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7284B1 - LED bulb for car - Google Patents
LED bulb for ca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27284B1 KR102527284B1 KR1020210020036A KR20210020036A KR102527284B1 KR 102527284 B1 KR102527284 B1 KR 102527284B1 KR 1020210020036 A KR1020210020036 A KR 1020210020036A KR 20210020036 A KR20210020036 A KR 20210020036A KR 102527284 B1 KR102527284 B1 KR 1025272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bstrate
- cover lens
- length
- lens
- cove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842962 Apoda limacod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679 sold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96—Mounting of devices using LE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LED 전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빛의 확산구조와 조립방식을 개선한 차량용 LED 전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차량용 LED 전구는 LED칩이 실장된 기판과, LED칩을 감싸도록 형성된 렌즈부를 구비하며, 렌즈부의 내부에는 LED칩으로부터 발생된 빛을 사방으로 확산시킬 수 있도록 돔 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되고, 렌즈부의 외측면은 빛이 산란되어 나갈 수 있도록 경사각이 다른 다수의 파셋면들로 이루어진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LED bulb,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LED bulb with improved light diffusion structure and assembly method.
The vehicle LED bulb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strate on which an LED chip is mounted and a lens unit formed to surround the LED chip, and a dome-shaped concave portion is formed inside the lens unit to diffuse light generated from the LED chip in all directions. , The outer surface of the lens un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facets having different inclination angles so that light can be scatter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LED 전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빛의 확산구조와 조립방식을 개선한 차량용 LED 전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LED bulb,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LED bulb with improved light diffusion structure and assembly method.
통상 차량의 실내에는 그 실내를 조명하기 위한 실내등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실내등의 내부에는 램프가 삽입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In general, an interior light for illuminating the interior of a vehicle is provided, and a lamp is generally inserted into the interior light.
실내등용 램프는 페스툰 램프(Festoon Lamp)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 램프는 양측의 금속재 통전부와 내부 필라멘트에 의한 발광부 및 그 발광부를 보호하는 원통형 투광관으로 구성된다. 통전부를 통해 전원이 인가되면 필라멘트의 발광에 의해 실내를 조명한다. It is common to use a festoon lamp as a lamp for indoor lighting, and this lamp is composed of a metal conducting part on both sides, a light emitting part by an internal filament, and a cylindrical light transmitting tube that protects the light emitting part. When power is applied through the conductive part, the filament emits light to illuminate the room.
그러나 통상의 실내등용 램프는 필라멘트 구조를 채택하고 있으므로 조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고, 물리적인 충격이나 전기적인 충격에 의해 필라멘트의 단선이 빈번하게 발생하므로 수명이 짧아 수시로 램프를 교체해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이에 따른 경제적인 손실 또한 사용자에게 부담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8704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최근에는 LED 램프가 사용되고 있다. However, since conventional lamps for indoor lighting adopt a filament structure, there is a problem of low illuminance, and filament disconnection occurs frequently due to physical or electrical shock, so the lifespan is short and the lamp must be replaced frequently. ,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the economic loss caused by this is also a burden to the user. Because of these problems,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87043, LED lamps have recently been used.
엘이디 램프는 LED소자에 의해 반영구적인 사용수명을 유지할 수 있으며, 다양한 발광색을 갖는 LED소자의 특성에 의해 사용자의 취향이나 자동차의 특성에 따라 실내 조명색의 구분 표현이 가능한 것이며, 저항체 및 다이오드에 의해 그 LED소자의 안정된 발광을 가능케 하는 효과가 있다.The LED lamp can maintain a semi-permanent service life by the LED element, and it is possible to differentiate and express the indoor lighting color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r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D element having various light emitting colors, and it is possible to express it by the resistor and the diode. It has the effect of enabling stable light emission of the LED element.
그러나 종래의 실내등용 엘이디 램프는 양쪽 통전부 사이에 원통형 투광관이 고정되고, 그 원통형 투광관 내부에 회로기판이 삽입되어 엑폭시로 고정된 것이므로 사용하는 부품 수가 많고, 조립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원통형 투광관의 내부에 회로기판을 삽입하고, 이 회로기판의 양단부에서 연장시킨 전원선을 양쪽의 통전부 내측에 납땜하는 작업이 까다로울 뿐 아니라, 이 양쪽 통전부를 원통형 투광관에 부착하는 작업이 까다로워서 조립 생산성이 더욱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LED lamp for indoor lighting, a cylindrical light-emitting tube is fixed between both conducting parts, and a circuit board is inserted into the cylindrical light-emitting tube and fixed with epoxy, so there are many parts used and assembly productivity is low. .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insert a circuit board inside the cylindrical floodlight tube and solder the power lines extended from both ends of the circuit board to the inside of the current-carrying part on both sides, as well as attaching the current-carrying part to the cylindrical light-transmitting tube. This is difficult,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assembly productivity is further reduced.
