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5485B1 - Self-authentication wearable device for the visually impaired - Google Patents
Self-authentication wearable device for the visually impaire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25485B1 KR102525485B1 KR1020200166429A KR20200166429A KR102525485B1 KR 102525485 B1 KR102525485 B1 KR 102525485B1 KR 1020200166429 A KR1020200166429 A KR 1020200166429A KR 20200166429 A KR20200166429 A KR 20200166429A KR 102525485 B1 KR102525485 B1 KR 10252548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uthentication
- terminal
- user
- camera
- modul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1771 impaired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8
- 208000025721 COVID-19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44000240602 cacao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0485 cop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8000035473 Communicabl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711573 Coronavir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5181 infectiou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20 organ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5486 vacc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792 w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using reflection of acoustic waves
- G01S15/06—Systems determining the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5/08—Systems for measuring distance onl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3—Hearing devices using bone conduction transdu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을 위한 본인인증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한 쌍의 렌즈와, 상기 렌즈가 고정되는 전면테, 상기 전면테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면테로 구성되고, 상기 전면테의 앞면에 마련되어 전방의 영상을 획득하는 글라스 카메라와, 상기 측면테에 장착되어 상기 글라스 카메라가 획득한 영상 정보에 따라 사용자 인증을 안내하는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가 마련된 웨어러블 글라스; 상기 글라스 카메라가 사용자 인증 단말기를 인식한 정보를 수신받아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인증수단을 출력시키는 인증 모듈; 및 상기 인증 모듈이 출력한 사용자의 단말기에 표시된 상기 인증수단이 상기 사용자 인증 단말기에 인식되도록 위치 안내의 음성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self-authentication wearable device for the visually impaired, which is composed of a pair of lenses, a front frame to which the lenses are fixed, and a pair of side frames extending on both sides of the front frame, the front side of the front frame wearable glasses equipped with a glass camera provided on the side frame to acquire a forward image, and a speaker mounted on the side frame to output a voice for guiding user authentication according to the imag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glass camera; an authentication module for outputting an authentication means for user authentication in a user terminal by receiving information by which the glass camera recognizes a user authentication terminal; and a control module generating voice information of location guidance so that the authentication means displayed on the user's terminal output by the authentication module is recognized by the user authentication terminal.
Description
본 발명은 본인인증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인증 단말기에 시각장애인이 자신의 인증 수단을 정확한 위치로 태깅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본인인증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device for self-authentication, and relates to a wearable device for self-authentication for the visually impaired, which guides the blind to tag their authentication means to the correct location in a user authentication terminal that receives user personal information. .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총장은 2020년 3월 11일 COVID-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를 세계적인 팬데믹으로 선포했다. 전염병은 인류의 번영과 환경파괴로 인하여 그 주기가 점차 짧아지고 있다. 이전의 팬데믹인 1900년대 초 스페인독감의 상황과 다르게, 기술발전으로 전염병의 억제가 가능할 것이라 자신했던 선진국들은 예상과 달리 밀접한 인구, 사생활보호의 문제 등의 정책적 이슈와 결부되어 전염병의 대처에 애를 먹고 있다.The Director-General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declared COVID-19 (novel coronavirus disease) a global pandemic on March 11, 2020. The cycle of epidemics is gradually shortening due to the prosperity of mankind and the destruction of the environment. Unlike the situation of the previous pandemic, the Spanish flu in the early 1900s, advanced countries, which were confident that it would be possible to contain the epidemic through technological development, were unexpectedly concerned about coping with the epidemic in connection with policy issues such as close population and privacy issues. are eating
한편, 대한민국은 COVID-19로 인한 팬데믹의 환경에서 신속한 진단과 격리의 기본 원칙으로 피해를 최소화하고 있다. 이처럼 특수한 환경 속에서, 대한민국의 신속한 진단 및 감염 클러스터 격리의 대책이 가능했던 것은 정부 추진의 집단시설 또는 다중이용시설의 대응지침이 신속하게 확립된 것이 주된 이유 중 하나이다. 대한민국은 팬데믹의 상황하에서, 단계별 대응 단계로 집단시설등에 출입하는 이용자로 하여금 QR코드 등의 수단으로 본인의 방문 여부를 필수적으로 체크하도록 하고 있다.Meanwhile, in the environment of the pandemic caused by COVID-19, the Republic of Korea is minimizing damage with the basic principle of rapid diagnosis and isolation. In such a special environment, one of the main reasons why South Korea's rapid diagnosis and quarantine of infection clusters was possible was that the government-promoted response guidelines for group facilities or multi-use facilities were quickly established. Under the circumstances of the pandemic, the Republic of Korea is making it mandatory for users entering group facilities, etc. to check whether they have visited by means such as QR codes in a step-by-step response step.
