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7145B1 - 타액선 복합 자극기 - Google Patents

타액선 복합 자극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7145B1
KR102527145B1 KR1020200086834A KR20200086834A KR102527145B1 KR 102527145 B1 KR102527145 B1 KR 102527145B1 KR 1020200086834 A KR1020200086834 A KR 1020200086834A KR 20200086834 A KR20200086834 A KR 20200086834A KR 102527145 B1 KR102527145 B1 KR 102527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ivary gland
light irradiation
frequency
low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6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8570A (ko
Inventor
안선희
백종협
김상묵
사기동
이병일
이진경
Original Assignee
한국광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광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광기술원
Priority to KR1020200086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7145B1/ko
Publication of KR20220008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8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7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7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2005/002Cooling systems
    • A61N2005/005Cooling systems for cooling the radia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5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 A61N2005/0647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the applicator adapted to be worn on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61N2005/0652Arrays of diodes

Abstract

본 발명은 얼굴의 각 타액선 부위의 피부 표면에 접촉되는 하나 이상의 패치, 상기 패치는 복수의 LED 칩에 의해 소정 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부 및 미세전류의 전기적 출력을 이용하여 소정 주파수의 전기 자극을 가하는 전기자극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광조사부의 광 조사 및 상기 전기자극부의 전기적 출력 설정 및 온오프(On/Off)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얼굴의 침샘 부위에 광의 조사와 저주파 전극자극을 동시에 제공하는 타액선 복합 자극 패치 및 상기 패치가 사용자에게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사용되게 하기 위한 타액선 복합 자극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타액선 복합 자극기{SALIVARY GLAND COMPLEX STIMULATION DEVICE}
본 발명은 타액선 복합 자극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타액의 원활한 분비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얼굴의 침샘 부위에 광의 조사와 저주파 전기 자극을 동시에 제공하는 타액선 복합 자극 패치 및 상기 패치가 사용자에게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사용되게 하기 위한 타액선 복합 자극기에 관한 것이다.
타액 즉 침은 건강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박테리아에 의해 생성된 산을 중화시켜 박테리아의 성장을 제한하고, 음식 입자를 씻어내어 충치 예방에 도움을 주며, 음식의 맛을 향상시키고 씹고 삼키기에 더 쉽게 하며, 또한 타액의 효소는 소화를 돕는 작용을 한다.
보통 건강한 성인의 경우 하루 1리터에서 1.5리터의 타액을 분비하는데, 특정 원인에 의해 타액 분비가 50%이상 감소할 경우 구강건조증이라고 한다.
구강의 건조는 음식물 섭취 및 말하는 것에 어려움뿐만 아니라, 구강 내 곰팡이 감염, 혀 통증, 구취, 미각 등의 이상이 유발될 수 있으며, 구강궤양과 같은 구강질환 발생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침샘 분비와 관련한 타액선 장애는 주로 노년층에 나타나는데, 60세 이상 인구 중 50% 정도가 구강 건조증을 겪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주로 남성보다 여성, 1월에서 4월이 환자 수가 증가함이 보고되고 있다.
