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0666B1 - 호스 꼬임 방지용 커플링 - Google Patents

호스 꼬임 방지용 커플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0666B1
KR102520666B1 KR1020220084633A KR20220084633A KR102520666B1 KR 102520666 B1 KR102520666 B1 KR 102520666B1 KR 1020220084633 A KR1020220084633 A KR 1020220084633A KR 20220084633 A KR20220084633 A KR 20220084633A KR 102520666 B1 KR102520666 B1 KR 102520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hose
coupling
separation prevention
inn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4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성준
Original Assignee
문성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성준 filed Critical 문성준
Priority to KR1020220084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06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0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0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2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substantial longitudinal adjustment or movement
    • F16L27/125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substantial longitudinal adjustment or movement having longitudinal and rotary mov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epoxy resin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스 꼬임 방지용 커플링에 관한 것으로서, 호스를 통해 가압된 액체 또는 가스 등의 유체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순간 압력으로 인해 호스의 꼬임 상태가 커플링 부위에서 회전 동작에 의해 신속하게 풀려질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호스의 단부가 연결 고정되는 내부관(10)과, 상기 내부관(10)과 일측에서 걸림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수직으로 접하는 수직면이 구비된 외부관(20)과, 상기 내부관(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관(20)의 타측에 고정수단에 의해 연결 고정이 이루어지는 이탈 방지관(30)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호스 꼬임 방지용 커플링에 있어서, 상기 외부관(20)의 수직면에는 내부관(10)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마찰력을 저감시키는 회전 안내부재가 구비되되, 상기 회전 안내부재는 링 형상을 이루는 회전 안내링(40)으로 구비되며; 상기 회전 안내링(40)이 안착될 수 있도록 내부관(10)과 외부관(20)에는 링 안내홈(11,21)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호스 꼬임 방지용 커플링{Coupling to prevent twisting of hoses}
본 발명은 호스 꼬임 방지용 커플링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종류의 호스를 사용 시 커플링 연결 부위에서 꼬인 부분이 자동으로 풀리도록 하면서 누수 예방과 함께 이물질 유입이 방지되도록 하는 호스의 꼬임 방지용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스는 농업용, 산업용, 소방용 등과 같이 다양한 분야에서 물, 가스 등과 같은 유체의 공급 및 분사를 위한 용도로 사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호스는 제작시에도 꼬임이 있을 뿐만 아니라 보관함에서는 둥글게 말아 보관하게 되므로 호스를 펼치게 되면 불가피하게 줄꼬임이 발생되는 폐단이 있었다.
이를 위해서 등록특허 제1331060호(2013.11.13.)에서의 소방호스 꼬임 방지용 연결구는 전후방으로 형성되는 암 연결구의 내주홈과 수 연결구의 외주홈 사이에 암 연결구와 수 연결구 사이의 상대적 회전운동을 허용하는 개재부가 개재되도록 하고, 암 연결구의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패킹자리부가 돌출 형성되도록 하는 구성이 제안된 바 있다.
이때 개재부는 볼 또는 스냅 링으로 이루어지고, 패킹자리부는 와셔 모양으로 형성되며, 수 연결구의 후단과 외주홈 사이에는 오링이 장착되게 함으로써 소방호스의 꼬임이 방지되게 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서는 암 연결구와 수 연결구가 상대적 회전이 자유롭게 볼 또는 스냅 링과 같은 개재부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는 구성이나, 암 연결구와 수 연결구의 사이에는 실링을 위하여 단순히 O링이 삽입되도록 하여 소방호스가 연결되는 수 연결구는 호스와 함께 암 연결구에 대해서 상대적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암 연결구에 대해 수 연결구가 회전하면서 꼬임이 풀리도록 하다보면 수 연결구의 회전력이 암 연결구에도 전달되면서 호스의 꼬임이 풀리는 과정에서 암 연결구의 취급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2372821호(2022.03.04.등록)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882799호(2018.07.23.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호스의 꼬임 풀림작용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됨과 함께 제품의 조립 편의성 및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는 호스 꼬임 방지용 커플링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호스 꼬임 방지용 커플링은, 호스의 단부가 연결 고정되는 내부관과, 상기 내부관과 일측에서 걸림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수직으로 접하는 수직면이 구비된 외부관과, 상기 내부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관의 타측에 고정수단에 의해 연결 고정이 이루어지는 이탈 방지관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호스 꼬임 방지용 커플링에 있어서, 상기 외부관의 수직면에는 내부관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마찰력을 저감시키는 회전 안내부재가 구비되되, 상기 회전 안내부재는 링 형상을 이루는 회전 안내링으로 구비되며; 상기 회전 안내링이 안착될 수 있도록 내부관과 외부관에는 링 안내홈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호스 꼬임 방지용 커플링은, 호스의 단부가 연결 고정되는 내부관과, 상기 내부관과 일측에서 걸림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수직으로 접하는 수직면이 구비된 외부관과, 상기 내부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관의 타측에 고정수단에 의해 연결 고정이 이루어지는 이탈 방지관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호스 꼬임 방지용 커플링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관과 내부관의 수직면에는 내부관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마찰력을 저감시키는 회전 안내부재가 구비되되, 상기 회전 안내부재는 링 형상을 이루는 회전 안내링으로 구비되며; 상기 회전 안내링이 안착될 수 있도록 이탈 방지관과 내부관에는 링 안내홈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호스 꼬임 방지용 커플링은, 호스의 단부가 연결 고정되는 내부관과, 상기 내부관과 일측에서 걸림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수직으로 접하는 수직면이 구비된 외부관과, 상기 내부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관의 타측에 고정수단에 의해 연결 고정이 이루어지는 이탈 방지관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호스 꼬임 방지용 커플링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관과 내부관의 접촉면에는 내부관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마찰력을 저감시키는 회전 안내부재가 구비되되, 상기 회전 안내부재는 일측에 돌기부가 반원 형태의 단면 형상을 이루어 돌출 구비된 상태에서 내부관에 일체로 결합 구성되는 와셔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이와 대응되는 이탈 방지관의 수직면에는 상기 돌기부와 선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는 지지 플레이트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호스를 통해 가압된 액체 또는 가스 등의 유체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순간 압력으로 인해 호스의 꼬임 상태가 커플링 부위에서 회전 동작에 의해 신속하게 풀려질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커플링 내부의 회전 안내링이 베어링 형태가 아닌 링 형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짐과 함께 내부관의 회전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낸다.
