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9915B1 -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9915B1
KR102519915B1 KR1020150146849A KR20150146849A KR102519915B1 KR 102519915 B1 KR102519915 B1 KR 102519915B1 KR 1020150146849 A KR1020150146849 A KR 1020150146849A KR 20150146849 A KR20150146849 A KR 20150146849A KR 102519915 B1 KR102519915 B1 KR 102519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liding member
display device
protrusion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68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46467A (en
Inventor
권오관
윤영준
김철홍
조윤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6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9915B1/en
Publication of KR20170046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64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9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5Mounting of picture tube on chassis or in ho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버튼 누름 방식은 프레임 및 지지 스탠드의 착탈 방식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슬라이딩 방식의 프레임 및 지지 스탠드 착탈 방식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배면에 위치하는 프레임, 일단이 상기 프레임의 배면에 착탈되는 지지 스탠드, 상기 지지 스탠드의 일단에 위치하며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결합부 및 상기 프레임 제1 지점과 제2 지점을 왕복하고, 상기 제1 지점에 위치 시 상기 걸림돌기를 구속시키고, 상기 제2 지점에 위치 시 상기 걸림돌기의 구속을 해제하는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disadvantages of the button-pressing method of attaching and detaching the frame and the support stand, a sliding method of attaching and detaching the frame and the support stand is provided. Specifically, a display unit, a frame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a support stand having one end attached to and detachable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a coupling unit located on one end of the support stand and including a protrusion, and a first point of the frame and a second support stand. and a sliding member that reciprocates between fulcrum points, restrains the catching protrusion when positioned at the first fulcrum, and releases the restraint of the catching protrusion when positioned at the second fulcrum.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지지 스탠드의 착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in which a support stand is detachable.

디스플레이 장치는 필요에 따라 바닥에 거치되거나 또는 벽에 고정되는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may be provided as a wall-mounted display device that is mounted on the floor or fixed to a wall, if necessary.

바닥에 거치 또는 벽걸이 형은 하나로 제작되지 않고, 다른 형상의 지지 스탠드에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고정시킴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The floor-mounted or wall-mounted type may be implemented by fixing a frame including a display unit to a support stand having a different shape, rather than being manufactured as one.

따라서 이러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프레임과 지지 스탠드는 사용자가 쉽게 착탈시킬 수 있을 것을 필요로 한다.Therefore, the frame and the support stand including the display unit need to be easily detachable by the user.

한편, 이러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지지 스탠드에서 분리하는 방식으로 버튼 누름 방식이 있다.On the other hand, as a method of separating the frame including the display unit from the support stand, there is a button pressing method.

하지만, 버튼 누름 방식은 프레임의 착탈 여부를 버튼의 움직임 자체만으로 사용자가 육안으로 구별하기 어려워, 프레임이 지지 스탠드에 완전히 결합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을 놓아 프레임 등이 파손되는 경우가 있다.However, in the button press method,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visually distinguish whether or not the frame is attached or detached only by the movement of the button itself, and the frame may be damaged by releasing the user's hand while the frame is not completely coupled to the support stand.

또한, 버튼 누름 방식의 경우에는 버튼 누름 방향과 작용하는 락킹 부재의 이동방향이 상이하여, 힘의 전달에 손실이 발생하고, 완전한 전달이 되지 않는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button pressing method, the direction of pressing the button an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locking member acting are different, resulting in a loss in power transmission and not being completely transmitted.

