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4396B1 - 호환가능한 외부기를 이용하는 인공와우 시스템 - Google Patents

호환가능한 외부기를 이용하는 인공와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4396B1
KR102524396B1 KR1020210057331A KR20210057331A KR102524396B1 KR 102524396 B1 KR102524396 B1 KR 102524396B1 KR 1020210057331 A KR1020210057331 A KR 1020210057331A KR 20210057331 A KR20210057331 A KR 20210057331A KR 102524396 B1 KR102524396 B1 KR 102524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internal
external device
unit
external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7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0078A (ko
Inventor
민규식
이호승
임정우
김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닥
Priority to KR1020210057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4396B1/ko
Priority to EP22799081.9A priority patent/EP4335487A1/en
Priority to CN202280030223.5A priority patent/CN117202965A/zh
Priority to PCT/KR2022/006266 priority patent/WO2022235038A1/ko
Priority to AU2022271094A priority patent/AU2022271094A1/en
Publication of KR20220150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0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4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4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the outer, middle or inner ear
    • A61N1/36038Cochlear stim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 A61N1/0526Head electrodes
    • A61N1/0541Cochlear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5Implantable neurostimulators for stimulating central or peripheral nerve system
    • A61N1/36128Control systems
    • A61N1/36135Control systems using physiological para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5Implantable neurostimulators for stimulating central or peripheral nerve system
    • A61N1/36128Control systems
    • A61N1/36142Control systems for improving safe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5Implantable neurostimulators for stimulating central or peripheral nerve system
    • A61N1/36128Control systems
    • A61N1/36146Control systems specified by the stimulation para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72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the implantation of stimulators
    • A61N1/37211Means for communicating with stimulators
    • A61N1/37235Aspects of the external programm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72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the implantation of stimulators
    • A61N1/37211Means for communicating with stimulators
    • A61N1/37252Details of algorithms or data aspects of communication system, e.g. handshaking, transmitting specific data or segmenting data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tolaryng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Prosthes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외부기가 각 내부기 별로 사용자의 달팽이관에 이식된 내부기의 전기자극신호에 따라 생체 반응을 측정한 매핑데이터를 저장하여 다른 내부기와도 호환될 수 있는 호환가능한 외부기를 이용하는 인공와우 시스템은 외부기; 및 타겟 내부기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기는 사용자의 달팽이관에 이식된 내부기의 전기자극신호에 따라 생체 반응을 측정한 매핑데이터를 각 내부기 별로 저장하고 있고, 타겟 내부기와 호환가능여부를 판단하여 복수개의 매핑데이터 중 타겟 내부기의 매핑데이터에 따라 소리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타겟 내부기는 상기 외부기가 호환가능하면 상기 외부기로부터 전기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신호를 전기자극신호로 변환하고 와우의 청신경을 전기자극신호로 자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호환가능한 외부기를 이용하는 인공와우 시스템{Cochlear implant system using a compatible external device}
본 발명은 인공와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공 와우는 와우의 질환으로 난청이 발생한 환자가 보청기를 통해서 청력개선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달팽이관에 이식하여 외부의 소리를 자극신호로 변환하고 자극신호를 통해 달팽이관을 자극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인공와우는 한국등록특허 제10-1488480호(2015.01.26) 및 한국 등록특허 제 10-1485704호(2015.01.16)와 같이, 외부에 착용되는 외부기와 신체 내부에 이식되는 내부기로 이루어져있다. 외부기는 외부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내부기는 외부기에서 변환된 전기신호를 전기자극신호로 변환하여 달팽이관을 자극하게 된다.
