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9376B1 - 드론의 비행제어장치용 얼라인유닛 - Google Patents

드론의 비행제어장치용 얼라인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9376B1
KR102519376B1 KR1020210069977A KR20210069977A KR102519376B1 KR 102519376 B1 KR102519376 B1 KR 102519376B1 KR 1020210069977 A KR1020210069977 A KR 1020210069977A KR 20210069977 A KR20210069977 A KR 20210069977A KR 102519376 B1 KR102519376 B1 KR 102519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
panel
control device
flight control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9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1793A (ko
Inventor
김인
Original Assignee
(주)바로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로인 filed Critical (주)바로인
Priority to KR1020210069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9376B1/ko
Publication of KR20220161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1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론의 비행제어장치용 얼라인유닛에 관한 것으로, 드론의 비행을 위한 조정신호를 수신하여 드론을 제어하도록 마련된 비행제어장치(FC)의 설치 정밀성을 높이고, 비행제어장치(FC)의 설치오차로 인한 Z축 방향의 기울기나 평면상의 X, Y축 방향의 각도에 따른 비행제어장치(FC)의 전방향 교정이나 보정이 가능하여 드론의 직진성을 향상시킴에 따른 드론 비행 제어의 정밀성이 향상될 수 있고, 드론의 비행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방진부재를 통해 감쇠시켜 비행제어를 위한 비행제어장치(FC)의 오작동이나 설치위치의 변동 발생을 근본적으로 방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비행제어장치의 교정이나 보정 횟수를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한 장시간 드론 비행의 제어를 통해 특수한 목적의 작업을 빠르게 수행함은 물론 드론에 입문하는 초보자의 비행 습득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뛰어난 드론 조종사의 양성이 가능한 드론의 비행제어장치용 얼라인유닛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드론의 비행제어장치용 얼라인유닛{Alignment unit for drone flight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드론의 비행제어장치용 얼라인유닛에 관한 것으로, 드론의 비행조작에서 무선컨트롤의 신호를 받아 드론의 비행을 제어하는 비행제어장치(Flight Controller)의 설치 위치를 보정하여 드론의 직진성과 비행자세 및 비행조작의 정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드론의 비행제어장치용 얼라인 유닛에 관한 것이다.
드론은 조종사 없이 무선전파의 유도에 의해서 비행 및 조종이 가능한 비행기나 헬리콥터 모양의 군사용 무인항공기(UAV : unmanned aerial vehicle / uninhabited aerial vehicle)의 총칭이다. 2010년대를 전후하여 군사적 용도 외 방송용, 레져용, 완구용, 농업용 등 다양한 민간 분야에도 활용되고 있고, 다양한 가격대와 종류로 출시되고 있다.
최근에는 드론에 많은 관심으로 관련 산업의 폭발적 확장과 더불어 드론을 조정하기 위한 면허가 신설되고, 이러한 면허를 통해 다양한 산업분야에 다양한 기능의 드론이 투입되어 산업발전에 이바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드론은 앞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무인 항공기로 용도에 따라 표적드론(target drone), 정찰드론(reconnaissance drone, RQ) 또는 감시드론(surveillance drone), 다목적 드론(multi-roles drone, MQ) 등으로 구분된다.
상기 드론은 대부분이 군사용 목적이지만 다목적 드론은 최근 드론의 폭발적 인기와 더불어 다양한 형태로 발전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방송에서 다양한 컨텐츠를 촬영하기 위한 방법으로 드론이 사용되고 있고, 농업에서는 농약을 살포하는 데 사용되며, 산불 감시 및 소화를 위한 드론, 교통상황 중계하는 드론, 인명구조를 위한 드론, 개인 촬영 작품을 위한 드론 등 다양한 목적으로 드론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드론은 산업에 새로운 혁신으로 다가오고 있다.
이에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최근에는 무분별한 드론 조종으로 인한 국가방위의 위험요소를 줄이고, 드론으로 인한 위험성이 속속 드러나면서 특정 목적이나 완구류를 제외한 드론은 별도의 면허증을 획득하고, 면허증을 획득한 드론 조정사가 드론 비행전 신고를 통해 드론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실시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드론 면허증을 획득하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드론 조정을 교육받고 있다.
또한, 드론 자체가 아직까지는 전문적인 분야이기 때문에 드론 비용이 상당히 고가이고, 특수한 목적을 위해 제작되는 드론은 더더욱 고가로 일반인이 쉽게 구매하기에는 상당한 경제적 부담이 가중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드론을 자가 제작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 실정이다.
하지만, 이러한 드론은 공장에서 생산된 제품이든 자가 제작한 제품이던 간에 가장 핵심적인 부품의 결합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드론을 조정하기 위해서 구비해야 할 장비로는 간단하게는 무선 컨트롤러, 드론 2가지가 있다.
여기서, 드론은 중요한 장치가 설치되어 있어야만 무선컨트롤러의 제어신호를 받아 드론의 비행을 제어할 수 있는 데 이는 비행제어장치(FC : Flight Controller)로 드론은 무선컨트롤러(무선 조정기)의 수신기에서 드론에게 신호를 주면 비행제어장치(FC)를 거쳐 변속기(ESC ; Electronic Speed Controls)로 신호가 전달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안정적인 비행을 위해서는 FC의 성능에 따라 드론은 비행이 자유자재로 조작이 가능하다.
