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6847B1 - Inaudible sound wave signal-based access recogni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 Google Patents

Inaudible sound wave signal-based access recogni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6847B1
KR102526847B1 KR1020210066060A KR20210066060A KR102526847B1 KR 102526847 B1 KR102526847 B1 KR 102526847B1 KR 1020210066060 A KR1020210066060 A KR 1020210066060A KR 20210066060 A KR20210066060 A KR 20210066060A KR 102526847 B1 KR102526847 B1 KR 102526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wave
gate
terminal
access
wav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60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58367A (en
Inventor
김준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시냅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시냅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시냅스
Priority to KR1020210066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6847B1/en
Publication of KR20220158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83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6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68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 G07C2009/0080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by acoustic wa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가청 음파 신호 기반의 출입 인식 방법에 있어서, 게이트 장치가, 블루투스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 단말이, 상기 블루투스 신호를 감지하여, 음파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음파 수신부를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장치가, 제1 게이트 ID(Identifier)가 포함된 제1 음파 신호를 제1 방향으로, 제2 게이트 ID가 포함된 제2 음파 신호를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각각 출력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음파 수신부를 통해 상기 제1 음파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음파 신호로부터 상기 제1 게이트 ID를 추출하여 상기 단말 ID와 함께 출입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출입 관리 서버가, 상기 단말 ID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게이트 ID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음파 수신부를 통해 상기 제2 음파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제2 음파 신호로부터 상기 제2 게이트 ID를 추출하여 상기 단말 ID와 함께 상기 출입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출입 관리 서버가, 상기 단말의 출입을 인식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access recognition method based on an inaudible sound wave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broadcasting, by a gate device, a Bluetooth signal; Activating, by a terminal, a sound wave receiver for receiving a sound wave signal by detecting the Bluetooth signal; The gate device transmits a first sound wave signal including a first gate identifier (ID)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sound wave signal including a second gate ID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respectively. outputting; detecting, by the terminal, the first sound wave signal through the sound wave receiver; extracting, by the terminal, the first gate ID from the first sound wave signal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the access control server together with the terminal ID; storing, by the access management server, the first gate ID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ID; detecting, by the terminal, the second sound wave signal through the sound wave receiver; extracting, by the terminal, the second gate ID from the second sound wave signal and transmitting the extracted second gate ID to the access control server together with the terminal ID; and recognizing, by the access management server, access of the terminal. can include

Description

비가청 음파 신호 기반의 출입 인식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Inaudible sound wave signal-based access recogni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Inaudible sound wave signal-based access recogni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본 명세서는 비가청 음파 신호 기반의 출입 인식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안한다. The present specification proposes an access recognition system based on an inaudible sound wave signal, a method, and an apparatus therefor.

종래에는 특정 장소(예컨대, 건물, 사무실, 지하철 등)로의 사용자 출입을 인식하기 위해 출입구에 사용자의 출입을 인식하기 위한 게이트 장치가 구비되었으며, 사용자는 게이트 장치에 지정된 디지털 정보(예컨대, 비밀번호 등)를 입력하거나 지정된 매체(예컨대, 출입 카드, 사원증 등)을 태그함으로써, 출입을 인식할 수 있었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recognize the user's access to a specific place (eg, building, office, subway, etc.), a gate device for recognizing the user's access is provided at the entrance, and the user is provided with digital information (eg, password, etc.) specified in the gate device. or by tagging a designated medium (eg, an access card, an employee ID card, etc.), the access could be recognized.

이때, 출입 인식에는, 블루투스 통신 기반 인증 방식, 안면 인식 방식, 생체 인식 방식 등이 많이 제안되어 왔다. At this time, many methods such as a Bluetooth communication-based authentication method, a face recognition method, and a biometric recognition method have been proposed for access recognition.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출입 인식 방식은 해킹이 용이하여 개인 정보가 쉽게 유출될 수 있으므로 보안이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태그를 위한 매체를 분실한 경우에는 출입 자체가 불가능하였다. 또한, 출입 인식을 위해 디지털 정보를 입력하거나 지정된 매체를 태그하는 동작 자체가 사용자에게 불편함, 번거로움 등을 야기시킨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However, this conventional access recognition method has a problem in that security is weak because personal information can be easily leaked due to easy hacking, and access itself is impossible when the medium for the tag is lost.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ration itself of inputting digital information or tagging a designated medium for access recognition causes inconvenience and trouble to the user.

나아가, 블루투스 통신 기반 방식의 경우 전파 세기 기반 신호 측정 방식으로 정밀도 구분이 불가하였으며, 안면 인식 방식, 생체 인식 방식 등은 대용량의 데이터 처리로 인하여 처리 속도가 매우 늦고 인프라 구축에 많은 비용이 든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Furthermore, in the case of the Bluetooth communication-based method, it is impossible to distinguish precision due to the radio wave strength-based signal measurement method, and the face recognition method and the biometric method have problems in that the processing speed is very slow and the infrastructure construction costs a lot of money due to large amount of data processing. exis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가청 음파 신호 기반의 출입 인식 방법에 있어서, 게이트 장치가, 블루투스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 단말이, 상기 블루투스 신호를 감지하여, 음파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음파 수신부를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장치가, 제1 게이트 ID(Identifier)가 포함된 제1 음파 신호를 제1 방향으로, 제2 게이트 ID가 포함된 제2 음파 신호를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각각 출력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음파 수신부를 통해 상기 제1 음파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음파 신호로부터 상기 제1 게이트 ID를 추출하여 상기 단말 ID와 함께 출입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출입 관리 서버가, 상기 단말 ID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게이트 ID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음파 수신부를 통해 상기 제2 음파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제2 음파 신호로부터 상기 제2 게이트 ID를 추출하여 상기 단말 ID와 함께 상기 출입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출입 관리 서버가, 상기 단말의 출입을 인식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access recognition method based on an inaudible sound wave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broadcasting, by a gate device, a Bluetooth signal; Activating, by a terminal, a sound wave receiver for receiving a sound wave signal by detecting the Bluetooth signal; The gate device transmits a first sound wave signal including a first gate identifier (ID)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sound wave signal including a second gate ID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respectively. outputting; detecting, by the terminal, the first sound wave signal through the sound wave receiver; extracting, by the terminal, the first gate ID from the first sound wave signal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the access control server together with the terminal ID; storing, by the access management server, the first gate ID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ID; detecting, by the terminal, the second sound wave signal through the sound wave receiver; extracting, by the terminal, the second gate ID from the second sound wave signal and transmitting the extracted second gate ID to the access control server together with the terminal ID; and recognizing, by the access management server, access of the terminal. can inclu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출입 인식을 위해 디지털 정보를 입력하거나 지정된 매체를 태그할 필요가 없어, 출입 인식에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need for a user to input digital information or tag a designated medium for access recognition, thereby increasing user convenience in access recogni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출입 인식 시스템 인프라 구축에 있어 음파 출력부만 필요하므로, 초기 시스템 구축 비용이 매우 저렴하며, 기존 출입 인식 시스템과의 호환성이 매우 높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only a sound wave output unit is required to construct an access recognition system infrastructure, an initial system construction cost is very low and compatibility with an existing access recognition system is very high.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출입 허용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호출하여 사용자의 출입 허용 여부를 직접 판단하므로, 사용자가 출입 허용을 증명하기 위해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직접 실행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하며, 출입 처리 속도가 매우 빨라진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n access-related application is automatically called to directl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user is allowed to enter, the user does not need to directly execute a specific application to prove access, which improves user convenience. It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access processing speed very quickly.

이외에도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바에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above,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each draw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가청 음파 신호 기반의 출입 인식 시스템을 예시한 시스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대기 상태 인식 반경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상태 인식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게이트 장치로 진입 중인 상태에서의 출입 인식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게이트 장치를 통과하여 출입 완료한 상태에서의 출입 인식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인식 방법에 관한 게이트 장치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인식 방법에 관한 단말의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인식 방법에 관한 출입 관리 서버의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ID와 게이트 ID간의 계층 구조를 예시한다.
도 10 및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출입 가능 여부를 인식/감지하는 출입 인식 시스템을 예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음파 신호의 보상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코드 기반의 출입 인식 방법을 예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실시간으로 출입 권한을 획득하는 단말의 동작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실시간으로 출입 권한을 획득한 단말이 안내창을 출력하는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1 is a system diagram illustrating an access recognition system based on an inaudible sound wave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ccess waiting state recognition radi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recognizing an access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ccess recognition system in a state of entering a gat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ccess recognition system in a state in which access is completed through a gat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 chart of a gate device related to an access recogni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of a terminal related to an access recogni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of an access management server related to an access recogni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llustrates a hierarchical structure between a Bluetooth ID and a gate 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and 11 illustrate an access recognition system for recognizing/detecting access availa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mpensating a third sound wave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llustrates an access recognition method based on an access c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operations of a terminal acquiring access rights in real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in which a terminal that obtains access authority in real time outputs a guide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이하 설명하는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technology to be described below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ology described below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technology described below.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의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는 '및' 또는 '또는'으로 해석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above terms, and are merely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used only as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ology described below, a first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the second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element. The terms and/or include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reci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recited items. For example, 'A and/or B' may be interpreted as meaning 'at least one of A or B'. Also, '/' can be interpreted as 'and' or 'or'.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expressions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clearly interpreted differently in context, and terms such as “comprising” refer to the described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and components. ,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action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도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 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Prior to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to be clarified that the classification of component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merely a classification for each main function in charge of each component. That is, two or more components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combined into one component, or one component may be divided into two or more for each more subdivided function. In addition, each component to be described below may additionally perform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of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its main function, and some of the main functions of each component may be performed by other components. Of course, it may be dedicated and performed by .

또, 방법 또는 동작 방법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방법을 이루는 각 과정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과정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performing a method or method of operation, each process constituting the method may occur in a different order from the specified order unless a specific order is clearly described in context. That is, each process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가청 음파 신호 기반의 출입 인식 시스템을 예시한 시스템도이다.1 is a system diagram illustrating an access recognition system based on an inaudible sound wave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출입 인식 시스템(100)은 크게 단말(110), 게이트 장치(130) 및 출입 관리 서버(1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access recognition system 100 may include a terminal 110 , a gate device 130 and an access management server 120 .

단말(110)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된 출입 인식 어플리케이션이 사전 설치된 사용자 장치를 의미한다. 단말(110)은 휴대 가능한 통신/전자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 예를 들어, 핸드폰,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스마트 와치, 웨어러블 기기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The terminal 110 refers to a user device in which the access recognition application prop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pre-installed. The terminal 110 refers to a portable communication/electronic device,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mobile phone, a mobile phone, a tablet PC, a laptop computer, a smart watch, and a wearable device.

출입 인식 시스템(100)에서 단말(110)은 게이트 장치(130)로부터 수신한 블루투스 및/또는 음파 신호로부터 식별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식별 정보를 출입 관리 서버(120)로 전송하는 기능을 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단말(110)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적 구성을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제어부(110-1), 음파 수신부(110-2), 통신부(110-3), 저장부(110-4) 및/또는 디스플레이부(110-5)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에 대한 설명은 이하에서 후술한다. In the access recognition system 100, the terminal 110 mainly performs a function of extrac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Bluetooth and/or sound wave signal received from the gate device 130 and transmitting the extract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access management server 120. can do. To perform this operation, the terminal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functional component, for example, a control unit 110-1, a sound wave receiver 110-2, a communication unit 110-3, and a storage unit. 110-4 and/or a display unit 110-5. A description of each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below.

