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5186B1 - 비디오월에서 캡션 동기화 방법 및 멀티디스플레이간 캡션동기화를 제공하는 비디오월시스템 - Google Patents

비디오월에서 캡션 동기화 방법 및 멀티디스플레이간 캡션동기화를 제공하는 비디오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5186B1
KR102525186B1 KR1020180120613A KR20180120613A KR102525186B1 KR 102525186 B1 KR102525186 B1 KR 102525186B1 KR 1020180120613 A KR1020180120613 A KR 1020180120613A KR 20180120613 A KR20180120613 A KR 20180120613A KR 102525186 B1 KR102525186 B1 KR 102525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video wall
server
captions
ca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0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0551A (ko
Inventor
김윤진
장재준
Original Assignee
한화비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비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비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0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5186B1/ko
Publication of KR20200040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0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5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5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5Synchronising client clock from received content stream, e.g. locking decoder clock with encoder clock, extraction of the PCR pack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15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involving a public display, viewable by several users in a public space outside their home, e.g. movie theatre, information kios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비디오월에서 캡션 동기화 방법은 서버에서 시간정보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시간마다 적어도 하나의 영상출력장치에 커맨드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출력장치 각각에서 수신한 커맨드를 기초로 비디오월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중 지정받은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캡션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에서 측정하는 시간정보는 상기 비디오월에 캡션이 표시되기 시작해서 표시가 종료되는 시간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디오월에서 캡션 동기화 방법 및 멀티디스플레이간 캡션동기화를 제공하는 비디오월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synchronizing captions on the video wall}
본 발명은 비디오월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히 비디오월에 표시되는 캡션의 동기화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예를 들어 4 개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비디오월의 형태로 텍스트 또는 그래픽을 출력하는 경우, 4개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정보가 순차적으로 재생되지 못하거나 또는 텍스트 또는 그래픽 간에 동기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사용자가 보기에 부자연스로운 정보가 출력되는 문제가 있었다.
KR 10-2018-0023402 A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멀티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비디오월을 오랜 시간 운영하는 과정에서 PC에 부하가 생기거나 또는 멀티 디스플레이의 해상도 차이등으로 오차가 누적되면서 비디오월에 표시되는 캡션의 출력이 불일치되거나 순서에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단일 기기에서 멀티 디스플레이 각각에 캡션을 표시할 정확한 시간정보를 제공하여, 멀티 디스플레이 각각에서 표시하는 캡션의 순서, 캡션 간에 동기화를 수행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비디오월에서 캡션 동기화 방법은 서버에서 시간정보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시간마다 적어도 하나의 영상출력장치에 커맨드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출력장치 각각에서 수신한 커맨드를 기초로 비디오월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중 지정받은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캡션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에서 측정하는 시간정보는 상기 비디오월에 캡션이 표시되기 시작해서 표시가 종료되는 시간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캡션은 디스플레이에서 이동하며, 상기 캡션의 이동속도는 상기 지정받은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캡션이 이동하는 방향의 해상도를 상기 측정된 시간정보로 나눈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서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출력장치는 네트워크 통신의 딜레이 편차를 최소화 하도록 병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서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출력장치 각각은 네트워크 통신이 병렬로 연결되며,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출력장치 각각에 커맨드를 전송하는 전송시간에 딜레이 편차가 발생하는 경우, 딜레이가 발생한 영상출력장치 각각에 오프셋을 적용하여 상기 딜레이 편차를 최소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커맨드는 상디 비디오월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캡션이 출력되는 순서에 따라 영상출력장치와 상기 비디오월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간의 