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8213B1 - Heating walkway of floater - Google Patents

Heating walkway of floa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8213B1
KR102528213B1 KR1020180106361A KR20180106361A KR102528213B1 KR 102528213 B1 KR102528213 B1 KR 102528213B1 KR 1020180106361 A KR1020180106361 A KR 1020180106361A KR 20180106361 A KR20180106361 A KR 20180106361A KR 102528213 B1 KR102528213 B1 KR 102528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heating member
cover
passage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63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28114A (en
Inventor
정낙훈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6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8213B1/en
Publication of KR20200028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81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8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82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12Heating; Cool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02Heaters using a particular layout for the resistive material or resistive elements
    • H05B2203/004Heaters using a particular layout for the resistive material or resistive elements using zigzag layou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02Heaters using a particular layout for the resistive material or resistive elements
    • H05B2203/007Heaters using a particular layout for the resistive material or resistive elements using multiple electrically connected resistive elements or resistive zo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leaning Of Streets, Tracks, Or Beaches (AREA)
  • Control Of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표면에 그레이팅을 설치하여 풍속의 영향을 최소화시킨 발열 통행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발열 통행로는, 부유식 구조물의 갑판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부의 표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몸체부; 열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으로서, 몸체부의 상부 표면에 형성되는 히팅 부재; 및 히팅 부재 위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그 하부가 몸체부의 상부와 맞물리게 형성되며, 복수개의 상하부 관통 홀이 형성되어 있는 덮개부를 포함한다.A heat passage that minimizes the influence of wind speed by installing a grating on the surface is provided. The heating passa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the deck of a floating structure, and includes a body portion having an inclined upper surface; Heating member which generates and outputs heat and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and a cover portion formed on the heating member, the lower portion of which is engaged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d having a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through-holes formed therein.

Description

부유식 구조물의 발열 통행로 {Heating walkway of floater}Heating walkway of floater {Heating walkway of floater}

본 발명은 부유식 구조물의 갑판에 구비될 수 있는 통행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발열 기능이 있는 통행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ssage that can be provided on the deck of a floating structure.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passage with a heating function.

극지 환경을 운항하는 선박의 경우, 갑판의 상부에 설치된 통행로의 노면이 눈의 적층, 수분의 결빙 등으로 인해 매우 미끄러워 보행자의 통행에 많은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 그래서 통행로 상의 노면 결빙을 제거함과 동시에 미끄러짐을 방지함으로써 보행자의 안전한 통행을 확보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In the case of a ship operating in an arctic environment, the road surface of the passage installed on the upper deck is very slippery due to snow accumulation, freezing of moisture, etc., causing a lot of obstacles to pedestrian traffic.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ensure safe passage of pedestrians by preventing slippage while removing icing on the road surface.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01046호 (공개일: 2017.01.04.)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01046 (published date: 2017.01.04.)

결빙 방지를 위해 히팅 케이블을 적용한 발열 통행로, 히팅 필름을 적용한 발열 통행로 등이 선박의 갑판에서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 고가, 저효율 등의 이유로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며, 후자의 경우 풍속의 영향에 따라 소비 전력이 과대해질 수 있다.To prevent freezing, a heating passage using a heating cable and a heating passage using a heating film may be used on the deck of a ship. However, in the case of the former, improvement is required for reasons such as high cost and low efficiency, and in the case of the latter, power consumption may be excessive depending on the influence of wind speed.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표면에 그레이팅(grating)을 설치하여 풍속의 영향을 최소화시킨 발열 통행로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to be solv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t passage that minimizes the effect of wind speed by installing a grating on the surfac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발열 통행로의 일 면(aspect)은, 부유식 구조물의 갑판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부의 표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몸체부; 열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으로서, 상기 몸체부의 상부 표면에 형성되는 히팅 부재; 및 상기 히팅 부재 위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그 하부가 상기 몸체부의 상부와 맞물리게 형성되며, 복수개의 상하부 관통 홀이 형성되어 있는 덮개부를 포함한다.One aspect (aspect) of the heat generating passag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on the deck of a floating structure,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is formed inclined; a heating member which generates and outputs heat and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and a cover portion formed on the heating member, a lower portion of which is engaged with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d a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through-holes.