여기서 내부기는 사용자의 신체나 청각 상태 등에 따라 전기자극신호를 생성해야 한다. 따라서, 외부기는 내부기에 대한 사용자의 특성에 맞추어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좌측 외부기를 우측 외부기로 사용하거나, 타인의 외부기를 이용하는 경우, 외부기가 해당 내부기에 호환되지 않아 내부기가 적절한 전기자극신호를 생성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내부기에 호환되지 않는 외부기의 잘못된 사용으로 인해 과도한 전기자극신호가 발생하여 청력 상실이나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외부기가 각 내부기 별로 사용자의 달팽이관에 이식된 내부기의 전기자극신호에 따라 생체 반응을 측정한 매핑데이터를 저장하여 다른 내부기와도 호환될 수 있는 인공와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기가 내부기에 할당된 ID를 확인하여 호환가능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인공와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기가 내부기에 할당된 KEY를 내부기로 전송하여 내부기가 신뢰할 수 있는 외부기인지 확인할 수 있는 인공와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호환가능한 외부기를 이용하는 인공와우 시스템은 외부기; 및 타겟 내부기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기는 사용자의 달팽이관에 이식된 내부기의 전기자극신호에 따라 생체 반응을 측정한 매핑데이터를 각 내부기 별로 저장하고 있고, 타겟 내부기와 호환가능여부를 판단하여 복수개의 매핑데이터 중 타겟 내부기의 매핑데이터에 따라 소리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타겟 내부기는 상기 외부기가 호환가능하면 상기 외부기로부터 전기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신호를 전기자극신호로 변환하고 와우의 청신경을 전기자극신호로 자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외부기가 각 내부기 별로 사용자의 달팽이관에 이식된 내부기의 전기자극신호에 따라 생체 반응을 측정한 매핑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소리를 전기신호로 변환할 때 해당 내부기의 매핑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어 타인의 외부기로도 내부기를 동작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기의 좌우측 구별없이 외부기를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기가 내부기에 할당된 ID를 확인하여 호환가능여부를 판단할 수 있어 호환되지 않는 내부기에 대해 외부기가 전기신호를 생성하지 않아 잘못된 전기신호로 인한 청각상실이나 통증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기가 내부기에 할당된 KEY를 내부기로 전송하여 내부기가 신뢰할 수 있는 외부기인지 확인할 수 있어 타인의 해킹을 방지함으로써 보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환가능한 외부기를 이용하는 인공와우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외부기 및 내부기의 구성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겟 내부기에 할당된 ID를 이용하여 호환가능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겟 내부기(300)에 할당된 ID 및 KEY를 이용하여 호환가능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 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 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 항목, 제2 항목, 또는 제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 항목, 제2 항목, 및 제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 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환가능한 외부기를 이용하는 인공와우 시스템(이하 '인공와우 시스템'이라 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인공와우 시스템(100)은 와우의 손상이 발생한 환자의 청신경에 전기적 자극을 직접 제공하여 청각을 회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인공와우 시스템(100)은 외부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전기신호를 달팽이관을 자극할 수 있는 전기자극신호로 변환한다. 인공와우 시스템(100)은 변환된 전기자극신호로 달팽이관을 자극한다. 여기서, 인공와우 시스템(100)은 달팽이관에 포함된 와우의 청신경을 전기자극신호로 자극할 수 있다.
인공와우 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기(200) 및 타겟 내부기(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외부기(200)는 서로 다른 복수개의 내부기와 호환될 수 있다. 종래에는 양쪽 귀 모두 인공 와우를 시술한 사용자가 왼쪽 귀 측에 이식된 내부기(300)에 대해 오른쪽 귀 측에 착용되는 외부기(200)와 호환이 되지 않고, 그 반대의 경우에도 호환이 되지 않았다. 또한, 가족 구성원 모두가 인공 와우를 시술한 경우, 각자의 외부기(200)가 서로 바뀌면 각자의 내부기(300)와 호환이 되지 않았다.
