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0817B1 -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ptt 그룹 호를 셋업하는 방식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ptt 그룹 호를 셋업하는 방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0817B1
KR102520817B1 KR1020187006920A KR20187006920A KR102520817B1 KR 102520817 B1 KR102520817 B1 KR 102520817B1 KR 1020187006920 A KR1020187006920 A KR 1020187006920A KR 20187006920 A KR20187006920 A KR 20187006920A KR 102520817 B1 KR102520817 B1 KR 102520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call
mcptt
message
session
cl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6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0247A (ko
Inventor
고현목
박성진
백윤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030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0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0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0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8User group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10Push-to-Talk [PTT] or Push-On-Call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40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 H04W76/45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for Push-to-Talk [PTT] or Push-to-Talk over cellular [PoC]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푸쉬-투-토크(push-to-talk: PTT) 클라이언트가 온-고잉(on-going) 그룹 호에 조인(join)하는 방법을 제안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온-고잉 그룹 호의 커버리지(coverage)로 진입하는 과정과; 그룹 호를 셋업하기 위해, 상기 온-고잉 그룹 호의 그룹 식별자(identification: ID)를 포함하는 그룹 호 안내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온-고잉 그룹 호에 참여하는 다른 PTT 클라이언트로부터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파라미터들을 기반으로 상기 온-고잉 그룹 호에서 미디어 전송을 위한 파라미터들을 구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PTT 그룹 호를 셋업하는 방식
본 개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푸쉬-투-토크(push-to-talk: PTT) 그룹 호를 셋업하는 방식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PTT 클라이언트가 온-고잉(on-going) 그룹 호에 조인(join)하는 방식에 관한 것이다.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는 기존 네트워크들을 그 명칭이 공중 안전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이하 LTE)(public safety LTE, 이하 PS-LTE)인, LTE-기반 공중 안전 해결 방식들로 진화시키는 것에 대한 연구를 시작한 바 있다. 공중 안전 네트워크는 치안, 화재, 앰블런스, 전쟁, 자연 재해 등과 같은 공중 안전 서비스들에 대한 통신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공중 안전 네트워크는 주로 많은 사용자들간의 미션 크리티컬(mission critical) 텍스트/음성/비디오 통신을 위해 사용된다.
PS-LTE에서의 미션 크리티컬 푸쉬 투 토크(Mission critical push to talk, 이하 MCPTT) 서비스는 일-대-일 및 일-대-다 음성/비디오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의도를 가지며, 여기서 각 사용자는 임의의 방식으로 토크에 대한 허락에 대한 억세스를 획득하는 능력을 가진다. 즉, MCPTT는 워키-토키-유사(walkie-talkie-like) 서비스이며, 상기 사용자는 토크를 시작하기 위해 '토크 버튼'을 누름으로써 토크에 대한 허락을 획득할 수 있다. 푸쉬-투-토크 세션들은 기본적으로 하프-듀플렉스(half-duplex) 통신들이며: 한 사용자가 말하는 동안, 다른 사용자들은 청취해야만 한다. 몇몇 플로어(floor) 제어 기능들은 상기 토크 허락을 제어하기 위해 필요로 된다.
MCPTT 네트워크의 2가지 타입들, 즉 온-네트워크(On-network) 및 오프-네트워크(Off-network)가 존재한다. 첫 번째 타입은 온-네트워크이며, 상기 무선 장치들이 셀룰라 전화기들이 수행하는 것과 같이 기존 네트워크를 통해 토크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MCPTT는 또한 오프-네트워크의 타입을 고려하며, 이는 상기 무선 장치들이 네트워크 인프라(network infra)의 도움없이 직접 토크하는 것을 의미한다. 릴리즈 13(Release 13)에서의 오프-네트워크 MCPTT는 근접성-기반 서비스(proximity-based service, 이하 ProSe) 탐색(discovery)을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기(user equipment: UE)들(즉, MCPTT 클라이언트들)간의 직접 통신 및 진화된 범용 지상 무선 억세스(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를 사용하는 ProSe 통신 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로 되는 기능들 및 능력들의 집합으로 정의된다.
상기 오프-네트워크 기술들은 상기 네트워크 인프라가 심각한 환경들에서 부서지거나 혹은 미싱(missing)될 때 유용하다. 상기 오프-네트워크 기술들은 온-네트워크 통신과는 달리, 링크를 설정하거나 오프-네트워크에서의 토크에 대한 허락을 중재하는 중앙 코디네이터(coordinator)들이 존재하지 않는다.
본 개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PTT 클라이언트가 그룹 호를 관리하는 방식들을 제공한다.
본 개시는 또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PTT 클라이언트가 그룹 호를 설정하는 방식들을 제공한다.
본 개시는 또한 오프-네트워크 상태(off-network condition)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PTT 클라이언트가 온-고잉 그룹 호에 조인하는 방식들을 제공한다.
본 개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푸쉬-투-토크(push-to-talk: PTT) 클라이언트가 온-고잉(on-going) 그룹 호에 조인(join)하는 방법을 제안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온-고잉 그룹 호의 커버리지(coverage)로 진입하는 동작; 그룹 호를 셋업하기 위해, 상기 온-고잉 그룹 호의 그룹 식별자(identification: ID)를 포함하는 그룹 호 안내 메시지를 송신하는 동작; 상기 온-고잉 그룹 호에 참여하는 다른 PTT 클라이언트로부터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수신된 파라미터들을 기반으로 상기 온-고잉 그룹 호에서 미디어 전송을 위한 파라미터들을 구성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본 개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푸쉬-투-토크(push-to-talk: PTT)를 수행하여 온-고잉(on-going) 그룹 호에 조인(join)하는 사용자 단말기(user equipment: UE)를 제안하며, 상기 UE는: 상기 UE가 상기 온-고잉 그룹 호의 커버리지(coverage)로 진입할 경우 그룹 호를 셋업하기 위해, 상기 온-고잉 그룹 호의 그룹 식별자(identification: ID)를 포함하는 그룹 호 안내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온-고잉 그룹 호에 참여하는 다른 PTT 클라이언트로부터 파라미터들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파라미터들을 기반으로 상기 온-고잉 그룹 호에서 미디어 전송을 위한 파라미터들을 구성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와; 상기 제어기의 제어 하에서 상기 그룹 호 안내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수신기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PTT 클라이언트는 과도한 시간 기간을 대기하지 않고 그룹-호를 설정하거나 혹은 온-고잉 그룹 호에 조인할 수 있다.
도 1은 어플리케이션 계층(layer) 그룹 ID, 상기 계층 3의 멀티캐스트 IP, 상기 계층 2의 그룹 ID가 어떻게 서로 매핑되는지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오프-네트워크 그룹 호 셋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주기적 그룹 호 안내(announcement)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MCPTT 클라이언트가 온-고잉 MCPTT 그룹 호에 조인하는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다수의 MCPTT 클라이언트들이 온-고잉 MCPTT 그룹 호에 조인하는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E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블록도이다.
