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7088B1 - 반려동물용 브러쉬 겸용 털 제거기 - Google Patents

반려동물용 브러쉬 겸용 털 제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7088B1
KR102527088B1 KR1020200160895A KR20200160895A KR102527088B1 KR 102527088 B1 KR102527088 B1 KR 102527088B1 KR 1020200160895 A KR1020200160895 A KR 1020200160895A KR 20200160895 A KR20200160895 A KR 20200160895A KR 102527088 B1 KR102527088 B1 KR 102527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hair
companion animal
main body
p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0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3121A (ko
Inventor
이주안
Original Assignee
이주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안 filed Critical 이주안
Priority to KR1020200160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7088B1/ko
Publication of KR20220073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3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7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7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2Curry-combs;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1Washing, cleaning, or dr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55Brush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normally separate from the brushing process, e.g. combs, razors, mirrors
    • A46B15/0065Brush with an additional cutting tool, e.g. nail clippers, hai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24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specially adapted for shearing animals, e.g. shee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08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changeable blades
    • B26B21/10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longitudinally to the handle
    • B26B21/12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longitudinally to the handle combined with combs or other means for hair trimming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93Brush for use on anim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동물용 브러쉬 겸용 털 제거기에 관한 것으로서, 반려동물의 털을 수납하는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를 덮도록 구성되며 상기 본체부와의 사이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커버와, 상기 본체부의 저면에 설치되며 복수의 브러쉬 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브러쉬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브러쉬부에서 정리된 반려동물의 털을 절단하는 클리퍼부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반려동물의 털을 빗질을 하면서 털을 정리하고 절단할 수 있으므로 반려동물에게 소음이나 스트레스를 주지 않으면서도 편안한 상태에서 반려동물의 털을 정리하고 제거할 수 있고,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마취없이 안전하고 간편하게 반려동물의 털을 제거할 수 있ㅇ으므로 번거롭게 반려동물을 마취시키거나 펫샵 등에서 전문가에게 맡길 필요 없이 간단하고 용이하게 털을 정리할 수 있으며, 반려동물의 털을 제거할 때에, 집안 곳곳에 날리는 반려동물의 털을 용이하게 수집할 수 있으므로 관리하기에 용이하다.