상기 몸체부의 상부는 중심부가 측부보다 높게 형성되거나, 일측부가 타측부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may have a center portion higher than the side portion, or one side portion may be formed higher than the other side portion.

상기 덮개부는 그레이팅(grating)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ver part may be formed in a grating structure.

상기 덮개부의 하부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드레인 홀(drain hole)이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drain hole may be formed on a lower side surface of the cover part.

상기 히팅 부재는 열선 패턴이 형성된 히팅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히팅 필름의 열선 패턴은 상기 덮개부의 그레이팅 패턴과 동일할 수 있다.The heating member may be formed of a heating film having a heating wire pattern, and the heating wire pattern of the heating film may be the same as the grating pattern of the cover part.

상기 발열 통행로는 상기 히팅 부재 위에 형성되는 전기 절연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eating path may further include an electrical insulating material formed on the heating member.

상기 발열 통행로는 상기 히팅 필름의 표면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하는 온도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온도 제어부는 상기 히팅 부재가 상기 몸체부의 표면 양측에 형성될 때 양측에 형성된 상기 히팅 부재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The heat passage further includes a temperature control unit that detects and controls a surface temperature of the heating film, and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is formed between the heating members formed on both sides when the heating member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rface of the body part. can

상기 온도 제어부는 온도 센서(temperature sensor)로 구현되거나 PTC 히팅 케이블로 구현될 수 있다.The temperature controller may be implemented as a temperature sensor or as a PTC heating cable.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열 통행로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열 통행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덮개부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히팅 필름의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1 is a side view of a heat pass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of a heat pass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of a cov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pattern of a heating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person who has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 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When an element or layer is referred to as being "on" or "on" another element or layer, it refers not only directly on the other element or layer, but also through another layer or other element in the middle. all inclusiv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on” or “directly on”, it indicates that another element or layer is not intervened.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The spatially relative terms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etc. It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the correlation between elements or components and other elements or components.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as encompassing different orientations of elements in use or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orientations shown in the figures. For example, when flipping elements shown in the figures, elements described as “below” or “beneath” other elements may be placed “above” the other elements. Thus, the exemplary term “below” may include directions of both below and above. Elements may also be oriented in other orientations, and thus spatially relative terms may be interpreted according to orientation.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components and/or sections,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se elements, components and/or section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component or section from another element, component or section. Accordingly,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element, first element, or first section referred to below may also be a second element, second element, or second section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means that a stated component, step, operation, and/or element is present in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or do not rule out additions.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in a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explicitly specifically defined.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scription will be omitted.

극지 환경을 운항하는 선박의 경우, 갑판에 설치되는 통행로의 결빙 방지를 요구하고 있다. 결빙 방지를 위해 히팅 필름을 적용한 발열 통행로 등이 선박의 갑판에 설치될 수 있다.In the case of ships operating in polar environments, it is required to prevent icing of passages installed on decks. In order to prevent freezing, a heating passage to which a heating film is applied may be installed on the deck of the ship.

그런데 히팅 필름을 적용한 발열 통행로의 경우, 풍속의 영향에 따라 너무 많은 소비 전력이 필요해진다. 풍속 조건에 따른 발열 통행로 표면의 상온 유지를 위한 소비 전력은 다음과 같다.However, in the case of a heating path to which a heating film is applied, too much power consumption is required according to the influence of wind speed. The power consumption for maintaining the normal temperature of the surface of the heating passage according to the wind speed conditions is as follows.

① 온도가 영하 45도이고 풍속이 0 m/s인 환경에서, 1000mm × 630mm × 4.5mm 크기의 발열 통행로의 표면을 상온 유지하기 위해서는 340 W의 소비 전력이 필요하다.① In an environment where the temperature is minus 45 degrees and the wind speed is 0 m/s, 340 W of power consumption is required to maintain the surface of the 1000 mm × 630 mm × 4.5 mm heat passage at room temperature.

