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3084B1 - 납축전지의 케이스와 카바의 융착 강도 강화 방법 - Google Patents

납축전지의 케이스와 카바의 융착 강도 강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3084B1
KR102523084B1 KR1020200125910A KR20200125910A KR102523084B1 KR 102523084 B1 KR102523084 B1 KR 102523084B1 KR 1020200125910 A KR1020200125910 A KR 1020200125910A KR 20200125910 A KR20200125910 A KR 20200125910A KR 102523084 B1 KR102523084 B1 KR 102523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lead
fusion
sawtooth
acid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5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2720A (ko
Inventor
최석모
윤강현
김지영
Original Assignee
한국앤컴퍼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앤컴퍼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앤컴퍼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5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3084B1/ko
Publication of KR20220042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2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3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3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6Lead-acid 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납축전지의 케이스와 카바의 융착 강도 강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납축전지의 카바(10)와 플라스틱 전조(20) 간에 열융착시, 측면 융착부위의 기밀 취약성을 개선하고자 톱니형열판에 의해 납축전지의 카바(10)와 플라스틱 전조(20)의 융착면에 열을 가하여 톱니형 모양으로 녹이게 되어 융착 면적을 넓히게 됨으로써, 접합 강도(융착 강도)를 강화시키기 위한 납축전지의 케이스와 카바의 융착 강도 강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납축전지 열 융착시, 납축전지 케이스의 카바의 휨이나 수축에 의한 뒤틀림으로 기밀에 취약하므로 톱니형 모양의 융착부를 제공하여 융착 면적을 충분히 넓힘으로써, 납축전지의 리크(Leak)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납축전지의 케이스와 카바의 융착 강도 강화 방법{How to strengthen the fusion strength of lead acid battery case and cover}
본 발명은 납축전지의 케이스와 카바의 융착 강도 강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납축전지의 카바(10)와 플라스틱 전조(20) 간에 열융착시, 측면 융착부위의 기밀 취약성을 개선하고자 톱니형열판에 의해 납축전지의 카바(10)와 플라스틱 전조(20)의 융착면에 열을 가하여 톱니형 모양으로 녹이게 되어 융착 면적을 넓히게 됨으로써, 접합 강도(융착 강도)를 강화시키기 위한 납축전지의 케이스와 카바의 융착 강도 강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납 축전지는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시키거나 전기적 에너지를 화학적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장치로, 예를 들어, 자동차에 설치되어 엔진을 시동하거나 점화장치, 등화장치 등의 전원으로 사용되며, 그 종류에는 크게 납산 축전지(Lead-Acid Storage Battery)와 알칼리 축전지(Alkali Storage Battery)가 있다.
이 중에서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축전지는 납산 축전지로 도 1을 참조하여 그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용 납산 축전지(이하 자동차용 축전지 또는 축전지라 함, 100)는, 한 쌍의 전극 단자(122, 124)를 포함하는 케이스(110, 120), 상기 케이스(110, 120) 내부에 구비되고 여러 쌍의 양극판(132)과 음극판(134)을 포함하는 기판 어셈블리(130) 및 상기 한 쌍의 단자와 양극판(132), 음극판(134)을 각각 연결하는 연결수단(1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10)는 내부에 소정 셀(112)이 마련되는 전조(110)와, 상기 셀(112)이 밀봉되도록 상기 전조(1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12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전조(110)의 내부에 마련된 셀(112)은 파티션(114)에 의해 다수개로 구획된다.
또한, 상기 커버(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셀(112)이 밀봉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상부에는 한 쌍의 전극 단자(122, 124), 즉 양극 단자(122) 및 음극 단자(124)가 외부로 노출되게 마련된다.
상기 기판 어셈블리(130)는 상기 전조(110)의 내부에 형성된 각 셀(112) 마다 설치되어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복수의 양극판(132), 상기 양극판(132) 사이마다 위치되는 음극판(134) 및 상기 양극판(132)과 음극판(134) 사이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 극판(양극판과 음극판, 132와 134) 사이에 위치되는 격리판(136)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기판 어셈블리(130)가 설치되는 셀(112)의 나머지 공간에는 전해액(미도시)인 묽은 황산이 충진되어 상기 양극판(132)과 음극판(134) 사이의 화학 반응을 돕는다.