조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멀티디스플레이간 캡션동기화를 제공하는 비디오월시스템은 기설정된 시간 t마다 적어도 하나의 영상출력장치 각각에 커맨드를 전송하는 서버; 상기 서버로부터 커맨드를 수신할때마다 수신한 커맨드 내에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캡션을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출력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출력장치에서 전송한 캡션을 수신하여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로 구성된 비디오월;을 포함하고, 상기 비디오월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각각에 표시되는 캡션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각각에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멀티디스플레이간 캡션동기화를 제공하는 비디오월시스템은 서버에서 측정한 시간을 기준으로 비디오월을 구성하는 멀티디스플레이에 캡션을 제공함으로써, 서로 다른 물리적 디스플레이로 구현된 비디오월에 표시되는 캡션간에 발생하는 지연오차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멀티디스플레이간 캡션동기화를 제공하는 비디오월시스템은 비디오월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각각의 해상도를 고려하여, 각각의 디스플레이에서 캡션이 이동하는 이동속도를 설정함으로써, 캡션의 이동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일치, 비동기 등을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멀티디스플레이간 캡션동기화를 제공하는 비디오월시스템(100)을 도시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비디오월에서 캡션이 동기화를 이루며 이동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서버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와 네트워크 통신에서 발생하는 지연을 오프셋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비디오월시스템에서 멀티디스플레이에서 캡션 동기화를 수행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멀티디스플레이간 캡션동기화를 제공하는 비디오월시스템(100)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멀티디스플레이간 캡션동기화를 제공하는 비디오월시스템(100)은 비디오월(130)을 구성하는 멀티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캡션들이 동기화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멀티디스플레이간 캡션동기화를 제공하는 비디오월시스템(100)은 서버(200),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120)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로 구성된 비디오월(130)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120)는 휴대폰, 스마트폰, 핸드헬드장치, 웨어러블 장치, 테블릿, 노트북, PC, 컴퓨터, 스마트 와치, 스마트 TV, 그 외 영상출력기능이 구비된 단말기 등을 포함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120)는 서버(200)와 유무선으로 통신이 가능하며,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업데이트, 제어 등을 구현할 수 있다.
비디오월(13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되며, 전체 멀티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안에서 텍스트 또는 그래픽를 거대한 전광판과 유사하게 표시할 수 있다. 비디오월(130) 내의 텍스트 또는 그래픽은 고정되어 있거나 또는 이동이 가능하다. 비디오월(130)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120)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120)와 비디오월(130)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간의 오차 지연은 거의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 에서 비디오월(130)은 16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되었다. 비디오월(130)은 16개의 디스플레이를 하나의 디스플레이처럼 이용하여 텍스트나 그래픽을 투사하거나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서버(200)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120) 각각은 네트워크 통신의 딜레이 편차를 최소화 하도록 병렬로 연결되어 유무선 통신(140)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서버(200)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120) 각각은 병렬로 연결되어 서버와 각 단말기(120) 간에 네트워크 송수신에서 발생할 수 있는 딜레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120) 각각의 송수신 딜레이 차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오프셋 보완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 을 참고하면, 서버(310)는 제 1 영상촬영장치(S301)에 신호를 송신하고, 제 1 영상촬영장치(S301)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서버(310)와 제 1 영상촬영장치(S301)와의 송신 또는 수신시간이 t1, 마찬가지 방법으로 서버(310)와 제 2 영상촬영장치(S302)와의 송신 또는 수신시간이 t2, 서버(310)와 제 3 영상촬영장치(S303)와의 송신 또는 수신시간이 t3, 그리고 서버(310)와 제 n 영상촬영장치(S304)와의 송신 또는 수신시간이 tn으로 측정할 수 있다.
서버(310)는 n 개의 영상촬영장치 각각의 송수신 시간 t1, t2, t3,...,tn을 측정한 후(S305), n 개의 영상촬영장치 각각에 송신하는 시간의 편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오프셋값을 적용하여 추가로 보완을 수행하여 네트워크 통신으로 인한 딜레이 편차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서버(310)에서 제 1 영상촬영장치(S301), 제 2 영상촬영장치(S302),제 3 영상촬영장치(S303) 그리고 제 n 영상촬영장치(S304) 각각에 8초 단위로 커맨드를 새롭게 전송하고자 할 때, 제 1 영상촬영장치(S301)로의 송신시간이 8.1초, 제 2 영상촬영장치(S302)로의 송신이 7.9초, 제 3 영상촬영장치(S303)로의 송신시간이 8.03초 그리고 제 n 영상촬영장치(S304)로의 송신이 7.98초인 경우, 커맨드를 송신할 때마다 제 1 영상촬영장치(S301)로 송신시 -0.1초의 오프셋, 제 2 영상촬영장치(S302)로 송신시 +0.1초의 오프셋, 제 3 영상촬영장치(S303)로 송신시 -0.03초의 오프셋, 그리고 제 n 영상촬영장치(S304)로 송신시 +0.02초의 오프셋 보완을 수행할 수 있다(S310, S311).