또한, 사용자에게 이식된 내부기(300)와 호환이 되지 않는 외부기(200)를 착용하는 경우, 외부기(200)로부터 내부기(300)로 잘못된 신호가 입력되어 사용자에게 호환되지 않는 전기적 자극으로 인해 통증이 발생하거나, 청신경에 손상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외부기(200)는 사용자에게 이식된 내부기(300)와 호환할 수 있어 양 쪽 귀의 외부기(200)를 방향없이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족간에 이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외부기(200)는 호환되지 않는 외부기(200)로 인해 통증이 발생하거나, 청신경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외부기(200)는 내부기(300)의 전기자극신호에 따라 사용자 별 반응 정보를 나타내는 생체반응을 측정한 매핑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외부기(200)는 복수개의 내부기(300) 각각에 대해 측정된 복수개의 매핑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매핑데이터는 사용자의 신체에 내부기(300)를 이식한 후 귀의 청각반응 특성을 측정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적합하게 내부기(300)를 동작 시키기 위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실시예에서 청각반응 특성은 사용자 별로 와우에 존재하는 청신경의 손상 정도나 민감 정도 상태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사용자의 달팽이 관에 이식된 타겟 내부기(300)의 전기자극신호의 크기, 빈도 패턴에 따른 사용자 별 반응 정보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매핑데이터는 전기자극신호의 크기에 따른 사용자의 생체반응, 전기자극신호의 빈도에 따른 사용자의 생체반응, 및 전기자극신호의 패턴에 따른 사용자의 생체반응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외부기(200)가 복수개의 매핑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이유는, 사용자 별로 와우에 존재하는 청신경의 손상 정도나 민감 정도 등 상태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내부기(300)의 전기자극신호 또한, 내부기(300) 별로 다르게 입력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외부기(200)는 각 내부기(300)의 매핑데이터를 저장하고 있고, 타겟 내부기(300)에 대응되는 매핑데이터를 이용하여 내부기(300) 별로 호환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외부기(200)는 소리를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구체적으로, 외부기(200)는 외부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내부기(300)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내부기(300)는 외부기(200)의 전기신호에 따라 와우의 청신경을 자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기(200)는 타겟 내부기(300)와 호환가능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외부기(200)는 호환가능여부에 따라 복수개의 매핑데이터 중 타겟 내부기(300)의 매핑데이터에 따라 소리를 전기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기(200)는 복수개의 내부기 각각에 할당된 ID 값을 저장하고 있다. 이러한 실시예를 따르는 경우, 외부기(200)는 매핑데이터와 ID를 매핑시켜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기(200)는 복수개의 ID 중 타겟 내부기(300)에 할당된 ID가 존재하는지 판단하여 호환가능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외부기(200)는 복수개의 ID 중 타겟 내부기(300)에 할당된 ID가 존재하면 타겟 내부기(300)와 호환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외부기(200)는 복수개의 ID 중 타겟 내부기(300)에 할당된 ID가 존재하지 않으면 타겟 내부기(300)와 호환가능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기(200)는 타겟 내부기(300)와 호환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복수개의 매핑데이터 중 해당 ID와 매핑된 매핑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외부기(200)는 추출된 매핑데이터를 적용하여 소리를 전기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기(200)는 타겟 내부기(300)와 호환가능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타겟 내부기(300)로 전기신호를 전송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기(200)는 복수개의 내부기 각각에 할당된 ID 및 KEY를 저장하고 있다. 이러한 실시예를 따르는 경우, 외부기(200)는 매핑데이터와 ID 및 KEY를 매핑시켜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외부기(200)가 복수개의 내부기 각각의 KEY를 저장하고 있는 이유는 내부기는 신체에 직접 이식되는 것이기 때문에, 타인의 해킹이나 인증으로 인해 신체 자체에 피해가 발생할 수 있어 각 내부기 별로 할당된 KEY를 통해 보안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기(200)는 복수개의 ID 및 KEY 중 타겟 내부기(300)에 할당된 ID 및 KEY가 존재하는지 판단하여 호환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외부기(200)는 복수개의 ID 및 KEY 중 타겟 내부기(300)에 할당된 ID 및 KEY가 존재하면 타겟 내부기(300)와 호환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외부기(200)는 복수개의 ID 중 타겟 내부기(300)에 할당된 ID 및 KEY 중 적어도 하나가 존재하지 않으면 타겟 내부기(300)와 호환가능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기(200)는 복수개의 ID 중 타겟 내부기(300)에 할당된 ID가 존재하면, 해당 ID에 매핑된 KEY를 타겟 내부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를 따를 때, 타겟 내부기(300)는 수신되는 KEY가 할당된 KEY와 동일한지 판단하여 KEY 확인결과를 외부기(20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기(200)는 타겟 내부기(300)로부터 수신되는 KEY 확인결과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타겟 내부기(300)와 호환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외부기(200)가 타겟 내부기(300)를 통해 수신되는 ID로 호환가능여부를 1차적으로 판단하고 타겟 내부기(300)가 외부기(200)로부터 수신되는 KEY가 할당된 KEY와 동일여부를 2차적으로 판단함으로써, 외부기(200)의 내부기에 대한 일방적인 연결을 방지할 수 있어 보안이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기(200)는 타겟 내부기(300)와 호환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복수개의 매핑데이터 중 해당 ID 및 KEY에 매핑된 매핑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외부기(200)는 추출된 매핑데이터를 적용하여 소리를 전기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기(200)는 타겟 내부기(300)와 호환가능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타겟 내부기(300)로 전기신호를 전송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외부기(200)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외부기 및 내부기의 구성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외부기(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송수신부(210), 제1 호환 판단부(220), 매핑데이터 추출부(230), 데이터베이스(240), 및 전기신호 변환부(250)를 포함한다.
