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7809B1 - 예술작품 관련 음원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예술작품 관련 음원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7809B1
KR102527809B1 KR1020210034404A KR20210034404A KR102527809B1 KR 102527809 B1 KR102527809 B1 KR 102527809B1 KR 1020210034404 A KR1020210034404 A KR 1020210034404A KR 20210034404 A KR20210034404 A KR 20210034404A KR 102527809 B1 KR102527809 B1 KR 102527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work
art
information
ima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4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9746A (ko
Inventor
김지환
Original Assignee
김지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환 filed Critical 김지환
Priority to KR1020210034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7809B1/ko
Publication of KR20220129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9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7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7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1Region-based segmen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술작품 관련 음원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무선단말과 통신하는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사용자 무선단말의 카메라부를 통해 예술작품을 촬영한 사진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예술작품에 대응하는 작품 영역과 상기 예술작품과 연계된 주변 영역의 조합을 판독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카메라부를 통해 실제 전시된 예술작품을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인지 인증하고, 인증 시, 기 설정된 i(i≥1)개의 판독규칙을 근거로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예술작품과 관련된 j(j≥1)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판독결과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판독결과 정보에 매칭 또는 추천된 N(N≥1)개의 음원 데이터를 확인하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지정된 n(1≤n≤N)개의 음원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한다.

Description

예술작품 관련 음원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Sound Source Related to a Work of Art}
본 발명은 사용자 무선단말과 통신하는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사용자 무선단말의 카메라부를 통해 예술작품을 촬영한 사진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예술작품에 대응하는 작품 영역과 상기 예술작품과 연계된 주변 영역의 조합을 판독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카메라부를 통해 실제 전시된 예술작품을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인지 인증하고, 인증 시, 기 설정된 i(i≥1)개의 판독규칙을 근거로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예술작품과 관련된 j(j≥1)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판독결과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판독결과 정보에 매칭 또는 추천된 N(N≥1)개의 음원 데이터를 확인하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지정된 n(1≤n≤N)개의 음원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는 예술작품 관련 음원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음원 제공 사이트나 앱을 통해서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음원을 추천해주는 서비스가 이미 시행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자신의 취향이나 듣고 싶은 분야를 입력해야 한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81856호(2018년07월18일 공개)는 콘텐츠 분석 음악 추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입력한 자신 주위의 사진이나 동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그 분위기를 파악한 후, 그 분위기와 맞는 음악을 추천해주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선행문헌의 경우 사진이나 동영상의 색이나 사물을 인식하여 어울리는 분위기를 분석하고, 해당 분위기에 맞는 음악을 추천하는 것이었다.
즉 사물이 그림, 조각 등의 예술작품인 경우 해당 예술작품과 어울리는 음악을 추천해줄 수는 없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무선단말과 통신하는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사용자 무선단말의 카메라부를 통해 예술작품을 촬영한 사진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예술작품에 대응하는 작품 영역과 상기 예술작품과 연계된 주변 영역의 조합을 판독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카메라부를 통해 실제 전시된 예술작품을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인지 인증하는 제2 단계와 인증 시, 기 설정된 i(i≥1)개의 판독규칙을 근거로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예술작품과 관련된 j(j≥1)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판독결과 정보를 확인하는 제3 단계와 상기 판독결과 정보에 매칭 또는 추천된 N(N≥1)개의 음원 데이터를 확인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지정된 n(1≤n≤N)개의 음원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예술작품 관련 음원 제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예술작품 관련 음원 제공 방법은, 사용자 무선단말과 통신하는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사용자 무선단말의 카메라부를 통해 예술작품을 촬영한 사진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예술작품에 대응하는 작품 영역과 상기 예술작품과 연계된 주변 영역의 조합을 판독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카메라부를 통해 실제 전시된 예술작품을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인지 인증하는 제2 단계와 인증 시, 기 설정된 i(i≥1)개의 판독규칙을 근거로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예술작품과 관련된 j(j≥1)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판독결과 정보를 확인하는 제3 단계와 상기 판독결과 정보에 매칭 또는 추천된 N(N≥1)개의 음원 데이터를 확인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지정된 n(1≤n≤N)개의 음원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각을 통해 감상 가능한 시각적 창작물을 포함하고, 상기 음원 데이터는, 청각을 통해 감상 가능한 청각적 창작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예술작품 관련 음원 제공 방법은,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 내에 2D 기반 예술작품이 포함된 경우, 상기 이미지 데이터 내에 포함된 2D 기반 예술작품에 대응하는 작품 영역과 상기 2D 기반 예술작품의 액자에 대응하는 액자 영역의 조합을 판독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카메라부를 통해 실제 전시된 예술작품을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인지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응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 내에 3D 기반 예술작품이 포함된 경우, 상기 이미지 데이터 내에 포함된 3D 기반 예술작품에 대응하는 작품 영역과 상기 3D 기반 예술작품 주변의 배경 영역의 조합을 판독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카메라부를 통해 실제 전시된 3D 기반 예술작품을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인지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예술작품에 대응하는 작품 영역과 상기 이미지 데이터 내의 특정 방향을 지향하여 조사되는 핀조명 영역의 조합을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카메라부를 통해 실제 전시된 예술작품을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인지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3 단계는, 기 등록된 예술작품의 작품명과 예술가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의 조합을 판독 가능한 판독규칙을 통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예술작품의 작품명과 예술가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의 조합을 포함하는 판독결과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 등록된 예술작품의 작품명 정보와 예술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의 조합과 상기 예술작품의 작품명에 매칭 또는 추천된 s(s≥1)개의 음원 데이터를 식별하는 s개의 음원 정보를 매핑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예술작품의 작품명 정보와 예술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의 조합을 포함하는 판독결과 정보를 확인한 경우, 상기 판독결과 정보에 포함된 작품명 정보와 예술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의 조합에 매칭 또는 추천된 s개의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원 정보를 포함하는 N개의 음원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3 단계는, 기 등록된 예술작품을 식별하는 고유 식별 정보를 판독 가능한 판독규칙을 통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예술작품을 식별하는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판독결과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 등록된 예술작품을 식별하는 고유 식별 정보와 상기 예술작품에 매칭 또는 추천된 s(s≥1)개의 음원 데이터를 식별하는 s개의 음원 정보를 매핑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예술작품의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판독결과 정보를 확인한 경우, 상기 판독결과 정보에 포함된 고유 식별 정보에 매칭 또는 추천된 s개의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원 정보를 포함하는 N개의 음원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지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3 