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6693B1 - Dummy user terminal apparatus - Google Patents

Dummy user terminal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6693B1
KR102526693B1 KR1020220066697A KR20220066697A KR102526693B1 KR 102526693 B1 KR102526693 B1 KR 102526693B1 KR 1020220066697 A KR1020220066697 A KR 1020220066697A KR 20220066697 A KR20220066697 A KR 20220066697A KR 102526693 B1 KR102526693 B1 KR 102526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bluetooth
input
module
inpu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66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형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펀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펀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펀디지
Priority to KR1020220066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669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6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66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Abstrac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mmy user terminal device for a desktop that operates as an external device of a relevant smartphone without being equipped with a high-performance microprocessor, a memory, a mass storage device, and the like when a smartphone equipped with a specific desktop user interface (UI) software is connected wirelessly, and provides a laptop-like usage environment to a user by enabling a computing power of the relevant smartphone to be used. The dummy user terminal device comprises: a keyboard part; a display part; a first Bluetooth module; a second Bluetooth module; a WiFi module; and a control part.

Description

더미 사용자 단말 장치{DUMMY USER TERMINAL APPARATUS}Dummy user terminal device {DUMMY USER TERMINAL APPARATUS}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데스크탑 UI(User Interface) 소프트웨어가 탑재된 스마트폰 기종에 한하여 이 기종의 스마트폰이 무선으로 연결되면 해당 스마트폰의 외부 디바이스로서 동작하여 노트북과 같은 사용 환경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데스크탑용 더미 사용자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 terminal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phone model equipped with a specific desktop UI (User Interface) software, when the smartphone of this model is wirelessly connected, it operates as an external device of the corresponding smartphone and is used as a laptop computer. A dummy user terminal device for a desktop capable of providing a user with a use environment such as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을 TV 등의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에 연결하여 TV의 큰 화면으로 스마트폰의 콘텐츠를 시청하는 기술은 이전부터 널리 상용되고 있다.In general, a technology of connecting a smartphone to a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terminal of a TV or the like to view content of a smartphone on a large screen of a TV has been widely used.

또한, 새로운 스마트폰이 출시될 때마다 스마트폰의 컴퓨팅 파워(Computing Power)가 나날이 향상됨으로써, 스마트폰의 성능이 노트북의 성능을 압도하게 되었다. In addition, whenever a new smartphone is released, the computing power of the smartphone is improved day by day, so the performance of the smartphone overwhelms the performance of the laptop computer.

이와 같이 비약적인 진보가 이루어진 스마트폰은 고성능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인터넷은 물론 고화질의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기본적으로 잦은 휴대 통화로 인한 휴대 편리성에 주된 설계로 인해 그 사이즈를 무한정 크게 할 수 없으며 이에 전체적인 스마트폰의 화면 크기 역시 통상의 노트북에 비해 절대적으로 작아 스마트폰을 노트북처럼 업무용으로 사용하기에는 매우 불편하다.Smartphones that have made rapid progress like thi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watch the Internet as well as high-definition video as they are equipped with high-performance microprocessors. Therefore, the screen size of the overall smartphone is absolutely smaller than that of a normal laptop, making it very inconvenient to use a smartphone for work like a laptop.

따라서 주로 이동식으로 업무를 보기 위해서는 노트북도 스마트폰과 함께 휴대하고 다니며 사용하고 있으나, 통상의 노트북은 고성능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메모리, 대용량 저장장치 등을 구비함에 따라 가격이 고가이며, 구매 후 2~3년 후에는 저하된 성능을 업그레이드하기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in order to do business mainly on the move, laptops are also carried and used along with smartphones, but normal laptops are expensive as they are equipped with high-performance microprocessors, memory, and mass storage devices, and require 2-3 After a yea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upgrade the degraded performance.

