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2155B1 - 출력물의 촬영이 가능한 푸드 프린터를 이용하여 소비자 맞춤형 케익을 제작, 주문 및 배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출력물의 촬영이 가능한 푸드 프린터를 이용하여 소비자 맞춤형 케익을 제작, 주문 및 배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2155B1
KR102522155B1 KR1020200156436A KR20200156436A KR102522155B1 KR 102522155 B1 KR102522155 B1 KR 102522155B1 KR 1020200156436 A KR1020200156436 A KR 1020200156436A KR 20200156436 A KR20200156436 A KR 20200156436A KR 102522155 B1 KR102522155 B1 KR 102522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l
cake
decoration
management server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6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9382A (ko
Inventor
이산홍
Original Assignee
(주)엘에스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에스비 filed Critical (주)엘에스비
Priority to KR1020200156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2155B1/ko
Priority to US17/121,046 priority patent/US11983781B2/en
Publication of KR20220069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9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2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2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5/00Apparatus for handling baked articles
    • A21C15/002Apparatus for spreading granular material on, or sweeping or coating the surface of baked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40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type, form or use
    • A21D13/47Decorated or decorative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80Past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sewhere, e.g. cakes, biscuits or cooki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10/0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50/00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33Y50/02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80/00Products made by additive 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1Item configuration or customiz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23P20/25Filling or stuffing cored food pieces, e.g. combined with coring or making cavities
    • A23P2020/253Coating food items by printing onto them; Printing layers of food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ometry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Architecture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익 주문 시스템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케익 주문 방법은 표시된 복수의 케익 이미지 중 선택된 케익 이미지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표시된 복수의 데코레이션된 케익 이미지 중 선택된 데코레이션된 케익 이미지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선택된 케익 이미지에 매칭되는 케익 모델 및 선택된 데코레이션된 케익 이미지에 매칭되는 데코레이션 모델을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 데코레이션 모델의 이동을 위한 선택에 응답하여 데코레이션 모델을 상기 케익 모델 상에 위치시키고, 케익 모델 상의 데코레이션 모델의 위치 정보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케익 모델 상의 데코레이션 모델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케익 모델 및 데코레이션 모델의 합성 모델인 데코레이션 케익 모델을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데코레이션 모델에 대한 푸드 프린터 모델 데이터를 수신한 푸드 프린터에 의해 데코레이션이 성형된 케익을 수신할 배송 정보를 수신하고 배송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출력물의 촬영이 가능한 푸드 프린터를 이용하여 소비자 맞춤형 케익을 제작, 주문 및 배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A method for producing, ordering, and delivering consumer-customized cakes using a food printer capable of photographing prints, and a system therefor}
본 발명은 출력물의 촬영이 가능한 푸드 프린터를 이용하여 소비자 맞춤형 케익을 제작, 주문 및 배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3D 식품 프린팅 기술은 CAD 나 3D 스캐너를 통해 만들어낸 3차원 디지털 디자인을 바탕으로 식품구성 비율, 영양학적 데이터 등을 반영한 후 식품원료를 한층씩 적층하여 3차원으로 재구성하는 식품 제조 기술이다. 3D 프린터의 원리는 잉크젯 프린터의 원리와 유사하다. 2D 프린터라고 할 수 있는 잉크젯 프린터는 디지털화된 파일을 전송받아 잉크분사 노즐을 X축과 Y축으로 이동시키면서 종이에 잉크를 분사하여 활자나 그림 등의 2D 이미지를 인쇄하는데, 3D 프린터는 여기에 Z축 방향의 움직임을 더하여 3차원 입체 형상을 구현한다.
3D 식품 프린팅 기술은 단순히 식품의 제조 공정에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형태와 질감 그리고 완전히 개인에게 맞춰진 식품을 디자인하는 것과 관련된다.
2006년 미국 코넬대학교 호드립슨 교수 연구실은 초콜릿, 쿠키, 치즈를 원료로 하는 최초의 3D 식품 프린팅을 선보인다. 이에 사용된 3D 식품 프린터 Fab@Home 모델은 시린지에 식품을 넣고 출력하는 압출기반의 3D 프린터로 현재까지 출시된 제품들의 모태라 할 수 있다. 식품을 활용한 3D 프린팅의 가능성에 영감을 얻은 각국의 3D프린터 선도기업과 연구그룹들이 원천기술 확보와 기술계량을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으며, 개발 기술에 특화된 소재 개발 역시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현재까지의 3D 식품 프린팅 기술은 베이스 기판 상에 미리 정해진 3D 모델 데이터에 기초하여 식품을 성형하는 형태이나, 최근에는 개인이 원하는 위치나 형태로 기존의 식품 상의 다시 식품을 재성형하는 기술에 대한 논의도 활발하다. 더 나아가, 3D 식품 프린팅 기술과 서비스 모델을 접목하여 소비자의 맞춤형 식품을 제작하고 주문 및 배송하는 전체 시스템에 대한 3D프린터 선도기업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시스템을 통한 전혀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수 있다는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20963호
실시예는, 기성품 형태의 케익 상에 개인화된 디자인을 추가로 적용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실시예는, 푸드 프린터를 이용하여 소비자 맞춤형 케익을 제작, 주문 및 배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실시예는, 성형 과정의 촬영이 가능한 푸드 프린터를 이용하여 케익을 제작, 주문 및 배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실시예는, 성형 과정에 대한 촬영 영상을 하나의 선물용 컨텐츠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실시예는, 캡슐을 고정하는 피스톤부와 이송 유닛 사이에 회전수단을 배치하여 캡슐과 압출 커버의 분리 및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압출 커버와 캡슐을 자동으로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는 푸드 프린터를 이용하여 케익을 제작, 주문 및 배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실시예는, 단말기에서, 표시된 복수의 케익 이미지 중 선택된 케익 이미지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표시된 복수의 데코레이션된 케익 이미지 중 선택된 데코레이션된 케익 이미지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케익 이미지에 매칭되는 무지 케익 모델 및 상기 선택된 데코레이션된 케익 이미지에 매칭되는 메인 데코레이션 모델을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메인 데코레이션 모델의 이동을 위한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 메인 데코레이션 모델을 상기 무지 케익 모델 상에 위치시키고, 상기 무지 케익 모델 상의 상기 메인 데코레이션 모델의 위치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무지 케익 모델 상의 상기 메인 데코레이션 모델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지 케익 모델 및 상기 메인 데코레이션 모델의 합성 모델인 1차 데코레이션 케익 모델을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표시된 부가 데코레이션 모델의 이동을 위한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 부가 데코레이션 모델을 표시된 상기 1차 데코레이션 케익 모델 상에 위치시키고, 상기 1차 데코레이션 케익 모델 상의 상기 부가 데코레이션 모델의 위치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1차 데코레이션 케익 모델 상의 상기 부가 데코레이션 모델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1차 데코레이션 케익 모델 및 상기 부가 데코레이션 모델의 합성 모델인 2차 데코레이션 케익 모델을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부가 데코레이션 모델에 대한 푸드 프린터 모델 데이터를 수신한 푸드 프린터에 의해 부가 데코레이션이 성형된 케익을 수신할 배송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배송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출력물의 촬영이 가능한 푸드 프린터를 이용하여 소비자 맞춤형 케익을 제작, 주문 및 배송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부가 데코레이션 모델의 성형 과정 영상을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성형 과정 영상의 시작 지점과 종료 지점에 대한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시작 지점과 상기 종료 지점에 매칭되어 푸드 프린터가 케익 상에 부가 데코레이션을 성형시 상기 푸드 프린터의 카메라장치가 성형 과정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출력물의 촬영이 가능한 푸드 프린터를 이용하여 소비자 맞춤형 케익을 제작, 주문 및 배송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부가 데코레이션 모델의 성형 과정 영상을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성형 과정 영상의 시작 지점과 종료 지점에 대한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시작 지점과 상기 종료 지점에 매칭되어 푸드 프린터가 케익 상에 부가 데코레이션을 성형시 상기 푸드 프린터의 카메라장치가 성형 과정을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이 상기 배송 정보 상의 케익 수신자에게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출력물의 촬영이 가능한 푸드 프린터를 이용하여 소비자 맞춤형 케익을 제작, 주문 및 배송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부가 데코레이션 이미지의 입력을 위한 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툴을 통해 입력된 부가 데코레이션 이미지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부가 데코레이션 이미지에 기초하여 생성한 상기 부가 데코레이션 모델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출력물의 촬영이 가능한 푸드 프린터를 이용하여 소비자 맞춤형 케익을 제작, 주문 및 배송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컨텐츠의 입력을 위한 툴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툴을 통해 입력된 컨텐츠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컨텐츠와 상기 푸드 프린터의 촬영 영상을 합성한 컨텐츠가 상기 케익 수신자에게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출력물의 촬영이 가능한 푸드 프린터를 이용하여 소비자 맞춤형 케익을 제작, 주문 및 배송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부가 데코레이션 모델의 성형 과정 영상은 상기 푸드 프린터 모델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부가 데코레이션 모델에 대한 가상의 성형 과정 영상인 출력물의 촬영이 가능한 푸드 프린터를 이용하여 소비자 맞춤형 케익을 제작, 주문 및 배송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부가 데코레이션 이미지의 입력을 위한 툴은 텍스트 입력 및/또는 드로잉 입력을 위한 툴인 출력물의 촬영이 가능한 푸드 프린터를 이용하여 소비자 맞춤형 케익을 제작, 주문 및 배송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는, 기성품 형태의 케익 상에 개인화된 디자인을 추가로 