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5984B1 - 화상 회의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회의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5984B1
KR102525984B1 KR1020220123212A KR20220123212A KR102525984B1 KR 102525984 B1 KR102525984 B1 KR 102525984B1 KR 1020220123212 A KR1020220123212 A KR 1020220123212A KR 20220123212 A KR20220123212 A KR 20220123212A KR 102525984 B1 KR102525984 B1 KR 102525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xt information
video
video conference
target word
search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3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화
최환석
박진석
김윤섭
정우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액션파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액션파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액션파워
Priority to KR1020220123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59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5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5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31Query processing
    • G06F16/3332Query translation
    • G06F16/3334Selection or weighting of terms from queries, including natural language qu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7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G06F16/7844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using original textual content or text extracted from visual content or transcript of audio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06F40/169Annotation, e.g. comment data or footno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화상 회의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에 따르면, 컴퓨팅 장치가, 화상 회의 영상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화상 회의 영상과 관련된 주석(annotation)을 생성하고, 상기 화상 회의 영상에 포함된 음성이 변환된 텍스트 정보와 상기 생성된 주석을 연동하고, 상기 주석이 연동된 상기 텍스트 정보를 공유한다.

Description

화상 회의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VIDEO CONFERENCE}
본 발명은 화상 회의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화상 회의 영상과 관련된 주석을 생성하고 이를 화상 회의를 변환한 텍스트 정보와 연동하고, 연동된 결과물을 공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코로나-19 팬데믹 등으로 인하여 화상회의에 대한 수요는 그 어느 때보다 더 높다고 할 수 있다. 비대면으로 이루어지는 화상 회의는 회의 과정을 녹화하여 다시 돌려 보거나 다른 매체로 변환하여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이러한 장점을 잘 이용하기 위해서는 해결되어야 할 문제 또한 상당하다.
예를 들어, 화상 회의에서 논의되었던 내용을 다시 복기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화상 회의를 저장한 영상 또는 음성 파일을 다시 청취해야 하는 바, 자신이 찾고자 했던 정보가 화상 회의의 어느 지점에 존재하는지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무의미한 구간을 재생하는 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로서, 화상 회의 중 작성한 간단한 메모를 참석자들에게 공유하고자 할 때도, 화상 회의를 수행/녹화하는 플랫폼과 메모를 작성하는 플랫폼이 상이하여 두 정보를 서로 연결 짓기 위해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한 경우도 발생한다.
따라서, 화상 회의의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탐색하고, 화상 회의 중 추가로 덧붙여진 내용을 화상 회의와 연관지어 공유함으로써 화상 회의의 효용을 높이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당 업계의 수요가 존재한다.
본 개시는 전술한 배경 기술에 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화상 회의 영상과 관련된 주석을 생성하고 이를 화상 회의를 변환한 텍스트 정보와 연동하고, 연동된 결과물을 공유하여 화상 회의의 효용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개시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기술적 과제가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화상 회의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화상 회의 영상과 관련된 주석(annotation)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화상 회의 영상에 포함된 음성이 변환된 텍스트 정보와 상기 생성된 주석을 연동하는 단계; 및 상기 주석이 연동된 상기 텍스트 정보를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화상 회의 영상과 관련된 주석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회의 영상의 특정 시점과 관련된 북마크(bookmark)를 생성하는 단계; 또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회의 영상과 관련된 메모(memo)를 생성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 실시예에서, 상기 화상 회의 영상에 포함된 음성이 변환된 텍스트 정보와 상기 생성된 주석을 연동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시점에 대응되는 상기 텍스트 정보의 특정 지점을 식별하는 것을 기초로, 상기 북마크와 상기 텍스트 정보를 연동하는 단계; 또는 상기 텍스트 정보와 상기 메모를 연동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 실시예에서, 상기 주석이 연동된 상기 텍스트 정보를 공유하는 단계는: 사용자에게 상기 텍스트 정보 및 상기 주석의 내용을 포함하는 알림(notification)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 실시예에서, 상기 주석이 연동된 상기 텍스트 정보를 공유하는 단계는: 편집 입력을 기초로 상기 텍스트 정보를 편집하는 단계; 또는 편집 입력을 기초로 상기 주석을 편집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 실시예에서, 상기 편집 입력을 기초로 상기 텍스트 정보를 편집하는 단계는: 검색 입력을 기초로 상기 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검색 대상 단어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검색 대상 단어를 기초로 상기 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추가 검색 대상 단어를 식별하는 단계; 및 편집 입력을 기초로 상기 검색 대상 단어 또는 상기 추가 검색 대상 단어 중 적어도 일부를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 실시예에서, 상기 검색 대상 단어를 기초로 상기 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추가 검색 대상 단어를 식별하는 단계는; 편집 거리 분석에 기초하여, 상기 검색 대상 단어를 기초로 상기 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추가 검색 대상 단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 실시예에서, 상기 편집 거리 분석에 기초하여, 상기 검색 대상 단어를 기초로 상기 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추가 검색 대상 단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 대상 단어와 연관된 편집 거리에 대한 임계치(threshold)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단어들 중 상기 검색 대상 단어와의 편집 거리가 상기 임계치 이하인 단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단어를 상기 추가 검색 대상 단어로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 실시예에서, 상기 편집 입력을 기초로 상기 텍스트 정보를 편집하는 단계는: 상기 텍스트 정보를 기초로 타겟(target) 단어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편집 입력을 기초로 상기 타겟 단어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타겟 단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텍스트 정보 중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타겟 단어에 대응되는 텍스트 부분의 표시 형태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화상 회의 영상과 상기 텍스트 정보를 연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상 회의 영상과 상기 텍스트 정보를 연동하는 단계는: 상기 텍스트 정보의 특정 지점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상기 특정 지점에 대응되는 특정 시점의 화상 회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또는 상기 화상 회의 영상의 특정 시점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상기 특정 시점에 대응되는 특정 지점의 텍스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 실시예에서, 상기 화상 회의 영상에 포함된 음성이 변환된 텍스트 정보와 상기 생성된 주석을 연동하는 단계는: 상기 주석이 연동된 텍스트 정보를 외부 프로그램을 위한 포맷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 실시예에서, 상기 화상 회의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는: 화상 회의 참여자의 참여 상태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참여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화상 회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 피드백(feedback)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 실시예에서, 상기 화상 회의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는: 객체 인식(object detection)을 기초로, 상기 화상 회의 영상으로부터 회의 참여자 및 배경(background)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배경을 영상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화상 회의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개시된다. 상기 프로그램은, 화상 회의 영상을 제공하는 동작;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화상 회의 영상과 관련된 주석을 생성하는 동작; 상기 화상 회의 영상에 포함된 음성이 변환된 텍스트 정보와 상기 생성된 주석을 연동하는 동작; 및 상기 주석이 연동된 상기 텍스트 정보를 공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화상 회의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컴퓨팅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화상 회의 영상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화상 회의 영상과 관련된 주석을 생성하고, 상기 화상 회의 영상에 포함된 음성이 변환된 텍스트 정보와 상기 생성된 주석을 연동하고, 그리고 상기 주석이 연동된 상기 텍스트 정보를 공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는 화상 회의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의 설명에 이용되기 위하여 첨부된 아래 도면들은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단지 일부일 뿐이며, 본 개시가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하 "통상의 기술자"라 함)에게 있어서는 신규한 발명에 이르는 노력 없이도 이 도면들에 기초하여 다른 도면들이 얻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회의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회의를 제공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회의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회의의 영상 및 주석을 선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 정보 및 주석을 편집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회의의 배경을 영상 처리하는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 피드백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에 대한 간략하고 일반적인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대상 단어와 연관된 추가 검색 대상 단어를 결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 정보에 대한 요약 정보를 생성하여 표시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본 개시는 화상 회의 영상과 관련된 주석을 생성하고, 화상 회의 영상에 포함된 음성이 변환된 텍스트 정보와 상기 생성된 주석을 연동하고, 주석이 연동된 텍스트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화상 회의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설명들이 본 개시의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설명 없이도 실행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등은 컴퓨터-관련 엔티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조합, 또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는 프로세서상에서 실행되는 처리과정(procedure), 프로세서, 객체,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컴퓨팅 장치 모두 컴포넌트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는 프로세서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상주할 수 있다. 일 컴포넌트는 하나의 컴퓨터 내에 로컬화 될 수 있다. 일 컴포넌트는 2개 이상의 컴퓨터들 사이에 분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그 내부에 저장된 다양한 데이터 구조들을 갖는 다양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부터 실행할 수 있다. 