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1916B1 - 디지털 카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지털 금형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털 카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지털 금형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1916B1
KR102521916B1 KR1020210049089A KR20210049089A KR102521916B1 KR 102521916 B1 KR102521916 B1 KR 102521916B1 KR 1020210049089 A KR1020210049089 A KR 1020210049089A KR 20210049089 A KR20210049089 A KR 20210049089A KR 102521916 B1 KR102521916 B1 KR 102521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mold
disposed
magne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9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2712A (ko
Inventor
김현호
Original Assignee
김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호 filed Critical 김현호
Priority to KR1020210049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1916B1/ko
Publication of KR20220142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2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1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1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1/00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 G06M1/08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for actuating the drive
    • G06M1/10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for actuating the drive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6M1/102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for actuating the drive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by magnetic or electromagnet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1/00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 G06M1/14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for transferring a condition from one stage to a higher stage
    • G06M1/18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for transferring a condition from one stage to a higher stage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e.g. by electromagnetic for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1/00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 G06M1/27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for representing the result of count in the form of electric signals, e.g. by sensing markings on the counter dru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witches That Are Operat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형에 장착되는 디지털 카운터로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핀과, 상기 핀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수축시 복원력을 갖도록 배치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핀과 접촉하여, 상기 핀의 전후방향 이동에 대응하여 온오프되는 스위치부와, 상기 핀의 전단에 배치되는 마그넷과, 상기 스위치부와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핀은 상기 하우징보다 돌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마그넷의 자력에 의해 상기 금형과 함께 전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핀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스위치부가 온 또는 오프되는 횟수를 카운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운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카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지털 금형 관리 시스템{Digital mold counter and management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지털 카운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금형에 붙는 마그넷을 포함하는 핀의 이동을 감지하여 금형의 사용횟수를 카운팅하는 디지털 카운터 및 디지털 금형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금형은 장기간 사용하면 정밀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사용횟수를 파악하여 유지보수하는 것이 중요하다. 디지털 카운터는 이러한 금형의 사용횟수를 전기적으로 감지하여, 알려주는 장치이다. 디지털 카운터는 금형에 장착되어 금형의 움직임을 센싱함으로써, 금형의 사용횟수를 카운팅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83283(2012.09.14. 공고)에는 금형에 의해 밀려 핀이 케이스 내부로 진입하고, 이러한 핀의 움직임을 광검출부를 통해 금형의 사용횟수를 누적하여 카운팅 하는 구성을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카운터는, 금형과 접촉하는 핀이 하우징 밖으로 항상 돌출된 구조를 가진다. 때문에, 핀이 장애물이나 외력이 의해 손상되거나 오작동될 위험이 큰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핀이 금형에 눌려 하중을 직접 받는 구조이기 때문에, 금형의 사용횟수가 누적될 수 있도록 핀과 핀을 지지하는 탄성부재 등이 파손될 위험이 큰 문제점이 있다.
또한, 디지털 방식의 카운터의 경우, 전원이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배터리의 지속시간과 배터리의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한데, 배터리의 지속시간이 짧거나, 작업자가 수동으로 확인하는 과정에서 배터리의 상태를 인지하지 못한 경우, 금형의 사용횟수를 정확하게 카운팅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83283(2012.09.14. 공고)
