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6172B1 - 외부 전자 장치가 경사지게 결합될 수 있는 마운트 장치 - Google Patents

외부 전자 장치가 경사지게 결합될 수 있는 마운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6172B1
KR102526172B1 KR1020170175045A KR20170175045A KR102526172B1 KR 102526172 B1 KR102526172 B1 KR 102526172B1 KR 1020170175045 A KR1020170175045 A KR 1020170175045A KR 20170175045 A KR20170175045 A KR 20170175045A KR 102526172 B1 KR102526172 B1 KR 102526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external electronic
light
housing
spli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5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3843A (ko
Inventor
한기욱
김태형
남민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5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6172B1/ko
Priority to US16/955,478 priority patent/US11561404B2/en
Priority to PCT/KR2018/015750 priority patent/WO2019124864A1/ko
Publication of KR20190073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38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6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6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7/00Systems with reflecting surfaces, with or without refracting elements
    • G02B17/02Catoptric systems, e.g. image erecting and reversing system
    • G02B17/026Catoptric systems, e.g. image erecting and reversing system having static image erecting or reversing properties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7/00Systems with reflecting surfaces, with or without refracting elements
    • G02B17/02Catoptric systems, e.g. image erecting and reversing system
    • G02B17/04Catoptric systems, e.g. image erecting and reversing system using prisms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0875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racting elements
    • G02B26/0883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racting elements the refracting element being a pris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02B2027/015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with movable elements
    • G02B2027/0156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with movable elements with optionally usable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02B2027/016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positioning of the constitutive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02B2027/0169Supporting or connecting means other than the external wa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헤드 장착형 마운트 장치와 관련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기술된 바, 한 실시예에 따르면, 마운트 장치는, 전면, 상기 전면에 대향하고, 머리(head)에 장착될 수 있는 후면,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을 둘러 싸는 측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의 길이에 대응하도록 상기 측면 및 제 1 측면에 대해 외부 전자 장치를 지정된 각도로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에 결합될 수 있는 상기 외부 전자장치에 포함된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상기 지정된 각도로 대면할 수 있는 제 1 면,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제 1 면을 통해 입사된 빛의 방향을 (전반사를 통해) 변경할 수 있는 제 2 면, 및 상기 방향이 변경된 상기 빛을 출사할 수 있는 제 3 면을 포함하는 프리즘; 상기 측면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 3 면 사이에 배치된 미러; 및 상기 미러와 상기 제 3 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3 면을 통해 출사된 빛의 적어도 일부를 투과시키고, 상기 투과된 빛이 상기 미러를 통해 반사된 빛의 방향을 상기 후면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외부 전자 장치가 경사지게 결합될 수 있는 마운트 장치{A MOUNTING DEVIDE INCLINELY COUPLING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외부 전자 장치를 경사지게 탈착하는 헤드 장착형 마운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들이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 노트북 PC, 태블릿 PC, 웨어러블 장치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의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
상기 전자 장치들 중에는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되는 전자 장치들이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들은 통상적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라고 칭해진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예는, 머리 장착 형 디스플레이 장치(E.g. Head-mounted display), 스마트 안경 (smart glass), 스마트 시계 또는 밴드(smart watch, wristband), 콘텍트 렌즈 형 장치, 반지 형 장치, 신발 형 장치, 의복 형 장치, 장갑형 장치 등을 포함하며, 인체의 일부 또는 의복에 탈 부착 가능한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신체에 직접 착용되어, 이동성(portability) 및 사용자의 접근성(Accessibility)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일 례로서, 착용자의 머리 등에 장착할 수 있는 헤드 장착형 장치(HMD)(head mounted display or head mounted device, '헤드 장착형 전자 장치' 라고도 함)가 있다.