컴포넌트들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들을 갖는 신호(예를 들면, 로컬 시스템, 분산 시스템에서 다른 컴포넌트와 상호작용하는 하나의 컴포넌트로부터의 데이터 및/또는 신호를 통해 다른 시스템과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에 따라 로컬 및/또는 원격 처리들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만,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리고,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이라는 용어는, “A만을 포함하는 경우”, “B만을 포함하는 경우”, “A 와 B의 구성으로 조합된 경우”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들은 추가적으로 여기서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되어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 논리적 블록들, 구성들, 모듈들, 회로들, 수단들, 로직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양쪽 모두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상호교환성을 명백하게 예시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 컴포넌트들, 블록들, 구성들, 수단들, 로직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은 그들의 기능성 측면에서 일반적으로 위에서 설명되었다. 그러한 기능성이 하드웨어로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 여부는 전반적인 시스템에 부과된 특정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및 설계 제한들에 달려 있다. 숙련된 기술자들은 각각의 특정 어플리케이션들을 위해 다양한 방법들로 설명된 기능성을 구현할 수 있다. 다만, 그러한 구현의 결정들이 본 개시내용의 영역을 벗어나게 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를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개시는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 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개시는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회의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컴퓨팅 장치(100)의 구성은 간략화 하여 나타낸 예시일 뿐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컴퓨팅 장치(100)의 컴퓨팅 환경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성들이 포함될 수 있고, 개시된 구성들 중 일부만이 컴퓨팅 장치(100)를 구성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프로세서(110), 메모리(130), 네트워크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하나 이상의 코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컴퓨팅 장치의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범용 그래픽 처리 장치 (GPGPU: general purpose graphics processing unit), 텐서 처리 장치(TPU: tensor processing unit) 등의 데이터 분석, 딥러닝을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계 학습을 위한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10)는 신경망의 학습을 위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딥러닝(DL: deep learning)에서 학습을 위한 입력 데이터의 처리, 입력 데이터에서의 피처 추출, 오차 계산, 역전파(backpropagation)를 이용한 신경망의 가중치 업데이트 등의 신경망의 학습을 위한 계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의 CPU, GPGPU, 및 TPU 중 적어도 하나가 네트워크 함수의 학습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PU 와 GPGPU가 함께 네트워크 함수의 학습, 네트워크 함수를 이용한 데이터 분류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컴퓨팅 장치의 프로세서를 함께 사용하여 네트워크 함수의 학습, 네트워크 함수를 이용한 데이터 분류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에서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CPU, GPGPU 또는 TPU 실행가능 프로그램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팅 장치(100)는 입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교정 및 편집에 대한 입력과 검색할 단어에 대한 입력 등을 수신할 수 있는 입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음성 인식 수행 결과 텍스트, 사용자가 수정한 교정, 편집이 반영된 텍스트, 단어 리스트, 단어 검색 창 등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타겟 단어 리스트를 표시하고, 타겟 단어 리스트 내에서 타겟 단어를 결정(또는 검색)할 수 있는 단어 표시 및 검색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사용자가 검색한 단어와 유사한 단어를 음성 인식 결과 텍스트 중에서 찾아주는 유사 단어 검색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텍스트 정보와 관련하여 설정된 요약 범위, 텍스트 정보에 대한 화자 정보, 또는 상기 텍스트 정보에 대한 주제(topic)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텍스트 정보에 대한 요약 정보를 생성하는 요약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선택된 단어에 대응하여 음성 인식과 관련된 정보 또는 외부 서버와의 연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선택된 단어를 대체하기 위한 후보 단어를 표시하는 후보 단어 제안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음성 인식과 관련하여, 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단어들 각각의 신뢰도를 산출하여 신뢰도가 임계치 이하인 단어를 식별하여 표시하는 신뢰도 표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컴퓨팅 장치(100)에 포함될 수 있는 복수의 모듈들은, 프로세서(110)에 의해 제어되거나, 또는 프로세서(110)의 동작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음성 인식 결과의 편집과 관련하여 컴퓨팅 장치(100)에 포함될 수 있는 모듈들은, 이상에서 살핀 복수의 모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추가적인 모듈들이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0)는 회의 참여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영상을 수신받는 것을 기초로 화상 회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화상 회의를 제공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0)는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화상 회의 영상과 관련된 주석(annotation)을 생성할 수 있다. 주석을 생성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0)는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생성된 주석과 상기 화상 회의 영상에 포함된 음성이 변환된 텍스트 정보를 연동할 수 있다. 주석과 텍스트 정보를 연동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0)는 주석이 연동된 텍스트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주석이 연동된 텍스트 정보를 공유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프로세서(110)는 주석이 연동된 텍스트 정보를 공유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텍스트 정보 및 주석의 내용을 포함하는 알림(notification)을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알림의 형태는 이메일, SMS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본 개시는 이러한 알림의 형태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프로세서(110)는 주석이 연동된 텍스트 정보에 대하여, 편집 입력을 기초로 텍스트 정보를 편집하거나, 편집 입력을 기초로 주석을 편집할 수 있다. 이 때 편집하는 주체는 텍스트 정보 또는 주석을 작성한 사용자일 수 있고, 또는 텍스트 정보 또는 주석을 공유받은 사용자일 수 있다. 상기 편집은 편집 주체의 로컬(local) 단말기에서 수행되거나 서버에서 수행될 수 있고, 동시에 여러 명의 주체가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활용하여 텍스트 정보 또는 주석을 편집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화상 회의가 완료된 후 화상 회의의 음성으로부터 텍스트 정보가 생성되고, 사용자가 생성한 주석이 연동된 후, 주석이 연동된 텍스트 정보가 공유된 후 편집 입력을 기초로 텍스트 정보 및 주석이 편집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화상 회의가 이루어지는 도중 화상 회의의 음성으로부터 텍스트 정보가 실시간으로 생성되고, 화상 회의 또는 텍스트 정보에 주석이 삽입되고, 주석이 삽입되는 현황이 화상 회의 참가자 모두에게 실시간(realtime)으로 공유될 수 있다. 이 경우, 화상 회의에 참여한 모든 사용자들은 실시간으로 화상 회의의 음성으로부터 변환된 텍스트 정보를 편집할 수 있고, 텍스트 정보에 연동된 주석 또한 편집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대상 단어와 연관된 추가 검색 대상 단어를 결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일례로, 도 9는 사용자가 검색한 단어와 유사한 단어를 음성 인식 결과 텍스트 중에서 찾아주는 유사 단어 검색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0)는 공유되는 텍스트 정보에 대하여, 사용자의 검색 입력을 기초로 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검색 대상 단어를 식별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검색 항목(910)에 검색 대상 단어(예컨대, 소프)를 입력 받을 수 있다. 그 후, 프로세서(110)는 검색 대상 단어를 기초로 상기 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추가 검색 대상 단어를 식별할 수 있다. 그 후 프로세서(110)는 사용자의 편집 입력을 기초로 검색 대상 단어 또는 추가 검색 대상 단어(930) 중 적어도 일부를 수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가 검색 단어를 기초로 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추가 검색 대상 단어를 식별하는 방법으로서, 편집 거리 분석에 기초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0)는, 음성 인식 결과에 포함된 복수의 단어들과 검색 대상 단어 사이의 편집 거리를 각각 산출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단어들 중 산출된 편집 거리가 임계치(threshold) 이하인 단어들을 추가 검색 대상 단어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도 9와 같이, 검색 대상 단어가 "소프"라고 할 때, 음성 인식 결과 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단어들 중 "소프"와의 편집 거리가 임계치 이하인, “소스”, "고프", "고플"등의 단어를 추가 검색 대상 단어로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0)는, 편집 거리 분석에 기초하여 검색 대상 단어와 연관된 추가 검색 대상 단어를 결정할 때, 동적인 임계치를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검색 대상 단어의 길이에 대응하여 상기 편집 거리에 대한 임계치를 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0)는, 상기 검색 대상 단어의 길이 및 미리 결정된 비율 임계치 사이의 연산에 기초하여, 상기 편집 거리에 대한 임계치를 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검색 대상 단어의 길이에 비율 임계치를 곱하고, 정수로 올림하여 검색 대상 단어마다 동적인 임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비율 임계치는 미리 설정되거나, 신경망 모델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추가로, 프로세서(110)는, 복수의 검색 대상 단어들을 포함하는 검색 대상 단어 집합이 생성되는 경우, 검색 대상 단어 집합에 포함되는 검색 대상 단어들 각각의 길이에 따라 임계치를 동적으로 설정하여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0)는, 편집 거리 분석에 기초하여 검색 대상 단어와 연관된 추가 검색 대상 단어를 결정할 때, "동적인 임계치(예컨대, 위에서 살펴본 비율 임계치에 기초한 동적인 임계치)" 및 "절대 임계치"를 모두 고려하여 추가 검색 대상 단어를 검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음성 인식 결과 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단어들 중 상기 검색 대상 단어와의 편집 거리가 상기 "동적으로 결정된 임계치" 이하이고 그리고 상기 "절대 임계치" 이하인 단어를 결정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10)는, 검색 대상 단어와의 관계에서, 동적 임계치와 절대 임계치를 동시에 만족하는 단어들을 식별할 수도 있으며, 해당 단어들을 추가 검색 대상 단어(유사 단어)들로서 결정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10)는, 검색 대상 단어가 복수 개인 경우, 복수의 검색 대상 단어들을 포함하는 검색 대상 단어 집합 Q' = {q1, q2, …, qn}을 생성할 수 있으며, 화상 회의의 음성 인식 결과 텍스트 정보에서 검색 대상 단어 집합과 발음이 유사한 단어들을 추가로 검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편집 거리 분석에 기초하여, 상기 검색 대상 단어 집합과 연관된 추가 검색 대상 단어 집합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검색 대상 단어 집합에 포함된 복수의 검색 대상 단어들 각각에 대하여, 각각의 임계치를 동적으로 결정하고, 결정된 임계치에 기초하여 각각의 검색 대상 단어의 유사 단어들을 식별(즉, 각각의 검색 대상 단어와의 편집 거리가 상기 각각의 동적인 임계치 이하인 단어들을 식별)할 수 있으며, 식별된 단어들에 기초하여 상기 추가 검색 대상 단어 집합을 생성할 수도 있다.
한편, 이상에서 언급된 편집 거리(edit distance)는, 다양한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집 거리는, 문자열 두 개가 있을 때, 둘 중 한 문자열을 다른 문자열로 변환시킬 때에 필요한 최소 편집 개수로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편집의 종류는, 문자 삭제(deletion), 삽입(insertion), 교체(substitu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편집 거리는 발음 기준으로 연산 되거나, 텍스트 기준으로 연산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집 거리는, 텍스트를 발음 기호로 변환하는 것에 기초하여 연산 되거나, 텍스트 자체에 기초하여 연산(예컨대, 자소 단위로 연산) 될 수도 있다. 한편, 편집 거리 알고리즘은 Levenshtein distance, Longest common subsequence, Hamming distance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알고리즘 이외에도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음성 인식 결과 텍스트 정보(T) 및 검색 대상 단어 집합 Q' = {q1, q2, …, qn}(이때, T와 qi는 모두 길이 1 이상의 문자열)에 대해서, 상기 텍스트 정보(T) 중 검색 대상 단어(Q')의 임의의 요소(element)와의 편집 거리가 임계치 이하인 문자열 구간을 검색할 때, 나이브(naive)한 편집 거리 알고리즘 또는 단순한 편집 거리 연산 알고리즘이 이용되는 경우, 런타임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0)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검색 대상 단어 집합 또는 텍스트 정보에 포함되는 복수의 문자열들에 대한 근사(approximate) 정보를 활용할 수 있으며, 근사화 된 정보를 활용하여 검색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0)는, 다중 문자열 근사 매칭 알고리즘(multi-string approximate (fuzzy) matching algorithm)을 이용하여 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단어들 중 상기 검색 대상 단어와의 편집 거리가 임계치 이하인 단어를 결정할 수 있다.