본 발명은, 핀이 장애물이나 외력이 의해 손상되거나 오작동 위험이 없고, 금형이 눌리는 하중을 직접 받지 않으며, 배터리를 포함하는 내부 구성의 관리와 금형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디지털 카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지털 금형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는, 금형에 장착되는 디지털 카운터로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핀과, 상기 핀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수축시 복원력을 갖도록 배치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핀과 접촉하여, 상기 핀의 전후방향 이동에 대응하여 온오프되는 스위치부와, 상기 핀의 전단에 배치되는 마그넷과, 상기 스위치부와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핀은 상기 하우징보다 돌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마그넷의 자력에 의해 상기 금형과 함께 전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핀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스위치부가 온 또는 오프되는 횟수를 카운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핀은 상기 홀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후단에 배치되며 상기 홀의 직경보다 큰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부는, 접점스위치와, 상기 헤드의 후방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헤드와 상기 접점스위치와 접촉가능하게 배치되는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버의 적어도 일부영역이 상기 헤드와 전후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헤드는 후면과 상기 후면의 둘레와 연결되는 측면과 상기 후면과 측면을 연결하는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곡면은 상기 레버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핀은 선단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마그넷은 링 마그넷이며, 상기 핀과 상기 마그넷은 전후방향으로 상기 마그넷을 관통하여 상기 홈에 체결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넷은 전후방향과 수직인 평면상에 배치되어 상기 금형과 접촉하는 접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후방향으로 상기 헤드와 상기 하우징의 외면 사이에는 환형의 실링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스위치부와 연결되는 배터리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횟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핀이 움직이지 않는 대기 모드에서, 상기 배터리의 전원 공급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를 통해 상기 핀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배터리의 전원 공급 제한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통신부는 상기 배터리의 상태, 상기 횟수, 상기 금형의 위치정보, 상기 금형의 이력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주기적으로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제1 항의 디지털 카운터 및 상기 무선통신부로부터 제1 정보를 전송받는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배터리의 상태, 상기 횟수, 상기 금형의 위치정보, 상기 금형의 이력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실시예는, 핀이 하우징보다 돌출되지 않고, 마그넷의 자력에 의해, 핀이 금형에 이끌려 움직이기 때문에, 핀이 장애물이나 외력이 의해 손상되거나 오작동 위험이 없고, 금형이 눌리는 하중을 직접 받지 않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는, 핀이 움직이지 않는 대기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부에 전원 공급을 제한하고, 카운팅된 횟수는 전자잉크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터리의 이상에 대비하고, 배터리의 지속시간을 늘릴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는, 센서를 통해 핀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배터리의 전원 공급 제한을 해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배터리의 지속시간을 늘릴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는 핀의 헤드와 하우징의 외면 사이에 실링부재가 배치되어, 금형의 냉각수나 온유가 하우징 내부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는, 무선통신부를 통해, 배터리 상태, 금형의 위치정보, 금형의 이력 정보 등을 관리부에 전달하여, 디지털 카운터와 디지털 카운터가 적용된 금형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운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를 기준으로 하는 디지털 카운터의 측면도,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하부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의 B-B를 기준으로 하는 하부 하우징의 측단면도,
도 5는 핀과 스위치부와 기판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C-C를 기준으로 하는 핀과 마그넷의 측단면도,
도 7은 핀과 마그넷과 탄성부재를 나열한 도면,
도 8은 마그넷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상부 하우징과 기판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금형이 작동하기 전, 핀과 스위치부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금형이 작동하여 디지털 카운터를 향할 때, 핀과 스위치부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금형이 작동하여 디지털 카운터에서 멀어질 때, 핀과 스위치부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금형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운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를 기준으로 하는 디지털 카운터의 측면도이다. 이하. 도면의 x축 방향은, 디지털 카운터의 좌우방향을 나타내며, 도면의 y축 방향은 디지털 카운터의 전후방향을 나타내며, 도면의 z축은 디지털 카운터의 높이방향을 나타낸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방’,’후방’은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하고, ‘상측’,’하측’은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이하. ‘전방’이라 함은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금형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운터(10)는, 하우징(100)과, 핀(200)과, 탄성부재(300)와, 스위치부(400)와, 마그넷(50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상부 하우징(110)과 하부 하우징(12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110)의 상면에는 디스플레이부(D)가 노출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대략적으로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핀(200)은 하우징(100)에 배치된다. 핀(200)은 하우징(100)에 전후방향(y)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핀(200)의 전단은 하우징(100)의 전면에서 외부로 노출된다.
