할 수 있다. 롤러(220d)는 제2 파트(260b)를 따라 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롤러(220d)가 없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0)는 수평을 유지하지 못하고 기울어질 수 있다. 롤러(220d) 없이 디스플레이부(20)가 승강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0)는 흔들리거나 회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롤러(220d)를 구비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의 승강 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롤러(220d)를 구비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2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롤러(220a)는 공간(33e)에 위치할 수 있다. 롤러(220a)는 제8 파트(260h)에 접촉할 수 있다. 롤러(220a)는 제8 파트(260h)를 가압할 수 있다. 롤러(220a)는 제8 파트(260h)를 따라 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롤러(220a)가 없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0)는 수평을 유지하지 못하고 기울어질 수 있다. 롤러(220a) 없이 디스플레이부(20)가 승강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0)는 흔들리거나 회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롤러(220a)를 구비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의 승강 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롤러(220a)를 구비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2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우측커버(33)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결합부(33d)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401)는 결합부(33d)에 설치될 수 있다. 센서(401)는 제10 파트(250d)가 통과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401)가 제10 파트(250d)를 감지하면, 디스플레이부(20)의 높이는 최소일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우측커버(33)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결합부(33h)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402)는 결합부(33h)에 설치될 수 있다. 센서(402)는 제10 파트(250h)가 통과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402)가 제10 파트(250h)를 감지하면, 하우징(30) 외부로 노출된 디스플레이부(20)의 높이는 H2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는 리드스크류(130)를 따라 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는 하우징(3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하우징(30)의 외부로 노출된 디스플레이부(20)는 가로 길이 W1, 세로 길이 H2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로 길이 W1과 세로 길이 H2의 비는 21:9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0)는 영화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우측커버(33)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결합부(33i)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403)는 결합부(33i)에 설치될 수 있다. 센서(403)는 제10 파트(240h)가 통과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403)가 제10 파트(250h)를 감지하면, 디스플레이부(20)의 높이는 최대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의 높이가 최대로 높은 경우, 디스플레이부(20)는 하우징(30)에 최소로 수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의 높이가 최대로 높은 경우, 디스플레이부(20)는 최대로 하우징(3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하우징(30)의 외부로 노출된 디스플레이부(20)는 가로 길이 W1, 세로 길이 H3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로 길이 W1과 세로 길이 H3의 비는 16:9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0)는 방송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브라켓(300)은 사이드커버(32, 33)에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300)은 x축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브라켓(300)의 좌측은 좌측커버(32)에 연결될 수 있다. 브라켓(300)의 우측은 우측커버(33)에 연결될 수 있다. 브라켓(300)은 디스플레이부(20)의 후면을 마주할 수 있다. 전자기판(310, 320, 330)은 브라켓(300)의 후면에 체결될 수 있다. 전자기판(310, 320, 330)은 디스플레이부(2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기판(310, 320, 330)은 파워서플라이유닛, 컨트롤러보드 또는 메인보드일 수 있다. 브라켓(300)은 홀(300a, 300b)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기판(13, 310, 320, 330)을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은 홀(300a, 300b)을 통과할 수 있다.
프런트커버(37)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방에 결합될 수 있다. 백커버(38)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후방에 결합될 수 있다. 프런트커버(37)는 탑커버(34), 사이드커버(32, 33) 및 베이스(31)가 형성하는 면을 커버하는 제1 파트(37a)와 탑커버(34)를 커버하는 제2 파트(37b)를 포함할 수 있다. 백커버(38)는 탑커버(34), 사이드커버(32, 33) 및 베이스(31)가 형성하는 면을 커버하는 제1 파트(38a)와 탑커버(34)를 커버하는 제2 파트(38b)를 포함할 수 있다. 프런트커버(37)는 스피커(450)를 마주할 수 있다. 프런트커버(37)는 음향이 통과할 수 있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사이드커버(39A, 39B)는 사이드커버(32, 33)에 체결될 수 있다. 아우터 사이드커버(39A, 39B)는 커버(39A, 39B), 아우터 커버(39A, 39B), 사이드커버(39A, 39B)라고 칭할 수 있다. 하우징(30)은 프런트커버(37), 백커버(38) 또는 사이드커버(39A, 39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0)는 홀(34A, 34B)을 통해 y축 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다. 커버(14)는 하우징(30) 내부에 위치하거나 하우징(30)을 통과하여 하우징(3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커버(14)는 홀(34B)을 통해 탑커버(34)를 통과할 수 있다. 홀(34B)은 하우징(30)의 내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홀(34B)은 별도의 커버를 통해 커버될 수 있다. 커버는 홀(34B)을 커버함으로써,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 예들 또는 다른 실시 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 예들 또는 다른 실시 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0)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에 대해 승강하는 커버;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가 승강하는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변을 마주하는 레일; 그리고,
    상기 커버에 결합되고, 상기 일변에 인접하여, 상기 레일을 따라 구르는 롤러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일 측면에 설치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 어셈블리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돌출부를 감지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제1 빔;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빔과 대향하는 제2 빔; 그리고,
    상기 제1 빔과 상기 제2 빔 사이에 형성되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롤러 어셈블리는:
    상기 홈을 따라 구르는 제1 롤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롤러 어셈블리는:
    상기 제1 롤러와 이격되고, 상기 홈을 따라 구르는 제2 롤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롤러 어셈블리는:
    상기 제1 빔을 따라 구르는 제3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빔은,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3 롤러 사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롤러 어셈블리는:
    상기 제2 빔을 따라 구르는 제4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빔은,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4 롤러 사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삭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롤러 어셈블리는:
    상기 커버에 체결되고,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2 롤러가 고정되는 제1 바디; 그리고,
    상기 제1 바디에 체결되고, 상기 제3 롤러와 상기 제4 롤러가 고정되는 제2 바디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롤러 어셈블리는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일 측과 타측에 각각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 측면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5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5 롤러는,
    상기 커버의 일 측과 마찰됨으로써 구르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전면에 결합되는 제1 슬라이드; 그리고,
    상기 커버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커버가 승강하는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제2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슬라이드는,
    상기 제2 레일을 따라 움직이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레일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1 마운트;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레일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2 마운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후면에 결합되는 제2 슬라이드; 그리고,
    상기 커버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커버가 승강하는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슬라이드는,
    상기 바를 따라 움직이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바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3 마운트;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설치되고, 상기 바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4 마운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승강하는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리드스크류;
    상기 커버에 결합되고, 상기 리드스크류를 따라 움직이는 제3 슬라이드; 그리고,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리드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모터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전면에 결합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플레이트의 상측으로 이격되고, 상기 커버의 전면에 부착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드는,
    상기 플레이트의 전면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면은 제1 홀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커버는 상기 제1 홀을 통과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후면에 설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타이밍컨트롤러보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면은 제2 홀을 포함하고,
    상기 타이밍컨트롤러보드는,
    상기 커버가 승강함에 따라, 상기 제2 홀을 통과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의 후면을 마주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는 전자기판; 그리고,
    상기 타이밍컨트롤러보드와 상기 전자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180012355A 2018-01-31 2018-01-3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528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355A KR102528883B1 (ko) 2018-01-31 2018-01-3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355A KR102528883B1 (ko) 2018-01-31 2018-01-3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2980A KR20190092980A (ko) 2019-08-08
KR102528883B1 true KR102528883B1 (ko) 2023-05-08

Family

ID=67613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2355A KR102528883B1 (ko) 2018-01-31 2018-01-3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88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83977A4 (en) * 2019-12-27 2023-09-27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WITH ANTI-SAGING STRUCTURE
WO2021210692A1 (ko) * 2020-04-13 2021-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20230169895A1 (en) * 2020-04-29 2023-06-01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KR20230005336A (ko) * 2020-05-07 2023-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1241770A1 (ko) * 2020-05-26 2021-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224096B1 (ko) 2020-08-07 2021-03-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224097B1 (ko) * 2020-08-07 2021-03-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230071155A (ko) * 2020-10-06 2023-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252772B1 (ko) * 2020-12-09 2021-05-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52766B1 (ko) 2020-12-09 2021-05-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52777B1 (ko) * 2020-12-09 2021-05-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4947A (ko) * 2009-03-19 2010-09-29 신용구 안테나 승강장치
KR20170073125A (ko) * 2015-12-18 2017-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기
KR20180010742A (ko) * 2016-07-22 2018-01-31 김지태 자동인출 수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2980A (ko) 2019-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8883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0687428B2 (en) Display device
CN109565561B (zh) 显示装置
US10709026B2 (en) Printed circuit board mounting structure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393344B1 (ko)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US9535452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KR20160141255A (ko) 슬라이더블 디스플레이
US20060291242A1 (en) Backlight unit
KR102374643B1 (ko)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
US20230326377A1 (en) Display device
CN114067679A (zh) 显示装置
US20070103407A1 (en) Display device
KR20150131453A (ko) 표시장치
US11547002B2 (en) Display device
US8289683B2 (en) Casing for all-in-one electronic device
US20220404872A1 (en) Display device
CN114495708A (zh) 显示装置
KR20190111346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20060139961A1 (en) Light guide plate and backlight module using the same
KR102302702B1 (ko) 벤더블 디스플레이
KR100741094B1 (ko) 액정표시장치
CN116416862A (zh) 显示装置
EP1791411A1 (en) Display device
KR102429097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N221043683U (zh) 显示设备及壳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