제1 송수신부(210)는 타겟 내부기(300)와 송수신을 수행한다. 제1 송수신부(210)는 타겟 내부기(300)로부터 타겟 내부기(300)에 할당된 ID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1 송수신부 (210)는 타겟 내부기(300)로 ID에 매핑된 KEY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1 송수신부(210)는 타겟 내부기(300)로 호환가능여부를 송신할 수 있다.
제1 호환 판단부(220)는 타겟 내부기(300)로부터 수신되는 ID를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된 복수개의 ID와 비교하여 호환가능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제1 호환 판단부(220)는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된 복수개의 ID 중 타겟 내부기(300)로부터 수신되는 ID가 존재하는 경우, 호환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한다. 제1 호환 판단부(220)는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된 복수개의 ID 중 타겟 내부기(330)로부터 수신되는 ID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호환이 가능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호환 판단부(220)는 타겟 내부기(330)로부터 수신되는 ID가 존재하는 경우, ID에 매핑된 KEY를 제1 송수신부(210)를 통해 타겟 내부기(3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를 따를 때, 타겟 내부기(300)가 자신의 KEY와 송신되는 KEY가 동일한지 판단하고, KEY 확인결과를 제1 호환 판단부(220)로 제1 송수신부(210)를 통해 전달한다.
제1 호환 판단부(220)는 KEY 확인결과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호환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1 호환 판단부(220)는 KEY 확인결과가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호환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1 호환 판단부(220)는 제1 송수신부(210)를 통해 호환가능여부를 타겟 내부기(30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매핑데이터 추출부(230)는 제1 호환판단부(220)에 의해 호환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된 복수개의 매핑데이터 중 타겟 내부기(300)에 할당된 ID에 매핑되어 저장되어 있는 매핑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매핑데이터 추출부(230)는 매핑데이터를 전기신호 변환부(250)로 전달한다.
데이터베이스(240)에는 복수개의 ID, 복수개의 KEY, 복수개의 매핑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복수개의 매핑데이터는 복수개의 ID 각각에 매핑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매핑데이터는 복수개의 ID, 복수개의 KEY 각각에 매핑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전기신호 변환부(250)는 소리를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구체적으로, 전기신호 변환부(250)는 매핑데이터 추출부(230)에 의해 추출된 매핑데이터에 따라 소리를 전기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기신호 변환부(250)는 타겟 내부기(300)에 맞게 전기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기신호 변환부(250)는 제1 호환판단부(220)에 의해 호환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소리를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전기신호 변환부(250)는 제1 호환판단부(220)에 의해 호환이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소시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지 않는다.