도 1 로 돌아와서, 서버(200)는 비디오월(130)을 구성하는 각각의 디스플레이 내의 캡션(161, 163)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기 시작하는 시간(tstart)부터 표시가 종료되는 시간(tend)의 간격을 측정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1 에서 6번 디스플레이에 "GHIJKLMNO"(161)이 표시되기 시작하여 이동하여 사라지는 시점까지의 시간이 8초인 경우 서버(200)는 쓰레드(Thread)에서 Multimedia Timer, TickCount를 이용하거나 혹은 외부장치 타이머 등을 이용하여 8초의 시간을 측정한다.
서버(200)는 측정된 시간을 기준으로 일정시간 단위로, 예를 들어 8초,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120) 각각에 커맨드를 전송한다. 서버(200)는 텍스트 또는 그래픽이 비디오월(130)에 표시되는 순서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120)와 비디오월(130)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조합한 정보를 커맨드에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네트워크 딜레이 편차를 최소화 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120) 각각에 커맨드를 송신할 때 오프셋 보상을 수행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영상출력장치(120) 각각은 수신한 커맨드를 기초로 비디오월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중 지정받은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캡션을 표시한다. 도 1 에서 비디오월(130)은 "가나다라마바사아자차카타파하ABCDEFGHIJKLMNOPQRSTUVWXYZ1234567891011121314"(160)라는 텍스트를 표시하며, 텍스트(160)가 동, 서, 남, 북 방향 등으로 이동하도록 설정이 가능하다. 이동 방향은 다양하게 변형이나 설정이 가능하며 일방향, 다방향(multi-direction) 이동 등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이 경우, "가나다라마바사아자차카타파하ABCDEFGHIJKLMNOPQRSTUVWXYZ1234567891011121314"(160)라는 텍스트는 복수 개의 캡션으로 분할되어 각각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시간에 6번 디스플레이는 "GHIJKLMNO"(161), 그리고 제 1 시간에 7번 디스플레이는 "PQRSTUVWX"(163) 캡션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캡션이 좌측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6번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GHIJKLMNO"(161)캡션 중 "G"(161a)부터 5번 디스플레이 방향으로 이동하며, 마찬가지로 7번 디스플레이에 표시된"PQRSTUVWX"(163) 캡션 중 "P"(163a)부터 6번 디스플레이 방향으로 이동하여, 비디오월(130)에서 "가나다라마바사아자차카타파하ABCDEFGHIJKLMNOPQRSTUVWXYZ1234567891011121314"(160)라는 텍스트의 내용이 동기화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비디오월(130)에서 비디오월(130)에서 "가나다라마바사아자차카타파하ABCDEFGHIJKLMNOPQRSTUVWXYZ1234567891011121314"(160)라는 텍스트의 내용이 비디오월(130)을 구성하는 16개의 모니터의 16번 모니터를 시작으로 15번 모니터,14번 모니터, 13번 모니터,..., 1번 모니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비디오월(130)을 구성하는 16개의 모니터 각각은 서버(200)에서 커맨드를 송신할 때마다 적어도 하나의 영상촬영장치(120) 각각으로부터 표시해야하는 캡션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한다.
이 경우, 각각의 모니터마다 표시되는 캡션의 이동속도를 동기화하기 위하여 서버(200)는 커맨드 내에 이동속도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이동방향이 가로인 경우, 이동 속도는 "화면 가로 해상도 / 측정시간"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8초 단위로 서버(200)에서 적어도 하나의 영상촬영장치(120)로 커맨드를 전송하는 경우, 각 디스플레이에서 캡션의 이동속도는 "화면 가로 해상도/ 8초(8000ms)"일 수 있다. 서버(200)에서 커맨드를 전송하는 시간이 변경되는 경우, 실시간으로 변경된 측정시간 정보를 반영하여 이동속도를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서버(200)는 커맨드를 비디오월(130)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에서 텍스트가 모두 이동하는 시간 단위를 측정시간 정보로 파악하여, 텍스트가 16번 모니터에서 1번 모니터까지 모두 이동이 완료될 때마다 적어도 하나의 영상촬영장치(120)로 커맨드를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서버(200)는 커맨드를 비디오월(130)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 내의 캡션이 모두 이동하는 시간 단위를 측정시간 정보로 파악할 수 있다. 일 예로, 6번 디스플레이에서 캡션 "GHIJKLMNO"(161) 중 "G"(161a)가 제일 처음 나타나기 시작하여, "O"가 사라지면서 "P"(163a)가 나타나기 전까지의 시간을 측정시간으로 설정하여, 해당 시간 단위로 커맨드를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4개의 디스플레이로 구성된 비디오월 내에서 텍스트(200)가 가로로 이동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비디오월의 디스플레이가 1~4번 모니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4개의 모니터는 각각 별도의 복수의 영상출력장치로부터 화면출력을 한다.