추가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0)는, 음성 인식 결과 텍스트 정보 내에서 검색 대상 단어 및 추가 검색 대상 단어를 검색한 뒤에, 변경 단어 입력 항목(920)에 입력된 사용자 입력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검색 대상 단어 및 상기 추가 검색 대상 단어 중 적어도 일부를 수정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수정하는 동작은 상기 검색 대상 단어 및 상기 추가 검색 단어를 상기 입력된 변경 단어로 일괄적으로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검색 대상 단어로서 "의쟈"가 입력된 경우, 추가 검색 대상 단어로서 "으자", "의자" 등을 추가로 검색할 수 있으며, 검색 이후에 변경 단어로서 "의자"가 입력된 경우, "의쟈", "으자", "의자"등의 단어들을 모두 일괄적으로 "의자"로 변경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0)는, 음성 인식 분야의 검색과 관련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성 인식 결과 텍스트는 일부만 틀리는 오류(예컨대, CER 계산시 이용되는 오류 종류 Substitution, Deletion, Insertion 중 Substitution 오류)가 많아 불안전하고,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단어와 유사함에도 온전히 동일한 단어가 아니어서 검색이 안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는데,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0)는, 편집 거리에 기초하여 검색 대상 단어와 유사한 단어인 추가 검색 대상 단어(유사 단어)를 결정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오류를 해결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0)는 화상 회의의 음성을 변환하여 생성된 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타겟 단어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조건은, 사용자 계정 별로 미리 설정된 단어 정보, 또는 단어의 출현 빈도와 관련하여 미리 설정된 임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사용자 계정 별로 미리 설정된 키워드 정보에 기초하여, 음성 인식을 변환하여 생성된 텍스트 정보 중에서 키워드에 해당하는 타겟 단어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음성 인식 결과 텍스트 정보 내에서, 출현 빈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단어들을 식별할 수 있으며, 식별된 단어들에 대한 타겟 단어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타겟 단어 리스트 내에서 타겟(target) 단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텍스트 정보 중 타겟 단어에 대응되는 텍스트 부분의 표시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타겟 단어 리스트에 포함된 단어인 "음성, 텍스트, 받아쓰기, 정확도, 인공지능, 변환, 녹음 파일" 중 사용자 입력에 따라 타겟 단어를 "인공지능"으로 결정하고, 음성 인식 결과 텍스트 정보 중 타겟 단어를 검출하고, 미리 결정된 방식(예컨대, 하이라이트 등)으로 타겟 단어에 대응되는 텍스트 부분의 표시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 정보(예컨대, 음성 인식 결과 텍스트 정보)에 대한 요약 정보를 생성하여 표시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일례로, 도 10은 텍스트 정보와 관련하여 설정된 요약 범위, 텍스트 정보에 대한 화자 정보, 또는 상기 텍스트 정보에 대한 주제(topic)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텍스트 정보에 대한 요약 정보를 생성하는 요약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0)는 상기 텍스트 정보와 관련하여 설정된 요약 범위, 상기 텍스트 정보에 대한 화자 정보, 또는 상기 텍스트 정보에 대한 주제(topic)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텍스트 정보에 대한 요약 정보(1030)를 생성할 수 있다. 일례로, 프로세서(110)는 텍스트 요약(Text summarization) 모델을 이용하여 텍스트를 요약할 수 있다. 여기서 요약하는 범위는 사용자가 설정한 기준에 대응하여 다양한 문장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화자 분리 모델을 이용하여 화자 별로 요약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화자 분리 모델은, 원본 음성에 대한 스펙트로그램의 타입을 분석하는 모델, 원본 음성에 포함된 복수의 음성 신호들의 크기, 진폭, 주파수 등을 분석하는 모델, 통계적 음향 모델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전체 텍스트 정보를 보다 짧고, 주제적인 일관성을 가지는 덩이로 나누는 토픽 세분화(Topic segmentation) 모델을 이용하여 유사한 주제를 가진 문장들을 묶어 요약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문단 나눔, 구간별 배경색 칠하기 등으로 텍스트 정보에 대한 주제(topic) 정보를 달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프로세서(110)는 요약 대상 텍스트들의 타입(1020)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요약 대상 텍스트들의 타입(1020)에 관한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특히, 프로세서(110)는 요약 대상 텍스트들의 타입이 산문형 타입(예컨대, 줄글, 강연 등과 같이 화자 변화가 별로 없는 경우)인지 아니면 대화형 타입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결정된 타입에 따라 요약 알고리즘을 달리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약 대상 텍스트들의 타입(1020)이 대화형 타입인 경우, 요약 결과에 '이 대리는~~'과 같이 화자 이름이 포함되도록 요약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요약 텍스트들의 타입을 결정함으로써 보다 적합한 요약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프로세서(110)는 요약 결과의 길이에 관한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요약 결과의 길이에 관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요약 결과에 포함된 문단 수, 문장 수, 또는 단어 수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0)는 요약 결과의 길이를 "짧게"로 선택하는 경우 한 문장의 요약 결과가 출력되고, "보통"으로 하는 경우 세 문장, "길게"로 하는 경우 5문장의 요약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9의 유사 단어 검색 창 및 도 10의 요약 창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후술할 도 5의 주석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520) 부분에 오버레이(overlay)되어 디스플레이 되거나, 대체되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0)는 텍스트 정보(예컨대, 음성 인식 결과 텍스트)에 포함된 텍스트들을 화자 별로 분리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10)는, 텍스트 정보의 기초가 되는 원본 음성의 음성 신호들을 화자 별로 분리하는 것에 기초하여, 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텍스트들을 화자 별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원본 음성에 대한 스펙트로그램의 타입을 분석하는 모델, 원본 음성에 포함된 복수의 음성 신호들의 크기, 진폭, 주파수 등을 분석하는 모델, 통계적 음향 모델 등을 활용하여 화자 분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원본 음성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발화 구간 각각에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 각각의 음성 신호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상기 식별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각각의 음성 신호 중 음성의 크기가 사전 결정된 크기 이상을 가지는 발화를 음성 데이터에 대응하는 특정 화자로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0)는 음성 데이터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음성 중 특정 사용자의 음성의 크기가 사전 결정된 크기 이상인 경우, 상기 음성 데이터에 대응하는 특정 화자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명의 사용자(A 사용자 및 B 사용자)의 음성을 포함하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프로세서(110)는 A 사용자의 음성의 크기가 사전 결정된 크기 이상임을 판별하여, 상기 A 사용자를 제1 화자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음성 데이터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각각의 음성의 크기 비교에 기초하여 음성 데이터에 대응하는 특정 화자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2명의 사용자(A 사용자 및 B 사용자)의 음성을 포함하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프로세서(110)는 음성 데이터에 포함된 2명의 사용자의 음성 중 B 사용자의 음성의 크기가 A 사용자의 음성의 크기 보다 큰 것으로 판별하여 상기 B 사용자를 제2 화자로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및 하나 이상의 사용자 각각의 음성의 크기에 대한 구체적인 기재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분리된 텍스트와 연관된 화자의 명칭을 결정 또는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화자 분리 결과, 모델이 판단한 화자 별로 Speaker 1, Speaker 2, … 식으로 임의의 명칭을 붙여서 텍스트 결과를 출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은 정보를 고려하여 화자의 명칭을 수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10)는 선행 텍스트 부분과 관련하여 결정 또는 수정된 화자의 목록(1010)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상기 표시된 화자의 목록 중 확률이 가장 높은 화자를 추가로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상기 분리된 텍스트와 연관된 화자의 명칭을 최종적으로 결정 또는 수정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프로세서(110)는 선행 텍스트 부분에 입력된 화자명에 기초하여, 뒷부분 화자 명을 수정할 때 화자 명을 추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0을 참조하면, 선행 텍스트 부분과 관련하여 화자의 명칭으로서 최팀장, 이대리, 김사원 등이 입력된 뒤에, 추가로 화자 분리된 텍스트 부분인 Speaker 1에 대하여 사용자가 화자 명을 입력하려 할 때, 앞서 입력된 화자 이름들을 후보로서 제안해주고, 그 중 가장 가능성이 높은 '이대리'를 추가로 특정하여 제안할 수 있다. 이 경우, 화자 분리 모델은, 앞서 분석된 정보 및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추가로 분리된 텍스트 부분에 대하여, 가장 가능성이 높은 화자명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자 분리 모델은, 음성 신호 분석에 기초하여 추가로 분리된 텍스트 부분이 Speaker 1에 대응된다고 식별할 수 있고, 앞서 Speaker 1로 분리된 텍스트 부분과 관련하여 화자명이 '이대리'로 입력된 경우, 가장 가능성이 높은 화자명으로서 '이대리'를 특정하여 제안(추천)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프로세서(110)에서 제안한 화자를 선택하지 않고 바로 입력창에 화자 명을 입력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앞서 나온 바 없는 새로운 화자 이름을 추가로 입력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이를 추후 동일 화자(예컨대, Speaker 1)에 대해 화자 명 변경을 모두 한 번에 적용할 지(모두 바꾸기), 한 번만 적용할 지(바꾸기)에 대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0)는, 음성 인식 결과 텍스트 정보 내에서 단어가 선택되는 경우, 음성 인식과 관련된 정보 또는 외부 서버와의 연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선택된 단어를 대체하기 위한 후보 단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사용자가 특정 단어를 선택(예컨대, 클릭 또는 hover)하면, 특정 단어에 대응하여 음성 인식에 의해 생성된 텍스트를 생성하기 위해 예측했던 단어들 중 신뢰도(confidence), 즉, 예측한 정확도 또는 예측한 단어가 정답일 확률이 높았던 단어를 후보 단어로서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발화 음성 "우리"에 대한 음성 인식 모델의 디코더의 Beam Search 과정에서, "우리", "의리", "이리" 세 개의 단어가 해당 토큰에 대한 후보로 제안되었을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토큰에 대한 "우리", "의리", "이리"의 confidence는 0.61, 0.54, 0.51이고 이 중 가장 높은 "우리"가 음성 인식에 의해 생성된 텍스트로 