게이트 장치(130)는, 사용자의 출입을 인식/관리하기 위하여 출입구에 설치된 전자 장치이다. 출입 인식 시스템(100)에서 게이트 장치(130)는, 실시예에 따라 게이트 장치(130)의 식별 정보가 포함된 다양한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단말(110)이 해당 신호로부터 게이트 장치(130)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ID(Identifier))를 추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게이트 장치(13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근거리 통신 신호로서, 예를 들어 블루투스 신호, 음파 신호, Wi-Fi 신호 등이 있을 수 있다. The gate device 130 is an electronic device installed at a doorway to recognize/manage a user's access. In the entrance/exit recognition system 100, the gate device 130 outputs various signals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gate device 13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o that the terminal 110 receiv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gate device 130 from the signal. (For example, ID (Identifier)) can be extracted. At this time, the signal output from the gate device 130 is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signal,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Bluetooth signal, a sound wave signal, a Wi-Fi signal, and the like.

특히, 본 출입 인식 시스템(100)에 있어서, 사용자 출입을 인식하기 위해 주로 사용할 신호로서 비가청 음파 신호가 제안된다. 비가청 음파 신호는, 인간의 청력으로는 들리지 않는 (초)고주파/(초)저주파 대역의 음파 신호를 일컫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비가청 음파 신호에 일정한 디지털 데이터(특히, 게이트 장치의 식별 정보)를 실어/포함시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출입을 인식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비가청 음파 신호를 이용한 사용자의 출입 인식 방법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8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In particular, in the access recognition system 100, a non-audible sound wave signal is proposed as a signal mainly used to recognize user access. An inaudible sound wave signal refers to a sound wave signal in a (ultra)high frequency/(ultra)low frequency band that is inaudible to human hearing, an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certain digital data (in particular, gat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 it can be used to recognize the user's access by loading/including it. A method for recognizing a user's access using such an inaudible sound wave signal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2 to 8 .

게이트 장치(130)는, 상술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기능적 구성을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제어부(130-1), 통신부(130-2), 저장부(130-3), 음파 출력부(130-4) 및/또는 센서부(130-5)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에 대한 설명은 이하에서 후술한다.The gate device 130 may include at least one functional component to perform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for example, a control unit 130-1, a communication unit 130-2, a storage unit 130-3, A sound wave output unit 130-4 and/or a sensor unit 130-5 may be included. A description of each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below.

출입 관리 서버(120)는 단말(110) 및 게이트 장치(130)와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출입 인식 시스템(100)을 전체적으로 관리/운영하는 서버(예를 들어, 출입 인식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해당할 수 있다. 출입 관리 서버(120)는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게이트 장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110)의 현재 위치, 출입 여부, 출입 가능 여부 등을 기록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출입 관리 서버(120)는 게이트 장치(130)의 식별 정보를 할당 및 관리할 수 있다. The access management server 120 communicates with the terminal 110 and the gate device 130 to a server that manages/operates the access recognition system 100 as a whole (for example, an application server that manages an access recognition application). may apply. The access management server 120 may record and manag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110, whether or not access is allowed, and whether or not access is possible based on the gat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110. In addition, the access management server 120 may allocate and manag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gate device 130 .

출입 관리 서버(120)는, 상술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기능적 구성을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제어부(120-1), 통신부(120-2) 및/또는 저장부(120-3)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후술한다.The access management server 120 may include at least one functional component to perform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20-1, the communication unit 120-2, and/or the storage unit 120-1. 3) may be included. Each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단말(110), 출입 관리 서버(120) 및 게이트 장치(130)는 공통적으로 제어부(110-1, 120-1, 130-1), 통신부(110-3, 120-2, 130-2) 및 저장부(110-4, 120-3, 130-3)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 먼저 설명한다.The terminal 110, the access control server 120, and the gate device 130 commonly include control units 110-1, 120-1, and 130-1, communication units 110-3, 120-2, and 130-2, and Storage units 110-4, 120-3, and 130-3 may be included, which will be described first.

제어부(110-1, 120-1, 130-1)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된 실시예를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을 제어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단말(110), 출입 관리 서버(120) 및 게이트 장치(130)는 '제어부'로 대체되어 설명될 수 있다.The controllers 110-1, 120-1, and 130-1 may perform the embodiments proposed in this specification by controlling at least one other component. Therefor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inal 110, the access management server 120, and the gate device 130 may be replaced with a 'control unit' and described.

제어부(110-1, 120-1, 130-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AP(Application Processor), AP(Application Processor) 또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10-1, 120-1, 130-1)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The controllers 110-1, 120-1, and 130-1 may b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Micro Processor Unit (MPU), Micro Controller Unit (MCU), Application Processor (AP), Application Processor (AP), or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of any type well known in the art. The controllers 110-1, 120-1, and 130-1 may execute at least one application and/or program designed to perform a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통신부(110-3, 120-2, 130-2)는 적어도 하나의 유/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다른 장치/기기/서버와 데이터/신호를 송수신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유/무선 통신 프로토콜로는, 블루투스(Bluetooth), WiFi(Wireless Fidelity), LTE(Long-Term Evolution), 5G(5th-Gener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communication units 110-3, 120-2, and 130-2 may perform communication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signals with other devices/devices/servers using at least on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As wired/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s, Bluetooth, WiFi (Wireless Fidelity), LTE (Long-Term Evolution), 5G (5th-Generation),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etc. may be us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no.

특히, 게이트 장치(130)의 통신부(130-2)는 블루투스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단말(110)과의 블루투스 연결을 위한 블루투스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으며, 단말(110)의 통신부(110-3)는 게이트 장치(130)가 브로드캐스팅 한 블루투스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communication unit 130-2 of the gate device 130 may broadcast a Bluetooth signal for Bluetooth connection with the terminal 110 using a Bluetooth communication protocol, and the communication unit 110-3 of the terminal 110 ) may detect the Bluetooth signal broadcast by the gate device 130.

저장부(110-4, 120-3, 130-3)는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 공간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10-4, 120-3, 130-3)는, 플래시 메모리,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데이터 베이스, 클라우드 등에 해당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s 110-4, 120-3, and 130-3 may correspond to data storage spaces for storing various digital data. For example, the storage units 110-4, 120-3, and 130-3 may correspond to a flash memory, a hard disk drive (HDD), a solid state drive (SSD), a database, a cloud, and the like.

특히, 출입 관리 서버(120)의 저장부(120-3)는 게이트 장치(130)별 식별 정보, 특정 게이트 장치(130)에 대한 사용자의 출입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storage unit 120 - 3 of the access management server 120 may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gate device 130 , user access information for a specific gate device 130 , and the like.

단말(110)은, 이에 추가로 음파 수신부(110-2) 및/또는 디스플레이부(110-5)를 포함할 수 있다. The terminal 110 may further include a sound wave receiving unit 110-2 and/or a display unit 110-5.

음파 수신부(110-2)는 게이트 장치(130)로부터 출력된 음파 신호를 수신/센싱/감지하는 구성으로서, 예를 들어 마이크 센서, 음성 센서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음파 수신부(110-2)는 수신한 음파 신호를 제어부(110-1)로 전달할 수 있으며, 제어부(110-1)는 음파 신호를 디코딩하여 게이트 장치(130)의 식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The sound wave receiving unit 110 - 2 is a component that receives/senss/detects the sound wave signal output from the gate device 130 , and may be, for example, a microphone sensor or a voice sensor. The sound wave receiver 110-2 may transmit the received sound wave signal to the control unit 110-1, and the control unit 110-1 may decode the sound wave signal to extra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gate device 130.

이를 위해, 제어부(110-1)는 음파-디지털 신호 변환부(미도시) 및 디지털 신호 디코딩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음파-디지털 신호 변환부는, 수신한 음파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며, 디지털 신호 디코딩부는,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를 기설정된 디코딩 방식에 따라 디코딩하여 게이트 장치(130)의 식별 데이터를 추출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말(110)의 제어부(110-1)는 음파 신호에 실려/포함되어 있는 게이트 장치(130)의 식별 데이터를 추출하여 게이트 장치(130)의 식별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control unit 110-1 may include a sound wave-digital signal conversion unit (not shown) and a digital signal decoding unit (not shown). The sound wave-to-digital signal conversion unit processes the received sound wave signal and converts it into digital data, and the digital signal decoding unit decodes the converted digital data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decoding method to identify the gate device 130. You can perform an operation to extract data. Through this, the control unit 110 - 1 of the terminal 110 can recogniz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gate device 130 by extracting the identification data of the gate device 130 carried/included in the sound wave signal.

이러한 음파-디지털 신호 변환부 및 디지털 신호 디코딩부의 동작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되는 출입 인식 어플리케이션의 한 기능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제어부(110-1)는 출입 인식 어플리케이션에 사전 정의되어 있는 신호 처리 연산/알고리즘 및 디코딩 연산/알고리즘에 음파 수신부(110-2)로부터 수신한 음파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디지털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Operations of the sound wave-to-digital signal conversion unit and the digital signal decoding unit may be implemented as one function of the access recognition application prop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refore,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10-1 extracts digital data by inputting the sound wave signal received from the sound wave receiving unit 110-2 to the signal processing operation/algorithm and the decoding operation/algorithm predefined in the access recognition application. can

이렇듯 출입 인식 어플리케이션의 한 기능으로서 구현되는 경우, 출입 인식 시스템(100)의 관리자/운영자는 주기적으로 출입 인식 어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함으로써 데이터 인코딩/디코딩 방식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외부 해킹 공격에 의해 게이트 장치(130)의 식별 정보가 쉽게 유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In this way, when implemented as a function of the access recognition application, the manager/operator of the access recognition system 100 can change the data encoding/decoding method by periodically updating the access recognition application. ) can preven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being easily leaked.

디스플레이부(110-5)는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0-5)는, LCD(Liquid Crystal Diode), LED(Light Emitting Diode),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e-paper 등에 해당할 수 있다. 특히, 단말(110)의 디스플레이부(110-5)는 출입 인식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설치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10-5 may output image data.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110 - 5 may correspond to a liquid crystal diode (LCD), a light emitting diode (LE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or e-paper. In particular, the display unit 110 - 5 of the terminal 110 may output an execution/installation screen of an access recognition application.

게이트 장치(130)는, 제어부(130-1), 통신부(130-2), 및/또는 저장부(130-3)에 추가로 음파 출력부(130-4) 및/또는 센서부(13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gate device 130 includes a sound wave output unit 130-4 and/or a sensor unit 130-3 in addition to the control unit 130-1, the communication unit 130-2, and/or the storage unit 130-3. 5) may be further included.

음파 출력부(130-4)는 게이트 장치(130)의 식별 정보가 실린/포함된 음파 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으로서, 예를 들어 스피커가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음파 출력부(130-4)는 제어부(130-1)로부터 게이트 장치(130)의 식별 정보가 실린/포함된 음파 신호를 전달받아 출력할 수 있다. The sound wave output unit 130 - 4 is a component that outputs a sound wave signal loaded/included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gate device 130 , and may be, for example, a speaker. The sound wave output unit 130-4 may receive and output a sound wave signal carrying/includ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gate device 130 from the control unit 130-1.