오프-네트워크 MCPTT (off-network MCPTT)
오프-네트워크 MCPTT 서비스를 동작시키기 위해, 상기 MCPTT 클라이언트는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벗어난 것(out of network coverage)과 같은, 오프-네트워크 상태(off-network condition)를 검출할 때 MCPTT의 사용을 위한 ProSe 직접 통신 경로로 스위치할 수 있어야만 한다. 게다가, 상기 UE는 네트워크 커버리지에 존재하는 동안 MCPTT 서비스의 동작 타입을 오프-네트워크로 수동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오프-네트워크 MCPTT 서비스는 상기 UE들이 어떤 네트워크 인프라(network infra) 없이도 서로 통신 할 수 있는 세기를 갖지만, 코디네이터(coordinator)/제어기(controller)가 없기 때문에 기능이 매우 제한적이다.
오프-네트워크 그룹 ID 관리
오프-네트워크에서, 어플리케이션 계층 그룹 ID는 상기 MCPTT 그룹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UE들간의 통신을 위해서, 그룹 ID 관리 및 탐색은 ProSe 기능의 도움으로 수행된다.
어플리케이션 계층 그룹 ID는 상기 그룹 통신을 위해 계층 3의 멀티캐스트 IP 어드레스 및 계층 2의 그룹 ID로 확인되어야만 한다. MCPTT 클라이언트는 ProSe 직접 통신을 통해 계층 2 그룹 ID 및 계층 3 멀티캐스트 IP 어드레스 둘 다와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어떤 전용 서버도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어플리케이션 계층 그룹 ID로부터 상기 멀티캐스트 IP를 확인할 방법이 존재하지 않는다. 대신, 상기 계층 3 멀티캐스트 IP 및 계층 2 그룹 ID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계층 그룹 ID에 따라 사전-정의되고 상기 계층 3 멀티캐스트 IP 및 계층 2 그룹 ID가 미리 타이트하게(tightly) 연결되어 있다는 것이 보다 현실적인 가정이다. 이런 매핑 정보는 ProSe 기능 혹은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UE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은 어플리케이션 계층 그룹 ID, 상기 계층 3의 멀티캐스트 IP, 상기 계층 2의 그룹 ID가 어떻게 서로 매핑되는지에 대한 예제를 도시하고 있다. 일 예로, 어플리케이션 계층 그룹 ID 'police'(100)이 계층 3 멀티캐스트 IP 어드레스 '239.255.255.1'(102) 및 계층 2 그룹 ID 'L2_POLICE'(104)로 확인된다.
오프-네트워크 호 셋업
푸쉬-투-토크(push-to-talk: PTT) 서비스들에 대해서, UE(들)는 상기 UE(들)가 상기 그룹 통신에 조인(join)하기 전에 오디오/비디오 코덱(codec)들, 멀티미디어 포트, 인크립션 키(encryption key)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파리미터들을 설정해야만 한다. 이런 멀티미디어 파라미터들은 서로 토크하기 위해 상기 그룹의 UE들간에 공유되어야만 한다. 이는 그룹 통신 전에 호 셋업 절차가 수행되어야만 하기 때문이다. 상기 그룹 호 절차는 상기 MCPTT 클라이언트들이 나중에 상기 그룹에 참여하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기본적으로, 상기 MCPTT 클라이언트는 다른 UE(들)로부터 그룹 호 안내 메시지를 대기할 뿐이다. 상기 그룹 호 안내 메시지는 그룹 식별자, 그룹 호 발신자 식별자, 미디어 타입, 미디어 코덱, 대역폭, 미디어에 대한 멀티캐스트 포트 번호, 플로어 제어 프로토콜(floor control protocol)에 대한 포트 번호, 혹은 필요할 경우 미디어 인크립션을 위한 인크립션키와 같은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메시지는 확인 모드 지시(confirm mode indic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런 미디어 파라미터들은 상기 MCPTT 그룹 호에서 사용된다. 상기 안내 메시지를 수신할 때, 상기 MCPTT 클라이언트는 상기 MCPTT 클라이언트 자신의 파라미터들을 구성하고, 상기 안내된 MCPTT 그룹 호에 조인한다.
그룹 호 안내 메시지를 대기하는 상기 MCPTT 클라이언트들이 특정 시간 동안 어떤 그룹 호 안내 메시지도 수신할 수 없을 때, 상기 MCPTT 클라이언트들 중 하나는 상기 그룹으로 그룹 호 안내 메시지를 처음으로 송신한 그룹 호 발신자가 될 수 있다. 그룹 호 설정 후에, 모든 그룹 호 참여자들은 MCPTT 클라이언트가 상기 그룹 호에 나중에 참여하도록 주기적으로 상기 그룹 호 안내 메시지를 송신한다. 상기 그룹 호 안내의 주기는 상기 그룹 호 참여자들의 수를 기반으로 결정된다. 결과적으로, 새롭게 참여한 MCPTT 클라이언트는 무선 커버리지와 상관없이 특정 시간 내에 그룹 호 안내 메시지들 중 적어도 하나를 청취할 수 있다.
도 2는 오프-네트워크 그룹 호 셋업의 예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오프-네트워크에 대한 MCPTT 그룹 호 설정 (혹은 셋업)을 위한 제어 평면(control plane)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절차는 MCPTT 클라이언트가 어떻게 오프-네트워크 무선 커버리지 내에서 다른 MCPTT 클라이언트와 MCPTT 그룹 호를 개시하고, 상기 그룹 호가 어떻게 설정되는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그룹 멀티캐스트 IP 어드레스 및 수신 시그널링 포트는 상기 호 셋업 시그널링을 위해 사전-구성된다고 가정된다. 모든 메시지들은 상기 사전-구성된 멀티캐스트 경로를 통해 송신된다.
그룹 호 발신자인 MCPTT 클라이언트 1(200)은 상기 그룹으로 최초로 그룹 호 안내 메시지를 송신한다(210). MCPTT 클라이언트 2(202) 및 MCPTT 클라이언트 3(204)은 상기 그룹 호 안내에서 수신된 파라미터들을 사용하여 미디어 전달을 위한 파라미터들을 구성한다. 상기 MCPTT 클라이언트 2(202) 및 MCPTT 클라이언트 3(204)은 상기 발신자로부터의 그룹 호 안내가 확인 모드 지시를 포함할 때 상기 그룹으로 응답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214, 216). 상기 응답 메시지는 MCPTT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한다. MCPTT 클라이언트 2(202) 및 MCPTT 클라이언트 3(204)은 상기 그룹 호 안내를 통해 그룹 호 발신자를 인식하고, 상기 MCPTT 클라이언트 1(200)은 상기 수신된 응답 메시지(214 혹은 216)를 통해 상기 그룹 호의 참여자들을 체크한다 (218). 상기 오프-네트워크 그룹 호 동안 상기 참여자들의 이동(상기 무선 커버리지 내부 및 외부에서의)으로 인해, 상기 미디어 전달을 위한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그룹 호 안내는 주기적으로 송신될 수 있다. 상기 참여중인 MCPTT 클라이언트들(200, 202, 204)은 상기 미디어 전달을 위한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주기적 그룹 호 안내에 응답할 필요가 없다.