헤드 장착형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가 탈부착되어 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헤드 장착형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구조이므로 디자인적으로 미려하지 않고, 이를 가리기 위해 별도의 커버를 상기 헤드 장착형 장치에 장착할 경우, 제품의 크기가 커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하우징에 외부 전자 장치를 경사지게 내장함으로써, 하우징에 외부 전자 장치의 전체를 내장하여 외부 전자 장치를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헤드 장착형 마운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마운트 장치는, 전면, 상기 전면에 대향하고, 머리(head)에 장착될 수 있는 후면,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을 둘러 싸는 측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의 길이에 대응하도록 상기 측면 및 제 1 측면에 대해 외부 전자 장치를 지정된 각도로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에 결합될 수 있는 상기 외부 전자장치에 포함된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상기 지정된 각도로 대면할 수 있는 제 1 면,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제 1 면을 통해 입사된 빛의 방향을 (예; 전반사를 통해) 변경할 수 있는 제 2 면, 및 상기 방향이 변경된 상기 빛을 출사할 수 있는 제 3 면을 포함하는 프리즘; 상기 측면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 3 면 사이에 배치된 미러; 및 상기 미러와 상기 제 3 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3 면을 통해 출사된 빛의 적어도 일부를 투과시키고, 상기 투과된 빛이 상기 미러를 통해 반사된 빛의 방향을 상기 후면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는 스플리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마운트 장치는, 헤드 장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포함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지정된 범위의 기울기로 경사지게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 상기 하우징내에 포함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에서 나온 빛의 방향을 지정된 방향으로 변경시킬 수 있도록 배치된 프리즘: 상기 하우징내에서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빛을 통과시키거나 변경시킬 수 있는 스플리터: 및 상기 스플리터를 통과한 상기 빛을 반사시켜 상기 스플리터로 전달할 수 있는 미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를 탈착하는 마운트 장치는, 헤드 장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포함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경사지게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 및 상기 하우징내에 포함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에서 나온 빛의 방향을 지정된 방향으로 변경시킬 수 있도록 배치된 프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를 탈착하는 마운트 장치는, 머리(head)에 장착될 수 있는 전면, 상기 전면에 대향하는 후면,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을 둘러 싸는 측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의 사이의 길이에 대응하도록 상기 측면 중 제 1 측면에 대해 외부 전자 장치가 지정된 범위의 기울기로 경사지게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내에 포함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에서 나온 빛의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는 프리즘; 상기 하우징내에서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빛을 통과시키거나 변경시킬 수 있는 스플리터; 및 상기 스플리터를 통과한 상기 빛을 반사시켜 상기 스플리터로 전달할 수 있는 미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에 외부 전자 장치를 경사지게 인입/인출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하우징의 전반으로 외부 전자 장치가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인해 제품의 디자인을 미려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크기를 줄여 소형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외부 전자 장치를 경사지게 탈착하는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 장치에 전자 장치를 결합 전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 장치에 전자 장치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 장치의 구성 중 프리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다.
이하, 본 발명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A 또는 B",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또는 "A, B 및/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성된 유닛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이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상기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및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예를 들면,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의 경우와 같이, 일부의 구성요소들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구동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임베디드되어 운영될 수 있다.
이런 경우,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수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 구성 요소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로서,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되는 스피커와 전화 수신 전용으로 사용되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일체 또는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에게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터치에 대한 압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 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내부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는 지정된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를 물리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커넥터,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 이미지 센서,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플래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하기 위한 모듈로서,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그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상술한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190)은 하나의 칩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각각 별도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구별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예: 무선 통신 모듈(192))은 통신 방식에 적합한 안테나를 통하여 신호를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들은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일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그와 연관된 적어도 일부 기능을 외부 전자 