즉, 드론의 비행제어장치(FC)는 무선컨트롤러(무선조정기)에서 보내는 조정명령과 FC 내의 가속도 자이로센서, GPS센서, 지자기 센서 등의 정보에 따라 변속기(ESC)가 모터를 제어하도록 신호를 보내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정밀한 비행조작과 안정적인 비행을 위해서는 FC의 성능과 설치 정밀성이 상당히 중요하다.
이와 같은 드론의 비행은 일반적인 항공기와는 차별화된 것으로 헬리곱터와 같은 비행이 가능한 것으로, 전진, 후진, 좌우이동, 회전, 상하이동, 제자리 비행(호버링), 180도 내지는 360도 회전 등의 비행을 할 수 있다. 즉, 앞서 언급한 비행제어장치(FC)의 성능에 따라 상기와 같은 비행능력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상당히 중요한 구성품일뿐만 아니라 비행제어장치의 설치 정밀성이 떨어지면 상기 드론의 비행능력을 정밀하고 안정적인 비행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비행능력을 위해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비행제어장치의 성능과 설치의 정밀성이 요구되는 데, 비행제어장치의 성능은 경제적 부담이 가중될 수 있는 것으로, 탑재된 비행제어장치의 성능에 따라 비용이 달라지기 때문에 경제적 여유만 있다면 우수한 성능의 비행제어장치의 구매를 통해 대체가 가능하지만 설치의 정밀성은 비행제어장치를 드론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이기 때문에 이를 대체할 만한 장비가 아직까지는 없는 실정이다.
통상 비행제어장치(FC)에는 화살표나 "∧, △" 와 같은 표시가 인쇄되어 있다. 이는 비행제어장치(FC)의 전방향을 표시하면서 드론의 전방 기준이 되는 마킹으로 드론의 비행시, 가속도 자이로센서, GPS센서, 지자기 센서의 정보에 따라 드론이 목표 비행을 위해 나아가기 위한 전방 비행을 기준으로 비행제어장치를 설치해야만 드론이 다양한 비행동작 및 전방 비행이 삐뚤어지지 않고 가능하다. 즉, 비행제어장치를 드론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드론의 전후방이 일직선상에 비행제어장치가 설치되지 않고, 약간의 오차가 발생되면 드론은 실질적인 전방보다 오차에 의해 설치된 위치를 드론의 전방으로 인식하여 목표가 되는 전방으로의 비행과정에서 목표지점을 벗어난 위치로 비행하게 되기 때문에 초보 드론조종사의 경우에는 드론을 원하는 데로 조작이 어렵게 되고, 이로 인한 드론의 비행을 위한 모터의 구동 제어가 어렵게 되기 때문에 드론의 실질적 조정이 어렵게 된다.
가령 고도의 숙련된 기술을 가진 드론 조종사의 경우에는 오차를 인지하여 조정할 수는 있지만 이 역시 정밀한 조정은 불가능하게 되고, FC 자체에서 프로그램에 의해 오차범위를 보정한다고 하더라도 한계가 있어 비행제어장치의 드론 설치과정에서 전후방과 일직선상에 놓이는 정밀한 위치에 결합하기란 어렵기 때문에 이를 보정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드론의 목표지점으로의 직진성이 떨어지는 문제는 비행제어장치(FC)의 설치오류에 의한 문제가 대부분으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드론의 정면에 정확히 설치되지 않고 비뚤어져 설치되면 드론의 비행을 위한 프로펠러의 위치가 정확히 좌우대칭되어 구성되지 못하고 어느 한 측으로 치우치는 위치에 놓이게 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현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초보자에서 전문가까지 드론의 정밀한 비행을 위해서는 비행제어장치의 정확한 설치가 필요로하지만 사실상 정밀하게 조립하기란 어렵기 때문에 비행제어장치의 보정이 가능한 장치가 요구되는 것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비행제어장치 자체 프로그램을 통해 보정하는 구성은 소개되어 있지만 이는 프로그램상 미세한 조정만이 가능하기 때문에 실직적인 보정은 모터의 회전율을 달리하여 드론의 수평을 유지하는 것이 대부분으로 이와 같은 모터의 회전율을 달리하여 드론의 수평을 유지하는 방법은 모터에 과도한 부하와 짧은 시간 비행하는 드론의 특성상 빠른 에너지소모로 인해 비행시간을 단축하게 되고, 이는 곧 특수한 목적의 드론의 작업시간을 단축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드론의 수평유지, 비행 방향성, 드론조작의 정밀성을 제어하기 위한 비행제어장치는 설치 후에도 드론의 진동에 의해 최초 설치된 위치에서 벗어난 위치에 놓이기 때문에 비행제어장치의 보정 및 진동 상쇠를 통해 한 번 셋팅된 비행제어장치의 후 보정이 최소화되도록 하여 장 시간 드론 비행에도 드론의 비행 직진성과 다양한 모션의 비행, 정밀 비행이 가능하도록 요구되고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80073호, 등록일자 2018년 07월 13일.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21381호, 등록일자 2021년 02월 23일.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 드론의 비행을 위한 조정신호를 수신하여 드론을 제어하도록 마련된 비행제어장치의 설치 정밀성을 높이고, 비행제어장치의 설치오차로 인한 교정이나 보정이 가능하여 드론의 직진성을 향상시켜 드론 비행 제어의 정밀성이 향상될 수 있는 드론의 비행제어장치용 얼라인유닛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드론의 비행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감쇠시켜 비행제어를 위한 비행제어장치의 오작동이나 설치위치의 변동 발생을 근본적으로 방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비행제어장치의 교정이나 보정 횟수를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한 장시간 드론 비행의 제어를 통해 특수한 목적의 작업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는 