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0913B1 - Busbar assembly - Google Patents

Busbar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0913B1
KR102520913B1 KR1020160062664A KR20160062664A KR102520913B1 KR 102520913 B1 KR102520913 B1 KR 102520913B1 KR 1020160062664 A KR1020160062664 A KR 1020160062664A KR 20160062664 A KR20160062664 A KR 20160062664A KR 102520913 B1 KR102520913 B1 KR 102520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hole
coupling protrusion
concave groov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26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31899A (en
Inventor
김사중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2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0913B1/en
Publication of KR20170131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18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0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09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버스바안착부(11)가 구비되고 상기 버스바안착부(11)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18)가 돌출되는 베이스(10)와, 상기 버스바안착부(11)에 안착되고 상기 결합돌기(18)에 대응되는 관통홀(35)이 형성되는 버스바(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35)의 내측면에는 요입홈(37)이 상기 관통홀(35)의 직경을 넓히는 방향으로 요입되어, 열융착과정에서 열에 의해 녹은 결합돌기(18)의 일부가 상기 요입홈(37) 내부에 채워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버스바(30)의 관통홀(35)의 내측면에는 관통홀(35)의 직경을 넓히는 방향으로 요입홈(37)이 형성되어, 베이스(10)의 조립돌기를 열융착시키는 과정에서 열에 의해 녹은 결합돌기(18)의 일부가 요입홈(37) 내부에 채워진다. 이에 따라 베이스(10)와 버스바(30) 사이의 결합력이 향상되고, 버스바(30)의 유동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s bar assembly.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se 10 provided with a bus bar seating portion 11 and having at least one coupling protrusion 18 protruding from the bus bar seating portion 11, and the bus bar seating portion 11 and a bus bar 30 in which a through hole 35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trusion 18 is formed. In addi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35, a concave groove 37 is recessed in a direction of widening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35, so that a part of the coupling protrusion 18 melted by heat in the heat welding process It is filled inside the inlet groove 37.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ncave groove 37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35 of the bus bar 30 in a direction of widening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35, so that the assembling protrusion of the base 10 is thermally fused. In the process, a part of the coupling protrusion 18 melted by heat is filled into the concave groove 37. Accordingly, there is an effect that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base 10 and the bus bar 30 is improved and the flow of the bus bar 30 is reduced.

Description

버스바 조립체{Busbar assembly}Busbar assembly {Busbar assembly}

본 발명은 버스바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스바가 열가압방식을 통해 베이스에 열융착되어 고정되는 버스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s bar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bus bar assembly in which a bus bar is heat-sealed and fixed to a base through a thermal press method.

버스바는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져 차량의 내부 등 다양한 곳에서 전장부품으로 사용되고 있다. 일례로 전기자동차에서 사용되는 배터리는 필요한 만큼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배터리모듈로 구성되고, 상기 배터리모듈은 다시 다수개의 배터리셀들로 구성되는데, 상기 배터리셀들을 직렬로 연결하기 위해 버스바가 사용된다. Bus bars are made of conductive materials and are used as electric components in various places such as the inside of vehicles. For example, a battery used in an electric vehicle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to supply necessary power, and the battery module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 bus bar is used to connect the battery cells in series. used

구체적으로는, 다수개의 배터리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직렬연결장치가 사용되는데, 상기 직렬연결장치에는 배터리셀의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버스바가 구비된다.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서와 같이, 상기 버스바는 다수개가 베이스에 융착되어 고정된다. Specifically, a series connection device is used to electrically connect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nd the series connection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bus bars electrically connected to electrodes of the battery cells. As in the prior art literature below, a plurality of bus bars are fused and fixed to the base.

일반적으로 융착작업은 버스바에 통공을 만들고 베이스에서 돌출된 융착돌기가 상기 통공을 관통하여 그 선단이 융착됨으로써 이루어지는데, 이와 같은 경우 상기 통공의 내경과 융착돌기의 외경을 1:1로 정확하게 맞출 수 없어 버스바와 베이스 사이에 상대 유동이 발생하게 되어 소음문제를 유발한다. In general, the weld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making a through hole in the bus bar, and the weld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base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fuses the tip thereof. Therefore, relative flow occurs between the bus bar and the base, causing noise problems.