Description

반려동물용 브러쉬 겸용 털 제거기{HAIR CUTTING DEVICE USED AS BRUSH FOR PET}
본 발명은 반려동물용 털제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반려동물의 털을 빗어주면서 반려동물에게 고통을 주지 않으면서도 길게 자란 털을 간편하게 깍을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하고 관리가 용이한 반려동물용 브러쉬 겸용 털제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려동물은 털이 있고 털이 긴 경우 벼룩이나 세균의 매개체가 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더 나아가 반려동물로부터 발생하는 털 등은 주위환경을 오염시키는 요인이 되기도 하였다.
또한, 반려동물, 특히 고양이의 경우, 자신의 몸을 핥아 관리하면서 삼킨 털이 위장 등에서 뭉쳐 생기는 헤어볼은 구토, 구역질, 설사 등을 일으키며 심하게는 사망에 이르게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반려동물의 털을 정리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진공청소기에 연결해서 털을 정리하고 흡입하는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진공청소기를 사용하여 털을 정리하기 때문에, 털 정리시에 진공청소기의 작동이 필수적이고, 청각이 예민한 반려동물의 경우에는 진공청소기의 동작에 의한 소음으로 불안감을 느껴 안정적인 자세에서 털을 정리하기 어렵고, 이로 인해 마취를 시키거나 전문가에게 맡겨 미용을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국특허 제 10-0602245(진공청소기용 애완동물 브러쉬)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반려동물에게 소음이나 스트레스를 주지 않으면서도 편안한 상태에서 반려동물의 털을 정리하고 제거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브러쉬 겸용 털 제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마취없이 안전하고 간편하게 반려동물의 털을 제거할 수 있고, 비산하는 반려동물의 털을 용이하게 수집, 관리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브러쉬 겸용 털 제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브러쉬 겸용 털 제거기는, 반려동물의 털을 수납하는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를 덮도록 구성되며 상기 본체부와의 사이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커버와, 상기 본체부의 저면에 설치되며 복수의 브러쉬 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브러쉬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브러쉬부에서 정리된 반려동물의 털을 절단하는 클리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저면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되어 설치되는 벽부와, 상기 벽부의 하향끝단에서 점차 상향으로 경사져 형성되는 받침부를 구비하고, 상기 벽부는 상기 브러쉬부와 연통하는 복수의 슬릿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브러쉬부는 상기 브러쉬 돌기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슬릿홈에 연통하는 복수의 가이드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슬릿홈을 향하여 점차 깊이가 깊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클리퍼부는 상기 받침부에 안착되어 수용되고, 상기 슬릿홈을 향하여 배치되는 클리퍼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커버는 상기 본체부의 전방측으로부터 상기 받침부의 후방 끝단을 향하여 점차 높이가 커지도록 경사져 형성되어 절단된 반려동물의 털이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도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브러쉬 겸용 털 제거기에 의하면, 사용자가 반려동물의 털을 빗질을 하면서 털을 정리하고 절단할 수 있으므로 반려동물에게 소음이나 스트레스를 주지 않으면서도 편안한 상태에서 반려동물의 털을 정리하고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의한 반려동물용 브러쉬 겸용 털 제거기에 의하면, 사용자가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마취없이 안전하고 간편하게 반려동물의 털을 제거할 수 있ㅇ으므로 번거롭게 반려동물을 마취시키거나 펫샵 등에서 전문가에게 맡길 필요 없이 간단하고 용이하게 털을 정리할 수 있다.
또한, 반려동물의 털을 제거할 때에, 집안 곳곳에 날리는 반려동물의 털을 용이하게 수집할 수 있으므로 관리하기에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브러쉬 겸용 털 제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를 따라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브러쉬 겸용 털 제거기의 본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브러쉬 겸용 털 제거기의 브러쉬부와 본체부의 받침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브러쉬 겸용 털 제거기의 클리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 브러쉬 겸용 털 제거기(1)에 대하여 실시예로써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 브러쉬 겸용털 제거기(1)는, 커버(10)와, 본체부(20)와, 브러쉬부(30)와, 클리퍼부(40)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부(2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측이 반원형으로 만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20)의 테두리 부분은 상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20)에 절단된 반려동물의 털이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20)의 바닥판은, 전방측이 더욱 깊도록 단차를 형성하여 형성되어 반려동물의 털을 더욱 수용하기 용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20)의 후방측에는 받침부(21)와 벽부(22)가 형성된다.