드론의 비행제어장치용 얼라인유닛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비행제어장치용 얼라인유닛은 드론의 전방향과 후방향의 직선상에 위치되는 드론 상부면에 결합되고, 사각의 판체로 형성되어 사각의 판체 전후좌우측 모서리측이 상향 돌출되면서 하부면에 너트안치부(104)가 형성되는 방진받침부(102)가 형성되며, 방진받침부(102) 각각의 상면에는 너트안치부(104)까지 연통되는 조절통공(106)이 형성되는 고정판넬(100)과; 상기 고정판넬(100)과 대응되게 사각의 판체로 형성되어 고정판넬 상측으로 위치되고, 상기 조절통공(106)과 전후좌우의 동일수직선상에 전후좌우 대칭형성되는 조임통공(202)이 형성되며, 조임통공간의 내측 상부면에 원형궤적내에서 전후좌우대칭되게 관통형성된 볼트고정공(204)이 형성되어 비행제어장치(FC)의 수평유지를 위한 전후좌우 기울기를 교정하도록 마련된 기울기교정판넬(200)과; 드론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 고정판넬(100)을 거쳐 기울기교정판넬(200)을 통해 비행제어장치(FC)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고정판넬(100)과 기울기교정판넬(200) 사이에 결합되는 방진부재(300)와; 상기 기울기교정판넬(200)의 조임통공(202)을 거쳐 방진부재(300)를 통해 고정판넬(100)의 조절통공(106)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레벨볼트(402)가 구비되고, 상기 레벨볼트(402) 하단에 나사체결되어 레벨볼트의 이탈방지 및 레벨볼트의 레벨조정에 따른 위치고정이 되도록 마련된 레벨너트(404)로 형성된 레벨수단(400)과; 판체로 형성되어 상기 기울기교정판넬(200) 상부면에 안치되고, 안치된 동일 수평면상에서 좌우선회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에는 비행제어장치(FC)가 결합되며, 전후좌우로 상기 기울기교정판넬(200)의 볼트고정공(204) 간의 원형궤적에 일치되도록 마련된 장방형의 조절공(502)이 형성된 좌우선회 교정판넬(500)과; 상기 좌우선회 교정판넬(500)의 조절공(502)을 통해 관통결합되고, 상기 기울기교정판넬(200)의 볼트고정공(204)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좌우선회 교정판넬(500)이 볼트고정공(204) 간의 원형궤적에서 벗어나지 않고 선회되도록 마련되며, 좌우선회 교정판넬(500)의 좌우 선회 위치가 확정되면 확정된 위치에 좌우선회 교정판넬(500)이 기울기 교정판넬(200) 상에서 고정되도록 볼트로 마련된 가이드수단(60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방진부재(300)는 고정판넬(100)의 조절통공(106)이 형성된 방진받침부(102) 상면에 하단이 대응되고, 기울기교정판넬(200)의 조임통공(202)이 형성된 하면에 상단이 대응되어 레벨수단(400)에 의한 기울기교정판넬(200)의 조임통공(202)측 가압에 따라 압축 또는 복원되어 기울기교정판넬(200)이 고정판넬(100)측으로 기울기가 조정되도록 마련되고, 드론으로부터 진동이 상쇠되도록 원통형상으로 마련된 방진베이스와(310); 상기 방진베이스(310) 상측으로 일체로 구성되고, 드론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 기울기교정판넬(200)과 레벨수단(400)의 레벨볼트(402) 헤드부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조임통공(202)의 내경에 대응되게 상향 돌출형성되는 상단방진부(320)와; 상기 방진베이스(310) 하측으로 일체로 구성되고, 드론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 고정판넬(100)과 레벨수단(400)의 레벨볼트(402) 하단과 레벨너트(404)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조절통공(106)의 내경에 대응되게 하향 돌출형성되는 하단방진부(330)와; 상기 상단방진부(320)로부터 방진베이스(310), 하단방진부(330)로 관통형성되고, 레벨수단(400)의 레벨볼트(402)가 끼움결합되는 레벨볼트공(34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좌우선회 교정판넬(500)의 상부면에는 비행제어장치(FC)가 정확한 중심과 방향성을 가진 위치에 결합되도록 홈 또는 돌기로 형성되는 위치결정부(700)가 더 형성되어도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좌우선회 교정판넬(500)의 장방형의 조절공(502)은 비행제어장치(FC)가 전방을 향하도록 결합된 상태의 조절공 중심에서 ±3°각도의 길이로 조절공 간의 원형 궤적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드론의 비행을 위한 조정신호를 수신하여 드론을 제어하도록 마련된 비행제어장치(FC)의 설치 정밀성을 높이고, 비행제어장치(FC)의 설치오차로 인한 교정이나 보정이 가능하여 드론의 직진성을 향상시켜 드론 비행 제어의 정밀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드론의 비행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감쇠시켜 비행제어를 위한 비행제어장치(FC)의 오작동이나 설치위치의 변동 발생을 근본적으로 방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비행제어장치의 교정이나 보정 횟수를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한 장시간 드론 비행의 제어를 통해 특수한 목적의 작업을 빠르게 수행함은 물론 드론에 입문하는 초보자의 비행 습득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뛰어난 드론 조종사의 양성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비행제어장치용 얼라인유닛이 설치되는 드론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비행제어장치용 