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4109B1 - Supporting Apparatus For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Supporting Apparatus For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4109B1
KR102524109B1 KR1020210081742A KR20210081742A KR102524109B1 KR 102524109 B1 KR102524109 B1 KR 102524109B1 KR 1020210081742 A KR1020210081742 A KR 1020210081742A KR 20210081742 A KR20210081742 A KR 20210081742A KR 102524109 B1 KR102524109 B1 KR 102524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rotation
display
sliding bar
rotatio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17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25652A (en
Inventor
서일용
Original Assignee
서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일용 filed Critical 서일용
Priority to PCT/KR2022/00295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2186604A1/en
Priority to CN202280015785.2A priority patent/CN116917656A/en
Priority to US18/278,060 priority patent/US20240148142A1/en
Publication of KR20220125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5652A/en
Priority to KR1020230047974A priority patent/KR202300528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4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41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25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for tilting and ro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치벽면(1)에 설치되며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경사회전축(12)이 구비된 고정프레임(10); 상기 고정프레임(10)의 경사회전축(12)과 일정각(θ)을 이루며 경사회전축(12)을 중심으로 일정 회전궤적을 갖도록 일단이 경사회전축(1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전궤적 중 최상단에 위치되면 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회전바(20); 및 일단이 상기 회전바(20)의 타단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바(20)의 회전궤적에 따라 회전바(20)에서 신축되며, 타단에는 디스플레이(2)가 장착되는 슬라이딩바(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거치대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installation wall surface (1) and fixed frame (10) provided with an inclined rotation shaft (12)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front;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inclined rotation shaft 12 so as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θ with the inclined rotation shaft 12 of the fixed frame 10 and have a predetermined rotational trajectory around the inclined rotation shaft 12, and the rotational locus When located at the top of the rotating bar (20) disposed inclined upward toward the front; And a sliding bar 30 having one end slid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rotation bar 20, extending and contracting in the rotation bar 20 according to the rotational trajectory of the rotation bar 20, and having the display 2 mounted on the other end. A display cradl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Description

디스플레이 거치대{Supporting Apparatus For Display Device}Display Cradle {Supporting Apparatus For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침대나 책상 등의 설치위치의 벽면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위치나 자세에 따라 사용자의 눈과의 최적거리가 자연스럽게 조절되어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디스플레이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stand, and more specifically, to a display stand, which has a simple structure and is mounted on a wall surface at an installation location such as a bed or desk, so that the optimum distance to the user's eyes is natur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position or posture,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in use. It's about an improved display stand.

최근 휴대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모바일폰이나 태블릿, 노트북 등과 같이 휴대하며 영상을 감상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기능이 구비된 단말장치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이동하지 않는 상황에서는 디스플레이를 거치시켜 고정된 위치에서 영상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거치대가 함께 이용되고 있다.BACKGROUND ART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terminal devices equipped with a display function to enjoy images while being carried, such as a mobile phone, tablet, or laptop, are widely spread. In addition, in the case of such a display device, a display cradle is used together to allow viewing of an image in a fixed position by holding the display in a non-moving situation.

종래의 이러한 디스플레이 거치대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가정에서 침대에 누워 휴식을 취하며 소정의 영상을 감상하고자 할 경우에도 이용될 수 있도록 침대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사용자가 누운상태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감상할 수 있었다.Such a conventional display cradle is rotatably mounted on one side of a bed so that it can be used even when a patient with reduced mobility or at home wants to lie down on a bed and enjoy a predetermined image, and the user is displayed while lying down. could watch the video.

그러나 종래의 디스플레이 거치대는 사용자가 침대의 중앙에 누워 정면을 바라본 상태에서 열람할 수 있도록 회동되는 조절범위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를 정면으로 바라보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누워있는 자세나 위치에 따라 고개를 돌려 디스플레이 장치를 쳐다봐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따라, 피로감을 느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한 목결림, 목디스크 등의 질병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display cradle has a limited rotational adjustment range so that the user can read while lying in the center of the bed and looking at the front, in order to view the display from the front, the user has to turn his or her head according to the user's lying posture or position. There was an inconvenience of having to look at the display device.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not only fatigue is felt, but diseases such as stiff neck and neck disc may occur due to this.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특허 제10-1701558호에서 거치프레임을 벽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하여 사용자가 침대에서 옆으로 눕더라도 거치프레임을 측방으로 회전시켜 디스플레이를 정면으로 볼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거치프레임이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절곡프레임이 메인프레임에서 슬라이드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절곡프레임과 메인프레임에 통공을 형성하고 절곡프레임과 메인프레임의 각 통공을 정렬시킨 상태에서 고정핀을 삽입하여 절곡프레임을 메인프레임에서 신축시켰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Patent No. 10-1701558 filed and registered by the present applicant, the mounting frame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wall so that the user can rotate the mounting frame sideways even if the user lies sideways on the bed so that the display can be viewed from the front. made it possible to see In addition, the bending frame on which the display is mounted slides on the main frame, and a through hole is formed between the bending frame and the main frame, and a fixing pin is inserted in a state in which each through hole of the bending frame and the main frame is aligned, and bending is performed. The frame was stretched from the mainframe.