또, 버튼 누름 방식은 그 구조적 필요에 의해 더 많은 수의 부품을 필요로 하게 된다.In addition, the button pressing method requires a larger number of parts due to its structural needs.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인 버튼 누름 방식의 단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disadvantages of the button pressing metho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배면에 위치하는 프레임, 일단이 상기 프레임의 배면에 착탈되는 지지 스탠드, 상기 지지 스탠드의 일단에 위치하며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결합부 및 상기 프레임 제1 지점과 제2 지점을 왕복하고, 상기 제1 지점에 위치 시 상기 걸림돌기를 구속시키고, 상기 제2 지점에 위치 시 상기 걸림돌기의 구속을 해제하는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display unit, a frame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a support stand having one end attached to and detachable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located on one end of the support stand and including a locking protrusion A coupling part and a sliding member that reciprocates between a first point and a second point of the frame, restrains the protrusion when positioned at the first point, and releases the restraint of the protrusion when positioned at the second point. It provides a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by.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지점과 상기 제2 지점의 왕복 방향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평행한 상하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Furthe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ciprocating direction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provides a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vertical direction parallel to the display uni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지지 스탠드를 상기 프레임의 배면에서 전면방향으로 가압 시 상기 걸림돌기와 맞물려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상기 제1 지점에서 상기 제2 지점으로 이동하게 하는 제1 경사면 및 상기 제1 경사면의 이면에 구비되어 상기 걸림돌기를 구속하는 안착 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ding member is engaged with the protrusion when the support stand is presse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in the front direction to move the sliding member from the first point to the second point It provides a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rst inclined surface and a seating hole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to restrain the protrusio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제1 경사면에 상응하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ding protrusion provides a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inclin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상기 왕복 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 경사면이 상기 걸림돌기와 맞물릴 때 압축되고, 상기 안착 홀에 상기 걸림돌기가 위치하는 경우 상기 압축이 해제되는 복원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between the sliding member and the frame in the reciprocating direction, the first inclined surface is compressed when engaged with the locking protrusion, and when the locking protrusion is located in the seating hole, the first inclined surface is compressed. It provides a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restoring spring from which compression is releas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제1 지점에서 상기 제2 지점 방향을 따라 구비된 가이드 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의 상기 가이드 홀에 상응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홀과 맞물리는 안내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ding member further includes a guide hole provided along a direction from the first point to the second point, and the frame has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uide hole of the frame. It provides a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guide protrusion provided on and engaged with the guide hol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안내돌기의 단부에 결합하고 상기 안내돌기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포함하는 고정나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Furthe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xing screw coupled to the end of the guide protrusion and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diameter of the guide protrusio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걸림돌기는, 'ㄱ'자 형상으로 상기 프레임 배면을 향해 돌출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sion provides a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protrudes toward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in a 'L' shap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결합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결합부의 타측에 돌출 구비된 후크부 및 상기 프레임의 배면의 상기 후크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후크 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protrus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hook portion protru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coupling portion and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ook portion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It provides a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provided hook hol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은,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고정하는 프론트 케이스 및 상기 프론트 케이스 배면에 구비되어 결합부와 맞닿는 리어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 배면을 향해 돌출된 걸림 핀을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케이스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 배면의 상기 걸림 핀의 위치에 대응하여 구비된 상하 걸림 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Furthe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includes a front case for fixing the sliding member and a rear case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front case and in contact with a coupling part, and the sliding member is configured to slide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case A locking pin protrudes toward the front case, and the front case further includes upper and lower locking holes provided to correspond to positions of the locking pins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cas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은,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고정하는 프론트 케이스 및 상기 프론트 케이스 배면에 구비되어 결합부와 맞닿는 리어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리어 케이스는, 상기 스탠드의 결합부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includes a front case for fixing the sliding member and a rear case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front case and in contact with a coupling portion, wherein the rear case includes a coupling portion of the stand It provides a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seating portion to be seat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안착부는 나사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portion provides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screw hol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가변 손잡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가변 손잡이를 외부로 노출시키고 상기 가변 손잡이의 이동 영역을 확보하는 손잡이 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ding member further includes the variable handle, and the frame further includes a handle hole exposing the variable handle to the outside and securing a moving area of the variable handle. It provides a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Effects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프레임과 지지 스탠드의 분리 및 결합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 user can easily check the separation and coupling of the frame and the support stand with the naked ey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파트수의 절감 효과가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프레임과 지지 스탠드를 분리하기 위해 필요한 사용자의 힘의 절감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user's force required to separate the frame and the support stand.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 further scope of the applic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that follows. However, sinc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pecific examples such a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given as examples only.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방향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분리된 상태의 A-A' 방향 단면도이다.
도 5는 슬라이딩 부재에 관한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5의 B-B' 방향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C-C' 방향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M영역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지지 스탠드의 결합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도 9의 D-D' 방향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E-E' 방향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9의 F-F' 방향 단면도이다.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AA′ direction of FIG. 2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AA′ direction when the display device of FIG. 2 is separated.
5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 sliding member.
6 is a BB′ direction cross-sectional view of FIG. 5 .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n a CC′ direction of FIG. 5 .
8 is an enlarged view of region M of FIG. 4 .
9 shows a coupling part of a support stand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direction DD′ of FIG. 9 .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direction EE' of FIG. 9 .
12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FF′ direction of FIG. 9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together in consideration of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meanings or roles that are distinct from each other by themselve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정면 사시도이다.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1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디스플레이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10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display device 100 .

디스플레이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 또는 외부로부터 전송 받은 정보를 표시(출력)한다.The display unit 110 displays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display device 100 o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디스플레이부(11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10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nd a flexible display. display), a 3D display, and an e-ink display.

디스플레이부(110)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10)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10)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The display unit 110 may include a touch sensor that detects a touch on the display unit 110 so that a control command can be received by a touch method. Using this, when a touch is made to the display unit 110, the touch sensor can detect the touch, and the controller can generate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touch based on this. Contents input by the touch method may be letters or numbers, or menu items that can be instructed or designated in various modes.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와 윈도우의 배면 상의 디스플레이(미도시)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film having a touch pattern and disposed between a window and a display (not shown) on the rear surface of the window, or may be a metal wire patterned directly on the rear surface of the window. Alternatively, the touch sensor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display. For example, the touch sensor may be disposed on a substrate of the display or provided inside the display.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10)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로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조작유닛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As such, the display unit 110 may form a touch screen together with a touch sensor, and in this case, the touch screen may function as a user input unit. In some cases, the touch screen may replace at least some functions of the operation unit.

디스플레이부(110)는 평면이 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곡면으로 휘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The display unit 110 may be flat or, if necessary, may have a curved shape.

프레임(120)은 디스플레이부(110)의 배면에 위치하게 된다. 프레임(120)의 내부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필요한 전자 부품을 실장하기 위한 전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rame 120 is position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110 . The inside of the frame 120 may include an electric unit for mounting electronic components required for the display device 100 .

지지 스탠드(210)는 디스플레이부(110)를 포함하는 프레임(120)을 바닥에 거치시키거나 벽에 고정시키는 역할 등을 할 수 있다. 바닥에 거치시키는 지지 스탠드(210)의 경우, 지지 스탠드(2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체 무게 중심을 잡아 안정적으로 거치되기 위한 보강 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파지하기 쉽도록 손잡이가 구비될 수도 있다.The support stand 210 may serve to mount the frame 120 including the display unit 110 on the floor or fix it to a wall. In the case of the support stand 210 mounted on the floor, the support stand 210 may further include a reinforcing member to stably mount the display device 100 by holding the entire center of gravity. In addition, a handle may be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grip it.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후면 사시도이다.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display device 1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디스플레이부(110) 및 프레임(120)은 고정되어 결합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10 and the frame 120 may be fixed and coupled.

