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7916B1 - Bracket Assemblies for Building Facilities - Google Patents

Bracket Assemblies for Building Faciliti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7916B1
KR102527916B1 KR1020220171615A KR20220171615A KR102527916B1 KR 102527916 B1 KR102527916 B1 KR 102527916B1 KR 1020220171615 A KR1020220171615 A KR 1020220171615A KR 20220171615 A KR20220171615 A KR 20220171615A KR 102527916 B1 KR102527916 B1 KR 102527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parts
bracket
frame guid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16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은성
Original Assignee
김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성 filed Critical 김은성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7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79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12Fastening strips or bars to sheets or plates, e.g. rubber strips, decorative strips for motor vehicles, by means of clips
    • F16B5/123Auxiliary fasteners specially designed for this purpo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12Fastening strips or bars to sheets or plates, e.g. rubber strips, decorative strips for motor vehicles, by means of clips
    • F16B5/121Fastening strips or bars to sheets or plates, e.g. rubber strips, decorative strips for motor vehicles, by means of clips fastened over the edge(s) of the sheet(s) or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racket assembly for building facilities comprises: a bracket inserted and coupled to building facilities while having a ㄷ-shape, and including a coupling part having a first and a second coupling part extended to a prescribed length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arts, an extension part extended to a prescribed length from one side of the coupling part, and a fastening hole penetrating one side of at least one between the coupling part and the extension part; and a frame guide slid and coupled to the extension part while having a ㄷ-shape, and including a first and a second sidewall extended to a prescribed length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a bottom surface connecting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idewal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cket assembly for building facilities has the effect of firmly fixing and coupling the frame guide used for various purposes to building facilities via the bracket conveniently and stably simply by convenient manual work of workers.

Description

건축 시설용 브라켓 어셈블리{Bracket Assemblies for Building Facilities}Bracket Assemblies for Building Facilities {Bracket Assemblies for Building Facilities}

본 발명은 건축 시설용 브라켓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H 빔, 벽체 등의 고정된 건축 시설에 견고하게 결합한 브라켓을 매개로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프레임 가이드를 편리하면서 강력하게 결합할 수 있어 건축 시설의 안정성은 물론 유지 보수의 편의성을 동시에 제공하는 브라켓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cket assembly for construction faciliti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frame guide that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through a medium of a bracket firmly coupled to a fixed construction facility such as an H beam or a wall, which can be conveniently and strongly coupled to a construction facility. It relates to a bracket assembly that simultaneously provides facility stability as well as convenience in maintenance.

건축물에는 상당히 다양한 건축 시설이나 건축 구조물이 설치되는데, 그 중 대표적인 하나가 케이블이라 할 수 있다.There are quite a lot of building facilities or building structures installed in buildings, and one of them is a cable.

케이블은 전자장비는 물론 통신 장비, 데이터 처리 장비 등의 다양한 장비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데이터 처리를 위해 설치된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건축물의 천장이나 벽체를 따라 배선 처리된다.Cables are installed to supply power to various equipment such as electronic equipment as well as communication equipment and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to process data, and are usually wired along the ceiling or wall of a building.

그러나 벽체나 천장으로 노출된 케이블을 미관상 상당히 지저분할 뿐 아니라 서로 충돌이 일어나거나 간섭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할 개연성이 존재한다.However, cables exposed to walls or ceilings are aesthetically quite messy, and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or interference with each other.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케이블을 깔끔하게 수용할 수 있는 몰드나 트레이를 설치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In order to prevent this problem, a technique of installing a mold or a tray capable of neatly accommodating the cables has been disclosed.

국내 특허 제 2262934호인 건축물 공동주택의 전선 케이블 트레이는, 다수의 케이블을 각각 개별적으로 수납하여 어느 하나의 케이블에 대한 교체시, 다른 케이블의 고정 상태를 유지하면서 교체가 필요한 케이블만을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거치홀부와 거치앵커 간의 이격공간으로 인한 연장부 및 착탈프레임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고 공개되어 있다.The wire cable tray of the building apartment house, which is Korean Patent No. 2262934, individually accommodates multiple cables so that when replacing one cable, it is possible to separate and replace only the cable that needs to be replaced while maintaining the fixed state of the other cable. On the other hand, it is disclosed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shaking of the extension part and the detachable frame due to the space between the mounting hole and the mounting anchor.

그러나 상기 기술은 불필요하게 트레이의 체적이 클 뿐 아니라 이로 인해 건축물의 벽체 등에 고정 연결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벽체에 고정한 이후 추후 보수 공사 시 다시 트레이 전체를 벽체 등에서 뜯어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음과 동시에 벽체 등에 부착이나 분리를 위한 편의적인 수단을 마땅히 마련하지 못하였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However, in the above technology, the volume of the tray is unnecessarily large, and it is difficult to fix and connect the tray to the wall of the building, etc., and it is cumbersome to remove the entire tray from the wall or the like again during subsequent repair work after fixing to the wall.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a convenient means for attachment or separation has not been adequately provided.

더불어, 케이블의 연장 방향을 따라 바(bar) 타입으로 길게 연장된 구조를 가진 트레이는 비단 케이블 뿐 아니라 주변 프레임과 임시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추가 기능을 지원하지 못하는 문제 역시 지적될 수 있다.In addition, a tray having a structure elongated in a bar type along the cable extension direction may be temporarily connected to a peripheral frame as well as a silk cable, but a problem of not supporting these additional functions may also be pointed out.

따라서 케이블을 깔끔하게 수용하는 것은 물론 주변 지주 등의 프레임을 연결 및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활용도를 가진 프레임 가이드를 간편한 수작업으로도 편리하고 견고하게 벽체 등의 건축 시설에 고정 결합할 수 있는 신규하고 진보한 건축 시설용 구조체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Therefore, it is a new and advanced product that can be conveniently and firmly fixed to building facilities such as walls with simple manual work of frame guides that have various uses that can not only accommodate cables neatly but also connect and support frames such as surrounding posts.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structure for building facilities.

국내 특허 제 2262934호Domestic Patent No. 2262934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케이블을 수용하거나 주변의 건축 구조물과 연결하기 위한 프레임 가이드를 벽체 등의 건축 시설에 브라켓을 매개로 간편하게 고정 결합하는 것은 물론 전체적으로 견고하고 안정적인 결합성을 보장할 수 있는 브라켓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above technology, and easily fixes and combines a frame guide for accommodating cables or connecting with surrounding building structures to building facilities such as walls using brackets as a medium, as well as being robust and stable as a whole. It is to provide a bracket assembly capable of ensuring coupling.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축 시설에 끼움 결합하는 제 1,2 결합부의 길이 차를 두어 하중이 쏠리는 부위를 보강 처리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inforce an area where a load is concentrated by placing a difference in length between first and second coupling parts fitted into a building facilit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 1 결합부보다 길이가 긴 제 2 결합부의 내측면에 치형부를 형성하여 프레임 가이드와 긴밀한 결합 관계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ose coupling relationship with the frame guide by forming teeth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longer than the first coupling portion.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상술한 치형부에 의하여 제 1 결합부 측으로 프레임 가이드가 쏠릴 때 제 1 결합부의 내측 면에 결합 보조 패드를 적층 처리하여 유착 발생 완화 및 충격 흡수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unction of mitigating the occurrence of adhesion and absorbing shock by laminating a coupling auxiliary pa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when the frame guide is driven toward the first coupling portion by the above-described teeth.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축 시설용 브라켓 어셈블리는 ㄷ 형상을 가진 상태로 건축 시설에 끼움 결합하는 것으로서 서로 평행하게 일정 길이로 연장된 제 1,2 결합부와 상기 제 1,2 결합부의 단부를 잇는 연결부를 구비한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일 측에서 일정 길이로 연장된 연장부 및, 상기 결합부와 연장부 중 적어도 하나의 일 측에 관통된 체결공을 포함한 브라켓; ㄷ 형상을 가진 상태에서 상기 연장부와 슬라이딩 결합하는 것으로서, 서로 평행하게 일정 길이로 연장된 제 1,2 측벽과, 상기 제 1,2 측벽의 단부를 잇는 바닥면을 포함한 프레임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bracket assembly for building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tted and coupled to the building facility in a c-shaped state, and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arts and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s extending in parallel to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length A bracket including a coupling portion having a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ends of the portion,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one side of the coupling portion, and a fastening hole passing through at least one side of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extension portion; A frame guide that is slidably coupled to the extension part in a c-shaped state and includes first and second sidewalls extending a certain length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a bottom surface connecting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idewalls. characterized by

또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 2 결합부의 외측 면의 표면에서 법선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 결합부는, 상기 제 2 결합부보다 짧은 길이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xtension part may extend in a normal direction from the surfac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oupling part, and the first coupling part may extend in a shorter length than the second coupling part.