또한, 이러한 구성은 소방용 호스 뿐만 아니라, 농업용 및 산업용 호스에도 적용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호스 커플링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호스 커플링 분해 단면도.
도 3a,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호스 커플링 결합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회전 안내링 설치부 분해 및 결합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결합돌기가 구비된 커플링 외관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결합돌기가 구비된 커플링 측면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커플링 분해 단면도.
도 9a,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커플링 결합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커플링의 돌기부 분리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커플링의 돌기부 분리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커플링의 돌기부 걸림 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서 요부 상세 구조도.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주요부 분해 및 결합 단면도.
도 16은 도 15의 요부 확대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커플링 분해 단면도.
도 18a,b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커플링 결합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커플링 분해 단면도.
도 20a,b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커플링 결합 단면도.
도 21는 도 20의 요부 확대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커플링 단면 구조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스냅링 설치상태 단면 구조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에 따른 스냅링 설치상태 단면 구조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술의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호스 꼬임 방지용 커플링 구조를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서의 호스 커플링은, 호스(70)의 단부가 연결 고정되는 내부관(10)과, 상기 내부관(10)과 일측에서 걸림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수직으로 접하는 수직면이 구비된 외부관(20)과, 상기 내부관(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관(20)의 타측에 고정수단에 의해 연결 고정이 이루어지는 이탈 방지관(30)의 구조체가 쌍을 이루는 대칭형 구조를 이루는 가운데, 양측 이탈 방지관(30) 상호간에 착탈이 가능한 일반적인 커플링 형태의 구성을 이루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외부관(20)의 수직면에 내부관(10)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마찰력을 저감시키는 회전 안내부재가 구비되되, 상기 회전 안내부재는 조립성이 용이하면서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는 링 형상을 이루는 회전 안내링(40)으로 구비되며, 상기 회전 안내링(40)이 안착될 수 있도록 내부관(10)과 외부관(20)에는 링 안내홈(11,21)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회전 안내링(40)은 원형, 타원형이나 마름모 등의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단면 형상을 이룰 수 있으며, 이러한 링 형상의 구조는 기존 베어링 형상에 비해 회전 안내링(40) 자체 또는 내부관(10) 및 외부관(20)의 마모, 변형 발생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탈 방지관(30)에는 암수 커플링이 상호 나사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암나사부(33)와 수나사부(34)가 각각 형성된다.
한편, 이탈 방지관(30)을 외부관(20)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은 고정볼트(24)가 외부관(20)을 관통하여 이탈 방지관(30)에 고정이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호 나사 결합에 의해 고정이 이루어지는 구조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50은 시일 링이며, 60은 끼임 방지링을 각각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 호스 커플링의 적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커플링은 호스(70)의 연결을 위해 양측 호스(70)의 선단부에 각각 고정되는 대칭형 구조를 이룸으로써 호스(70)의 연결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도 3에서와같이 양측의 커플링에는 각각 호스(70)의 연결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에는 양측의 호스(70)가 각각 내부관(10)의 단부에 형성된 이탈방지 요철(12)에 결합되어 일체형 연결 구조를 이루게 된다.