상기 벽부(22)는 상기 본체부의 후방측의 일정 위치에서 하향으로, 즉 상기 본체부의 저면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받침부(21)는 상기 벽부(22)의 하단 끝단에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상기 받침부(21)는 상기 벽부와 연결된 부분으로부터 상기 본체부의 후방끝단을 향하여 점차 상승되도록 경사져 형성된다.
상기 벽부와 상기 받침부가 상술한 바와 같이 ㄴ자로 형성되어, 절단되면서 이동하는 반려동물의 털이 일시적으로 수용되는 안내공간(23)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벽부(21)에는 상기 벽부를 높이방향으로 절개하여 형성되는 슬릿홈(22a)이 마련된다. 상기 슬릿홈(22a)은 상기 본체부의 폭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슬릿홈(22a)은 상기 벽부(21)에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슬릿홈은 더욱 연장되어 상기 받침부(21)에도 형성될 수 있다.
ㄴ자로 형성된 상기 벽부와 상기 받침부에 상기 슬릿홈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브러쉬부를 통해 안내되는 반려동물의 털이 보다 원활하게 안내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20)의 상부에는 상기 커버(10)가 설치된다.
상기 커버(10)는 상기 본체부를 덮도록 구성되며 상기 본체부와의 사이에 수납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커버(1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의 전방측으로부터 상기 받침부의 후방 끝단을 향하여 점차 높이가 커지도록 경사져 형성된다. 경사져 형성된 상기 커버(10)에 의해, 도 3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절단된 반려동물의 털이 상기 수용공간내에서 보다 부드럽게 유도되면서 비산하지 않고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20)의 저면에는 상기 브러쉬부(30)가 설치된다.
상기 브러쉬부(30)는 상기 본체부의 평면형상에 상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의 전방측부터 상기 벽부가 형성된 위치까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브러쉬부(30)의 브러쉬 판(31)에는 복수의 브러쉬 돌기(32)가 설치된다. 상기 브러쉬 돌기(32)는, 상기 브러쉬 판과 일체로 형성되며, 하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브러쉬 돌기(32)는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며, 사용자가 상기 브러쉬 겸용 털제거기(1)를 사용하여 이동시킬 때에 빗질에 의해 반려동물의 털을 정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브러쉬 판(31)에는 상기 브러쉬 돌기(32) 사이에 가이드 홈(33)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홈(33)은 상기 브러쉬 판을 절개하여 형성되며,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하여 점차 깊이가 깊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브러쉬 겸용 털제거기를 사용할 때에 반려동물의 털이 상기 브러쉬 돌기 사이에서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용이하게 안내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 홈(33)은 상기 슬릿홈(22a)에 연통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브러쉬 겸용 털제거기를 사용할 때에 상기 브러쉬 돌기 사이에서 안내된 반려동물의 털이 상기 클리퍼부(40)에 의해 용이하게 절단됨과 동시에 절단 후의 반려동물의 털이 후방측으로 원활하게 안내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ㄴ자로 형성된 상기 벽부와 상기 받침부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안내공간(23)에는 상기 클리퍼부(40)가 설치된다. 상기 클리퍼부(40)는 상기 받침부(21)에 안착된다.
상기 클리퍼부(40)는 복수의 절단홈을 가지는 상하 한 쌍의 클리퍼 본체(41)와, 상기 한 쌍의 클리퍼 본체(41) 사이에 설치되는 클리퍼 블레이드(42)를 구비한다.
상기 브러쉬 겸용 털제거기를 사용할 때에 상기 브러쉬 돌기 사이에서 안내된 반려동물의 털이 상기 슬릿홈(22a)을 통과하여 상기 클리퍼부의 상기 클리퍼 블레이드(42)에 의해 절단되고, 절단된 반려동물의 털은, 도 3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안내되어 상기 본체부와 상기 덮개 사이의 수용공간에 수용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반려동물의 털을 빗질을 하면서 정리함과 동시에 절단할 수 있으므로 반려동물에게 소음이나 스트레스를 주지 않으면서도 편안한 상태에서 반려동물의 털을 정리하고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공간과 상기 수용공간의 구성에 의해, 반려동물의 털을 제거할 때에, 집안 곳곳에 날리는 반려동물의 털을 용이하게 수집할 수 있으므로 관리하기에 용이하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1 : 반려동물용 브러쉬 겸용 털 제거기
10 : 커버
20 : 본체부
30 : 브러쉬부
40 : 클리퍼부