단계는, 음원 매칭 또는 추천을 위해 설정된 예술작품의 카테고리를 판독 가능한 판독규칙을 통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예술작품의 카테고리 정보를 포함하는 판독결과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예술작품 관련 음원 제공 방법은, 음원 매칭 또는 추천을 위해 예술작품에 설정된 c(c≥1)개의 카테고리 정보와 상기 c개의 카테고리에 매칭 또는 추천된 c개의 카테고리 별 s(s≥1)개의 음원 데이터를 식별하는 s개의 음원 정보를 매핑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예술작품의 카테고리 정보를 포함하는 판독결과 정보를 확인한 경우, 상기 판독결과 정보에 포함된 카테고리 정보에 매칭 또는 추천된 s개의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원 정보를 포함하는 N개의 음원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3 단계는, 음원 매칭 또는 추천을 위해 설정된 예술작품의 심미감을 판독 가능한 판독규칙을 통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예술작품의 심미감 정보를 포함하는 판독결과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예술작품 관련 음원 제공 방법은, 음원 매칭 또는 추천을 위해 예술작품에 설정된 e(e≥1)개의 심미감 정보와 상기 e개의 심미감의 종류와 정도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의 조합에 매칭 또는 추천된 e개의 심미감 별 s(s≥1)개의 음원 데이터를 식별하는 s개의 음원 정보를 매핑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예술작품의 심미감 정보를 포함하는 판독결과 정보를 확인한 경우, 상기 판독결과 정보에 포함된 심미감 정보에 매칭 또는 추천된 s개의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원 정보를 포함하는 N개의 음원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3 단계는, 음원 매칭 또는 추천을 위해 예술작품에 설정된 P(P≥1)개의 분석 항목을 판독 가능한 판독규칙을 통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예술작품과 관련된 P개의 분석 항목 별 분석 정보를 포함하는 판독결과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예술작품 관련 음원 제공 방법은, 음원 매칭 또는 추천을 위해 예술작품에 설정된 P개의 분석 항목 정보와 상기 P개의 분석 항목 별 분석 정보의 지정된 조합 별로 매칭 또는 추천된 s(s≥1)개의 음원 데이터를 식별하는 s개의 음원 정보를 매핑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예술작품의 P개의 분석 항목 별 분석 정보를 포함하는 판독결과 정보를 확인한 경우, 상기 판독결과 정보에 포함된 P개의 분석 항목 별 분석 정보의 지정된 조합에 매칭 또는 추천된 s개의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원 정보를 포함하는 N개의 음원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음원 데이터는, 지정된 미디어서버에 등록되어 스트리밍 가능한 음악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음원 정보는, 상기 미디어서버에 등록된 음악 데이터를 식별하는 음원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음악 데이터를 링크하는 음원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예술작품 관련 음원 제공 방법은, 음원 매칭 또는 추천을 위해 예술작품에 설정된 c(c≥1)개의 카테고리 정보와 상기 c개의 카테고리에 매칭 또는 추천된 c개의 카테고리 별 s(s≥1)개의 음원 데이터를 식별하는 s개의 음원 정보를 매핑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예술작품의 카테고리 정보를 포함하는 판독결과 정보를 확인한 경우, 상기 판독결과 정보에 포함된 카테고리 정보에 매칭 또는 추천된 s개의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원 정보를 포함하는 N개의 음원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는, 음원 매칭 또는 추천을 위해 설정된 예술작품의 심미감을 판독 가능한 판독규칙을 통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예술작품의 심미감 정보를 포함하는 판독결과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예술작품 관련 음원 제공 방법은, 음원 매칭 또는 추천을 위해 예술작품에 설정된 e(e≥1)개의 심미감 정보와 상기 e개의 심미감의 종류와 정도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의 조합에 매칭 또는 추천된 e개의 심미감 별 s(s≥1)개의 음원 데이터를 식별하는 s개의 음원 정보를 매핑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예술작품의 심미감 정보를 포함하는 판독결과 정보를 확인한 경우, 상기 판독결과 정보에 포함된 심미감 정보에 매칭 또는 추천된 s개의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원 정보를 포함하는 N개의 음원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는, 음원 매칭 또는 추천을 위해 예술작품에 설정된 P(P≥1)개의 분석 항목을 판독 가능한 판독규칙을 통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예술작품과 관련된 P개의 분석 항목 별 분석 정보를 포함하는 판독결과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예술작품 관련 음원 제공 방법은, 음원 매칭 또는 추천을 위해 예술작품에 설정된 P개의 분석 항목 정보와 상기 P개의 분석 항목 별 분석 정보의 지정된 조합 별로 매칭 또는 추천된 s(s≥1)개의 음원 데이터를 식별하는 s개의 음원 정보를 매핑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예술작품의 P개의 분석 항목 별 분석 정보를 포함하는 판독결과 정보를 확인한 경우, 상기 판독결과 정보에 포함된 P개의 분석 항목 별 분석 정보의 지정된 조합에 매칭 또는 추천된 s개의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원 정보를 포함하는 N개의 음원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P개의 분석 항목 별 분석 정보의 지정된 조합은, 상기 P개의 분석 항목 별 분석 정보 중 유효 범위에 속한 p(1≤p≤P)개의 분석 항목 별 분석 정보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음원 데이터는, 지정된 미디어서버에 등록되어 스트리밍 가능한 음악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음원 정보는, 상기 미디어서버에 등록된 음악 데이터를 식별하는 음원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음악 데이터를 링크하는 음원 링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n개의 음원 데이터는, 상기 N개의 음원 데이터 중 중복된 음원 데이터를 배제한 음원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예술작품 관련 음원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재생 대상 음원 데이터를 선별하기 위한 음원선별규칙을 설정받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n개의 음원 데이터는, 상기 N개의 음원 데이터 중 상기 음원선별규칙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n개의 음원 데이터는, 상기 N개의 음원 데이터 중 지정된 음원 카테고리에 속한 음원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n개의 음원 데이터를 스트리밍 가능한 미디어서버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의 앱으로 상기 n개의 음원 데이터를 스트리밍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예술작품 관련 음원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카메라부를 통해 상기 n개의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예술작품과 다른 예술작품이 촬영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다른 예술작품이 촬영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을 통한 상기 음원 데이터의 재생을 중지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예술작품 관련 음원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카메라부를 통해 상기 n개의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예술작품을 촬영한 위치에 대응하는 사진촬영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위치 정보를 추적하여 상기 사진촬영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지정된 위치 영역을 벗어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위치가 상기 위치 영역을 벗어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을 통한 상기 음원 데이터의 재생을 중지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예술작품을 감상할 때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예술작품을 촬영함으로써, 예술작품과 어울리는 음악을 추천받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예술작품 관련 음원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자가 제조형 헤어 용품 패키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기능성 조성물을 지정된 부피만큼 보관한 기능성 헤어 용품을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베이스 헤어 용품과 기능성 헤어 용품을 조합한 헤어 용품 패키지를 구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수 많은 실시예 중에 바람직한 합집합 형태의 실시예 예에 해당하며, 하기의 실시예에서 특정 구성(또는 단계)를 생략하는 실시예, 또는 특정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특정 구성(또는 단계)로 분할하는 실시예, 또는 둘 이상의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어느 하나의 구성(또는 단계)에 통합하는 실시예, 특정 구성(또는 단계)의 동작 순서를 교체하는 실시예 등은, 하기의 실시예에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따라서 하기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부분집합 또는 여집합에 해당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출원일을 소급받아 분할될 수 있음을 분명하게 명기하는 바이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예술작품 관련 음원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사용자 무선단말(125)의 카메라부(135)를 통해 예술작품을 촬영한 사진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가 수신되면, 기 설정된 판독규칙에 따라 상기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예술작품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판독결과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판독결과 정보에 매칭 또는 추천된 음원 데이터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25)의 앱(130)을 통해 재생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카메라부를 통해 예술작품을 촬영하고, 촬영한 사진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운영서버(100)로 전송하는 사용자 무선단말(125)과, 스트리밍 가능한 음악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운영서버(100)와 연동하여 지정된 사용자 무선단말(125)에 상기 음악 데이터를 스트리밍하는 미디어서버(140)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25) 및 미디어서버(140)와 