이를 위해, 제어부(130-1)는 디지털 신호 인코딩부(미도시) 및 디지털-음파 신호 변환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인코딩부는, 게이트 장치(130)의 식별 데이터를 기설정된 인코딩 방식에 따라 인코딩하는 동작을 수행하며, 디지털-음파 신호 변환부는 인코딩된 데이터를 신호 처리하여 음파 신호로 변환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control unit 130-1 may include a digital signal encoding unit (not shown) and a digital-sound wave signal conversion unit (not shown). The digital signal encoding unit performs an operation of encoding the identification data of the gate device 130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encoding method, and the digital-sound wave signal conversion unit performs an operation of signal processing the encoded data and converting it into a sound wave signal. there is.

제어부(130-1)는 이렇게 생성한 음파 신호를 음파 출력부(130-4)로 전달할 수 있으며, 음파 출력부(130-4)는 전달받은 음파 신호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30-1 may transmit the sound wave signal generated in this way to the sound wave output unit 130-4, and the sound wave output unit 130-4 may output the received sound wave signal to the outside.

이러한 디지털 신호 인코딩부 및 디지털-음파 신호 변환부의 동작은, 게이트 장치(130)에 사전 설치된 출입 인식 프로그램의 한 기능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제어부(130-1)는 출입 인식 프로그램에 사전 정의되어 있는 인코딩 연산/알고리즘 및 신호 처리 연산/알고리즘에 게이트 장치(130)의 식별 데이터를 입력함으로써 음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The operation of the digital signal encoding unit and the digital-acoustic signal conversion unit may be implemented as a function of an access recognition program pre-installed in the gate device 130 . Accordingly,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30-1 may generate a sound wave signal by inputting identification data of the gate device 130 to an encoding operation/algorithm and a signal processing operation/algorithm predefined in the access recognition program.

센서부(130-5)는 적어도 하나의 센싱 수단을 사용하여 게이트 장치(130)의 주변 환경을 센싱/감지하고, 센싱/감지 결과를 제어부(130-1)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30-5)는, 중력(gravity) 센서, 지자기 센서, 모션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가속도 센서, 적외선 센서, 기울임(inclination) 센서, 밝기 센서, 고도 센서, 근접 센서, 온도 센서, 뎁스 센서, 압력 센서, 밴딩 센서, 비디오 센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 터치 센서 및 그립 센서 등의 다양한 센싱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or unit 130-5 may sense/sen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gate device 130 using at least one sensing unit, and transmit the sensing/sensing result to the control unit 130-1. For example, the sensor unit 130-5 may include a gravity sensor, a geomagnetic sensor, a motion sensor, a gyroscope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n infrared sensor, an inclination sensor, a brightness sensor, an altitude sensor, a proximity sensor, At least one of various sensing means such as a temperature sensor, a depth sensor, a pressure sensor, a bending sensor, a video sensor,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ensor, a touch sensor, and a grip sensor may be included.

여기서, 근접 센서는 사용자가 실제로 게이트 장치(1303)를 통과 중인지 여부를 센싱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GPS 센서는 블루투스를 대신하여 넓은 범위의 사용자/단말의 출입 대기 상태를 센싱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Here, the proximity sensor may be used as a means for sensing whether a user is actually passing through the gate device 1303, and the GPS sensor may be used as a means for sensing a waiting state of a wide range of users/terminals instead of Bluetooth. can be used

이상으로, 출입 인식 시스템(100)의 구조도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서 설명된 단말(110), 출입 관리 서버(120) 및 게이트 장치(130)를 실시예의 동작 주체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말(110), 출입 관리 서버(120) 및 게이트 장치(130)의 동작은 이들 각각에 설치되어 있는 출입 인식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의 기능으로도 해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Above, the structural diagram of the access recognition system 100 has been examined in detail.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terminal 110, the access management server 120, and the gate device 130 described in FIG. 1 will be described as operating subjects of the embodiment,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erminal 110, access Of course, the operations of the management server 120 and the gate device 130 can also be interpreted as functions of access recognition applications/programs installed in each of them.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대기 상태 인식 반경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상태 인식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ccess standby state recognition radi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flow chart of an access state recogni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인식 시스템은, 사용자의 출입 상태로서 크게 출입 대기 상태와 출입 완료 상태를 감지할 수 있으며, 출입 대기 상태는 다시 넓은 범위(R1)의 출입 대기 상태와 좁은 범위(R2)의 출입 대기 상태로 구분되어 감지될 수 있다. 넓은 범위(R1)의 출입 대기 상태는, 게이트 장치(130)로부터 단말(110)이 제1 거리 이내에 위치한 상태에 해당하며, 좁은 범위(R2)의 출입 대기 상태는, 게이트 장치로부터 단말이 제1 거리 미만인 제2 거리 이내에 위치한 상태에 해당한다. 출입 인식 시스템은, 단말(110)의 출입 상태가 넓은 범위(R1)의 출입 대기 상태에서 좁은 범위(R2)의 출입 대기 상태로 변화된 경우, 사용자가 현재 게이트 장치(130)를 향해 진입 중이며, 곧 게이트 장치(130)를 통과(즉, 출입)할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the access recogni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an access wait state and an access complete state as the user's access state, and the access wait state is again an access within a wide range (R1). It can be detected by being divided into a standby state and an entrance standby state within the narrow range (R2). The entrance waiting state of the wide range R1 corresponds to a state in which the terminal 110 is located within a first distance from the gate device 130, and the entrance waiting state of the narrow range R2 corresponds to a state in which the terminal 110 is located within a first distance from the gate device 130. Corresponds to a state located within a second distance less than the distance. The access recognition system determines that the user is currently entering the gate device 130 when the access state of the terminal 110 changes from the waiting state of the wide range R1 to the waiting state of the narrow range R2. It can be predicted that they will pass through (ie enter and exit) the gate device 130 .

이러한 2가지 출입 대기 상태는 서로 통신 범위/반경(R1, R2)이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함으로써 감지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넓은 범위(R1)의 출입 대기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로서 블루투스 통신 프로토콜, 좁은 범위(R2)의 출입 대기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로서 음파 통신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그 이유로는, 블루투스 통신 프로토콜의 통신 범위/반경(R1)이 음파 통신 프로토콜(R2)에 비해 더 넓으며, 음파 신호의 경우 음파 자체의 직진성으로 인해 음파 신호 감지 공간 구분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These two access standby states can be detected by using communication protocols having different communication ranges/radii (R1, R2).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Bluetooth communication protocol is proposed as a communication protocol for detecting a waiting state for entrance in a wide range (R1), and a sound wave communication protocol is proposed as a communication protocol for detecting a waiting state for entrance in a narrow range (R2). This is because the communication range/radius (R1) of the Bluetooth communication protocol is wider than that of the sound wave communication protocol (R2), and in the case of sound wave signals, it is easy to distinguish the sound wave signal detection space due to the straightness of the sound wave itself.

따라서, 출입 인식 시스템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블루투스 신호를 이용하여 넓은 범위(R1)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사용자의 1차 출입 대기 상태(즉, 넓은 범위의 출입 대기 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S301). 또한 출입 인식 시스템은, 음파 신호의 직진성을 이용하여 감지 공간을 게이트 장치를 기준으로 출입 대기 공간과 출입 완료 공간으로 구분하여 각 공간별로 제1 및 제2 음파 신호를 출력하고, 출입 대기 공간에서 감지되는 제1 음파 신호를 통해 사용자의 2차 출입 대기 상태(즉, 좁은 범위(R2)의 출입 대기 상태)를(S302), 제2 음파 신호를 통해 사용자의 출입 완료 상태를 각각 인식할 수 있다(S303). Therefore, as shown in FIG. 3, the access recognition system detects the user's location in a wide range (R1) using the Bluetooth signal, thereby detecting the user's primary access standby state (ie, a wide range access standby state). It can be recognized (S301). In addition, the access recognition system divides the sensing space into an access waiting space and an access completion space based on the gate device by using the linearity of the sound wave signal, outputs first and second sound wave signals for each space, and detects the first and second sound wave signals for each space.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user's secondary entrance standby state (ie, the entrance waiting state in the narrow range R2) through the first sound wave signal (S302) and the user's entrance completion state through the second sound wave signal (S302). S303).

이렇듯 블루투스 및 음파 신호를 이용한 출입 인식 방법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8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후술하기로 한다. As such, the access recognition method using Bluetooth and sound wave signals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8 .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게이트 장치로 진입 중인 상태에서의 출입 인식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게이트 장치를 통과하여 출입 완료한 상태에서의 출입 인식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인식 방법에 관한 게이트 장치의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인식 방법에 관한 단말의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인식 방법에 관한 출입 관리 서버의 순서도이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ccess recognition system in a state of entering a gat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flow chart of a gate device related to an access recogni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flow chart of a terminal related to an access recogni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of an access management server related to an access recogni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5를 참조하면, 게이트 장치에는 제1 방향(430)으로 제1 음파 신호(420)를 출력하는 제1 음파 신호 출력부(410-1, 410-2), 제1 방향(430)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530)으로 제2 음파 신호(520)를 출력하는 제2 음파 신호 출력부(510-1, 510-2)가 구비될 수 있다. 4 and 5, the gate device includes first sound wave signal output units 410-1 and 410-2 outputting a first sound wave signal 420 in a first direction 430, and a first direction 430. Second sound wave signal output units 510 - 1 and 510 - 2 may be provided to output the second sound wave signal 520 in a second direction 530 , which is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he second sound wave signal 520 .

여기서, 제1 방향(430)은 게이트 장치(130)의 정면으로부터 게이트 장치(130)로 진입/입장하는 사용자(440-1)를 향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제1 음파 신호 출력부(410-1, 410-2)는 게이트 장치(130)의 정면에 구비되어 제1 방향(430)으로 제1 음파 신호(420)를 출력할 수 있다. Here, the first direction 430 may be defined as a direction from the front of the gate device 130 toward the user 440-1 entering/entering the gate device 130, and the first sound wave signal output unit 410 -1 and 410-2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gate device 130 to output the first sound wave signal 420 in the first direction 430.

반대로, 제2 방향(530)은 게이트 장치(130)의 후면으로부터 게이트 장치(130)를 퇴장 중인 사용자(440-2)를 향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제2 음파 신호 출력부(510-1, 510-2)는 게이트 장치(130)의 후면에 구비되어 제2 방향(530)으로 제2 음파 신호(520)를 출력할 수 있다. 앞서 상술하였듯, 음파 신호는 직진성을 가지므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출력되는 제1 및 제2 음파 신호(420, 520) 간에는 서로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다. Conversely, the second direction 530 may be defined as a direction from the back side of the gate device 130 toward the user 440-2 leaving the gate device 130, and the second sound wave signal output unit 510-1 , 510-2)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gate device 130 to output the second sound wave signal 520 in the second direction 530.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ound wave signal has linearity, interference does not occur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ound wave signals 420 and 520 output in opposite directions.

이러한 음파 신호(420, 520)의 직진성과 제1 및 제2 음파 신호 출력부(410-1, 410-2, 510-1, 510-2)의 설치 구조로 인해, 단말(110)이 제1 음파 신호(420)를 감지한 경우 출입 인식 시스템은 현재 사용자(440-1)가 게이트 장치(130) 쪽으로 입장 중인 것으로 인지할 수 있으며, 단말(110)이 제2 음파 신호(520)를 감지한 경우 출입 인식 시스템은 현재 사용자(440-2)가 게이트 장치(130)를 통과하여 출입을 완료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Due to the linearity of the sound wave signals 420 and 520 and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first and second sound wave signal output units 410-1, 410-2, 510-1, and 510-2, the terminal 110 is configured to When the sound wave signal 420 is detected, the access recognition system may recognize that the user 440-1 is currently entering the gate device 130, and the terminal 110 detects the second sound wave signal 520. In this case, the access recognition system may recognize that the current user 440 - 2 has completed access by passing through the gate device 130 .

