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0376B1 - Electrical wiring structure for apartment houses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Google Patents

Electrical wiring structure for apartment houses and its construction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0376B1
KR102520376B1 KR1020220094441A KR20220094441A KR102520376B1 KR 102520376 B1 KR102520376 B1 KR 102520376B1 KR 1020220094441 A KR1020220094441 A KR 1020220094441A KR 20220094441 A KR20220094441 A KR 20220094441A KR 102520376 B1 KR102520376 B1 KR 102520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onduit
disposed
wires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44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민재
Original Assignee
김민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재 filed Critical 김민재
Priority to KR1020220094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037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0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03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02G3/121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plain wa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8Installations of cables, lines, or separate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conduits or ducts pre-established in walls, ceilings or floors
    • H02G3/286Installations of cables, lines, or separate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conduits or ducts pre-established in walls, ceilings or floors in wa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 H02G3/38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in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An electrical wiring structure for an apartment hous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he electrical wiring structure for an apartment house comprises: a main body part in which a bundle of wires is inserted, and the bundle of wires is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and pulled out to the outside; a cover part for covering the main body part; a conduit in which the wire drawn in or drawn out from the main body part is disposed therein and is formed of a high-strength corrugated pipe that is not plastically deformed under the load of concrete; a fixed fastening part for securing the conduit to a reinforcing bar; and a closing cap having a space inside, connected to the end of the conduit, and protecting the wire discharged from the conduit from being in contact with concrete. Accordingly, construction time can be reduced.

Description

공동주택용 전기배선구조 및 그 시공방법{ELECTRICAL WIRING STRUCTURE FOR APARTMENT HOUSES AND ITS CONSTRUCTION METHOD}Electrical wiring structure for apartment houses and its construction method {ELECTRICAL WIRING STRUCTURE FOR APARTMENT HOUSES AND ITS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공동주택용 전기배선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wiring structure for an apartment hous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다세대가 이용하는 아파트, 오피스텔 등의 공동주택의 전기 배선 공사는 공사 현장에서 콘크리트 벽체 또는 콘크리트 슬라브에 매몰된 배관 내에 전선을 밀어 넣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와 같이 배관 내에 인입된 전선은 스위치박스, 콘센트 박스 또는 전등용 박스로부터 일정 길이가 노출된 길이로 절단된다. In general, electrical wiring work of multi-household apartments, officetels, etc. is carried out by pushing wires into pipes buried in concrete walls or concrete slabs at construction sites. In this way, the wire introduced into the pipe is cut into a length exposed to a certain length from the switch box, the outlet box, or the light box.

이후, 벽체의 미장 공사 및 천정용 지지대를 설치한 다음, 전선은 스위치박스 또는 콘센트박스 내에 배치된 스위치 또는 콘센트와 연결 고정되고, 천정에 실링 지지용 원형판 또는 실내등과 연결되는 방식으로 전기 배선 공사가 진행될 수 있다. Thereafter, after plastering the wall and installing the ceiling support, the electric wire is connected and fixed to the switch or outlet placed in the switch box or outlet box, and the electrical wiring work is performed in such a way that it is connected to the circular plate for ceiling support or indoor light on the ceiling. can proceed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아파트, 오피스텔 등의 공동주택의 배선 공사는 시공 과정의 난이도가 높기 때문에, 시공하는 사람에 따라 품질에 편차가 발생되기도 한다. 상세하게는, 전기 배선 공사는 숙련된 배선공이 공사를 진행하는 것과 미숙련된 배선공 및 고령화된 배선공에 의해 공사를 진행하는 것에 따라 일정한 품질의 배선 공사를 진행할 수 없다. By the way, since the difficulty of the construction process is high in the wiring work of apartment houses, such as conventional apartments and officetels, deviations in quality may occur depending on the person performing the construction. In detail, electric wiring work cannot be performed with a certain quality as the work is performed by skilled wiring workers and unskilled wiring workers and aged wiring workers.

또한, 다양화된 전기배선공사, 예컨대, 전기배선공사의 고기능화, 대용량화, 정보 통신 대응 설비 등에 따라 이에 적합한 안정된 시공품질과 품질향상, 배선시공 작업의 표준화 및 자재절감화 등이 요구되고 있다. In addition, stable construction quality and quality improvement, standardization of wiring construction work, material reduction, etc. are required according to diversified electric wiring work, for example, high functionality, large capacity,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responsive facilities of electric wiring work.

또한, 이와 같이 종래 공동주택의 배선 공사에서는 전등용 박스가 실내의 콘크리트 슬래브 중앙에 설치되어, 콘크리트에 미세한 크랙(crack)을 발생시키기도 한다. 또한, 사용되는 배관의 증가에 따라 배관을 덮는 시멘트 층의 두께가 얇아져, 파손될 염려가 크다. In addition, in the wiring work of a conventional apartment house, a light box is installed in the center of a concrete slab indoors, causing fine cracks in the concrete. In addition, as the number of pipes used increases, the thickness of the cement layer covering the pipes becomes thinner, so there is a high risk of damage.

또한, 이와 같은 전기 배선 시공 과정은 설치된 거푸집의 사이에 배근 작업된 철근 또는 형틀을 밟고 전기 배관 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공사가 연장되고 시공비가 상승되며, 안전상의 문제점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전기 배선 시공 과정은 배근된 철근 또는 형틀을 변형시킬 수도 있는 등 다수 개의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electrical wiring construction process, since the electric piping work must be performed by stepping on the reinforcing bars or molds placed between the installed formwork, the construction work is prolonged, the construction cost is increased, and there are safety problems. In addition, such an electrical wiring construction process has a number of problems, such as deforming the reinforced reinforcing bars or the mol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시공이 간편하고,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는 공동주택용 전기배선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provide an electric wiring structure for an apartment hous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in which construction is simple and safety can be improved.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반드시 상기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상세한 설명 등 명세서의 다른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ng from other descriptions of the specification, such as the detailed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전선 묶음이 인입되고, 상기 전선 묶음이 다수 개로 분리되어 외부로 인출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를 커버하는 덮개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되는 상기 전선이 내부에 배치되고, 콘크리트의 하중에 소성 변형되지 않는 고강도의 주름관으로 형성되는 전선관;과 상기 전선관을 철근에 고정시키는 고정체결부; 및 내부에 공간을 갖고, 상기 전선관의 끝단과 연결되어, 상기 전선관에서 배출된 상기 전선이 콘크리트에 접촉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마감캡;을 포함하는, 공동주택용 전기배선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ain body portion into which a bundle of wires is drawn in, and the bundle of wires is separated into a plurality and drawn out to the outside; and a cover portion covering the body portion; and the A conduit formed of a high-strength corrugated pipe in which an electric wire is disposed and which is not plastically deformed under the load of concrete; and a fixed fastening portion for fixing the conduit to a reinforcing bar; and a closing cap having a space therein, connected to an end of the conduit, and protecting the electric wire discharged from the conduit from contacting concret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공동주택용 전기배선구조를 시공하는 데 있어서, 철근 및 거푸집을 공동주택의 구조에 맞게 배치하는 단계;와 본체부를 상기 거푸집의 일측에 고정하는 단계;와 분전반에서 인출된 전선 묶음을 전선관에 넣어 덮개부 및 상기 본체부 순으로 인입시키는 단계;와 상기 본체부에서 상기 전선 묶음을 용도에 맞게 분리하여 전선배출홀, 전선홀, 본체개구부 순으로 통과시키는 단계;와 분리된 각각의 상기 전선을 상기 전선관에 넣어 마감캡에 연결시키는 단계;와 각각의 상기 전선이 인입된 상기 전선관을 상기 철근에 고정체결부로 연결시키는 단계;와 마개축을 회전시켜 상기 전선의 길이를 조정 후 상기 덮개부로 상기 본체부를 밀폐시키는 단계;와 상기 마감캡을 전기기구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거푸집에 고정시키는 단계;와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경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거푸집을 절단하여 제거한 후 벽마감재를 부착하여 마감하는 단계; 및 상기 전기기구 위치의 상기 벽마감재를 절단하여 상기 전선에 상기 전기기구를 연결하여 마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동주택용 전기배선구조의 시공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nstructing an electric wiring structure for an apartment house, arranging reinforcing bars and formwork to suit the structure of the apartment house; and fixing the main body to one side of the formwork; and Putting the wire bundle into the conduit and introducing it into the cover part and the body part in this order; and separating the wire bundle from the body part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passing it through the wire discharge hole, the wire hole, and the body opening in order; and separated Putting each of the wires into the conduit and connecting them to a finishing cap; And connecting the conduit into which each of the wires are introduced to the reinforcing bar with a fixed fastening part; And adjusting the length of the wire by rotating the stopper shaft, and then adjusting the length of the wire. Sealing the main body with a cover; And fixing the finishing cap to the formwork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lectric appliance; And Curing after pouring concrete; And Cutting and removing the formwork, and then attaching wall finishing materials. Closing by; and cutting the wall finishing material at the position of the electric appliance to connect the electric appliance to the electric wire to finish the install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배선구조는 공동주택의 벽체 시공 시 필요한 위치로 전선을 미리 배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고, 시공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electrical wir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conveniently constructing a wall of an apartment house by arranging wires in a necessary position in advance and then pouring concrete, and reducing construction tim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배선구조는 내부에 여분의 전선을 깔끔하게 보관하였다가 필요에 따라 당겨쓸 수 있어, 추가 시공이 용이하고, 안정성이 향상되는 특징이 있다.In addition, the electric wir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extra wires are neatly stored inside and can be pulled out as needed, thereby facilitating additional construction and improving stability.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효과들은 반드시 상기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상세한 설명 등 명세서의 다른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echnical effects obtainable thr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Other technical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other descriptions of the specification, such as the detailed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배선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체부 및 덮개부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체부 및 덮개부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체부 및 덮개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전기배선구조가 배치된 공동주택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마감캡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전기배선구조의 시공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전기배선구조의 시공 과정을 도시한 또다른 개략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전기배선구조의 시공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ical wir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view of the main body and cover shown in FIG. 1;
Figure 3 is a state diagram of the main body and cover shown in Figure 1 in us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body and cover shown in FIG. 1;
FIG. 5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apartment house in which the electrical wiring structure shown in FIG. 1 is disposed.
Figure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closing cap shown in Figure 1;
7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construction process of the electric wiring structure shown in FIG. 1;
FIG. 8 is another schematic view showing a construction process of the electric wiring structure shown in FIG. 1;
FIG. 9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electric wiring structure shown in FIG. 1 .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불분명하게 하거나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ollowing examples may b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However,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configurations or obscure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배선구조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ical wir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기배선구조(100)는 공동주택의 벽 내부에 배치되어, 건물의 내부 필요한 위치로 전선(L)을 배치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전기배선구조(100)는 공동주택의 벽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철근(R)에 전기 배선을 임시적으로 고정시킨 후 콘크리트(C)를 부어, 용이하게 전선(L)을 각각의 주택에 배치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the electric wiring structur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side the wall of an apartment house and can be used to arrange the wire L to a required position inside the building. In detail, the electrical wiring structure 100 temporarily fixes the electrical wiring to the reinforcing bar R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wall of the apartment house, then pours the concrete C, and easily connects the wire L to each house. can be placed in