또한, 이때 내부관(10)은 외부관(20) 내에서 이탈 방지관(30)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는 가운데 회전 안내링(40)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호스(70)가 꼬여진 상태로 인출 되더라도 가압된 액체 또는 기체 등 유체의 공급이 이루어지게 되면 자연스럽게 꼬인 상태가 풀려지게 되는데, 이때 외부관(20) 및 이탈 방지관(30)은 고정 상태를 유지하는 가운데 내부관(10)이 호스(70)와 함께 회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커플링 내부의 회전 안내링이 베어링 형태가 아닌 링 형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짐과 함께 내부관의 회전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마모와 변형이 감소되는 이점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은, 호스를 통해 가압된 액체 또는 가스 등의 유체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순간에 압력으로 인해 호스의 꼬임 상태가 커플링 부위에서 회전 동작에 의해 신속하게 풀려질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커플링 내부의 회전 안내링이 베어링 형태가 아닌 링 형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짐과 함께 내부관의 회전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낸다.
또한, 이러한 구성은 소방용 호스 뿐만 아니라, 농업용 및 산업용 호스에도 적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구성은 도 3b에서와같이 이탈 방지관(30)을 호스 단부 쪽에 배치하여 이탈 방지관(30)과 내부관(10)의 수직면에 회전 안내링(40)을 구비하고, 외부관(20)과 이탈 방지관(30)을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이 이루어지는 선택적 구현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내부관(10)과 외부관(20) 각각에 형성된 링안내홈(11,21)에는 회전 안내링(40)과의 마찰에 따른 마모 방지를 위한 내마모 지지구(11a,21a)가 구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내마모 지지구(11a,21a)는 윤활성의 금속 또는 윤활성의 합성수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내마모 지지구(11a,21a)의 구성으로 인해 링안내홈(11,21)의 변형 내지는 손상 발생이 방지되는 가운데 안정적인 회전 안내링(40)의 회동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회전 안내부재가 내부관(10)과 이탈방지관(30)의 수직면을 이루게 하여 그 사이에 구비되는 때에는 내부관(10)과 이탈 방지관(30)에 형성된 링 안내홈(11,35)에 내마모 지지구가 설치되는 구성으로도 할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이탈 방지관(30)과 내부관(10)의 수직 접촉면에는 내부관(10)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마찰력을 저감시키는 회전 안내부재가 구비되되, 상기 회전 안내부재는 링 형상을 이루는 회전 안내링(40)으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회전 안내링(40)이 안착될 수 있도록 이탈 방지관(30)과 내부관(10)에는 링 안내홈(35,11)이 각각 형성되고, 외부관(20)과 이탈 방지관(30)을 고정수단으로 고정시킴으로써 내부관(20)이 호스와 함께 안정적으로 회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수단은 도 6 및 도 7에서와같이 원형관의 단면 형태로 마감된 외부관(20)의 원형관 단부(28') 중 이탈 방지관(30) 방향의 단부의 일부가 이탈 방지관(30)의 외주면 축방향을 따라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연장돌기(28)와, 이탈 방지관(30)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수직으로 형성된 돌출돌기(38)를 피스, 리벳으로 결합하거나 또는 점용접(24) 등의 용접이나 금속 접착제의 접착으로 고정하되, 외부관(20) 내주면과 이탈 방지관(30)의 외부면과의 틈새에서는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틈새의 접촉면을 에폭시수지 또는 고무로 코팅할 수 있다. 이때, 외부관 연장돌기(28)의 선단이 'ㄱ'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맞물리는 구조를 이룸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강한 고정력이 필요한 이탈을 방지하는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이탈력은 강화되고, 강한 고정력이 필요없는 회전방향의 고정력은 축소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외부관(20)의 연장돌기(28)와 이탈 방지관의 돌출돌기(38)를 고정하는 구성을 이루게 되면, 외부관(20)과 이탈 방지관(30)을 직접 나사로 결합 고정하거나 또는 볼트, 핀 등으로 외부관(20)과 이탈 방지관(30)을 직접 관통하여 결합하는 정밀 조립 방식을 단순한 결합 방식으로 전환하여 부품 개수와 조립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호스를 연결하거나 연결된 호스를 분리하기 위해서 호스 말단에 고정된 암수 커플링을 서로 결합 또는 해제해야 하는 때에는 공구를 걸어서 힘을 가하기 위한 공구용 걸림턱돌기가 필요하나, 상기 공구용 걸림돌기를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 없이 외부관 연장돌기(28)와 이탈 방지관 돌출돌기(38)를 결합 고정하는 것만으로도 공구용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이점을 나타낸다.
또한, 이러한 연장돌기(28) 및 돌출돌기(38) 구성은 호스의 결착방향 뿐만 아니라 암수 커플링 접속방향 어느 쪽에서도 선택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도 8 내지 도 13에서와같이 외부관(20)에 일체로 구성된 락킹돌기(22)와, 이와 대응되는 이탈 방지관(30)의 외주면에 돌출 구비된 걸림돌기(32)의 구성으로도 할 수 있되, 상기 락킹돌기(22)의 선단에는 걸림턱(22')이 "ㄱ"형상을 이루어 연장 구비되고, 상기 걸림돌기(32)의 선단부에는 걸림홈(3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걸림턱(22') 및 걸림홈(32')은 상호간의 걸림상태에서 락킹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일정 각도의 경사면으로 형성되거나, 걸림턱(22')과 걸림홈(32')의 마주보는 면에는 락킹볼 또는 락킹핀이 형성될 수 있다.