② 온도가 영하 45도이고 풍속이 20 m/s인 환경에서, 1000mm × 630mm × 4.5mm 크기의 발열 통행로의 표면을 상온 유지하기 위해서는 4000 W의 소비 전력이 필요하다.② In an environment where the temperature is minus 45 degrees and the wind speed is 20 m/s, 4000 W of power consumption is required to maintain the surface of the 1000 mm × 630 mm × 4.5 mm heat passage at room temperature.

본 실시예에서는 풍속의 영향을 최소화시켜 최소의 소비 전력으로 안티아이싱(anti-icing)(ex. 상온 3도 유지)이 가능한 발열 통행로에 대하여 제안한다.In this embodiment, an anti-icing path (eg, maintaining room temperature at 3 degrees) is possible with minimal power consumption by minimizing the influence of wind spe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열 통행로의 측면도이다.1 is a side view of a heat pass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발열 통행로(100)는 극지 환경에서 운항하는 부유식 구조물의 갑판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몸체부(110), 덮개부(120), 발열부(130) 및 온도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heating passage 100 can be applied to the deck of a floating structure operating in a polar environment, and includes a body part 110, a cover part 120, a heating part 130, and a temperature controller 140. ) may be included.

몸체부(110)는 발열 통행로(100)의 몸통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그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10)는 그 내부 전체가 비어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몸체부(110)는 그 내부 중 일부만 비어 있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몸체부(110)의 내부 중 일부만 비어 있는 경우, 발열부(130)를 구성하는 배선부(132)가 몸체부(110) 내부의 비어 있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The body portion 110 constitutes the body of the heating passage 100, and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inside thereof is empty. The body portion 110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entire inside thereof is hollow. However,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body portion 110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only a part of the inside thereof is empty. When only a part of the inside of the body part 110 is empty, the wiring part 132 constituting the heating part 130 may be formed in the empty part inside the body part 110 .

몸체부(110)의 상부는 그 표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몸체부(110)의 상부는 중심 부분이 테두리 부분보다 높도록 볼록하게(또는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10)의 상부가 이와 같이 형성되면, 덮개부(120)를 통과한 수분이 몸체부(110) 위에 고이지 않고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덮개부(120)를 통과한 눈, 얼음 등이 발열부(130)에 의해 융해되어 수분으로 변환되면, 이 수분 역시 몸체부(110) 위에 고이지 않고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An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10 may have an inclined surface. For example,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10 may be convex (or pointed) so that the central portion is higher than the rim portion. Whe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10 is formed in this way, moistur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cover portion 120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without pooling on the body portion 110 . In addition, when snow, ice, etc.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cover part 120 are melted by the heating part 130 and converted into moisture, this moisture can als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without pooling on the body part 110 .

몸체부(110)의 상부는 정면이나 측면에서 바라볼 때 그 단면이 삿갓 모양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몸체부(110)의 상부는 정면이나 측면에서 바라볼 때 그 단면이 반원 모양, 반타원 모양, 사다리꼴 모양 등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When viewed from the front or side,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10 may be formed to have a hat shape in cross section. However,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when viewed from the front or side,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10 may be formed to have a semi-circular shape, semi-elliptical shape, trapezoidal shape, or the like.

몸체부(110)의 상부는 중심 부분이 테두리 부분보다 높게 형성되지 않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부가 타측부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몸체부(110)의 상부는 일측부에서 타측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열 통행로의 측면도이다.I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10, the center portion is not formed higher than the rim portion, and as shown in FIG. 2, one side portion may be formed higher than the other side portion. That is,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10 may be inclined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2 is a side view of a heat pass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몸체부(110)의 상부는 그 표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지 않고, 평탄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수분이 몸체부(110) 위에 누적되지 않도록, 몸체부(110)는 그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는 홀을 적어도 일측에 적어도 하나 구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part of the body portion 110 is not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it is also possible to be formed flat. In this case, to prevent moisture from accumulating on the body portion 110, the body portion 110 may have at least one hole penetrating the top and bottom of the body portion 110 on at least one side thereof.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again.

덮개부(120)는 몸체부(110)의 상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덮개부(120)는 몸체부(110)의 상부에 밀접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cover part 120 is formed to cover the upper part of the body part 110 . The cover part 120 may be formed to be closely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body part 110 .