얼라인유닛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비행제어장치용 얼라인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비행제어장치용 얼라인유닛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비행제어장치용 얼라인유닛의 전후좌우 기울기 조절상태를 도시한 정면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비행제어장치용 얼라인유닛의 설치된 드론의 전체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비행제어장치용 얼라인유닛의 비행제어장치의 전방향 설치오차에 따른 좌우선회 조절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비행제어장치용 얼라인유닛이 좌우선회교정판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수의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비행제어장치용 얼라인유닛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비행제어장치용 얼라인유닛이 설치되는 드론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비행제어장치용 얼라인유닛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비행제어장치용 얼라인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비행제어장치용 얼라인유닛의 측면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비행제어장치용 얼라인유닛의 전후좌우 기울기 조절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비행제어장치용 얼라인유닛의 설치된 드론의 전체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비행제어장치용 얼라인유닛의 비행제어장치의 전방향 설치오차에 따른 좌우선회 조절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비행제어장치용 얼라인유닛이 좌우선회교정판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비행제어장치용 얼라인유닛은 비행제어장치의 드론 설치과정에서 발생되는 전방향 설치오차를 교정 및 보정하여 드론의 비행이 올바르고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창출한 것으로, 통상 비행제어장치(FC)의 상부면에 일반적으로 표시된 전방식별표시인 화살표 또는 "△, ∧" 와 같은 표시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표시는 드론이 비행에서 무선 컨트롤(무선 조정기)에 의해 전방으로 비행하기 위한 전방표시로서 비행제어장치의 전방과 드론의 전방이 일치되도록 표시된 식별표시이다. 따라서, 상기 표시방향이 가르키는 방향이 드론의 비행에서 전방방향으로 이를 바르게 비행제어장치와 드론이 일치되어야만 드론의 전후좌우 비행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비행제어장치를 드론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비행제어장치의 전방방향과 드론의 전방방향을 정확히 일치시키기란 상당히 어렵다. 결국 약간의 오차가 발생되어 설치되고, 간혹 의외로 설치가 정확히 이루어져 드론 비행에 큰 문제없이 비행이 가능한 경우도 있지만 계속해서 비행하다 보면 드론에서 발생되는 프로펠러와 공기역학에 따른 외부 충격으로 인해 드론의 전방 방향 비행의 방향성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어 초기 설치시 문제와 이후 비행과정에서의 비행제어장치의 정확한 X, Y, Z 축선상의 보정이나 교정이 필요하게 되어 본 발명의 드론의 비행제어장치용 얼라인유닛이 개발되었다.
본 발명의 비행제어장치용 얼라인유닛은 X, Y, Z 축선상에서 비행제어장치의 전방향 보정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드론의 전방 방향 비행의 직진성이 우수하여 초보 조종사도 드론 조종을 쉽게 할 수 있어 향후 산업분야에 널리 사용될 드론의 우수한 조종사 양성에도 가능하다. 또한, 사용과정에서 드론의 비행 방향성의 정밀성을 통해 원하는 작업을 보다 정확하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행제어장치의 오작동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드론의 방향성 보정에 따른 유지보수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비행제어장치용 얼라인유닛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행제어장치(FC)가 결합되어 드론에 설치되지만 종래에는 비행제어장치(FC)가 드론의 상부면에 직접설치되어 사실상의 보정이나 교정이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비행제어장치용 얼라인유닛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론의 상부면에 드론의 전방방향과 후방방향이 되는 일직선상에 결합되되, 고정판넬(100), 기울기교정판넬(200), 방진부재(300), 레벨수단(400), 좌우선회 교정판넬(500), 가이드수단(600)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판넬(100)은 드론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드론의 전방향과 후방향의 직선상에 위치되는 드론 상부면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넬은 사각의 판체로 형성되어 사각의 판체 전후좌우측 모서리측이 상향 돌출되면서 하부면에 너트안치부(104)가 요입형성되는 방진받침부(10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방진받침부(102) 각각의 상면에는 너트안치부(104)까지 연통되는 조절통공(106)이 형성된다.