도면 중 부호 25는 암커플링과 연결할 수 있는 수나사부이고, 26은 수커플링과 연결할 수 있는 암나사부로서, 외부관(20) 상호간의 커플링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락킹돌기(22) 및 걸림돌기(32)의 돌출 구조에 따른 외부관(20)과 이탈 방지관(30) 상호 간의 걸림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상기 실시 예에서 외부관(20)과 이탈 방지관(30)을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부품(고정볼트, 나사, 피스 등)이 필요 없게 되고, 이에 따른 공정의 단순화 및 조립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되며, 상기 공구용 걸림턱 돌기를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는 이점이 있다.
특히, 락킹돌기(22)에는 걸림턱(22')이 선단부에서 직각 방향으로 꺽인 형태를 이루어 일체로 구비된 가운데 걸림턱(22') 및 걸림홈(32')은 상호간의 걸림상태에서 락킹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일정 각도의 경사면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상호간의 락킹 기능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구성은 도 9b에서와같이 이탈 방지관(30)을 호스 단부 쪽이 아닌 암수 커플링 접속 방향에 배치하여 외부관(20)과 내부관(30)의 수직면에 회전 안내부재가 구비되고, 외부관(20)과 이탈 방지관(30)을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락킹돌기(22)와 걸림돌기(32)가 호스의 단부방향 뿐만 아니라 암수 커플링 접속방향 어느쪽에서도 구비되는 선택 구현이 가능하다.
도 13은 상기 제3 실시 예의 응용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락킹돌기(22)에 구성된 걸림턱(22')에는 걸림홈(32')과의 마찰력 증대를 위한 마찰층(22a)이 코팅 형성된다. 이때 상기 마찰층(22a)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드 1~5중량%, 염화트리페닐주석 1~5중량%, 에폭시 수지 10~30중량%, 산화크롬 1~10중량%,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1~10중량%, 규산소다 4~20중량%,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5~30중량%, 벤조일 글리옥실산 1~5중량%, 질화붕소 1~10중량%, 소듐벤조에이트 1~10중량%, 아크릴산에틸 1~10중량%의 비율로 혼합 조성을 이룸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락킹돌기(22)와 걸림돌기(32)의 걸림 동작 과정에서 마찰층(22a)의 구성으로 인해 걸림턱(22')의 걸림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된다.
특히, 마찰층(22a)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드 및 염화트리페닐주석 성분이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표면 광택성 및 수밀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되며, 산화크롬 및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성분은 접촉면에서의 산화 및 변색 발생이 방지되고, 규산소다는 마찰층(22a)의 표면 강도 강화를 통한 크랙 발생을 방지하며,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및 벤조일 글리옥실산은 각각 에폭시 수지의 촉매 기능을 통한 탄력성 및 점도 유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추가 첨가된 질화붕소는 마찰층(22a)의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되어 변형 발생을 방지하고, 소듐벤조에이트 및 아크릴산에틸은 마찰층(22a)의 내열성 및 내화성을 증대시키는 진보된 작용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한편,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탈 방지관(30)과 내부관(10)의 접촉면에는 내부관(10)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마찰력을 저감시키는 회전 안내부재가 구비됨에 있어서, 상기 회전 안내부재는 일측에 돌기부(16')가 돌출 구비된 상태에서 내부관(10)에 일체로 결합 구성되는 와셔 플레이트(16)로 이루어지고, 이와 대응되는 이탈 방지관(30)의 수직면에는 지지 플레이트(36)가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내부관(10)과 이탈 방지관(30)의 수직 접촉면에서 반원 형태의 단면 형상을 이루어 돌출된 돌기부(16')에 의한 선접촉이 지지 플레이트(36)와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마찰력을 최소화 하는 가운데 상호간의 회동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실시 예의 구조에서는 돌기부(16')의 구성으로 인해 회전 안내링(40) 부품 없이도 원활하게 내부관(10)의 회전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낸다.
또한, 이러한 회전 안내부재의 와셔 플레이트(16)는 내부관(10)의 일측에 두는 것 뿐만 아니라, 도 16의 하단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탈 방지관(30)의 지지 플레이트(36)에 돌기부(36')를 형성하여 와셔 플레이트(16)와 대응되는 구성의 선택 구현도 가능하다.