도 3은 주기적 그룹 호 안내의 예제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MCPTT 그룹 호 설정 후에(310), MCPTT 클라이언트가 상기 설정된 MCPTT 그룹 호에 나중에 참여하기 위해서 미디어 전송을 위한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그룹 호 안내는 주기적으로 수행되고 있다(312). 도 3에서, MCPTT 클라이언트 4(306)는 상기 MCPTT 그룹 호의 커버리지에 나중에 진입할 수 있다. MCPTT 클라이언트 2(302)는 상기 그룹 호 안내 메시지를 송신한다(316). 상기 MCPTT 클라이언트 4(306)는 상기 그룹 호 안내(316)에서 수신된 파라미터들을 사용하여 미디어 전송을 위한 파라미터들을 구성한다(318). 상기 MCPTT 클라이언트 4(306)는 상기 주기적 그룹 호 안내(312)가 확인 모드 지시를 포함할 때 상기 그룹으로 응답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320). 상기 응답 메시지(320)는 MCPTT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MCPTT 클라이언트 1(300), MCPTT 클라이언트 2(302) 및 MCPTT 클라이언트 3(304)은 상기 수신된 응답 메시지(320)를 통해 상기 MCPTT 클라이언트 4(306)가 상기 그룹 호에 조인하고 있다고 체크한다.
상기 그룹 호 안내들간의 구간으로 인해서, 상기 나중에-조인하는 MCPTT 클라이언트(즉, 상기 MCPTT 클라이언트 4(306))는 잠시 동안 상기 그룹 호 안내 메시지를 대기해야만 한다. 세션 안내 메카니즘에 대한 유명한 프로토콜 중 하나인 세션 안내 프로토콜(session announcement protocol: SAP)는 RFC(request for comment) 2974에서의 안내들간의 최대 구간으로 300 초를 정의한다. 즉, 상기 나중에-조인하는 MCPTT 클라이언트는 최악의 경우 약 300 초를 대기해야만 한다. 상기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 액티브(active) 조인 접근 방식이 빠른 그룹 호 조인을 위해 추가적으로 필요로 된다.
그룹 호에 대한 액티브 조인
도 4는 MCPTT 클라이언트가 온-고잉 MCPTT 그룹 호에 조인하는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MCPTT 그룹 호 설정 후에(410), 미디어 전송을 위한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그룹 호 안내는 MCPTT 클라이언트가 상기 설정된 MCPTT 그룹 호에 나중에 조인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수행되고 있다(412). MCPTT 클라이언트 4(406)는 상기 MCPTT 그룹 호의 커버리지에 나중에 진입할 수 있다(414). 액티브 조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상기 MCPTT 클라이언트 4(406)는 상기 MCPTT 클라이언트 4(406) 자신의 파라미터(들)를 가지는 그룹 호 안내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동일한 그룹 ID를 가지는 상기 MCPTT 그룹 호가 이미 설정되어 있을 지라도 어떤 주기적 안내라도 대기하지 않고 상기 온-고잉 MCPTT 그룹 호의 그룹 ID를 가지는 MCPTT 그룹 호를 셋업하는 것을 개시한다.
상기 그룹 호에서 MCPTT 클라이언트들 (400, 402, 404)은 상기 MCPTT 클라이언트로 4로부터 그룹 호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그룹 호 안내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그룹 ID를 가지는 그룹 호가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그룹 ID를 가지는 그룹 호가 온-고잉일 경우, 상기 MCPTT 클라이언트 4(406)로부터 상기 그룹 호 안내 메시지(416)를 수신하는 MCPTT 클라이언트들 중 하나(일 예로, 상기 MCPTT 클라이언트 2(402))는 상기 그룹으로 응답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418).
상기 MCPTT 클라이언트(들)는 백오프(backoff) 메카니즘을 수행하여 상기 멀티캐스트 기반 그룹 호 안내 메시지(416)에 응답하여 동일한 응답 메시지들을 송신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백오프 메카니즘에서, 상기 MCPTT 클라이언트(들)는 상기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해 범위 [0, maxBackoff]에서 백오프 값을 랜덤하게 선택할 수 있고, 상기 MCPTT 클라이언트는 상기 선택된 백오프 값에 상응하게 상기 구간 동안 상기 MCPTT 클라이언트의 송신들을 연기해야만 한다. 즉, 가장 작은 번호를 선택한, MCPTT 클라이언트들 중 하나는 상기 응답 메시지를 첫 번째로 송신한다. 상기 MCPTT 클라이언트들 중 하나가 다른 MCPTT 클라이언트로부터 송신되는 동일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경우, 상기 MCPTT 클라이언트들 중 하나는 상기 동일한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응답 메시지(418)가 미디어 전송을 위한 현재의 멀티미디어 파라미터들을 포함하기 때문에, 상기 MCPTT 클라이언트 4(406)는 상기 동일한 그룹 ID를 가지는 온-고잉 MCPTT 그룹 호가 이미 존재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상기 수신된 응답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멀티미디어 파라미터들을 사용하여 미디어 전송(일 예로, 음성을 수신하거나 혹은 송신하는)을 위한 멀티미디어 파라미터들을 구성한다(420). 결과적으로, 상기 MCPTT 클라이언트 4(406)는 상기 온-고잉 MCPTT 그룹 호에 조인한다.
도 5는 다수의 MCPTT 클라이언트들이 온-고잉 MCPTT 그룹 호에 조인하는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MCPTT 그룹 호 설정 후에(508), 미디어 전송을 위한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그룹 호 안내는 MCPTT 클라이언트가 상기 설정된 MCPTT 그룹 호에 나중에 참여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수행되고 있다(510). MCPTT 클라이언트 3(504) 혹은 MCPTT 클라이언트 4(506)는 상기 MCPTT 그룹 호의 커버리지에 이후에 진입할 수 있다(512, 514). 액티브 조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상기 MCPTT 클라이언트 3(504)는 상기 MCPTT 클라이언트 3(504) 자신의 파라미터(들)를 가지는 그룹 호 안내 메시지(516)를 송신함으로써 동일한 그룹 ID를 가지는 상기 MCPTT 그룹 호가 이미 설정되어 있을 지라도 어떤 주기적 안내도 대기하지 않고 상기 온-고잉 MCPTT 그룹 호의 그룹 ID를 가지는 MCPTT 그룹 호를 셋업하는 것을 개시한다.
상기 그룹 호에서 MCPTT 클라이언트들(500, 502, 506)은 상기 MCPTT 클라이언트로 3(504)로부터 그룹 호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그룹 호 안내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그룹 ID를 가지는 그룹 호가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그룹 ID를 가지는 그룹 호가 온-고잉일 경우, 상기 MCPTT 클라이언트 3(504)로부터 상기 그룹 호 안내 메시지(516)를 수신하는 MCPTT 클라이언트들 중 하나(일 예로, 상기 MCPTT 클라이언트 2(502))는 상기 그룹으로 응답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520).