상기 연결수단(140)은, 복수의 양극판(132)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양극 스트랩(142)과, 복수의 음극판(134)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음극 스트랩(144)과, 상기 양극 및 음극 스트랩(132, 134)을 상기 양극 및 음극 단자(122, 124)와 연결하는 포스트(146)로 이루어진다.
한편, 일반적으로 납축전지는 플라스틱 전조와 상부 카바를 어셈블리할 때 열판 융착공정이 적용되고 있다.
여기서, 열판 융착이란, 상/하 지그에 고정된 용착물을 재질의 용융 온도보다 약간 높은 온도로 가열된 열판으로 가압하여 가열, 연화, 용융시킨 후, 용착부 부위가 충분히 녹았을 때, 열판을 제거하고 상호 가압한 후 굳을 때까지 냉각시켜 용착시키는 방법이다.
따라서, 플라스틱 전조와 상부 카바가 단단히 결합되어 납축전지 케이스가 완성되어 이를 납품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플라스틱(P.P) 전조(container)와 카바(cover) 수지를 녹여 열융착을 수행할 경우에,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 부위의 기밀이 취약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하기 위한 제조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고, 본 발명은 측면 부위의 기밀이 취약해지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톱니형열판에 의해 납축전지의 카바(10)와 플라스틱 전조(20)의 융착면에 열을 가하여 톱니형 모양으로 녹이게 되어 융착 면적을 넓히게 됨으로써, 접합 강도(융착 강도)를 강화시키기 위한 납축전지의 케이스와 카바의 융착 강도 강화 방법을 제안하게 된 것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627037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납축전지의 카바(10)와 플라스틱 전조(20) 간에 열융착시, 측면 융착부위의 기밀 취약성을 개선하고자 톱니형열판에 의해 납축전지의 카바(10)와 플라스틱 전조(20)의 융착면에 열을 가하여 톱니형 모양으로 녹이게 되어 융착 면적을 넓히게 됨으로써, 접합 강도(융착 강도)를 강화시키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납축전지의 케이스와 카바의 융착 강도 강화 방법은,
납축전지의 카바(10)와 플라스틱 전조(20)를 제조하는 케이스제조단계(S100);와
상측지그(100)에 납축전지의 카바를 위치시키고, 하측지그(200)에 플라스틱 전조를 위치시키는 카바및전조위치단계(S200);와
가열된 톱니형열판(300)을 상측지그와 하측지그 사이로 이동시키는 톱니형열판이동단계(S300);와
상기 상측지그를 하측으로, 하측지그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톱니형열판에 의한 카바(10)와 전조(20)를 용융시키는 프레스용융단계(S400);와
상기 상측지그를 상측으로, 하측지그를 하측으로 이동시킨 후, 톱니형열판을 외부로 이격시키는 톱니형열판외부이격단계(S500);와
상기 상측지그를 하측으로, 하측지그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톱니형열판에 의해 용착된 카바와 전조의 용착부 부위를 상호 가압하는 카바및전조상호가압단계(S600);와
상기 상측지그를 상측으로 이동시킨 후, 하측지그에 상호 가압에 의해 용착된 카바와 전조를 수득하는 톱니형열판융착공정마무리단계(S700);를 포함함으로써,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납축전지의 케이스와 카바의 융착 강도 강화 방법은,
납축전지의 카바(10)와 플라스틱 전조(20) 간에 열융착시, 측면 융착부위의 기밀 취약성을 개선하고자 톱니형열판에 의해 납축전지의 카바(10)와 플라스틱 전조(20)의 융착면에 열을 가하여 톱니형 모양으로 녹이게 되어 융착 면적을 넓히게 됨으로써, 접합 강도(융착 강도)를 강화시키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즉, 납축전지 열 융착시, 납축전지 케이스의 카바의 휨이나 수축에 의한 뒤틀림으로 기밀에 취약하므로 톱니형 모양의 융착부를 제공하여 융착 면적을 충분히 넓힘으로써, 납축전지의 리크(Leak)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납축전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축전지의 케이스와 카바의 융착 강도 강화 방법을 적용할 카바 융착부와 전조 융착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납축전지 상단카바와 하단카바의 열 융착후, 융착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축전지의 케이스와 카바의 융착 강도 강화 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축전지의 케이스와 카바의 융착 강도 강화 방법에 적용되는 톱니형열판(300)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축전지의 케이스와 카바의 융착 강도 강화 방법에 의해 열융착시, 톱니형 모양의 융착부를 제공하여 융착 면적을 넓힌 단면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실시 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축전지의 케이스와 카바의 융착 강도 강화 방법은,
