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9432B1 - Head-down type wearable augmented reality apparatus - Google Patents

Head-down type wearable augmented reality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9432B1
KR102519432B1 KR1020200071197A KR20200071197A KR102519432B1 KR 102519432 B1 KR102519432 B1 KR 102519432B1 KR 1020200071197 A KR1020200071197 A KR 1020200071197A KR 20200071197 A KR20200071197 A KR 20200071197A KR 102519432 B1 KR102519432 B1 KR 102519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user
augmented reality
optical system
wear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11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54053A (en
Inventor
최치원
정희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앤씨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앤씨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앤씨솔루션
Priority to KR1020200071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9432B1/en
Publication of KR20210154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405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4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9Display position adjusting means not related to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9Display position adjusting means not related to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02B2027/0187Display position adjusting means not related to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slaved to motion of at least a part of the body of the user, e.g. head, ey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다운 타입 착용형 증강현실 구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착용형 증강현실 구현 장치로서, 사용자가 목 및/또는 어깨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부; 상기 착용부와 연결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와 연결되며, 상기 착용부를 착용한 사용자가 고개를 숙인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증강현실을 제공하되, 고개를 숙인 사용자의 눈의 전방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증강현실 영상 광이 고개를 숙인 사용자의 눈에 도달되도록 하는 광학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헤드다운 타입 착용형 증강현실 구현 장치에 따르면, 사용자가 목 및/또는 어깨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부와, 고개를 숙인 사용자의 눈의 전방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증강현실 영상 광이 고개를 숙인 사용자의 눈에 도달되도록 하는 광학계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을 자유롭게 하면서도 사용자가 고개를 숙인 상태에서 증강현실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여, 고개를 숙이고 있을 때 장치의 무게로 인해 가해지는 피로감을 최소화하여 장시간 사용할 수 있고, 시야를 아래로 향하고 작업해야 하는 치과의사, 엔지니어 등 특정 직업군의 업무에 편안하게 증강현실을 적용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down type wearable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earable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device, comprising: a wearable part worn on a neck and/or shoulder by a user; a main body connected to the wearing part; And it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provides augmented reality to the user in a state where the user wearing the wearable part has his or her head down, and is disposed in front of the user's eyes with the head down, so that the augmented reality image light output from the display is directed toward the hea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optical system to reach the eyes of the user lying down.
According to the head-down type wearable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device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 wearable part that can be worn on the neck and/or shoulder by a user, and an augmentation output on a display are placed in front of the eyes of a user with his or her head down. By including an optical system that allows real image light to reach the eyes of a user with his/her head down, the user's head can move freely while providing augmented reality while the user's head is down, reducing the weight of the device when the user's head is down. It can be used for a long time by minimizing the fatigue caused by it, and augmented reality can be comfortably applied to the work of specific occupational groups such as dentists and engineers who have to work with the field of view facing downward.

Description

헤드다운 타입 착용형 증강현실 구현 장치{HEAD-DOWN TYPE WEARABLE AUGMENTED REALITY APPARATUS}Head-down type wearable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device {HEAD-DOWN TYPE WEARABLE AUGMENTED REALITY APPARATUS}

본 발명은 착용형 증강현실 구현 장치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헤드다운 타입 착용형 증강현실 구현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d-down type wearable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device.

디지털 디바이스의 경량화 및 소형화 추세에 따라 다양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일종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는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 등을 제공받을 수 있는 각종 디바이스를 의미한다. 여기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MD)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되어 사용자가 이동함에 따라서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MD)는 투과(see-through)형과 밀폐(see-closed)형으로 구분되고 있으며, 투과형은 주로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용으로 사용되고, 밀폐형은 주로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용으로 사용되고 있다.Various wearable devices are being developed according to the trend of light weight and miniaturization of digital devices. A head mounted display, which is a kind of wearable device, refers to various devices that can be worn on a user's head to receive multimedia contents and the like. Here, the head mounted display (HMD) is worn on the user's body and provides images to the user in various environments as the user moves. Head-mounted displays (HMDs) are classified into see-through and see-closed types. The see-through type is mainly used for Augmented Reality (AR), and the closed type is mainly used for virtual reality (VR). reality, VR).

도 1은 일반적인 안경 형태의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MD)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일반적인 밴드 형태의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MD)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안경 형태 또는 밴드 형태의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의 안면 또는 두부에 착용되어 투과되는 렌즈를 통해 실제 세계에 증강현실(AR)의 영상 정보를 투영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FIG. 1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general glasses-type head mounted display (HMD), and FIG. 2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general band-type head mounted display (HMD). As shown in FIGS. 1 and 2 , a head-mounted display in the form of general glasses or a band projects augmented reality (AR) image information to the real world through a lens that is worn on the user's face or head and transmits it. will be provided to the user.

