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6237B1 -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6237B1
KR102526237B1 KR1020180086021A KR20180086021A KR102526237B1 KR 102526237 B1 KR102526237 B1 KR 102526237B1 KR 1020180086021 A KR1020180086021 A KR 1020180086021A KR 20180086021 A KR20180086021 A KR 20180086021A KR 102526237 B1 KR102526237 B1 KR 102526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data
rgbcw
blue
imag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6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7647A (ko
Inventor
강민성
김성균
권경준
박종철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17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7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6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6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복수의 게이트라인과 복수의 데이터라인이 교차하는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서브픽셀을 포함하며, 각 서브픽셀은 적색, 녹색, 청색, 청록색 및 백색 중 어느 하나의 색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게이트신호를 생성하여 복수의 게이트라인에 공급하는 게이트드라이브회로, 적색, 녹색, 청색, 청록색 및 백색 데이터를 포함하는 최종 RGBCW 영상신호에 대응하여 데이터신호를 생성하고 복수의 데이터라인에 공급하는 데이터드라이브회로, 게이트드라이브회로와데이터드라이브 회로를 제어하되, 데이터드라이브 회로로 최종 RGBCW 영상신호를 공급하는 제어부 및, 적색, 녹색, 청색 데이터를 포함하는 RGB 영상신호를 변환하여 최종 RGBCW 영상신호를 산출하고 제어부에 공급하는 데이터처리부를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실시예들은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최근에는 음극선관(Cathode Ray Tube)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각종 평판 표시장치들(Flat Panel Display, FPD)이 개발 및 시판되고 있다. 예를 들어,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표시장치(PDP: Plasma Display Panel),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여러가지 평판표시장치가 활용되고 있다. 표시장치는 적색(Red, 이하 'R') 데이터, 녹색(Green, 이하 'G') 데이터, 및 청색(Blue, 이하 'B') 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데이터를 전달받아 적색서브픽셀, 녹색서브픽셀, 청색서브픽셀에 대응하여 발생된 빛을 혼합하여 색을 표시할 수 있다.
유기발광표시장치는 유기발광다이오드의 발광을 통해 영상을 표시할 수 이다. 하지만, 유기발광다이오드는 방출하는 빛에 따라 발광효율이 다르며 특히 청색의 유기발광다이오드는 효율이 가장 낮다. 따라서, 유기발광표시장치가 표시하는 영상의 색 분포에 따라 소비전력이 차이가 발생할 수 있어 소비전력 최적화가 필요하다.
또한, 유기발광다이오드는 사용시간에 따라 열화가 발생하여 발광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열화 발생을 억제하여 수명을 늘려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들의 목적은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색재현율이 높은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은 소비전력 저감 또는 열화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측면에서 본 실시예들은, 복수의 게이트라인과 복수의 데이터라인이 교차하는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서브픽셀을 포함하며, 각 서브픽셀은 적색, 녹색, 청색, 청록색 및 백색 중 어느 하나의 색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게이트신호를 생성하여 복수의 게이트라인에 공급하는 게이트드라이브회로, 적색, 녹색, 청색, 청록색 및 백색 데이터를 포함하는 최종 RGBCW 영상신호에 대응하여 데이터신호를 생성하고 복수의 데이터라인에 공급하는 데이터드라이브회로, 게이트드라이브회로와데이터드라이브 회로를 제어하되, 데이터드라이브 회로로 최종 RGBCW 영상신호를 공급하는 제어부 및, 적색, 녹색, 청색 데이터를 포함하는 RGB 영상신호를 변환하여 최종 RGBCW 영상신호를 산출하고 제어부에 공급하는 데이터처리부를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일측면에서 본 실시예들은, 복수의 게이트라인과 복수의 데이터라인이 교차하는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서브픽셀을 포함하며, 각 서브픽셀은 적색, 녹색, 청색, 청록색 및 백색 중 어느 하나의 색을 표시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적색, 녹색, 청색 데이터를 포함하는 RGB 영상신호의 색좌표를 계산하는 단계, 색좌표를 만족하는 적색, 녹색, 청색, 청록색 및 백색 데이터를 산출하여 변환 RGBCW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변환 RGBCW 영상신호에서 알고리듬을 적용하여 최종 RGBCW 영상신호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일측면에서 본 실시예들은 입력 RGB 데이터를 네 개 이상의 원색을 포함한 다원색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선형 맵핑 구간과 롤 오프 맵핑 구간을 갖는 톤 맵핑 커브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 RGB 데이터의 동적 범위를 상기 다원색 데이터의 동적 범위에 맵핑하는 단계; 및 다원색 데이터를 상네 개 이상의 원색 서브 픽셀들을 포함한 다원색 표시패널의 픽셀에 기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입력 RGB 데이터의 각 컬러의 최대 휘도가 표시패널의 각 컬러별 최대 동적 범위에서 표현되는 영상신호 변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휘도를 향상시키고 색재현율이 높은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소비전력 저감 또는 열화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브픽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서브픽셀 배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데이터처리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신호 변환방법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RGB 영상신호의 색좌표값이 표시패널의 표현 범위를 벗어날 때 그 색좌표값을 표시패널의 표현 범위로 사영하는 일 예를 보여 주는 개념도이다.
도 7은 톤 맵핑 커브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신호 변환방법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유기발광표시장치(100)는 표시패널(110), 게이트드라이브회로(120), 데이터드라이브회로(130), 제어부(140) 및 데이터처리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110)은 복수의 게이트라인(G1,…,Gn)과 복수의 데이터라인(D1,…,Dm)이 교차하여 정의되는 영역에 복수의 서브픽셀(101)이 배치될 수 있다. 서브픽셀(101)은 적색, 녹색, 청색, 청록색, 백색 중 어느 하나의 색을 표시할 수 있다. 서브픽셀(101)은 발광소자와 발광소자에 구동전류를 공급하는 화소회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소자는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일 수 있다. 발광소자는 애노드전극과 유기발광다이오드는 유기막과 유기막에 전류가 흐르게 하는 애노드전극과 캐소드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회로는 전원 또는 신호를 전달하는 배선과 연결될 수 있다.