또한,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내부관(10)의 외주면과 외부관(20)의 내주면에는 상호 대향되는 부위가 일정 각도의 경사면(g)을 이루어서 내부관(10)의 걸림작용이 이루어지며, 외부관(20)에 일체로 구성된 락킹돌기(22)와, 이와 대응되는 이탈 방지관(30)의 외주면에 돌출 구비된 걸림돌기(32)의 구성을 이루는 고정수단이 커플링의 내측에 구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사면(g) 구조를 이루게 되면, 호스(70)의 길이 방향으로 작용하는 전압력은 경사면(g)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수직항력과 경사면에 수평으로 작용하는 힘으로 분리되므로 마찰력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게 되어 원활한 회전이 가능해지며, 경사면(g)으로 형성된 내부관(10)의 외주면과 외부관(20)의 내주면의 사이는 호스 내부 압력에 의해 쐐기 작용으로 밀폐됨으로써 호스 내부의 기체 또는 액체 누설을 감소시키거나 차단이 가능하게 되어 시일링을 줄이거나 없애는 것 또한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경사면(g)에는 마찰 저감판(B)이 구비되어 회전을 원활하게 하되, 마찰 저감판(B)은 윤활성 합성수지재 또는 구리, 아연, 망간, 철, 알루미늄, 황이 혼합된 윤활성 합금 재료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특히, 내부관(10)의 경사면에 구비된 마찰저감판(B)의 윤활 작용으로 인해 내부관(10)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회전 안내링(40)의 부품 없이도 원활하게 내부관(10)의 회전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낸다.
이러한 일정 각도의 경사면(g)의 걸림 구성은 도 18b에서와같이 이탈 방지관(30)을 암수 커플링 접속 방향이 아닌 호스 단부 쪽에 배치하여 이탈 방지관(30)의 내주면과 내부관(10)의 외주면에 경사면(g)을 형성하고, 외부관(20)과 이탈 방지관(30)을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내부관(10)의 걸림작용이 이루어지는 선택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도 19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호스의 단부가 연결 고정되는 내부관(10)과, 상기 내부관(10)과 일측에서 걸림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수직으로 접하는 수직면이 구비된 외부관(20)과, 상기 내부관(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관(20)의 타측에 고정수단에 의해 연결 고정이 이루어지는 이탈 방지관(30)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호스 꼬임 방지용 커플링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관(30)의 내측에는 내부관(10)의 선단부를 가압하기 위한 원뿔대 가압링(80)이 구성되되, 상기 원뿔대 가압링(80)은 내주면이 일정 각도의 경사면을 이루어 구비되고, 이와 대응되는 내부관(10)의 외주면 역시 동일한 각도의 경사면을 이루어 구비된다.
이때, 이탈 방지관(30)과 원뿔대 가압링(80) 사이에는 가압력 향상을 위한 탄성 가압부재(90)가 삽입 구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면에는 마찰저감판(B)이 구비되되, 마찰저감판(B)은 윤활성 합성수지재 또는 구리, 아연, 망간, 철, 알루미늄, 황이 혼합된 윤활성 합금 재료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7은 누수 방지를 위한 패킹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내부의 원뿔대 가압링(80)이 내부관(10)의 경사면 부위를 가압시킴에 따른 수밀성 및 기밀성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특히, 탄성 가압부재(90)의 탄성작용이 원뿔대 가압링(80)에 작용되어짐으로써 수밀성이 극대화되어질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낸다.
또한, 내부관(10)의 경사면에 구비된 마찰저감판(B)의 윤활 작용으로 인해 내부관(10)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이때 본 실시 예의 구조에서는 회전 안내링(40) 부품 없이도 원활하게 내부관(10)의 회전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낸다.
이러한 원뿔대 가압링(80)을 가압하는 구성은 도 20b에서와같이 이탈 방지관(30)을 호스 단부 쪽이 아닌 암수 커플링 접속방향에 배치함으로써 원뿔대 가압링(80)의 수직면을 외부관(20)의 일측에 형성된 수직면으로 가압하고, 외부관(20) 타측에 이탈 방지관(30)을 상기 고정수단으로 고정하여 내부관(10)의 걸림작용이 이루어지는 선택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도 22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내부관(10)의 외주면과 외부관(20)의 내주면에는 상호 대향되는 부위가 일정 곡률의 곡률면(h)을 이루어서 내부관(10)의 걸림 및 회전 지지 작용이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이루게 되면, 마찰면에 작용하는 수직항력의 분포가 곡면의 곡률에 따라 다르게 할 수 있어 압력의 집중과 분산을 이용하여 최적의 압력분포 곡률면을 설계할 수 있고, 시일링(50)의 적합한 위치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곡률면(h)의 걸림 구성은 이탈 방지관(30)을 암수 커플링 접속방향이 아닌 호스 단부 쪽에 배치하여 이탈 방지관(30)의 내주면과 내부관(10)의 외주면에 곡률면(h)을 형성하고, 외부관(20)과 이탈 방지관(30)을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내부관(10)의 걸림작용이 이루어지는 선택 구현이 가능하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스냅링 적용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탈 방지관(30)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은 외부관(20)의 내주측 일단부에 돌출 구성되어 이탈 방지관(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냅링(45)과, 상기 스냅링(45)과 이탈 방지관(30) 사이에 구비되어 이탈 방지관(30)을 일정 탄성력으로 가압 지지하는 판스프링 형태의 탄성 지지부재(46)로 구성된다. 미설명 부호 40은 회전 안내링을 나타낸다.