그런데 똑바로 누웠던 사용자가 옆으로 누워서 거치프레임을 측방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거치프레임의 회전반경에 의해 디스플레이가 사용자의 눈에 가까워지므로, 사용자는 고정핀을 분리시켜 절곡프레임을 메인프레임에서 신장시킨 후 고정핀을 다시 삽입해야만 하기 때문에, 조작이 번거로워서 사용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특히, 환자의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조작이 쉽지 않아서 혼자서는 자세를 마음대로 바꿀 수 없어 편안한 자세로 디스플레이를 시청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when a user lying on his back rotates the mounting frame sideways while lying on his side, the display moves closer to the user's eyes due to the rotation radius of the mounting frame, so the user separates the fixing pin, extends the bending frame from the main frame, and fixes it. Since the pin must be re-inserted, operation is cumbersome, resulting in poor usability.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patient, since the manipulation as described above is not easy,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change the posture alone and to view the display in a comfortable posture.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01558호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701558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사용자의 자세나 위치가 바뀌더라도 다른 사람의 도움없이 디스플레이를 사용자의 눈과의 최적거리가 유지되며 정면으로 시청할 수 있도록 혼자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향상되고, 목결림 등의 질환이 유발되지 않고 편안한 자세로 디스플레이를 편안하게 시청할 수 있어 고객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keep the display at an optimal distance from the user's eyes without the help of others even if the user's posture or position changes, while the structure is simple. It is to provide a display cradle that can be easily adjusted alone so as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 and to improve customer satisfaction by comfortably viewing the display in a comfortable posture without causing diseases such as stiff neck.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설치벽면(1)에 설치되며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경사회전축(12)이 구비된 고정프레임(10); 상기 고정프레임(10)의 경사회전축(12)과 일정각(θ)을 이루며 경사회전축(12)을 중심으로 일정 회전궤적을 갖도록 일단이 경사회전축(1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전궤적 중 최상단에 위치되면 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회전바(20); 및 일단이 상기 회전바(20)의 타단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바(20)의 회전궤적에 따라 회전바(20)에서 신축되며, 타단에는 디스플레이(2)가 장착되는 슬라이딩바(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거치대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xed frame 10 installed on the installation wall surface 1 and provided with an inclined rotation shaft 12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front;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inclined rotation shaft 12 so as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θ with the inclined rotation shaft 12 of the fixed frame 10 and have a predetermined rotational trajectory around the inclined rotation shaft 12, and the rotational locus When located at the top of the rotating bar (20) disposed inclined upward toward the front; And a sliding bar 30 having one end slid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rotation bar 20, extending and contracting in the rotation bar 20 according to the rotational trajectory of the rotation bar 20, and having the display 2 mounted on the other end. There is provided a display cradle comprising a;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딩바(30)에는 회전궤적에 대해 내향돌출된 손잡이(60)가 더 구비되며, 상기 회전바(20)에는 상기 슬라이딩바(30)의 손잡이(60)가 이동되는 가이드공(24)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거치대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ding bar 30 is further provided with a handle 60 protruding inward with respect to the rotational trajectory, and the rotating bar 20 has a handle 60 of the sliding bar 30 A display cradle is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ing guide ball 24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회전바(20) 또는 슬라이딩바(30)의 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장공(22)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바(30) 또는 회전바(20)에는 복수개의 삽입홈(32)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되며, 상기 장공(22)을 관통하여 삽입홈(32)에 삽입되는 위치조절핀(4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거치대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long hole 22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rotating bar 20 or the sliding bar 30, and the sliding bar 30 or the rotating bar 20 In the display cradl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32 are formed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ositioning pin 40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32 through the long hole 22 is further provided. Provided.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고정프레임(10) 또는 회전바(20)에는 회전바(20)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5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거치대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cradle is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ed frame 10 or the rotation bar 20 is further provided with a stopper 50 for limiting rotation of the rotation bar 20.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설치벽면(1)에 전방으로 갈수록 상향경사진 위상을 갖도록 회전되는 회전바(20)에서 디스플레이(2)가 장착된 슬라이딩바(30)가 회전바(20)의 회전궤적에 따라 자중에 의해 신축되므로, 사용자(U)의 눈과 디스플레이(2)간의 간격이 회전바(20)의 회전에 따라 자동 조절되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사용자(U)는 침대에 누운 상태에서 일어나서 슬라이딩바(30)를 수동으로 신축시킬 필요가 없어 사용편의성이 향상된다. 거동이 불편한 환자는 자세를 바꿀 때 손으로 회전바(20)만 회전시키면 디스플레이(2)가 자신의 눈과 적절한 거리 이격되므로, 사용자(U)는 편안한 자세로 디스플레이(2)를 시청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더욱 향상된다. 한편, 슬라이딩바(30)에 손잡이(60)가 구비되고 회전바(20)에 슬라이딩바(30)의 손잡이(60)가 이동되는 가이드공(24)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60)를 잡고 슬라이딩바(30)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좀 더 다양한 자세를 취하면서 디스플레이(2)를 자신의 눈과 적절한 거리 이격시킬 수 있어 사용자는 좀 더 편안한 자세로 디스플레이(2)를 시청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편의성이 더욱 더 향상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ding bar 30 on which the display 2 is mounted in the rotating bar 20 rotated so as to have an upwardly inclined phase toward the front of the installation wall 1 is the rotating bar 20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eyes of the user U and the display 2 is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bar 20, the structure is simple and the user U can sit on the bed. Since there is no need to manually expand and contract the sliding bar 30 after getting up from a lying state, the convenience of use is improved. When a patient with reduced mobility rotates only the rotation bar 20 by hand when changing posture, the display 2 is separated from his or her eyes at an appropriate distance, so the user U can view the display 2 in a comfortable posture. Convenience is further improved. On the other hand, the handle 60 is provided on the sliding bar 30, and the guide ball 24 through which the handle 60 of the sliding bar 30 is moved is formed on the rotating bar 20, so that the user can move the handle 60 Since it is possible to hold and move the sliding bar 30 to a desired position, the user can space the display 2 an appropriate distance from his or her eyes while taking more various postures, so the user can move the display 2 in a more comfortable position. ), the convenience of use is further improved.