더불어, 상기 제 2 결합부의 내측 면에는, 상기 제 2 결합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치형부(齒形部)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eeth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건축 시설용 브라켓 어셈블리에 의하면, According to the bracket assembly for building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비교적 슬림한 체적을 가진 상태에서 용접 등의 화기 작업이나 기타 번거로운 작업 공정 없이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는 프레임 가이드를 브라켓을 매개로 건축 시설에 견고하게 고정 결합할 수 있고,1) With a relatively slim volume, the frame guide, which is used for various purposes conveniently and stably, without hot work such as welding or other cumbersome work processes, can be firmly fixed and coupled to the building facility through the bracket.

2) 건축 시설에 끼움 결합하는 브라켓의 제 1,2 결합부의 길이 차를 두어 하중이 쏠리는 부위를 합리적으로 보강 처리하며,2) Reasonably reinforce the part where the load is concentrated by placing a difference in length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arts of the bracket that is fitted into the building facility,

3) 길이가 긴 제 2 결합부의 내측 면에 치형부를 형성하여 하중 증가 요인이 되는 프레임 가이드와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것은 물론,3) By forming teeth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ong second coupling part, it can be stably coupled with the frame guide, which is a factor in increasing the load.

4) 패스너가 쉽사리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수단을 제공함과 아울러,4) In addition to providing various means to prevent the fastener from loosening easily,

5) 치형부에 의한 이격 발생으로 반대 측으로 프레임 가이드가 쏠렸을 때 결합 보조 패드에 의해 충격을 완화하면서 별다른 이격 공간 없이 긴밀하게 프레임 가이드와 결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5) When the frame guide is pushed to the opposite side due to the separation caused by the teeth, i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closely combine with the frame guide without any separation space while mitigating the impact by the coupling auxiliary pad.

도 1은 본 발명의 브라켓이 건축 시설에 결합한 상태에서 프레임 가이드와 연결된 브라켓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브라켓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프레임 가이드에 케이블을 수용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4는 프레임 가이드에 지주가 연결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건축 시설에 결합한 브라켓에 프레임 가이드를 슬라이딩 결합하는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브라켓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브라켓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6의 브라켓에 풀림방지 핀이 추가로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브라켓에 풀림방지 덮개가 추가로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6의 브라켓에 결합 보조 패드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appearance of a bracket assembly connected to a frame guide in a state in which the br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building facility.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br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able is accommodated in the frame guide.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holding is connected to the frame guide.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sliding coupling of the frame guide to the bracket coupled to the building fac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br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br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n anti-loosening pin is additionally installed in the bracket of FIG. 6;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n anti-loosening cover is additionally installed on the br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auxiliary pad is attached to the bracket of Figure 6;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and like reference numbers in each drawing indica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브라켓이 건축 시설에 결합한 상태에서 프레임 가이드와 연결된 브라켓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appearance of a bracket assembly connected to a frame guide in a state in which the br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building facility.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브라켓 어셈블리는 크게 브라켓(100)과 프레임 가이드(200)를 포함한 상태에서 이들의 결합과 함께 건축 시설(1)에 다양한 형상과 구조로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As can be seen from FIG. 1, the bracke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 various shapes and structures in a building facility 1 with a combination thereof in a state including a bracket 100 and a frame guide 200.

우선 본 발명의 브라켓(100)은 건축 시설(1)에 고정 결합하는데, 본 발명에서 '건축 시설'(1)이라 함은 건축물의 벽체, H 빔, 지주, 바닥면과 같이 높이 방향으로 기립되거나 수평 방향으로 펼쳐진 다양한 건축 구조물을 의미한다. First, the bracke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ly coupled to the building facility 1.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building facility' 1 is erected in the height direction, such as a wall, H-beam, post, or floor of a building. It refers to various architectural structures spread out in a horizontal direction.

이러한 건축 시설(1)은 후술하겠지만 브라켓(100)의 제 1,2 결합부(111,112) 사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진 결합 매체(2)를 포함한다. 즉, 결합 매체(2)는 브라켓(100)의 제 1,2 결합부(111,112)가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일정 두께(제 1,2 결합부의 사이에 상응한 길이)로 돌출되거나 연장된 구조물이라 할 수 있다.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building facility 1 includes a coupling medium 2 having a corresponding length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111 and 112 of the bracket 100 . That is, the coupling medium 2 is a structure that protrudes or extends to a certain thickness (length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111 and 112 of the bracket 100 can be fitted. can do.

도 1에서는 건축 시설(1)이 건축물을 지지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일 측에 설치된 빔으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In FIG. 1, it is illustratively shown that the building facility 1 is made of a beam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uilding to support the building.

건축 시설(1)에 고정 결합한 브라켓(100)은 프레임 가이드(200)와 결합하는데, 도 1을 참조하면 브라켓(100)에 프레임 가이드(20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하는 것을 알 수 있다.The bracket 100 fixedly coupled to the building facility 1 is combined with the frame guide 200. Referring to FIG. 1, it can be seen that the frame guide 200 is coupled to the bracket 100 in a sliding manner.

즉, 브라켓(100)과 프레임 가이드(200)는 복잡한 공정이나 결합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간단한 수작업만으로 편리하게 결합할 수 있는 특징을 제공하는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브라켓(100)과 프레임 가이드(200)의 구체적인 구조와 결합 관계를 설명하도록 한다.That is, the bracket 100 and the frame guide 200 provide a feature that can be conveniently coupled with a simple manual operation without using complicated processes or coupling tools. 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bracket 100 and The specific structure and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frame guide 200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브라켓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br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브라켓(100)은 결합부(110), 연장부(120), 체결공(130)을 포함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As can be seen from FIG. 2, the bracke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including a coupling part 110, an extension part 120, and a fastening hole 130.

이러한 세부 구조를 구비한 브라켓(100)은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는데, 도 2는 브라켓의 여러 실시예 중에서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The bracket 100 having such a detailed structure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embodiments, and it can be understood that FIG. 2 shows a first embodiment amo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bracket.

구체적으로, 도 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결합부(110)는 ㄷ 형상을 가진 상태로 건축 시설의 결합 매체에 끼움 결합하는 부위로서, 제 1,2 결합부(111,112)와 연결부(113)를 구비한다.Specifically, as can be seen in FIG. 2, the coupling portion 110 is a portion that is fitted into the coupling medium of the building facility in a c-shaped state, and includes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111 and 112 and a connection portion 113 do.

제 1,2 결합부(111,112)는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서로 평행하게 일정 길이로 연장된 부위이고, 연결부(113)는 제 1,2 결합부(111,112)의 내측 단부를 잇는 일종의 판상체나 블록체를 의미한다.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arts 111 and 112 are portions extending in parallel to each other with a predetermined length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connecting portion 113 is a kind of plate-shaped body connecting the inn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arts 111 and 112. I mean block.

즉, 제 1,2 결합부(111,112)와 연결부(113)의 구조는 ㄷ 형상을 가지고, 제 1,2 결합부(111,112)의 사이 공간에 건축 시설(1)(구체적으로는 건축 시설의 결합 매체)이 끼움 결합할 수 있다. That is, the structure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111 and 112 and the connection portion 113 has a c-shape, and the construction facility 1 (specifically, the coupling of the building facilities) is 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111 and 112. medium) can be fitted.

연장부(120)는 결합부(110)의 일 측에서 일정 길이로 연장된 구조체로서, 이때 연장부(120)는 프레임 가이드(200)의 연장 방향에 따라 결합부(110)의 다양한 위치에서 연장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extension part 120 is a structure that extends to a certain length from one side of the coupling part 110. At this time, the extension part 120 extends at various positions of the coupling part 110 according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frame guide 200. it is possible to become

우선 도 2에서 연장부(120)는 제 1,2 결합부(111,112)의 반대 측면에서 제 1,2 결합부(111,112)와 동일선상으로 일정 길이로 연장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First, in FIG. 2 , the extension part 120 has a structure extending a certain length along the same line as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arts 111 and 112 on the side opposite to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arts 111 and 112 .

이때 연장부(120)의 연장 길이는 프레임 가이드(200)에 슬라이딩 결합하는 체적을 결정하는 것으로서, 프레임 가이드(200)의 전체 길이를 고려하여 다양한 사이즈로 제작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xtension length of the extension part 120 determines the volume slidingly coupled to the frame guide 200, and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sizes in consideration of the entire length of the frame guide 200.

즉, 도 2에 따른 연장부(120)는 프레임 가이드(200)가 제 1,2 결합부(111,112)와 동일선상으로 연장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다시 말해 건축 시설(1)에서 돌출된 결합 매체(2)의 돌출 방향을 따라 연장된 프레임 가이드(200)에 결합할 수 있도록 특화된 것이다.That is, the extension part 120 according to FIG. 2 can be applied to a structure in which the frame guide 200 extends on the same line as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arts 111 and 112, that is, protrudes from the building facility 1. It is specialized to be coupled to the frame guide 200 extending along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coupling medium 2 .