납축전지의 카바(10)와 플라스틱 전조(20)를 제조하는 케이스제조단계(S100);와
상측지그(100)에 납축전지의 카바를 위치시키고, 하측지그(200)에 플라스틱 전조를 위치시키는 카바및전조위치단계(S200);와
가열된 톱니형열판(300)을 상측지그와 하측지그 사이로 이동시키는 톱니형열판이동단계(S300);와
상기 상측지그를 하측으로, 하측지그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톱니형열판에 의한 카바(10)와 전조(20)를 용융시키는 프레스용융단계(S400);와
상기 상측지그를 상측으로, 하측지그를 하측으로 이동시킨 후, 톱니형열판을 외부로 이격시키는 톱니형열판외부이격단계(S500);와
상기 상측지그를 하측으로, 하측지그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톱니형열판에 의해 용착된 카바와 전조의 용착부 부위를 상호 가압하는 카바및전조상호가압단계(S600);와
상기 상측지그를 상측으로 이동시킨 후, 하측지그에 상호 가압에 의해 용착된 카바와 전조를 수득하는 톱니형열판융착공정마무리단계(S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톱니형열판(300)은,
상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는 상측돌출부(310);
하측에 상기 형성된 상측돌출부와 대응되는 부위마다 수직하게 홈으로 형성되는 하측요홈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톱니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톱니형열판(300)에 의해,
납축전지의 카바(10)와 플라스틱 전조(20)의 융착면에 열을 가할 경우에 톱니형 모양으로 녹게 되어 융착 면적을 넓히게 됨으로써, 접합 강도(융착 강도)를 강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톱니형열판(300)에 의해,
납축전지의 카바(10)와 플라스틱 전조(20)의 융착면에 열을 가할 경우에 톱니형 모양으로 녹게 되어 융착 면적을 넓히게 됨으로써, 접합 강도(융착 강도)를 강화시켜 전해액의 누액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톱니형열판(300)에 의해,
납축전지 열 융착시, 납축전지 카바의 휨이나 수축에 의한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한 톱니형 모양의 융착부를 제공하여 융착 면적을 넓힘으로써, 납축전지의 리크(Leak)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톱니형열판(300)은,
'
Figure 112020103230285-pat00001
'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납축전지의 케이스와 카바의 융착 강도 강화 방법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축전지의 케이스와 카바의 융착 강도 강화 방법을 적용할 카바 융착부와 전조 융착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납축전지 상단카바와 하단카바의 열 융착후, 융착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축전지의 케이스와 카바의 융착 강도 강화 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축전지의 케이스와 카바의 융착 강도 강화 방법에 적용되는 톱니형열판(300)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축전지의 케이스와 카바의 융착 강도 강화 방법에 의해 열융착시, 톱니형 모양의 융착부를 제공하여 융착 면적을 넓힌 단면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융착부는 카바의 측면 부위와 전조의 측면 부위이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은 상단카바와 하단전조의 평평한 면을 열 융착하여 표면을 녹여 붙이는 공정을 수행하여 단단히 고정시켜 내부 전해액이 새어 나오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도 3과 같이, 평평한 면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납축전지 케이스의 카바의 휨이나 수축에 의한 뒤틀림으로 기밀에 취약지게 되어 납축전지의 리크(Leak) 발생을 야기하게 되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도 4와 같은 공정을 통해 해결하는 것이 본 발명의 과제인 것이다.