그리고 각 사용자(U)는 슬라이딩바(30)가 회전바(20)에 신축되는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각 사용자(U)의 신체구조나 자세 등에 따라 슬라이딩바(30)에 장착된 디스플레이(2)가 사용자(U)의 눈과 좀 더 최적화되도록 자유롭게 세팅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사람이 각자에 맞게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 및 범용성이 우수하다. 한편, 고정프레임(10) 또는 회전바(20)에 회전바(20)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50)가 구비되어, 회전바(20)가 과도하게 회전되면서 설치벽면(1)이나 주변의 물품과 충돌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안전성이 향상된다. In addition, since each user U can adjust the distance at which the sliding bar 30 extends to the rotation bar 20, the display 2 mounted on the sliding bar 30 according to the body structure or posture of each user U. ) can be freely set to be more optimized for the eyes of the user (U), so several people can easily adjust it to suit each person, resulting in excellent usability and versatility. On the other hand, the stopper 50 for limit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bar 20 is provided on the fixed frame 10 or the rotation bar 20, so that the rotation bar 20 is excessively rotated and the installation wall 1 or the surrounding Safety is improved because collisions with articles are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거치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작동을 보인 도면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제1작동상태도
도 5는 상기 실시예의 제2작동상태도
도 6은 상기 실시예의 스토퍼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거치대의 측면도
도 8은 상기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1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display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mbodiment
3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above embodiment
4 is a first operating state diagram of the embodiment
5 is a second operating state diagram of the embodiment
6 is a view showing the stopper of the embodiment
7 is a side view of a display crad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lan view of the other embodiment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detailed description that follows.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거치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거치대는 고정프레임(10), 회전바(20), 슬라이딩바(30)를 포함한다. 1 to 6 are views showing a display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display crad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ed frame 10, a rotating bar 20, and a sliding bar 30.

상기 고정프레임(10)은 설치벽면(1)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경사회전축(12)이 구비되는데, 도 1 및 도 4와 같이 고정프레임(10)은 설치벽면(1)에 고정되는 고정부(11)와, 이 고정부(11)의 선단에 구비된 경사회전축(12)을 포함한다. The fixing frame 10 is provided with an inclined rotating shaft 12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front from the installation wall surface 1, and as shown in FIGS. 1 and 4, the fixing frame 10 is fixed to the installation wall surface 1. It includes a top part 11 and an inclined rotation shaft 12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fixing part 11.

