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5910B1 -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funeral broadcasts related to business, memorial service, and prayer using IoT-based biometric information and location of IT tablets, IT lifelong autobiography archive, IT genome storage video guide card, and IoT video theater - Google Patents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funeral broadcasts related to business, memorial service, and prayer using IoT-based biometric information and location of IT tablets, IT lifelong autobiography archive, IT genome storage video guide card, and IoT video thea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5910B1
KR102525910B1 KR1020210047613A KR20210047613A KR102525910B1 KR 102525910 B1 KR102525910 B1 KR 102525910B1 KR 1020210047613 A KR1020210047613 A KR 1020210047613A KR 20210047613 A KR20210047613 A KR 20210047613A KR 102525910 B1 KR102525910 B1 KR 102525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user
mortuary tablet
tablet
mortu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76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41459A (en
Inventor
김형록
Original Assignee
김형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록 filed Critical 김형록
Priority to KR1020210047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5910B1/en
Publication of KR20220141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145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5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59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Abstract

IoT를 이용한 위패 위치 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되고, 위패에 모셔진 망인의 신체발부를 포함하는 상기 위패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위패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기설정 방식에 따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영상 디바이스로부터 획득되는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개시된다.A method for managing mortuary tablet location information using IoT, comprising: receiving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mortuary tablet corresponding to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including the body part of the dead person enshrined in the mortuary tablet;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mortuary tablet according to a preset method; and providing an image obtained from an imaging device operating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Description

IoT 기반 신체발부 장사·제사·기도 관련 상조 전문 방송국 및 IT 위패 봉안 위치, IT 평생 자서전 아카이브, IT 유전체 보관 영상 안내 카드, IoT 영상관 제공 방법 및 디바이스{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funeral broadcasts related to business, memorial service, and prayer using IoT-based biometric information and location of IT tablets, IT lifelong autobiography archive, IT genome storage video guide card, and IoT video theater}IoT-based broadcasting station specializing in mourning related to bodily burial, ancestral rites, and prayer, location of IT mortuary tablets enshrined, IT lifelong autobiography archive, IT genome storage video guide card,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IoT video theater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funeral broadcasts related to business, memorial service, and prayer using IoT-based biometric information and location of IT tablets, IT lifelong autobiography archive, IT genome storage video guide card, and IoT video theater}

본 발명은 IoT 기반 신체발부 장사·제사·기도 관련 상조 전문 방송국 및 IT 위패 봉안 위치, IT 평생 자서전 아카이브, IT 유전체 보관 영상 안내 카드, IoT 영상관 제공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위패의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위패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기설정 방식에 따라 제공하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획득된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oadcasting station specializing in mourning related to funeral, ancestral rites, and prayer based on IoT, an IT mortuary enshrinement location, an IT lifelong autobiography archive, an IT genome storage video guide card, and a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n IoT thea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user's A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a mortuary tablet corresponding to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determined mortuary tablet according to a preset method, and providing an image obtaine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대상 및 환경에 대한 각종 정보를 획득, 제공하거나 원격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특정 동작을 수행하며, 디바이스 간 획득된 정보 및 신호를 송수신하여 각종 환경 제어 등의 각종 동작을 수행하는 IoT(Internet of Things) 기술이 점차 발전함에 따라, 산업/가정 등 다양한 환경에 대한 IoT 기술을 활용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IoT (Internet of Things) that acquires and provides various information on objects and environments or performs specific operations based on remote control signals, and performs various operations such as various environment controls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obtained information and signals between devices As technology develops gradually, services using IoT technology for various environments such as industry/home are being provided.

그러나, 이러한 IoT 기술을 활용한 서비스가 다양한 환경에서 제공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족 및 반려 동물의 위패, 불교의 불상, 원패(전패; 유교 용어), 사망한 사람의 위패(영가극락왕생) 등(이하, 편의를 위해 “위패”라 함)이 모셔진 위패소에는 IoT 기술을 이용한 위패 위치 안내, 위패에 대한 장사·제사·기도를 영상으로 획득, 송신하는 환경에는 제공되지 않고 있어, 위패소에 방문한 사람은 자신과 관계된 위패의 위치로 이동하는 데에 따른 불편 및 위패소에 방문하지 않은 사람과 위패에 대한 장사·제사·기도 상황을 공유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However, despite the fact that services using these IoT technologies are provided in various environments, ancestral tablets for family and companion animals, Buddhist statues of Buddha, original tablets (jeonpae; Confucian term), mortuary tablets for deceased people (Youngga Paradise), etc. ( Hereinafter referred to as “mortuary tablet” for convenience) is not provided in an environment where guidance on the location of the mortuary tablet using IoT technology and video acquisition and transmission of burial, ancestral rites, and prayers for the mortuary tablet are not provided. People have difficulty in sharing the situation of burial, ancestral rites, and prayers for the mortuary tablet with people who have not visited the mortuary tablet and the inconvenience caused by moving to the location of the mortuary tablet related to them.

등록특허 제10-1684186호, 고인식별이 강화된 장례식장 통합관리시스템(2016.12.01)Registered Patent No. 10-1684186, funeral hom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with enhanced identification of the deceased (2016.12.0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위패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기설정 방식에 따라 제공함으로써 수많은 위패가 모셔진 위패소 내에서 사용자와 관계된 위패의 위치를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며, 다른 측면에서, 위패에 대한 장사·제사·기도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여 공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며,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the lo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mortuary tablet corresponding to the user'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 preset method, so that the location of the mortuary tablet related to the user can be more conveniently and quickly On the other hand, it is to provide a method and device for acquiring and sharing images of burial, sacrifice, and prayer for mortuary tablets,

또한, 3사람(본인·부·모)의 유전체가 보관되어 이산가족, 다문화가족, 북한이탈주민, 일제강점기가족, 해외동포 등에 대한 유전자 검사에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서버에 저장된 영상 정보를 불러와 영상 기록물을 제공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과 통신할 수 있는 IT 유전체 보관 영상 안내 카드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genomes of three people (yourself, your parents, and your mother) are stored and can be used for genetic testing of separated families, multicultural families, North Korean refugees, famili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overseas Koreans. It relates to a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n IT dielectric storage video guide card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user terminal so as to provide video records.

또한, 비대면 모니터인 키오스크, 영화관, Pc, 대형모니터 등에 연결하여 주는 리더기 위에 NFC 전자칩이 매립되어 있는 IT유전체 보관 영상 안내 카드를 올려놓으면 서버에 저장된 정보를 불러올 수 있으며, 이밖에도 자동 앱을 스마트폰에 깔아주며, 위치 정보를 제공하거나 LED 점멸 또는 AI 베터리 충전 등의 실시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IT 유전체 보관 영상 안내 카드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server can be recalled by placing an IT dielectric storage video guide card embedded with an NFC electronic chip on a reader that connects to non-face-to-face monitors such as kiosks, movie theaters, PCs, and large monitors. It relates to a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n IT dielectric storage video guide card that can be installed on a phone and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or real-time information such as LED blinking or AI battery charging.

또한, 망인의 생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오프라인 자서전에는 위패에 모셔진 망인의 머리카락 또는 손톱 등의 신체 발부 및 지문이 수분이 차단되도록 처리되어 포함되어 있고,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태그(Tag)가 부착되어 있어, 태그와 사용자 단말 간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오프라인 자서전 내용을 포함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될 수 있는 디지털 IT평생 자서전 아카이브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off-line autobiography containing information on the life of the deceased includes the deceased's body parts such as hair or fingernails and fingerprints enshrined on the mortuary tablet, which are processed to block moisture, and a tag capable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s attach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 digital IT lifetime autobiography archive that can be provided to a user terminal including offline autobiography contents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a tag and a user terminal.

또한, 사용자가 자서전 아카이브가 제공되는 위치는IoT시대 오프라인·온라인, 제본 및 출판 서적 최소 50~200페이지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인생의 삶의 자서전 5단계(반려동물 4단계)로 구분된 카페 서고, 카페 도서관에는 제본책(미출판)과 도서관(출판서적)또는 오프라인 제본책과 e-book은 서버에서 온라인 인터넷으로 열람 및 창작,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이며, 따라서 종교별 간증자서전과 신념에 따른 자서전이 관련 시스템 및 디바이스를 통해 제작될 수 있게 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location where the user's autobiography archive is provided is the cafe library, which consists of at least 50 to 200 pages of offline/online, bound and published books in the IoT era, and is divided into 5 levels of autobiography in life (4 levels of companion animals), In the cafe library, bound books (unpublished) and libraries (published books) or offline bound books and e-books are spaces where you can browse, create, and experience books online on the server. It relates to methods and devices for enabling fabrication with these related systems and devices.

예를 들면, 카페형 'IoT평생아카이브관'내 'IoT영상관'에서 '영상안내카드'를 지정한 장소(리더기)에 올려놓으면 영화처럼 'IoT영상관'에서 불특정다수인과 함께 자서전을 영상관람 할 수 있다. 특히 자서전 책 표지 2페이지 중앙 전 면 책장에 전자칩(태그)이 부착되어 있고, 신체발부(모근이 있는 머리카락), 손톱, 지문 등이 보관되며 'IT영상안내카드'에는 유전체(머리카락·손톱) 3대가 보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For example, if you place the 'Video Guide Card' on a designated place (reader) in the 'IoT Video Theater' in the cafe-type 'IoT Lifetime Archive', you can watch an autobiography video with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in the 'IoT Video Theater' like a movie. there is. In particular, an electronic chip (tag) is attached to the front bookcase in the center of page 2 of the autobiography book cover, and body parts (hair with hair roots), fingernails, fingerprints, etc. are stored, and the 'IT video guide card' contains genomes (hair and nails). It relates to a method and device for enabling three generations to be stor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개시의 제 1 측면에 따른 IoT를 이용한 위패 위치 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되고, 위패에 모셔진 망인의 신체발부를 포함하는 상기 위패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위패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기설정 방식에 따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영상 디바이스로부터 획득되는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in the method for managing mortuary tablet location information using IoT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receiving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mortuary tablet corresponding to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including the body part of the dead person enshrined in the mortuary tablet;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mortuary tablet according to a preset method; and providing an image obtained from an imaging device operating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또한,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기설정 방식에 따라 제공하는 단계는 현재 위치에서 상기 위패의 위치까지의 경로를 나타내는 경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provi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t method may provide route information indicating a route from the current location to the location of the mortuary tablet.

또한,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기설정 방식에 따라 제공하는 단계는 현재 위치에서 상기 위패의 위치까지의 경로에 포함되는 제 1 통로, 제 2 통로 및 제 3 통로를 각각 나타내는 제 1 통로 LED, 제 2 통로 LED 및 제 3 통로 LED를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통로에서 상기 제 2 통로로 연결되는 제 1 코너를 나타내는 제 1 코너 LED 및 상기 제 2 통로에서 상기 제 3 통로로 연결되는 제 2 코너를 나타내는 제 2 코너 LED(351)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viding of the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t method may include a first passage LED indicating a first passage, a second passage, and a third passage included in a path from the current location to the location of the mortuary tablet, respectively; activating the passage LED and the third passage LED; and activating a first corner LED indicating a first corner connected from the first passage to the second passage and a second corner LED 351 indicating a second corner connected from the second passage to the third passage. step; may be included.

