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1036B1 - 배지 및 qr코드를 이용한 코로나 바이러스 예방 접종 확인 서비스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배지 및 qr코드를 이용한 코로나 바이러스 예방 접종 확인 서비스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1036B1
KR102521036B1 KR1020210024095A KR20210024095A KR102521036B1 KR 102521036 B1 KR102521036 B1 KR 102521036B1 KR 1020210024095 A KR1020210024095 A KR 1020210024095A KR 20210024095 A KR20210024095 A KR 20210024095A KR 102521036 B1 KR102521036 B1 KR 102521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vaccination
badge
server
medical instit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4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3577A (ko
Inventor
이재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원
Publication of KR20220103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3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1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1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8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e.g. flu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1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supporting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e.g. for weather forecasting or climate sim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배지 및 QR코드를 이용한 코로나 예방 접종 확인 서비스 제공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배지 및 QR코드를 이용한 코로나 예방 접종 확인 서비스 제공방법은, 코로나 바이러스 예방 접종을 수행한 접종자를 대상으로 배지 및 해당 정보가 저장된 QR코드를 모바일 등의 다양한 수단으로 부여함으로써, 쉽고 정확하게 코로나 바이러스 예방 접종자를 확인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정밀하게 역학조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지 및 QR코드를 이용한 코로나 바이러스 예방 접종 확인 서비스 제공방법{Method of providing verification service for corona virus vaccination using badge and QR code}
본 발명은 배지 및 QR코드를 이용한 코로나 바이러스 예방 접종 확인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코로나 바이러스 예방 접종을 수행한 접종자를 대상으로 배지 및 해당 정보가 저장된 QR코드를 모바일 등의 다양한 수단으로 부여함으로써, 쉽고 정확하게 코로나 바이러스 예방 접종자를 확인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정밀하게 역학조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배지 및 QR코드를 이용한 코로나 바이러스 예장 접종 확인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 19는,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처음 발생한 이후, 중국 전역과 전 세계로 확산된 새로운 유형의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에 의한 호흡기 감염질환이다.
이러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는, 감염자의 비말(침방울)이 호흡기나 눈·코·입의 점막으로 침투될 때 전염된다. 감염되면 약 2~14일(추정)의 잠복기를 거친 뒤 발열(37.5도) 및 기침이나 호흡곤란 등 호흡기 증상, 폐렴이 주증상으로 나타나지만 무증상 감염 사례 빈도도 높게 나오고 있다.
한편,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 19 이전에 확인된 코로나바이러스는, 니도비랄레스(Nidovirales) 목(order)의 코로나비리대(Coronaviridae) 과(family)의 코로나비리내(Coronavirinae) 아과(subfamily)에 속하는 바이러스 종(species)이다. 코로나바이러스는 양성-센스 단일-가닥 RNA 게놈을 갖고 나선 대칭(helical symmetry)의 뉴클레오캡시드를 갖는 외피형 바이러스이다.
코로나 바이러스의 게놈 크기는 대략 26 내지 32 킬로베이스 범위이고, RNA 바이러스에 대해 가장 크다. 명칭 "코로나 바이러스"는 왕관 또는 광륜을 의미하는 라틴어인 코로나(corona)로부터 유래되고, 전자 현미경(E.M) 하에 크고 둥글납작한 표면 돌출부의 주변부(fringe)가 있어서 왕관 또는 태양 코로나를 연상시키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비리온의 특징적인 외양을 지칭한다.
이러한 형태는, 바이러스의 표면을 거주시키고(populate) 숙주 향성(tropism)을 결정하는 단백질인 바이러스 스파이크(S; spike) 페플로머(peplomer)에 의해 생성된다. 모든 코로나 바이러스의 전반적인 구조에 기여하는 단백질은 스파이크(S), 외피(E), 막(M) 및 뉴클레오캡시드(N) 단백질이다.