한편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타겟 내부기(300)는 외부기(200)의 전기신호를 전기자극신호로 변환하고, 와우의 청신경을 전기자극신호로 자극한다. 이에 따라, 타겟 내부기(300)를 이식한 사용자는 와우의 손상이 있더라도, 내부기(300)를 통해 소리를 인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타겟 내부기(300)는 외부기(200)의 호환가능여부를 판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타겟 내부기(300)는 외부기(200)로 타겟 내부기(300)에 할당된 ID를 전송하고, 외부기(200)가 타겟 내부기(300)에 할당된 ID를 보유하고 있는 경우, 외부기(200)가 호환가능한 것으로 판단한다. 타겟 내부기(300)는 외부기(200)가 타겟 내부기(300)에 할당된 ID를 보유하지 않고 있는 경우, 외부기(200)가 호환가능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타겟 내부기(300)는 외부기(200)가 타겟 내부기(300)에 할당된 ID가 보유하고 있는 경우, 외부기(200)로부터 KEY를 수신하여 타겟 내부기(300)에 할당된 KEY와 동일한지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를 따르는 경우, 타겟 내부기(300)는 외부기(200)가 전송한 KEY와 자신의 KEY가 동일한지 판단할 수 있다. 타겟 내부기(300)는 KEY 확인결과를 외부기(200)로 전송한다. 여기서, KEY 확인결과는 타겟 내부기(300)의 KEY와 외부기가 전송한 KEY가 동일한 경우, 동일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타겟 내부기(300)의 KEY와 외부기가 전송한 KEY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동일하지 않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타겟 내부기(300)가 외부기(200)가 보유한 KEY를 검증함으로써, 보안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타겟 내부기(300)는 외부기(200)가 호환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외부기(200)로부터 전기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타겟 내부기(300)는 외부기(200)가 호환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외부기(200)로부터 수신된 전기신호를 전기자극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타겟 내부기(300)는 전기자극신호를 와우의 청신경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타겟 내부기(300)는 외부기(200)가 호환가능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외부기(200)로부터 수신된 전기신호를 전기자극신호로 변환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를 따를 때, 타겟 내부기(300)는 호환가능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외부기(200)로부터 전기신호를 수신하지 않을 수도 있고, 전기신호를 수신하되 전기자극신호로 변환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전기자극신호로 변환하되 와우의 청신경으로 출력하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타겟 내부기(30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겟 내부기(300)는 제2 송수신부(310), KEY 확인부(320), 및 전기자극신호 변환부(330)를 포함한다.
제2 송수신부(310)는 외부기(200)와 송수신을 수행한다. 제2 송수신부(310)는 타겟 내부기(300)에 할당된 ID를 외부기(200)로 송신한다. 제2 송수신부는 KEY 확인결과를 타겟 내부기(300)로 송신한다. 또한, 제2 송수신부(310)는 외부기(200)로부터 KEY를 수신한다. 제2 송수신부(310)는 외부기(200)로부터 호환가능여부를 수신한다.
KEY 확인부(320)는 외부기(200)가 타겟 내부기(300)에 할당된 ID를 보유하고 있는 경우, 외부기(200)로부터 수신되는 KEY를 타겟 내부기(300)의 KEY와 동일한지 판단한다. KEY 확인부(320)는 KEY 확인결과를 제2 송수신부(310)를 통해 외부기(200)로 전달한다. 여기서 KEY 확인결과는 수신되는 KEY와 할당된 KEY가 동일한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전기자극신호 변환부(330)는 외부기(200)와 호환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외부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전기신호를 전기자극신호로 변환하여 와우의 청신경을 자극한다. 전기자극신호 변환부9330)는 외부기(200)와 호환이 가능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전기신호를 전기자극신호로 변환하지 않는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외부기(200)와 타겟 내부기(300)가 호환가능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겟 내부기(300)에 할당된 ID를 이용하여 호환가능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기(200)는 내부기(300)로 할당된 ID를 요청한다. 내부기(300)는 할당된 ID를 전송하고, 외부기(200)는 미리 저장된 복수개의 ID 중 전송된 ID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외부기(200)는 복수개의 ID 중 전송된 ID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소리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지 않는다. 외부기(200)는 복수개의 ID 중 전송된 ID가 존재하는 경우, 미리 저장된 복수개의 매핑데이터 중 전송된 ID에 매핑된 매핑데이터를 추출한다. 외부기(200)는 추출된 매핑데이터를 적용하여 소리를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외부기(200)는 변환된 전기신호를 내부기(300)로 전송한다. 내부기(300)는 전송된 전기신호를 전기자극신호로 변환하여 와우의 청신경을 자극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겟 내부기(300)에 할당된 ID 및 KEY를 이용하여 호환가능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타겟 내부기(300)에 ID뿐만 아니라, KEY 또한 할당함으로써, 보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기(200)는 타겟 내부기(300)에 할당된 ID를 요청한다. 타겟 내부기(300)는 할당된 ID를 전송하고, 외부기(200)는 미리 저장된 복수개의 ID 중 전송된 ID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외부기(200)는 복수개의 ID 중 전송된 ID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소리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지 않는다. 외부기(200)는 복수개의 ID 중 전송된 ID가 존재하는 경우, 미리 저장되어 있는 복수개의 KEY 중 해당 ID에 매핑된 KEY를 타겟 내부기(300)로 전송한다. 타겟 내부기(300)는 수신된 KEY가 할당된 KEY와 동일한지 판단하고, KEY 확인결과를 외부기(200)로 전송한다.