적용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는, 푸드 프린터를 이용하여 소비자 맞춤형 케익을 제작, 주문 및 배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는, 성형 과정의 촬영이 가능한 푸드 프린터를 이용하여 케익을 제작, 주문 및 배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는, 성형 과정에 대한 촬영 영상을 하나의 선물용 컨텐츠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는, 캡슐을 고정하는 피스톤부와 이송 유닛 사이에 회전수단을 배치하여 캡슐과 압출 커버의 분리 및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압출 커버와 캡슐을 자동으로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는 푸드 프린터를 이용하여 케익을 제작, 주문 및 배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는, 3차원 푸드 프린터를 구성하는 구성부들을 작업자의 수작업 없이 시스템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케익의 데코레이션을 위한 식재료의 보충 및 교환을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대량의 케익의 빠른 제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푸드 프린터를 이용하여 케익을 제작, 주문 및 배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는, 메인 데코레이션이 적용된 케익의 현재 위치 정보를 검출하여 케익 상에 소비자가 지정한 부가 데코레이션이 정확히 성형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드 프린터를 이용한 케익 주문 시스템에 대한 예시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1b는 판매자서버로부터 푸드 프린터 모델 데이터를 수신하여 케익 상에 부가 데코레이션을 성형하는 푸드 프린터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익 주문 시스템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케익 주문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12 그리고, 도 14, 도 15는 소비자단말기 상의 다양한 유저인터페이스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3은 가상의 성형 과정에 관한 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은 수신자단말기의 표시 화면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18은 수신자단말기에서 표시되는 영상 편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9는 푸드 프린터에 배치되는 압출 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0은 압출 커버의 회전을 설명하기 위한 압출 유닛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1 및 도 22는 푸드 프린터의 압출 유닛에 배치되는 압출 구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3 및 도 24는 푸드 프린터의 압출 구동부와 모터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5는 푸드 프린터의 압출 구동부와 압출기의 체결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6은 푸드 프린터의 압출기에 배치되는 피스톤과 압출 구동부의 체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의 점선 부분은 푸드 프린터의 압출기의 피스톤과 케이스를 분리하기 위한 자기력 제공수단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6은 푸드 프린터의 압출기에서 피스톤, 케이스 및 노즐부의 체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은 압출기와 압출 커버의 결합 및 압출기와 이송 유닛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드 프린터를 이용한 케익 주문 시스템에 대한 예시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그리고, 도 1b는 판매자서버로부터 푸드 프린터 모델 데이터를 수신하여 케익 상에 부가 데코레이션을 성형하는 푸드 프린터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드 프린터를 이용한 케익 주문 시스템(10)은 푸드 프린터(100), 관리서버(200), 판매자서버(300), 사용자단말기(400), 네트워크(500a)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400)는 소비자단말기(400a) 및 물품수신자단말기(400b)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400) 상에는 RF(radio frequency) 회로가 구비된다. RF 회로는 선택적으로 네트워크들(500a), 예컨대 월드 와이드 웹(WWW)으로도 지칭되는 인터넷, 인트라넷,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 예컨대 셀룰러 전화 네트워크, 무선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및/또는 대도시 통신망(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및 다른 디바이스들과 무선 통신에 의해 통신한다. 무선 통신은, 선택적으로,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HSDPA(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speed uplink packet access), EV-DO(Evolution, Data-Only), HSPA, HSPA+, DC-HSPDA(Dual-Cell HSPA), LTE(long term evolu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 Wi-Fi(Wireless Fidelity)(예를 들어, IEEE 802.11a, IEEE 802.11b, IEEE 802.11g 및/또는 IEEE 802.11n),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Wi-MAX, 이메일용 프로토콜(예를 들어, IMAP(Internet message access protocol) 및/또는 POP(post office protocol)), 인스턴트 메시징(예를 들어, XMPP(extensible messaging and presence protocol), SIMPLE(Session Initiation Protocol for Instant Messaging and Presence Leveraging Extensions), IMPS(Instant Messaging and Presence Service)), 및/또는 SMS(Short Message Service), 또는 본 문헌의 출원일 현재 아직 개발되지 않은 통신 프로토콜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 복수의 통신 표준들, 프로토콜들 및 기술들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한다.
단말기들(400a, 400b), 그러한 단말기들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및 그러한 단말기들을 사용하기 위한 연관된 프로세스들의 실시예들이 기술된다.
이하의 논의에서, 디스플레이 및 터치 감응형 표면을 포함하는 단말기가 기술된다. 그러나, 단말기가 선택적으로 물리적 키보드, 마우스 및/또는 조이스틱과 같은 하나 이상의 다른 물리적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포함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단말기(400a, 400b)는 전형적으로 다음 중 하나 이상과 같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을 지원한다: 그리기 애플리케이션, 프레젠테이션 애플리케이션, 워드 프로세싱 애플리케이션, 웹사이트 제작 애플리케이션, 디스크 저작 애플리케이션, 스프레드시트 애플리케이션, 게임 애플리케이션, 전화 애플리케이션, 화상 회의 애플리케이션, 이메일 애플리케이션,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 결제 지원 애플리케이션, 사진 관리 애플리케이션, 디지털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웹 브라우징 애플리케이션, 디지털 음악 재생기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디지털 비디오 재생기 애플리케이션.
단말기(400a, 400b) 상에서 실행되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은, 선택적으로, 터치 감응형 표면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보편적인 물리적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사용한다. 터치 감응형 표면의 하나 이상의 기능뿐만 아니라 디바이스 상에 표시되는 대응 정보는, 선택적으로, 조정되고 그리고/또는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다음 애플리케이션으로 그리고/또는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변화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디바이스의 (터치 감응형 표면과 같은) 보편적인 물리적 아키텍처는, 선택적으로, 사용자에게 직관적이고 명료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을 지원한다.
단말기(400a, 400b) 상의 터치 스크린은, 선택적으로, 스타일러스, 손가락 등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물체 또는 부속물을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과 접촉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손가락 기반 접촉 및 제스처를 주로 이용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이는 터치 스크린 상의 손가락의 더 넓은 접촉 면적으로 인해 스타일러스 기반 입력보다 덜 정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단말기(400a, 400b)는 대략적인 손가락 기반 입력을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정밀한 포인터/커서 위치 또는 커맨드로 변환한다.
또한, 단말기(400a, 400b)는 단말기(400a, 400b)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기 위하여 GPS 수신기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단말기(400a, 400b) 상의 메모리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은 운영 체제, 통신 모듈(또는 명령어들의 세트), 접촉/모션 모듈(또는 명령어들의 세트), 그래픽 모듈(또는 명령어들의 세트), 텍스트 입력 모듈(또는 명령어들의 세트), 위성 위치확인 시스템(GPS) 모듈(또는 명령어들의 세트), 결제 처리 모듈(또는 명령어들의 세트) 및 애플리케이션들(또는 명령어들의 세트들)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익 주문 시스템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케익 주문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익 주문 시스템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케익 주문 방법은 표시된 복수의 케익 이미지 중 선택된 케익 이미지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101), 표시된 복수의 데코레이션된 케익 이미지 중 선택된 데코레이션된 케익 이미지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103), 선택된 케익 이미지에 매칭되는 케익 모델 및 선택된 데코레이션된 케익 이미지에 매칭되는 데코레이션 모델을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S105), 데코레이션 모델의 이동을 위한 선택에 응답하여 데코레이션 모델을 상기 케익 모델 상에 위치시키고, 케익 모델 상의 데코레이션 모델의 위치 정보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107), 케익 모델 상의 데코레이션 모델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케익 모델 및 데코레이션 모델의 합성 모델인 데코레이션 케익 모델을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S109) 및 데코레이션 모델에 대한 푸드 프린터 모델 데이터를 수신한 푸드 프린터에 의해 데코레이션이 성형된 케익을 수신할 배송 정보를 수신하고 배송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111)를 포함할 수 있다.
S105 단계에서 케익 모델은 무지 케익 모델 또는 1차 데코레이션 케익 모델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데코레이션 모델은 메인 데코레이션 모델 또는 부가 데코레이션 모델이 될 수 있다. 부가 데코레이션 모델은 소비자단말기(400a)가 관리서버(2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이거나 소비자가 소비자단말기(400a)를 통해 입력한 부가 데코레이션 이미지를 관리서버(200)가 모델 데이터로 변환한 것일 수 있다. 또한, S109 단계에서 합성 모델인 데코레이션 케익 모델은 1차 데코레이션 케익 모델 또는 1차 데코레이션 케익 모델과 부가 데코레이션 모델을 서로 합성한 2차 데코레이션 케익 모델이 될 수 있다. 이하 각 단계에 대해서 상술한다.
도 3 내지 도 12 그리고, 도 14, 도 15는 소비자단말기 상의 다양한 유저인터페이스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1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 유저인터페이스 다음에 반드시 해당 유저 인터페이스의 다음으로 도시된 유저 인터페이스가 소비자단말기 상에 표시되는 것은 아니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수도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도 3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소비자가 소비자단말기(400a)를 통해 관리서버(200)에 접속하여 케익을 주문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소비자는 소비자단말기(400a)를 통해 관리서버(200)가 제공하는 케익 주문 웹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관리서버(200)가 제공하는 케익 주문용 애플리케이션이 소비자단말기(400a)에 설치되고, 케익 주문용 애플리케이션이 소비자단말기(400a) 상에서 실행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소비자단말기(400a) 상에는 케익 주문용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제1 유저인터페이스(410)가 표시될 수 있다. 제1 유저인터페이스(410)에는 지도 정보(411)가 표시될 수 있다.