또한 스마트폰은 액정화면이 작아 노트북 등에 연결시켜 노트북의 화면을 통해 영상기능을 제공받도록 하는 다양한 기술이 제안된 바 있지만, 스마트폰과 노트북의 기능이 대부분 중복되며, 이러한 기능 중복에도 불구하고 따로 구매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부담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martphones have a small LCD screen, so various technologies have been proposed to connect them to laptops and receive video functions through the laptop screen. There is a problem with cost burden because it has to be done.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39158호(2015.12.11.)Publication No. 10-2015-0139158 (2015.12.11.)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특정 데스크탑 UI(User Interface) 소프트웨어가 탑재된 스마트폰이 무선으로 연결되면 고성능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메모리, 대용량 저장장치 등의 구비없이 해당 스마트폰의 외부 디바이스로서 동작하여 해당 스마트폰의 컴퓨팅 파워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트북과 같은 사용 환경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데스크탑용 더미 사용자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high-performance microprocessor, memory, mass storage device, etc. when a smartphone equipped with a specific desktop UI (User Interface) software is wirelessly connected. To provide a dummy user terminal device for a desktop that operates as an external device of a corresponding smart phone and uses computing power of the corresponding smart phone, thereby providing a user with a laptop-like use environment.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데스크탑용 더미 사용자 단말 장치는, 키입력을 위한 키보드부; 영상 표시 및 터치 입력을 위한 표시부; 제1 블루투스 신호를 주위에 방출하고, 상기 방출된 제1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한 스마트폰으로부터의 선택에 따라 해당 스마트 폰과 제1 블루투스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1 블루투스모듈; 제2 블루투스 신호를 주위에 방출하고, 상기 방출된 제2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한 스마트폰으로부터의 선택에 따라 해당 스마트 폰과 제2 블루투스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2 블루투스모듈; 스마트폰에 탑재된 특정 데스크탑 UI(User Interface) 소프트웨어로부터의 선택에 따라 해당 스마트폰의 화면에 표시된 영상을 스마트폰으로부터 와이파이 무선 통신을 통해 전달받기 위한 와이파이모듈; 및 적어도 상기 와이파이모듈을 통해 스마트폰으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을 상기 표시부의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블루투스모듈은 상기 키보드를 통해 입력된 제1 입력 신호를 상기 제1 블루투스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된 스마트폰으로 전달하여 스마트폰을 제어(예컨대, 탑재된 특정 데스크탑 UI 소프트웨어를 통해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제2 블루투스모듈은 상기 표시부의 터치패드를 통해 입력된 제2 입력 신호를 상기 제2 블루투스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된 스마트폰으로 전달하여 스마트폰을 제어(예컨대, 탑재된 특정 데스크탑 UI 소프트웨어를 통해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와이파이모듈은 상기 전달된 제1 및 제2 입력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기초로 동작(제어)되는 스마트폰의 화면 영상을 상기 와이파이 무선 통신을 통해 스마트폰으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의 터치패드를 통해 입력된 제2 입력 신호 중 대기 화면 상의 터치패드를 통해 입력된 제2-1 입력신호와 스마트폰으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의 표시 화면 상의 터치패드를 통해 입력된 제2-2 입력신호를 구분하여, 상기 제2-1 입력신호를 기초로 상기 표시부, 상기 제1 블루투스모듈, 상기 제2 블루투스모듈, 및 상기 와이파이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제2-2 입력신호를 적어도 제2 블루투스모듈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전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dummy user terminal device for a desktop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eyboard unit for key input; a display unit for image display and touch input; A first Bluetooth module for emitting a first Bluetooth signal to the surroundings and performing a first 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mart phone according to a selection from the smart phone receiving the emitted first Bluetooth signal; A second Bluetooth module for emitting a second Bluetooth signal to the surroundings and performing a second 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mart phone according to a selection from the smart phone receiving the emitted second Bluetooth signal; A Wi-Fi module for receiving an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through Wi-Fi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 selection from a specific desktop UI (User Interface) software mounted on the smartphone; and a control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received from a smartphone through at least the Wi-Fi module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wherein the first Bluetooth module transmits a first input signal input through the keyboard to the first input signal. It can be transmitted to a smartphone connected through 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to control the smartphone (eg, controlled through a specific desktop UI software installed), and the second Bluetooth module is a second input input through the touch pad of the display unit. A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a smartphone connected through the second 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to control the smartphone (eg, through a specific desktop UI software installed therein), and the Wi-Fi module may receive the transmitted first and second inputs. A screen image of the smart phone operated (controlled) based on at least one command among the signals may be received from the smart phone through the Wi-Fi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control unit may receive a second input signal input through the touch pad of the display unit. By distinguishing the 2-1 input signal input through the touch pad on the standby screen and the 2-2 input signal input through the touch pa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image transmitted from the smartphone, the 2-1 input signal Based 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at least one of the display unit, the first Bluetooth module, the second Bluetooth module, and the Wi-Fi module, and the 2-2 inpu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martphone through at least the second Bluetooth module. can be controlled to be passed on.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1 입력신호의 종류에 따라 음향 크기 또는 화면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adjust sound volume or screen brightnes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2-1 input signal.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1 입력신호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제1 블루투스모듈, 상기 제2 블루투스모듈, 및 상기 와이파이모듈을 포함하는 무선 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select and activate or deactivate at least one of the wireless ports including the first Bluetooth module, the second Bluetooth module, and the Wi-Fi modul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2-1 input signal.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1 입력신호의 종류에 따라 상기 무선 포트와 구분되는 하나 이상의 유선 포트 중 하나를 선택하여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select and activate or deactivate one of one or more wired ports distinguished from the wireless port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2-1 input signal.

상기 유선 포트는 TYPE-C-IN 포트 및 HDMI-IN 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TYPE-C-IN 포트는 상기 키보드를 통해 입력된 제1 입력 신호 및 상기 표시부의 터치패드를 통해 입력된 제2 입력 신호를 (스마트폰과의) 유선 연결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전달하고, 상기 전달된 제1 및 제2 입력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기초로 동작되는 스마트폰의 화면 영상을 (스마트폰과의) 유선 연결을 통해 전달받기 위한 유선 포트일 수 있다. The wired por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YPE-C-IN port and an HDMI-IN port, and the TYPE-C-IN port receives a first input signal input through the keyboard and a touch pad of the display unit. The input second input signal is transferred to the smartphone through a wired connection (with the smartphone), and the screen image of the smartphone operated based on at least one command of the delivered first and second input signals is displayed ( It may be a wired port for receiving data through a wired connection with a smartphon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블루투스 모듈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입력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달하여 상기 스마트폰을 동작시키고, 상기 와이파이 모듈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동작 결과에 따른 영상을 상기 표시부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The controller transfers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input signals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Bluetooth modules to the smart phone to operate the smart phone, and transfers the signal from the smart phone through the Wi-Fi module. An image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received oper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따르면, 고성능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메모리, 대용량 저장장치 등의 구비없이 스마트폰에 무선(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해당 스마트폰의 컴퓨팅 파워를 이용하는 외부 디바이스로서 동작하여 노트북과 같은 사용 환경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various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onnected wirelessly (or wired) to a smartphone without a high-performance microprocessor, memory, mass storage device, etc., and operates as an external device using the computing power of the smartphone. Thus, a use environment similar to that of a laptop computer may be provided to the user.