물론 연장부(120)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6과 같이 프레임 가이드(200)가 건축 시설(1)의 결합 매체(2)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경우에는 연장부(120)의 위치를 달리할 수 있고, 도 7과 같이 결합부(110)의 일 측 외면에 중공(122)을 구비한 육면체(121)의 입체적 형상으로 이루어져 프레임 가이드(200)를 수용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Of course, the extension part 120 is not limited to this, and as shown in FIG. 6, when the frame guide 200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the coupling medium 2 of the building facility 1, the position of the extension part 120 It can be different, and as shown in FIG. 7, it is also possible to have a three-dimensional shape of a hexahedron 121 having a hollow 122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oupling part 110 to accommodate the frame guide 200.

정리하면, 연장부(120)는 건축 시설(1)을 기준으로 프레임 가이드(200)의 연장 방향에 따라 결합부(110)의 다양한 위치에서 연장되는 것이 가능하다.In summary, the extension part 120 can be extended at various positions of the coupling part 110 according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frame guide 200 with respect to the building facility 1 .

이러한 결합부(110)와 연장부(120) 중 적어도 하나의 일 측에는 체결공(130)이 관통 형성된다.A fastening hole 130 is formed through at least one side of the coupling part 110 and the extension part 120 .

체결공(130)은 볼트나 나사와 같은 패스너(fastener)가 체결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도 2에서는 제 1 결합부(111)에 2개가 형성되어 건축 시설(1)(건축 시설의 대응 위치에도 물론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음)과의 견고한 결합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연장부(120)의 일 측(측면)에 역시 2개가 형성되어 연장부(120)에 슬라이딩 결합한 프레임 가이드(200)(역시, 프레임 가이드의 대응 위치에도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음)의 이탈 방지를 위해 견고한 결합 관계를 제공할 수 있다.Fastening holes 130 provide a space in which fasteners such as bolts or screws are fastened, and in FIG. 2, two are formed in the first coupling part 111 so that the building facility 1 (corresponding location of the building facility) Of course, a fastening hole is formed) as well as providing a solid coupling with the frame guide 200 (also two are formed on one side (side) of the extension 120 and slidably coupled to the extension 120) , A fastening hole is also form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frame guide) can provide a solid coupling relationship to prevent separation.

이러한 체결공(130)은 건축 시설(1) 및 프레임 가이드(200)의 위치에 따라 결합부(110)와 연장부(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다양한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개수, 예를 들어 1 내지 3개로 관통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These fastening holes 130 are at least one number at various positions for at least one of the coupling part 110 and the extension part 120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building facility 1 and the frame guide 200,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form through 1 to 3 pieces.

도 3은 프레임 가이드에 케이블을 수용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프레임 가이드에 지주가 연결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cables are accommodated in a frame guide,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holding is connected to a frame guide.

본 발명의 프레임 가이드(200)는 ㄷ 형상을 가진 상태에서 브라켓(100)의 연장부(120)와 슬라이딩 결합하는 구조체로서, ㄷ 형상에 의해 확보된 내부 공간에 케이블(10)을 수용하거나 아니면 바(bar) 형상으로 길게 연장된 구조적 특성으로 주변에 설치된 별도의 건축 구조물을 지지/연결하는 역할을 제공할 수 있다.The frame guid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that is slidably coupled to the extension 120 of the bracket 100 in a c-shaped state, and accommodates the cable 10 in the internal space secured by the c-shape or otherwise It can provide a role of supporting/connecting a separate building structure installed around it with a structural feature that is elongated in the shape of a bar.

구체적으로, 프레임 가이드(200)는 서로 평행하게 일정 길이로 연장된 제 1,2 측벽(210,220)과 제 1,2 측벽(210,220)의 단부를 잇는 바닥면(230)을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ㄷ 형상을 가진다. 즉, 프레임 가이드(200)는 일 면(바닥면의 대향 면)과 양측 단부의 측면이 개방된 구조를 취하는 것을 알 수 있다.Specifically, the frame guide 200 includes the first and second side walls 210 and 220 extending a certain length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the bottom surface 230 connecting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walls 210 and 220 to have a c shape as a whole. have 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frame guide 200 has a structure in which one side (the opposite side of the bottom side) and the side of both ends are open.

이러한 프레임 가이드(200)의 제 1,2 측벽(210,220)은 건축 시설의 상 방향으로 기립되거나 아니면 건축 시설(1)의 수평 방향(도 5 참조)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건축 시설(1)의 다양한 환경에 따라 제 1,2 측벽(210,220)의 연장 방향을 다양하게 처리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The first and second sidewalls 210 and 220 of the frame guide 200 may be erected in the upward direction of the building facility or may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building facility 1 (see FIG. 5). In other words, it means that the extension direc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walls 210 and 220 can be process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various environments of the building facility 1 .

도 3을 참조하면, 제 1,2 측벽(210,220)과 바닥면(230)을 구비한 프레임 가이드(200)의 내부 공간에 케이블(10)을 수용한 것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it can be seen that the cable 10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rame guide 200 having the first and second side walls 210 and 220 and the bottom surface 230 .

이때 케이블(10)은 다양한 전기 시설, 조명, 배전반 등에 전기를 공급하거나 통신 장비나 컨트롤러용 통신선이나 데이터 처리선과 같은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서, 프레임 가이드(200)의 제 1,2 측벽(210,220)과 바닥면(230)에 둘러싸인 내부 공간에 1가닥은 물론 여러 가닥이 수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able 10 may supply electricity to various electrical facilities, lighting, switchboards, etc., or may be made of the same type as communication lines or data processing lines for communication equipment or controllers, and the first and second side walls 210 and 220 of the frame guide 200 In the inner space surrounded by and the bottom surface 230, one strand as well as several strands may be accommodated.

즉, 도 3의 프레임 가이드(200)는 케이블(10)이 지나는 경로에 설치되어 케이블(10)을 깔끔하고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That is, the frame guide 200 of FIG. 3 is installed in the path through which the cable 10 passes, and provides a function of accommodating the cable 10 neatly and stably.

또한 도 4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도 4의 프레임 가이드(200)는 주변의 지주와 이들을 연결하기 위해 제공된 별도의 브라켓을 매개로 결합하여 해당 지주를 지지하는 역할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서, 프레임 가이드(200)의 상술한 내부 공간에 브라켓(100)의 일부, 즉 연장부(120)의 일부를 수용하면서 프레임 가이드(200)의 연장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지주를 지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s can be seen from FIG. 4, the frame guide 200 of FIG. 4 can provide a role of supporting the holding by combining the surrounding posts and a separate bracket provided to connect them, and the frame guide While receiving a portion of the bracket 100, that is, a portion of the extension portion 120, in the aforementioned internal space of the 200, it is possible to support a post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frame guide 200.

이처럼 프레임 가이드(200)는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는 건축 시설(1)에서 중요한 구조물로서, 용도에 따라 건축 시설 내 공간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는바, 이 프레임 가이드(200) 자체를 지지할 수 있는 수단 역시 중요하다 할 것이다.As such, the frame guide 200 is an important structure in the building facility 1 that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and can be extended in various directions in the space within the building facility depending on the purpose, and supports the frame guide 200 itself. The means by which it can be done will also be important.

즉, 본 발명의 브라켓 어셈블리는 이러한 프레임 가이드(200)를 브라켓(100)에 결합한 구조를 제시하여 결합의 편의성과 구조적 안정성을 동시에 추구한 것이 핵심적인 기능이라 할 수 있다.That is, the key function of the bracke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sent a structure in which the frame guide 200 is coupled to the bracket 100 to pursue convenience and structural stability at the same time.

도 5는 본 발명의 건축 시설에 결합한 브라켓에 프레임 가이드를 슬라이딩 결합하는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sliding coupling of the frame guide to the bracket coupled to the building fac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보아 알 수 있듯이, 건축 시설(1)에 먼저 브라켓(100)을 결합한 다음 이 브라켓(100)의 연장부(120)를 향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프레임 가이드(200)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면서 프레임 가이드(200)의 제 1,2 측벽(210,220)과 바닥면(230) 사이 공간에 연장부(120)를 수용하여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작업자의 수작업 뿐 아니라 공구나 공지의 결합 보조 도구를 활용할 수 있다.As can be seen in FIG. 5, the bracket 100 is first coupled to the building facility 1, and then the frame guide 200 is manually slid and moved by the operator toward the extension 120 of the bracket 100. It is possible to receive and couple the extension part 120 to the spa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ide walls 210 and 220 and the bottom surface 230 of the 200 . Of course, not only the manual work of the operator but also tools or known bonding aids may be utilized.

아니면 프레임 가이드(200)와 브라켓(100)을 1차 결합한 다음, 브라켓(100)을 건축 시설(1)에 2차 결합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after the primary coupling of the frame guide 200 and the bracket 100, the bracket 100 may be secondary coupled to the building facility 1.

이때, 체결공(130)의 개수와 위치에 따라 패스너(F)을 체결하여 브라켓(100)을 건축 시설(1) 또는 프레임 가이드(200)와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At this tim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bracket 100 can be firmly coupled to the building facility 1 or the frame guide 200 by fastening the fasteners F according to the number and location of the fastening holes 130 .