이와 같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는 안경이나 고글 형태로 머리에 착용하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증강현실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머리에 쓰는 형태이기 때문에 무게가 무거우면 머리 움직임이 불편해지고 오래 착용할 수 없으므로, 충분한 크기의 배터리를 구성할 수 없거나 별도의 장치로 배터리를 구비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Since such a head-mounted display is worn on the head in the form of glasses or goggles, it has the advantage of stably providing augmented reality. However, since it is worn on the head, if the weight is heavy, head movement becomes uncomfortable and cannot be worn for a long time, so there is a problem that a battery of a sufficient size cannot be configured or a battery must be provided as a separate device.

또한, 시야를 아래로 향해야 하는 치과의사, 엔지니어 등 특정 직업군의 업무에 증강현실을 적용하고자 할 때,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는 그 무게로 인해 고개를 숙이고 있기에 피로감이 크기 때문에 사용에 어려움이 있는 한계가 있다.In addition, when applying augmented reality to the work of a specific occupational group, such as a dentist or an engineer, where the field of vision must be directed downward, the head-mounted display has a limit that makes it difficult to use because it is fatigued because the head is lowered due to its weight. there is.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공개특허 제10-2016-0032656호(발명의 명칭: 증강현실을 위한 광학장치, 공개일자: 2016년 03월 24일) 등이 개시된 바 있다.On the other hand, as a prior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32656 (title of invention: optical device for augmented reality, publication date: March 24, 2016) has been disclosed.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목 및/또는 어깨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부와, 고개를 숙인 사용자의 눈의 전방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증강현실 영상 광이 고개를 숙인 사용자의 눈에 도달되도록 하는 광학계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을 자유롭게 하면서도 사용자가 고개를 숙인 상태에서 증강현실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여, 고개를 숙이고 있을 때 장치의 무게로 인해 가해지는 피로감을 최소화하여 장시간 사용할 수 있고, 시야를 아래로 향하고 작업해야 하는 치과의사, 엔지니어 등 특정 직업군의 업무에 편안하게 증강현실을 적용할 수 있는, 헤드다운 타입 착용형 증강현실 구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eviously proposed methods, and is arranged in front of the user's eyes with a wearing part that can be worn on the neck and / or shoulder by the user, and the display By including an optical system that allows the output augmented reality image light to reach the eyes of a user with his or her head down, allowing the user to freely move the user's head while receiving augmented reality while the user's head is down, so that when the user's head is lowered A head-down type wearable that can be used for a long time by minimizing the fatigue caused by the weight of the device and can comfortably apply augmented reality to certain occupational groups such as dentists and engineers who have to work with their eyesight downward. Its purpose is to provide an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devic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헤드다운 타입 착용형 증강현실 구현 장치는,Head-down type wearable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착용형 증강현실 구현 장치로서,As a wearable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device,

사용자가 목 및/또는 어깨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부;a wearable part worn by a user on the neck and/or shoulder;

상기 착용부와 연결되는 본체; 및a main body connected to the wearing part; and

상기 본체와 연결되며, 상기 착용부를 착용한 사용자가 고개를 숙인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증강현실을 제공하되, 고개를 숙인 사용자의 눈의 전방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증강현실 영상 광이 고개를 숙인 사용자의 눈에 도달되도록 하는 광학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It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provides augmented reality to the user in a state where the user wearing the wearable part has his or her head down, but is disposed in front of the user's eyes with the head down, so that the augmented reality image light output from the display is lower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optical system to reach the user's eyes.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학계는,Preferably, the optical system,

바이저 형태로서 하단이 상기 착용부에 연결될 수 있다.In the form of a visor, a low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wearing part.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학계는, 빔 스플리터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Preferably, the optical system may be implemented by including a beam splitter.

바람직하게는,Preferably,

실제 세계와 함께 영상 정보가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화면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영상 광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display for outputting image light may be further included so that image information along with the real world can be provided on a screen optimized for the user.

더욱 바람직하게는,More preferably,

상기 착용부를 착용한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 정보를 수집하는 IMU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및a sensor unit including an IMU sensor that collects head movement information of a user wearing the wearable unit; and

상기 센서부에서 수집되는 머리 움직임 정보를 전달받아, 증강현실 영상 정보가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화면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증강현실 영상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로 전송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that receives head movement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sensor unit and generates augmented reality image information to transmit and control the generated augmented reality image information to the display so that the augmented reality image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o a screen optimized for the user.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부는,Even more preferably, the sensor unit,

상기 IMU 센서가 내장된 머리 착용 밴드 형태일 수 있다.The IMU sensor may be in the form of a head-worn band.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Even more preferably, the control unit,

상기 센서부에서 수집되는 머리 움직임 정보를 무선 통신으로 전달받을 수 있다.Head movement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sensor unit may be transmitte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더더욱 바람직하게는,Even more preferably,

상기 본체 또는 센서부에 장착되어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GPS 모듈;a GPS module mounted on the main body or the sensor unit to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상기 본체에 내장되며,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a power supply unit built into the body and supplying power;