즉, 스마트폰을 연결하면 노트북과 같은 사용환경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각종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되, 통상적인 노트북에서 필요한 고성능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메모리, 대용량 저장장치 등을 구비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고 성능 저하로 인한 업그레이드의 필요성이 전혀 없어 사용자의 구입 부담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That is, when a smartphone is connected, a user is provided with a laptop-like use environment so that various tasks can be performed smoothly, but a high-performance microprocessor, memory, mass storage device, etc. required in a typical laptop are not provided. It can be manufactured at low cost and there is no need for upgrade due to performance deterioration, so the user's purchase burden can be greatly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데스크탑용 더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데스크탑용 더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데스크탑용 더미 사용자 단말 장치의 대기 화면의 예시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ummy user terminal device for a desktop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trol flow diagram of a dummy user terminal device for desktop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standby screen of a dummy user terminal device for a desktop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 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the same components should have the sam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데스크탑용 더미 사용자 단말 장치(이하, '더미 사용자 단말'이라 칭함)(1)의 구성도로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미 사용자 단말(1)은 키보드입력부(11), 표시부(13), 제1 블루투스모듈(15), 제2 블루투스모듈(17), 와이파이모듈(19), 유선포트(21), 및 제어부(23)를 포함할 수 있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ummy user terminal device for desktop us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ummy user terminal')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the dummy user terminal 1 ) May include a keyboard input unit 11, a display unit 13, a first Bluetooth module 15, a second Bluetooth module 17, a Wi-Fi module 19, a wired port 21, and a control unit 23. there is.

더미 사용자 단말(1)은 스마트폰(3)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해당 스마트폰(3)의 컴퓨팅 파워를 이용하는 외부 디바이스로서 동작하여 노트북과 같은 사용 환경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dummy user terminal 1 is connected to the smart phone 3 wirelessly or wired and operates as an external device using the computing power of the smart phone 3 to provide a user with a laptop-like use environment.

스마트폰(3)은 탑재된 특정 데스크탑 UI(User Interface)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자신의 컴퓨팅 파워를 더미 사용자 단말(1)에게 제공할 수 있다. The smart phone 3 may provide its own computing power to the dummy user terminal 1 through a specific desktop user interface (UI) software.

키보드입력부(11)는 통상적인 키보드의 자판을 통해 사용자로부터의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The keyboard input unit 11 is for inputting a signal from a user through a typical keyboard.

표시부(13)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터치 패드(또는 터치 스크린이라 칭함)가 내장된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3 represents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n image, and may include a screen in which a touch pad (or referred to as a touch screen) is embedded.

제1 블루투스모듈(15)은 스마트폰(3)의 키보드 정보를 제어하기 위하여 스마트폰(3)과 제1 블루투스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무선 포트로서, 활성화 시 제1 블루투스 신호를 주위에 방출하고, 그 방출된 제1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한 스마트폰(3)으로부터의 선택에 따라 즉, 스마트폰(3) 설정에서 블루투스 실행 후 (수신) 목록에서 제1 블루투스 신호를 찾아 선택하면, 해당 스마트폰(3)과 제1 블루투스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first Bluetooth module 15 is a wireless port for connecting the smartphone 3 and the first 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n order to control keyboard information of the smartphone 3, and emits a first Bluetooth signal to the surroundings when activated. And, according to the selection from the smart phone 3 that received the emitted first Bluetooth signal, that is, after executing Bluetooth in the smart phone 3 settings, if the first Bluetooth signal is found and selected in the (received) list, the corresponding smart phone A first 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phone 3 can be performed.

제1 블루투스모듈(15)은 스마트폰(3)과 무선 연결된 후 키보드(11)를 통해 입력되는 제1 입력 신호를 제1 블루투스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된 스마트폰(3)으로 전달한다.The first Bluetooth module 15 transmits a first input signal input through the keyboard 11 after being wirelessly connected to the smartphone 3 to the smartphone 3 connected through the first 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제1 블루투스모듈(15)은 블루투스 키보드 기능을 하는 SYD8810 블루투스 칩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Bluetooth module 15 may include a SYD8810 Bluetooth chip functioning as a Bluetooth keyboard.