정리하면, 본 발명의 브라켓 어셈블리는 케이블 설치, 지주 연결 등으로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는 프레임 가이드(200)를 브라켓(100)을 매개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간편하고 편리하게 벽체 등의 건축 시설에 안전하고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In summary, the bracke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afe for construction facilities such as walls simply and conveniently by sliding the frame guide 200, which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cable installation, support connection, etc., using the bracket 100 as a medium. and provides the characteristics of being able to bond firmly.

도 6은 본 발명의 브라켓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br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따른 브라켓(100)은 도 2의 브라켓(100)과 달리 연장부(120)가 제 2 결합부(112)의 외측 면(제 1 결합부의 반대 측 넓은 면)의 표면에서 법선(Normal) 방향으로 연장된 구조를 제공한다. 이러한 브라켓(200)은 건축 시설(1)의 결합 매체(2)와 동일 선상이 아닌 수직 방향으로 프레임 가이드(200)가 연장된 구조에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Unlike the bracket 100 of FIG. 2, in the bracket 100 according to FIG. 6, the extension part 120 has a normal line on the surfac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oupling part 112 (the wide surface opposite the first coupling part) ) provides a structure elongated in the direction. Such a bracket 200 may be suitably applied to a structure in which the frame guide 200 extends in a vertical direction, not in the same line as the coupling medium 2 of the building facility 1.

더 나아가, 도 6의 브라켓(100)에 대한 상술한 연장부(120)의 설치 위치를 기반으로, 도 6의 브라켓(100)에서 제 1 결합부(111)는 제 2 결합부(112)보다 짧은 길이로 연장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 2 결합부(112)가 제 1 결합부(111)보다 길게 연장된 것을 의미한다.Furthermore, based o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above-described extension part 120 with respect to the bracket 100 of FIG. 6, the first coupling part 111 in the bracket 100 of FIG. It is preferred that it is elongated to a short length. That is, it means that the second coupling part 112 extends longer than the first coupling part 111 .

구체적으로, 연장부(120)가 제 2 결합부(112) 측에서 연장된 구조에 기인하여 연장부(120)에 결합한 프레임 가이드(200)가 중력 방향으로 연장되거나 건축 시설(1)의 상부를 향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될 경우 제 2 결합부(112) 측에 프레임 가이드(200)의 하중이 쏠리게 되므로, 이 프레임 가이드(200)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연장부(120)가 지지된 면적, 즉 제 2 결합부(112)를 제 1 결합부(111)보다 더욱 크게 확보한 것이다.Specifically, due to the structure in which the extension part 120 extends from the second coupling part 112 side, the frame guide 200 coupled to the extension part 120 extends in the direction of gravity or the upper part of the building facility 1 Since the load of the frame guide 200 is concentrated on the side of the second coupling part 112 when it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toward the opposite direction, the area where the extension part 120 is supported so that the frame guide 200 can be supported more stably That is,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12 is secured to be larger than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1 .

추가적으로, 제 1 결합부(111)보다 길게 연장된 제 2 결합부(112)의 내측 면(연장부가 결합된 면의 반대 면)에는 제 2 결합부(1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치형부(齒形部)(140)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Additionally, a plurality of tee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12 ar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12 extending longer than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1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to which the extension unit is coupled). (齒形部) 140 is possible to be formed.

이 치형부(140)는 2가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바, 첫 번째로는 치형부(140)에 접촉하는 건축 시설(1)의 결합 매체(2)의 일 면에 역시 치형부(140)를 형성하여 상호 맞물린 결합을 함으로써 프레임 가이드(200)의 하중에도 견고하게 브라켓(100)과 결합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The teeth 140 can provide two functions. First, the teeth 140 are also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upling medium 2 of the building facility 1 in contact with the teeth 140.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asis that can be firmly combined with the bracket 100 even under the load of the frame guide 200 by forming a mutually interlocking coupling.

두 번째로는, 평탄면으로 이루어진 건축 시설(1)의 결합 매체(2)의 일 측면에 치형부(140)가 접하였을 때 치형부(140)의 골/마루 구조에 기인하여 완벽하게 밀착하지 못하면서 일종의 미세 간극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대한 반작용으로 결합 매체(2)의 타 측면이 제 1 결합부(111)의 내측 면을 향하여 밀착하게 되는데, 후술하겠지만 제 1 결합부(111)의 내측 면에 결합 보조 패드(150)를 적층하여 결합 보조 패드(150)의 충격 완화 및 결합 보조 기능을 더욱 극대화 처리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Second, when the teeth 140 come into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coupling medium 2 of the building facility 1 made of a flat surface, they do not adhere perfectly due to the valley/floor structure of the teeth 140. As a reaction to this, a kind of micro gap is generated, and as a reaction to this,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coupling medium 2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1 By stacking the auxiliary binding pad 150, the shock mitigation and auxiliary bonding function of the auxiliary binding pad 150 are further maximized to provide a basis for processing.

또한 도 2 및 도 6을 보아 알 수 있듯이, 프레임 가이드(200)는 제 1,2 측벽(210,220)의 끝단에서 서로 마주 보도록 각각 절곡 연장된 절곡부(240)를 포함하고, 이에 대응하여 연장부(120)의 모서리 부위는 챔퍼(chamfer) 처리될 수 있다.In addition, as can be seen from FIGS. 2 and 6 , the frame guide 200 includes a bent portion 240 bent and extended to face each other at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walls 210 and 220, and corresponding to this, the extended portion Corners of 120 may be chamfered.

이러한 구조는 프레임 가이드(200)와 연장부(120)의 결합 부위 간 슬라이딩 결합력을 더욱 자연스럽게 구현할 수 있도록 처리한 것이다. This structure is processed to more naturally implement the sliding coupling force between the coupling parts of the frame guide 200 and the extension portion 120 .

다시 말해, 연장부(120)에서 각진 모서리가 형성되면 프레임 가이드(200)가 빡빡하게 결합하거나 아니면 제대로 슬라이딩 이동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여 프레임 가이드(200)의 절곡부(240)와 연장부(120)의 챔퍼 처리된 모서리 부위가 더욱 자연스럽고 부드럽게 슬라이딩 결합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In other words, if an angled corner is formed in the extension part 120, the frame guide 200 may be tightly coupled or may not slide properly. The chamfered corner of the extension part 120 provides a more natural and smooth sliding coupling.

도 7은 본 발명의 브라켓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br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의 브라켓(100)에서 연장부(120)는 일 면이 상기 제 2 결합부(112)의 외측 면에 결합한 상태에서 중공(122)을 구비한 육면체(121)로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즉, 프레임 가이드(200)의 단부가 연장부(120)의 중공(122)에 끼움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한다.In the bracket 100 of FIG. 7 , it can be seen that the extension part 120 is formed of a hexahedron 121 having a hollow 122 in a state in which one surface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oupling part 112. That is, a structure in which the end of the frame guide 200 can be fitted into the hollow 122 of the extension 120 is proposed.

이러한 도 7에 따른 브라켓(200)의 제 3 실시예는 도 6의 브라켓(200)과 마찬가지로 제 2 결합부(112)의 외측 면에 연장부(120)가 형성되어 건축 시설(1)과 동일선상이 아닌 방향(예를 들어, 건축 시설의 결합 매체의 돌출 방향과는 같으나 높이차를 가진 방향)으로 프레임 가이드(200)가 연장된 구조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도 6의 브라켓(200)과 같이 제 1,2 결합부(111,112)의 길이 차이, 치형부(140)가 형성된 구조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Like the bracket 200 of FIG. 6, the third embodiment of the bracket 200 according to FIG. 7 has the extension 120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oupling part 112, and is the same as the construction facility 1. Applied to a structure in which the frame guide 200 extends in a non-linear direction (eg, the same as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coupling medium of the building facility, but with a height difference), which is not shown in the drawings, but is shown in FIG. Like the bracket 200, it is also possible to include a structure in which the length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arts 111 and 112 and the toothed part 140 are formed.

도 7에서 프레임 가이드(200)가 L자 형상으로 도시된 것으로 보이나, 연장부(120)의 중공(122)에 수용되는 프레임 가이드(200)는 앞서 언급한 것처럼 ㄷ자 형상을 취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7, the frame guide 200 is seen to be shown in an L-shape, but the frame guide 200 accommodated in the hollow 122 of the extension 120 is based on taking a U-shape as mentioned above.

상술한 도 7의 브라켓(200)에 의하면, 중공(122)을 둘러싼 육면체(121) 구조에 따라 프레임 가이드(200)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하여 더욱 안정적으로 프레임 가이드(200)와 브라켓(100)을 결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더욱더 직관적이면서 간편한 양자 간의 결합 상태를 보장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진다.According to the bracket 200 of FIG. 7 described above, the contact area with the frame guide 200 is increased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hexahedron 121 surrounding the hollow 122 so that the frame guide 200 and the bracket 100 are more stably attached. Not only can they be combined, but they also have characteristics that can ensure a more intuitive and convenient coupling state between the two.