프레임(120)은 전장부를 포함하는 제1 영역(1201) 및 제1 영역(1201)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는 제2 영역(1202)으로 나누어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짐으로써 프레임(120) 두께를 최소화 할 수 있다.The frame 120 is divided into a first region 1201 including the electric part and a second region 1202 having a thinner thickness than the first region 1201 and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thereby minimizing the thickness of the frame 120. there is.

프레임(120)의 배면에는 외부와 연결되기 위한 입출력 포트를 구비할 수 있고, 특히, 전장부는 제1 영역(1201)에 구비되므로 입출력 포트는 제1 영역(1201)에 구비될 수 있다.Input/output ports for connection to the outside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120. In particular, since the electronic parts are provided in the first region 1201, the input/output ports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region 1201.

지지 스탠드(210)는 프레임(120)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지지 스탠드(210)는 바닥에 고정되는 거치형 지지 스탠드(210)가 될 수도 있고, 또는 벽에 고정되는 벽걸이형 지지 스탠드(210)가 될 수도 있다.The support stand 210 may be provided to be detachable from the frame 120 . The support stand 210 may be a stationary support stand 210 fixed to the floor or a wall-mounted support stand 210 fixed to a wall.

어떤 형태의 지지 스탠드(210)의 경우든 지지 스탠드(210)는 일단에 결합부(220)를 포함하여 프레임(120)과 직접적으로 착탈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지지 스탠드(210)의 결합부(220)는 프레임(120)의 제1 영역(1201)에 착탈될 수 있다.In the case of any type of support stand 210, the support stand 210 includes a coupling part 220 at one end and can play a role of being direct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frame 120. The coupling part 220 of the support stand 210 may be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first area 1201 of the frame 120 .

거치형 지지 스탠드(210)는 필요에 따라 길이가 연장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ationary support stand 210 may include a structure in which the length is extended as needed.

도 3은 도 2의 A-A' 방향 단면도이다.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direction A-A' of FIG. 2 .

프레임(120)은 크게 전면 방향에 위치하는 프론트 케이스(121) 및 프론트 케이스(121)의 배면에 구비되는 리어 케이스(1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frame 120 may include a front case 121 positioned in the front direction and a rear case 122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front case 121 .

프론트 케이스(121)는 전장부의 적어도 일 영역 이상을 커버하고 후술할 슬라이딩 부재(130)가 고정되기 위한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The front case 121 may cover at least one area of the electric part and provide an area for fixing the sliding member 130 to be described later.

리어 케이스(122)는 프론트 케이스(121) 및 슬라이딩 부재(130)의 적어도 일 영역 이상을 커버하고 프레임(120) 후면 전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The rear case 122 may cover at least one area of the front case 121 and the sliding member 130 and form the entire outer appearance of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120 .

프론트 케이스(121) 및 리어 케이스(122)는 별도의 부재가 결합되어 생성될 수도 있고, 또는 경우에 따라 일체형의 프레임(120)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자세한 구조는 후술하도록 한다.The front case 121 and the rear case 122 may be created by combining separate members, or may be provided as an integrated frame 120 in some cases. A detaile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later.

도 4는 도 2의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분리된 상태의 A-A' 방향 단면도이다.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direction A-A' in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apparatus 100 of FIG. 2 is separated.

결합부(220)는 지지 스탠드(210)의 일단에 구비되어 프레임(120)의 배면에 착탈될 수 있다. 결합부(220)에는 프레임(120)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걸림돌기(221)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upling part 220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support stand 210 and can be detache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120 . The coupling part 220 may include a protrusion 221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frame 120 .

슬라이딩 부재(130)는 프레임(120)에 구비되어 결합부(220)의 걸림돌기(221)와 맞물려 왕복 운동을 할 수 있다.The sliding member 130 is provided on the frame 120 and engages with the locking protrusion 221 of the coupling part 220 to reciprocate.

이때 슬라이딩 부재(130)는 프론트 케이스(121)의 후면에 결합되고, 리어 케이스(122)는 슬라이딩 부재(130)의 일 영역 이상을 커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liding member 130 may be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case 121 , and the rear case 122 may cover more than one area of the sliding member 130 .

이하 프레임(120)과 지지 스탠드(210)가 분리된 상태에서 결합하는 순서대로 설명하면,Hereinafter, the order in which the frame 120 and the support stand 210 are coupled in a separated state will be described.

최초에, 프레임(120)과 지지 스탠드(210)가 분리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부재(130)는 프레임(120)의 제1 지점(310, 도 5참조)에 위치하게 된다.Initially, in a state in which the frame 120 and the support stand 210 are separated, the sliding member 130 is positioned at the first point 310 (see FIG. 5) of the frame 120.

그 다음, 프레임(120)과 지지 스탠드(210)를 결합하기 위해 맞물리는 과정에서 결합부(220)의 걸림돌기(221)는 프레임(120)의 슬라이딩 부재(130)를 제2 지점(320, 도 5참조)까지 밀게 된다.Then, in the process of engaging to couple the frame 120 and the support stand 210, the locking protrusion 221 of the coupling part 220 moves the sliding member 130 of the frame 120 to the second point 320, See Figure 5) is pushed up to.

이후, 프레임(120)과 지지 스탠드(210)가 완전히 결합된 경우 걸림돌기(221)가 슬라이딩 부재(130)를 미는 것이 종료되고 슬라이딩 부재(130)는 다시 제1 지점(310, 도 5참조)으로 복원하게 된다.Thereafter, when the frame 120 and the support stand 210 are completely coupled, the protrusion 221 ends pushing the sliding member 130, and the sliding member 130 returns to the first point 310 (see FIG. 5). will be restored to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은 도면 상의 방향에 한정되지 않으며, 좌우로 이동할 수도 있다. 즉, 프레임(120)의 배면에 평행한 특정 일 방향으로 왕복할 수 있다.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are not limited to directions on the drawing, and may move left and right. That is, it may reciprocate in one specific direction parallel to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120 .