제1 음파 신호(420)에는 제1 게이트 ID가, 제2 음파 신호(520)에는 제2 게이트 ID가 각각 실려서/포함되어 출력될 수 있으며, 단말(110)은 각 음파 신호(420, 520)로부터 게이트 ID를 추출해낼 수 있다. 출입 관리 서버는 각 게이트 장치(130)에 할당된 제1 및 제2 게이트 ID를 상호 페어링/대응시켜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110)이 제1 게이트 ID를 감지한 후 이와 대응하는 제2 게이트 ID를 감지한 경우, 출입 관리 서버는 단말 사용자(440-2)가 출입을 완료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The first sound wave signal 420 may be output with the first gate ID and the second sound wave signal 520 loaded/included with the second gate ID. The gate ID can be extracted from The access control server may store and manage the first and second gate IDs assigned to each gate device 130 by pairing/corresponding to each other. Accordingly, when the terminal 110 detects the first gate ID and then detects the corresponding second gate ID, the access management server may recognize that the terminal user 440-2 has completed acces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인식 방법에 있어서 각 장치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detailed operations of each device in the access recogni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4 내지 6을 참조하면, 우선 게이트 장치(130)는 출입 관리 서버로부터 제1 및 제2 게이트 ID를 할당받고, 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601). Referring to FIGS. 4 to 6 , first, the gate device 130 may be allocated first and second gate IDs from the access control server and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m (S601).

다음으로, 게이트 장치(130)는 블루투스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함과 동시에, 제1 및 제2 게이트 ID가 포함된/실린 제1 및 제2 음파 신호(420, 520)를 각각 생성하고, 이를 제1 및 제2 방향(430, 530)으로 각각 출력할 수 있다(S602). 제1 및 제2 음파 신호(420, 520)의 생성 방법은 앞서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Next, the gate device 130 broadcasts the Bluetooth signal and simultaneously generates first and second sound wave signals 420 and 520 including/loaded with the first and second gate IDs, respectively. And it can be output in the second direction (430, 530), respectively (S602). The method of generating the first and second sound wave signals 420 and 520 is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

블루투스 신호는 넓은 범위의 사용자 출입 대기 상태를 인식(즉, 1차 대기 상태 인식)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제1 음파 신호(420)는 좁은 범위의 사용자 출입 대기 상태를 인식(즉, 2차 대기 상태)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제2 음파 신호(520)는 사용자 출입 완료 상태를 인식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The Bluetooth signal can be used to recognize a user's waiting state in a wide range (ie, primary waiting state recognition), and the first sound wave signal 420 recognizes a user's waiting state in a narrow range (ie, secondary standby state recognition). state), and the second sound wave signal 520 can be used to recognize the user access completion state.

한편, 본 순서도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게이트 장치(130)는 출입 관리 서버로부터 블루투스 ID에 대한 정보도 추가로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한 블루투스 ID를 블루투스 신호에 포함시켜/실어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블루투스 ID를 수신한 단말(110)은, 단말 ID 및/또는 게이트 ID와 함께 블루투스 ID도 추가로 출입 관리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출입 관리 서버는 수신한 블루투스 ID를 이용하여 제2 게이트 ID와 대응하는 제1 게이트 ID를 빠르게 탐색하기 위한 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대해서는 도 9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this flowchart, the gate device 130 may additionally receive information on a Bluetooth ID from the access management server, and may include/load the received Bluetooth ID in a Bluetooth signal and broadcast it. Upon receiving the Bluetooth ID, the terminal 110 may additionally transmit the Bluetooth ID along with the terminal ID and/or gate ID to the access management server. The access management server may use the received Bluetooth ID as an indicator for quickly searching for a first gate I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gate ID.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 9 .

도 4, 5 및 7을 참조하면, 우선 단말(110)은 Sleep 모드일 수 있다(S701). 여기서, Sleep 모드는 단말(110)의 음파 수신부가 비활성화되어 있는 모드에 해당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4, 5 and 7, first, the terminal 110 may be in a sleep mode (S701). Here, the sleep mode may correspond to a mode in which the sound wave receiver of the terminal 110 is inactivated.

다음으로, 단말(110)은 실시간으로 블루투스 신호를 탐색하여 블루투스 신호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702). 만일, 블루투스 신호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Sleep 모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블루투스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Wake-up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S703). Next, the terminal 110 may search for a Bluetooth signal in real time to determine whether a Bluetooth signal is detected (S702). If the Bluetooth signal is not detected, the sleep mode can be maintained, and if the Bluetooth signal is detected, the wake-up mode can be switched (S703).

Wake-up 모드로 전환된 단말(110)은, 음파 수신부를 기설정된 시간 동안만 활성화할 수 있으며, 활성화된 음파 수신부를 이용하여 음파 신호를 탐색하여 제1 음파 신호(420)를 감지할 수 있다(S704). The terminal 110 switched to the wake-up mode may activate the sound wave receiver only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detect the first sound wave signal 420 by searching for a sound wave signal using the activated sound wave receiver. (S704).

만일, 제1 음파 신호(420)가 기설정된 시간 동안 감지되지 않는 경우, 단말(110)은 블루투스 신호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705). 만일, 블루투스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단말(110)은 기설정된 시간을 연장하여 제1 음파 신호(420) 탐색/감지 동작을 유지할 수 있다(S704). 그러나, 블루투스 신호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출입 대기 범위(즉, 게이트 장치의 블루투스 통신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여 단말(110)은 Sleep 모드로 회귀할 수 있다(S701).If the first sound wave signal 420 is not detected for a preset time, the terminal 110 may determine whether a Bluetooth signal is detected (S705). If the Bluetooth signal is detected, the terminal 110 may extend the preset time to maintain the first sound wave signal 420 search/sensing operation (S704). However, when the Bluetooth signal is not detected,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out of the waiting range (ie, the Bluetooth communication range of the gate device), and the terminal 110 may return to the Sleep mode (S701).

반대로, 제1 음파 신호(420)가 감지되는 경우, 단말(110)은 제1 음파 신호(420)에 포함된 제1 게이트 ID 및 단말 ID를 출입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S706). 여기서, 단말 ID는 단말(110)을 식별하기 위해 각 단말(110)별로 사전 할당된 고유의 식별자에 해당할 수 있다. Conversely, when the first sound wave signal 420 is detected, the terminal 110 may transmit the first gate ID and terminal ID included in the first sound wave signal 420 to the access control server (S706). Here, the terminal ID may correspond to a unique identifier pre-assigned to each terminal 110 to identify the terminal 110 .

다음으로, 단말(110)은 활성화된 음파 수신부를 이용하여 음파 신호를 탐색하여 제2 음파 신호(520)를 감지할 수 있다(S707). Next, the terminal 110 may detect the second sound wave signal 520 by searching for the sound wave signal using the activated sound wave receiver (S707).

만일, 제2 음파 신호(520)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단말(110)은 S704 단계로 회귀하여 제1 음파 신호(420)가 감지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If the second sound wave signal 520 is not detected, the terminal 110 may return to step S704 to determine whether the first sound wave signal 420 is detected.

반대로, 제2 음파 신호(520)가 감지되는 경우, 단말(110)은 제2 음파 신호(520)에 포함된 제2 게이트 ID 및 단말 ID를 출입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S708). Conversely, when the second sound wave signal 520 is detected, the terminal 110 may transmit the second gate ID and terminal ID included in the second sound wave signal 520 to the access control server (S708).

마지막으로, 단말(110)은 출입 관리 서버로부터 출입 결과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출력할 수 있다(S709). Finally, the terminal 110 may receive access result information from the access management server and output it (S709).

도 4, 5 및 8을 참조하면, 우선 출입 관리 서버는 단말(110)로부터 제1 게이트 ID 및 단말 ID를 수신할 수 있다(S801). Referring to FIGS. 4, 5, and 8 , the access management server may first receive a first gate ID and a terminal ID from the terminal 110 (S801).

다음으로, 출입 관리 서버는 단말 ID에 대하여 제1 게이트 ID를 저장할 수 있다(S802).Next, the access management server may store the first gate ID for the terminal ID (S802).

다음으로, 출입 관리 서버는 제2 게이트 ID 및 단말 ID를 수신할 수 있다(S803). Next, the access control server may receive the second gate ID and terminal ID (S803).

다음으로, 출입 관리 서버는 제2 게이트 ID와 대응하는 제1 게이트 ID가 단말 ID에 대하여 기저장 중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804). 보다 상세하게는, 출입 관리 서버는 제2 게이트 ID 및 단말 ID를 수신한 경우, 단말 ID에 대하여 기저장 중인 게이트 ID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만일, 단말 ID에 대하여 기저장 중인 게이트 ID가 있는 경우, 해당 ID가 제2 게이트 ID에 대응하는 제1 게이트 ID인지 확인할 수 있다. Next, the access management server may determine whether the first gate I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gate ID is being previously stored for the terminal ID (S804). More specifically, upon receiving the second gate ID and the terminal ID, the access control server may check whether there is a gate ID previously stored for the terminal ID. If there is a gate ID previously stored for the terminal ID, it may be checked whether the corresponding ID is the first gate I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gate ID.

만일, 기저장 중인 게이트 ID가 제1 게이트 ID인 경우, 출입 관리 서버는 식별된 단말(110)의 사용자에 대한 출입을 확인/인식하고(S805), 사용자의 출입 내역을 기록할 수 있다. 만일, 기저장 중인 게이트 ID가 제1 게이트 ID가 아니거나 기저장 중인 게이트 ID가 없는 경우, 출입 관리 서버는 에러로 판단할 수 있다(S806). If the pre-stored gate ID is the first gate ID, the access control server may check/recognize the user's access of the identified terminal 110 (S805) and record the user's access details. If the pre-stored gate ID is not the first gate ID or there is no pre-stored gate ID, the access management server may determine an error (S806).

실시예에 따라, 출입 관리 서버는 S802 단계에서 제1 게이트 ID를 기설정된 시간 동안만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출입 관리 서버는 제1 게이트 ID를 수신(또는 저장)한 시점부터 기설정된 시간(T)으로 설정된 타이머를 카운팅할 수 있으며, 타이머 만료 전 제2 게이트 ID가 수신되는 경우에만 사용자에 대한 출입을 확인할 수 있다. 타이머가 만료되는 경우에는, 출입 관리 서버는 제1 게이트 ID를 폐기할 수 있으며, 이후 수신되는 제2 게이트 ID에 대해서는 기저장 중인 제1 게이트 ID가 없으므로 에러 판단할 수 있다.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access control server may store the first gate ID only for a preset time in step S802. In this case, the access control server may count the timer set for a predetermined time (T) from the time point at which the first gate ID is received (or stored), and only when the second gate ID is received before the timer expires, information about the user You can check in and out. When the timer expires, the access control server may discard the first gate ID, and since there is no pre-stored first gate ID for the second gate ID received thereafter, it may determine an error.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ID와 게이트 ID간의 계층 구조를 예시한다.9 illustrates a hierarchical structure between a Bluetooth ID and a gate 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서버는 블루투스 통신 범위에 속하는 복수의 게이트 장치들에 대하여 동일한 블루투스 ID를 할당할 수 있다. 따라서, 블루투스 ID와 게이트 ID 간에는 1:N의 관계가 성립하게 되며, 각 게이트 장치의 제1 및 제2 게이트 ID는 블루투스 ID를 기준으로 그룹핑되어 출입 관리 서버 상에 상호 대응되도록 저장될 수 있다. 그 결과, 블루투스 ID와, 제1 및 제2 게이트 ID 간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계층 구조를 이룰 수 있다. The access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locate the same Bluetooth ID to a plurality of gate devices belonging to a Bluetooth communication range. Accordingly, a 1:N relationship is established between the Bluetooth ID and the gate ID, and the first and second gate IDs of each gate device may be grouped based on the Bluetooth ID and stored on the access control server to correspond to each other. As a result, a hierarchical structure as shown in FIG. 9 can be formed between the Bluetooth ID and the first and second gate IDs.