상기 회전바(20)는 고정프레임(10)의 경사회전축(12)과 일정각(θ)을 이루며 경사회전축(12)을 중심으로 일정한 회전궤적을 갖도록 일단이 경사회전축(1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바(20)의 일단에는 경사회전축(1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결합링(21)이 구비될 수 있다. The rotation bar 20 forms a predetermined angle (θ) with the inclined rotation shaft 12 of the fixed frame 10, and one end is rotatable on the inclined rotation shaft 12 so as to have a constant rotational trajectory around the inclined rotation shaft 12. are combined One end of the rotation bar 20 may be provided with a rotation coupling ring 21 rotatably coupled to the inclined rotation shaft 12 .

도 4와 같이, 회전바(20)가 회전궤적 중 최상단에 위치할 때,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회전바(20)의 일단이 고정프레임(10)의 경사회전축(12)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이 경사회전축(12)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이 회전바(20)에 결합되어 회전바(20)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바(1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지지바(13)의 일단에는 경사회전축(1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회전결합링(14)이 더 구비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when the rotation bar 20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rotation trajectory, it is disposed inclined upward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1 and 2, one end of the rotating bar 2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inclined rotation shaft 12 of the fixed frame 10, and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inclined rotation shaft 12.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rotating bar 2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support bar 13 for more stably supporting the rotating bar 20. An auxiliary rotation coupling ring 14 rotatably coupled to the inclined rotation shaft 12 may be further provided at one end of the support bar 13 .

상기 슬라이딩바(30)는 일단이 회전바(20)의 타단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바(20)의 회전궤적에 따라 회전바(20)에서 자동 또는 수동으로 신축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슬라이딩바(30)는 회전바(20)의 위상에 따라 자중에 의해 신축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다. 그리고 슬라이딩바(30)는 단부에 회전바(20)의 단부에 걸려지는 등 회전바(20)에서 완전히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구조로 결합될 수 있어, 슬라이딩바(30)가 회전바(20)에서 자중에 의해 신장되더라도 완전히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One end of the sliding bar 30 is slid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rotating bar 20, and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or manually expand and contract in the rotating bar 20 according to the rotational trajectory of the rotating bar 20. In this embodiment, the sliding bar 30 is configured to expand and contract by its own weight according to the phase of the rotating bar 20 exemplified. In addition, the sliding bar 30 can be coupled to a structure that prevents complete separation from the rotating bar 20, such as being caught on the end of the rotating bar 20 at the end, so that the sliding bar 30 is the rotating bar 20 Even if it is elongated by its own weight in , it is prevented from being completely separated.

한편, 도 2와 같이 슬라이딩바(30)의 타단에는 디스플레이(2)가 장착되는 디스플레이장착부(31)가 구비된다. 디스플레이장착부(31)는 주지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바(30)의 단부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2, the other end of the sliding bar 30 is provided with a display mounting portion 31 to which the display (2) is mounted. As is well known, the display mounting unit 31 may be configured to be rotated in various directions at the end of the sliding bar 30 .

그리고 도 2와 같이 슬라이딩바(30)가 회전바(20)의 내부로 삽입되는 형태를 예시하였지만, 회전바(20)가 슬라이딩바(30)의 내부로 삽입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한편, 슬라이딩바(30)는 절곡 또는 만곡되지 않을 수도 있지만, 도 2와 같이 절곡 또는 만곡된 형태로 이루어져서 디스플레이(2)가 사용자(U)의 눈과 좀 더 최적거리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nd, as shown in FIG. 2, the sliding bar 30 is inserted into the rotating bar 20, but the rotating bar 20 may be inserted into the sliding bar 30. On the other hand, the sliding bar 30 may not be bent or curved, but is formed in a bent or curved form as shown in FIG. 2 so that the display 2 can be positioned at a more optimal distance from the eyes of the user U. desirabl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거치대는 슬라이딩바(30)가 회전바(20)에서 신축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마다 신체조전이나 자세가 다르기 때문에 슬라이딩바(30)가 회전바(20)에서 자중에 의해 신축될 때 신축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슬라이딩바(30)에 장착된 디스플레이(2)가 사용자의 눈과 보다 최적거리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The display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adjust the extension and contraction length of the sliding bar 30 from the rotating bar 20 . Since each user has a different body composition or posture, by adjusting the extension length when the sliding bar 30 is stretched and contracted by its own weight in the rotation bar 20, the display 2 mounted on the sliding bar 30 is close to the user's eyes. It can be positioned at a more optimal distanc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거치대는 슬라이딩바(30)가 회전바(20)에서 신축되는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회전바(20) 또는 슬라이딩바(30)에 장공(22)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슬라이딩바(30) 또는 회전바(20)에 복수개의 삽입홈(32)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되고, 위치조절핀(40)이 상기 장공(22)을 통해 삽입홈(32)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display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ong hole 22 in the rotating bar 20 or the sliding bar 3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order to adjust the length by which the sliding bar 30 expands and contracts in the rotating bar 20. It is formed along, and a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32 are formed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sliding bar 30 or the rotating bar 20, and the positioning pin 40 is inserted through the long hole 22 ( 32) can be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도 2와 같이, 회전바(20)에 장공(22)이 형성되고, 슬라이딩바(30)에 삽입홈(32)이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다. 이에 따라, 위치조절핀(40)이 회전바(20)의 장공(22)을 통해 슬라이딩바(30)의 어느 일측 삽입홈(32)에 삽입되면, 위치조절핀(40)이 장공(22)의 단부에 걸려져서 슬라이딩바(30)가 회전바(20)에서 신축되는 길이가 조절된다. As shown in Figure 2, it is illustrated that the long hole 22 is formed in the rotating bar 20, and the insertion groove 32 is formed in the sliding bar 30. Accordingly, when the positioning pin 4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32 on either side of the sliding bar 30 through the long hole 22 of the rotating bar 20, the positioning pin 40 is inserted into the long hole 22 It is caught on the end of the sliding bar 30 is adjusted in the length of the rotation bar (20).