SARS 코로나바이러스(하기 참조)의 특이적인 경우, S 상의 한정된(defined) 수용체-결합 도메인은 바이러스가 이의 세포성 수용체인 안지오텐신-전환 효소 2(ACE2)에 부착하는 것을 매개한다. 일부 코로나바이러스(구체적으로 베타코로나바이러스 아군(subgroup) A의 구성원)는 또한, 헤마글루티닌 에스테라제(HE)라고 하는 더 짧은 스파이크-유사 단백질을 가진다.
코로나바이러스는 주로 포유류 및 조류의 기도 및 위장관을 감염시킨다. 이들 코로나바이러스는 리노바이러스, 인플루엔자 및 호흡기 융합 바이러스와 함께 감기의 기저를 이루는 감염제 중 하나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Heikkinen 및 Jarvinen 2003, Hull, Rennie 등 2007). 대략 10% 내지 15%의 감기 사례는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는 것으로 추정된다(Hull, Rennie 등 2007, Jonsdottir 및 Dijkman 2016).
6 가지의 기지의(known) 코로나바이러스 중 4 가지(즉, 229E, OC43, NL63 및 HKU1)가 차례로, 건강한 개체에서 일반적인 상기도병 및 감기를 유발한다(Bradburne, Bynoe 등 1967, Kraaijeveld, Reed 등 1980).
다른 2 가지 코로나바이러스는 중증 폐렴을 유발할 수 있는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SARS) 코로나바이러스 및 중동 호흡기 증후군(MERS) 코로나 바이러스이다(Park, Li 등 2016).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은 스파이크 단백질이 이의 동족(cognate) 세포 수용체에 부착하면서 시작한다(Jonsdottir 및 Dijkman 2016, Lim, Ng 등 2016). SARS-CoV 및 MERS-CoV는 세포 진입을 위해 이들의 스파이크 단백질을 사용함으로써 상피 세포를 감염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Park, Li 등 2016).
코로나 바이러스의 세포 향성 및 숙주 범위는 부분적으로는, 세포성 수용체에 결합하고 막 융합을 매개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스파이크(S) 단백질에 의해 결정된다(Graham 및 Baric 2010).
MERS 및 SARS는 주요 유행병(major epidemic)(WHO)의 높은 가능성(likelihood)으로 인해 긴급 연구를 요하는 WHO의 질병 우선순위 목록 중 상부에 있다. CoVs 과의 유행병 잠재력은 백신 및 항바이러스제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 19외에, MERS 및 SARS 등 다양한 질병에 대해 백신이 개발되고 있고, 이를 이용하여 예방 주사를 맞는 등 필요한 조치를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각종 다양한 바이러스에 걸린 사람, 또는 확진되었다가 치료를 받고 정상화된 사람, 또는 확진을 받고 치료를 기다리거나 치료중에 있는 사람, 또는 바이러스에 걸렸으나 무증상으로 확진여부가 불명확 사람 등 다양한 사례가 있을 수 있는 데, 이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하는 수단이 매우 시급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KR 등록특허공보 제10-0832870호(2008.05.21) KR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07958호(2020.09.16)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코로나 바이러스 예방 접종을 수행한 접종자를 대상으로 배지 및 해당 정보가 저장된 QR코드를 모바일 등의 다양한 수단으로 부여함으로써, 쉽고 정확하게 코로나 바이러스 예방 접종자를 확인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정밀하게 역학조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배지 및 QR코드를 이용한 코로나 바이러스 예장 접종 확인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지 및 QR코드를 이용한 코로나 바이러스 예방 접종 확인 서비스 제공방법은, 의료기관서버에서 백신접종대상자에 대한 접종결과의 DB(data base)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의료기관서버에서 백신접종결과의 DB를 질병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질병관리서버에 전송된 백신접종결과 DB를 질병관리서버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질병관리서버에 저장된 내용을 확인 후, 상기 의료기관서버에 백신접종확인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의료기관서버에서 상기 질병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백신접종확인정보에 기초하여 QR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의료기관서버가 생성된 QR코드를 암복호화하여 사용자단말에 QR코드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이 수신된 QR코드를 저장하고, 방문기관출입구에서 QR코드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의료기관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단말에 QR코드를 전송하는 단계에서 백신접종이 완료된 대상자에 대해 배지 제공대상자임을 함께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의료기관서버는 백신접종결과 DB생성부, QR코드 생성부, 암복호화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QR코드 