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3190B1 - Air purifier - Google Patents

Air purifi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3190B1
KR102523190B1 KR1020200177424A KR20200177424A KR102523190B1 KR 102523190 B1 KR102523190 B1 KR 102523190B1 KR 1020200177424 A KR1020200177424 A KR 1020200177424A KR 20200177424 A KR20200177424 A KR 20200177424A KR 102523190 B1 KR102523190 B1 KR 102523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ng
air
dust
doo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74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87071A (en
Inventor
최철준
이정기
차인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77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3190B1/en
Publication of KR20220087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70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3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31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03C3/47Collecting-electrodes flat, e.g. plates, discs, gr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60Use of special materials other than 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공기 정화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는 가로방향으로 일측에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구비되고 타측에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되는 본체, 본체 내에서 상기 유입구 측에 구비되어 외부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대전시키는 대전부, 및 본체의 가로방향을 따라 직렬로 배열되는 복수의 집진판을 포함하며 외부 공기가 이동함에 따라 대전된 상기 먼지를 전기적으로 집진하는 집진부를 포함한다.An air purifier is provided.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introduced on one side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n outlet through which purified air is discharged on the other side; It includes a charging unit that charges the dust included in the body, and a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arranged in series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and includes a dust collecting unit that electrically collects the charged dust as external air moves.

Description

공기 정화 장치{AIR PURIFIER}Air Purifier {AIR PURIFIER}

본 발명은 공기 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er.

최근, 국내외적으로 대기오염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중국의 대기오염은 악화되어 가고 있고, 국내도 중국발 미세먼지와 황사 등으로 최악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지역들이 다수 생겨나고 있다. 따라서 공기 정화 장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지만 공기 정화 장치의 필터만으로는 대처에 제한적인 부분이 매우 많다. In recent years, interest in air pollution has greatly increased both at home and abroad. In particular, air pollution in China is getting worse, and there are many regions in Korea that maintain the worst level due to fine dust and yellow dust from China. Therefore, although the demand for air purifiers is increasing, there are many limited areas to cope with only with filters of air purifiers.

한편, 실내 전열교환기는 온습도 제어가 가능하고 미세먼지 정화 장치로는 섬유 필터가 존재하나 수명의 한계와 낮은 수명시간으로 문제점을 도출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indoor total heat exchanger can control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there is a fiber filter as a fine dust purification device, but problems are derived due to the limitation of lifespan and low lifespan.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공기 정화 장치는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분류된다. 하나는 필터를 사용하는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대전된 집진판을 사용하는 방식이다.Currently widely used air purifiers are largely classified into two types. One is a method using a filter and the other is a method using a charged dust collection plate.

필터를 사용하는 방식은 수많은 미세 구멍을 가지는 필터를 공기가 통과하도록 하여 공기 중의 먼지를 필터의 미세 구멍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먼지를 분리한다. A method of using a filter separates dust by allowing air to pass through a filter having numerous fine pores and trapping dust in the air through the fine pores of the filter.

그런데 필터를 사용하는 방식에서, 공기 정화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필터의 구멍 크기를 매우 작게 하는 경우, 공기 정화 장치 내로 공기를 흡입할 때 압력 손실이 증가하게 되어 전력 소모량이 커지고, 먼지에 의해 오염된 필터를 수시로 세척하거나 교체해주어야 하므로 유지 관리가 번거롭고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method using a filter, if the hole size of the filter is made very small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air purification, pressure loss increases when air is sucked into the air purifier, resulting in increased power consumption and contamination by dust. Since the filter must be frequently washed or replaced, maintenance is cumbersome and uneconomical.

대전된 집진판을 사용하는 방식은 입자상의 공기 중의 먼지나 유해오염물질을 대전부(이오나이저)에서 대전시킨 후 공기를 반대극성을 가지는 집진판(콜렉터)의 전기적 흡인력으로 집진(제거)하는 방식이다. The method of using a charged dust collecting plate is a method of collecting (removing) dust or harmful contaminants in the air in the form of particles by electrifying the dust or harmful pollutants in the charging part (ionizer) and then collecting (removing) the air with the electric suction force of the dust collecting plate (collector) having the opposite polarity.

종래의 전기 집진 장치는, 고전압을 인가받아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킴으로써 먼지를 대전시키는 대전부와, 대전된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판으로 이루어진다.A conventional electrostatic precipitator includes a charging unit that charges dust by receiving a high voltage and generating a corona discharge, and a dust collection plate that collects the charged dust.

그런데 이러한 전기 집진 장치는 집진판을 공기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공기 이동 시 집진판과 공기의 접촉 면적 및 접촉 시간이 작아진다. 이에 따라, 공기에 포함된 먼지가 집진판에 달라붙지 않고 그대로 통과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electric dust collector uses the dust collecting plate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direction of air movement, the contact area and contact time between the dust collecting plate and air during air movement is reduced.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ust contained in the air passes through without sticking to the dust collection plate.

또한, 종래의 전기 집진 장치는 집진능력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이오나이저의 대전량을 증가시키거나 집진부의 길이를 증가시켜야 한다. 여기서, 집진부의 길이를 증가시키는 것은 전체 제품의 크기 또한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Also, in the conventional electric precipitator, the amount of charge of the ionizer or the length of the precipitator must be increased in order to improve the precipitate collection capability. Here, increasing the length of the dust collector causes a problem in that the size of the entire product also increases.

아울러, 집진부의 길이가 길어지면 외기 도입 속도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외기 도입 속도가 증가하게 되면 전기적 흡입력에 악영향을 주므로 집진 효율은 감소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the length of the dust collector is increase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speed of introducing outside air.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y decreases because the electric suction power is adversely affected when the outdoor air introduction rate increases.