또한, 사용자의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이미 통과한 경로 또는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통로 LED, 상기 제 2 통로 LED, 상기 제 3 통로 LED, 상기 제 1 코너 LED 및 상기 제 2 코너 LED(351) 중에서 상기 사용자가 이미 통과한 경로 또는 위치를 나타내는 LED를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obtaining the location of the user; and determining a route or location that the user has already passed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user. Deactivating an LED indicating a path or location that the user has already passed among the first passage LED, the second passage LED, the third passage LED, the first corner LED, and the second corner LED (351); can include

또한, 상기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위패의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에 대한 움직임을 센싱하는 단계; 상기 움직임이 센싱되는 경우, 상기 위패의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망인의 신체발부를 포함하는 자서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및 상기 자서전 정보를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 또는 실시간으로 영상을 송출하는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viding of the image may include sensing motion of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mortuary tablet; obtaining an image of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mortuary tablet when the motion is sensed; obtaining autobiographical information including body parts of the deceased; and transmitting the video and the autobiography information to an online video platform or an external device that transmits the video in real time.

또한,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기설정 방식에 따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통로 LED, 상기 제 2 통로 LED, 상기 제 3 통로 LED, 상기 제 1 코너 LED 및 상기 제 2 코너 LED(351)의 점멸이 유지되는 시간 및 점멸의 빠르기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점멸이 유지되는 시간은 상기 위치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위치 간의 거리에 비례하고, 상기 점멸의 빠르기는 상기 위치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위치 간의 거리에 반비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viding of the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t method may include the first passage LED, the second passage LED, the third passage LED, and the first corner LE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user's location. and updating the blinking speed and the blinking speed of the second corner LED 351, wherein the blinking duration is proportion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user's location, The blinking speed may be in inverse proportion to a distance between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user's location.

본 개시의 제 2 측면에 따른 IoT를 이용한 위패 위치 정보 관리 디바이스에 있어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되고, 위패에 모셔진 망인의 신체발부를 포함하는 상기 위패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위패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기설정 방식에 따라 제공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영상 디바이스로부터 획득되는 영상을 제공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the mortuary tablet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using IoT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processor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mortuary tablet corresponding to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including the body part of the dead person enshrined in the mortuary tablet, and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mortuary tablet according to a preset method; and an output unit providing an image obtained from an image device operating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이 외에도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In addition to this, 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위패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기설정 방식에 따라 제공함으로써 수많은 위패가 모셔진 위패소 내에서 사용자와 관계된 위패의 위치를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by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mortuary tablet corresponding to the user'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 preset method, the location of the mortuary tablet related to the user within the mortuary tablet where numerous mortuary tablets are enshrined is more convenient and quick. can make it move.

또한, 위패에 대한 장사·제사·기도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여 공유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cquire and share images of burial, ancestral rites, and prayers for mortuary tablets.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위패 위치 정보 관리 디바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위패 위치 정보 관리 디바이스가 동작하는 각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위패 위치 정보 관리 시스템의 구성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경로 정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위패의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위패 위치 정보 관리 시스템의 구성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제공되는 위패 위치 정보 관리 시스템을 통해 IT평생 자서전 아카이브 및 IT 유전체 보관 영상 안내 카드, IoT 영상관을 제공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제공되는 위패 위치 정보 관리 시스템을 통해 IT 효-카드, 영가기록 책 기반 IT윤회의 공원 및 부활의 동산에 관련된 위패 정보를 제공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device for managing mortuary tablet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2 is a flow chart showing each step of the operation of the tablet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a mortuary tablet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route information provided to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obtaining an image of an area corresponding to a location of a mortuary tab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a mortuary tablet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7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providing an IT lifelong autobiography archive, an IT dielectric storage video guide card, and an IoT video theater through a mortuary tablet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8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providing mortuary tablet information related to an IT filial piety card, a spiritual family record book-based IT reincarnation park, and a hill of resurrection through a mortuary tablet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 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se embodiments are intended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other than the recited elements. Lik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refer to like elements, and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recited elements. 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element mentioned below may also be the second elem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with meaning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explicitly specifically defined.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The spatially relative terms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etc. It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a component's correlation with other components.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as encompassing different orientations of elements in use or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orientations shown in the drawings. For example, if you flip a component that is shown in a drawing, a component described as "below" or "beneath" another component will be placed "above" the other component. can Thus, the exemplary term “below” may include directions of both below and above. Components may also be oriented in other orientations, and thus spatially relative terms may be interpreted according to orienta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명세서 전반에서는 통로 및 코너의 개수를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개시된 통로 및 코너의 개수는 실시 예에 따라서 또는 기술의 실시에 있어서 그 이상의 개수를 포괄할 수 있다. In the entire specification, the number of passages and corners is limited and described, but the number of passages and corners disclosed may encompass a greater number according to embodiments or in the implementation of technology.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위패 위치 정보 관리 디바이스(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Figure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ablet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면을 참조하면, 위패 위치 정보 관리 디바이스(100)는 수신부(110), 프로세서(120) 및 출력부(13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 the tablet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100 may include a receiving unit 110, a processor 120 and an output unit 130.

수신부(110)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식별 정보는 연락처, 이름 등을 포함한 기본적인 개인 정보와 함께 사용자와 위패에 모셔진 대상과의 관계, 대상과의 관계를 입증할 수 있는 유전자적 생체 정보 등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The receiving unit 110 may receiv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including basic personal information including contact information, name, and the like, as well as genetic biometric information capable of prov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r and the object enshrined in the mortuary tablet,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object.

구체적으로, 유전자적 생체 정보는 신체발부를 이용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손톱, 발톱, 머리카락, 지문 등의 신체발부를 이용한 유전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유전자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식별 정보는 사용자 식별이 가능한 ID 카드에 포함될 수 있고,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수신부(110)로 전송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genetic biometric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using body parts. For example, genetic information using body parts such as fingernails, toenails, hair, and fingerprints may be include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such genetic information may be included in an ID card capable of user identification, and may be transmitted to the receiver 110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되고, 위패에 모셔진 망인의 신체발부를 포함하는 위패의 위치(420)를 결정하고, 위패의 위치(420)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기설정 방식에 따라 제공할 수 있다.The processor 120 determines the location 420 of the mortuary tablet corresponding to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including the body parts of the deceased enshrined in the mortuary tablet, and provides lo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location 420 of the mortuary tablet according to a preset method. can

위패의 위치(420)는 사용자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관계된 위패가 모셔진 위치를 나타낼 수 있고, 이러한 위패가 모셔진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는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찾아가기 위해 기설정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기설정 방식에 대한 설명은 아래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The location of the mortuary tablet 420 may indicate a location where the mortuary tablet related to the user is enshrined based on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location where the mortuary tablet is enshrined is variously set according to a preset method so that the user can find it more easily. can be provided. A description of this preset method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elow.

출력부(130)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영상 디바이스(520)로부터 획득되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30 may provide an image obtained from the imaging device 520 operating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영상 디바이스(520)로부터 획득되는 영상은 위패에 대해 각종 예식을 치르는 일련의 과정들을 포함하는 영상일 수 있다. 위패 위치 정보 관리 디바이스(100)는 이와 같은 영상을 획득하고, 출력부(130)를 통해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위패소에 방문하지 않은 다른 사용자 또는 위패소 내 다른 사용자들에게 획득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An image obtained from the image device 520 may be an image including a series of processes of holding various ceremonies for a mortuary tablet. The mortuary tablet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100 acquires such an image and provides the image through the output unit 130 to provide the acquired image to other users who have not visited the mortuary tablet or to other users in the mortuary tablet. can

위패 위치 정보 관리 디바이스(100)는 위패의 위치(420)에 사용자 단말(400)이 인접한 경우 사용자의 위치(410) 정보에 기초하여 LED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거나, 예를 들면, 위패에 표기된 망인의 이름 뒤에 부착되거나 위패의 위치(420)에 인접하도록 구비된 태그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LED의 활성화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The mortuary tablet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100 determines whether to activate the LED based on the user's location 410 information when the user terminal 400 is adjacent to the location 420 of the mortuary tablet, or, for example, the mortuary tablet location information Whether to activate the LED may be determined based on a user's touch input to a tag attached to the back of the name or provided adjacent to the position 420 of the mortuary tablet.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아래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A m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elow.

더하여,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위패 위치 정보 관리 디바이스(100)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관련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패 위치 정보 관리 디바이스(100)는 위패의 위치(420)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를 경우,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는 생략될 수 있음을 관련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nderstand that other general-purpose components other than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tablet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100. For example, the mortuary tablet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memory (not shown) for storing mortuary tablet location 420 information. Alternatively, in the case of other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understand that some of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may be omitted.

일 실시 예에 따른 위패 위치 정보 관리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또는 작업자에 의해 이용될 수 있고,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과 같이 터치 스크린 패널이 구비된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데스크탑 PC, 태블릿 PC, 랩탑 PC, 셋탑 박스를 포함하는 IPTV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실행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 장치도 포함할 수 있다.The tablet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used by a user or a worker, and may be a touch screen panel such a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a tablet PC, and the like. It can include all type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equipped with, and in addition to this, a base for installing and running applications, such as IPTV including desktop PCs, tablet PCs, laptop PCs, and set-top boxes This provided device may also be included.

위패 위치 정보 관리 디바이스(100)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동작하는 컴퓨터 등의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The tablet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such as a computer that operates through a computer program for realiz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일 실시 예에 따른 항체 정보 관련 제공 디바이스는 위패 위치 정보 관리 시스템(미도시) 및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300)는 위패의 위치(420) 정보 및 영상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은 위패의 위치(420) 공유 등의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An antibody information-related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tablet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not shown) and a server 3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erve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provide an application that provides information and images of the location 420 of the mortuary tablet, and the application may support services such as sharing the location 420 of the mortuary tablet.

이하에서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위패 위치 정보 관리 디바이스(100)가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서술하도록 하지만, 전술한 것처럼, 서버(300)와의 연동을 통해 동작할 수도 있다. 즉, 일 실시 예에 따른 위패 위치 정보 관리 디바이스(100)와 서버(300)는 그 기능의 측면에서 통합 구현될 수 있고, 서버(300)는 생략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Hereinafter, the mortuary tablet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in an embodiment in which it operates independently, but as described above, it may operate through interworking with the server 300. That is, the tablet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100 and the serve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integrated and implemented in terms of their functions, and the server 300 may be omitted, and is not limited to any one embodiment. It can be seen that no

각 구성을 참조하여 전술한 내용은 아래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한다.The foregoing with reference to each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elow.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위패 위치 정보 관리 디바이스(100)가 동작하는 각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each step in which the tablet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100 operat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단계 S210에서 위패 위치 정보 관리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In step S210, the tablet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100 may receiv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사용자 식별 정보는 지문 인식 및 홍채 인식을 포함하는 바이오 인증 방식을 통해 수신될 수 있고, 신체발부를 이용한 ID카드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다.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received through a biometric authentication method including fingerprint recognition and iris recognition, or may be received from an ID card using a body part.