도 8은 도 6의 브라켓에 풀림방지 핀이 추가로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n anti-loosening pin is additionally installed in the bracket of FIG. 6;

도 8을 참조하면, 도 6의 브라켓(200)에 풀림방지 핀(160)이 추가로 설치된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도 8에서는 도 6의 브라켓(200)을 기준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2 및 도 7의 브라켓(200)에 이 풀림방지 핀(160)이 추가되는 것도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8 , it can be seen that an anti-loosening pin 160 is additionally installed in the bracket 200 of FIG. 6 . Of course, in FIG. 8, the bracket 200 of FIG. 6 is shown as a reference, but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it is possible that the anti-loosening pin 160 is added to the bracket 200 of FIGS. 2 and 7.

구체적으로 도 8을 보아 알 수 있듯이, 상술한 체결공(130)이 결합부(110)의 일 측면(물론 반드시 이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결합부(110)의 다른 면이나 연장부(120)의 특정 면도 가능)에 서로 인접한 상태로 2개로 관통된 상태에서 이 체결공(130) 각각에 패스너(F)가 삽입되는데, 이 2개의 체결공(130) 사이에 보조 체결공(161)을 관통시킨 상태에서 이 보조 체결공(161)에 풀림방지 핀(160)을 설치할 수 있다. 이때, 풀림방지 핀(160)은 각각의 패스너(F)의 외주면에 밀착하여 패스너(F)가 불필요하게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Specifically, as can be seen in FIG. 8, the above-described fastening hole 130 is on one side of the coupling part 110 (of course,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position,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coupling part 110 or the extension part 120) A fastener (F)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fastening holes 130 in a state where the two fastening holes 130 pass through each other in a state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auxiliary fastening hole 161 penetrates between the two fastening holes 130. In this state, the anti-loosening pin 160 can be installed in the auxiliary fastening hole 161. At this time, the anti-loosening pin 160 provides a function of preventing unnecessary rotation of the fasteners (F) b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fastener (F).

바람직하게는, 풀림방지 핀(160)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거나 각진 구조로 이루어져 인접한 패스너(F)에 더욱 효율적으로 맞물림 작용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Preferably,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nti-loosening pin 160 is formed with a thread or an angled structure so that it can provide an engaging action to the adjacent fastener F more efficiently.

정리하면, 풀림방지 핀(160)은 패스너(F)가 체결공(130)에서 불필요한 회전을 하여 자칫 풀리거나 느슨해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특성을 가진다.In summary, the anti-loosening pin 160 has a characteristic of preventing the fastener F from being loosened or loosened due to unnecessary rotation in the fastening hole 130 .

도 9는 본 발명의 브라켓에 풀림방지 덮개가 추가로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n anti-loosening cover is additionally installed on the br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보아 알 수 있듯이, 패스너(F)가 체결되는 체결공(130)의 주변 부위에는 풀림방지 덮개(170)(커버 또는 캡)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As can be seen from FIG. 9 , it is possible to form an anti-loosening cover 170 (cover or cap) around the fastening hole 130 to which the fastener F is fastened.

이러한 풀림방지 덮개(170)는 내부 공간을 가진 직육면체 등의 입체적 형상으로 이루어져 패스너(F)의 상부를 덮는 역할을 하는데, 일 측에 형성된 힌지(171)를 매개로 회동되는 구조, 다시 말해 회동식 개폐 구조를 취한다.This anti-loosening cover 170 is composed of a three-dimensional shape such 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having an internal space and serves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fastener F. Take an open-and-close structure.

이 풀림방지 덮개(170)는 투명 재질 또는 불투명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재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The release-preventing cover 170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or an opaque material. That is, it is not limited to the material.

이러한 풀림방지 덮개(170)의 회동 구조에 의하여, 체결공(130)에 패스너(F)를 체결할 시에 풀림방지 덮개(170)를 오픈하였다가 패스너(F) 체결이 완료되면 이 풀림방지 덮개(170)를 힌지 회동 방식으로 덮어 패스너(F)를 가릴 수 있다.Due to the rotational structure of the anti-loosening cover 170, when the fastener F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130, the anti-loosening cover 170 is opened, and when the fastening of the fastener F is completed, the anti-loosening cover is closed. The fastener F may be covered by covering 170 in a hinged rotation manner.

이 풀림방지 덮개(170)에 의하면, 패스너(F)를 덮어 패스너(F)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패스너(F)가 주변의 다른 물체와의 충돌을 방지하도록 보호되어 상술한 충돌 등에 의하여 쉽사리 패스너(F)가 풀리거나 패스너(F)의 헤드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를 탁월하고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According to this anti-loosening cover 170, by covering the fastener F so that the fastener F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the fastener F is protected to prevent collision with other objects around it, so that the fastener F is easily prevented by the above-mentioned collision or the like. Provides characteristics capable of excellently and efficiently preventing problems such as loosening of the fastener F or breakage of the head of the fastener F.

도 10은 도 6의 브라켓에 결합 보조 패드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auxiliary bonding pad is attached to the bracket of FIG. 6 .

앞서 설명한 도 6의 브라켓(100)에서 제 2 결합부(112)의 내측 면에 치형부(140)가 형성된 상태에서 프레임 가이드(200)의 접촉면이 평탄면일 경우에는 프레임 가이드(200)의 접촉면과 치형부(140) 간에 이격이 발생하면서 제 1 결합부(111)의 내측 면을 향하여 프레임 가이드(200)의 일 면이 밀리면서 접촉하려는 성질을 가질 수 있고, 이때 제 1 결합부(111)의 내측면에 별다른 처리를 하지 않으면 제 1 결합부(111)의 내측면과 프레임 가이드(200)의 일 면 간에 불필요한 유착이 발생하거나 과도한 밀착으로 크랙이 발생하는 등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contact surface of the frame guide 200 is a flat surface in the state where the teeth 140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coupling part 112 in the bracket 100 of FIG. 6 described above, the contact surface of the frame guide 200 and While a separation occurs between the teeth 140, one side of the frame guide 200 may be pushed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1 and may have a property of contacting. At this time,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1 If the inner surface is not treated differently, damage such as unnecessary adhesion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part 111 and one surface of the frame guide 200 may occur or cracks may occur due to excessive adhesion.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10을 보아 알 수 있듯이 제 1 결합부(111)의 내측면에는 결합 보조 패드(150)가 부착 또는 적층 처리되는 것이 가능하다. In order to prevent this problem, as can be seen from FIG. 10 , an auxiliary bonding pad 150 may be attached or stack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part 111 .

결합 보조 패드(150)는 적절한 두께를 가진 일종의 시트로서,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제 2 결합부(112)에 형성된 치형부(140)에서 이격되어 발생한 프레임 가이드(200)의 반작용에 의한 유착 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하거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더불어, 결합 보조 패드(150)는 프레임 가이드(200)와 별다른 이격 공간 없이 긴밀하게 결합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여 결과적으로 연장부(120)와 프레임 가이드(200)의 견고한 결합을 보조할 수도 있다. The coupling auxiliary pad 150 is a kind of sheet having an appropriate thickness and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o efficiently prevent adhesion caused by the reaction of the frame guide 200 caused by being spaced apart from the teeth 140 formed o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12. It provides a function to prevent or absorb shock. In addition, the coupling auxiliary pad 150 provides a base that can be tightly coupled to the frame guide 200 without any separation space, and as a result, may assist in solid coupling of the extension portion 120 and the frame guide 200. .

더 나아가 결합 보조 패드(150)의 내구성을 한층 증강하기 위하여, 결합 보조 패드(150)는 2중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Furthermore, in order to further enhance the durability of the auxiliary coupling pad 150,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auxiliary coupling pad 150 is made of a double material.

구체적으로, 결합 보조 패드(150)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제 1 결합부(111)의 내측 면에 부착된 베이스와, 베이스의 표면(베이스의 부착면의 반대 면)에 코팅된 것으로 에틸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탄성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bonding auxiliary pad 150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is coated on a base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part 111 and a surface of the base (opposite surface of the attachment surface of the base) and includes ethyl cellulose It may include an elastic auxiliary agent that does.

여기서 바람직하게 결합 보조 패드(150)는 베이스 90 내지 99 중량부와 탄성 보조제 1 내지 10 중량부의 조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Preferably, the bonding auxiliary pad 150 may be composed of 90 to 99 parts by weight of the base and 1 to 10 parts by weight of the elastic auxiliary agent.

이때, 베이스는 공지의 다양한 탄성재, 예를 들어 고무, 폴리우레탄 등의 탄성을 보유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특정 탄성재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is case, the base may be made of various known elastic materials, for example, engineering plastics having elasticity such as rubber and polyurethane, and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elastic material.