화소회로는 게이트신호를 전달하는 게이트라인과 데이터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화소회로는 게이트신호에 대응하여 데이터신호를 전달받아 구동전류를 생성하고 유기발광다이오드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화소회로는 별도의 전원선(미도시)과 연결되어 구동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다. 하지만, 화소회로에 연결되는 배선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게이트드라이브회로(120)는 복수의 게이트라인(G1,…,Gn)에 게이트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게이트드라이브회로(120)는 복수의 게이트라인(G1,…,Gn)에 순차적으로 게이트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여기서, 게이트드라이브회로(120)는 표시패널(110)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패널(110)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드라이브회로(120)가 표시패널(110)의 양측에 배치되는 경우 하나의 게이트드라이브회로(120)는 홀수번째 게이트라인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게이트드라이브회로는 짝수번째 게이트라인에 연결될 수 있다.
데이터드라이브회로(130)는 최종 RGBW 영상신호에 대응하여 복수의 데이터라인(D1,…,Dm)에 데이터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최종 RGBW 영상신호는 픽셀의 네가지 서브픽셀에 대응하여 영상신호이다. 최종 RGBW 영상신호는 디지털 신호이고 데이터신호는 데이터라인(D1,…,Dm)에 인가되는 전압일 수 있다. 또한, 데이터드라이브회로(130)는 디지털신호인 최종 RGBW 영상신호를 전달받아 소정의 전압을 갖는 데이터신호로 변환하여 복수의 데이터라인(D1,…,Dm)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드라이브회로(130)의 수는 한 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패널(110)의 해상도, 크기 등에 대응하여 복수 개로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드라이브회로(130)에서 제공하는 데이터신호는 게이트신호가 전달받은 게이트라인(G1,…,Gn)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픽셀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드라이브회로(130)은 표시패널(110)에 배치되어 있는 픽셀의 열화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제어부(140)는 게이트드라이브회로(120)와 데이터드라이브회로(1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최종 RGBW 영상신호를 데이터드라이브회로(130)에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타이밍 컨트롤러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은 최종 RGBCW 영상신호를 랜더링하여 데이터드라이브회로(130)에 공급할 수 있다. 표시패널(110)은 하나의 픽셀이 서로 다른 색을 표현하는 네개의 서브픽셀을 포함지만, 최종 RGBCW 영상신호는 5개의 영상신호를 포함하게 되어 청색과 청록색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는 합산되어 청색을 표시하는 서브픽셀 또는 청록색을 표시하는 서브픽셀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이웃하는 두 개의 픽셀에 공급되는 두개의 최종 RGBCW 영상신호에서 청색 영상신호들이 합산되거나 청록색 영상신호들이 합산되어 합산된 청색 영상신호가 청색 서브픽셀에 전달되고 합산된 청록색 영상신호가 청록색 서브픽셀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부(150)은 적색, 녹색, 청색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RGB 영상신호를 전달받아 적색, 녹색, 청색, 청록색, 백색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RGBCW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부(150)은 RGB 영상신호를 이용하여 RGBCW 데이터를 산출할 때, 소비전력과 열화에 유리하도록 RGBCW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40)와 데이터처리부(150)는 서로 구별되는 구성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게이트드라이브회로(120), 데이터드라이브회로(130), 제어부(140)는 각각 집적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타이밍 컨트롤러일 수 있다. 또한, 게이트드라이브회로(120)는 표시패널(110)이 형성된 기판 상에 배치되고 게이트신호를 출력하는 GIP(Gate in panel)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브픽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브픽셀(101)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및 화소회로(101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브픽셀(101)은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210)과 연결될 수 있다.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210)는 도 1에 도시된 데이터드라이브회로(130)에 포함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애노드전극의 전압과 캐소드전극의 전압에 대응하여 흐르는 구동전류에 의해 빛을 발광할 수 있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애노드전극은 제2노드(N2)에 연결되고 캐소드전극은 저전위전압(EVSS)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유기막(미도시)을 포함하며 유기막에 대응하여 적색, 녹색, 청색의 빛을 발광할 수 있따.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소회로(101a)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에 구동전류를 전달할 수 있다. 화소회로(101a)는 데이터라인(DL), 제1전원라인(VL1), 제2전원라인(VL2), 게이트라인(Gn), 센싱라인(Ssen)에 제1트랜지스터(M1), 제2트랜지스터(M2), 제3트랜지스터(M3), 캐패시터(C)들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트랜지스터(M1)는 데이터신호에 대응하는 데이터전압(Vdata)에 대응하여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구동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또한, 화소회로(101a)는 제2전원라인(VL2)과 ADC(210) 사이를 연결하는 제1스위치(SAM)와 제2전원라인(VL2)과 기준전압(VREF)을 연결하는 제2스위치(SPRE)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트랜지스터(M1)는 제1전극이 고전위전압(EVDD)를 전달하는 제1전압라인(VL1)에 연결되고 게이트전극이 제1노드(N1)에 연결되고 제2전극이 제2노드(N2)에 연결될 수 있다. 제2노드(N2)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애노드 전극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트랜지스터(M1)는 제1노드(N1)에 전달되는 데이터전압(Vdata)에 대응하여 제1전극에서 제2전극 방향으로 구동전류가 흐르도록 할 수 있다. 구동전류의 크기는 게이트전극과 제2전극의 전압차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전극은 제1트랜지스터(M1)의 드레인전극이고 제2전극은 소스전극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트랜지스터(M2)는 제1전극이 데이터전압(Vdata)을 전달하는 데이터라인(DL)에 연결되고 제2전극이 제1노드(N1)에 연결되며 게이트전극이 게이트라인(GL)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게이트라인(GL)을 통해 전달되는 게이트신호에 대응하여 데이터라인(DL)을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전압을 제1노드(N1)로 전달되게 할 수 있다.
