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7630B1 - 간 절제를 위한 가이드 장치 및 가이드 장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간 절제를 위한 가이드 장치 및 가이드 장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7630B1
KR102527630B1 KR1020210091687A KR20210091687A KR102527630B1 KR 102527630 B1 KR102527630 B1 KR 102527630B1 KR 1020210091687 A KR1020210091687 A KR 1020210091687A KR 20210091687 A KR20210091687 A KR 20210091687A KR 102527630 B1 KR102527630 B1 KR 102527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r
anchor
guide device
guide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1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1090A (ko
Inventor
유진수
조재원
최규성
김종만
김미승
Original Assignee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filed Critical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to KR1020210091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7630B1/ko
Priority to PCT/KR2022/009147 priority patent/WO2023287063A1/ko
Publication of KR20230011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1090A/ko
Priority to KR1020230053303A priority patent/KR1026016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7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7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5Excision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526Methods of 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2017/320052Guides for cutting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1Computer-aided simulation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5Modelling of the patient, e.g. for ligaments or b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7Visualisation of planned trajectories or target reg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8Computer aided selection or customisation of medical implants or cutting gu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obotic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 절제를 위한 가이드 장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 방법은 자기 공명 영상을 통해 간의 형상에 대한 정보를 얻는 단계,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간을 3D 모델링하는 단계, 상기 3D 모델링된 간에 절제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절제 영역을 기초로 가이드 장치를 3D 모델링하는 단계 및 상기 3D 모델링된 가이드 장치를 기초로 가이드 장치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간 절제를 위한 가이드 장치 및 가이드 장치 제조 방법{A GUIDE DEVICE FOR LIVER RESE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GUIDE DEVICE}
본 발명은 가이드 장치 및 가이드 장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 절제 수술을 위한 가이드 장치 및 가이드 장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암은 비정상적인 세포 성장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질병으로 양성 종양과 악성 종양으로 구분된다. 양성 종양은 비교적 성장 속도가 느리며 전이되지 않는 반면, 악성 종양은 양성 종양에 비해 성장 속도가 빠르며 신체의 다른 장기로 전이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암이라고 부르는 질병은 악성 종양을 의미한다.
한편, 암은 그 발생 부위에 따라 여러 종류의 암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그 중 간암은 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간세포에서 기원하는 악성 종양을 의미하며, 그 치료 방법으로는 대표적으로 간 절제를 통한 수술적인 치료가 있다.
간암의 수술적 치료를 위해 간을 절제하는 경우, 환자마다 간의 모양이 상이하므로 환자의 해부학적 정보들을 정확하게 파악한 후에 수술을 시행해야 한다.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 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종래에는 간암 등의 이유로 간 절제술을 시행할 때, CT나 MRI의 영상 분석을 통해 절제 영역을 확정하였지만, 영상을 통해 절제 영역을 확정하여도 계획된 간의 절제 영역에 따라 간을 절제하는데 어려움이 있었고, 이에 따라 간 절제는 수술을 집도하는 집도의의 경험과 실력에 의존할 수 밖에 없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간 절제를 위한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는 가이드 장치 및 가이드 장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자기 공명 영상을 통해 간의 형상에 대한 정보를 얻는 단계,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간을 3D 모델링하는 단계, 상기 3D 모델링된 간에 절제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절제 영역을 기초로 가이드 장치를 3D 모델링하는 단계, 상기 3D 모델링된 가이드 장치를 기초로 가이드 