상기 MCPTT 클라이언트(들)는 백오프 메카니즘을 수행하여 상기 멀티캐스트 기반 그룹 호 안내 메시지(516)에 응답하여 동일한 응답 메시지들을 송신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응답 메시지(520)가 미디어 전송을 위한 현재의 멀티미디어 파라미터들을 포함하기 때문에, 상기 MCPTT 클라이언트 3(504)는 상기 동일한 그룹 ID를 가지는 온-고잉 MCPTT 그룹 호가 이미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상기 수신된 응답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멀티미디어 파라미터들을 사용하여 미디어 전송(일 예로, 음성을 수신하거나 혹은 송신하는)을 위한 멀티미디어 파라미터들을 구성한다(520). 결과적으로, 상기 MCPTT 클라이언트 3(504)는 상기 온-고잉 MCPTT 그룹 호에 조인한다.
오프-네트워크 MCPTT 서비스는 상기 ProSe 탐색 및 통신 경로를 필요로 한다. ProSe 시스템은 멀티캐스트 메시지 송신들을 기반으로 상기 통신 경로를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오프-네트워크 MCPTT 서비스에서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모든 통신들 및 UE들간의 멀티미디어 송신들은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SA6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단계 2 기술 규격(technical specification: TS)(: 미션-크리티컬 어플리케이션들을 담당하는 3GPP TSG SA WG6)은 오프-네트워크 MCPTT에 대한 호 셋업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SA6는 온-네트워크 환경들에서와 같이 참가자 초대 및 세션 협상들을 담당하는 중앙 MCPTT 서버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오프-네트워크에서의 MCPTT 그룹 호 셋업은 그룹 호 안내를 기반으로 한다는 것에 동의하고 있다. 상기 오프-네트워크 MCPTT 그룹 호 안내는 미디어 파라미터들이 필요로 되지 않는다고 할지라도 미디어 전달을 위한 미디어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것이라는 것에 유의하여야만 한다. 세션 협상을 위해 사용되는 공지의 프로토콜은 RFC 3261에서 명시되고 있는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이다. 하지만, 이 프로토콜은 상기 협상 절차가 예상할 수 없는 지연을 발생시킬 수 있고, 서버-부재 환경들에서는 잘 동작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오프-네트워크 MCPTT 서비스에 대해서는 충분하지 않다. 상기 오프-네트워크 MCPTT 서비스를 위한 호 셋업의 목적은 가능한 한 신속하게 UE들간에 호를 설정하기 위한 것이라는 것에 유의하여야만 할 것이다.
멀티캐스트 멀티미디어 컨퍼런스들 및 다른 멀티캐스트 세션들의 광고들을 보조하기 위해, 그리고 미래의 참여자들에게 연관되는 세션 셋업 정보를 통신하기 위해, 분산된 세션 디렉토리(directory)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세션 디렉토리의 인스턴스(instance)는 상기 세션의 디스크립션(description)을 포함하는 패킷들을 주기적으로 멀티캐스트하고, 이런 광고들은 잠재적인 원격 참여자들이 상기 세션 디스크립션(즉, 상기 세션의 디스크립션)을 사용하여 상기 세션에 참가하기 위해 필요로 되는 툴(tool)들을 시작할 수 있도록 다른 세션 디렉토리들에 의해 수신된다. RFC 2974는 상기 세션 디스크립션 정보의 멀티캐스트 안내에 연관되는 이슈들을 설명하고 사용될 안내 프로토콜을 정의한다. 세션들은 지침서 메모(companion memo) RFC 4566에서 설명되고 있는 세션 디스크립션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설명된다.
다음은 오프-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세션 성립을 위한 후보들인, RFC 2974에 명시되어 있는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및 세션 안내 프로토콜(session announcement protocol: SAP)간의 비교를 나타낸다.
측면들(Aspects) SIP SAP Note
멀티캐스트-기반 통신 유니캐스트-기반1:1 통신 멀티캐스트-기반
1:N 통신 (분산된 통신에 적용 가능한)
세션 셋업 방식 초대-기반(초대에 대한 응답 및 중앙 서버가 필요로 됨) 주기적 안내-기반(응답이 요구되지 않음) SIP은 미디어 파라미터들 협상을 제공하지만, 중앙 서버가 프로비젼되지 않는 한 적용 불가능함.
미디어 파라미터 전달 SDP SDP
오프-네트워크 MCPTT에 대해 요구되는 향상 멀티캐스트-기반 세션 개시 메카니즘 - 안내 송신 주기의 최적화- 필요할 경우, 미디어 파라미터 협상 절차들
표 1에서의 비교를 기반으로, SAP는 SIP보다 오프-네트워크 해결 방식을 위해 적합한 프로토콜이다. SIP은 상기 오프-네트워크 그룹 호 셋업을 위한 후보가 될 수 있지만, 멀티캐스트 송신 기반 메카니즘은 현재의 SIP 규격에서 새롭게 발명될 필요가 있으며, 이는 매우 긴 시간을 필요로 한다.
오프-네트워크 MCPTT를 위한 호 셋업
세션 안내
MCPTT 클라이언트는 공지된 멀티캐스트 어드레스 및 포트로 안내 패킷을 주기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랑데뷰 메카니즘(rendezvous mechanism)은 존재하지 않으며- MCPTT 세션 안내자는 MCPTT 청취자들의 존재 혹은 부재를 인식할 수 없다-, 그리고 스탠다드 베스트-에포트(best-effort) 사용자 데이터 프로토콜/인터넷 프로토콜(user data protocol/internet protocol: UDP/IP)를 통해 신뢰성도 제공되지 않는다.
상기 안내는 세션 디스크립션을 포함하고, 인증 헤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션 디스크립션은 추천되지는 않을 지라도 인크립트될 수 있다.
SAP 안내는 상기 SAP 안내가 안내중인 세션과 동일한 범위로 멀티캐스트되며, 상기 안내의 수신자들이 상기 안내가 설명하고 있는 세션의 범위 내에 존재하는 것을 보장한다. 많은 가능성들이 존재한다.
SAP 안내들은 포트 9875에서 송신될 수 있고, 255의 IP 유지 시간(time-to-live)으로 송신될 수 있다.
세션이 다수의 관리 영역 범위(administrative scope range)들에서의 어드레스들을 사용할 경우, 상기 안내자가 각 관리 영역 범위로 상기 안내의 동일한 카피(copy)들을 송신하는 것이 필요로 된다. 청취자들은 상기 다수의 안내들을 동일한 세션으로 분석(parse)한다(일 예로, 세션 디스크립션 프로토콜(session description protocol: SDP) 기본 필드(origin field)에 의해 식별되는 바와 같이). 각 관리 영역 범위에 대한 안내 레이트는 상기 다수의 안내들이 별도인 것과 같이 별도로 계산될 수 있다.