생성부는 백신 접종이 완료된 대상자 정보에 기초하여 QR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단말은 백신접종이 완료된 이력을 기초하여 생성된 QR코드를 통해 클라우드서버에 저장하고 본인여부를 확인하되, 상기 클라우드서버에서 상기 의료기관서버에 백신접종 이력 조회를 요청하며, 백신접종이 완료된 대상인 경우 상기 의료기관서버에서 상기 클라우드서버를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에 QR코드를 전송하여 백신접종이 완료된 대상자가 다른 방문기관을 방문할 경우 해당 QR코드를 공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문기관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단말의 QR코드정보를 수신하고, 출입이 허용된 대상자에 대한 DB를 생성한 후 상기 질병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QR코드를 스티커, 또는 카드, 또는 모바일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다양한 수단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배지 및 QR코드를 이용한 코로나 바이러스 예방 접종 확인 서비스 제공방법에 의하면, 코로나 바이러스 예방 접종을 수행한 접종자를 대상으로 배지 및 해당 정보가 저장된 QR코드를 모바일 등의 다양한 수단으로 부여함으로써, 쉽고 정확하게 코로나 바이러스 예방 접종자를 확인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정밀하게 역학조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지 및 QR코드를 이용한 코로나 바이러스 예방 접종 확인 서비스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지 및 QR코드를 이용한 코로나 바이러스 예방 접종 확인 서비스 제공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지 및 QR코드를 이용한 코로나 바이러스 예방 접종 확인 서비스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지 및 QR코드를 이용한 코로나 바이러스 예방 접종 확인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단말 및 각 서버간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지를 백신접종이 완료된 사람이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은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지 및 QR코드를 이용한 코로나 바이러스 예방 접종 확인 서비스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지 및 QR코드를 이용한 코로나 바이러스 예방 접종 확인 서비스 제공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지 및 QR코드를 이용한 코로나 바이러스 예방 접종 확인 서비스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지 및 QR코드를 이용한 코로나 바이러스 예방 접종 확인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단말 및 각 서버간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지를 백신접종이 완료된 사람이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지 및 QR코드를 이용한 코로나 바이러스 예방 접종 확인 서비스 제공방법은, 코로나 바이러스 예방 접종을 수행한 접종자를 대상으로 배지 및 해당 정보가 저장된 QR코드를 부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백신접종대상자에 대한 접종결과 DB를 생성하는 단계(S101)와, 백신접종결과 DB를 질병관리서버(200)에 전송하는 단계(S102)와, 백신접종결과 DB를 질병관리서버(200)에 저장하는 단계(S103)와, 백신접종확인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104)와, QR코드(102-1)를 생성하는 단계(S105)와, 사용자단말(300)에 QR코드 및접종확인용 배지 획득 대상자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106)와, 방문기관출입구에서 QR코드(102-1)를 제공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S10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백신접종대상자에 대한 접종결과 DB를 생성하는 단계(S101)에서는, 의료기관서버(100)에서 백신접종대상자에 대한 접종결과의 DB(data base)를 생성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의료기관서버(100)는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백신을 접종한 사람, 즉, 백신 접종이 완료된 대상자 정보를 기초로하여 백신접종이 완료되었다는 해당 정보에 대한 DB를 생성하게 된다.
상기 의료기관서버(100)는 백신접종결과에 대한 DB를 생성하는 백신접종결과 DB생성부(101), QR코드를 생성하는 QR코드 생성부(102), QR코드를 암호화하거나 복호화하는 암복호화부(103), 사용자단말(300) 및 질병관리서버(200)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104), 각 DB를 저장하는 저장부(105)와, 동작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10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QR코드 생성부(102)는 백신 접종이 완료된 대상자 정보 DB에 기초하여 QR코드(102-1)를 생성함이 바람직하다.