더욱이 차량에 따라 실내등에 사용되는 램프의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종래의 자동차 실내등용 엘이디 램프는 각종 차량에 적용하기 위해서 서로 다른 치수를 갖는 여러 종류로 제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Furthermore, since the size of the lamp used for interior lighting varies depending on the vehicle, conventional LED lamps for interior lighting of automobiles have a problem in that they must be manufactured in several types having different dimensions in order to be applied to various vehicles.
또한, 종래의 램프는 렌즈의 표면이 단순히 둥근 곡면으로만 형성되어 빛의 확산효과가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lamp has a problem in that the light diffusion effect is low because the surface of the lens is simply formed with a rounded surface.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빛의 확산구조와 조립방식을 개선한 차량용 LED 전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reat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LED bulb with improved light diffusion structure and assembly method.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LED 전구는 LED칩이 실장된 기판과; 상기 LED칩을 감싸도록 형성된 렌즈부;를 구비하며, 상기 렌즈부의 내부에는 상기 LED칩으로부터 발생된 빛을 사방으로 확산시킬 수 있도록 돔 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렌즈부의 외측면은 빛이 산란되어 나갈 수 있도록 경사각이 다른 다수의 파셋면들로 이루어진다. A vehicle LED bulb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substrate on which an LED chip is mounted; A lens unit formed to surround the LED chip; a dome-shaped concave portion is formed inside the lens unit to diffuse light generated from the LED chip in all directions, and an outer surface of the lens unit scatters light. It consists of a plurality of facets with different inclination angles so that they can be formed.
상기 렌즈부는 상기 기판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 1커버렌즈와, 상기 기판의 타면에 배치되며 상기 기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커버렌즈와 마주하는 제 2커버렌즈와, 상기 제 1 및 제 2커버렌즈를 상기 기판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구비한다. The lens unit includes a first cover len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a second cover lens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facing the first cover lens with the substrate interposed there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vers It is provided with a coupling means for coupling the lens to the substrate in a detachable manner.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 1커버렌즈에서 돌출되어 상기 기판에 형성된 제 1삽입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 2커버렌즈에 결합되는 제 1결합리브와, 상기 제 2커버렌즈에 돌출되어 상기 기판에 형성된 제 2삽입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 1커버렌즈에 결합되는 제 2결합리브를 구비한다. The coupling means includes a first coupling rib protruding from the first cover lens and passing through a first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substrate and coupled to the second cover lens, and a first coupling rib protruding from the second cover lens and formed in the substrate. A second coupling rib coupled to the first cover lens through the second insertion hole is provided.
상기 제 1커버렌즈의 양측에는 일정길이 연장된 제 1길이가변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2커버렌즈의 양측에는 일정길이 연장되어 상기 기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길이가변부와 마주하는 제 2길이가변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길이가변부는 절단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외측면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컷팅그루브들이 형성되며, 상기 기판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소켓의 내측으로 상기 제 1 및 제 2길이가변부가 삽입되어 상기 제 1 및 제 2길이가변부는 상기 기판에 고정된다. A first length-changing portion extending a certain length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cover lens, and a second length-changing portion extending a certain length and facing the first length-changing portion with the substrate therebetween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cover lens. Each length-variable part is formed, and a plurality of cutting grooves are formed on an outer surface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the length of the first and second length-variable parts can be adjusted by cutting them. The first and second length-changing parts are inserted and the first and second length-changing parts are fixed to the substrat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렌즈부의 내부에 돔 형상의 오목부를 형성하고 렌즈부의 외측면에는 경사각이 다른 다수의 파셋면들을 형성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빛을 사방으로 확산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iciently diffuse light in all directions by forming a dome-shaped recess inside the lens unit and forming a plurality of facets having different inclination angle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ens unit.