장치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간 절제를 위한 가이드 장치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장치를 3D 모델링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된 절제 영역을 따라 소정의 두께를 갖는 가이드 와이어를 3D 모델링하는 단계 및 상기 가이드 와이어에 연결되고 간의 일측에 지지될 수 있는 앵커를 3D 모델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장치를 3D 모델링하는 단계는 상기 앵커가 간의 일측에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3D 모델링된 간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앵커를 3D 모델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앵커를 3D 모델링하는 단계는 상기 3D 모델링된 간의 형상에 기초하여 상기 앵커가 지지되는 간의 영역을 특정하되, 상기 지지 영역은 주변부보다 강성이 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간 절제를 위한 가이드 장치로서, 간의 일측에 지지되어 상기 가이드 장치를 지지하는 앵커, 상기 앵커에 연결되며 간 절제 부위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와이어를 포함하는 간 절제를 위한 가이드 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앵커는 간의 일측에 지지될 수 있도록 간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와이어는 상기 앵커의 일측에 일단이 연결되고 제1 방향으로 간의 형상을 따라 연장되는 제1 가이드 와이어, 상기 앵커의 타측에 일단이 연결되고 제2 방향으로 간의 형상을 따라 연장되는 제2 가이드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와이어의 타단과 상기 제2 가이드 와이어의 타단은 서로 결착가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와이어는 내부에서 길이 전체에 걸쳐 연장되는 관통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간 절제를 위한 가이드 장치로서, 간의 일측에 지지되어 상기 가이드 장치를 지지하고,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앵커, 상기 복수 개의 앵커 각각에서 복수 개의 방향으로 각각 간의 형상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와이어 각각의 끝단은 인접하게 배치되는 간 절제를 위한 가이드 장치를 개시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은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 절제를 위한 가이드 장치 제조 방법은 간의 형상을 3D 모델링하고, 절제 영역을 3D 모델링된 간에 표시하며, 3D 모델링된 절제 영역을 기초로 절제 가이드 장치를 제조하여 미리 계획된 절제 영역에 따라 간을 절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 절제를 위한 가이드 장치는 앵커가 간의 일측에 지지되고 간의 형상을 따라 가이드 와이어가 배치될 수 있어 간 절제를 위한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 절제를 위한 가이드 장치는 가이드 와이어에 절제를 위한 관통홈을 더 포함하여, 관통홈을 따라 절제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 절제를 위한 가이드 장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간 형상을 3D 모델링하는 단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절제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이드 장치를 3D 모델링하는 단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 절제를 위한 가이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통홈을 나타내며, 도 5의 Ⅵ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 절제를 위한 가이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의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예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다 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서는 동일한 식별부호를 사용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 절제를 위한 가이드 장치 제조 방법(S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 절제를 위한 가이드 장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간 형상을 3D 모델링하는 단계를 나타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절제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를 나타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이드 장치를 3D 모델링하는 단계를 나타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 절제를 위한 가이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 절제를 위한 가이드 장치 제조 방법(S10)은 자기 공명 영상을 통해 간의 형상에 대한 정보를 얻는 단계(S100),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간을 3D 모델링하는 단계(S200), 상기 3D 모델링된 간에 절제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S300), 상기 표시된 절제 영역을 기초로 가이드 장치를 3D 모델링하는 단계(S400), 상기 3D 모델링된 가이드 장치를 기초로 가이드 장치를 생성하는 단계(S5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자기 공명 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을 통해 간의 형상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때 간의 형상에 대한 정보는 간의 외부 형상, 간으로 유입되는 문맥의 모양, 간에서 하대정맥으로 혈액을 내보내는 간정맥의 모양, 간암 등 병변의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간의 형상에 대한 정보는 자기 공명 영상을 복수 회 촬영하여 획득할 수 있다.