즉,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납축전지의 케이스와 카바의 융착 강도 강화 방법은,
납축전지의 카바(10)와 플라스틱 전조(20)를 제조하는 케이스제조단계(S100);와
상측지그(100)에 납축전지의 카바를 위치시키고, 하측지그(200)에 플라스틱 전조를 위치시키는 카바및전조위치단계(S200);와
가열된 톱니형열판(300)을 상측지그와 하측지그 사이로 이동시키는 톱니형열판이동단계(S300);와
상기 상측지그를 하측으로, 하측지그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톱니형열판에 의한 카바(10)와 전조(20)를 용융시키는 프레스용융단계(S400);와
상기 상측지그를 상측으로, 하측지그를 하측으로 이동시킨 후, 톱니형열판을 외부로 이격시키는 톱니형열판외부이격단계(S500);와
상기 상측지그를 하측으로, 하측지그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톱니형열판에 의해 용착된 카바와 전조의 용착부 부위를 상호 가압하는 카바및전조상호가압단계(S600);와
상기 상측지그를 상측으로 이동시킨 후, 하측지그에 상호 가압에 의해 용착된 카바와 전조를 수득하는 톱니형열판융착공정마무리단계(S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케이스제조단계(S100)를 통해 납축전지의 카바(10)와 플라스틱 전조(20)를 제조하게 된다.
이후, 카바및전조위치단계(S200)를 통해 상측지그(100)에 납축전지의 카바를 위치시키고, 하측지그(200)에 플라스틱 전조를 위치시키게 된다.
이후, 톱니형열판이동단계(S300)를 통해 가열된 톱니형열판(300)을 상측지그와 하측지그 사이로 이동시키게 되므로 톱니형열판의 상측에 카바가, 하측에 전조가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프레스용융단계(S400)는 상기 상측지그를 하측으로, 하측지그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프레스를 가하게 되면 톱니형열판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톱니형열판가 접촉되는 카바(10)와 전조(20)의 융착면이 용융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톱니형열판(300)은,
상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는 상측돌출부(310);
하측에 상기 형성된 상측돌출부와 대응되는 부위마다 수직하게 홈으로 형성되는 하측요홈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톱니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좌측에 제1상측돌출부(310a)가 위치하고, 돌출부의 면적과 동일한 간격을 지나 제2상측돌출부(310b)가 위치하고, 돌출부의 면적과 동일한 간격을 지나 제3상측돌출부(310c)가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하측에 하측요홈부(320)를 형성하게 되는데, 상측돌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수직하게 홈으로 형성되게 된다.
예를 들어, 제1상측돌출부(310a)의 하측 대응되는 위치에 제1하측요홈부(320a)가 위치하고, 제2상측돌출부(310b)의 하측 대응되는 위치에 제2하측요홈부(320b)가 위치하고, 제3상측돌출부(310c)의 하측 대응되는 위치에 제3하측요홈부(320c)가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전체적인 형상이 톱니 형상을 띄게 되는 것이다.
그 형상을 예를 들자면, 상기 톱니형열판(300)은,
'
Figure 112020103230285-pat00002
'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후, 톱니형열판외부이격단계(S500)를 통해 상기 상측지그를 상측으로, 하측지그를 하측으로 이동시킨 후, 톱니형열판을 외부로 이격시키게 된다.
이후, 카바및전조상호가압단계(S600)를 통해 상측지그를 하측으로, 하측지그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프레스하게 되면 톱니형열판에 의해 용착된 카바와 전조의 용착부 부위, 즉, 각각의 톱니 형태의 용착부 부위가 상호 가압하게 되어, 도 6과 같은 융착면적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즉, 종래 기술의 경우에는 융착 면이 평평하게 형성되지만, 본 발명의 경우에는 톱니 형상의 융착 면을 가지게 되어 종래보다 더욱 넓은 융착 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 톱니형열판융착공정마무리단계(S700)를 통해 상측지그를 상측으로 이동시킨 후, 하측지그에 상호 가압에 의해 용착된 카바와 전조를 수득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톱니형열판(300)에 의해,
납축전지의 카바(10)와 플라스틱 전조(20)의 융착면에 열을 가할 경우에 톱니형 모양으로 녹게 되어 융착면 혹은 융착 면적을 넓히게 됨으로써, 접합 강도(융착 강도)를 강화시키는 것이다.