Tm 시간에 제 1 디스플레이(220a)에는 "ABCDEF" 캡션이, 제 2 디스플레이(222a)에는 "GHIJKLMNO" 캡션이, 제 3 디스플레이(224a)에는 "PQRSTUVWX" 캡션이, 그리고 제 4 디스플레이(226a)에는 "YZ" 캡션이 각각 표시되어 있다.
도 2 에 도시된 Tm 시간의 텍스트(200)는 가로로 이동하여 Tn 시간에 Tm 시간과 상이한 위치(210)에 배치된다.
제 1 디스플레이(220a), 제 2 디스플레이(222a), 제 3 디스플레이(224a) 그리고 제 4 디스플레이(226a)는 각각 분리되어 있으나, 제 1 디스플레이(220a), 제 2 디스플레이(222a), 제 3 디스플레이(224a) 그리고 제 4 디스플레이(226a)에서 각각 표시하는 캡션을 조합하면 Tm시간에 "ABCDEFGHIJKLMNOPQRSTUVWXYZ"(200)라는 텍스트의 순서를 유지한다.
시간이 경과되어 텍스트(200)가 가로방향을 기준으로 좌에서 우측으로 이동한 경우, 제 1 디스플레이(220b)에는 "A"(211)가 디스플레이의 최단 좌측에 위치하며, Tm 시간에 제 2 디스플레이(220b)의 좌측단에 위치했던 "G"(203)가 Tn시간에 제 1 디스플레이(220b)로 이동되어 표시(213)된다. 마찬가지로, Tm 시간의 "P"(205) 와 "Y"(207)의 경우도 Tn 시간에 "P"(215), 그리고 "Y"(217)의 위치로 이동한다. 제 1 디스플레이(220b), 제 2 디스플레이(222b), 제 3 디스플레이(224b) 그리고 제 4 디스플레이(226b) 각각에 표시되는 캡션의 내용은 제 1 디스플레이(220a), 제 2 디스플레이(222a), 제 3 디스플레이(224a) 그리고 제 4 디스플레이(226a)에 표시된 캡션의 내용과 상이하나, 제 1 디스플레이(220b), 제 2 디스플레이(222b), 제 3 디스플레이(224b) 그리고 제 4 디스플레이(226b) 각각에 표시되는 캡션의 모두 조합하면 "ABCDEFGHIJKLMNOPQRSTUVWXYZ"(210)가 되어 Tm시간에의 텍스트(200)와 동일한 내용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서버에서 커맨드를 보낼 때마다 텍스트(200)를 비디오월에 표시함으로써, 텍스트(200)가 장시간 또한 무한 반복의 형태로 비디오월에 표시되는 경우에도 누적된 오차 지연시간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영상촬영장치와 비디오월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의 조합이 변경되는 경우에도 영상촬영장치는 서버에서 정확하게 측정된 측정시간에 기초하여 조합이 변경된 디스플레이에 캡션을 디스플레이 하게 되므로, 캡션들의 표시 위치가 벌어지는 등의 오차 지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 1 영상촬영장치에서 제 1 디스플레이로 캡션을 표시하던 것을 제 1 영상촬영장치에서 제 3 디스플레이로 캡션을 표시하는 경우에도 누적 오차 등으로 인한 캡션의 비동기 등이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비디오월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각각의 해상도에 따라 이동속도를 변경함으로써 디스플레이의 해상도에 따라 이동거리가 불일치가 발생하던 문제도 해결하는 이점이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서버(310)와 복수의 영상촬영장치(320) 각각과의 네트워크 딜레이를 오프셋하고, 서버(310)에서 시간을 측정하여 커맨드를 8초 단위(S310, S311),(S320, S321),(S330, S331)로 제 1 내지 n 영상촬영장치로 새롭게 전송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제 1 영상촬영장치는 비디오월(330)을 구성하는 제 1 내지 제 4 디스플레이로 캡션을 제공하고, 제 2 영상촬영장치는 비디오월(330)을 구성하는 제 5 내지 제 8 디스플레이로 캡션을 제공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비디오월에서 캡션 동기화를 수행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서버는 비디오월에서 텍스트가 출력될 영상출력 순서에 따라 단말기 각각과 비디오월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의 번호를 조합한다(S410). 도 1 의 일 예를 참고하면, 제 1 단말기는 1,3, 5 및 7 번 디스플레이에 캡션을 제공하도록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서버에서 변경에 따라 제 1 단말기가 2,3,5 및 7 번 디스플레이에 캡션을 제공하도록 조합이 변경될 수 있다.