탄성 보조제는 베이스라는 레이어 또는 시트에 적층 형성된 레이어 또는 시트 구조를 취하는 것으로서, 이 역시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되 특히 에틸셀룰로오스를 포함한다.The elastic auxiliary agent takes the structure of a layer or sheet laminated on a layer or sheet called a base, which is also made of an elastic material, but particularly includes ethyl cellulose.

에틸셀룰로오스는 셀룰로오스의 히드록시기(-OH)를 에틸에테르화한 것으로 내염성 및 pH 안정성이 높은 특성을 가지며, 나아가 혼합성이 뛰어남과 동시에 증점성이 있어 탄성재의 경도를 적절 수준으로 조절하는 특징이 있다.Ethyl cellulose is obtained by ethyl etherifying the hydroxyl group (-OH) of cellulose, and has characteristics of high salt resistance and pH stability, and also has excellent mixing properties and thickening properties, thereby adjusting the hardness of the elastic material to an appropriate level.

따라서 이와 같은 에틸셀룰로오스를 포함한 탄성 보조제를 베이스에 적층하면 결합 보조 패드(150)의 전반적인 내염성 및 pH 안정성을 향상할 뿐 아니라 프레임 가이드(200)가 제 1 결합부(111)의 내측 면으로 균형을 이루지 못하고 밀착하여 유착이 발생하거나 불균형한 결합 위치를 취할 시에 증점성 개선을 통해 경도가 조절되며 탄성이 개선된 결합 보조 패드(150)가 프레임 가이드(200)에 밀착되어 충격을 결합 보조 패드(150)로 보다 원활하게 분산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Therefore, when the elastic auxiliary agent including ethyl cellulose is laminated on the base, the overall salt resistance and pH stability of the bonding auxiliary pad 150 are improved, and the frame guide 200 is balanced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part 111 When adhesion occurs or an unbalanced bonding position is taken, the bonding auxiliary pad 150 with improved elasticity and hardness is adjusted by improving the thickening property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ame guide 200 to apply shock to the bonding auxiliary pad ( 150), which provides the effect of more smooth dispersion.

나아가 탄성 보조제는 에틸셀룰로오스 이외에도 추가적인 조성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보다 바람직하게 탄성 보조제는 상술한 에틸셀룰로오스 뿐 아니라 레시틴(lecithin) 및 뷰틸캐비톨아세테이트(butyl carbitol acetate)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elastic auxiliary agent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onal composition in addition to ethyl cellulose. More preferably, the elastic auxiliary agent may further include lecithin and butyl carbitol acetate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thyl cellulose.

레시틴은 천연 소포제의 기능을 수행하므로 환경 친화적임과 동시에 제조된 탄성 보조제가 첨가된 결합 보조 패드(150)의 표면의 불필요한 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고른 표면을 나타내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나아가 탄성 보조제에 포함된 다양한 물질들의 혼합성을 개선하고 결합 보조 패드(150) 표면에 대한 유연성을 부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Since lecithin performs the function of a natural antifoaming agent, it is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unnecessary air bubbles from being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bonding auxiliary pad 150 to which the manufactured elastic auxiliary agent is added to show an even surface, and furthermore, the elastic auxiliary agent It performs the function of improving the mixing of various materials included in and imparting flexibility to the surface of the bonding auxiliary pad 150.

뷰틸캐비톨아세테이트는 증점제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레시틴으로 인해 감소된 탄성 보조제의 점도성을 높이는 역할을 수행하고 에틸셀룰로오스의 기능을 보조하며, 나아가 탄성 보조제에 포함된 수지 계열 성분에 대한 용매 역할을 겸하여 다양한 성분들의 혼합성을 높이기 위해 첨가된다.Butylcabitol acetate serves as a thickener to increase the viscosity of the elastic auxiliary agent reduced due to lecithin, assists the function of ethyl cellulose, and further serves as a solvent for resin-based components included in the elastic auxiliary agent. It is added to improve the mixing of various ingredients.

따라서 이러한 에틸셀룰로오스, 레시틴, 뷰틸캐비톨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탄성 보조제에 따르면 내염성 및 pH 안정성을 향상하면서 충격을 흡수, 분산하는 기본 기능에서 더 나아가 결합 보조 패드(150)의 표면의 기포를 제거하고 혼합 안정성을 높이면서도 점도 및 탄성이 감소되지는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elastic auxiliary agent containing ethyl cellulose, lecithin, and butylcabitol acetate, it goes beyond the basic function of absorbing and dispersing shock while improving salt resistance and pH stability, removing air bubbles from the surface of the bonding auxiliary pad 150 and mixing It has the advantage that viscosity and elasticity are not reduced while increasing stability.

나아가 탄성 보조제는 상술한 물질 외의 추가적인 물질을 포함함과 동시에 단계적으로 혼합되는 과정을 거쳐 그 특성을 배가하도록 제조될 수 있는데, 이러한 본 발명의 탄성 보조제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탄성 보조제는 1차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S11), 2차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S12) (S13)탄성 보조제를 완성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elastic auxiliary agent may be prepared to double its properties through a process of mixing in stages while including additional materials other than the above-mentioned materials. The elastic auxiliary agent of the invention may be prepared through the steps of preparing a primary solution (S11), preparing a secondary solution, (S12) and (S13) completing the elastic auxiliary agent.

(S11) 1차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S11) preparing a primary solution

먼저, 에틸셀룰로오스(ethyl cellulose) 20 내지 40 중량부와 폴리이소부틸렌(Polyisobutylene) 10 내지 30 중량부 및 자일렌(Xylene) 30 내지 70 중량부를 혼합하여 1차 용액을 제조한다.First, a primary solution is prepared by mixing 20 to 40 parts by weight of ethyl cellulose, 10 to 30 parts by weight of polyisobutylene, and 30 to 70 parts by weight of xylene.

에틸셀룰로오스는 상술한 설명에서와 같이 내염성 및 pH 안정성이 높은 특성을 가지며, 나아가 혼합성이 뛰어남과 동시에 증점성이 있는 물질이다.As described above, ethyl cellulose has characteristics of high salt resistance and pH stability, and furthermore, it is a material having excellent mixing properties and thickening properties.

폴리이소부틸렌은 2-메틸-1-프로펜의 중합체로 이루어진 합성고무이다. 무색 또는 엷은 노란색의 끈기가 있고 탄력성 있는 고무 모양의 반고체이며 식품에 첨가할 수 있을 정도로 친환경적이며 인체에 무해하는 특성을 지닌다. 적당한 수준의 경도를 나타내도록 경도를 조절하며 유연성을 부여함으로써 에틸셀룰로오스의 경도 및 탄성 조절 효과를 보조하는 기능을 가진다.Polyisobutylene is a synthetic rubber composed of a polymer of 2-methyl-1-propene. It is a colorless or light yellow, tenacious, elastic rubber-like semi-solid, environmentally friendly enough to be added to food, and harmless to the human body. It has the function of assisting the hardness and elasticity control effect of ethyl cellulose by adjusting the hardness to show an appropriate level of hardness and imparting flexibility.

이러한 에틸셀룰로오스 및 폴리이소부틸렌은 유기물을 쉽게 녹이는 자일렌을 용매로 하여 용해되어 1차 용액을 형성하게 된다.These ethyl cellulose and polyisobutylene are dissolved using xylene, which easily dissolves organic matter, as a solvent to form a primary solution.

(S12) 2차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S12) preparing a secondary solution

다음으로, 1차 용액 90 내지 96 중량부와 레시틴(lecithin) 3 내지 5 중량부 및 포타슘코코일글루타메이트(potassium cocoyl glutamate) 1 내지 5 중량부를 혼합하여 2차 용액을 제조한다.Next, a secondary solution is prepared by mixing 90 to 96 parts by weight of the primary solution with 3 to 5 parts by weight of lecithin and 1 to 5 parts by weight of potassium cocoyl glutamate.

레시틴은 상술한 설명에서와 같이 탄성 보조제가 첨가된 결합 보조 패드(150)의 표면의 불필요한 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나아가 탄성 보조제에 포함된 다양한 물질들의 혼합성을 개선하고 결합 보조 패드(150) 표면에 대한 유연성을 부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As described above, lecithin prevents unnecessary bubbles from being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auxiliary bonding pad 150 to which the elastic auxiliary agent is added, and furthermore, improves the mixing of various materials included in the elastic auxiliary agent and binds the auxiliary pad 150. ) It performs the function of imparting flexibility to the surface.