출입 관리 서버는 블루투스 ID와, 제1 및/또는 제2 게이트 ID를 계층 구조화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으며, 이를 추후 제2 게이트 ID와 대응하는 제1 게이트 ID를 효율적으로/신속하게 탐색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The access control server may hierarchically store and manage the Bluetooth ID and the first and/or second gate IDs, which are used to efficiently/quickly search for the first gate I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gate ID in the future. can be utilized

예를 들어, 게이트 장치는 블루투스 신호에 블루투스 ID를 실어/포함시켜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으며, 단말은 블루투스 신호에 포함된 블루투스 ID를 제2 게이트 ID 및 단말 ID와 함께 출입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출입 관리 서버는 수신한 블루투스 ID를 검색하여 해당 블루투스 ID에 대하여 그룹핑되어 있는 게이트 ID 리스트를 불러올 수 있으며, 게이트 ID 리스트에서 제2 게이트 ID와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제1 게이트 ID를 인식/확인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gate device may carry/include a Bluetooth ID in a Bluetooth signal and broadcast it, and the terminal may transmit the Bluetooth ID included in the Bluetooth signal together with the second gate ID and terminal ID to the access management server. The access management server may search for the received Bluetooth ID, retrieve a gate ID list grouped for the corresponding Bluetooth ID, and recognize/confirm the first gate ID stor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second gate ID in the gate ID list. there is.

이렇듯 블루투스 ID를 게이트 ID를 그룹핑하여 저장/관리하는 경우, 블루투스 ID간 동일한 게이트 ID의 사용이 가능하므로, 서로 다른 수많은 게이트 ID를 생성하는 데 소요되는 출입 관리 서버의 동작 오버헤드가 줄어든다는 효과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출입 관리 서버는 10개의 게이트 장치를 구분하기 위해 10개의 제1 및 제2 게이트 ID를 생성할 필요 없이, 5개의 제1 및 제2 게이트 ID를 생성하고, 중복되는 2개의 제1 및 제2 게이트 ID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블루투스 ID를 할당함으로써 구분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제1 게이트 ID 전송 시 다른 게이트 장치와 중복되는 제1 게이트 ID와 구분될 수 있도록 블루투스 ID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In this way, when Bluetooth IDs are stored/managed by grouping gate IDs, the same gate ID can be used between Bluetooth IDs, which reduces the operation overhead of the access control server required to generate numerous different gate IDs. Occurs. For example, the access control server does not need to generate 10 first and second gate IDs to distinguish 10 gate devices, but generates 5 first and 2nd gate IDs, and generates 2 overlapping first and second gate IDs. and the second gate ID may be distinguished by allocating different Bluetooth IDs. In this case, when transmitting the first gate ID, the terminal may also transmit the Bluetooth ID so as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first gate ID overlapping with other gate devices.

이상으로 사용자의 출입 여부를 인식하기 위한 출입 인식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에 추가로 출입 '가능' 여부를 인식/감지하는 출입 인식 시스템에 대해서 제안하기로 한다. In the above, the access recognition system for recognizing whether or not a user has entered has been described. Hereinafter, an access recognition system for recognizing/detecting whether access is 'possible'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proposed.

도 10 및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출입 가능 여부를 인식/감지하는 출입 인식 시스템을 예시한다. 10 and 11 illustrate an access recognition system for recognizing/detecting access availa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 예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 장치는 사용자의 출입 가능 여부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되는 게이트 개폐 장치(105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또는, 사용자(1010)의 출입 가능 여부를 표시(예를 들어, 게이트 장치를 통과/진입 중인 사용자가 출입 가능한 사용자인 경우 파란색 표시, 출입 불가능한 사용자인 경우 빨간색 표시 등)하는 출입 가능 표시 장치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게이트 개폐 장치(1050)가 구비된 게이트 장치를 중심으로 설명한다.As illustrated in FIG. 10 , the gat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gate opening/closing device 1050 that is opened or closed depending on whether a user is permitted to enter or exit. And/or, an access availability display device that displays whether or not the user 1010 is accessible (for example, a blue display if the user passing/entering the gate device is an accessible user, a red display if the user 1010 is not accessible)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 gate device including the gate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50 will be mainly described.

이렇듯 게이트 개폐 장치(1050)가 구비된 경우, 사용자의 출입 가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현재 게이트 장치를 통과 중인 사용자(1010)를 인식하기 위한 제3 음파 신호 출력부(1030-1)가 추가로 요구될 수 있다. 제1 음파 신호 출력부(1020-1, 1020-2)만을 사용하게 되면, 단순히 게이트 장치 앞에서 대기하거나 게이트 장치 앞을 지나가거나 사용자(1110)와 실제 게이트 장치를 통과하려는 사용자(1010)를 구분할 수 없어, 출입 인식 시스템이 게이트 장치 앞에 있는 모든 사용자의 출입 가능 여부를 일일이 판단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는 비효율적일 뿐 아니라, 출입 인식 시스템에 있어 매우 큰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In this way, when the gate opening/closing device 1050 is provided,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user is allowed to enter, a third sound wave signal output unit 1030-1 for recognizing the user 1010 currently passing through the gate device is additionally provided. may be requested When only the first sound wave signal output units 1020-1 and 1020-2 are used, a user 1110 who simply waits in front of the gate device, passes in front of the gate device, or tries to pass through the actual gate device can be distinguished from the user 1010. This is because the access recognition system must individually determine whether all users in front of the gate device are allowed to enter. This is not only inefficient, but can act as a very large burden on the access recognition system.

따라서, 실제 게이트 장치를 통과하는 사용자(1010)에 대해서만 선별적으로 출입 가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게이트 장치 내부에 기설정된 길이의 통로가 형성될 수 있으며, 해당 통로의 내측 방향인 제3 방향으로 제3 음파 신호를 출력하는 제3 음파 신호 출력부(1030-1)가 게이트 장치에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3 방향은 제1 및 제2 방향에 대한 수직 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Therefore, in order to selectively determine whether access is possible only for the user 1010 passing through the actual gate device, a passage of a predetermined length may be formed inside the gate device, and a third direction, which is an inward direction of the passage, may be formed. A third sound wave signal output unit 1030 - 1 outputting a third sound wave signal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gate device. In this case, the third direction may correspond to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게이트 장치는 제3 게이트 ID를 출입 관리 서버로부터 할당받을 수 있으며, 제3 게이트 ID가 포함된 제3 음파 신호를 제3 방향으로 출력할 수 있다. 게이트 장치를 통과 중인 단말은, 음파 수신부를 통해 제3 음파 신호를 감지할 수 있으며, 제3 음파 신호로부터 제3 게이트 ID를 추출하여 단말 ID와 함께 출입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출입 관리 서버는 제3 게이트 ID와 대응하는 제1 게이트 ID가 기저장되어 있는 것을 확인한 경우, 단말 ID에 대응하는 사용자/단말이 현재 게이트 장치를 통과 중임을 인식할 수 있다. The gate device may receive a third gate ID from the access management server and output a third sound wave signal including the third gate ID in a third direction. A terminal passing through the gate device may detect the third sound wave signal through the sound wave receiver, extract a third gate ID from the third sound wave signal, and transmit the third gate ID together with the terminal ID to the access management server. When confirming that the first gate ID corresponding to the third gate ID is pre-stored, the access management server may recognize that the user/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ID is currently passing through the gate device.

이렇듯 사용자/단말이 현재 게이트 장치를 통과 중임을 인식한 출입 관리 서버는, 단말 ID를 기초로 현재 통과 중인 사용자/단말(1010)이 출입 가능한 사용자/단말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출입 관리 서버는 출입 가능한 단말 ID에 대한 리스트를 사전에 저장하고 있을 수 있으며, 제3 게이트 ID와 함께 전송된 단말 ID가 해당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단말 ID인 경우에 한해 출입 가능한 사용자/단말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As such, the access management server recognizing that the user/terminal is currently passing through the gate device can determine whether the user/terminal 1010 currently passing through is an accessible user/terminal based on the terminal ID. To this end, the access management server may store a list of accessible terminal IDs in advance, and only when the terminal ID transmitted along with the third gate ID is a terminal ID included in the corresponding list, the user/accessible user/ It can be determined that it is a terminal.

출입 관리 서버는 판단 결과를 게이트 장치로 전송해줄 수 있으며, 게이트 장치는 판단 결과에 따라, 사용자/단말이 출입 가능한 사용자/단말인 경우 게이트 개폐 장치(1050)를 개방하고, 사용자/단말이 출입 불가능한 사용자/단말인 경우 게이트 개폐 장치(1050)를 개방하지 않을 수 있다. The access management server may transmit the judgment result to the gate device, and the gate device opens the gate opening/closing device 1050 when the user/terminal is a user/terminal capable of access according to the judgment result, and the user/terminal cannot enter. In the case of a user/terminal, the gate opening/closing device 1050 may not be opened.

다만, 이렇듯 제3 방향으로 출력되는 제3 음파 신호가 출입 인식 시스템에 도입되는 경우 음파 신호의 반사하는 성질로 인해,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장애물(1110)에 의해 반사된 제1 음파 신호에 의해 간섭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음파 신호는 노이즈로 작용하게 되며, 단말은 제1 및 제3 음파 신호가 결합된 음파 신호로부터 제3 게이트 ID를 추출해야 하므로, 이로부터 추출된 제3 게이트 ID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 However, when the third sound wave signal output in the third direction is introduced into the access recognition system, the first sound wave signal is reflected by the obstacle 1110 as illustrated in FIG. 11 due to the reflecting property of the sound wave signal. may be interfered with. In this case, the first sound wave signal acts as noise, and since the terminal needs to extract the third gate ID from the sound wave signal in which the first and third sound wave signals are combined, the accuracy of the third gate ID extracted therefrom is reduced. can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노이즈로 작용하는 제1 음파 신호를 노이즈 제거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제1 음파 신호가 결합된 제3 음파 신호에 적용함으로써 노이즈를 제거하는 방법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이사에서 상세히 후술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specification proposes a method of removing noise by converting a first sound wave signal acting as noise into a noise removal signal and applying it to a third sound wave signal to which the first sound wave signal is combined. do.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in the director with reference to FIG. 12 .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음파 신호의 보상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mpensating a third sound wave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가 게이트 장치를 순차적으로 통과한다고 가정했을 때, 단말은 제1 음파 신호 → 제3 음파 신호 → 제2 음파 신호 순으로 음파 신호를 수신하게 되며, 제1 내지 제3 음파 신호 출력부의 출력 방향/공간, 사용자의 이동 방향(사용자가 장애물로 작용할 수 있음)을 고려했을 때, 제1 음파 신호는 제3 음파 신호를 간섭하는 노이즈로 작용할 수 있다. 제3 음파 신호 역시 제2 음파 신호를 간섭하는 노이즈로 작용할 수 있으나, 본 10 및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개폐 장치가 별도로 구비된 경우에는, 제3 음파 신호가 개폐 장치에 의해 차단되므로, 제2 음파 신호에 대한 노이즈로 작용하지 않게 된다. 본 보상 방법에서는, 도 10 및 11에서와 같이, 게이트 개폐 장치가 구비되어 제1 음파 신호만 제3 음파 신호의 노이즈로 작용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Assuming that the user passes through the gate device in sequence, the terminal receives sound wave signals in the order of the first sound wave signal → the third sound wave signal → the second sound wave signal, and the output direction/direction of the first to third sound wave signal output units Considering the space and the user's moving direction (the user may act as an obstacle), the first sound wave signal may act as noise interfering with the third sound wave signal. The third sound wave signal may also act as noise interfering with the second sound wave signal, but as illustrated in Examples 10 and 11, when the gate opening and closing device is provided separately, the third sound wave signal is block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2 It does not act as noise for the sound wave signal. In this compensation method, as shown in FIGS. 10 and 11 , a case in which a gate opening/closing device is provided and only the first sound wave signal acts as noise of the third sound wave signal will be described.