또한, 융착장비가 적절한 온도로 융착돌기를 가열하지 못할 경우에는 불량이 발생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i) 융착장치의 팁(tip)이 과도하게 가열되면 융착돌기를 융착시킨 후 분리되는 과정에서 융착돌기가 자칫 팁에 딸려올라가면서 불량을 발생시키게 되며, (ii) 융착장치의 팁이 덜 가열되면 융착돌기를 충분히 융착시키지 못해 융착부가 제대로 형성되지 못한다. In addition, defects may occur when the welding equipment fails to heat the welding protrusions to an appropriate temperature. For example, (i) if the tip of the fusion device is excessively heated, the fusion protrusion may get caught up on the tip in the process of being separated after fusion, resulting in a defect, and (ii) of the fusion device If the tip is heated less, the fusion protrusion cannot be sufficiently fused, and the fusion portion is not properly formed.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금속재질인 버스바를 사출물인 베이스에 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연구가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버스바가 전기의 통전성이 좋은 동재질을 사용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탄성변형능력이 떨어져서 베이스에 버스바가 정확하게 밀착되도록 하는데 한계가 있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various methods of research are being conducted to make the bus bar, which is a metal material, closely adhere to the base, which is an injection product. However, since the bus bar uses a copper material having good electrical conductivity, there is a limit in ensuring that the bus bar is accurately adhered to the base due to its relatively low elastic deformation capacity.

버스바가 베이스에 정확하게 밀착되지 못하면, 버스바와 배터리셀의 셀탭 사이의 초음파 용접 과정에서 버스바의 유동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버스바의 유동에 의해 버스바와 주변장치(예를 들어 PCB기판) 사이를 연결한 솔더링부에 외력이 가해져서 크랙이 발생하는 2차적인 문제점도 발생시키게 된다. If the bus bar is not accurately adhered to the base, movement of the bus bar occurs during ultrasonic welding between the bus bar and the cell tab of the battery cell. In additio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soldering part connected between the bus bar and the peripheral device (for example, the PCB board) by the flow of the bus bar, causing a secondary problem of cracks.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29252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329252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버스바가 베이스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열융착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heat-sealed portion so that a bus bar can be firmly fixed to a bas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버스바안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버스바안착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가 돌출되는 베이스와, 상기 버스바안착부에 안착되고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버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의 내측면에는 요입홈이 상기 관통홀의 직경을 넓히는 방향으로 요입되어, 열융착과정에서 열에 의해 녹은 결합돌기의 일부가 상기 요입홈 내부에 채워진다.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bus bar seating portion and a base from which at least one coupling protrusion protrudes, and is seated on the bus bar seating portion, It includes a bus bar in which a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and a concave groove is recessed in an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in a direction of widening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so that a part of the coupling protrusion melted by heat in the heat fusion process is formed in the through hole. It is filled inside the mouth groove.

상기 요입홈은 상기 관통홀을 중심으로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된다. The concave groove is form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through hole.

상기 관통홀의 가장자리에는 밀착리브가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밀착리브는 열융착과정에서 열에 의해 녹은 상기 결합돌기의 일부에 의해 덮혀진다. A close contact rib protrudes upward from the edge of the through hole, and the close contact rib is covered by a part of the coupling protrusion melted by heat during a thermal fusion process.

상기 밀착리브는 상개 관통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되 상기 요입홈이 형성된 부분에는 생략되어, 상기 요입홈은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형태이다. The close contact rib is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upper through hole, but is omitted in the portion where the concave groove is formed, and the concave groove is open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밀착리브의 부피는 상기 요입홈의 부피와 같거나 크다. The volume of the close contact rib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volume of the concave groove.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버스바 조립체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As seen above, the bus ba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에 의하면 버스바의 관통홀의 내측면에는 관통홀의 직경을 넓히는 방향으로 요입홈이 형성되어, 베이스의 조립돌기를 열융착시키는 과정에서 열에 의해 녹은 결합돌기의 일부가 요입홈 내부에 채워진다. 이에 따라 베이스와 버스바 사이의 결합력이 향상되고, 버스바의 유동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ncave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of the bus bar in a direction of widening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and in the process of heat-sealing the assembly projection of the base, a part of the coupling projection melted by heat fills the inside of the concave groove. Accordingly,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base and the bus bar and reducing the flow of the bus bar.

그리고 본 발명에서 버스바의 관통홀 가장자리에는 밀착리브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열융착과정에서 열에 의해 녹은 결합돌기의 일부가 밀착리브를 덮는다. 따라서 버스바와 베이스 사이의 결합면적이 증가될 뿐 아니라, 열융착된 결합돌기 내측에 밀착리브가 삽입된 형태가 되므로, 베이스와 버스바 사이의 결합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ct rib protrudes upward from the edge of the through hole of the bus bar, and a part of the coupling protrusion melted by heat during the heat welding process covers the contact rib. Therefore, since the coupling area between the bus bar and the base is increased, and the contact rib is inserted inside the heat-sealed coupling protrusion,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base and the bus bar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결합돌기가 열융착되는 과정에서 녹은 결합돌기는 밀착리브의 존재로 인하여 자연스럽게 요입홈 방향으로 유도될 수 있어 열융착작업의 정확도가 향상된다. In addition, the coupling protrusions melted in the process of heat-sealing the coupling protrusions can be naturally guided in the direction of the concave groove due to the existence of the close contact rib, thereby improving the accuracy of the thermal welding operati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버스바 조립체의 일실시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버스바의 관통홀 주변의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버스바와 베이스가 결합되고, 융착돌기가 열융착되기 전의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융착돌기가 열융착된 후의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I-I' 선에 대한 단면도.
도 6은 도 4의 II-II' 선에 대한 단면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a bus ba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around the through-hole of the bus bar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bus bar and the base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and the fusion projections are thermally fused.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after the fusion protrusions in FIG. 3 are thermally fused;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4;
6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line II-II' of FIG. 4;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hinders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lso,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in describing component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n elem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to,”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that elem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there may be another element between the ele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이하에서는 배터리 조립체 중에서 자동차용 배터리모듈용 연결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connection device for a vehicle battery module among battery assemblies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본 발명의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는 다수개의 배터리셀을 가로질러 설치되는데, 도면에는 배터리모듈 및 배터리셀이 생략된 상태이다. The serial connection device for battery modu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cross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but the battery modules and battery cells are omitted in the drawings.