다만, 이하 설명에서는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은 프레임 배면에 평행한 상하 방향인 것을 전제로 설명하도록 한다.Howeve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will be described on the premise that they are in the vertical direction parallel to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도 5는 슬라이딩 부재(130)에 관한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5 shows an embodiment of the sliding member 130 .

슬라이딩 부재(130)는 지지 스탠드(210, 도 4참조)를 프레임(120, 도 4참조) 배면에서 전면방향으로 가압 시 걸림돌기(221, 도 4참조)와 맞물려 상기 제1 지점(310)에서 제2 지점(320)으로 이동할 수 있다. When the sliding member 130 presses the support stand 210 (see FIG. 4) from the back to the front of the frame 120 (see FIG. 4), it is engaged with the protrusion 221 (see FIG. 4) at the first point 310. It can move to the second point 320 .

이때, 슬라이딩 부재(130)의 제1 경사면(131)은 지지 스탠드(210)의 배면에서 전면방향으로의 힘을 수직한 방향으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inclined surface 131 of the sliding member 130 may serve to convert the force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 stand 210 to the front direction into a vertical direction.

수직한 방향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제1 경사면(131)은 프론트 케이스(121) 배면과 예각을 이루어 구비될 수 있다.In order to convert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inclined surface 131 may be provided at an acute angle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case 121 .

한편, 제1 경사면(131)은 슬라이딩 부재(130)의 양 측에 한 쌍으로 구비되어 힘을 균형적으로 받을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inclined surface 131 is provided as a pair on both sides of the sliding member 130 to receive force in a balanced manner.

슬라이딩 부재(130)가 제1 지점(310)에서 제2 지점(320)으로 이동하는 동안 복원 스프링(132)의 압축에 의해 제1 지점(310)으로의 탄성 복원력을 받을 수 있다.While the sliding member 130 moves from the first point 310 to the second point 320 , the elastic restoring force to the first point 310 may be received by compression of the restoring spring 132 .

복원 스프링(132)은 프레임(120), 즉 프론트 케이스(121)에서 돌출 구비된 스프링 고정 돌기(136)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슬라이딩 부재(130)에 결합하여 구비될 수 있다.The restoring spring 132 may have one end fixed to the spring fixing protrusion 136 protruding from the frame 120, that is, the front case 121,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sliding member 130.

스프링 고정 돌기(136)는 프론트 케이스(121) 배면에서 'ㄱ'자 형상으로 돌출 구비될 수 있다. 스프링 고정 돌기(136)는 프론트 케이스(121)와 일체형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The spring fixing protrusion 136 may protrude in a 'L' shape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case 121 . The spring fixing protrusion 136 may be configured as a member integral with the front case 121 .

복원 스프링(132)은 슬라이딩 부재(130)와 프레임(120) 사이에 슬라이딩 부재(130)의 왕복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걸림돌기(221)가 제1 경사면(131)과 맞물려 슬라이딩 부재(130)를 제1 지점(310)에서 제2 지점(320)으로 미는 과정에서 복원 스프링(132)은 압축되어 슬라이딩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의 복원력을 발생할 수 있다.The restoring spring 132 may be provided between the sliding member 130 and the frame 120 in the reciprocating direction of the sliding member 130 . In the process of pushing the sliding member 130 from the first point 310 to the second point 320 by engaging the protrusion 221 with the first inclined surface 131, the restoring spring 132 is compress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sliding direction. can generate restoring force.

걸림돌기(221, 도 4참조)가 제1 경사면(131)을 지나 제1 경사면(131)의 이면에 구비된 안착 홀(133)에 안착되는 경우 제1 경사면(131)과 맞물리던 걸림돌기(221, 도 4참조)가 해제되고 복원 스프링(132)의 압축이 해제되어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딩 부재(130)는 제2 지점(320)에서 제1 지점(310)으로 복원되게 된다.When the protrusion 221 (see FIG. 4) passes through the first inclined surface 131 and is seated in the seating hole 133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131, the protrusion engaged with the first inclined surface 131 ( 221 (see FIG. 4) is released and the compression of the restoring spring 132 is released so that the sliding member 130 is restored from the second point 320 to the first point 310 by the restoring force.

사용자는 슬라이딩 부재(130)가 제1 지점(310)으로 복원되는 것을 확인하여 프레임(120)과 지지 스탠드(210)가 완전히 결합하거나 분리되었다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슬라이딩 부재(130) 및 후술할 가변 손잡이(140)가 프레임(120) 배면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움직이므로 특히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The user can visually confirm that the frame 120 and the support stand 210 are completely coupled or separated by confirming that the sliding member 130 is restored to the first point 310 . This can be confirmed particularly clearly because the sliding member 130 and the variable handle 1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ov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120.

이후 걸림돌기(221)는 슬라이딩 부재(130)의 안착 홀(133)에 걸려 구속 되어 지지 스탠드(210)의 전면에서 배면 방향으로 힘을 가하더라도 프레임(120)과의 결합이 유지되게 된다.Thereafter, the protrusion 221 is caught and restrained in the seating hole 133 of the sliding member 130, so that even when force is applied from the front side of the support stand 210 to the back side, the engagement with the frame 120 is maintained.