제1 음파 신호가 장애물에 의해 게이트 장치 내부로 반사되어 제3 음파 신호와 함께 단말에 의해 감지된 경우, 단말은 제1 및 제3 음파 신호가 결합된 형태의 대상 음파 신호를 감지/수신하게 된다. When the first sound wave signal is reflected into the gate device by the obstacle and detected by the terminal together with the third sound wave signal, the terminal senses/receives a target sound wave signal in which the first and third sound wave signals are combined. .

이 경우, 단말은 제1 음파 신호를 반전시켜 노이즈 제거 신호로 변환할 수 있으며, 노이즈 제거 신호를 대상 음파 신호와 결합/합성함으로써 대상 음파 신호를 보상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대상 음파 신호에 결합되어 있던 제1 음파 신호는 반전된 제1 음파 신호에 의해 제거되어, 제3 음파 신호만이 남게 된다. 그 결과, 단말이 제1 음파 신호가 결합된 대상 음파 신호로부터 제3 게이트 ID를 추출하는 것보다 제1 음파 신호가 어느 정도 제거된 보상 음파 신호로부터 제3 게이트 ID를 추출하는 것이 제3 게이트 ID를 추출하는 데 있어 정확도가 크게 향상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terminal may invert and convert the first sound wave signal into a noise cancellation signal, and may compensate for the target sound wave signal by combining/synthesizing the noise cancellation signal with the target sound wave signal. In this case, the first sound wave signal coupled to the target sound wave signal is removed by the inverted first sound wave signal, leaving only the third sound wave signal. As a result, it is better for the terminal to extract the third gate ID from the compensated sound wave signal from which the first sound wave signal has been removed to some extent than to extract the third gate ID from the target sound wave signal to which the first sound wave signal is combined. Accuracy can be greatly improved in extracting .

이러한 보상 동작은 실시예에 따라 특정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에 한해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Such a compensation operation may be selectively performed only when a specific condition is satisf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예를 들어, 단말은 제1 게이트 ID를 추출한 후, (기설정된 시간 내) 제1 음파 신호와 다른 음파 신호(즉, 제3 음파 신호)를 감지한 경우, 감지한 음파 신호는 제1 및 제3 음파 신호가 결합된 보상 대상 음파 신호인 것으로 인지하고, 보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terminal detects a sound wave signal (ie, a third sound wave signal) different from the first sound wave signal (within a preset time) after extracting the first gate ID, the detected sound wave signals are the first and second sound wave signals. 3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at the sound wave signal is a combined sound wave signal to be compensated, and perform a compensation operation.

이외에도, 다양한 조건 하에 단말은 도 12의 보상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조건은 출입 인식 시스템의 관리자/운영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erminal may perform the compensation operation of FIG. 12 under various conditions, and these conditions may be set by a manager/operator of the access recognition system.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음파 신호가 제3 음파 신호에 대한 노이즈로 작용하는 경우만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게이트 개폐 장치가 게이트 장치에 구비되지 않음에 따라 제3 음파 신호가 제2 음파 신호에 대한 노이즈로 작용하는 경우에도 본 보상 동작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이전에 수신된 음파 신호를 반전시켜 노이즈 제거 신호를 생성하고, 대상 음파 신호에 노이즈 제거 신호를 합성함으로써 보상하는 동작으로 일반화되어 설명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only the case where the first sound wave signal acts as noise for the third sound wave signal is exemplifi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since the gate device is not provided with the gate device, the third sound wave signal acts as noise for the second sound wave signal. This compensation operation can be equally applied even when it acts as noise. In this case, the terminal may be generalized and described as an operation of inverting a previously received sound wave signal to generate a noise cancellation signal and compensating by combining the noise cancellation signal with the target sound wave signal.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코드 기반의 출입 인식 방법을 예시한다. 13 illustrates an access recognition method based on an access c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출입 코드 기반의 출입 인식 방법/시스템에서, 실시예 수행을 위해 단말은 음파 출력부를, 게이트 장치는 음파 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음파 출력부/수신부에 대한 설명은 앞서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음파 출력부/수신부에 대한 설명이 동일/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present access code-based access recognition method/system, th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sound wave output unit and the gat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ound wave receiver for implementation, and the sound wave output unit/receiver may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above.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sound wave output unit/receiver may be equally/similarly applied. Therefore, redundant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below.

도 13을 참조하면, 출입 관리 서버는 우선 제1 게이트 ID 및 단말 ID를 수신할 수 있다(S1301). Referring to FIG. 13 , the access management server may first receive a first gate ID and a terminal ID (S1301).

다음으로, 출입 관리 서버는 단말 ID를 기반으로 단말의 입장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302). Next, the access management server may determine whether the terminal is allowed to enter based on the terminal ID (S1302).

이를 위해, 출입 관리 서버는 입장 가능한 단말 ID 정보/리스트를 사전에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To this end, the access management server may store access terminal ID information/list in advance.

또는, 출입 관리 서버는 단말의 입장 가능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기 위해, 블루투스 ID 및/또는 게이트 ID와 연계된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출입 가능 여부의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장치가 영화관에 설치된 게이트 장치인 경우, 출입 관리 서버는 수신한 단말 ID에 대한 영화 예약 정보가 있는지 영화관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단말 ID에 대한 영화 예약 정보가 있음을 영화관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확인받은 경우, 출입 관리 서버는 단말이 입장 가능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동작을 위해, 출입 관리 서버는 블루투스 ID 및/또는 게이트 ID와 연계된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관한 정보를 사전에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access management server may request confirmation of access to the application server associated with the Bluetooth ID and/or the gate ID in order to check whether the terminal is allowed to enter in real time. For example, if the gate device is a gate device installed in a movie theater, the access management server may request confirmation from the movie theater application server whether there is movie reservation information for the received terminal ID. When it is confirmed from the theater application server that there is movie reservation information for the terminal ID, the access management server can confirm that the terminal is allowed to enter. For this operation, the access management server may store information about applications (servers) associated with Bluetooth ID and/or gate ID in advance.

또는, 출입 관리 서버는 단말이 출입 권한을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도록, 블루투스 ID 및/또는 게이트 ID와 연계된 어플리케이션을 단말이 실시간으로 호출/설치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 이에 관하여는 도 14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후술한다. 본 동작을 위해, 출입 관리 서버는 블루투스 ID 및/또는 게이트 ID와 연계된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관한 정보를 사전에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Alternatively, the access management server may command the terminal to call/install an application associated with a Bluetooth ID and/or a gate ID in real time so that the terminal can acquire access rights in real time.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 14 . For this operation, the access management server may store information about applications (servers) associated with Bluetooth ID and/or gate ID in advance.

다음으로, 출입 관리 서버는 단말이 입장 가능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제1 출입 코드를 생성하여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S1303). 제1 출입 코드는 게이트 ID와 동일한 방식으로 인코딩되어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단말은 수신한 제1 출입 코드를 음파 신호로 변환하여 음파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으며, 게이트 장치는 단말로부터 출력된 음파 신호를 음파 수신부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게이트 장치는 수신한 음파 신호로부터 제2 출입 코드를 추출하고, 제2 출입 코드가 출입 관리 서버에 의해 정식 발급된 출입 코드인지 출입 관리 서버에 확인 요청할 수 있다(S1304). Next,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terminal is allowed to enter, the access management server may generate and transmit a first access code to the terminal (S1303). The first access code may be encoded in the same way as the gate ID and transmitted to the terminal. The terminal may convert the received first access code into a sound wave signal and output the sound wave signal through the sound wave output unit, and the gate device may receive the sound wave signal output from the terminal through the sound wave receiver. The gate device may extract the second access code from the received sound wave signal and request confirmation from the access management server whether the second access code is an access code officially issued by the access management server (S1304).

다음으로, 출입 관리 서버는 게이트 장치로부터 수신한 제2 출입 코드와 매칭되는 제1 출입 코드를 저장 중인지 확인할 수 있다(S1305).Next, the access management server may check whether the first access code matching the second access code received from the gate device is being stored (S1305).

만일, 제2 출입 코드와 매칭되는 제1 출입 코드를 저장 중인 경우, 출입 관리 서버는 출입 허용 메시지를 게이트 장치로 전송할 수 있으며(S1306), 제2 출입 코드와 매칭되는 제1 출입 코드를 저장 중이지 않은 경우, 출입 관리 서버는 출입 불허 메시지를 게이트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S1307). If the first access code matching the second access code is being stored, the access management server may transmit an access permission message to the gate device (S1306), and the first access code matching the second access code is being stored. If not, the access management server may transmit an access denied message to the gate device (S1307).

출입 관리 서버로부터 출입 허용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게이트 장치는 해당 제2 출입 코드가 포함된/실린 음파 신호를 출력한 단말에 대하여 출입을 허용할 수 있다. 반면, 출입 관리 서버로부터 출입 불허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게이트 장치는 해당 제2 출입 코드가 포함된/실린 음파 신호를 출력한 단말에 대하여 출입을 불허할 수 있다. Upon receiving an access permission message from the access control server, the gate device may allow access to a terminal outputting a sound wave signal including/carrying the corresponding second access code. On the other hand, when receiving an access prohibition message from the access management server, the gate device may deny access to a terminal outputting a sound wave signal including/carrying the corresponding second access code.

출입이 허용/불허된 단말을 정확하게 구분하기 위하여, 음파 수신부는 게이트 장치의 통로 내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출입 코드가 포함된/실린 음파 신호는 근거리까지만 도달할 수 있도록 기설정된 세기/볼륨 미만의 약한 세기/볼륨으로만 단말에서 출력될 수 있다. 그 결과, 제2 출입 코드가 추출 가능한 범위는 게이트 장치 통로 내측/내부로 한정되게 되어, 게이트 장치는 현재 게이트 장치를 통과 중인 사용자/단말을 출입 허용/불허된 사용자/단말로 인식하여 출입 관리 서버로부터 출입 허용/불허 메시지를 수신하는 즉시 출입 허용/불허 동작(예를 들어, 게이트 개폐 장치 개방 또는 폐쇄)을 수행할 수 있다. In order to accurately distinguish terminals from which access is permitted/disallowed, the sound wave receiver may be provided inside the passage of the gate device, and the sound wave signal including/carrying the second access code has a preset intensity/volume to reach only a short distance. It can be output from the terminal only with a weak intensity/volume of less than As a result, the range from which the second access code can be extracted is limited to the inside/inside of the passage of the gate device, and the gate device recognizes the user/terminal currently passing through the gate device as a user/terminal for which access is permitted/disallowed, and the access management server Upon receiving an access permit/disallow message from the controller, an access permit/disallow operation (eg, gate opening/closing device opening or closing) may be performed.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실시간으로 출입 권한을 획득하는 단말의 동작에 관한 순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실시간으로 출입 권한을 획득한 단말이 안내창을 출력하는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이다.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terminal acquiring access authority in real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5 is a terminal that obtains access authority in real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utputs a guide window. It is a drawing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미리 출입 가능 여부가 결정되어 있고 출입 관리 서버는 이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사용자의 입장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으나, 단말이 게이트 장치와 연계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실시간으로 출입 권한을 획득할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ther or not access is allowed is determined in advance, and the access management server ma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user is allowed to enter by checking this, but the terminal calls an application linked to the gate device to grant access authority in real time. can also be obtained.