외부기(200)는 타겟 내부기(300)가 수신된 KEY가 할당된 KEY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 소리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지 않는다.
외부기(200)는 타겟 내부기(300)가 수신된 KEY가 할당된 KEY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복수개의 매핑데이터 중 할당된 ID에 매핑된 매핑데이터를 적용하여 소리를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외부기(200)는 변환된 전기신호를 타겟 내부기(300)로 전송한다.
타겟 내부기(300)는 수신된 KEY가 할당된 KEY와 일치하면, 수신된 전기신호를 전기자극신호로 변환하여 와우의 청신경을 자극한다.
타겟 내부기(300)는 수신된 KEY가 할당된 KEY와 일치하지 않으면, 전기자극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이 복수개의 프로그램으로 분할되어 구현되는 경우 각 프로그램은 서로 다른 매체에 탑재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 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외부기; 및 타겟 내부기를 포함하는 인공와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는
    사용자 별로 와우에 존재하는 청신경의 손상 정도와 민감 정도 상태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사용자의 달팽이 관에 이식된 타겟 내부기의 전기자극신호의 크기, 패턴, 빈도에 따른 사용자 별 반응 정보인 청각반응 특성을 측정한 매핑데이터를 타겟 내부기 별로 저장하고,
    타겟 내부기와 호환가능여부를 판단하여 복수개의 매핑데이터 중 타겟 내부기의 매핑데이터에 따라 소리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타겟 내부기는,
    상기 외부기가 호환 가능하면 상기 외부기로부터 전기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신호를 전기자극신호로 변환하고 와우의 청신경을 전기자극신호로 자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가능한 외부기를 이용하는 인공와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는,
    복수개의 내부기 각각에 할당된 아이디 (ID, Identification) 값을 상기 매핑데이터와 매핑시켜 저장하고 있고, 복수개의 아이디 중 상기 타겟 내부기의 아이디 값과 일치하는 아이디가 존재하면 해당 아이디와 매핑된 매핑데이터를 추출하며, 추출된 매핑데이터에 따라 상기 소리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가능한 외부기를 이용하는 인공와우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는,
    복수개의 내부기 각각에 할당된 KEY를 저장하고 있고, 복수개의 KEY 중 상기 타겟 내부기의 KEY에 일치하는 KEY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전기신호를 변환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가능한 외부기를 이용하는 인공와우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는,
    복수개의 ID 및 KEY 중 타겟 내부기에 할당된 ID 및 KEY 중 적어도 하나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타겟 내부기가 호환가능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타겟 내부기로 전기신호를 전송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가능한 외부기를 이용하는 인공와우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는,
    복수개의 내부기 각각에 할당된 ID 및 KEY를 상기 매핑데이터와 매핑시켜 저장하고 있고, 복수개의 ID 중 상기 타겟 내부기가 전송한 ID와 일치되는 ID가 있으면, 해당 ID의 KEY를 상기 내부기로 전달하고,
    상기 타겟 내부기는,
    상기 ID의 KEY가 할당된 KEY와 일치하면 상기 외부기가 호환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가능한 외부기를 이용하는 인공와우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내부기는,
    상기 외부기로부터 수신되는 KEY가 할당된 KEY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외부기가 호환가능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외부기로부터 수신되는 전기신호에 따라 상기 와우의 청신경을 자극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가능한 외부기를 이용하는 인공와우 시스템.