ID 카드를 이용하는 경우, 신체발부를 이용한 유전자 식별 정보가 카드에 내장된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통해 위패 위치 정보 관리 서버(300)로 송신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 식별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신체발부를 이용하여 사용자 식별을 수행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사용자의 유전자 정보를 식별할 수 있고, 식별 결과에 대응하는 위패 및 위패의 위치(420)를 결정하는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In the case of using an ID card, gene identification information using body parts may be transmitted to the mortuary tablet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300 through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built into the card, and thus user identification may be performed. In this way, by performing user identification using the torso, it is possible to more accurately identify the user's genetic information, and the accuracy of determining the mortuary tablet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result and the location 420 of the mortuary tablet can be improved.

다른 실시 예에서, 사용자 식별은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RFID 카드를 RF 리더기에 인식시킴으로써 사용자 식별 정보가 서버(300)로 전송될 수 있고, 관리 PC 에서 RFID카드에 매칭되는 위패의 위치(420) 정보(with 위패 ID)를 위패소 내 구비된 키오스크 또는 사용자 단말(40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user identific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300 by recognizing the RFID card containing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an RF reader, and the position of the tablet matching the RFID card in the management PC 420 Information (with mortuary tablet ID) may be displayed on a kiosk or user terminal 400 provided in the mortuary tablet.

단계 S220에서 위패 위치 정보 관리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되고, 위패에 모셔진 망인의 신체발부를 포함하는 위패의 위치(420)를 결정할 수 있다.In step S220, the mortuary tablet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100 may determine the location 420 of the mortuary tablet corresponding to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including the body part of the dead person enshrined in the mortuary tablet.

복수의 위패의 위치는 각 위패(또는, 각 위패와 인접한 영역에 구비된 태그)로부터 획득되어 서버(30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위패에는 모셔진 대상의 식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The locations of the plurality of mortuary tablets may be obtained from each mortuary tablet (or a tag provided in an area adjacent to each mortuary tablet) and stored in the server 300 . In addition, the mortuary tablet may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nshrined object.

이에 따라, 위패 위치 정보 관리 디바이스(100)는 서버(300)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위패의 위치 중 사용자 식별 정보와 대응되는 위패의 위치(420)를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mortuary tablet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100 may determine the location 420 of the mortuary tablet corresponding to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mong the locations of a plurality of mortuary tablets stored in the server 300 .

단계 S230에서 위패 위치 정보 관리 디바이스(100)는 위패의 위치(420)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기설정 방식에 따라 제공할 수 있다.In step S230, the mortuary tablet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100 may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location 420 of the mortuary tablet according to a preset method.

구체적으로, 위패 위치 정보 관리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410)에서 위패의 위치(420)까지의 경로(440)를 나타내는 경로 정보(430)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위패 위치 정보 관리 디바이스(100)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위패소 내 사용자의 현재 위치(410), 위패의 위치(420) 등을 지도 형식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400)에 현재 위치(410)에서 위패의 위치(420)까지 이동할 수 있는 경로 정보(430)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공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evice 100 for managing mortuary tablet location information may provide path information 430 indicating a path 440 from the current location 410 of the user to the location 420 of the mortuary tablet.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4 , the mortuary tablet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100 may display the user's current location 410, the mortuary tablet location 420, etc. in a map format through an application, and the user terminal In (400), route information 430 for moving from the current location 410 to the location 420 of the mortuary tablet may be provided to be displayed.

이러한 경로 정보(430)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410)가 경로 정보(430)에 따른 경로(440)를 이탈할 경우, 현재 위치(410)에 기초하여 경로(440)가 갱신될 수 있다.In the route information 430 , when the current location 410 of the user deviates from the route 440 according to the route information 430 , the route 440 may be updated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410 .

또한, 위패소 내에는 통로 및 코너를 나타내는 제 1 통로(310), 제 2 통로(320), 제 3 통로(330)와 제 1 코너(340) 및 제 2 코너(350)를 포함할 수 있고, 각 통로 및 코너의 위치는 위패 위치 정보 관리 디바이스(100)에 전송되어 사용자 단말(40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rtuary tablet may include a first passage 310, a second passage 320, a third passage 330, a first corner 340, and a second corner 350 indicating passages and corners, , The location of each aisle and corner may be transmitted to the tablet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100 and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400 .

이에 따라, 경로 정보(430)는 각 통로 및 코너의 위치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410)에서 위패까지의 경로(440)가 결정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path information 430 may determine a path 440 from the current location 410 to the mortuary tablet based on the locations of each passage and corner.

일반적인 경우, 경로 정보(430)에 포함되는 경로(440)는 대상 위패까지의 이동 거리 및 소요 시간이 최소화되는 최단 경로로 결정될 수 있으나, 사용자 식별 정보에 따른 사용자의 연령에 기초하여 경로 정보(430)가 결정될 수도 있다.In general, the path 440 included in the path information 430 may be determined as the shortest path that minimizes the travel distance and required time to the target tablet, but based on the user's age according to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path information 430 ) may be determined.

예를 들면, 사용자 식별 정보에 따른 사용자의 연령이 기설정 연령(예: 60세)이상이고, 대상 위패까지의 경로(440) 상에 다른 사용자가 기설정 인원 이상으로 많은 경우, 고령의 사용자가 해당 경로(440)를 통과하기에 신체적 부담이 예상되므로, 위패 위치 정보 관리 디바이스(100)는 다른 사용자가 기설정 인원 이하인, 즉 혼잡도가 기설정 값 이하인 경로를 우선적으로 포함하여 경로 정보(430)를 갱신할 수 있다. 이러한 혼잡도는 위패소 내 기설정된 각 구역에 대한 사용자 단말(400)의 수와 사용자 단말(400)의 체류 시간 또는 센서로부터 획득된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user's age according to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over a preset age (eg, 60 years old), and there are more other users than the preset number on the path 440 to the target mortuary tablet, an elderly user Since the physical burden is expected to pass through the corresponding route 440, the mortuary tablet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100 preferentially includes a route in which the number of other users is less than a preset number, that is, the degree of congestion is less than a preset value, and provides route information 430 can be updated. This degree of congestion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number of user terminals 400 for each preset zone in the ancestral hall and the sojourn time of the user terminal 400 or mo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a sensor.

다른 예에서, 대상 위패에 대한 사용자 식별 정보가 기설정 수 이상인 경우, 즉, 대상 위패에 대해 방문한 사용자의 수가 기설정 인원 이상인 경우, 위패 위치 정보 관리 디바이스(100)는 위패소 내 혼잡이 예상되므로 대상 위패에 대해 방문한 사용자들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대상 위패까지의 경로(440)를 혼잡도가 기설정 값 이하인 경로가 포함되도록 경로 정보(430)를 갱신할 수 있고, 대상 위패에 대해 방문한 사용자 이외의 사용자들의 단말로 혼잡 알림 및 혼잡 예상 경로(44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if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target mortuary tablet is more than a preset number, that is, if the number of users who have visited the target mortuary tablet is more than a preset number, the mortuary tablet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100 expects congestion in the mortuary tablet. The route information 430 may be updated so that the route 440 to the target mortuary tablet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s who have visited the target mortuary tablet includes a route whose congestion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value, and other than users who have visited the target mortuary tablet. A congestion notification and a congestion expected path 440 may be displayed on users' terminals.

이에 따라, 많은 수의 인원이 혼잡도가 낮은 경로(440)로 이동함으로써 위패소 내 다수의 인원 이동에 따른 혼잡 및 이동 불편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Accordingly, by moving a large number of people to the route 440 with a low degree of conges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manage congestion and movement inconvenience due to movement of a large number of people in the ancestral hall.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통로(310), 제 2 통로(320), 제 3 통로(330), 제 1 코너(340) 및 제 2 코너(350)는 각각 제 1 통로 LED(311), 제 2 통로 LED(321), 제 3 통로 LED(331), 제 1 코너 LED(341) 및 제 2 코너 LED(351)를 포함할 수 있거나 각 코너 및 통로와 인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고, 위패 위치 정보 관리 디바이스(100)는 각각의 LED를 사용자의 위치(410), 위패의 위치(420) 정보 및 경로 정보(430)에 기초하여 활성화 여부, 조명의 세기, 점멸 등의 동작들을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 3, the first passage 310, the second passage 320, the third passage 330, the first corner 340 and the second corner 350 are respectively 1 passage LED 311, 2 passage LED 321, 3 passage LED 331, 1 corner LED 341 and 2 corner LED 351 may be included or positioned adjacent to each corner and passage , and the mortuary tablet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100 determines whether each LED is activated based on the user's location 410, the location 420 information of the mortuary tablet, and the path information 430, the intensity of lighting, and blinking. actions can be determined.

구체적으로, 제 1 코너 LED(341)는 제 1 통로(310)에서 제 2 통로(320)로 연결되는 제 1 코너(340)를 나타낼 수 있고, 제 2 코너 LED(351)는 제 2 통로(320)에서 제 3 통로(330)로 연결되는 제 2 코너(350)를 나타낼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corner LED 341 may indicate a first corner 340 connected from the first passage 310 to the second passage 320, and the second corner LED 351 may indicate a second passage ( 320) may indicate a second corner 350 connected to the third passage 330.

이러한 LED는 활성화 여부 또는 색상, 점멸의 빠르기 등으로 경로 정보(430)를 안내하기 위한 것일 수 있고, 경로 정보(430)에 기초하여 LED의 동작이 결정될 수 있다.These LEDs may be for guiding path information 430 in terms of whether they are activated or not, color, flashing speed, etc., and operation of the LEDs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path information 430 .

예를 들어, 사용자의 현재 위치(410)에서 대상 위패의 위치(420)(위치 정보)까지 이동을 안내하는 경로 정보(430)가 결정된 경우, 위패 위치 정보 관리 디바이스(100)는 경로 정보(430)에 대응되는 경로(440)에 위치한 LED를 활성화할 수 있고, 사용자는 활성화된 LED에 기초하여 대상 위패의 위치(420)로 이동할 수 있다. 대상 위패의 위치(420)를 보다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대상 위패에 인접한 LED는 다른 LED와 상이한 기설정 색상이 출력되어 대상 위패의 위치(420)를 나타낼 수도 있다.For example, when route information 430 for guiding a movement from the user's current location 410 to the target mortuary tablet location 420 (location information) is determined, the mortuary tablet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100 provides the route information 430 ) can be activated, and the user can move to the location 420 of the target mortuary tablet based on the activated LED. In order to more easily recognize the position 420 of the target mortuary tablet, an LED adjacent to the target mortuary tablet may display a different predetermined color from other LEDs to indicate the position 420 of the target mortuary tablet.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의 위치(410)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대상 위패까지의 경로(440)를 이동하는 동안 이동을 안내하는 기설정 효과음이 제공될 수 있다. 기설정 효과음은 위패소 내 구비된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제공될 수 있으나, 사용자 단말(400)에 내장된 스피커, 진동 기능 등을 통해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기설정 효과음은 대상 위패의 위치(420)에 인접한 정도에 따라서 크기, 빠르기, 종류 등이 갱신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based on the location 410 of the user, while the user moves along the path 440 to the target mortuary tablet, a preset sound effect for guiding the movement may be provided. The preset sound effect may be provided through a speaker (not shown) provided in the ancestral hall, but may also be provided through a speaker built into the user terminal 400 or a vibration function. The preset sound effect may be updated in size, speed, type, etc. according to the degree of proximity to the position 420 of the target mortuary tablet.