또한, 본 발명은 렌즈부를 2개의 부분으로 분할하여 끼워맞춰서 결합하는 방식이므로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in which the lens unit is divided into two parts and fitted and combined, assemblability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은 기판의 길이에 따라 렌즈부의 길이를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한 종류의 렌즈부만으로도 서로 다른 치수의 기판에 사용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easily change the length of the lens unit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substrate, so that only one type of lens unit can be used for substrates having different dimens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차량용 LED 전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차량용 LED 전구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차량용 LED 전구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LED bulb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1,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LED bulb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4;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5;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LED bulb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7 .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차량용 LED 전구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a vehicle LED bulb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차량용 LED 전구(10)는 LED칩(25)이 실장된 기판(20)과, LED칩(25)을 감싸도록 형성된 렌즈부(30)를 구비한다. 1 to 3, the
기판(20)은 통상적인 PCB(printed circuit board)로 이루어진다. 기판(20)에는 각종 소자들 및 전원단자가 마련된다. The
LED칩(25)은 기판(20)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실장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기판(20)의 양면에 LED칩(25)이 각각 실장되어 있다. One or
렌즈부(30)는 기판(20)에 결합되어 LED칩(25)으로부터 발생된 빛을 확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렌즈부(30)는 효율적으로 빛을 사방으로 확산시킬 수 있으면서도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The
렌즈부(30)는 기판(20)의 전체를 덮거나, 기판(20)의 일부를 덮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렌즈부(30)는 기판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다. The
도시된 렌즈부(30)는 기판(20)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 1커버렌즈(31)와, 기판(20)의 타면에 배치되며 기판(20)을 사이에 두고 제 1커버렌즈(31)와 마주하는 제 2커버렌즈(35)와, 제 1 및 제 2커버렌즈(31)(35)를 기판(20)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구비한다. The illustrated
제 1커버렌즈(31)는 기판(20)의 일면에 위치하여 제 2커버렌즈(35)와 결합된다. 제 1커버렌즈(31) 및 제 2커버렌즈(35)는 반구형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 1커버렌즈(31)와 제 2커버렌즈(35)가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구형을 이룬다. The
기판(20)의 일면에 실장된 LED칩(25)은 제 1커버렌즈(31)의 내측 중앙에 위치한다. LED칩(25)으로부터 발생된 빛을 사방으로 확산시킬 수 있도록 제 1커버렌즈(31)의 내측에는 오목부(33)가 형성된다. LED칩(25)과 대응되는 위치에 오목부(33)가 마련된다. 오목부(33)는 돔 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진다. The
제 1커버렌즈(31)의 외측면에는 빛이 산란되어 나갈 수 있도록 다수의 파셋면들(32)이 형성된다. 파셋면(facet)은 사각형, 삼각형, 사다리꼴, 타원형 등 다양한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파셋면(32)은 모양에 따라 경사각과 면적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이와 같이 경사각이 다른 다수의 파셋면(32)이 제 1커버렌즈(31)의 외측면에 형성됨으로써 제 1커버렌즈(31)의 외측면은 굴곡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 1커버렌즈(31)의 외측면 형상에 의해 제 1커버렌즈(31)를 통과하는 빛을 효과적으로 산란시킬 수 있다. As such, a plurality of
제 2커버렌즈(35)는 기판(20)의 타면에 위치하여 제 1커버렌즈(31)와 결합된다. 기판(20)의 타면에 실장된 LED칩(25)은 제 2커버렌즈(35)의 내측 중앙에 위치한다. 제 2커버렌즈(35)는 제 1커버렌즈(31)와 대칭구조를 이룬다. 따라서 제 2커버렌즈(35) 역시 내측에 돔 형상의 오목부(37)가 형성되고, 제 2커버렌즈(35)의 외측면은 경사각이 다른 다수의 파셋면들(36)로 이루어진다. The
결합수단은 제 1 및 제 2커버렌즈(31)(35)를 기판(20)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coupling means serves to couple the first and
결합수단은 제 1커버렌즈(31)에서 돌출되어 기판(20)에 형성된 제 1삽입홀(21)을 통과하여 제 2커버렌즈(35)에 결합되는 제 1결합리브(41)와, 제 2커버렌즈(35)에 돌출되어 기판(20)에 형성된 제 2삽입홀(22)을 통과하여 제 1커버렌즈(31)에 결합되는 제 2결합리브(42)를 구비한다. The coupling means includes a