탄성부재(300)는 전후방향(y)으로 핀(200)과 하우징(100)의 내벽 사이에 배치된다. 탄성부재(300)는 수축시 복원력을 갖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스위치부(400)는 핀(200)의 움직임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스위치부(40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된다. 스위치부(400)는 기판(SB)에 배치된 제어부(600)와 연결된다. 이러한 스위치부(400)는 접점스위치(410)와 레버(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점스위치(410)는 회동하는 레버(420)에 눌리도록 베치된다. 레버(420)는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핀(200)의 후방에 경사지게 배치된다. 그리고 레버(420)는 일부영역이 핀(200)과 전후방향(y)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되어 핀(200)이 후방으로 이동하면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마그넷(500)은 핀(200)의 전단에 배치될 수 있다. 마그넷(500)은 금형과 접촉하는 부분이다. 자력으로 마그넷(500)과 금형이 접촉한 상태에서, 금형이 움직이면, 금형과 함께 핀(200)이 함께 움직인다.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하부 하우징(120)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B-B를 기준으로 하는 하부 하우징(120)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하부 하우징(120)은 내부에 핀(200)과 스위치부(400)가 위치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하부 하우징(120)은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홀(H1)을 포함한다. 홀(H1)은 하부 하우징(12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 하우징(120)은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보스(121)를 포함할 수 있다. 보스(121)는 환형으로 형성되며, 홀(H1)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보스(121)의 전면은 금형과 접촉할 수 있다. 보스(121)의 내측에는 마그넷(500)이 위치한다.
하부 하우징(120)은 가이드면(122)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면(122)은 핀(200)의 전후방향(y)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면(122)은 하부 하우징(120)의 바닥면(125)에서 돌출된다. 가이드면(122)은 홀(H1)에 인접하여 핀(200)과 접촉하는 곡면일 수 있다. 가이드면(122)은 전후방향(y)을 따라 길게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면(122)과 하부 하우징(120)의 바닥면(125)보다 높게 배치되어, 핀(200)의 후단이 하부 하우징(120)의 바닥면(125)에 걸리지 않도록 구성된다.
하부 하우징(120)은 바닥면(125)에서 상향하여 돌출되는 고정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23)는 하부 하우징(120)에 배치된 배터리(도 5의 B)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배터리(B)는 교체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하우징(120)은 측벽의 상단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홈(124)을 포함할 수 있다. 홈(124)은 상부 하우징(110)과 하부 하우징(120) 사이의 틈을 밀폐하는 제2 실링부재(S2)가 배치되는 곳이다. 제2 실링부재(S2)는 하우징(100)을 밀폐하여 금형의 냉각수나 온유가 하우징(100) 내부로 흘러들어가 제어부(600)나 센서(800) 등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역항을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홀(H1)은 핀(200)이 관통하는 곳이다. 보스(121)의 내경(D2)은 홀(H1)의 직경(D1)보다 크게 형성되어, 보스(121)의 내측에 안착면(121a)을 형성한다. 안착면(121a)은 제1 실링부재(S1)와 접촉하여 핀(200)이 하우징(100) 내부로 더 이상 진입하는 것을 막는 스토퍼 역할을 한다.
도 5는 핀(200)과 스위치부(400)와 기판(SB)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스위치부(400)는 핀(2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B)는 기판(SB)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한다. 마그넷(500)은 핀(200)의 전단에 배치되며 체결부재(700)를 통해 핀(20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C-C를 기준으로 하는 핀(200)과 마그넷(500)의 측단면도이고, 도 7은 핀(200)과 마그넷(500)과 탄성부재(300)를 나열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핀(200)은 바디(210)와 헤드(22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210)는 일면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홈(G)을 포함할 수 있다. 홈(G)의 내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700)는 홈(G)에 체결되어 마그넷(500)을 핀(200)에 고정한다. 바디(210)의 둘레에는 탄성부재(300)가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300)의 외경은 홀(H1)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바디(210)의 전면(212)은 마그넷(500)의 후면(502)과 접촉한다. 헤드(220)는 바디(210)의 후단에 배치된다, 헤드(220)의 크기는 홀(H1)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다. 바디(210)는 전방에 수용홈(124)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홈(124)은 바디(210)의 외주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된다. 제1 실링부재(S1)는 수용홈(124)에 배치된다. 제1 실링부재(S1)는 마그넷(500)과 안착면(121a)이 직접 접촉하는 것을 막고, 핀(200)이 후방으로 이동할 때, 마그넷(500)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마그넷(500)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안착면(121a)과 밀착하여, 금형의 냉각수나 온유가 홀(H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헤드(220)는 후면(221)과, 후면(221)의 둘레와 연결되는 측면(222)과, 후면(221)과 측면(222)을 연결하는 곡면(223)을 포함할 수 있다. 곡면(223)은 스위치부(400)의 레버(420)와 접촉한다.