상기 너트안치부(104)는 사각의 판체로 형성되는 고정판넬(100)의 모서리측에 방진받침부가 사각형상으로 돌출형성됨에 따라 2면이 막음되고, 2면은 외부로 개방된 사각형상으로 너트안치부가 형성되어 후술되는 레벨수단의 사각형상의 육면체로 형성되어 상기 너트안치부(104)에 대응된 상태에서 막음된 2면에 걸림되어 레벨너트가 레벨볼트의 나선회전에도 정위치되어 레벨볼트의 헤드에 의해 후술되는 기울기교정판넬의 Z축선상의 기울기 보정이 가능하다. 즉, 기울기의 보정은 비행제어장치의 평면상에서 X, Y축에 대한 Z축의 보정이 된다. Z축의 보정인 기울기 보정은 결과적으로는 비행제어장치의 수평을 유지하기 위한 보정이면서 드론의 비행과정에서 어느 한 측이 기울어진 상태로 비행할 경우 이를 확인하여 보정함으로써, 드론이 수평상태로 비행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비행제어장치가 왼쪽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되면 비행제어장치의 GPS센서 등의 정보가 기울어진 상태로 제공하게 되고, 이로 인해 비행제어장치에서는 이를 바로잡기 위해 자체 보정하여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로 인해 실제 드론은 오른쪽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비행하게 되면서 드론의 전방 비행에 따른 직진성에 오차가 발생되어 목표지점으로 드론이 비행하지 못하고, 목표지점을 벗어난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드론이 오른쪽으로 기울어져 비행하는 모습을 확인하면 드론 조종사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행제어장치가 설치된 비행제어장치용 얼라인장치의 오른쪽 레벨볼트를 조임하여 기울기를 조정함으로써, 드론의 정상적 비행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기울기의 보정에 대하여는 구성설명 후 다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기울기교정판넬(200)은 앞서 잠시 언급한 바와 같이, 드론의 비행제어장치의 수평을 유지하여 드론의 수평상태로 정상비행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비행제어장치의 평명상 X, Y 축 면상에 Z축상의 기울기를 보정한다. 이와 같은 상기 기울기교정판넬(200)은 상기 고정판넬(100)과 대응되게 사각의 판체로 형성되어 고정판넬 상측으로 위치되고, 상기 조절통공(106)과 전후좌우의 동일수직선상에 전후좌우 대칭형성되는 조임통공(202)이 형성된다. 또한, 조임통공간의 내측 상부면에 원형궤적내에서 전후좌우대칭되게 관통형성된 볼트고정공(204)이 형성되어 비행제어장치(FC)의 수평유지를 위한 전후좌우 기울기를 교정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방진부재(300)는 드론의 구동계의 작동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과 외부 환경요인에 따른 구동계의 진동에 대하여 비행제어장치로의 진동전달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드론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 고정판넬(100)을 거쳐 기울기교정판넬(200)을 통해 비행제어장치(FC)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고정판넬(100)과 기울기교정판넬(0200) 사이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상기 방진부재(30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진베이스(310), 상단방진부(320), 하단방진부(330), 레벨볼트공(340)으로 구성된다.
상기 방진베이스(310)는 드론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이 고정판넬(100)에 전달되고, 고정판넬(100)의 진동이 기울기교정판넬(200)로 전달되어 비행제어장치(FC)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성된 것으로, 상기 방진부재(300)는 고정판넬(100)의 조절통공(106)이 형성된 방진받침부(102) 상면에 하단이 대응되고, 기울기교정판넬(200)의 조임통공(202)이 형성된 하면에 상단이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방진베이스(310)는 레벨수단(400)에 의한 기울기교정판넬(200)의 조임통공(202)측 가압에 따라 압축 또는 복원되어 기울기교정판넬(200)이 고정판넬(100)측으로 기울기가 조정되도록 마련되고, 드론으로부터 진동이 상쇠되도록 원통형상으로 마련된다.
상기 상단방진부(320)는 후술되는 레벨수단의 레벨볼트가 고정판넬(100)까지 연통되어 있어 고정판넬(100)의 진동이 레벨볼트를 통해 기울기교정판넬(20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 상기 방진베이스(310) 상측으로 일체로 구성되고, 드론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 기울기교정판넬(200)과 레벨수단(400)의 레벨볼트(402) 헤드부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조임통공(202)의 내경에 대응되게 상향 돌출형성된다.
상기 하단방진부(320)는 전술한 상단방진부와 동일하게 형성된 구성으로 후술되는 레벨볼트의 하단이 고정판넬(100)의 조절통공(106)으로 연장되어 있어 고정판넬(100)의 진돌이 레벨볼트의 하단으로 전달되어 기울기교정판넬을 거쳐 비행제어장치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 상기 방진베이스(310) 하측으로 일체로 구성되고, 드론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 고정판넬(100)과 레벨수단(400)의 레벨볼트(402) 하단과 레벨너트(404)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조절통공(106)의 내경에 대응되게 하향 돌출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단방진부(33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레벨너트(404)로 전달되면 레벨너트와 레벨볼트의 결합이 헐거울 경우 레벨너트의 이탈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레벨너트로의 진동도 제한하게 된다.
상기 레벨볼트공(340)은 후술되는 레벨수단의 레벨볼트가 결합되어 레벨너트와 함께 방진베이스(310)를 기울기교정판넬(200)과 더불어 가압하여 압축 또는 가압이 해제됨에 따른 복원이 되도록 형성되면서 레벨볼트로의 드론 진동이 인가되지 않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상단방진부(320)로부터 방진베이스(310), 하단방진부(330)로 관통형성되고, 레벨수단(400)의 레벨볼트(402)가 끼움결합된다.
한편, 상기 레벨수단(400)은 기울기교정판넬(200)의 사각의 모서리측에 형성된 조절통공(202)을 통해 방진부재의 레벨볼트공에 결합되어 기울기교정판넬의 상부면에서 가압 및 해제하여 기울기교정판넬(200)이 고정판넬(100)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기울기교정판넬(200)의 조임통공(202)을 거쳐 방진부재(300)를 통해 고정판넬(100)의 조절통공(106)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레벨볼트(402)가 구비되고, 상기 레벨볼트(402) 하단에 나사체결되어 레벨볼트의 이탈방지 및 레벨볼트의 레벨조정에 따른 위치고정이 되도록 마련된 레벨너트(404)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레벨수단(400)의 레벨볼트(402)는 나선회전하면 레벨너트와의 간격 조절에 따라 레벨볼트(402)의 헤드 하부면에 걸림된 기울기교정판넬(200)의 상부면을 가압하게 되고, 기울기교정판넬(200)은 고정판넬(100)측으로 레벨볼트(402)의 축선을 따라 이동하면서 방진부재(300)의 방진베이스(310) 상부면을 가압하여 압축하게 된다.