덮개부(120)는 몸체부(110)의 상부에 밀접하게 결합되기 위하여 그 하부가 몸체부(110)의 상부에 맞물리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몸체부(110)의 상부가 볼록하게 형성되는 경우, 덮개부(120)의 하부는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반면 몸체부(110)의 상부가 일단부에서 타단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우, 덮개부(120)의 하부는 일단부가 타단부보다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cover part 120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lower part of the cover part 120 is engaged with the upper part of the body part 110 in order to be closely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body part 110 . For example, whe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10 is formed convexly, the lower portion of the cover portion 120 may be formed concavely. On the other hand, whe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10 is inclined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the lower portion of the cover portion 120 may be formed so that one end protrudes downward from the other end.

한편 덮개부(120)의 상부는 덮개부(120)가 부유식 구조물의 갑판 위로 노출되는 점을 고려하여 그 표면이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part 120 may be formed flat considering that the cover part 120 is exposed on the deck of the floating structure.

덮개부(120)는 그 표면에 상하부를 관통하는 홀(hole)이 복수개 형성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덮개부(120)가 이와 같은 구조로 형성되면, 눈 등이 덮개부(120) 위에 쌓이지 않고 홀을 통해 그 아래로 배출되어, 덮개부(120) 위의 미끄러움을 감소시킬 수 있다.The cover part 120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penetrating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formed on the surface thereof. When the cover part 120 is formed in this structure, snow and the like are not accumulated on the cover part 120 and discharged through the hole thereunder, so that slipperiness on the cover part 120 can be reduced.

덮개부(120)는 일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레이팅(grating)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덮개부의 예시도이다. 덮개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표면에 복수개의 상하부 관통 홀(121)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형성되면, 덮개부(120) 위에 눈, 얼음 등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여, 발열 통행로(100)의 노면이 결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cover part 120 may be formed of a grating structure as shown in FIG. 3 , for example. 3 is an exemplary view of a cov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when the cover part 120 is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through holes 121 are formed on its surface, snow, ice, etc. are prevented from being accumulated on the cover part 120, thereby generating heat. Freezing of the road surface of the passage 100 can be prevented.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again.

덮개부(120)는 그 하부 테두리에 적어도 하나의 드레인 홀(drain hole; 122)을 구비할 수 있다. 드레인 홀(122)은 눈, 얼음 등을 융해시켜 얻은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이다. 덮개부(120)는 이러한 드레인 홀(122)을 통해 눈, 얼음 등을 융해시켜 얻은 수분 뿐만 아니라 우천으로 갑판 위에 떨어지는 수분, 파도의 비말(sea spray) 등 바람이나 파도에 의해 갑판 위로 들어오는 수분 등을 외부로 배출시켜, 발열 통행로(100) 내에 수분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cover part 120 may have at least one drain hole 122 at its lower edge. The drain hole 122 is formed to discharge moisture obtained by melting snow, ice, etc. to the outside. The cover part 120 is not only moisture obtained by melting snow and ice through the drain hole 122, but also moisture falling on the deck due to rain, moisture entering the deck due to wind or waves, such as sea spray, etc. It is possible to prevent moisture from accumulating in the heating passage 100 by discharging to the outside.

드레인 홀(122)은 덮개부(120)가 오목하게 형성되는 경우, 덮개부(120)의 하부 각 측에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드레인 홀(122)은 덮개부(120)의 하부 일측에 한 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When the cover part 120 is formed concavely, a plurality of drain holes 122 may be provided on each 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cover part 120 . However,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one drain hole 122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cover part 120 .

한편 드레인 홀(122)은 덮개부(120) 하부의 일단부가 타단부보다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경우, 하방으로 돌출된 부분의 각 측에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when one end of the lower part of the cover part 120 protrudes downward than the other end, a plurality of drain holes 122 may be provided on each side of the downwardly protruding part.

발열부(130)는 전기를 이용하여 열을 생성하며, 이 열을 외부로 발산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발열부(130)는 배선부(131) 및 히팅 부재(1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heating unit 130 generates heat using electricity and dissipates the heat to the outside. The heating unit 130 may include a wiring unit 131 and a heating member 132 .