제3트랜지스터(M3)는 제1전극은 제2전원라인(VL2)에 연결되고 제2전극은 제2노드(N2)에 연결되며 게이트전극은 센싱라인(Ssen)에 연결될 수 있다. 제3트랜지스터(M3)는 센싱라인(Ssen)을 통해 전달되는 센싱신호에 대응하여 제2전원라인(VL2)으로 제2노드(N2)의 전압을 전달할 수 있다.
캐패시터(C)는 제1노드(N1)와 제2노드(N2) 사이에 배치되며, 캐패시터(C)에 저장되어 있는 전압에 대응하여 제1노드(N1)의 전압을 유지시킬 수 있다. 캐패시터(C)는 제1노드(N1)에 데이터전압에 대응하는 전압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화소회로(101a)는 제2전원라인(VL2)이 제1스위치(SAM)를 통해 ADC(210)와 연결될 수 있다. ADC(210)는 제2노드(N2)의 전압을 전달받아 제1트랜지스터(M1) 및/또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열화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화소회로(101a)는 제1내지 제3트랜지스터(M1 내지 M3)와 하나의 캐패시터(C)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일례에 의한 것이며 화소회로(201a)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210)는 제2전원라인(VL2)을 통해 제2노드(N2)의 전압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제2전원라인(VL2)은 제1스위치(SPRE)에 의해 기준전압(VREF)이 제2전원라인(VL2)에 전달될 수 있고, 제2스위치(SAM)에 의해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210)가 제2노드(N2)의 전압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제2노드(N2)의 전압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열화에 대응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표시패널에서 서브픽셀의 배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서브픽셀(101)의 수는 16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패널(110)의 일부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서브픽셀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서브픽셀들(101)은 적색을 점등하는 적색 서브픽셀(R), 녹색을 점등하는 녹색 서브픽셀(G), 백색을 점등하는 백색 서브픽셀(W), 청색을 점등하는 청색 서브픽셀(B), 청록색을 점등하는 청록색 서브픽셀(C)을 포함한다.
표시패널(110)은 적색 서브픽셀(R), 녹색 서브픽셀(G), 백색 서브픽셀(W), 청색 서브픽셀(B)이 순차적으로 배치되지만, 일부의 청색 서브픽셀(B)를 대신하여 청록색 서브픽셀(C)이 배치될 수 있다. 표시패널(110)은 백색 서브픽셀(W)를 이용하여 휘도를 높일 수 있어 고휘도로 표현될 수 있다. 그리고, 적색, 녹색, 백색, 청색뿐만 아니라 청록색이 추가되어 색재현력이 높아질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데이터처리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신호 변환방법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데이터처리부(150)는 RGB 영상신호를 변환 RGBCW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데이터변환부(151a)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변환부(151a)는 소정의 알고리듬을 통해 변환 RGBCW 영상신호에서 최종 RGBCW 영상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부(150)은 소정의 알고리듬을 저장하는 알고리듬저장부(150b)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변환부(151a)에서 RGB 영상신호를 변환한 변환 RGBCW 영상신호는 복수 개일 수 있다. 그리고,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소정의 제약을 설정하여 변환 RGBCW 영상신호 중에서 최종 RGBCW 영상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변화부(151a)는 RGB 영상신호를 RGBCW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RGB 영상신호를 RGBCWY 영상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데이터 처리부(150)에서 최종 RGBCW 영상신호를 산출하는 영상신호변환방법은, 먼저, RGB 영상신호의 색공간에 맞추어 아래와 같이 삼자극 매트릭스(tristimulus matrix)를 생성한다(S01). S01 단계에서 구해진 삼자극 매트릭스는 S02 단계에서 RGB 영상신호에 곱해지는 색공간(mastering color space)의 변환 행렬(transformation matrix)이다.
Figure 112018073146969-pat00001
영상신호변환방법은 RGB 영상신호에 해당하는 삼자극치(target tristimulus value, XYZ)을 계산한다(S02). S02 단계는 다음과 같이 RGB 영상신호에 S01 단계에서 구해진 변환 행렬(transformation matrix)을 곱하여 삼자극치(XYZ)을 생성한다.
그리고, 삼사극값(XYZ)으로부터 색좌표값(x,y)을 계산하고, 계산된 색좌표값(x,y)이 표시장치의 표현 범위를 벗어나면 다원색 표시패널의 최대 표현 범위를 정의하는 직선들 중에서 가장 가까운 직선으로 색좌표값(x,y)을 사영(射影, projection)한다(S04). 이 사영 방법의 일 예를 도 6을 결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서, 큰 삼각형(RGB)을 RGB 영상신호의 표현 범위이고 그 삼각형 내의 사각형(DIS)을 다원색 표시장치의 표현 범위로 가정한다. 표시패널(110)의 표현 범위(DIS)는 직선 ①, ②, ③, ④로 정의된다. 도 6에서, P(x1, y1), P(x2, y2), P(x3, y3), 및 P(x4, y4)는 표시패널(110)의 표현 범위를 넘는 색좌표값(x,y)으로 가정한다.
P(x1, y1)은 직선 ① 아래에 위치하고 직선 ①의 양 끝단 ①-1 & ①-2 사이에서 표시장치의 표현 범위(DIS)를 벗어난다. 또한, S04 단계에서 P(x1, y1)를 직선 ① 상의 좌표값으로 사영한다.
P(x2, y2)는 직선 ② 위에 위치하고 직선 ②의 양 끝단 ②-1 & ②-2 사이에서 표시장치의 표현 범위(DIS)를 벗어난다. 또한, S04 단계에서 P(x2, y2)를 직선 ② 상의 좌표값으로 사영한다.
P(x3, y3)는 직선 ③ 위에 위치하고 직선 ③의 양 끝단 ③-1 & ③-2 사이에서 표시장치의 표현 범위(DIS)를 벗어난다. 또한, S04 단계에서 P(x3, y3)를 직선 ③ 상의 좌표값으로 사영한다.