이 때, 방진베이스의 탄성력은 상하로 작용하면서 레벨볼트에 의해 위치조정된 기울기교정판넬(200)은 조정된 위치에 고정되고, 레벨너트 역시 방진베이스(310)의 상하 탄성작용에 의해 풀림없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기울기교정판넬(200)의 고정판넬(100)측으로 기울기가 보정되게 되고, 이에 따라 비행제어장치(FC)의 Z축선의 기울기 보정이 가능하여 비행제어장치(FC)가 어느 한 측으로 기울어진 상태에 놓였을 때, 수평유지를 위한 기울기 조정이 가능하다.
즉, 사각의 모서리측에 각각 형성된 레벨볼트(402)의 회전을 통해 비행제어장치의 전후좌우측의 기울기 조절이 가능하게 되며, 이를 통해 비행제어장치의 수평을 보정할 수 있다.
상기 좌우선회 교정판넬(500)은 도 3 내지 도 5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행제어장치(FC)가 상부면에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기울기교정판넬 상부면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비행제어장치(FC)의 X, Y 축선상에서 좌우로 비행제어장치(FC)의 위치보정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것으로, 판체로 형성되어 상기 기울기교정판넬(200) 상부면에 안치되고, 안치된 동일 수평면상에서 좌우선회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에는 비행제어장치(FC)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좌우선회 교정판넬(500)은 전후좌우로 상기 기울기교정판넬(200)의 볼트고정공(204) 간의 원형궤적에 일치되도록 마련된 장방형의 조절공(502)이 형성되어 후술되는 가이드수단에 의해 좌우선회 보정과 보정된 위치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좌우선회 교정판넬(500)의 좌우선회는 조절공의 길이에 따라 결정된다. 여기서, 상기 조절공(502)은 볼트고정공(204)간의 원형궤적과 일치되는 원형궤적상의 전후좌우로 구성됨에 따라 좌우선회 교정판넬(500) 볼트고정공(204)의 원형궤적간에 선회작동하게 되고, 조절공(502)의 길이 역시 조절공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형궤적의 부채꼴 형상의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각도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우선회 교정판넬(500)의 장방형의 조절공(502)은 비행제어장치(FC)가 좌우선회 교정판넬(500)의 전방측과 일치되는 전방을 향하도록 결합된 상태의 조절공 중심에서 원형궤적의 중심을 기준으로 ±3°각도의 길이로 조절공 간의 원형 궤적내의 길이로 형성된다. 여기서, ±3°각도 보다 크게 형성되면 드론의 전방향 범위를 벗어나게 된다.
즉, 통상 드론의 구동계 프로펠러는 2개의 경우에는 180도 각도의 좌우방향에 배치되고, 4개의 경우에는 평면상의 X, Y 축선상에서 45도 각도로 배치되며, 6개일 경우에는 60°간에 배열하고, 8개일 경우에는 45°로 배열되는 특성상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 방향이 Y 축선의 90도 지점에서 변화되기 때문에 ±3°각도를 벗어난 길이로 조절공을 구성하게 되면 어느 한 측의 구동계 프로펠러로 완전히 편중되어 드론 제어가 사실상 불가능해지기 때문에 ±3°각도를 벗어나지 않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상기 가이드수단(6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좌우선회 교정판넬(500)의 좌우조절을 통해 비행제어장치(FC)의 전방 방향 설정이 보정할 경우 앞서 상술한 조절공(502)의 최대 조절각도를 벗어나지 않도록 안내하고, 보정된 위치의 좌우선회 교정판넬(500)을 고정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좌우선회 교정판넬(500)의 조절공(502)을 통해 관통결합되고, 상기 기울기교정판넬(200)의 볼트고정공(204)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좌우선회 교정판넬(500)이 볼트고정공(204) 간의 원형궤적에서 벗어나지 않고 선회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좌우선회 교정판넬(500)의 좌우 선회 위치가 확정되면 확정된 위치에 좌우선회 교정판넬(500)이 기울기 교정판넬(200) 상에서 고정되도록 볼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드론의 비행제어장치용 얼라인유닛은 드론을 조립하고, 이후 비행제어장치(FC)를 결합시, 비행제어장치(FC)에 표시된 전방 방향 표시와 드론의 전방이 될 위치와 일치되도록 하여 드론의 전후좌우 비행과 드론의 수평비행 등의 드론 비행의 정밀성과 정확성을 보정함에 따라 드론 조종사의 무선 컨트롤러(무선조종기)에 의한 조작에 있어 드론 조종사가 원하는 드론 비행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비행제어장치용 얼라인유닛을 통해 비행제어장치(FC)의 정확한 전방 방향 설치와 수평설치가 가능하고, 드론의 비행작동에서 드론의 불안정한 비행이나 무선 컨트롤러에 의한 조작과 상이한 비행시 이를 보정하여 드론 비행의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우선 비행제어장치(FC)를 좌우선회 교정판넬(500) 상부면에 결합한다. 여겨시 비행제어장치(FC)의 "∧" 표시가 가르키는 방향이 전방 방향 표시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비행제어장치(FC)의 "∧" 표시와 좌우선회 교정판넬(500)의 상부면의 어느 한 측면과 일치시켜 결합하되, 좌우 및 전후로 대칭되게 조절공(502)이 위치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비행제어장치(FC)와 좌우선회 교정판넬(500)을 결합하여 준비한 후, 고정판넬(100)을 드론의 상부면에 결합하되, 드론의 전방방향이 될 부분과 후방방향이 될 부분의 동일 직선상의 드론 상부면에 사각의 상기 고정판넬(100)의 전방과 후방의 직선상과 일치되게 결합한다.