장치에게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외부 전자 장치는 요청된 기능 또는 추가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수신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요청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관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사용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관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착용자'는 마운트 장치를 머리에 착용하고 상기 마운트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외부 전자 장치가 제공하는 콘텐츠를 이용하는 사람을 지칭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의 101)(예; 도 1의 101)의 탈부착이 가능한 마운트 장치(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마운트 장치(200)는 사용자의 머리(head)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헤드 장착부(21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예; 도 1의 160)를 포함한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의 101)는 마운트 장치(200)에 탈부착하도록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마운트 장치(200)는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 ,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VR) 또는 혼합 현실(Mixed Reality, MR) 등 을 제공하기 위한 씨-쓰루(See-through) 또는 씨-클로즈드(See-closed)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씨-쓰루 기능은, 예를 들면,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의 101)의 디스플레이(예; 도 1의 160)를 통하여 실제 외부의 사물(들)을 사용자의 안구(예; 도 6의 B1) 에 전달하면서, 상기 사물 또는 가상의 대상 또는 사물을, 사용자에게 시각적 또는 다양한 감각적인 수단을 사용하여, 제공하는 기능을 일반적으로 의미할 수 있다. 씨-쓰루 기능에 의하면, 실제로 보이는 사물 등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 및 또 이미지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디스플레이나, 렌즈 없이, 홀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부가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씨-클로즈드 기능은,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의 101)의 디스플레이(예; 도 1의 160)에 의하여 제공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마운트 장치(200)는, 전자 장치(예; 도 1의 101)에서 제공된 두 개의 디스플레이가 사용자의 안구(예; 도 6의 B1) 앞에 배치되어, 이러한 상기 디스플레이들을 통하여 제공되는 컨텐츠 (게임, 영화, 스트리밍, 방송 등)를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독립된 화면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몰입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 장치(200)에 전자 장치(예; 도 1의 101)를 장착 전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 장치(200)에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의 101)를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증강 현실(AR)을 제공하기 위한 마운트 장치(200)는 하우징(210), 결합부(220), 프리즘(230), 스플리터(240) 및 미러(25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210)은 전면(211), 상기 전면(211)에 대향하고, 머리(head)에 장착될 수 있는 후면(212), 상기 전면(211)과 상기 후면(212)을 둘러 싸는 측면(2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10)은 상기 전면(211)과 후면(212)의 길이에 대응하도록 상기 측면(213) 및 제 1 측면에 대해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의 101)를 지정된 범위에서 경사지게 결합될 수 있도록 후술하는 상기 결합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결합부(220), 프리즘(230), 스플리터(240) 및 미러(25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10)의 외부에는 사용자의 머리에 장착할 수 있도록 헤드 장착부(210a)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220)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의 101)를 경사지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210)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프리즘(230)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의 101)의 디스플레이에서 나온 빛(A1)의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210)내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리즘(230)은 상기 결합부(220)에 결합될 수 있는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의 101)에 포함된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경사지게 대면할 수 있는 제 1 면(231),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제 1 면(231)을 통해 입사된 빛(예; 도 5의 A2)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제 2 면(232) 및 상기 방향이 변경된 빛(예; 도 5의 A3)을 출사할 수 있는 제 3 면(2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플리터(240)는 상기 빛(예; 도 5의 A3)을 통과시키거나 변경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210)내에서 지정된 범위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플리터(240)는 상기 미러(250)와 상기 프리즘(230)의 제 3 면(233)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3 면(233)을 통해 출사된 빛(예; 도 5의 A3)의 적어도 일부를 투과시키고, 상기 투과된 빛(A3)이 상기 미러(250)를 통해 반사된 빛(예; 도 5의 A4)의 방향을 상기 후면(212)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미러(250)는 상기 스플리터(240)를 통과한 빛(예; 도 5의 A4)을 반사시켜 상기 스플리터(240)로 전달하도록 상기 하우징(210)의 측면(213)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프리즘(230)의 제 3 면(23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플리터(240)는 상기 프리즘(230)의 제 3 면(233)에서 전달받은 상기 빛(예; 도 5의 A3)의 적어도 일부를 통과시켜 상기 미러(250)에 출사시킬 수 있다, 상기 미러(250)는 출사된 빛(예; 도 5의 A4)을 반사하여 다시 상기 스플리터(240)에 입사시킬 수 있고, 상기 스플리터(240)는 입사된 빛(예; 도 5의 A5)의 방향을 변경시켜 사용자의 안구(예; 도 6의 B1)에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하우징(210)에 상기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의 101)를 지정된 범위 내에서 경사지게 결합시킴과 동시에 상기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의 101)의 전체를 내장시켜 하우징(210)의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결합부(220)를 구성함으로써,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의 101)가 상기 하우징(210)의 외부 노출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운트 장치(200)의 디자인을 미려하게 할 수 있을 물론, 제품의 크기를 줄여 소형화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와 같이, 상기 결합부(220)는, 개구(221), 경사부(222) 및 홀더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221)는 상기 하우징(210)의 경사지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우징(210)의 