KRKR 2018-00158912018-0015891 AA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집진판과 외부 공기의 접촉 면적 및 접촉 시간을 증가시킴으로써, 집진판의 집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 정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purifier capable of improving the dust collecting efficiency of a dust collecting plate by increasing the contact area and contact time between the dust collecting plate and external ai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측면 도어를 유압식 슬라이딩 방식으로 구비하는 동시에 복수의 집진판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장착함으로써,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공기 정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purifier capable of easy maintenance by providing a side door in a hydraulic sliding manner and simultaneously mounting a plurality of dust collection plates in a sliding manner.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가로방향으로 일측에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구비되고 타측에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에서 상기 유입구 측에 구비되어 상기 외부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대전시키는 대전부; 및 상기 본체의 가로방향을 따라 직렬로 배열되는 복수의 집진판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공기가 이동함에 따라 대전된 상기 먼지를 전기적으로 집진하는 집진부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 장치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main body provided with an inlet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introduced on one si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n outlet through which purified air is discharged on the other side; a charging unit provided at a side of the inlet in the main body to charge dust included in the outside air; and a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arranged in series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main body, and a dust collecting unit electrically collecting dust charged as the external air moves.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는, 일측면을 따라 상기 대전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개폐가능한 제1도어; 및 상기 제1도어의 일측에 상기 집진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개폐가능한 제2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ody may include a first openable and closable door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harging unit along one side; And it may include a second door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ust collecting unit on one side of the first door.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도어는 그 일측에 제1유압식 슬라이더가 구비되고, 상기 제2도어는 그 양측에 한 쌍의 제2유압식 슬라이더가 구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door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hydraulic slider on one side thereof, and the second door may be provided with a pair of second hydraulic sliders on both sides thereof.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도어는 제1회전가능한 결합부재를 통하여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도어는 제2회전가능한 결합부재를 통하여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door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through a first rotatable coupling member, and the second door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through a second rotatable coupling member. .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집진판은 상기 외부 공기가 상기 복수의 집진판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may be disposed such that the outside air moves along the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집진판은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다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may be configured in multiple stages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집진판은 상기 외부 공기의 이동 방향에 대해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may be disposed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external air.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집진판은 각 단별로 동일 방향의 사선 형태 또는 반복적으로 서로 상이한 방향의 사선 형태로 지그재그로 배열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on plates may be arranged in a zigzag pattern in the form of oblique lines in the same direction for each stage or in the form of oblique lines in different directions repeatedly.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집진부는 상기 복수의 집진판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복수의 집진판이 각도가 조정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ust collec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and the support may be coupled to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such that an angle thereof is adjustabl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집진판은 상기 지지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ust collecting plate may be coupled to the support in a sliding mann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대전부는 카본 브러쉬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harging unit may be a carbon brush.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 정화 장치는 상기 외부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오염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집진판의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대한 각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ir purifying device includes a sensor unit measuring the pollution level of the external air;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angles of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ntamina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는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main body may have a square shap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염도가 높을수록 상기 복수의 집진판의 상기 각도를 증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angle of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to increase as the degree of contamination increases.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입구는 상기 대전부로 상기 외부 공기가 집중되도록 경사판이 구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nlet may be provided with an inclined plate to concentrate the external air into the charging unit.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가로방향으로 일측에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구비되고 타측에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에서 상기 유입구 측에 구비되어 상기 외부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대전시키는 대전부; 상기 본체의 가로방향을 따라 직렬로 배열되는 복수의 집진판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공기가 이동함에 따라 대전된 상기 먼지를 전기적으로 집진하는 집진부; 및 상기 외부 공기의 오염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집진판의 각도를 조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일측면을 따라 상기 대전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개폐가능한 제1도어; 및 상기 제1도어의 일측에 상기 집진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개폐가능한 제2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도어는 그 일측에 제1유압식 슬라이더가 구비되고, 상기 제2도어는 그 양측에 한 쌍의 제2유압식 슬라이더가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main body provided with an inlet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introduced on one si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n outlet through which purified air is discharged on the other side; a charging unit provided at a side of the inlet in the main body to charge dust included in the outside air; a dust collecting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arranged in series along a transverse direction of the main body and electrically collecting the dust charged as the external air moves;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angles of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outside air, wherein the main body includes: a first openable and closable door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harging unit along one side surface; and a second door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doo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ust collecting unit, wherein the first door has a first hydraulic slider on one side thereof, and the second door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door. A pair of second hydraulic sliders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는 복수의 집진판을 외부 공기의 이동 방향을 따라 직렬로 다단으로 구성하고, 복수의 집진판을 외부 공기의 이동 방향에 대해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배치하여, 집진판과 외부 공기의 접촉 면적 및 접촉 시간을 증가시킴으로써, 집진판의 집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n air purify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in series in multiple stages along the movement direction of external air, and arranges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external air.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y of the dust collector can be improved by increasing the contact area and contact time between the air and the outside ai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는 측면 도어를 유압식 슬라이딩 방식으로 구비하는 동시에 복수의 집진판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장착함으로써,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acilitate maintenance by providing a side door in a hydraulic sliding manner and mounting a plurality of dust collection plates in a sliding manner at the same ti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의 일측면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의 타측면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측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상측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의 일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의 타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의 블록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side of an air purify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ther side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of an air purify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opened state.
4 is a side view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oor is opened.
5 is an upper perspective view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a door is opened.
6 is a side view of an air purify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other side view of an air purify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of an air purify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is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아래에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며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may be modif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s below.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invention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piri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 may include the plural form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lso, when used herein, "comprise" and/or "comprising" specifies the presence of the recited shap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elements, and/or groups thereof. and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shapes, numbers, operations, elements, elements and/or groups. As used herein, the term "and/or" includes any one and all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listed items.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영역 및/또는 부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특정 순서나 상하, 또는 우열을 의미하지 않으며, 하나의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다른 부재, 영역 또는 부위와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 부재, 영역 또는 부위는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지칭할 수 있다.Although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in this specification to describe various members, regions, and/or regions, it is obvious that these members, parts, regions, layers, and/or region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 These terms do not imply any particular order, top or bottom, or superiority or inferiority, and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element, region or region from another element, region or region. Thus, a first member, region or region described in detail below may refer to a second member, region or reg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ach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또는", "적어도 하나" 등의 용어는 함께 나열된 단어들 중 하나를 나타내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는 A 또는 B 중 하나만을 포함할 수 있고, A와 B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or” and “at least one” may represent one of the words listed together,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For example, "A or B" and "at least one of A and B" may include only one of A or B, or may include both A and B.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schematically show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variations of the depicted shape may be expected, depending, for example, on manufacturing techniques and/or tolerances. Therefor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specific shape of the area shown in this specification, but should include, for example, a change in shape caused by manufactur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의 일측면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의 타측면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정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side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ther side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This is a front view of an air purifying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n a state in which a door is opened.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100)는 본체(110), 대전부(130) 및 집진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3 , the air purify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ain body 110, a charging unit 130, and a dust collecting unit 140.