방문자 출입 인증 작업은, 네이버 또는 카카오 등의 범용적인 플랫폼을 이용하여, 해당 개인과 연락이 가능한 최소한의 정보를 담은 QR코드를 집단시설의 이용 단말에 태깅하여 사생활 노출이 최소화된 개인의 정보를 공유하는 작업이다. 대한민국은 대부분의 인구가 스마트폰 등의 이동단말을 소유하며, QR코드의 IT기술 이용에 어려움이 없는 인프라 기반으로, 주변국과는 차별화된 집단 인증 정책이 유효한 실정이다. The visitor access authentication task uses a universal platform such as Naver or Kakao to share the information of an individual with minimal exposure to privacy by tagging a QR code containing the minimum information that can be contacted with the individual on a terminal using a collective facility. it's work In Korea, most of the population owns mobile terminals such as smartphones, and based on an infrastructure that has no difficulty in using QR code IT technology, a group authentication policy differentiated from neighboring countries is in effect.
그러나, 특수한 팬데믹 상황으로 인한 정책인 만큼, 특정 소수의 사용자에 대한 배려가 필요한 한계점이 있다. 예를 들어, 시각장애인의 경우 스마트폰 단말을 보유하여도 집단시설의 사용자 인증을 위한 단말에 자신의 QR코드를 출력하여 태깅하는 것은 극히 어려운 일이다. 인증을 위해서 중증의 시각장애인은 필연적으로 주변 사람의 도움이 필요하다. QR코드는 현재 네이버 또는 카카오 등의 플랫폼에 접속하여, 본인의 QR코드 노출의 아이콘을 클릭하는 과정이 요구된다. QR코드의 출력이 완료되면 이를 인식하기 위한 인증 단말기의 사각형 박스 라인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일정 시간 유지해야 QR코드가 인식되므로, 시각장애인 입장에서 이러한 일련의 작업은 수행이 불가능한 실정이다.However, as it is a policy due to a special pandemic situation, there are limitations that require consideration for a specific small number of users.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visually impaired, even if they have a smartphone terminal, it is extremely difficult to print and tag their own QR code on a terminal for user authentication in a group facility. For certification, severely blind people inevitably need help from people around them. The QR code requires a process of accessing a platform such as Naver or Kakao, and clicking the icon of the user's QR code exposure. When the output of the QR code is completed, the QR code is recognized only when the rectangular box line of the authentication terminal for recognizing it is maintain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시간이 흐르면 COVID-19의 팬데믹은 백신의 개발로 해소되겠으나, 이러한 전염병의 창궐 주기는 지속적으로 단축되고 있다. 전문가들에 의하면, 지구의 온난화 및 환경파괴로 인한 기후변화는 앞으로 지속적인 감염병과 팬데믹을 야기할 것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COVID-19의 팬데믹 대처의 메뉴얼 및 사용자 인증의 IT 기술은 이후의 전염병 대처 과정에서도 지속적으로 활용될 것이며, 이용이 어려웠던 문제점에 대해서는 개선되어 미리 준비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Over time, the COVID-19 pandemic will be resolved with the development of a vaccine, but the outbreak cycle of these infectious diseases is continuously shortening. According to experts, climate change due to global warming and environmental destruction is expected to cause continuous infectious diseases and pandemics in the future. Therefore, the manual for coping with the COVID-19 pandemic and IT technology for user authentication will be continuously used in the process of coping with future epidemics, and problems that were difficult to use will need to be improved and prepared in advance.
이에, 본 출원인은 시각장애인 입장에서 사용자의 출입등의 기본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사용자 확인 단말기에, 본인의 인증 수단을 출력하여 태깅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는 본인인증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고안하게 되었다.Accordingl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a wearable device for self-authentication that can assist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to tag by outputting his or her authentication means to a user identification terminal for confirming basic information such as the user's access.