도 8은 마그넷(50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마그넷(500)은 중심에 홀(H2)을 포함하는 링 마그넷(500)일 수 있다. 홀(H2)은 체결부재(700)가 관통하는 곳이다. 마그넷(500)은 금형과 접촉하는 접촉면(501)을 포함한다. 접촉면(501)은 전후방향(y)과 수직인 평면상에 위치한다. 접촉면(501)은 체결부재(700)의 외측에 배치되는 환형의 면일 수 있다. 마그넷(500)은 제1 경사면(50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경사면(503)은 접촉면(501)에서 홀(H2)까지 이어질 수 있다. 제1 경사면(503)은 체결부재(700)의 헤드(220)의 제2 경사면(702)과 접촉한다.
체결부재(700)가 바디(210)의 홈(G)에 체결되면, 제2 경사면(702)이 제1 경사면(503)을 전후방향(y)으로 가압함으로써, 마그넷(500)을 핀(200)에 고정시킨다. 체결부재(700)의 전면(701)이 마그넷(500)의 전면(501)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게, 체결부재(700)는 홈(G)에 체결된다.
도 9는 상부 하우징(110)과 기판(SB)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기판(SB)은 상부 하우징(110)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기판(SB)에는 제어부(600)와, 센서(800)와, 무선통신부(900)가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스위치부(400)와 연결된다. 제어부(600)는 스위치부(400)가 온오프(ON/OFF)되는 횟수를 카운팅하는 역할을 한다. 센서(800)는 핀(200)의 전후방향(y) 움직임을 감지한다.
제어부(600)는 센서(800)를 통해 현재 핀(200)이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받아, 핀(200)이 움직이지 않는 대기 모드에서는 배터리(B)의 전원 공급을 제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600)는 센서(800)를 통해 핀(200)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배터리(B)의 전원 공급 제한을 해제할 수 있다. 이렇게 금형이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배터리(B)의 전원 공급을 제한하여, 배터리(B)의 지속시간을 늘릴 수 있다.
센서(800)는 핀(200)이 움직이지 않는 대기 모드인지 일정한 주기(예를 들어 10분)마다 센싱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800)는 핀(20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진동센서(800)일 수 있다.
도 10은 금형이 작동하기 전, 핀(200)과 스위치부(400)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금형(1)이 작동하기 전에는 핀(200)은 탄성부재(300)로 인하여, 후방으로 헤드(220)가 밀리면서 스위치부(400)의 레버(420)를 회전시켜, 레버(420)가 접점스위치(410)를 누르게 된다. 이때, 제어부(600)는 스위치부(400)를 온(ON) 상태로 인식한다. 탄성부재(300)에 의해 핀(200)이 후방으로 밀린 상태이기 때문에 마그넷(500)이 하우징(100) 밖으로 돌출되지 않고 보스(121)의 내측에 위치한다. 때문에 핀(200)이 장애물이나 외력이 의해 손상되거나 오작동 위험이 없다.
도 11은 금형(1)이 작동하여 디지털 카운터(10)를 향할 때, 핀(200)과 스위치부(400)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금형(1)이 작동하여 금형(1)이 핀(200)을 향하여 후방으로 이동하고, 금형(1)은 마그넷(500)과 접촉한다. 금형(1)이 보스(121)에 먼저 닿더라도 자력에 의해 마그넷(500)이 탄성부재(300)의 복원력을 극복하고 금형(1)에 접촉할 수 있다. 이때, 핀(200)은 탄성부재(300)로 인하여 후방으로 헤드(220)가 밀린 상태이다. 핀(200)에 의해 레버(420)가 눌려 있기 때문에 스위치부(400)는 온(ON) 상태이다.
도 12는 금형(1)이 작동하여 디지털 카운터(10)에서 멀어질 때, 핀(200)과 스위치부(400)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금형(1)이 마그넷(500)과 접촉한 상태에서, 디지털 카운터(10)와 멀어지도록 전방으로 이동하면, 마그넷(500)이 자력으로 금형(1)에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핀(200)도 금형(1)과 함께 탄성부재(300)의 복원력을 극복하고 전방으로 이동한다. 핀(200)이 전방으로 이동하면, 접점스위치(410)를 누르던 레버(420)가 복원력으로 회전하면서, 접점스위치(410)가 오프(OFF)상태로 변환되고, 제어부(600)가 이를 인식하고, 횟수를 카운팅한다. 이때 횟수는 금형(1)의 1회 사용횟수로 정의된다.