제1 경사면(131)과 안착 홀(133)이 하나의 부재인 슬라이딩 부재(130)에 구비되고, 슬라이딩 부재(130)는 프레임(120) 배면에 평행하게 왕복 운동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체 파트수를 최소화 하는 상승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Since the first inclined surface 131 and the seating hole 133 are provided on the sliding member 130, which is a single member, and the sliding member 130 reciprocates in parallel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120, the entire display device 100 The synergistic effect of minimizing the number of parts can be brought about.

슬라이딩 부재(130)가 프레임(120)에서 왕복 운동하는 방향을 인도하기 위해서 가이드 홀(134) 및 안내돌기(123)가 구비될 수 있다.A guide hole 134 and a guide protrusion 123 may be provided to guide the direction in which the sliding member 130 reciprocates in the frame 120 .

도 6은 도 5의 B-B' 방향 단면도이다.6 is a BB′ direction cross-sectional view of FIG. 5 .

가이드 홀(134)은 제1 지점(310, 도 5참조)에서 제2 지점(320, 도 5참조)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부재(130)에 특정 길이만큼 구비될 수 있다.The guide hole 134 may be provided in the sliding member 130 by a specific length along a direction from the first point 310 (see FIG. 5) to the second point 320 (see FIG. 5).

안내돌기(123)는 프레임(120)의 가이드 홀(134)과 상응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가이드 홀(134)과 맞물릴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130)가 제1 지점(310, 도 5참조)에 위치하는 경우 안내돌기(123)는 가이드 홀(134)의 하단에, 슬라이딩 부재(130)가 제2 지점(320, 도 5참조)에 위치하는 경우 안내돌기(123)는 가이드 홀(134)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The guide protrusion 123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uide hole 134 of the frame 120 and may be engaged with the guide hole 134 . When the sliding member 130 is located at the first point 310 (see FIG. 5), the guide protrusion 123 is at the lower end of the guide hole 134 and the sliding member 130 is at the second point 320 (see FIG. 5). ) When located at the guide protrusion 123 may be located at the top of the guide hole 134.

이때 안내돌기(123)의 직경과 가이드 홀(134)의 폭은 일치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iameter of the guide protrusion 123 and the width of the guide hole 134 may match.

안내돌기(123)의 단부에는 슬라이딩 부재(130)가 프레임(12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막기 위해 안내돌기(123)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고정나사(1231)를 포함할 수 있다.A fixing screw 1231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guide protrusion 123 may be included at an end of the guide protrusion 123 to prevent the sliding member 13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rame 120 .

안내돌기(123)에 슬라이딩 부재(130)의 가이드 홀(134)이 안착되도록 결합 후 고정나사(1231)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It may be manufactured in such a way that the fixing screw 1231 is coupled after coupling so that the guide hole 134 of the sliding member 130 is seated on the guide protrusion 123 .

도 7은 도 5의 C-C' 방향 단면도이다.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direction C-C′ of FIG. 5 .

가이드 홀(134) 및 안내돌기(123)의 결합 이외에 슬라이딩 부재(130)의 왕복 운동을 인도하기 위한 추가적인 부재로 걸림 핀(135) 및 걸림 홀(124)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coupling of the guide hole 134 and the guide protrusion 123, a locking pin 135 and a locking hole 124 may be provided as additional members for guiding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sliding member 130.

걸림 핀(135)은 슬라이딩 부재(130)에서 전면 방향, 즉, 슬라이딩 부재(130)가 고정된 프론트 케이스(121)의 배면을 향해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The locking pin 135 may protrude from the sliding member 130 in the front direction, that is, toward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case 121 to which the sliding member 130 is fixed.

프론트 케이스(121)는 배면에 걸림 핀(135)의 위치에 대응하여 걸림 홀(124)이 구비될 수 있다.A locking hole 124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case 121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locking pin 135 .

슬라이딩 부재(130)가 제1 지점(310, 도 5참조)과 제2 지점(320, 도 5참조) 사이를 왕복하는 경우 걸림 핀(135)이 걸림 홀(124)을 따라 같이 왕복할 수 있고, 특히, 슬라이딩 부재(130)가 제1 지점(310, 도 5참조)과 제2 지점(320, 도 5참조) 사이를 넘지 않도록 제한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sliding member 130 reciprocates between the first point 310 (see FIG. 5) and the second point 320 (see FIG. 5), the locking pin 135 can reciprocate together along the locking hole 124, , In particular, it may serve to limit the sliding member 130 so as not to cross between the first point 310 (see FIG. 5) and the second point 320 (see FIG. 5).

지지 스탠드(210)를 프레임(120)에서 분리시킬 때 슬라이딩 부재(130)를 조작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부재(130)의 후면에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가변 손잡이(140)가 구비될 수 있다.When the support stand 210 is separated from the frame 120, a variable handle 140 that a user can hold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sliding member 130 so that the sliding member 130 can be manipulated.

가변 손잡이(140)는 슬라이딩 부재(130)와 하나의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별도의 부재로 생성되어 결합될 수 있다.The variable knob 140 may be formed as a single member with the sliding member 130, or may be formed as a separate member and combined.

지지 스탠드(210)와 프레임(120)이 결합된 상태에서, 가변 손잡이(140)를 하단으로 슬라이드 하여 슬라이딩 부재(130)를 제2 지점(320)으로 이동 시키면 걸림 홀(124)에 구속되어 있던 걸림돌기(221)의 구속이 해제된다. 이때 프레임(120)을 지지 스탠드(210)로부터 분리 시킬 수 있다(도 3참조).When the sliding member 130 is moved to the second point 320 by sliding the variable handle 140 to the bottom while the support stand 210 and the frame 120 are coupled, The restraint of the protrusion 221 is released. At this time, the frame 120 may be separated from the support stand 210 (see FIG. 3).

