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8757B1 - 이벤트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벤트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8757B1
KR102528757B1 KR1020217014825A KR20217014825A KR102528757B1 KR 102528757 B1 KR102528757 B1 KR 102528757B1 KR 1020217014825 A KR1020217014825 A KR 1020217014825A KR 20217014825 A KR20217014825 A KR 20217014825A KR 102528757 B1 KR102528757 B1 KR 102528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event
report
signal strength
radio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4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5181A (ko
Inventor
타오 왕
Original Assignee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75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5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8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8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24Negotiating SLA [Service Level Agreement]; Negotiating QoS [Quality of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실시예는 무선 신호 강도에 따라 파라미터 구성 정책을 조정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요구사항을 구현하는 데 사용되는 이벤트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벤트 처리 방법을 제공하고, 이벤트 처리 방법은, 위치 응용 장치가 위치 보고 요청을 생성하는 단계 - 위치 보고 요청은 무선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를 나타내는 데 사용됨 -;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가 UE의 무선 신호 강도에 따라,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도록, 위치 응용 장치가 UE에 위치 보고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및 위치 응용 장치가,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UE에 의해 송신된 이벤트 보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벤트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본 출원은 2019년 3월 29일에 출원된 중국 특허출원 제201910252297.3호(" EVENT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SYSTEM")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이며, 그 전체 내용이 원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출원은 컴퓨터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이벤트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5가지 위치 요청 유형이 있으며 다음과 같다.
제1 위치 요청 유형이 네트워크 유도 위치 요청(network induced location request, NI-LR)일 수 있다. NI-LR에서,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의 긴급 호출과 같은 일부 특수한 규제 서비스의 경우, UE를 서비스하는 접속 및 이동성 관리 기능(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AMF) 엔티티가 위치 보고 요청을 트리거한다.
제2 위치 요청 유형이 MT-LR(Mobile Termination Location Request)일 수 있다. MT-LR에서,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내의 외부 애플리케이션 기능(application function, AF) 엔티티 또는 위치 서비스(location services, LCS) 클라이언트가 PLMN에 위치 요청을 전송하여 타깃 UE의 위치 정보를 요청한다.
제3 위치 요청 유형이 MO-LR(mobile originated location request)일 수 있다. MO-LR에서, UE가 UE와 관련된 위치 정보를 얻기 위해 서빙 PLMN에 위치 요청을 송신한다.
제4 위치 요청 유형이 즉시 위치 요청(immediate location request)일 수 있다. 즉시 위치 요청에서, LCS 클라이언트가 타깃 UE(또는 타깃 UE의 그룹)에 위치 요청을 송신하고, 짧은 시구간 내에 타깃 UE(또는 타깃 UE의 그룹)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을 수신하기를 기대하며, 이 시구간은 특수한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 요구사항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제5 위치 요청 유형이 지연된 위치 요청(deferred location request)일 수 있다. 지연된 위치 요청에서, LCS 클라이언트가 PLMN에 타깃 UE(또는 타깃 UE의 그룹)의 위치 요청을 송신하고, 미래의 시구간에 또는 이벤트가 발생할 때 타깃 UE(또는 타깃 UE의 그룹)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을 수신할 것으로 기대한다.
위치 요청 유형이 지연된 위치 요청인 시나리오에서, 지연된 위치 요청을 트리거하는 트리거 이벤트를 정의할 필요가 있지만, 현재 정의된 트리거 이벤트가 파라미터 구성 정책을 조정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요구사항을 구현할 수 없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파라미터 구성 정책 조정의 유연성을 개선할 수 있는 이벤트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무선 신호 강도에 따라 파라미터 구성 정책을 조정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요구사항을 구현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다음의 해결책을 제공한다.
하나의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위치 응용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이벤트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이벤트 처리 방법이,
상기 위치 응용 장치가 위치 보고 요청을 생성하는 단계 - 상기 위치 보고 요청은 무선 신호 강도 기반의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를 나타내는 데 사용됨 -;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가 상기 UE의 무선 신호 강도에 따라, 상기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도록, 상기 위치 응용 장치가 상기 UE에 상기 위치 보고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응용 장치가, 상기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상기 UE에 의해 전송된 이벤트 보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UE에 의해 수행되는 이벤트 처리 방법을 추가로 제공한다. 상기 이벤트 처리 방법이,
상기 UE가 위치 응용 장치에 의해 생성된 위치 보고 요청을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위치 보고 요청은 무선 신호 강도 기반의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를 나타내는 데 사용됨 -;
상기 UE가 상기 위치 보고 요청에 따라 상기 UE의 무선 신호 강도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UE가 상기 UE의 무선 신호 강도에 따라, 상기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UE가 상기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의 발생에 응답하여 상기 위치 응용 장치에 이벤트 보고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UE가 위치 응용 장치에 의해 생성된 위치 보고 요청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 응용 장치가 구체적으로 애플리케이션 기능(application function, AF) 엔티티인 경우, 상기 AF 엔티티가 상기 위치 보고 요청을 게이트웨이 모바일 위치 센터(gateway mobile location center, GMLC)에 전송하고; 상기 GMLC가 상기 위치 보고 요청을 접속 및 이동성 관리 기능(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AMF) 엔티티에 전송하며; 및 상기 AMF 엔티티가 상기 UE에 상기 위치 보고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또는
상기 위치 응용 장치가 구체적으로 위치 서비스(location services, LCS) 클라이언트인 경우, 상기 LCS 클라이언트가 GMLC에 상기 위치 보고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GMLC가 AMF 엔티티에 상기 위치 보고 요청을 전송하며; 상기 AMF 엔티티가 상기 위치 보고 요청을 상기 UE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위치 응용 장치를 추가로 제공한다. 상기 위치 응용 장치는 처리 모듈과 송수신 모듈(transceiving module)을 포함한다.
상기 처리 모듈은 위치 보고 요청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 여기서, 상기 위치 보고 요청은 무선 신호 강도 기반의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를 나타내는 데 사용됨 -;
상기 처리 모듈은 추가적으로, UE가 상기 UE의 무선 신호 강도에 따라, 상기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도록, 상기 송수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UE에 상기 위치 보고 요청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처리 모듈은 추가적으로, 상기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상기 UE에 의해 전송된 이벤트 보고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양태에서, 상기 위치 응용 장치의 구성 모듈은 추가적으로, 전술한 하나의 양태와 가능한 다양한 구현에서 설명된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세부사항에 대해서는, 전술한 하나의 양태와 가능한 다양한 구현의 전술한 설명을 참조하라.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위치 응용 장치는 구체적으로 AF 엔티티 또는 LCS 클라이언트일 수 있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UE를 추가로 제공한다. 상기 UE는 처리 모듈과 송수신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송수신 모듈을 이용하여, 위치 응용 장치에 의해 생성된 위치 보고 요청을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 여기서, 상기 위치 보고 요청은 무선 신호 강도 기반의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를 나타내는 데 사용됨 -;
상기 처리 모듈은 추가적으로, 상기 위치 보고 요청에 따라 상기 UE의 무선 신호 강도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처리 모듈은 추가적으로, 상기 UE의 무선 신호 강도에 따라, 상기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처리 모듈은 추가적으로, 상기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의 발생에 응답하여 상기 송수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위치 응용 장치에 이벤트 보고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양태에서, 상기 UE의 구성 모듈은 추가적으로, 전술한 다른 양태와 가능한 다양한 구현에서 설명된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세부사항에 대해서는, 전술한 다른 양태와 가능한 다양한 구현의 이전 설명을 참조하라.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위치 응용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위치 응용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 내의 상기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위치 응용 장치로 하여금 전술한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이벤트 처리 방법을 수행하게 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UE를 제공한다. 상기 UE는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 내의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UE로 하여금 전술한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이벤트 처리 방법을 수행하게 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이벤트 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이벤트 처리 시스템은 위치 응용 장치와 UE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 응용 장치는 전술한 하나의 양태에 따른 이벤트 처리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UE는 전술한 다른 양태의 이벤트 처리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명령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 매체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전술한 양태에 따른 이벤트 처리 방법을 수행하게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위치 응용 장치가 위치 보고 요청을 먼저 생성하고, 그런 다음 상기 위치 응용 장치가 UE에 상기 위치 보고 요청을 송신한다. 상기 UE가 상기 위치 응용 장치에 의해 생성된 상기 위치 보고 요청을 획득하고, 상기 위치 보고 요청에 따라 상기 UE의 무선 신호 강도를 획득하며, 그런 다음 상기 UE의 무선 신호 강도에 따라,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의 발생에 응답하여 상기 위치 응용 장치에 이벤트 보고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응용 장치는 상기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상기 UE에 의해 송신된 상기 이벤트 보고 정보를 획득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UE가 상기 UE의 무선 신호 강도에 따라, 상기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도록, 상기 위치 응용 장치는 상기 무선 신호 강도 기반의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를 상기 UE에 지시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응용 장치는 상기 UE에 의해 송신된 상기 이벤트 보고 정보에 따라 상기 UE의 무선 신호 세기의 조건을 결정함으로써, 무선 신호 강도에 따라 파라미터 구성 정책을 조정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요구사항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을 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실시예를 설명하는 데 필요한 첨부 도면을 간략하게 소개한다. 명백히, 다음의 설명의 첨부 도면은 단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를 나타낼 뿐이며, 당업자라면 이러한 첨부 도면으로부터 다른 첨부 도면을 여전히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이벤트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이벤트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응용 장치와 UE 사이의 상호 작용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보고 요청의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내용 파라미터의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응용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이벤트 처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응용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다른 이벤트 처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UE에 의해 수행되는 이벤트 처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UE에 의해 수행되는 다른 이벤트 처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서비스 기반의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연된 위치보고 이벤트의 요청 및 트리거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의 요청 및 트리거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응용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1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UE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1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처리 방법이 적용되는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1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처리 방법이 적용되는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이하, 본 출원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이 더 명확하고 이해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에 대해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명백히,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출원의 모든 실시예가 아니라 단지 일부 실시예일 뿐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당업자에 의해 획득되는 다른 모든 실시예는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일련의 유닛들을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시스템, 제품, 또는 장치가 반드시 이러한 유닛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러한 프로세스, 방법, 제품, 또는 장치에 내재되거나 또는 명시적으로 나열되지 않은 다른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도록, 본 출원의 명세서, 청구 범위, 및 첨부 도면의 "포함"이라는 용어와 이러한 용어의 다른 변형이 비한정으로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려는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이벤트 처리 방법은 이벤트 처리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고, 이벤트 처리 시스템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부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벤트 처리 시스템은 위치 응용 장치와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응용 장치는 UE 위치를 사용할 필요가 있는 장치, 또는 서버, 또는 엔티티이고, 위치 응용 장치는 위치를 보고하도록 UE를 트리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응용 장치는 애플리케이션 기능(application function, AF) 엔티티 또는 위치 서비스(location service, LCS) 클라이언트일 수 있다. UE는 UE의 위치를 제공하는 단말기 또는 장치 엔티티이고, UE는 위치 응용 장치에 의해 송신된 위치 보고 요청에 따라 UE의 위치를 보고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위치 응용 장치는 UE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응용 장치는 UE와 직접 통신할 수 있거나, 또는 위치 응용 장치는 UE와 간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응용 장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장치를 이용하여 UE와 통신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은 5G 시스템일 수 있고, 5G 시스템의 아키텍처가 2개의 부분, 즉 액세스 네트워크와 코어 네트워크로 분할된다. 