구체적으로, 전기배선구조(100)는 다수 개의 전선(L)이 인입되고 분리되어 인출되는 본체부(110), 본체부(110)의 상단에 씌워지는 덮개부(120), 다수 개의 전선(L)이 내부에 배치되는 전선관(130), 전선관(130)을 철근(R)에 고정하는 고정체결부(140) 및 전선(L)의 끝단이 내부에 배치되는 마감캡(150)을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electrical wiring structure 100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110 into which a plurality of wires L are drawn in and separated, a cover portion 120 covered on top of the body portion 110, and a plurality of wires L ) may include a conduit 130 disposed inside, a fixed fastener 140 for fixing the conduit 130 to the reinforcing bar (R), and a closing cap 150 in which the end of the wire (L) is disposed inside. there is.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배선구조(100)는 분전반(10e)으로부터 인출된 다수 개의 전선(L)을 본체부(110)의 내부로 삽입하고, 본체부(110)에서는 삽입된 다수 개의 전선(L)이 필요에 따라 분리된다. 이와 같이 분리된 전선(L)은 필요한 위치로 배열되어 고정체결부(140)에 의해 철근(R)에 고정되고, 이후 거푸집(M)의 사이로 콘크리트(C)를 부어 벽체를 완성시킨다. 이후, 거푸집(M)을 제거하고, 벽체 내외부의 마감 처리를 한 후, 전선(L)이 배치된 위치에 정해진 전기 기구, 콘센트 및 스위치 등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간편하게 공동주택의 전기배선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electrical wiring structure 100 inserts a plurality of wires (L) drawn out from the distribution board (10e) into the body portion 110, and inserts a plurality of wires (L) inserted into the body portion 110. ) is separated as needed. The wires (L) separated in this way are arranged in the required position and fixed to the reinforcing bars (R) by the fixed fastening part 140, and then pour the concrete (C) between the formworks (M) to complete the wall. Thereafter, after removing the formwork (M), finishing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wall, and then connecting the electric appliance, outlet, switch, etc. determined at the location where the electric wire (L) is placed, the electrical wiring structure of the apartment building is easily formed. can do.

이하 상기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ach of the abov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체부 및 덮개부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체부 및 덮개부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체부 및 덮개부의 단면도이다.2 is an exploded view of the main body and cover shown in FIG. 1; Figure 3 is a state diagram of the main body and cover shown in Figure 1 in us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body and cover shown in FIG. 1;

도 2 내지 4를 참조하여, 본체부(110) 및 덮개부(120)를 상세히 설명한다. 2 to 4, the body portion 110 and the cover portion 1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본체부(110)는 내부에 공간을 갖는 부재로 형성되어, 내부에 전선(L) 묶음이 인입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10)는 내부에서 전선(L) 묶음이 다수 개로 분리 배치되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First, the main body portion 110 is formed of a member having a space therein, and a bundle of wires (L) may be introduced therein. In addition, the main body portion 110 may be separated from the inside of the bundle of wires (L) into a plurality of pieces and drawn out.

구체적으로, 본체부(110)는 내부에 전선(L)을 수용하는 본체하우징(111), 본체하우징(111)의 중심부가 개방되어 전선(L)이 인입되는 중심돌출홀(112), 분리된 전선(L)이 감겨지는 회전부(113), 회전부(113)에 감긴 전선(L)이 외부로 인출되는 본체개구부(114) 및 본체하우징(111)의 하단에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본체하부커버(115)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body portion 110 includes a main body housing 111 for accommodating the wire L therein, a central protruding hole 112 into which the wire L is introduced by opening the center of the body housing 111, and a separated The rotating part 113 around which the wire L is wound, the body opening 114 through which the wire L wound around the rotating part 113 is drawn out, and the lower body cover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body housing 111 to protect it from the outside. (115) may be included.

본체하우징(111)은 내부에 공간을 갖는 부재로 형성되어, 내부에 전선(L)이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체하우징(111)은 상측이 개방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심으로는 전선(L) 묶음이 인입되고, 측면으로 전선(L)이 분리되어 인출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본체하우징(111)은 분전반(10e)에서 인출된 전선(L) 묶음이 용도에 맞게 분리되어, 공동주택의 벽체 내부로 배치되는 과정에서 번잡하게 섞이지 않고, 깔끔하게 분리시키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The body housing 111 is formed of a member having a space therein, and an electric wire L may be introduced and drawn therein. Preferably, the body housing 111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upper side open, so that a bundle of wires (L) is introduced into the center and the wires (L) are separated and drawn out to the side. In detail, the main body housing 111 will be arranged so that the bundle of wires L drawn out from the distribution board 10e is separated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neatly separated without cumbersome mixing in the process of being placed inside the wall of the apartment house. can

구체적으로, 본체하우징(111)은 전선(L)을 고정하기 위한 전선고정부(111a)를 포함할 수 있다. 전선고정부(111a)는 중심돌출홀(112)과 회전부(113)의 사이에 배치되어, 중심돌출홀(112)로 인입된 전선을 필요에 따라 분리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전선고정부(111a)는 전선(L)이 중심돌출홀(112)을 통해 인입된 상태에서 더 당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body housing 111 may include a wire fixing part 111a for fixing the electric wire (L). The wire fixing part 111a is disposed between the central protruding hole 112 and the rotating part 113, and can fix the wires introduced into the central protruding hole 112 in a separated state as needed. In detail, the wire fixing part (111a) may be disposed to prevent the wire (L) from being pulled further in a state where it is pulled through the center protruding hole (112).

더욱 상세하게는, 전선고정부(111a)는 중심돌출홀(112)을 통해 인입된 전선(L)을 본체하우징(111)의 바닥 면에 고정시켜, 전선(L)이 당겨져 분전반(10e)에서 탈락되거나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즉, 전선(L) 묶음은 분전반(10e)에서 최대한 인출된 상태로 전선고정부(111a)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후, 회전부(113)에 의해 전선(L)이 감기고 풀릴 때, 전선고정부(111a)에 의해 전선(L)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분전반(10e) 방향으로는 전선(L)이 당겨지지 않아 전선(L)이 끊어지거나 뽑히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wire fixing part 111a fixes the wire L introduced through the center protruding hole 112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housing 111, so that the wire L is pulled from the distribution board 10e. It can be arranged to prevent falling off or breaking. That is, the bundle of wires (L) can be fixed by the wire fixing part (111a) in a state of maximum withdrawal from the distribution board (10e). Thereafter, when the wire L is wound and unwound by the rotating part 113, since the wire L is fixed by the wire fixing part 111a, the wire L is not pulled in the direction of the distribution board 10e. It can be prevented that the electric wire (L) is disconnected or pulled out.

한편, 중심돌출홀(112)은 본체하우징(111)의 중심부에 개방 배치되어, 전선(L) 묶음이 인입될 수 있다. 중심돌출홀(112)은 본체하우징(111)의 바닥면에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덮개부(120)의 하측 면과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중심돌출홀(112)은 상측 면 및 하측 면이 개방되어, 중심돌출홀(112)로 인입된 전선(L)은 본체하우징(111)을 관통하여 하측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중심돌출홀(112)에는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전선(L) 묶음이 인입되고, 인입된 전선(L) 묶음은 다수 개로 분리되어 본체하우징(111)의 내부로 다시 인입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entral protruding hole 112 is openly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body housing 111, and a bundle of wires (L) can be introduced. The center protruding hole 112 may be formed in a columnar shape extending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housing 111 and may be placed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part 120 .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enter protruding hole 112 are open, so that the electric wire L introduced into the center protruding hole 112 passes through the body housing 111 and can be led out to the lower side. In detail, a bundle of wires (L) is introduced into the center protruding hole 112 from top to bottom, and the bundle of wires (L) drawn in is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and can be re-entered into the body housing 111. .