도 8은 도 4의 M영역 확대도이다.8 is an enlarged view of region M of FIG. 4 .

전술한 바와 같이 리어 케이스(122)는 프론트 케이스(121)의 배면에 고정된 슬라이딩 부재(130)를 커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ear case 122 may cover the sliding member 130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case 121 .

리어 케이스(122)에서 상기 가변 손잡이(140)와 대응되는 영역에는 가변 손잡이(140)가 리어 케이스(122)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제1 개구부(125)를 형성할 수 있다.A first opening 125 may be formed in a region of the rear case 122 corresponding to the variable handle 140 so that the variable handle 14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rear case 122 .

또한 지지 스탠드(210)의 걸림돌기(221)와 슬라이딩 부재(130)의 제1 경사면(131)이 직접적으로 맞닿아야 하므로 슬라이딩 부재(130)의 제1 경사면(131)을 리어 케이스(122)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2 개구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otrusion 221 of the support stand 210 and the first inclined surface 131 of the sliding member 130 must come into direct contact, the first inclined surface 131 of the sliding member 130 is placed on the rear case 122. A second opening 126 exposed to the outside may be included.

특히 이러한 제1 개구부(125)는 리어 케이스(122) 중 안착부(127)에 형성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first opening 125 may be formed in the seating portion 127 of the rear case 122 .

리어 케이스(122)의 안착부(127)는 지지 스탠드(210)의 결합부(220)를 안정적으로 안착시키고, 걸림돌기(221)와 슬라이딩 부재(130)의 제1 경사면(131)이 정확하게 맞물릴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seating part 127 of the rear case 122 stably seats the coupling part 220 of the support stand 210, and the protrusion 221 and the first inclined surface 131 of the sliding member 130 are precisely matched. It can play a role as a guide to be bitten.

안착부(127)의 두께는 결합부(220)의 두께와 일치하여 지지 스탠드(210)가 프레임(120)에 완전히 결합한 경우 리어 케이스(122)의 배면과 지지 결합부(220)의 면은 동일 면을 형성할 수 있다(도 4참조).The thickness of the seating portion 127 is identical to the thickness of the coupling portion 220, so that when the support stand 210 is completely coupled to the frame 120,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case 122 and the surface of the support coupling portion 220 are the same. A surface can be formed (see FIG. 4).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지지 스탠드(210)의 결합부(220)를 도시한 것이다.9 shows a coupling part 220 of the support stand 21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지지 스탠드(210, 도 4참조)의 결합부(220)는 내측 프레임(223) 및 프레임 커버(224)의 두 부재가 결합할 수 있다. 내측 프레임(223)의 경우 슬라이딩 부재(130)와 직접적으로 맞닿는 걸림돌기(221)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충분항 강성을 가질 필요가 있으며, 마모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내측 프레임(223)의 재료는 메탈을 포함할 수 있다.Two members of the inner frame 223 and the frame cover 224 may be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220 of the support stand 210 (see FIG. 4). Since the inner frame 223 may include the protrusion 221 that directly contacts the sliding member 130, it needs to have sufficient rigidity and minimize wear. Therefore, the material of the inner frame 223 may include metal.

프레임 커버(224)는 끼워맞춤 또는 나사 결합에 의해 내측 프레임(223)과 결합할 수 있다. 프레임 커버(224)의 재료는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frame cover 224 may be coupled to the inner frame 223 by fitting or screwing. The material of the frame cover 224 may include a material such as polycarbonate.

걸림돌기(221)는 결합부(22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The protrusion 221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upling part 220 .

결합부(220)의 타측에는 후크부(222)가 구비되어 결합부(220)의 양측이 프레임(120)의 안착부(127)에 걸릴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 hook portion 222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upling portion 220 so that both sides of the coupling portion 220 can be caught on the mounting portion 127 of the frame 120 .

도 4를 참조하면, 안착부(127)의 후크부(222)에 대응되는 위치에 후크 홀(128)이 생성될 수 있다. 걸림돌기(221)와 안착 홀(133)이 고정되기 이전에 후크부(222)와 후크 홀(128)을 결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a hook hole 128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ook part 222 of the seating part 127 . The hook part 222 and the hook hole 128 may be coupled before the protrusion 221 and the mounting hole 133 are fixed.

결합부(220)와 안착부(127)의 양측이 동시에 결합 가능하므로 지지 스탠드(210)와 프레임(120)의 결합 신뢰도가 증가할 수 있다.Reliability of coupling between the support stand 210 and the frame 120 can be increased because both sides of the coupling part 220 and the seating part 127 can be simultaneously coupled.

도 10은 도 9의 D-D' 방향 단면도이다.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direction D-D′ of FIG. 9 .

걸림돌기(221)는 슬라이딩 부재(130)의 안착 홀(133)에 안착되어 고정되어야 하므로, 안착 홀(133) 까지 길이를 확보하기 위해 'ㄱ'자 형상으로 프레임(120) 배면을 향해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도 1참조). 따라서 걸림돌기(221)의 길이를 확보하기 위해 결합부(220)의 두께가 불필요하게 두꺼워 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Since the protrusion 221 must be seated and fixed in the seating hole 133 of the sliding member 130, it protrudes toward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120 in an 'L' shape to secure a length up to the seating hole 133. It may be provided (see FIG. 1).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upling part 220 from becoming unnecessarily thick in order to secure the length of the protrusion 221 .