즉, 도 4와 같이, 회전바(20)가 회전궤적 중 최상단에 위치할 때, 슬라이딩바(30)는 자중에 의해 회전바(20)에 삽입되는데, 상기 위치조절핀(40)이 회전바(20)의 장공(22)의 일단에 걸려져서 슬라이딩바(30)가 더 이상 회전바(20)에 삽입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슬라이딩바(30)의 타단에 장착된 디스플레이(2)가 사용자(U)의 눈으로 과도하게 근접되는 것이 방지된다. That is, as shown in FIG. 4, when the rotation bar 20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rotation trajectory, the sliding bar 30 is inserted into the rotation bar 20 by its own weight, and the position control pin 40 is the rotation bar. Since it is caught on one end of the long hole 22 of (20) to prevent the sliding bar 30 from being inserted into the rotation bar 20 any more, the display 2 mounted on the other end of the sliding bar 30 is the user ( U)'s eyes are prevented from getting too close.

그리고 도 3 및 도 5와 같이, 회전바(20)가 회전되어 타단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때, 슬라이딩바(30)가 자중에 의해 회전바(20)에서 분리되는데, 상기 위치조절핀(40)이 회전바(20)의 장공(22)의 타단에 걸려져서 슬라이딩바(30)가 더 이상 회전바(20)에서 신장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슬라이딩바(30)의 타단에 장착된 디스플레이(2)가 사용자(U)의 눈으로부터 적절하게 이격된다. And, as shown in FIGS. 3 and 5, when the rotation bar 20 is rotated and disposed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other end, the sliding bar 30 is separated from the rotation bar 20 by its own weight, and the position control pin 40 ) is caught on the other end of the long hole 22 of the rotating bar 20 to prevent the sliding bar 30 from extending further from the rotating bar 20, the display 2 mounted on the other end of the sliding bar 30 ) is properly spaced from the eyes of the user U.

이와 같이, 슬라이딩바(30)가 회전바(20)에서 신축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은 상기한 방식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In this way, a configuration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of the sliding bar 30 extending and contracting in the rotating bar 20 may be applied in various ways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method.

도 5와 같이, 사용자(U)가 옆으로 누워서 디스플레이(2)를 시청하기 위해 회전바(20)를 경사회전축(12)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디스플레이(2)가 사용자(U)의 눈에 과도하게 근접되므로, 디스플레이(2)를 회전바(20)에서 좀 더 이격시켜야 하는데, 본 발명은 회전바(20)의 회전에 따라 슬라이딩바(30)가 자중에 의해 회전바(20)에서 자동으로 신장되면서 디스플레이(2)가 회전바(20)에서 이격되며, 이로 인해 별도의 조작없이 사용자(U)의 눈에서 자연스럽게 이격된다. As shown in FIG. 5 , when the user U rotates the rotation bar 20 around the inclined rotation axis 12 to watch the display 2 while lying on her side, the display 2 is excessive to the eyes of the user U. Since it is closely approached, the display 2 needs to be spaced a little further from the rotation bar 2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ding bar 30 automatically moves away from the rotation bar 20 by its own weight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bar 20. As it is extended, the display 2 is separated from the rotation bar 20, and as a result, the display 2 is naturally separated from the eyes of the user U without a separate manipulation.