액세스 네트워크는 무선 접속와 관련된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되고, 무선 접속망(radio access network, RAN)을 포함한다. 코어 네트워크는 주로 네트워크 노출 기능(network exposure function, NEF) 엔티티, 게이트웨이 모바일 위치 센터(gateway mobile location center, GMLC), LCS 클라이언트,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기능(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AMF) 엔티티, 및 위치 관리 기능(location management function, LMF) 엔티티 등과 같은 여러 핵심 제어 평면 논리 네트워크 엘리먼트를 포함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코어 네트워크는 통합 데이터 관리(unified data management, UDM) 엔티티와 위치 검색 기능(location retrieval function, LRF) 엔티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애플리케이션 기능(AF) 엔티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AF 엔티티는 코어 네트워크의 제어 평면에 속하는 논리 엘리먼트일 수 있거나 또는 코어 네트워크 외부의 애플리케이션 기능 엔티티일 수 있다. 전술한 엔티티가 독립적인 하드웨어 장치 엔티티이거나 또는 이러한 기능을 구현하는 소프트웨어 장치일 수 있고, 본 명세서에서는 이에 대해 제한하지 않는다고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F 엔티티는 애플리케이션 계층의 정보를 제공하도록, 예를 들어 위치 보고 요청을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NEF는 AF 엔티티를 인증하고 파라미터를 매핑하여 포워딩하도록 구성된다. LCS 클라이언트는 위치 서비스에서 UE 위치를 사용할 필요가 있는 장치이다. GMLC는 위치 관리 기능을 가진 게이트웨이이다. AMF 엔티티는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기능을 가지고 있다. LMF 엔티티는 UE와 상호 작용하여 UE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LMF 엔티티는 UE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위치 알고리즘을 갖추고 있을 수 있다. 후속 실시예에서, AF 엔티티를 줄여서 AF라고 할 수 있다. 유사하게, AMF 엔티티를 줄여서 AMF라고 하고, NEF 엔티티를 줄여서 NEF라고 한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무선 신호 강도 기반의 지연된 위치보고 이벤트가 무선 신호 강도에 의해 트리거되는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를 나타내고, 무선 신호 강도를 신호 커버리지 강도 또는 무선 신호 크기 등이라고도 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위치 응용 장치는 AF 엔티티일 수 있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이벤트 처리 시스템은 AF, NEF, GMLC, AMF, 및 UE를 포함하고, AF와 NEF 사이에는 통신 연결이 구축되며, NEF와 GMLC 사이에는 통신 연결이 구축되고, GMLC와 AMF 사이에는 통신 연결이 구축되며, AMF와 UE 사이에는 통신 연결이 구축된다. 이하에서는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2에서, AF는 NEF와 직접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F는 N33 인터페이스 또는 서비스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NEF와 통신한다. NEF는 비선형 에디팅(non-linear editing, NLe) 인터페이스 또는 서비스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GMLC와 통신하고, GMLC는 자연어 생성(natural language generation, NLg) 인터페이스 또는 서비스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AMF와 통신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도 2에서, AMF는 UE에 직접 연결되지만, AMF는 무선 접속망(radio access network, RAN)을 이용하여 UE와 통신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위치 응용 장치는 LCS 클라이언트일 수 있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이벤트 처리 시스템은 LCS 클라이언트, GMLC, AMF, 및 UE를 포함하고, LCS 클라이언트와 GMLC 사이에는 통신 연결이 구축되고, GMLC와 AMF 사이에는 통신 연결이 구축되며, AMF와 UE 사이에는 통신 연결이 구축된다. 이하에서는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3에서, LCS 클라이언트는 Le 인터페이스 또는 서비스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GMLC와 통신하고, GMLC는 NLg 인터페이스 또는 서비스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AMF와 통신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도 3에서, AMF가 UE와 직접 연결되지만, AMF가 RAN을 이용하여 UE와 통신할 수 있다.
이하, 본 출원의 실시예의 이벤트 처리 시스템의 위치 응용 장치와 UE 간의 상호작용 과정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처리 방법을 도시하고 있으며, 이벤트 처리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201. 위치 응용 장치가 위치 보고 요청을 생성한다.
위치 보고 요청은 무선 신호 강도 기반의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위치 응용 장치는,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거나 또는 특정 이벤트의 발생의 통지를 획득할 필요가 있을 때 UE 위치를 획득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위치 응용 장치는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도록 UE에 알리기 위해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를 정의할 수 있다. UE는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의 발생에 응답하여 위치 응용 장치에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를 보고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위치 응용 장치가 UE 위치를 보고하도록 UE에 지시하면,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의 발생에 응답하여 UE에 의해 송신된 이벤트 보고 정보가 UE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위치 응용 장치는 AF 엔티티 또는 LCS 클라이언트일 수 있다. 위치 응용 장치의 형태가 적용 시나리오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위치 응용 장치는 무선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를 정의하고, 본 출원의 본 실시예의 무선 신호 강도 기반의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가 무선 신호 강도에 의해 트리거되는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를 나타낸다. 즉, 위치 응용 장치는, 무선 신호 세기 정보에 따라,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UE의 무선 신호 세기 정보를 획득하도록 UE에 지시할 필요가 있다.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위치 응용 장치가 무선 신호 강도 기반의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를 정의한 후, 위치 응용 장치는 위치 보고 요청을 생성하고 무선 신호 강도 기반의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를 위치 보고 요청에 추가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본 실시예의 위치 보고 요청의 요청 유형이 적용 시나리오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보고 요청의 요청 유형이 지연된 위치 보고 요청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도 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보고 요청의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위치 응용 장치에 의해 생성된 위치 보고 요청은 요청 유형 파라미터, 이벤트 트리거 유형 파라미터, 및 이벤트 내용 파라미터(event content parameter)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요청 유형 파라미터는, 위치 보고 요청의 요청 유형이 지연된 위치 보고 유형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고;
이벤트 트리거 유형 파라미터는,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의 트리거 유형이 무선 신호 강도 트리거 유형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이벤트 내용 파라미터는,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에 대응하는 내용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위치 응용 장치기 위치 보고 요청을 생성할 때, 위치 응용 장치는 요청 유형 파라미터, 이벤트 트리거 유형 파라미터, 및 이벤트 내용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획득할 필요가 있고, 위치 보고 요청에 실리는 파라미터 유형의 개수가 적용 시나리오의 요구사항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요청 유형 파라미터를 파싱할 때 UE가 요청 유형이 지연된 위치 보고 유형이라고 결정할 수 있도록, 지연된 위치 보고 유형은 요청 유형 파라미터로 나타낼 수 있다. 이벤트 트리거 유형 파라미터를 파싱할 때 UE가 트리거 유형이 무선 신호 강도 트리거 유형이라고 결정할 수 있도록, 무선 신호 강도 트리거 유형은 이벤트 트리거 유형 파라미터로 나타낼 수 있고, UE는 UE의 무선 신호 강도를 획득할 필요가 있다. 이벤트 내용 파라미터를 파싱할 때 UE가 무선 신호 강도 기반의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에 대응하는 이벤트 내용을 획득할 수 있도록, 무선 신호 강도 기반의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에 대응하는 이벤트 내용은 이벤트 내용 파라미터로 나타낼 수 있고, 이벤트 내용 파라미터에 포함된 파라미터는 위치 응용 장치에 의해 유연하게 구성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위치 보고 요청은 UE의 식별자 또는 UE의 그룹 식별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도 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내용 파라미터의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벤트 내용 파라미터는 무선 신호 강도 조건, 위치 보고의 최대 시간 간격, 위치 보고의 최소 시간 간격, 위치 보고 빈도 파라미터, 위치 보고의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 요구 파라미터, 및 UE 위치를 보고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지시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위치 응용 장치에 의해 생성된 이벤트 내용 파라미터는 무선 신호 강도 조건을 포함할 수 있고, 무선 신호 강도 조건은 무선 신호 강도가 만족할 필요가 있는 조건을 나타낸다. 무선 신호 강도 조건의 내용이 적용 시나리오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신호 강도 조건은, UE의 무선 신호 강도가 무선 신호 강도 임계값보다 작다는 것일 수 있다. 무선 신호 강도 임계값은 UE의 무선 신호 강도의 최소 임계값을 나타낸다. 무선 신호 강도 임계값 무선 신호 강도 기반의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가 만족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UE에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무선 신호 강도 임계값은 적용 시나리오에 따라, 예를 들어 위치 응용 장치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신호 강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무선 신호 강도 조건은, UE의 무선 신호 강도가 사전 설정된 무선 신호 강도 범위에 속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신호 강도 범위는, 무선 신호 강도 기반의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가 만족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UE에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위치 응용 장치에 의해 생성된 이벤트 내용 파라미터는 위치 보고의 최대 시간 간격과 위치 보고의 최소 시간 간격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 보고의 최대 시간 간격은 UE의 2개의 이벤트 보고 사이의 최대 시간 간격을 나타내고, 마지막 이벤트 보고부터의 시간 간격이 최대 시간 간격에 도달하는 것에 응답하여, UE는 마지막 이벤트 보고와 현재 시간 사이의 간격이 최대 시간 간격에 도달한 것을 나타내기 위해 위치 보고 과정을 트리거한다. 위치 보고의 최소 시간 간격은 2개의 이벤트 보고 사이의 최소 시간 간격을 정의한다.
위치 응용 장치에 의해 생성된 이벤트 내용 파라미터는 위치 보고 빈도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보고 빈도 파라미터는, UE가 위치 보고를 수행하는 빈도이다. 예를 들어, 위치 보고 빈도 파라미터는 위치 보고를 한 번 수행하도록 UE에 지시할 수 있거나, 또는 요청에 정의된 트리거 이벤트에 따라 위치 보고를 적어도 두 번 수행하도록 UE에 지시할 수 있다. UE는 위치 보고 빈도 파라미터에 응답하여 위치 보고를 적어도 두 번 수행하도록 지시되고, 이벤트 내용 파라미터는 위치 보고 빈도 파라미터에 의해 지시된 최대 보고 횟수도 싣고 있을 수 있다. UE는 UE의 보고 횟수가 최대 보고 횟수를 초과하면 이벤트 보고를 중지한다.
위치 응용 장치에 의해 생성된 이벤트 내용 파라미터는 위치 보고 QoS 요구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고, 위치 응용 장치에 필요한 UE 위치의 정밀도가 위치 보고 QoS 요구 파라미터를 통해 UE에 지시될 수 있다. 따라서, UE는 위치 보고 QoS 요구 파라미터에 따라 보고될 필요가 있는 위치의 정밀도를 결정할 수 있다.
위치 응용 장치에 의해 생성된 이벤트 내용 파라미터는 UE 위치를 보고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지시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UE 위치를 보고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지시 파라미터는 UE에 직접 송신될 수 있고, UE는 UE 위치를 보고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지시 파라미터에 따라 위치 응용 장치에 UE의 위치를 보고할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UE 위치를 보고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지시 파라미터는 대안적으로, 위치 응용 장치와 상호 작용하는 엔티티에 지시될 수 있다. 이 엔티티는, UE 위치를 보고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지시 파라미터에 따라 UE로부터 UE의 위치를 요청할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이 엔티티는 NEF 또는 GMLC일 수 있고, 위치 응용 장치가 NEF가 UE의 위치를 획득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나타내면, NEF는 UE의 위치를 보고하지 않도록 UE에 지시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위치 응용 장치는 대안적으로, 적용 시나리오에 따라 이벤트 내용 파라미터에 포함된 다른 파라미터를 구성할 수 있고, 이벤트 내용 파라미터의 설명이 예이며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한 제한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가능한 구현에서, UE가 이벤트 내용 파라미터에 구성된 파라미터를 획득할 수 있도록, 위치 응용 장치에 의해 이벤트 내용 파라미터에 구성된 파라미터는 UE에 지시될 수 있다.