공기 정화 장치(100)는 실내의 천장면 위에 설치 가능한 형태의 전기 집진식 공기 정화 장치로서, 실내에서의 설치 공간을 차지하지 않아 공간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air purifier 100 is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type air purifier that can be installed on a ceiling surface of a room, and can improve space efficiency by not occupying an installation space in the room.

여기서, 공기 정화 장치(100)는 전단 또는 후단에 공기순환부가 설치될 수 있다. 공기순환부에는 광촉매 필터, 자외선 조사부 및 오존 필터를 포함하여 1차적으로 또는 2차적으로 외부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아울러, 공기순환부는 공기 정화 장치(100) 내에 외부 공기가 본체(110)의 유입구(110a)로 유입되어 배출구(110b) 측으로 유동하도록 일정한 풍량을 공급하는 송풍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an air circulation unit may be installed at the front or rear end of the air purifier 100. The air circulation unit includes a photocatalyst filter, an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and an ozone filter to primarily or secondarily purify external air. In addition, the air circula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blowing unit (not shown) for supplying a constant amount of air so that outside air is introduced into the inlet 110a of the main body 110 and flows toward the outlet 110b in the air purifier 100. there is.

이때, 공기 정화 장치(100)는 천장에 가로로 배치되는 가로형 전기 집진식 공기 청정 장치로서, 외부 공기를 도입하고 공기 정화 장치(100) 내에서 외부 공기가 이동시 중력에 의하여 미세먼지가 공기 정화 장치(100)의 하부측으로 침강되지 않도록 최적 유입 속도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전단에 설치된 송풍부(미도시)에서 공급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ir purifier 100 is a horizontal electrostatic precipitator air purifier disposed horizontally on the ceiling. When outside air is introduced and the outside air moves within the air purifier 100, fine dust is removed by gravity from the air purifier ( 100),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optimal inflow rate so as not to settle to the lower side. This may be supplied from a blower (not shown) installed at the front end.

이와 같이, 공기 정화 장치(100)는 전기 집진 방식으로 외부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흡착하기 위한 최소한의 구성에 의해 저가의 보급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air purifying device 100 can be manufactured as a low-cost, popular type by using a minimal configuration for adsorbing dust contained in external air in an electric precipitator method.

일례로, 광촉매 필터는 표면에 광촉매가 코팅되어 외부 공기 통과 시 1차 먼지를 흡착한다. 여기서, 1차 먼지는 수 마이크로 정도의 초미세 먼지의 전구체로서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일 수 있다. For example, a photocatalyst filter has a photocatalyst coated on its surface to adsorb primary dust when external air passes through. Here, the primary dust may be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as precursors of ultrafine dust with a size of several microns.

광촉매는 이산화티타늄(TiO2)일 수 있다. 이산화티타늄은 광반응성이 높고, 자원적으로 매우 풍부하여 가격이 저렴하며, 광촉매로서 내구성, 내마모성이 우수하여 그 자체가 안전하고, 무독성 물질이므로 폐기하여도 2차적인 공해가 없어 친환경적이다.The photocatalyst may be titanium dioxide (TiO2). Titanium dioxide has high photoreactivity, is abundant in resources, is inexpensive, has excellent durability and abrasion resistance as a photocatalyst, is safe in itself, and is non-toxic, so it is environmentally friendly because it does not cause secondary pollution even when discarded.

자외선 조사부는 광촉매 필터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광촉매 필터에 흡착된 1차 먼지를 제거한다. 즉, 자외선 조사부는 광촉매 필터에 직접 자외선을 조사하여 광반응을 발생시켜 광촉매 필터에 흡착된 1차 먼지를 이산화탄소 및 물로 분해하여 제거한다.The ultraviolet irradiator irradiates the photocatalyst filter with ultraviolet rays to remove primary dust adsorbed on the photocatalyst filter. That is, the ultraviolet irradiator directly irradiates ultraviolet rays to the photocatalyst filter to generate a photoreaction to decompose and remove the primary dust adsorbed on the photocatalyst filter with carbon dioxide and water.

전술한 바와 같이, 광촉매 필터는 외부 공기에서 1차 먼지를 걸러내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그 과정에서 흡착된 1차 먼지를 자외선 조사부가 제거한다. 이에 따라, 광촉매 필터를 교체 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hotocatalytic filter serves to filter primary dust from the outside air, and in the process, the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removes the adsorbed primary dust. Accordingly, the photocatalytic filter can be used semi-permanently without replacement.

광촉매 필터는, 광촉매 필터에 흡착된 1차 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자외선 조사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The photocatalyst filter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in order to effectively remove primary dust adsorbed on the photocatalyst filter.

오존 필터는 공기 정화 장치(100)에서 먼지를 대전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오존을 외부 공기에서 제거할 수 있다. 오존 필터는 공기 정화 장치(100)의 후단에 설치될 수 있다.The ozone filter can remove ozon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charging dust in the air purifier 100 from outside air. The ozone filter may be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air purifying device 100.

본체(110)는 천장 면위에 설치가 용이하도록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본체(110)는 천장 면 위에 설치되는 면이 평평한 평면으로 이루어지고, 대전부(130) 및 집진부(14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사각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main body 110 may have a square shape to facilitate installation on the ceiling surface. That is, the main body 110 may have a flat surface installed on the ceiling surface, and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charging unit 130 and the dust collecting unit 140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본체(110)는 공기 정화 장치(100)의 가로방향으로 일측에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10a)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서, 유입구(110a)는 공기 정화 장치(100)의 우측에 구비될 수 있다. The main body 110 may be provided with an inlet 110a through which external air flows into one side of the air purifier 10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1 to 3, the inlet 110a may be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air purifying device 100.

이때, 유입구(110a)는 대전부(130)로 외부 공기가 집중되도록 경사판(113)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경사판(113)은 유입구(110a)의 테두리로부터 유입구(110a)의 중앙 측으로 연장되게 구비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inlet 110a may be provided with an inclined plate 113 so that external air is concentrated on the charging unit 130 . Referring to FIG. 1 , the inclined plate 113 may be provided to extend from the edge of the inlet 110a toward the center of the inlet 110a.