다수의 안내자들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안내자들의 패킷 손실 및 실패에도 불구하고 강인성(robustness)에 대한 도움으로서 단일 세션을 안내할 수 있다. 각 안내자가 상기 각 안내자의 안내를 반복하는 레이트는 전체 안내 레이트가 단일 서버가 선택할 레이트와 동일하도록 축소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생성되는 안내들은 동일할 수 있다. 다수의 안내들이 세션에 대해서 생성중인 경우, 각 안내는 동일한 키로 서명된 인증 헤더를 전달할 수 있거나, 혹은 청취자들에 의해 완전히 별도의 안내로 취급될 수 있다.
IPv4 MCPTT 청취자는 IPv4 글로벌 범위 멀티캐스트 어드레스 및 상기 청취자가 존재하는 각 IPv4 관리 범위 존(zone)에 대한 멀티캐스트 어드레스들에서 청취할 수 있다. 상기 관리 범위 존들의 탐색은 본 개시의 범위 밖에 있지만, 특정 범위 존 내부의 각 MCPTT 청취자는 상기 특정 범위 존을 인지하고 있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IPv6를 지원하는 MCPTT 청취자는 또한 IPv6 SAP 어드레스들을 청취할 수 있다.
세션 삭제(세션 해제)
명시적 삭제
삭제될(혹은 해제될) 세션을 명시하는 세션 삭제 패킷이 수신된다. 세션 삭제 패킷들은 이전의 안내 패킷들을 인증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과 매칭되는 유효 인증 헤더를 가질 수 있다. 이런 인증이 상기 세션 삭제 패킷에서 미싱될(missing) 경우, 상기 삭제 패킷은 무시될 수 있다.
타임-아웃(time-out) 기반 삭제
명시적 타임 아웃
세션 디스크립션 페이로드는 상기 세션의 시작-시간 및 종료-시간을 명시하는 타임스탬프(timestamp)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현재의 시간이 상기 타임 스탬프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세션의 종료 시간 보다 늦을 경우, 상기 세션은 수신기의 세션 캐시(cache)로부터 삭제될 수 있거나 혹은 상기 그룹 호의 그룹 ID는 상기 수신기의 세션 캐시로부터 삭제될 수 있다.
암묵적 타임 아웃
세션 안내 메시지는 수신기의 세션 캐시에서의 각 세션 디스크립션에 대해 주기적으로 수신될 수 있다. 안내 주기는 현재 안내중인 세션들의 집합으로부터 상기 수신기에 의해 예측될 수 있다. 일 예로, 세션 안내 메시지가 미리 결정되어 있는 주기(일 예로, 상기 안내 주기의 10배, 혹은 보다 긴 1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세션은 상기 수신기의 세션 캐시로부터 삭제된다. 상기 최소 1시간은 일시적인 네트워크 참여를 고려하기 위한 것이다.
세션 수정
사전-안내 세션은 수정 세션 디스크립션을 간략하게 안내함으로써 수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서, SAP 헤더에 포함되어 있는 버전 해쉬(version hash)는 수신기들에게 패킷 컨텐트가 분석되어야만 함을(상기 패킷 컨텐트가 인크립트되었을 경우 디크립트하고 분석하기 위해) 지시하기 위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세션 안내와는 구분되는, 상기 세션 자체는 상기 SAP 헤더에 포함되어 있는 메시지 식별자 해쉬('msg id hash')에 의해서가 아니라, 상기 페이로드에 의해 고유하게 식별된다.
세션 삭제와 동일한 규칙들이 세션 수정을 위해 적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세션 수정 안내는 상기 세션 수정 안내가 수정중인 캐쉬된 세션 안내와 동일한 키에 의해 서명된 인증 헤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쉬된 세션 안내는 인증 헤더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세션 수정 안내는 상기 세션 수정 안내가 수정되는 세션과 동일한 호스트(host)로부터 발생될 수 있다.
인증 헤더를 포함하는 안내가 수신되고, 상기 캐쉬된 세션 안내가 인증 헤더를 포함하지 않았거나 혹은 상기 캐쉬된 세션 안내가 다른 인증 헤더를 포함하고 있었을 경우, 상기 세션 수정 안내는 새롭고 다른 안내로 취급될 수 있고, 인증되지 않은 안내에 추가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인증 헤더를 가지지 않는 수정된 패킷이 상기 원래의 안내의 소스(source)와 다른 소스로부터 수신될 경우 동일한 상황이 발생될 것이다.
이런 규칙들은 안내가 악의적인 사용자에 의해 추가된 인증 헤더를 가지고, 그리고 나서 상기 헤더를 사용하여 삭제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상기 원래의 안내 전에 패킷 손실로 인해 일부 참여자들에 도달하는 패러디 안내(spoof announcement)를 발생시키는 자에 의한 서비스 거부(denial-of-service: DOS) 공격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은 환경하에서, 상기 메시지 발신자를 인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세션이 정확한 세션인지 발견하는 유일한 방법이라는 것에 유의하여야만 할 것이다.
세션 안내 메시지(Session Announcement Message)
상기 MCPTT 클라이언트는 그룹 호에 대한 세션 안내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세션 안내 프로토콜(session announcement protocol: SAP)에서의 필드들의 정의는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RFC 2974에서 검색된다. 표 1은 상기 SAP 패킷 포맷을 보여주고 있다.
표 2는 SAP 메시지 (혹은 SAP 패킷)의 포맷을 도시하고 있다.
Figure 112018023984470-pct00001
헤더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MCPTT 클라이언트는 다음과 같은 필드들 및 절차들에 대한 규칙들에 따라 SAP 메시지 헤더를 생성할 수 있다.
1) 'V': 버전 번호 (3 비트): 상기 버전 번호 필드는 Rel-13에 명시되어 있는 오프-네트워크 MCPTT 서비스에 대해 1로 설정될 수 있다.
2) 'A': 어드레스 타입 (1 비트): 상기 A 비트가 0일 경우, 상기 발신 소스 필드는 32-비트 IPv4 어드레스를 포함한다. 상기 A 비트가 1일 경우, 상기 발신 소스 필드는 128-비트 IPv6 어드레스를 포함한다.
3) 'R': 예약 (1 비트): MCPTT 클라이언트 청취자들은 이 필드의 컨텐트를 무시할 수 있다.
4) 'T': 메시지 타입 (1 비트): 상기 T 필드가 0으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이는 세션 안내 패킷이고, 상기 T 필드가 1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이는 세션 삭제 패킷이다.
5) 'E': 인크립션 비트 (1 비트): 상기 인크립션 비트가 1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상기 SAP 패킷의 페이로드는 인크립트되어 있다. 상기 인크립션 비트가 0으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상기 SAP 패킷의 페이로드는 인크립트되어 있지 않다.
6) 'C': 압축 비트 (1 비트): 상기 압축 비트가 1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상기 SAP 패킷의 페이로드가 압축되어 있다.