도 14를 참조하면, 우선 단말은 게이트 장치의 블루투스 ID 및/또는 게이트 ID에 대응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을 출입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S1401). 이때, 출입 관리 서버는 블루투스 ID 및/또는 게이트 ID와 연계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사전에 저장하고 있을 수 있으며, 단말로부터 수신한 블루투스 ID 및/또는 게이트 ID(특히, 제1 게이트 ID)에 대응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을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4 , first, the terminal may receive an execution command of a specific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Bluetooth ID of the gate device and/or the gate ID from the access control server (S1401). At this time, the access control server may store information about a specific application associated with the Bluetooth ID and/or gate ID in advance, and the Bluetooth ID and/or gate ID (in particular, the first gate ID) received from the terminal may be stored in advance. An execution command of a corresponding specific applic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다음으로, 단말은 실행 명령을 받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사전에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확인할 수 있다(S1402). Next, the terminal may determine/confirm whether the specific application received the execution command is installed in advance (S1402).

만일,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단말에 기설치되어 있던 경우, 단말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실행할 수 있으며(S1403),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단말이 기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단말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S1404). 설치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설치가 완료되면, 단말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실행할 수 있다.If a specific application is pre-installed in the terminal, the terminal may call and execute the specific application (S1403), and if the specific application is not pre-installed in the terminal, the terminal displays an installation screen for installing the specific application. It can be output (S1404). When the installation of the specific application is completed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on the installation screen, the terminal may call and execute the specific application.

이렇게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는 실시간으로 출입 권한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장치가 설치된 곳이 영화관인 경우 특정 어플리케이션은 영화 예매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으며, 단말은 출입 관리 서버의 실행 명령에 따라 영화 예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영화표를 예매함으로써 출입 권한을 획득할 수 있다. Through the application thus executed, the user may acquire access authority in real time. For example, when the gate device is installed in a movie theater, the specific application may be a movie reservation application, and the terminal may execute the movie reservation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xecution command of the access control server. The user may acquire access authority by reserving a movie ticket through the executed application.

실시간 출입 권한을 획득함에 따라 출입 코드의 발급이 완료된 경우, 출입 관리 서버는 출입 코드가 발급되었음을 단말에 알릴 수 있으며, 단말(110)은 도 15에 예시된 바와 같은 알림 메시지(1510)를 출력함으로써 출입 코드가 정상적으로 발급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When the issuance of the access code is completed as the real-time access authority is obtained, the access management server may notify the terminal that the access code has been issued, and the terminal 110 outputs a notification message 1510 as illustrated in FIG. The user may be notified that the access code has been normally issued.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수단,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means, for example, hardware, firm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In the case of hardware implementatio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one or mor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PGAs (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etc.

또한,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되어,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implementation by firmware or softwar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odule, procedure, function, etc. that performs the functions or operations described above, and is stored o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can be recorded. Here, th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command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recording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thos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For examp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and DVDs (Digital Video Disks), floptical It includes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a floptical disk,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may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as well as machine language codes generated by a compiler. These hardware devices may be configured to act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장치나 단말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앞서 설명한 기능들과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명령으로는, 예컨대 JavaScript나 ECMAScript 명령 등의 스크립트 명령과 같은 해석되는 명령이나 실행 가능한 코드 혹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되는 기타의 명령이 포함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서버 팜(Server Farm)과 같이 네트워크에 걸쳐서 분산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혹은 단일의 컴퓨터 장치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n apparatus o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riven by a command that causes one or more processors to perform the functions and processe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such instructions may include interpreted instructions, such as script instructions such as JavaScript or ECMAScript instructions, or executable code or other instructions stored on a computer readable medium. Furthermore,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over a network, such as a server farm, or may be implemented in a single computer devi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탑재되고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 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In addition, a computer program (also known as a program, software, software application, script or code) loaded into 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exec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piled or interpreted language or a priori or procedural language. It can be written in any form of programming language, and can be deployed in any form, including stand-alone programs, modules, components, subroutines, or other units suitable for use in a computer environment. Computer programs do not necessarily correspond to files in a file system. A program may be in a single file provided to the requested program, or in multiple interacting files (e.g., one or more modules, subprograms, or files that store portions of code), or parts of files that hold other programs or data. (eg, one or more scripts stored within a markup language document). A computer program may be deployed to be executed on a single computer or multiple computers located at one site or distributed across multiple sites and interconnected by a communication network.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술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each drawing has been divided and described, but it is also possible to design to implement a new embodiment by merging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each drawing.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described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bu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part of each embodiment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It could be.

또한,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above,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art to which the specifica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ubject matter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the person,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Claims (18)