이에 타액의 원활한 분비를 증진시키기 위한 물리적 장치 또는 약물 치료 요법을 통한 노인의 구강 건강을 향상시키는 제품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타액의 원활한 분비를 증진시키기 위한 물리적 장치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05784호(2017.09.20.)는 혀에 이물감을 느끼게 함으로써 혀 밑의 침샘 자극을 통해 침의 분비량이 현저히 증대되도록 하여 침의 분비량의 저하로 인한 각종 인체의 문제점이 원활히 해소되도록 하고 혀를 정위치에 안착시킬 수 있어 몸과 골격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침 분비 촉진 장치에 관한 것으로, 앞니의 중간을 기준으로 아랫니의 하부 내측면에 밀착되게 라운드진 띠 형태로 형성되는 안착부재와 상기 안착부재의 선단 내측에 돌출되게 부착되고, 상면에 라운드지게 함몰되는 혀자극홈이 형성되는 혀자극홈이 형성되는 혀자극부재와; 상기 안착부재에 구비되고, 상기 안착부재를 아랫니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침 분비 촉진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기구적인 구조물을 입 안에 삽입하는 것으로서 환자의 불편함 등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약 등의 화학적 요법을 이용한 방법은 부작용 등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LED를 이용한 광 자극 및 저주파 전류에 의한 경피 전기 자극(TENS,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을 복합적으로 작용시켜 타액선 분비 촉진을 위한 타액선 복합 자극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답답함을 주지 않으면서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침샘부위에 광 조사 및 저주파 자극을 인가할 수 있도록 얼굴 마스크 형태 및 헤드 밴드 형태의 타액선 복합 자극기를 제공하려는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타액선 복합 자극기는 얼굴의 각 타액선 부위의 피부 표면에 접촉되는 하나 이상의 패치, 상기 패치는 복수의 LED 칩에 의해 소정 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부 및 미세전류의 전기적 출력을 이용하여 소정 주파수의 전기 자극을 가하는 전기자극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광조사부의 광 조사 및 상기 전기자극부의 전기적 출력 설정 및 온오프(On/Off)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광 조사 및 전기 자극을 통해 상기 타액선을 자극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광조사부는 소정의 연신율을 갖는 유연회로기판(FPCB)에 회로패턴이 형성되는 베이스기판, 상기 베이스기판 상의 회로패턴에 실장되는 복수의 마이크로 LED, 상기 마이크로 LED를 영역을 보호하기 위하여 감싸도록 형성된 투명한 보호시트 및 상기 마이크로 LED가 실장된 타면에서 열을 전달받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방열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전기자극부는 상기 광조사부의 하부에서 저주파 생성부와 연결되어 저주파 펄스를 공급하기 위한 전극단자, 상기 LED 칩 주위에서 침샘 부위의 표면에 접촉되게 이루어져 상기 전극단자에서 공급되는 저주파 펄스를 피부에 침투시키는 저주파패드 및 절연특성을 갖는 실리콘 코팅으로 처리된 하부 시트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패치는 피부의 수축 및 이완에 따라 형상이 가변되는 스트레처블(Stretchable) 패치인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광 조사부는 16mW/cm2의 에너지로 904nm(+-5nm)의 파장에서 작동하는 펄스 레이저 광을 각 침샘 부위에 조사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전기자극부는 저주파 생성부에서 공급되는 50Hz의 주파수로 250μs 펄스 속도로 제어되는 저주파 펄스를 각 침샘 부위에 침투시키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패치는 머리 뒷부분으로 연결되는 고정 부재를 사용하여 고정시키는 헤드 장착 커버 또는 귀에 걸리는 갈고리 부재를 통하여 고정시키는 마스크 중의 어느 하나의 내측에서 타액선 부위에 위치하도록 고정 수단을 통하여 부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헤드 장착 커버 및 마스크는 코와 입술이 노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전술한 타액선 복합 자극기에 의한 본 발명은 광 조사 및 저주파 전극 자극을 통한 복합 자극을 제공함으로써, 타액선의 타액 분비를 상승시켜 구강 건강을 향상하여 전신질환의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충치 위험 환자에게는 타액의 치아 우식성(cariogenic) 박테리아를 줄이고 일부 침의 매개 변수를 개선하여 충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타액의 원활한 분비를 증진시키기 위한 물리적 복합 타액선 자극 장치를 제공하여 노인의 구강 건강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타액선 복합 자극기의 적용을 위한 침샘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액선 복합 자극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액선 복합 자극 패치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액선 복합 자극 패치의 하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액선 복합 자극기를 개별 패치 형태로 사용하는 사용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액선 복합 자극기를 헤드 장착 커버 형태의 사용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액선 복합 자극기를 마스크 형태의 장착 사용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8은 광 조사 전 후의 일정 관찰 기간 동안 측정된 타액 유량에 대한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9는 경피적 전기 신경 자극(TENS) 치료에 의해 관찰되는 실험군의 타액 흐름의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타액선 복합 자극기의 적용을 위한 침샘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에서와 같이 타액선 즉 침샘이란 일반적으로 사람 얼굴의 입안과 목 주변에 위치하여 타액을 분비하는 부위로서, 주요한 타액선 부위는 이하선, 악하선, 설하선 3가지라 할 수 있으며, 이하선(귀밑샘)은 위쪽 어금니 근처로, 악하선(턱밑샘)은 혀 아래부위로, 설하선(혀밑샘)은 구강저에 위치하여 분포된다.