상기 전원 공급부의 온/오프를 위한 스위치부; 및a switch unit for turning on/off the power supply unit; and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센서부, 다른 착용형 증강현실 구현 장치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that performs data communication with at least one of a sensor unit, another wearable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device, and a serv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헤드다운 타입 착용형 증강현실 구현 장치에 따르면, 사용자가 목 및/또는 어깨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부와, 고개를 숙인 사용자의 눈의 전방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증강현실 영상 광이 고개를 숙인 사용자의 눈에 도달되도록 하는 광학계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을 자유롭게 하면서도 사용자가 고개를 숙인 상태에서 증강현실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여, 고개를 숙이고 있을 때 장치의 무게로 인해 가해지는 피로감을 최소화하여 장시간 사용할 수 있고, 시야를 아래로 향하고 작업해야 하는 치과의사, 엔지니어 등 특정 직업군의 업무에 편안하게 증강현실을 적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head-down type wearable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device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 wearable part that can be worn on the neck and/or shoulder by a user, and an augmentation output on a display are placed in front of the eyes of a user with his or her head down. By including an optical system that allows real image light to reach the eyes of a user with his/her head down, the user's head can move freely while providing augmented reality while the user's head is down, reducing the weight of the device when the user's head is down. It can be used for a long time by minimizing the fatigue caused by it, and augmented reality can be comfortably applied to the work of specific occupational groups such as dentists and engineers who have to work with the field of view facing downward.

도 1은 일반적인 안경 형태의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MD)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밴드 형태의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MD)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종래의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다운 타입 착용형 증강현실 구현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다운 타입 착용형 증강현실 구현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다운 타입 착용형 증강현실 구현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다운 타입 착용형 증강현실 구현 장치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
1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general glasses-type head mounted display (HMD);
2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general band type head mounted display (HMD);
3 is a diagram illustrating problems of a conventional head-mounted display device;
4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ead-down type wearable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user wearing a head-down type wearable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d-down type wearable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view of a head-down type wearable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for part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actions.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include In addition, 'including' a certain componen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pecified.

도 3은 종래의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는 안경이나 고글 형태로 머리에 착용하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을 위한 전원 공급을 위해 머리 뒤쪽에 배터리를 장착하거나(도 3에서 머리 뒤쪽의 빗금친 박스), 팔이나 허리 등에 별도의 배터리를 구비하고 배터리와 해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를 유선으로 연결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도 3에서 케이블로 연결된 박스). 머리 뒤쪽에 배터리를 장착하게 되면 그 무게로 인해 머리 움직임이 어려워지고 오래 착용하기 힘들며 특히, 고개를 숙인 상태에서 작업하기는 더욱 어려운 한계가 있다. 또한, 유선으로 외부와 연결된 배터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유선 연결로 인해 동작이 제한되는 불편이 있다.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problems of a conventional head-mounted display device. As shown in FIG. 3, since the conventional head-mounted display device is worn on the head in the form of glasses or goggles, a battery is mounted on the back of the head to supply power for long-term use (hatched on the back of the head in FIG. 3). box), a separate battery is provided on the arm or waist,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battery and the head-mounted display device must be connected by wire (a box connected with a cable in FIG. 3). When the battery is mounted on the back of the head, its weight makes it difficult to move the head and makes it difficult to wear it for a long time, and in particular, it is more difficult to work with the head down. In addition, in the case of using a battery connected to the outside by wire,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operation is restricted due to the wired connection.

뿐만 아니라, 시야를 아래로 향해야 하는 치과의사, 엔지니어 등 특정 직업군이 업무에 증강현실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의 무게가 업무 피로도를 크게 높이기 때문에, 사용에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when a specific occupational group, such as a dentist or an engineer who needs to look downwards, applies augmented reality to work, it is difficult to use because the weight of the head-mounted display device greatly increases work fatigue.

도 4는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다운 타입 착용형 증강현실 구현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다운 타입 착용형 증강현실 구현 장치(100)는, 착용부(110), 본체(120) 및 광학계(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140), 센서부(150), 제어부(160), GPS 모듈(170), 카메라부(175), 전원 공급부(180), 스위치부(185) 및 통신부(1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4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ead-down type wearable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4 , the head-down type wearable augmented realit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earable part 110, a body 120, and an optical system 130. It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140, a sensor unit 150, a controller 160, a GPS module 170, a camera unit 175, a power supply unit 180, a switch unit 185, and a communication unit 190. can be configured.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다운 타입 착용형 증강현실 구현 장치(100)를 착용한 사용자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다운 타입 착용형 증강현실 구현 장치(100)는, 사용자가 착용부(110)를 통해 목 및/또는 어깨에 착용할 수 있는 형태로서, 착용한 사용자가 고개를 들고 있는 상태(헤드업 상태)에서는 증강현실 없이 맨눈으로 실제 세계를 인지할 수 있고(도 5의 좌측), 고개를 숙이고 있는 상태(헤드다운 상태)에서는 광학계(130)를 통해 실제 세계에 영상 정보가 결합한 증강현실을 체험할 수 있다(도 5의 우측).5 is a view showing a user wearing the head-down type wearable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 the head-down type wearable augmented realit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orn by a user on the neck and/or shoulder through the wearable part 110. As such, in a state where the wearer holds his head up (head-up state), the real world can be recognized with the naked eye without augmented reality (left side of FIG. 5), and in a state where the head is lowered (head-down state), the optical system (130 ), it is possible to experience augmented reality in which image information is combined with the real world (right side of FIG. 5).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다운 타입 착용형 증강현실 구현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ach component of the head-down type wearable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