연동하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25)로부터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기 설정된 판독규칙에 따라 판독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예술작품에 대한 판독결과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판독결과 정보에 매칭 또는 추천된 음원 데이터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25)의 앱(130)을 통해 재생하도록 하는 운영서버(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25)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25)에 구비된 카메라부(135)를 통해 예술작품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예술작품과 관련된 음원을 제공받고자 하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컴퓨터 장치의 총칭으로서, 무선망에 연결된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 등의 무선단말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25)은 카메라부(135)를 통해 예술작품을 촬영한 사진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전송하는 기능과, 상기 촬영된 사진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카메라부(135)를 통해 예술작품을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인지 인증하는 기능과, 상기 이미지 데이터 내에 포함된 액자에 대응하는 액자 영역을 인식하여 예술작품을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인지 인증하는 기능과, 상기 이미지 데이터 내에 포함된 2D 기반 예술작품에 대응하는 작품 영역을 인식하여 예술작품을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인지 인증하는 기능과, 상기 이미지 데이터 내의 배경에 적어도 일부 결합된 2D 기반 예술작품에 대응하는 작품 영역을 인식하여 예술작품을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인지 인증하는 기능과, 상기 이미지 데이터 내에 포함된 3D 기반 예술작품에 대응하는 작품 영역을 인식하여 예술작품을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인지 인증하는 기능과, 상기 이미지 데이터 내의 배경에 적어도 일부 결합된 3D 기반 예술작품에 대응하는 작품 영역을 인식하여 예술작품을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인지 인증하는 기능과, 상기 이미지 데이터 내의 특정 방향을 지향하여 조사되는 핀조명 영역을 인식하여 예술작품을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인지 인증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차를 수행하는 앱(Application)(130)이나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라도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25)을 주체로 하여 설명하는 기능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25)에 설치된 앱(130)을 통해 구현되는 것임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사용자 무선단말(125)로부터 예술작품을 촬영한 사진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이미지 수신부(105)와,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예술작품에 대한 판독결과 정보를 확인하는 판독결과 확인부(110)와, 상기 확인된 판독결과 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확인하는 음원 확인부(115)와, 상기 확인된 음원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재생하도록 하는 재생 처리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예술작품은 시각을 통해 감상 가능한 시각적 창작물을 포함하며, 상기 음원 데이터는 청각을 통해 감상 가능한 청각적 창작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원 데이터는 청각을 통해 감상 가능한 청각적 창작물에 대응하는 음악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음원 데이터는 단순히 예술작품을 설명하는 음성이 아닌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도면1의 실시예는 편의상 상기 운영서버(100)를 하나의 서버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운영서버(100)를 구현하는 실시예가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운영서버(100)는 둘 이상의 서버 조합 또는 서버 시스템 형태로 구현되거나 기 구축된 서버에 탑재되는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모든 실시예를 포함한다.
상기 이미지 수신부(105)는 사용자 무선단말(125)의 카메라부(135)를 통해 예술작품을 촬영한 사진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한다.
한편,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25)의 앱(130)은 상기 운영서버(100)로 상기 예술작품을 촬영한 사진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또는 전송하는 과정에서 상기 카메라부(135)를 통해 촬영된 사진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카메라부(135)를 통해 예술작품을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인지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25)의 앱(130)이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인증하는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데이터 내에 포함된 액자에 대응하는 액자 영역을 인식하여 예술작품을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인지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25)의 앱(130)이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인증하는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데이터 내에 포함된 2D 기반 예술작품(예컨대, 그림, 사진 등)에 대응하는 작품 영역을 인식하여 예술작품을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인지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25)의 앱(130)이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인증하는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데이터 내의 배경에 적어도 일부 결합된 2D 기반 예술작품(예컨대, 벽화, 페인팅 작품 등)에 대응하는 작품 영역을 인식하여 예술작품을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인지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25)의 앱(130)이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인증하는 제4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데이터 내에 포함된 3D 기반 예술작품(예컨대, 동상, 설치예술 등)에 대응하는 작품 영역을 인식하여 예술작품을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인지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25)의 앱(130)이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인증하는 제5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데이터 내의 배경에 적어도 일부 결합된 3D 기반 예술작품(예컨대, 벽에 설치한 설치예술, 부조 등)에 대응하는 작품 영역을 인식하여 예술작품을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인지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25)의 앱(130)이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인증하는 제6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데이터 내의 특정 방향을 지향하여 조사되는 핀조명 영역을 인식하여 예술작품을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인지 인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25)의 앱(130)에서 상기 카메라부(135)를 통해 예술작품을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인지를 인증하는 것 외에도, 상기 운영서버(100)의 이미지 수신부(105)를 통해서도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인증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수신부(105)가 상기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인증하는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 내에 포함된 액자에 대응하는 액자 영역을 인식하여 예술작품을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인지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수신부(105)가 상기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인증하는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 내에 포함된 2D 기반 예술작품(예컨대, 그림, 사진 등)에 대응하는 작품 영역을 인식하여 예술작품을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인지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수신부(105)가 상기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인증하는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 내의 배경에 적어도 일부 결합된 2D 기반 예술작품(예컨대, 벽화, 페인팅 작품 등)에 대응하는 작품 영역을 인식하여 예술작품을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인지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수신부(105)가 상기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인증하는 제4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 내에 포함된 3D 기반 예술작품(예컨대, 동상, 설치예술 등)에 대응하는 작품 영역을 인식하여 예술작품을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인지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수신부(105)가 상기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인증하는 제5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 내의 배경에 적어도 일부 결합된 3D 기반 예술작품(예컨대, 벽에 설치한 설치예술, 부조 등)에 대응하는 작품 영역을 인식하여 예술작품을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인지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수신부(105)가 상기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인증하는 제6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 내의 특정 방향을 지향하여 조사되는 핀조명 영역을 인식하여 예술작품을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인지 인증할 수 있다.
상기 판독결과 확인부(110)는, 상기 이미지 수신부(100)를 통해 이미지 데이터가 수신되면, 기 설정된 i(i≥1)개의 판독규칙에 따라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예술작품과 관련된 j(j≥1)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판독결과 정보를 확인한다.