걸림돌기(221)는 제1 경사면(131)에 상응하는 제2 경사면(2211)을 구비할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130)와 걸림돌기(221)가 맞물리는 경우 제1 경사면(131)과 제2 경사면(2211)을 마주보게 하여 맞닿는 면적을 최대로 함으로써 양 부재에 발생할 수 있는 마모를 최소화 할 수 있다.The protrusion 221 may have a second inclined surface 2211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131 . When the sliding member 130 and the protrusion 221 are engaged, the first inclined surface 131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211 face each other to maximize the contact area, thereby minimizing wear that may occur on both members. .

도 11은 도 9의 E-E' 방향 단면도이다.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direction E-E' of FIG. 9 .

내측 프레임(223)이 프레임 커버(224)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내측 프레임(223)은 커버 홀(226)을 포함하고, 프레임 커버(224)는 커버 홀(226)과 끼워 맞춤되는 커버 돌출부(227)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ner frame 223 includes a cover hole 226 so that the inner frame 223 can be easily coupled to the frame cover 224, and the frame cover 224 has a cover protrusion fitted with the cover hole 226. (227) may be included.

결합한 내측 프레임(223)은 커버 나사(225)를 통해 프레임 커버(224)에 고정될 수 있다.The combined inner frame 223 may be fixed to the frame cover 224 through cover screws 225 .

프레임 커버(224)는 프레임 커버 상하단(228)의 강성을 증가시키고 내측 프레임(223) 상하단을 고정시켜 상하 유동을 방지하는 상하 지지 리브(229)를 포함할 수 있다.The frame cover 224 may include upper and lower support ribs 229 that increase rigidity of the upper and lower ends 228 of the frame cover and fix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inner frame 223 to prevent vertical movement.

도 12는 도 9의 F-F' 방향 단면도이다.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direction F-F' of FIG. 9 .

프레임 커버(224) 좌우측에는 내측 프레임(223) 좌우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후크(231)가 구비될 수 있다. 내측 프레임(223)은 프레임 커버(224)를 향해 함몰된 턱을 포함하는 고정 단차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단차부(230)는 고정 후크(231)에 끼워질 수 있고, 고정 단차부(230)를 통해 고정 후크(231)의 길이가 불필요하게 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ixing hooks 231 for fixi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nner frame 223 may b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ame cover 224 . The inner frame 223 may include a fixed stepped portion 230 including a recessed jaw toward the frame cover 224 . The fixed step portion 230 may be inserted into the fixing hook 231 , and the length of the fixing hook 231 may be prevented from being unnecessarily long through the fixed step portion 230 .

프레임 커버(224)의 좌우 지지 리브(232)는 내측 프레임(223)의 좌우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The left and right supporting ribs 232 of the frame cover 224 may prevent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inner frame 223 .

안착부(127)에는 나사 홀(129)이 구비될 수도 있다. 걸림돌기(221)나 후크부(222)를 통해 결합부(220)를 고정시키는 방식이 아닌 나사 결합을 통해 지지 스탠드(210)와 프레임(120)을 결합할 수도 있다. 특히 이는 벽걸이형 지지 스탠드(210) 방식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사용될 수 있다.A screw hole 129 may be provided in the seating portion 127 . The support stand 210 and the frame 120 may be coupled through screw coupling instead of fixing the coupling portion 220 through the protrusion 221 or the hook portion 222 . In particular, it can be used for the display device 100 of the wall-mounted support stand 210 type.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디스플레이 장치 110: 디스플레이부
120: 프레임 1201: 제1 영역
1202: 제2 영역 121: 프론트 케이스
122: 리어 케이스 123: 안내돌기
1231: 고정나사 124: 걸림 홀
125: 제1 개구부 126: 제2 개구부
127: 안착부 128: 후크 홀
129: 나사 홀 130: 슬라이딩 부재
131: 제1 경사면 132: 복원 스프링
133: 안착 홀 134: 가이드 홀
135: 걸림 핀 136: 스프링 고정 돌기
140: 가변 손잡이 210: 지지 스탠드
220: 결합부 221: 걸림돌기
2211: 제2 경사면 222: 후크부
223: 내측 프레임 224: 프레임 커버
225: 커버 나사 226: 커버 홀
227: 커버 돌출부 228: 프레임 커버 상하단
229: 상하 지지 리브 230: 고정 단차부
231: 고정 후크 232: 좌우 지지 리브
241: 보강 부재 242: 손잡이
310: 제1 지점 320: 제2 지점
100: display device 110: display unit
120: frame 1201: first area
1202 second area 121 front case
122: rear case 123: guide protrusion
1231: fixing screw 124: locking hole
125: first opening 126: second opening
127: seating part 128: hook hole
129: screw hole 130: sliding member
131: first slope 132: recovery spring
133: seating hole 134: guide hole
135: holding pin 136: spring fixing protrusion
140: adjustable handle 210: support stand
220: coupling part 221: stumbling block
2211: second inclined surface 222: hook portion
223: inner frame 224: frame cover
225: cover screw 226: cover hole
227: cover protrusion 228: top and bottom of frame cover
229: upper and lower support ribs 230: fixed step
231: fixed hook 232: left and right support ribs
241: reinforcing member 242: handle
310: first point 320: second point