P(x4, y4)는 직선 ④ 아래에 위치하고 직선 ④의 양 끝단 ④-1 & ④-2 사이에서 표시장치의 표현 범위(DIS)를 벗어난다. 또한, S04 단계에서 P(x4, y4)를 직선 ④ 상의 좌표값으로 사영한다.
이어서, 영상신호변환방법은 본 발명의 표시장치에 채용된 표시패널(110)의 특성에 따른 삼자극 매트릭스와 타겟(target) 삼자극치([XYZ])으로부터 아래와 같은 수학식 1을 도출한다(S05). 타겟 삼자극치([X Y Z])는 입력 RGB 데이터와 그 데이터가 정의되어 있는 색공간(Color space)에 의해 결정된다. 타겟 삼자극치([X Y Z])는 입력 RGB 데이터와 동일하게 표시장치의 원색([R G B C W]))으로 표현되는 표시패널(110)의 삼자극치이다.
Figure 112018073146969-pat00002
여기서,
Figure 112018073146969-pat00003
는 표시패널(110) 특성에 따른 삼자극 매트릭스이다.
입력 영상의 콘텐츠가 의도하는 타겟 삼자극치([X Y Z])의 휘도보다 표시패널(110)의 휘도(intensity)가 작기 때문에 톤 맵핑 커브(Tone mapping curve)에서 계조별 휘도가 압축되는 롤 오프(roll-off) 구간을 고려하여 입력 RGB 데이터를 표시패널(110)의 픽셀에 기입될 데이터로 변환하여야 한다. 톤 맵핑 커브는 입력 영상의 RGB 데이터와 표시장치의 휘도가 선형적으로 비례하는 선형 맵핑(linear mapping) 구간과, 입력 영상의 RGB 데이터에 비하여 표시장치의 휘도 표현 범위가 압축된 롤-오프 맵핑(roll-off mapping) 구간으로 나뉘어진다. 롤 오프 구간에의 데이터를 매칭하기 위하여, 본원 발명의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 각 컬러의 최대 휘도를 알아야 한다.
본원 발명의 유기발광표시장치는 [R G B C W]를 구성하는 원색(primary color) 간에 스펙트럼 교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모든 원색을 이용하여 모든 컬러의 휘도를 높일 수 있다. 모든 컬러에서 표시패널(110)의 각 컬러별 최대 동적 범위를 활용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영상신호변환방법은 max[R G B C W]가 최소화 되도록 해(solution)를 계산하여 표시패널(110)의 최대 휘도를 계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영상신호변환방법은 타겟 삼자극치([X Y Z])을 만족하는 [R G B C W] 값을 구한다. X, Y, Z 각각을 구해야 하기 때문에 식이 3 개이고, 구해야 하는 변수가 R, G, B, C, W 등 5 개이기 때문에 이 방정식을 풀 수 있도록 하는 제약(constraint)을 설정한다. 제약은 R, G, B, C, W, 중 최대값 즉, max[R G B C W]가 최소화되도록 해(solution)를 구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여, 본 발명의 다원색 변환 방법은 표시장치에 표현할 타겟 삼자극치([X Y Z]))을 만족하는 다양한 [R G B C W]의 조합들 중에서
Figure 112018073146969-pat00004
를 최적해로 계산한다(S06). 이렇게 구해진 [R G B C W]는 모든 컬러에서 최대한 많은 원색의 서브 픽셀들이 점등되기 때문에 다원색 표시장치의 각 컬러별 최대 동적 범위를 활용하여 입력 RGB 데이터의 각 컬러의 최대 휘도를 표시패널의 각 컬러별 최대 동적 범위의 최대 휘도로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입력 영상의 RGB 데이터의 spectral density를 서브 화소들이 나누어 갖도록 함으로써 입력 RGB 데이터와 동일한 스펙트럼을 갖는 동시에 [R G B C W] 값을 작게 만들어 클리핑(clipping) 없이도 높은 게인(gain)을 가질 수 있게 한다.
다원색 변환 방법의 목적 함수(objective function)는
Figure 112018073146969-pat00005
이다. 타겟 삼자극치([X Y Z])은 아래와 같은 3 개의 식으로 구해진다.
본 발명의 영상신호변환방법은 선형 계획법(simplex method)을 이용하여 z를 최소화하는 [R G B C W]를 구한다. 단, z는 z ₃ R, z ₃ G, z ₃ B, z ₃ C, z ₃ W 를 만족한다. x1, x2, x3, … x5은 부가 변수(slack variable)이다.
Figure 112018073146969-pat00006
Figure 112018073146969-pat00007
Figure 112018073146969-pat00008
정규화된 입력 [R G B]는 BT.2020 기준 [0.1100 0.1500 0.1000]이다. 이 RGB 데이터의 삼자극치는 [X Y Z] = [0.1088 0.1365 0.1106] 이다. 이 때 선형 계획법(simplex method)으로 [R G B C W]를 구하는 예는 다음과 같다.
유기발광표시장치의 특성을 측정하여 식을 완성하면 아래의 표 1과 같다.
<표 1>
Figure 112018073146969-pat00009
Objective function을 한 식에만 표현하기 위해 가우시안 소거법(Gaussian elimination)을 적용하면 표 1은 표 2와 같이 변형된다.
<표 2>
Figure 112018073146969-pat00010
선형 계획법(simplex method) 적용 식으로 만들기 위해 2~9번 식을 더하고 그 결과를 1번 식으로 표시된 타겟 식에서 빼서 새로운 타겟식을 만들고, 나머지 식들도 새로운 타겟식과 표 1의 2~9번 식 간의 차로 새롭게 변형할 수 있다. 아래와 같이 타겟식에 가장 큰 마이너스 성분부터 가우시안 소거법을 적용하기 시작한다.