다음, 간의 형상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간을 3D 모델링할 수 있다. 이때 간의 3D 모델은 간의 형상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간의 외부 형상, 간으로 유입되는 문맥의 모양, 간에서 하대정맥으로 혈액을 내보내는 간정맥의 모양, 간암 등 병변의 위치 등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간의 3D 모델링은 3D 모델링을 위한 소프트웨어, 예를 들어 머티리얼라이즈(Materialise) 사의 미믹스(Mimics) 또는 쓰리매틱(3-matic) 등의 소프트웨어를 통해 간을 3D 모델링할 수 있다. 그러나 간의 3D 모델링은 특정 소프트웨어를 통해 구현되는 것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안에서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간을 3D 모델링한 후 3D 모델링된 간에 절제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3D 모델링된 간에 전술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절제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간의 절제 영역은 간의 병변 영역을 포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간의 절제 영역은, 상기 간의 절제 영역을 기초로 모델링되는 가이드 장치(10)가 간에 지지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간의 절제 영역은 후술할 가이드 장치(10)의 앵커(200)가 형성되는 지점을 지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절제 영역은 간의 병변 영역을 포함하여 간의 형상을 따라 간의 외부표면에 폐곡선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절제 영역은 간의 형상을 따라 절제 라인이 표시되고, 절제될 영역, 구체적으로 절제 라인 내부의 영역은 주변 영역과 구별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제 라인 내부의 영역은 주변 영역과 반전된 색상으로 표시되거나, 도트(dot)가 표시된 영역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에서 절제될 영역을 3D 모델링 상에서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절제 라인을 표시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3D 모델링된 간에 표시된 절제 영역을 기초로 가이드 장치(10)를 3D 모델링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가이드 장치(10)를 3D 모델링하는 단계는, 표시된 절제 영역을 따라 소정의 두께를 갖는 가이드 와이어(100)를 3D 모델링하는 단계 및 가이드 와이어(100)에 연결되고 간의 일측에 지지될 수 있는 앵커(200)를 3D 모델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와이어(100)는 가이드 와이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집도의가 간을 절제할 수 있도록 절제도구(예를 들어, 메스)를 가이드할 수 있는 부재이다.
일 실시예로 가이드 와이어(100)는 표시된 절제 영역의 절제 라인을 따라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3D 모델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와이어(100)는 표시된 절제 라인을 중심으로 하여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시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튜브 또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지 않는 와이어 형상으로 3D 모델링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이때 가이드 와이어(100)는 일측에서 분리 및 결착이 가능하도록 3D 모델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와이어(100)는 후술할 앵커(200)로부터 일방향 및 이와 다른 타방향으로 연장되고, 앵커(200)와 대향하는 측에서 서로 만나도록 3D 모델링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와이어(100)의 경로를 형성하는 중심 라인은 전술한 절제 라인인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앵커(200)는 간의 일측에 지지되어, 앵커(200) 및 가이드 와이어(100)가 간에 밀착되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부재이다. 앵커(200)에는 가이드 와이어(100)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앵커(200)는 전술한 절제 라인이 지나가는 일 영역에서 3D 모델링될 수 있다. 즉, 앵커(200)는 절제 라인을 기초로 형성되는 가이드 와이어(100)에 연결되도록 3D 모델링될 수 있다. 또한 앵커(200)는 간의 일측에 지지되어 가이드 장치(10)를 유지할 수 있는 위치에 3D 모델링될 수 있다. 간은 그 구조적 특성상 모양이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앵커(200)는 간에서 모양의 변형이 없는 해부학적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 앵커(200)는 간의 담낭와(Gallbladder fossa)에 배치되도록 3D 모델링될 수 있다. 또는 앵커(200)는 담낭와와 하대정맥으로 유입되는 중간정맥과 우간정맥 사이에 배치되도록 3D 모델링될 수 있다. 또는 앵커(200)는 간좌외측엽과 간좌내측엽의 사이에 위치한 원형인대(ligamentum teres)에 배치되도록 3D 모델링될 수 있다. 앵커(200)의 위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대적으로 간의 모양 변형이 없는 해부학적 위치, 예를 들어 간의 6분엽과 7분엽이 하대정맥과 만나는 영역 등 다양한 영역이 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앵커(200)는 전술한 간의 모양의 변형이 없는 특정 위치에 배치되며, 이때 앵커(200)는 그 위치의 3D 모델링된 간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3D 모델링될 수 있다. 