의료기관서버(100)에서는 암복호화부(102)를 통해 생성된 QR코드를 암호화 및 복호화할 수 있다.
백신 접종 대상은 코로나 19를 포함하는 것을 물론, 치료가 필요한 모든 환자(예를 들어, 소아과, 이비인후과, 내과, 정형외과 등에서 치료를 필요로 하는 모든 환자)를 대상으로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백신'이라는 용어를 주 단어로 사용하고 있지만, '백신'은 경우에 따라 소아과, 이비인후과, 내과, 정형외과 등에서 치료에 사용되는 '치료제'로 대체할 수 있으며, 이 치료제는 주사 형태뿐만 아니라 음용이 필요한 '약제'가 될 수 있다.
코로나 19와 같이 '백신'접종이 필요한 경우에는 '백신 접종 대상자'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각 의료기관에서는 '치료제 투약 대상자'로 구분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의료기관서버(100)에서 생성된 백신접종대상자에 대한 접종결과 DB는 질병관리서버(200)에 전송되며, 이 전송된 백신 접종결과 DB는 질병관리서버(200)에 저장되도록 한다.
질병관리서버(200)는 저장된 백신 접종결과에 대한 DB를 확인하고, 확인된 내용을 기초로하여 의료기관서버(100)에 백신 접종을 확인했다는 정보를 전송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질병관리서버(200)로부터 백신 접종을 확인했다는 정보를 전송받은 의료기관서버(100)는 해당 정보를 근거로 QR코드(102-1)를 생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생성된 QR코드(102-1)는, 의료기관서버(100)에서 암복호화하여 사용자단말(300)에 전송하게 된다.
이 때, 사용자단말(300)에 QR코드(102-1)를 전송함과 아울러, 백신접종이 완료되었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한 배지(600)를 획득하게 되는 대상자에 대한 여부도 함께 전송하여 백신접종을 완료한 대상자가 착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배지(600)는 백신접종을 완료한 사람만이 착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신력을 입증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단말(300)로 수신된 QR코드(102-1)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모바일 단말기, 태블릿 등)에 저장되며, 사용자단말(300)에 저장된 QR코드(102-1)를 의료기관, 식당, 관공서 등 방문기간의 출입구에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여 해당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배지(600) 및 QR코드(102-1)는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예방 접종을 한 사람에게만 공신력이 있는 국가기관인 '질병관리청'의 주관하에 각 의료기관 등에서 확인용으로 발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QR코드(102-1)는, 스티커, 또는 카드, 또는 모바일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다양한 수단을 통해 제공할 수 있는 데, 무료로 제공하거나, 소정의 비용으로 구매할 수도 있다.
이러한 QR코드(102-1)에는, 코로나 예방 접종 시기(예를 들어, 접종 날짜 및 시간 등), 코로나 예방 접종을 맞은 의료기관(예 : 선별소 및 병원 등), 예방 백신 종류(어떤 백신을 맞았는지에 대한 정보) 등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QR코드(102-1)는 예방 접종을 수행한 사람에 한정하여 그를 확인하고, 식별한 후 해당하는 사람에게만 배지를 제공함과 아울러 배지 제공을 받은 사람에게 QR코드(102-1)를 제공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 QR코드(102-1)는, QR코드(102-1)를 예방 접종을 맞은 사람만을 대상으로 하여 모바일 단말기(예 : 휴대폰, 태블릿 등)에 저장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QR코드(102-1)가 찍힌 스티커, 또는 카드를 가지고 다니지 않아도, 모바일 단말기에 저장된 QR코드(102-1)를 보여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코로나 바이러스 예방 접종을 맞았는지 확인이 필요한 다양한 곳에서 쉽고 정확하게 식별이 가능할 수 잇다.