표 3 내지 표 7에서 표 밖의 우측 수치는 선형 계획법에서 다음 단계에 어느 행(row)을 적용할지 계산하는 부분이다. 이 수치가 가장 작은 행을 다음 단계에서 선택한다.
<표 3>
Figure 112018073146969-pat00011
<표 4>
Figure 112018073146969-pat00012
<표 5>
Figure 112018073146969-pat00013
<표 6>
Figure 112018073146969-pat00014
<표 7>
Figure 112018073146969-pat00015
타겟식에 마이너스 성분이 없으나 반복(iteration) 종료 조건이 되지 않아 dual simplex method를 적용하면 그 결과는 아래의 표 8과 같다. 표 8 및 표 9에서 좌측 컬러는 해당 행(row)에서 결정되는 컬러 값이다. 표 아래의 수치는 dual simplex method에서 다음 단계에 사용할 열(column)을 결정하기 위해 계산된 값이다. 가장 작은 수치의 열이 선택된다. Dual simplex method는 행이 결정된 후에 열이 결정된다.
<표 8>
Figure 112018073146969-pat00016
다시 타겟식에 마이너스 성분이 나타나 simplex method를 적용한다. 그 결과는 아래의 표 9과 같다.
<표 9>
Figure 112018073146969-pat00017
<표 10>
Figure 112018073146969-pat00018
<표 11>
Figure 112018073146969-pat00019
최종 결과 [R G B C W]는 표 12와 같이 [R G B C W] = [0.0443 0.0443 0.0071 0.0144 0.0443]으로 구해진다.
Slack variable [x1 x2 x3 x4 x5] = [0.0000 0.0000 0.0372 0.0299 0.0000]으로 구해진다. 표 11의 좌측에서 x3, x4이 보이고, 나머지 Slack variable 은 non basic variable로 판정 되어 0으로 결정된다.
위 결과에서, Primary component + slack variable = 0.0443이므로 최적화 완료가 검증된다.
본 발명의 다원색 변환 방법은 S06 단계에서 최적해가 구해지면 이 최적해와 입력 RGB 데이터의 최대 동적 범위를 계산한다(S07). 최적해에 의해 구해진 R, G, B, C, W의 비율은 입력 RGB 데이터와 동일한 색을 표현하도록 입력 RGB 데이터와 같은 색으로 유지된다. 최적해에 의해 구해진 R, G, B, C, W의 비율을 유지하면서 표시패널의 동적 범위를 고려하여 동적 범위 맵핑하여 최종 다원색 값([R G B C W])을 도출한다(S08, S09).
본 발명의 다원색 변환 방법은 표시장치의 최대 동적 범위를 고려하여 스펙트럼 교환(spectrum exchange) 방식으로 입력 RGB 데이터를 네 개 이상의 원색을 포함한 다원색 데이터(이하, "RGBCW 데이터"라 함)로 변환한다.
선형 RGB 입력 데이터를 0~1 사이에서 정규화된(normalize) RGB 데이터(Rin, Gin, Bin)로 가정한다. 전술한 다원색 변환 방법은 RGB 데이터(Rin, Gin, Bin)의 삼자극치([X Y X])을 만족하는 다양한 [R G B C W] 중에서 max[R G B C W]가 최소화되는 데이터로 RGBCW 데이터(Rin’, Gin’, Bin’, Cin’, Win’)를 생성한다.
다원색 변환 방법은 RGB 데이터와 RGBCW 데이터 각각에서 최대값을 계산한다. 최대값은 최대 휘도(Maximum luminance)를 의미한다.
RGB 입력 데이터(Rin, Gin, Bin)의 최대값은 Rin, Gin, Bin 중에서 최대값을 의미하는 max(Rin, Gin, Bin)으로 나타낼 수 있다. 다원색 표시장치의 RGBCW 데이터의 최대값은 Rmax’, Gmax’, Bmax’, Cmax’, Wmax’중에서 최대값을 의미하는 max(Rmax’, Gmax’, Bmax’, Cmax’, Wmax’)으로 나타낼 수 있다.
다원색 변환 방법은 최대값을 이용하여 입력 RGB 데이터의 컬러에 해당하는 최대 디지털 코드(digital code)를 계산한다.
RGB 데이터의 최대 디지털 코드를 (Rmax, Gmax, Bmax)라 하고, 다원색 표시장치의 RGBCWY 데이터의 최대 디지털 코드를 (Rmax’, Gmax’, Bmax’, Cmax’, Wmax’)이라 할 때 최대 디지털 코드는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계산된다.
(Rmax, Gmax, Bmax) = (Rin, Gin, Bin)/max(Rin, Gin, Bin)
이 식을 RGB 별로 분리하면, Rmax = Rin/max(Rin, Gin, Bin), Gmax = Gin/max(Rin, Gin, Bin), Bmax = Bin/max(Rin, Gin, Bin)으로 표현될 수 있다. RGB 각각에서 최대값은 각 색별로 입력값을 최대값으로 나눈값이다.
(Rmax’, Gmax’, Bmax’, Cmax’, Wmax’) = (Rin’, Gin’, Bin’, Cin’, Win’) / max (Rin’, Gin’, Bin’, Cin’, Win’)
이 식을 각 원색 별로 분리하면, Rmax’ = Rin’/ max (Rin’, Gin’, Bin’, Cin’, Win’), Gmax’ = Gin’/ max (Rin’, Gin’, Bin’, Cin’, Win’), Bmax’ = Bin’/ max (Rin’, Gin’, Bin’, Cin’, Win’), Cmax’ = Cin’/ max (Rin’, Gin’, Bin’, Cin’, Win’), Wmax’ = Win’/ max (Rin’, Gin’, Bin’, Cin’, Win)으로 표현될 수 있다. RGBCW 각각에서 최대값은 각 색별로 입력값을 최대값으로 나눈값이다.