즉, 앵커(200)의 형상은 간의 형상에 따라 핏(fit)하게 배치되도록 3D 모델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앵커(200)의 내측면은 간의 외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앵커(200)가 간에 안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장치 제조 방법은, 앵커(200)가 간의 모양의 변형이 없는 특정 위치에 배치되고, 그 위치의 3D 모델링된 간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3D 모델링됨에 따라, 가이드 장치(10)가 간에 단단히 지지되고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로 앵커(200)는, 3D 모델링된 간의 형상에 기초하여 앵커(200)가 지지되는 간의 영역이 특정되고, 간의 주변 영역보다 상기 지지 영역의 강성이 큰 위치에 3D 모델링될 수 있다. 앵커(200)가 간의 주변 영역보다 강성이 큰 지지 영역에 배치되도록 3D 모델링됨으로써, 가이드 장치(10)는 앵커(200)를 통해 간으로부터 이탈되거나 고정위치가 변경되지 않고 간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3D 모델링된 가이드 장치(10)를 기초로 가이드 장치(10)를 생성할 수 있다. 즉, 가이드 장치(10)는 3D 모델링된 가이드 장치(10)와 실질적으로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가이드 장치(10)는 3D 모델링된 가이드 장치(10)를 기초로 3D 프린터를 통해 출력되어 제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의 형상에 따라 굴곡이 많은 가이드 장치(10)를 간편한 방법으로 3D 모델링된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가이드 장치(10)의 제조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가이드 장치(10)는 3D 모델링된 형상을 기초로 사출성형 또는 압축성형 등의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가이드 장치(10)는 연성재질을 포함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연성재질은 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장치(10)는 표면 및 내부가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되어, 간에 무리를 주거나 상처를 입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장치 제조 방법(S10)은 간의 형상을 3D 모델링하고, 절제 영역을 3D 모델링된 간에 표시하며, 3D 모델링된 절제 영역을 기초로 절제 가이드 장치(10)를 제조하여 미리 계획된 절제 영역에 따라 간을 절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통홈을 나타내며, 도 5의 Ⅵ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 내지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 절제를 위한 가이드 장치(1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장치(10)에 대해 설명한다. 가이드 장치(10)는 전술한 바와 같은 가이드 장치(10)의 제조 방법(S10)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기타 다른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가이드 장치(10)의 제조 방법(S10)으로 제조되는 가이드 장치(10)를 중심으로 설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장치(10)는 간의 일측에 지지되어 가이드 장치(10)를 지지하는 앵커(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앵커(200)는 간에서 모양의 변형이 없는 해부학적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앵커(200)는 간의 담낭와(Gallbladder fossa), 담낭와와 하대정맥으로 유입되는 중간정맥과 우간정맥 사이, 간좌외측엽과 간좌내측엽의 사이에 위치한 원형인대(ligamentum teres)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앵커(200)는 상기 간의 위치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장치(10)는 앵커(200)를 통해 간의 형상에 따라 핏(fit)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이때 앵커(200)는 간에서 주변 영역보다 강성이 큰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앵커(200)가 간의 주변 영역보다 강성이 큰 지지 영역에 배치됨으로써, 가이드 장치(10)는 앵커(200)를 통해 간으로부터 이탈되거나 고정위치가 변경되지 않고 간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장치(10)는 앵커(200)에 연결되며 간 절제 부위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와이어(10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와이어(100)는 가이드 와이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집도의가 간을 절제할 수 있도록 절제도구(예를 들어, 메스)를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 와이어(100)는 앵커(200)에 연결되는 루프(loop)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와이어(100)의 루프 형태는 간의 형상에 따라 미리 계획된 간의 절제 라인과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집도의는 가이드 와이어(100)가 형성하는 루프의 내측 둘레 또는 외측 둘레를 따라 절제도구로 간을 절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미리 설정된 경로로 형성되는 가이드 와이어(100)를 따라 간을 절제할 수 있어, 계획한 간 절제 부위를 절제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가이드 와이어(100)의 직경은 5mm 