즉, 경사판(113)은 유입구(110a)의 4변의 테두리로부터 유입구(110a)의 중심측으로 연장되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경사판(113)은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That is, the inclined plate 113 may be provided to extend from the four side edges of the inlet 110a toward the center of the inlet 110a. Here, the inclined plate 113 may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이에 의해, 공기 정화 장치(100)는 외부 공기가 유입구(110a) 측으로 유입될 때 유입구(110a)의 중앙 측으로 집중되게 함으로써, 외부 공기의 유입을 유도하는 동시에 유입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the air purifying device 100 may induce the inflow of external air and simultaneously improve the inflow speed by concentrating the external air toward the center of the inlet 110a when it is introduced into the inlet 110a.

또한, 본체(110)는 공기 정화 장치(100)의 가로방향으로 타측에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10b)구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배출구(110b)는 사각 형상 틀로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in body 110 may be provided with an outlet 110b through which purified air is discharged on the other side of the air purifier 10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Referring to Figure 2, the outlet (110b) may be provided with a rectangular frame.

본체(110)는 일측면을 따라 구비된 제1도어(111) 및 제2도어(1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체(110)는 제1도어(111) 및 제2도어(112)에 대응하는 위치에 그에 대응하는 형상의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The body 110 may include a first door 111 and a second door 112 provided along one side. Here, the main body 110 may have openings having corresponding shapes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door 111 and the second door 112 .

제1도어(111)는 본체(110)의 일측면에서 대전부(130)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도어(111)는 유입구(110a) 측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서 제1도어(111)는 공기 정화 장치(100)의 일측면(도면들에서 전면)에서 우측에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door 111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harging unit 130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10 . That is, the first door 111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inlet 110a. 1 to 3, the first door 111 may be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one side (front in the drawings) of the air purifier 100.

이때, 제1도어(111)는 개폐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도어(111)는 본체(110)에 내장된 대전부(13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작업자는 대전부(130)의 접근이 용이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door 111 may be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at is, the first door 111 may be opened to expose the charging unit 130 built in the main body 110 to the outside. As a result, the operator can easily access the charging unit 130 .

제2도어(112)는 본체(110)의 일측면에서 집진부(140)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제2도어(112)는 제1도어(111)의 일측에서 배출구(110b) 측에 구비될 수 있다. The second door 112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ust collecting unit 140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10 . That is, the second door 112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door 111 toward the outlet 110b.

일례로, 도 1 내지 도 3에서 제2도어(112)는 공기 정화 장치(100)의 일측면(도면들에서 전면)에서 좌측에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in FIGS. 1 to 3 , the second door 112 may be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one side (front in the drawings) of the air purifier 100 .

이때, 제2도어(112)는 개폐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제2도어(112)는 본체(110)에 내장된 집진부(14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작업자는 집진부(140) 접근이 용이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door 112 may be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at is, the second door 112 may be opened to expose the dust collecting unit 140 built in the main body 110 to the outside. As a result, the operator can easily access the dust collecting unit 140 .

대전부(130)는 본체(110) 내에서 유입구 측에 구비될 수 있다. 대전부(130)는 유입구(110a)를 통하여 유입되는 외부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대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대전부(130)는 먼지를 대전하기 위한 복수의 전극이 구비될 수 있다.The charging unit 130 may be provided on the inlet side of the main body 110 . The charging unit 130 may charge dust included in external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10a. Here, the charging unit 13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lectrodes for charging dust.

이때, 대전부(13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고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따라서 대전부(130)는 인가된 고전압에 의해 내부 전극 사이에 코로나 방전을 발생할 수 있다. At this time, a high voltage may be applied to the charging unit 13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70 as will be described later. Accordingly, the charging unit 130 may generate a corona discharge between the internal electrodes by the applied high voltage.

대전부(130)는 이러한 코로나 방전을 통해 외부 공기에 포함된 먼지가 전기성을 띄도록 대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대전되는 먼지는 수십 마이크로미터 정도의 미세 먼지일 수 있다.The charging unit 130 may charge the dust included in the external air to become electrically charged through the corona discharge. Here, the charged dust may be fine dust on the order of several tens of micrometers.

대전부(130)는 카본 브러쉬일 수 있다. 이에 의해, 대전부(130)는 먼지를 대전시키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오존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정화 장치(100)는 다량의 오전에 의한 대기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The charging unit 130 may be a carbon brush. Accordingly, the charging unit 130 can suppress ozon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charging the dust. Accordingly, the air purifying device 100 can prevent air pollution caused by a large amount of AM.

대전부(130)는 유입구(110a)의 경사판(113)에 의해 노출된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대전부(130)는 경사판(113)에 의해 유입구(110a)의 중앙측으로 집속된 외부 공기가 유입되면서 대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harging unit 130 may be provided on a portion exposed by the inclined plate 113 of the inlet 110a. That is, the charging unit 130 can be charged while the external air concentrated by the inclined plate 113 toward the center of the inlet 110a is introduced.

집진부(140)는 본체(110)의 내부에서 대전부(130)의 후단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집진부(140)는 본체(110)의 가로방향을 따라 직렬로 배열되는 복수의 집진판(141)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ust collecting unit 140 may be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charging unit 130 inside the main body 110 . Here, the dust collecting unit 140 may include a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141 arranged in series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10 .

아울러, 복수의 집진판(141) 각각은 평판형의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집진판(141)은 양측이 지지대(142)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141 may be formed in a flat rectangular shape. Here, both sides of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141 may be coupled to the support 142 in a sliding manner.

이때, 집진부(140)는 외부 공기가 이동함에 따라 대전부(130)에 의해 대전된 먼지를 집진판(141)에서 전기적으로 집진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집진판(141) 각각은 대전된 1차 먼지의 극성과 반대되는 극성으로 대전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dust collecting unit 140 may electrically collect dust charged by the charging unit 130 from the dust collecting plate 141 as the outside air moves. Here, each of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on plates 141 may be charged with a polarity opposite to that of the charged primary dust.