출력되었을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10)는 텍스트 정보 내에 포함된"우리"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하고, 음성 인식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기타 다른 후보들에 비해) 신뢰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던 "의리", "이리"등을 후보 단어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외부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와 관련된 단어를 도출하고, 이를 후보 단어로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를 구글에 검색하여 검색 결과에 나타나는 다른 제안 단어를 후보 단어로서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텍스트 정보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선택한 사용자 입력 정보가"고로나"인 경우, 외부 서버인 구글을 통해 검색한 결과로서의 후보 단어를 "코로나"라고 제안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0)는 음성 인식과 관련하여, 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단어들 각각의 신뢰도를 산출하여 신뢰도가 임계치 이하인 단어를 식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0)는 상기 음성 인식과 관련하여, 상기 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단어들 각각의 신뢰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상기 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단어들 중 신뢰도가 임계치 이하인 단어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상기 식별된 단어를 구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단어 각각에 대한 신뢰도를 임계값(예컨대, 0.7)과 비교하여 임계값 미만인 신뢰도를 갖는 단어에 대한 표시 방식(예컨대, 하이라이트, 볼드 등)을 변경할 수 있다. 추가로, 프로세서(110)는, 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모든 단어들에 대해 (앞서 살펴본) 후보 단어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신뢰도가 임계값 미만인 단어에 대해서만 후보 단어를 제공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0)는, 음성 인식 결과 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단어들 중, 음성 인식과 관련된 신뢰도가 임계값 미만인 단어들을 구별 또는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제공된 단어들(즉, 신뢰도가 임계값 미만인 단어들) 중 특정 단어를 선택(예컨대, 클릭 또는 hover)한 경우, 선택된 특정 단어와 연관된 후보 단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10)는, 앞서 언급했듯이, 선택된 특정 단어에 대응되는 음성 신호와 관련하여 음성 인식 과정에서 예측되었던 단어들 중 (선택된 특정 단어의 신뢰도보다는 낮았지만 다른 예측 단어들과 비교해서는) 신뢰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던 단어들을 후보 단어로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10)는, 상기 구별 또는 표시하여 제공되지 않은 기타 단어들이 선택된 경우에는 후보 단어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0)는 화상 회의 영상과 상기 텍스트 정보를 연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화상 회의의 음성이 변환된 텍스트 정보 중 특정 지점이 선택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특정 지점에 대응되는 화상 회의 영상의 특정 시점의 프레임을 식별하고, 해당 프레임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특정 지점은 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포인트, 특정 단어, 특정 문장, 특정 문단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0)가 "다시 말씀해 주시겠어요?"라는 문장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경우, 프로세서(110)는 화상 회의 영상 중 이와 대응되는 "다시 말씀해 주시겠어요?"라는 발화를 포함하고 있는 프레임 중 하나의 프레임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프로세서(110)는 화상 회의 영상의 특정 시점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특정 시점에 대응되는 텍스트 정보의 특정 지점을 식별하고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특정 지점은 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포인트, 특정 단어, 특정 문장, 특정 문단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0)는 주석이 연동된 텍스트 정보를 외부 프로그램을 위한 포맷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례로, 프로세서(110)는 주석이 연동된 텍스트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531)를 통해 사용자의 선택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외부 프로그램을 위한 포맷으로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프로그램은 hwp, MS word, txt, smi, srt 및 xmi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달리 말해, 프로세서(110)는 사용자의 편집 입력을 반영하여 수정된 텍스트 정보를 외부 프로그램을 위한 포맷(예컨대, MS words)으로 변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0)는 외부 프로그램을 위한 포맷으로 변환된 결과물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외부 프로그램(예컨대, 워드 프로세서)으로 다운받는 경우 프로세서(110)는 교정 및 일부 영역에 대한 표시 방식의 변경이 반영된 수정된 텍스트 정보를 유지하며 포맷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10)는, 교정 또는 편집된 사항들을 고려하여, 외부 프로그램의 종류를 추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교정 또는 편집된 사항들이, 복수의 외부 프로그램들 중 특정 프로그램에만 호환되는 경우에는, 해당 외부 프로그램을 특정하여 추천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0)는 화상 회의 참여자의 참여 상태를 식별하고, 참여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화상 회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 피드백(feedback)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피드백 동작을 수행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상기 메모리(13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전술한 메모리에 대한 기재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부(150)는 공중전화 교환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xDSL(x Digital Subscriber Line), RADSL(Rate Adaptive DSL), MDSL(Multi Rate DSL), VDSL(Very High Speed DSL), UADSL(Universal Asymmetric DSL), HDSL(High Bit Rate DSL) 및 근거리 통신망(LAN) 등과 같은 다양한 유선 통신 시스템들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네트워크부(150)는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 Access), SC-FDMA(Single Carrier-FDMA) 및 다른 시스템들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네트워크부(150)는 임의의 형태의 유무선 통신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술들은 위에서 언급된 네트워크들뿐만 아니라, 다른 네트워크들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회의를 제공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에 의하면, 화상 회의를 제공하는 방법은 화상 회의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S110),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화상 회의 영상과 관련된 주석을 생성하는 단계(S120), 상기 화상 회의 영상에 포함된 음성이 변환된 텍스트 정보와 상기 생성된 주석을 연동하는 단계(S130) 및 상기 주석이 연동된 상기 텍스트 정보를 공유하는 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S110단계에서, 프로세서(110)는 화상 회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화상 회의 참여자는 단수 또는 복수일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영상이 서버에서 조합되어 화상 회의 영상이 된 후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되거나, 사용자의 단말이 하나 이상의 영상을 수신하여 화상 회의 영상을 구성할 수 있으나, 본 개시에서는 이에 한하지 아니한다.
S120단계에서, 프로세서(110)는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화상 회의 영상과 관련된 주석을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주석이란 문서 등 텍스트 정보에 덧붙여지는 텍스트 형식의 메모, 이미지, 특정 시점 정보를 저장하는 북마크 등을 의미할 수 있으나, 본 개시의 주석은 메모나 북마크 이외에도 도형 삽입 등 다양한 형태를 포괄할 수 있다
S130단계에서, 프로세서(110)는 상기 화상 회의 영상에 포함된 음성이 변환된 텍스트 정보와 상기 생성된 주석을 연동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텍스트 정보는 화상 회의 영상에 포함된 음성을 STT(Speech-to-Text)모델 등 기계학습 모델을 사용하여 텍스트 형태로 변환한 정보일 수 있고, 기계학습 모델을 사용하여 텍스트 형태로 변환된 정보에 인간이 추가적인 수정을 가한 정보일 수 있고, 인간이 음성을 듣고 텍스트 형태로 받아쓰기한 정보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예를 들어 텍스트 정보와 주석을 연동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개시에서는 텍스트 정보와,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북마크가 연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0)는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회의 영상의 특정 시점에 북마크를 생성한 후, 그 특정 시점에 대응되는 변환된 텍스트 정보의 특정 지점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회의 중 "다시 말씀해 주시겠어요?"라고 발화한 시점에 북마크를 삽입하였을 경우, 프로세서(110)는 해당 북마크가 표시된 특정 시점을 기초로, 음성을 변환한 텍스트 정보 중 "다시 말씀해 주시겠어요?"라고 기재된 특정 지점을 식별할 수 있다. 그 후, 프로세서(110)는 텍스트 정보의 해당 특정 지점에 북마크 정보를 연동함으로써, 북마크와 텍스트 정보를 연동할 수 있다.
주석을 연동하는 또 다른 예시로서, 텍스트 정보와 시간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메모가 연동될 수 있다.
S140단계에서, 프로세서(110)는 상기 주석이 연동된 상기 텍스트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공유'란 디지털 파일 등의 정보를 복사하여 정보를 생성한 사용자를 포함한 다른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가 주석이 연동된 텍스트 정보를 공유하는 대상은 주석을 작성한 사용자일 수 있고, 회의에 참석한 다른 사용자일 수 있고, 또는 회의에 참석하지 않은 사용자일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상기 텍스트 정보 및 상기 주석의 내용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복사하여, 사용자가 공유 대상으로 지정한 사용자에게 전송 등 방법을 통하여 전달할 수 있다.
이하,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화상 회의를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가 개시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회의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화상 회의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300)는 회의 참석자들의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310), 주석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320)을 표시할 수 있다. 회의 참석자들의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310)에는 사용자 본인의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311) 및 화상 회의에 참석한 다른 참여자들의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312)가 포함될 수 있다.