외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222)는 상기 전자 장치(예; 도 1의 101)를 상기 개구(221)에 인입시 경사지게 하도록 상기 개구(221)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부(223)는 경사지게 결합된 상기 전자 장치(예; 도 1의 101)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경사부(222)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10)의 개구(221)에 상기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의 101)를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의 101)는 상기 개구(221)를 인입됨과 동시에 상기 개구(221)내에 형성된 경사부(222)에 의해 경사지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의 101)는 상기 경사부(222)를 따라 경사지게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홀더부(223)에 삽입되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의 101)를 경사지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경사부(222)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의 101)를 고정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도록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경사부(222)는 탄성 부재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경사부(222)는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의 101)를 고정시키거나 분리시키는 구성이라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경사부(222)는 러버 또는 실리콘 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홀더부(223)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의 101)를 자력에 의해 고정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도록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부(223)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의 101)를 삽입하여 고정시키거나 당겨서 분리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홀더부(223)는 탄성력에 의해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의 101)를 잡아주는 판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결합부(220)는 상기 하우징(210)내에 상기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의 101)의 전체를 경사지게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결합부(220)의 경사각은 실질적으로 10도 ~ 45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210)에 결합된 상기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의 101)의 경사진 각도도 상기 결합부(220)의 경사각에 의해 10도 ~ 45도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에서 상기 결합부의 경사각은 20도로 한정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 장치(200)의 구성 중 프리즘(230)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 장치(200)의 구성 중 프리즘(230)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프리즘(230)은 제 1, 2 및 3 면(231)(232)(23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면(231)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의 101)의 디스플레이와 대면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예; 도 1의 160)에서 나온 빛(A1)을 입사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면(232)은 상기 제 1 면(231)에 의해 변경된빛(A2)을 상기 제 3 면(233)으로 출사할 수 있다. 상기 제 3 면(233)은 출사된 빛(A3)을 상기 스플리터(24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의 101)가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 개구(221)를 통해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의 101)는 상기 경사부(222) 및 상기 홀더부(223)에 의해 경사지게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의 101)의 디스플레이(예; 도 1의 160)와 상기 제 1 면(231)이 서로 대면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발산되는 빛(A1)은 상기 제 1 면(231)으로 입사될 수 있다. 상기 제 1 면(231)을 통해 입사된 빛(A1)은 상기 제 2 면(232)을 통해 빛(A2)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면(232)을 통해 변경된 상기 빛(A3)은 상기 제 3 면(233)으로 출사됨과 동시에 변경되어 상기 프리즘(230)의 외부로 나오고, 상기 프리즘(230)에서 나온 빛(A3)은 상기 스플리터(24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스플리터(240)는 상기 빛(A3)을 적어도 일부만을 통과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플리터(240)는 상기 빛(A3)의 절반만을 통과시킬 수 있다. 이러한 통과된 빛(A3)은 상기 스플리터(240)의 하부에 구비된 미러(250)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미러(250)는 상기 빛(A1)을 반사시키고, 반사된 빛(A4)은 다시 스플리터(24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스플리터(240)는 상기 미러(250)에서 반사된 빛(A4)의 방향을 변경시키고, 방향이 변경된 빛(A5)은상기 하우징(210)의 후면(212)에 위치한 사용자의 안구(B1)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안구(B1)은 상기 디스플레이(예; 도 1의 160)를 통하여 제공되는 다양한 컨텐츠를 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양한 컨텐츠는 증강 현실(AR)을 제공하는 씨-쓰루 기능 또는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VR)을 제공하는 씨-클로즈드 기능과 관련된 컨텐츠 중 하나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미러(250)는 오목 미러(2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미러(250)는 오목 미러(250)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다. 즉, 상기 미러(250)는 빛을 반사시키는 구성이라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미러(250)는 평면 미러(250)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도 6과 같이, 상기 전자 장치(예; 도 1의 101)는 상기 하우징(210)의 개구(221)에 결합됨과 동시에 경사지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예; 도 1의 101)는 상기 프리즘(230)의 제 1 면(231)과 대면될 수 있다. 