이때, 상기 탄성 지지부재(46)는 이탈 방지관(30)의 탄성 지지력이 균일하게 전달 될 수 있도록 연속되는 웨이브 형상의 단면 구조를 이루고, 상기 외부관(20)에는 스냅링(45)이 끼움 결합될 수 있는 스냅링 끼움홈(29)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외부관(20)의 내주측에 돌출 구비된 스냅링(45)에 의해 이탈 방지관(30)의 고정상태가 유지됨과 함께 이탈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스냅링(45)과 이탈 방지관(30) 사이에는 탄성 지지부재(46)가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탈 방지관(30)의 탄성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보다 안정적인 지지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외부관(20)과 이탈 방지관(30)의 고정이 내부관(10)의 이탈 압력을 지탱해 주는 축방향으로만 한정되게 됨으로써, 외부관(20)과 이탈 방지관(30)이 함께 회전하는 회전방향의 고정이 불필요하게 되어 조립 과정에 있어서 부품 개수가 감소되고 그 공정 또한 간편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 24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에 따른 스냅링 적용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탈 방지관(30)의 고정을 위한 고정수단은 외부관(20)의 내주측 일단부에 돌출 구성되어 이탈 방지관(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냅링(45')과, 상기 스냅링(45)이 끼움 결합되도록 외부관(20)의 내주측에 형성된 스냅링 끼움홈(29)과, 상기 스냅링 끼움홈(29)과 대응되는 이탈 방지관(30)의 외주면에 형성된 스냅링 걸림홈(39)의 구성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스냅링(45')이 스냅링 끼움홈(29)과 스냅링 걸림홈(39)에 각각 체결된 구조를 이루게 됨으로써 이탈 방지관(30)이 외부관(20)에 안정적인 고정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꼬임 방지용 커플링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예에서는 회전 안내링이 한 개로 구비된 상태가 설명 및 도시되었으나, 회전 안내링의 갯수는 필요에 따라 2개 이상의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탈 방지관의 외주면과 외부관의 내부면이 고정 결합되는 부분은 밀폐를 위하여 고무 등으로 도포 또는 덧씌우는 형태로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내부관 11,21,35 : 링 안내홈
12 : 이탈방지 요철 13,23 : 링 안내홈
20 : 외부관 22 : 락킹돌기
22': 걸림턱 24 : 고정볼트
25 : 수나사부 26 : 암나사부
30 : 이탈 방지관 32 : 걸림돌기
33 : 암나사부 34 : 수나사부
40 : 회전 안내링 45,45': 스냅링
46 : 탄성 지지부재 50 : 시일 링
60 : 끼임 방지링 70 : 호스
80 : 원뿔대 가압링 90 : 탄성 가압부재

Claims (22)

  1. 호스(70)의 단부가 연결 고정되는 내부관(10)과, 상기 내부관(10)과 일측에서 걸림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수직으로 접하는 수직면이 구비된 외부관(20)과, 상기 내부관(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관(20)의 타측에 고정수단에 의해 연결 고정이 이루어지는 이탈 방지관(30)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호스 꼬임 방지용 커플링에 있어서,
    상기 외부관(20)의 수직면에는 내부관(10)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마찰력을 저감시키는 회전 안내부재가 구비되되, 상기 회전 안내부재는 링 형상을 이루는 회전 안내링(40)으로 구비되고,
    상기 회전 안내링(40)이 안착될 수 있도록 내부관(10)과 외부관(20)에는 링 안내홈(11,21)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링안내홈(11,21)에는 상기 회전 안내링(40)과의 마찰에 따른 마모 방지를 위한 내마모 지지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꼬임 방지용 커플링.
  2. 호스의 단부가 연결 고정되는 내부관(10)과, 상기 내부관(10)과 일측에서 걸림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수직으로 접하는 수직면이 구비된 외부관(20)과, 상기 내부관(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관(20)의 타측에 고정수단에 의해 연결 고정이 이루어지는 이탈 방지관(30)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호스 꼬임 방지용 커플링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관(30)과 내부관(10)의 수직면에는 내부관(10)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마찰력을 저감시키는 회전 안내부재가 구비되되, 상기 회전 안내부재는 링 형상을 이루는 회전 안내링(40)으로 구비되고,
    상기 회전 안내링(40)이 안착될 수 있도록 이탈 방지관(30)과 내부관(10)에는 링 안내홈(35,11)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링안내홈(35,11)에는 상기 회전 안내링(40)과의 마찰에 따른 마모 방지를 위한 내마모 지지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꼬임 방지용 커플링.
  3. 삭제
  4. 삭제
  5. 호스의 단부가 연결 고정되는 내부관(10)과, 상기 내부관(10)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외부관(20)과, 상기 내부관(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관(20)의 타측에 고정수단에 의해 연결 고정이 이루어지는 이탈 방지관(30)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호스 꼬임 방지용 커플링에 있어서,
    상기 내부관(10)의 외주면과 외부관(20)의 내주면에는 상호 대향되는 부위가 일정 각도의 경사면(g)을 이루어서 내부관(10)의 걸림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꼬임 방지용 커플링.