착용부(110)는, 사용자가 목 및/또는 어깨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착용부(110)는 목에 본체(120) 및 광학계(130)를 걸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고, 어깨로 무게가 분산되도록 어깨 착용 가능한 밴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wearable part 110 is configured to be worn by a user on the neck and/or shoulder. The wearable part 110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main body 120 and the optical system 130 can be worn on the neck, and may further include a shoulder wearable band so that the weight is distributed to the shoulder.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다운 타입 착용형 증강현실 구현 장치(100)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다운 타입 착용형 증강현실 구현 장치(100)의 착용부(110)는, 본체(120) 및 광학계(130)를 사용자의 목 및/또는 어깨에 착용하기 위한 착용 밴드(111)와 사용자의 신체에 맞추어 착용 밴드(111)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1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착용 밴드(111)는 신축성이 있는 밴드 형태일 수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신체 굴곡에 맞추어 성형되며 본체(120)와 체결 고정이 쉬운 플라스틱, 금속, 합성섬유 등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 부재(112)는 벨크로, 단추, 길이 조절 가능한 신축성 밴드, 끈 등일 수 있다. 다만, 착용부(110)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체(120) 및 광학계(130)를 목과 어깨에 단단히 고정할 수만 있다면, 목걸이 형태, 넥밴드 형태, 목 베개 형태, 조끼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6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d-down type wearable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 the wearable part 110 of the head-down type wearable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the main body 120 and the optical system 130 to the user's neck and / or may include a wearing band 111 for wearing on the shoulder and a fixing member 112 for fixing the wearing band 111 according to the user's body. The wearing band 111 may be in the form of an elastic band, but according to embodiments, it is molded to fit the body curve and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plastic, metal, and synthetic fiber that are easy to fasten and fix with the main body 120. In addition, the fixing member 112 may be Velcro, a button, a length-adjustable elastic band, a string, or the like. However, the wearable part 110 is not limited to the shape shown in FIG. 6, and as long as the main body 120 and the optical system 130 can be firmly fixed to the neck and shoulder, a necklace type, a neckband type, or a neck pillow I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shape or a vest form.

본체(120)는, 착용부(110)와 연결되는 구성으로서, 내부에 디스플레이(140), 제어부(160), GPS 모듈(170), 전원 공급부(180), 통신부(190) 등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20)는, 착용부(110)와 탈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필요에 따라 분리하거나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의 신체 조건이나 취향에 따라 착용부(110)를 변경할 수도 있다.The main body 120 is a component connected to the wearable part 110, and includes components such as a display 140, a control unit 160, a GPS module 170, a power supply unit 180, and a communication unit 190 therein. can do. The main body 120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wearable part 110 so that it can be used by being separated or fastened as needed, and the wearable part 110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or taste.

광학계(130)는, 본체(120)와 연결되며, 착용부(110)를 착용한 사용자가 고개를 숙인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증강현실을 제공하되, 고개를 숙인 사용자의 눈의 전방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140)에서 출력되는 증강현실 영상 광이 고개를 숙인 사용자의 눈에 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광학계(130)는 사용자의 시야를 통한 실제 세계(real world)가 투과되어 보임과 동시에, 증강현실 영상 광을 사용자의 눈에 도달하도록 하여, 광학계(130)를 통해 투과되어 보이는 실제 세계와 함께 증강현실 영상 정보가 결합한 증강현실을 제공할 수 있다.The optical system 130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120 and provides augmented reality to the user while the user wearing the wearable unit 110 has his or her head down, is disposed in front of the user's eyes with the head down, and displays the optical system 130 . The augmented reality image light output from 140 may reach the eyes of the user with his/her head down. That is, the optical system 130 allows the real world through the user's field of view to be transmitted and seen, and the augmented reality image light to reach the user's eyes, so that the real world and the visible through the optical system 130 are transmitted. Togeth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ugmented reality combined with augmented reality image information.