202. 위치 응용 장치가 UE에 위치 보고 요청을 송신한다.
따라서, UE는 위치보고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위치 응용 장치는 UE에 위치 보고 요청을 송신하고, UE는 UE의 무선 신호 강도에 따라,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위치 응용 장치는 UE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응용 장치는 UE와 직접 통신할 수 있고, 위치 응용 장치는 UE에 위치 보고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위치 응용 장치는 UE와 간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응용 장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장치를 이용하여 UE와 통신할 수 있고, 위치 응용 장치는 네트워크 장치에 위치 보고 요청을 송신할 수 있으며, 그런 다음 네트워크 장치는 UE에 위치 보고 요청을 송신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위치 응용 장치는 UE와 간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단계 202에서, 위치 응용 장치가 UE에 위치 보고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응용 장치가 AF 엔티티인 경우, AF 엔티티가 NEF 엔티티에 위치 보고 요청을 송신하고; NEF 엔티티가 GMLC에 위치 보고 요청을 송신하며; GMLC가 AMF 엔티티에 위치 보고 요청을 송신하고; AMF 엔티티가 UE에 위치 보고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응용 장치가 LCS 클라이언트인 경우, LCS 클라이언트가 GMLC에 위치 보고 요청을 송신하고; GMLC가 AMF 엔티티에 위치 보고 요청을 송신하며; AMF 엔티티가 UE에 위치 보고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2와 도 3에서, 가능한 구현에서, AMF 엔티티가 RAN을 통해 UE에 위치 보고 요청을 송신한다.
위치 응용 장치는 UE와 간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응용 장치가 AF 엔티티이고; AF 엔티티는 위치 보고 요청을 생성한 다음, NED 엔티티, GMLC, AMF 엔티티, 및 RAN을 통해, 생성된 위치 보고 요청을 UE에 송신한다. 다른 예에서, 위치 응용 장치가 LCS 클라이언트이고; LCS 클라이언트는 위치 보고 요청을 생성한 다음, GMLC, AMF 엔티티, 및 RAN을 통해, 생성된 위치 보고 요청을 UE에 송신한다. 위치 보고 요청의 전송 방식이 적용 시나리오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위치 응용 장치에서 UE로의 정보 전송 과정을 설명하였다. 유사하게, UE에서 위치 응용 장치로의 정보 전송 과정도 전술한 전송 경로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가 이벤트 보고 정보를 생성하고, RAN, AMF 엔티티, GMLC, 및 NEF 엔티티를 통해 AF 엔티티에 이벤트 보고 정보를 전송한다. 다른 예에서, UE가 이벤트 보고 정보를 생성하고, RAN, AMF 엔티티, 및 GMLC를 통해 LCS 클라이언트에 이벤트 보고 정보를 전송한다.
203. UE가 위치 응용 장치에 의해 생성된 위치 보고 요청을 획득한다.
위치 보고 요청은 무선 신호 강도 기반의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위치 응용 장치에 의해 생성된 위치 보고 요청은 UE에 의해 획득될 수 있고, 위치 응용 장치는 무선 신호 강도 기반의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를 위치 보고 요청을 이용하여 검출하도록 UE에 지시할 수 있다.
204. UE가 위치 보고 요청에 따라 UE의 무선 신호 강도를 획득한다.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위치 보고 요청을 파싱함으로써, UE는 UE가 무선 신호 강도 기반의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를 검출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UE는 UE의 무선 신호 강도를 획득할 수 있고, 본 출원에서는 UE의 무선 신호 강도의 획득 방식에 대해 제한하지 않는다.
205. UE가 UE의 무선 신호 강도에 따라,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UE의 무선 신호 강도를 획득한 후, UE는 획득된 무선 신호 강도에 따라, 무선 신호 강도 기반의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UE가 UE의 무선 신호 강도에 따라,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는,
UE가 UE의 무선 신호 강도가 무선 신호 강도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UE가, UE의 무선 신호 강도가 무선 신호 강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한다고 결정하며; UE가, UE의 무선 신호 강도가 무선 신호 강도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위치 응용 장치에 의해 생성된 이벤트 내용 파라미터는 무선 신호 강도 임계값을 포함할 수 있고, 무선 신호 강도 임계값은 UE의 무선 신호 강도의 최소 임계값이며, 무선 신호 강도 임계값 무선 신호 강도 기반의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가 만족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UE에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무선 신호 강도 기반의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는 무선 신호 강도가 -70 dBm의 임계값보다 낮아야 하고, UE에 의해 현재 획득된 무선 신호 강도가 -60 dBm이면, 무선 신호 강도 기반의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다고 결정된다. UE에 의해 현재 획득된 무선 신호 강도가 -90 dBm이면, 무선 신호 강도 기반의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한다고 결정된다. 예를 들어, 위치 응용 장치에 의해 생성된 이벤트 내용 파라미터는 무선 신호 강도 범위일 수 있다. 무선 신호 강도 범위는 무선 신호 강도 기반의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UE에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UE가 UE의 무선 신호 강도가 이 범위에 속한다고 검출하면, 이벤트가 발생한다고 결정된다.
206. UE 가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의 발생에 응답하여 위치 응용 장치에 이벤트 보고 정보를 송신한다.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UE는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의 발생에 응답하여 위치 응용 장치에 이벤트 보고 정보를 송신하고, 위치 응용 장치는 이벤트 보고 정보에 따라 UE의 무선 신호 강도의 조건을 획득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위치 응용 장치에서 UE로의 정보 전송 과정을 설명하였다. 유사하게, UE에서 위치 응용 장치로의 정보 전송 과정도 전술한 전송 경로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가 이벤트 보고 정보를 생성하고, RAN, AMF 엔티티, LMF 엔티티, GMLC, 및 NEF 엔티티를 통해 AF 엔티티에 이벤트 보고 정보를 전송한다. 다른 예에서, UE가 이벤트 보고 정보를 생성하고, RAN, AMF 엔티티, LMF 엔티티, 및 GMLC를 통해 LCS 클라이언트에 이벤트 보고 정보를 전송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UE가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의 발생에 응답하여 위치 응용 장치에 이벤트 보고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UE가,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하고 또한 마지막 이벤트 보고와 현재 시간 사이의 간격이 최소 시간 간격에 도달한 것에 응답하여 위치 응용 장치에 이벤트 보고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또는
UE가,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하고 또한 마지막 이벤트 보고와 현재 시간 사이의 간격이 최소 시간 간격보다 작다는 것에 응답하여,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한 후 소정의 시간 이후 위치 응용 장치에 지연된 이벤트 보고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의 실제 발생 시간은 지연된 이벤트 보고 정보를 포함하고 있음 -; 또는
UE가,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하고 UE가 현재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없다는 것에 응답하여,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한 후 소정의 시간(period of time) 이후에 위치 응용 장치에 지연된 이벤트 보고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위치 응용 장치에 의해 생성된 이벤트 내용 파라미터는 위치 보고의 최대 시간 간격과 위치 보고의 최소 시간 간격을 포함할 수 있다. UE는, 무선 신호 강도 기반의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하고 또한 마지막 이벤트 보고와 현재 시간 사이의 간격이 최소 시간 간격에 도달한 것에 응답하여 이벤트 보고 정보를 적시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UE는 무선 신호 강도 기반의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하고 또한 UE가 이벤트 보고 정보를 적시에 송신할 수 없다는 것(예를 들어, 마지막 이벤트 보고와 현재 시간 사이의 간격이 최소 시간 간격에 도달하지 않았거나 또는 UE가 현재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없다는 것)에 응답하여, 소정의 시간 이후에 이벤트 보고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207. 위치 응용 장치가,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의 발생에 응답하여 UE에 의해 위치 응용 장치에 송신된 이벤트 보고 정보를 획득한다.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UE는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에 따라 이벤트 보고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이벤트 보고 정보는 위치 응용 장치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위치 응용 장치는 UE에 의해 송신된 이벤트 보고 정보에 따라 UE의 무선 신호 강도가 무선 신호 강도 임계값보다 낮다는 지시를 획득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할 때 이벤트 보고 정보가 UE에 의해 송신되거나; 또는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한 후 소정의 시간 이후 이벤트 보고 정보가 UE에 의해 송신되고, 이벤트 보고 정보는, UE의 무선 신호 강도가 무선 신호 강도 조건을 만족하는 실제 발생 시간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전술한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위치 응용 장치가 위치 보고 요청을 먼저 생성한 다음,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 유형 및 관련 내용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위치 보고 요청을 UE에 송신한다. UE는 위치 응용 장치에 의해 생성된 위치 보고 요청을 획득할 수 있다. UE는 위치 보고 요청에 따라 UE의 무선 신호 강도를 획득한 다음, UE의 무선 신호 강도에 따라,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UE는 위치 응용 장치에 이벤트 보고 정보를 송신하고, 위치 응용 장치는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의 발생에 응답하여 UE에 의해 송신된 이벤트 보고 정보를 획득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UE가 UE의 무선 신호 강도에 따라,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도록, 위치 응용 장치는 무선 신호 강도 기반의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를 UE에 지시할 수 있다. 위치 응용 장치는, 무선 신호 강도에 따라 파라미터 구성 정책을 조정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구현하기 위해, UE에 의해 송신된 이벤트 보고 정보에 따라 UE의 무선 신호 강도의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이하,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이벤트 처리 방법을 위치 응용 장치의 관점에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처리 방법을 도시하며, 이벤트 처리 방법이 주로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401. 위치 응용 장치가 위치 보고 요청을 생성한다. 위치 보고 요청은 무선 신호 강도 기반의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402. UE가 UE의 무선 신호 강도에 따라,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도록, 위치 응용 장치가 UE에 위치 보고 요청을 송신한다.
단계 401과 단계 402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단계 201과 단계 202와 유사하다. 여기서는 세부사항에 대해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403. 위치 응용 장치가,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의 발생에 응답하여 UE에 의해 위치 응용 장치에 송신된 이벤트 보고 정보를 획득한다.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UE는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에 따라 이벤트 보고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벤트 보고 정보는 위치 응용 장치에 의해 획득될 수 있고, 위치 응용 장치는 UE에 의해 송신된 이벤트 보고 정보에 따라, UE의 무선 신호 강도가 무선 신호 강도 조건을 만족한다는 지시를 획득할 수 있다.
404. 위치 응용 장치가 이벤트 보고 정보에 따라,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의 발생시 UE의 무선 신호 강도가 무선 신호 강도 조건을 만족한다고 결정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위치 응용 장치에 의해 생성된 이벤트 내용 파라미터는 무선 신호 강도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신호 강도 조건은 UE의 무선 신호 강도가 만족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말하고, 무선 신호 강도 조건의 내용이 적용 시나리오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신호 강도 조건은, UE의 무선 신호 강도가 무선 신호 강도 임계값보다 작다는 것일 수 있거나, 또는 무선 신호 강도 조건은, UE의 무선 신호 강도가 무선 신호 강도 범위에 속한다는 것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예를 들어 설명한다.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위치 응용 장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UE에 대한 파라미터 조정 정책을 생성할 수 있도록, UE의 무선 신호 강도가 임계값보다 낮다는 것을 일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지시할 수 있다. 일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무선 신호 강도에 따라 정책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비디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UE의 무선 신호 강도가 임계값보다 작다는 것에 응답하여 버퍼의 값을 조정하여 버퍼의 데이터 양을 증가시킴으로써, 비디오의 시청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다른 이벤트 처리 방법을 위치 응용 장치의 관점에서 설명한다. 도 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처리 방법을 나타내며, 이벤트 처리 방법은 주로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501. 위치 응용 장치가 위치 보고 요청을 생성한다. 위치 보고 요청은 무선 신호 강도 기반의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502. UE가 UE의 무선 신호 강도에 따라,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도록, 위치 응용 장치가 UE에 위치 보고 요청을 송신한다.