제 1결합리브(41)는 제 1커버렌즈(31)의 하부에서 기판(20) 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 1결합리브(41)는 제 2커버렌즈(35)에 형성된 제 2결합홀(45)에 끼워진다. The
제 2결합리브(42)는 제 2커버렌즈(35)의 상부에서 기판(20) 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 2결합리브(42)는 제 1커버렌즈(31)에 형성된 제 1결합홀(47)에 끼워진다. The
한편,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결합수단은 제 1커버렌즈(31)에 형성된 제 1보조리브(43)와, 제 2커버렌즈(35)에 형성된 제 2보조리브(4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Meanwhile, in order to increase coupling force, the coupling means may further include a first
제 1보조리브(43)는 기판(20)에 일측에 형성된 제 1지지홈(23)을 통과하여 제 2커버렌즈(35)에 결합된다. 제 2커버렌즈(35)에는 제 1보조리브(43)가 끼워지는 제 2보조홀(46)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 2보조리브(44)는 기판(20)의 일측에 형성된 제 2지지홈(24)을 통과하여 제 1커버렌즈(31)에 결합된다. 제 1커버렌즈(31)에는 제 2보조리브(44)가 끼워지는 제 1보조홀(48)이 형성된다. The first
위와 같이 본 발명은 렌즈부를 2개의 부분으로 분할하여 나누고 결합수단에 의해 서로 끼워맞춰서 결합하는 방식이므로 조립이 매우 간편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the lens unit into two parts, and the assembly is very simple because it is a method of fitting and combining each other by a coupling means.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차량용 LED 전구를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하고 있다. An LED bulb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S. 4 to 6 .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차량용 LED 전구(50)는 LED칩(65)이 실장된 기판(60)과, LED칩(65)을 감싸도록 형성된 렌즈부(70)를 구비한다. 4 to 6, the
기판(60)은 통상적인 PCB(printed circuit board)로 이루어진다. 기판(60)에는 각종 소자들 및 전원단자가 마련된다. The
LED칩(65)은 기판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실장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기판의 일면에 2개의 LED칩(65)이 실장되어 있다. 이와 달리 하나 또는 3개 이상의 LED칩이 실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One or
렌즈부(70)는 기판(60)의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도시된 렌즈부(70)는 기판(60)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 1커버렌즈(71)와, 기판(60)의 타면에 배치되며 기판(60)을 사이에 두고 제 1커버렌즈(71)와 마주하는 제 2커버렌즈(75)와, 제 1 및 제 2커버렌즈(71)(75)를 기판(60)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구비한다. The
제 1커버렌즈(71)는 기판(60)의 일면에 위치하여 제 2커버렌즈(75)와 결합된다. 제 1커버렌즈(71) 및 제 2커버렌즈(75)는 반원통형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 1커버렌즈(71)와 제 2커버렌즈(75)가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구형을 이룬다. The
기판(60)의 일면에 실장된 LED칩(65)은 제 1커버렌즈(71)의 내측에 위치한다. LED칩(65)으로부터 발생된 빛을 사방으로 확산시킬 수 있도록 제 1커버렌즈(71)의 내측에는 오목부(73)가 형성된다. 오목부(73)는 LED칩(65)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다. LED칩(65)이 2개이므로 오목부(73) 역시 제 1커버렌즈(71)에 나란하게 2개가 형성된다. 오목부(73)는 돔 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진다. The
제 1커버렌즈(71)의 외측면에는 빛이 산란되어 나갈 수 있도록 다수의 파셋면들(72)이 형성된다. 파셋면(facet)은 사각형, 삼각형, 사다리꼴, 타원형 등 다양한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파셋면(72)은 모양에 따라 경사각과 면적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facet surfaces 72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이와 같이 경사각이 다른 다수의 파셋면(72)이 제 1커버렌즈(71)의 외측면에 형성됨으로써 제 1커버렌즈(71)의 외측면은 굴곡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 1커버렌즈(71)의 외측면 형상에 의해 제 1커버렌즈(71)를 통과하는 빛을 효과적으로 산란시킬 수 있다. As such, a plurality of
제 2커버렌즈(75)는 기판(60)의 타면에 위치하여 제 1커버렌즈(71)와 결합된다. 제 2커버렌즈(75)의 외형은 제 1커버렌즈(71)와 동일하도록 제 2커버렌즈(75)의 외측면에도 다수의 파셋면들(76)이 형성된다. The
결합수단은 제 1 및 제 2커버렌즈(71)(75)를 기판(60)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coupling means serves to couple the first and
결합수단은 제 1커버렌즈(71)에서 돌출되어 기판(60)에 형성된 제 1삽입홀(67)을 통과하여 제 2커버렌즈(75)에 결합되는 제 1결합리브(81)와, 제 2커버렌즈(75)에 돌출되어 기판(60)에 형성된 제 2삽입홀(68)을 통과하여 제 1커버렌즈(71)에 결합되는 제 2결합리브(85)를 구비한다. The coupling means includes a
기판(60)의 양측에는 각각 소켓(89)이 장착된다. 기판(60)의 단부는 소켓(89)에 형성된 노출홀을 통해 소켓(89)의 외부로 노출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기판(60)과 소켓(89)은 솔더링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됨은 물론이다.