소비자단말기(400a)는 소비자단말기(400a)의 현재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소정의 반경 범위 내의 지도 정보(411)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유저인터페이스(410)에는 표시된 지도 정보(411)와 매칭되는 지역 정보(412)가 표시될 수 있다.
제1 유저인터페이스(410)는 지역 정보 선택 어포던스(413)를 포함할 수 있다.
소비자단말기(400a)는 지역 정보 선택 어포던스(413)의 선택에 응답하여 지역 정보 카테고리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소비자단말기(400a)는 표시된 지역 정보 카테로리 내의 어느 하나의 지역 정보에 대한 선택에 응답하여 선택된 지역 정보를 중심으로 소정의 반경 범위 내의 지도가 표시되도록 지도 정보(411)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는 소비자단말기(400a) 상의 지역 정보 카테고리 내에서 케익의 배송지에 대응하는 지역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소비자단말기(400a)는 선택된 지역 정보를 관리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서버(200)는 지역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지역 정보로 배송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점포들(411a)이 표시된 지도 정보를 소비자단말기(400a)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소비자단말기(400a)는 관리서버(200)로부터 지도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케익의 배송 지역의 선택이 완료되면 소비자단말기(400a) 상에는 제2 유저인터페이스(420)가 표시될 수 있다.
제2 유저인터페이스(420)에는 복수의 케익 이미지(421)가 표시될 수 있다.
복수의 케익 이미지(421)는 도 3의 지도 정보(411) 상의 복수의 판매자 점포들(411a)이 취급하는 케익들에 대한 이미지 정보가 될 수 있다.
소비자단말기(400a)는 관리서버(200)로부터 도 3의 지도 정보(411) 상의 복수의 판매자 점포들(411a)에서 제조 및 판매 가능한 케익들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소비자단말기(400a)는 제2 유저인터페이스(420) 상에서의 슬라이딩 터치의 입력에 응답하여 표시되는 케익 이미지(421)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소비자는 소비자단말기(400a)의 디스플레이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딩 터치를 입력하면 다음 페이지에 상의 케익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유저인터페이스(420) 상에 표시된 슬라이딩바(sb)를 터치하여 제2 유저인터페이스(420) 상에 표시되는 케익 이미지가 포함된 페이지를 변경할 수도 있다.
소비자단말기(400a)는 복수의 케익 이미지(421)에서 어느 하나의 선택된 케익 이미지를 관리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소비자단말기(400a)는 케익 이미지의 선택의 완료에 응답하여 제3 유저인터페이스(430)를 표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4의 제2 유저인터페이스(420) 상의 다음 페이지 어포던스(np)의 선택에 응답하여 선택된 케익 이미지를 관리서버(200)로 전송하고 도 5의 제3 유저인터페이스(430)를 표시할 수도 있다.
제3 유저인터페이스(430)에는 복수의 데코레이션된 케익 이미지(431)가 표시될 수 있다.
복수의 데코레이션된 케익 이미지(431)는 도 3의 지도 정보(411) 상의 복수의 판매자 점포들(411a)에서 취급 가능한 데코레이션된 케익들에 관한 이미지 정보가 될 수 있다.
소비자단말기(400a)는 관리서버(200)로부터 도 3의 지도 정보(411) 상의 복수의 판매자 점포들(411a)에서 취급 가능한 데코레이션된 케익들에 관한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소비자단말기(400a)는 제3 유저인터페이스(430) 상에서의 슬라이딩 터치의 입력에 응답하여 표시되는 복수의 데코레이션된 케익 이미지(431)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소비자는 소비자단말기(400a)의 디스플레이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딩 터치를 입력하면 다음 페이지에 상의 데코레이션된 케익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3 유저인터페이스(430) 상에 표시된 슬라이딩바(sb)를 터치하여 제3 유저인터페이스(430) 상에 표시되는 복수의 데코레이션된 케익 이미지(431)가 포함된 페이지를 변경할 수도 있다.
소비자단말기(400a)는 복수의 데코레이션된 케익 이미지(431)에서 어느 하나의 선택된 데코레이션된 케익 이미지를 관리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를 참조하면, 소비자단말기(400a)는 데코레이션된 케익 이미지의 선택의 완료에 응답하여 제4 유저인터페이스(440)를 표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5의 제3 유저인터페이스(430) 상의 다음 페이지 어포던스(np)의 선택에 응답하여 선택된 데코레이션된 케익 이미지를 관리서버(200)로 전송하고 도 6의 제4 유저인터페이스(440)를 표시할 수도 있다.
제4 유저인터페이스(440)는 메인 데코레이션 모델(441)을 표시할 수 있다.
메인 데코레이션 모델(441)은 도 5에서 설명한 선택된 데코레이션된 케익 이미지 상에서의 데코레이션 부분에 해당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소비자단말기(400a)는 관리서버(200)로부터 3D 모델 데이터인 메인 데코레이션 모델(441)을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소비자단말기(400a)는 관리서버(200)로부터 3D 모델 데이터인 메인 데코레이션 모델(441)을 수신하여 2D 형태의 이미지로 메인 데코레이션 모델(441)을 표시할 수 있다.
제4 유저인터페이스(440)는 무지 케익 모델(443)을 표시할 수 있다.
무지 케익 모델(443)은 도 4에서의 선택된 케익 이미지에서 나타난 케익과 동일한 형태를 가지만, 장식 디자인이 없는 즉 데코레이션이 없는 케익 모델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소비자단말기(400a)는 관리서버(200)로부터 3D 모델 데이터이고 소비자가 선택한 데코레이션된 케익 이미지에 매칭되는 무지 케익 모델(443)을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소비자단말기(400a)는 관리서버(200)로부터 3D 모델 데이터인 무지 케익 모델(443)을 수신하여 2D 형태의 이미지로 무지 케익 모델(443)을 표시할 수 있다.
소비자는 제4 유저인터페이스(440) 상에 표시된 메인 데코레이션 모델(441)을 드레그하여 무지 케익 모델(443) 내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소비자단말기(400a)는 제4 유저인터페이스(440) 상에 표시된 메인 데코레이션 모델(441)의 터치 및 그 후 터치의 연속된 이동을 감지할 수 있으며, 터치의 종료를 감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소비자단말기(400a)는 제4 유저인터페이스(440) 상에 표시된 다음 페이지 어포던스(np)의 선택에 응답하여 무지 케익 모델(443) 영역 내에서 메인 데코레이션 모델(441)이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소비자단말기(400a)는 무지 케익 모델(443) 영역 내에서 메인 데코레이션 모델(441)이 위치하지 않는 경우, “케익 상에 메인 데코레이션 위치를 지정하여 주세요”라는 알림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소비자단말기(400a)는 무지 케익 모델(443) 영역 내에서 메인 데코레이션 모델(441)이 위치하는 경우, 무지 케익 모델(443) 영역 내에서의 메인 데코레이션 모델(441)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서버(200)는 소비자단말기(400a)로부터 수신한 메인 데코레이션 모델(441)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무지 케익 모델에 메인 데코레이션 모델을 합성하여 1차 데코레이션 케익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의 1차 데코레이션 케익 모델은 3D 모델 데이터가 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4 유저인터페이스(440)는 3D 변환 어포던스(3da)를 포함할 수 있다.
소비자단말기(400a)는 3D 변환 어포던스(3da)의 선택에 응답하여 무지 케익 모델(443) 영역 내에서 메인 데코레이션 모델(441)이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소비자단말기(400a)는 무지 케익 모델(443) 영역 내에서 메인 데코레이션 모델(441)이 위치하지 않는 경우, “케익 상에 메인 데코레이션 위치를 지정하여 주세요”라는 알림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소비자단말기(400a)는 무지 케익 모델(443) 영역 내에서 메인 데코레이션 모델(441)이 위치하는 경우, 무지 케익 모델(443) 영역 내에서의 메인 데코레이션 모델(441)의 위치 정보 및 3D 변환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관리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서버(200)는 3D 변환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메인 데코레이션 모델(441)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1차 데코레이션 케익 모델 생성하여 소비자단말기(400a)로 전송할 수 있다.
소비자단말기(400a)는 관리서버(200)로부터 1차 데코레이션 케익 모델을 수신하여 3D 모델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소비자단말기(400a)는 입력되는 슬라이딩 터치의 이동 방향을 감지하여, 이동 방향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1차 데코레이션 케익 모델을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소비자는 다양한 각도에서 1차 데코레이션 케익 모델을 관찰할 수 있다.
한편, 도면 상으로 메인 데코레이션 모델(441)을 무지 케익 모델(443)의 상부면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제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무지 케익 모델(443)의 측면 상에서도 메인 데코레이션 모델(441)을 위치시킬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6의 제4 유저인터페이스(440) 상의 다음 페이지 어포던스(np)의 선택에 응답하여 도 7의 제5-1 유저인터페이스(450a)를 표시할 수 있다.
소비자단말기(400a)는 관리서버(200)로부터 관리서버(200)에 미리 등록된 복수의 부가 데코레이션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제5-1 유저인터페이스(450a)는 수신한 부가 데코레이션 이미지(45)를 표시할 수 있다.