503. 위치 응용 장치가,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의 발생에 응답하여 UE에 의해 송신된 이벤트 보고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 501 내지 단계 503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의 단계 401 내지 단계 403와 유사하다. 여기서는 세부사항에 대해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504. 위치 응용 장치가 UE에 의해 송신된 만료 지시 정보(expiration indication information)를 획득한다.
만료 지시 정보는, UE가 마지막 이벤트 보고 이후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를 검출하지 않고 또한 마지막 이벤트 보고와 현재 시간 사이의 간격이 최대 시간 간격에 도달한 것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UE는 위치 보고 요청으로부터 위치 보고의 최대 시간 간격을 획득한다. UE는, UE가 마지막 이벤트 보고 이후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를 검출하지 않고 또한 마지막 이벤트 보고와 현재 시간 사이의 간격이 최대 시간 간격에 도달한 경우 위치 응용 장치에 만료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위치 응용 장치는 만료 지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는 간접 통신 방식으로 위치 응용 장치에 만료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505. 위치 응용 장치가 만료 지시 정보에 따라, UE가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를 검출하는 것을 지원한다고 결정한다.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UE는, UE가 마지막 이벤트 보고 이후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를 검출하지 않고 또한 마지막 이벤트 보고와 현재 시간 사이의 간격이 최대 시간 간격에 도달한 것에 응답하여, 만료 지시 정보를 송신하여 최대 시간 간격이 만료된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UE는 위치 보고 과정을 트리거하여 최대 시간 간격이 만료된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최대 시간 간격은, 위치 응용 장치로 하여금 UE가 특정 무선 신호 강도 이벤트를 계속 지원할지 여부를 계속 인식할 수 있게, 예를 들어 무선 신호 보고 이벤트가 UE의 셧다운(shutdown)으로 인해 취소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게 한다.
이하,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이벤트 처리 방법을 UE의 관점에서 설명한다. 도 9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처리 방법을 나타내며, 이벤트 처리 방법은 주로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601. UE가 위치 응용 장치에 의해 생성된 위치 보고 요청을 획득한다. 위치 보고 요청은 무선 신호 강도 기반의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단계 601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단계 203과 유사하다. 여기서는 세부사항에 대해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602. UE가 위치 보고 요청으로부터, 요청 유형 파라미터, 이벤트 트리거 유형 파라미터, 및 이벤트 내용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획득한다.
위치 보고 요청이 요청 유형 파라미터를 포함하면, UE가 후속 단계 603을 수행하고; 위치 보고 요청이 이벤트 트리거 유형 파라미터를 포함하면, UE가 후속 단계 604를 수행하며; 위치 보고 요청이 이벤트 내용 파라미터를 포함하면, UE가 후속 단계 605를 수행한다. 도 9에서는 UE가 단계 603 내지 단계 605를 각각 수행하는 예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603. UE가 요청 유형 파라미터에 따라, 위치 보고 요청의 요청 유형이 지연된 위치 보고 유형이라고 결정한다
UE가 요청 유형 파라미터를 파싱할 때 요청 유형이 지연된 위치 보고 유형이라고 결정할 수 있도록, 지연된 위치 보고 유형은 요청 유형 파라미터로 나타낼 수 있다.
604. UE가 이벤트 트리거 유형 파라미터에 따라,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의 트리거 유형이 무선 신호 강도 트리거 유형이라고 결정한다.
UE가 이벤트 트리거 유형 파라미터를 파싱할 때 트리거 유형이 무선 신호 강도 트리거 유형이라고 결정하고 또한 UE가 UE의 무선 신호 강도를 획득할 필요가 있을 수 있도록, 무선 신호 강도 트리거 유형은 이벤트 트리거 유형 파라미터로 나타낼 수 있다.
605. UE가 이벤트 내용 파라미터에 따라,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에 대응하는 내용 정보를 결정한다.
UE가 이벤트 내용 파라미터을 파싱할 때 무선 신호 강도 기반의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에 대응하는 이벤트 내용을 획득할 수 있도록, 무선 신호 강도 기반의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에 대응하는 이벤트 내용은 이벤트 내용 파라미터로 나타낼 수 있다.
이벤트 내용 파라미터에 포함된 파라미터는 위치 응용 장치에 의해 유연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이벤트 내용 파라미터는 무선 신호 강도 조건, 위치 보고의 최대 시간 간격, 위치 보고의 최소 시간 간격, 위치 보고 빈도 파라미터, 위치 보고의 QoS 요구 파라미터, 및 UE 위치를 보고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지시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이벤트 내용 파라미터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606. UE가 위치 보고 요청에 따라 UE의 무선 신호 강도를 획득한다.
607. UE가 UE의 무선 신호 강도에 따라,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608. UE가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의 발생에 응답하여 위치 응용 장치에 이벤트 보고 정보를 송신한다.
단계 606 내지 단계 608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단계 204 내지 단계 206과 유사하다. 여기서는 세부사항에 대해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이하,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이벤트 처리 방법을 UE의 관점에서 설명한다. 도 10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처리 방법을 나타내며, 이벤트 처리 방법은 주로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701. UE가 위치 응용 장치에 의해 생성된 위치 보고 요청을 획득한다. 위치 보고 요청은 무선 신호 강도 기반의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702. UE가 위치 보고 요청에 따라 UE의 무선 신호 강도를 획득한다.
703. UE가 UE의 무선 신호 강도에 따라,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704. UE가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의 발생에 응답하여 위치 응용 장치에 이벤트 보고 정보를 송신한다.
단계 701 내지 단계 704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단계 203 내지 단계 206와 유사하다. 여기서는 세부사항에 대해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705. UE가 마지막 이벤트 보고 이후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를 검출하지 않고 또한 마지막 이벤트 보고와 현재 시간 사이의 간격이 최대 시간 간격에 도달했다는 것에 응답하여, UE가 위치 응용 장치에 만료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UE는, 마지막 이벤트 보고와 현재 시간 사이의 간격이 최대 시간 간격에 도달했다는 것에 응답하여, 만료 지시 정보를 송신하여 최대 시간 간격이 만료된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UE는 위치 보고 과정을 트리거하여 최대 시간 간격이 만료된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최대 시간 간격은, 위치 응용 장치로 하여금 UE가 특정 무선 신호 세기 이벤트를 계속 지원할지 여부를 계속 인식할 수 있게, 예를 들어 UE의 셧다운으로 인해 무선 신호 보고 이벤트가 취소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게 한다.
이하,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전술한 해결책을 더 잘 이해하고 구현하기 위하여, 대응하는 적용 시나리오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서비스 기반의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위치 응용 장치가 AF 또는 LCS 클라이언트이다. 이 시스템 아키텍처에서, UE가 Uu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RAN와 통신하고, AMF가 N2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RAN와 통신하며, AMF가 NLn 인터페이스 또는 서비스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NEF와 통신하고, AMF가 NLs 인터페이스 또는 서비스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LMF와 통신하며, AMF가 NLg 인터페이스 또는 서비스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GMLC와 통신하고, NEF가 NLe 인터페이스 또는 서비스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GMLC와 통신하며, NEF가 N33 인터페이스 또는 서비스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AF와 통신하고, GMLC와 LRF가 Le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LCS 클라이언트와 통신할 수 있다.
전술한 아키텍처에서, 하나의 AF가 5G 코어 네트워크의 NEF와 상호 작용할 수 있으면, AF는 지연된 위치 보고에 대한 트리거 이벤트 요청을 NEF에 송신할 수 있다. NEF는 트리거 이벤트 요청을 UE에 송신한다. 대안적으로, LCS 클라이언트는 지연된 위치 보고에 대한 트리거 이벤트 요청을 GMLC에 송신하고, GMLC는 트리거 이벤트 요청을 AMF에 송신하며, AMF는 RAN을 이용하여 트리거 이벤트 요청을 UE에 송신한다. LCS 클라이언트와 AF는 상이한 트리거 이벤트의 각각의 요구사항에 따라 상이한 트리거 이벤트를 설정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지연된 위치 보고(Deferred Location Request)의 위치 서비스 유형이 설정될 수 있고, 무선 신호 강도에 의해 트리거되는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가 정의된다. UE는, UE의 무선 신호 강도가 임계값보다 작다는 것에 응답하여, 제3자 애플리케이션 서버(예를 들어, AF) 또는 위치 서버(예를 들어, LCS 클라이언트)에 UE의 위치 정보를 보고한다.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일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무선 신호 강도에 따라 정책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비디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UE의 무선 신호 강도가 임계값보다 작다는 것에 응답하여 버퍼의 값을 조정하여 버퍼의 데이터 양을 증가시킴으로써, 비디오의 시청 품질을 향상시킨다.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무선 신호 강도 기반의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가, UE의 무선 신호 강도가 무선 신호 강도 조건(예를 들어, 무선 신호 강도 임계값보다 작음)을 만족하는 것에 응답하여 UE가 위치 보고 과정을 트리거하는 것을 나타낸다. UE로부터 이벤트 보고를 수신한 후, AMF는 UE가 약한 신호 커버리지 영역에 있다는 것, 즉 사전 정의된 이벤트 유형이 만족된다는 것을 AF 또는 LCS 클라이언트에 지시한다. UE가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하지만,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의 보고 정보를 적시에 송신하지 않으면(예를 들어, UE가 일시적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없거나 또는 시간 마지막 이벤트 보고와 현재 시간 사이의 간격이 최소 보고 간격보다 작으면), UE가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없는 경우, UE는 네트워크에 접속한 후 이벤트를 보고하거나, 또는 UE는 마지막 이벤트 보고와 현재 시간 사이의 시간 간격이 최소 보고 시간 간격과 같은 경우 동시에 이벤트와 이벤트의 실제 발생 시간의 정보를 보고한다.
무선 신호 강도 기반의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는 최소 보고 시간 간격과 최대 보고 시간 간격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LCS 클라이언트와 AF는 최대 보고 시간 간격에 따라, UE가 특정 무선 신호 강도 기반의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를 계속 지원할지 여부를 계속 인식할 수 있다(예를 들어, 무선 신호 보고 이벤트가 UE의 셧다운으로 인해 취소될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UE가 최대 보고 시간 간격이 만료된 것을 LCS 클라이언트와 AF에 지시하면, 이 순간의 UE의 무선 신호 강도가 사전 설정된 임계값보다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
UE 위치를 보고할지 여부의 지시는, NEF 또는 GMLC가 이벤트의 발생시 UE의 위치 정보를 보고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AF 또는 LCS 클라이언트에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UE의 위치 보고의 QoS 요구가 AF 또는 LCS 클라이언트에 의해 정의된 UE 위치의 정밀도를 정의한다. 예를 들어, UE 위치의 보고 정밀도기 미터의 단위이거나 또는 셀의 단위일 수 있다.
도 1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연된 위치보고 이벤트의 요청 및 트리거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UE가 로밍하지 않는 시나리오를 나타낸다. LCS 클라이언트가 GMLC에 위치 보고 요청을 송신하거나; 또는 AF가 NEF에 LCS 위치 보고 요청을 송신하고, NEF가 GMLC에 요청을 송신한다. 위치 보고 요청은 지연된 위치 보고 요청와 관련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지연된 위치 보고 요청의 이벤트 유형과 관련 파라미터이 전달될 필요가 있다. 이벤트 유형은 무선 신호 세기이다. 다음의 과정이 주로 포함된다.