일 실시 예에 따른 위패 위치 정보 관리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위치(410)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이미 통과한 경로 또는 위치를 결정할 수 있고, 각 LED 중에서 사용자가 이미 통과한 경로 또는 위치를 나타내는 LED를 비활성화 할 수 있다.The tablet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determine a route or location that the user has already passed based on the user's location 410, and LEDs indicating the route or location that the user has already passed among each LED. can be disabled.

이와 같이 이미 통과한 경로에 포함된 LED를 비활성화 함으로써 다른 사용자의 이동에 대한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전력 손실 또한 최소화할 수 있다.In this way, by inactivating the LED included in the already passed path, confusion about the movement of other users can be minimized, and power loss can also be minimized.

일 실시 예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경로 정보가 동일한 구역에 대해 중첩되는 경우, 위패 위치 정보 관리 디바이스(100)는 더 늦게 제공된 경로 정보를 보조 LED를 이용하여 경로(440)를 안내할 수 있고, 기설정 효과음을 사용자의 현재 위치(410) 및 경로 정보(430)에 기초하여 함께 제공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at least two or more route information overlaps for the same area, the tablet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100 may guide the route 440 by using the auxiliary LED for the route information provided later, and set a preset A sound effect may be provided together based on the user's current location 410 and route information 430 .

이에 따라, 기존의 사용자보다 늦은 시점에 경로 정보(430)를 제공받은 사용자는 보조 LED 및 기설정 효과를 통해 대상 위패까지 이동할 수 있게 되어 다른 사용자들의 LED에 의한 혼란이 최소화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who is provided with the route information 430 at a later time than the existing user can move to the target mortuary tablet through the auxiliary LED and the preset effect, so that other users' confusion caused by the LED can be minimized.

일 실시 예에서, 위패 위치 정보 관리 디바이스(100)는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각 LED를 점멸 되도록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위패의 위치(420)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사용자의 위치(410)에 기초하여 각 LED의 점멸이 유지되는 시간 및 점멸의 빠르기를 갱신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ortuary tablet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100 may control the operation to blink each LED to guide the movement,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420 of the mortuary tablet and the location 410 of the user.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update the duration of blinking of each LED and the speed of blinking.

예를 들어, 점멸이 유지되는 시간은 위치 정보와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사용자의 위치(410) 간의 거리에 비례하고, 점멸의 빠르기는 위치 정보와 사용자의 위치(410) 간의 거리에 반비례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uration of blinking may be proportion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user's location 410 obtained in real time, and the blinking speed may be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user's location 410 .

위패의 위치(420)와 사용자의 현재 위치(410)가 멀 경우는 사용자가 이동을 시작한 시점이거나 이동한 지 얼마 안 된 시점일 수 있기 때문에, 위패 위치 정보 관리 디바이스(100)는 위패의 위치(420) 및 사용자의 현재 위치(410) 간의 거리에 비례하여 점멸이 유지되는 시간 값을 크게 결정하고, 점멸의 빠르기 값을 작게 결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위패의 위치(420)까지 이동하는 경로(440)를 사용자가 비교적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f the location of the mortuary tablet 420 and the current location 410 of the user are far from each other, it may be the time when the user started moving or just moved. 420) and the user's current position 410, the duration value for which the blinking is maintained may be determined to be large and the blinking speed value may be determined to be small in proportion to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s current position 410, and accordingly, the path 440 moving to the position 420 of the mortuary tablet. ) can be relatively easily recognized by the user.

또한, 위패의 위치(420)와 사용자의 현재 위치(410)가 가까운 경우는 사용자가 위패의 위치(420)에 비교적 인접한 시점일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는 비교적 쉽게 위패의 위치(420)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위패 위치 정보 관리 디바이스(100)는 거리에 비례하여 점멸이 유지되는 시간 값은 작게 결정하고, 위패의 위치(420)를 보다 잘 파악할 수 있도록 점멸의 빠르기 값을 크게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location of the mortuary tablet 420 and the current location 410 of the user are close, the user may be relatively close to the location 420 of the mortuary tablet, and in this case, the location 420 of the mortuary tablet can be grasped relatively easily. Therefore, the device 100 for manag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rtuary tablet may determine a small value of time during which the blinking is maintained in proportion to the distance, and may determine a large value of the blinking speed so that the position 420 of the mortuary tablet can be better grasped.

또한,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사용자의 위치(410) 및 사용자의 위치(410)와 위패의 위치(420) 간 거리에 기초하여 점멸이 유지되는 시간 및 점멸의 빠르기가 갱신될 수 있다.Also, the blinking duration and the blinking speed may be updated based on the user's position 410 obtained in real tim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s position 410 and the position 420 of the mortuary tablet.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위패와의 거리에 따라서 각 LED가 점멸 되는 시간 및 빠르기가 갱신되는 것을 확인하면서 이동하기 때문에 보다 쉽고 간편하게 대상 위패의 위치(420)까지 이동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user can move to the position 420 of the target mortuary tablet more easily and conveniently because he moves while confirming that the blinking time and speed of each LED are updated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mortuary tablet.

다른 실시 예에서, 위패 위치 정보 관리 디바이스(100)는 각각의 LED의 색상을 상황에 따라 각각 상이하게 결정(예: 위패의 위치(420)에 인접한 경우 적색 계열, 먼 경우 녹색 계열)할 수 있고, 사용자의 위치(410) 및 위패의 위치(420)에 기초하여 LED의 색상을 선형적으로 갱신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경로 정보(430)에 따른 위치에 인접한 LED를 활성화시킴과 더하여 진동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mortuary tablet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100 may determine the color of each L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ituation (eg, red color when adjacent to the location 420 of the mortuary tablet, green color when distant), , The color of the LED can be linearly updated based on the user's position 410 and the position 420 of the mortuary tablet. In addition, if necessary, a vibration alarm may be provided in addition to activating an LED adjacent to a position according to the path information 430 .

위패 위치 정보 관리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위치(410)(현재 위치) 및 위패의 위치(420)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이동 및 도착에 대한 알람을 제공하는 경우, LED에 대한 점멸의 빠르기, 색상 변경, 점멸이 유지되는 시간 및 진동 알람(또는, 소리 알람)의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device for managing mortuary tablet location information provides an alarm for movement and arrival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s location 410 (current location) and the location 420 of the mortuary tablet, the speed of blinking, color change, and blinking for the LED An alarm may be provided using a method such as a time maintained and a vibration alarm (or a sound alarm).

구체적으로, 위패의 위치(420)와 사용자의 현재 위치(410) 간의 거리가 기설정 거리를 초과하여 먼 경우 점멸 유지 시간, 점멸의 빠르기, 색상 변경에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고, 부여된 가중치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알람이 결정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location of the mortuary tablet 420 and the current location 410 of the user exceeds a predetermined distance, weights may be assigned to the duration of flashing, the speed of flashing, and color change, and the assigned weights An alarm provided based on this may be determined.

예를 들어, 위패의 위치(420)와 사용자의 위치(410) 간의 거리가 먼 경우는 이동을 시작한 시점일 수 있기 때문에 이동 및 도착을 안내하는 LED 점멸의 유지 시간을 길게 유지함으로써 사용자가 위패의 위치(420)에 도착할 때까지 LED 점멸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기 때문에 점멸의 유지 시간에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고, 거리가 먼 정도에 따라서 점멸의 빠르기를 갱신하여 제공할 경우 사용자가 보다 직관적으로 이동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점멸의 빠르기에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distance between the position of the mortuary tablet 420 and the position 410 of the user is long, it may be the time of starting the movement. Since it may be desirable to provide LED blinking until reaching the position 420, a weight may be assigned to the duration of blinking, and if the blinking speed is updated and provided according to the distance, the user is more intuitive. A weight can be assigned to the speed of blinking in that the movement situation can be grasped with .

또한, LED 색상의 변화에 따라서 이동 상황을 알릴 수 있으나 색상에 따른 이동 상황을 파악하는 데에는 다소의 이해도가 요구된다는 점에서 색상 변경에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그러나, 위패의 위치(420)로 이동하기까지 거리가 먼 경우 불필요한 진동 알람을 제공하게 되면 위패소 방문객들에 피해를 끼칠 수 있다는 점에서 진동 알람에는 가중치가 부여되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movement situation can be notified according to the change in LED color, a weight can be assigned to the color change in that some level of understanding is required to grasp the movement situation according to the color. However, when the distance to the location 420 of the mortuary tablet is far, the vibration alarm may not be weighted in that providing an unnecessary vibration alarm may cause damage to visitors to the mortuary tablet.

즉, 위패의 위치(420)와 사용자의 현재 위치(410) 간의 거리가 기설정 거리를 초과하도록 먼 경우, 점멸의 유지 시간을 사용자의 위패의 위치까지의 예상 도착 시간에 대응되도록 결정하고, 점멸의 빠르기를 위패의 위치(420)가지 이동함에 따라 갱신하고, 이동에 따라 LED의 색상을 기설정 색상으로 선형적으로 변경하는 알람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이동 상황 및 도착에 대한 정보를 보다 효과적이고 직관적으로 쉽게 알릴 수 있다.That is,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location of the mortuary tablet 420 and the current location 410 of the user exceeds a preset distance, the duration of blinking is determined to correspond to the expected arrival time to the location of the user's mortuary tablet, and the blinking By updating the speed of the mortuary tablet as it moves to the position 420 of the mortuary tablet and providing an alarm that linearly changes the color of the LED to a preset color according to the movement, information on the user's movement situation and arrival is more effective and intuitive. can be easily informed.

그러나, 사용자의 이동 상황에 따른 위패의 위치(420)와 사용자의 현재 위치(410) 간의 거리가 기설정 거리 이하로 가까워지는 경우, 가중치가 다르게 부여될 수 있다. However,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location 420 of the mortuary tablet according to the user's movement situation and the current location 410 of the user becomes closer to a predetermined distance or less, a different weight may be assigned.

예를 들면, 사용자의 이동 상황에 따른 위패의 위치(420)와 사용자의 현재 위치(410) 간의 거리가 기설정 거리 이하로 가까워지는 경우 점멸의 빠르기, 진동 알람 및 색상 변경에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고, 부여된 가중치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알람이 결정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position of the ancestral tablet 420 according to the user's movement situation and the current position 410 of the user becomes closer to a predetermined distance or less, weights may be assigned to the speed of flashing, the vibration alarm, and the color change. and an alarm to be provided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assigned weight.