상기 제 1 면(231)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의 101)의 디스플레이에서 나온 빛(A1)을 입사시키고, 상기 프리즘(230)의 제 2 면(232)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 2 면(232)은 상기 빛(A1)을 변경시켜 출사함과 동시에 상기 제 3 면(233)에 변경된 빛(A2)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 3 면(233)은 상기 빛(A2)을 변경시켜 상기 스플리터(240)에 변경된 빛(A3)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스플리터(240)는 상기 프리즘(230)의 제 3 면(233)에서 전달받은 빛(A3)의 적어도 일부만을 통과시켜 상기 미러(25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미러(250)는 상기 빛(A3)을 반사시키고, 반사된 빛(A4)은 다시 상기 스플리터(24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스플리터(240)는 상기 미러(250)에 의해 반사된 빛(A4)을 변경시키고, 변경된 빛(A5)은 상기 하우징(210)의 후면(212)에 위치한 사용자의 안구(B1)에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하우징(210)내에 경사진 빛을 직선, 경사 및 수평으로 변경시키는 프리즘(230)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프리즘(230)은 경사진 빛을 직선으로 변경시켜 스플리터(240)에 전달하고, 상기 스플리터(240)는 직선의 빛을 사용자의 안구(B1)에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리즘(230)은 경사진 빛을 직선으로 변경하여, 빛의 경로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의 101)는 상기 마운트 장치(200)에 경사지게 장착시킬 수 있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의 101)를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을 제공하는 씨-쓰루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의 101)는 증강 현실(AR)을 기반으로 하는 씨-쓰루 모드를 실행하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의 101)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예; 도 1의 180)은 촬영을 통해 영상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영상 정보를 통해 증강 현실(AR)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증강 현실(AR)은 실제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에 가상의 정보 혹은 그래픽을 입혀서 증강시키는 기술을 의미한다. 가상의 정보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상의 텍스트 또는 그래픽 형태의 이미지가 될 수 있으며, 실제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은 장치의 시야에 관찰된 실제 물체에 관한 정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증강 현실(AR)을 구현하는 방법은 크게 2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하나는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을 출력하고, 그 영상 내에서 인식된 사물, 사람 등의 피사체에 관한 정보를 촬영된 영상과 함께 출력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다른 하나의 방법은, 구글 글래스(상표명)와 같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혹은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이용되는 방법으로, 촬영된 영상을 직접 출력하지는 않고, 다만 촬영된 영상에 포함된 피사체에 관한 정보만을 출력하는 방법이다.
이와 같이, 상기 마운트 장치(200)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의 101)에서 제공된 두 개의 디스플레이가 사용자의 안구(B1) 앞에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상기 디스플레이들을 통하여 상기 증강 현실(AR)을 구현하는 방법들을 통해 제작된 다양한 컨텐츠를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마운트 장치(200)를 미사용할 경우, 먼저, 사용자의 머리에서 마운트 장치(200)를 분리하고, 상기 하우징(210)에 경사지게 결합된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의 101)를 상기 결합부(22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의 101)의 적어도 일부를 잡고 당겨서 상기 결합부(220)에서 분리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의 101)의 탈부착이 가능한 마운트 장치(300)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마운트 장치(300)는 하우징(310), 결합부(330), 프리즘(33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310)은 전면(311), 상기 전면(311)에 대향하고, 머리(head)에 장착될 수 있는 후면(312), 상기 전면(311)과 상기 후면(312)을 둘러 싸는 측면(3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10)은 상기 전면(311)과 후면(312)의 길이에 대응하도록 상기 측면(313) 및 제 1 측면에 대해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의 101)를 지정된 범위에서 경사지게 결합될 수 있도록 후술하는 상기 결합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10)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결합부(330) 및 프리즘(3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10)의 외부에는 사용자의 머리에 장착할 수 있도록 헤드 장착부(310a)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330)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의 101)를 경사지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310)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프리즘(330)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의 101)의 디스플레이에서 나온 빛의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310)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프리즘(330)은 상기 빛의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도록 제 1, 2, 3 및 4 면(331)(332)(333)(334)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면(331)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의 101)에 포함된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경사지게 대면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빛(A1)을 경사지게 유입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면(332)은 상기 제 1 면(331)을 통해 입사된 빛(A3)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 3 면(333)은 변경된 상기 빛(A3)의 방향을 상기 제 4 면(334)으로 보낼 수 있도록 빛(A3)의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제 4 면(334)은 변경된 상기 빛(A3)을 변경시켜 사용자의 안구(예; 도 6의 B1)에 변경된 빛(A4)을 전달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리즘(330)의 제 1 면(331)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빛(A1)을 유입시킬 수 있고, 유입된 빛(A1)은 상기 제 2 면(332)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제 3 면(333)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 3 면(333)은 전달된 빛(A2)을 다시 반사시켜 빛(A3)의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제 4 면(334)은 변경된 상기 빛(A3)을 다시 반사시켜 빛(A4)의 방향을 변경시킴과 동시에 사용자의 안구에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하우징(310)에 빛의 방향을 변경시키는 제 1, 2, 3 및 4 면(331)(332)(333)(334)을 포함하는 프리즘(330)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프리즘(330)의 상기 제 1, 2, 3 및 4 면(331)(332)(333)(334)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빛의 방향을 변경시켜 사용자의 안구에 전달할 수 있고, 이로인해 빛의 방향의 변경을 위해 필요하던 스플리터 또는 미러가 필요 없어 제품의 제조 비용을 절감함은 물론 제품의 소형화 및 슬림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마운트 장치는, 전면, 상기 전면에 대향하는, 머리(head)에 장착될 수 있는 후면,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을 둘러 싸는 측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의 길이에 대응하도록 상기 측면 및 제 1 측면에 대해 외부 전자 장치를 지정된 각도로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에 결합될 수 있는 상기 외부 전자장치에 포함된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상기 지정된 각도로 대면할 수 있는 제 1 면,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제 1 면을 통해 입사된 빛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제 2 면, 및 상기 방향이 변경된 상기 빛을 출사할 수 있는 제 3 면을 포함하는 프리즘; 상기 측면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 3 면 사이에 배치된 미러; 및