특히, 도 5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계(130)는 착용부(110)를 착용한 사용자가 고개를 숙였을 때의 사용자 양안의 전방에 배치되어, 헤드다운 상태에서 증강현실을 제공할 수 있다. 헤드업 상태에서는 맨눈으로 실제 세계를 볼 수 있도록 광학계(130)의 크기, 착용 시 위치, 각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In particular, as shown on the right side of FIG. 5 , the optical system 130 is disposed in front of both eyes of the user when the user wearing the wearable part 110 lowers his or her head, providing augmented reality in a head-down state. can In the head-up state, the size, position, and angle of the optical system 130 may be adjusted so that the user can see the real world with the naked eye.

이때, 사용자가 착용부(110)를 착용하고 고개를 숙였을 때 광학계(130)와 사용자의 눈과의 거리나 각도가 최적화될 수 있도록, 본체(120)의 형태와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본체(120)의 형태와 크기뿐만 아니라, 본체(120)와 연결 고정되는 착용부(110)의 형태를 조절하여 광학계(130)와 사용자의 눈 사이의 거리 및 위치를 조절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shape and size of the main body 120 may be set so that the distance or angle between the optical system 130 and the user's eyes can be optimized when the user wears the wearable part 110 and lowers his or her head.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distance and position between the optical system 130 and the user's eyes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not only the shape and size of the main body 120, but also the shape of the wearable part 110 connected and fixed to the main body 120. may be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계(130)는, 바이저 형태로서 하단이 착용부(11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광학계(130)는, 빔 스플리터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5 and 6 , the optical system 130 has a visor shape and may have a lower end connected to the wearing part 110 . Also, the optical system 130 may be implemented by including a beam splitter.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다운 타입 착용형 증강현실 구현 장치(100)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다운 타입 착용형 증강현실 구현 장치(100)의 광학계(130)는, 빔 스플리터와 렌즈, 미러 등의 광학 요소들로 구성될 수 있다. 빔 스플리터를 이용한 광학계(130)는, 고글 등의 형태로 구현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에 주로 사용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광학계(130)의 방향을 변형하여 본체(120)에 위치한 디스플레이(140)에서 광학계(130) 방향으로 증강현실 영상 광을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헤드다운 타입 착용형 증강현실 구현 장치(100)를 구성할 수 있다. 그 밖에, 광학계(130)는 증강현실 구현이 가능한 다양한 방식의 광학계(130)로 구현될 수 있다.7 is a side view of the head-down type wearable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 the optical system 130 of the head-down type wearable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osed of optical elements such as a beam splitter, a lens, and a mirror. there is. The optical system 130 using a beam splitter may be mainly used in a head-mounted display device implemented in the form of goggles, etc.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system 130 is modified to display the display 140 located on the main body 120. By outputting the augmented reality image light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system 130, the head-down type wearable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device 100 may be configured. In addition, the optical system 130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optical systems 130 capable of implementing augmented reality.

디스플레이(140)는, 실제 세계와 함께 영상 정보가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화면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영상 광을 출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140)는 광학계(130)를 통해 사용자의 눈으로 영상 광이 입사될 수 있도록, 광학계(130) 방향으로 증강현실 영상 광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140)는 후술하게 될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각종 정보를 증강현실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영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0)는 본체(120)에 장착될 수 있으며,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140) 소자를 이용해 구현될 수 있다.The display 140 may output image light so that image information along with the real world may be provided to a user on a screen optimized for use. More specifically, the display 140 may output augmented reality image light toward the optical system 130 so that the image light may be incident to the user's eyes through the optical system 130 . The display 140 may output image information for provid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to a user based on augmented reality under the control of a controller 160 to be described later. The display 140 may be mounted on the body 120 and may be implemented using various display 140 elements such as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s).

센서부(150)는, 착용부(110)를 착용한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 정보를 수집하는 IMU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센서부(150)는, IMU 센서가 내장된 머리 착용 밴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IMU 센서가 내장된 머리 착용 밴드 형태로 구현된 센서부(150)를 착용하면,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을 정밀하게 파악하여 머리 움직임에 따라 최적화된 증강현실 영상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The sensor unit 150 may include an IMU sensor that collects head movement information of a user wearing the wearable unit 110 . In this case, the sensor unit 15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head-worn band in which an IMU sensor is embedded. That is, as shown in FIGS. 5 and 7 , when the user wears the sensor unit 150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head-worn band having an IMU sensor, the user's head movement is accurately identified and optimized according to the head movement. Augmented reality image information may be provided.

또한, 센서부(150)는 사용자의 동공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동공 인식 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동공 인식 센서는 광학계(130)의 위쪽 말단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고개를 숙였을 때 사용자의 동공 위치를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사용자 동공 위치를 제어부(160)에 전달하여 사용자가 바라보는 위치나 바라보는 대상에 따라 증강현실 영상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or unit 150 may further include a pupil recognition sensor for detecting a pupil position of the user. The pupil recognition sensor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optical system 130 to precisely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user's pupil when the user lowers his or her head, and transmits the position of the user's pupil to the control unit 160 to determine where the user is looking or where the user is looking. Augmented reality image information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a viewing object.