예를 들면, 위패의 위치(420)와 사용자의 현재 위치(410) 간의 거리가 기설정 거리 이하로 가까워지는 경우, 사용자는 위패의 위치(420)에 인접한 상황일 수 있다. 이 경우, LED 점멸의 빠르기를 증가시키면 사용자는 위패에 인접했음을 효과적으로 인지할 수 있고, 인접한 정도를 직관적으로 파악하기 쉽기 때문에 점멸의 빠르기에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고, 위패의 위치(420)에 인접한 경우 진동 알림을 기설정 횟수(예: 1번)로 제공함으로써 LED의 점멸을 인지하지 못한 사용자에게 위패에 인접했음을 직접적으로 알릴 수 있다는 점에서 진동 알람에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location of the mortuary tablet 420 and the current location 410 of the user becomes closer to a predetermined distance or less, the user may be in a situation adjacent to the location 420 of the mortuary tablet. In this case, if the speed of LED flashing is increased, the user can effectively recognize that they are adjacent to the mortuary tablet, and since it is easy to intuitively grasp the degree of proximity, a weight can be assigned to the speed of flashing, and the adjacent mortuary tablet position 420 In this case, by providing the vibration notificatio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eg, once), a weight may be assigned to the vibration alarm in that it can directly notify a user who is not aware of the blinking of the LED that the mortuary tablet is adjacent.

또한, 사용자의 현재 위치(410)가 위패에 위치에 인접하는 정도에 따라서 LED의 색상을 변경하는 것으로 사용자에게 인접한 정도를 알릴 수 있기 때문에 LED의 색상 변경에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여러 알람들에 의해 위패의 위치(420)에 인접했음을 쉽게 인지할 수 있고 점멸 유지 시간에 따른 인지 효과가 다소 낮다는 점에서 점멸 유지 시간에는 가중치가 부여되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egree of proximity to the user can be informed by changing the color of the L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proximity of the user's current location 410 to the position on the mortuary tablet, a weight can be assigned to the color change of the LED. However, since it is easy to recognize that the ancestral tablet is adjacent to the position 420 of the mortuary tablet by the above-mentioned alarms, and the recognition effect according to the blinking duration is somewhat low, no weight may be assigned to the blinking duration.

즉, 위패의 위치(420)와 사용자의 현재 위치(410) 간의 거리가 기설정 거리 이하로 가까워지는 경우, LED의 점멸의 빠르기를 기설정 값만큼 증가시키고, 진동 알람을 기설정 횟수만큼 제공하고, LED의 색상을 기설정 색상으로 변경하고, LED 점멸의 유지 시간을 위패의 위치(420)까지 예상 도착 시간에 대응되도록 LED 점멸을 유지하는 방법들을 포함하는 알람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위패에 인접하는 상황을 보다 효과적으로 인지시킬 수 있다.That is,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position of the mortuary tablet 420 and the user's current position 410 becomes closer to a preset distance or less, the flashing speed of the LED is increased by a preset value, and a vibration alarm is provided by a preset number of times. , Changing the color of the LED to a preset color, and providing an alarm to the user including methods of maintaining the LED blinking so that the duration of LED blinking corresponds to the expected arrival time to the position 420 of the mortuary tablet. situation can be perceived more effectively.

상술한 바와 같이, 위패 위치 정보 관리 디바이스(100)는 위패의 위치(420)와 사용자의 현재 위치(410) 간의 거리에 따라서 가중치가 부여되는 요소를 상이하게 결정하여 제공되는 알람을 결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이동 상황에 따라 적절한 알람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매우 많은 위패가 모셔진 위패소 내에서 목적하는 위패의 위치(420)까지 보다 수월하게 이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mortuary tablet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100 determines the provided alarm by determining the weighted elemen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location 420 of the mortuary tablet and the current location 410 of the us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ppropriate alarm according to the moving situation of the mortuary tablet, so that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move to the location 420 of the mortuary tablet in the mortuary tablet where a lot of mortuary tablets are enshrined.

일 실시 예에 따른 위패 위치 정보 관리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410)에서 위패의 위치(420)까지 이동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이 기설정 시간인 제 1 시간 이상 제 2 시간 미만일 경우 위패까지의 이동 경로(440)를 나타내는 경로 지도를 제공할 수 있고, 이동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이 제 2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경로 지도와 함께 알람(예: 음성, 진동, 효과음 등)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보다 수월하게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기설정 시간인 제 2 시간은 제 1 시간보다 클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device 100 for managing mortuary tablet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time required to move from the current location 410 of the user to the location 420 of the mortuary tablet is equal to or longer than the first time and less than the second time, which is a preset time. A route map indicating the movement route 440 to the mortuary tablet may be provided, and an alarm (eg, voice, vibration, sound effect, etc.) may be provided along with the route map when the time required to travel exceeds a second time. This allows the user to move more easily. The second time, which is the preset time, may be greater than the first time.

단계 S240에서 위패 위치 정보 관리 디바이스(100)는 위패의 위치(420)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영상 디바이스(520)로부터 획득되는 영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step S240, the device 100 for managing mortuary tablet location information may provide image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video device 520 operating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location 420 of the mortuary tablet.

이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영상 디바이스(520)는 위패의 위치(420)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영역에 대한 움직임을 센싱할 수 있고, 해당 기설정된 영역에 움직임이 센싱되는 경우, 위패의 위치(420)에 대응되는 영역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영상을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In this regard, referring to FIG. 5 , the video device 520 may sense motion in a predetermined area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420 of the mortuary tablet, and when motion is sensed in the predetermined area, the mortuary tablet 520 may sense motion. An image of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420 may be obtained, and the obtained image may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예를 들어, 기설정된 영역에 대한 움직임은 센서에 의한 움직임 센싱과 함께 모션 센서에 의한 특정 동작에 대한 센싱이 이루어질 수 있다. 특정 동작은 위패에 대한 절, 기도, 묵념 등의 기본적인 예식에 대한 동작과 더불어, 술을 따라드리는 동작, 예식을 진행하는 동작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motion in a preset area may be sensed for a specific motion by a motion sensor together with motion sensing by a sensor. The specific operation may further include an operation for pouring alcohol, an operation for a ceremony, and the like, in addition to operations for basic ceremonies such as bowing to a mortuary tablet, prayer, and silent meditation.

이와 같이 특정한 동작에 대해서 센싱하는 경우, 단순히 위패에 대한 기설정된 영역을 통과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불필요한 동작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디바이스 운용에 효율적일 수 있다.In the case of sensing a specific motion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minimize an unnecessary motion of simply sensing a user's movement passing through a predetermined area for a mortuary tablet, and thus it is possible to be efficient in device operation.

상기한 동작들이 센싱되는 경우, 위패 위치 정보 관리 디바이스(100)는 기설정된 영역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고 이를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함으로써 예식의 진행 상황을 위패소에 방문하지 못한 다른 사람에게 공유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above operations are sensed, the mortuary tablet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100 obtains an image of a predetermined area and transmits it to an external device so that the progress of the ceremony can be shared with other people who have not visited the mortuary tablet. do.

특히, 다수의 인원이 모일 경우에 따른 감염병의 감염 위험이 높은 시기에는 소수의 인원만 모이도록 제한될 수 있고, 비대면으로 예식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이 예식에 대한 영상을 공유하는 것은 상기한 시기에 매우 효과적일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here is a high risk of contagious disease when a large number of people gather, it may be restricted to gathering only a small number of people, and it may be desirable to hold the ceremony non-face-to-face. Doing so can be very effective at times like these.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위패 위치 정보 관리 시스템의 구성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a mortuary tablet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면을 참조하면, 위패 위치 정보 관리 시스템은 제 1 통로(310), 제 2 통로(320), 제 3 통로(330), 제 1 코너(340) 및 제 2 코너(350) 및 각 통로와 코너에 포함된 LED를 포함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위치 정보를 송수신 할 수 있는 태그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 the tablet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includes a first passage 310, a second passage 320, a third passage 330, a first corner 340 and a second corner 350, and each passage and corner. It may include an LED included in , and may further include a tag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dditional location information.

또한, 위패 위치 정보 관리 시스템은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고,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400)기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하여 서버(300) 내 사용자 식별 정보가 저장, 관리되도록 할 수 있다. 더하여, 서버(300)에는 각 태그들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를 미리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rtuary tablet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may include a server 300, and the system transmits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400 to the server 300 so that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server 300 is stored. , can be managed. In addition, the server 300 may store and manag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each tag in advance.

위패 위치 정보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식별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되고, 위패에 모셔진 망인의 신체발부를 포함하는 위패의 위치(420)를 서버(300)로부터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400) 내 설치된 위패 위치 안내 어플리케이션 또는 SMS 등으로 제공할 수 있다.When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the mortuary tablet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receives, from the server 300, the location 420 of the mortuary tablet corresponding to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including the body part of the dead person enshrined in the mortuary tablet, and sends the user terminal 400 It can be provided through an installed mortuary tablet location guidance application or SMS.

사용자가 이동함에 따라 LED에 인접하는 경우 LED가 기설정 방식에 따라 활성화 및 점멸되어 사용자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고, 사용자가 통과한 경로(440) 또는 위치에 포함된 LED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As the user moves, when the LED is adjacent to the LED, the LED may be activated and blinked according to a preset method to guide the user's movement, and the LED included in the path 440 or the position the user has passed may be deactivated.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400)에 제공되는 경로 정보(43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route information 430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면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현재 위치(410), 위패의 위치(420) 정보 및 사용자의 현재 위치(410)에서 위패의 위치(420)까지의 경로(440)를 나타내는 경로 정보(430)가 지도 형태로 사용자 단말(400)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공되는 경로 정보(430)는 위패 위치 정보 관리 디바이스(100)와 연계되어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 the user's current location 410, mortuary tablet location 420 information, and route information 430 indicating a route 440 from the user's current location 410 to the mortuary tablet location 420 are mapped. It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400 in a form. For example, the provided route information 430 may be provided through an application that operates in association with the tablet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100 .

사용자 단말(400)에는 경로 정보(430)에 따른 경로(440)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되는 경로(440)는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410)와 위패의 위치(420) 간의 거리에 대응되도록 경로(440) 이미지의 색상 변화, 경로(440) 이미지의 점멸, 점멸의 빠르기, 점멸이 유지되는 시간이 갱신될 수 있고, 거리가 인접하는 경우 이를 알리는 취지의 메시지가 팝업 메시지 또는 진동(효과음) 알람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A route 440 according to the route information 430 may be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400, and the displayed route 440 is the distance between the current location 410 of the user and the location 420 of the mortuary tablet obtained in real time. The color change of the image of the path 440, the flashing of the image of the path 440, the speed of flashing, and the time during which the flashing is maintained may be updated to correspond to the (Sound effect) It can be provided in the form of an alarm.

다른 예에서, 사용자 단말(400)에 제공되는 경로 정보(430)에는 혼잡도가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패 위치 정보 관리 디바이스(100)는 각 통로 및 코너, 그리고 위패소 내 추가적으로 구비된 움직임 센서, 적외선 센서 등을 통해 사람이 밀집하거나 정체되는 상황에 대한 센싱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이러한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구역 별 혼잡도를 결정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route information 430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400 may include a degree of congestion. Specifically, the mortuary tablet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100 may obtain sensing information about a situation in which people are crowded or congested through motion sensors and infrared sensors additionally provided in each aisle and corner, and in the mortuary tablet.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the degree of congestion for each zone may be determined.