구체적으로, 중심돌출홀(112)은 본체하우징(111)의 중심부에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돌출기둥(112a) 및 돌출기둥(112a)의 일측에 다수 개의 홀이 형성된 전선배출홀(112b)을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entral protruding hole 112 may include a protruding pillar 112a extending upward from the center of the main body housing 111 and a wire discharge hole 112b having a plurality of holes formed on one side of the protruding pillar 112a. can

돌출기둥(112a)은 본체하우징(111)의 중심부에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돌출기둥(112a)은 상측 면 및 하측 면이 개방되어, 돌출기둥(112a)의 상측으로 인입된 전선(L)은 하측으로 인출될 수 있다. 즉, 돌출기둥(112a)은 전선(L) 묶음이 인입되되, 본체부(110)의 내부로 번잡하게 인입되지 않고, 본체하우징(111)의 외부로 먼저 인출된 후, 필요에 따라 분리되어 다시 본체하우징(111)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The protruding pillar 112a may extend upward from the center of the body housing 111 . Preferably,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rotruding pillar 112a are open, so that the electric wire L drawn to the upper side of the protruding pillar 112a can be pulled out to the lower side. That is, in the protruding pillar 112a, a bundle of wires (L) is drawn in, but not cumbersomely drawn into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110, and first drawn out of the body housing 111, and then separated and reused as needed. It may be drawn into the inside of the body housing 111 .

전선배출홀(112b)은 돌출기둥(112a)의 일측에 개방 형성될 수 있다. 전선배출홀(112b)에는 돌출기둥(112a)으로 인입된 전선(L) 묶음이 필요에 따라 다수 개로 분리되어, 본체하우징(111)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전선배출홀(112b)은 본체개구부(114)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전선배출홀(112b)은 중심돌출홀(112)을 통해 인입된 전선(L) 묶음을 본체하우징(111)의 내부에서 분리된 상태로 배치하여 본체개구부(114)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The wire discharge hole 112b may be openly formed on one side of the protruding pillar 112a. In the wire discharge hole 112b, a bundle of wires L introduced into the protruding pillar 112a may be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as needed and introduced into the body housing 111. Preferably, the wire discharge holes 112b may be formed in the same number as the number of body openings 114 . That is, the wire discharge hole 112b is to dispose the bundle of wires L introduced through the central protruding hole 112 in a separated state from the inside of the body housing 111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body opening 114. can be placed.

즉, 전선(L)은 묶음으로 인입된 후 본체하우징(111)의 내부에서 분리된 상태로 배치되어, 엉키거나 섞이는 것을 방지하고, 용이하게 공동주택의 벽체 내부에 분배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That is, the wires (L) are placed in a separated state inside the body housing 111 after being led in a bundle to prevent entanglement or mixing, and can be easily placed in a distributed state inside the wall of the apartment house .

한편, 회전부(113)는 본체부(110)의 중심부로부터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다수 개로 분리된 전선(L)이 각각 감김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회전부(113)는 본체하우징(111)에 소정 정도 결합된 상태로 제자리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회전부(113)는 전선배출홀(112b)을 통해 인출된 전선(L)이 본체개구부(114)로 인출되기 전에 소정 정도 감겨지게 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rotating part 113 is disposed radially from the center of the main body part 110, and a plurality of separated wires (L) may be disposed to be wound, respectively. In detail, the rotation unit 113 may be rotatably disposed in place while being coupled to the main body housing 111 to a predetermined extent. The rotating part 113 may be disposed to wind the wire L drawn out through the wire discharge hole 112b to a predetermined extent before being drawn out into the main body opening 114 .

다시 말하면, 회전부(113)는 전선(L)이 적절한 길이로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조절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회전부(113)는 전선배출홀(112b)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어, 전선배출홀(112b)과 본체개구부(114)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회전부(113)는 공동주택의 벽체 내부에 전선(L)을 배치할 때, 전선(L)을 길이에 맞춰 절단하지 않고, 소정 정도의 여유분을 내부에 배치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rotating part 113 may be arranged to adjust the wire L to be drawn out to an appropriate length. In addition, the rotating part 113 may be formed in the same number as the number of wire discharge holes 112b, and may be disposed between the wire discharge hole 112b and the body opening 114. That is, when arranging the wire L inside the wall of the apartment house, the rotating part 113 may be used to place a predetermined amount of extra inside without cutting the wire L according to the length.

구체적으로, 회전부(113)는 본체하우징(111)에 소정 정도 삽입되어 회전되는 회전판(113a) 및 회전판(113a)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기둥인 회전축(113b)을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rotation unit 113 may include a rotation plate 113a that is inserted into the body housing 111 to a predetermined extent and rotated, and a rotation shaft 113b that is a pillar extending upward from the rotation plate 113a.

회전판(113a)은 본체하우징(111)의 하측 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회전판(113a)은 원형의 판형 부재로 형성되고, 본체하우징(111)의 하부 면에 소정 정도 삽입 배치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판(113a)은 본체하우징(111)과 레일(미도시)로 연결되어,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회전판(113a)은 전선배출홀(112b)과 본체개구부(114)의 사이에 배치되어, 전선배출홀(112b)에서 인출된 전선(L)이 본체개구부(114)를 향해 가는 경로 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rotating plate 113a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housing 111 . In detail, the rotating plate 113a is formed of a circular plate-like member and may be inserted to a predetermined extent into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housing 111 . More specifically, the rotating plate 113a may be connected to the body housing 111 by a rail (not shown) and rotated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Preferably, the rotating plate 113a is disposed between the wire discharge hole 112b and the body opening 114, so that the wire L drawn out from the wire discharge hole 112b is within the path toward the body opening 114. can be placed.

회전축(113b)은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판(113a)의 상단에 상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113b)은 회전판(113a)의 회전에 따라 외주연에 전선(L)이 감기거나 풀리는 것으로, 외부로 인출되는 전선(L)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회전축(113b)에는 전선배출홀(112b)에서 인출된 전선(L)이 감겨 길이 조절된 후 본체개구부(114)를 통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The rotating shaft 113b may be formed in a columnar shape and extend upward from an upper end of the rotating plate 113a. The rotating shaft 113b is a wire (L) wound or un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y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late (113a), and may be disposed to adjust the length of the wire (L) drawn out. In detail, the wire (L) drawn out from the wire discharge hole (112b) is wound around the rotating shaft (113b), the length is adjusted, and then it can be drawn out through the main body opening (114).

구체적으로, 회전축(113b)은 전선홀(113b-1)을 포함할 수 있다. 전선홀(113b-1)은 회전축(113b)의 일측에 회전축(113b)을 관통하는 홀로 형성될 수 있다. 전선홀(113b-1)은 전선배출홀(112b)에서 인출된 전선(L)이 관통되어 본체개구부(114)로 배출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전선홀(113b-1)은 전선(L)이 전선홀(113b-1)에 관통된 상태로 회전축(113b)이 회전시, 회전축(113b)의 외주연에 전선(L)이 감겨지게 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rotating shaft 113b may include a wire hole 113b-1. The wire hole 113b-1 may be formed as a hole penetrating the rotation shaft 113b at one side of the rotation shaft 113b. The wire L drawn out from the wire discharge hole 112b may pass through the wire hole 113b-1 and be discharged to the main body opening 114. In detail, in the wire hole 113b-1, when the rotating shaft 113b rotates with the wire L passing through the wire hole 113b-1, the wire L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rotating shaft 113b. It can be arranged to be coiled.

또한, 종래의 경우에는, 전선(L)은 길이에 맞춰 절단되거나, 대강 말아서 집어넣는 등의 방식으로 벽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 전선(L)이 엉키거나 복잡하게 배열되어 합선 등의 위험이 있고, 리모델링 등으로 더 긴 전선(L)이 필요하게 되면 별도로 연장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은 회전부(113)에 의해 여분의 전선(L)을 감아 보관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감겨 있던 전선(L)을 풀어 사용할 수 있고, 필요하지 않을 때에는 간결하게 전선(L)을 보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Further, in the conventional case, the wire (L) is arranged inside the wall in a manner such as being cut to length or roughly rolled and inserted. However, in this case, the wires (L) are tangled or arranged in a complicated manner, so there is a risk of short circuit, etc., and when a longer wire (L) is required due to remodeling,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must be separately extended. On the other hand, since the present invention wraps and stores the extra wire (L) by the rotating part 113, the wire (L) can be unwound and used as needed, and the wire (L) can be simply stored when not needed. There are features.