영상신호변환방법은 최대 디지털 코드를 이용하여 해당 컬러에서 RGB 영상신호와 표시패널(110)의 최대 동적 범위를 계산한다. IPQ.max을 RGB 영상신호의 동적 범위(b)를 정의하는 RGB 영상신호의 최대 휘도값이라 하고, ID.max을 RGBW 표시장치에 표시될 RGBW 데이터의 동적 범위(a)를 정의하는 RGBW 데이터의 최대 휘도값이라 할 때, IPQ.max와 ID.max는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계산된다.
IPQ.max = (Rmax * RPQ.lum + Gmax * GPQ.lum + Bmax * BPQ.lum)
여기서, RPQ.lum, GPQ.lum, BPQ.lum는 RGB 영상신호 각각의 최대 휘도값이다.
ID.max = (Rmax’ * RD.lum + Gmax’ * GD.lum + Bmax’ * BD.lum + Cmax’ * CD.lum + Wmax’ * WD.lum + Ymax’ * YD.lum)
여기서, RD.lum, GD.lum, BD.lum, CD.lum, WD.lum, YD.lum 는 표시패널(110)에서 각 원색의 최대 휘도값이다. 표시패널(110)에서 각 원색의 최대 휘도는 RD.lum = 50nits, GD.lum = 175nits, BD.lum = 25nits, CD.lum = 160nits, WD.lum = 300nits, YD.lum = 180nits 이다.
영상신호변환 방법은 도 7에 도시된 톤 맵핑 커브를 생성하기 위하여 입력 RGB 데이터의 최대 휘도(IPQ.max)와 다원색 표시장치의 최대 휘도(ID.max)를 아래와 같이 계산한다. IPQ.max는 입력 RGB 데이터의 동적 범위를 정의하고, ID.max 는 다원색 표시장치의 동적 범위를 정의한다.
IPQ.max = (Rmax * RPQ.lum + Gmax * GPQ.lum + Bmax * BPQ.lum)
ID.max = (Rmax’ * RD.lum + Gmax’ * GD.lum + Bmax’ * BD.lum + Cmax’ * CD.lum + Wmax’ * WD.lum + Ymax’ * YD.lum)
다원색 변환 방법은 입력 RGB 데이터의 휘도(Iin)를 Iin = IPQ.max * max(Rin, Gin, Bin)으로 계산하고, Iin 을 톤 맵핑 커브의 x축에 입력하여 그와 매칭되는 출력 휘도(Iout)를 계산한다. 그리고 다원색 변환 방법은 ID.max에 대한 Iout의 비율(Iout/ID.max)에 (Rmax’, Gmax’, Bmax’, Cmax’, Wmax’)를 곱하여 상대적인 선형 RGBCW(Relative linear RGBCW) 데이터를 계산한다. 이렇게 계산된 RGBCW 데이터는 감마 보정된 후에 도 5에 도시된 데이터 데이터드라이브회로(130)를 통해 아날로그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되어 다원색 표시장치의 픽셀에 기입된다. RGBCW 데이터(Rout, Gout, Bout, Cout, Wout) 는 아래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Rout, Gout, Bout, Cout, Wout) = Iout / ID.max * (Rmax’, Gmax’, Bmax’, Cmax’, Wmax’)
이 식을 원색 각각으로 분리하면, Rout = Iout / ID.max * Rmax’, Gout = Iout / ID.max * Gmax’, Bout = Iout / ID.max * Bmax’, Cout = Iout / ID.max * Cmax’, Wout = Iout / ID.max * Wmax’이다.
도 7에서 α* ID.max 는 톤 맵핑 커브에서 선형 맵핑(linear mapping) 구간과 롤-오프 맵핑(roll-off mapping) 구간 사이의 경계를 정의한다. α는 선형 맵핑 구간과 롤-오프 맵핑 구간을 정의하기 위한 파라미터로서 적절한 값으로 선택될 수 있다.
상기의 방법을 이용하여 적색, 녹색, 청색, 청록색, 및 백색 중 4개 이상을 선택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영상신호변환방법은 적색, 녹색, 청색, 청록색, 및 백색 중 3개를 선택하여 최적화할 수 있다. 5개의 색 중 3개를 선택(5C3=10)하기 때문에 상기의 수학식 1을 적용하여 최적화를 진행하는 경우 역행렬을 이용하여 10개의 케이스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산출된 케이스에 따라 각 컬러 별로 휘도효율, 기준 색좌표를 이용하여 최적화할 수 있다.
5개의 색 중 선택되는 3가지 색은 휘도를 기준으로 선택할 수 있다. 즉, 하나의 픽셀이 적색 서브픽셀, 녹색 서브픽셀, 청색 서브픽셀, 백색 서브픽셀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4가지 서브픽셀 중 휘도가 가장 낮은 서브픽셀을 제외하여 3가지가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픽셀이 적색 서브픽셀, 녹색 서브픽셀, 청록색 서브픽셀, 백색 서브픽셀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4가지 서브픽셀 중 휘도가 가장 낮은 서브픽셀을 제외하여 3가지가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신호 변환방법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RGBCW 영상신호를 산출한다.(S10) RGBCW 영상신호는 상기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표시패널(110) 특성에 따른 삼자극 매트릭스의 역행렬을 이용하여 RGBCW 영상신호를 산출할 수 있다. RGBCW 영상신호를 산출하기 위해 설정한 제약은 소비전력 최소화 및/또는 열화최소화일 수 있다.