주석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320)은 예시적으로 화상 회의의 노트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321) 및 화상 회의의 북마크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322)을 포함할 수 있다. 노트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321) 및 북마크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322)은 노트 및 북마크를 생성하고 편집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북마크를 생성하는 입력에 의해 화상 회의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300) 내에 북마크의 리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 북마크의 리스트는 개별 북마크의 정보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323)를 포함할 수 있다. 개별 북마크의 정보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323)는 해당 북마크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별 북마크의 정보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323)는 북마크의 이름과 북마크와 연동된 화상 회의의 특정 시점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화상 회의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300)는 화상 회의의 영상의 재생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인터페이스(330), 주석을 생성하기 위한 인터페이스(340) 및 공유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화상 회의의 영상의 재생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인터페이스(330)는 화상 회의의 영상을 일시정지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상 회의를 재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상 회의를 종료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개시에서 화상 회의의 영상의 재생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인터페이스(330)는 예시로 든 인터페이스 이외에도 화상 회의의 진행에 필요한 다른 인터페이스를 제한 없이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주석을 생성하기 위한 인터페이스(340)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주석을 생성하는 입력에 대응하여 화상 회의와 관련된 주석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석을 생성하기 위한 인터페이스(340)는 사용자의 노트를 생성하는 입력에 대응하여 새로운 노트를 생성할 수 있고, 사용자의 북마크를 생성하는 입력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시점에 북마크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공유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인터페이스(350)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화상 회의와 관련된 주석을 공유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유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인터페이스(350)를 통해 주석을 공유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경우, 프로세서(110)는 화상 회의가 종료된 후 생성된 화상 회의의 음성을 변환한 텍스트 정보와 화상 회의와 관련된 주석을 연동하고, 이를 지정된 대상에게 공유할 수 있다. 주석이 연동된 텍스트 정보가 공유된 경우 지정된 대상에게 도 4 또는 도 5와 같이 예시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로서, 화상 회의의 회의록이 STT모델 등 기술을 통해 실시간으로 텍스트 정보로 변환되고 프로세서(110)가 주석을 공유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경우, 프로세서(110)는 텍스트 정보와 함께 화상 회의와 관련된 주석을 참가자 모두에게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다. 이 경우, 화상 회의의 참가자들은 텍스트 정보 및 생성된 주석을 실시간으로 공동 편집할 수 있다.
공유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인터페이스(350)를 통해 주석을 공유하지 않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경우, 프로세서(110)는 화상 회의가 종료된 후 지정된 대상에게 정보를 공유하지 않거나, 지정된 대상에게 화상 회의의 음성을 변환한 텍스트 정보는 공유하되, 사용자가 작성한 주석에 대한 정보는 공유하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로 화상 회의 중 발화된 음성이 STT모델 등 기술을 통해 실시간으로 텍스트 정보로 변환되는 경우에, 프로세서(110)가 주석을 공유하지 않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경우, 프로세서(110)는 화상 회의의 참가자들에게 실시간으로 텍스트 정보를 공유하되 주석에 대한 정보는 공유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화상 회의의 참가자들은 텍스트 정보만을 실시간으로 공동편집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회의의 영상 및 주석을 선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화상 회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영역(400)은 항목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영역(410) 및 항목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영역(420)을 포함할 수 있다. 항목에는 대화 시작, 대화 참여, 녹화 기록 등 화상 회의와 관련된 주제들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가 녹화 기록 항목을 선택한 경우, 프로세서(110)에 의해 항목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영역(420)에 녹화 기록(421)의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는 개별 녹화 기록의 리스트에서 중 적어도 하나의 개별 녹화 기록(421)을 선택하여, 해당 녹화 기록에 대한 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 해당 녹화 기록에 대한 정보는 도 5와 같이 예시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 정보 및 주석을 편집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텍스트 정보 및 주석을 편집하기 위한 인터페이스(500)는 텍스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영역(510), 텍스트 정보와 연동된 주석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영역(520), 텍스트 정보의 제목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영역(530)을 포함할 수 있다.
텍스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영역(510)에는 화상 회의 영상에 포함된 음성을 텍스트 정보로 변환한 내용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의 편집 입력에 대응하여 프로세서(110)는 텍스트 정보에 표시된 화자 정보를 수정하거나 발화 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주석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520)은 예시적으로 화상 회의의 노트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521) 및 화상 회의의 북마크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522)을 포함할 수 있다. 노트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521) 및 북마크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522)은 노트 및 북마크를 생성하고 편집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텍스트 정보 및 주석을 편집하기 위한 인터페이스(500)는 주석이 연동된 텍스트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531) 및 주석이 연동된 텍스트 정보를 외부 프로그램을 위한 포맷으로 변환하거나 변환된 결과물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532)를 포함할 수 있다. 주석이 연동된 텍스트 정보를 외부 프로그램을 위한 포맷으로 변환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상술하였다.
텍스트 정보 및 주석을 편집하기 위한 인터페이스(500)는 화상 회의의 재생 바를 디스플레이하는 인터페이스(550) 및 화상 회의의 현재 재생 지점을 표시하는 인터페이스(55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화상 회의 영상과 화상 회의 영상에 포함된 음성을 변환한 텍스트 정보가 연동되어, 사용자에게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화상 회의의 재생 바를 디스플레이하는 인터페이스(560)을 통해 화상 회의 영상의 특정 시점을 선택하는 경우, 프로세서(110)는 특정 시점에 대응되는 특정 지점의 텍스트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화상 회의의 재생 바를 디스플레이하는 인터페이스(550)를 통해 화상 회의의 00:04:01 지점을 선택한 경우, 그 부분에서 발화되었던 음성에 대응되는 텍스트 정보(511)인 "오, 대리님 그거 사용하고 계셨군요!"부분이 강조되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강조의 방법으로는 하이라이트, 글자 색 변경, 굵게, 기울임꼴, 밑줄 등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또 다른 예시로서, 도 5에서는 생략되었지만, 사용자가 상기 텍스트 정보의 특정 지점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특정 지점에 대응되는 특정 시점의 화상 회의 영상이 연동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경우 특정 지점은 텍스트 정보의 특정 위치, 특정 단어, 특정 문장, 특정 문단을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텍스트 정보 중 "오, 대리님 그거 사용하고 계셨군요!"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텍스트 정보(511)에 대응하는 화상 회의의 특정 시점의 프레임 또는 화상 회의의 음성의 재생 지점에 대한 정보가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생성된 주석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선택된 주석에 대응하는 텍스트 정보 및 화상 회의 영상이 사용자에게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 회의 영상의 00:04:01에 "북마크1"이라는 이름의 북마크가 삽입된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북마크1"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화상 회의 영상의 00:04:01 시점에 해당하는 프레임 또는 화상 회의의 음성의 재생 지점에 대한 정보가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는, "북마크1"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화상 회의 영상의 00:04:01시점에 대응되는 텍스트 정보의 특정 지점이 강조되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는, "북마크1"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화상 회의 영상의 00:04:01 시점에 해당하는 프레임 및 화상 회의의 음성의 재생 지점에 대한 정보, 화상 회의 영상의 00:04:01시점에 대응되는 텍스트 정보가 동시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개시는 주석과 텍스트 정보를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함께 디스플레이하고, 화상 회의 영상 또는 음성의 특정 시점과 텍스트 정보의 특정 지점을 연동하거나 특정 시점, 특정 지점 및 주석을 연동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의해, 화상 회의의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탐색하고, 화상 회의 중 추가로 덧붙여진 내용을 화상 회의와 연관지어 공유함으로써 화상 회의의 효용이 높아지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회의의 배경을 영상 처리하는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0)는 객체 인식(object detection)을 기초로, 화상 회의 영상으로부터 회의 참여자 및 배경을 식별할 수 있다. 그 후, 프로세서(110)는 식별된 배경에 대하여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10)는 객체 인식을 기초로 화상 회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영역(600)으로부터 회의 참여자가 디스플레이된 영역(611)을 식별하고, 그 이외 영역을 배경(612)으로 식별할 수 있다. 그 후, 프로세서(110)는 배경(612)에 대하여 흐리기(blur), 영상 대체, 영상 삭제와 같은 처리 방법을 사용하여 화상 회의 영상에 회의 참여자가 디스플레이된 영역만을 남길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배경 영역은 프로세서(110)가 최초로 배경 영역을 식별한 이후 고정될 수 있고, 이와 다르게 회의 참여자의 움직임을 추적(tracking)하여 실시간으로 배경 영역이 식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배경 처리를 통해, 공공장소 등 사람이 많은 곳에서 회의 참여자 이외의 사람을 다른 회의 참여자가 식별할 수 없게 하여 회의 참여자 이외의 사람들의 초상권 등 개인 정보를 보호하고, 회의 참여자에게만 시선을 집중시킴으로써 화상 회의에서의 의사소통의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 피드백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0)는 상기 화상 회의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회의 참여자의 참여 상태를 식별하고 참여 상태에 대응하여, 회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 피드백(feedback)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가 회의 참여자의 참여 상태를 식별하기 위한 예시적인 기준으로서, 본 개시는 회의 중 발화의 길이가 임계값 이상으로 길어지는 경우, 회의 음성이 임계값 이상으로 커지는 경우, 식별된 회의 참여자의 감정 상태가 중립이 아닌 경우, 발화 비율이 임계치 이하인 경우, 또는 영상 분석 결과와 같은 기준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회의 참여자의 참여 상태를 식별하기 위한 기준은 위 예시에 한하지 아니한다.
감정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으로서, 발화 내용을 음성 감정 판단 모델에 입력하거나 STT모델에 의해 받아쓰기가 수행된 후 그 텍스트를 Text sentimental detection모델에 입력하여 그 출력값을 식별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본 개시는 이러한 판단 방법에 한하지 아니한다.
프로세서(110)가 피드백 동작을 수행하는 예시로서, 프로세서(110)는 회의 참여자의 참여 상태를 식별하여 회의 참여자가 회의에 집중하지 못한다고 판단하는 경우 해당 회의 참여자의 회의 인터페이스에 시각적인 효과를 주는 피드백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10)는 회의 참여자의 참여 상태를 식별하여 회의 참여자가 회의에 집중하지 못한다고 판단하는 경우 화상 회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영역(700)에 포함된 참여자 영상 표시 영역(711)에 디스플레이된 참여자의 영상을 왜곡하는 방법으로 시각적인 피드백을 수행하여 회의 참여자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0)에 의한 회의 참여자에 대한 피드백은 시각적 효과 이외에도 알람과 같은 청각적 효과, 사용자 단말의 진동과 같은 촉각적 효과의 형태로도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피드백 방법에 의하여, 참가자가 화상 회의에 좀 더 잘 집중할 수 있게 되고, 결과적으로 화상 회의의 의사소통의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발생한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구조를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개시된다.