배선부(131)는 전기를 공급받아 히팅 부재(132)에 전기를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배선부(131)는 몸체부(110)의 내부와 몸체부(110)의 상부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배선부(131)는 몸체부(110)의 내부에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wiring unit 131 functions to receive electricity and provide electricity to the heating member 132 . The wiring part 131 may be formed inside the body part 110 an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110 . However,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wiring part 131 may be formed only inside the body part 110 .

히팅 부재(132)는 배선부(131)를 통해 공급된 전기를 이용하여 열을 생성하며, 이 열을 외부로 발산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히팅 부재(132)는 본 실시예에서 히팅 필름을 소재로 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히팅 부재(132)는 열을 생성하여 발산시킬 수 있다면, 히팅 필름(132) 외 다른 소재, 예컨대 히팅 케이블을 소재로 하여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heating member 132 generates heat using electricity supplied through the wiring unit 131 and functions to dissipate the heat to the outside. In this embodiment, the heating member 132 may be formed of a heating film as a material. However,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If the heating member 132 can generate and dissipate heat,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material other than the heating film 132, for example, a heating cable.

히팅 부재(132)는 몸체부(110)의 상부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배선부(131)가 몸체부(110)의 내부와 그 상부 표면에 형성되는 경우, 히팅 부재(132)는 배선부(131) 위에 형성될 수 있다. 히팅 부재(132)가 이와 같이 형성되는 경우, 덮개부(120)를 통과한 눈, 얼음 등을 융해시켜 드레인 홀(122)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The heating member 132 may b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10 . When the wiring part 131 is formed inside an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110 , the heating member 132 may be formed on the wiring part 131 . When the heating member 132 is formed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melt snow, ice, etc.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cover part 120 and discharge it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hole 122 .

한편 히팅 부재(132)는 배선부(131) 없이 단독으로 몸체부(110)의 상부 표면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the heating member 132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10 alone without the wiring portion 131 .

몸체부(110)의 상부 위에는 발열부(130), 특히 히팅 부재(132)가 형성되며, 그 히팅 부재(132) 위에 덮개부(120)가 형성된다. 발열부(130)는 이와 같이 덮개부(120)에 의해 외부(ex. 갑판)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발열부(130)에 대한 풍속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갑판(deck) 위로 물이 흐를 수 있는 점을 고려할 때 누전의 위험도 제거할 수 있다.A heating unit 130, in particular, a heating member 132 is formed on the top of the body portion 110, and a cover portion 120 is formed on the heating member 132. Since the heating unit 130 is not directly exposed to the outside (eg, deck) by the cover 120, it is also possible to minimize the effect of wind speed on the heating unit 130. Also, considering that water can flow over the deck, the risk of short circuit can be eliminated.

히팅 부재(132)는 히팅 필름으로 형성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120)와 동일한(또는 유사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발열부(130)의 표면을 흐르는 풍속이 덮개부(120)에 의해 최소화되지만, 덮개부(120)의 온도가 발열부(130)의 표면 온도보다 낮아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점을 고려하여 히팅 필름의 열선 패턴을 덮개부(120)의 그레이팅 패턴과 동일하게(또는 유사하게) 형성할 수 있다. 히팅 필름의 열선 패턴을 덮개부(120)의 그레이팅 패턴과 동일하게 형성하면, 덮개부(120)의 온도가 발열부(130)의 표면 온도와 동일해지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heating member 132 is formed of a heating film, as shown in FIG. 4 , the heating member 132 may be formed in the same (or similar) pattern as the cover part 120 . Although wind speed flowing through the surface of the heating unit 130 is minimized by the cover 120 , the temperature of the cover 120 may be lower than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heating unit 130 . In this embodiment, considering this point, the heating film pattern may be formed identically (or similarly) to the grating pattern of the cover part 120 . When the heating wire pattern of the heating film is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grating pattern of the cover part 120, the temperature of the cover part 120 can be made the same as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heating part 130.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히팅 필름의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에서 (a)는 히팅 필름의 열선 패턴에 대한 예시이며, (b)는 덮개부(120)의 그레이팅 패턴에 대한 예시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히팅 부재(132)는 덮개부(120)와 다른 패턴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4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pattern of a heating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4 , (a) is an example of a hot wire pattern of a heating film, and (b) is an example of a grating pattern of the cover part 120 . However,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heating member 132 may be formed in a pattern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ver part 120 .