그밖에, 센서부(150)는 주변의 이산화탄소 농도, 유해물질 농도, 온도, 습도, 조도 등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수집된 정보를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or unit 150 may include various sensors capable of collecting information such as ambient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concentration of harmful substances, temperature, humidity, and illumination, and may transmit the collected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160. .

제어부(160)는, 센서부(150)에서 수집되는 머리 움직임 정보를 전달받아, 증강현실 영상 정보가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화면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증강현실 영상 정보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140)로 전송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50)에서 수집되는 동공 위치, 이산화탄소 농도, 유해물질 농도, 온도, 습도, 조도 등의 정보를 전달받아 이를 분석하고, 사용자에게 필요한 증강현실 영상 정보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140)에 전송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60 receives the head movement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sensor unit 150, generates augmented reality image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display 140 so that the augmented reality image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o the user as an optimized screen. You can control it. In addition, information such as pupil location,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harmful substance concentration, temperature, humidity, and illuminance collected by the sensor unit 150 is received and analyzed, and augmented reality image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user is generat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140. can transmit

이때, 제어부(160)는, 센서부(150)에서 수집되는 머리 움직임 정보를 무선 통신으로 전달받을 수 있다. 따라서 센서부(150)가 머리 착용 밴드 형태로 구현되더라도, 사용자는 머리 움직임에 불편함 없이 최적화된 증강현실 영상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 등 근거리 무선 통신을 사용할 수 있으며, Wifi, 이동통신망, 3G/4G/5G 및 LTE를 포함하는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ler 160 may receive head movement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sensor unit 15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erefore, even if the sensor unit 150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band worn on the head, the user may be provided with optimized augmented reality image information without discomfort in head movement. At this tim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sed may use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and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including Wifi,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3G / 4G / 5G and LTE may be used.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다운 타입 착용형 증강현실 구현 장치(100)는, 본체(120) 또는 센서부(150)에 장착되어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GPS 모듈(170), 본체(120) 또는 센서부(150)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시선 방향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착용형 증강현실 구현 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80), 전원 공급부(180)의 온/오프를 위한 스위치부(185), 및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센서부(150), 다른 착용형 증강현실 구현 장치(100)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head-down type wearable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PS module 170 mounted on the main body 120 or the sensor unit 150 to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the main body 120 or a camera mounted on the sensor unit 150 to capture an image in the direction of the user's gaze, a power supply unit 180 for supplying power for driving the wearable augmented reality device 100, and a power supply unit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at least one of the sensor unit 150, another wearable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device 100, and a server under the control of the switch unit 185 for on/off of the unit 180 and the control unit 160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190.

여기서, GPS 모듈(170)은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고, 카메라부(175)는 사용자가 바라보는 시선의 실제 세계를 촬영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GPS 모듈(170), 카메라부(175), 그 외 각종 센서에서 수집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영상 정보를 생성해 디스플레이(140)로 전송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증강현실을 통해 외부 환경에 대한 추가 정보 등을 최적화된 화면으로 전달받도록 할 수 있다.Here, the GPS module 170 may provide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camera unit 175 may capture the real world of the user's line of sight. The control unit 160 generates image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the user based on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GPS module 170, the camera unit 175, and other various sensors, and controls the image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display 140, so that the user can receive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environment through an optimized screen through augmented reality.

또한, 스위치부(185)는 전원 공급부(180)의 온/오프를 위한 스위치를 본체(120)의 일 측에 설치하거나, 또는 본체(120)와 유선으로 연결되는 별도의 디바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90)는 센서부(150), 다른 착용형 증강현실 구현 장치(100) 및 서버와 연동하여 연결 접속되고, 위치 정보, 센싱 정보 등 각종 정보가 서로 공유될 수 있도록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90)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3G/4G/5G 및 LTE를 포함하는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이 적용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witch unit 185 may install a switch for turning on/off the power supply unit 180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20 or may be formed in a separate device connected to the main body 120 by wire. . On the other hand, the communication unit 190 is linked and connected to the sensor unit 150, other wearable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devices 100 and servers, and performs data communication so that various information such as location information and sensing information can be shared with each other. can do. Here, it may be understood that the communication unit 190 applies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schemes including 3G/4G/5G and LTE capable of accessing the Internet.