금형(1)이 전방으로 이동을 계속하는 상태에서, 탄성부재(300)가 수축하는 한계에 이르면 핀(200)의 전방을 향한 이동이 제한되기 때문에 자력을 극복하고 마그넷(500)이 금형(1)에서 분리된다.
마그넷(500)이 금형(1)에서 분리되면, 탄성부재(300)의 복원력으로 핀(200)이 후방으로 밀리면서,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핀(200)이 스위치부(400)의 레버(420)를 다시 회전시키고, 레버(420)가 접접스위치를 눌러, 스위치부(400)를 온(ON) 상태로 전환시킨다.
다시 금형(1)이 후방으로 이동하면, 이와 같은 과정이 반복되면서, 횟수가 누적되어 카운팅된다. 핀(200)이 자력에 의해 금형(1)에 이끌려 움직이기 때문에, 핀(200)이 금형(1)이 눌리는 하중을 직접 받지 않아, 핀(200), 탄성부재(300), 스위치부(400)의 손상을 방지하고, 수명을 늘릴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3은 디스플레이부(D)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D)에는 QR코드(Q)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QR코드(Q)는 디지털 카운터(10)의 다양한 정보와 매칭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D)에는 배터리(B)의 잔량이나 이상 상태를 나타내는 배터리 정보(BS)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D)에는 제품의 ID나 시리얼 번호(S/N), 누적 카운팅 횟수, 기타 금형(1)에 대한 정보(T)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D)는 전자잉크를 사용하여, 배터리(B)의 전원 공급이 해제되어도, 누적 카운팅 횟수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4는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금형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금형 관리 시스템은 중계기를 포함하는 무선통신망(2)을 통해 연결되는 디지털 카운터(10)와 관리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카운터(10)는 무선통신부(900)를 통해 제1 정보를 관리부(20)에 전송할 수 있다. 관리부(20)는 사용자의 입력정보를 다시 무선통신망(2)을 통해 디지털 카운터(10)에 전송할 수 있다. 제1 정보는 금형의 위치정보. 금형의 품번, 금형의 이력정보, 카운팅된 횟수, 배터리 상태 정보등 일수 있다.
관리부(20)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복수 개의 단말기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관리부(20)는 제1 정보를 각 단말기에 전송할 수있다. 작업자는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관리부(20)로 전송하고 관리부(20)는 이를 디지털 카운터(10)에 전송할 수 있다.
관리부(20)는 고객사별 개별 ID를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부(20)는 금형의 이력 정보를 엑셀기반으로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할 수 있다. 또한, 관리부(20)는 별도의 웹페이지를 통해 제1 정보에 기초한 금형 관리에 대한 유저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운터(10) 및 이를 포함하는 디지털 금형 관리 시스템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전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하우징
200: 핀
300: 탄성부재
400: 스위치부
500: 마그넷
600: 제어부
700: 체결부재
800: 센서
900: 무선통신부

Claims (10)

  1. 금형에 장착되는 디지털 카운터로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핀;
    상기 핀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수축시 복원력을 갖도록 배치되는 탄성부재;
    상기 핀과 접촉하여, 상기 핀의 전후방향 이동에 대응하여 온오프되는 스위치부;
    상기 핀의 전단에 배치되는 마그넷;
    상기 스위치부와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핀은 상기 하우징보다 돌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마그넷의 자력에 의해 상기 금형과 함께 전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핀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스위치부가 온 또는 오프되는 횟수를 카운팅하고,
    상기 하우징은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보스를 포함하고, 상기 마그넷은 상기 보스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보스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보스의 내경은 상기 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보스의 내측에 안착면을 형성하고, 상기 보스의 전면이 금형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운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핀은 상기 홀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후단에 배치되며 상기 홀의 직경보다 큰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부는, 접점스위치와, 상기 헤드의 후방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헤드와 상기 접점스위치와 접촉가능하게 배치되는 레버를 포함하는 디지털 카운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적어도 일부영역이 상기 헤드와 전후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되는 디지털 카운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후면과 상기 후면의 둘레와 연결되는 측면과 상기 후면과 측면을 연결하는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곡면은 상기 레버와 접촉하는 디지털 카운터.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핀은 선단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마그넷은 링 마그넷이며,
    상기 핀과 상기 마그넷은 전후방향으로 상기 마그넷을 관통하여 상기 홈에 체결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하는 디지털 카운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은 전후방향과 수직인 평면상에 배치되어 상기 금형과 접촉하는 접촉면을 포함하는 디지털 카운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스위치부와 연결되는 배터리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횟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핀이 움직이지 않는 대기 모드에서, 상기 배터리의 전원 공급을 제한하는 디지털 카운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를 통해 상기 핀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배터리의 전원 공급 제한을 해제하는 디지털 카운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통신부는 상기 배터리의 상태, 상기 횟수, 상기 금형의 위치정보, 상기 금형의 이력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주기적으로 외부로 전송하는 디지털 카운터.