포타슘코코일글루타메이트는 상술한 레시틴의 기능을 보조할 수 있는 코코넛계열 천연 계면활성제로서 친환경적임과 동시에 물질의 혼합성을 높이기 위한 보조 역할을 수행하며, 탄성 보조제에 포함된 유기물과 무기물 사이의 분리를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Potassium cocoyl glutamate is a coconut-based natural surfactant that can assist the function of the above-mentioned lecithin. It is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at the same time plays an auxiliary role to increase the mixing of substances and separates between organic and inorganic substances included in elastic auxiliary agents. function to prevent

이때 1차 용액에 있어 용매에 일부 섞이지 않은 용질이 존재한다 할지라도 레시틴 및 포타슘코코일글루타메이트의 추가 혼합에 의해 보다 고른 용해가 일어날 수 있으며, 나아가 레시틴 및 포타슘코코일글루타메이트의 추가 첨가를 통한 추가적인 경도 조절을 가능케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At this time, even if some unmixed solutes exist in the solvent in the primary solution, more even dissolution can occur by additional mixing of lecithin and potassium cocoyl glutamate, and further, additional hardness through the additional addition of lecithin and potassium cocoyl glutamate. Of course, it can be controlled.

(S13) 탄성 보조제를 완성하는 단계(S13) Step to complete the elastic auxiliary agent

마지막으로 2차 용액 92 내지 98 중량부와 뷰틸캐비톨아세테이트(butyl carbitol acetate) 1 내지 5 중량부 및 가티검(Ghatti gum) 1 내지 4 중량부를 혼합하여 탄성 보조제를 완성한다.Finally, 92 to 98 parts by weight of the secondary solution, 1 to 5 parts by weight of butyl carbitol acetate, and 1 to 4 parts by weight of Ghatti gum are mixed to complete the elastic auxiliary agent.

뷰틸캐비톨아세테이트는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 보조제의 점도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여 에틸셀룰로오스의 기능을 보조함과 동시에 다양한 성분들의 혼합성을 높이기 위해 첨가된다.As described above, butylcabitol acetate serves to increase the viscosity of the elastic auxiliary agent to assist the function of ethyl cellulose and is added to enhance the mixing of various components.

가티검은 혼합 시 점도를 높이고 유화안정성을 증진하며 물성 및 촉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물질이며, 용해도가 우수하고 점도 증가 효과가 우수하다. 탄성 보조제에 첨가 시 에틸셀룰로오스의 기능을 보조함과 동시에, 탄성 보조제가 첨가된 결합 보조 패드(150)의 물성 및 촉감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Ghatti gum is a substance for increasing viscosity, enhancing emulsion stability, and improving physical properties and feel when mixed, and has excellent solubility and an excellent viscosity increasing effect. When added to the elastic auxiliary agent, it assists the function of ethyl cellulose and at the same time provides a function of improving the physical properties and touch of the bonding auxiliary pad 150 to which the elastic auxiliary agent is added.

나아가 마지막으로 첨가되는 뷰틸캐비톨아세테이트 및 가티검을 통해 단계적인 점도성 증진 및 탄성 보조 효과를 제공하면서도 혼합성을 유지시킬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가티검이 충진되어 감소된 점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Furthermore, through butylcabitol acetate and ghatti gum added last,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mixability while providing a gradual increase in viscosity and an elastic auxiliary effect, and finally, ghatti gum is filled to increase the reduced viscosity.

이와 같은 탄성 보조제가 결합 보조 패드(150)에 첨가됨에 따라, 결합 보조 패드(150)의 내염성 및 pH 안정성을 높일 뿐 아니라 점증성 조절을 기반으로 하여 경도를 조절함으로써 충격에 대한 분산 및 완충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나아가 결합 보조 패드(150)의 표면 촉감이나 유연성을 개선함과 동시에 탄성 보조제 자체의 혼합성을 높이고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As such an elastic auxiliary agent is added to the binding auxiliary pad 150, the salt resistance and pH stability of the binding auxiliary pad 150 are increased, as well as the dispersion and buffering effect for impact by adjusting the hardness based on the gradual control. It can be increased, and furthermore, the texture or flexibility of the surface of the bonding auxiliary pad 150 can be improved, and at the same time, the mixing property of the elastic auxiliary agent itself can be increased and stability can be improved.

나아가 이와 같은 물질들을 단계적으로 첨가함으로써 적절한 수준으로 경도 및 점도성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는 특성을 지니며, 각 단계별로 안정성 높은 용액을 제조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점도 및 탄성이 극도로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Furthermore, by adding these materials step by step, it has the property that hardness and viscosity can be easily adjusted to an appropriate level, and a solution with high stability can be prepared at each step, and at the same time, viscosity and elasticity are extremely high or low. be able to prevent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탄성 보조제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 및 비교예의 평가 결과를 비교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는 본 발명의 탄성 보조제를 포함하는 탄성재 패드인 실시예 1 내지 2로 구성되어 있고, 비교예는 종래의 탄성재 패드이다.In order to explain the function of the elastic auxiliary ag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valuation result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ill be compared and described. The example consists of Examples 1 and 2, which are elastic material pads containing the elastic auxiliary ag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mparative example is a conventional elastic material pad.

<실시예 1><Example 1>

탄성 보조제로서 에틸셀룰로오스를 준비하였다.Ethyl cellulose was prepared as an elastic auxiliary agent.

준비된 탄성 보조제를 폴리우레탄 수지와 혼합하여 탄성 보조제 10 중량%를 포함하는 탄성재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이를 가로 20cm, 세로 20cm, 두께 1cm의 패드 형상으로 성형하였다.The prepared elastic auxiliary agent was mixed with a polyurethane resin to prepare an elastic material composition containing 10% by weight of the elastic auxiliary agent, which was molded into a pad shape having a width of 20 cm, a length of 20 cm, and a thickness of 1 cm.

<실시예 2><Example 2>

에틸셀룰로오스 35g. 폴리이소부틸렌 20g. 자일렌 55g을 혼합하여 1차 용액 100g을 제조하였다.Ethyl Cellulose 35 g. 20 g of polyisobutylene. 100 g of the primary solution was prepared by mixing 55 g of xylene.

준비된 1차 용액 90g와 레시틴 5g 및 포타슘코코일글루타메이트 5g을 혼합하여 2차 용액 100g을 제조하였다.100 g of a second solution was prepared by mixing 90 g of the prepared first solution with 5 g of lecithin and 5 g of potassium cocoyl glutamate.

제조된 2차 용액 95g와 뷰틸캐비톨아세테이트 2g 및 가티검 3g을 혼합하여 탄성 보조제 100g을 완성하였다.100 g of an elastic auxiliary agent was completed by mixing 95 g of the prepared secondary solution with 2 g of butylcabitol acetate and 3 g of ghatti gum.

준비된 탄성 보조제를 폴리우레탄 수지와 혼합하여 탄성 보조제 10 중량%를 포함하는 탄성재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이를 가로 20cm, 세로 20cm, 두께 1cm의 패드 형상으로 성형하였다.The prepared elastic auxiliary agent was mixed with a polyurethane resin to prepare an elastic material composition containing 10% by weight of the elastic auxiliary agent, which was molded into a pad shape having a width of 20 cm, a length of 20 cm, and a thickness of 1 cm.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폴리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진 수지 조성물을 가로 20cm, 세로 20cm, 두께 1cm의 패드 형상으로 성형하였다.A resin composition made of a polyurethane resin was molded into a pad shape having a width of 20 cm, a length of 20 cm, and a thickness of 1 cm.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의 패드에 대해, 다음의 시험을 실시하였다.The following tests were conducted on the pads of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

[실험예 1] 물성 평가[Experimental Example 1] Evaluation of physical properties

1. 인장강도 및 신장율 시험: UTM(Universal Testing Machine)을 이용하여 KS M 6518에 준하여 인장강도 및 신장율을 측정하였다.1.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test: UTM (Universal Testing Machine) was used to measure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according to KS M 6518.

2. 경도 시험: SHORE A TYPE의 경도계를 이용하여 경도를 측정하였다.2. Hardness test: Hardness was measured using a SHORE A TYPE durometer.

3. 복원율 시험: UTM(Universal Testing Machine)을 이용하여 10N의 힘을 가한 뒤, 10초 내에 회복되는 두께를 이용하여 복원율을 측정하였다.3. Restoration rate test: After applying a force of 10N using UTM (Universal Testing Machine), the recovery rate was measured using the thickness recovered within 10 seconds.

4. 정하중시 변위 시험 : 정하중 시 변위: KS R 1080규격에 따라 55kgf 하중을 200mm/분의 속도로 가하면서 변위 값을 측정하였다. 상기 정하중 시 변위는 규정된 규격의 폴리우레탄폼을 시편 위에 부착한 후 측정하였다.4. Displacement test under static load: Displacement under static load: The displacement value was measured while a 55kgf load was applied at a speed of 200mm/min according to KS R 1080 standard. The displacement at the time of the static load was measured after attaching the polyurethane foam of the prescribed standard on the specimen.