결국, 상기와 같이, 접합 강도(융착 강도)를 강화시켜 전해액의 누액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톱니형열판(300)에 의해, 납축전지 열 융착시, 납축전지 카바의 휨이나 수축에 의한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한 톱니형 모양의 융착부를 제공하여 융착 면적을 넓힘으로써, 납축전지의 리크(Leak)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융착 면적이 빨간색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마치 선형 파형에서 펄스 파형처럼 형성되어 카바와 전조가 치차 결합되게 되므로 접합 강도를 종래보다 더욱 강화시켜 납축전지의 Leak 발생을 억제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터리가 완성되게 되면 수명시험을 수행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납축전지를 75℃ 수조에서 약 1주일 동안 일반적인 차량 조건과 유사하게 34회 충/방전 싸이클이 진행하며, 34회 싸이클 실시 후 200A로 10초 방전하여 7.2V 이상 유지가 되면 다시 34회 싸이클을 진행하는 방식으로 수명 시험을 진행하게 된다.
또한, 싸이클 중 충전전류가 15A 이상 올라가거나 방전 전압이 12.0V 이하로 떨어지면 시험을 중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가혹한 고온 상태에서 수차례 싸이클을 반복적으로 시험하기 때문에 배터리케이스의 내부 압력 증가로 인하여 측면 부위에서 리크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톱니바퀴 모양으로 맞물리게 결합되어 있는 측면 부위가 형성됨으로써, 가혹한 고온 상태에서 수차례 싸이클을 반복적으로 시험을 수행하여 내부에 강한 팽창이 발생될 시,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리크 방지 여부를 하기에서 설명하는 실험 데이터에 근거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사이클 종래품 리크여부 개선품 리크여부
34 X X
68 X X
102 X X
136 0 X
170 0 X
204 0 X
238 0 X
272 0 X
306 0 X
340 0 X
374 0 X
408 0 X
상기 종래품이라 함은, 출원인이 제조하는 납축전지(BX80)에 사용하는 케이스를 말하며, 개선품은 본 발명의 톱니바퀴 모양으로 맞물리게 결합된 측면부가 형성된 케이스를 의미한다.
상기 표 1과 같이, 시험결과, 종래품의 경우에는 34사이클, 68사이클, 102사이클까지는 리크가 발생하지 않았으나, 136사이클부터 리크가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개선품의 경우에는 34사이클, 68사이클, 102사이클을 지나 408사이클까지 리크가 전혀 발생하지 않아 케이스의 측면 부위의 내구성이 증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융착 면적을 넓히게 됨으로써, 납축전지 케이스의 밀폐성을 강화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을 통해, 납축전지의 카바(10)와 플라스틱 전조(20) 간에 열융착시, 측면 융착부위의 기밀 취약성을 개선하고자 톱니형열판에 의해 납축전지의 카바(10)와 플라스틱 전조(20)의 융착면에 열을 가하여 톱니형 모양으로 녹이게 되어 융착 면적을 넓히게 됨으로써, 접합 강도(융착 강도)를 강화시키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즉, 납축전지 열 융착시, 납축전지 케이스의 카바의 휨이나 수축에 의한 뒤틀림으로 기밀에 취약하므로 톱니형 모양의 융착부를 제공하여 융착 면적을 충분히 넓힘으로써, 납축전지의 리크(Leak)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상측지그
200 : 하측지그
300 : 톱니형열판

Claims (4)

  1. 납축전지의 케이스와 카바의 융착 강도 강화 방법에 있어서,
    납축전지의 카바(10)와 플라스틱 전조(20)를 제조하는 케이스제조단계(S100);와
    상측지그(100)에 납축전지의 카바를 위치시키고, 하측지그(200)에 플라스틱 전조를 위치시키는 카바및전조위치단계(S200);와
    가열된 톱니형열판(300)을 상측지그와 하측지그 사이로 이동시키는 톱니형열판이동단계(S300);와
    상기 상측지그를 하측으로, 하측지그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톱니형열판에 의한 카바(10)와 전조(20)를 용융시키는 프레스용융단계(S400);와
    상기 상측지그를 상측으로, 하측지그를 하측으로 이동시킨 후, 톱니형열판을 외부로 이격시키는 톱니형열판외부이격단계(S500);와
    상기 상측지그를 하측으로, 하측지그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톱니형열판에 의해 용착된 카바와 전조의 용착부 부위를 상호 가압하는 카바및전조상호가압단계(S600);와
    상기 상측지그를 상측으로 이동시킨 후, 하측지그에 상호 가압에 의해 용착된 카바와 전조를 수득하는 톱니형열판융착공정마무리단계(S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톱니형열판(300)은,
    상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는 상측돌출부(310);
    하측에 상기 형성된 상측돌출부와 대응되는 부위마다 수직하게 홈으로 형성되는 하측요홈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
    Figure 112022127380739-pat00009
    ' 형상의 톱니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좌측에 제1상측돌출부(310a)가 위치하고, 돌출부의 면적과 동일한 간격을 지나 제2상측돌출부(310b)가 위치하고, 돌출부의 면적과 동일한 간격을 지나 제3상측돌출부(310c)가 위치하게 되며, 제1상측돌출부(310a)의 하측 대응되는 위치에 제1하측요홈부(320a)가 위치하고, 제2상측돌출부(310b)의 하측 대응되는 위치에 제2하측요홈부(320b)가 위치하고, 제3상측돌출부(310c)의 하측 대응되는 위치에 제3하측요홈부(320c)가 위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상기 톱니형열판(300)에 의해,