이와 같이, 사용자(U)의 자세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바(20)의 회전위치에서 디스플레이(2)가 사용자(U)의 눈과의 최적 시청거리를 맞추어야 하는데, 본 발명은 회전바(20)의 회전만으로 디스플레이(2)가 사용자(U)의 눈과의 최적 시청거리가 자동으로 맞춰지므로,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며 사용자(U)는 편안한 자세로 디스플레이(2)를 시청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display 2 should match the optimal viewing distance with the eyes of the user U at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rotation bar 20 that is rotated according to the posture of the user U.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bar 20 Since the optimal viewing distance of the display 2 from the user U's eyes is automatically adjusted only by the rotation of , usability is improved and the user U can view the display 2 in a comfortable postur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거치대는 회전바(20)의 회전궤적에 따른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회전조절수단(15,2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6과 같이, 회전조절수단(15,23)은 고정프레임(10)의 경사회전축(12)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된 복수개의 고정홈(15)과, 상기 회전바(20)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홈(15)에 삽입되는 탄성고정돌기(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탄성고정돌기(23)는 도시안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고정홈(15)에 삽입되도록 회전되며 도시안된 스프링에 의해 소정의 힘을 초과하는 외력에 의해 고정홈(15)에서 이탈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회전조절수단(15,23)에 의해 도 1 및 도 4와 같이 회전바(20)가 회전궤적 중 최상단에 위치되더라도 측방으로 흔들리거나 임의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The display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rotation control means 15 and 23 capable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rotation bar 20 according to the rotational trajectory. As shown in Figure 6, the rotation control means (15,23) is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15) spaced apart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clined rotation shaft (12) of the fixing frame (10), and the rotating bar (20) It is provided and may include an elastic fixing protrusion 23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15. The elastic fixing protrusion 23 is rotated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15 around a rotational axis (not shown), and can be disengaged from the fixing groove 15 by an external force exceeding a predetermined force by a spring (not shown). can Even if the rotation bar 20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rotation trajectory, as shown in FIGS. 1 and 4 by the rotation control means 15 and 23, it is prevented from being shaken sideways or rotated arbitrarily.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거치대는 회전바(20)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스토퍼(50)는 회전바(20) 또는 고정프레임(10)에 구비될 수 있다. 도 6과 같이, 스토퍼(50)가 고정프레임(10)에 구비된 것을 예시하였는데, 경사회전축(12)의 외주면에 고정홈(15)의 둘레부에 돌출 구비되어 고정돌기(23)가 걸려지는 형태를 예시하였다. 이에 따라, 회전바(20)가 과도하게 회전되어 설치벽면(1)이나 주변의 물품들과 충돌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The display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opper 50 for limiting rotation of the rotation bar 20 . The stopper 50 may be provided on the rotating bar 20 or the fixed frame 10. As shown in FIG. 6, the stopper 50 is provided on the fixing frame 10, but is protruded from the circumference of the fixing groove 15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clined rotation shaft 12, so that the fixing protrusion 23 hangs form is illustrat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rotating bar 20 from being excessively rotated and colliding with the installation wall surface 1 or surrounding items.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위치조절핀(40)이 회전바(20)의 장공(22)을 통해 슬라이딩바(30)의 삽입홈(32)에 삽입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슬라이딩바(30)의 신축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또 다른 위치조절핀이 슬라이딩바(30)의 삽입홈(32)에 직접 결합되어 슬라이딩바(30)가 회전바(20)로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스토퍼(50)는 회전바(20)의 회전을 제한하는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며, 예를 들면, 스토퍼(50)가 고정프레임(10)이 아니라 회전바(20)에서 측방으로 돌출되어 설치벽면(1)에 접촉되어 회전바(20)의 회전을 제한하는 형태도 가능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one positioning pin 4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32 of the sliding bar 30 through the long hole 22 of the rotating bar 2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slides. Various configurations capable of adjusting the extension and contraction length of the bar 30 are possible. For example, another positioning pin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insertion groove 32 of the sliding bar 30 to adjust the length of the sliding bar 30 inserted into the rotating bar 20. In addition, the stopper 50 can have various shapes that limit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ar 20, for example, the stopper 50 protrudes laterally from the rotating bar 20 rather than the fixed frame 10 to install the wall surface It may also be possible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ar 20 by contacting (1).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거치대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거치대는 슬라이딩바(30)를 회전바(20)에서 수동으로 신축시키는 형태를 예시하였다. 7 and 8 show a display crad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display crad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emplifies a form of manually extending and contracting the sliding bar 30 from the rotating bar 20.