이하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개복 수술이 아닌 복강경 수술과 같이 복부에 작은 절개창을 내어 수술하는 경우 가이드 와이어(100)를 복부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가이드 와이어(100)는 제1 가이드 와이어(110) 및 제2 가이드 와이어(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와이어(110)는 앵커(200)의 일측에 연결되고, 제1 방향으로 간의 형상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 가이드 와이어(120)는 앵커(200)의 타측에 연결되고, 제2 방향으로 간의 형상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1 가이드 와이어(110)와 제2 가이드 와이어(120)는 앵커(200)의 동일 지점에 중첩되어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 가이드 와이어(110)와 제2 가이드 와이어(120)는 앵커(200)의 인접한 두 지점에서 앵커(200)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와이어(110)와 제2 가이드 와이어(120)는 앵커(200)에 대향하는 측에서 서로 결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가이드 와이어(110)와 제2 가이드 와이어(120)는 끼움 결합으로 결착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와이어(110)와 제2 가이드(120) 중 어느 하나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제1 가이드 와이어(110)와 제12 가이드(120) 중 다른 하나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가이드 와이어(110)와 제2 가이드 와이어(120)는 폐곡선을 형성하고, 집도의는 상기 폐곡선을 따라 간을 절제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와이어(100)는 내부에 길이 전체에 걸쳐 연장되는 관통홈(13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통홈(130)은 제1 가이드 와이어(110) 및 제2 가이드 와이어(120) 각각의 양 단부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고 길이 방향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홈(130)이 제1 가이드 와이어(110) 및 제2 가이드 와이어(120) 각각의 양 단부에서 이격되는 것은 제1 가이드 와이어(110) 및 제2 가이드 와이어(120) 각각이 관통홈(130)으로 인해 분리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간 절제를 위해 절제도구(예를 들어, 메스)가 관통홈(130)에 삽입되어, 집도의는 관통홈(130)을 따라 간을 절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와이어(100)의 관통홈(130)이 가이드하는 절제 라인을 따라 보다 정확하게 간을 절제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 절제를 위한 가이드 장치(10)는 복수 개의 앵커(200) 및 복수 개의 가이드 와이어(1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내용은 생략하고,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가이드 장치(10)는 간의 일측에 지지되어 가이드 장치(10)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앵커(200)를 포함할 수 있다. 앵커(200)의 개수는 간에 지지되어야 하는 지점의 개수를 고려하여 이에 대응하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간에 지지되어야 하는 지점이 하나일지라도, 가이드 장치(10)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앵커(200)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간의 일 지점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장치(10)는 복수 개의 앵커(200) 각각에서 복수 개의 방향으로 각각 간의 형상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 개 의 가이드 와이어(10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앵커(200)와 하나의 가이드 와이어(100)가 일 세트를 이루어, 복수 세트로 가이드 장치(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 세트에서 가이드 와이어(100) 각각의 끝단은 인접하게, 구체적으로 서로 결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결착 방식은 전술한 바와 같이 끼움 결합 방식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결착 방식이 채택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앵커(200)에 및 이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 와이어(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2개의 앵커(200) 및 2개의 가이드 와이어(10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2개 이상의 앵커(200) 및 가이드 와이어(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이드 장치(10)가 2개의 앵커(200) 및 2개의 가이드 와이어(100)를 포함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앵커(200)는 제1 앵커(210)와 제2 앵커(220)를 포함하고, 가이드 와이어(100)는 제1 가이드 와이어(110)와 제2 가이드 와이어(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 8과 같이 제1 앵커(210)와 제2 앵커(220)는 간의 동일한 위치에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로 제1 앵커(210)와 제2 앵커(220)는 겹쳐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앵커(210)와 제2 앵커(220) 중 어느 하나의 일면에 다른 하나가 배치되어 중첩될 수 있다.