7) 'auth len': 인증 길이 (8 비트): (선택적) 인증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인 SAP 헤더를 따르는 32 비트 워드들의 개수를 제공하는 8비트 unsigned 양. 상기 auth len 필드가 0일 경우, 인증 헤더가 존재하지 않는다.
8) 'msg id hash': 메시지 식별자 해쉬(16비트): 발신 소스 필드와 결합되어 사용되며, 이 안내(즉, 상기 SAP 메시지)의 정확한 버전을 나타내는 로컬 고유 식별자(locally unique identifier)를 제공하는 16비트 양. 이 필드에 대한 값의 선택은 특정 SAP 안내자에 의해 안내되는 각 세션에 대해 고유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여기서 명시되지 않으며, 상기 세션 디스크립션이 수정될 경우 변경된다(그리고 세션 삭제 메시지가 상기 세션의 구 버전에 대해서 송신될 수 있다). SAP의 이전 버전들은 0의 값을 사용하여 상기 해쉬가 무시되어야만 하고 상기 페이로드가 항상 분석되어야만 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는 SAP 안내자들이 상기 페이로드 데이터를 연구하여 얼마나 많은 고유한 세션들이 광고되고 있는 중이었는지를 결정해야만 하고, 필요한 것보다 보다 복잡한 안내 구간을 계산해야만 하는 불행한 부작용을 가지고 있다. 상기 안내들의 컨텐트로부터 상기 세션 안내 프로세스를 분리시키기 위해서, SAP 안내자들은 상기 메시지 식별자 해쉬를 0으로 설정하지 않을 수 있다. SAP 청취자들은 상기 메시지 식별자 해쉬가 0으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메시지들을 묵시적으로 폐기할 수 있다.
9) 'Originating Source' (32 혹은 128 비트): 이 필드는 상기 메시지의 발신 소스의 IP 어드레스를 제공한다. 이는 상기 A 필드가 0으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IPv4 어드레스이고, 그렇지 않을 경우 IPv6 어드레스이다. 상기 어드레스는 네트워크 바이트 순서로 저장된다.
10) 'Optional authentication data': 상기 auth len 필드에 명시되어 있는 길이를 가지는, 상기 패킷의 디지털 서명을 포함하는 인증 데이터.
선택적 페이로드 타입
11) 'optional payload type' 필드는 상기 페이로드의 포맷(즉, 페이로드 포맷)을 설명하는 다목적 인터넷 메일 확장들(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s: MIME) 컨텐트 타입 명시자(specifier)이다. 이는 가변 길이 ASCII(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텍스트 스트링(text string)이며, 그 이후에 1개의 0 바이트(ASCII NUL)가 존재한다. 상기 페이로드 타입은 모든 패킷들에 포함될 수 있다. 모든 구현들은 [RFC 4566]에 명시되어 있는 타입 `application/sdp'의 페이로드들을 지원할 수 있다. SDP 제공(offer)은 subclause 11.5 "Session description offer generation"에 명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규칙들 및 절차들에 따라 생성될 것이다. 다른 포맷들이 지원될 수 있다.
페이로드
12) 상기 헤더 다음에 상기 선택적 페이로드 타입 필드 및 'payload' 데이터 자체가 오게 된다. 상기 'E' 혹은 'C' 필드가 상기 헤더에 설정되어 있을 경우, 상기 페이로드 타입 및 페이로드는 각각 인크립트되거나 혹은 압축된다.
상기 패킷이 안내 패킷일 경우, 상기 페이로드는 세션 디스크립션을 포함한다.
상기 패킷이 세션 삭제 패킷일 경우, 상기 페이로드는 세션 삭제 메시지를 포함한다.
상기 선택적 페이로드 타입 필드에 의해 지시되는 페이로드 포맷이 `application/sdp'일 경우, 상기 삭제 메시지는 상기 삭제될 안내의 발신 필드(origin field)로 구성되는 단일 SDP 라인(line)이다.
상기 페이로드는 SAP 패킷들이 기저 네트워크(underlying network)에 의해 프래그먼트되지 않도록 충분히 작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래그멘테이션(fragmentation)은 상기 안내들의 신뢰성에 심각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손실 곱셈기 효과(loss multiplier effect)를 가진다. 안내들이 이보다 더 작은 최대 송신 유닛(maximum transmission unit: MTU)을 가지는 네트워크를 사용할 것이라고 알려져 있을 경우 상기 더 작은 MTU가 상기 최대 추전 패킷 사이즈로 사용될 수 있다고 할지라도 SAP 패킷들은 그 길이가 1k 바이트 보다 작은 것이 권고된다.
세션 디스크립션 제공(session description offer) 생성
오프-네트워크 MCPTT 세션 동안,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미디어 타입들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공되는 미디어 스트림들은 MCPTT 스피치(speech), 오디오, 비디오 및 개별 미디어 스트림(discrete media stream)들이 될 수 있다. 오프-네트워크 MCPTT 세션에 대한 미디어 스트림들은 SDP 바디로 제공되며, 제공되는 미디어 타입의 각 독립적인 미디어 스트림은 m-라인으로도 알려져 있는 그 고유한 미디어-레벨 섹션에 의해 나타내진다. 한 개의 오프-네트워크 MCPTT 세션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미디어-플로어 제어 엔터티들을 포함할 수 있다. MCPTT 클라이언트는 [RFC 4566]의 규칙들 및 절차에 따라 그룹 호에 대한 SDP 제공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오프-네트워크 MCPTT 클라이언트는 상기 MCPTT 클라이언트가 "MCPTT Client initiates a pre-arranged Session"에서 더 나중에 명시된 바와 같은 오프-네트워크 MCPTT 세션을 개시할 때 SDP 제공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SDP 오퍼로 생성된 SDP 바디는 상기 MCPTT 클라이언트가 상기 세션을 셋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오프-네트워크 MCPTT 클라이언트는 상기 MCPTT 클라이언트가 "MCPTT Client joins a pre-arranged Session"에 더 나중에 명시된 바와 같은 오프-네트워크 MCPTT 세션에 조인한 후 SDP 제공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오프-네트워크 MCPTT 클라이언트는 a) 상기 MCPTT 클라이언트 ID로 설정된 "o=<username>" 필드; b) 상기 MCPTT 클라이언트 ID로 설정된 "s=<session name>" 필드; c) 상기 MCPTT 그룹의 멀티캐스트 IP 어드레스로 설정되는 "c=<connection-address>" 필드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세션-레벨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프-네트워크 MCPTT 클라이언트는 a) 상기 제공된 MCPTT 미디어 스트림의 타입으로 설정된 "m=<media>" 필드 (MCPTT 스피치 미디어는 상기 SDP 제공에서 최대 1번 존재한다); b) 상기 선택된 미디어 스트림에 대한 포트 번호로 설정된 "m=<port>" 필드; c) 상기 코덱(들) 및 미디어 파라미터들로 설정된 "a=" 필드; 및 d) 상기 미디어 스트림이 실시간 제어 프로토콜(real time control protocol: RTCP)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디폴트 IP 어드레스 혹은 상기 [RFC3550]에 의해 명시된 포트 번호 이외의 것이 사용될 경우, [RFC3605]의 규칙들 및 절차들에 따라 선택되는 상기 MCPTT 클라이언트에서의 RTCP를 위해 사용될 포트 번호로 구성되는 각 제공된 미디어 스트림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레벨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프-네트워크 MCPTT 클라이언트는 상기 MCPTT 클라이언트가 주기적으로 상기 SDP 제공을 생성할 때 사용된 미디어-레벨 섹션 파라미터들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미디어 스트림들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오프-네트워크 MCPTT 클라이언트는 상기 MCPTT 클라이언트가 상기 현재의 상기 MCPTT 세션에 새로운 미디어 타입을 추가할 때 추가적인 미디어 타입을 제공할 수 있다(상기 MCPTT 클라이언트는 상기 기존 상기 MCPTT 세션에 미디어 타입을 추가하기 위해 인증될 필요는 없다).