위패 위치 정보 관리 디바이스(100)는 구역 별 혼잡도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400)에 제공되는 경로 정보(430) 상의 경로(440)에 대한 혼잡도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고, 경로(440)에 대한 혼잡도가 기설정 값 이상인 경우, 각 구역 별 혼잡도가 기설정 값 이하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역과 사용자의 현재 위치(410), 위패의 위치(420)에 기초하여 혼잡도가 기설정 값 이상인 경로를 우회하여 위패의 위치(420)까지 이동할 수 있는 경로(440)를 나타내는 우회 경로(450)를 결정하고, 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The tablet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100 may display the congestion degree of the route 440 on the route information 430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400 based on the degree of congestion by zone, and the congestion degree of the route 440 is If the congestion level for each zon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set value, the location of the mortuary tablet is detoured through a route with a congestion level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set value based on at least one zone with a congestion level of each zone equal to or less than the preset value, the user's current location 410, and the location of the mortuary tablet 420. A detour path 450 indicating a path 440 that can travel to 420 may be determined and displayed.

이러한 우회 경로(450)와 기존에 제공된 경로(440) 간의 이동 거리 차이 값이 기설정 값 이상인 경우 사용자의 식별 정보에 따른 사용자 연령에 기초하여 우회 경로(450) 또는 기존에 제공된 경로(440)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difference in travel distance between the detour route 450 and the previously provided route 44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set value, the detour route 450 or the previously provided route 440 is selected based on the user's age according to the user's identification information. Either one can be determined and provided.

일반적으로, 기존에 제공된 경로(440)에 포함된 구역의 혼잡도가 기설정 값 이상인 경우, 우회 경로(450)를 제공하여 보다 수월하게 위패의 위치(420)까지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In general, when the congestion level of an area included in the previously provided route 44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value, a detour route 450 may be provided so as to more easily move to the location 420 of the ancestral tablet.

그러나, 혼잡한 구역을 우회하도록 제공된 우회 경로(450)가 기존에 제공된 경로(440)보다 기설정 값 이상으로 더 멀 경우, 기설정 연령을 초과하는 고령의 사용자에게는 오히려 피로감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 우회 경로(450)를 제공하지 않거나, 기설정 혼잡도 범위에 포함되면서 기존에 제공된 경로(440)와의 이동 거리 차이 값이 기설정 값 이하인 경로에 가중치가 적용되어 사용자 단말(400)에 제공될 수 있다.However, if the detour route 450 provided to bypass a congested area is farther than the previously provided route 440 by more than a preset value, it may cause fatigue to elderly users exceeding the preset age. In this case, a detour path 450 is not provided, or a path included in a preset congestion degree range and a travel distance difference value from the previously provided path 440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value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400 after a weight is applied. there is.

또한, 우회 경로(450)가 기존에 제공된 경로(440)보다 기설정 값 이상으로 더 멀 경우, 경로(440)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연령이 기설정 연령 이하라면 먼 거리라도 비교적 수월하게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이동 거리 차이 값에 관계없이 우회 경로(450)에 가중치가 적용되어 사용자 단말(400)에 제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if the detour route 450 is farther than the previously provided route 440 by a preset value or more, if the age of the user using the route 440 is less than the preset age, he or she can move relatively easily even over a long distance. A weight may be applied to the detour path 450 and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400 regardless of the moving distance difference value.

다만, 사용자의 일행 중 연령이 기설정 연령을 초과하는 일행이 적어도 1명 이상인 경우는 고령의 일행에 맞춰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우회 경로(450)를 제공하지 않거나, 기설정 혼잡도 범위에 포함되면서 기존에 제공된 경로(440)와의 이동 거리 차이 값이 기설정 값 이하인 경로에 가중치가 적용되어 사용자 단말(400)에 제공될 수 있다. However, if there is at least one party whose age exceeds the predetermined age among the user's party, the detour route 450 is not provided or the existing A weight may be applied to a path having a moving distance difference value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value from the provided path 440 and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400 .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위패의 위치(420)까지 혼잡도에 따른 불편 없이 보다 수월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By doing this, the user can more easily move to the location 420 of the ancestral tablet without inconvenience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ngestion.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위패의 위치(420)에 대응되는 영역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obtaining an image of an area corresponding to a location 420 of a mortuary tab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면을 참조하면, 위패 위치 정보 관리 디바이스(100)는 센서를 통해 위패의 위치(420)에 대응되는 기설정 영역(510)에 대한 움직임을 센싱하고, 움직임이 센싱되는 경우 해당 영역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도록 영상 디바이스(520)를 제어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 the mortuary tablet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100 senses movement of a preset area 510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420 of the mortuary tablet through a sensor, and displays an image of the area when the motion is sense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imaging device 520 to acquire.

기설정 영역(510)은 인접한 위패에 따른 영역에 중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중첩되는 경우, 영역에 대해 센싱된 움직임에 따른 인원이 영역 내 기설정 비율 이상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영상 디바이스(520)를 작동시키지 않을 수 있다.It may be preferable that the preset area 510 does not overlap with the area of the adjacent mortuary tablet, and if it overlap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are no more than a predetermined ratio of people according to the motion sensed in the area, the video device 520 may not be activated.

영상 디바이스(520)로부터 영상이 획득되는 경우, LED 광이 영상에 영향을 미칠 것을 고려하여, 영상에 대응되는 영역과 인접한 LED는 위패 위치 정보 관리 디바이스(100)에 의해 비활성화 되거나 기설정 밝기 이하로 활성화될 수 있다.When an image is obtained from the image device 520, considering that the LED light may affect the image, the LED adjacent to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is deactivated by the tablet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100 or lowered to a preset brightness. can be activated.

이후, 위패 위치 정보 관리 디바이스(100)는 획득된 영상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함으로써 위패소에 방문하지 않은 다수의 사람과 위패소에서 진행되는 예식 등을 공유할 수 있게 된다.Thereafter, the mortuary tablet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100 transmits the obtained image to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so that a ceremony held at the mortuary tablet can be shared with a plurality of people who have not visited the mortuary tablet.

일 실시 예에서, 위패의 위치(420)에 대응되는 영역에 대한 영상, 즉 위패에 대한 제사, 기도 등의 관혼상제 예식 영상은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 또는 상조 전문 방송국에 제공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n image of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420 of the mortuary tablet, that is, a video of a ceremonial event such as a rite or prayer for the mortuary tablet may be provided to an online video platform or a broadcasting station specializing in funeral services.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위패 위치 정보 관리 시스템의 구성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a mortuary tablet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면을 참조하면, 위패소에 모셔진 위패에는 위패 자체에 장착할 수 있는 위패 태그가 도시되어 있어, 위패 위치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디바이스는 위패 태그를 이용하여 위패의 위치(420)를 획득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 the mortuary tablet enshrined in the mortuary tablet shows a mortuary tablet tag that can be attached to the mortuary tablet itself, so the mortuary tablet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device can obtain the location 420 of the mortuary tablet using the mortuary tablet tag.

도면에 도시된 위패 관리 제어기는 위패소 내 복수개로 존재하는 위패 관리 단말기의 동작 등을 제어할 수 있고, 위패 관리 단말기는 각 위패 태그로부터 위패 위치를 획득하거나 각 통로 및 코너 또는 위패와 인접한 영역에 위치한 LED의 동작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mortuary tablet management controller shown in the drawing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a plurality of mortuary tablet management terminals in the mortuary tablet, and the mortuary tablet management terminal obtains the position of the mortuary tablet from each mortuary tablet tag or moves to each aisle, corner, or area adjacent to the mortuary tablets.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located LED.

위패 관리 제어기는 위패 관리 단말기로부터 위패의 위치(420)를 획득하여 이를 서버(300)에 전송, 서버(300)로부터 위치 정보를 저장 및 관리되도록 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저장된 위치 정보와 사용자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이에 대응되는 위패의 위치(420)를 결정할 수도 있다. The mortuary tablet management controller obtains the location 420 of the mortuary tablet from the mortuary tablet management terminal, transmits it to the server 300, and stores and manages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server 300, and identifies the stored location information and user as necessary. Based on the information, the location 420 of the corresponding mortuary tablet may be determined.

이처럼 위패 각각에 대응하는 위패 태그로부터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제공함으로써 종래 위패소 내 매우 많은 위패 중 찾고자 하는 위패의 위치(420)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운 불편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고, 각 구역에 구비된 LED를 통해 위패의 위치(420)를 안내함으로써 사용자는 더욱 수월하게 위패의 위치(420)까지 이동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by obtaining and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mortuary tablet tag corresponding to each mortuary table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olve the inconvenience of difficult to accurately determine the location 420 of the mortuary tablet to be found among the many mortuary tablets in the conventional mortuary tablet. By guiding the location 420 of the mortuary tablet through the LED, the user can more easily move to the location 420 of the mortuary tablet.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제공되는 위패 위치 정보 관리 시스템을 통해 IT평생 자서전 아카이브 및 IT 유전체 보관 영상 안내 카드, IoT 영상관을 제공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providing an IT lifelong autobiography archive, an IT dielectric storage video guide card, and an IoT video theater through a mortuary tablet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면을 참조하면, 위패 위치 정보 관리 디바이스(100)는 연동되는 서비스를 통해 IT 유전체 보관 영상 안내 카드를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 the tablet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100 may provide an IT dielectric storage image guide card through a linked service.

IT 유전체 보관 영상 안내 카드는 3사람(본인·부·모)의 유전체가 보관되어 이산가족, 다문화가족, 북한이탈주민, 일제강점기가족, 해외동포 등에 대한 유전자 검사에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서버에 저장된 영상 정보를 불러와 영상 기록물을 제공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과 통신할 수 있다.The IT Genome Storage Video Information Card stores the genomes of three people (yourself, your parents, and your mother) and can be used for genetic testing of separated families, multicultural families, North Korean defectors, famili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overseas Koreans.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with the user terminal so that video information stored in the server can be called and video records can be provided.

또한, IT 유전체 보관 영상 안내 카드는 비대면 모니터인 키오스크, 영화관, Pc, 대형모니터 등에 연결하여 주는 리더기 위에 NFC 전자칩이 매립되어 있는 IT유전체 보관 영상 안내 카드를 올려놓으면 서버에 저장된 정보를 불러올 수 있으며, 이밖에도 자동 앱을 스마트폰에 깔아주며, 위치 정보를 제공하거나 LED 점멸 또는 AI 베터리 충전 등의 실시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erver can be retrieved by placing the IT dielectric storage image guide card with an embedded NFC electronic chip on a reader that connects to non-face-to-face monitors such as kiosks, movie theaters, PCs, and large monitors. In addition, an automatic app is installed on the smartphone, and location information can be provided, or real-time information such as LED blinking or AI battery charging can be provided.

다른 실시 예에서, 망인의 생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오프라인 자서전에는 위패에 모셔진 망인의 머리카락 또는 손톱 등의 신체 발부 및 지문이 수분이 차단되도록 처리되어 포함되어 있고,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태그(Tag)가 부착되어 있어, 태그와 사용자 단말 간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오프라인 자서전 내용을 포함하는 디지털 IT평생 자서전 아카이브가 사용자 단말로 제공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off-line autobiography including information about the life of the deceased includes the deceased's body parts such as hair or fingernails and fingerprints enshrined in the memorial tablet processed to block moisture, and a tag capable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 is attached, a digital IT lifetime autobiography archive including offline autobiography can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tag and the user terminal.

