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2207B1 - 레벨링이 용이한 3d 프린터 - Google Patents

레벨링이 용이한 3d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2207B1
KR102522207B1 KR1020220169214A KR20220169214A KR102522207B1 KR 102522207 B1 KR102522207 B1 KR 102522207B1 KR 1020220169214 A KR1020220169214 A KR 1020220169214A KR 20220169214 A KR20220169214 A KR 20220169214A KR 102522207 B1 KR102522207 B1 KR 102522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printer
present
leveling
current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9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무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션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션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션테크
Priority to KR1020220169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22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2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2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06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 B29C64/118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using filamentary material being melted, e.g. fused deposition modelling [FD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05Means for applying layers
    • B29C64/209Heads;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27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45Platforms or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86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393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10/0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40/0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e.g. for material han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50/00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33Y50/02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라멘트(미도시)가 투입되어 용융되면서 노즐(119)을 통해 배출되고 X축부(11)를 따라 베드(15)와 평행하게 움직이는 익스트루더(100); 상기 배출된 필라멘트가 쌓이는 직사각형의 베드(15); 상기 베드(15)의 네 모서리의 하면에서 베드(15)의 높이를 조절하는 네 개의 액추에이터(19); 및, 상기 네 개의 액추에이터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620)를 구비하는 기동반(6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순한 조작만으로 3D 프린터의 베드의 레벨링을 수행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레벨링이 용이한 3D 프린터{3 dimensional printer which is easy to level}
본 발명은 레벨링이 용이한 3D(3 dimensional)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출력물의 오류를 막기 위해 베드의 높이를 평탄화하되 어느 3D 프린터에도 적용될 수 있고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는 3D 프린터와 이에 사용되는 레벨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3D 프린터에는 여러 방식이 있는데, 특히 필라멘트 압출 방식(FDM)은 필라멘트 형태의 열가소성 물질을 고온의 노즐 안에서 녹여내고 원하는 부분에 녹인 물질을 밀어내 아래부터 위로 쌓아올려 형상을 만들어내는 방식이다.
이러한 FDM방식은 유지보수 비용이 낮고, 강도, 습도에 강하며 내구성이 뛰어나며, 구조가 단순하여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3D 프린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즉 베드 위에서 익스트루더가 프로파일의 X축부, Y축부 등을 스텝모터에 의해 이동하면서 출력한다. 그런데 베드가 평탄하지 않으면 원하는 출력물을 얻을 수 없다.
즉, FDM방식은 출력물이 다양하여 프린터의 성능보다는 사용자의 숙련도에 의해 출력물의 퀄리티가 달라진다. 따라서 출력물의 기초가 되는 베드의 넓이가 커질수록 평탄화, 즉 레벨링하는 단계가 필수적이다.
한편 종래의 레벨링 장치는 익스트루더(압출장치)에 고정되어 광출력을 이용하여 레벨링을 수행한다. 그러나 종래의 레벨링 장치는 그 프린터에 고정된 채로 사용되기 때문에 다른 프린터에는 적용될 수 없었고, 간단히 탈착하여 휴대하고 다닐 수도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2-0095231호 '3D 프린터의 오토레벨링 장치 및 3D 프린터'
본 발명에서는, 베드의 평탄화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3D 프린터와 레벨링 장치 자체의 기울어짐으로 인한 오류를 방지하는 레벨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3D 프린터에도 용이하게 적용되는 레벨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전류값을 일치시키는 구조로서 고장이 적은 레벨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자동으로 레벨링하는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육안으로 전류값을 확인하면서 수동으로 평탄화하는 레벨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라멘트(미도시)가 투입되어 용융되면서 노즐(119)을 통해 배출되고 X축부(11)를 따라 베드(15)와 평행하게 움직이는 익스트루더(100); 상기 배출된 필라멘트가 쌓이는 직사각형의 베드(15); 상기 베드(15)의 네 모서리의 하면에서 베드(15)의 높이를 조절하는 네 개의 액추에이터(19); 및, 상기 네 개의 액추에이터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620)를 구비하는 기동반(6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가 제공된다.