이때 제1 가이드 와이어(110) 및 제2 가이드 와이어(120)는 각각 제1 앵커(210) 및 제2 앵커(220)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제1 앵커(210)와 제2 앵커(220)가 겹쳐지는 것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1 가이드 와이어(110) 및 제2 가이드 와이어(120) 각각의 끝단은 인접하게, 구체적으로 서로 결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가이드 와이어(110)와 제2 가이드 와이어(120) 각각의 끝단은 반드시 결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절제 부위를 절제하기 위해 가이드할 수 있을 정도로 인접하면 충분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앵커(200) 및 복수 개의 가이드 와이어(100)를 포함하는 가이드 장치(10)는 복강경 수술과 같이 복부에 작은 절개창을 내어 수술하는 경우, 가이드 장치(10)를 복수 개로 분할하여 복부에 삽입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간에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절제 부위가 여러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는 경우에, 복수 개의 절제 영역을 각각 절제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초하여 정해져야 한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기술 내용은 일 실시예들로서, 실시예의 기술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발명의 설명을 간결하고 명확하게 기재하기 위해, 종래의 일반적인 기술과 구성에 대한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는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상기" 또는 이와 유사한 지시어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 가이드 장치
100: 가이드 와이어
110: 제1 가이드 와이어
120: 제2 가이드 와이어
130: 관통홈
200: 앵커
210: 제1 앵커
220: 제2 앵커

Claims (10)

  1. 프로세서에 의해 자기 공명 영상을 통해 간의 형상에 대한 정보를 얻는 단계;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간을 3D 모델링하는 단계;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3D 모델링된 간에 절제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표시된 절제 영역을 기초로 가이드 장치를 3D 모델링하는 단계; 및
    3D 프린터에 의해 상기 3D 모델링된 가이드 장치를 기초로 가이드 장치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가이드 장치를 3D 모델링하는 단계는
    간의 일측에 끼워지도록 지지되도록 앵커를 상기 표시된 절제 영역이 지나가는 일 영역 상에 3D 모델링하는 단계; 및
    상기 앵커의 일측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앵커로부터 상기 표시된 절제 영역을 따라 소정의 두께를 갖는 제1 가이드 와이어 및 상기 앵커의 타측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앵커로부터 상기 표시된 절제 영역을 따라 소정의 두께를 갖는 제2 가이드 와이어를 포함하는 루프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를 3D 모델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간 절제를 위한 가이드 장치 제조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가이드 장치를 3D 모델링하는 단계는
    상기 앵커가 간의 일측에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3D 모델링된 간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앵커를 3D 모델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간 절제를 위한 가이드 장치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앵커를 3D 모델링하는 단계는
    상기 3D 모델링된 간의 형상에 기초하여 주변부보다 강성이 큰 간의 일 영역에 상기 앵커가 지지되도록 상기 앵커가 지지되는 간의 영역을 특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간 절제를 위한 가이드 장치 제조 방법.
  5. 간 절제를 위한 가이드 장치로서,
    간의 일측에 끼워지도록 지지되어 상기 가이드 장치를 지지하는 앵커;
    상기 앵커에 연결되며 간 절제 부위를 가이드하는 루프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와이어는
    상기 앵커의 일측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앵커로부터 제1 방향으로 간의 형상을 따라 연장되는 제1 가이드 와이어;
    상기 앵커의 타측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앵커로부터 제2 방향으로 간의 형상을 따라 연장되는 제2 가이드 와이어;를 포함하는, 간 절제를 위한 가이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는 간의 일측에 지지될 수 있도록 간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간 절제를 위한 가이드 장치.
  7. 삭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와이어의 타단과 상기 제2 가이드 와이어의 타단은 서로 결착가능한, 간 절제를 위한 가이드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와이어는 내부에서 길이 전체에 걸쳐 연장되는 관통홈을 포함하는, 간 절제를 위한 가이드 장치.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간 절제를 위한 가이드 장치로서,
    간의 일측에 지지되어 상기 가이드 장치를 지지하고,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앵커;
    상기 복수 개의 앵커 각각에서 복수 개의 방향으로 각각 간의 형상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와이어 각각의 끝단은 인접하게 배치되는, 간 절제를 위한 가이드 장치.