상세하게는, 초기 시공 시에는 전선(L)이 본체부(110)에 소정 정도 감긴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후 필요에 따라, 전선(L)의 연장이 필요한 경우, 전선(L)을 잡아당기게 되면 회전부(113)가 감긴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며 소정 정도 전선(L)이 연장될 수 있다. 이때, 회전부(113)는 회전 시 콘크리트(C)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후술할 본체하부커버(115) 및 덮개상부커버(125)가 커버하고 있기 때문에 원활하게 회전되어 전선(L)이 풀려질 수 있다.In detail, at the time of initial construction, the wire (L) may be disposed in a state in which a predetermined degree is wound around the body portion 110 . Then, if necessary, when the wire (L) needs to be extended, when the wire (L) is pulled, the rotation part 113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winding direction, and the wire (L) can be extended to a predetermined extent. At this time, since the rotating part 113 is covered by the lower body cover 115 and the upper cover 125 to be described later so as not to be affected by the concrete (C) during rotation, it is smoothly rotated so that the wire (L) can be released. there is.

한편, 본체개구부(114)는 본체하우징(111)의 측면에 배치되어, 전선(L)이 인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체개구부(114)는 본체하우징(111)에서 분리되어 배출되는 전선(L)의 개수만큼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본체개구부(114)는 전선배출홀(112b)에서 분리된 전선(L)이 회전부(113)에 감긴 후 외부로 배출되는 개구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개구부(114)는 외측에 전선관(130)이 연결되어, 전선(L)이 전선관(130)의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전선(L)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마감캡(150)까지 배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body opening 114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body housing 111, the wire (L) can be drawn out. Preferably, the body opening 114 may be formed as many as the number of wires (L) separated from the body housing 111 and discharged. In detail, the body opening 114 may be formed as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wire L separated from the wire discharge hole 112b is wound around the rotating part 113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addition, the conduit 130 is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opening 114, and the electric wire L is disposed inside the conduit 130, so that the electric wire L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and is disposed up to the closing cap 150. It can be.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개구부(114)의 외측에는 후술할 마감캡(150)의 돌출연결부(153)와 동일하게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돌출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즉, 본체개구부(114)는 외측에 형성된 돌출부(미도시)에 후술할 전선관(130)의 연결부재(132)가 연결되어, 전선관(130)이 본체하우징(111)과 연결되어 밀폐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on the outside of the body opening 114, a protruding portion (not shown) having a screw thread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may be disposed in the same manner as the protruding connecting portion 153 of the closing cap 150 to be described later. That is, the body opening 114 is connected to a protrusion (not shown)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conduit 1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connecting member 132 of the conduit 130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housing 111 to be sealed. .

본체하부커버(115)는 본체하우징(111)의 하측 면에 배치되어, 본체하우징(111)의 하부 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본체하우징(111)의 외측 하부 면은 회전판(113a), 중심돌출홀(112)의 개방면 및 돌출기둥(112a)으로 인입된 후 전선배출홀(112b)로 분리 배치된 전선(L) 묶음들이 노출될 수 있다. 즉, 본체하부커버(115)는 본체하우징(111)의 외측 하부 면에 배치된 위와 같은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하부커버(115)는 본체부(110) 및 덮개부(120)가 콘크리트(C)에 묻히더라도, 콘크리트(C)가 본체부(110)의 내부로 유입되거나, 회전축(113b)의 회전을 제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The lower body cover 115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housing 111 to prevent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housing 111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Specifically, the outer lower surface of the body housing 111 is introduced into the rotating plate 113a, the open surface of the central protruding hole 112, and the protruding pillar 112a, and then the wires separated by the wire discharge hole 112b ( L) Bundles can be exposed. That is, the lower body cover 115 may be disposed to cover the above portion disposed on the outer lower surface of the body housing 111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In this way, even if the body portion 110 and the cover portion 120 are buried in the concrete (C), the body lower cover 115 does not flow into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110, the concrete (C), or the rotating shaft (113b) It can be arranged so as not to restrict the rotation of.

한편, 덮개부(120)는 본체부(110)의 상측 개방부를 커버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덮개부(120)는 본체부(110)와 결합되는 덮개하우징(121), 덮개하우징(121)의 중심에 형성된 홀인 중심홀(122), 본체부(110)와 결합시 회전축(113b)에 연결되는 회전축마개(123), 본체개구부(114)와 대응되게 개방 형성되는 덮개개구부(124) 및 덮개하우징(121)의 상부 면에 배치되는 덮개상부커버(125)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ver part 120 may be disposed to cover the upper open part of the main body part 110 . Specifically, the cover portion 120 includes a cover housing 121 coupled to the body portion 110, a center hole 122 that is a 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over housing 121, and a rotation shaft 113b when combined with the body portion 110. It may include a rotary shaft stopper 123 connected to the main body opening 114, a cover opening 124 formed to correspond to the main body opening 114, and a cover upper cover 125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housing 121.

덮개하우징(121)은 내부에 공간을 갖는 부재로 형성되어, 내부에 회전축마개(123)가 배치될 수 있다. 덮개하우징(121)은 하측이 개방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본체하우징(111)의 상측과 결합하여 본체부(110)를 밀폐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덮개하우징(121)은 패킹(미도시)을 포함하여, 본체부(110)와 긴밀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cover housing 121 may be formed of a member having a space therein, and a rotation shaft stopper 123 may be disposed therein. The cover housing 121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 lower side open, and may be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body housing 111 to seal the body portion 110 . If necessary, the cover housing 121 may be closely coupled to the body portion 110, including packing (not shown).

중심홀(122)은 덮개하우징(121)의 중심부에 개방된 홀로 형성될 수 있다 중심홀(122)은 본체부(110)의 중심돌출홀(11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본체부(110)에 결합시 돌출기둥(112a)의 상측과 맞닿을 수 있다. The center hole 122 may be formed as an open hole in the center of the cover housing 121. The center hole 122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er protruding hole 112 of the body portion 110, and the body portion ( 110)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the protruding pillar 112a.

회전축마개(123)는 회전부(113)의 회전축(113b)과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회전축마개(123)는 덮개하우징(121)에 소정 정도 결합된 상태로 제자리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회전축마개(123)는 본체부(110)에 결합되었을 때, 회전축(113b)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즉, 본체부(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축마개(123)를 회전시키게 되면 회전축마개(123)와 연결된 회전축(113b)이 회전되면서 회전축(113b)의 외주연에 전선(L)이 감김 배치될 수 있다. The rotation shaft stopper 123 may be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rotation shaft 113b of the rotation unit 113 . In detail, the rotation shaft stopper 123 may be rotatably disposed in place while being coupled to the cover housing 121 to a certain extent. That is, when the rotation shaft stopper 123 is coupled to the body portion 110, it may be fitted and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113b. That is, when the rotary shaft stopper 123 is rotated in the state coupled to the body portion 110, the rotation shaft 113b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stopper 123 is rotated, and the wire (L) is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rotation shaft 113b. can be placed.

구체적으로, 회전축마개(123)는 덮개하우징(121)에 소정 정도 삽입되어 회전되는 마개판(123a) 및 마개판(123a)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기둥인 마개축(123b)을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rotation shaft stopper 123 may include a stopper plate 123a that is inserted into the cover housing 121 to a predetermined extent and rotated, and a stopper shaft 123b that is a pillar extending upward from the stopper plate 123a.

마개판(123a)은 덮개하우징(121)의 상측 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마개판(123a)은 원형의 판형 부재로 형성되고, 덮개하우징(121)의 상부 면에 소정 정도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마개판(123a)은 전술한 회전판(113a)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stopper plate 123a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cover housing 121 . In detail, the stopper plate 123a is formed of a circular plate-like member, and may be inserted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housing 121 to a predetermined extent. In detail, the stopper plate 123a may be formed identically or similarly to the rotation plate 113a described above,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마개축(123b)은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마개판(123a)의 상측 및 하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마개축(123b)은 하측은 돌기가 형성되어 억지끼움 방식으로 회전축(113b)과 끼움 결합되고, 상측은 사용자가 파지하여 마개축(123b)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전선(L)을 원하는 위치에 배치시킨 후, 길이를 조절하고자 할 때, 마개축(123b)의 상측을 파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전선(L)을 원하는 길이로 소정 정도 조절할 수 있다. The stopper shaft 123b is formed in a columnar shape and may extend upward and downward from the stopper plate 123a. In detail, the lower side of the stopper shaft 123b is formed with protrusions to be fitted and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113b in an interference fit method, and the upper side can be gripped by the user to rotate the stopper shaft 123b. Specifically, when adjusting the length after placing the wire L at a desired position, the wire L can be adjusted to a desired length by holding and rotating the upper side of the stopper shaft 123b.

한편, 덮개개구부(124)는 덮개하우징(121)의 측면에 배치되고, 본체개구부(114)와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덮개개구부(124)는 본체부(110)와 결합 시, 본체개구부(114)와 연결된 전선관(130)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Meanwhile, the cover opening 124 may be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cover housing 121 and correspond to the body opening 114 . When the cover opening 124 is coupled to the body portion 110, the conduit 130 connected to the body opening 114 may be disposed therebetween.