제2 블루투스모듈(17)은 스마트폰(3)의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패널이라 칭함) 정보를 제어하기 위하여 스마트폰(3)과 제2 블루투스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무선 포트로서, 활성화 시 제2 블루투스 신호를 주위에 방출하고, 그 방출된 제2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한 스마트폰(3)으로부터의 선택에 따라 즉, 스마트폰(3) 설정에서 블루투스 실행 후 (수신) 목록에서 제2 블루투스 신호를 찾아 선택하면, 해당 스마트폰(3)과 제2 블루투스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second Bluetooth module 17 is a wireless port for connecting to the smartphone 3 and the second 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n order to control information on the touch screen (or referred to as a touch panel) of the smartphone 3, and when activated A second Bluetooth signal is emitted to the surroundings, and according to a selection from the smartphone 3 that has received the emitted second Bluetooth signal, that is, after executing Bluetooth in the smartphone 3 settings, the second Bluetooth signal is displayed in the (receive) list. When a signal is found and selected, second 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mart phone 3 can be performed.

제2 블루투스모듈(17)은 스마트폰(3)과 무선 연결된 후 표시부(13)의 터치패드(또는 터치패널이라 칭하거나 터치스크린이라 칭함)를 통해 입력된 제2 입력 신호를 제2 블루투스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된 스마트폰(3)으로 전달한다.The second Bluetooth module 17 transmits a second input signal input through the touchpad (or referred to as a touch panel or referred to as a touch screen) of the display unit 13 after being wirelessly connected to the smartphone 3 through the second 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It is transmitted to the smart phone 3 connected through.

제2 블루투스모듈(17)은 블루투스 터치 패널 기능을 하는 SG11UA 블루투스 칩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Bluetooth module 17 may include a SG11UA Bluetooth chip functioning as a Bluetooth touch panel.

와이파이모듈(19)은 Mira 캐스트 프로토콜에 따른 와이파이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스마트폰(3)과 연결하기 위한 무선 포트로서, 스마트폰(3)에 탑재된 특정 데스크탑 UI(User Interface) 소프트웨어로부터의 선택적 실행에 따라 즉, 스마트폰(3)의 특정 데스크탑 UI(User Interface) 소프트웨어에서 더미 사용자 단말(1)의 와이파이 연결을 실행하면, 해당 스마트폰(3)의 화면에 표시된 영상을 스마트폰(3)으로부터 와이파이 무선 통신(예를 들어, Mira 캐스트 프로토콜에 따른 와이파이 무선 통신)을 통해 전달받는다. The Wi-Fi module 19 is a wireless port for connecting to the smartphone 3 according to the Wi-Fi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Mira cast protocol, and selective execution from a specific desktop UI (User Interface) software mounted on the smartphone 3 That is, when the Wi-Fi connection of the dummy user terminal 1 is executed in the specific desktop UI (User Interface) software of the smartphone 3, the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3 is transmitted from the smartphone 3. It is transmitted through Wi-Fi wireless communication (eg, Wi-Fi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Mira cast protocol).

스마트폰(3)과 더미 사용자 단말(1)의 와이파이모듈(19)이 연결되면 스마트폰(3)은 자신의 화면 영상(예를 들어 초당 30개의 스크린 샷)을 와이파이 무선 통신을 통해 더미 사용자 단말(1)로 전달하고, 더미 사용자 단말(1)은 해당 영상을 와이파이모듈(19)을 통해 수신한다.When the smart phone 3 and the Wi-Fi module 19 of the dummy user terminal 1 are connected, the smart phone 3 transmits its own screen image (for example, 30 screen shots per second) to the dummy user terminal through Wi-Fi wireless communication. (1), and the dummy user terminal 1 receives the corresponding video through the Wi-Fi module 19.

와이파이모듈(19)은 Mira 캐스트 프로토콜에 따른 와이파이 무선 통신하는 RTL8821CU 칩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Fi module 19 may include an RTL8821CU chip that performs Wi-Fi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Mira cast protocol.

유선포트(21)는 무선포트(15,17,19)와 구분되는 하나 이상의 유선 포트로서, 예를 들어, TYPE-C-IN 포트 및 HDMI-IN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d port 21 is one or more wired ports distinguished from the wireless ports 15, 17, and 19,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TYPE-C-IN port and an HDMI-IN port.

TYPE-C-IN 포트는 키보드(11)를 통해 입력된 제1 입력 신호 및 표시부(13)의 터치패드를 통해 입력된 제2 입력 신호를 스마트폰(3)과의 유선 연결을 통해 스마트폰(3)으로 전달하고, 그 전달된 제1 및 제2 입력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기초로 동작되는 스마트폰(3)의 화면 영상을 스마트폰(3)과의 유선 연결을 통해 전달받기 위한 유선 포트를 나타낸다.The TYPE-C-IN port transmits a first input signal input through the keyboard 11 and a second input signal input through the touch pad of the display unit 13 to the smartphone (3) through a wired connection. 3), and to receive the screen image of the smartphone 3 operated based on at least one command of the transmitted first and second input signals through a wired connection with the smartphone 3 Wired for receiving indicates the port.

제어부(23)는 스마트폰(3)으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을 표시부(13)의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 예로 무선포트로서의 와이파이모듈(19)을 통해 수신된 영상을 표시부(13)의 화면에 표시하거나, 다른 예로 유선포트(21)를 통해 수신된 영상을 표시부(13)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3 is for displaying the image received from the smartphone 3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3, for example, the image received through the Wi-Fi module 19 as a wireless port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3. Alternatively, as another example, an image received through the wired port 21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3 .