부가 데코레이션 이미지(45)는 제1 부가 데코레이션 이미지(451) 및 제2 부가 데코레이션 이미지(4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가 데코레이션 이미지(451)에서의 제1 부가 데코레이션은 글자 데코레이션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부가 데코레이션 이미지(452)에서의 제2 부가 데코레이션은 그림 데코레이션이 될 수 있다.
소비자는 제5-1 유저인터페이스(450a) 상에서 표시된 복수의 부가 데코레이션 이미지(45)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소비자단말기(400a)는 표시된 복수의 부가 데코레이션 이미지(45) 중 어느 하나의 선택(예를 들어, 터치 입력)을 감지하여, 선택된 부가 데코레이션 이미지(45) 정보를 관리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서버(200)는 선택된 부가 데코레이션 이미지(45) 정보를 수신하면, 이에 매칭되는 부가 데코레이션 모델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관리서버(200)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부가 데코레이션 모델 데이터 중 소비자가 선택한 부가 데코레이션 이미지(45)에 매칭되는 부가 데코레이션 모델 데이터를 읽어드릴 수 있다.
소비자가 표시된 복수의 부가 데코레이션 이미지(45) 중 어느 하나의 선택을 완료하면, 소비자단말기(400a)는 도 8에서 예시적으로 도시된 제6-1 유저인터페이스(460a)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도 7의 제5-1 유저인터페이스(450a) 상의 다음 페이지 어포던스(np)의 선택에 응답하여 도 8의 제6-1 유저인터페이스(460a)를 표시할 수 있다.
소비자단말기(400a)는 관리서버(200)로부터 부가 데코레이션 모델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6-1 유저인터페이스(460a) 상에서 표시할 수 있다.
제6-1 유저인터페이스(460a)는 도 7에서 설명한 선택된 부가 데코레이션 이미지(45)에 대한 부가 데코레이션 모델(461)이 표시된다.
또한, 소비자단말기(400a)는 관리서버(200)로부터 1차 데코레이션된 케익 모델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코레이션된 케익 모델(463)을 표시할 수 있다.
소비자는 제6-1 유저인터페이스(460a) 상에 표시된 부가 데코레이션 모델(461)을 드레그하여 1차 데코레이션된 케익 모델(463) 내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소비자단말기(400a)는 제6-1 유저인터페이스(460a) 상에 표시된 부가 데코레이션 모델(461)의 터치 및 그 후 터치의 연속된 이동을 감지할 수 있으며, 터치의 종료를 감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소비자단말기(400a)는 제6-1 유저인터페이스(460a) 상에 표시된 다음 페이지 어포던스(np)의 선택에 응답하여 1차 데코레이션된 케익 모델(463) 영역 내에서 부가 데코레이션 모델(461)이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소비자단말기(400a)는 1차 데코레이션된 케익 모델(463) 영역 내에서 부가 데코레이션 모델(461)이 위치하지 않는 경우, “케익 상에 부가 데코레이션의 위치를 지정하여 주세요”라는 알림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소비자단말기(400a)는 1차 데코레이션된 케익 모델(463) 영역 내에서 메인 데코레이션 모델(441)의 위치와 부가 데코레이션 모델(461)의 위치가 서로 중첩되는 경우, “부가 데코레이션의 위치를 메인 데코레이션이 없는 위치로 이동시켜 주세요”라는 알림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소비자단말기(400a)는 1차 데코레이션된 케익 모델(463) 영역 내에서 메인 데코레이션 모델(441)의 위치와 부가 데코레이션 모델(461)의 위치가 서로 중첩되지 않으면, 1차 데코레이션된 케익 모델(463) 상의 부가 데코레이션 모델(461)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서버(200)는 부가 데코레이션 모델(461)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부가 데코레이션 모델과 1차 데코레이션된 케익 모델을 합성하여 2차 데코레이션된 케익 모델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6-1 유저인터페이스(460a)는 부가 데코레이션 모델(461)의 사이즈 조정 및 회전 각도 조절을 위한 툴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소비자는 부가 데코레이션 모델(461)의 크기를 조절하거나 회전 각도를 조절하여 1차 데코레이션된 케익 모델(463) 상에서 위치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6-1 유저인터페이스(460a)는 3D 변환 어포던스(3da)를 포함할 수 있다.
소비자단말기(400a)는 3D 변환 어포던스(3da)의 선택에 응답하여 관리서버(200)로 3D 변환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서버(200)는 3D 변환 요청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2차 데코레이션된 케익 모델 데이터를 생성하여 소비자단말기(400a)로 전송할 수 있다.
소비자단말기(400a)는 관리서버(200)로부터 2차 데코레이션된 케익 모델 데이터를 수신하여 3차원 형태의 2차 데코레이션된 케익 모델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소비자단말기(400a)는 입력되는 슬라이딩 터치의 이동 방향을 감지하여, 이동 방향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2차 데코레이션된 케익 모델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소비자는 다양한 각도에서 2차 데코레이션된 케익 모델을 살펴볼 수 있다.
한편, 도면 상으로 부가 데코레이션 모델(461)을 1차 데코레이션된 케익 모델(443)의 상부면에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제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1차 데코레이션된 케익 모델(443)의 측면 상에 부가 데코레이션 모델(461)을 위치시킬 수도 있다.
다른 측면에서, 도 9를 참조하면, 도 6의 제4 유저인터페이스(440) 상의 다음 페이지 어포던스(np)의 선택에 응답하여 도 9의 제5-2 유저인터페이스(450b)를 표시할 수 있다.
제5-2 유저인터페이스(450b)는 소비자가 직접 부가 데코레이션을 입력할 수 있는 툴을 제공한다. 따라서, 제5-2 유저인터페이스(450b) 상에서 소비자는 직접 부가 데코레이션을 입력할 수 있다.
소비자단말기(400a)는 제5-2 유저인터페이스(450b)의 드로잉 영역(da) 내에서의 터치 입력 지점을 따라 미리 정해진 색상 및 미리 정해진 굵기의 점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연속된 터치의 입력이 있는 경우 터치 지점을 따라 선이 표시될 수 있다. 소비자는 자유롭게 드로잉 영역(da) 상에서 부가 데코레이션을 입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5-2 유저인터페이스(450b)는 표시되는 점의 굵기를 변경할 수 있는 툴 박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5-2 유저인터페이스(450b)는 소비자가 3차원 모델을 그리기 위한 3D 모델 작업 툴 박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소비자에 의해 부가 데코레이션 드로잉 과정이 완료되면 소비자단말기(400a)는 도 10에서 예시적으로 표시된 제5-3 유저인터페이스(460c)를 표시할 수 있다.
제5-3 유저인터페이스(460c)는 제5-2 유저인터페이스(450b)에서 소비자에 의해 입력된 부가 데코레이션 이미지(457)가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5-3 유저인터페이스(460c)는 텍스트 등의 레터링 정보(454)를 입력할 수 있는 키보드 툴(kb)을 제공할 수 있다. 소비자는 키보드 툴(kb)을 통해 레터링 정보(454)를 입력할 수 있다. 소비자가 입력한 레터링 정보(454)는 이미지로 변환되어 부가 데코레이션 이미지(457)의 인접한 곳에 표시될 수 있다. 즉, 제5-3 유저인터페이스(460c)는 제5-2 유저인터페이스(450b)에서 소비자에 의해 입력된 부가 데코레이션 이미지(457)와 함께 레터링 이미지(456)가 표시될 수 있다.
소비자에 의해 레터링 정보(454)의 입력 과정이 완료되면 소비자단말기(400a)는 소비자가 입력한 부가 데코레이션 이미지(457) 및 레터링 이미지(456) 정보를 관리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서버(200)는 수신한 부가 데코레이션 이미지(457) 및 레터링 이미지(456) 정보를 분석하여 부가 데코레이션 모델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소비자단말기(400a)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소비자단말기(400a)는 도 10의 제5-3 유저인터페이스(460c)에서의 다음 페이지 어포던스(np)의 선택에 응답하여 제6-2 유저인터페이스(460b)를 표시할 수 있다.
소비자단말기(400a)는 관리서버(200)로부터 부가 데코레이션 모델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6-2 유저인터페이스(460b) 상에서 표시할 수 있다.
제6-2 유저인터페이스(460b)는 도 10에서 설명한 사용자가 입력한 부가 데코레이션 및 레터링 이미지(457, 456))에 대한 부가 데코레이션 모델(461)이 표시된다.
또한, 소비자단말기(400a)는 관리서버(200)로부터 1차 데코레이션된 케익 모델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코레이션된 케익 모델(463)을 표시할 수 있다.
소비자는 제6-2 유저인터페이스(460b) 상에 표시된 부가 데코레이션 모델(461)을 드레그하여 1차 데코레이션된 케익 모델(463) 내로 이동시킬 수 있다.
소비자단말기(400a)는 1차 데코레이션된 케익 모델(463) 영역 내에서 메인 데코레이션 모델(441)의 위치와 부가 데코레이션 모델(461)의 위치가 서로 중첩되지 않으면, 1차 데코레이션된 케익 모델(463) 상의 부가 데코레이션 모델(461)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서버(200)는 부가 데코레이션 모델(461)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부가 데코레이션 모델과 1차 데코레이션된 케익 모델을 합성하여 2차 데코레이션된 케익 모델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6-2 유저인터페이스(460b)는 3D 변환 어포던스(3da)를 포함할 수 있다.