서버는 Thread에서 Multimedia Timer, TickCount 혹은 외부장치 타이머를 이용하여 시간정보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시간마다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에 커맨드를 전송한다(S420). 그 후 단말기 각각에서 커맨드를 수신한 후 커맨드에 포함된 디스플레이의 번호에 기초로 해당 디스플레이에 캡션을 표시한다(S430). 이 경우 디스플레이의 해상도에 따라 캡션의 이동속도를 설정할 수 있다(S430). 예를 들어 캡션이 가로로 이동하는 경우 가로 방향의 해상도를 서버에서 측정된 시간정보로 나눈 값으로 캡션의 이동속도를 설정할 수 있다. 캡션이 세로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의 세로방향의 해상도를 서버에서 측정된 시간정보로 나눈 값으로 캡션의 이동속도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서버에서 Multimedia Timer, TickCount 혹은 외부장치 타이머를 이용하여 시간정보를 측정하는 것을 각각의 단말기에 정확한 타이머를 탑재하여 개별적으로 시간정보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방법으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다수의 단말기 각각에서 시간정보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구비해야 하는 타이머의 개수가 늘어나무로 비용이 늘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서버에서 시간정보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시간마다 적어도 하나의 영상출력장치에 커맨드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출력장치 각각에서 수신한 커맨드를 기초로 비디오월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중 지정받은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캡션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에서 측정하는 시간정보는 상기 비디오월에 캡션이 표시되기 시작해서 표시가 종료되는 시간정보이며, 상기 비디오월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각각에 표시되는 캡션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각각에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월에서 캡션 동기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션의 이동속도는 상기 지정받은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캡션이 이동하는 방향의 해상도를 상기 측정된 시간정보로 나눈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월에서 캡션 동기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출력장치는 네트워크 통신의 딜레이 편차를 최소화 하도록 병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월에서 캡션 동기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출력장치 각각은 네트워크 통신이 병렬로 연결되며,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출력장치 각각에 커맨드를 전송하는 전송시간에 딜레이 편차가 발생하는 경우, 딜레이가 발생한 영상출력장치 각각에 오프셋을 적용하여 상기 딜레이 편차를 최소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월에서 캡션 동기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맨드는
    상디 비디오월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캡션이 출력되는 순서에 따라 영상출력장치와 상기 비디오월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간의 조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월에서 캡션 동기화 방법.
  6. 기설정된 시간 t마다 적어도 하나의 영상출력장치 각각에 커맨드를 전송하는 서버;
    상기 서버로부터 커맨드를 수신할때마다 수신한 커맨드 내에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캡션을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출력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출력장치에서 전송한 캡션을 수신하여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로 구성된 비디오월;을 포함하고, 상기 비디오월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각각에 표시되는 캡션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각각에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디스플레이간 캡션동기화를 제공하는 비디오월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비디오월에 표시하고자 하는 텍스트를 상기 커맨드를 통해 전송하고, 상기 비디오월은 상기 텍스트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캡션으로 분할하여 캡션 각각을 상기 비디오월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각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디스플레이간 캡션동기화를 제공하는 비디오월시스템.