상기 미러와 상기 제 3 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3 면을 통해 출사된 빛의 적어도 일부를 투과시키고, 상기 투과된 빛이 상기 미러를 통해 반사된 빛의 방향을 상기 후면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는 스플리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마운트 장치는, 헤드 장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포함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지정된 범위의 기울기로 경사지게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 상기 하우징내에 포함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에서 나온 빛의 방향을 지정된 방향으로 변경시킬 수 있도록 배치된 프리즘; 상기 하우징내에서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빛을 통과시키거나 변경시킬 수 있는 스플리터; 및 상기 스플리터를 통과한 상기 빛을 반사시켜 상기 스플리터로 전달할 수 있는 미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부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경사지게 결합시킬 수 있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전체를 내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를 탈착하는 마운트 장치는, 헤드 장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포함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경사지게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 및 상기 하우징내에 포함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에서 나온 빛의 방향을 지정된 방향으로 변경시킬 수 있도록 배치된 프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부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경사지게 결합시킬 수 있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리즘은 제 1, 2 및 3 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면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와 대면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나온 빛을 입사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 2 면은 상기 제 1 면으로 입사된 상기 빛의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 3 면은 상기 방향이 변경된 빛을 상기 스플리터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를 탈착하는 마운트 장치는, 머리(head)에 장착될 수 있는 전면, 상기 전면에 대향하는 후면,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을 둘러 싸는 측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 사이의 길이에 대응하도록 상기 측면 중 제 1 측면에 대해 외부 전자 장치가 지정된 범위의 기울기로 경사지게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내에 포함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에서 나온 빛의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는 프리즘; 상기 하우징내에서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빛을 통과시키거나 변경시킬 수 있는 스플리터; 및 상기 스플리터를 통과한 상기 빛을 반사시켜 상기 스플리터로 전달할 수 있는 미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부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경사지게 결합시킬 수 있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전체를 내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부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될 수 있는 개구; 상기 개구내에 형성되고,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경사지게 결합시킬 수 있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에 포함되고, 경사지게 결합된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홀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사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고정시키거나 분리시키기 위한 탄성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홀더부는 상기 전자 장치를 자력에 의해 고정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리즘은 제 1, 2 및 3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면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와 대면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나온 빛을 입사시킬 수 있고, 상기 제 2 면은 상기 제 1 면으로 입사된 상기 빛의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 3 면은 상기 방향이 변경된 빛을 상기 스플리터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플리터는, 상기 프리즘의 제 3 면에서 전달받은 상기 빛의 적어도 일부만을 통과시켜 상기 미러에 전달하고, 상기 미러에서 반사된 상기 빛을 다시 변경시켜 사용자의 안구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미러는 오목 미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부의 경사각은 실질적으로 10도 ~ 45도의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마운트 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하우징 : 210 결합부 : 220
프리즘 : 230 미러 : 250
스플리터 : 240

Claims (14)

  1. 마운트 장치에 있어서,
    전면, 상기 전면에 대향하고, 머리(head)에 장착될 수 있는 후면,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을 둘러 싸는 측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의 길이에 대응하도록 상기 측면에 대해 외부 전자 장치를 제1 각도로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에 결합될 수 있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포함된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상기 제1 각도로 대면할 수 있는 제 1 면,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제 1 면을 통해 입사된 빛을 반사시켜, 빛의 방향이 변경되도록 형성된 제 3 면, 및 상기 제3 면에 의해 반사된 빛을 반사시켜, 빛의 방향이 수직인 제1 방향으로 변경되도록 형성된 제 2 면을 포함하는 프리즘;
    상기 제 3 면 하부에 제2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제 3 면을 통해 출사된 빛의 적어도 일부를 투과시키는 스플리터; 및
    상기 측면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스플리터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스플리터에 의해 투과된 상기 제1 방향의 빛을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반사시키도록 형성된 미러;를 포함하고,
    상기 스플리터는 상기 미러에 의해 상기 제2 방향으로 반사된 빛의 방향을 상기 후면에 대응하고, 상기 제2 방향과 수직인 제3 방향으로 변경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될 수 있는 개구;
    상기 개구 내에 형성되고,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경사지게 결합시킬 수 있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에 포함되고, 경사지게 결합된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홀더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경사지게 결합시킬 수 있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전체를 내장시킬 수 있는 마운트 장치.