소켓(89)의 내측으로 제 1 및 제 2커버렌즈(71)(75)의 양측이 삽입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커버렌즈(71)(75)의 양끝은 소켓(89)에 의해 기판(60)에 고정된다. Both sides of the first an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LED전구를 도 7 및 도 8에 도시하고 있다. A vehicle LED bulb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S. 7 and 8 .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도시된 본 발명의 차량용 LED 전구는 제 1커버렌즈(71)의 양측에는 제 1길이가변부(91)가 각각 형성되고, 제 2커버렌즈(75)의 양측에는 제 2길이가변부(95)가 각각 형성된다는 점에서 도 4와 차이가 있다. Referring to FIGS. 7 and 8 , in the illustrated LED bulb for vehicles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length-changing
제 1길이가변부(91)는 제 1커버렌즈(71)의 양측에는 일정길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 2길이가변부(95) 역시 제 2커버렌즈(75)의 양측에는 일정길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 2길이가변부(95)는 기판(60)을 사이에 두고 제 1길이가변부(91)와 마주하도록 위치한다.The first length-changing
기판(60)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소켓(89)의 내측으로 제 1 및 제 2길이가변부(91)(95)가 삽입되어 제 1 및 제 2길이가변부(91)(95)는 기판(60)에 고정된다.The first and second length-changing
제 1 및 제 2길이가변부(91)(95)는 절단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외측면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컷팅그루브들(93)(97)이 각각 형성된다. A plurality of cutting
컷팅그루브(93)(97)는 제 1 및 제 2길이가변부(91)(95)의 외측면에서 일정한 깊이로 인입된 형성된 V자 모양의 홈으로 이루어진다. 컷팅그루브(93)(97)는 제 1 및 제 2길이가변부(91)(95)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The cutting
이와 같이 제 1 및 제 2길이가변부(91)(95)에는 다수의 컷팅그루브(93)(97)가 형성됨으로써 제 1 및 제 2길이가변부(91)(95)는 적절한 길이로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 절단은 절단도구를 이용하여 잘라내거나 꺽어서 부러뜨릴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길이가변부(91)(95)의 길이를 기판(60)의 길이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으므로 한 종류의 렌즈부로 서로 다른 치수의 기판에 적용이 가능하다. As such, a plurality of cutting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but this is on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attached claims.
10: 차량용 LED 전구 20: 기판
25: LED칩 30: 렌즈부
31: 제 1커버렌즈 35: 제 2커버렌즈10: vehicle LED bulb 20: substrate
25: LED chip 30: lens unit
31: first cover lens 35: second cover lens
Claims (4)
상기 LED칩을 감싸도록 형성된 렌즈부;를 구비하며,
상기 렌즈부의 내부에는 상기 LED칩으로부터 발생된 빛을 사방으로 확산시킬 수 있도록 상기 LED칩과 대응되는 위치에 돔 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렌즈부의 외측면은 빛이 산란되어 나갈 수 있도록 경사각이 다른 다수의 파셋면들로 이루어져 상기 렌즈부의 외측면은 굴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렌즈부는 상기 기판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 1커버렌즈와, 상기 기판의 타면에 배치되며 상기 기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커버렌즈와 마주하는 제 2커버렌즈와, 상기 제 1 및 제 2커버렌즈를 상기 기판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 1커버렌즈의 양측에는 일정길이 연장된 제 1길이가변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2커버렌즈의 양측에는 일정길이 연장되어 상기 기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길이가변부와 마주하는 제 2길이가변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길이가변부는 절단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외측면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컷팅그루브들이 형성되며,
상기 기판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소켓의 내측으로 상기 제 1 및 제 2길이가변부가 삽입되어 상기 제 1 및 제 2길이가변부는 상기 기판에 고정되고,
상기 컷팅그루브들은 상기 제 1 및 제 2길이가변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LED 전구. a substrate on which an LED chip is mounted;
It has a; lens unit formed to surround the LED chip,
Inside the lens unit, a dome-shaped concave portion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ED chip to diffuse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ED chip in all directions,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lens unit has an inclination angle so that light can be scattered. The outer surface of the lens unit is formed of a plurality of other facets to be curved,
The lens unit includes a first cover len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a second cover lens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facing the first cover lens with the substrate interposed there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vers A coupling means for attaching and detachably coupling the lens to the substrate,
A first length-changing portion extending a certain length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cover lens, and a second length-changing portion extending a certain length and facing the first length-changing portion with the substrate therebetween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cover lens. Length-variable portions are formed, respectively,