본 발명은 상기 타액선 부위의 위치에서 광 조사 및 저주파 전류 자극을 작용하게 하는 타액선 복합 자극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액선 복합 자극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로서, 광조사부(110)와 전기자극부(120)가 패치 형태로 형성되는 타액선 복합 자극 패치(이하 복합 패치)(100)와 설정에 따른 광조사부(110)의 구동 제어 및 전기자극부(120)의 저주파 전류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210) 및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230)와 상기 광조사부(110)의 광 조사 모드 및 상기 전기자극부(120)의 전기적 출력 모드의 설정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 입력부(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미세전류에 의한 저주파 펄스 신호를 발생시키는 저주파 생성부(220)를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시시예에 따른 복합 패치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액선 복합 자극 패치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액선 복합 자극 패치의 하부 단면도이다.
도시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 패치(100)는 복수의 LED에 의해 소정 파장(wavelength)의 광을 침샘부위에 조사하는 광조사부(110)와 미세전류의 전기적 출력을 이용하여 소정 주파수의 전기 자극을 침샘부위에 가하는 전기자극부(120)를 포함하여 하나의 패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광조사부(110)는 베이스기판(111), 복수의 LED(112), 보호시트(113) 및 방열시트(114)가 각각의 층을 이루게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기판(111)은 복수의 LED 칩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회로패턴을 형성하여 형성되는 일정 면적을 갖는 회로기판이다. 이때, 상기 베이스기판은 소정의 연신율을 갖는 신축성 소재의 유연회로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베이스기판(111)은 연신율을 50%로 하는 폴리우레탄 등을 이용한 회로기판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LED 칩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회로 패턴은 지그재그 패턴으로 형성되어 베이스기판의 휘어짐, 신축 및 이완에 따라 유연하게 변경되도록 형성함으로써, 베이스기판이 신축 및 이완하여 외형이 변형되어도 유연하게 늘어나거나 또는 원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복수의 LED(112)는 저전압으로 동작되며 조명의 밝기가 균일한 특성을 갖으면서 소정 파장의 광을 방출하기 위한 초소형 LED 칩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상기 LED 칩은 적어도 300 마이크로미터(um)의 사이즈 이하의 마이크로 LED(LED, Light Emitting Diode)로서, 상기 베이스기판에 형성된 회로패턴 상에 일정 개수가 어레이(array) 형태의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실장된다.
상기 보호시트(113)는 실장된 복수의 마이크로 LED의 영역을 보호하기 위하여 전면에서 감싸도록 형성되는 보호층으로서, 마이크로 LED에서 방출되는 광이 통과할 수 있도록 투명한 소재(실리콘 등)로 형성된다.
상기 방열시트(114)는 실장되는 LED 칩과 대향하는 베이스기판(110)의 반대편에서 복수의 LED에서 발생하는 열을 전달받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층으로서, 열정도성과 연신율이 높은 소재를 접합하여 적층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베이스기판(111)의 회로패턴의 표면에는 비등방전도성소재 일예로, ACF((Anisotropic Conductive Film) 또는 ACA(Anisotropic Conductive Adhesive) 또는 ACP(Anisotropic Conductive Paste) 등을 미리 접착 또는 도포한 후 LED를 회로패턴에 접속시킬 수 있다.