상기 오프-네트워크 MCPTT 클라이언트는 새로운 미디어 타입을 추가하고, 미디어 타입에 연결하고, 동일한 그룹 호에서 상기 MCPTT 세션에서 미디어 스트림으로부터 연결 해제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MCPTT 클라이언트는 사전-배열된 세션을 개시한다.
MCPTT 클라이언트가 사전-배열된 세션을 개시할 때, 상기 MCPTT 클라이언트는 "Session Announcement Message"에 명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세션 안내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MCPTT 클라이언트는 SDP 바디를 "Session description offer generation"에 명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SDP 제공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MCPTT 클라이언트는 "Session Announcement"에 명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규칙들 및 절차들에 따라서 MCPTT 클라이언트들로 상기 세션 안내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세션 안내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경우, 상기 MCPTT 클라이언트는 연락처 리스트에 상기 MCPTT 클라이언트의 존재를 캐시할 수 있다. 상기 MCPTT 클라이언트는 상기 SDP 바디로부터의 미디어-레벨 섹션 파라미터들을 기반으로 MCPTT 세션을 설정할 수 있다.
MCPTT 클라이언트는 사전-배열된 세션에 조인한다.
제1 MCPTT 클라이언트로부터 세션 안내 메시지(즉, 그룹 호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여 사전-배열된 세션을 설정할 경우, 제2 MCPTT 클라이언트는 연락처 리스트에 상기 제1 MCPTT 클라이언트의 존재를 캐시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 MCPTT 클라이언트는 상기 세션 안내 메시지의 그룹 ID, SDP 정보 엘리먼트(information element: IE), 혹은 사용자 ID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2 MCPTT 클라이언트는 SDP MIME의 세션 명을 상기 사전-설정된 세션을 식별하는 그룹 ID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2 MCPTT 클라이언트는 상기 SDP MIME에서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 MCPTT 클라이언트의 사용자에게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제2 MCPTT 클라이언트는 "Session Announcement Message"에 명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세션 안내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MCPTT 클라이언트는 "Session description offer generation"에 명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SDP 바디를 SDP 제공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MCPTT 클라이언트는 "Session Announcement"에 명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규칙들 및 절차들에 따라 상기 세션 안내 메시지를 MCPTT 클라이언트들을 향해 송신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E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뷰이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UE(600)는 본 개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어떤 MCPTT 클라이언트라도 될 수 있다.
상기 UE(600)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다른 UE, 클라이언트, 혹은 엔터티와 신호들을 통신하는 송수신기(605)와, 상기 UE(600)에 의해 수행되는 모든 동작들을 제어하는 제어기(6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설명되고 있는 MCPTT 클라이언트의 모든 동작들은 상기 제어기(610)의 제어 하에 수행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상기 제어기(610) 및 송수신기(605)는 반드시 각각 별도의 디바이스들로 구현될 필요는 없으며, 일 예로 단일 칩 형태로 단일 구성 유닛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에 예제들로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상기 시스템 구성, 예제 방법들, MCPTT 클라이언트들간의 신호 플로우, 상기 MCPTT 클라이언트들간의 통신 플로우, 상기 UE의 구조는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의도를 가지지는 않는다는 것에 유의하여야만 할 것이다. 즉,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구성 유닛들에서의 메시지들, 신호들, 동작들, 혹은 단계들은 본 개시를 실현하는 필수적인 구성 요소들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본 개시의 본질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상기 메시지들, 신호들, 동작들, 혹은 구성 요소들 중 오직 일부만 포함될 수 있거나, 혹은 상기 동작들에 대한 순서의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동작들은 통신 시스템에서 UE 혹은 MCPTT 클라이언트에 해당하는 코드들을 보유하는 메모리 디바이스를 구비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즉, 상기 UE에 포함되어 있는 제어기는 프로세서 혹은 중앙 프로세싱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에 의해 상기 메모리 디바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코드들을 리딩하여 실행시킴으로써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동작들을 실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상기 UE 혹은 MCPTT 클라이언트에 포함되어 있는 다양한 구성 유닛들 혹은 모듈들은 일 예로, 상보 금속 산화물 반도체-기반 논리 회로(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based logic circuit),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와 같은 하드웨어 회로를 사용하거나, 및/혹은 머신-리드 가능 매체(machine-readable medium)에 삽입되어 있는 하드웨어, 펌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과 같은 하드웨어 회로를 사용하여 동작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다양한 전기 구조들 및 방법들은 트랜지스터들, 논리 게이트들, 혹은 ASIC들과 같은 전자 회로들을 사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특정 실시예들이 상기에서 설명되었다고 할지라도, 다양한 변경들이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는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실시예들에 제한되어서는 안되며, 하기의 청구항들 및 그 균등물들에 의해 정의되어야만 할 것이다.