소비자단말기(400a)는 3D 변환 어포던스(3da)의 선택에 응답하여 관리서버(200)로 3D 변환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서버(200)는 3D 변환 요청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2차 데코레이션된 케익 모델 데이터를 생성하여 소비자단말기(400a)로 전송할 수 있다.
소비자단말기(400a)는 관리서버(200)로부터 2차 데코레이션된 케익 모델 데이터를 수신하여 3차원 형태의 2차 데코레이션된 케익 모델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소비자단말기(400a)는 입력되는 슬라이딩 터치의 이동 방향을 감지하여, 이동 방향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2차 데코레이션된 케익 모델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소비자는 다양한 각도에서 2차 데코레이션된 케익 모델을 살펴볼 수 있다.
한편, 도면 상으로 부가 데코레이션 모델(461)을 1차 데코레이션된 케익 모델(443)의 상부면에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제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1차 데코레이션된 케익 모델(443)의 측면 상에 부가 데코레이션 모델(461)을 위치시킬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6-2 유저인터페이스(460b)는 부가 데코레이션 모델(461)의 사이즈 조정 및 회전 각도 조절을 위한 툴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소비자는 부가 데코레이션 모델(461)의 크기를 조절하거나 회전 각도를 조절하여 케익 모델(463) 상에서 위치시킬 수 있다.
한편, 관리서버(200)는 2차 데코레이션된 케익 모델 데이터의 생성을 완료하면, 부가 데코레이션 모델에 대한 푸드 프린터 모델 데이터 및 푸드 프린터에 의한 부가 데코레이션 성형 과정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관리서버(200)는 푸드 프린터에 의한 부가 데코레이션 성형 과정 영상 데이터 생성 시 부가 데코레이션 모델에 대한 푸드 프린터 모델 데이터에 기초할 수 있다.
부가 데코레이션 모델에 대한 푸드 프린터 모델 데이터는 STL(STereoLithography) 파일 형식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으로, 부가 데코레이션 모델에 대한 푸드 프린터 모델 데이터에 따라 푸드 프린터의 압출 유닛은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을 하면서 데코레이션 모델을 성형하게 된다. 관리서버(200)는 부가 데코레이션 모델에 대한 푸드 프린터 모델 데이터에 따라 압출 유닛이 이동하면서 데코레이션 모델을 성형하는 가상의 영상 데이터인 푸드 프린터에 의한 부가 데코레이션 성형 과정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소비자단말기(400a)는 부가 데코레이션 성형 과정 영상 데이터 생성의 완료에 응답하여 제7 유저인터페이스(470)를 표시할 수 있다.
제7 유저인터페이스(470) 상에서는 부가 데코레이션 성형 과정 영상(471)이 재생될 수 있다.
부가 데코레이션 성형 과정 영상(471)은 부가 데코레이션 모델에 대한 푸드 프린터 모델 데이터에 따라 푸드 프린터가 부가 데코레이션을 성형하는 것을 나타내는 영상이다. 즉, 부가 데코레이션 성형 과정 영상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푸드 프린터에 의해 성형되는 부가 데코레이션의 성형 과정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 예를 들어, 부가 데코레이션이 “I Love U”라는 글자이고, 푸드 프린터가 “I, L, o, v, e, U” 순서로 부가 데코레이션을 성형하는 경우 시간 흐름에 따라 “I, L, o, v, e, U” 글자가 영상에서 하나씩 그려질 수 있다. 다만, 이는 실제 촬영 영상이 아닌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가상의 사출 성형 과정에 따라 그려지는 부가 데코레이션에 대한 영상이다.
제7 유저인터페이스(470)는 부가 데코레이션 성형 과정 영상(471)의 시간에 따른 재생 지점을 지정할 수 있는 영상 시간 컷팅 바(472)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시간 컷팅 바(472) 상의 시작 지점 어포던스(sp)와 종료 지점 어포던스(ep)는 영상 시간 컷팅 바(472)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소비자는 영상 시간 컷팅 바(472) 상에서 시작 지점 어포던스(sp)와 종료 지점 어포던스(ep)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제7 유저인터페이스(470)는 컷팅 영상 재생 어포던스(473)를 포함할 수 있다.
소비자단말기(400a)는 컷팅 영상 재생 어포던스(473)의 선택에 응답하여 영상(471)의 일부인 영상 시간 컷팅 바(472) 상의 시작 지점 어포던스(sp)의 위치 시점부터 종료 지점 어포던스(ep)의 위치 시점까지 컷팅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작 지점 어포던스(sp)의 위치가 영상(471)에서 L 글자를 성형하기 시작하는 지점이고, 종료 지점 어포던스(ep)의 위치가 영상(471)에서 e 글자를 성형 종료하는 지점인 경우 이 때, 도 1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L, o, v, e의 가상의 성형 과정에 관한 영상이 재생될 수 있다.
제7 유저인터페이스(470)는 영상 컷팅 완료 어포던스(474)를 포함할 수 있다.
소비자단말기(400a)는 영상 컷팅 완료 어포던스(474)의 선택에 응답하여 영상 시간 컷팅 바(472) 상에서 시작 지점 어포던스(sp)와 종료 지점 어포던스(ep)의 위치 정보를 관리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서버(200)는 영상 시간 컷팅 바(472) 상에서 시작 지점 어포던스(sp)와 종료 지점 어포던스(ep)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촬영 시점 데이터 및 촬영 시점에 따른 압출 유닛의 위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소비자단말기(400a)는 제7 유저인터페이스(470) 상의 다음 페이지 어포던스(np)의 선택에 응답하여 도 14에서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제8 유저인터페이스(480)를 표시할 수 있다.
제8 유저인터페이스(480)는 관리서버(200)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제1 컨텐츠(481)를 표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8 유저인터페이스(480)는 소비자가 직접 컨텐츠를 업로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8 유저인터페이스(480)는 소비자가 직접 업로드한 컨텐츠인 적어도 하나의 제2 컨텐츠(482)를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제1 컨텐츠(481) 및 제2 컨텐츠(482) 각각은 사진이나 동영상이 될 수 있다.
소비자단말기(400a)는 복수의 제1 컨텐츠(481)들 중에서 선택된 제1 컨텐츠의 정보를 관리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서버(200)는 영상 시간 컷팅 바(472) 상에서 시작 지점 어포던스(sp)와 종료 지점 어포던스(ep)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부가 데코레이션 성형 과정 영상에서 컷팅 영상을 추출하고, 저장하고 있는 제1 컨텐츠와 컷팅 영상을 합성 편집하여 제1 임시 영상 편지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소비자단말기(400a)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컨텐츠(482) 중에서 선택된 제2 컨텐츠를 관리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서버(200)는 영상 시간 컷팅 바(472) 상에서 시작 지점 어포던스(sp)와 종료 지점 어포던스(ep)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부가 데코레이션 성형 과정 영상에서 컷팅 영상을 추출하고, 소비자단말기(400a)로부터 수신한 제2 컨텐츠와 컷팅 영상을 합성 편집하여 제2 임시 영상 편지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소비자단말기(400a)는 결제 및 배송 정보 입력을 위한 제9 유저인터페이스(490)를 표시할 수 있다.
소비자는 제9 유저인터페이스(490)를 통해 케익 주문의 결제 및 케익을 받을 수신자에 대한 정보, 배송 일자 정보, 배송 장소 정보 등을 입력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은 수신자단말기의 표시 화면에 대한 개략도이다. 그리고, 도 18은 수신자단말기에서 표시되는 영상 편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소비자 맞춤형 케익의 제조가 완성되어 케익이 배송지에 도착하면, 관리서버(200)는 수신자에게 케익 배송지 도착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세하게, 수신자단말기(400b)에는 케익 상품을 보낸 사람의 정보(402b)와 영상 편지 링크(403b)가 포함된 알림 메시지(401b)가 표시될 수 있다.
수신자단말기(400b)는 알림 메시지(401b) 상의 영상 편지 링크(403b)의 선택에 응답하여 영상 편지 링크(403b)에 따른 웹페이지(404b)를 표시할 수 있다.
수신자단말기(400b)에서의 웹페이지(404b) 상에는 도 18에서 예시적으로 표시된 바와 같은 영상 편지(405b)가 표시될 수 있고, 화살표의 순서대로 영상이 재생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의 영상 편지(405b)는 전술한 제1 임시 영상 편지 컨텐츠나 제2 임시 영상 편지 컨텐츠가 아닌 제1 리얼 영상 편지 컨텐츠나 제2 리얼 영상 편지 컨텐츠이다. 상세하게, 제1 리얼 영상 편지 컨텐츠는 제1 컨텐츠와 실제 성형 과정이 촬영된 영상의 합성 컨텐츠이고, 제2 리얼 영상 편지 컨텐츠는 제2 컨텐츠와 실제 성형 과정이 촬영된 영상의 합성 컨텐츠이다.
한편, 관리서버(200)는 소비자단말기(400a)로부터 수신한 결제 및 배송 정보, 1차 데코레이션된 케익 모델 데이터, 2차 데코레이션된 케익 모델 데이터, 촬영 시점 데이터 및 촬영 시점에 따른 압출 유닛의 위치 데이터 및 부가 데코레이션 모델에 대한 푸드 프린터 모델 데이터를 판매자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판매자서버(300)는 1차 데코레이션된 케익 모델 데이터를 수신하여 3차원 형태의 1차 데코레이션된 케익 모델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판매자서버(300)는 2차 데코레이션된 케익 모델 데이터를 수신하여 3차원 형태의 2차 데코레이션된 케익 모델을 표시할 수 있다.