여기서 수직케이스(210)와 수평패널(220)이 ㄴ자 형태로 일체로 이루어진 3D 프린터의 레벨링 장치(2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특히 레벨링 장치(200)는, 외벽면(210a) 상부에 액체상의 기포로 수평을 맞추는 수평계(211)와 전류값을 화면표시하는 표시부(213)가 구비되고, 저면이 원형으로 개방되어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 내부홀(215)에는 스프링(217)이 삽입되고, 상기 스프링(217)의 복원력에 의하여 내부홀(215)의 내주면을 따라 하방으로 출입하고 외주면에 스토퍼(251)가 돌출된 전도체 탐침(250)이 구비되며, 외벽면(210a)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스토퍼(251)에 걸리도록 말단이 내측으로 꺽인 연장암(222)이 형성되고, 내부홀(215)의 내주면에는 내부홀(215)의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동일한 두 개의 양도체막대(212) 및 음도체막대(214)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16)와 전류값을 측정하는 전류계(218)를 구비하며, 내벽면(210b)의 중심에는 익스트루더(100)의 쿨링팬(115)의 중심에 닿아 인력에 의해 고정되도록 자석부(230)가 구비된 수직케이스(210); 및, 상기 수직케이스(210)의 내벽면(210b) 최하단에 수평으로 연장되어 익스트루더(100)의 노즐(119)에 상면이 닿도록 하는 수평패널(2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양도체막대(212) 및 음도체막대(214)의 최상단에 각각 양극(212a) 및 음극(214b)이 형성됨으로써 전원부(216), 전류계(218), 양도체막대(212), 음도체막대(214) 및 탐침(250)이 폐회로를 구성하여 탐침(250)의 상하이동에 따라 전류계(218)의 전류값이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수직케이스(210)의 내부에는 외부로 전류값을 전송하는 송신부(410)를 더 구비하고, 베드(15)의 네개의 모서리에는 베드(15)의 높이를 조정하는 네 개의 액추에이터(19)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전류값을 전송받는 수신부(610) 및 복수의 전류값이 상호 일치할 때까지 베드(15)의 높이를 레벨링하도록 액추에이터(19)를 가동하는 제어부(6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순한 조작만으로 3D 프린터의 베드의 레벨링을 수행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평계가 있으므로 레벨링 장치 자체의 기울어짐으로 인한 오류를 방지할 수 있고 다른 3D 프린터에도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개개의 3D 프린터의 레벨에 따른 전류값만 개별적으로 일치시키면 레벨이 완성된다는 장점이 있고, 또한 어느 3D 프린터에도 적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호환성이 좋으며, 저항값의 변화에 따른 전류값을 일치시키는 구조이므로 고장이 적은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으로 레벨링하는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육안으로 전류값을 확인하면서 수동으로 평탄화할 수도 있는 유리한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저렴한 3D 프린터의 경우 레벨링을 수동으로 할 수밖에 없는 경우가 있으나 본 발명의 레벨링 장치만 있으면 이 경우에도 쉽게 레벨링을 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면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서 동일한 요소, 그리고 동일한 기능 및/또는 동일한 기술적 또는 물리적 효과를 갖는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거나 동일한 명칭으로 식별하며, 다른 실시예에서 도시 또는 설명된 요소 및 그 기능의 설명은 서로 교환가능하거나 다른 실시예에서 서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3D 프린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3D 프린터의 익스트루더(100), 즉 압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3D 프린터의 레벨링 장치(200)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3D 프린터의 레벨링 장치(200)를 나타낸 또다른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3D 프린터의 레벨링 장치(2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3D 프린터의 레벨링 장치(200)를 나타낸 또다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3D 프린터의 레벨링 장치(200)의 기능원리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3D 프린터의 레벨링 장치(200)가 베드(15) 위에서 익스트루더(100)에 부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3D 프린터의 레벨링 장치(200)가 익스트루더(100)에 부착되어 베드(15)의 높이에 따라 탐침(250)의 위치가 바뀌는 것을 나타낸 측면도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3D 프린터의 레벨링 장치(200)가 익스트루더(100)에 부착되어 베드(15)의 높이를 평탄화하는 전체 시스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종래의 3D 프린터의 익스트루더(100), 즉 압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라멘트 투입구(111)를 통해 필라멘트(미도시)가 투입되면 프린터헤드(113) 상부는 쿨링팬(115)에 의해 냉각되는 반면, 히팅블록(117) 내부에서는 필라멘트(미도시)가 가열되어 용융되면서 노즐(119)을 통해 배출되어 출력된다. 스텝모터(120)는 필라멘트(미도시)를 기어(미도시)에 의해 외부로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
익스트루더(100)는 X축부(11)를 따라 베드(15)와 평행하게 움직이는데, 만약 익스트루더(100)의 위치에 따라 베드(15)의 높낮이가 다르면 출력물에 오류가 발생한다. 따라서 익스트루더(100)가 X축부를 이동하는 중에는 베드(15)가 X축부(11)와 최대한 평행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3D 프린터의 레벨링 장치(200)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3D 프린터의 레벨링 장치(200)는 크게 수직케이스(210)와 수평패널(220)이 ㄴ자 형태로 일체로 이루어진다.