  10.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는 제1 항의 디지털 카운터;및
    상기 무선통신부로부터 제1 정보를 전송받는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는 배터리의 상태, 상기 횟수, 상기 금형의 위치정보, 상기 금형의 이력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디지털 금형 관리 시스템.
KR1020210049089A 2021-04-15 2021-04-15 디지털 카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지털 금형 관리 시스템 KR102521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089A KR102521916B1 (ko) 2021-04-15 2021-04-15 디지털 카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지털 금형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089A KR102521916B1 (ko) 2021-04-15 2021-04-15 디지털 카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지털 금형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712A KR20220142712A (ko) 2022-10-24
KR102521916B1 true KR102521916B1 (ko) 2023-04-14

Family

ID=83805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9089A KR102521916B1 (ko) 2021-04-15 2021-04-15 디지털 카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지털 금형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19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8013B1 (ko) 2023-03-28 2023-11-06 주식회사 아이투프럼 금형 관리 장치 및 터미널을 활용한 금형 자산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0364A (ja) * 2005-08-02 2007-02-15 Horiuchi Kikai:Kk 稼動回数表示器搭載油圧シリンダ
JP2014519999A (ja) * 2011-05-25 2014-08-21 プログレッシブ コンポーネンツ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コーポレーション 金型モニタリン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283B1 (ko) 2011-12-19 2012-09-14 피에스텍주식회사 전자식 금형 카운터 장치
KR102250465B1 (ko) * 2019-05-24 2021-05-11 위즈커넥티드 주식회사 무선 금형 카운터를 이용한 금형 생산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0364A (ja) * 2005-08-02 2007-02-15 Horiuchi Kikai:Kk 稼動回数表示器搭載油圧シリンダ
JP2014519999A (ja) * 2011-05-25 2014-08-21 プログレッシブ コンポーネンツ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コーポレーション 金型モニタリン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712A (ko) 202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1916B1 (ko) 디지털 카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지털 금형 관리 시스템
EP2797037B1 (en) Electronic mold counter device
US8482429B2 (en) Sensing environmental conditions using RFID
KR101082209B1 (ko) 배터리 장치 및 전자 기기
EP4064721A1 (en) Earphone
EP2431184B1 (en) Adapter on inkjet printer and ink cartridge used therewith
US6975842B2 (en) Mobile phone with battery latch
CN113791258B (zh) 一种基于物联网的自动检测电能表
EP2209179B1 (en) Battery charger and detection structure for detecting mounted compact electric apparatus
WO2010084558A1 (ja) 侵入検知装置
KR102250465B1 (ko) 무선 금형 카운터를 이용한 금형 생산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N211656349U (zh) 耳机收纳盒和耳机组件
CN110829068B (zh) 连接器及电子设备
KR101747905B1 (ko) 무선충전이 가능한 모바일 스캐너
JP4663678B2 (ja) アウトレット、プラグ、アウトレットアダプタ、プラグアダプタ、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CN110890771B (zh) 充电座及充电系统
CN113172118A (zh) 一种模具智能终端
CN217818779U (zh) 一种电容感应检测装置及其构成的模具
CN217589745U (zh) 一种连接器取送销工具
CN218886593U (zh) 一种可移动且可以实时读取信息的资产标签
JP6343936B2 (ja) 非接触icタグの収容構造およびプリンター
CN217977634U (zh) 一种新型阀门控制结构
CN217892556U (zh) 一种锁紧件、锁止机构、新能源汽车及换电站
CN215341965U (zh) 智能音频采集设备
CN220292074U (zh) 热像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