S01a. LCS 클라이언트가 GMLC에 LCS 위치 보고 요청을 송신한다.
예를 들어, LCS 클라이언트가 GMLC에 LCS 위치 보고 요청을 송신한다. LCS 위치 보고 요청은 UE의 식별자(또는 UE 그룹), 위치 보고 요청의 유형, 즉 위치 지연 보고(location deferred report, LDR), 트리거 이벤트의 유형, 및 관련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LDR은 위치 지연 보고 유형을 나타낸다. 트리거 이벤트는 무선 신호 강도를 나타낸다.
S01b-1. AF가 NEF에 LCS 위치 보고 요청을 송신한다.
LCS 위치 보고 요청은 UE의 식별자(또는 UE 그룹), 위치 보고 요청의 유형 LDR, 트리거 이벤트의 유형, 및 관련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LDR은 위치 지연 보고 유형을 나타낸다. 트리거 이벤트는 무선 신호 강도를 나타낸다.
S01b-2. NEF가 GMLC에 LCS 위치 보고 요청을 송신한다.
AF가 NEF에 LCS 위치 보고 요청을 송신하고, NEF가 GMLC에 LCS 위치 보고 요청을 송신한다. NEF와 GMLC 간에는 Ngmlc 서비스를 이용하여 LCS 위치 보고 요청이 전송될 수 있다.
단계 S01a는 위치 응용 장치가 LCS 클라이언트인 경우에 대응하고, 단계 S01b-1와 단계 S01b-2는 위치 응용 장치가 AF인 경우에 대응한다.
S02. GMLC가 UDM과 상호 작용하여 가입자 데이터 관리(subscriber data management, SDM) 서비스를 호출한다.
GMLC와 UDM 간에는 Nudm_SDM 서비스가 호출되어, UE의 저장된 프라이버시 콘텍스트 정보를 검증하도록 UDM에 요청함으로써, 위치 보고 요청이 지원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위치 보고 요청이 지원되면, 후속 단계 S03이 수행되고; 위치 보고 요청이 지원되지 않으면, 단계 S08a가 수행되고, 위치 보고 요청의 거부 메시지가 LCS 클라이언트에 송신되거나, 또는 위치 보고 요청이 지원되지 않으면, 단계 S08b-1과 단계 S08b-2가 수행된다.
S03. GMLC가 UDM와 상호 작용하여 UE 콘텍스트 관리(UE context management, UECM) 서비스를 호출한다.
GMLC가 UE를 서비스하는 AMF의 주소를 획득하도록 UDM에 요청한다.
S04. GMLC가 AMF에 위치 보고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예를 들어, GMLC가 AMF의 서비스(예를 들어, Namf_Location_ProvidePositioningInfo 서비스)를 호출하고, UE의 식별자(또는 UE 그룹), GMLC의 주소, LDR 참조 번호, 및 트리거 이벤트의 유형과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UE의 위치 보고 요청 메시지를 AMF에 송신한다. AMF가 지연된 위치 보고 요청을 지원하지 않으면, 단계 S05와 단계 S06이 생략되고, 단계 S07과 단계 S08이 직접 수행된다. AMF가 지연된 위치 보고 요청을 지원하면, 단계 S05가 수행된다.
S05. AMF가 위치 보고 요청의 통지 메시지를 UE에 송신한다.
UE가 접근 불가능하면, AMF는 UE가 액세스 가능해질 때까지 기다리고; UE가 유휴 상태에 있으면, AMF는 네트워크-트리거된 서비스 요청 과정을 개시하여 UE로의 시그널링 연결을 구축하고, UE의 이동성 관리 상태는 연결 상태가 된다. AMF는 UE가 연결 상태에 있는 것에 응답하여 NAS 메시지를 이용하여 UE에 요청을 송신한다. 여기서, 이 요청은 위치 보고 요청의 유형 LDR, 트리거 이벤트의 유형, 및 관련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LDR은 위치 지연 보고 유형을 나타낸다. 트리거 이벤트는 무선 신호 강도를 나타낸다.
S06. UE가 위치 보고 요청의 확인 결과를 AMF에 송신한다.
UE가 이벤트 유형을 지원하고 또한 트리거 이벤트에 동의하면, UE는 위치 보고 요청의 수신 수신확인 메시지를 싣고 있는 NAS 메시지를 AMF에 송신한다. UE가 트리거 이벤트에 동의하지 않으면, UE는 위치 보고 요청의 거부 메시지를 싣고 있는 NAS 메시지를 AMF에 송신한다.
S07a. AMF가 위치 보고 요청의 응답 메시지를 GMLC에 송신한다.
AMF가 위치 보고 요청의 응답 메시지를 GMLC에 송신한다. 여기서, 응답 메시지는 위치 보고 요청이 수신되거나 또는 거부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S07b. UE가 위치 보고 요청을 수신하면, AMF가 LMF에 위치 보고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여기서, 위치 보고 요청 메시지는 UE의 식별자(또는 UE 그룹), 위치 보고 요청의 유형 LDR, 트리거 이벤트의 유형, 관련 파라미터, 및 LDR 참조 번호를 포함한다.
단계 S07a와 단계 S07b 간에는 순서가 없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S08a. GMLC가 LCS 클라이언트에 위치 보고 요청의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GMLC가 LCS 클라이언트에 위치 보고 요청의 응답 메시지를 포워딩한다. 응답 메시지는 위치 보고 요청이 수신되거나 또는 거부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S08b-1. GMLC가 위치 보고 요청의 응답 메시지를 NEF에 송신한다.
GMLC가 NEF에 위치 보고 요청의 응답 메시지를 포워딩한다. 응답 메시지는 위치 보고 요청이 수신되거나 또는 거부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S08b-2. NEF가 AF에 위치 보고 요청의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NEF가 AF에 위치 보고 요청의 응답 메시지를 포워딩한다. 응답 메시지는 위치 보고 요청이 수신되거나 또는 거부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S09. UE가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UE가 UE의 무선 신호 강도에 따라, 무선 신호 강도 기반의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S10. UE가 AMF와 LMF에 이벤트 보고 정보를 송신한다.
S11. UE가 LMF와 상호 작용하여 UE 위치추적 과정(UE locating proces)을 실행한다.
S12. LMF가 GMLC에 이벤트 통지 메시지를 송신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이벤트 통지 메시지는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의 발생의 지시 정보를 싣고 있다. 위치 보고 요청 메시지가 위치 정보를 보고하도록 UE에 요구하면, UE의 위치 정보가 이벤트 통지 메시지에 실린다.
S13a. GMLC가 LCS 클라이언트에 위치 보고 이벤트의 발생의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LCS 클라이언트가 위치 보고 이벤트의 발생의 수신된 응답 메시지에 따라 UE의 이벤트 보고 정보를 획득한다.
S13b-1. GMLC가 NEF에 위치 보고 이벤트의 발생의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S13b-2. NEF가 AF에 위치 보고 이벤트의 발생의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AF가 위치 보고 이벤트의 발생의 수신된 응답 메시지에 따라 UE의 이벤트 보고 정보를 획득한다.
도 1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지연된 위치보고 이벤트의 요청 및 트리거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UE가 로밍 중인 시나리오를 나타낸다. LCS 클라이언트가 홈 게이트웨이 모바일 위치 센터(home gateway mobile location center, HGMLC)에 위치 보고 요청을 송신하거나; 또는 AF가 LCS 위치 보고 요청을 NEF에 송신하고, NEF가 HGMLC에 LCS 위치 보고 요청을 송신한다. 위치 보고 요청은 UE의 식별자(또는 UE 그룹), 지연된 위치 보고 요청, 및 관련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지연된 위치 보고 요청의 이벤트 유형과 관련 파라미터가 전달될 필요가 있다. 이벤트 유형은 무선 신호 세기이다. 다음의 과정이 주로 포함된다.
P01a. LCS 클라이언트가 HGMLC에 LCS 위치 보고 요청을 송신한다.
예를 들어, LCS 클라이언트가 HGMLC에 LCS 위치 보고 요청을 송신한다. LCS 위치 보고 요청은 위치 보고 요청의 유형 LDR, 트리거 이벤트의 유형, 및 관련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LDR은 위치 지연 보고 유형을 나타낸다. 트리거 이벤트는 무선 신호 강도를 나타낸다.
P01b-1. AF가 NEF에 LCS 위치 보고 요청을 송신한다.
LCS 위치 보고 요청은 위치 보고 요청의 유형 LDR, 트리거 이벤트의 유형, 및 관련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LDR은 위치 지연 보고 유형을 나타낸다. 트리거 이벤트는 무선 신호 강도를 나타낸다.
P01b-2. NEF가 HGMLC에 LCS 위치 보고 요청을 송신한다.
AF가 NEF에 LCS 위치 보고 요청을 송신하고, NEF가 HGMLC에 LCS 위치 보고 요청을 송신한다. NEF와 HGMLC 간에는 Ngmlc 서비스를 이용하여 LCS 위치 보고 요청이 전송될 수 있다.
단계 P01a는 위치 응용 장치가 LCS 클라이언트인 경우에 대응하고, 단계 P01b-1과 단계 P01b-2는 위치 응용 장치가 AF인 경우에 대응한다.
AF가 LCS 위치 보고 요청을 NEF에 송신하고, NEF가 요청을 HGMLC에 송신한다. HGMLC는 홈 공중 육상 이동망(home public land mobile network, HPLMN)의 GMLC이다.
P02. HGMLC가 UDM과 상호 작용하여 SDM 서비스를 호출한다.
UDM은, 위치 보고 요청이 지원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UE의 저장된 프라이버시 콘텍스트 정보를 검증한다. 위치 보고 요청이 지원되면, 후속 단계 P03이 수행되고; 위치 보고 요청이 지원되지 않으면, 단계 P08a이 수행되고, 위치 보고 요청의 거부 메시지가 LCS 클라이언트에 송신되거나, 또는 위치 보고 요청이 지원되지 않으면, 단계 P08b-1과 단계 P08b-2가 수행된다.
P03a. HGMLC가 UDM와 상호 작용하여 UECM 서비스를 호출한다.
HGMLC가 방문된 게이트웨이 모바일 위치 센터(visited gateway mobile location center, VGMLC)의 주소와 AMF의 주소를 획득하도록 UDM에 요청한다.
P03b. HGMLC가 VGMLC에 위치 보고 요청을 송신한다.
VGMLC는 방문된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visited public land mobile network, VPLMN)의 GMLC이다.
P04. VGMLC가 AMF에 위치 보고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예를 들어, VGMLC가 AMF의 서비스(예를 들어, Namf_Location_ProvidePoPitioningInfo 서비스)를 호출하고, AMF에 위치 보고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여기서, 위치 보고 요청 메시지지는 UE의 식별자(또는 UE 그룹), HGMLC의 주소, LDR 참조 번호, 및 트리거 이벤트의 유형과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AMF가 지연된 위치 보고 요청을 지원하지 않으면, 단계 P05와 단계 P06이 생략되고, 단계 P07이 직접 수행된다. AMF가 지연된 위치 보고 요청을 지원하면, 단계 P05가 수행된다.
P05. AMF가 UE에 위치 보고 요청의 통지 메시지를 송신한다.
UE가 접근 불가능하면, AMF는 UE가 접근 가능할때까지 기다리고; UE가 유휴 상태에 있으면, AMF는 네트워크-트리거된 서비스 요청 과정을 개시하여 UE로의 시그널링 연결을 구축하고, UE의 이동성 관리 상태는 연결 상태가 된다. AMF는, UE가 연결 상태에 있는 것에 응답하여 NAS 메시지를 이용하여 이 요청을 UE에 송신한다. 여기서, 이 요청은 위치 보고 요청의 유형 LDR, 트리거 이벤트의 유형, 및 관련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LDR은 위치 지연 보고 유형을 나타낸다. 트리거 이벤트는 무선 신호 강도를 나타낸다.