도 3에서 보듯이, 수평계(211)가 외벽면(210a) 상부에 액체상의 기포로 수평을 맞추도록 한다. 수평계(211)가 있으므로 레벨링 장치(200) 자체의 기울어짐으로 인한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213)가 구비되어 전류값을 화면표시하는 것이 좋다.
한편 수직케이스(210)의 저면에는 원형으로 개방되어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 내부홀(215)이 형성되어 있어서 내부에 스프링(217)이 삽입된다. 그리고 전도체의 탐침(250)이 상기 스프링(217)의 복원력에 의하여 내부홀(215)의 내주면을 따라 하방으로 출입한다.
또한 탐침(250)의 외주면에 스토퍼(251)가 돌출됨이 좋다. 스토퍼(251)는 탐침(250)이 완전히 하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함이다. 그리고 탐침(250)은 베드(15)의 높이에 따라 자유롭게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내부홀(215)의 내주면에는 내부홀(215)의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동일한 두 개의 양도체막대(212) 및 음도체막대(21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양도체막대(212) 및 음도체막대(214)의 최상단에 각각 양극(212a) 및 음극(214b)이 형성된다.
또한 수직케이스(210)의 내부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16)와 전류값을 측정하는 전류계(218)를 구비함이 좋다.
그리고 상기 수직케이스(210)의 내벽면(210b) 최하단에 수평으로 연장되어 익스트루더(100)의 노즐(119)에 상면이 닿는 수평패널(220)이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3D 프린터의 레벨링 장치(200)를 나타낸 또다른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비해서 베드(15)의 위치가 더 아래에 있어서 탐침(250)이 스프링(217)의 복원력에 의해 더 하측으로 내려와 있다.
따라서 베드(15)의 위치에 따라 탐침(250)의 높이 위치도 바뀐다.
도 5는 본 발명의 3D 프린터의 레벨링 장치(2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에서 보듯이, 수직케이스(210)에는 외벽면(210a)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스토퍼(251)에 걸리도록 말단이 내측으로 꺽인 연장암(222)이 형성된다. 스토퍼(251)와 연장암(222)의 꺽인 형태는 탐침(250)이 완전히 하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3D 프린터의 레벨링 장치(200)를 나타낸 또다른 사시도이다.
도 6에서 보듯이, 수직케이스(210)의 내벽면(210b)의 중심에는 익스트루더(100)의 쿨링팬(115)의 중심에 닿아 인력에 의해 고정되도록 자석부(230)가 구비됨이 좋다.
자석부(230)에 의하여 본 발명의 3D 프린터의 레벨링 장치(200)가 부착되므로 다른 3D 프린터에도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쿨링팬(115) 내부에는 자력에 영향을 받는 베어링이 필수적이므로 자석부(230)는 강하게 쿨링팬(115)의 회전 중심에 부착될 수 있다. 자석부(230)는 자력이 강한 네오디움 자석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3D 프린터의 레벨링 장치(200)의 기능원리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에서 보듯이, 전원부(216), 전류계(218), 양도체막대(212), 음도체막대(214) 및 탐침(25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폐회로를 구성함으로서 탐침(250)의 상하이동에 따라 전류계(218)의 전류값이 달라진다. 즉 도 3과 도 4는 각각 베드(15)의 높이가 다름에 다라 탐침(250)이 양도체막대(212) 및 음도체막대(214)와 접촉하는 면적이 다르기 때문에 폐회로를 구성하는 저항값도 달라져서 결국 전류값도 달라진다. 이러한 전류값을 일치시킴으로써 평탄한 베드(15)도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케이스(210)의 내부에는 외부로 전류값을 전송하는 송신부(41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송신부(410)는 무선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회로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3D 프린터의 레벨링 장치(200)가 베드(15) 위에서 익스트루더(100)에 부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에서 보듯이, 베드(15)의 네개의 모서리에는 베드(15)의 높이를 조정하는 네 개의 액추에이터(19)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액추에이터(19)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620)가 별도로 기동반(600)에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620)를 통해 작업자는 네 개의 액추에이터(19)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 제어부(620)는 수신부(610)를 통해 전송받은 복수의 전류값이 상호 일치할 때까지 베드(15)의 높이를 레벨링하도록 액추에이터(19)를 가동한다.