상기 전기자극부(120)는 복합 패치의 하단에서 전극단자(121) 및 저주파패드(1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저주파 생성부에 의하여 연결되는 전극단자(121)에 의하여 발생되는 미세전류의 저주파 펄스를 저주파패드(122)에 공급하게 된다.
즉 저주파패드(122)는 인체에 전기 자극을 주기 위해 피부 표면에 접촉되게 이루어지며, 광조사부의 하단에서 상기 LED 광원들에서 나오는 광원의 주위 영역에 형성되어 저주파 펄스를 인체로 전달하는 층이라 할 수 있다.
이에 저주파 생성부(220)는 저주파 발진부, 저주파 증폭기와 같은 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기자극부(120)에 저전압의 변형된 평류전류나 저주파 전류를 발생시켜 공급하는 회로이다.
이에 따라 저주파패드(122)는 저주파 생성부(220)에서 공급되는 미세전류의 전기적 출력에 따른 저주파를 침샘 부위의 피부에 침투시키도록 전기적 자극을 주는 경피 신경 전기 자극 치료(TENS,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를 위한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저주파패드(122)의 내측면으로는 저주파 생성부(220)와 연결되어 저주파 출력 펄스를 공급하기 위한 전극단자(121)를 연결하기 위한 콘넥타홈 또는 잭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저주파패드(122)는 고무 또는 폴리에스테르수지와 탄소를 배합하여 이루어진 도전성 재질로서, 이때 도전율을 적정하게 하기 위하여 탄소의 양을 조절하거나 용해된 실리콘 수지에 전도성 물질인 은 또는 동의 분말을 첨가함으로써 필요로 하는 도전율을 얻을 수 있고, 소정의 연신율을 갖는 실리콘 소재에 탄소를 배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주파패드(122)는 비도전성 재질로서 전기적으로 절연특성이 우수한 천이나 실리콘 코팅으로 처리된 하부 시트에 의하여 보호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시트는 피부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면에 접착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접착 수단은 점착 젤 또는 점착성 하이드로겔이 도포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타액선 복합 자극 패치(100)는 형상을 가변시켜도 안정적인 전원공급 및 회로 구성의 접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자유롭게 굴곡하거나 신축시킬 수 있는 스트레처블(Stretchable)한 구조를 갖는 패치로 작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부(210)는 복합 패치의 광조사부(110) 및 전기자극부(120)에 제어 신호 및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회로 및 제어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여, 광조사부에 포함되는 복수의 LED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 설정 및 저주파 생성부에서 발생되는 저주파 전기펄스의 신호 출력 또는 세기의 설정 등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210)는 사용자 명령입력부(240)에 의하여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광 조사 주기 및 시간을 설정하여 광조사부를 제어할 수 있으며,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저주파의 파형(waveform), 빈도나 비율(frequency or rate), 펄스폭이나 지속시간(pulse width or duration) 및 펄스 진폭이나 강도(amplitude or intensity)등을 제어하여 조사된 광 및 전기 자극이 피부와 접촉하는 표면에서 각 침샘 부위의 피부 하부에 위치하는 타액선으로 침투하도록 제공하게 된다.