P06. UE가 AMF에 위치 보고 요청의 확인 결과를 송신한다.
UE가 이벤트 유형을 지원하고 또한 트리거 이벤트에 동의하면, UE가 위치 보고 요청의 수신 수신확인 메시지를 싣고 있는 NAS 메시지를 AMF에 송신한다. UE가 트리거 이벤트에 동의하지 않으면, UE가 위치 보고 요청의 거부 메시지를 싣고 있는 NAS 메시지를 AMF에 송신한다.
P07a. AMF가 VGMLC에 위치 보고 요청의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AMF가 VGMLC에 위치 보고 요청의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여기서, 응답 메시지는 위치 보고 요청이 수신되거나 또는 거부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P07b. UE가 위치 보고 요청을 수신하면, AMF가 LMF에 위치 보고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여기서, 위치 보고 요청 메시지는 UE의 식별자(또는 UE 그룹), 위치 보고 요청의 유형 LDR, 트리거 이벤트의 유형, 관련 파라미터, 및 LDR 참조 번호를 포함한다.
단계 P07a와 단계 P07b 간에는 순서가 없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P08a. VGMLC가 LCS 클라이언트에 위치 보고 요청의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VGMLC가 HGMLC에 위치 보고 요청의 응답 메시지를 포워딩하고, HGMLC가 LCS 클라이언트에 응답 메시지를 포워딩한다. 응답 메시지는 위치 보고 요청이 수신되거나 또는 거부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P08b-1. VGMLC가 NEF에 위치 보고 요청의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VGMLC가 HGMLC에 위치 보고 요청의 응답 메시지를 포워딩하고, HGMLC가 NEF에 응답 메시지를 포워딩한다. 응답 메시지는 위치 보고 요청이 수신되거나 또는 거부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P08b-2. NEF가 AF에 위치 보고 요청의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NEF가 AF에 위치 보고 요청의 응답 메시지를 포워딩한다. 응답 메시지는 위치 보고 요청이 수신되거나 또는 거부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P09. UE가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UE가 UE의 무선 신호 강도에 따라, 무선 신호 강도 기반의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P10. UE가 AMF와 LMF에 이벤트 보고 정보를 송신한다.
P11. UE가 LMF와 상호 작용하여 UE 위치추적 과정을 실행한다.
P12a. LMF가 VGMLC에 이벤트 통지 메시지를 송신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이벤트 통지 메시지는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의 발생의 지시 정보를 싣고 있다. 위치 보고 요청 메시지가 위치 정보를 보고하도록 UE에 요구하면, UE의 위치 정보가 이벤트 통지 메시지에 실린다.
P12b. VGMLC가 HGMLC에 이벤트 통지 메시지를 송신한다.
P13a. HGMLC가 LCS 클라이언트에 위치 보고 이벤트의 발생의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LCS 클라이언트가 위치 보고 이벤트의 발생의 수신된 응답 메시지에 따라 UE의 이벤트 보고 정보를 획득한다.
P13b-1. HGMLC가 NEF에 위치 보고 이벤트의 발생의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P13b-2. NEF가 AF에 위치 보고 이벤트의 발생의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AF가 위치 보고 이벤트의 발생의 수신된 응답 메시지에 따라 UE의 이벤트 보고 정보를 획득한다.
전술한 예시적인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무선 신호 품질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영역 내의 UE의 식별자 정보와 위치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네트워크 품질 조건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계층의 파라미터 구성 정책을 조정하도록 애플리케이션 계층을 도울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방법 실시예는 일련의 동작의 조합으로 설명되었다. 하지만, 본 출원에 따르면, 일부 단계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당업자라면 본 출원이 설명된 동작 순서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또한,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가 모두 예시적인 실시예이며 또한 관련 동작과 모듈이 반드시 본 출원에 필요한 것은 아니라고 이해해야 한다.
이하,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전술한 해결책을 더 잘 구현하기 위하여, 전술한 해결책을 구현하기 위한 관련 장치를 추가로 제공한다.
도 1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응용 장치(1000)를 나타내며, 위치 응용 장치(1000)는 처리 모듈(1001)과 송수신 모듈(1002)을 포함한다.
처리 모듈(1001)은 위치 보고 요청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 여기서, 위치 보고 요청은 무선 신호 강도 기반의 지연된 위치보고 이벤트를 지시하는 데 사용됨 -;
처리 모듈(1001)은 추가적으로, UE가 UE의 무선 신호 강도에 따라,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도록, 송수신 모듈(1002)을 이용하여 UE에 위치 보고 요청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처리 모듈(1001)은 추가적으로,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의 발생에 응답하여 UE에 의해 위치 응용 장치에 송신된 이벤트 보고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위치 보고 요청은 요청 유형 파라미터, 이벤트 트리거 유형 파라미터, 및 이벤트 내용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요청 유형 파라미터는, 위치 보고 요청의 요청 유형이 지연된 위치 보고 유형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이벤트 트리거 유형 파라미터는,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의 트리거 유형이 무선 신호 강도 트리거 유형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고;
이벤트 내용 파라미터는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에 대응하는 내용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이벤트 내용 파라미터는 무선 신호 강도 조건, 위치 보고의 최대 시간 간격, 위치 보고의 최소 시간 간격, 위치 보고 빈도 파라미터, 위치 보고의 QoS 요구 파라미터, 및 UE 위치를 보고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지시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UE가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할 때, 이벤트 보고 정보가 송신되거나; 또는
UE가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한 후 소정의 시간 이후에 이벤트 보고 정보가 송신된다. 이벤트 보고 정보는 UE의 무선 신호 강도가 무선 신호 강도 조건을 만족하는 실제 발생 시간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처리 모듈(1001)은 추가적으로, 이벤트 보고 정보에 따라,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의 발생시 UE의 무선 신호 강도가 무선 신호 강도 조건을 만족한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처리 모듈(1001)은 추가적으로, 위치 보고 요청을 UE에 송신한 후, UE에 의해 송신된 만료 지시 정보를 획득하고 - 여기서, 만료 지시 정보는 UE가 마지막 이벤트 보고 이후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를 검출하지 않고 또한 마지막 이벤트 보고와 현재 시간 사이의 간격이 최대 시간 간격에 도달한 것을 나타내는 데 사용됨 -; 만료 지시 정보에 따라, UE가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를 검출하는 것을 지원한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위치 응용 장치가 AF 엔티티인 경우, 처리 모듈(1001)은 NEF 엔티티에 위치 보고 요청을 송신하고; NEF 엔티티를 이용하여 GMLC에 위치 보고 요청을 송신하며; GMLC를 이용하여 AMF 엔티티에 위치 보고 요청을 송신하고; AMF 엔티티를 이용하여, RAN을 통해 UE에 위치 보고 요청을 송신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위치 응용 장치가 LCS 클라이언트인 경우, 처리 모듈(1001)은 위치 보고 요청을 GMLC에 송신하고; GMLC를 이용하여 위치 보고 요청을 AMF 엔티티에 송신하며; AMF 엔티티를 이용하여 RAN을 통해 위치 보고 요청을 UE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도 1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UE(1100)를 나타내고, UE(1100)는 처리 모듈(1101)과 송수신 모듈(1102)을 포함하며,
처리 모듈(1101)은 송수신 모듈(1102)을 이용하여, 위치 응용 장치에 의해 생성된 위치 보고 요청을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 여기서, 위치 보고 요청은 무선 신호 강도 기반의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를 나타내는 데 사용됨 -;
처리 모듈(1101)은 추가적으로, 위치 보고 요청에 따라 UE의 무선 신호 강도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며;
처리 모듈(1101)은 추가적으로, UE의 무선 신호 강도에 따라,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고;
처리 모듈(1101)은 추가적으로,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의 발생에 응답하여 위치 응용 장치에 이벤트 보고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처리 모듈(1101)은 위치 보고 요청으로부터 요청 유형 파라미터, 이벤트 트리거 유형 파라미터, 및 이벤트 내용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요청 유형 파라미터에 따라, 위치 보고 요청의 요청 유형이 지연된 위치 보고 유형이라고 결정하거나; 및/또는 이벤트 트리거 유형 파라미터에 따라,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의 트리거 유형이 무선 신호 강도 트리거 유형이라고 결정거나; 및/또는 이벤트 내용 파라미터에 따라,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에 대응하는 내용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이벤트 내용 파라미터는 무선 신호 강도 조건, 위치 보고의 최대 시간 간격, 위치 보고의 최소 시간 간격, 위치 보고 빈도 파라미터, 위치 보고의 QoS 요구 파라미터, 및 UE 위치를 보고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지시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처리 모듈(1101)은, UE의 무선 신호 강도가 무선 신호 강도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UE의 무선 신호 강도가 무선 신호 강도 조건을 만족하는 것에 응답하여,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한다고 결정하며; UE의 무선 신호 강도가 무선 신호 강도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것에 응답하여,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처리 모듈(1101)은 추가적으로,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하고 또한 마지막 이벤트 보고와 현재 시간 사이의 간격이 최소 시간 간격에 도달한 것에 응답하여 위치 응용 장치에 이벤트 보고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하고 또한 마지막 이벤트 보고와 현재 시간 사이의 간격이 최소 시간 간격에 도달하지 않은 것에 응답하여,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한 후 소정의 시간 이후에 위치 응용 장치에 이벤트 보고 정보를 송신하거나 - 여기서, 이벤트 보고 정보는 UE의 무선 신호 강도가 무선 신호 강도 조건을 만족하는 실제 발생 시간을 포함하고 있음 -; 또는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하고 또한 UE가 현재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없다는 것에 응답하여,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한 후 소정의 시간 이후에 위치 응용 장치에 이벤트 보고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처리 모듈(1101)은 추가적으로, UE가 마지막 이벤트 보고 이후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를 검출하지 않고 또한 마지막 이벤트 보고와 현재 시간 사이의 간격이 최대 시간 간격에 도달한 것에 응답하여 위치 응용 장치에 만료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위치 응용 장치가 위치 보고 요청을 먼저 생성한 다음, UE에 위치 보고 요청을 송신한다. UE는 위치 응용 장치에 의해 생성된 위치 보고 요청을 획득할 수 있다. UE는 위치 보고 요청에 따라 UE의 무선 신호 강도를 획득한 다음, UE의 무선 신호 강도에 따라,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UE는,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위치 응용 장치에 이벤트 보고 정보를 송신한다. 위치 응용 장치는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의 발생에 응답하여 UE에 의해 송신된 이벤트 보고 정보를 획득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UE가 UE의 무선 신호 강도에 따라,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도록, 위치 응용 장치는 무선 신호 강도 기반의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를 UE에 지시할 수 있다. 위치 응용 장치가 무선 신호 강도에 따라 파라미터 구성 정책을 조정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요구사항을 구현할 수 있도록, 위치 응용 장치는 UE에 의해 송신된 이벤트 보고 정보에 따라 UE의 무선 신호 강도의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서버(1200)는 위치 응용 장치일 수 있고, 서로 다른 구성 또는 성능으로 인해 크게 달라질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중앙 처리 장치(CPU, 1222)(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메모리(1232),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242) 또는 데이터(1244)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저장 매체(1230)(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대용량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32)와 저장 매체(1230)는 일시적 또는 영구적 스토리지일 수 있다. 저장 매체(1230)에 포함된 프로그램은 하나 이상의 모듈(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모듈은 서버 상의 일련의 명령 연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CPU(1222)는 저장 매체(1230)와 통신하도록 구성되어, 서버(1200) 상의 저장 매체(1230)의 일련의 명령 연산을 수행한다.