덮개상부커버(125)는 덮개하우징(121)의 상측 면에 배치되어, 덮개하우징(121)의 상부 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덮개하우징(121)의 외측 상부 면은 회전축마개(123)의 마개축(123b)이 돌출된 상태로 노출될 수 있다. 즉, 덮개상부커버(125)는 덮개하우징(121)의 외측 상부 면에 배치된 위와 같은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덮개상부커버(125)는 본체부(110) 및 덮개부(120)가 콘크리트(C)에 묻히더라도, 콘크리트(C)가 덮개부(120)를 통해 본체부(110)의 내부로 유입되거나, 마개축(123b)의 회전을 제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The cover upper cover 125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housing 121 to prevent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housing 121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Specifically, the outer upper surface of the cover housing 121 may be exposed in a state in which the stopper shaft 123b of the rotation shaft stopper 123 protrudes. That is, the cover upper cover 125 may be disposed to cover such a portion disposed on the outer upper surface of the cover housing 121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In this way, even if the cover upper cover 125 is buried in the concrete (C) body portion 110 and the cover portion 120, the concrete (C) to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110 through the cover portion (120) It may be introduced or arranged so as not to restrict the rotation of the stopper shaft 123b.

구체적으로, 덮개상부커버(125)는 커버중심홀(125a)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중심홀(125a)은 덮개하우징(121)의 중심홀(122)과 대응되게 개방 형성될 수 있다. 커버중심홀(125a)은 전선(L) 묶음이 인입되기 위한 개방홀로 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over upper cover 125 may include a cover center hole 125a. The cover center hole 125a may be opened to correspond to the center hole 122 of the cover housing 121 . The cover center hole 125a may be formed as an open hole through which a bundle of wires L is introduced.

더욱 상세하게는, 커버중심홀(125a)의 외측에는 후술할 마감캡(150)의 돌출연결부(153)와 동일하게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돌출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커버중심홀(125a)은 외측에 형성된 돌출부(미도시)에 후술할 전선관(130)의 연결부재(132)가 연결되어, 전선관(130)이 덮개부(120)와 연결되어 밀페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on the outside of the cover center hole 125a, a protruding portion (not shown) formed with a screw thread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y in the same manner as the protruding connecting portion 153 of the closing cap 150 to be described later. That is, the connection member 132 of the conduit 1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connected to a protrusion (not shown)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cover center hole 125a, so that the conduit 130 can be connected to the cover 120 to be sealed. there is.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전기배선구조가 배치된 공동주택의 개략도이다.FIG. 5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apartment house in which the electrical wiring structure shown in FIG. 1 is disposed.

도 5를 참조하면, 고정체결부(140)는 한 쌍의 클램프(141, 142)가 외측으로 배치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고정체결부(140)는 본체부(110)에서 마감캡(150)까지 배치되는 전선관(130)을 철근(R)에 고정시키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체결부(140)는 전선관(130)과 철근(R)에 각각 연결되는 제1클램프(141), 제2클램프(142) 및 한 쌍의 클램프(141, 142)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중심연결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 the fixed fastening part 140 may be connected such that a pair of clamps 141 and 142 are disposed outside. The fixed fastening part 140 may be arranged to fix the conduit 130 disposed from the body part 110 to the finishing cap 150 to the reinforcing bar R. Specifically, the fixed fastening part 140 rotates the first clamp 141, the second clamp 142, and a pair of clamps 141 and 142 connected to the conduit 130 and the reinforcing bar R, respectively. It may include a central connecting portion 143 that connects.

제1클램프(141) 및 제2클램프(142)는 개구부가 외측으로 배치되도록 한 쌍이 등지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클램프(141) 또는 제2클램프(142) 중 어느 하나는 철근(R)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되어 철근(R)에 고정 결합되고, 제1클램프(141) 또는 제2클램프(142) 중 또 다른 하나는 전선관(130)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되어 전선관(13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A pair of the first clamp 141 and the second clamp 142 may be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so that the opening is disposed outward. Preferably, any one of the first clamp 141 or the second clamp 142 is formed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reinforcing bar (R) and is fixedly coupled to the reinforcing bar (R), and the first clamp 141 or the second clamp 141 Another one of the clamps 142 may be formed to be smaller than or equal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conduit 130 and fixedly coupled to the conduit 130 .

중심연결부(143)는 등지게 배치된 제1클램프(141)와 제2클램프(142)의 사이에 배치되어, 제1클램프(141)와 제2클램프(142)가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1클램프(141)와 제2클램프(142)는 전선관(130)과 철근(R)이 배치된 방향에 따라 방향이 변경되어야 하기 때문에, 중심연결부(143)가 사이에 배치되어 제1클램프(141)와 제2클램프(142)의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The central connection part 143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clamp 141 and the second clamp 142 disposed back to back, so that the first clamp 141 and the second clamp 142 can be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 In detail, since the direction of the first clamp 141 and the second clamp 142 should be chang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duit 130 and the reinforcing bar R are arranged, the central connection portion 143 is disposed between Directions of the first clamp 141 and the second clamp 142 may be changed.

즉, 중심연결부(143)는 전선관(130)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고, 철근(R)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거나, 전선관(130)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철근(R)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거나, 전선관(130)과 철근(R)이 각각 수평되게 배치되는 모든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That is, in the central connection part 143, the conduit 130 is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reinforcing bars R are dispo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 the conduit 130 is dispo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reinforcing bars R are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it can be used in all cases in which the conduit 130 and the reinforcing bar (R) are arranged horizontally, respectively.

한편,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체적인 전기배선구조(1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Meanwhile, with reference to FIG. 5, the overall electric wiring structur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체부(110) 및 덮개부(120)가 벽체 내부 일측에 고정되고, 본체부(110) 및 덮개부(120)의 내부로는 분전반(10e)에서 인출된 전선(L) 묶음이 전선관(130)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본체부(110) 및 덮개부(120)의 내부에서 분리된 다수 개의 전선(L) 묶음들은 전선관(130)에 배치된 상태로 철근(R)에 고정체결부(140)를 통해 고정된다. 각각의 전선(L) 묶음들의 끝단은 세대 내부의 배치에 따라 콘센트(10a), 스위치(10b), 조명(10c) 및 에어컨(10d) 등 전기기구에 연결된다. 상기 전기기구의 종류는 반드시 예시된 바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body portion 110 and the cover portion 120 are fixed to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wall, and a bundle of wires L drawn from the distribution board 10e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110 and the cover portion 120 into the conduit 130. ) can be connected in a state of being disposed inside. A plurality of wires (L) bundles separated from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110 and the cover portion 120 are fixed to the reinforcing bar (R) through the fastening portion 140 in a state disposed in the conduit 130. The ends of each bundle of wires (L) are connected to electrical appliances such as an outlet (10a), a switch (10b), a light (10c) and an air conditioner (10d)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inside the household. The type of electric appliance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exemplified bar.

이때, 도 5에서는 마감캡(150)이 생략된 상태로 도시되었으며, 마감캡(150)에 대하여는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At this time, in FIG. 5, the closing cap 150 is shown in an omitted state, and the closing cap 15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도 6는 도 1에 도시된 마감캡의 확대도이다.Figure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closing cap shown in Figure 1;

도 6을 참조하여, 전선관(130) 및 마감캡(150)을 상세히 설명한다. Referring to FIG. 6, the conduit 130 and the closing cap 15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전선관(130)은 한 개 또는 다수 개의 전선(L)이 내부에 배치되는 배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전선관(130)은 각도 조절이 용이하게 형성되어, 벽체의 내부에서 유연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전선관(130)은 주름관으로 형성되어, 벽체의 내부에서 여러 각도로 휘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전선관(130)은 콘크리트(C)의 압력에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등의 소성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고강도의 금속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The conduit 130 may be formed of a pipe in which one or a plurality of electric wires (L) are disposed. Preferably, the conduit 130 is formed to easily adjust the angle and can be flexibly disposed inside the wall. For example, the conduit 130 may be formed as a corrugated pipe and bent at various angles inside the wall. In addition, the conduit 130 may be formed of a high-strength metal or plastic material to prevent plastic deformation such as being deformed or damaged by the pressure of the concrete (C).

구체적으로, 전선관(130)은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산연결부(131) 및 전선관(130)을 타 부재와 연결시키는 연결부재(132)를 포함할 수 잇다. Specifically, the conduit 130 may include a threaded connection portion 131 having thread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and a connection member 132 connecting the conduit 130 to other members.

나사산연결부(131)는 전선관(130)의 끝단에 배치되며, 전선관(130)을 타 부재와 연결시키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나사산연결부(131)는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연결부재(132)와 결합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나사산연결부(131)는 전선관(130)을 본체개구부(114), 덮개개구부(124) 및 제1캡개구부(152)에 연결시키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The threaded connection part 131 is disposed at the end of the conduit 130 and may be disposed to connect the conduit 130 to other members. The threaded connection portion 131 may be coupled with the connection member 132 by having thread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Specifically, the threaded connection portion 131 may be disposed to connect the conduit 130 to the body opening 114 , the cover opening 124 and the first cap opening 152 .

연결부재(132)는 중심부가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너트 형상의 부재로 형성되고, 내주연에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132)는 전선관(130)의 나사산연결부(131)와 마감캡(150)의 돌출연결부(153)와 연결되어, 전선관(130)을 마감캡(150)에 연결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연결부재(132)는 본체개구부(114) 및 덮개중심홀(125a)에 형성된 돌출부(미도시)와 연결되어, 전선관(130)을 볼트 너트 결합 방식으로 본체부(110) 및 덮개부(120)와 연결시킬 수 있다. The connection member 132 is formed of a nut-shaped member with a central portion open in a vertical direction, and may include a screw thread on an inner periphery. The connecting member 132 is connected to the threaded connection part 131 of the conduit 130 and the protruding connection part 153 of the closing cap 150, so that the conduit 130 can be connected to the closing cap 150. Similarly, the connection member 132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opening 114 and the protrusion (not shown) formed in the cover center hole 125a, and connects the conduit 130 to the body portion 110 and the cover portion ( 120) can be linked.