본 발명의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는 크게 베이스(10), 버스바(30) 및 기판어셈블리로 구성된다. 여기서 베이스(10)는 배터리모듈에 고정되는 하부를 형성하고, 기판어셈블리는 베이스(10) 상부에 설치되고, 버스바(30)는 배터리셀과 기판어셈블리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The serial connection device for a battery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mposed of a base 10, a bus bar 30, and a board assembly. Here, the base 10 forms a lower portion fixed to the battery module, the board assembly is installed on the base 10, and the bus bar 30 serves to electrically connect the battery cell and the board assembly.

상기 베이스(10)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베이스(10)는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지고 다수개의 배터리셀을 가로지르도록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데, 도 1에는 그 일부만 도시되어 있다. Referring to the base 10, the base 10 is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and is formed long in one direction to cross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but only a portion thereof is shown in FIG.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베이스(10)에는 버스바안착부(11)가 형성되고, 상기 버스바안착부(11) 양측으로는 배터리셀의 일부가 삽입된다. 상기 버스바안착부(11)는 상기 베이스(10)에 다수개가 구비되는데, 도 1에는 한 개의 버스바안착부(11)만이 도시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 a bus bar seating portion 11 is formed on the base 10, and a portion of a battery cell is inserted into both sides of the bus bar seating portion 11. A plurality of bus bar seating parts 11 are provided on the base 10, but only one bus bar seating part 11 is shown in FIG.

상기 베이스(10)에는 기판안착부(13)가 구비된다. 상기 기판안착부(13)는 기판어셈블리가 안착되는 부분으로, 상기 버스바안착부(11)에 인접한 위치에 구비된다. 이는 버스바(30)의 일단이 기판어셈블리를 구성하는 회로기판(50)과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참고로, 상기 기판안착부(13)는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기판안착부(13)에는 긴 하나의 기판어셈블리가 안착될 수 있고, 상기 하나의 기판어셈블리에 다수개의 버스바(30)가 각각 연결될 수도 있다. 도 1에는 기판어셈블리를 구성하는 회로기판(50)의 일부만이 도시된 것으로 볼 수도 있다. The base 10 is provided with a substrate mounting portion 13 . The substrate seating portion 13 is a portion on which the substrate assembly is seated, and is provid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bus bar seating portion 11 . This is to enable one end of the bus bar 30 to be coupled with the circuit board 50 constituting the board assembly. For reference, the substrate seating portion 13 is formed long in one direction, and a long substrate assembly can be seated on the substrate seating portion 13, and a plurality of bus bars 30 are installed on the one substrate assembly. Each may be connected. It may be seen that only a part of the circuit board 50 constituting the board assembly is shown in FIG. 1 .

상기 기판안착부(13)의 일측에는 기판고정후크(15)가 구비된다. 상기 기판고정후크(15)는 탄성변형가능한 재질과 형상을 갖는 것으로, 회로기판(50)이 기판안착부(13)에 안착된 상태에서 회로기판(50)의 상면을 눌러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기판고정후크(15)는 회로기판(50)이 안착되는 과정에서 탄성변형되었다가 원형으로 복원되면서 회로기판(50)을 고정하는 구조이다. A substrate fixing hook 15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ubstrate seating portion 13 . The board fixing hook 15 has an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and shape, and serves to press and fix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50 in a state where the circuit board 50 is seated on the board seating part 13 . The substrate fixing hook 15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circuit board 50 is fixed while being elastically deformed in the process of seating the circuit board 50 and then restored to a circular shape.