제어부(23)는 표시부(13)의 터치패드 또는 트랙패드를 통해 입력된 제2 입력 신호 중 대기 화면 상의 터치패드를 통해 입력된 신호, OSD(On Screen Display) 화면 상의 터치패드를 통해 입력된 신호, 및 PIP(Picture In Picture) 화면 상의 터치패드를 통해 입력된 신호 중 하나(이하, 제2-1 입력신호라 칭함)와 스마트폰으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의 표시 화면 상의 터치패드를 통해 입력된 신호(이하, 제2-2 입력신호라 칭함)를 구분하여 제어할 수 있다.Among the second input signals input through the touchpad or trackpad of the display unit 13, the control unit 23 includes a signal input through the touchpad on the standby screen and a signal input through the touchpad on the On Screen Display (OSD) screen. , and one of the signals input through the touchpad on the PIP (Picture In Picture) scree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2-1 input signal) and the signal input through the touchpa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image received from the smartphone (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2-2 input signal) may be classified and controlled.

제어부(23)는 제2-1 입력신호(예컨대, 대기 화면 상의 터치 스크린 정보)를 기초로 표시부(13), 제1 블루투스모듈(15), 제2 블루투스모듈(17), 와이파이모듈(19)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제2-1 입력 신호의 종류에 따라 표시부(13)의 화면 밝기 또는 음향 크기 등을 제어하거나, 제1 블루투스모듈(15), 제2 블루투스모듈(17), 및 와이파이모듈(19)을 각각 또는 동시에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3 controls the display unit 13, the first Bluetooth module 15, the second Bluetooth module 17, and the Wi-Fi module 19 based on the 2-1 input signal (eg, touch screen information on the standby screen). It is possible to control at least one operation of, for example, controlling the screen brightness or sound volume of the display unit 13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2-1 input signal, or controlling the first Bluetooth module 15, the second The Bluetooth module 17 and the Wi-Fi module 19 can be controlled to be activated or deactivated individually or simultaneously.

일 예로, 제어부(23)는 도 3의 표시부(13)의 대기 화면의 일측부(도면상 우측 하단부)에 OSD 또는 PIP 화면 등으로 표시되는 각종 메뉴 항목(예: 음향 크기 조절 항목, 화면 밝기 조절 항목, 입력 포트 선택(활성화/비활성화) 항목 등) 중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터치)되면 선택된 메뉴 항목에 대응하는 제2-2 입력 신호를 기초로 해당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각종 메뉴 항목은 대기 화면 이외의 다른 영상 화면에서도 특정 OSD 또는 PIP 화면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23 may display various menu items (eg, sound volume control item, screen brightness control) displayed as an OSD or PIP screen on one side (lower right part in the drawing) of the standby screen of the display unit 13 of FIG. 3 When one of the items, the input port selection (activation/deactivation) item, etc.) is selected (touched) by the user, the corresponding control can be performed based on the 2-2nd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menu item. Various menu items can be displayed on a specific OSD or PIP screen on a video screen other than the standby screen.

또한, 제어부(23)는 제2-1 입력신호의 종류에 따라 무선 포트와 구분되는 하나 이상의 유선 포트(21) 중 하나를 선택하여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23 may select and activate or deactivate one of one or more wired ports 21 distinguished from wireless port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2-1 input signal.

제어부(23)는 표시부(13)의 화면 중 스마트폰(3)으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의 표시 화면 상의 터치패드를 통해 입력된 제2-2 입력신호에 대해서는 아무런 제어 동작을 하지 않고 해당 제2-2 입력신호를 스마트폰(3)으로 전달되도록 하여 스마트폰(3)의 터치스크린 정보로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3 does not perform any control operation on the 2-2 input signal input through the touch pa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image transmitted from the smartphone 3 among the screens of the display unit 13, and does not perform any control operation. The input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smart phone 3 to be used as touch screen information of the smart phone 3 .

제2-2 입력신호는 무선 모드의 활성화 시 제2 블루투스모듈(17)을 통해 스마트폰(3)으로 전달되고, 유선 모드의 활성화 시 유선 포트(21)를 통해 스마트폰(3)으로 전달될 수 있다.The 2-2 inpu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martphone 3 through the second Bluetooth module 17 when the wireless mode is activated, and transmitted to the smartphone 3 through the wired port 21 when the wired mode is activated. can

제어부(23)는 마더보드로서 RTD2556T 칩셋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3 may include a RTD2556T chipset as a motherboard.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데스크탑용 더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흐름도로서, 도 1의 더미 사용자 단말(1)에 적용되므로 그 동작과 병행하여 설명하되, 더미 사용자 단말(1)의 무선 모드 활성화 시를 일 예로 설명한다.FIG. 2 is a control flowchart of a dummy user terminal device for desktop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applied to the dummy user terminal 1 of FIG. 1, its operation will be described in parallel. A case in which the wireless mode is activated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먼저, 더미 사용자 단말(1)을 턴-온(turn-on)시키면(S201) 표시부(13)에 도 3과 같은 대기화면이 표시된다(S203).First, when the dummy user terminal 1 is turned on (S201), a standby screen as shown in FIG. 3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 (S203).