한편 베드(15)의 적정 높이는 3D 프린터마다 다를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개개의 3D 프린터의 베드(15)의 높이에 따른 전류값만 개별적으로 일치시키면 레벨이 완성된다는 장점이 있고, 또한 어느 3D 프린터에도 적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호환성이 좋다. 나아가 저항값의 변화에 따른 전류값을 일치시키는 구조이므로 고장이 적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3D 프린터의 레벨링 장치(200)가 익스트루더(100)에 부착되어 베드(15)의 높이에 따라 탐침(250)의 위치가 바뀌는 것을 나타낸 측면도들이다.
도 9의 베드(15)로부터 노즐(119)의 높이(h1)는 도 10의 베드(15)로부터 노즐(119)의 높이(h2)보다 작다. 즉 도 9의 경우 탐침(250)이 더 깊숙이 내부홀(215)에 들어가 있으므로 저항값이 다름에 따라 전류값도 달라진다.
이러한 전류값을 하나의 값으로 일치화시키는 작업이 본 발명에서 곧 베드(15)를 평탄화하는 작업이다. 게다가 본 발명에 의하면 어느 때이고 레벨링 장치(200)를 용이하게 탈착하여 다른 프린터에 적용할 수 있다.
나아가 자동으로 레벨링하는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육안으로 전류값을 확인하면서 수동으로 평탄화할 수도 있는 유리한 효과도 있다. 즉 저렴한 3D 프린터의 경우 레벨링을 수동으로 할 수밖에 없는 경우가 있으나 본 발명의 레벨링 장치(200)만 있으면 이 경우에도 쉽게 레벨링을 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3D 프린터의 레벨링 장치(200)가 익스트루더(100)에 부착되어 베드(15)의 높이를 평탄화하는 전체 시스템 구성도이다.
전원부(216)와 전류계(218) 등에 의하여 전류를 측정한 값을 송신부(410)가, 별도로 구비된 기동반(600)의 수신부(610)에 송신하면 제어부(620)가 액추에이터(19)를 가동하여 베드(15)를 평탄화한다.
제시된 실시 형태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단어 "예시적인"은 예, 일례, 또는 설명으로서 제공되는 것을 의미하기 위해 여기서 사용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도시 및 설명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 특히 필수적인 특성들을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경, 변형 및 수정 실시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개시 및 설명한 사항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예시적인 것이고,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그 범위를 특정할 수 있다.
10: 3D 프린터
11: X축부
12: Y축부
13: 프로파일
15: 베드
19: 액추에이터
100: 익스트루더
115: 쿨링팬
119: 노즐
200: 레벨링 장치
210: 수직케이스
210a: 외벽면
210b: 내벽면
211: 수평계
212: 양도체막대
212a: 양극
213: 표시부
214: 음도체막대
214b: 음극
215: 내부홀
216: 전원부
217: 스프링
218: 전류계
220: 수평패널
222: 연장암
230: 자석부
250: 탐침
251: 스토퍼
410: 송신부
600: 기동반
610: 수신부
620: 제어부

Claims (3)

  1. 필라멘트(미도시)가 투입되어 용융되면서 노즐(119)을 통해 배출되고 X축부(11)를 따라 베드(15)와 평행하게 움직이는 익스트루더(100);
    상기 배출된 필라멘트가 쌓이는 직사각형의 베드(15);
    상기 베드(15)의 네 모서리의 하면에서 베드(15)의 높이를 조절하는 네 개의 액추에이터(19);
    상기 네 개의 액추에이터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620)를 구비하는 기동반(600); 및,
    상기 익스트루더(100)는 수직케이스(210)와 수평패널(220)이 ㄴ자 형태로 일체로 이루어진 3D 프린터의 레벨링 장치(200)를 포함하되,
    상기 레벨링 장치(200)는,
    외벽면(210a) 상부에는 액체상의 기포로 수평을 맞추는 수평계(211)와 전류값을 화면표시하는 표시부(213)가 구비되고, 저면이 원형으로 개방되어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 내부홀(215)에는 스프링(217)이 삽입되고, 상기 스프링(217)의 복원력에 의하여 내부홀(215)의 내주면을 따라 하방으로 출입하고 외주면에 스토퍼(251)가 돌출된 전도체 탐침(250)이 구비되며, 외벽면(210a)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스토퍼(251)에 걸리도록 말단이 내측으로 꺽인 연장암(222)이 형성되고, 내부홀(215)의 내주면에는 내부홀(215)의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동일한 두 개의 양도체막대(212) 및 음도체막대(214)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16)와 전류값을 측정하는 전류계(218)를 구비하며, 내벽면(210b)의 중심에는 익스트루더(100)의 쿨링팬(115)의 중심에 닿아 인력에 의해 고정되도록 자석부(230)가 구비된 수직케이스(210); 및,
    상기 수직케이스(210)의 내벽면(210b) 최하단에 수평으로 연장되어 익스트루더(100)의 노즐(119)에 상면이 닿도록 하는 수평패널(220);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양도체막대(212) 및 음도체막대(214)의 최상단에 각각 양극(212a) 및 음극(214b)이 형성됨으로써 전원부(216), 전류계(218), 양도체막대(212), 음도체막대(214) 및 탐침(250)이 폐회로를 구성하여 탐침(250)의 상하이동에 따라 전류계(218)의 전류값이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수직케이스(210)의 내부에는 외부로 전류값을 전송하는 송신부(410)를 더 구비하고,
    상기 기동반(600)은 상기 전류값을 전송받는 수신부(61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620)는 복수의 전류값이 상호 일치할 때까지 베드(15)의 높이를 레벨링하도록 액추에이터(19)를 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링이 용이한 3D 프린터.