Claims (17)

  1.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푸쉬-투-토크(push-to-talk: PTT) 클라이언트가 온-고잉(on-going) 그룹 호에 조인(join)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PTT 클라이언트가 상기 온-고잉 그룹 호의 커버리지(coverage)로 진입하였는지 확인하는 동작;
    상기 PTT 클라이언트가 상기 커버리지로 진입함에 따른 응답으로, 상기 온-고잉 그룹 호에 참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상기 온-고잉 그룹 호의 그룹 식별자(identification: ID)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온-고잉 그룹 호에 참여하는 하나 이상의 PTT 클라이언트에게 송신하는 동작;
    상기 하나 이상의 PTT 클라이언트 중, 상기 하나 이상의 PTT 클라이언트 각각을 위해 랜덤하게 선택된 하나 이상의 값들 중 최소 값에 기반하여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PTT 클라이언트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수신된 응답 메시지를 기반으로 상기 온-고잉 그룹 호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을 위한 파라미터들을 구성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주기 동안 다른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상기 온-고잉 그룹 호의 그룹 식별자를 포함하는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세션 안내 프로토콜(session announcement protocol: SAP) 패킷 포맷을 기반으로 상기 메시지를 생성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세션 디스크립션 프로토콜(session description protocol: SDP) 바디를 SDP 제공(offer)으로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생성된 SDP 바디를 기반으로 상기 온-고잉 그룹 호를 셋업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온-고잉 그룹 호에 참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새로운 메시지가 새로운 PTT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될 경우, 상기 새로운 PTT 클라이언트의 존재를 연락처 리스트에 캐싱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오프-네트워크 상태(off-network condition)에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TT 클라이언트는 미션 크리티컬 PTT(mission critical PTT: MCPTT) 클라이언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0이 아닌 값을 포함하는 메시지 식별자 해쉬 필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푸쉬-투-토크(push-to-talk: PTT)를 수행하여 온-고잉(on-going) 그룹 호에 조인(join)하는 사용자 단말기(user equipment: UE)에 있어서,
    송수신기; 및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UE가 상기 온-고잉 그룹 호의 커버리지(coverage)로 진입하였는지 확인하고,
    상기 UE가 상기 커버리지로 진입함에 따른 응답으로, 상기 온-고잉 그룹 호를 셋업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상기 온-고잉 그룹 호의 그룹 식별자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온-고잉 그룹 호에 참여하는 하나 이상의 UE에게 송신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UE 중, 상기 하나 이상의 UE 각각을 위해 랜덤하게 선택된 하나 이상의 값들 중 최소 값에 기반하여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UE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기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응답 메시지를 기반으로 상기 온-고잉 그룹 호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을 위한 파라미터들을 구성하는 UE.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제1 주기 동안 다른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상기 온-고잉 그룹 호의 그룹 식별자를 포함하는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기를 제어하는 UE.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세션 안내 프로토콜(session announcement protocol: SAP) 패킷 포맷을 기반으로 상기 메시지를 생성하는 UE.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세션 디스크립션 프로토콜(session description protocol: SDP) 바디를 SDP 제공(offer)으로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SDP 바디를 기반으로 상기 온-고잉 그룹 호를 셋업하는 UE.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온-고잉 그룹 호에 참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새로운 메시지가 새로운 UE로부터 수신될 경우, 상기 새로운 UE의 존재를 연락처 리스트에 캐싱하는 UE.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오프-네트워크 상태(off-network condition)에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UE.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미션 크리티컬 PTT(mission critical PTT: MCPTT) 클라이언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UE.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MCPTT(mission critical PTT) 스피치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및 개별 미디오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MCPTT(mission critical PTT) 스피치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및 개별 미디오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UE.
KR1020187006920A 2015-08-11 2016-08-11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ptt 그룹 호를 셋업하는 방식 KR1025208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203658P 2015-08-11 2015-08-11
US62/203,658 2015-08-11
PCT/KR2016/008826 WO2017026809A1 (en) 2015-08-11 2016-08-11 Scheme for setting up ptt group cal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0247A KR20180030247A (ko) 2018-03-21
KR102520817B1 true KR102520817B1 (ko) 2023-04-12

Family

ID=57983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6920A KR102520817B1 (ko) 2015-08-11 2016-08-11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ptt 그룹 호를 셋업하는 방식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715968B2 (ko)
KR (1) KR102520817B1 (ko)
WO (1) WO20170268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3471B1 (ko) * 2015-08-12 2017-08-0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콜 발생자 및 발언권 중재자 다중화에 의한 ptt 제어 방법
US20170257751A1 (en) * 2016-03-05 2017-09-07 Ofinno Technologies, Llc Off-Network Wireless Mission Critical Session Initiation
US10542409B2 (en) * 2016-10-07 2020-01-21 Qualcomm Incorporated Access for group call services through a broadcast channel
US10887231B2 (en) * 2018-05-18 2021-01-05 Juniper Networks, Inc. Packet fragment forwarding without reassembly
CN111586734B (zh) * 2019-02-15 2023-03-31 成都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Lte宽带集群中的群组缜密监听方法和系统
WO2020199196A1 (zh) * 2019-04-04 2020-10-08 海能达通信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关键通信的组呼创建方法、装置及系统
CN112087723A (zh) * 2019-06-13 2020-12-15 普天信息技术有限公司 基于公网集群系统的组呼接入方法、终端和核心网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9018A (en) 1993-03-30 1998-09-15 Nokia Telecommunications Oy Group call method, a system controller and a subscriber station in a radio system
US20040131060A1 (en) 2002-12-31 2004-07-08 Newberg Donald G. Methods for managing a pool of multicast addresses and allocating addresses in a communications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1207A (ko) * 2005-04-22 2006-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푸쉬투토크 오버 셀룰러 망의 구성원 추가 방법 및 그시스템
US8676242B2 (en) * 2007-02-16 2014-03-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ration of location information of wireless devi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upporting multicast calls
US8929938B2 (en) 2011-07-26 2015-01-06 Motorola Solutions, Inc. Using a push to talk over cellular infrastructure for radio communications
WO2013149654A1 (en) 2012-04-03 2013-10-1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Hold announcement configuration
US20140269556A1 (en) * 2013-03-14 2014-09-18 Mobilesphere Holdings II LLC System and method for unit identification in a broadband push-to-talk communication system
US10149099B2 (en) * 2014-01-05 2018-12-0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relaying proximity service-based group communic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9018A (en) 1993-03-30 1998-09-15 Nokia Telecommunications Oy Group call method, a system controller and a subscriber station in a radio system
US20040131060A1 (en) 2002-12-31 2004-07-08 Newberg Donald G. Methods for managing a pool of multicast addresses and allocating addresses in a communications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715968B2 (en) 2020-07-14
US20180242119A1 (en) 2018-08-23
WO2017026809A1 (en) 2017-02-16
KR20180030247A (ko) 2018-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0817B1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ptt 그룹 호를 셋업하는 방식
KR100718856B1 (ko) 그룹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EP1510090B1 (en) Method for controlling parties in real-time data group communication using acknowledgement packets
US9185346B2 (en) Real-time communications methods providing pause and resume and related devices
RU2335854C2 (ru) Устройство связи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мультимедиа в сети групповой связи
JP5033173B2 (ja) ドメイン間グループ通信
US20070019645A1 (en) Method and system for multicasting data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7573837B1 (en) Establishment of multicast Push-to-X over Cellular (PoC) communication
AU200124195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group communication services
KR102654117B1 (ko)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단말기
US20070133527A1 (en) Communication of data to communication devices
US9883361B2 (en) Delivering time synchronized arbitrary data in an RTP session
KR100907986B1 (ko) 통신 시스템
KR20140009061A (ko) 유니캐스트 프로토콜을 이용한 멀티캐스트 전송
KR100667000B1 (ko) 데이터의 전송 대상을 선택적으로 지정하는 pta 서비스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48695B1 (ko) 하나의 세션을 사용하여 서로 다른 종류의 pta 서비스를동시에 수행하는 pta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