본 발명은 사용자 인증을 위해 본인의 인증 수단의 출력과 태깅이 어려운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주변 장애물 등의 감지 상황을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인의 인증 수단을 출력하여 적절한 위치로 태깅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본인인증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ssists visually impaired people who have difficulty in outputting and tagging their own authentication means for user authentication, not only can deliver detection situations such as surrounding obstacles, but also output individual authentication means and tag them to an appropriate loca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self-authentication wearable device for the visually impair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을 위한 본인인증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한 쌍의 렌즈와, 상기 렌즈가 고정되는 전면테, 상기 전면테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면테로 구성되고, 상기 전면테의 앞면에 마련되어 전방의 영상을 획득하는 글라스 카메라와, 상기 측면테에 장착되어 상기 글라스 카메라가 획득한 영상 정보에 따라 사용자 인증을 안내하는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가 마련된 웨어러블 글라스; 상기 글라스 카메라가 사용자 인증 단말기를 인식한 정보를 수신받아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인증수단을 출력시키는 인증 모듈; 및 상기 인증 모듈이 출력한 사용자의 단말기에 표시된 상기 인증수단이 상기 사용자 인증 단말기에 인식되도록 위치 안내의 음성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 a wearable device for self-authentication for the visually impaired, consists of a pair of lenses, a front frame to which the lenses are fixed, and a pair of side frames extending to both sides of the front frame wearable glasses provided with a glass camera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front frame to obtain a forward image, and a speaker mounted on the side frame to output a sound for guiding user authentication according to imag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glass camera; an authentication module for outputting an authentication means for user authentication in a user terminal by receiving information by which the glass camera recognizes a user authentication terminal; and a control module generating voice information of location guidance so that the authentication means displayed on the user's terminal output by the authentication module is recognized by the user authentication terminal.
바람직하게, 상기 웨어러블 글라스는, 상기 전면테 또는 상기 측면테에 배치되는 장애물 인식을 위한 거리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wearable glasses may further include a distance sensor for recognizing an obstacle disposed on the front frame or the side frame.
바람직하게, 상기 스피커는 소리의 진동을 뼈를 통해 전달하는 골전도 이어폰으로 제공되고, 사용자의 관자놀이 영역으로 위치되는 상기 측면테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speaker is provided as a bone conduction earphone that transmits sound vibration through bone, and may be provided inside the side frame positioned in the user's temple region.
바람직하게, 상기 인증 모듈은, 상기 글라스 카메라가 획득한 영상에 상기 사용자 인증 단말기의 인증 화면이 포함되는지 판단하는 인식 기능과, 상기 인증 화면을 상기 글라스 카메라가 인식한 경우,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인증수단을 호출하여 디스플레이에 자동으로 출력시키는 호출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Preferably, the authentication module includes a recognition function for determining whether an authentication screen of the user authentication terminal is included in an image acquired by the glass camera, and user authentication in a user terminal when the glass camera recognizes the authentication screen. It is possible to execute a call function that calls an authentication means for and automatically outputs it to a display.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인증 모듈이 사용자의 단말기에 상기 인증수단을 출력시킨 경우, 사용자의 단말기에 내장된 단말기 카메라의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 인증 단말기의 거리 관계를 위치 안내의 음성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ontrol module, when the authentication module outputs the authentication means to the user's terminal, receives image information of a terminal camera built in the user's terminal, and the distanc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r's terminal and the user authentication terminal. may be generated as voice information of location guidance.
바람직하게, 상기 인증 모듈이 출력하는 상기 인증수단은 QR코드일 수 있다.Preferably, the authentication means output by the authentication module may be a QR code.