데이터 구조는 데이터에 효율적인 접근 및 수정을 가능하게 하는 데이터의 조직, 관리, 저장을 의미할 수 있다. 데이터 구조는 특정 문제(예를 들어, 최단 시간으로 데이터 검색, 데이터 저장, 데이터 수정) 해결을 위한 데이터의 조직을 의미할 수 있다. 데이터 구조는 특정한 데이터 처리 기능을 지원하도록 설계된, 데이터 요소들 간의 물리적이거나 논리적인 관계로 정의될 수도 있다. 데이터 요소들 간의 논리적인 관계는 사용자 정의 데이터 요소들 간의 연결관계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요소들 간의 물리적인 관계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예를 들어, 영구 저장 장치)에 물리적으로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요소들 간의 실제 관계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구조는 구체적으로 데이터의 집합, 데이터 간의 관계, 데이터에 적용할 수 있는 함수 또는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효과적으로 설계된 데이터 구조를 통해 컴퓨팅 장치는 컴퓨팅 장치의 자원을 최소한으로 사용하면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컴퓨팅 장치는 효과적으로 설계된 데이터 구조를 통해 연산, 읽기, 삽입, 삭제, 비교, 교환, 검색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데이터 구조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에 따라 선형 데이터 구조와 비선형 데이터 구조로 구분될 수 있다. 선형 데이터 구조는 하나의 데이터 뒤에 하나의 데이터만이 연결되는 구조일 수 있다. 선형 데이터 구조는 리스트(List), 스택(Stack), 큐(Queue), 데크(Deque)를 포함할 수 있다. 리스트는 내부적으로 순서가 존재하는 일련의 데이터 집합을 의미할 수 있다. 리스트는 연결 리스트(Linked List)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리스트는 각각의 데이터가 포인터를 가지고 한 줄로 연결되어 있는 방식으로 데이터가 연결된 데이터 구조일 수 있다. 연결 리스트에서 포인터는 다음이나 이전 데이터와의 연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리스트는 형태에 따라 단일 연결 리스트, 이중 연결 리스트, 원형 연결 리스트로 표현될 수 있다. 스택은 제한적으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는 데이터 나열 구조일 수 있다. 스택은 데이터 구조의 한 쪽 끝에서만 데이터를 처리(예를 들어, 삽입 또는 삭제)할 수 있는 선형 데이터 구조일 수 있다. 스택에 저장된 데이터는 늦게 들어갈수록 빨리 나오는 데이터 구조(LIFO-Last in First Out)일 수 있다. 큐는 제한적으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는 데이터 나열 구조로서, 스택과 달리 늦게 저장된 데이터일수록 늦게 나오는 데이터 구조(FIFO-First in First Out)일 수 있다. 데크는 데이터 구조의 양 쪽 끝에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구조일 수 있다.
비선형 데이터 구조는 하나의 데이터 뒤에 복수개의 데이터가 연결되는 구조일 수 있다. 비선형 데이터 구조는 그래프(Graph) 데이터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래프 데이터 구조는 정점(Vertex)과 간선(Edge)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간선은 서로 다른 두개의 정점을 연결하는 선을 포함할 수 있다. 그래프 데이터 구조 트리(Tree) 데이터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트리 데이터 구조는 트리에 포함된 복수개의 정점 중에서 서로 다른 두개의 정점을 연결시키는 경로가 하나인 데이터 구조일 수 있다. 즉 그래프 데이터 구조에서 루프(loop)를 형성하지 않는 데이터 구조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걸쳐, 연산 모델, 신경망, 네트워크 함수, 뉴럴 네트워크(neural network)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신경망으로 통일하여 기술한다. 데이터 구조는 신경망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신경망을 포함한 데이터 구조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신경망을 포함한 데이터 구조는 또한 신경망에 의한 처리를 위하여 전처리된 데이터, 신경망에 입력되는 데이터, 신경망의 가중치, 신경망의 하이퍼 파라미터, 신경망으로부터 획득한 데이터, 신경망의 각 노드 또는 레이어와 연관된 활성 함수, 신경망의 학습을 위한 손실 함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신경망을 포함한 데이터 구조는 상기 개시된 구성들 중 임의의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신경망을 포함한 데이터 구조는 신경망에 의한 처리를 위하여 전처리된 데이터, 신경망에 입력되는 데이터, 신경망의 가중치, 신경망의 하이퍼 파라미터, 신경망으로부터 획득한 데이터, 신경망의 각 노드 또는 레이어와 연관된 활성 함수, 신경망의 학습을 위한 손실 함수 등 전부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들 이외에도, 신경망을 포함한 데이터 구조는 신경망의 특성을 결정하는 임의의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구조는 신경망의 연산 과정에 사용되거나 발생되는 모든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술한 사항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및/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신경망은 일반적으로 노드라 지칭될 수 있는 상호 연결된 계산 단위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노드들은 뉴런(neuron)들로 지칭될 수도 있다. 신경망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드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데이터 구조는 신경망에 입력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신경망에 입력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구조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신경망에 입력되는 데이터는 신경망 학습 과정에서 입력되는 학습 데이터 및/또는 학습이 완료된 신경망에 입력되는 입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신경망에 입력되는 데이터는 전처리(pre-processing)를 거친 데이터 및/또는 전처리 대상이 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전처리는 데이터를 신경망에 입력시키기 위한 데이터 처리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구조는 전처리 대상이 되는 데이터 및 전처리로 발생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데이터 구조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데이터 구조는 신경망의 가중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가중치, 파라미터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신경망의 가중치를 포함한 데이터 구조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신경망은 복수개의 가중치를 포함할 수 있다. 가중치는 가변적일 수 있으며, 신경망이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 또는 알고리즘에 의해 가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출력 노드에 하나 이상의 입력 노드가 각각의 링크에 의해 상호 연결된 경우, 출력 노드는 상기 출력 노드와 연결된 입력 노드들에 입력된 값들 및 각각의 입력 노드들에 대응하는 링크에 설정된 가중치에 기초하여 출력 노드에서 출력되는 데이터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데이터 구조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가중치는 신경망 학습 과정에서 가변되는 가중치 및/또는 신경망 학습이 완료된 가중치를 포함할 수 있다. 신경망 학습 과정에서 가변되는 가중치는 학습 사이클이 시작되는 시점의 가중치 및/또는 학습 사이클 동안 가변되는 가중치를 포함할 수 있다. 신경망 학습이 완료된 가중치는 학습 사이클이 완료된 가중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신경망의 가중치를 포함한 데이터 구조는 신경망 학습 과정에서 가변되는 가중치 및/또는 신경망 학습이 완료된 가중치를 포함한 데이터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술한 가중치 및/또는 각 가중치의 조합은 신경망의 가중치를 포함한 데이터 구조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전술한 데이터 구조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신경망의 가중치를 포함한 데이터 구조는 직렬화(serialization) 과정을 거친 후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하드 디스크)에 저장될 수 있다. 직렬화는 데이터 구조를 동일하거나 다른 컴퓨팅 장치에 저장하고 나중에 다시 재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과정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데이터 구조를 직렬화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직렬화된 신경망의 가중치를 포함한 데이터 구조는 역직렬화(deserialization)를 통해 동일한 컴퓨팅 장치 또는 다른 컴퓨팅 장치에서 재구성될 수 있다. 신경망의 가중치를 포함한 데이터 구조는 직렬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신경망의 가중치를 포함한 데이터 구조는 컴퓨팅 장치의 자원을 최소한으로 사용하면서 연산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데이터 구조(예를 들어, 비선형 데이터 구조에서 B-Tree, Trie, m-way search tree, AVL tree, Red-Black Tree)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사항은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데이터 구조는 신경망의 하이퍼 파라미터(Hyper-parameter)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신경망의 하이퍼 파라미터를 포함한 데이터 구조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하이퍼 파라미터는 사용자에 의해 가변되는 변수일 수 있다. 하이퍼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학습률(learning rate), 비용 함수(cost function), 학습 사이클 반복 횟수, 가중치 초기화(Weight initialization)(예를 들어, 가중치 초기화 대상이 되는 가중치 값의 범위 설정), Hidden Unit 개수(예를 들어, 히든 레이어의 개수, 히든 레이어의 노드 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데이터 구조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에 대한 간략하고 일반적인 개략도이다.
본 개시가 일반적으로 컴퓨팅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전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본 개시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및/또는 기타 프로그램 모듈들과 결합되어 및/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모듈은 특정의 태스크를 수행하거나 특정의 추상 데이터 유형을 구현하는 루틴, 프로그램,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기타 등등을 포함한다. 또한, 당업자라면 본 개시의 방법이 단일-프로세서 또는 멀티프로세서 컴퓨터 시스템, 미니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는 물론 퍼스널 컴퓨터, 핸드헬드(handheld) 컴퓨팅 장치, 마이크로프로세서-기반 또는 프로그램가능 가전 제품, 기타 등등(이들 각각은 하나 이상의 연관된 장치와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음)을 비롯한 다른 컴퓨터 시스템 구성으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본 개시의 설명된 실시예들은 또한 어떤 태스크들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원격 처리 장치들에 의해 수행되는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실시될 수 있다.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프로그램 모듈은 로컬 및 원격 메모리 저장 장치 둘 다에 위치할 수 있다.