KR1020180120613A 2018-10-10 2018-10-10 비디오월에서 캡션 동기화 방법 및 멀티디스플레이간 캡션동기화를 제공하는 비디오월시스템 KR102525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613A KR102525186B1 (ko) 2018-10-10 2018-10-10 비디오월에서 캡션 동기화 방법 및 멀티디스플레이간 캡션동기화를 제공하는 비디오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613A KR102525186B1 (ko) 2018-10-10 2018-10-10 비디오월에서 캡션 동기화 방법 및 멀티디스플레이간 캡션동기화를 제공하는 비디오월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0551A KR20200040551A (ko) 2020-04-20
KR102525186B1 true KR102525186B1 (ko) 2023-04-24

Family

ID=70467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0613A KR102525186B1 (ko) 2018-10-10 2018-10-10 비디오월에서 캡션 동기화 방법 및 멀티디스플레이간 캡션동기화를 제공하는 비디오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51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7031B1 (ko) * 2022-04-29 2023-01-10 (주)하이브시스템 이벤트 관리가 가능한 영상 전송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2879B1 (ko) * 2014-09-30 2016-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위한 미디어 처리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2709B1 (ko) * 2002-12-27 2005-07-22 주식회사 아이큐브 캡션 텍스트와 영상 화면을 동기화 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100782835B1 (ko) * 2005-01-29 2007-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캡션 정보의 출력시점 및 출력 우선순위를 조절하는 방법및 그 장치
US8760498B2 (en) * 2011-03-14 2014-06-24 Sony Corporation Disparity data transport in standard caption service
KR102229927B1 (ko) * 2014-08-01 2021-03-2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멀티스크린 시스템, 영상분할서버 및 그 영상분할방법, 분할영상단말기 및 멀티스크린 제어방법
KR102353274B1 (ko) * 2015-08-31 2022-01-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비디오 월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23402A (ko) 2016-08-25 2018-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디오월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과, 디스플레이장치
KR20180066702A (ko) * 2016-12-09 2018-06-19 주식회사 비주얼리액터 실시간 병렬 렌더링 기반의 인터랙티브 고품질 영상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2879B1 (ko) * 2014-09-30 2016-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위한 미디어 처리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0551A (ko) 2020-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216671B (zh) 一种在多套拼接显示屏上实现同步协同显示的方法
KR102229927B1 (ko) 멀티스크린 시스템, 영상분할서버 및 그 영상분할방법, 분할영상단말기 및 멀티스크린 제어방법
CN104731539B (zh) 一种多屏联合显示的方法及装置
TWI505698B (zh) 多視角畫面之同步顯示系統以及多視角畫面之同步顯示方法
CN103856770A (zh) 用于3d显示装置的同步的方法和设备
CN103369411A (zh) 动态产生缩放影片的多屏影片播放系统和相关装置
JPWO2006025093A1 (ja) 画面同期制御装置
WO2023279793A1 (zh) 视频的播放方法及装置
EP357496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525186B1 (ko) 비디오월에서 캡션 동기화 방법 및 멀티디스플레이간 캡션동기화를 제공하는 비디오월시스템
CN106354462A (zh) 一种文档在多个设备中同步显示的方法、设备及系统
US9454284B2 (en) Web server for supporting collaborative animation production service and method thereof
CN105208245A (zh) 基于视频内容的多路视频同步方法及装置
KR20100108885A (ko) 컴퓨터와 핸드폰 간 영상통화에서의 마우스 지시 포인터를 이용한 원격 애프터서비스 방법
CN105338261B (zh) 一种传输图片相关信息的方法及装置
JP2015060021A (ja) 表示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3099212A (zh) 3d显示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KR20160082368A (ko) 네트워크 기반 멀티 디스플레이에서 콘텐츠 간 동기화 방법 및 시스템
TWI520577B (zh) 立體影像輸出裝置與相關的立體影像輸出方法
De Almeida et al. Integration of Fogo Player and SAGE (Scalable Adaptive Graphics Environment) for 8K UHD Video Exhibition
CN105389217B (zh) 一种基于安卓系统的同步执行事务方法
CN109196860B (zh) 一种多视角图像的控制方法及相关装置
CN111385504A (zh) 一种拼接电视及控制方法
CN112783458B (zh) 同步显示方法、系统、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CN103577133A (zh) 超高清信息显示系统及其显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