다른 실시 예에서, 사용자가 자서전 아카이브가 제공되는 위치는IoT시대 오프라인·온라인, 제본 및 출판 서적 최소 50~200페이지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인생의 삶의 자서전 5단계(반려동물 4단계)로 구분된 카페 서고, 카페 도서관에는 제본책(미출판)과 도서관(출판서적)또는 오프라인 제본책과 e-book은 서버에서 온라인 인터넷으로 열람 및 창작,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이며, 따라서 종교별 간증자서전과 신념에 따른 자서전이 관련 시스템 및 디바이스를 통해 제작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location where the user's autobiography archive is provided is made up of at least 50 to 200 pages of books offline, online, bound and published in the IoT era, and divided into 5 stages (4 stages of companion animals) of the autobiography of life. In the café library and cafe library, bound books (unpublished) and libraries (published books) or offline bound books and e-books are spaces where you can read, create, and experience online Internet on the server. An autobiography according to can be produced through related systems and devices.

따라서 카페형 'IoT평생아카이브관'내 'IoT영상관'에서 '영상안내카드'를 지정한 장소(리더기)에 올려놓으면 영화처럼 'IoT영상관'에서 불특정다수인과 함께 자서전을 영상관람 할 수 있다. 특히 자서전 책 표지 2페이지 중앙 전 면 책장에 전자칩(태그)이 부착되어 있고, 신체발부(모근이 있는 머리카락), 손톱, 지문 등이 보관되며 'IT영상안내카드'에는 유전체(머리카락·손톱) 3대가 보관될 수 있다.Therefore, if you place the 'Video Guide Card' on the designated place (reader) in the 'IoT Video Theater' in the cafe-type 'IoT Lifetime Archive Hall', you can watch the autobiography with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in the 'IoT Video Theater' like a movie. In particular, an electronic chip (tag) is attached to the front bookcase in the center of page 2 of the autobiography book cover, and body parts (hair with hair roots), fingernails, fingerprints, etc. are stored, and the 'IT video guide card' contains genomes (hair and nails). 3 units can be stored.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제공되는 위패 위치 정보 관리 시스템을 통해 IT 효-카드, 영가기록 책 기반 IT윤회의 공원 및 부활의 동산에 관련된 위패 정보를 제공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8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providing mortuary tablet information related to an IT filial piety card, a spiritual family record book-based IT reincarnation park, and a hill of resurrection through a mortuary tablet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

도면을 참조하면, 위패 위치 정보 관리 디바이스(100)는 연동되는 서비스를 통해 IT효-카드 및 영가기록 책 기반 “IT 윤회의 공원”과 관련된 일련의 정보들을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 the mortuary tablet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100 may provide a series of information related to the “IT Reincarnation Park” based on the IT Hyo-card and the Young Family Record Book through a linked service.

또한, 불교는 화장한 유골의 골분을“윤회의 공원”에 산골 봉안 후 IT위패 봉안할 수 있고, 기독교는 교회 내 정원 “부활의 동산”부활(소천)기념일에 화장한 유골의 골분을 산골 봉안할 수 있다.In addition, Buddhism can enshrine the ashes of cremated ashes in the “Park of Reincarnation” and then enshrine them on an IT mortuary tablet, and in Christianity, the ashes of cremated ashes can be enshrined in the garden in the church “Garden of Resurrection” on the anniversary of the resurrection (Socheon). can do.

유전체 보관은 개별적으로 보관할 경우 IT효카드를 이용할 수 있고, 불교 공동체 방식으로 보관할 경우 DNA 보관 책을 이용할 수 있다.For genome storage, IT hyo cards can be used for individual storage, and DNA storage books can be used for storage in the Buddhist community method.

예를 들면, 불교의 전통은 다비이다. 이에 따라, 불교에 대한 장례 의식, 예를 들어 IT 윤회의 공원은 화장한 유골의 골분은 신앙공동체 사찰 내 “윤회의공원”에 화장한 유골의 골분을 봉안하고, 봉안(납골)당, 자연장 대신해 절에 위패를 봉안할 수 있다. 이때 'IT효-카드'한 장이면 인생영상과 정보를 스마트폰 및 'IT영상실'에서 영화관처럼 볼 수 있다. 또한 대형모니터, pc, 키오스크 등을 통해 볼 수도 있다. 따라서 “윤회의공원”은 기존의 버리는 식 '산골장'과 다른100년이상 보존되는 공원일 수 있다. 화장한 유골의 골분을 지상 공간에 봉안 한 후 공간이 만장되면 불교의 상징 원형으로 조성되어 지상 위로 도면내 번호 1, 2, 3 순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사찰 내 IT위패 봉안으로 신앙공동체 극락왕생 '윤회의공원'의 공간으로 오래도록 보존하며, 첫 업 소멸을 갖게 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Buddhist tradition is Dharbi. Accordingly, funeral ceremonies for Buddhism, for example, the IT Reincarnation Park enshrines the cremated ashes in the “Reincarnation Park” in the religious community temple, Instead, the ancestral tablet can be enshrined in the temple. At this time, with a single 'IT Hyo-Card', you can watch life images and information on your smartphone and 'IT video room' like a movie theater. It can also be viewed on large monitors, PCs, kiosks, etc. Therefore, “Reincarnation Park” can be a park that has been preserved for more than 100 years, which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mountain field'. After enshrining the cremated ashes in the space above the ground, when the space is full, it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s a symbol of Buddhism and can be installed on the ground in the order of numbers 1, 2, and 3 in the drawing. In addition, by enshrining the IT mortuary tablet in the temple, it can be preserved for a long time as a space of 'Samsungui Park', a community of faith, rebirth in paradise, and the first business can be destroyed.

화장한 유골의 골분에는 아무 DNA가 없으나 'IT유전체효카드'를 이용하면 필요할 때 유전자 검사 가능할 수 있다. 골분을 산골하지 않고, 한지골분주머니에 골분을 담아 인연의 줄로 연결하여 윤회를 표현하였으며, 특히 공동체dna보관책에는 QR코드가 입력되어 스마트폰 스캔과 스마트폰 터치 등 도면 내 번호 1, 2중 선택함으로써 보관하여, 삶의 기록을 담은 '인생영상'을 언제 어디서나 각종 영상 매체를 통해 보거나 제공할 수 있다.There is no DNA in the bone meal of cremated ashes, but genetic testing can be performed when necessary by using the 'IT Genome Effect Card'. Instead of collecting bone meal, bone meal was placed in a bone meal bag and connected with a string of ties to express reincarnation. By doing so, you can view or provide 'life videos' containing records of your life through various video media anytime, anywhere.

또한, 위패 위치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는 기독교적 장례 의식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ice provided through the mortuary tablet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100 may provide information related to Christian funeral rites.

예를 들어, 화장한 유골의 골분은 유전체 없는 자연회귀 된(흙)자연이기 때문에 골분을 뿌리지 않고 모아모아 믿음 공동체 교회 내 “부활의 동산”에 봉안하고, “영상안내카드”에 유전체와 고인의 부활을 기념하는 공원일 수 있다. 또한 봉안(납골)당, 자연장지를 대신한 교회 내 'IT 영상실' 에서 비대면 또는 '간증인생영상'을 스마트폰, 대형모니터, 키오스크 등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부활의 동산”은 기존의 버리는 식의 “유택동산”과 다르다. 교회의 역사에 따라 100년 이상 보존되는 부활(소천)기념을 위한 부활예배의 공간이다. 화장한 유골의 골분을 봉안 후 공간이 만장되면 기독교 상징 십자가가 표상이 되도록 지상 위로'부활의 동산'이 돌출, 도면 내 번호 1, 2, 3번 순으로 설치될 수 있다.For example, since the bone meal of cremated ashes is a natural regenerated (soil) nature without genome, it is collected and enshrined in the “Garden of Resurrection” in the faith community church, and the “image information card” contains the genome and the deceased. It could be a park celebrating the resurrection. In addition, non-face-to-face or 'testimonial life video' can be provided through smartphones, large monitors, kiosks, etc. in the 'IT video room' in the church instead of the charnel house or natural burial place. In particular, “Garden of Resurrection” is different from “Garden of Yutaek”, which is a type of throwing away. It is a space for resurrection worship to commemorate the resurrection (passing away), which has been preserved for more than 100 years according to the history of the church. After enshrining the cremated ashes, when the space is full, the 'Garden of Resurrection' can be installed on the ground in the order of numbers 1, 2, and 3 in the drawing so that the Christian symbol cross becomes a symbol.

예를 들어, 부활의 동산은 예수님을 믿는 가족 또는 믿지 않고 죽은 가족을 대신해 믿는 가족이 교회에 등록함으로써 부활, 부활한 날을 기념하기 위해 마련된 부활기념일에 가족과 공동체가 부활축복기도를 드리는 공간일 수 있다. 소천한 이의 육신을 화장한 유골의 골분은 뿌리지 않고, 한지골분 주머니에 골분을 담아 육신의 부활을 위한 공동체의 함께 '부활의 동산'에 봉안된 동산을 나타낼 수 있다For example, the Garden of Resurrection is a place where families and communities offer prayers for resurrection blessings on Easter Day, which is prepared to commemorate the resurrection and resurrection day when families who believe in Jesus or families who believe on behalf of families who have died without believing in Jesus register with the church. can The bone meal of the cremated body of the humbled person is not sprinkled, but the bone meal is put in a bag of bone meal to represent the garden enshrined in the 'Garden of Resurrection' together with the community for the resurrection of the body.

지금까지는 화장한 유골의 골분을 교회가 아닌 타 봉안시설 등에 봉안 됐으나, 앞으로는 '부활의 동산' 내 골분을 봉안 후 復活기념일을 예배 드리는 교회 내 이용 시설을 마련하여 기도의 공간으로 이용될 수 있다.So far, the bone remains of cremated ashes have been enshrined in other enshrinement facilities, not in churches, but in the future, after enshrining the remains in the 'Garden of Resurrection', a facility for worship on the anniversary of the death can be prepared and used as a space for prayer.

또한, 봉안 방식은 예를 들면, 카드, 예수의 십자가, 부활기념패, 공동체 DNA보관 및 QR코드 책 방식 중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nshrinement method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mong, for example, a card, a cross of Jesus, a resurrection commemorative plaque, a community DNA storage method, and a QR code book method.