예를 들어, 더미 사용자 단말(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 화면에서 스마트폰(3)과의 무선 연결 방법, 무선 미러링 연결 방법, 유선 연결 방법 등의 기 설정된 문자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고, 대기 화면의 일측부(도면상 우측 하단부)에 각종 화면 조절 메뉴 항목(예: 음향 크기 조절 항목, 화면 밝기 조절 항목, 입력 포트 선택 항목 등)을 문자 또는 그림, 아이콘 등으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터치/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 the dummy user terminal 1 displays preset characters such as a wireless connection method with the smartphone 3, a wireless mirroring connection method, and a wired connection method on the idle screen to inform the user. In addition, various screen control menu items (e.g., sound volume control, screen brightness control, input port selection, etc.) are displayed in text, pictures, icons, etc. so that the user can touch/select it.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더미 사용자 단말(1)은 단계 S203의 대기 화면 상태에서 제1 블루투스모듈(15), 제2 블루투스모듈(17), 및 와이파이모듈(19)을 포함한 무선 포트가 활성화 상태인 것을 전제한다.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dummy user terminal 1 has a wireless port including the first Bluetooth module 15, the second Bluetooth module 17, and the Wi-Fi module 19 in an active state in the standby screen state of step S203. presuppose that

이어 단계 S203의 대기 화면에 표시된 무선 연결 안내에 따라 스마트폰(3) 설정에서 블루투스 실행 후, 목록에서 제1 블루투스모듈(15)의 제1 블루투스 신호 및 제2 블루투스모듈(17)의 제2 블루투스 신호를 각각 찾아 연결하면, 더미 사용자 단말(1)과 스마트폰(3) 간에 제1 블루투스 무선 통신 연결(S205)과 제2 블루투스 무선 통신 연결(S207)이 완료되고, 스마트폰(3)에 탑재된 특정 데스크탑 UI(User Interface) 소프트웨어로부터의 선택적 실행에 따라 즉, 스마트폰(3)의 특정 데스크탑 UI(User Interface) 소프트웨어에서 더미 사용자 단말(1)의 와이파이 연결을 실행하면, 더미 사용자 단말(1)은 스마트폰(3)의 화면에 표시된 영상을 스마트폰(3)으로부터 와이파이모듈(19)을 통해 와이파이 무선 통신(예를 들어, Mira 캐스트 프로토콜에 따른 와이파이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은 제어부(23)를 통해 표시부(13)의 화면에 실시간 표시된다(S211).Subsequently, after executing Bluetooth in the smartphone 3 setting according to the wireless connection guide displayed on the standby screen in step S203, the first Bluetooth signal of the first Bluetooth module 15 and the second Bluetooth signal of the second Bluetooth module 17 are listed in the list. When each signal is found and connected, a first 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S205) and a second 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S207) between the dummy user terminal 1 and the smart phone 3 are completed, and mounted on the smart phone 3. When Wi-Fi connection of the dummy user terminal 1 is executed in the specific desktop UI (User Interface) software of the smart phone 3 according to selective execution from the specific desktop UI (User Interface) software that has been selected, the dummy user terminal 1 ) Receives the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3 from the smartphone 3 through the Wi-Fi module 19 according to the Wi-Fi wireless communication (eg, Wi-Fi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Mira cast protocol) method, and receives The resulting image is displayed in real time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3 through the control unit 23 (S211).

더미 사용자 단말(1)은 단계 S211에서 표시부(13)의 화면에 스마트폰 화면 영상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키보드입력부(11)를 통해 키보드 신호(제1 입력 신호)가 입력되거나(S213) 또는 표시부(13)의 터치 패널을 통해 터치 신호(제2 입력 신호 중 제2-2 입력 신호)가 입력되면(S215, S217), 해당 제1 및 제2-2 입력 신호를 각각 제1 블루투스모듈(15) 및 제2 블루투스모듈(17)을 통해 스마트폰(3)으로 전송하고(S219), 턴-오프되기 전까지 단계 S211의 스마트폰 화면 영상 수신 및 표시를 계속하고 턴-오프되면 종료한다(S221). In step S211, in the dummy user terminal 1, a keyboard signal (first input signal) is input through the keyboard input unit 11 in a state where the smartphone screen image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3 (S213) or the display unit ( When a touch signal (the 2-2nd input signal among the 2nd input signals) is input through the touch panel of 13) (S215, S217), the corresponding 1st and 2-2nd input signals are respectively transmitted to the first Bluetooth module 15 And transmits to the smartphone 3 through the second Bluetooth module 17 (S219), continues receiving and displaying the smartphone screen image of step S211 until turned off, and ends when turned off (S221).