본 발명에 따르면, 의지에 상관없이 본인의 출입 등의 상황을 인증해야 할 때, 인증작업이 어려운 시각장애인이 본인의 단말에 인증 수단을 자동으로 출력하여 인증을 위한 단말의 지정된 위치에 태깅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인증을 위한 별도의 단말과 착용수단을 요구하지 않고, 시각장애인들이 일반적으로 착용하는 글라스에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 주변의 장애물 등 환경 정보의 파악 기능을 겸용할 수 있고, 나아가 본인 인증을 위한 안내 기능이 구현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necessary to authenticate a person's access or other circumstances regardless of their will, a visually impaired person who has difficulty in authentication can automatically output an authentication means to his/her terminal and tag it at a designated location of the terminal for authentication. let it be Furtherm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requiring a separate terminal and wearing means for user authentication, it can be implemented in glasses generally worn by visually impaired people, and can also function to grasp environmental information such as surrounding obstacles.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 guidance function for authentication of a person can be implemen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본인인증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성 개요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본인인증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구동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shows an outline of the configuration of a wearable device for self-authentication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how a wearable device for self-authentication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riven.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exemplary embodiment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each figure indicate members performing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 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The object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naturally understood or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object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only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본인인증 웨어러블 디바이스(1)의 구성 개요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본인인증 웨어러블 디바이스(1)가 구동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시각장애인을 위한 본인인증 웨어러블 디바이스(1)는 웨어러블 글라스(10), 인증 모듈(301) 및 제어 모듈(303)을 포함할 수 있다.1 shows an outline of the configuration of a
웨어러블 글라스(10)는 한 쌍의 렌즈(12)와, 렌즈(12)가 고정되는 전면테(11), 전면테(11)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면테(13)로 구성될 수 있다. 중증 시각장애인은 본인의 눈 모습을 가리고자 하는 외관상의 이유로 종종 선글라스류의 글라스를 착용한다. 이에, 글라스 형태로 시각장애인에게 도움되는 웨어러블용 센서가 부가되어 시각정보의 전달을 다양한 형태로 제시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글라스가 개발되고 있다. The
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글라스(10)는 중증 시각장애인을 위한 주변의 공간 감지 기능 뿐만 아니라, 사용자 인증을 위한 가이드 기능이 추가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The
웨어러블 글라스(10)에는 글라스 카메라(15), 스피커(19), 및 거리 센서(171, 173)가 추가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A
글라스 카메라(15)는 전면테(11)의 앞면에 마련되어 전방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글라스 카메라(15)는 전방의 영상 획득과, 획득된 영상을 사용자 단말기(30)와 통신하여, 소정의 기간 자동 녹화되도록 연계될 수 있다. 후술하겠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인증 모듈(301)과 제어 모듈(303)은 스마트폰 단말기에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글라스 카메라(1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인증 모듈(301) 또는 제어 모듈(303)로 영상 신호를 전송하여, 블랙박스와 같이 시각장애인의 주변 환경을 소정의 기간 동안 녹화할 수 있다.The
스피커(19)는 측면테(13)에 장착되어 글라스 카메라(15)가 획득한 영상 정보에 따라 사용자 인증을 안내하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9)는 소리의 진동을 뼈를 통해 전달하는 골전도 이어폰으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골전도 이어폰은 사용자의 관자놀이 영역으로 위치되는 측면테(19)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스피커(19)는 골전도 이어폰의 형태로 제공됨에 따라, 주변 환경에 대한 사용자의 청음을 방해하지 않아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필요시에 나오는 안내가 주변 환경의 소리에 자연스럽게 중첩되어 사용자에게 음성 정보를 인식시킬 수 있다.The
스피커(19)는 제어 모듈(303)로부터 송출하게 될 음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스피커(19)는 제어 모듈(303)로부터 사용자 인증을 위한 가이드의 음성 또는, 거리 센서(171, 173)를 통해 장애물과 근접된 경우의 경고 안내 음성 등을 출력할 수 있다.The