다음으로, 다수의 방진부재(300)를 구비한 후, 하단방진부(330)를 각각의 조절통공(106)에 끼움결합하고, 기울기교정판넬(200)을 상기 고정판넬(100) 상측에 대응한다. 이때, 기울기교정판넬(200)의 조임통공(202)은 방진부재의 상단방진부(320)와 조절통공(106)과의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단방진부(320)가 조임통공(202)에 끼움결합되도록 기울기교정판넬(200)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밀어 끼움하여 결합한다.
다음으로, 레벨수단(400)의 레벨볼트(402)의 하단을 기울기교정판넬(200)에 형성된 조임통공(202)에 끼움결합된 상단방진부(320) 상측으로 위치한 후, 상단방진부(320)로부터 하단방진부(330)까지 관통된 레벨볼트공(340)을 통해 끼움결합한다. 여기서, 레벨볼트(402)의 두부 직경은 조임통공(20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어 레벨볼트의 나선회전에 따라 하향이동시, 기울기교정판넬(200)의 한 측을 하향이동시키면서 방진부재(300)의 방진베이스(310)를 가압하게 된다.
즉, 레벨볼트(402)의 나선 회전에 따라 상기 기울기교정판넬(200)의 하향이동 내지는 원상태 복귀가 가능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기울기교정판넬(200)의 수평불량일 경우 이를 조정하여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상단방진부(320)와 하단방진부(330)는 조임통공(202)과 조절통공(106)을 상하향 방향으로 벗어나게 결합된다. 즉, 상단방진부(320)와 하단방진부(330)는 기울기교정판넬이나 고정판넬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는 레벨수단(400)으로 드론 진동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상태에서 방진부재(300)의 레벨볼트공(340)으로 레벨볼트(402)를 결합하고, 고정판넬(100)의 방진받침부(102) 형성에 따라 마련되는 하부측 너트안치부(104)에 레벨너트(404)를 대응하여 레벨볼트와 레벨너트가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레벨볼트(402)의 두부 하부는 상단방진부(320)의 상부면에 대응되어 있어 실질적으로 기울기교정판넬(200)과의 접촉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드론의 진동이 전달되지 않게 된다. 또한, 레벨너트(404) 역시 레벨볼트(402) 하단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하단방진부(330)의 하부면에 접하여진 상태에 있어 드론으로부터 고정판넬로 전달되는 진동이 레벨수단(400)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진부재(300)에 의해 방지된다.
다음으로, 기울기교정판넬(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형의 궤적상에 형성되는 볼트고정공(204)에 동일한 원형궤적상의 조절공(502)을 형성한 좌우선회 교정판넬(500)을 대응한다. 여기서, 볼트고정공(204)에는 볼트로 형성되는 가이드수단(600)의 일단이 조절공(502)을 통해 결합되고, 상기 좌우선회 교정판넬(500)의 별도의 결합을 위한 구성없이 가이드수단(600)의 볼트고정공(204) 결합을 통해 상기 기울기교정판넬(200) 상부에 결합되어 좌우 조절 및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드론에 비행제어장치가 결합된 비행제어장치용 얼라인유닛이 결합되면 비행제어장치의 전방 방향과 드론의 전방 방향이 일치되는지 육안 검사를 진행하게 되고, 이 때, 정방 방향결합에 오차가 관찰되면 이를 바로 잡기 위해 좌우선회 교정판넬(500)의 조절공(502) 상에서 선회작동하여 비행제어장치(FC)의 전방방향과 드론의 전방 방향이 일치되도록 조정한 후, 가이드수단(600) 볼트를 완전 체결하여 좌우선회 교정판넬(500)이 기울기교정판넬(200) 상부면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후, 드론의 시험비행을 진행하게 된다. 시험비행에서 드론이 비행하면서 드론 조종사가 무선컨트롤러(무선 조종기)의 전방진행방향을 통한 목표지점에 정확히 도달하게 되면 드론에 설치된 비행제어장치(FC)는 올바르게 설치된 것이지만 글허지 못하고, 드론이 목표지점에서 오른쪽으로 약간 벗어난 위치로 도달되면 이는 비행제어장치(FC)가 오른쪽으로 약가 치우쳐 결합된 상태이기 때문에 이를 바로잡기 위해 조종사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행제어장치용 얼라인유닛의 가이드수단(600)인 볼트고정공(204)에 결합된 볼트를 풀어 좌우선회 교정판넬(500)이 조절공(502) 내에서 조절되도록 한다. 이후, 좌우선회 교정판넬(500)을 왼쪽으로 선회하여 오른쪽 치우치던 비행제어장치(FC)의 전방방향을 교정한 후, 다시 가이드수단(600)에 의해 좌우선회 교정판넬(500)이 기울기교정판넬(200) 상부에 고정됨에 따라 목표지점까지의 직진성을 그대로 유지한 상태로 보정이 되어 정확한 목표지점 도달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드론의 비행에 있어 전방방향으로의 직진성은 유지하고 있으나 드론이 어느 한 측으로 기울어져 비행하게 되면 이는 비행제어장치(FC)의 수평이 유지된 상태가 아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사실상 드론은 어느 한 측으로 치우친 상태로 비행하기 때문에 직진성 유지에도 어렵게 된다. 단지 기울임에 따른 직진성의 유지는 숙련되 조종사의 조작능력에 의해 해결되기 때문에 초보자에게는 이러한 기술 자체의 습득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보다 간편하게 비행제어장치(FC)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방법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벨볼트(402)의 나선조임에 따라 상단방진부(320)와 하단방진부(330)의 돌출된 부분이 레벨볼트(402)의 두부 하부면과 레벨너트(404)의 상부면에 의해 눌려지면서 각각 조임통공(202)과 조절통공(106)의 내중연에 억지끼움되고, 레벨볼트(402)는 계속해서 조임회전하면서 기울기교정판넬(200)의 일측이 고정판넬(100) 측으로 하향이동하도록 한다.