A plurality of cutting groove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outer surface so that the length of the first and second length-changing parts can be adjusted by cutting,
The first and second length-changing parts are inserted into the socket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board and the first and second length-changing parts are fixed to the board,
The cutting grooves are a vehicle LED bulb,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and second length-variable part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20036A KR102527284B1 (en) | 2021-02-15 | 2021-02-15 | LED bulb for ca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20036A KR102527284B1 (en) | 2021-02-15 | 2021-02-15 | LED bulb for ca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16771A KR20220116771A (en) | 2022-08-23 |
KR102527284B1 true KR102527284B1 (en) | 2023-05-02 |
Family
ID=83092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20036A KR102527284B1 (en) | 2021-02-15 | 2021-02-15 | LED bulb for ca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27284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253795A (en) * | 2010-06-04 | 2011-12-15 | Piaa Corp | Power supply adapter for lamp and vehicular lamp using the same |
US20150078011A1 (en) * | 2013-09-16 | 2015-03-19 | Light Engine Limited | Faceted led street lamp lens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26673B1 (en) * | 2011-01-17 | 2013-02-07 | 장영환 | The Fuse Type LED Lamp |
KR101287043B1 (en) | 2012-12-27 | 2013-07-17 | 장영환 | The fuse type lamp |
KR200494185Y1 (en) * | 2019-07-09 | 2021-08-24 | 주식회사 헬로우미스터리 | Easily Dividable LED Bar |
-
2021
- 2021-02-15 KR KR1020210020036A patent/KR102527284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253795A (en) * | 2010-06-04 | 2011-12-15 | Piaa Corp | Power supply adapter for lamp and vehicular lamp using the same |
US20150078011A1 (en) * | 2013-09-16 | 2015-03-19 | Light Engine Limited | Faceted led street lamp len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16771A (en) | 2022-08-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360925B2 (en) | LED light source assembly | |
CN1955774B (en) | LED lamp source | |
KR101333022B1 (en) | Led lighting module and lighting assembly | |
US7111972B2 (en) | LED lamp with central optical light guide | |
EP1429395B1 (en) | LED light source mimicking a filamented lamp | |
EP2450612B1 (en) | Lighting apparatus | |
US10724698B2 (en) | Light source unit for lighting tool for vehicle and lighting tool for vehicle | |
AU2013245459B2 (en) |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a modular light-emitting diode circuit assembly | |
EP3012516A1 (en) | Led light source device and lighting fixture using the same | |
KR101287043B1 (en) | The fuse type lamp | |
KR102527284B1 (en) | LED bulb for car | |
JP2020064872A (en) |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emitting system | |
US11655972B2 (en) | Illumination device with LED strip light engine configured for retrofitting pin-based CFL socket | |
KR102511805B1 (en) | LED lamp for vehicle | |
JP2021106078A (en) | Vehicular illuminating device, vehicular illuminating device set, and vehicular lighting fixture | |
JP2010206035A (en) | Light-emitting device | |
CN210291713U (en) | Automobile lamp | |
JP2013165027A (en) | Lighting device | |
US11371664B2 (en) | LED lamp with a connection module with an antenna function | |
KR20110015389A (en) | Car luminaires | |
US8882305B2 (en) | Bulb-type lamp and luminaire | |
KR100549718B1 (en) | Honeycomb type structure using light emitting diode | |
JP6774008B2 (en) | Vehicle lighting equipment and vehicle lighting equipment | |
JP2023181065A (en) | Optical elements, vehicle lighting devices, and vehicle lamps | |
KR101745158B1 (en) | Light module using aspherical len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1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0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4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4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