Claims (13)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배면에 위치하는 프레임;
일단이 상기 프레임의 배면에 착탈되는 지지 스탠드;
상기 지지 스탠드의 일단에 위치하며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결합부; 및
상기 프레임의 제1 지점과 제2 지점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평행한 상하 방향으로 왕복하고, 상기 제1 지점에 위치 시 상기 걸림돌기를 구속시키고, 상기 제2 지점에 위치 시 상기 걸림돌기의 구속을 해제하는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지지 스탠드를 상기 프레임의 배면에서 전면방향으로 가압 시 상기 걸림돌기와 맞닿아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상기 제1 지점에서 상기 제2 지점으로 이동하게 하는 제1 경사면과,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제1 경사면을 지나 안착되는 안착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isplay unit;
a frame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a support stand whose one end is detachable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a coupling part located at one end of the support stand and including a locking protrusion; and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of the frame reciprocate in a vertical direction parallel to the display unit, the locking protrusion is restrained when located at the first point, and the locking protrusion is released when positioned at the second point. Including; a sliding member to
The sliding member,
When the support stand is presse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in the front direction, a first inclined surfac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rotrusion to move the sliding member from the first point to the second point;
Th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ating hole in which the protrusion passes through the first inclined surface to be seat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제1 경사면에 상응하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tumbling block is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second inclin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상기 왕복 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 경사면이 상기 걸림돌기와 맞물릴 때 압축되고, 상기 안착 홀에 상기 걸림돌기가 위치하는 경우 상기 압축이 해제되는 복원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estoring spring provided in the reciprocating direction between the sliding member and the frame, compressed when the first inclined surface engages with the locking protrusion, and releasing the compression when the locking protrusion is located in the seating hole. A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제1 지점에서 상기 제2 지점 방향을 따라 구비된 가이드 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의 상기 가이드 홀에 상응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홀과 맞물리는 안내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liding member,
Further comprising a guide hole provided along a direction from the first point to the second point,
the frame,
The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guide protrusion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uide hole of the frame and engaged with the guide hole.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돌기의 단부에 결합하고 상기 안내돌기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포함하는 고정나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6,
and a fixing screw coupled to an end of the guide protrusion and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guide protrus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ㄱ'자 형상으로 상기 프레임 배면을 향해 돌출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tumbling block is
A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protrudes toward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in an 'L' shap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결합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결합부의 타측에 돌출 구비된 후크부; 및
상기 프레임의 배면의 상기 후크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후크 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tumbling block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upling part,
a hook portion protru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hook hole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ook part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고정하는 프론트 케이스; 및
상기 프론트 케이스 배면에 구비되어 결합부와 맞닿는 리어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 배면을 향해 돌출된 걸림 핀을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케이스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 배면의 상기 걸림 핀의 위치에 대응하여 구비된 상하 걸림 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rame,
a front case fixing the sliding member; and
Including; a rear cas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case and in contact with the coupling part,
The sliding member,
Including a locking pin protruding toward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case,
The front case,
The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upper and lower catching holes provided to correspond to positions of the catching pins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cas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고정하는 프론트 케이스; 및
상기 프론트 케이스 배면에 구비되어 결합부와 맞닿는 리어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리어 케이스는,
상기 스탠드의 결합부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rame,
a front case fixing the sliding member; and
Including; a rear cas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case and in contact with the coupling part,
The rear case,
The display device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coupling portion of the stand is seated.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나사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1,
Th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nting portion comprises a screw hol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가변 손잡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가변 손잡이를 외부로 노출시키고 상기 가변 손잡이의 이동 영역을 확보하는 손잡이 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liding member,
Further comprising a variable handle,
the frame,
The display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handle hole exposing the variable handle to the outside and securing a moving area of the variable handle.
KR1020150146849A 2015-10-21 2015-10-21 Display device KR1025199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849A KR102519915B1 (en) 2015-10-21 2015-10-21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849A KR102519915B1 (en) 2015-10-21 2015-10-21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467A KR20170046467A (en) 2017-05-02
KR102519915B1 true KR102519915B1 (en) 2023-04-10

Family

ID=58742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6849A KR102519915B1 (en) 2015-10-21 2015-10-21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991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3552B1 (en) 2019-01-22 2019-04-29 김숙자 Manicure container
CN113625481B (en) * 2021-08-18 2023-03-21 合肥惠科金扬科技有限公司 Display device assembly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KR20240009218A (en) * 2022-07-13 2024-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0938B1 (en) * 2005-08-31 2006-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781B1 (en) * 2009-03-02 2010-12-21 박선호 fixing instrument of multi vision display module
KR20110026655A (en) * 2009-09-08 2011-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Up-down unit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20130079164A (en) * 2011-12-22 2013-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0938B1 (en) * 2005-08-31 2006-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467A (en) 2017-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55938B2 (en) Slide rail assembly
KR102519915B1 (en) Display device
US9229484B2 (en) Electronic apparatus
USRE47957E1 (en) Keyswitch, keyboard and keyswitch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9740243B2 (en) Housing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WI495801B (en) Sliding mechanism and slider electronic apparatus therewith
KR102090435B1 (en) Plug module and smart tablet
US20060231667A1 (en) Electronic apparatus with detachable support
US20200014002A1 (en) Battery mounting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JP6125605B1 (en) Electronic device and expansion device for electronic device
KR102508193B1 (en) Input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CN110770493B (en) Holding piece
US9638231B2 (en) Detachable fixing mechanism and related electronic device
JP6210919B2 (en) Elevator operation panel and mounting method thereof
KR20150084569A (en) Bracket assembly
JP2015011694A (en)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appliance
CN108369874A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t least one illuminated push button and the method for assembling such device
JP5525490B2 (en) Cradle
US8711551B2 (en) Electronic device with multi-orientation
TW201739337A (en) Retaining mechanism for electronic device
TWM501596U (en) Keypress structure of adjustable pressing strok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keypress structure
JP5718307B2 (en) Detachable mechanism, cradle, and electronic device system
JP2008263058A (en) Mounting device of electronic equipment
TWI558299B (en) Electronic device
JP5362046B2 (en) Electron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