    납축전지의 카바(10)와 플라스틱 전조(20)의 융착면에 열을 가할 경우에 톱니형 모양으로 녹게 되어 융착 면적을 넓히게 됨으로써, 접합 강도(융착 강도)를 강화시켜 전해액의 누액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톱니형열판(300)에 의해,
    납축전지 열 융착시, 납축전지 카바의 휨이나 수축에 의한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한 톱니형 모양의 융착부를 제공하여 융착 면적을 넓힘으로써, 납축전지의 리크(Leak)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축전지의 케이스와 카바의 융착 강도 강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00125910A 2020-09-28 2020-09-28 납축전지의 케이스와 카바의 융착 강도 강화 방법 KR102523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910A KR102523084B1 (ko) 2020-09-28 2020-09-28 납축전지의 케이스와 카바의 융착 강도 강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910A KR102523084B1 (ko) 2020-09-28 2020-09-28 납축전지의 케이스와 카바의 융착 강도 강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2720A KR20220042720A (ko) 2022-04-05
KR102523084B1 true KR102523084B1 (ko) 2023-04-18

Family

ID=81181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5910A KR102523084B1 (ko) 2020-09-28 2020-09-28 납축전지의 케이스와 카바의 융착 강도 강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3084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1350B1 (ko) * 1997-11-12 2000-07-01 정몽규 플라스틱제 흡기매니폴드의 열판가열식 접합방법
KR100627037B1 (ko) 2004-11-19 2006-09-25 주식회사 아트라스비엑스 납축전지의 전해액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2720A (ko) 202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4912B2 (en) Method of sealing side portion of pouch-shaped battery including two-step sealing process
US10622597B2 (en) Battery cell having outer edge sealed portion with sealed lines and battery cell sealing apparatus for manufacture thereof
US11394080B2 (en) Pouch-shaped battery case comprising crack prevention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133514B2 (en) Resin frame equipped membrane electrode assembly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CN109792070A (zh) 蓄电装置和蓄电装置的制造方法
US9876214B2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unit
US20190051924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assembly
WO2018150700A1 (ja) 蓄電モジュール及び蓄電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US20190267603A1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battery module
KR20190042801A (ko) 균열을 방지하기 위한 파우치형 이차전지용 실링 블록,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파우치형 전지케이스 및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의 실링 방법
KR102490863B1 (ko)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US20210296724A1 (en) Cap Assembly,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Battery Pack
KR102523084B1 (ko) 납축전지의 케이스와 카바의 융착 강도 강화 방법
US20240014482A1 (en) Battery
JP2013166287A (ja) 熱融着装置及び熱融着方法
KR102523079B1 (ko) 모서리 격벽 구조를 이용한 납축전지의 밀폐성 강화 방법
KR102265219B1 (ko) 분리막 잉여부를 접합시키는 전지셀 제조방법
EP4057428A1 (en) Secondary battery
JP2018156821A (ja) 二次電池及び二次電池の製造方法
KR102082655B1 (ko) 모서리가 절취되어 있는 구조의 전극조립체 제조방법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전극조립체
KR100522682B1 (ko) 이차전지
CN218334199U (zh) 电池导电架
JP7187793B2 (ja) 蓄電装置
US11705607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battery module for electric vehicle and battery module manufactured by the method
JP7135363B2 (ja) 蓄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