상기 기판안착부(13)의 일측에는 단자출입부(16)가 형성된다. 상기 단자출입부(16)는 버스바(30)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단자부(38)가 통과하는 부분으로, 버스바(30)의 단자부(38)가 단자출입부(16)를 통해 기판안착부(13)에 위치되면 회로기판(50)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단자출입부(16)는 상기 기판안착부(13)를 구획하는 구획벽(도면부호 부여 않음)의 일부가 생략된 부분이라고 볼 수도 있다. A terminal input/output portion 16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oard seating portion 13 . The terminal access portion 16 is a portion through which the terminal portion 38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bus bar 30 passes, and the terminal portion 38 of the bus bar 30 passes through the terminal access portion 16 to the board mounting portion. When positioned at (13), it can be combined with the circuit board (50). The terminal access portion 16 may be regarded as a portion in which a part of a partition wall (no reference numeral is given) that partitions the board mounting portion 13 is omitted.

상기 버스바안착부(11)에는 결합돌기(18)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돌기(18)는 상기 버스바안착부(11)로부터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버스바(30)에 형성된 관통홀(35)을 통과한다. 상기 결합돌기(18)가 상기 관통홀(35)을 통과한 상태에서 결합돌기(18)가 별도의 융착장치에 의해 고온으로 열융착되면 결합돌기(18)의 일부가 녹아 결합돌기(18)의 직경을 크게 만든다. 상기 결합돌기(18)가 열융착되어 직경이 커지면 관통홀(35)을 통해 반대방향으로 빠질 수 없는 상태가 되어 버스바(30)가 버스바안착부(11)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10) 및 결합돌기(18)는 열에 의해 녹을 수 있는 재질, 예를 들어 합성수지계열의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열융착에 의해 형태가 변하는 결합돌기(18)의 구별을 위하여, 열융착되어 일부가 녹은 결합돌기에는 18'의 도면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A coupling protrusion 18 is provided on the bus bar mounting portion 11 . The coupling protrusion 18 protrudes upward from the bus bar mounting portion 11 and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35 formed in the bus bar 30 . When the coupling protrusion 18 is thermally fused at a high temperature by a separate fusing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18 has passed through the through hole 35, a part of the coupling protrusion 18 melts to form a part of the coupling protrusion 18. make the diameter larger. When the coupling protrusion 18 is heat-sealed and the diameter thereof increases, the bus bar 30 can be stably fixed to the bus bar seating part 11 as it cannot be pulled out in the opposite direction through the through hole 35 . To this end, the base 10 and the coupling protrusion 18 are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that can be melted by heat, for example, a synthetic resin-based material. For reference, in order to distinguish the coupling protrusion 18 whose shape is changed by thermal fusion, reference numerals 18' will be given to coupling protrusions that are thermally fused and partially melted.

상기 버스바안착부(11)에는 버스바(30)가 안착된다. 상기 버스바(30)는 상기 버스바안착부(11)에 안착되어 배터리셀 및 회로기판(50)과 각각 연결되어 이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버스바(30)는 전기전도도가 높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며, 판상의 금속모재를 절곡하여 만들 수 있다.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버스바(30)는 버스바몸체(31)와, 상기 버스바몸체(31)의 양측에 절곡된 날개부(33)를 포함한다. 상기 날개부(33)는 배터리셀과 초음파용접되는 부분으로, 버스바몸체(31)로부터 직교한 방향으로 절곡된다. The bus bar 30 is seated on the bus bar mounting portion 11. The bus bar 30 is seated on the bus bar mounting portion 11 and connected to the battery cell and the circuit board 50, respectively, to electrically connect them. To this end, the bus bar 3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and can be made by bending a plate-shaped metal base material. As shown in FIG. 1, the bus bar 30 includes a bus bar body 31 and wings 33 bent on both sides of the bus bar body 31. The wing part 33 is a part that is ultrasonically welded to the battery cell, and is bent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bus bar body 31.

상기 버스바몸체(31)에는 단자부(38)가 구비된다. 상기 단자부(38)는 상기 버스바몸체(31)로부터 기판안착부(13)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회로기판(50)과 결합되는 부분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단자부(38)에 절곡된 절곡편(39)이 회로기판(50)의 삽입홀(55)에 삽입된 상태로 솔더링되어 상기 버스바(30)와 회로기판(50) 사이가 결합된다. The bus bar body 31 is provided with a terminal portion 38. The terminal portion 38 extends from the bus bar body 31 toward the board mounting portion 13 and is coupled to the circuit board 50 . More precisely, the bent piece 39 bent to the terminal portion 38 is solder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55 of the circuit board 50 so that the bus bar 30 and the circuit board 50 are coupled. do.