예컨대, 단계 S219에서 더미 사용자 단말(1)은 제1 및 제2 블루투스모듈(15,17)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제1 및 제2 입력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스마트폰(3)으로 전달하고, 스마트폰(3)이 제1 또는 제2 입력 신호를 기초로 동작한 결과에 따른 영상을 와이파이모듈(19)을 통해 스마트폰(3)으로부터 전달받으면 단계 S211에서 해당 영상을 표시부(13)의 화면에 표시한다.For example, in step S219, the dummy user terminal 1 transfers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input signals to the smart phone 3 through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Bluetooth modules 15 and 17, and When the phone 3 receives an image according to the operation result based on the first or second input signal from the smartphone 3 through the Wi-Fi module 19, the image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3 in step S211. display

한편, 더미 사용자 단말(1)은 단계 S203에서 표시부(13)의 화면에 도 3의 대기 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표시부(13)의 터치 패널을 통해 터치 신호(제2 입력 신호 중 제2-1 입력 신호)가 입력되면(S215, S223), 해당 제2-1 입력 신호를 기초로 더미 사용자 단말(1)의 동작 제어 또는 입력 포트 선택 등을 수행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제2-1 입력 신호의 종류에 따라 표시부(13)의 화면 밝기 또는 음향 크기 등을 제어하거나, 제1 블루투스모듈(15), 제2 블루투스모듈(17), 및 와이파이모듈(19)을 포함하는 무선 포트 또는 유선 포트(21)를 활성화/비활성화 제어할 수 있다(S225).Meanwhile, in step S203, the dummy user terminal 1 transmits a touch signal (2-1 of the second input signal) through the touch panel of the display unit 13 in a state in which the standby screen of FIG. 3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3. input signal) is input (S215, S223), operation control of the dummy user terminal 1 or selection of an input port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2-1 input signal. For example, the 2-1 Depending on the type of input signal, the screen brightness or sound volume of the display unit 13 is controlled, or a wireless port or wired connection including the first Bluetooth module 15, the second Bluetooth module 17, and the Wi-Fi module 19 is used. Activation/deactivation of the port 21 can be controlled (S225).

마지막으로, 단계 S225의 수행 후 턴-오프되지 않으면 단계 S203의 대기 화면 표시 상태부터 계속하고 턴-오프되면 종료한다(S227) .Finally, if it is not turned off after performing step S225, it continues from the standby screen display state of step S203 and ends when it is turned off (S227).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exampl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데스크탑용 더미 사용자 단말 장치, 더미 사용자 단말
3: 스마트폰
11: 키보드입력부, 키보드
13: 표시부
15: 제1 블루투스모듈
17: 제2 블루투스모듈
19: 와이파이모듈
21: 유선 포트
23: 제어부
1: dummy user terminal device for desktop, dummy user terminal
3: Smartphone
11: keyboard input unit, keyboard
13: display part
15: first Bluetooth module
17: second Bluetooth module
19: WiFi module
21: wired port
23: control unit

Claims (6)