상기 판독결과 정보를 확인하는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판독결과 확인부(110)는 기 등록된 예술작품의 작품명을 판독 가능한 판독규칙을 통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예술작품의 작품명 정보를 포함하는 판독결과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기 등록된 예술작품은, 국내외적으로 공지된 예술작품은 물론, 최근 특정 기간동안 특정 전시관에 전시된 예술작품을 설명하는 홍보자료에 포함된 예술작품도 기 등록한 경우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판독규칙은 기 등록된 예술작품 이미지에 포함된 관측된 특징을 학습하여 지정된 예술작품의 작품명 정보를 판별 가능한 인공지능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독결과 확인부(110)는 기 등록된 예술작품의 작품명 정보와 상기 예술작품의 작품명에 매칭 또는 추천된 s(s≥1)개의 음원 데이터를 식별하는 s개의 음원 정보를 매핑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판독결과 정보를 확인하는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판독결과 확인부(110)는 기 등록된 예술작품의 예술가를 판독 가능한 판독규칙을 통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예술작품의 예술가 정보를 포함하는 판독결과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판독규칙은 기 등록된 예술작품 이미지에 포함된 관측된 특징을 학습하여 지정된 예술작품의 예술가 정보를 판별 가능한 인공지능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독결과 확인부(110)는 기 등록된 예술작품의 예술가 정보와 상기 예술작품의 예술가에 매칭 또는 추천된 s(s≥1)개의 음원 데이터를 식별하는 s개의 음원 정보를 매핑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판독결과 정보를 확인하는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판독결과 확인부(110)는 기 등록된 예술작품을 식별하는 고유 식별 정보를 판독 가능한 판독규칙을 통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예술작품을 식별하는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판독결과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판독규칙은 기 등록된 예술작품 이미지에 포함된 관측된 특징을 학습하여 지정된 예술작품의 고유 식별 정보를 판별 가능한 인공지능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독결과 확인부(110)는 기 등록된 예술작품을 식별하는 고유 식별 정보와 상기 예술작품에 매칭 또는 추천된 s(s≥1)개의 음원 데이터를 식별하는 s개의 음원 정보를 매핑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판독결과 정보를 확인하는 제4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판독결과 확인부(110)는 음원 매칭 또는 추천을 위해 설정된 예술작품의 카테고리를 판독 가능한 판독규칙을 통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예술작품의 카테고리 정보를 포함하는 판독결과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판독규칙은 음원 매칭 또는 추천을 위해 설정된 c(c≥1)개의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예술작품 이미지에 포함된 관측된 특징을 학습하여 지정된 예술작품의 카테고리 정보를 판별 가능한 인공지능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독결과 확인부(110)는 음원 매칭 또는 추천을 위해 예술작품에 설정된 c(c≥1)개의 카테고리 정보와 상기 c개의 카테고리에 매칭 또는 추천된 c개의 카테고리 별 s(s≥1)개의 음원 데이터를 식별하는 s개의 음원 정보를 매핑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판독결과 정보를 확인하는 제5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판독결과 확인부(110)는 음원 매칭 또는 추천을 위해 설정된 예술작품의 심미감을 판독 가능한 판독규칙을 통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예술작품의 심미감 정보를 포함하는 판독결과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판독규칙은 음원 매칭 또는 추천을 위해 설정된 e(e≥1)개의 심미감에 대응하는 예술작품 이미지에 포함된 관측된 특징을 학습하여 지정된 예술작품의 심미감 정보를 판별 가능한 인공지능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독결과 확인부(110)는 음원 매칭 또는 추천을 위해 예술작품에 설정된 e(e≥1)개의 심미감 정보와 상기 e개의 심미감의 종류와 정도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의 조합에 매칭 또는 추천된 e개의 심미감 별 s(s≥1)개의 음원 데이터를 식별하는 s개의 음원 정보를 매핑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판독결과 정보를 확인하는 제6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판독결과 확인부(110)는 음원 매칭 또는 추천을 위해 예술작품에 설정된 P(P≥1)개의 분석 항목을 판독 가능한 판독규칙을 통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예술작품과 관련된 P개의 분석 항목 별 분석 정보를 포함하는 판독결과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판독규칙은 음원 매칭 또는 추천을 위해 설정된 P개의 분석 항목과 관련된 예술작품 이미지에 포함된 관측된 특징을 학습하여 지정된 예술작품에 대응하는 P개의 분석 항목 별 분석 정보를 판별 가능한 인공지능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독결과 확인부(110)는 음원 매칭 또는 추천을 위해 예술작품에 설정된 P개의 분석 항목 정보와 상기 P개의 분석 항목 별 분석 정보의 지정된 조합 별로 매칭 또는 추천된 s(s≥1)개의 음원 데이터를 식별하는 s개의 음원 정보를 매핑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P개의 분석 항목 별 분석 정보의 지정된 조합은 상기 P개의 분석 항목 별 분석 정보 중 유효 범위에 속한 p(1≤p≤P)개의 분석 항목 별 분석 정보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음원 데이터는, 지정된 미디어서버(140)에 등록되어 스트리밍 가능한 음악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음원 정보는 상기 미디어서버(140)에 등록된 음악 데이터를 식별하는 음원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음악 데이터를 링크하는 음원 링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판독결과 확인부(110)는 음원 매칭 또는 추천을 위해 예술작품에 설정된 c(c≥1)개의 카테고리 정보와 e(e≥1)개의 심미감 정보와 P(P≥1)개의 분석 항목 별 분석 정보 중 지정된 둘 이상 정보의 조합을 식별하는 식별 정보와 상기 지정된 둘 이상 조합 별로 매칭 또는 추천된 s(s≥1)개의 음원 데이터를 식별하는 s개의 음원 정보를 매핑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음원 확인부(115)는, 상기 판독결과 확인부(110)를 통해 상기 판독결과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확인된 판독결과 정보에 매칭 또는 추천된 N(N≥1)개의 음원 데이터를 확인한다.