비가청 음파 신호 기반의 출입 인식 방법에 있어서,
게이트 장치가, 블루투스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
단말이, 상기 블루투스 신호를 감지하여, 음파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음파 수신부를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장치가, 제1 게이트 ID(Identifier)가 포함된 제1 음파 신호를 제1 방향으로, 제2 게이트 ID가 포함된 제2 음파 신호를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각각 출력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음파 수신부를 통해 상기 제1 음파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음파 신호로부터 상기 제1 게이트 ID를 추출하여 상기 단말의 ID와 함께 출입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출입 관리 서버가, 상기 단말 ID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게이트 ID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음파 수신부를 통해 상기 제2 음파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제2 음파 신호로부터 상기 제2 게이트 ID를 추출하여 상기 단말 ID와 함께 상기 출입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출입 관리 서버가, 상기 단말의 출입을 인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가청 음파 신호 기반의 출입 인식 방법.
In the access recognition method based on the non-audible sound wave signal,
The gate device broadcasting a Bluetooth signal;
Activating, by a terminal, a sound wave receiver for receiving a sound wave signal by detecting the Bluetooth signal;
The gate device transmits a first sound wave signal including a first gate identifier (ID)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sound wave signal including a second gate ID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respectively. outputting;
detecting, by the terminal, the first sound wave signal through the sound wave receiver;
extracting, by the terminal, the first gate ID from the first sound wave signal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an access control server together with the ID of the terminal;
storing, by the access management server, the first gate ID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ID;
detecting, by the terminal, the second sound wave signal through the sound wave receiver;
extracting, by the terminal, the second gate ID from the second sound wave signal and transmitting the extracted second gate ID to the access control server together with the terminal ID; and
Recognizing, by the access management server, access of the terminal; Including, access recognition method based on non-audible sound wave sig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출입을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출입 관리 서버가,
상기 제2 게이트 ID 및 상기 단말의 ID를 수신한 경우, 상기 단말의 ID에 대하여 기저장 중인 게이트 ID가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기저장 중인 게이트 ID가 있는 경우, 상기 기저장 중인 게이트 ID가 상기 제2 게이트 ID에 대응하는 상기 제1 게이트 ID인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기저장 중인 게이트 ID가 상기 제1 게이트 ID인 경우, 상기 단말의 출입을 인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가청 음파 신호 기반의 출입 인식 방법.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of recognizing the access of the terminal, the access management server,
when the second gate ID and the terminal ID are received, checking whether there is a previously stored gate ID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ID;
checking whether the previously stored gate ID is the first gate I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gate ID, if there is a previously stored gate ID; and
recognizing access of the terminal when the previously stored gate ID is the first gate ID; Including, access recognition method based on non-audible sound wave signal.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신호에 상기 게이트 장치에 할당된 블루투스 ID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게이트 ID는 상기 블루투스 ID를 기준으로 그룹핑되어 상기 출입 관리 서버에 상호 대응되도록 저장되는, 비가청 음파 신호 기반의 출입 인식 방법.
According to claim 2,
When the Bluetooth signal includes the Bluetooth ID assigned to the gate device, the first and second gate IDs are grouped based on the Bluetooth ID and stored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ther in the access control server. access recognition metho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ID는, 상기 제1 또는 제2 게이트 ID 전송 시, 상기 제1 또는 제2 게이트 ID와 함께 상기 단말에서 상기 출입 관리 서버로 전송되는, 비가청 음파 신호 기반의 출입 인식 방법.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Bluetooth ID is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to the access control server along with the first or second gate ID when the first or second gate ID is transmitte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장 중인 게이트 ID가 상기 제1 게이트 ID인지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출입 관리 서버가,
상기 제2 게이트 ID와 함께 전송된 블루투스 ID에 대하여 저장되어 있는 게이트 ID 리스트를 불러오는 단계;
상기 게이트 ID 리스트에서 상기 제2 게이트 ID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제2 게이트 ID와 대응하여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 게이트 ID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기저장 중인 게이트 ID가 상기 제1 게이트 ID와 매칭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가청 음파 신호 기반의 출입 인식 방법.
According to claim 4,
In the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previously stored gate ID is the first gate ID, the access management server,
calling a stored gate ID list for a Bluetooth ID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second gate ID;
searching for the second gate ID in the gate ID list;
checking the first gate ID stor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second gate ID; and
checking whether the previously stored gate ID matches the first gate ID; Including, access recognition method based on non-audible sound wave signal.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게이트 ID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만 상기 출입 관리 서버에 저장되는, 비가청 음파 신호 기반의 출입 인식 방법.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first gate ID is stored in the access management server only for a predetermined time peri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파 수신부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만 활성화되며, 상기 기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제1 음파 신호를 감지하지 못한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블루투스 신호가 감지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블루투스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기설정된 시간을 연장하며, 상기 블루투스 신호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음파 수신부를 비활성화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비가청 음파 신호 기반의 출입 인식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ound wave receiver is activated only for a preset time, and when the first sound wave signal is not detected during the preset time, the terminal,
determining whether the Bluetooth signal is detected; and
extending the predetermined time period when the Bluetooth signal is detected, and deactivating the sound wave receiver when the Bluetooth signal is not detected; Further comprising, access recognition method based on non-audible sound wave sig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장치가, 제3 게이트 ID가 포함된 제3 음파 신호를, 상기 제1 및 제2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인 제3 방향으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음파 수신부를 통해 상기 제3 음파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제3 음파 신호로부터 상기 제3 게이트 ID를 추출하여 상기 단말의 ID와 함께 상기 출입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출입 관리 서버가, 상기 단말이 현재 상기 게이트 장치를 통과 중임을 인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비가청 음파 신호 기반의 출입 인식 방법.
According to claim 1,
outputting, by the gate device, a third sound wave signal including a third gate ID in a thir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detecting, by the terminal, the third sound wave signal through the sound wave receiver;
extracting, by the terminal, the third gate ID from the third sound wave signal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the access control server along with the ID of the terminal;
Recognizing, by the access management server, that the terminal is currently passing through the gate device; Further comprising, access recognition method based on non-audible sound wave signal.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현재 상기 게이트 장치를 통과 중임을 인식한 경우, 상기 출입 관리 서버가,
상기 단말의 ID를 기초로 상기 단말이 출입 가능한 단말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를 상기 게이트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비가청 음파 신호 기반의 출입 인식 방법.
According to claim 8,
When recognizing that the terminal is currently passing through the gate device, the access management server,
determining whether the terminal is an accessible terminal based on the ID of the terminal; and
transmitting a judgment result to the gate device; Further comprising, access recognition method based on non-audible sound wave signal.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장치는, 수신한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단말이 출입 가능한 단말인 경우, 게이트 개폐 장치를 개방하고, 상기 단말이 출입 가능한 단말이 아닌 경우, 상기 게이트 개폐 장치를 개방하지 않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비가청 음파 신호 기반의 출입 인식 방법.
According to claim 9,
The gate device, according to the received judgment result,
opening the gate opening/closing device when the terminal is a terminal capable of entering and exiting, and not opening the gate opening and closing device when the terminal is not a terminal capable of entering and exiting; Further comprising, access recognition method based on non-audible sound wave signal.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게이트 장치를 통과함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 음파 신호를 제1, 제3 및 제2 음파 신호 순으로 수신하며, 이전에 수신한 음파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수신 중인 음파 신호를 보상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비가청 음파 신호 기반의 출입 인식 방법.
According to claim 9,
The terminal receives the first to third sound wave signals in order of first, third, and second sound wave signals as it passes through the gate device, and uses a previously received sound wave signal to obtain a sound wave signal currently being received. compensating; Further comprising, access recognition method based on non-audible sound wave signal.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음파 신호의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이전에 수신한 음파 신호를 반전시켜 노이즈 제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변화된 음파 신호에 상기 노이즈 제거 신호를 합성함으로써 상기 변화된 음파 신호를 보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가청 음파 신호 기반의 출입 인식 방법.
According to claim 11,
In the compensating step, the terminal,
detecting a change in a sound wave signal;
generating a noise canceling signal by inverting the previously received sound wave signal; and
compensating for the changed sound wave signal by synthesizing the noise canceling signal with the changed sound wave signal; Including, access recognition method based on non-audible sound wave sig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게이트 ID 및 상기 단말의 ID가 수신된 경우, 상기 출입 관리 서버는,
상기 단말의 ID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의 입장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입장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1 출입 코드를 발급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비가청 음파 신호 기반의 출입 인식 방법.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first gate ID and the ID of the terminal are received, the access management server,
Determining whether the terminal can enter the terminal based on the ID of the terminal; and
issuing and transmitting a first access code to the termi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is accessible; Further comprising, access recognition method based on non-audible sound wave signal.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입 코드를 수신한 단말은, 상기 제1 출입 코드를 음파 신호로 변환하여 음파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비가청 음파 신호 기반의 출입 인식 방법.
According to claim 13,
converting, at the terminal receiving the first access code, into a sound wave signal and outputting the sound wave signal through a sound wave output unit; Further comprising, access recognition method based on non-audible sound wave signal.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장치가 상기 단말로부터 출력된 음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장치가 상기 음파 신호로부터 제2 출입 코드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장치가 상기 제2 출입 코드가 정식 발급된 출입 코드인지 상기 출입 관리 서버에 확인 요청하는 단계;
상기 출입 관리 서버가, 상기 제2 출입 코드와 매칭되는 출입 코드가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출입 코드와 매칭되는 상기 제1 출입 코드가 있는 경우, 출입 허용 메시지를 상기 게이트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2 출입 코드와 매칭되는 상기 제1 출입 코드가 없는 경우, 출입 불허 메시지를 상기 게이트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비가청 음파 신호 기반의 출입 인식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receiving, by the gate device, a sound wave signal output from the terminal;
extracting, by the gate device, a second access code from the sound wave signal;
requesting, by the gate device, confirmation from the access management server whether the second access code is an officially issued access code;
checking, by the access management server, whether there is an access code matching the second access code; and
When there is the first access code matching the second access code, an access permission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gate device, and when there is no first access code matching the second access code, an access prohibition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gate device. transfer to gate device; Further comprising, access recognition method based on non-audible sound wave sig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게이트 ID에 대응하여 특정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상기 출입 관리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게이트 ID 중 적어도 하나가 수신된 경우, 상기 출입 관리 서버가 상기 단말로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명령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은,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실행하고,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설치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비가청 음파 신호 기반의 출입 인식 방법.
According to claim 1,
When specific appl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gate IDs is stored in the access management server,
commanding, by the access management server, to execute the specific application to the terminal 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gate IDs is received;
Step of the terminal confirming whether the specific application is installed; and
In the terminal, when the specific application is installed, calling and executing the specific application, and when the specific application is not installed, outputting an installation screen for the specific application; Further comprising, access recognition method based on non-audible sound wave signal.
비가청 음파 신호 기반의 출입 인식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
상기 단말의 출입을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출력하는, 게이트 장치; 및
상기 단말 및 상기 게이트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출입 관리 서버; 를 포함하되,
상기 게이트 장치가, 블루투스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고,
단말이, 상기 블루투스 신호를 감지하여, 음파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음파 수신부를 활성화하고,
상기 게이트 장치가, 제1 게이트 ID(Identifier)가 포함된 제1 음파 신호를 제1 방향으로, 제2 게이트 ID가 포함된 제2 음파 신호를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각각 출력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음파 수신부를 통해 상기 제1 음파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음파 신호로부터 상기 제1 게이트 ID를 추출하여 상기 단말의 ID와 함께 출입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출입 관리 서버가, 상기 단말의 ID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게이트 ID를 저장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음파 수신부를 통해 상기 제2 음파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제2 음파 신호로부터 상기 제2 게이트 ID를 추출하여 상기 단말의 ID와 함께 상기 출입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출입 관리 서버가, 상기 단말의 출입을 인식하는, 비가청 음파 신호 기반의 출입 인식 방법.
In the access recognition system based on the non-audible sound wave signal,
terminal;
a gate device that outputs at least one signal for detecting the entry/exit of the terminal; and
an access control server tha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with the terminal and the gate device; Including,
The gate device broadcasts a Bluetooth signal,
The terminal detects the Bluetooth signal and activates a sound wave receiver for receiving a sound wave signal,
The gate device transmits a first sound wave signal including a first gate identifier (ID)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sound wave signal including a second gate ID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respectively. output,
The terminal detects the first sound wave signal through the sound wave receiver,
The terminal extracts the first gate ID from the first sound wave signal and transmits the first gate ID together with the ID of the terminal to an access control server;
The access management server stores the first gate ID corresponding to the ID of the terminal,
The terminal detects the second sound wave signal through the sound wave receiver,
The terminal extracts the second gate ID from the second sound wave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access control server together with the ID of the terminal;
An access recognition method based on a non-audible sound wave signal, wherein the access management server recognizes access of the terminal.
비가청 음파 신호 기반의 출입 인식 어플리케이션에 있어서,
브로드캐스팅된 블루투스 신호를 감지하여, 음파 수신부를 활성화하는 기능;
상기 음파 수신부를 통해 제1 게이트 ID(Identifier)가 포함된 제1 음파 신호를 감지하는 기능;
상기 제1 음파 신호로부터 상기 제1 게이트 ID를 추출하여, 상기 출입 인식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의 ID와 함께 상기 제1 게이트 ID를 출입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기능;
상기 음파 수신부를 통해 제2 게이트 ID가 포함된 제2 음파 신호를 감지하는 기능; 및
상기 제2 음파 신호로부터 상기 제2 게이트 ID를 추출하여, 상기 단말의 ID와 함께 상기 출입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기능; 을 수행하도록 매체에 저장된, 출입 인식 어플리케이션.
In an access recognition application based on a non-audible sound wave signal,
a function of detecting a broadcast Bluetooth signal and activating a sound wave receiver;
a function of detecting a first sound wave signal including a first gate identifier (ID) through the sound wave receiver;
a function of extracting the first gate ID from the first sound wave signal and transmitting the first gate ID together with the ID of the terminal in which the access recognition application is installed to an access management server;
a function of sensing a second sound wave signal including a second gate ID through the sound wave receiver; and
a function of extracting the second gate ID from the second sound wave signal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the access control server together with the ID of the terminal; Access recognition application, stored on the medium to perform.
KR1020210066060A 2021-05-24 2021-05-24 Inaudible sound wave signal-based access recogni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KR1025268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060A KR102526847B1 (en) 2021-05-24 2021-05-24 Inaudible sound wave signal-based access recogni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060A KR102526847B1 (en) 2021-05-24 2021-05-24 Inaudible sound wave signal-based access recogni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8367A KR20220158367A (en) 2022-12-01
KR102526847B1 true KR102526847B1 (en) 2023-04-28

Family

ID=84440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6060A KR102526847B1 (en) 2021-05-24 2021-05-24 Inaudible sound wave signal-based access recogni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6847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3140B1 (en) 2016-03-24 2017-07-31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Authentification Method by User Terminal Connecting Access Controller, Software therefor, and Program Distributing Server Storing the Software
KR102079820B1 (en) 2018-05-11 2020-04-07 주식회사 로텍스 Mobile ID access control system based on non-audible signal
KR102120121B1 (en) 2019-09-16 2020-06-08 주식회사 씨디에스 System for controlling access and analyzing information for visitors based on inaudible acoustic tele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5495A (en) * 2017-10-24 2019-05-03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Method for Managing Distributed Commuting Record by using Sound Wave Signal
KR20190134262A (en) * 2018-05-25 2019-12-04 이에스산전주식회사 System for controlling entrance and exit using B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ntrance and exit using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3140B1 (en) 2016-03-24 2017-07-31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Authentification Method by User Terminal Connecting Access Controller, Software therefor, and Program Distributing Server Storing the Software
KR102079820B1 (en) 2018-05-11 2020-04-07 주식회사 로텍스 Mobile ID access control system based on non-audible signal
KR102120121B1 (en) 2019-09-16 2020-06-08 주식회사 씨디에스 System for controlling access and analyzing information for visitors based on inaudible acoustic tele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8367A (en) 2022-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72515C2 (en) Access control us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101642879B1 (en) Method for securely delivering indoor positioning data and applications
US10408928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recognizing location of user
EP3118820A1 (en) Tracking for badge carrier
KR102373925B1 (en) Operating method of wireless charging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20160173492A1 (en) Authentication method using biometric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CN107810526B (en) User authentication method and device
US2018019736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oken data to a key card reading device
KR20180089200A (en) Voice input processing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ystem supporting the same
KR20170008601A (en) Application Operat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2390973B1 (en) Operating method for payment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10214718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identificationing personal data on video sequentially based on deep learning
US11627139B2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transferring security access permissions between in-camera users
KR20170081500A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20159925A (en) Sub reader and sub reader control method
KR102505254B1 (en) Electronic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2376964B1 (en) Operat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for function execution based on speech command in Locked state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102383792B1 (en) Door Lock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526847B1 (en) Inaudible sound wave signal-based access recogni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US10694043B2 (en) Allowing access to a device responsive to secondary signals previously associated with authorized primary input
JP7217434B2 (en) Entrance management system, entrance management method, portable device, entrance notification method, and program
WO2022208598A1 (en) Authentication system and authentication method
US20190239070A1 (en) Method for unlocking lock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101998879B1 (en) Control method of unmanned crossing gat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KR102649276B1 (en) Elevator control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calling elevator in conjunction with heat detection and access manage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