예를 들어, 관공서, 음식점, 학교, 회사, 의료기관 등의 다양한 사회 기관, 또는 의료진, 경찰 등 필요에 따라 코로나 바이러스 예방 접종 확인을 해야하는 사람들에게 제공이 가능하도록 하여 편의성 및 정밀도(정확성)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배지 및 QR코드(102-1)를 이용한 코로나 바이러스 예방 접종 확인 서비스 제공방법에 의하면, 예방 접종을 맞았음에도 일정 기간이 지난 후 재확진이 되거나, 필요한 경우에 역학조사가 가능하도록 하는 등의 정보를 쉽고, 정확하게 제공함으로써, 코로나 바이러스 예방 접종을 맞았는지에 대한 공신력 있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사용자단말(300)은 백신접종이 완료된 이력을 기초하여 생성된 QR코드(102-1)를 통해 클라우드서버(500)에 저장하고 본인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클라우드서버(500)에서 의료기관서버(100)에 백신접종 이력 조회를 요청할 수 있다.
즉, 백신접종이 완료된 대상인 경우, 의료기관서버(100)에서 클라우드서버(500)를 통해 사용자단말(300)에 QR코드(102-1)를 전송하여 백신접종이 완료된 대상자가 다른 방문기관을 방문할 경우 해당 QR코드(102-1)를 공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방문기관서버(400)에서는 QR리더리(402)를 이용하여 획득된 사용자단말(300)의 QR코드(102-1)정보를 수신하고, 출입이 허용된 대상자에 대한 DB를 생성한 후, 다시 질병관리서버(200)에 전송하는 단계(S10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질병관리서버(200)에서는 백신접종을 받은 사람이 각종 방문기관을 방문하더라도 방문기관서버(400)로부터 해당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므로, 방문자가 어디에 있든지 자유롭게 해당 방문자에 대한 방문 이력을 확인 및 추적하여 해당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내에 기재된 범주내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의료기관서버, 101-1 : QR코드,
101 : 백신접종결과 DB생성부, 102 : QR코드 생성부,
103 : 암복호화부, 104 : 통신부,
105 : 저장부, 106 : 제어부,
200 : 질병관리서버, 300 : 사용자단말,
400 : 방문기관서버, 500 : 클라우드서버,
600 : 배지.

Claims (4)

  1. 의료기관서버(100)에서 백신접종대상자에 대한 접종결과의 DB(data base)를 생성하는 단계(S101);
    상기 의료기관서버(100)에서 백신접종결과의 DB를 질병관리서버(200)에 전송하는 단계(S102);
    상기 질병관리서버(200)에 전송된 백신접종결과 DB를 질병관리서버(200)에 저장하는 단계(S103);
    상기 질병관리서버(200)에 저장된 내용을 확인 후, 상기 의료기관서버(100)에 백신접종확인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104);
    상기 의료기관서버(100)에서 상기 질병관리서버(200)로부터 전송된 백신접종확인정보에 기초하여 QR코드(102-1)를 생성하는 단계(S105);
    상기 의료기관서버(100)가 생성된 QR코드(102-1)를 암복호화하여 사용자단말(300)에 QR코드(102-1)를 전송하는 단계(S106);
    상기 사용자단말(300)이 수신된 QR코드(102-1)를 저장하고, 방문기관출입구에서 QR코드(102-1)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S107);
    를 포함하되,
    상기 의료기관서버(100)에서 상기 사용자단말(300)에 QR코드(102-1)를 전송하는 단계에서 백신접종이 완료된 대상자에 대해 배지 제공대상자임을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 및 QR코드(102-1)를 이용한 코로나 바이러스 예방 접종 확인 서비스 제공방법.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관서버(100)는 백신접종결과 DB생성부(101), QR코드 생성부(102), 암복호화부(10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QR코드 생성부(102)는 백신 접종이 완료된 대상자 정보에 기초하여 QR코드(102-1)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 및 QR코드(102-1)를 이용한 코로나 바이러스 예방 접종 확인 서비스 제공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300)은 백신접종이 완료된 이력을 기초하여 생성된 QR코드(102-1)를 통해 클라우드서버(500)에 저장하고 본인여부를 확인하되,
    상기 클라우드서버(500)에서 상기 의료기관서버(100)에 백신접종 이력 조회를 요청하며, 백신접종이 완료된 대상인 경우 상기 의료기관서버(100)에서 상기 클라우드서버(500)를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300)에 QR코드(102-1)를 전송하여 백신접종이 완료된 대상자가 다른 방문기관을 방문할 경우 해당 QR코드(102-1)를 공유하는 배지 및 QR코드(102-1)를 이용한 코로나 바이러스 예방 접종 확인 서비스 제공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방문기관서버(400)에서 상기 사용자단말(300)의 QR코드(102-1)정보를 수신하고, 출입이 허용된 대상자에 대한 DB를 생성한 후 상기 질병관리서버(200)에 전송하는 단계(S10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 및 QR코드(102-1)를 이용한 코로나 바이러스 예방 접종 확인 서비스 제공방법.