상기 음원 데이터를 확인하는 제1 실시예에 따르면, 기 등록된 예술작품의 작품명 정보와 상기 예술작품의 작품명에 매칭 또는 추천된 s(s≥1)개의 음원 데이터를 식별하는 s개의 음원 정보를 매핑 저장한 경우에, 상기 판독결과 확인부(110)를 통해 상기 예술작품의 작품명 정보를 포함하는 판독결과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음원 확인부(115)는 상기 판독결과 정보에 포함된 작품명 정보에 매칭 또는 추천된 s개의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원 정보를 포함하는 N개의 음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음원 데이터를 확인하는 제2 실시예에 따르면, 기 등록된 예술작품의 예술가 정보와 상기 예술작품의 예술가에 매칭 또는 추천된 s(s≥1)개의 음원 데이터를 식별하는 s개의 음원 정보를 매핑 저장한 경우에, 상기 판독결과 확인부(110)를 통해 상기 예술작품의 예술가 정보를 포함하는 판독결과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음원 확인부(115)는 상기 판독결과 정보에 포함된 예술가 정보에 매칭 또는 추천된 s개의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원 정보를 포함하는 N개의 음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음원 데이터를 확인하는 제3 실시예에 따르면, 기 등록된 예술작품을 식별하는 고유 식별 정보와 상기 예술작품에 매칭 또는 추천된 s(s≥1)개의 음원 데이터를 식별하는 s개의 음원 정보를 매핑 저장한 경우, 상기 판독결과 확인부(110)를 통해 상기 예술작품의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판독결과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음원 확인부(115)는 상기 판독결과 정보에 포함된 고유 식별 정보에 매칭 또는 추천된 s개의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원 정보를 포함하는 N개의 음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음원 데이터를 확인하는 제4 실시예에 따르면, 음원 매칭 또는 추천을 위해 예술작품에 설정된 c(c≥1)개의 카테고리 정보와 상기 c개의 카테고리에 매칭 또는 추천된 c개의 카테고리 별 s(s≥1)개의 음원 데이터를 식별하는 s개의 음원 정보를 매핑 저장한 경우, 상기 판독결과 확인부(110)를 통해 상기 예술작품의 카테고리 정보를 포함하는 판독결과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음원 확인부(115)는 상기 판독결과 정보에 포함된 카테고리 정보에 매칭 또는 추천된 s개의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원 정보를 포함하는 N개의 음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음원 데이터를 확인하는 제5 실시예에 따르면, 음원 매칭 또는 추천을 위해 예술작품에 설정된 e(e≥1)개의 심미감 정보와 상기 e개의 심미감의 종류와 정도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의 조합에 매칭 또는 추천된 e개의 심미감 별 s(s≥1)개의 음원 데이터를 식별하는 s개의 음원 정보를 매핑 저장한 경우, 상기 판독결과 확인부(110)를 통해 상기 예술작품의 심미감 정보를 포함하는 판독결과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음원 확인부(115)는 상기 판독결과 정보에 포함된 심미감 정보에 매칭 또는 추천된 s개의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원 정보를 포함하는 N개의 음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음원 데이터를 확인하는 제6 실시예에 따르면, 음원 매칭 또는 추천을 위해 예술작품에 설정된 P개의 분석 항목 정보와 상기 P개의 분석 항목 별 분석 정보의 지정된 조합 별로 매칭 또는 추천된 s(s≥1)개의 음원 데이터를 식별하는 s개의 음원 정보를 매핑 저장한 경우, 상기 판독결과 확인부(110)를 통해 상기 예술작품의 P개의 분석 항목 별 분석 정보를 포함하는 판독결과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음원 확인부(115)는 상기 판독결과 정보에 포함된 P개의 분석 항목 별 분석 정보의 지정된 조합에 매칭 또는 추천된 s개의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원 정보를 포함하는 N개의 음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음원 데이터를 확인하는 제7 실시예에 따르면, 음원 매칭 또는 추천을 위해 예술작품에 설정된 c(c≥1)개의 카테고리 정보와 e(e≥1)개의 심미감 정보와 P(P≥1)개의 분석 항목 별 분석 정보 중 지정된 둘 이상 정보의 조합을 식별하는 식별 정보와 상기 지정된 둘 이상 조합 별로 매칭 또는 추천된 s(s≥1)개의 음원 데이터를 식별하는 s개의 음원 정보를 매핑 저장한 경우, 상기 판독결과 확인부(110)를 통해 상기 예술작품의 카테고리 정보와 심미감 정보와 P개의 분석 항목 별 분석 정보 중 지정된 둘 이상 정보를 포함하는 판독결과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음원 확인부(115)는 상기 판독결과 정보에 포함된 상기 지정된 둘 이상 정보의 조합에 매칭 또는 추천된 s개의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원 정보를 포함하는 N개의 음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재생 처리부(120)는, 상기 음원 확인부(115)를 통해 N개의 음원 데이터가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25)의 앱(130)을 통해 지정된 n(1≤n≤N)개의 음원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n개의 음원 데이터는 상기 N개의 음원 데이터 중 중복된 음원 데이터를 배제한 음원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재생 처리부(12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재생 대상 음원 데이터를 선별하기 위한 음원선별규칙을 설정받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n개의 음원 데이터는 상기 N개의 음원 데이터 중 상기 음원선별규칙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n개의 음원 데이터는 상기 N개의 음원 데이터 중 지정된 음원 카테고리에 속한 음원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N개의 음원 데이터 중 팝송 카테고리에 속한 음원, k-pop 카테고리에 속한 음원, 클래식 카테고리에 속한 음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음원 카테고리는 사용자 무선단말(125)의 앱(130)을 통해 설정되거나, 판독결과 정보에 포함된 j개의 정보(예컨대, 예술작품의 카테고리, 심미감 등)에 매칭되어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재생 처리부(120)는 상기 n개의 음원 데이터를 스트리밍 가능한 미디어서버(140)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125)의 앱(130)으로 상기 n개의 음원 데이터를 스트리밍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재생 처리부(12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25)의 카메라부(135)를 통해 상기 n개의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예술작품과 다른 예술작품이 촬영되는지 확인하고, 상기 카메라부(135)를 통해 다른 예술작품이 촬영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25)의 앱(130)을 통한 상기 음원 데이터의 재생을 중지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재생 처리부(12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25)의 카메라부(135)를 통해 상기 n개의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예술작품을 촬영한 위치에 대응하는 사진촬영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25)의 위치 정보를 추적하여 상기 사진촬영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지정된 위치 영역을 벗어나는지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25)의 위치가 상기 위치 영역을 벗어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25)의 앱(130)을 통한 상기 음원 데이터의 재생을 중지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용자 무선단말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사용자 무선단말(125)의 카메라부(135)를 통해 예술작품을 촬영한 사진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가 운영서버(100)로 전송되고, 상기 운영서버(100)에서 상기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25)의 카메라부(135)를 통해 예술작품을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인지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사용자 무선단말(125)의 카메라부(135)를 통해 예술작품을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가 생성되면(200),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25)은 상기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를 운영서버(100)로 전송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예술작품과 관련된 음원 데이터를 요청한다(205).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25)로부터 상기 예술작품을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인지를 수신하고(210), 상기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25)의 카메라부(135)를 통해 예술작품을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인지 인증한다(215).