한편, 마감캡(150)은 내부에 공간을 가지며, 본체부(110)에서 인출된 전선관(130)의 끝단에 연결될 수 있다. 마감캡(150)은 전선관(130)에서 배출된 전선(L)이 콘크리트(C)에 접촉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마감캡(150)은 일측에 전선관(130)이 연결된 상태로 거푸집(M)에 연결 고정된 후, 콘크리트(C)가 거푸집(M)의 사이로 부어져 벽체가 시공될 수 있다. Meanwhile, the closing cap 150 has a space therein and may be connected to an end of the conduit 130 drawn out from the main body 110 . The closing cap 150 may serve to protect the electric wire (L) discharged from the conduit 130 from contacting the concrete (C). That is, after the closing cap 150 is connected and fixed to the formwork M with the conduit 130 connected to one side, the concrete C is poured between the formwork M to construct the wall.

구체적으로, 마감캡(150)은 내부에 공간을 갖는 캡하우징(151), 전선관(130)이 연결되는 제1캡개구부(152),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돌출연결부(153), 거푸집(M)에 고정되는 외측고정패널(155), 캡하우징(151)의 외측에 돌출 형성되는 외부돌기(156), 캡하우징(151)의 내부에 고리가 형성되어 전선(L)이 걸려지는 후크(157), 인입공간(159)으로 콘크리트(C)가 인입되는 개구부인 제2캡개구부(158) 및 캡하우징(151)의 내부에 형성되어 소정 정도의 콘크리트(C)가 인입되는 인입공간(159)을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inishing cap 150 includes a cap housing 151 having a space therein, a first cap opening 152 to which the conduit 130 is connected, a protruding connection portion 153 having thread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and a formwork (M ) An outer fixing panel 155 fixed to the cap housing 151, an external protrusion 156 protruding from the outside of the cap housing 151, and a hook 157 formed with a ring inside the cap housing 151 to hang the electric wire L. ), the second cap opening 158, which is an opening through which concrete C is introduced into the inlet space 159, and the inlet space 159 formed inside the cap housing 151 and into which a predetermined amount of concrete C is introduced can include

캡하우징(151)은 내부에 공간을 가지며, 일측이 개방되어 개방된 부분이 거푸집(M)에 맞닿게 연결 고정될 수 있다. 캡하우징(151)은 거푸집(M)에 연결된 후, 거푸집(M)의 사이에 콘크리트(C)가 부어져, 콘크리트(C)와 함께 벽체에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캡하우징(151)은 원기둥형, 구형 및 다각기둥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내부에 공간을 갖는 것이면 무방하며 그 형상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 캡하우징(151)은 구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콘크리트(C)가 기포 없이 고르게 퍼지기 용이하다. The cap housing 151 has a space therein, and one side thereof is open so that the open portion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mold M and be connected and fixed. After the cap housing 151 is connected to the formwork M, concrete C is poured between the formwork M, and the concrete C can be fixed to the wall. For example, the cap housing 151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 spherical shape, a polygonal column shape, etc., as long as it has a space therein, and its shape is not limited. Preferably, when the cap housing 151 is formed in a spherical shape, it is easy to spread the concrete C evenly without bubbles.

제1캡개구부(152)는 캡하우징(151)의 일측에 배치되어, 전선관(130)의 끝단이 연결될 수 있다. 제1캡개구부(152)는 캡하우징(151)의 내부로 전선(L)의 끝단을 인입시키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cap opening 152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ap housing 151, and an end of the conduit 130 may be connected thereto. The first cap opening 152 may be disposed to allow an end of the electric wire L to be inserted into the cap housing 151 .

돌출연결부(153)는 제1캡개구부(152)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전선관(130)의 연결부재(132)와 결합될 수 있다. 돌출연결부(153)는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연결부재(132)의 내주연에 형성된 나사산과 맞물려 회전 결합될 수 있다. The protruding connection portion 153 protrudes outward from the first cap opening 152 and may be coupled with the connecting member 132 of the conduit 130 . A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protruding connection portion 153, and may be engaged with a screw thread form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connecting member 132 to be rotationally coupled.

외측고정패널(155)은 캡하우징(151)의 개방부 둘레에 다수 개가 배치되어, 거푸집(M)에 캡하우징(151)을 고정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외측고정패널(155)은 판형 부재로 형성되어, 거푸집(M)에 맞닿게 배치시킨 후 고정부재(155a)를 이용하여 거푸집(M)에 고정시킬 수 있다. A plurality of outer fixing panels 155 are disposed around the open portion of the cap housing 151 to fix the cap housing 151 to the mold M. Preferably, the outer fixing panel 155 is formed of a plate-like member, placed in contact with the formwork M, and then fixed to the formwork M using a fixing member 155a.

즉, 외측고정패널(155)은 콘크리트(C)를 타설하기 전에 캡하우징(151)을 거푸집(M)에 임시적으로 고정시켜, 콘크리트(C)가 캡하우징(15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캡하우징(151)은 외측고정패널(155)에 의해 거푸집(M)에 고정되고, 콘크리트(C)를 타설하고 경화시킨 후, 고정부재(155a)를 절단하여 거푸집(M)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벽체가 제작될 수 있다. That is, the outer fixing panel 155 temporarily fixes the cap housing 151 to the formwork M before pouring the concrete C, thereby preventing the concrete C from flowing into the cap housing 151. can be placed to In detail, the cap housing 151 is fixed to the formwork M by the outer fixing panel 155, and after pouring and curing the concrete C, the formwork M is formed by cutting the fixing member 155a. The wall can be manufactured in a way to remove it.

외부돌기(156)는 캡하우징(151)의 외측에 다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외부돌기(156)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기둥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수 개의 돌기가 배치된 형상이거나 표면이 거칠게 형성되어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외부돌기(156)는 콘크리트(C)에 깊게 파묻혀 캡하우징(151)을 콘크리트(C)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external protrusions 156 may be disposed outside the cap housing 151 . Although the external protrusion 156 is illustrated as a pillar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be disposed in order to improve frictional force, or the surface may be formed to improve fixing force. That is, the external protrusion 156 may be disposed to firmly fix the cap housing 151 to the concrete (C) by being deeply buried in the concrete (C).

후크(157)는 캡하우징(151)의 내부에 배치되어 전선(L)이 걸려질 수 있다. 후크(157)는 한 개 또는 다수 개가 배치되어, 여분의 전선(L)이 후크(157)에 걸려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전선(L)을 콘센트(10a), 스위치(10b), 조명(10c) 및 에어컨(10d)과 같은 전기 기구에 연결 후 벽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전선(L)을 대강 구부려 넣고 고정하게 되면 나사가 전선을 뚫어 합선되는 등 안전사고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그런데, 후크(157)에 전선(L)을 걸어 고정한 후 전기 기구를 고정하게 되면 위와 같은 안전사고가 방지될 수 있다. The hook 157 is disposed inside the cap housing 151 so that the wire L can be caught. One or more hooks 157 may be disposed so that an extra wire L may be hooked and disposed on the hook 157 . For example, in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wire (L) to electrical appliances such as the outlet (10a), switch (10b), lighting (10c) and air conditioner (10d) and then fixing it to the wall, the wire (L) is roughly bent and fixed If it does, there is a possibility of a safety accident such as a screw piercing the wire and causing a short circuit. By the way, if the electrical appliance is fixed after hooking the electric wire (L) to the hook (157), the above safety accident can be prevented.

제2캡개구부(158)는 캡하우징(151)의 일측에 개방 형성되되, 인입공간(159)이 배치된 부분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캡개구부(158)는 인입공간(159)을 향해 개방 형성되어, 인입공간(159)으로 콘크리트(C)가 인입되게 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cap opening 158 is formed open on one side of the cap housing 151 and may be disposed above a portion where the inlet space 159 is disposed. That is, the second cap opening 158 may be formed to open toward the lead-in space 159, and may be disposed to allow the concrete C to be drawn into the lead-in space 159.

인입공간(159)은 캡하우징(151)의 일측에 배치되어, 캡하우징(151)의 내부 공간을 소정 정도 구획할 수 있다. 인입공간(159)은 콘크리트(C)의 타설시 제2캡개구부(158)를 통해 콘크리트(C)가 인입되어 마감캡(150)을 더욱 견고하게 콘크리트(C)에 고정시킬 수 있다. The inlet space 159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ap housing 151 to partition the inner space of the cap housing 151 to a certain extent. In the lead-in space 159, the concrete (C) is introduced through the second cap opening 158 when the concrete (C) is poured, so that the finishing cap 150 can be more firmly fixed to the concrete (C).