또한, 추가적으로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공급부(230)가 포함되며, 이러한 전원공급부는 충전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식의 배터리 모듈이나 외부 전원을 사용하는 전원 공급 수단을 통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제어부(210)는 제어장치로 명명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장치에 상기 저주파 생성부(220)와 전원공급부(230) 및 사용자 명령 입력부(240)를 포함하여 연결선(211)과 연결되는 외부 장치로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제어부(210)는 연결선(211)을 통하여 저주파 출력 신호 및 전원의 공급과 복합 패치(100)의 모드 및 설정을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패치의 모드 및 설정으로는 상기 저주파 생성부(220)에서 50Hz의 주파수로 250μs 펄스 속도로 제어되는 저주파 펄스를 일정 시간 발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광조사부에서는 16mW/cm2의 에너지로 904nm(+-5nm)의 파장에서 작동하는 펄스 레이저 광을 일정 시간 각 침샘 부위에 조사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타액선 복합 자극기는 각 타액선 부위의 위치에 붙이고 뗄 수 있는 타액선 복합 자극 패치를 복수의 개별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또는 상기 복수의 패치가 각 타액선 부위에 위치하게 이루어지고, 이러한 패치를 일체로 감싸는 형태로 쓰고 벗을 수 있는 헤드 연결 장착 형태 또는 이러한 패치를 일체로 감싸는 형태로 마스크 장착 형태 중의 어느 하나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목에 감아 고정 시키는 넥 밴드(Neck Band) 장착 형태 중의 어느 하나로 제공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액선 복합 자극기를 개별 패치 형태로 사용하는 사용예를 보여주는 예시도로서, 각각의 복합 패치는 저주파 패드의 하부시트에 발라져 있는 접착 수단으로서 겔(Gel) 상태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피부 표면에 부착하거나 뗄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액선 복합 자극기를 헤드 장착 커버 형태의 사용예를 보여주는 예시도로서, 착용시 얼굴에 밀착이 가능하도록 신축성을 갖는 직물이나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유연 재질의 헤드 장착형 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상기 헤드 장착형 커버는 머리 뒷부분으로 연결되는 고정 부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부재는 신축성 재질의 천이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벨크로(Velcro) 타입 접착 형태 또는 연결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갈고리 형태의 후크(Hook)를 이용하여 길이를 조절하면서 머리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복합 패치는 타액선 부위에 위치하는 피부 방향으로 광조사부 및 저주파 패드가 위치하고, 헤드 장착형 커버의 내측면으로는 접착 또는 고정 수단을 통하여 부착되게 된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액선 복합 자극기를 마스크 형태의 장착 사용예로 보여주는 예시도로서, 전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얼굴에서의 고정을 위하여 귀에 걸리는 갈고리 부재를 통하여 고정시키는 마스크를 형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도 상기 마스크의 재질로는 착용시 얼굴에 밀착이 가능하도록 신축성을 갖는 직물이나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유연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복합 패치를 마스크의 내측으로 접착 또는 고정 수단을 통하여 부착되게 된다.
또한,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헤드 장착형 커버 또는 마스크 형태 장착에 있어서 코와 입술은 노출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타액선 복합 자극기를 헤드 장착형 커버 또는 마스크 형태의 장착에 있어서, 제어부를 통하여 전원 및 설정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연결선(211)이 헤드 장착형 커버 또는 마스크의 내측으로 통과되도록 연결 통로를 구비하여 피부에 자극 없이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시에서는 각각의 연결선(211)을 보여주고 있으나, 제어부에서 헤드 장착형 커버 또는 마스크로 하나의 연결선(211)으로 연결되어 들어가고, 헤드 장착형 커버 또는 마스크의 내측에서 분기하여 각각의 복합 패치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광 조사 전 후의 일정 관찰 기간 동안 측정된 타액 유량에 대한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8에서와 같이 광 조사 치료(LT, Laser Therapy) 이전(Before LT) 및 이후(After LT)에 대하여 매일(day) 간격으로 10일 동안에 측정되는 타액 유량들 사이의 관계와 그 차이(Difference)를 보여주고 있다.
이때 레이저 광 조사는 16mW/cm2의 에너지로 904nm(+-5nm)의 파장에서 작동하는 레이저 광으로 각 침샘 부위의 영역에서 피부를 향하게 일정 시간 조사하였다.