이때, GPS 모듈(170), 카메라부(175), 전원 공급부(180), 통신부(190) 등은 본체(120)에 내장 또는 장착될 수 있는데 특히, 목과 어깨로 무게가 분산되는 본체(120)에 전원 공급부(180)를 내장 또는 장착함으로써, 머리 움직임이 편안하면서도 장시간 사용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t this time, the GPS module 170, the camera unit 175, the power supply unit 180, the communication unit 190, etc. may be embedded or mounted in the main body 120, in particular, the body 120 in which the weight is distributed to the neck and shoulders By embedding or mounting the power supply unit 180 in, there is an advantage of having a battery that can be used for a long time while the head movement is comfortabl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헤드다운 타입 착용형 증강현실 구현 장치(100)에 따르면, 사용자가 목 및/또는 어깨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부(110)와, 고개를 숙인 사용자의 눈의 전방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140)에서 출력되는 증강현실 영상 광이 고개를 숙인 사용자의 눈에 도달되도록 하는 광학계(130)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을 자유롭게 하면서도 사용자가 고개를 숙인 상태에서 증강현실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여, 고개를 숙이고 있을 때 장치의 무게로 인해 가해지는 피로감을 최소화하여 장시간 사용할 수 있고, 시야를 아래로 향하고 작업해야 하는 치과의사, 엔지니어 등 특정 직업군의 업무에 편안하게 증강현실을 적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head-down type wearable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device 100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earable part 110 that can be worn on the neck and/or shoulder by the user, and the By including an optical system 130 that is disposed in front of the eyes and allows the augmented reality image light output from the display 140 to reach the eyes of the user with the head down, while the user's head is free to move, while the user has the head down By providing augmented reality, it is possible to use it for a long time by minimizing the fatigue caused by the weight of the device when the head is down, and it is comfortable for certain occupational groups such as dentists and engineers who have to work with their eyesight downward augmented reality can be applied.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variously modified or appl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100: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착용형 증강현실 구현 장치
110: 착용부
111: 착용 밴드
112: 고정 부재
120: 본체
130: 광학계
140: 디스플레이
150: 센서부
160: 제어부
170: GPS 모듈
175: 카메라부
180: 전원 공급부
185: 스위치부
190: 통신부
100: wearable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wearing part
111: wearing band
112: fixed member
120: body
130: optical system
140: display
150: sensor unit
160: control unit
170: GPS module
175: camera unit
180: power supply
185: switch unit
190: Ministry of Communications

Claims (8)

사용자가 고개를 들고 있는 헤드업 상태에서는 증강현실 없이 맨눈으로 실제 세계를 인지할 수 있고, 고개를 숙이고 있는 헤드다운 상태에서는 실제 세계에 영상 정보가 결합한 증강현실을 체험할 수 있는, 헤드다운 타입 착용형 증강현실 구현 장치(100)로서,
사용자가 목 및/또는 어깨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부(110);
상기 착용부(110)와 연결되는 본체(120);
상기 착용부(110)를 착용한 사용자가 고개를 숙인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증강현실을 제공하되, 고개를 숙인 사용자의 눈의 전방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140)에서 출력되는 증강현실 영상 광이 고개를 숙인 사용자의 눈에 도달되도록 하는 광학계(130);
상기 본체(120)에 비치되며, 실제 세계와 함께 영상 정보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상기 광학계(130) 방향으로 증강현실 영상 광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140);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 정보를 수집하는 IMU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150); 및
상기 센서부(150)에서 수집되는 머리 움직임 정보를 전달받아, 증강현실 영상 정보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증강현실 영상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140)로 전송 제어하는 제어부(160)를 포함하며,
상기 광학계(130)는,
바이저 형태로서, 바이저의 하단이 상기 본체(120) 및 착용부(110)에 연결되어,
헤드업 상태에서는 맨눈으로 실제 세계를 볼 수 있고 헤드다운 상태에서는 상기 광학계(130)를 통해 증강현실이 제공되며,
상기 센서부(150)는,
상기 IMU 센서가 내장되며 상기 본체(120)와 분리된 머리 착용 밴드(111); 및
사용자의 동공 위치를 파악하며, 바이저 형태인 상기 광학계(130)의 위쪽 말단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고개를 숙였을 때 사용자의 동공 위치를 파악해 상기 제어부(160)에 전달하는 동공 인식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머리 착용 밴드(111)의 IMU 센서에서 수집되는 머리 움직임 정보를 무선 통신으로 전달받고, 상기 머리 움직임 정보와 상기 동공 인식 센서에서 전달받은 사용자의 동공 위치를 이용해 상기 증강현실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다운 타입 착용형 증강현실 구현 장치(100).
Wearing a head-down type in which the user can perceive the real world with the naked eye without augmented reality when the user is in a head-up state, and in a head-down state where the user's head is lowered, can experience augmented reality that combines image information with the real world. As a type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device 100,
a wearable part 110 that can be worn on the neck and/or shoulder by a user;
a main body 120 connected to the wearing part 110;
In a state where the user wearing the wearing unit 110 has his head down, augmented reality is provided to the user, but the augmented reality image light output from the display 14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eyes of the user with his or her head down. An optical system 130 that reaches the eyes of a user lying down;
a display 140 installed in the main body 120 and outputting augmented reality image light toward the optical system 130 so that image information along with the real world can be provided to the user;
a sensor unit 150 including an IMU sensor that collects user's head movement information; and
Includes a controller 160 that receives head movement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sensor unit 150, generates augmented reality image information, and transmits and controls it to the display 140 so that the augmented reality image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o the user. and
The optical system 130,
In the form of a visor, the lower end of the visor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120 and the wearing part 110,
In the head-up state, the real world can be seen with the naked eye, and in the head-down state, augmented reality is provided through the optical system 130,
The sensor unit 150,
a head wearing band 111 in which the IMU sensor is embedded and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20; and
A pupil recognition sensor that detects the position of the user's pupil and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optical system 130 in the form of a visor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user's pupil when the user lowers his or her head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160,
The controller 160,
Receiving head movement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IMU sensor of the head worn band 111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generating the augmented reality image information using the head movement information and the user's pupil position transmitted from the pupil recognition sensor. Characterized in, the head-down type wearable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device 100.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계(130)는,
빔 스플리터를 포함하여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다운 타입 착용형 증강현실 구현 장치(100).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optical system 130,
Characterized in that implemented by including a beam splitter, head-down type wearable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device 100.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20) 또는 센서부(150)에 장착되어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GPS 모듈(170);
상기 본체(120)에 내장되며,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80);
상기 전원 공급부(180)의 온/오프를 위한 스위치부(185); 및
상기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센서부(150), 다른 착용형 증강현실 구현 장치(100)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9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다운 타입 착용형 증강현실 구현 장치(100).
According to claim 1,
a GPS module 170 mounted on the body 120 or the sensor unit 150 to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A power supply unit 180 built into the main body 120 and supplying power;
a switch unit 185 for turning on/off the power supply unit 180;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mmunication unit 190 that performs data communication with at least one of the sensor unit 150, another wearable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device 100, and a serv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60, Head-down type wearable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device (100).
KR1020200071197A 2020-06-11 2020-06-11 Head-down type wearable augmented reality apparatus KR1025194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197A KR102519432B1 (en) 2020-06-11 2020-06-11 Head-down type wearable augmented realit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197A KR102519432B1 (en) 2020-06-11 2020-06-11 Head-down type wearable augmented reality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4053A KR20210154053A (en) 2021-12-20
KR102519432B1 true KR102519432B1 (en) 2023-04-11