구체적으로, 외부 공기가 대전부(130)에서 집진부(140)로 이동하면, 대전부(130)에 의해 대전된 먼지는 전기적 인력에 의해 복수의 집진판(141)에 달라붙게 되고, 이에 따라, 외부 공기에서 먼지가 제거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outside air moves from the charging unit 130 to the dust collecting unit 140, dust charged by the charging unit 130 adheres to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141 by electrical attraction, and thus, outside Dust can be removed from the air.

한편, 집진판(141)에 집진된 먼지가 포화되면 더 이상 집진이 어렵기 때문에 집진판(141)을 일정 주기마다 세척할 필요가 있다. 이때, 하나의 집진판(141)을 비교적 대형으로 제작하여 사용할 경우 세척 시 불편함을 초래하고, 세척 과정에서 집진판(141)이 손상될 가능성이 높다.On the other hand, if the dust collected on the dust collecting plate 141 is saturated, it is difficult to collect dust any more, so the dust collecting plate 141 needs to be washed at regular intervals. At this time, when one dust collecting plate 141 is manufactured and used in a relatively large size, it causes inconvenience during washing, an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dust collecting plate 141 is damaged during the washing proces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100)는 비교적 소형의 집진판(141)을 복수 개로 구비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집진판(141)의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세척 시 집진판(14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air purify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elatively small dust collecting plates 141, it is possible to easily clean the dust collecting plate 141, and during washing, the dust collecting plate 141 damage can be prevented.

도 3을 참조하면, 집진부(140)는 대전부(130) 측으로부터 배출구(110b) 측으로 본체(11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다단으로 구성되어 직렬로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집진부(140)는 복수의 집진판(141)을 지지하는 지지대(1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dust collection unit 140 may be configured in multiple stages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10 and arranged in series from the charging unit 130 side to the outlet 110b side. Here, the dust collecting unit 140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142 supporting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141 .

이때, 지지대(142)는 대전부(130) 측으로부터 배출구(110b) 측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지지대(142)는 집진판(141)이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upport 142 may be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from the charging unit 130 side to the discharge port 110b side. That is, the supports 142 may b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to form a space into which the dust collecting plate 141 is inserted.

여기서, 집진판(141)은 지지대(142)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집진판(141)은 양측에 구비된 지지대(142)에 결합될 때, 제2도어(112) 측에서 본체(110)의 내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Here, the dust collection plate 141 may be coupled to the support 142 in a sliding manner. That is, when the dust collecting plate 141 is coupled to the supports 142 provided on both sides, it may be coupled in a sliding manner from the side of the second door 112 toward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10 .

일례로, 지지대(142)는 높이 방향을 따라 집진판(141)이 결합되는 부분에 슬롯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집진판(141)은 지지대(142)의 슬롯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upport 142 may be provided with a slot at a portion where the dust collecting plate 141 is coupl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That is, the dust collection plate 141 may slide along the slot of the support 142 .

아울러, 지지대(142)는 복수의 집진판(141)이 각도가 조정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집진판(141)은 지지대(142)를 따라 본체(110)의 높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례로, 집진판(141)은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본체(110)의 높이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기울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142 may be coupled with a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141 such that an angle thereof is adjustable. That is,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on plates 141 may move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main body 110 along the support 142 . For example, the dust collecting plate 141 may be disposed inclined as one side is fixed and the other side moves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main body 110 .

이때, 복수의 집진판(141)은 외부 공기가 복수의 집진판(141)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집진판(141)은 공기 정화 장치(100)의 길이방향으로 다단으로 배열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집진판(141)은 공기 정화 장치(100)의 길이방향으로 직렬로 배열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141 may be disposed such that external air moves along the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141 . Specifically,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141 may be arranged in multiple stag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ir purifying device 100 . That is,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141 may be arranged in seri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ir purifying device 100 .

아울러, 복수의 집진판(141)은 공기 정화 장치(100)의 높이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집진판(141) 사이에서 일정간격으로 이격하여 병렬로 배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집진판(141)은 그 사이에서 외부 공기의 이동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141 may b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nd arranged in parallel between the dust collecting plates 141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air purifying device 100 . In this way,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141 may form a movement path of external air therebetween.

한편, 직렬로 배열된 복수의 집진판(141)이 공기 정화 장치(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형태로 배치되면, 복수의 집진판(141)과 외부 공기의 이동 방향이 평행하게 되어, 외부 공기 이동 시 집진판(141)과 외부 공기의 접촉 면적 및 접촉 시간이 작아진다. On the other hand, when a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141 arranged in series ar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ir purifier 100,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141 and the outside air are parallel, so that the outside air moves. The contact area and contact time between the time dust collecting plate 141 and the outside air are reduced.

이에 따라, 외부 공기에 포함된 대전된 먼지가 집진판(141)에 달라붙지 않고 외부 공기가 집진부(140)를 그대로 통과할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은 문제점은 외부 공기의 이동 속도가 빠를수록 더 집진부(140)에 달라붙지 않고 그냥 통과하는 경향이 크게 나타난다. Accordingly, the charged dust included in the external air does not stick to the dust collecting plate 141 and the external air can pass through the dust collecting unit 140 as it is. In particular, such a problem is that the faster the moving speed of the outside air is, the more it tends to pass without sticking to the dust collector 140.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공기 정화 장치(100)는 복수의 집진판(141)이 외부 공기의 이동 방향에 대해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집진판(141)의 기울어진 각도는 10도 내지 20도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도일 수 있다.To solve this problem, in the air purifying device 100,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141 may be disposed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external air. Here, the inclined angle of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141 may be 10 degrees to 20 degrees, preferably 15 degrees.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100)는 집진판(141)과 외부 공기의 접촉 면적 및 접촉 시간을 증가시킴으로써, 집진판(141)의 집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air purify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dust collecting efficiency of the dust collecting plate 141 by increasing the contact area and contact time between the dust collecting plate 141 and external air.

일례로, 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직렬로 배열되는 복수의 집진판(141)은 각 단별로 동일 방향의 사선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복수의 집진판(141)은 각 단별로 반복적으로 서로 상이한 방향의 사선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집진판(141)은 각 단별로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141 arranged in seri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10 may be arranged in an oblique shape in the same direction for each stage. As another example,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141 may be repeatedly arranged in an oblique shape in different directions for each stage. Preferably, as shown in FIG. 3 ,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141 may be arranged in a zigzag form for each stag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측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상측 사시도이다.4 is a side view of an air purify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open state, and FIG. 5 is an upper perspective view of an air purify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open state.