KR1020210091687A 2021-07-13 2021-07-13 간 절제를 위한 가이드 장치 및 가이드 장치 제조 방법 KR102527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1687A KR102527630B1 (ko) 2021-07-13 2021-07-13 간 절제를 위한 가이드 장치 및 가이드 장치 제조 방법
PCT/KR2022/009147 WO2023287063A1 (ko) 2021-07-13 2022-06-27 간 절제를 위한 가이드 장치 및 가이드 장치 제조 방법
KR1020230053303A KR102601690B1 (ko) 2021-07-13 2023-04-24 간 절제를 위한 가이드 장치 및 가이드 장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1687A KR102527630B1 (ko) 2021-07-13 2021-07-13 간 절제를 위한 가이드 장치 및 가이드 장치 제조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3303A Division KR102601690B1 (ko) 2021-07-13 2023-04-24 간 절제를 위한 가이드 장치 및 가이드 장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1090A KR20230011090A (ko) 2023-01-20
KR102527630B1 true KR102527630B1 (ko) 2023-05-03

Family

ID=8491954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1687A KR102527630B1 (ko) 2021-07-13 2021-07-13 간 절제를 위한 가이드 장치 및 가이드 장치 제조 방법
KR1020230053303A KR102601690B1 (ko) 2021-07-13 2023-04-24 간 절제를 위한 가이드 장치 및 가이드 장치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3303A KR102601690B1 (ko) 2021-07-13 2023-04-24 간 절제를 위한 가이드 장치 및 가이드 장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527630B1 (ko)
WO (1) WO202328706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7373B1 (ko) * 2015-09-25 2017-03-20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술 가이드 제조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수술 가이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85214B2 (ja) * 2013-05-08 2015-09-2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型、手術支援セット、手術支援装置、手術支援方法および手術支援プログラム
KR101763519B1 (ko) * 2016-03-29 2017-07-31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하악상행지 골절단술 가이드 및 그 제작 방법
KR101994956B1 (ko) * 2017-11-03 2019-07-02 애니메디솔루션 주식회사 하악골 절제 수술용 가이드
BE1026129B1 (fr) * 2018-03-23 2019-10-21 Centre Hospitalier Universitaire Saint Pierre Procédé de fabrication d'implants prothétiques et kit de pièces obtenu par le procédé
KR102434951B1 (ko) * 2020-04-29 2022-08-25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절제 수술용 가이드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7373B1 (ko) * 2015-09-25 2017-03-20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술 가이드 제조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수술 가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1090A (ko) 2023-01-20
KR102601690B1 (ko) 2023-11-13
KR20230058364A (ko) 2023-05-03
WO2023287063A1 (ko) 2023-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L2018529B1 (en) Trajectory alignment system and methods
Ribas et al. Surgical anatomy of microneurosurgical sulcal key points
US2015033539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sing images
JP6867486B2 (ja) オーダーメイド手術ガイド、オーダーメイド手術ガイド生成方法及び生成プログラム
US20180140223A1 (en) Calibration apparatus for a medical tool
JP2014522274A (ja) 誘導脳刺激機能データを脳のライブ画像上に重ねる方法及びシステム
JP2010508110A (ja) フィデューシャルマーカの配置
JP7462051B2 (ja) 湾曲器具によるプランニング及び可視化の改良、並びにその湾曲器具
CN113693725B (zh) 进针路径规划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1167260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depth information
US1172372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rgical guide, and surgical guide
JP2023514834A (ja) 脳の解剖学的構造のマルチモーダル3d分析を介した脳内のプローブの計画立案および設置を最適化するための方法
EP3808305A1 (en) Reference navigation equipment in robotic surgery assisted by stereotaxic navigation of the organs and soft parts of a patient's pelvic area
Koutsarnakis et al. The superior frontal transsulcal approach to the anterior ventricular system: exploring the sulcal and subcortical anatomy using anatomic dissections and diffusion tensor imaging tractography
KR102527630B1 (ko) 간 절제를 위한 가이드 장치 및 가이드 장치 제조 방법
US11622699B2 (en) Trajectory alignment system and methods
US10828114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depth information
JP6198973B2 (ja) 治療計画システム
KR102434951B1 (ko) 절제 수술용 가이드 및 그 제조 방법
CN114743639A (zh) 一种基于人工智能技术的垂体瘤手术规划系统
JP4397177B2 (ja) 臓器特定領域抽出支援装置及び方法
KR102415254B1 (ko) 3d 프린팅을 이용한 복강 구조물 제조방법
KR102051035B1 (ko) 맞춤형 수술가이드, 및 맞춤형 수술가이드 생성방법 및 생성프로그램
JP6773354B1 (ja) 脊椎固定用スクリューガイド装置
JP2001293090A (ja) 多目的チュー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