한편 덮개부(120)는 금속을 소재로 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런데 히팅 부재(132)가 덮개부(120)와 접촉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히팅 부재(132)에 흐르는 전기가 덮개부(120)로 전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점을 참작하여 히팅 부재(132) 위에 전기 절연재(insulation)를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ver part 120 may be formed of metal. However, since the heating member 132 is formed to contact the cover part 120, electricity flowing through the heating member 132 can be transferred to the cover part 120. In this embodiment, an electrical insulating material may be provided on the heating member 132 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온도 제어부(140)는 발열부(130)의 온도 변화를 감지하여 그 온도를 제어하는 것이다. 이러한 온도 제어부(140)는 히팅 부재(132)가 몸체부(110)의 상부 표면 양쪽에서 형성될 때, 그 가운데 부분에 설치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temperature control unit 140 senses a temperature change of the heating unit 130 and controls the temperature. When the heating member 132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10,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140 may be installed in the middle, but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온도 제어부(140)는 부저항 온도 계수의 특성이 있는 온도 센서(temperature sensor)로 구현되어 위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온도 제어부(140)는 PTC 히팅 케이블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온도 제어부(140)가 PTC 히팅 케이블로 구현되는 경우, 주위 온도의 변화에 따라 발열량이 자동으로 증감되는 PTC 특성을 이용하여 발열부(130)의 온도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controller 140 may be implemented as a temperature sensor having a negative resistance temperature coefficient and perform the above function. However,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temperature controller 140 may be implemented as a PTC heating cable. When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140 is implemented as a PTC heating cable,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unit 130 can be automatically controlled by using a PTC characteristic in which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automatically increases or decreases according to a change in ambient temperature.

이상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발열 통행로(100)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풍속의 영향으로 소비 전력이 크게 늘어나는 단점을 해결할 수 있다.The heat passage 100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olve the disadvantage of greatly increasing power consumption due to the influence of wind speed.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and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understand that there i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100: 발열 통행로 110: 몸체부
120: 덮개부 121: 상하부 관통 홀
122: 드레인 홀 130: 발열부
131: 배선부 132: 히팅 부재
140: 온도 제어부
100: heat passage 110: body part
120: cover part 121: upper and lower through holes
122: drain hole 130: heating part
131: wiring part 132: heating member
140: temperature controller

Claims (7)

부유식 구조물의 갑판에 구비되는 통행로로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를 덮도록 형성되며, 복수의 상하부 관통 홀을 포함하는 덮개부;
상기 몸체부와 상기 덮개부 사이에 설치되며, 열을 발산하여 상기 덮개부를 통과한 눈이나 얼음을 융해시키는 히팅 부재; 및
상기 히팅 부재를 포함한 발열부의 온도 변화를 감지하여 그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히팅 부재는 중심부가 양단부보다 높게 형성되고,
상기 온도 제어부는 온도 센서 또는 히팅 케이블로 마련되고, 상기 히팅 부재의 가장 높은 지점에 형성되고,
상기 히팅 부재는 상기 덮개부와 동일한 패턴으로 형성되고,
상기 히팅 부재는 중첩되지 않는 단일 열선을 포함하며, 상기 단일 열선은 지그재그 패턴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 상의 일 지점에서 출발하여 한 바퀴 돌아 상기 일 지점으로 회귀하도록 형성되는 부유식 구조물의 발열 통행로.
As a passageway provided on the deck of a floating structure,
body part;
a cover portion formed to cover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through-holes;
a heating member installed between the body portion and the cover portion and dissipating heat to melt snow or ice passing through the cover portion; and
A temperature control unit detecting a temperature change of the heating unit including the heating member and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ing member has a central portion higher than both ends,
The temperature controller is provided as a temperature sensor or a heating cable and is formed at the highest point of the heating member,
The heating member is formed in the same pattern as the cover part,
The heating member includes a single heating wire that does not overlap, and the single heating wire is formed in a zigzag pattern and is formed to start at one point on the body and return to the one point by turning aroun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부는 경사지게 형성되되, 중심부가 측부보다 높게 형성되거나, 일측부가 타측부보다 높게 형성되는 부유식 구조물의 발열 통행로.
According to claim 1,
The heating passage of the floating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part of the body part is formed inclined, the center part is formed higher than the side part, or one side part is formed higher than the other side pa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몸체부와 맞물리게 형성되고, 그레이팅(grating) 구조로 형성되는 부유식 구조물의 발열 통행로.
According to claim 1,
The cover part is formed in engagement with the body part, and the heat passage of the floating structure is formed in a grating struc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하부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드레인 홀(drain hole)이 형성되는 부유식 구조물의 발열 통행로.
According to claim 1,
Heat passage of a floating structure in which at least one drain hole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cover pa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 부재는 열선 패턴이 형성된 히팅 필름인 부유식 구조물의 발열 통행로.
According to claim 1,
The heating member is a heating passage of a floating structure in which a heating film is formed with a hot wire pattern.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106361A 2018-09-06 2018-09-06 Heating walkway of floater KR1025282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361A KR102528213B1 (en) 2018-09-06 2018-09-06 Heating walkway of flo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361A KR102528213B1 (en) 2018-09-06 2018-09-06 Heating walkway of floa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114A KR20200028114A (en) 2020-03-16
KR102528213B1 true KR102528213B1 (en) 2023-05-02