서버(1200)는 하나 이상의 전원(1226), 하나 이상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50), 하나 이상의 입력/출력 인터페이스(1258), 및/또는 Windows 서버TM, Mac OS XTM, UnixTM, LinuxTM, 또는 FreeBSDTM과 같은 하나 이상의 운영체제(12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의 위치 응용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이벤트 처리 방법의 단계가 도 16에 도시된 서버 구조에 기초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다른 단말기를 추가로 제공하고, 이 단말기는 UE일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출원의 실시예와 관련된 부분만이 도시되어 있다. 공개되지 않은 구체적인 기술적 세부사항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방법 부분을 참조하라. 단말기는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 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OS(Point of Sales), 및 차량용 컴퓨터를 포함하는 임의의 단말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가 휴대폰이다.
도 1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와 관련된 휴대폰의 구조의 일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휴대폰은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회로(1310), 메모리(1320), 입력 유닛(1330), 디스플레이 유닛(1340), 센서(1350), 오디오 회로(1360),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모듈, 프로세서(1380), 및 전원(1390)과 같은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당업자라면, 도 17에 도시된 휴대폰의 구조가 휴대폰에 대해 제한을 부과하지 않으며, 휴대폰이 도면에 도시된 것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구성 요소가 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구성 요소 배치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도 17을 참조하여 휴대폰의 구성 요소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RF 회로(1310)는 정보 송수신 과정 또는 호출 과정 중에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RF 회로는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정보를 수신한 후, 처리를 위해 프로세서(1380)에 하향링크 정보를 전달하고, 설계된 상향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에 송신한다. 일반적으로, RF 회로(1310)는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송수신기, 커플러(coupler),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 LNA), 및 듀플렉서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RF 회로(1310)는 무선 통신을 통해 네트워크 및 다른 장치와 통신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은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또는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또는 코드분할 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또는 광대역 코드분할 다중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또는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또는 이메일, 또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ing Service, SMS)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어떠한 통신 표준 또는 프로토콜도 사용할 수 있다.
메모리(1320)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과 모듈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1380)는 메모리(132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과 모듈을 실행하여 휴대폰의 다양한 기능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 처리를 구현한다. 메모리(1320)는 주로 프로그램 저장 영역과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저장 영역은 운영체제, 및 적어도 하나의 기능(예를 들어, 사운드 재생 기능과 이미지 표시 기능)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 영역은 휴대폰의 사용에 따라 생성되는 데이터(예를 들어, 오디오 데이터와 주소록)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320)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대안적으로 비휘발성 메모리,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또는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다른 휘발성 솔리드 스테이트 저장 장치(volatile solid-state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유닛(1330)은 입력된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수신하고, 휴대폰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된 키 신호 입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 유닛(1330)은 터치 패널(1331) 및 다른 입력 장치(1332)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이라고도 할 수 있는 터치 패널(1331)은, 터치 패널 위 또는 근처에서의 사용자의 터치 조작(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와 같은 어떤 적합한 물체 또는 액세서리를 이용하여 터치 패널(1331) 위 또는 근처에서의 사용자의 조작 등)을 수집하고, 사전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대응하는 연결 장치를 구동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터치 패널(1331)은 2개의 부분, 즉 터치 검출 장치와 터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검출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방향을 검출하고, 터치 조작에 의해 생성된 신호를 검출하며, 이 신호를 터치 컨트롤러에 전달한다. 터치 컨트롤러는 터치 검출 장치로부터 터치 정보를 수신하고, 터치 정보를 터치 포인트 좌표로 변환하며, 프로세서(1380)에 터치 포인트 좌표를 송신한다. 또한, 터치 컨트롤러는 프로세서(1380)로부터 송신된 명령을 수신하고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1331)은 저항막 방식(resistive type), 정전 용량 방식(capacitive type), 적외선 방식(infrared type), 표면 탄성파 방식(surface acoustic wave type)과 같은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터치 패널(1331) 외에, 입력 유닛(1330)은 다른 입력 장치(13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른 입력 장치(1332)는 물리적 키보드, 기능 키(예컨대, 볼륨 제어 키 또는 스위치 키), 트랙볼, 마우스, 및 조이스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유닛(1340)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된 정보, 및 휴대폰의 다양한 메뉴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340)은 디스플레이 패널(1341)을 포함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341)은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등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1331)은 표시 패널(1341)을 덮을 수 있다. 터치 패널(1331)은 터치 패널 위 또는 부근의 터치 조작을 감지한 후, 프로세서(1380)에 터치 조작을 전달하여 터치 이벤트 유형을 결정한다. 그런 다음, 프로세서(1380)는 터치 이벤트 유형에 따라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341)에 시각적 출력을 제공한다. 도 17에서, 터치 패널(1331)과 디스플레이 패널(1341)이 2개의 분리된 부분으로 사용되어 휴대폰의 입출력 기능을 구현하지만, 일부 실시예에서, 터치 패널(1331)과 디스플레이 패널(1341)이 통합되어 휴대폰의 입출력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휴대폰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1350), 예컨대 광 센서, 움직임 센서(motion sensor), 및 기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광 센서는 주변 광 센서(ambient light sensor)와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주변 광 센서는 주변 광의 밝기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341)의 휘도를 조정할 수 있다. 근접 센서는 휴대폰이 귀로 이동할 때 디스플레이 패널(1341) 및/또는 백라이트를 끌 수 있다. 움직임 센서의 하나의 유형으로서, 가속도 센서는 다양한 방향(일반적으로, 3개의 축)의 가속도 크기를 검출할 수 있고, 정지 상태일 때 중력의 크기와 방향을 검출할 수 있으며, 휴대폰의 자세를 인식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될 수 있고, 휴대폰의 자세(예를 들어,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 간의 전환, 관련 게임, 및 자력계 자세 교정)를 인식하는 애플리케이션, 진동 인식과 관련된 기능(예컨대, 만보기(pedometer)와 노크(knock))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휴대폰에 구성될 수 있는 자이로스코프,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및 적외선 센서와 같은 다른 센서에 대해 추가로 설명하지 않는다.
오디오 회로(1360), 확성기(1361), 및 마이크(1362)는 사용자와 휴대폰 간의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회로(1360)는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확성기(1361)에 전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확성기(1361)는 전기 신호를 출력용 사운드 신호로 변환한다. 한편, 마이크(1362)는 수집된 사운드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오디오 회로(1360)는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전기 신호를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며, 처리를 위해 오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서(1380)에 출력한다. 그런 다음, 프로세서(1380)는 오디오 데이터를, 예를 들어 RF 회로(1310)를 이용하여 다른 휴대폰에 송신하거나, 또는 추가적인 처리를 위해 오디오 데이터를 메모리(1320)에 출력한다
와이파이(Wi-Fi)는 근거리 무선 전송 기술이다. 휴대폰은 Wi-Fi 모듈(1370)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이메일 수신과 송신, 웹 페이지 브라우징, 및 스트림 미디어 액세스 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무선 광대역 인터넷 접속을 제공한다. 도 17이 와이파이 모듈(1370)을 도시하고 있지만, 와이파이 모듈이 휴대폰의 필수 구성 요소가 아니며, 본 개시의 본질의 범위가 변경되지 않으면 와이파이 모듈이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프로세서(1380)는 휴대폰의 제어 중심이고, 다양한 인터페이스와 회선을 이용하여 전체 휴대폰의 다양한 부분과 연결된다. 프로세서(1380)는 메모리(132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모듈을 실행하고 메모리(1320)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하여 휴대폰의 다양한 기능을 실행하고 데이터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전체 휴대폰을 모니터링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프로세서(1380)는 하나 이상의 처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80)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모뎀을 통합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주로 운영체제, 사용자 인터페이스, 애플리케이션 등을 처리한다. 모뎀은 주로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전술한 모뎀이 프로세서(1380)에 통합되지 않을 수 있다고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휴대폰은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1390)(예컨대, 배터리)를 더 포함한다. 전원은 전력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프로세서(1380)에 논리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전력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충전, 방전, 및 전력 소비 관리와 같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휴대폰은 카메라와 블루투스 모듈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는 세부사항에 대해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기에 포함된 프로세서(1380)는 추가적으로, UE에 의해 수행되는 이벤트 처리 방법의 절차를 제어하고 수행한다.
또한, 설명된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일 뿐이다. 별도의 부분으로 설명된 유닛들이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도 있거나 또는 분리되지 않을 수 있으며, 유닛들로 표시된 부분들이 물리적 유닛일 수 있거나 또는 물리적 유닛이 아닐 수 있거나, 또는 하나의 위치에 있을 수 있거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산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모듈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실제 필요에 따라 선택되어 이러한 실시예의 해결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장치 실시예의 첨부 도면에서, 모듈들 간의 연결 관계가 이러한 모듈들이 서로와 통신 연결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이는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 또는 신호 케이블로 구현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창의적인 노력없이 이러한 실시예를 이해하고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구현의 설명에 기초하여, 당업자라면 필요한 범용 하드웨어 외에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현되거나, 또는 전용 집적 회로, 전용 CPU, 전용 메모리, 및 전용 컴포넌트 등을 포함하는 전용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기능은 대응하는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기능을 달성하는 데 사용되는 특정 하드웨어 구조가 다양한 형태, 예를 들어 아날로그 회로, 또는 디지털 회로, 또는 전용 회로의 형태일 수 있다. 하지만, 본 출원의 경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구현이 대부분의 경우 더 나은 구현이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출원의 기술적 해결책은 기본적으로, 또는 관련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판독가능 저장 매체, 예컨대 플로피 디스크, USB 플래쉬 드라이브, 착탈식 하드디스크(removable hard disk),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컴퓨터의 광 디스크에 저장되고,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이벤트 처리 방법을 수행하도록 컴퓨터 장치(개인용 컴퓨터, 또는 서버, 또는 네트워크 장치 등일 수 있음)에 지시하기 위한 여러 명령을 포함한다.