한편, 상기 버스바몸체(31)에는 관통홀(35)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35)은 상기 버스바몸체(31)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관통홀(35)을 통해 베이스(10)의 결합돌기(18)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35)은 결합돌기(18)와 함께 버스바(30)와 베이스(10) 사이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관통홀(35)은 결합돌기(18)와 대응되는 개수 및 위치를 갖는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결합돌기(18)와 관통홀(35)은 각각 3개가 구비된다. Meanwhile, a through hole 35 is formed in the bus bar body 31. The through hole 35 is formed through the bus bar body 31, and the coupling protrusion 18 of the base 10 may protrude through the through hole 35. The through hole 35 serves to couple the bus bar 30 and the base 10 together with the coupling protrusion 18 . To this end, the through holes 35 have a number and position corresponding to those of the coupling protrusions 18 . In this embodiment, each of the coupling protrusion 18 and the through hole 35 is provided with three.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홀(35)은 원형으로 형성되되, 그 내측면에는 요입홈(37)이 형성된다. 상기 요입홈(37)은 상기 관통홀(35)의 내측면으로터 상기 관통홀(35)의 직경을 넓히는 방향으로 요입되어 형성된 것이다. 상기 요입홈(37)은 상기 결합돌기(18)를 열융착시키는 과정에서 열에 의해 녹은 결합돌기(18)의 일부가 채워지는 부분이다. 상기 요입홈(37)으로 인하여, 상기 결합돌기(18)가 열융착되면 관통홀(35)과 보다 넓은 면적에 걸쳐 서로 결합될 수 있고, 이는 결합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도 6에는 녹은 결합돌기(18)의 일부가 요입홈(37)에 채워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하여 결합돌기(18)의 녹은 일부가 요입홈(37)에 채워진 부분을 도면부호 P로 표시하였으나, 이 부분도 물론 결합돌기(18)의 일부이다. As well shown in FIG. 2, the through hole 35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a concave groove 37 is formed on its inner surface. The recessed groove 37 is formed by being recess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35 in a direction of widening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35 . The concave groove 37 is a portion filled with a part of the coupling protrusion 18 melted by heat in the process of heat-sealing the coupling protrusion 18 . Due to the concave groove 37, when the coupling protrusion 18 is thermally fused, it can be coupled with the through hole 35 over a wider area, which improves the coupling force. 6 shows a state in which a part of the melted coupling protrusion 18 is filled in the concave groove 37. For ease of understanding, the melted portion of the coupling protrusion 18 fills the concave groove 37 i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P, but this portion is also part of the coupling protrusion 18.

상기 요입홈(37)은 상기 관통홀(35)을 중심으로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된다. 상기 요입홈(37)이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면, 결합돌기(18)가 좌우 어느 일측으로 치우치지 않고 균형을 이루면서 보다 견고하게 베이스(10)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한 쌍의 요입홈(37)이 상기 관통홀(35)에 형성되나, 두 쌍 이상의 요입홈(37)이 상기 관통홀(35)에 형성될 수도 있다. The concave groove 37 is form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through hole 35 as a center. When the concave grooves 37 are formed at positions symmetrical to each other, the coupling protrusions 18 can be more firmly fixed to the base 10 while being balanced without being biased to either side. In this embodiment, a pair of concave grooves 37 are formed in the through hole 35, but two or more pairs of concave grooves 37 may be formed in the through hole 35.

이때, 상기 관통홀(35)의 가장자리에는 밀착리브(36)가 상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밀착리브(36)는 열융착과정에서 열에 의해 녹은 상기 결합돌기(18)의 일부에 의해 덮혀지는 부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결합돌기(18)가 녹아 융착되면, 상기 결합돌기(18)는 밀착리브(36)를 덮어 밀착리브(36)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 상태가 되고, 도 5와 같이 밀착리브(36)가 결합돌기(18) 내측으로 삽입된 형태가 된다. 이에 따라 버스바(30)와 베이스(10) 사이의 결합력이 더욱 높아질 수 있다. At this time, a close contact rib 36 protrudes upward from the edge of the through hole 35 . The contact rib 36 is a part covered by a part of the coupling protrusion 18 melted by heat in the heat welding process. 4 and 5, when the coupling protrusion 18 is melted and fused, the coupling protrusion 18 covers the adhesion rib 36 so that the adhesion rib 36 is not visible from the outside. As such, the close contact rib 36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protrusion 18. Accordingly,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bus bar 30 and the base 10 may be further increased.

상기 밀착리브(36)는 상기 관통홀(35)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되 상기 요입홈(37)이 형성된 부분에는 생략된다. 즉,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요입홈(37)이 형성된 부분에는 밀착리브(36)가 생략되어 결과적으로 요입홈(37)이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형태가 된다. 이와 같이 요입홈(37)이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형태가 되면, 결합돌기(18)의 녹은 일부가 상기 요입홈(37) 내측으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The contact rib 36 is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through hole 35 and is omitted in the portion where the concave groove 37 is formed. That is, as shown in FIG. 2, the contact rib 36 is omitted in the portion where the concave groove 37 is formed, and as a result, the concave groove 37 is open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is way, when the concave groove 37 is open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melted part of the coupling protrusion 18 can be easily introduced into the concave groove 37 .