상기 운영서버(100)가 상기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인증하는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 내에 포함된 액자에 대응하는 액자 영역을 인식하여 예술작품을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인지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100)가 상기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인증하는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 내에 포함된 2D 기반 예술작품(예컨대, 그림, 사진 등)에 대응하는 작품 영역을 인식하여 예술작품을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인지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100)가 상기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인증하는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 내의 배경에 적어도 일부 결합된 2D 기반 예술작품(예컨대, 벽화, 페인팅 작품 등)에 대응하는 작품 영역을 인식하여 예술작품을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인지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100)가 상기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인증하는 제4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 내에 포함된 3D 기반 예술작품(예컨대, 동상, 설치예술 등)에 대응하는 작품 영역을 인식하여 예술작품을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인지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100)가 상기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인증하는 제5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 내의 배경에 적어도 일부 결합된 3D 기반 예술작품(예컨대, 벽에 설치한 설치예술, 부조 등)에 대응하는 작품 영역을 인식하여 예술작품을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인지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100)가 상기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인증하는 제6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 내의 특정 방향을 지향하여 조사되는 핀조명 영역을 인식하여 예술작품을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인지 인증할 수 있다.
도면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용자 무선단말로부터 인증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사용자 무선단말(125)의 카메라부(135)를 통해 사진을 촬영하고,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25)에서 상기 촬영된 사진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예술작품을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인지 인증한 후, 상기 인증된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사용자 무선단말(125)에서 카메라부(135)를 통해 사진을 촬영하면(300),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25)은 상기 촬영된 사진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고(305), 상기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카메라부(135)를 통해 예술작품을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인지 인증한다(310).
그리고, 사용자 무선단말(125)은 상기 인증된 이미지 데이터를 운영서버(100)로 전송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예술작품과 관련된 음원 데이터를 요청한다(315).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25)로부터 예술작품과 관련된 음원 데이터의 제공이 가능한 인증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한다(320).
여기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25)의 앱(130)에서 상기 예술작품을 촬영한 사진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인증하는 실시예는 매우 다양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25)의 앱(130)이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인증하는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데이터 내에 포함된 액자에 대응하는 액자 영역을 인식하여 예술작품을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인지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25)의 앱(130)이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인증하는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데이터 내에 포함된 2D 기반 예술작품(예컨대, 그림, 사진 등)에 대응하는 작품 영역을 인식하여 예술작품을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인지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25)의 앱(130)이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인증하는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데이터 내의 배경에 적어도 일부 결합된 2D 기반 예술작품(예컨대, 벽화, 페인팅 작품 등)에 대응하는 작품 영역을 인식하여 예술작품을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인지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25)의 앱(130)이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인증하는 제4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데이터 내에 포함된 3D 기반 예술작품(예컨대, 동상, 설치예술 등)에 대응하는 작품 영역을 인식하여 예술작품을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인지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25)의 앱(130)이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인증하는 제5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데이터 내의 배경에 적어도 일부 결합된 3D 기반 예술작품(예컨대, 벽에 설치한 설치예술, 부조 등)에 대응하는 작품 영역을 인식하여 예술작품을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인지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25)의 앱(130)이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인증하는 제6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데이터 내의 특정 방향을 지향하여 조사되는 핀조명 영역을 인식하여 예술작품을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인지 인증할 수 있다.
도면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예술작품과 관련된 판독결과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상기 도면2 또는 도면3의 과정을 통해 사용자 무선단말(125)로부터 예술작품을 촬영한 사진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가 수신된 이후, 운영서버(100)에서 기 설정된 i(i≥1)개의 판독규칙에 따라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예술작품과 관련된 j(j≥1)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판독결과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판독결과 정보에 매칭 또는 추천된 N(N≥1)개의 음원 데이터를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2 또는 도면3의 과정 이후, 운영서버(100)에서 기 등록된 예술작품의 작품명 정보와 상기 예술작품의 작품명에 매칭 또는 추천된 s(s≥1)개의 음원 데이터를 식별하는 s개의 음원 정보를 매핑 저장한다(400).
그리고, 상기 운영서버(100)는 기 등록된 예술작품의 작품명을 판독 가능한 판독규칙을 통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판독하고(405),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예술작품의 작품명 정보를 포함하는 판독결과 정보를 확인한다(410).