먼저, 역행렬을 통해 파악된 RGBCW 영상신호들에 각 색별 휘도효율을 합산하여 RGBCW 영상신호 별로 소비전력을 계산하여 소비전력 예상치를 검출한다.(S11) 그리고, 소비전력 예상치들 중에서 소비전력이 가장 적은 RGBCW 영상신호를 선택함으로써 소비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S12)
또한, 서브 픽셀들에 포함되어 있는 OLED의 열화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21) 그리고, 산출된 RGBCW 영상신호들 중에서 열화정도가 높은 색을 포함하지 않는 RGBCW 영상신호를 선택함으로써, 열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S22)
소비전력 최소화된 RGBCW 영상신호와 열화최소화된 RGBCW 영상신호를 최종 RGBCW 영상신호로 선택할 수 있다.(S30) 소비전력 최소화와 열화최소화로 인해 선택되는 RGBCW 영상신호가 상충되면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RGBCW 영상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유기발광표시장치는 복수의 게이트라인과 복수의 데이터라인이 교차하는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서브픽셀을 포함하며, 각 서브픽셀은 적색, 녹색, 청색, 청록색 및 백색 중 어느 하나의 색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의 유기발광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적색, 녹색, 청색 데이터를 포함하는 RGB 영상신호의 색좌표를 계산할 수 있다.(S900) 색좌표는 RGB 영상신호로 표현되는 색공간에서 XYZ로 변환한 함수로 표현될 수 있다.
색좌표를 만족하는 적색, 녹색, 청색, 청록색 및 백색 데이터를 산출하여 변환 RGBCW 영상신호로 변환시킬 수 있다.(S910) 색좌표를 만족하는 적색, 녹색, 청색, 청록색 및 백색 데이터는 표시패널의 특성에 따른 삼자극 매트릭스를 이용할 수 있다.
변환 RGBCW 영상신호에서 소정의 알고리듬을 적용하여 최종 RGBCW 영상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920) 소정의 알고리듬은 변환 RGBCW 영상신호들 중에서 상기 변환 RGBCW 영상신호의 원색 값들 중 최대값이 최소인 색을 상기 최종 RGBCW 영상신호로 선택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알고리듬은 소비전력 최소화가 되도록 변환 RGBCW 영상신호들 소비전력 예상치를 판단하여 최소의 소비전력을 같는 원색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알고리듬은 열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열화정보를 전달받아 열화 정도에 따라 서브픽셀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유기발광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최종 RGBCW 영상신호를 공급받아 상기 복수의 데이터라인에 전달되는 데이터신호를 생성하되, 상기 최종 RGBCW 영상신호에서 서로 다른 청색의 색을 표시하는 서브픽셀에 전달되는 두개의 청색 데이터와 서로 다른 청록색의 색을 표시하는 서브픽셀에 전달되는 두개의 청록색 데이터를 각각 합산하여 상기 데이터라인에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유기발광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최종 RGBCW 영상신호를 공급받아 상기 복수의 데이터라인에 전달되는 데이터신호를 생성하되, 상기 최종 RGBCW 영상신호 중 청색 영상신호와 청록색 영상신호는 합산되어 상기 데이터라인에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유기발광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서 변환 RGBCW 영상신호와, 적색, 녹색, 청색, 청록색 및 백색 서브픽셀의 휘도효율 정보를 전달받아 변환 RGBCW들 각각의 소비전력을 판단하여 소비전력이 최소인 변환 RGBCW 영상신호를 최종 RGBCW 영상신호로 선택하고, 복수의 서브픽셀의 열화정보에 대응하여 상 적색, 녹색, 청색, 청록색 및 백색 데이터 중 적어도 3개를 선택할 수 있다.
이상에서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결합, 분리, 치환 및 변경 등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유기발광표시장치
101: 서브픽셀
110: 표시패널
120: 게이트드라이브회로
130: 데이터드라이브회로
140: 제어부
150: 데이터처리부

Claims (15)

  1. 복수의 게이트라인과 복수의 데이터라인이 교차하는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서브픽셀을 포함하며, 각 서브픽셀은 적색, 녹색, 청색, 청록색 및 백색 중 어느 하나의 색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게이트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복수의 게이트라인에 공급하는 게이트드라이브회로;
    적색, 녹색, 청색, 청록색 및 백색 데이터를 포함하는 최종 RGBCW 영상신호에 대응하여 데이터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데이터라인에 공급하는 데이터드라이브회로;
    상기 게이트드라이브회로와 상기 데이터드라이브 회로를 제어하되, 상기 데이터드라이브 회로로 상기 최종 RGBCW 영상신호를 공급하는 제어부; 및
    적색, 녹색, 청색 데이터를 포함하는 RGB 영상신호를 변환하여 상기 최종 RGBCW 영상신호를 산출하고 상기 제어부에 공급하는 데이터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복수의 서브픽셀 중 서로 다른 색을 표시하는 네개의 서브픽셀을 포함하고 서로 인접하는 제1픽셀과 제2픽셀을 포함하되, 상기 제1픽셀은 적색을 표시하는 적색 서브픽셀, 녹색을 표시하는 녹색 서브픽셀, 백색을 표시하는 백색 서브픽셀, 청색을 표시하는 청색 서브픽셀을 포함하고, 제2픽셀은 적색을 표시하는 적색 서브픽셀, 녹색을 표시하는 녹색 서브픽셀, 백색을 표시하는 백색 서브픽셀, 청록색을 표시하는 청록색 서브픽셀을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픽셀에 대응하는 최종 RGBCW 영상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제2픽셀에 대응하는 최종 RGBCW 영상신호 중 청색 영상신호를 합산하고, 상기 제2픽셀에 대응하는 최종 RGBCW 영싱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제1픽셀에 대응하는 최종 RGBCW 영상신호 중 청록색 영상신호를 합산하여 상기 데이터드라이브회로에 공급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종 RGBCW 영상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최종 RGBCW 영상신호 중 청색 영상신호와 청록색 영상신호를 합산하여 상기 데이터드라이브회로에 공급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처리부는
    상기 RGB 영상신호의 색좌표값을 계산하고, 상기 색좌표값을 만족하는 변환 RGBCW 영상신호들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변환 RGBCW 영상신호들로부터 상기 최종 RGBCW 영상신호를 산출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RGB 영상신호의 색좌표값을 계산하고, 상기 색좌표값을 만족하는 변환 RGBCW 영상신호들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변환 RGBCW 영상신호들로부터 소비전력을 최소화 또는 열화를 최소화하는 색을 산출하여 상기 최종 RGBCW 영상신호를 산출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8. 