이때, 상기 결합돌기(18)가 열융착되는 과정에서 그 일부가 녹게 되면, 녹은 일부가 요입홈(37)으로 원활하게 유입되어야 한다. 상기 밀착리브(36)가 돌출되어 있으므로, 결합돌기(18)의 녹은 일부는 자연스럽게 요입홈(37) 방향으로 밀려가게 되고, 요입홈(37)을 채우게 된다. 따라서, 결합돌기(18)의 녹은 일부가 요입홈(37) 내측에 보다 잘 채워질 수 있도록, 상기 밀착리브(36)의 전체부피는 상기 요입홈(37)의 부피와 같거나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when a part of the coupling protrusion 18 is melted in the process of being thermally fused, the melted part should smoothly flow into the concave groove 37. Since the contact rib 36 protrudes, the melted part of the coupling protrusion 18 is naturally pushed toward the concave groove 37 and fills the concave groove 37 .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total volume of the close contact rib 36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volume of the concave groove 37 so that the melted portion of the coupling protrusion 18 can be better filled inside the concave groove 37. do.

한편, 상기 기판안착부(13)에는 기판어셈블리가 안착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기판어셈블리는 회로기판(50)을 포함한다. 상기 회로기판(50)은 버스바(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결과적으로 버스바(30)를 통해 배터리셀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50)에는 상기 버스바(30)의 단자부(38)에 형성된 절곡편(39)이 삽입되는 삽입홀(55)이 형성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회로기판(50)에는 퓨즈가 장착되어 과도한 전류가 흐를 경우에 이를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Meanwhile, a substrate assembly is seated on the substrate seating portion 13 . In this embodiment, the board assembly includes a circuit board 50 . The circuit board 5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us bar 30, and consequently can be connected to the battery cell through the bus bar 30. An insertion hole 55 into which a bent piece 39 formed at the terminal portion 38 of the bus bar 30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circuit board 50 . Although not shown, a fuse may be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50 to block excessive current flow.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버스바 조립체의 조립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assembly process of the bus ba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베이스(10)의 버스바안착부(11)에 버스바(30)가 안착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10)의 결합돌기(18)가 버스바(30)의 관통홀(35)을 통과하도록 상기 버스바(30)가 버스바안착부(11)에 안착되어야 한다. First, the bus bar 30 is seated on the bus bar mounting portion 11 of the base 10. At this time, the bus bar 30 should be seated on the bus bar seating part 11 so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18 of the base 10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35 of the bus bar 30 .

이어서 회로기판(50)이 상기 기판안착부(13)에 안착된다. 상기 회로기판(50)은 상기 기판안착부(13)에 구비된 기판고정후크(15)를 탄성변형시키면서 기판안착부(13)에 안착되고, 회로기판(50)이 기판안착부(13)에 완전히 밀착되면 기판고정후크(15)가 원형으로 복원되면서 회로기판(50)의 상부를 눌러 고정하게 된다. Subsequently, the circuit board 50 is seated on the board seating part 13 . The circuit board 50 is seated on the board seating portion 13 while elastically deforming the substrate fixing hook 15 provided on the board seating portion 13, and the circuit board 50 is attached to the board seating portion 13. When the substrate fixing hook 15 is restored to a circular shape when completely adher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ircuit board 50 is pressed and fixed.

이 과정에서 상기 회로기판(50)의 삽입홀(55)에 버스바(30)의 절곡편(39)이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절곡편(39)과 삽입홀(55) 주변을 솔더링하여, 버스바(30)와 회로기판(50) 사이를 결합시키게 된다. In this process, the bent piece 39 of the bus bar 3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55 of the circuit board 50 . In this state, by soldering around the bent piece 39 and the insertion hole 55, the bus bar 30 and the circuit board 50 are coupled.

마지막으로, 열융착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결합돌기(18)를 열융착시키는 작업이 이어진다. 상기 결합돌기(18)가 열융착장치에 의해 가열되면 그 일부가 녹게 되고, 결합돌기(18)의 직경이 커져 관통홀(35)의 직경보다 커지게 된다. 이에 따라 결합돌기(18)가 관통홀(35)을 빠져나가지 못하는 상태가 되어 버스바(30)와 베이스(10) 사이가 결합된다. 도 3의 화살표①은 열융착장치에 의해 결합돌기(18)가 가열되는 방향을 나타낸다. Finally, an operation of heat-sealing the coupling protrusion 18 by using a heat-sealing device is followed. When the coupling protrusion 18 is heated by a heat welding device, a portion thereof is melted, and the diameter of the coupling protrusion 18 becomes larger than that of the through hole 35 . Accordingly, the coupling protrusion 18 is in a state where it cannot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35, and the bus bar 30 and the base 10 are coupled. Arrow 1 in FIG. 3 indicates a direction in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18 is heated by the thermal fusion device.