거리 센서(171, 173)는 전면테(11) 또는 측면테(13)에 배치될 수 있다. 거리 센서(171, 173)는 정면 또는 측면에서 근접된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다. 거리 센서(171, 173)는 하나 이상 마련되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며, 저렴하고 소형으로 제공이 가능한 초음파 센서로 제공될 수 있다. 거리 센서(171, 173)는 배치된 방향으로부터 근접한 물체 또는 장애물이 감지된 경우 경고 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주변 환경의 상황 정보는 제어 모듈(303)을 통해 스피커(19)로 전송될 수 있다.The
본 실시예에 따른 인증 모듈(301)과 제어 모듈(303)은 사용자의 스마트폰 단말기(30)의 프로세서 기능을 사용한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보급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인증 모듈(301)과 제어 모듈(303)은 웨어러블 글라스(10) 상에 프로세서를 포함한 기판으로 실장되어 사용자의 단말기(30)와 통신하도록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다만, 이 경우 웨어러블 글라스(10)의 부피와 무게가 증가될 수 있으므로,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사용자의 단말기(30) 상에 인증 모듈(301)과 제어 모듈(303)을 구현하는 것이 될 수 있다.The
인증 모듈(301)은 글라스 카메라(15)가 사용자 인증 단말기(50, 도 2)를 인식한 정보를 수신받아 사용자의 단말기(30)에서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인증수단(33)을 출력할 수 있다.The
인증 모듈(301)은 글라스 카메라(15)가 획득한 영상에 사용자 인증 단말기(50)의 인증 화면(501)이 포함되는지 판단하는 인식 기능과, 인증 화면(501)을 글라스 카메라(15)가 인식한 경우, 사용자의 단말기(30)에서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인증수단(33)을 호출하여 디스플레이에 자동으로 출력시키는 호출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The
인증 모듈(301)은 인식 기능으로, 글라스 카메라(15)가 촬영하고 있는 영상 중, 사용자 인증 단말기(50)의 인증 화면(501)을 검출한다. 인증 화면(501)은 본 실시예로, QR코드 확인 및 인식을 위한 태깅 화면이 될 수 있다. 사용자 인증 단말기(50)는 단말기에 배치된 인증 단말기 카메라(53)를 통해 전방을 촬영하고 있으며, 인증 화면(501)에는 촬영되고 있는 전방의 모습이 송출되되, QR코드 인식 영역이 사각형으로 표현된다.The
인증 모듈(301)은 인식 기능으로 QR코드 인식 영역의 테두리 또는 음영을 인식하도록 코딩되어 웨어러블 글라스(10)가 소정의 시간 동안 사용자 인증 단말기(50)의 인증 화면(501)을 주시하는 경우, 호출 기능을 실행시킨다. 호출 기능은 인증 수단(33)으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정보가 담긴 QR코드를 로드하여 디스플레이에 자동으로 출력시킬 수 있다. 인증 모듈(301)의 호출 기능이 실행됨에 따라, 시각장애인인 사용자는 네이버 또는 카카오 등의 플랫폼에 접속하여 QR코드를 호출하는 웹 클릭 작업의 수행이 요구되지 않는다.The
제어 모듈(303)은 인증 모듈이 출력한 사용자의 단말기(30)에 표시된 인증수단(33)이 사용자 인증 단말기(50)에 인식되도록 위치 안내의 음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 모듈(303)은 글라스 카메라(15) 및 인증 모듈(301)과 정보가 교환되며, 제어 모듈(3030)의 최종 출력 정보는 스피커(19)로 전송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30)의 단말기 카메라(31)와 사용자 단말기(30)의 데이터베이스에 접근 권한이 허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로, 제어 모듈(303)은 사용자 단말기(30)의 저장 공간인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글라스 카메라(15)의 촬영 정보를 소정의 기간동안 저장시킬 수 있다. The
제어 모듈(303)은 인증 모듈(301)이 사용자의 단말기(30)에 인증수단(33)을 출력시킨 경우, 사용자의 단말기(30)에 내장된 단말기 카메라(31)의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단말기(30)와 사용자 인증 단말기(50)의 거리 관계를 위치 안내의 음성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When the
제어 모듈(303)은 인증 모듈(301)의 호출 기능이 실행된 경우, 사용자 단말기(30)의 단말기 카메라(31)를 제어한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기(30)는 단말기 카메라(31)를 통해 전면의 영상이 촬영되며, 사용자 단말기(30)가 사용자 인증 단말기(50)로부터 얼마나 이격되거나 어긋나있는지 영상 정보를 출력하게 된다. 제어 모듈(303)은 단말기 카메라(31)의 영상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의 단말기(30)와 사용자 인증 단말기(50)의 거리 관계를 위치 안내의 음성 정보로 생성하며, 생성되는 음성 정보의 예시로는 “QR코드와 거리가 멀어요”, “가까이 오세요” 등의 형태로 거리 관계를 안내할 수 있다.The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representative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fined, and should be defined by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as well as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1: 시각장애인을 위한 본인인증 웨어러블 디바이스
10: 웨어러블 글라스
11: 전면테
13: 측면테
15: 글라스 카메라
171, 173: 거리 센서
19: 스피커
30: 사용자 단말기
301: 인증 모듈
303: 제어 모듈
31: 단말기 카메라
33: 식별 수단
50: 사용자 인증 단말기
53: 인증 단말기 카메라
501: 인증 화면 1: Personal authentication wearable device for the visually impaired
10: wearable glasses
11: front frame
13: side frame
15: Glass Camera
171, 173: distance sensor
19: speaker
30: user terminal
301: authentication module
303: control module
31: terminal camera
33 identification means
50: user authentication terminal
53: authentication terminal camera
501: authentication screen
Claims (6)
상기 전면테의 앞면에 마련되어 전방의 영상을 획득하는 글라스 카메라와, 상기 측면테에 장착되어 상기 글라스 카메라가 획득한 영상 정보에 따라 사용자 인증을 안내하는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가 마련된 웨어러블 글라스;