상세하게는, 인입공간(159)은 콘크리트(C)의 타설시 콘크리트(C)가 마감캡(150)의 외부에만 배치되는 경우, 마감캡(150)이 콘크리트(C)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즉, 인입공간(159)은 콘크리트(C)가 캡하우징(151)의 외부에서부터 제2캡개구부(158)와 인입공간(159)까지 연결되게 배치되어, 마감캡(150)을 콘크리트(C)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In detail, the lead-in space 159 is to prevent the closing cap 15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ncrete (C) when the concrete (C) is placed only outside the closing cap 150 during pouring of the concrete (C). can be placed for That is, the lead-in space 159 is arranged so that the concrete C is connected from the outside of the cap housing 151 to the second cap opening 158 and the lead-in space 159, so that the closing cap 150 is placed in the concrete (C). can be firmly fixed.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전기배선구조의 시공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전기배선구조의 시공 과정을 도시한 또다른 개략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전기배선구조의 시공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7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construction process of the electric wiring structure shown in FIG. 1; FIG. 8 is another schematic view showing a construction process of the electric wiring structure shown in FIG. 1; FIG. 9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electric wiring structure shown in FIG. 1 .

도 7 내지 9를 참조해 전기배선구조(100)의 시공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철근(R) 및 거푸집(M)을 공동주택의 구조에 맞게 배치(S-1)한다. 본체부(110)를 거푸집(M)의 일측(S-2)에 고정시킨다. 이후, 분전반(10e)에서 인출된 전선(L) 묶음을 전선관(130)에 넣어 덮개부(120) 및 본체부(110) 순으로 인입(S-3)시킨다. 본체부(110)에서 전선(L) 묶을을 용도에 맞게 분리하여, 전선배출홀(112b), 전선홀(113b-1), 본체개구부(114) 순으로 통과(S-4)시킨다. 분리된 각각의 전선(L)을 전선관(130)에 넣어 마감캡(150)에 연결(S-5)시킨다. Referring to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electrical wiring structure 100 with reference to FIGS. 7 to 9, first, the reinforcement (R) and the formwork (M) are arranged (S-1)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apartment house. The body portion 110 is fixed to one side (S-2) of the die (M). Thereafter, the bundle of wires (L) drawn out from the distribution board (10e) is put into the conduit 130 and led in the order of the cover part 120 and the main body part 110 (S-3). Separate the bundle of wires (L) from the body part 110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pass them through the wire discharge hole 112b, the wire hole 113b-1, and the body opening 114 in order (S-4). Put each separated wire (L) into the conduit 130 and connect it to the closing cap 150 (S-5).

이후, 각각의 전선(L)이 인입된 전선관(130)을 철근(R)에 고정체결부(140)로 연결(S-6)시킨다. 마개축(123b)을 회전시켜 전선(L)의 길이를 조정한 후, 덮개부(120)로 본체부(110)를 밀폐(S-7)시킨다. 마감캡(150)을 전기기구와 대응되는 위치의 거푸집(M)에 고정(S-8)시킨다. 이후, 거푸집(M)의 사이로 콘크리트(C)를 타설한 후 경화(S-9)시킨다. 거푸집(M)을 절단하여 제거한 후 벽마감재(10)를 부착하여 마감(S-10)한다. 전기기구 위치의 벽마감재(10)를 절단하여 전선(L)에 전기기구를 연결하여 마감(S-11)한다. Thereafter, the conduit 130 into which each electric wire L is drawn is connected to the reinforcing bar R by the fixed fastening part 140 (S-6). Afte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wire L by rotating the stopper shaft 123b, the main body 110 is sealed with the cover 120 (S-7). The closing cap 150 is fixed to the die (M)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lectric appliance (S-8). Thereafter, concrete (C) is poured between the forms (M) and then cured (S-9). After cutting and removing the formwork (M), the wall finishing material (10) is attached and finished (S-10). Cut the wall finishing material 10 at the location of the electric appliance and connect the electric appliance to the electric wire (L) to finish (S-11).

이상에서 설명한 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배선구조(100)는 공동주택의 벽체 시공 시 필요한 위치로 전선(L)을 미리 배치한 후 콘크리트(C)를 타설하여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고, 시공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종래의 경우, 전선이 배치되는 공간을 비워 둔 상태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벽체를 완성한 후 벽체의 내부로 전선을 밀어 넣는 방식으로 공동주택의 전기 배선작업을 진행하였다. 그런데,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전기 배선 작업을 진행하게 되면, 시공 과정이 복잡하고 장시간이 소요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electrical wiring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constructed by placing the electric wires L in advance in the required position when constructing the wall of the apartment house, and then pouring the concrete C. ,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construction time.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the electrical wiring work of the apartment house was performed by pouring concrete with the space where the wires are placed empty, and then pushing the wires into the inside of the wall after completing the wall. However, when the electric wiring work is performed in this way, the construction process is complicated and takes a long time.

반면에, 본 발명의 전기배선구조(100)는 공동주택의 벽체 시공 과정에서 미리 전선(L)을 배치시킨 후, 콘크리트(C)를 타설하기 때문에, 벽체의 형성과 전기 배선 작업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비해 간편하게 시공이 가능하고, 시공 시간도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배선구조(100)는 벽체의 내부에 콘크리트(C)와 함께 매립되기 때문에 종래에 비해 견고하게 고정되고, 외부의 영향을 덜 받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electric wiring structur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lectric wires (L) are placed in advance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wall of the apartment house and then the concrete (C) is poured, the wall formation and electric wiring work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struct more easily than before, and there is an effect of shortening the construction time. In addition, since the electric wiring structur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mbedded with the concrete (C) inside the wall, it is fixed more firmly than in the prior art and can be less affected by external influence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배선구조(100)는 내부에 여분의 전선(L)을 깔끔하게 보관하였다가 필요에 따라 당겨쓸 수 있어, 추가 시공이 용이하고, 안정성이 향상되는 특징이 있다. 상세하게는, 본체부(110)의 내부에 전선(L)을 감은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회전부(113)를 포함하여, 필요에 따라 전선(L)을 연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마감캡(150)의 내부에도 후크(157)를 포함하여, 전선(L)의 끝단을 소정 정도 보관할 수 있어, 필요에 따라 전선(L)의 길이 조정이 용이하고 시공의 편의성 및 안전성도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ectrical wiring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xtra wires (L) are neatly stored inside and can be pulled out as needed, so that additional construction is easy and stability is improved. there is. In detail, including a rotating part 113 that can store the wire (L) in a wound state inside the body portion 110, the wire (L) can be extended and used as needed. 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closing cap 150 includes a hook 157 to store the end of the wire L to a predetermined extent, so that the length of the wire L can be easily adjusted as needed, and the convenience and safety of construction are also improved. can be improved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add, change, delete, or add elements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or changed by the above, and this will also be said t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전기배선구조 110: 본체부
111: 본체하우징 112: 중심돌출홀
113: 회전부 114: 본체개구부
115: 본체하부커버 120: 덮개부
121: 덮개하우징 122: 중심홀
123: 회전축마개 124: 덮개개구부
125: 덮개상부커버 130: 전선관
131: 나사산연결부 132: 연결부재
140: 고정체결부
141: 제1클램프 142: 제2클램프
143: 중심연결부 150: 마감캡
151: 캡하우징 152: 제1캡개구부
153: 돌출연결부 155: 외측고정패널
156: 외부돌기 157: 후크
158: 제2캡개구부 159: 인입공간
100: electrical wiring structure 110: main body
111: body housing 112: center protruding hole
113: rotating part 114: body opening
115: lower body cover 120: cover
121: cover housing 122: center hole
123: rotary shaft cap 124: cover opening
125: cover upper cover 130: conduit
131: threaded connection portion 132: connection member
140: fixed fastening part
141: first clamp 142: second clamp
143: center connection portion 150: closing cap
151: cap housing 152: first cap opening
153: protruding connection portion 155: outer fixed panel
156: external protrusion 157: hook
158: second cap opening 159: inlet space

Claims (7)