요약하면, 전술한 실시예는 본 출원의 기술적 해결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출원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전술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출원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적 해결책을 여전히 수정하거나 또는 기술적 해결책의 일부 기술적 특징을 동등하게 대체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7)

  1. 위치 응용 장치(location application device)에 의해 수행되는 이벤트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위치 응용 장치가 위치 보고 요청을 생성하는 단계 - 상기 위치 보고 요청은 무선 신호 강도 기반의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를 나타내는 데 사용됨 -;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가 상기 UE의 무선 신호 강도에 따라, 상기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도록, 상기 위치 응용 장치가 상기 UE에 상기 위치 보고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응용 장치가, 상기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의 발생에 응답하여 상기 UE에 의해 상기 위치 응용 장치에 전송된 이벤트 보고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이벤트 보고 정보에 따라 상기 UE의 무선 신호 강도를 획득하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 하여금 상기 무선 신호 강도에 따라 파라미터 구성 정책을 조정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위치 응용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이벤트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보고 요청은 요청 유형 파라미터, 이벤트 트리거 유형 파라미터, 및 이벤트 내용 파라미터(event content parameter)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요청 유형 파라미터는, 상기 위치 보고 요청의 요청 유형이 지연된 위치 보고 유형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상기 이벤트 트리거 유형 파라미터는, 상기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의 트리거 유형이 무선 신호 강도 트리거 유형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고;
    상기 이벤트 내용 파라미터는, 상기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에 대응하는 내용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위치 응용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이벤트 처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내용 파라미터는 무선 신호 강도 조건, 위치 보고의 최대 시간 간격, 위치 보고의 최소 시간 간격, 위치 보고 빈도 파라미터, 위치 보고의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 요구 파라미터, 및 UE 위치를 보고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지시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위치 응용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이벤트 처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UE가 상기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하는 경우에 상기 이벤트 보고 정보가 전송되거나; 또는
    상기 UE가 상기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한 후 소정의 시간(period of time) 이후에 상기 이벤트 보고 정보가 전송되고, 상기 이벤트 보고 정보는, 상기 UE의 무선 신호 강도가 상기 무선 신호 강도 조건을 만족하는 실제 발생 시간을 포함하는, 위치 응용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이벤트 처리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응용 장치가 상기 이벤트 보고 정보에 따라, 상기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의 발생시 상기 UE의 무선 신호 강도가 상기 무선 신호 강도 조건을 만족한다고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위치 응용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이벤트 처리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응용 장치가 상기 UE에 상기 위치 보고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이벤트 처리 방법이,
    상기 위치 응용 장치가, 상기 UE에 의해 전송된 만료 지시 정보(expiration indication information)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만료 지시 정보는, 상기 UE가 마지막 이벤트 보고 이후 상기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를 검출하지 않고 또한 상기 마지막 이벤트 보고와 현재 시간 사이의 간격이 상기 최대 시간 간격에 도달했다는 것을 나타내는 데 사용됨 -; 및
    상기 위치 응용 장치가 상기 만료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UE가 상기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를 검출하는 것을 지원한다고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위치 응용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이벤트 처리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응용 장치가 상기 UE에 상기 위치 보고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 응용 장치가 애플리케이션 기능(application function, AF) 엔티티인 경우, 상기 AF 엔티티가 네트워크 노출 기능(network exposure function, NEF) 엔티티에 상기 위치 보고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NEF 엔티티가 게이트웨이 모바일 위치 센터(gateway mobile location center, GMLC)에 상기 위치 보고 요청을 전송하며; 상기 GMLC가 접속 및 이동성 관리 기능(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AMF) 엔티티에 상기 위치 보고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AMF 엔티티가 무선 접속망(radio access network, RAN)을 통해 상기 UE에 상기 위치 보고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또는
    상기 위치 응용 장치가 위치 서비스(location services, LCS) 클라이언트인 경우, 상기 LCS 클라이언트가 GMLC에 상기 위치 보고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GMLC가 AMF 엔티티에 상기 위치 보고 요청을 전송하며; 상기 AMF 엔티티가 RAN을 통해 상기 UE에 상기 위치 보고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위치 응용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이벤트 처리 방법.
  8.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에 의해 수행되는 이벤트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UE가 위치 응용 장치(location application device)에 의해 생성되는 위치 보고 요청을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위치 보고 요청은 무선 신호 강도 기반의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를 나타내는 데 사용됨 -;
    상기 UE가 상기 위치 보고 요청에 따라 상기 UE의 무선 신호 강도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UE가 상기 UE의 무선 신호 강도에 따라, 상기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UE가 상기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의 발생에 응답하여 상기 위치 응용 장치에 이벤트 보고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위치 응용 장치로 하여금 상기 이벤트 보고 정보에 따라 상기 UE의 무선 신호 강도를 획득하도록 하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 하여금 상기 무선 신호 강도에 따라 파라미터 구성 정책을 조정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UE)에 의해 수행되는 이벤트 처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UE가 위치 응용 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위치 보고 요청을 획득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이벤트 처리 방법이,
    상기 UE가 상기 위치 보고 요청으로부터 요청 유형 파라미터, 이벤트 트리거 유형 파라미터, 및 이벤트 내용 파라미터(event content parameter)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UE가 상기 요청 유형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위치 보고 요청의 요청 유형이 지연된 위치 보고 유형이라고 결정하는 단계; 및/또는
    상기 UE가 상기 이벤트 트리거 유형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의 트리거 유형이 무선 신호 강도 트리거 유형이라고 결정하는 단계; 및/또는
    상기 UE가 상기 이벤트 내용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에 대응하는 내용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UE)에 의해 수행되는 이벤트 처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내용 파라미터는 무선 신호 강도 조건, 위치 보고의 최대 시간 간격, 위치 보고의 최소 시간 간격, 위치 보고 빈도 파라미터, 위치 보고의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 요구 파라미터, 및 UE 위치를 보고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지시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UE)에 의해 수행되는 이벤트 처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UE가 상기 UE의 무선 신호 강도에 따라, 상기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UE가, 상기 UE의 무선 신호 강도가 상기 무선 신호 강도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UE가, 상기 UE의 무선 신호 강도가 상기 무선 신호 강도 조건을 만족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한다고 결정하며; 상기 UE가, 상기 UE의 무선 신호 강도가 상기 무선 신호 강도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UE)에 의해 수행되는 이벤트 처리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UE가 상기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의 발생에 응답하여 상기 위치 응용 장치에 이벤트 보고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UE가, 상기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하고 또한 마지막 이벤트 보고와 현재 시간 사이의 간격이 상기 최소 시간 간격에 도달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위치 응용 장치에 상기 이벤트 보고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또는
    상기 UE가, 상기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하고 또한 마지막 이벤트 보고와 현재 시간 사이의 간격이 상기 최소 시간 간격에 도달하지 않은 것에 응답하여, 상기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한 후 소정의 시간(period of time) 이후에 상기 위치 응용 장치에 상기 이벤트 보고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이벤트 보고 정보는, 상기 UE의 무선 신호 강도가 상기 무선 신호 강도 조건을 만족하는 실제 발생 시간을 포함하고 있음 -; 또는
    상기 UE가, 상기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하고 또한 상기 UE가 현재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없다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한 후 소정의 시간 이후에 상기 위치 응용 장치에 상기 이벤트 보고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UE)에 의해 수행되는 이벤트 처리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UE가 상기 UE의 무선 신호 강도에 따라, 상기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이벤트 처리 방법이,
    상기 UE가, 상기 UE가 마지막 이벤트 보고 이후 상기 지연된 위치 보고 이벤트를 검출하지 않고 또한 상기 마지막 이벤트 보고와 현재 시간 사이의 간격이 상기 최대 시간 간격에 도달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위치 응용 장치에 만료 지시 정보(expiration indication information)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UE)에 의해 수행되는 이벤트 처리 방법.
  14. 위치 응용 장치(location application device)로서,
    상기 위치 응용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 내의 상기 명령을 실행하여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이벤트 처리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위치 응용 장치.
  15.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로서,
    상기 사용자 장비(UE)는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 내의 상기 명령을 실행하여 제8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이벤트 처리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비(UE)
  16.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명령을 저장하고,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이벤트 처리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7.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명령을 저장하고,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제8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이벤트 처리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217014825A 2019-03-29 2020-03-13 이벤트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5287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252297.3A CN109951867B (zh) 2019-03-29 2019-03-29 一种事件处理方法和设备以及系统
CN201910252297.3 2019-03-29
PCT/CN2020/079148 WO2020199899A1 (zh) 2019-03-29 2020-03-13 一种事件处理方法和设备以及系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5181A KR20210075181A (ko) 2021-06-22
KR102528757B1 true KR102528757B1 (ko) 2023-05-03

Family

ID=67013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4825A KR102528757B1 (ko) 2019-03-29 2020-03-13 이벤트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10266708A1 (ko)
EP (1) EP3952434A4 (ko)
JP (1) JP7245913B2 (ko)
KR (1) KR102528757B1 (ko)
CN (1) CN109951867B (ko)
TW (1) TWI737227B (ko)
WO (1) WO20201998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51867B (zh) * 2019-03-29 2020-09-08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事件处理方法和设备以及系统
WO2021146924A1 (zh) * 2020-01-21 2021-07-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定位方法及对应装置
CN112968951B (zh) * 2021-02-02 2022-08-16 浙江大华技术股份有限公司 服务节点的连接方法及装置、存储介质和电子装置
WO2023051772A1 (en) * 2021-09-30 2023-04-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event reporting
CN115552927A (zh) * 2022-08-05 2022-12-3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事件报告允许区域设置方法及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23268A1 (en) * 2003-09-30 2007-05-31 Dario Parata Method for generating triggers based on the position of a termi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related network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302815T3 (es) * 2001-04-10 2008-08-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odo para el informe diferido de ubicacion en una red de radio celular.
CN100391303C (zh) * 2004-12-15 2008-05-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定位上报服务方法
CN1327743C (zh) * 2005-01-25 2007-07-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延迟型位置请求的处理方法
WO2006111822A2 (en) * 2005-04-18 2006-10-26 Nokia Corporation Network entity,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ynamically changing a request for location information
CN101232708A (zh) * 2007-01-26 2008-07-30 华为技术有限公司 实现定位的方法、系统及实体
EP2153696A4 (en) * 2007-08-17 2010-09-22 Huawei Tech Co Ltd A PROCESS FOR SENDING LOCAL SER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8666428B2 (en) * 2008-01-29 2014-03-04 Alcatel Lucent Method to support user location in in-structure coverage systems
CA2771286C (en) * 2009-08-11 2016-08-30 Certusview Technologies, Llc Locating equipment communicatively coupled to or equipped with a mobile/portable device
US11678291B2 (en) * 2016-08-21 2023-06-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support of location for the Internet of Things
US11405863B2 (en) * 2016-10-05 2022-08-02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to enable combined periodic and triggered location of a mobile device
CN109951867B (zh) * 2019-03-29 2020-09-08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事件处理方法和设备以及系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23268A1 (en) * 2003-09-30 2007-05-31 Dario Parata Method for generating triggers based on the position of a termi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related network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therefor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TS23.273 v0.2.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951867B (zh) 2020-09-08
EP3952434A4 (en) 2022-05-18
US20210266708A1 (en) 2021-08-26
JP2022516369A (ja) 2022-02-25
WO2020199899A1 (zh) 2020-10-08
EP3952434A1 (en) 2022-02-09
TWI737227B (zh) 2021-08-21
KR20210075181A (ko) 2021-06-22
CN109951867A (zh) 2019-06-28
TW202037199A (zh) 2020-10-01
JP7245913B2 (ja) 2023-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8757B1 (ko) 이벤트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JP2021519005A (ja) 下りチャネルの受信方法、送信方法、端末及び基地局
CN109842924B (zh) 一种位置获取的控制方法、用户终端和装置
EP3589027A1 (en) Access method, network device, terminal device and amf device
CN110213318B (zh) 一种数据传输控制的方法、设备及存储介质
KR102305807B1 (ko) 통신 방법 및 장치
US20180176905A1 (en)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s apparatus, terminal, and base station
JP7457703B2 (ja) 測定指示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CN111083653B (zh) 补充业务配置方法、电子设备及目标服务器
CN109495769B (zh) 视频通信方法、终端、智能电视、服务器及存储介质
EP3547752B1 (en) Cell switching method and terminal device
CN108347460B (zh) 资源访问方法及装置
US20220141742A1 (en) Network switching method
CN110022405B (zh) 射频参数调整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2691363A (zh) 一种云游戏跨终端切换的方法和相关装置
CN109818967B (zh) 一种通知方法、服务器、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220141734A1 (en) Network switching method
US10911989B2 (en) Method for keeping in circuit switched fallback CSFB network and user terminal
WO2022135459A1 (zh) 上报终端传感器信息的方法、终端和可读存储介质
JP2021513806A (ja) Csiリソースタイプの決定方法、端末及びネットワーク側装置
WO2022067544A1 (zh) 一种无线通信方法、终端设备及网络设备
CN113301509B (zh) 一种通信方法及相关设备
KR102495211B1 (ko) 정보 인터랙션(interaction) 방법 및 단말
WO2018103442A1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终端设备
US20200404730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