상기 글라스 카메라가 사용자 인증 단말기를 인식한 정보를 수신받아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인증수단을 출력시키는 인증 모듈; 및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표시된 상기 인증수단이 상기 사용자 인증 단말기에 인식되도록 위치 안내의 음성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웨어러블 글라스는, 상기 전면테 또는 상기 측면테에 배치되는 장애물 인식을 위한 거리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는, 소리의 진동을 뼈를 통해 전달하는 골전도 이어폰으로 제공되고, 사용자의 관자놀이 영역으로 위치되는 상기 측면테의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인증 모듈은, 상기 글라스 카메라가 획득한 영상에 상기 사용자 인증 단말기의 인증 화면이 포함되는지 판단하는 인식 기능과, 상기 인증 화면을 상기 글라스 카메라가 인식한 경우,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증을 위한 상기 인증수단을 호출하여 디스플레이에 자동으로 출력시키는 호출 기능을 실행시키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인증 모듈이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상기 인증수단을 출력시킨 경우,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내장된 단말기 카메라의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 인증 단말기의 거리 관계를 위치 안내의 음성 정보로 생성하고,
상기 인증 모듈이 출력하는 상기 인증수단은 QR코드이며,
상기 사용자 인증 단말기는 인증 단말기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인증 단말기 카메라는 상기 사용자 인증 단말기의 전방 모습을 촬영하여 상기 인증 화면에 출력하며,
상기 인증 화면은 상기 전방 모습과 중첩되어 출력되는 사각형의 QR코드 인식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QR코드 인식 영역의 테두리에는 각각 "『" 및 "』" 형상의 꺽쇠 기호가 위치하여, 상기 인증 모듈에 의해 상기 QR코드 인식 영역의 테두리가 인식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인증 모듈에 의해 상기 QR코드가 자동으로 출력된 이후에,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의 단말기 카메라를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의 단말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정보를 토대로 상기 음성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본인인증 웨어러블 디바이스.Consisting of a pair of lenses, a front frame to which the lenses are fixed, and a pair of side frames extending on both sides of the front frame,
wearable glasses provided with a glass camera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front frame to acquire a forward image, and a speaker mounted on the side frame to output a sound for guiding user authentication according to imag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glass camera;
an authentication module for outputting an authentication means for user authentication in a user terminal by receiving information by which the glass camera recognizes a user authentication terminal; and
A control module for generating voice information of location guidance so that the authentication means displayed on the user's terminal is recognized by the user authentication terminal;
The wearable glasses further include a distance sensor for recognizing an obstacle disposed on the front frame or the side frame,
The speaker is provided as a bone conduction earphone that transmits sound vibration through bones and is provided inside the side frame positioned in the user's temple region,
The authentication module includes a recognition function for determining whether the image acquired by the glass camera includes an authentication screen of the user authentication terminal, and when the glass camera recognizes the authentication screen, for user authentication in the user's terminal. Execute a call function that calls the authentication means and automatically outputs it to the display,
When the authentication module outputs the authentication means to the user's terminal, the control module receives image information of a terminal camera built in the user's terminal, and the distanc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r's terminal and the user authentication terminal. is generated as voice information of location guidance,
The authentication means output by the authentication module is a QR code,
The user authentication terminal includes an authentication terminal camera, and the authentication terminal camera captures a front view of the user authentication terminal and displays the image on the authentication screen;
The authentication screen includes a rectangular QR code recognition area that is output overlapping with the front view, and bracket symbols in the shape of "" and "" are located at the edges of the QR code recognition area, respectively, so that the authentication module configured so that the border of the QR code recognition area is recognized by
After the QR code is automatically output by the authentication module, the control module controls the terminal camera of the user's terminal to generate the audio information based on image information captured by the terminal camera of the user's terminal. Identity authentication wearable device for the visually impaired, characterized in that to d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6429A KR102525485B1 (en) | 2020-12-02 | 2020-12-02 | Self-authentication wearable device for the visually impaire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6429A KR102525485B1 (en) | 2020-12-02 | 2020-12-02 | Self-authentication wearable device for the visually impaire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77462A KR20220077462A (en) | 2022-06-09 |