복수의 게이트라인과 복수의 데이터라인이 교차하는 영역에 배치되고 서로 다른 색을 표시하는 네개의 서브픽셀을 포함하고 서로 인접하는 제1픽셀과 제2픽셀을 포함하되, 상기 제1픽셀은 적색을 표시하는 적색 서브픽셀, 녹색을 표시하는 녹색 서브픽셀, 백색을 표시하는 백색 서브픽셀, 청색을 표시하는 청색 서브픽셀을 포함하고, 제2픽셀은 적색을 표시하는 적색 서브픽셀, 녹색을 표시하는 녹색 서브픽셀, 백색을 표시하는 백색 서브픽셀, 청록색을 표시하는 청록색 서브픽셀을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적색, 녹색, 청색 데이터를 포함하는 RGB 영상신호의 색좌표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색좌표를 만족하는 적색, 녹색, 청색, 청록색 및 백색 데이터를 산출하여 변환 RGBCW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변환 RGBCW 영상신호에서 알고리듬을 적용하여 최종 RGBCW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최종 RGBCW 영상신호를 공급받아 상기 복수의 데이터라인에 전달되는 데이터신호를 생성하되, 상기 최종 RGBCW 영상신호에서 상기 청색 데이터와 상기 청록색 데이터를 합산하여 상기 제1픽셀의 청색 서브픽셀 또는 상기 제2픽셀의 청록색 서브픽셀로 공급하도록 상기 데이터라인에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의 구동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RGBCW 영상신호들 중에서 상기 변환 RGBCW 영상신호의 원색 값들 중 최대값이 최소인 색을 상기 최종 RGBCW 영상신호로 선택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RGBCW 영상신호와, 상기 적색, 녹색, 청색, 청록색 및 백색 서브픽셀의 휘도효율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변환 RGBCW들 각각의 소비전력을 판단하여 소비전력이 최소인 상기 변환 RGBCW 영상신호를 최종 RGBCW 영상신호로 선택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픽셀의 열화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적색, 녹색, 청색, 청록색 및 백색 데이터 중 적어도 3개를 선택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RGBCW 영상신호를 공급받아 상기 복수의 데이터라인에 전달되는 데이터신호를 생성하되, 상기 최종 RGBCW 영상신호에서 서로 다른 청색의 색을 표시하는 서브픽셀에 전달되는 두개의 청색 데이터와 서로 다른 청록색의 색을 표시하는 서브픽셀에 전달되는 두개의 청록색 데이터를 각각 합산하여 상기 데이터라인에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2. 삭제
  13. 입력 RGB 데이터를 다섯 개 이상의 원색을 포함한 다원색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선형 맵핑 구간과 롤 오프 맵핑 구간을 갖는 톤 맵핑 커브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 RGB 데이터의 동적 범위를 상기 다원색 영상신호의 동적 범위에 맵핑하는 단계; 및
    상기 다원색 영상신호를 상기 적색, 녹색, 청색, 청록색 및 백색 중 어느 하나의 색을 표시하는 다원색 표시패널의 픽셀에 기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RGB 데이터의 각 컬러의 최대 휘도가 상기 다원색 표시패널의 각 색상별 최대 동적 범위에서 표현되는 영상신호 변환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원색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방법은,
    상기 입력 RGB 데이터의 색좌표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색좌표값을 만족하는 다원색 영상신호 중에서 상기 다원색 영상신호의 원색 값들 중 최대값이 최소인 다원색 영상신호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신호 변환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원색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방법은,
    입력 RGB 데이터의 삼자극치(XYZ)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삼자극치(XYZ)로부터 색좌표값(x,y)을 계산하고 상기 색좌표값(x,y)이 상기 다원색 표시패널의 표현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다원색 표시패널의 최대 표현 범위를 정의하는 직선들 중에서 가장 가까운 직선으로 색좌표값(x,y)을 사영하는 단계;
    상기 다원색 표시패널의 특성에 따른 타겟 삼자극치를 만족하는 [R G B C W] 값을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max[R G B C W]가 최소인 [R G B C W]를 상기 픽셀에 기입될 상기 다원색 영상신호로 선택하는 영상신호 변환 방법.
KR1020180086021A 2017-08-10 2018-07-24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25262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885 2017-08-10
KR20170101885 2017-08-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7647A KR20190017647A (ko) 2019-02-20
KR102526237B1 true KR102526237B1 (ko) 2023-04-27

Family

ID=65562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6021A KR102526237B1 (ko) 2017-08-10 2018-07-24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6237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2725B1 (ko) * 2013-04-02 2021-03-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동시 대비 오류의 제거를 위한 영상표시방법
KR102016424B1 (ko) * 2013-04-12 2019-09-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데이터 처리 장치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7647A (ko) 2019-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7310B1 (ko) 3 색상 데이터로부터 4 색상 데이터로의 전환 방법 및 전환 시스템
US8305388B2 (en) Four color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verting image signal thereof
KR102185361B1 (ko) 화소 및 상기 화소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US8994762B2 (en) Apparatus generating gray scale voltage fo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generating method thereof
KR101440773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US8228270B2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9613562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20080018798A1 (en) Multi-Color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2019525258A (ja)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CN109891486B (zh) 显示装置和信号处理装置
US20170069251A1 (en) Display driving method, apparatus and display device
KR20080095664A (ko) 다색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483946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2154698B1 (ko) 표시장치와 그 휘도 향상 방법
KR102546309B1 (ko) 표시장치의 화질 보상 장치 및 방법
KR102042531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465446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2006195306A (ja) 発光素子の駆動方法、発光素子の駆動装置、表示装置
KR102526237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20210083468A (ko) 표시 장치의 보상 방법
KR102587620B1 (ko) 표시장치와 그 휘도 제어 방법
KR102279273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KR20210086110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230102771A (ko) 표시 장치
KR20200136859A (ko) 화소 및 상기 화소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