내부에 전선(L) 묶음이 인입되고, 상기 전선(L) 묶음이 다수 개로 분리되어 외부로 인출되는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를 커버하는 덮개부(120);
상기 본체부(110)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되는 상기 전선(L)이 내부에 배치되고, 콘크리트(C)의 하중에 소성 변형되지 않는 고강도의 주름관으로 형성되는 전선관(130);
상기 전선관(130)을 철근(R)에 고정시키는 고정체결부(140); 및
내부에 공간을 갖고, 상기 전선관(130)의 끝단과 연결되어, 상기 전선관(130)에서 배출된 상기 전선(L)이 상기 콘크리트(C)에 접촉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마감캡(150);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110)는,
중심부가 개방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전선(L) 묶음이 인입되는 중심돌출홀(112);을 포함하고,
상기 중심돌출홀(112)은,
상측으로 기둥이 연장 형성되고, 상측 면 및 하측 면이 개방되어 상기 전선(L) 묶음이 관통 배치되는 돌출기둥(112a); 및
상기 돌출기둥(112a)의 일측에 개방 형성되되, 상기 전선(L) 묶음이 다수 개로 나뉘어 인출되는 전선배출홀(112b);을 포함하는, 공동주택용 전기배선구조.
A main body portion 110 into which a bundle of wires (L) is introduced and the bundle of wires (L) is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and drawn out;
a cover portion 120 covering the body portion 110;
Conduit 130 formed of a high-strength corrugated pipe in which the electric wire (L) drawn in or pulled out from the body part 110 is disposed therein and is not plastically deformed under the load of concrete (C);
A fixed fastening part 140 for fixing the conduit 130 to the reinforcing bar R; and
A closing cap 150 having a space inside and connected to the end of the conduit 130 to protect the electric wire (L) discharged from the conduit 130 from contacting the concrete (C); do,
The body portion 110,
A central protruding hole 112 in which the central part is opened and the wire (L) bundle i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includes,
The center protruding hole 112,
a protruding pillar (112a) in which a pillar is formed extending upward, and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open so that the bundle of wires (L) is disposed therethrough; and
An electric wiring structure for an apartment house, including a wire discharge hole (112b) formed open on one side of the protruding pillar (112a), through which the wire (L) bundle is divided into multiple pieces and drawn out.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10)는,
상기 본체부(110)의 중심부로부터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다수 개로 분리된 상기 전선(L)이 각각 감김 배치되는 회전부(113);를 포함하는, 공동주택용 전기배선구조.
The method of claim 1,
The body portion 110,
A rotating part 113 disposed radially from the center of the main body part 110, and in which the plurality of separated electric wires L are wound and disposed, respectively; electrical wiring structure for an apartment hous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113)는,
본체하우징(111)의 하측 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회전판(113a); 및
상기 회전판(113a)의 상단에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회전판(113a)의 회전에 따라 외주연에 상기 전선(L)이 감기거나 풀리는 것으로 상기 전선(L)이 외부로 인출되는 길이를 조절하는 회전축(113b);을 포함하는, 공동주택용 전기배선구조.
The method of claim 3,
The rotating part 113,
a rotating plate 113a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body housing 111; and
It extends up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rotating plate 113a, and the wire L is wound or un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late 113a, there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wire L being drawn out. Rotational shaft (113b); including, electrical wiring structure for apartment houses.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113b)은,
상기 회전축(113b)을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어, 상기 전선(L)이 관통되는 전선홀(113b-1);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110)는,
중심돌출홀(112)과 상기 회전부(113)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선(L)을 고정하는 전선고정부(111a);를 포함하는, 공동주택용 전기배선구조.
The method of claim 4,
The rotating shaft 113b,
A wire hole 113b-1 in which a hole passing through the rotating shaft 113b is formed, through which the electric wire L passes; includes,
The body portion 110,
An electric wiring structure for an apartment house including a; disposed between the center protruding hole 112 and the rotating part 113 and fixing the wire 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감캡(150)은,
내부에 공간을 가지며, 일측이 개방되고, 상기 콘크리트(C)의 내부에 배치되되, 개방된 면은 거푸집(M)에 맞닿게 고정되는 캡하우징(151); 및
상기 전선관(130)의 끝단이 연결되어, 상기 캡하우징(151)의 내부로 상기 전선(L)의 끝단이 인입되는 제1캡개구부(152);를 포함하는, 공동주택용 전기배선구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nishing cap 150,
a cap housing 151 having a space therein, having one side open, and disposed inside the concrete (C), the open side being fixed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formwork (M); and
A first cap opening (152) to which the end of the conduit (130) is connected and the end of the electric wire (L) is inserted into the cap housing (151).
청구항 1에 개시된 공동주택용 전기배선구조를 시공하는 데 있어서,
철근(R) 및 거푸집(M)을 공동주택의 구조에 맞게 배치하는 단계(S-1);
본체부(110)를 상기 거푸집(M)의 일측에 고정하는 단계(S-2);
분전반(10e)에서 인출된 전선(L) 묶음을 전선관(130)에 넣어 덮개부(120) 및 상기 본체부(110) 순으로 인입시키는 단계(S-3);
상기 본체부(110)에서 상기 전선(L) 묶음을 용도에 맞게 분리하여 전선배출홀(112b), 전선홀(113b-1), 본체개구부(114) 순으로 통과시키는 단계(S-4);
분리된 각각의 상기 전선(L)을 상기 전선관(130)에 넣어 마감캡(150)에 연결시키는 단계(S-5);
각각의 상기 전선(L)이 인입된 상기 전선관(130)을 상기 철근(R)에 고정체결부(140)로 연결시키는 단계(S-6);
마개축(123b)을 회전시켜 상기 전선(L)의 길이를 조정 후 상기 덮개부(120)로 상기 본체부(110)를 밀폐시키는 단계(S-7);
상기 마감캡(150)을 전기기구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거푸집(M)에 고정시키는 단계(S-8);
콘크리트(C)를 타설한 후 경화시키는 단계(S-9);
상기 거푸집(M)을 절단하여 제거한 후 벽마감재(10)를 부착하여 마감하는 단계(S-10); 및
상기 전기기구의 위치의 상기 벽마감재(10)를 절단하여 상기 전선(L)에 상기 전기기구를 연결하여 마감하는 단계(S-11);를 포함하는, 공동주택용 전기배선구조의 시공방법.
In constructing the electric wiring structure for apartment houses disclosed in claim 1,
A step of arranging the reinforcing bars (R) and the formwork (M)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apartment house (S-1);
A step of fixing the main body 110 to one side of the die (M) (S-2);
Putting the bundle of wires (L) drawn out from the distribution board (10e) into the conduit 130 and introducing them into the cover part 120 and the main body part 110 in order (S-3);
Separating the wire (L) bundle from the body part 110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passing it through the wire discharge hole 112b, the wire hole 113b-1, and the body opening 114 in order (S-4);
Putting each of the separated electric wires (L) into the conduit 130 and connecting them to the closing cap 150 (S-5);
Connecting the conduit 130 into which each of the electric wires (L) is introduced to the reinforcing bar (R) with a fixed fastening part 140 (S-6);
Adjusting the length of the electric wire (L) by rotating the stopper shaft (123b) and sealing the main body part 110 with the cover part 120 (S-7);
Fixing the closing cap 150 to the die (M)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lectric appliance (S-8);
Step of pouring and curing concrete (C) (S-9);
Cutting and removing the formwork (M) and then attaching and finishing the wall finishing material (10) (S-10);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n electrical wiring structure for an apartment house, including a step (S-11) of cutting the wall finishing material 10 at the position of the electric appliance and connecting the electric appliance to the electric wire (L).
KR1020220094441A 2022-07-29 2022-07-29 Electrical wiring structure for apartment houses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25203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441A KR102520376B1 (en) 2022-07-29 2022-07-29 Electrical wiring structure for apartment houses and its construction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441A KR102520376B1 (en) 2022-07-29 2022-07-29 Electrical wiring structure for apartment houses and its construction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0376B1 true KR102520376B1 (en) 2023-04-10

Family

ID=85984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4441A KR102520376B1 (en) 2022-07-29 2022-07-29 Electrical wiring structure for apartment houses and its construction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0376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0433A (en) * 2002-02-25 2003-08-30 (주) 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Electric wiring structure for a building and wiring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0675521B1 (en) * 2006-09-01 2007-01-30 주식회사 티씨엠씨건축사사무소 Support body of electric wire of bottom slab for building
KR100889363B1 (en) * 2008-07-21 2009-03-26 일강알앤비(주) Protected duct of electric line being buried in wallfor building
JP2010142116A (en) * 2010-03-25 2010-06-24 Mirai Ind Co Ltd Wiring box and wiring box arrange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0433A (en) * 2002-02-25 2003-08-30 (주) 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Electric wiring structure for a building and wiring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0675521B1 (en) * 2006-09-01 2007-01-30 주식회사 티씨엠씨건축사사무소 Support body of electric wire of bottom slab for building
KR100889363B1 (en) * 2008-07-21 2009-03-26 일강알앤비(주) Protected duct of electric line being buried in wallfor building
JP2010142116A (en) * 2010-03-25 2010-06-24 Mirai Ind Co Ltd Wiring box and wiring box arrange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4068B1 (en) Water supply valve box
US5146720A (en) Pipe stabilizer
KR102520376B1 (en) Electrical wiring structure for apartment houses and its construction method
US20080207047A1 (en) Wall Box Device
KR200494198Y1 (en) Retaining Holder of Supporting Rebar of Electric Wire Guide Duct for Building
KR200445323Y1 (en) Rotating joint structure of embedded distribution box for apartment house
US20030033782A1 (en) Form bracing tie bracket for modular insulating concrete form system and form using the same
US8661666B2 (en) Methods of installing wiring in poured concrete
CN205191886U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KR200334688Y1 (en) bury in ceiling type electric wire box
CN215955971U (en) Junction box and prefabricated assembly
KR102146426B1 (en) Insert plate for earthquake-proof a with easy fixing of support preventing shaking for fire pipe
KR200393504Y1 (en) Bit piping protection sleeve of building
KR200479675Y1 (en) Side Hanger for the Pipe
KR20080097724A (en) Cable distribution box installed at ceiling in knockdown building
KR100433842B1 (en) Electric wiring structure for a building and wiring operation method thereof
JP3725596B2 (en) Pipe fixing jig
KR101057167B1 (en) Apparatus for reinforcing pile head and construction method of foundation using therof
US1883457A (en) Outlet box
KR20130000744U (en) outlet box for conduit connecting
JP3494926B2 (en) Wiring box device, support fitting, and support fitting device
KR20190037615A (en) Iron bar Fixing Device
KR20190086606A (en) Connecting support for form strut for constructing slab
KR102602072B1 (en) Fix apparatus for penetration sleeve
KR102505039B1 (en) Piping box including wire-embedded piping with improved workability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