도 2를 참조하면, 제1도어(111)는 그 일측에 제1유압식 슬라이더(111a)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제1도어(111)는 제2도어(112) 측에 제1유압식 슬라이더(111a)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유압식 슬라이더(111a)는 일측이 본체(110)에 결합되고, 타측이 제1도어(111)에 결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a first hydraulic slider 111a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door 111 . For example, the first door 111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hydraulic slider 111a on the side of the second door 112 . At this time, one side of the first hydraulic slider 111a may be coupled to the body 110 and the other side may be coupled to the first door 111 .

여기서, 제1유압식 슬라이더(111a)는 유압에 의해 직선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제1도어(111)를 개폐할 수 있다. 즉, 제1유압식 슬라이더(111a)는 본체(110) 내측에서 외측으로 직선 슬라이딩함으로써, 제1도어(111)가 본체(110)의 개구를 닫은 상태에서 상측으로 개방될 수 있다.Here, the first hydraulic slider 111a can open and close the first door 111 by sliding linearly by hydraulic pressure. That is, the first hydraulic slider 111a linearly slides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10, so that the first door 111 can be opened upward in a state where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110 is closed.

도 5를 참조하면, 제1도어(111)는 제1힌지(114)를 통하여 본체(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힌지(114)는 회전가능한 결합부재일 수 있다. 즉, 제1힌지(114)는 제1도어(111)의 일측과 본체(110)의 일측이 결합되는 부분에 결합되어 제1도어(111)의 개폐에 따라 본체(11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다. Referring to FIG. 5 , the first door 111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110 through the first hinge 114 . Here, the first hinge 114 may be a rotatable coupling member. That is, the first hinge 114 is coupled to a portion where one side of the first door 111 and one side of the main body 110 are coupled and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10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door 111. .

이와 같이, 제1도어(111)는 제1유압식 슬라이더(111a)의 직선 슬라이딩과 동시에 제1힌지(114)의 회전에 의해 본체(110)의 일측에서 개구를 개폐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first door 111 can be opened and clos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110 by the linear sliding of the first hydraulic slider 111a and the rotation of the first hinge 114 at the same time.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2도어(112)는 그 양측에 한 쌍의 제2유압식 슬라이더(112a, 112b)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제2도어(112)는 제1도어(111) 측과 배출구(110b) 측에 각각 제2유압식 슬라이더(112a, 112b)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2유압식 슬라이더(112a, 112b) 각각은 일측이 본체(110)에 결합되고, 타측이 제2도어(112)에 결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and 4 , the second door 112 may be provided with a pair of second hydraulic sliders 112a and 112b on both sides thereof. For example, the second door 112 may be provided with second hydraulic sliders 112a and 112b on the first door 111 side and the outlet 110b side, respectively. At this time, one side of each of the second hydraulic sliders 112a and 112b may be coupled to the main body 110 and the other side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door 112 .

여기서, 제2유압식 슬라이더(112a, 112b)는 유압에 의해 직선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제2도어(112)를 개폐할 수 있다. 즉, 제2유압식 슬라이더(112a, 112b) 각각은 본체(110) 내측에서 외측으로 직선 슬라이딩함으로써, 제2도어(112)가 본체(110)의 개구를 닫은 상태에서 상측으로 개방될 수 있다.Here, the second hydraulic sliders 112a and 112b can open and close the second door 112 by linearly sliding by hydraulic pressure. That is, each of the second hydraulic sliders 112a and 112b linearly slides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10, so that the second door 112 can be opened upward in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110 is closed.

도 5를 참조하면, 제2도어(112)는 제2힌지(115)를 통하여 본체(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2힌지(115)는 회전가능한 결합부재일 수 있다. 즉, 제2힌지(115)는 제2도어(112)의 일측과 본체(110)의 일측이 결합되는 부분에 결합되어 제2도어(112)의 개폐에 따라 본체(11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다. Referring to FIG. 5 , the second door 112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110 through the second hinge 115 . Here, the second hinge 115 may be a rotatable coupling member. That is, the second hinge 115 is coupled to a portion where one side of the second door 112 and one side of the main body 110 are coupled and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10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econd door 112. .

이와 같이, 제2도어(112)는 제2유압식 슬라이더(112a, 112b)의 직선 슬라이딩과 동시에 제2힌지(115)의 회전에 의해 본체(110)의 일측에서 개구를 개폐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second door 112 can be opened and clos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110 by linear sliding of the second hydraulic sliders 112a and 112b and rotation of the second hinge 115 at the same time.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100)는 천장의 상부에 설치된 상태에서도, 제1도어(111) 및 제2도어(112)의 개폐가 용이하고, 집진판(141)을 지지대(142)에 슬라이딩하여 결합하는 것이 용이하므로 장치 전반적인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Accordingly, in the air purify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oor 111 and the second door 112 are easily opened and closed even when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ceiling, and the dust collecting plate 141 is removed. Since it is easy to slide and couple to the support 142, overall maintenance of the device can be facilitated.

일례로, 공기 정화 장치(100)가 천장면 위에 설치할 때, 작업자가 제1도어(111) 및 제2도어(112)의 양측에 설치된 제1유압식 슬라이더(111a) 및 제2유압식 슬라이더(112a, 112b)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제1도어(111) 및 제2도어(112)를 개방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air purifier 100 is installed on the ceiling surface, the operator installs the first hydraulic slider 111a and the second hydraulic slider 112a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door 111 and the second door 112, 112b) can easily open the first door 111 and the second door 112.

또한, 집진판(141)은 개별로 다단으로 제작되어 작업자는 제2도어(112)가 개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집진판(141)을 본체(110)로부터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ust collecting plate 141 is individually manufactured in multiple stages, a worker can easily attach and detach the dust collecting plate 141 from the main body 110 in a sliding manner while the second door 112 is ope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의 일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의 타측면도이다. 6 is a side view of an air purify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side view of the air purify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체(110)는 유입구(110a) 측에서 경사판(113)이 구비될 수 있다. 경사판(113)은 본체(110)의 테두리로부터 중심측으로 연장되게 구비됨으로써, 외부 공기의 유입을 유도하는 동시에 유입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 the main body 110 may be provided with an inclined plate 113 at the side of the inlet 110a. The inclined plate 113 is provided to extend from the rim of the main body 110 toward the center, thereby inducing the inflow of external air and improving the inflow speed.