이때, 상기 결합돌기(18)의 녹은 일부는 요입홈(37) 방향으로 유입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요입홈(37)이 상기 버스바(30)의 관통홀(35)의 직경을 넓히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조립돌기를 열융착시키는 과정에서 열에 의해 녹은 결합돌기(18)의 일부가 요입홈(37) 내부에 채워지는 것이다. 이에 따라 베이스(10)와 버스바(30) 사이의 결합력이 향상된다. 도 6에는 녹은 결합돌기(18)의 일부가 요입홈(37)에 채워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At this time, the melted part of the coupling protrusion 18 flows in the direction of the concave groove 37. More precisely, the concave groove 37 is formed in a direction to wide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35 of the bus bar 30, and a part of the coupling protrusion 18 melted by heat in the process of heat-sealing the assembling protrusion It is filled in the concave groove (37). Accordingly,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base 10 and the bus bar 30 is improved. 6 shows a state in which a part of the melted coupling protrusion 18 is filled in the concave groove 37.

특히, 상기 버스바(30)의 관통홀(35) 가장자리에는 밀착리브(36)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열융착과정에서 열에 의해 녹은 결합돌기(18)의 일부가 밀착리브(36)를 덮는다. 따라서, 도 5에서 보듯이, 버스바(30)와 베이스(10) 사이의 결합면적이 증가될 뿐 아니라, 열융착된 결합돌기(18) 내측에 밀착리브(36)가 삽입된 형태가 되므로, 베이스(10)와 버스바(30) 사이의 결합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In particular, a close contact rib 36 protrudes upward from the edge of the through hole 35 of the bus bar 30, and a part of the coupling protrusion 18 melted by heat during the heat welding process covers the close contact rib 36. Therefore, as shown in FIG. 5, the coupling area between the bus bar 30 and the base 10 is increased, and the contact rib 36 is inserted inside the heat-sealed coupling protrusion 18, Coupling force between the base 10 and the bus bar 30 may be further improved.

그리고, 결합돌기(18)가 열융착되는 과정에서 녹은 결합돌기(18)는 밀착리브(36)의 존재로 인하여 자연스럽게 요입홈(37) 방향으로 유도될 수 있어 열융착작업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upling protrusion 18 melted in the process of heat-sealing the coupling protrusion 18 can be naturally guided toward the concave groove 37 due to the presence of the close rib 36, so that the heat-seal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accurately.

한편, 열융착장치의 팁 부분은 상기 결합돌기(18)를 녹인 후에 다시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결합돌기(18)와 관통홀(35) 가장자리 사이의 결합력이 높아지므로, 결합돌기(18)가 열융착장치의 팁에 딸려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열융착장치의 팁에 가해지는 온도를 매우 미세하게 조절할 필요는 없다. On the other hand, the tip of the thermal welding device moves in the direction of separation again after melting the coupling protrusion 18.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coupling protrusion 18 and the edge of the through hole 35 increases, the coupling The protrusion 18 can be prevented from being moved along with the tip of the thermal welding device. Therefore, the operator does not need to very finely adjust the temperature applied to the tip of the thermal welding device.

이와 같이 버스바(30)가 베이스(10)에 고정된 후에는, 베이스(10)의 양측으로 삽입된 배터리셀의 셀탭(미도시)과 버스바(30)의 날개부(33) 사이가 초음파용접을 통해 결합된다. 상기 버스바(30)와 배터리셀의 초음파 용접 작업을 위해, 상기 버스바(30)는 상기 버스바안착부(11)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필요성이 있는데, 이는 앞서 설명한 구조를 통해 가능하다. In this way, after the bus bar 30 is fixed to the base 10, the ultrasonic wave between the cell tab (not shown) of the battery cell inserted on both sides of the base 10 and the wing part 33 of the bus bar 30 are joined through welding. For ultrasonic welding of the bus bar 30 and the battery cell, the bus bar 30 needs to be stably fixed to the bus bar seating part 11, which is possible through the structure described above.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the above, even though all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ed as on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with one or more to operate. In addition, terms such as "comprise", "comprise" or "having"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present unless otherwise stated, and thus exclude other components. I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able to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defined otherwise. Common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y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ㅇ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exampl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앞선 실시례에서는 관통홀(35)에 요입홈(37) 및 밀착리브(36)가 각각 형성된 것을 예로 들었으나, 상기 밀착리브(36)는 생략되고 요입홈(37)만이 관통홀(35)에 형성될 수도 있다. In the previous embodiment, the concave groove 37 and the close contact rib 36 are formed in the through hole 35 as an example, but the close contact rib 36 is omitted and only the concave groove 37 is formed in the through hole 35. may be formed.