판매자는 표시된 3차원 형태의 1차 데코레이션된 케익 모델 및/또는 2차 데코레이션된 케익 모델을 참고하여 케익을 제작할 수 있다. 판매자가 직접 제작하는 케익은 메인 데코레이션이 적용된 케익이다. 그리고, 판매자는 메인 데코레이션이 적용된 실물 케익을 완성하고 해당 케익에 푸드 프린터(100)를 부가 데코레이션을 적용할 수 있다.
판매자서버(300)는 수신한 촬영 시점 데이터 및 촬영 시점에 따른 압출 유닛의 위치 데이터 및 부가 데코레이션 모델에 대한 푸드 프린터 모델 데이터를 푸드 프린터(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하, 푸드 프린터(100)에 대해 상술한다.
도 19는 푸드 프린터에 배치되는 압출 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0은 압출 커버의 회전을 설명하기 위한 압출 유닛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a, 도 1b 및 도 19를 참조하면, 푸드 프린터(100)는 케익 상에 부가 데코레이션의 적용, 즉 3차원 푸드 제조 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101), 케이스(101) 내부에 배치되어 식재료를 압출하는 압출 유닛(200a), 케이스(101)의 내부에 배치되어 식재료가 디스펜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20), 베이스 플레이트(120)를 X축, Y축 및 Z축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140) 및 3차원 푸드 프린터(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부들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도면에는 도시하였지만 설명하지 않은 110은 외부에서 작업자(또는 사용자)가 3차원 푸드의 제조 과정을 확인하거나 제조가 완료된 3차원 푸드를 반입 및 반출할 수 있는 입구부이고, 150은 3차원 푸드의 제조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이다. 또한, 입구부(110)는 케이스(101)의 내부가 시인되도록 투명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입구부(110)에는 도어 장치가 마련되어 사용자는 도어를 열어 내부의 압출 유닛 상에서 캡슐을 배출시키고, 새로운 캡슐을 압출 유닛에 결합시킬 수 있다.
케이스(101)는 도면에는 내부 공간을 갖는 직육면체 구조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것은 고정된 것이 아니다. 푸드 프린터(100)의 사용 환경이나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그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케이스(101) 내부에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3차원 푸드 프린팅 방식으로 식품을 제조할 때 이동부(140)의 동작에 따라 3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동부(140)는 압출 유닛(200a)의 압출기(250)를 중심으로 서로 직교하는 X축, Y축 및 Z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베이스 플레이트(120)는 고정된 상태에서 압출 유닛(200a)의 압출기(250)가 X축, Y축 및 Z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3차원 푸드 프린팅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20)는 X, Y, Z 축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압출기(250)는 나머지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함에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120)와 압출기(250)의 이동에 따라 X, Y, Z 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푸드의 성형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베이스 플레이트(120)를 지지하는 이동부(140)의 지지바에는 냉각수단이 배치될 수 있다. 즉, 베이스 플레이트(120)는 소정의 온도로 점성을 갖는 재료가 압출기(250)를 통해 제공되면 냉각수단을 이용하여 빠르게 굳도록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푸드 프린터(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어부(130)는 프로세서, 메모리, 통신부, 위치 설정부 및 전원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푸드 프린터(100)는 판매자서버(300) 또는 관리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부가 데코레이션 모델에 대한 푸드 프린터 모델 데이터를 이용하여 케익 상에 부가 데코레이션을 성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0)는 케익의 위치 정보, 케익의 위치 이동 가이드 정보, 부가 데코레이션 성형 과정시 케이스 내부의 조건 정보, 부가 데코레이션에 관한 재료 정보, 온도 정보, 위치 정보, 성형 시간 정보, 촬영에 관한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150)는 푸드 프린터(1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정보 입력이 가능한 터치 입력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푸드 프린터(100)는 식재료를 점성이 있는 형태로 가공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20)에 푸드 제조에 관한 제공된 정보에 따라 식재료를 압출하는 압출 유닛(200a)을 포함한다. 푸드 프린터(100)는 부가 데코레이션 관련 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식재료에는 그 제한이 없으나 성형 및 배합이 용이하지 실시예에 따라 3차원 프린팅을 구현이 가능한 초콜릿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실시예일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설명에서는 푸드 프린터(100)가 초콜릿을 이용하여 부가 데코레이션을 성형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푸드 프린터(100)에 배치된 압출 유닛(200a)은, 초콜릿을 점성이 있는 액체로 변환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20) 상에 압출하는 압출기(250)와, 압출기(250)를 베이스 플레이트(120)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상하 이동시키는 이송 유닛(280)을 포함할 수 있다.
압출기(250)는 압출 커버(251)와, 압출 커버(251) 내측에 삽입되어 압출 커버(251)와 결합되는 캡슐(256)과, 캡슐(256)의 내측에 삽입되어 점성 상태의 초콜릿에 압력을 전달하는 피스톤부(252)와, 압출 커버(251)의 하측에 배치되어 초콜릿을 히팅하는 히팅부(255)와, 압출 커버(251)에 배치되어 압출 커버(251)와 캡슐(256)을 분리하는 자기력 제공수단(254)과, 자기력 제공수단(254)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이송 유닛(280)과 고정되는 고정 지지부(253)를 포함한다.
히팅부(255) 외측에는 복수의 노즐홀(NH)이 형성되고, 노즐홀(NH)을 통해 캡슐(256)에 체결된 노즐(277) 외부로 인출된다.
도 20을 더 참조하면, 고정 지지부(253)의 말단에는 회전부(600)가 구비될 수 있다.
회전부(600)는 압출 커버(251)와 결합될 수 있다. 상세하게, 회전부(600)는 압출 커버(251)의 하측 영역을 둘레의 일부 영역을 감싸는 형태로 위치하여 압출 커버(251)의 양 측면에 결합할 수 있다.
압출 커버(251)는 회전부(6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소정의 각도 범위(a)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상세하게, 지면과 평행한 제1 가상의 축과 상기 제1 가상의 축과 수직한 제2 가상의 축을 기준으로 압출 커버(251)는 회전부(6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가상의 축 사이의 범위 내에서의 a 각도 범위 내로 회전할 수 있다.
압출 커버(251) 상에서 캡슐(256)을 분리하기 위하여 캡슐(256) 상의 피스톤부(252)와 자기력 제공수단(500) 사이의 자기적인 결합을 해제한 후 압출 커버(251)를 a1 방향(도 1a에서의 입구부(110) 측으로)으로 회전시켜 캡슐(256)을 압출 커버(251)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압출 커버(251)가 a1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캡슐(256)을 압출 커버(251)로 삽입하고 압출 커버(251)를 a1과 반대 방향인 a2 방향(도 1a의 케이스(101)의 뒷면 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캡슐(256)의 피스톤부(252)를 자기력 제공수단(500)에 자기적인 결합을 시킴으로써 캡슐(256)이 정 위치(cp)가 되도록 하여 최종적으로 압출 커버(251)가 정 위치(cp)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압출 커버(251)로 캡슐(256)을 분리시킬 때는 압출 커버(251)가 b 각도 범위 내에서 위치할 수 있고, 캡슐(256)이 압출 커버(251)에 삽입하여 압출 커버(251)를 a2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압출 커버(251)는 c 각도 범위 내에서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그 후 피스톤부(252)와 자기력 제공수단(500)의 자기적인 인력에 의해 캡슐(256)이 자연스럽게 정 위치(cp)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압출 커버(251)로부터 캡슐(256)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고 자기적인 결합을 이용하여 정 위치에 있지 않은 압출 커버(251)가 자연스럽게 정 위치(cp)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압출 커버(251)에 캡슐(256)을 삽입한 후에 압출 커버(251)를 a2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캡슐(256)을 살짝 들어올리면 피스톤부(252)와 자기력 제공수단(500)의 자기적인 인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피스톤부(252)가 자기력 제공수단(500)에 자기적인 결합을 함으로써 압출 커버(251)가 정 위치(cp)가 되도록 한다. 또한, 피스톤부(252)가 자기력 제공수단(500)에 자기적인 결합을 할 때 피스톤부(252)의 상부 끝단이 자기력 제공수단(500)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고 피스톤부(252)의 상부 끝단과 자기력 제공수단(500)의 내부의 가벼운 충돌에 따른 충돌음이 발생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압출 커버(251)가 정 위치(cp)가 되었음을 인지하도록 음향 피드백이 제공될 수 있다.
도 21 및 도 22는 푸드 프린터의 압출 유닛에 배치되는 압출 구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3 및 도 24는 푸드 프린터의 압출 구동부와 모터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1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이송 유닛(280)은 이송 프레임(284)이 이동할 수 있는 이송 가이드(281)와, 이송 가이드(281) 내부에 배치되어 이송 프레임(284)을 수직한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 기어부(282)와, 이송 프레임(284)과 체결되는 동력 프레임(283)과, 동력 프레임(283)에 배치되어 이송 프레임(284)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1 모터(288) 및 제2 모터(289)와, 이송 가이드(281)의 하측에 배치되어 압출기(250)의 캡슐(256)과 압출 커버(251)를 분리 및 결합하는 자기력 제공수단(500)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송 프레임(284)은 이송 프레임(284)으로부터 확장된 확장부(284a)와 동력 프레임(283)이 서로 고정된다. 제1 모터(288)의 제1 회전부(270a)는 이송 프레임(284)에 배치된 제2 회전부(270b)와 동력 벨트(271)에 의해 연결되어 제1 모터(288)의 회전력이 이송 프레임(284)의 제2 회전부(270b)에 전달된다.