KR1020210024095A 2021-01-15 2021-02-23 배지 및 qr코드를 이용한 코로나 바이러스 예방 접종 확인 서비스 제공방법 KR1025210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990 2021-01-15
KR20210005990 2021-01-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3577A KR20220103577A (ko) 2022-07-22
KR102521036B1 true KR102521036B1 (ko) 2023-04-18

Family

ID=82605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4095A KR102521036B1 (ko) 2021-01-15 2021-02-23 배지 및 qr코드를 이용한 코로나 바이러스 예방 접종 확인 서비스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103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4903B1 (ko) 2020-06-08 2020-07-17 주식회사 유니온씨티 감염예방 인증 키오스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870B1 (ko) 2006-04-19 2008-05-30 대한민국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뉴클레오캡시드 단백질에 대한 단클론항체 및 이것의 용도
GB201800274D0 (en) 2018-01-08 2018-02-21 Enzymatica Ab Novel treatment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4903B1 (ko) 2020-06-08 2020-07-17 주식회사 유니온씨티 감염예방 인증 키오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3577A (ko) 2022-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l Rio et al. 2019 novel coronavirus—important information for clinicians
Pachucki et al. Influenza A among hospital personnel and patients: implications for recognition, prevention, and control
US11335441B2 (en) Health safety system, service, and method
Mo et al. Longitudinal profile of antibodies against SARS‐coronavirus in SARS patients and their clinical significance
Angelopoulos et al. DHP Framework: Digital Health Passports Using Blockchain--Use case on international tourism during the COVID-19 pandemic
US11348690B2 (en) Methods and systems of prioritizing treatments, vaccination, testing and/or activities while protecting the privacy of individuals
Wallace et al. Measles—United States, January 1–August 24, 2013
US2021031302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ccelerated epidemic recovery
Chatterjee et al. A model for SARS‐CoV‐2 infection with treatment
Ciblak et al. Cases of influenza A (H1N1) v reported in Turkey, May-July 2009
Rothman et al. Communicable respiratory threats in the ED: tuberculosis, influenza, SARS, and other aerosolized infections
KR102521036B1 (ko) 배지 및 qr코드를 이용한 코로나 바이러스 예방 접종 확인 서비스 제공방법
Kannoth et al. The association between early country‐level COVID‐19 testing capacity and later COVID‐19 mortality outcomes
Khan et al. Blockchain enabled track-and-trace framework for covid-19 immunity certificate
Kaur et al. Long-term safety analysis of the ChAdOx1-nCoV-19 corona virus vaccine: results from a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in priority vaccinated groups in North India
Balbi et al. Mumps: Resurgence of a once-dormant disease
Corley et al. COVID-19: what should clinicians and scientists do and when?
Brüssow The novel coronavirus–latest findings
US20230141831A1 (en) Method for managing respiratory infections through mobile terminal management system including central management server, server,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aneda et al. Revisiting Japan's early COVID‐19 countermeasures
Nair et al. Novel coronavirus-A comprehensive review
Odei Measles is in the news yet again
Meaney The ethics of COVID-19 vaccine passports
Ratovoson et al. SARS‐CoV‐2 infection rate in Antananarivo frontline health care workers, Madagascar
Madureira et al. Seroprevalence of SARS-CoV-2 in emergency department healthcare workers at Sírio-Libanês hospital, Braz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