이에 광 조사 치료 군에 대한 타액 양(dQ-sal, mL/min)의 평균 차이(Difference)가 도시에서와 같이 치료 첫 날의 초기 0.05mL/min에서 치료 마지막 날(10일째)의 0.13 mL/min까지 선형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9는 경피적 전기 신경 자극(TENS) 치료에 의해 관찰되는 실험군의 타액 흐름의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9의 그래프에서 그룹 A는 21세에서 35세 사이, 그룹 B는 36세에서 50세 사이, 그룹 C는 51세 이상으로, 각 그룹에는 30명의 환자가 포함되었고 그 중 15 명은 남성이고 15명은 여성으로 구분된다.
도시와 같이 세 개의 서로 다른 연령으로 구분되는 A, B, C의 그룹 군에 대하여 저주파 패드를 귀밑샘 위에 있는 피부에 부착하고 경피 전기 신경 자극(TENS)을 가하였다. 이때 전기 신경 자극의 출력 모드는 50Hz의 주파수로 250μs 펄스 속도에서 진행하였다.
이에 전기 자극 직후 및 전기 자극 후 1 시간째에 환자에게 눈금을 갖는 원뿔 플라스크에 침을 뱉어달라고 요청하여 전체 타액을 수집하고 타액 흐름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TENS 직후에 바로 귀밑샘에서 타액 유량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즉 도 8과 9의 실험 관찰 결과에 따라 본 발명의 광 조사와 전기 자극을 포함하는 타액선 복합 자극기에 의한 타액선 치료가 일반 개인과 구강 건조증 환자의 타액 유량이 증가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복합 패치 110: 광조사부
111: 베이스기판 112: 복수의 LED
113: 보호시트 114: 방열시트
120: 전기자극부 121: 전극단자
122: 저주파패드 210: 제어부
211: 연결선 220: 저주파 생성부
230: 전원공급부 240: 명령입력부

Claims (7)

  1. 사용자의 얼굴의 입안과 목 주변의 부위 중에, 위쪽 어금니 부위인 이하선, 혀 아래 부위인 약하선, 구강저 부위인 설하선의 위치를 포함하는 타액선 부위의 위치에 광 조사 및 저주파 전류 자극을 제공하는 타액선 복합 자극기로서,
    상기 얼굴의 각 타액선 부위의 피부 표면에 접촉되는 하나 이상의 패치,
    상기 패치는 복수의 LED 칩에 의해 소정 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부 및 미세전류의 전기적 출력을 이용하여 소정 주파수의 전기 자극을 가하는 전기자극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광조사부의 광 조사 및 상기 전기자극부의 전기적 출력 설정 및 온오프(On/Off)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광 조사 및 전기자극을 통해 상기 각 타액선 부위를 자극하고,
    상기 전기자극부는
    상기 광조사부의 하부에서 저주파 생성부와 연결되어 저주파 펄스를 공급하기 위한 전극단자,
    상기 LED 칩 주위에 배치되어 침샘 부위의 표면에 접촉되며, 상기 전극단자에서 공급되는 저주파 펄스를 피부에 침투시키는 저주파패드 및
    절연특성을 갖는 실리콘 코팅으로 처리된 하부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광 조사부는 16mW/cm2의 에너지로 904nm(+-5nm)의 파장에서 작동하는 펄스 레이저 광을 각 침샘 부위에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액선 복합 자극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조사부는
    소정의 연신율을 갖는 유연회로기판(FPCB)에 회로패턴이 형성되는 베이스기판,
    상기 베이스기판 상의 회로패턴에 실장되는 복수의 마이크로 LED,
    상기 마이크로 LED를 영역을 보호하기 위하여 감싸도록 형성된 투명한 보호시트 및
    상기 마이크로 LED가 실장된 타면에서 열을 전달받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방열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액선 복합 자극기.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치는 피부의 수축 및 이완에 따라 형상이 가변되는 스트레처블(Stretchable) 패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액선 복합 자극기.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극부는 저주파 생성부에서 공급되는 50Hz의 주파수로 250μs 펄스 속도로 제어되는 저주파 펄스를 각 침샘 부위에 침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액선 복합 자극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치는 머리 뒷부분으로 연결되는 고정 부재를 사용하여 고정시키는 헤드 장착 커버 또는 귀에 걸리는 갈고리 부재를 통하여 고정시키는 마스크 중의 어느 하나의 내측에서 타액선 부위에 위치하도록 고정 수단을 통하여 부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헤드 장착 커버 및 마스크는 코와 입술이 노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액선 복합 자극기.