즉, 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딩바(30)를 회전바(20)에서 수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슬라이딩바(30)와 회전바(20)의 마찰에 의해 슬라이딩바(30)가 자중에 의해 신축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가 직접 슬라이딩바(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바(30)가 회전바(20)에서 자중에 의해 원하는 길이만큼 슬라이딩되지 않을 경우에도 사용자가 직접 슬라이딩바(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liding bar 30 is configured to be manually moved in the rotation bar 20 . For example, when the sliding bar 30 is not expanded or contracted by its own weight due to friction between the sliding bar 30 and the rotating bar 20, the user may directly move the sliding bar 30. In addition, even when the sliding bar 30 does not slide by a desired length due to its own weight in the rotating bar 20, the user can directly move the sliding bar 30.

이와 같은 수동신축을 위해, 슬라이딩바(30)에 손잡이(60)가 구비되고, 회전바(20)에는 슬라이딩바(30)의 손잡이(60)가 이동되도록 가이드공(24)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과 같이, 침대에 누운 사용자(U)가 슬라이딩바(30)의 손잡이(60)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바(30)의 손잡이(60)는 회전바(20)의 회전궤적에 대해 내향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회전바(20)의 가이드공(24)이 회전궤적에 대해 회전궤적의 중심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or such manual expansion and contraction, the sliding bar 30 is provided with a handle 60, and the rotating bar 20 has a guide ball 24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handle 60 of the sliding bar 30 moves. may be extended. As shown in FIGS. 7 and 8 , the handle 60 of the sliding bar 30 is of the rotating bar 20 so that the user U lying on the bed can easily grip the handle 60 of the sliding bar 30. It is preferable to project inward with respect to the rotational trajectory.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guide hole 24 of the rotating bar 20 is disposed toward the center of the rotational trajectory with respect to the rotational trajectory.

그리고 슬라이딩바(30)는 손잡이(60)가 회전바(20)의 가이드공(24)의 단부에 걸려짐에 따라 신축이 제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U)에 따라 가이드공(24)의 길이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별도의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슬라이딩바(30)의 신축길이를 조절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슬라이딩바(30)와 회전바(20)의 마찰에 의해 슬라이딩바(30)가 고정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도 슬라이딩바(30)의 신축길이를 조절할 수도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e sliding bar 30 may be configured to limit expansion and contraction as the handle 60 is caught on the end of the guide ball 24 of the rotation bar 20. Accordingly, the length of the guide hole 24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 U. In some cases, it may be possible to adjust the extension and contraction length of the sliding bar 30 by providing a separate fixing means. On the other hand, since the sliding bar 30 can be fixed by friction between the sliding bar 30 and the rotating bar 20, the extension length of the sliding bar 30 can be adjusted without a separate fixing means.

이와 같이, 사용자(U)는 침대에 누운 상태에서 자세를 바꿀 때, 슬라이딩바(30)의 손잡이(60)를 잡고 바꾼 자세에서 자신의 눈과 직선거리에 디스플레이(2)가 위치되되도록 회전바(20)를 회전시키고 슬라이딩바(30)를 회전바(20)에서 신축시킬 수 있으므로, 좀 더 다양한 자세를 취하더라도 디스플레이(2)가 자신의 눈과 최적의 거리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어 사용자는 좀 더 편안한 자세에서 디스플레이(2)를 시청할 수 있다. In this way, when the user U changes his/her posture while lying on the bed, the user U grabs the handle 60 of the sliding bar 30 and rotates the display 2 so that the display 2 is located at a straight line distance from the user's eyes in the changed posture. Since the 20 can be rotated and the sliding bar 30 can be stretched and contracted from the rotating bar 20, the display 2 can be positioned at an optimal distance from the user's eyes even when taking a more diverse posture. The display 2 can be viewed in a more comfortable position.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by the foregoing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deviate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1 : 설치벽면 2 : 디스플레이
10 : 고정프레임 12 : 경사회전축
20 : 회전바 22 : 장공
30 : 슬라이딩바 32 : 삽입홈
40 : 위치조절핀 50 : 스토퍼
60 : 손잡이
1: installation wall 2: display
10: fixed frame 12: inclined rotation axis
20: rotation bar 22: long hole
30: sliding bar 32: insertion groove
40: position control pin 50: stopper
60: handle

Claims (4)