또한, 이송 가이드(281)는 이송 프레임(284)과 동력 프레임(283)이 상하로 이동할 때, 이동이 원활할 수 있도록 측벽에 가이드홈(23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송 기어부(282)는 일측이 이송 가이드(281)의 상면에 고정되고 타측은 압출기(250)의 피스톤부(252)와의 고정을 위한 제1 고정판(282a) 및 제1 마그네틱부(282b)가 배치된다. 제1 마그네틱부(282b)는 제1 고정판(282a) 상에 복수의 자성체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피스톤부(252)의 제2 고정판(252c) 상에 배치된 제2 마그네틱부(252d)와 자력에 의한 체결을 위함이다. 또한, 제1 마그네틱부(282b)와 제2 마그네틱부(252d)는 자기력 제공수단(500)의 회전자 기능을 하여 캡슐(256)과 압출 커버(251)의 분리 및 체결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송 기어부(282)와 제1 고정판(282a) 사이에는 제1 고정판(282a)과 제1 마그네틱부(282b)가 이송 기어부(282)와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베어링과 같은 회전링을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이송 프레임(284)이 상하 이동을 하면 이송 프레임(284)과 고정된 동력 프레임(283)도 함께 상하 이동을 한다. 이송 프레임(284)의 상측과 하측에는 각각 제1 위치감지수단(297)과 제2 위치감지수단(298)이 각각 배치되어 있어 이송 프레임(284)이 이송 가이드(281)의 상측에 위치할 때 제1 위치감지수단(297)에 의해 상부 방향의 이동을 멈추도록 할 수 있다.
마찬가지 방식으로 이송 프레임(284)이 이송 가이드(281)의 하측에 위치할 때, 제2 위치감지수단(297)에 의해 하부 방향의 이동을 멈추도록 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및 제2 위치감지수단(297, 298) 각각은 스위치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이송 프레임(284)이 이송 가이드(281)의 상측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도달하거나 이송 프레임(284)이 이송 가이드(281)의 하측에 미리 정해진 위치에 도달하면 제1 위치감지수단(297) 또는 제2 위치감지수단(298)의 스위치가 턴온됨으로써 이송 프레임(284)의 이동이 중단될 수 있다.
도 25는 푸드 프린터의 압출 구동부와 압출기의 체결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6은 푸드 프린터의 압출기에 배치되는 피스톤과 압출 구동부의 체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7의 점선 부분은 푸드 프린터의 압출기의 피스톤과 케이스를 분리하기 위한 자기력 제공수단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26은 푸드 프린터의 압출기에서 피스톤, 케이스 및 노즐부의 체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28은 압출기와 압출 커버의 결합 및 압출기와 이송 유닛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 내지 도 28을 참조하면, 압출기(250)에 배치되는 피스톤부(252)는 바(bar) 형태의 샤프트(252a)와, 샤프트(252a) 일측에 배치되는 패킹부(252b)와, 샤프트(252a) 타측에 배치되는 제2 고정판(252c)과 제2 고정판(252c) 상에 배치된 제2 마그네틱부(252d)를 포함한다. 샤프트(252a)의 일측에 배치되는 패킹부(252b)는 캡슐(256)의 내부에 삽입되어 액상의 초콜릿에 압력을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푸드 프린터(100)는 압출기(250)의 피스톤부(252)를 이송 유닛(280)에 얼라인 하여 고정하기 위해 피스톤부(252)의 일측에 제2 고정판(252c)과 제2 마그네틱부(252d)가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마그네틱부(252d)는 제1 마그네틱부(282b)와 함께 캡슐(256)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할 뿐만아니라, 피스톤부(252)를 이송 유닛(280)에 체결할 때, 별도의 얼라인 공정 없이 자력에 의해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피스톤부(252)의 타측에 배치된 제2 고정판(252c)과 제2 마그네틱부(252d)는 이송 유닛(280)의 제1 고정판(282a) 상에 배치된 제1 마그네틱부(282b)와 체결된다. 즉, 압출기(250)가 이송 유닛(280)으로부터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도록 자기력 고정 방식이 이용된다.
푸드 프린터(100)는 압출기(250)의 제2 고정판(252c) 상에 복수의 자성체들로 구성된 제2 마그네틱부(252d)를 배치한다. 제2 마그네틱부(252d)를 구성하는 복수의 자성체들은 제1 마그네틱부(282b)를 구성하는 자성체들과 1:1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푸드 프린터(100)는 제1 모터(288)의 동력이 동력 벨트(171)를 통해 제2 회전부(270b)에 전달되면 이송 프레임(284)은 이송 기어부(282)를 따라 상하로 이동한다. 따라서, 이송 프레임(284)의 이동에 따라 이송 프레임(284)과 체결된 압출기(250)의 피스톤부(252)는 상하 이동을 하면서 캡슐(256)에 있는 식재료를 케익의 상으로 토출시킨다. 이와 같이, 피스톤부(252)가 상하로 이동하면 패킹부(252b)가 캡슐(256) 내부에 채워진 초콜릿에 압력을 가하는 방식으로 3차원 푸드 프린팅 작업이 진행된다.
이때, 캡슐(256)은 몸체부(256b)와, 몸체부(256b) 전방에 배치된 노즐체결부(256a)와, 몸체부(256b)의 상부에 배치된 캡슐체결부(256c)를 포함한다. 몸체부(256b)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형 구조로 형성되고, 액상의 초콜릿이 채워지는 공간이다. 노즐체결부(256a)는 액상 상태의 초콜릿을 베이스 플레이트(120) 상에 압출 또는 디스펜스 하기 위한 노즐(277)이 체결된다.
또한, 캡슐(256)은 압출 커버(251)와 체결을 위해 상부에 캡슐체결부(256c)가 형성된다. 캡슐(256)은 피스톤부(252)가 삽입되어 있고 피스톤부(252)의 패킹부(252b)에 의해 일정한 힘으로 고정되어 있어 피스톤부(252)를 회전하여 압출 커버(251)에 체결된다. 즉, 캡슐(256)의 캡슐체결부(256c)와 이와 대응하는 압출 커버(251)의 내측면은 나사산 결합을 할 수 있도록 나사산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직접 캡슐(256)을 회전시켜 캡슐체결부(256c)와 이와 대응하는 압출 커버(251)의 내측면이 나사 결합이 되도록 하여 캡슐(256)이 압출 커버(251)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캡슐(256)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캡슐체결부(256c)와 이와 대응하는 압출 커버(251)의 내측면의 나사 결합을 해제시킴으로써 캡슐(256)이 압출 커버(251)로부터 분리 가능한 형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실시예는 캡슐(256)과 압출 커버(251) 상호간의 분리 및 결합을 위한 자기력 제공수단(500)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캡슐(256)과 압출 커버(251) 사이의 결합 또는 분리의 자동화를 위하여 특히, 푸드 프린터(100)는 작업자 또는 사용자의 체결 작업 없이 자동으로 캡슐(256)을 회전시켜 캡슐(256)과 압출 커버(251)를 체결할 수 있도록 자기력 제공수단(500)을 배치하였다.
자기력 제공수단(500)은 피스톤부(252)에 배치된 제2 마그네틱부(252d)와 제1 마그넥티부(282b)를 회전자로 하고, 제1 및 제2 마그네틱부(282b, 252d)를 회전시키기 위해 제1 및 제2 마그네틱부(282b, 252d)의 둘레를 따라 배치된 스테이터(352)와, 스테이터(352)의 내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 돌출부(353)와, 돌출부(353)에 배치된 코일(353a)을 포함한다. 푸드 프린터(100)에 배치되는 자기력 제공수단(500)은 제2 마그네틱부(252d)를 구성하는 자성체들이 스테이터(352)의 중앙을 기준으로 부채꼴 형태로 복수개가 배치된다. 제2 마그네틱부(252d)는 복수의 자성체로 구성되고 인접한 자성체들과 분리될 수 있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제1 마그네틱부(282b)를 구성하는 자성체들도 제2 마그네틱부(252d)를 구성하는 자성체들과 대응되도록 형태와 개수가 설정될 수 있다.
제2 마그네틱부(252d)와 마주하는 스테이터(352)의 내면에는 복수의 코일(353a)이 이격배치되어 있어, 코일(353a)에서 발생하는 자기력선에 의해 제2 마그넥티부(252d)는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제2 마그네틱부(252d)가 회전하면 제2 마그네틱부(252d)와 연결된 피스톤부(252)가 회전하면서 캡슐(256)은 압출 커버(251)에 고정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또한, 푸드 프린터(100)의 캡슐(256)에는 피스톤부(252)가 삽입되고, 타측의 노즐체결부(256a)에는 노즐(277)이 체결된다.
피스톤부(252)의 패킹부(252b)는 캡슐(256)의 내측과 체결되는데, 패킹부(252b)는 캡슐(256)의 액상 초콜릿에 압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완전히 고정되지 않는다. 하지만, 패킹부(252b)와 캡슐(256)은 소정의 힘을 가하지 않는 경우에는 고정상태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패킹부(252b)가 위치하는 영역에서 캡슐(256)과 일정한 힘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피스톤부(252)의 회전만으로 캡슐(256)의 캡슐체결부(256c)에 형성된 나사산과 압출 커버(251)의 내면에 형성된 나사산의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다.