Family

ID=79034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1197A KR102519432B1 (en) 2020-06-11 2020-06-11 Head-down type wearable augmented reality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9432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1995A (en) 1999-05-10 2000-11-2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Neck mount type wearable display device
JP2001027738A (en) 1999-07-14 2001-01-30 Minolta Co Ltd Video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724A (en) * 1994-07-18 1996-02-02 Nintendo Co Ltd Shouldering supporter of image display device
KR102091520B1 (en) * 2014-03-25 2020-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IL237447B (en) * 2015-02-26 2018-01-31 Ashkenazi Asaf Wearable optical display system for unobstructed view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1995A (en) 1999-05-10 2000-11-2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Neck mount type wearable display device
JP2001027738A (en) 1999-07-14 2001-01-30 Minolta Co Ltd Video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4053A (en) 2021-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91644C (en) Methods and devices for demountable head mounted displays
US9696552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lightweight clip-on wearable device
JP6076099B2 (en) Glasses-type operating device and glasses-type operating system
US7249846B2 (en) Eyewear with an image projected off of an unassisted eyewear lens to the user
US11228738B2 (en) Head-mountable augmented vision system for displaying thermal images
CN104350412B (en) With the wearable device for outputting and inputting structure
US10838205B2 (en) Head mounte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program
US20160044981A1 (en) Weight-distributing headband for head-worn assembly
KR20210047972A (en) Display device
US11402063B2 (en) Wearable device
US11002437B2 (en) Head-mounted illumination devices
US20140375947A1 (en) Headset with comfort fit temple arms
CN216221898U (en) Head-mounted system, device and interface unit and hands-free switching system
KR102591589B1 (en) Wearable computing system of ar glasses using external computing device
KR102519432B1 (en) Head-down type wearable augmented reality apparatus
KR102410872B1 (en) Head mounted display device with projector mode
KR102316459B1 (en) Wireless augmented reality glasses device for providing subtitles in concert halls
KR20210116943A (en) An optical device with wider field of view using concave lens and a 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reof
JP6136162B2 (en) Head-mounte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head-mounted display device
KR102464751B1 (en) 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 to add vision correction lenses
US20200012112A1 (en) Multiple-Degree of Freedom Adjustable Discrete Type Near-Eye Display Device
KR102226639B1 (en) An optical apparatus with plural pin-mirrors and a 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reof
KR102329612B1 (en) An optical device with plural pin-holes and a 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 using thereof
KR102331938B1 (en) An optical device with wider field of view using convex lens and a 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reof
KR102619429B1 (en)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that automatically adjusts the inter-pupillary distance through eye track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