Family

ID=69948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6361A KR102528213B1 (en) 2018-09-06 2018-09-06 Heating walkway of floa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8213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6338A (en) * 2002-11-26 2004-06-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Planar heating element for snow melting apparatus, and snow melting apparatus
JP2011099246A (en) * 2009-11-05 2011-05-19 Naigai Rubber Kk Equipment for melting snow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KR101326918B1 (en) * 2012-10-17 2013-11-11 한국전력공사 Moisture prevention apparatus of grating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2086B1 (en) 2015-06-25 2017-03-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Heating walkwa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6338A (en) * 2002-11-26 2004-06-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Planar heating element for snow melting apparatus, and snow melting apparatus
JP2011099246A (en) * 2009-11-05 2011-05-19 Naigai Rubber Kk Equipment for melting snow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KR101326918B1 (en) * 2012-10-17 2013-11-11 한국전력공사 Moisture prevention apparatus of gra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114A (en) 2020-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E505448C2 (en) Procedure for manufacturing a circuit board fuse and circuit board fuse
KR102528213B1 (en) Heating walkway of floater
JP6675750B2 (en) Transparent cover with electric heating circuit for traffic signal lights
US8969765B2 (en) Anti-icing system for radomes
CN101504877B (en) Ice coagulation preventing cable and auxiliary equipment
KR102222908B1 (en) LED navigation light with built-in heating film
KR100465032B1 (en) System and method for an electrical de-icing coating
JP2010529602A (en) Flat lighting device
KR200485212Y1 (en) Vessel fixation infrastructure
CN107989284A (en) A kind of gutter roof snow melt heating alloy band
KR20140125082A (en) Vinyl Greenhouse Snow Removal Film Using Thermal Conductive Material And Snow Removal System of Vinyl Greenhouse Applying That
KR200441128Y1 (en) A connected-vinyl house with a heating equipment
JP6188112B1 (en) Roof snow removal equipment
KR200416626Y1 (en) A roof sheet for vinyl house
US11525266B2 (en) Snow melt system for a roof
KR20230130403A (en) Anti-Freezing Apparatus on Stairs and Walkway
JPS6329792Y2 (en)
JP4643958B2 (en) Snowfall roof structure
KR20110058934A (en) Freezing prevention appartus for ship's flood light
JP3927201B2 (en) Electrothermal snow melt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RU2458218C1 (en) Device to prevent icicles falling off external edge of roof
JP2001311265A (en) Ice pillar formation preventing heater
JP2001140418A (en) Protection cover for eaves gutter
CN116799734A (en) Cable rack baffle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removing snow
JP2017098112A (en) Lumina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