  2. 삭제
  3. 삭제
KR1020220169214A 2022-12-06 2022-12-06 레벨링이 용이한 3d 프린터 KR102522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9214A KR102522207B1 (ko) 2022-12-06 2022-12-06 레벨링이 용이한 3d 프린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9214A KR102522207B1 (ko) 2022-12-06 2022-12-06 레벨링이 용이한 3d 프린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2207B1 true KR102522207B1 (ko) 2023-04-14

Family

ID=85946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9214A KR102522207B1 (ko) 2022-12-06 2022-12-06 레벨링이 용이한 3d 프린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220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3108A (ko) * 2000-12-01 2002-06-08 이계안 접촉식 와이퍼 부상량 측정시스템
KR20220095231A (ko) 2020-12-21 2022-07-06 션젼 크리얼리티 쓰리디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3d 프린터의 오토레벨링 장치 및 3d 프린터
KR102427455B1 (ko) * 2021-04-09 2022-08-02 주식회사신도리코 3d 프린터의 베드 레벨링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3108A (ko) * 2000-12-01 2002-06-08 이계안 접촉식 와이퍼 부상량 측정시스템
KR20220095231A (ko) 2020-12-21 2022-07-06 션젼 크리얼리티 쓰리디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3d 프린터의 오토레벨링 장치 및 3d 프린터
KR102427455B1 (ko) * 2021-04-09 2022-08-02 주식회사신도리코 3d 프린터의 베드 레벨링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672019B (zh) 电子设备及其摄像头模组
KR102522207B1 (ko) 레벨링이 용이한 3d 프린터
US9897325B2 (en) Light-emitting knob assembly
CN101887158B (zh) 透镜驱动装置及其组装方法
CN106842645B (zh) 一种吸附杆、真空贴合设备以及真空贴合设备的控制方法
CN215908970U (zh) 台灯
CA2532092A1 (en) Electric blind
CN111142309B (zh) 压电式光学防抖机构、相机装置及电子设备
CN111879296A (zh) 一种电缆桥架施工中应用的微型激光标线仪安装结构
CN105446055A (zh) 相机模组及其对焦方法
CN108414519B (zh) 一种选针器选针头位置的检测装置
CN114509658B (zh) 一种发光二极管的智能测试系统、方法及介质
CN212539177U (zh) 一种电缆桥架施工中应用的微型激光标线仪安装结构
CN109561193A (zh) 校准机构及终端测试系统
CN209346610U (zh) 窗帘及窗帘控制系统
KR102107450B1 (ko) 자석을 이용한 상하한 리미트 스위치가 적용된 블라인드 및 상기 블라인드의 그룹/개별 제어를 수행하는 시스템
KR20140071177A (ko) 카메라 모듈용 렌즈 조립장치
EP3109849A1 (en) Electronic name plate
CN210270392U (zh) 一种单焦点镜头组装治具
EP1803885A1 (en) Electric blind
CN219395099U (zh) 补光装置和电子设备
CN110888217A (zh) Sma致动器、相机模块和电子设备
CN211670756U (zh) 一种音圈马达结构
US20240176476A1 (en) Configuration device for configuring a power wheelchair
KR101770909B1 (ko) 멀티렌즈 자동교체 방식의 이미지 센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