한편, 상술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위패 위치 정보 관리 디바이스(100)는 하나 이상의 하나 이상의 메모리, 위패 위치 및 LED를 제어할 수 있는 위패 관리 제어기, 위패 관리 단말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 실시 예에 따른 위패 위치 정보 관리 디바이스(100)를 설명하기 위한 필수적인 구성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디스플레이(미도시), 통신부(미도시), 태그(미도시) 등 발명에 해당하는 장치를 구성하기 위한 종래의 여러 구성들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도 1내지 도 6에서 상술한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device 100 for managing mortuary tablet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memories, a mortuary tablet management controller capable of controlling a mortuary tablet location, and an LED, and a mortuary tablet management terminal. In addition, although only essential components for explaining the device 100 for managing mortuary tablet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are shown in FIG. 1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display (not shown), a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and a tag (not shown) are shown. The operation described above in FIGS. 1 to 6 may be performed by organically combining various conventional configurations for constituting a device correspon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메모리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메모리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20)에 의한 실행 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20)가 연산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프로그램 내지 명령은 메모리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로서, 서버(300)의 리소스를 제어하기 위한 운영체제,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장치의 리소스들을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을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미들 웨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memory may include volatile and/or non-volatile memory. The one or more memories may store instructions that, when executed by the one or more processors 120, cause the one or more processors 120 to perform operations. In the present disclosure, a program or instruction is software stored in a memory, such as an operating system for controlling the resources of the server 300, an application and/or middleware providing various functions to applications so that the application can utilize the resources of the device. can include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20)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 명령)를 구동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본 개시와 관련된 다양한 연산, 처리, 데이터 생성, 가공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데이터 등을 메모리로부터 로드하거나,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The one or more processors 120 may control at least one component of a device connected to the processor 120 by driving software (eg, a program or command). In addition, the processor 120 may perform operations such as various calculations, processing, data generation, and processing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Also, the processor 120 may load data or the like from memory or store data in the memory.

일 실시예에서는, 위패 위치 정보 관리 디바이스(100)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additionally) 또는 대체적으로(alternatively), 일부의 구성요소들이 통합되어 구현되거나,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현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t least one of the components of the tablet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100 may be omitted or another component may be added. Also, 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some components may be integrated and implemented, or implemented as a singular or plural entity.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Steps of a method or algorithm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directly in hardware, implemented in a software module executed by hardware, or implemented by a combination thereof. A software module may include random access memory (RAM), read only memory (ROM), erasable programmable ROM (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 flash memory, hard disk, removable disk, CD-ROM, or It may reside in any form of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well known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00: 위패 위치 정보 관리 디바이스
110: 수신부 120: 프로세서
130: 출력부 300: 서버
310: 제 1 통로 311: 제 1 통로 LED
320: 제 2 통로 321: 제 2 통로 LED
330: 제 3 통로 330: 제 3 통로 LED
340: 제 1 코너 341: 제 1 코너 LED
350: 제 2 코너 351: 제 2 코너 LED
400: 사용자 단말 410: 사용자 위치, 현재 위치
420: 위패의 위치 430: 경로 정보
440: 경로 450: 우회 경로
510: 기설정 영역 520: 영상 디바이스
100: tablet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110: receiver 120: processor
130: output unit 300: server
310: first passage 311: first passage LED
320: second passage 321: second passage LED
330: third passage 330: third passage LED
340: first corner 341: first corner LED
350: second corner 351: second corner LED
400: user terminal 410: user location, current location
420: location of mortuary tablet 430: route information
440: route 450: bypass route
510: preset area 520: video device

Claims (7)

IoT를 이용한 위패 위치 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되고, 위패에 모셔진 망인의 신체발부를 포함하는 상기 위패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위패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기설정 방식에 따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영상 디바이스로부터 획득되는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위치 및 위패의 위치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이동 및 도착에 대한 알람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위패의 위치와 사용자의 현재 위치 간의 거리가 기설정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 점멸 유지 시간, 점멸의 빠르기, 색상 변경에 가중치가 부여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알람은 상기 점멸 유지 시간, 상기 점멸의 빠르기, 상기 색상 변경에 부여된 가중치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방법.
In the method of managing mortuary tablet location information using IoT,
Receiving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mortuary tablet corresponding to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including the body part of the dead person enshrined in the mortuary tablet;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mortuary tablet according to a preset method;
providing an image obtained from an image device operating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Providing alarms for movement and arrival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s location and the location of the mortuary tablet;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position of the mortuary tablet and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exceeds a preset distance, weights are assigned to the duration of blinking, the speed of blinking, and color change;
Wherein the alarm is provided based on the duration of blinking, the speed of blinking, and a weight given to the color chan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기설정 방식에 따라 제공하는 단계는
현재 위치에서 상기 위패의 위치까지의 경로를 나타내는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Provi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t method
A method of providing route information indicating a route from a current location to a location of the mortuary table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기설정 방식에 따라 제공하는 단계는
현재 위치에서 상기 위패의 위치까지의 경로에 포함되는 제 1 통로, 제 2 통로 및 제 3 통로를 각각 나타내는 제 1 통로 LED, 제 2 통로 LED 및 제 3 통로 LED를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통로에서 상기 제 2 통로로 연결되는 제 1 코너를 나타내는 제 1 코너 LED 및 상기 제 2 통로에서 상기 제 3 통로로 연결되는 제 2 코너를 나타내는 제 2 코너 LED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Provi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t method
activating a first passage LED, a second passage LED, and a third passage LED respectively indicating a first passage, a second passage, and a third passage included in a path from the current location to the location of the mortuary tablet; and
activating a first corner LED indicating a first corner connected from the first passage to the second passage and a second corner LED indicating a second corner connected from the second passage to the third passage; How to.
제 3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이미 통과한 경로 또는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통로 LED, 상기 제 2 통로 LED, 상기 제 3 통로 LED, 상기 제 1 코너 LED 및 상기 제 2 코너 LED 중에서 상기 사용자가 이미 통과한 경로 또는 위치를 나타내는 LED를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3,
obtaining the user's location; and
determining a route or location that the user has already passed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user;
Deactivating an LED indicating a path or location that the user has already passed among the first passage LED, the second passage LED, the third passage LED, the first corner LED, and the second corner LED. ,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위패의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에 대한 움직임을 센싱하는 단계;
상기 움직임이 센싱되는 경우, 상기 위패의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망인의 신체발부를 포함하는 자서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및 상기 자서전 정보를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 또는 실시간으로 영상을 송출하는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providing the video is
sensing a movement of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mortuary tablet;
obtaining an image of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mortuary tablet when the motion is sensed;
obtaining autobiographical information including body parts of the deceased; and
Transmitting the video and the autobiography information to an online video platform or an external device that transmits the video in real time; method comprising: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기설정 방식에 따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통로 LED, 상기 제 2 통로 LED, 상기 제 3 통로 LED, 상기 제 1 코너 LED 및 상기 제 2 코너 LED의 점멸이 유지되는 시간 및 점멸의 빠르기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점멸이 유지되는 시간은 상기 위치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위치 간의 거리에 비례하고, 상기 점멸의 빠르기는 상기 위치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위치 간의 거리에 반비례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3,
Provi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t method
Blinking times and flashing speeds of the first passage LED, the second passage LED, the third passage LED, the first corner LED, and the second corner LE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user's location Updating the; further comprising,
The duration of the blinking is proportion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user's location, and the blinking speed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user's location.
IoT를 이용한 위패 위치 정보 관리 디바이스에 있어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되고, 위패에 모셔진 망인의 신체발부를 포함하는 상기 위패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위패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기설정 방식에 따라 제공하는 프로세서;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영상 디바이스로부터 획득되는 영상을 제공하는 출력부; 및
사용자의 위치 및 위패의 위치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이동 및 도착에 대한 알람을 제공하고, 위패의 위치와 사용자의 현재 위치 간의 거리가 기설정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 점멸 유지 시간, 점멸의 빠르기, 색상 변경에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알람은 상기 점멸 유지 시간, 상기 점멸의 빠르기, 상기 색상 변경에 부여된 가중치에 기초하여 제공하는, 디바이스.
In the mortuary tablet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using IoT,
a receiving unit receiving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mortuary tablet corresponding to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including the body part of the deceased enshrined in the mortuary tablet;
a process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mortuary tablet according to a preset method;
an output unit providing an image obtained from an image device operating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s location and the location of the mortuary tablet, an alarm for movement and arrival is provided, and if the distance between the location of the mortuary tablet and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exceeds a preset distance, the duration of flashing, the speed of flashing, and the color change A weight is given to, and the alarm is provided based on the weight assigned to the blinking duration, the blinking speed, and the color change.
KR1020210047613A 2021-04-13 2021-04-13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funeral broadcasts related to business, memorial service, and prayer using IoT-based biometric information and location of IT tablets, IT lifelong autobiography archive, IT genome storage video guide card, and IoT video theater KR1025259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613A KR102525910B1 (en) 2021-04-13 2021-04-13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funeral broadcasts related to business, memorial service, and prayer using IoT-based biometric information and location of IT tablets, IT lifelong autobiography archive, IT genome storage video guide card, and IoT video the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613A KR102525910B1 (en) 2021-04-13 2021-04-13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funeral broadcasts related to business, memorial service, and prayer using IoT-based biometric information and location of IT tablets, IT lifelong autobiography archive, IT genome storage video guide card, and IoT video thea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1459A KR20220141459A (en) 2022-10-20
KR102525910B1 true KR102525910B1 (en) 2023-04-26

Family

ID=83804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7613A KR102525910B1 (en) 2021-04-13 2021-04-13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funeral broadcasts related to business, memorial service, and prayer using IoT-based biometric information and location of IT tablets, IT lifelong autobiography archive, IT genome storage video guide card, and IoT video thea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5910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153B1 (en) * 2006-10-31 2008-03-06 김복래 Apparatus and method of guiding grave location using gps
JP2020165240A (en) * 2019-03-29 2020-10-08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Graveyard guidanc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186B1 (en) 2015-11-09 2016-12-09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Funeral total management system that identity of the deceased was strengthene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153B1 (en) * 2006-10-31 2008-03-06 김복래 Apparatus and method of guiding grave location using gps
JP2020165240A (en) * 2019-03-29 2020-10-08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Graveyard guidanc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1459A (en) 2022-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45379B1 (en)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to control object and electronic device
KR102471174B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implementing theme
KR102363703B1 (en) Method for processing a query, electronic apparatus and server
EP2890223B1 (en)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and program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EP3023873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map service
CN102467574B (en) Mobile terminal and metadata setting method thereof
KR20160026578A (en) Display method of electronic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thereof
US10157324B2 (en) Systems and methods of updating user identifiers in an image-sharing environment
CN108279832A (en) Image-pickup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KR102409202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objects in folder on the electronic device
CN108241737A (en) For providing the system of location information and supporting th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the system
US967790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oute guidance using reference points
CN107079063A (en) The method and its electronic equipment of shared content
CN108513060A (en) Use the electronic equipment of the image pickup method and support this method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
KR2017005525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metadata
CN108476258B (en) Method for controlling object by electronic equipment and electronic equipment
CN107066473A (en) Web page operation method and the electronic equipment for supporting the web page operation method
CN110268437A (en) The context media content item of customization generates
EP3608794B1 (en) Method for outputting content corresponding to object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US11289084B2 (en) Sensor based semantic object generation
CN106796651A (en) The multimedia data processing method and its electronic equipment of electronic equipment
CN115512534A (en) Discovery and connection of remote devices
KR20180014632A (en) Electronic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09918983A (en) The device and method that user is registered
KR2014009356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web 2. 0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platform for the memorial service of ancestors and patrio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