  2. 삭제
  3. 외부 전자 장치를 탈착하는 마운트 장치에 있어서,
    헤드 장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포함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경사지게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 및
    상기 하우징 내에 포함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에서 나온 빛의 방향을 제1 방향으로 변경시킬 수 있도록 배치된 프리즘을 포함하고,
    상기 프리즘 하부에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프리즘을 통해 출사된 빛의 적어도 일부를 투과시키는 스플리터; 및
    상기 스플리터에 의해 투과된 상기 제1 방향의 빛을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반사시키도록 형성된 미러;를 포함하고,
    상기 스플리터는 상기 미러에 의해 상기 제2 방향으로 반사된 빛의 방향을 상기 제2 방향과 수직인 제3 방향으로 변경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될 수 있는 개구;
    상기 개구 내에 형성되고,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경사지게 결합시킬 수 있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에 포함되고, 경사지게 결합된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홀더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경사지게 결합시킬 수 있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전체를 내장시킬 수 있는 마운트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경사지게 결합시킬 수 있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마운트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은 제 1, 2 및 3 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면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와 대면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나온 빛을 입사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 2 면은 상기 제 1 면으로 입사된 상기 빛의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고,
    상기 제 3 면은 상기 방향이 변경된 빛을 스플리터로 전달할 수 있는 마운트 장치.
  6. 외부 전자 장치를 탈착하는 마운트 장치에 있어서,
    머리(head)에 장착될 수 있는 전면, 상기 전면에 대향하는 후면,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을 둘러 싸는 측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 사이의 길이에 대응하도록 상기 측면에 대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지정된 범위의 기울기로 경사지게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내에 포함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에서 나온 빛의 방향을 제1 방향으로 변경시킬 수 있는 프리즘;
    상기 하우징 내에서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프리즘을 통해 상기 제1 방향으로 출사된 빛의 적어도 일부를 통과시키거나 변경시킬 수 있는 스플리터; 및
    상기 스플리터를 통과한 상기 제1 방향의 빛을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반사시켜 상기 스플리터로 전달할 수 있는 미러를 포함하고,
    상기 스플리터는 상기 미러에 의해 상기 제2 방향으로 반사된 빛의 방향을 상기 후면에 대응하고, 상기 제2 방향과 수직인 제3 방향으로 변경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될 수 있는 개구;
    상기 개구 내에 형성되고,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경사지게 결합시킬 수 있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에 포함되고, 경사지게 결합된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홀더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경사지게 결합시킬 수 있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전체를 내장시킬 수 있는 마운트 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경사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고정시키거나 분리시키기 위한 탄성 부재가 배치된 마운트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상기 전자 장치를 자력에 의해 고정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는 마운트 장치.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은 제 1, 2 및 3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면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와 대면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나온 빛을 입사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 2 면은 상기 제 1 면으로 입사된 상기 빛의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고,
    상기 제 3 면은 상기 방향이 변경된 빛을 상기 스플리터로 전달할 수 있는 마운트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리터는, 상기 프리즘의 제 3 면에서 전달받은 상기 빛의 적어도 일부만을 통과시켜 상기 미러에 전달하고, 상기 미러에서 반사된 상기 빛을 다시 변경시켜 사용자의 안구에 전달할 수 있는 마운트 장치.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는 오목 미러를 포함하는 마운트 장치.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경사각은 10도 ~ 45도의 범위를 포함하는 마운트 장치.