KR102525485B1 true KR102525485B1 (en) | 2023-04-25 |
Family
ID=81986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66429A KR102525485B1 (en) | 2020-12-02 | 2020-12-02 | Self-authentication wearable device for the visually impaire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25485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40160250A1 (en) * | 2012-12-06 | 2014-06-12 | Sandisk Technologies Inc. | Head mountable camera system |
US20190159700A1 (en) | 2014-09-05 | 2019-05-30 | Vision Service Plan |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using a wearable device to confirm the identity of an individual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85603A (en) * | 2014-01-16 | 2015-07-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Glass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KR101554417B1 (en) * | 2014-03-07 | 2015-09-21 |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 Public toilet information system for announce blind |
KR101741918B1 (en) | 2015-10-28 | 2017-06-01 | 브이피 주식회사 |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using wearable device |
CN108293187B (en) * | 2016-02-10 | 2022-06-07 | 智管家(天津)科技有限公司 | Method and system for registering user by using wearable device |
-
2020
- 2020-12-02 KR KR1020200166429A patent/KR102525485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40160250A1 (en) * | 2012-12-06 | 2014-06-12 | Sandisk Technologies Inc. | Head mountable camera system |
US20190159700A1 (en) | 2014-09-05 | 2019-05-30 | Vision Service Plan |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using a wearable device to confirm the identity of an individua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77462A (en) | 2022-06-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639781C (en) | Camera device and information prompt method | |
KR20090105531A (en) | The method and divice which tell the recognized document image by camera sensor | |
KR102242681B1 (en) | Smart wearable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recognizing 3 dimensional face and space information using this | |
KR20160001178A (en) | Glass typ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661555B1 (en) | Method and program for restricting photography of built-in camera of wearable glass device | |
KR20090036183A (en) | The method and divice which tell the recognized document image by camera sensor | |
KR20190069919A (en) | Walking assistive device and system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 |
KR101684264B1 (en) | Method and program for the alarm of bus arriving by wearable glass device | |
CN104535059A (en) | Indoor positioning system specific to totally blind population | |
JP6120444B2 (en) | Wearable device | |
KR20190111262A (en) | Portable device for measuring distance from obstacle for blind person | |
KR20190048593A (en) | Method and System for Smart Mirror-based Privacy Healthcare Information Protection using cameras and microphones | |
Sun et al. | “Watch your step”: precise obstacle detection and navigation for Mobile users through their Mobile service | |
KR102525485B1 (en) | Self-authentication wearable device for the visually impaired | |
KR20160015142A (en) | Method and program for emergency reporting by wearable glass device | |
JP2020154569A (en) | Display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system | |
KR20200059628A (en) | Skeleton image learning based old people behavior pattern monitoring method | |
CN111611812B (en) | Translation to Braille | |
JP2023531849A (en) | AUGMENTED REALITY DEVICE FOR AUDIO RECOGNITION AND ITS CONTROL METHOD | |
JP6431346B2 (en) | Face recognition device | |
JP6321848B2 (en) | Wearable device | |
JP2023032869A (en) | Stray child protection system | |
EP3882894B1 (en) | Seeing aid for a visually impaired individual | |
KR102294978B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protecting against danger and monitoring groups | |
US11763560B1 (en) | Head-mounted device with feedbac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