설치벽면(1)에 설치되며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경사회전축(12)이 구비된 고정프레임(10);
상기 고정프레임(10)의 경사회전축(12)과 일정각(θ)을 이루며 경사회전축(12)을 중심으로 일정 회전궤적을 갖도록 일단이 경사회전축(1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전궤적 중 최상단에 위치되면 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회전바(20); 및
일단이 상기 회전바(20)의 타단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바(20)의 회전궤적에 따라 자중에 의해 회전바(20)에서 신축되며, 타단에는 디스플레이(2)가 장착되는 슬라이딩바(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거치대.
A fixed frame 10 installed on the installation wall surface 1 and having an inclined rotation shaft 12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front;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inclined rotation shaft 12 so as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θ with the inclined rotation shaft 12 of the fixed frame 10 and have a predetermined rotational trajectory around the inclined rotation shaft 12, and the rotational locus When located at the top of the rotating bar (20) disposed inclined upward toward the front; and
One end is slid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rotation bar 20, expands and contracts in the rotation bar 20 by its own weight according to the rotational trajectory of the rotation bar 20, and the other end has a sliding bar to which the display 2 is mounted ( 30); display cradl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바(30)에는 회전궤적에 대해 내향돌출된 손잡이(60)가 더 구비되며, 상기 회전바(20)에는 상기 슬라이딩바(30)의 손잡이(60)가 이동되는 가이드공(24)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거치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liding bar 30 is further provided with a handle 60 protruding inward with respect to the rotational trajectory, and the handle 60 of the sliding bar 30 is moved to the rotation bar 20 Display cradle,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ball 24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바(20) 또는 슬라이딩바(30)의 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장공(22)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바(30) 또는 회전바(20)에는 복수개의 삽입홈(32)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되며, 상기 장공(22)을 관통하여 삽입홈(32)에 삽입되는 위치조절핀(4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 long hole 22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rotating bar 20 or the sliding bar 30, and the sliding bar 30 or the rotating bar 20 has a plurality of The display cradl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groove 32 is formed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ositioning pin 40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32 through the long hole 22 is further provided.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10) 또는 회전바(20)에는 회전바(20)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5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거치대. The display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a stopper 50 for limiting rotation of the rotation bar 20 is further provided on the fixed frame 10 or the rotation bar 20. holder.
KR1020210081742A 2021-03-05 2021-06-23 Supporting Apparatus For Display Device KR1025241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02953 WO2022186604A1 (en) 2021-03-05 2022-03-02 Display holder
CN202280015785.2A CN116917656A (en) 2021-03-05 2022-03-02 Display support
US18/278,060 US20240148142A1 (en) 2021-03-05 2022-03-02 Display holder
KR1020230047974A KR20230052870A (en) 2021-03-05 2023-04-12 Supporting Apparatus For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29209 2021-03-05
KR1020210029209 2021-03-05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7974A Division KR20230052870A (en) 2021-03-05 2023-04-12 Supporting Apparatus For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5652A KR20220125652A (en) 2022-09-14
KR102524109B1 true KR102524109B1 (en) 2023-04-20

Family

ID=83279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1742A KR102524109B1 (en) 2021-03-05 2021-06-23 Supporting Apparatus For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4109B1 (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954B1 (en) * 2012-11-23 2014-09-04 (주)에이스 힌지텍 Terminal stand
KR101701558B1 (en) * 2014-03-05 2017-02-01 최영순 Supporting Apparatus For Display Device
US9288920B1 (en) * 2015-04-06 2016-03-15 Robert W. Steiner Electronic device holder
KR102122645B1 (en) * 2018-07-04 2020-06-26 서일용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5652A (en) 2022-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18257A (en) Mechanism for supporting camera in image transmission apparatus
US6464195B1 (en) Ergonomic mounting for computer screen displays
US5868079A (en) Stand for a monitor and a keyboard
US20170086314A1 (en) Elevating Support For Viewing Electronic Displays
CN107066120A (en) Adjustable mouse
CN210716804U (en) Supporting device
US7490797B1 (en) Portable supporting apparatus
CN109488843A (en) A kind of self-timer
US8749969B2 (en) Screen position adjustment for a laptop computer
US9907373B2 (en) Bag for a mobile device user with an adjustable support board
US20210140579A1 (en) Mounting devic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JP2024026560A (en) Chair
KR102524109B1 (en) Supporting Apparatus For Display Device
US10258123B1 (en) Holder and method for holding a personal computing device
KR101701558B1 (en) Supporting Apparatus For Display Device
US20240167622A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holder
KR20230052870A (en) Supporting Apparatus For Display Device
KR20120019971A (en) A cradle for smart phone or tablet pc
KR20120082247A (en) Forearm handheld information devide holder
CN111839868A (en) Light neck brace and application
CN116917656A (en) Display support
KR101592118B1 (en) Supporting Apparatus For Display Device
WO2015046903A1 (en) Display cradling platform
KR100849563B1 (en) Supporting apparatus for display
KR101410637B1 (en) Supporting Apparatus For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