도 7을 참조하면, 본체(110)는 배출구(110b) 측에서 사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대(142)는 배출구(110b)의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지지대(142)는 본체 에서 폭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폭 방향은 도 7에서 좌우 방향을 의미한다. Referring to FIG. 7 , the main body 110 may be provided in a square shape on the side of the outlet 110b. Here, the support 142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outlet 110b. That is, the support 142 may be provid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in body. Here, the width direction means the left-right direction in FIG. 7 .

이에 의해, 집진판(141)이 폭방향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지지대(142)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집진판(141)은 지지대(142)에서 높이 방향으로 다단으로 병렬로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dust collection plate 141 may be coupled to the support 142 in a sliding manner in the width direction. That is, the dust collection plates 141 may be coupled in parallel in multiple stages in the height direction on the support 142 .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의 블록도이다.8 is a block diagram of an air purify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공기 정화 장치(100)는 센서부(150), 표시부(160) 및 제어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the air purifying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unit 150, a display unit 160, and a control unit 170.

센서부(150)는 유입구(110a) 내부에 배치되어 외부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다. 아울러, 센서부(150)는 배출구(110b) 내부에 배치되어 정화 공기의 정화도를 측정할 수도 있다. The sensor unit 150 may be disposed inside the inlet 110a to measure the pollution level of external air. In addition, the sensor unit 150 may be disposed inside the outlet 110b to measure the degree of purification of purified air.

표시부(160)는 본체(110) 외측에 구비되어 센서부(150)에 의해 측정된 외부 공기의 오염도 및 정화 공기의 정화도를 각각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60 may be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10 to display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external air and the degree of purification of purified air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50 , respectively.

제어부(170)는 대전부(130), 집진부(140), 센서부(150) 및 표시부(16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공기 정화 장치(100)에 내장된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70 may control operations of the charging unit 130, the dust collecting unit 140, the sensor unit 150, and the display unit 160. The controller 170 may be a microprocessor built into the air purifier 100.

제어부(170)는 센서부(150)에 의해 측정된 외부 공기의 오염도에 따라 복수의 집진판(141)의 본체(110)의 바닥면에 대한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지지대(142)를 따라 집진판(141)이 슬라이딩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집진판(141)의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70 may control angles of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141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external air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50 . That is,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angle of the dust collecting plate 141 by controlling the sliding of the dust collecting plate 141 along the support 142 .

일례로, 제어부(170)는 센서부(150)에 의해 측정된 외부 공기의 오염도가 높을수록 복수의 집진판(141)의 각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집진판(141)은 외부 공기가 복수의 집진판(141)에 접촉되는 면적 및 시간을 증가시켜 외부 공기에서 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70 may increase the angles of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141 as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external air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50 increases.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141 can effectively remove dust from the outside air by increasing the area and time in which external air is in contact with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141 .

한편, 제어부(170)는 센서부(150)에 의해 측정된 외부 공기의 오염도에 따라 전단에 구비된 공기순환부와 연동하여 공기순환부의 송풍부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도 있다. Meanwhile, the control unit 170 may control the rotational speed of the blowing unit of the air circulation unit in conjunction with the air circulation unit provided at the front end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external air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50.

일례로, 제어부(170)는 센서부(150)에 의해 측정된 외부 공기의 오염도가 높을수록 전단에 설치된 공기순환부의 송풍팬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 정화 장치(100)는 본체(110)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속도를 증가시켜 신속히 외부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70 may control the rotational speed of the blower fan of the air circulation unit installed at the front end to increase as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external air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50 increases. Accordingly, the air purifying device 100 can quickly purify the outside air by increasing the speed of the outside air flowing into the main body 110 .

한편, 외부 공기의 유입 속도가 증가됨에도 불구하고, 복수의 집진판(141)의 각도를 비교적 작게 형성하게 되면, 다량의 외부 공기가 복수의 집진판(141)에 접촉하지 않고 그대로 통과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먼지를 효과적으로 집진할 수 없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ngle of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141 is relatively small even though the inflow speed of the outside air is increased, a large amount of outside air can pass through without contacting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141. dust cannot be collected effectively.

이와 달리, 복수의 집진판(141)의 각도가 증가됨에도 불구하고, 외부 공기의 유입 속도가 비교적 느리게 되면, 외부 공기가 집진부(140)를 통과함에 있어 복수의 집진판(141)이 방해 요소로 작용하여 정화 공기의 배출 속도가 느려진다.Unlike this, despite the increase in the angle of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141, when the inflow speed of external air is relatively slow,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141 act as an obstacle while the external air passes through the dust collecting unit 140, The discharge speed of purified air is slowed down.

따라서 제어부(170)는 외부 공기의 오염도에 따라 공기순환부의 송풍부의 회전 속도 및 복수의 집진판(141)의 각도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외부 공기의 오염도에 실시간으로 대응하여 외부 공기를 정화할 수 있고, 외부 공기의 정화도 및 정화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control unit 170 appropriately adjust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blowing unit of the air circulation unit and the angles of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141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external air, thereby responding to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external air in real time to purify the external air. , the degree of purification and purification speed of external air can be improv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Alth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 ele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However, it will be possible to easily suggest other embodiments by means of changes, deletions, additions, etc., but this will also be sai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공기 정화 장치 110 : 본체
110a : 유입구 110b : 배출구
111 : 제1도어 111a: 제1유압식 슬라이더
112 : 제2도어 112a, 112b : 제2유압식 슬라이더
113 : 경사판 114 : 제1힌지
115 : 제2힌지 130 : 대전부
140 : 집진부 141 : 집진판
142 : 지지대 150 : 센서부
160: 표시부 170: 제어부
100: air purifier 110: main body
110a: inlet 110b: outlet
111: first door 111a: first hydraulic slider
112: second door 112a, 112b: second hydraulic slider
113: inclined plate 114: first hinge
115: second hinge 130: charging unit
140: dust collecting unit 141: dust collecting plate
142: support 150: sensor unit
160: display unit 170: control unit