  6. 호스의 단부가 연결 고정되는 내부관(10)과, 상기 내부관(10)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외부관(20)과, 상기 내부관(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관(20)의 타측에 고정수단에 의해 연결 고정이 이루어지는 이탈 방지관(30)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호스 꼬임 방지용 커플링에 있어서,
    상기 내부관(10)의 외주면과 이탈 방지관(30)의 내주면에는 상호 대향되는 부위가 일정 각도의 경사면(g)을 이루어서 내부관(10)의 걸림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꼬임 방지용 커플링.
  7. 호스의 단부가 연결 고정되는 내부관(10)과, 상기 내부관(10)과 일측에서 걸림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수직으로 접하는 수직면이 구비된 외부관(20)과, 상기 내부관(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관(20)의 타측에 고정수단에 의해 연결 고정이 이루어지는 이탈 방지관(30)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호스 꼬임 방지용 커플링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관(30)의 내측에는 내부관(10)의 선단부를 가압하기 위한 원뿔대 가압링(80)이 구성되되, 상기 원뿔대 가압링(80)은 내주면이 일정 각도의 경사면을 이루어 구비되고;
    이와 대응되는 내부관(10)의 외주면 역시 동일한 각도의 경사면을 이루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꼬임 방지용 커플링.
  8. 호스의 단부가 연결 고정되는 내부관(10)과, 상기 내부관(10)과 일측에서 걸림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수직으로 접하는 수직면이 구비된 외부관(20)과, 상기 내부관(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관(20)의 타측에 고정수단에 의해 연결 고정이 이루어지는 이탈 방지관(30)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호스 꼬임 방지용 커플링에 있어서,
    상기 외부관(20)의 내측에는 내부관(10)의 선단부를 가압하기 위한 원뿔대 가압링(80)이 구성되되, 상기 원뿔대 가압링(80)은 내주면이 일정 각도의 경사면을 이루어 구비되고;
    이와 대응되는 내부관(10)의 외주면 역시 동일한 각도의 경사면을 이루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꼬임 방지용 커플링.
  9.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8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에는 윤활성의 합성수지재 또는 윤활성 재질의 마찰저감판(B)이 구비되되, 상기 마찰저감판(B)은 구리, 아연, 망간, 철, 알루미늄, 황이 혼합된 합금 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꼬임 방지용 커플링.
  10.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관(30) 또는 외부관(20)과 원뿔대 가압링(80) 사이에는 가압력 향상을 위한 탄성 가압부재(90)가 삽입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꼬임 방지용 커플링.
  11. 호스의 단부가 연결 고정되는 내부관(10)과, 상기 내부관(10)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외부관(20)과, 상기 내부관(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관(20)의 타측에 고정수단에 의해 연결 고정이 이루어지는 이탈 방지관(30)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호스 꼬임 방지용 커플링에 있어서,
    상기 내부관(10)의 외주면과 외부관(20)의 내주면에는 상호 대향되는 부위가 일정 곡률의 곡률면(h)을 이루어서 내부관(10)의 걸림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꼬임 방지용 커플링.
  12. 호스의 단부가 연결 고정되는 내부관(10)과, 상기 내부관(10)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외부관(20)과, 상기 내부관(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관(20)의 타측에 고정수단에 의해 연결 고정이 이루어지는 이탈 방지관(30)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호스 꼬임 방지용 커플링에 있어서,
    상기 내부관(10)의 외주면과 이탈 방지관(30)의 내주면에는 상호 대향되는 부위가 일정 곡률의 곡률면(h)을 이루어서 내부관(10)의 걸림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꼬임 방지용 커플링.
  13.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8, 청구항 11, 청구항 12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외부관(20)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외부관 연장돌기(28)와, 이와 대응되는 이탈 방지관(30)의 외주면으로 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이탈 방지관 돌출돌기(38)가 결합부재에 의해 상호 결합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꼬임 방지용 커플링.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외부관 연장돌기(28)와 이탈 방지관 돌출돌기(38)가 피스, 리벳 또는 점용접, 금속 접착제의 접착 방식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꼬임 방지용 커플링.
  15.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8, 청구항 11, 청구항 12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외부관(20)에 일체로 구성된 락킹돌기(22)와, 이와 대응되는 이탈 방지관(30)의 외주면에 돌출 구비된 걸림돌기(32)의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꼬임 방지용 커플링.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락킹돌기(22)의 선단에는 걸림턱(22')이 직각 형상으로 연장 구비되고, 상기 걸림돌기(32)의 선단부에는 걸림턱(22')의 걸림 작용을 위한 걸림홈(3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꼬임 방지용 커플링.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22') 및 걸림홈(32')은 상호간의 걸림상태에서 락킹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일정 각도의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꼬임 방지용 커플링.