KR1020170175045A 2017-12-19 2017-12-19 외부 전자 장치가 경사지게 결합될 수 있는 마운트 장치 KR102526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045A KR102526172B1 (ko) 2017-12-19 2017-12-19 외부 전자 장치가 경사지게 결합될 수 있는 마운트 장치
US16/955,478 US11561404B2 (en) 2017-12-19 2018-12-12 Mount device to which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can be coupled so as to slope
PCT/KR2018/015750 WO2019124864A1 (ko) 2017-12-19 2018-12-12 외부 전자 장치가 경사지게 결합될 수 있는 마운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045A KR102526172B1 (ko) 2017-12-19 2017-12-19 외부 전자 장치가 경사지게 결합될 수 있는 마운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3843A KR20190073843A (ko) 2019-06-27
KR102526172B1 true KR102526172B1 (ko) 2023-04-27

Family

ID=66993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5045A KR102526172B1 (ko) 2017-12-19 2017-12-19 외부 전자 장치가 경사지게 결합될 수 있는 마운트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561404B2 (ko)
KR (1) KR102526172B1 (ko)
WO (1) WO20191248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831385A1 (es) * 2019-12-05 2021-06-08 Ar Vr Meifus Eng S L Casco y sistema de realidad mixta, virtual y aumentada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31903A1 (en) 2014-11-11 2016-05-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eventing display leakage in see-through displays
US20170017088A1 (en) * 2011-12-01 2017-01-19 Seebright Inc. Head Mounted Display With Lens
US20170235133A1 (en) 2014-12-03 2017-08-17 Osterhout Group, Inc. Head worn computer display systems
US20170343816A1 (en) * 2016-05-24 2017-11-30 Osterhout Group, Inc. Solid optical assembly with increased efficiency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7359B1 (ko) * 2001-02-14 2003-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의 조명광학계
JP2005062803A (ja) * 2003-07-31 2005-03-10 Olympus Corp 撮像光学系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装置
JP5170072B2 (ja) 2009-12-03 2013-03-27 株式会社島津製作所 頭部装着型表示装置
US20160085077A1 (en) * 2013-05-17 2016-03-24 Gentex Corporation Mount Arm for a Helmet Mounted Display
US10088683B2 (en) 2014-10-24 2018-10-02 Tapuyihai (Shanghai) Intelligent Technology Co., Ltd. Head worn displaying device employing mobile phone
JP5824697B1 (ja) 2014-12-27 2015-11-25 株式会社Fove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KR20180104056A (ko) * 2016-01-22 2018-09-19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와이드 필드 개인 디스플레이
US10886761B1 (en) * 2019-12-05 2021-01-05 Salvia Bioelectronics B.V. Mobile phone cover comprising two or more charging stations for rechargeable instrument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17088A1 (en) * 2011-12-01 2017-01-19 Seebright Inc. Head Mounted Display With Lens
US20160131903A1 (en) 2014-11-11 2016-05-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eventing display leakage in see-through displays
US20170235133A1 (en) 2014-12-03 2017-08-17 Osterhout Group, Inc. Head worn computer display systems
US20170343816A1 (en) * 2016-05-24 2017-11-30 Osterhout Group, Inc. Solid optical assembly with increased efficienc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3843A (ko) 2019-06-27
US20200319470A1 (en) 2020-10-08
WO2019124864A1 (ko) 2019-06-27
US11561404B2 (en) 2023-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09022B2 (en) Temple and ear horn assembly for headworn computer
US11409128B2 (en) Adjustable nose bridge assembly for headworn computer
KR20190126673A (ko) 평면부를 포함하는 윈도우 글래스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윈도우 글래스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79034B1 (ko) 영상 출력 모듈의 아래에 영상이 출력되는 방향에 대해 지정된 각도로 배치된 반 투명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180246334A1 (en) Head-mounted display device, computer program, and control method for head-mounted display device
CN104969115A (zh) 用于头部可安装显示器的模块化框架构造
KR20200137813A (ko) 방열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4215976A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miniature camera
US20180204375A1 (en) Smar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EP322315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computer program
US11808942B2 (e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providing multiple focal points for light outputted from display
KR102526172B1 (ko) 외부 전자 장치가 경사지게 결합될 수 있는 마운트 장치
US10930200B2 (en) Connection device,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display device
KR20210130485A (ko)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동작 방법
KR20220100143A (ko)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모션 센서를 이용한 입력 구조물
KR20200032467A (ko) 외부 광의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는 광학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230034288A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US20220214744A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input structure using motion sensor in the same
US20240119683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r information using watch face image
US11906734B1 (en) Augmented reality device and methods of use
WO2024117524A1 (ko) 미디어 콘텐트를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US11630793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port arrangement
EP4350420A1 (en) Lens assembly including light-emitting element disposed on first lens, and wear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US20240078069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at least one external object among one or more external objects
KR20240082958A (ko) 미디어 콘텐트를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