상술한 물성 평가 시험 결과는 다음의 표 1와 같다.The above-described physical property evaluation test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인장강도
(MPa)
tensile strength
(MPa)
신장율
(%)
elongation rate
(%)
경도
(HS)
Hardness
(HS)
복원율
(%)
recovery rate
(%)
정하중시 변위(mm)Displacement at static load (mm)
실시예 1Example 1 146146 274274 8686 9393 3030 실시예 2Example 2 153153 285285 8585 9595 3434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7979 182182 8888 8383 2222

상술한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2는 비교예에 비하여 인장강도, 신장율, 복원율이 우수하면서도 적절한 수준의 경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나아가 복원율이 뛰어나면서도 정하중시 변위가 높아 충분한 충격 분산 및 흡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As shown in Table 1 above, it can be confirmed that Examples 1 and 2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 an appropriate level of hardness while superior in tensile strength, elongation, and recovery rate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s, and furthermore, while excellent in recovery rate, displacement at static load It can be seen that it can provide sufficient impact dispersing and absorbing effects due to high.

나아가 실시예 1 내지 2의 비교를 통해, 실시예 2이 실시예 1에 비해 인장강도, 신장율, 복원율, 정하중시 변위가 모두 높아 높은 수준의 물성을 나타내면서도 유사한 수준의 경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Furthermore, through the comparison of Examples 1 and 2, it can be seen that Example 2 exhibits a similar level of hardness while exhibiting a high level of physical properties as compared to Example 1 in that the tensile strength, elongation, recovery rate, and displacement under static load are all higher. .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 시설용 브라켓 어셈블리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so fa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bracket assembly for building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expressed in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and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various change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range that does not deviate from the technical idea of .

1: 건축 시설 2: 결합 매체
10: 케이블 100: 브라켓
110: 결합부 111: 제 1 결합부
112: 제 2 결합부 113: 연결부
120: 연장부 121: 육면체
122: 중공 130: 체결공
140: 치형부 150: 결합 보조 패드
160: 풀림방지 핀 161: 보조 체결공
170: 풀림방지 덮개 171: 힌지
200: 프레임 가이드 210: 제 1 측벽
220: 제 2 측벽 230: 바닥면
240: 절곡부 F: 패스너
1: construction facilities 2: bonding media
10: cable 100: bracket
110: coupling part 111: first coupling part
112: second coupling part 113: connection part
120: extension 121: hexahedron
122: hollow 130: fastening hole
140: teeth 150: coupling auxiliary pad
160: anti-loosening pin 161: auxiliary fastening hole
170: anti-loosening cover 171: hinge
200: frame guide 210: first sidewall
220: second side wall 230: bottom surface
240: bend F: fastener

Claims (7)

건축 시설용 브라켓 어셈블리로서,
ㄷ 형상을 가진 상태로 건축 시설에 끼움 결합하는 것으로서 서로 평행하게 일정 길이로 연장되되 제 1 결합부가 제 2 결합부보다 짧은 길이로 연장된 제 1,2 결합부와 상기 제 1,2 결합부의 단부를 잇는 연결부를 구비한 결합부와, 상기 제 2 결합부의 외측 면의 표면에서 법선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 및, 상기 결합부와 연장부 중 적어도 하나의 일 측에 관통된 체결공을 포함한 브라켓;
ㄷ 형상을 가진 상태에서 상기 연장부와 슬라이딩 결합하는 것으로서, 서로 평행하게 일정 길이로 연장된 제 1,2 측벽과, 상기 제 1,2 측벽의 단부를 잇는 바닥면을 포함한 프레임 가이드;
상기 제 2 결합부의 내측 면에서 상기 제 2 결합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치형부(齒形部);
상기 제 1 결합부의 내측 면에 부착된 것으로서,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제 1 결합부의 내측 면에 부착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표면에 코팅된 탄성 보조제를 포함하는 결합 보조 패드;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 보조제는,
에틸셀룰로오스와 레시틴(lecithin) 및 뷰틸캐비톨아세테이트(butyl carbitol acetat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 어셈블리.
As a bracket assembly for building facilities,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arts and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arts, which are fitted and coupled to the building facility in a c-shaped state, and extend in parallel to each other to a certain length, but the first coupling portion extends at a shorter length tha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A bracket including a coupling portion having a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second coupling portion,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in a normal direction from a surface of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and a fastening hole penetrating at least one side of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extension portion;
A frame guide that is slidably coupled to the extension part in a c-shaped state and includes first and second sidewalls extending in parallel to each other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bottom surface connecting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idewalls;
a plurality of teeth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on an inner surface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part, a coupling auxiliary pad comprising a bas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an elastic auxiliary agent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including,
The elastic auxiliary agent,
A bracket assembly comprising ethyl cellulose, lecithin and butyl carbitol aceta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가이드는,
상기 제 1,2 측벽의 끝단에서 서로 마주 보도록 각각 절곡 연장된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의 모서리 부위는 챔퍼(chamfer)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
The frame guide,
At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walls, bent portions are bent and extended to face each other;
The bracket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corner portion of the extension is chamfer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보조제는,
에틸셀룰로오스(ethyl cellulose) 20 내지 40 중량부와 폴리이소부틸렌(Polyisobutylene) 10 내지 30 중량부 및 자일렌(Xylene) 30 내지 70 중량부를 혼합하여 1차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1차 용액 90 내지 96 중량부와 레시틴(lecithin) 3 내지 5 중량부 및 포타슘코코일글루타메이트(potassium cocoyl glutamate) 1 내지 5 중량부를 혼합하여 2차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2차 용액 92 내지 98 중량부와 뷰틸캐비톨아세테이트(butyl carbitol acetate) 1 내지 5 중량부 및 가티검(Ghatti gum) 1 내지 4 중량부를 혼합하여 탄성 보조제를 완성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
The elastic auxiliary agent,
Preparing a primary solution by mixing 20 to 40 parts by weight of ethyl cellulose, 10 to 30 parts by weight of polyisobutylene, and 30 to 70 parts by weight of xylene;
Preparing a secondary solution by mixing 90 to 96 parts by weight of the first solution with 3 to 5 parts by weight of lecithin and 1 to 5 parts by weight of potassium cocoyl glutamate;
Mixing 92 to 98 parts by weight of the secondary solution with 1 to 5 parts by weight of butyl carbitol acetate and 1 to 4 parts by weight of Ghatti gum to complete an elastic auxiliary agent; Featured, bracket assembl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20171615A 2022-06-13 2022-12-09 Bracket Assemblies for Building Facilities KR10252791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71515 2022-06-13
KR1020220071515 2022-06-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7916B1 true KR102527916B1 (en) 2023-05-02

Family

ID=86387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1615A KR102527916B1 (en) 2022-06-13 2022-12-09 Bracket Assemblies for Building Faciliti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7916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25514U (en) * 1980-02-25 1981-09-24
KR20070007471A (en) * 2005-07-11 2007-01-16 신춘식 Profile nut equipped with elastic cushion
KR20140002928U (en) * 2012-11-09 2014-05-19 이점용 Beam clamp
KR102117440B1 (en) * 2019-01-09 2020-06-01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A channel clamp for conduit tube fixing
KR102262934B1 (en) 2020-10-08 2021-06-09 주식회사 동도이엔지 Electric wire cable tray of artecture apartment hous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25514U (en) * 1980-02-25 1981-09-24
KR20070007471A (en) * 2005-07-11 2007-01-16 신춘식 Profile nut equipped with elastic cushion
KR20140002928U (en) * 2012-11-09 2014-05-19 이점용 Beam clamp
KR102117440B1 (en) * 2019-01-09 2020-06-01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A channel clamp for conduit tube fixing
KR102262934B1 (en) 2020-10-08 2021-06-09 주식회사 동도이엔지 Electric wire cable tray of artecture apartment hou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53141C (en) Panel system
TWI246894B (en) Desk system
SI9420070A (en) Earthquake, wind resistant and fire resistant pre-fabricated building panels and structures formed therefrom
KR20100009384U (en) Connecting clamp of h beam with rail type guide tool
CN201801987U (en) High aseismic combination stone curtain wall with replaceable aluminium suspension member
KR102527916B1 (en) Bracket Assemblies for Building Facilities
KR102123459B1 (en) External panel for construction
ITBO20130016A1 (en) FENCING, PARTICULARLY FOR MACHINERY, PLANTS AND THE LIKE
CN211469350U (en) Assembled building wallboard edges and corners protection device
CN108868036A (en) Corner protector is built in a kind of room
CN110241948B (en) Modular wall shifting and fixing mode
JP4611546B2 (en) Baseboard and framework scaffold
WO2020174998A1 (en) Ceiling panel
KR20120103973A (en) Access floor assembley
CN206143971U (en) Pendant is tied to back of body with mousing -hook function
CN205560152U (en) LED display screen support
CN217680695U (en) Foldable elevator shaft isolation protection device
CN217439928U (en) Light windproof counterweight bottom edge component of quick door
CN210918143U (en) Assembled engineering scaffold
KR20190046469A (en) Antiseismic supporting frame
CN214833847U (en) Curtain wall structure without upright posts
CN210439516U (en) Fast-assembling curtain wall structure suitable for public places
CN218028876U (en) Large storage tank combined internal hanging tripod
US20100212254A1 (en) Special bracket and method for installing a modular fireplace mantel
CN220490651U (en) Mortar workability tes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