키입력을 위한 키보드부;
영상 표시 및 터치 입력을 위한 표시부;
제1 블루투스 신호를 주위에 방출하고, 상기 방출된 제1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한 스마트폰으로부터의 선택에 따라 해당 스마트 폰과 제1 블루투스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1 블루투스모듈;
제2 블루투스 신호를 주위에 방출하고, 상기 방출된 제2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한 스마트폰으로부터의 선택에 따라 해당 스마트 폰과 제2 블루투스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2 블루투스모듈;
스마트폰에 탑재된 특정 데스크탑 UI(User Interface) 소프트웨어로부터의 선택에 따라 해당 스마트폰의 화면에 표시된 영상을 스마트폰으로부터 와이파이 무선 통신을 통해 전달받기 위한 와이파이모듈; 및
적어도 상기 와이파이모듈을 통해 스마트폰으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을 상기 표시부의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블루투스모듈은 상기 키보드를 통해 입력된 제1 입력 신호를 상기 제1 블루투스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된 스마트폰으로 전달하고,
상기 제2 블루투스모듈은 상기 표시부의 터치패드를 통해 입력된 제2 입력 신호를 상기 제2 블루투스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된 스마트폰으로 전달하며,
상기 와이파이모듈은 상기 전달된 제1 및 제2 입력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기초로 동작되는 스마트폰의 화면 영상을 상기 와이파이 무선 통신을 통해 스마트폰으로부터 전달받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의 터치패드를 통해 입력된 제2 입력 신호 중 대기 화면 상의 터치패드를 통해 입력된 제2-1 입력신호와 스마트폰으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의 표시 화면 상의 터치패드를 통해 입력된 제2-2 입력신호를 구분하여, 상기 제2-1 입력신호를 기초로 상기 표시부, 상기 제1 블루투스모듈, 상기 제2 블루투스모듈, 및 상기 와이파이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제2-2 입력신호를 적어도 제2 블루투스모듈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전달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1 입력신호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제1 블루투스모듈, 상기 제2 블루투스모듈, 및 상기 와이파이모듈을 포함하는 무선 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고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1 입력신호의 종류에 따라 상기 무선 포트와 구분되는 하나 이상의 유선 포트 중 하나를 선택하여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데스크탑용 더미 사용자 단말 장치.
a keyboard unit for key input;
a display unit for image display and touch input;
A first Bluetooth module for emitting a first Bluetooth signal to the surroundings and performing a first 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mart phone according to a selection from the smart phone receiving the emitted first Bluetooth signal;
A second Bluetooth module for emitting a second Bluetooth signal to the surroundings and performing a second 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mart phone according to a selection from the smart phone receiving the emitted second Bluetooth signal;
A Wi-Fi module for receiving an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through Wi-Fi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 selection from a specific desktop UI (User Interface) software mounted on the smartphone; and
At least a control unit for displaying the image received from the smartphone through the Wi-Fi module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includes,
The first Bluetooth module transmits a first input signal input through the keyboard to a smartphone connected through the first 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The second Bluetooth module transfers a second input signal input through the touchpad of the display unit to a smart phone connected through the second 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The Wi-Fi module receives a screen image of the smartphone operated based on at least one command of the transmitted first and second input signals from the smartphone through the Wi-Fi wireless communication,
Among the second input signals input through the touchpad of the display unit, the control unit includes the 2-1 input signal input through the touchpad on the standby screen and the second input signal input through the touchpa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image received from the smartphone. The 2-2 input signal is classified, and the operation of at least one of the display unit, the first Bluetooth module, the second Bluetooth module, and the Wi-Fi module is controlled based on the 2-1 input signal, and the second -2 Controls the input signal to be transmitted to the smartphone through at least a second Bluetooth module,
The controller selects and activates or deactivates at least one of the first Bluetooth module, the second Bluetooth module, and a wireless port including the Wi-Fi modul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2-1 input signal, and the controller 2-1 Selecting and activating or inactivating one or more wired ports distinguished from the wireless port according to the type of input signal
A dummy user terminal device for a desktop,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1 입력신호의 종류에 따라 음향 크기 또는 화면 밝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스크탑용 더미 사용자 단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ummy user terminal device for desktop,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adjusts the sound volume or screen brightnes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2-1 input signal.
삭제delete 삭제delete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 포트는 TYPE-C-IN 포트 및 HDMI-IN 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스크탑용 더미 사용자 단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
The wired port includes at least one of a TYPE-C-IN port and an HDMI-IN por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TYPE-C-IN 포트는 상기 키보드를 통해 입력된 제1 입력 신호 및 상기 표시부의 터치패드를 통해 입력된 제2 입력 신호를 스마트폰과의 유선 연결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전달하고, 상기 전달된 제1 및 제2 입력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기초로 동작되는 스마트폰의 화면 영상을 스마트폰과의 유선 연결을 통해 전달받기 위한 유선 포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스크탑용 더미 사용자 단말 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TYPE-C-IN port transmits a first input signal input through the keyboard and a second input signal input through the touchpad of the display unit to the smartphone through a wired connection, and the transmitted A dummy user terminal device for desktop,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wired port for receiving a screen image of a smartphone operated based on at least one command from among first and second input signals through a wired connection with the smartphone.
KR1020220066697A 2022-05-31 2022-05-31 Dummy user terminal apparatus KR1025266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6697A KR102526693B1 (en) 2022-05-31 2022-05-31 Dummy user terminal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6697A KR102526693B1 (en) 2022-05-31 2022-05-31 Dummy user terminal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6693B1 true KR102526693B1 (en) 2023-04-28

Family

ID=86143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6697A KR102526693B1 (en) 2022-05-31 2022-05-31 Dummy user terminal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6693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2365A (en) * 2012-09-28 2014-04-07 한빛 세마텍(주) Multi display device for smart phone
KR20150044672A (en) * 2013-10-17 2015-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display apparatus
KR20150139158A (en) 2014-06-03 2015-12-11 정효윤 Display device estabi cellular phone
KR20170025563A (en) * 2015-08-28 2017-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80109596A (en) * 2017-03-28 2018-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dio path thereof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2365A (en) * 2012-09-28 2014-04-07 한빛 세마텍(주) Multi display device for smart phone
KR20150044672A (en) * 2013-10-17 2015-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display apparatus
KR20150139158A (en) 2014-06-03 2015-12-11 정효윤 Display device estabi cellular phone
KR20170025563A (en) * 2015-08-28 2017-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80109596A (en) * 2017-03-28 2018-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dio path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5439B2 (en) Dynamically controlling display mode of external device coupled to user equipment
US11693496B2 (en) Display method and device
US9892668B2 (en) Screen resize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EP3547696A1 (en) Video playing method and terminal device
AU2017410571A1 (en) Display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JP6605613B2 (en) High speed display interface
US20130016046A1 (en) Control method and system of touch panel
EP3040804A1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power and method therefor
KR20150057645A (en) Electronic apparatus, dock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20130007301A1 (en) User equipment connectable to an external device
JP5058361B1 (en) Electronic device, display panel control device, and display panel control method
US20140240252A1 (en) Electronic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EP3745729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2494776B1 (en) Display system for meeting roo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601195B2 (en) Primary display with selectively autonomous secondary display modules
US9535644B2 (en) Electronic apparatus
US2014009591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US20140043210A1 (en) Positionally Informative Remote Display Selection Interface
US9514306B2 (en) Restricting operation results from being transferred to coupled external device
KR2013008319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keyboard layout using touch
US20130326092A1 (en) Processing input event of external device
US11681410B2 (en) Icon management method and terminal device
US20140043267A1 (en) Operation Method of Dual Operating Systems, Touch Sensitive Electronic Device Having Dual Operating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Dual Operating Systems
KR20200122651A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8509138B (en) Taskbar button display method and terminal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