컴퓨터는 통상적으로 다양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매체는 그 어떤 것이든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될 수 있고,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일시적(transitory) 및 비일시적(non-transitory) 매체, 이동식 및 비-이동식 매체를 포함한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를 저장하는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되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일시적 및 비-일시적 매체, 이동식 및 비이동식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RAM, 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기타 메모리 기술, CD-ROM, DVD(digital video disk) 또는 기타 광 디스크 저장 장치, 자기 카세트,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또는 기타 자기 저장 장치, 또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기타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는 통상적으로 반송파(carrier wave)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transport mechanism)과 같은 피변조 데이터 신호(modulated data signal)에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 등을 구현하고 모든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피변조 데이터 신호라는 용어는 신호 내에 정보를 인코딩하도록 그 신호의 특성들 중 하나 이상을 설정 또는 변경시킨 신호를 의미한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직접 배선 접속(direct-wired connection)과 같은 유선 매체, 그리고 음향, RF, 적외선, 기타 무선 매체와 같은 무선 매체를 포함한다. 상술된 매체들 중 임의의 것의 조합도 역시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의 범위 안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컴퓨터(1102)를 포함하는 본 개시의 여러가지 측면들을 구현하는 예시적인 환경(1100)이 나타내어져 있으며, 컴퓨터(1102)는 처리 장치(1104), 시스템 메모리(1106) 및 시스템 버스(1108)를 포함한다. 시스템 버스(1108)는 시스템 메모리(1106)(이에 한정되지 않음)를 비롯한 시스템 컴포넌트들을 처리 장치(1104)에 연결시킨다. 처리 장치(1104)는 다양한 상용 프로세서들 중 임의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듀얼 프로세서 및 기타 멀티프로세서 아키텍처도 역시 처리 장치(1104)로서 이용될 수 있다.
시스템 버스(1108)는 메모리 버스, 주변장치 버스, 및 다양한 상용 버스 아키텍처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하는 로컬 버스에 추가적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는 몇 가지 유형의 버스 구조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1106)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1110)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1112)를 포함한다. 기본 입/출력 시스템(BIOS)은 ROM, EPROM, EEPROM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1110)에 저장되며, 이 BIOS는 시동 중과 같은 때에 컴퓨터(1102) 내의 구성요소들 간에 정보를 전송하는 일을 돕는 기본적인 루틴을 포함한다. RAM(1112)은 또한 데이터를 캐싱하기 위한 정적 RAM 등의 고속 RAM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1102)는 또한 내장형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1114)(예를 들어, EIDE, SATA)-이 내장형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114)는 또한 적당한 섀시(도시 생략) 내에서 외장형 용도로 구성될 수 있음-, 자기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FDD)(1116)(예를 들어, 이동식 디스켓(1118)으로부터 판독을 하거나 그에 기록을 하기 위한 것임), 및 광 디스크 드라이브(1120)(예를 들어, CD-ROM 디스크(1122)를 판독하거나 DVD 등의 기타 고용량 광 매체로부터 판독을 하거나 그에 기록을 하기 위한 것임)를 포함한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114),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1116) 및 광 디스크 드라이브(1120)는 각각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인터페이스(1124),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인터페이스(1126) 및 광 드라이브 인터페이스(1128)에 의해 시스템 버스(1108)에 연결될 수 있다. 외장형 드라이브 구현을 위한 인터페이스(1124)는 USB(Universal Serial Bus) 및 IEEE 1394 인터페이스 기술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그 둘 다를 포함한다.
이들 드라이브 및 그와 연관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데이터, 데이터 구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기타 등등의 비휘발성 저장을 제공한다. 컴퓨터(1102)의 경우, 드라이브 및 매체는 임의의 데이터를 적당한 디지털 형식으로 저장하는 것에 대응한다. 상기에서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대한 설명이 HDD, 이동식 자기 디스크, 및 CD 또는 DVD 등의 이동식 광 매체를 언급하고 있지만, 당업자라면 집 드라이브(zip drive), 자기 카세트, 플래쉬 메모리 카드, 카트리지, 기타 등등의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한 다른 유형의 매체도 역시 예시적인 운영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또 임의의 이러한 매체가 본 개시의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운영 체제(1130),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132), 기타 프로그램 모듈(1134) 및 프로그램 데이터(1136)를 비롯한 다수의 프로그램 모듈이 드라이브 및 RAM(1112)에 저장될 수 있다. 운영 체제, 애플리케이션, 모듈 및/또는 데이터의 전부 또는 그 일부분이 또한 RAM(1112)에 캐싱될 수 있다. 본 개시가 여러가지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운영 체제 또는 운영 체제들의 조합에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유선/무선 입력 장치, 예를 들어, 키보드(1138) 및 마우스(1140) 등의 포인팅 장치를 통해 컴퓨터(1102)에 명령 및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기타 입력 장치(도시 생략)로는 마이크, IR 리모콘, 조이스틱, 게임 패드, 스타일러스 펜, 터치 스크린, 기타 등등이 있을 수 있다. 이들 및 기타 입력 장치가 종종 시스템 버스(1108)에 연결되어 있는 입력 장치 인터페이스(1142)를 통해 처리 장치(1104)에 연결되지만, 병렬 포트, IEEE 1394 직렬 포트, 게임 포트, USB 포트, IR 인터페이스, 기타 등등의 기타 인터페이스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모니터(1144) 또는 다른 유형의 디스플레이 장치도 역시 비디오 어댑터(1146) 등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스템 버스(1108)에 연결된다. 모니터(1144)에 부가하여,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스피커, 프린터, 기타 등등의 기타 주변 출력 장치(도시 생략)를 포함한다.
컴퓨터(1102)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을 통한 원격 컴퓨터(들)(1148) 등의 하나 이상의 원격 컴퓨터로의 논리적 연결을 사용하여 네트워크화된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다. 원격 컴퓨터(들)(1148)는 워크스테이션, 컴퓨팅 디바이스 컴퓨터, 라우터, 퍼스널 컴퓨터, 휴대용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기반 오락 기기, 피어 장치 또는 기타 통상의 네트워크 노드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컴퓨터(1102)에 대해 기술된 구성요소들 중 다수 또는 그 전부를 포함하지만, 간략함을 위해, 메모리 저장 장치(1150)만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는 논리적 연결은 근거리 통신망(LAN)(1152) 및/또는 더 큰 네트워크, 예를 들어, 원거리 통신망(WAN)(1154)에의 유선/무선 연결을 포함한다. 이러한 LAN 및 WAN 네트워킹 환경은 사무실 및 회사에서 일반적인 것이며, 인트라넷 등의 전사적 컴퓨터 네트워크(enterprise-wide computer network)를 용이하게 해주며, 이들 모두는 전세계 컴퓨터 네트워크, 예를 들어,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LAN 네트워킹 환경에서 사용될 때, 컴퓨터(1102)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또는 어댑터(1156)를 통해 로컬 네트워크(1152)에 연결된다. 어댑터(1156)는 LAN(1152)에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용이하게 해줄 수 있으며, 이 LAN(1152)은 또한 무선 어댑터(1156)와 통신하기 위해 그에 설치되어 있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고 있다. WAN 네트워킹 환경에서 사용될 때, 컴퓨터(1102)는 모뎀(1158)을 포함할 수 있거나, WAN(1154) 상의 통신 컴퓨팅 디바이스에 연결되거나, 또는 인터넷을 통하는 등, WAN(1154)을 통해 통신을 설정하는 기타 수단을 갖는다. 내장형 또는 외장형 및 유선 또는 무선 장치일 수 있는 모뎀(1158)은 직렬 포트 인터페이스(1142)를 통해 시스템 버스(1108)에 연결된다. 네트워크화된 환경에서, 컴퓨터(1102)에 대해 설명된 프로그램 모듈들 또는 그의 일부분이 원격 메모리/저장 장치(1150)에 저장될 수 있다. 도시된 네트워크 연결이 예시적인 것이며 컴퓨터들 사이에 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기타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컴퓨터(1102)는 무선 통신으로 배치되어 동작하는 임의의 무선 장치 또는 개체, 예를 들어, 프린터, 스캐너, 데스크톱 및/또는 휴대용 컴퓨터, PDA(portable data assistant), 통신 위성, 무선 검출가능 태그와 연관된 임의의 장비 또는 장소, 및 전화와 통신을 하는 동작을 한다. 이것은 적어도 Wi-Fi 및 블루투스 무선 기술을 포함한다. 따라서, 통신은 종래의 네트워크에서와 같이 미리 정의된 구조이거나 단순하게 적어도 2개의 장치 사이의 애드혹 통신(ad hoc communication)일 수 있다.
Wi-Fi(Wireless Fidelity)는 유선 없이도 인터넷 등으로의 연결을 가능하게 해준다. Wi-Fi는 이러한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가 실내에서 및 실외에서, 즉 기지국의 통화권 내의 아무 곳에서나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할 수 있게 해주는 셀 전화와 같은 무선 기술이다. Wi-Fi 네트워크는 안전하고 신뢰성 있으며 고속인 무선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IEEE 802.11(a, b, g, 기타)이라고 하는 무선 기술을 사용한다. 컴퓨터를 서로에, 인터넷에 및 유선 네트워크(IEEE 802.3 또는 이더넷을 사용함)에 연결시키기 위해 Wi-Fi가 사용될 수 있다. Wi-Fi 네트워크는 비인가 2.4 및 5GHz 무선 대역에서, 예를 들어, 11Mbps(802.11a) 또는 54 Mbps(802.11b) 데이터 레이트로 동작하거나, 양 대역(듀얼 대역)을 포함하는 제품에서 동작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정보 및 신호들이 임의의 다양한 상이한 기술들 및 기법들을 이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위의 설명에서 참조될 수 있는 데이터, 지시들, 명령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파들, 자기장들 또는 입자들, 광학장들 또는 입자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프로세서들, 수단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편의를 위해, 여기에서 소프트웨어로 지칭되는) 다양한 형태들의 프로그램 또는 설계 코드 또는 이들 모두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 호환성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이들의 기능과 관련하여 위에서 일반적으로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 여부는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대하여 부과되는 설계 제약들에 따라 좌우된다.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각각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다양한 방식들로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 결정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여기서 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방법, 장치, 또는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엔지니어링 기술을 사용한 제조 물품(article)으로 구현될 수 있다. 용어 제조 물품은 임의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장치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캐리어, 또는 매체(media)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판독가능 저장매체는 자기 저장 장치(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 등), 광학 디스크(예를 들면, CD, DVD, 등), 스마트 카드, 및 플래쉬 메모리 장치(예를 들면, EEPROM,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등)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기서 제시되는 다양한 저장 매체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장치 및/또는 다른 기계-판독가능한 매체를 포함한다.