Claims (16)

가로방향으로 일측에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구비되고 타측에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에서 상기 유입구 측에 구비되어 상기 외부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대전시키는 대전부;
상기 본체의 가로방향을 따라 직렬로 배열되는 복수의 집진판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공기가 이동함에 따라 대전된 상기 먼지를 전기적으로 집진하는 집진부; 및
상기 외부 공기의 오염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집진판의 각도를 조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집진판은,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다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외부 공기의 이동 방향에 대해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배치되되, 각 단별로 반복적으로 서로 상이한 방향의 사선 형태로 지그재그로 배열되며,
상기 본체는,
일측면을 따라 상기 대전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개폐가능한 제1도어; 및
상기 제1도어의 일측에 상기 집진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개폐가능한 제2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도어는 그 일측에 제1유압식 슬라이더가 구비되고,
상기 제2도어는 그 양측에 한 쌍의 제2유압식 슬라이더가 구비되는 공기 정화 장치.
A main body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introduced on one side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n outlet through which purified air is discharged on the other side;
a charging unit provided at a side of the inlet in the main body to charge dust included in the outside air;
a dust collecting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arranged in series along a transverse direction of the main body and electrically collecting dust charged as the outside air moves;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adjust the angles of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outside air,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on plates,
It is composed of multiple stages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and is disposed inclined at a certain angle with respect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external air, and is repeatedly arranged in a zigzag shape in an oblique shape in different directions for each stage,
the body,
a first door capable of being opened and closed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harging unit along one side; and
A second doo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door and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ust collecting unit,
The first door is provided with a first hydraulic slider on one side thereof,
The second door is an air purifier having a pair of second hydraulic sliders on both sides thereof.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는 제1회전가능한 결합부재를 통하여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도어는 제2회전가능한 결합부재를 통하여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공기 정화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door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through a first rotatable coupling member, and the second door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through a second rotatable coupling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집진판은 상기 외부 공기가 상기 복수의 집진판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배치되는 공기 정화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are arranged so that the external air moves along the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는 상기 복수의 집진판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복수의 집진판이 각도가 조정가능하게 결합되는 공기 정화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ust collecting unit further includes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The support is an air purifying device in which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on plates are coupled to adjust angle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판은 상기 지지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는 공기 정화 장치.
According to claim 9,
The dust collecting plate is coupled to the support in a sliding man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부는 카본 브러쉬인 공기 정화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harging unit is an air purifier of a carbon brus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 정화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ir purifier further comprising a sensor unit for measuring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external ai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사각 형상을 갖는 공기 정화 장치.
According to claim 12,
The body is an air purifier having a square shap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염도가 높을수록 상기 복수의 집진판의 상기 각도를 증가시키도록 제어하는 공기 정화 장치.
According to claim 12,
The control unit,
An air purifier for controlling the angles of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on plates to increase as the degree of contamination increa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상기 대전부로 상기 외부 공기가 집중되도록 경사판이 구비되는 공기 정화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inlet is an air purifier provided with an inclined plate so that the external air is concentrated to the charging unit.
삭제delete
KR1020200177424A 2020-12-17 2020-12-17 Air purifier KR1025231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424A KR102523190B1 (en) 2020-12-17 2020-12-17 Air pur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424A KR102523190B1 (en) 2020-12-17 2020-12-17 Air purifi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7071A KR20220087071A (en) 2022-06-24
KR102523190B1 true KR102523190B1 (en) 2023-04-18

Family

ID=82215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7424A KR102523190B1 (en) 2020-12-17 2020-12-17 Air purifi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319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6227B1 (en) 2022-11-30 2023-11-23 박주현 Air purification apparatu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85560A (en) * 2008-05-29 2009-12-10 Panasonic Corp Electric dust collector unit
KR102026199B1 (en) * 2018-03-05 2019-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KR102177010B1 (en) * 2020-08-28 2020-11-1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Insulation system of electric precipitator used in diesel generator for drilling rig and diesel engine for ship and electric precipitator includ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618B1 (en) * 2009-02-17 2011-05-06 한국기계연구원 Electric Dust Collector using carbon fiber
KR20180015891A (en) 2016-08-04 2018-02-14 메탈젠텍 주식회사 Air purification dust collector, Street lamps for air cleaning dust collector and Traffic lights for air purification dust collec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85560A (en) * 2008-05-29 2009-12-10 Panasonic Corp Electric dust collector unit
KR102026199B1 (en) * 2018-03-05 2019-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KR102177010B1 (en) * 2020-08-28 2020-11-1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Insulation system of electric precipitator used in diesel generator for drilling rig and diesel engine for ship and electric precipitator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7071A (en) 2022-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6170B1 (en) Air purifier
KR102130743B1 (en) Air Filter Module
CN208475478U (en) A kind of domestic intelligent air purifier
KR102523190B1 (en) Air purifier
KR102425915B1 (en) Air purifier
KR20180043561A (en) Static electricity air filter
KR20200069804A (en) Blind type air cleaning device
CN207772841U (en) A kind of vehicular air purifier of high dust collection efficiency
CN204973434U (en) Multi -functional air purification device in electrode
KR200430268Y1 (en) Mobile Air Filter
CN108072079B (en) Electrostatic oil fume purifying device and range hood using same
KR101981011B1 (en) Air purifier
CN205073817U (en) Binary grafting air purification filter core convenient to maintain
CN104436884A (en) Self-circulation chemical air filtering method and filtering equipment thereof
CN213272895U (en) Indoor machine of air conditioner
CN218781407U (en) Clean fresh air fan and system with efficient electrostatic dust removal and sterilization functions
CN105318449A (en) Intelligently movable air purifier
TWI579052B (en) Electrostatic dust collector and air cleaning equipment to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electrode
CN209026983U (en) A kind of primary no material consumption automatically cleaning fresh air section
CN208652838U (en) A kind of new blower with filter gauze cleaning function
KR101685147B1 (en) Dust filtering apparatus
CN105757794A (en) Integrated washable direct-current electrostatic coagulation adsorption and HEPA (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purifying system
CN206771585U (en) A kind of low energy consumption thermostatic air purifier device
KR20120042005A (en) Filter and air conditioner comprising the same
CN105855052A (en) Air purifier PM2.5 collec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