도 1a, 도 1b 및 도 25를 참조하면, 압출 커버(251)의 하부면 즉, 히팅부(255)의 외측에는 카메라장치(290)가 설치될 수 있다.
푸드 프린터(100)의 제어부(130)는 케이스(101) 내부에 케익이 삽입된 후 성형을 시작하기 전에 케익의 위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상세하게, 제어부(130)는 카메라장치(290)를 제어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20) 상의 케익의 상부면을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촬영 영상을 분석하여 케익의 위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수신한 1차 데코레이션된 케익 모델 데이터와 케익의 현재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케익이 성형 가능 영역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케익이 성형 가능 영역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케익의 위치 정보와 케익의 위치 이동 가이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0) 상의 케익의 위치 이동 가이드 정보를 참조하여 케익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푸드 프린터(100)를 통해 메인 데코레이션이 적용된 케익 상에 부가 데코레이션을 성형해야 한다. 즉, 부가 데코레이션의 성형 영역은 케익의 특정 영역으로 미리 정해져 있다. 따라서, 실시예는 사용자가 케익의 위치 이동 가이드 정보를 참조하여 케익이 성형 가능 영역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한다.
푸드 프린터(100)에 의해 부가 데코레이션의 성형이 시작되면, 제어부(130)는 수신한 촬영 시점 데이터 및 촬영 시점에 따른 압출 유닛의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특정 시구간 동안 카메라장치(290)를 구동하여 성형 과정을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성형이 완료되면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판매자서버(300)를 통해 또는 직접 관리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서버(200)는 실제 성형 과정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술한 제1 컨텐츠 또는 제2 컨텐츠와 합성한 제1 리얼 영상 편지 컨텐츠 또는 제2 리얼 영상 편지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또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7)

  1. 단말기에서,
    표시된 복수의 케익 이미지 중 선택된 케익 이미지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표시된 복수의 데코레이션된 케익 이미지 중 선택된 데코레이션된 케익 이미지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케익 이미지에 매칭되는 무지 케익 모델 및 상기 선택된 데코레이션된 케익 이미지에 매칭되는 메인 데코레이션 모델을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메인 데코레이션 모델의 이동을 위한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 메인 데코레이션 모델을 상기 무지 케익 모델 상에 위치시키고, 상기 무지 케익 모델 상의 상기 메인 데코레이션 모델의 위치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무지 케익 모델 상의 상기 메인 데코레이션 모델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지 케익 모델 및 상기 메인 데코레이션 모델의 합성 모델인 1차 데코레이션 케익 모델을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표시된 부가 데코레이션 모델의 이동을 위한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 부가 데코레이션 모델을 표시된 상기 1차 데코레이션 케익 모델 상에 위치시키고, 상기 1차 데코레이션 케익 모델 상의 상기 부가 데코레이션 모델의 위치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1차 데코레이션 케익 모델 상의 상기 부가 데코레이션 모델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1차 데코레이션 케익 모델 및 상기 부가 데코레이션 모델의 합성 모델인 2차 데코레이션 케익 모델을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부가 데코레이션 모델에 대한 푸드 프린터 모델 데이터를 수신한 푸드 프린터에 의해 부가 데코레이션이 성형된 케익을 수신할 배송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배송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부가 데코레이션 모델의 성형 과정 영상을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성형 과정 영상의 시작 지점과 종료 지점에 대한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시작 지점과 상기 종료 지점에 매칭되어 푸드 프린터가 케익 상에 부가 데코레이션을 성형시 상기 푸드 프린터의 카메라장치가 성형 과정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부가 데코레이션 모델의 성형 과정 영상은 상기 푸드 프린터 모델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부가 데코레이션 모델에 대한 가상의 성형 과정 영상인
    출력물의 촬영이 가능한 푸드 프린터를 이용하여 소비자 맞춤형 케익을 제작, 주문 및 배송하는 방법.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촬영한 영상이 상기 배송 정보 상의 케익 수신자에게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출력물의 촬영이 가능한 푸드 프린터를 이용하여 소비자 맞춤형 케익을 제작, 주문 및 배송하는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데코레이션 이미지의 입력을 위한 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툴을 통해 입력된 부가 데코레이션 이미지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부가 데코레이션 이미지에 기초하여 생성한 상기 부가 데코레이션 모델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출력물의 촬영이 가능한 푸드 프린터를 이용하여 소비자 맞춤형 케익을 제작, 주문 및 배송하는 방법.
  5. 제3 항에 있어서,
    컨텐츠의 입력을 위한 툴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툴을 통해 입력된 컨텐츠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컨텐츠와 상기 푸드 프린터의 촬영 영상을 합성한 컨텐츠가 상기 케익 수신자에게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출력물의 촬영이 가능한 푸드 프린터를 이용하여 소비자 맞춤형 케익을 제작, 주문 및 배송하는 방법.
  6. 삭제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데코레이션 이미지의 입력을 위한 툴은 텍스트 입력 및/또는 드로잉 입력을 위한 툴인
    출력물의 촬영이 가능한 푸드 프린터를 이용하여 소비자 맞춤형 케익을 제작, 주문 및 배송하는 방법.
KR1020200156436A 2020-11-20 2020-11-20 출력물의 촬영이 가능한 푸드 프린터를 이용하여 소비자 맞춤형 케익을 제작, 주문 및 배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2522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6436A KR102522155B1 (ko) 2020-11-20 2020-11-20 출력물의 촬영이 가능한 푸드 프린터를 이용하여 소비자 맞춤형 케익을 제작, 주문 및 배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US17/121,046 US11983781B2 (en) 2020-11-20 2020-12-14 Method and system for producing, ordering, and delivering consumer-customized cakes using food printer capable of photographing printou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6436A KR102522155B1 (ko) 2020-11-20 2020-11-20 출력물의 촬영이 가능한 푸드 프린터를 이용하여 소비자 맞춤형 케익을 제작, 주문 및 배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9382A KR20220069382A (ko) 2022-05-27
KR102522155B1 true KR102522155B1 (ko) 2023-04-14

Family

ID=81657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6436A KR102522155B1 (ko) 2020-11-20 2020-11-20 출력물의 촬영이 가능한 푸드 프린터를 이용하여 소비자 맞춤형 케익을 제작, 주문 및 배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983781B2 (ko)
KR (1) KR1025221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0335B1 (ko) * 2022-09-14 2023-11-08 김강훈 커스터마이징 레터링 케이크 제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8532A (ja) * 2002-01-15 2003-07-25 Asahi Breweries Ltd 情報処理方法及び装置並びに飲食物の生産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0661A (en) * 1987-12-14 1990-03-20 Edgar L. Barth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rating cakes and other foods
US5505775A (en) * 1993-09-29 1996-04-09 Kitos; John Cake decorating system
US20020095231A1 (en) * 2000-03-20 2002-07-18 Xiangdong Yu Online cake design system
KR20050093581A (ko) * 2004-03-20 2005-09-23 김영순 네트워크를 통한 파티용 케이크 또는 파티용 떡에 대한 구매 시스템 및 구매 방법
US8223196B2 (en) * 2009-06-10 2012-07-17 Disney Enterprises, Inc. Projector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ing digitally augmented, interactive cakes and other food products
US10019842B2 (en) * 2010-08-09 2018-07-10 Decopac, Inc. Decorating system for edible products
KR20150124477A (ko) * 2014-04-28 2015-11-06 김형진 3d프린터를 이용한 온라인 맞춤형 제빵제과시스템 및 그 방법
US9878481B2 (en) * 2015-03-02 2018-01-30 Makerbot Industries, Llc Extruder for three-dimensional printers
KR101620963B1 (ko) 2015-11-06 2016-05-13 서순석 온라인 신호전송에 의한 맞춤형 3차원 장식무늬 표시장치
US10540619B2 (en) * 2016-10-31 2020-01-21 Aryzta, Llc System and method for resource-aware pastry customization
US10692124B1 (en) * 2018-12-07 2020-06-23 Decopac, Inc. Systems and methods for ordering and preparation of customized comestibl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8532A (ja) * 2002-01-15 2003-07-25 Asahi Breweries Ltd 情報処理方法及び装置並びに飲食物の生産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9382A (ko) 2022-05-27
US11983781B2 (en) 2024-05-14
US20220164490A1 (en) 2022-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86774B2 (en) Detection and use of printer configuration information
US20180001564A1 (en) Aesthetic housing
US20210173592A1 (en) Networked three-dimensional printing
US20200282717A1 (en) Inter-user messaging in a multi-user fabrication platform
US20140043630A1 (en) Displays for three-dimensional printers
AU2012347683B2 (en) Networked three-dimensional printing
KR102522155B1 (ko) 출력물의 촬영이 가능한 푸드 프린터를 이용하여 소비자 맞춤형 케익을 제작, 주문 및 배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US20040172149A1 (en) Order-based production system
CN104657547A (zh) 基于3d打印的网络交互方法及系统
JP2017094509A (ja) 情報処理端末、管理システム、制御方法、プログラム
KR20230118453A (ko) 3d 프린팅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NZ626212B2 (en) Networked three-dimensional prin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