10: 베이스 11: 버스바안착부
13: 기판안착부 18: 결합돌기
30: 버스바 31: 버스바몸체
35: 관통홀 36: 밀착리브
37: 요입홈 50: 회로기판
10: base 11: bus bar seating part
13: substrate mounting portion 18: coupling protrusion
30: bus bar 31: bus bar body
35: through hole 36: close rib
37: concave groove 50: circuit board

Claims (5)

버스바안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버스바안착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가 돌출되는 베이스와,
상기 버스바안착부에 안착되고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버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의 내측면에는 요입홈이 상기 관통홀의 직경을 넓히는 방향으로 요입되어, 열융착과정에서 열에 의해 녹은 결합돌기의 일부가 상기 요입홈 내부에 채워지는 버스바 조립체.
A base having a bus bar seating portion and having at least one coupl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bus bar seating portion;
A bus bar seated on the bus bar seating portion and having a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trusion,
A bus bar assembly in which a concave groove is reces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in a direction of widening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and a part of the coupling protrusion melted by heat during the thermal fusion process is filled inside the concave groov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입홈은 상기 관통홀을 중심으로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되는 버스바 조립체.
The bus bar assembl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cave groove is form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through hol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의 가장자리에는 밀착리브가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밀착리브는 열융착과정에서 열에 의해 녹은 상기 결합돌기의 일부에 의해 덮혀지는 버스바 조립체.
The bus bar assembly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contact rib protrudes upward from an edge of the through hole, and the contact rib is covered by a part of the coupling protrusion melted by heat in a heat welding proces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리브는 상기 관통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되 상기 요입홈이 형성된 부분에는 생략되어, 상기 요입홈은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형태인 버스바 조립체.
The bus bar assembly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contact rib is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through hole and is omitted at a portion where the concave groove is formed, so that the concave groove is open in a vertical direct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리브의 부피는 상기 요입홈의 부피와 같거나 큰 버스바 조립체.



The bus bar assembly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volume of the contact rib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volume of the concave groove.



KR1020160062664A 2016-05-23 2016-05-23 Busbar assembly KR1025209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664A KR102520913B1 (en) 2016-05-23 2016-05-23 Busbar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664A KR102520913B1 (en) 2016-05-23 2016-05-23 Busbar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1899A KR20170131899A (en) 2017-12-01
KR102520913B1 true KR102520913B1 (en) 2023-04-13

Family

ID=60921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2664A KR102520913B1 (en) 2016-05-23 2016-05-23 Busbar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091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1695B1 (en) * 2018-05-18 2023-08-2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Busbar
JP2023031409A (en) * 2021-08-25 2023-03-09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Bus bar unit, and wiring module
JP2023039495A (en) * 2021-09-09 2023-03-2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wiring module
JP2023039496A (en) * 2021-09-09 2023-03-2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wiring modu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9252B1 (en) 2012-07-11 2013-11-1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Series connection apparatus of battery modul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24572B2 (en) * 2009-03-31 2015-05-05 Sanyo Electric Co., Ltd. Battery module, battery system and electric vehicle
US9105911B2 (en) * 2009-12-28 2015-08-11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KR101287087B1 (en) * 2011-10-14 2013-07-17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Rechargeable battery
KR20150067694A (en) * 2013-12-10 2015-06-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Connecting apparatus for battery Modu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9252B1 (en) 2012-07-11 2013-11-1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Series connection apparatus of battery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1899A (en) 2017-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0913B1 (en) Busbar assembly
KR100930476B1 (en) Cap assembly molded body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CN212622762U (en) Passive current sensor and assembly for the same
JP3219703U (en) Battery bus bar
CN106463928B (en) Circuit structure, connection bus and electric connection box
US20230318072A1 (en) Battery module with bimetallic terminal busbar and adaptable connector interface
JP2017157334A (en)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JP2014526791A (en) Newly constructed top cap assembly
KR102326081B1 (en) Flexible Printed Circuit connection structure and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ion method using the same
US9076782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20170032225A (en) Chip fuse and fuse element
CN105532079A (en) Circuit board assembly, control device for a cooler fan module and method
EP3793032A1 (en) Terminal busbar
JP2016213121A (en) Circuit breaker and secondary battery circuit and safety circuit using the same
JP7065950B2 (en) Electrical connection assembly
JP2013258013A (en) Fuse
CN107995785B (en)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KR101849593B1 (en) Series connection apparatus of battery module
US7878871B2 (en) Weld terminal, switch assembly and methods of attachment
KR20170117815A (en) Series connection apparatus of battery module
JP7470998B2 (en) Substrate surface mount fus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15113909A1 (en) A switching contact and a method of producing the latter
JP5790079B2 (en) Discharge resistance fixed structure
JP2002367496A (en) Thermal fuse
JP2013182750A (en) Temperature fus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