제시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는 예시적인 접근들의 일례임을 이해하도록 한다. 설계 우선순위들에 기반하여,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가 재배열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도록 한다. 첨부된 방법 청구항들은 샘플 순서로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제공하지만 제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에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를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개시는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화상 회의를 제공하기 위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화상 회의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화상 회의 영상과 관련된 주석(annotation)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화상 회의 영상에 포함된 음성이 변환된 텍스트 정보와 상기 생성된 주석을 연동하는 단계;
    상기 화상 회의 영상과 상기 텍스트 정보를 연동하는 단계;
    편집 거리 분석을 기초로 상기 텍스트 정보를 편집하는 단계; 및
    상기 주석이 연동된 상기 편집된 텍스트 정보를 공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화상 회의 영상과 상기 텍스트 정보를 연동하는 단계는:
    상기 텍스트 정보의 특정 지점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상기 특정 지점에 대응되는 특정 시점의 화상 회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또는
    상기 화상 회의 영상의 특정 시점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상기 특정 시점에 대응되는 특정 지점의 텍스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편집 거리 분석을 기초로 상기 텍스트 정보를 편집하는 단계는:
    상기 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검색 대상 단어 및 상기 검색 대상 단어에 대한 편집 거리 분석을 기초로 결정된 추가 검색 대상 단어를 식별하는 단계; 및
    편집 입력을 기초로, 상기 검색 대상 단어 또는 상기 추가 검색 대상 단어 중 적어도 일부를 수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화상 회의 영상과 관련된 주석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회의 영상의 특정 시점과 관련된 북마크(bookmark)를 생성하는 단계; 또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회의 영상과 관련된 메모(memo)를 생성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회의 영상에 포함된 음성이 변환된 텍스트 정보와 상기 생성된 주석을 연동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시점에 대응되는 상기 텍스트 정보의 특정 지점을 식별하는 것을 기초로, 상기 북마크와 상기 텍스트 정보를 연동하는 단계; 또는
    상기 텍스트 정보와 상기 메모를 연동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석이 연동된 상기 편집된 텍스트 정보를 공유하는 단계는:
    사용자에게 상기 텍스트 정보 및 상기 주석의 내용을 포함하는 알림(notification)을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석이 연동된 상기 편집된 텍스트 정보를 공유하는 단계는:
    편집 입력을 기초로 상기 주석을 편집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검색 대상 단어 및 상기 검색 대상 단어에 대한 편집 거리 분석을 기초로 결정된 추가 검색 대상 단어를 식별하는 단계는:
    검색 입력을 기초로 상기 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검색 대상 단어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검색 대상 단어와 연관된 편집 거리에 대한 임계치(threshold)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단어들 중 상기 검색 대상 단어와의 편집 거리가 상기 임계치 이하인 단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단어를 상기 추가 검색 대상 단어로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거리 분석을 기초로 상기 텍스트 정보를 편집하는 단계는:
    상기 텍스트 정보를 기초로 타겟(target) 단어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편집 입력을 기초로 상기 타겟 단어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타겟 단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텍스트 정보 중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타겟 단어에 대응되는 텍스트 부분의 표시 형태를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회의 영상에 포함된 음성이 변환된 텍스트 정보와 상기 생성된 주석을 연동하는 단계는:
    상기 주석이 연동된 텍스트 정보를 외부 프로그램을 위한 포맷으로 변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회의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는:
    화상 회의 참여자의 참여 상태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참여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화상 회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 피드백(feedback)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회의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는:
    객체 인식(object detection)을 기초로, 상기 화상 회의 영상으로부터 회의 참여자 및 배경(background)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배경을 영상 처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구현하기 위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동작들은:
    화상 회의 영상을 제공하는 동작;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화상 회의 영상과 관련된 주석을 생성하는 동작;
    상기 화상 회의 영상에 포함된 음성이 변환된 텍스트 정보와 상기 생성된 주석을 연동하는 동작;
    상기 화상 회의 영상과 상기 텍스트 정보를 연동하는 동작;
    편집 거리 분석을 기초로 상기 텍스트 정보를 편집하는 동작; 및
    상기 주석이 연동된 상기 편집된 텍스트 정보를 공유하는 동작;
    을 포함하고,
    상기 화상 회의 영상과 상기 텍스트 정보를 연동하는 동작은:
    상기 텍스트 정보의 특정 지점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상기 특정 지점에 대응되는 특정 시점의 화상 회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작; 또는
    상기 화상 회의 영상의 특정 시점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상기 특정 시점에 대응되는 특정 지점의 텍스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편집 거리 분석을 기초로 상기 텍스트 정보를 편집하는 동작은:
    상기 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검색 대상 단어 및 상기 검색 대상 단어에 대한 편집 거리 분석을 기초로 결정된 추가 검색 대상 단어를 식별하는 동작; 및
    편집 입력을 기초로, 상기 검색 대상 단어 또는 상기 추가 검색 대상 단어 중 적어도 일부를 수정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5. 컴퓨팅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화상 회의 영상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화상 회의 영상과 관련된 주석을 생성하고,
    상기 화상 회의 영상에 포함된 음성이 변환된 텍스트 정보와 상기 생성된 주석을 연동하고,
    상기 화상 회의 영상과 상기 텍스트 정보를 연동하고,
    편집 거리 분석을 기초로 상기 텍스트 정보를 편집하고, 그리고
    상기 주석이 연동된 상기 텍스트 정보를 공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화상 회의 영상과 상기 텍스트 정보를 연동하는 것은:
    상기 텍스트 정보의 특정 지점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상기 특정 지점에 대응되는 특정 시점의 화상 회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 또는
    상기 화상 회의 영상의 특정 시점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상기 특정 시점에 대응되는 특정 지점의 텍스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편집 거리 분석을 기초로 상기 텍스트 정보를 편집하는 것은:
    상기 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검색 대상 단어 및 상기 검색 대상 단어에 대한 편집 거리 분석을 기초로 결정된 추가 검색 대상 단어를 식별하는 것; 및
    편집 입력을 기초로, 상기 검색 대상 단어 또는 상기 추가 검색 대상 단어 중 적어도 일부를 수정하는 것;
    을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
KR1020220123212A 2022-09-28 2022-09-28 화상 회의 제공 방법 KR102525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212A KR102525984B1 (ko) 2022-09-28 2022-09-28 화상 회의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212A KR102525984B1 (ko) 2022-09-28 2022-09-28 화상 회의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5984B1 true KR102525984B1 (ko) 2023-04-26

Family

ID=86099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3212A KR102525984B1 (ko) 2022-09-28 2022-09-28 화상 회의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598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66794A (ja) * 2009-09-18 2011-03-31 Sharp Corp 会議管理装置及び会議管理方法
US20140108288A1 (en) * 2012-10-15 2014-04-17 Bank Of America Corporation Providing a record of an interactive conference
US20220013127A1 (en) * 2020-03-08 2022-01-13 Certified Electronic Reporting Transcription Systems, Inc. Electronic Speech to Text Court Reporting System For Generating Quick and Accurate Transcripts
KR20220048608A (ko) * 2020-10-13 2022-04-20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교육용 콘텐츠를 위한 요약 노트 시스템
KR20220112655A (ko) * 2021-02-04 2022-08-11 (주)스마트큐브 다자간 온라인 업무 협업을 위한 증강현실 기반의 화상회의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66794A (ja) * 2009-09-18 2011-03-31 Sharp Corp 会議管理装置及び会議管理方法
US20140108288A1 (en) * 2012-10-15 2014-04-17 Bank Of America Corporation Providing a record of an interactive conference
US20220013127A1 (en) * 2020-03-08 2022-01-13 Certified Electronic Reporting Transcription Systems, Inc. Electronic Speech to Text Court Reporting System For Generating Quick and Accurate Transcripts
KR20220048608A (ko) * 2020-10-13 2022-04-20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교육용 콘텐츠를 위한 요약 노트 시스템
KR20220112655A (ko) * 2021-02-04 2022-08-11 (주)스마트큐브 다자간 온라인 업무 협업을 위한 증강현실 기반의 화상회의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49774B2 (en) Realtime bandwidth-based communication for assistant systems
US11586930B2 (en) Conditional teacher-student learning for model training
CN110998716B (zh) 经由教师-学生学习在话音识别中进行的域自适应
US11081106B2 (en) Contextual spoken language understanding in a spoken dialogue system
US10915570B2 (en) Personalized meeting summaries
US10832001B2 (en) Machine learning to identify opinions in documents
US20190103111A1 (e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US10769369B2 (en) Correlating distinct events using linguistic analysis
US10521189B1 (en) Voice assistant with user data context
US8103646B2 (en) Automatic tagging of content based on a corpus of previously tagged and untagged content
US10956480B2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dialogue graphs
US20220109585A1 (en) Customized meeting notes
US20230282218A1 (en) Near real-time in-meeting content item suggestions
KR102181901B1 (ko) 애니메이션 생성 방법
US20240111958A1 (en) Assistant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unknown topics
KR102286638B1 (ko) 하이라이트 영상 자동 편집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JP2024012152A (ja) テキスト情報の中からターゲット単語と対応する単語を識別する方法(method for identify a word corresponding to a target word in text information)
KR102525984B1 (ko) 화상 회의 제공 방법
US20230138820A1 (en) Real-time name mispronunciation detection
KR102537165B1 (ko) 음성 인식 결과 및 참조 데이터로부터 중요 부분을 결정하고 연계하는 방법
KR102540178B1 (ko) 음성 인식 결과를 편집하는 방법
JP7333490B1 (ja) 音声信号に関連するコンテンツを決定する方法、コンピューター可読保存媒体に保存された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ティング装置
KR102537173B1 (ko) 주 화자에 기초하여 요약문을 생성하는 방법
US11934439B1 (en) Similar cases retrieval in real time for call center agents
US20220327120A1 (en) User-specific computer interaction reca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