KR1020200086834A 2020-07-14 2020-07-14 타액선 복합 자극기 KR102527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834A KR102527145B1 (ko) 2020-07-14 2020-07-14 타액선 복합 자극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834A KR102527145B1 (ko) 2020-07-14 2020-07-14 타액선 복합 자극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8570A KR20220008570A (ko) 2022-01-21
KR102527145B1 true KR102527145B1 (ko) 2023-04-28

Family

ID=80050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6834A KR102527145B1 (ko) 2020-07-14 2020-07-14 타액선 복합 자극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71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3452B1 (ko) * 2023-07-14 2024-02-06 주식회사 피테크 안면착용 광 조사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75044A (ja) * 2017-04-05 2018-11-15 国立大学法人 鹿児島大学 分泌促進装置
KR101982752B1 (ko) * 2017-12-15 2019-05-27 (주)그로빅 온열 턱마스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3885B1 (ko) * 2000-09-07 2003-08-09 주식회사 뷰닉스 저주파 치료 장치
KR102067101B1 (ko) * 2017-11-17 2020-01-15 한국광기술원 스트레처블 패치
KR20190108922A (ko) * 2018-03-16 2019-09-25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비침습 침샘 자극 광 조사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75044A (ja) * 2017-04-05 2018-11-15 国立大学法人 鹿児島大学 分泌促進装置
KR101982752B1 (ko) * 2017-12-15 2019-05-27 (주)그로빅 온열 턱마스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3452B1 (ko) * 2023-07-14 2024-02-06 주식회사 피테크 안면착용 광 조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8570A (ko) 2022-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91951B2 (en) Device for electrical stimulation of periodontal complex and surrounding tissue
US20200345970A1 (en) Multimodal, modular, magnetically coupled transcutaneous auricular stimulation system includ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the optimization of stimulation and therapeutic interventions
KR20200087149A (ko) 미용 마스크
US20140277323A1 (en) Oral neural stimulator
US20150335887A1 (en) Integrated bandage and electrical stimulation transcutaneous electrical neuron-stimulation (tens) device
EA005742B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лектромедицинской терапии
US20230110636A1 (en) Method and device for improving brain function
US9566432B2 (en) Device and method for stimulating salivation
US20240066315A1 (en) Therapeutic devices and methods to improve body functions
KR102527145B1 (ko) 타액선 복합 자극기
KR101448260B1 (ko) 탈모증 치료를 위한 다파장 레이저 조사기
CN108434595B (zh) 一种头带式脑部电刺激仪及其电刺激方法
KR102120017B1 (ko) 저주파 불면증 치료 장치
KR102141761B1 (ko) 미세전류 자극장치가 구비되는 미세전류 치료 시스템
KR102188234B1 (ko) 수면 장애 개선을 위한 미세전류 치료 시스템
JP2004275750A (ja) 治療用器具
KR20110016200A (ko) 복합기능을 갖는 치료기
CN104784827A (zh) 一种美容保健面膜
CN218980247U (zh) 一种电脉冲按摩装置及系统
KR101918966B1 (ko) 톱니파 파형을 이용하는 파동제공 마스크
KR20230111517A (ko) 타액선 및 임파선 융복합 자극기
CN220293989U (zh) 带ems功能的led彩光面罩
US20240024691A1 (en) Device and method for unattended treatment of a patient
KR101918967B1 (ko) 톱니파 파형을 이용하는 파동제공 장신구
ES1298498U (es) Dispositivo y metodo para el tratamiento desatendido del pacien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