여기서, 상기 기 등록된 예술작품은, 국내외적으로 공지된 예술작품은 물론, 최근 특정 기간동안 특정 전시관에 전시된 예술작품을 설명하는 홍보자료에 포함된 예술작품도 기 등록한 경우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판독규칙은 기 등록된 예술작품 이미지에 포함된 관측된 특징을 학습하여 지정된 예술작품의 작품명 정보를 판별 가능한 인공지능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판독결과 정보에 포함된 작품명 정보에 매칭 또는 추천된 s개의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원 정보를 포함하는 N개의 음원 정보를 확인한다(415).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기 등록된 예술작품의 예술가 정보와 상기 예술작품의 예술가에 매칭 또는 추천된 s(s≥1)개의 음원 데이터를 식별하는 s개의 음원 정보를 매핑 저장할 수 있으며, 기 등록된 예술작품의 예술가를 판독 가능한 판독규칙을 통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예술작품의 예술가 정보를 포함하는 판독결과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판독결과 정보에 포함된 예술가 정보에 매칭 또는 추천된 s개의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원 정보를 포함하는 N개의 음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판독규칙은 기 등록된 예술작품 이미지에 포함된 관측된 특징을 학습하여 지정된 예술작품의 예술가 정보를 판별 가능한 인공지능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기 등록된 예술작품을 식별하는 고유 식별 정보와 상기 예술작품에 매칭 또는 추천된 s(s≥1)개의 음원 데이터를 식별하는 s개의 음원 정보를 매핑 저장할 수 있으며, 기 등록된 예술작품을 식별하는 고유 식별 정보를 판독 가능한 판독규칙을 통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예술작품을 식별하는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판독결과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판독결과 정보에 포함된 고유 식별 정보에 매칭 또는 추천된 s개의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원 정보를 포함하는 N개의 음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판독규칙은 기 등록된 예술작품 이미지에 포함된 관측된 특징을 학습하여 지정된 예술작품의 고유 식별 정보를 판별 가능한 인공지능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음원 매칭 또는 추천을 위해 예술작품에 설정된 c(c≥1)개의 카테고리 정보와 상기 c개의 카테고리에 매칭 또는 추천된 c개의 카테고리 별 s(s≥1)개의 음원 데이터를 식별하는 s개의 음원 정보를 매핑 저장할 수 있으며, 음원 매칭 또는 추천을 위해 설정된 예술작품의 카테고리를 판독 가능한 판독규칙을 통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예술작품의 카테고리 정보를 포함하는 판독결과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판독결과 정보에 포함된 카테고리 정보에 매칭 또는 추천된 s개의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원 정보를 포함하는 N개의 음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판독규칙은 음원 매칭 또는 추천을 위해 설정된 c(c≥1)개의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예술작품 이미지에 포함된 관측된 특징을 학습하여 지정된 예술작품의 카테고리 정보를 판별 가능한 인공지능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음원 매칭 또는 추천을 위해 예술작품에 설정된 e(e≥1)개의 심미감 정보와 상기 e개의 심미감의 종류와 정도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의 조합에 매칭 또는 추천된 e개의 심미감 별 s(s≥1)개의 음원 데이터를 식별하는 s개의 음원 정보를 매핑 저장할 수 있으며, 음원 매칭 또는 추천을 위해 설정된 예술작품의 심미감을 판독 가능한 판독규칙을 통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예술작품의 심미감 정보를 포함하는 판독결과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판독결과 정보에 포함된 심미감 정보에 매칭 또는 추천된 s개의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원 정보를 포함하는 N개의 음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판독규칙은 음원 매칭 또는 추천을 위해 설정된 e(e≥1)개의 심미감에 대응하는 예술작품 이미지에 포함된 관측된 특징을 학습하여 지정된 예술작품의 심미감 정보를 판별 가능한 인공지능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음원 매칭 또는 추천을 위해 예술작품에 설정된 P개의 분석 항목 정보와 상기 P개의 분석 항목 별 분석 정보의 지정된 조합 별로 매칭 또는 추천된 s(s≥1)개의 음원 데이터를 식별하는 s개의 음원 정보를 매핑 저장할 수 있으며, 음원 매칭 또는 추천을 위해 예술작품에 설정된 P(P≥1)개의 분석 항목을 판독 가능한 판독규칙을 통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예술작품과 관련된 P개의 분석 항목 별 분석 정보를 포함하는 판독결과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판독결과 정보에 포함된 P개의 분석 항목 별 분석 정보의 지정된 조합에 매칭 또는 추천된 s개의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원 정보를 포함하는 N개의 음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판독규칙은 음원 매칭 또는 추천을 위해 설정된 P개의 분석 항목과 관련된 예술작품 이미지에 포함된 관측된 특징을 학습하여 지정된 예술작품에 대응하는 P개의 분석 항목 별 분석 정보를 판별 가능한 인공지능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P개의 분석 항목 별 분석 정보의 지정된 조합은 상기 P개의 분석 항목 별 분석 정보 중 유효 범위에 속한 p(1≤p≤P)개의 분석 항목 별 분석 정보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음원 데이터는, 지정된 미디어서버(140)에 등록되어 스트리밍 가능한 음악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음원 정보는 상기 미디어서버(140)에 등록된 음악 데이터를 식별하는 음원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음악 데이터를 링크하는 음원 링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음원 매칭 또는 추천을 위해 예술작품에 설정된 c(c≥1)개의 카테고리 정보와 e(e≥1)개의 심미감 정보와 P(P≥1)개의 분석 항목 별 분석 정보 중 지정된 둘 이상 정보의 조합을 식별하는 식별 정보와 상기 지정된 둘 이상 조합 별로 매칭 또는 추천된 s(s≥1)개의 음원 데이터를 식별하는 s개의 음원 정보를 매핑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음원 매칭 또는 추천을 위해 예술작품에 설정된 c(c≥1)개의 카테고리 정보와 e(e≥1)개의 심미감 정보와 P(P≥1)개의 분석 항목 별 분석 정보 중 지정된 둘 이상 정보의 조합을 식별하는 식별 정보와 상기 지정된 둘 이상 조합 별로 매칭 또는 추천된 s(s≥1)개의 음원 데이터를 식별하는 s개의 음원 정보를 매핑 저장한 경우, 상기 예술작품의 카테고리 정보와 심미감 정보와 P개의 분석 항목 별 분석 정보 중 지정된 둘 이상 정보를 포함하는 판독결과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판독결과 정보에 포함된 상기 지정된 둘 이상 정보의 조합에 매칭 또는 추천된 s개의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원 정보를 포함하는 N개의 음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면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용자 무선단말을 통해 촬영된 예술작품과 관련된 음원 데이터를 재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상기 도면4의 과정을 통해 사용자 무선단말(125)로부터 전송된 이미지 데이터를 판독한 판독결과 정보에 매칭 또는 추천된 N(N≥1)개의 음원 데이터가 확인된 이후, 운영서버(100)에서 사용자 무선단말(125)을 통해 지정된 n(1≤n≤N)개의 음원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5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4의 과정 이후, 운영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25)의 앱(130)을 통해 재생할 지정된 n개의 음원 데이터를 확인한다(500).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n개의 음원 데이터는 상기 N개의 음원 데이터 중 중복된 음원 데이터를 배제한 음원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25)의 앱(130)을 통해 재생 대상 음원 데이터를 선별하기 위한 음원선별규칙을 설정받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n개의 음원 데이터는 상기 N개의 음원 데이터 중 상기 음원선별규칙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n개의 음원 데이터는 상기 N개의 음원 데이터 중 지정된 음원 카테고리에 속한 음원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N개의 음원 데이터 중 팝송 카테고리에 속한 음원, k-pop 카테고리에 속한 음원, 클래식 카테고리에 속한 음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음원 카테고리는 사용자 무선단말(125)의 앱(130)을 통해 설정되거나, 판독결과 정보에 포함된 j개의 정보(예컨대, 예술작품의 카테고리, 심미감 등)에 매칭되어 설정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n개의 음원 데이터를 스트리밍 가능한 미디어서버(140)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125)의 앱(130)으로 상기 n개의 음원 데이터를 스트리밍하도록 처리한다(505).