Claims (6)

  1. 삭제
  2. 반려동물의 털을 수납하는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를 덮도록 구성되며 상기 본체부와의 사이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커버와,
    상기 본체부의 저면에 설치되며 복수의 브러쉬 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브러쉬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브러쉬부에서 정리된 반려동물의 털을 절단하는 클리퍼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저면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되어 설치되는 벽부와, 상기 벽부의 하향끝단에서 점차 상향으로 경사져 형성되는 받침부를 구비하고,
    상기 벽부는 상기 브러쉬부와 연통하는 복수의 슬릿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브러쉬 겸용 털 제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부는 상기 브러쉬 돌기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슬릿홈에 연통하는 복수의 가이드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브러쉬 겸용 털 제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슬릿홈을 향하여 점차 깊이가 깊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브러쉬 겸용 털 제거기.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퍼부는 상기 받침부에 안착되어 수용되고, 상기 슬릿홈을 향하여 배치되는 클리퍼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브러쉬 겸용 털 제거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본체부의 전방측으로부터 상기 받침부의 후방 끝단을 향하여 점차 높이가 커지도록 경사져 형성되어 절단된 반려동물의 털이 상기 수납공간으로 유도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브러쉬 겸용 털 제거기.

KR1020200160895A 2020-11-26 2020-11-26 반려동물용 브러쉬 겸용 털 제거기 KR102527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895A KR102527088B1 (ko) 2020-11-26 2020-11-26 반려동물용 브러쉬 겸용 털 제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895A KR102527088B1 (ko) 2020-11-26 2020-11-26 반려동물용 브러쉬 겸용 털 제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3121A KR20220073121A (ko) 2022-06-03
KR102527088B1 true KR102527088B1 (ko) 2023-04-27

Family

ID=81983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0895A KR102527088B1 (ko) 2020-11-26 2020-11-26 반려동물용 브러쉬 겸용 털 제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708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75595A1 (en) * 2014-02-28 2016-12-29 Medline Indust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Clipper
JP2019103646A (ja) * 2017-12-13 2019-06-27 近藤 光 ヘアーカッター
US20200061855A1 (en) 2008-11-24 2020-02-27 Lonnie Holmes Hair clippers with flexing electrically adjustable blade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18388U (ko) * 1975-03-13 1976-09-25
US4581822A (en) * 1983-12-15 1986-04-15 Kyushu Hitachi Maxell, Ltd. Electric hair clipper
KR100602245B1 (ko) 2004-06-04 2006-07-1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진공청소기용 애완동물 브러쉬
KR20130030588A (ko) * 2011-09-19 2013-03-27 박종세 흡입부재가 구비되는 동물 이발기
KR20210008225A (ko) * 2019-07-11 2021-01-21 (주)아이지베스트 애완동물 미용 흡입 이발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061855A1 (en) 2008-11-24 2020-02-27 Lonnie Holmes Hair clippers with flexing electrically adjustable blades
US20160375595A1 (en) * 2014-02-28 2016-12-29 Medline Indust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Clipper
JP2019103646A (ja) * 2017-12-13 2019-06-27 近藤 光 ヘアーカッタ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3121A (ko) 2022-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1725A (en) Litter containment apparatus for kittens and cats
US4412618A (en) Tray for grooming instruments
US6312029B1 (en) Litter scoop
US5502873A (en) Pet grooming device
JP2017535248A (ja) グルーミング器具及びグルーミング方法
US20200040650A1 (en) Pet portal with integrated and replaceable grooming system
US20080229532A1 (en) Cleanable Hair Brush
KR102527088B1 (ko) 반려동물용 브러쉬 겸용 털 제거기
US9807978B2 (en) Grooming apparatus and knot remover
US6874446B2 (en) Animal brushes
US9795116B1 (en) Pet hair brush
GB2204486A (en) Grooming comb for pets
KR200493928Y1 (ko) 고양이의 털을 수집하고 수집된 털의 제거가 용이한 고양이 털 수집 장치
US20220211004A1 (en) Brush for pets
US20240081287A1 (en) Clipper brush for companion animal
CN210247939U (zh) 卸毛刮板及宠物毛发梳理套件
CN109418173B (zh) 内层毛去除器具
KR101986121B1 (ko) 다기능 실리콘 크리너 패드
KR20150012394A (ko) 진동모터가 내장된 애완동물용 브러쉬
CN210445298U (zh) 多功能宠物毛发梳理套件
US11991984B2 (en) Pet grooming blade storage tray
US20230225289A1 (en) Pet grooming blade storage tray
CN210445299U (zh) 宠物梳
KR200334575Y1 (ko) 애완동물용 빗
CN211379217U (zh) 一种毛发自清洁的宠物清理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