  18. 삭제
  19.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의 결합 또는 해제 시에 필요한 공구용 걸림턱 돌기를 별도로 형성하지 않고 외부관(20)과 이탈 방지관(30)의 고정수단으로 외부관 연장돌기(28)와 이탈 방지관 돌출돌기(38) 또는 외부관 락킹돌기(22)와 이탈 방지관 걸림돌기(32)를 결합부재로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걸림턱 돌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꼬임 방지용 커플링.
  20.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8, 청구항 11, 청구항 12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외부관(20)의 내주측 일단부에 돌출 구성되어 이탈 방지관(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냅링(45)과 상기 이탈 방지관(30)의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 지지부재(46)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지지부재(46)는 상기 이탈 방지관(30)을 일정한 탄성력으로 가압 지지하는 판스프링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꼬임 방지용 커플링.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부재(46)는 이탈 방지관(30)의 탄성 지지력이 균일하게 전달 될 수 있도록 웨이브 형상의 단면 구조를 이루고, 상기 외부관(20)에는 스냅링(45)이 끼움 결합될 수 있는 스냅링 끼움홈(29)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꼬임 방지용 커플링.
  22.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8, 청구항 11, 청구항 12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외부관(20)의 내주측 일단부에 돌출 구성되어 이탈 방지관(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냅링(45')과, 상기 스냅링(45')이 끼움 결합되도록 외부관(20)의 내주측에 형성된 스냅링 끼움홈(29)과, 상기 스냅링 끼움홈(29)과 대응되는 이탈 방지관(30)의 외주면에 형성된 스냅링 걸림홈(39)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꼬임 방지용 커플링.
KR1020220084633A 2022-07-08 2022-07-08 호스 꼬임 방지용 커플링 KR102520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633A KR102520666B1 (ko) 2022-07-08 2022-07-08 호스 꼬임 방지용 커플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633A KR102520666B1 (ko) 2022-07-08 2022-07-08 호스 꼬임 방지용 커플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0666B1 true KR102520666B1 (ko) 2023-04-12

Family

ID=85984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4633A KR102520666B1 (ko) 2022-07-08 2022-07-08 호스 꼬임 방지용 커플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066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2296U (ko) * 2009-11-12 2009-12-02 (주) 대화이에스 회전 가능한 플렉시블 호스용 연결 조인트
KR20130031989A (ko) * 2011-09-22 2013-04-01 김현종 호스 연결장치
KR101395468B1 (ko) * 2013-09-03 2014-05-14 구기현 농업용 호스꼬임방지구
KR101882799B1 (ko) 2016-07-13 2018-07-27 강영태 소방호스 연결커플링유닛
KR102372821B1 (ko) 2021-09-15 2022-03-10 문성준 소방호스의 꼬임방지용 커플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2296U (ko) * 2009-11-12 2009-12-02 (주) 대화이에스 회전 가능한 플렉시블 호스용 연결 조인트
KR20130031989A (ko) * 2011-09-22 2013-04-01 김현종 호스 연결장치
KR101395468B1 (ko) * 2013-09-03 2014-05-14 구기현 농업용 호스꼬임방지구
KR101882799B1 (ko) 2016-07-13 2018-07-27 강영태 소방호스 연결커플링유닛
KR102372821B1 (ko) 2021-09-15 2022-03-10 문성준 소방호스의 꼬임방지용 커플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34185C (en) Connector for gas appliances
US10478650B2 (en) Flexible assembly for sprinklers
US2904356A (en) Flexible couplings for pipes
US20150345679A1 (en) Grooved-ended resilient expansion joint for resiliently joining together a pair of grooved-ended pipes
KR102520666B1 (ko) 호스 꼬임 방지용 커플링
KR102372821B1 (ko) 소방호스의 꼬임방지용 커플링
US5478121A (en) Connector for gas appliances
AU727039B2 (en) Pipe coupling
HRP20220117T1 (hr) Sustav pozitivnog blokiranja za pričvrsne spojeve ekstrudiranih cijevi i priključaka od lijevanog željeza
US20050140138A1 (en) Locking hydraulic fitting for a dispensing apparatus
US3346275A (en) Swivel pipe joint
KR102520655B1 (ko) 호스 꼬임 방지용 커플링
KR102243250B1 (ko) 호스 꼬임방지용 커플링
CN213294665U (zh) 一种加油机胶管与油枪的连接装置
KR102583372B1 (ko) 밀폐성이 강화된 호스 꼬임 방지용 커플링
CN214248615U (zh) 一种新型管道接头
JP3947561B2 (ja) 縒り戻し機能付き雌ねじ継手
RU2629857C1 (ru) Заделка рукава сварная
KR102243248B1 (ko) 호스 꼬임방지용 커플링
CN216382928U (zh) 一种带视窗不锈钢波纹软管
JP7372804B2 (ja) 管継手構造
KR102637767B1 (ko) 꼬임방지 기능을 갖춘 호스결합용 니플
KR102032804B1 (ko) 조인트의 연결너트 결합구조
JP2006038002A (ja) ハウジング形管継手
CN219866719U (zh) 一种结构轻量化的钛材金属软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