그리고,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25)의 카메라부(135)를 통해 상기 n개의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예술작품과 다른 예술작품이 촬영되는지 확인하고(510), 상기 카메라부(135)를 통해 다른 예술작품이 촬영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25)의 앱(130)을 통한 상기 음원 데이터의 재생을 중지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한다(51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25)의 카메라부(135)를 통해 상기 n개의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예술작품을 촬영한 위치에 대응하는 사진촬영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25)의 위치 정보를 추적하여 상기 사진촬영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지정된 위치 영역을 벗어나는지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25)의 위치가 상기 위치 영역을 벗어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25)의 앱(130)을 통한 상기 음원 데이터의 재생을 중지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100 : 운영서버 105 : 이미지 수신부
110 : 판독결과 확인부 115 : 음원 확인부
120 : 재생 처리부 125 : 사용자 무선단말
130 : 앱 135 : 카메라부
140 : 미디어서버

Claims (17)

  1. 사용자 무선단말과 통신하는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무선단말의 카메라부를 통해 예술작품을 촬영한 사진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 단계;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예술작품에 대응하는 작품 영역과 상기 예술작품과 연계된 주변 영역의 조합을 판독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카메라부를 통해 실제 전시된 예술작품을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인지 인증하는 제2 단계;
    인증 시, 기 설정된 i(i≥1)개의 판독규칙을 근거로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예술작품과 관련된 j(j≥1)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판독결과 정보를 확인하는 제3 단계;
    상기 판독결과 정보에 매칭 또는 추천된 N(N≥1)개의 음원 데이터를 확인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지정된 n(1≤n≤N)개의 음원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예술작품 관련 음원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예술작품은, 시각을 통해 감상 가능한 시각적 창작물을 포함하고,
    상기 음원 데이터는, 청각을 통해 감상 가능한 청각적 창작물을 포함하는, 예술작품 관련 음원 제공 방법.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 내에 2D 기반 예술작품이 포함된 경우,
    상기 이미지 데이터 내에 포함된 2D 기반 예술작품에 대응하는 작품 영역과 상기 2D 기반 예술작품의 액자에 대응하는 액자 영역의 조합을 판독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카메라부를 통해 실제 전시된 예술작품을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인지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예술작품 관련 음원 제공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 내에 3D 기반 예술작품이 포함된 경우,
    상기 이미지 데이터 내에 포함된 3D 기반 예술작품에 대응하는 작품 영역과 상기 3D 기반 예술작품 주변의 배경 영역의 조합을 판독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카메라부를 통해 실제 전시된 3D 기반 예술작품을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인지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예술작품 관련 음원 제공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예술작품에 대응하는 작품 영역과 상기 이미지 데이터 내의 특정 방향을 지향하여 조사되는 핀조명 영역의 조합을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카메라부를 통해 실제 전시된 예술작품을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인지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예술작품 관련 음원 제공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기 등록된 예술작품의 작품명과 예술가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의 조합을 판독 가능한 판독규칙을 통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예술작품의 작품명과 예술가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의 조합을 포함하는 판독결과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예술작품 관련 음원 제공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기 등록된 예술작품의 작품명 정보와 예술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의 조합과 상기 예술작품의 작품명에 매칭 또는 추천된 s(s≥1)개의 음원 데이터를 식별하는 s개의 음원 정보를 매핑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예술작품의 작품명 정보와 예술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의 조합을 포함하는 판독결과 정보를 확인한 경우,
    상기 판독결과 정보에 포함된 작품명 정보와 예술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의 조합에 매칭 또는 추천된 s개의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원 정보를 포함하는 N개의 음원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예술작품 관련 음원 제공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기 등록된 예술작품을 식별하는 고유 식별 정보를 판독 가능한 판독규칙을 통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예술작품을 식별하는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판독결과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예술작품 관련 음원 제공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기 등록된 예술작품을 식별하는 고유 식별 정보와 상기 예술작품에 매칭 또는 추천된 s(s≥1)개의 음원 데이터를 식별하는 s개의 음원 정보를 매핑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예술작품의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판독결과 정보를 확인한 경우,
    상기 판독결과 정보에 포함된 고유 식별 정보에 매칭 또는 추천된 s개의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원 정보를 포함하는 N개의 음원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예술작품 관련 음원 제공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음원 매칭 또는 추천을 위해 설정된 예술작품의 카테고리를 판독 가능한 판독규칙을 통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예술작품의 카테고리 정보를 포함하는 판독결과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예술작품 관련 음원 제공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음원 매칭 또는 추천을 위해 예술작품에 설정된 c(c≥1)개의 카테고리 정보와 상기 c개의 카테고리에 매칭 또는 추천된 c개의 카테고리 별 s(s≥1)개의 음원 데이터를 식별하는 s개의 음원 정보를 매핑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예술작품의 카테고리 정보를 포함하는 판독결과 정보를 확인한 경우,
    상기 판독결과 정보에 포함된 카테고리 정보에 매칭 또는 추천된 s개의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원 정보를 포함하는 N개의 음원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예술작품 관련 음원 제공 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음원 매칭 또는 추천을 위해 설정된 예술작품의 심미감을 판독 가능한 판독규칙을 통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예술작품의 심미감 정보를 포함하는 판독결과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예술작품 관련 음원 제공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음원 매칭 또는 추천을 위해 예술작품에 설정된 e(e≥1)개의 심미감 정보와 상기 e개의 심미감의 종류와 정도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의 조합에 매칭 또는 추천된 e개의 심미감 별 s(s≥1)개의 음원 데이터를 식별하는 s개의 음원 정보를 매핑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예술작품의 심미감 정보를 포함하는 판독결과 정보를 확인한 경우,
    상기 판독결과 정보에 포함된 심미감 정보에 매칭 또는 추천된 s개의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원 정보를 포함하는 N개의 음원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예술작품 관련 음원 제공 방법.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음원 매칭 또는 추천을 위해 예술작품에 설정된 P(P≥1)개의 분석 항목을 판독 가능한 판독규칙을 통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예술작품과 관련된 P개의 분석 항목 별 분석 정보를 포함하는 판독결과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예술작품 관련 음원 제공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음원 매칭 또는 추천을 위해 예술작품에 설정된 P개의 분석 항목 정보와 상기 P개의 분석 항목 별 분석 정보의 지정된 조합 별로 매칭 또는 추천된 s(s≥1)개의 음원 데이터를 식별하는 s개의 음원 정보를 매핑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예술작품의 P개의 분석 항목 별 분석 정보를 포함하는 판독결과 정보를 확인한 경우,
    상기 판독결과 정보에 포함된 P개의 분석 항목 별 분석 정보의 지정된 조합에 매칭 또는 추천된 s개의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원 정보를 포함하는 N개의 음원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예술작품 관련 음원 제공 방법.
  17. 제 8항 또는 제 10항 또는 제 12항 또는 제 14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데이터는, 지정된 미디어서버에 등록되어 스트리밍 가능한 음악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음원 정보는, 상기 미디어서버에 등록된 음악 데이터를 식별하는 음원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음악 데이터를 링크하는 음원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예술작품 관련 음원 제공 방법.
KR1020210034404A 2021-03-17 2021-03-17 예술작품 관련 음원 제공 방법 KR102527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404A KR102527809B1 (ko) 2021-03-17 2021-03-17 예술작품 관련 음원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404A KR102527809B1 (ko) 2021-03-17 2021-03-17 예술작품 관련 음원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9746A KR20220129746A (ko) 2022-09-26
KR102527809B1 true KR102527809B1 (ko) 2023-05-02

Family

ID=83452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4404A KR102527809B1 (ko) 2021-03-17 2021-03-17 예술작품 관련 음원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7809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1856A (ko) * 2017-01-08 2018-07-18 장택민 콘텐츠 분석 음악 추천 시스템
KR20200030252A (ko) * 2018-09-12 2020-03-20 (주)버즈아트 예술 작품 제공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9746A (ko) 202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83862B2 (en) Routing messages by message parameter
US10514876B2 (en) Gallery of messages from individuals with a shared interest
US9854219B2 (en) Gallery of videos set to an audio time line
US9479914B2 (en) Intuitive computing methods and systems
US201803678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on of picture objects
US860595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meta data of content
CN110286773A (zh) 基于增强现实的信息提供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9928657B2 (en) Museum augmented reality program
CN114692802A (zh) 一种利用二维码标签作为元宇宙生态入口的方法及系统
WO2022151667A1 (zh) 资源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及程序产品
KR102527809B1 (ko) 예술작품 관련 음원 제공 방법
KR102483609B1 (ko) 꽃예술품 정보 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30103116A1 (en) Content utilization platform system and method of producing augmented reality (ar)-based image output
US20220335145A1 (en) Object management system, object management method, and object management program
EP4252125A1 (fr) Dispositif et procédé d'authentification d'un utilisateur d'un casque de réalité virtuel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