  7. 삭제
KR1020210057331A 2021-05-03 2021-05-03 호환가능한 외부기를 이용하는 인공와우 시스템 KR102524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331A KR102524396B1 (ko) 2021-05-03 2021-05-03 호환가능한 외부기를 이용하는 인공와우 시스템
EP22799081.9A EP4335487A1 (en) 2021-05-03 2022-05-02 Cochlear implant system using compatible external device
CN202280030223.5A CN117202965A (zh) 2021-05-03 2022-05-02 利用可兼容的外部设备的人工耳蜗系统
PCT/KR2022/006266 WO2022235038A1 (ko) 2021-05-03 2022-05-02 호환가능한 외부기를 이용하는 인공와우 시스템
AU2022271094A AU2022271094A1 (en) 2021-05-03 2022-05-02 Cochlear implant system using compatible external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331A KR102524396B1 (ko) 2021-05-03 2021-05-03 호환가능한 외부기를 이용하는 인공와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0078A KR20220150078A (ko) 2022-11-10
KR102524396B1 true KR102524396B1 (ko) 2023-04-24

Family

ID=83932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7331A KR102524396B1 (ko) 2021-05-03 2021-05-03 호환가능한 외부기를 이용하는 인공와우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335487A1 (ko)
KR (1) KR102524396B1 (ko)
CN (1) CN117202965A (ko)
AU (1) AU2022271094A1 (ko)
WO (1) WO202223503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305000A1 (en) 2019-03-19 2020-09-24 T-Mobile Usa, Inc. Methods and systems for secure operation of implantable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525B1 (ko) * 2008-04-11 2010-08-23 주식회사 뉴로바이오시스 적외선 통신 방식의 귓속형 인공 와우 장치
KR20100122001A (ko) * 2009-05-11 2010-11-19 (주)머티리얼솔루션테크놀로지 인공와우 및 소리 신호 처리 방법
US8849402B2 (en) * 2011-03-21 2014-09-30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contactless power transfer in implantable devices
AU2015229005A1 (en) * 2014-03-14 2016-09-01 Ab Initio Technology Llc Mapping attributes of keyed entities
KR102101968B1 (ko) * 2017-10-19 2020-04-20 주식회사 토닥 인공 와우 내부이식체 및 그 이식방법
US11260220B2 (en) * 2019-02-21 2022-03-01 Envoy Medical Corporation Implantable cochlear system with integrated components and lead characterization
KR102353157B1 (ko) * 2019-10-15 2022-01-19 주식회사 토닥 체내 통신을 이용한 인공와우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305000A1 (en) 2019-03-19 2020-09-24 T-Mobile Usa, Inc. Methods and systems for secure operation of implantable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202965A (zh) 2023-12-08
AU2022271094A1 (en) 2023-10-26
EP4335487A1 (en) 2024-03-13
WO2022235038A1 (ko) 2022-11-10
KR20220150078A (ko) 2022-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31599A1 (en) Relay interface for connecting an implanted medical device to an external electronics device
US20210064605A1 (en) Data integrity for medical devices using blockchain solutions
US6554762B2 (en) Implantable hearing system with means for measuring its coupling quality
US8515070B2 (en) Access control for implanted medical devices
CN102656585B (zh) 授权受限功能的系统和方法
CN104781823B (zh) 具有身体耦合通信接口的生物计量系统
CN103391743A (zh) 电生理信号的分布式处理
CN106331971B (zh) 带有型号控制的听力设备和关联方法
US10556110B2 (en) External unit of an implanted medical device
CN107092571A (zh) 设备识别
CN105488870A (zh) 一种门禁控制方法、装置、终端及控制服务器
CN113631221A (zh) 植入装置与设备之间的安全无线通信
US20040024429A1 (en) Configuration of implanted devices
EP305484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one or more intracochlear dead regions
KR102524396B1 (ko) 호환가능한 외부기를 이용하는 인공와우 시스템
WO2012016011A1 (en) Bilateral sound processor systems and methods
US7873420B2 (en) Password protection for cochlear implant
EP2833962A1 (en) Intraneural stimulation systems and methods
CN115910312A (zh) 用于植入式医疗设备远程编程的系统和方法
CN113242549B (zh) 数据处理方法、移动设备、uicc及终端
WO2023031053A1 (en) Treatment of hypertension
WO2021074761A1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 recipient of an implantable sensory prosthesis
CN108322480A (zh) 智能家居中信息认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