즉, 상기와 같은 작용으로 기울기교정판넬(200)의 전후좌우로 대칭형성된 레벨수단(400)의 레벨볼트(402) 조임 및 풀림에 따라 방진부재(300)의 가압압축 및 해제를 통해 기울기교정판넬(200)의 4방향의 하향조종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기울기교정판넬(200) 상부에 결합된 좌우선회 교정판넬(500)의 수평이 조정되게 되면서 비행제어장치(FC)의 수평을 조정하여 보정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드론이 비행과정에서 왼쪽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비행을 하면 이는 비행제어장치(FC)가 왼쪽으로 기울어지게 결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드론 조종사는 기울기교정판넬(200)의 오른쪽 조임통공(202)에 구성되는 레벨볼트(402)를 조임하여 기울기교정판넬(200)의 오른쪽 부분이 고정판넬(100) 측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좌우선회 교정판넬(500)의 수평을 유지하도록 보정한다.
따라서, 보정된 좌우선회 교정판넬(500)에 설치된 비행제어장치(FC)의 왼쪽 기울기가 오른쪽을 보정해줌에 따라 수평을 바로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드론의 비행제어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드론의 장시간 비행과정으로 인해 발생되는 비행오류를 간편하고 쉽게 보정할 수 있게 된다.
즉, 정리하면 드론 조종사의 무선컨트롤러(무선조종기)의 신호를 받아 드론의 비행제어하는 비행제어장치의 전방향 위치와 드론의 전방향 비행위치가 일치되도록 하고, 비행제어장치와 드론이 서로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여 드론 조종사의 무선컨트롤러 조작에 따른 드론의 비행제어가 정밀하게 제어될 수 있도록 드론의 전방향과 후방향의 직선상에 위치되는 상부면에 비행제어장치용 얼라인유닛이 결합되고, 상기 비행제어장치용 얼라인유닛 상단에 비행제어장치가 결합되며, 상기 비행제어장치의 전방향 표시와 드론의 전방향 비행과 일치되도록 상기 비행제어장치용 얼라인유닛에 의한 전후좌우 높이조절을 통해 드론의 전후좌우 기울기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여 비행제어장치의 수평을 조정하고, 조정된 수평상에서 비행제어장치의 전방향을 좌우선회를 통해 드론의 비행 전방향과 일치되는 방향으로 조정하도록 마련되어 드론 조종사의 드론 비행제어가 정밀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것이며, 각 산업분야에서도 드론의 정밀 제어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우선회 교정판넬(500)의 상부면에는 비행제어장치(FC)가 정확한 중심과 방향성을 가진 위치에 결합되도록 홈 또는 돌기로 형성되는 위치결정부(700)가 더 형성되어도 바람직하다. 즉, 위치결정부(700)를 정밀성 있게 형성하면 비행제어장치의 안착이 보다 정말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이를 통해 보다 안정적이며, 정확한 드론의 방향성을 가지도록 구성하여 교정의 번거로움이 없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수의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명백한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 균등범위까지 포함된다 할 것이다.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100 : 고정판넬 102 : 방진받침부
104 : 너트안치부 106 : 조절통공
200 : 기울기교정판넬 202 : 조임통공
204 : 볼트고정공 300 : 방진부재
310 : 방진베이스 320 : 상단방진부
330 : 하단방진부 340 : 레벨볼트공
400 : 레벨수단 402 : 레벨볼트
404 : 레벨너트 500 : 좌우선회 교정판넬
502 : 조절공 600 : 가이드수단
700 : 위치결정부

Claims (4)

  1. 삭제
  2. 드론의 전방향과 후방향의 직선상에 위치되는 드론 상부면에 결합되고, 사각의 판체로 형성되어 사각의 판체 전후좌우측 모서리측이 상향 돌출되면서 하부면에 너트안치부(104)가 형성되는 방진받침부(102)가 형성되며, 방진받침부(102) 각각의 상면에는 너트안치부(104)까지 연통되는 조절통공(106)이 형성되는 고정판넬(100)과; 상기 고정판넬(100)과 대응되게 사각의 판체로 형성되어 고정판넬 상측으로 위치되고, 상기 조절통공(106)과 전후좌우의 동일수직선상에 전후좌우 대칭형성되는 조임통공(202)이 형성되며, 조임통공간의 내측 상부면에 원형궤적내에서 전후좌우대칭되게 관통형성된 볼트고정공(204)이 형성되어 비행제어장치(FC)의 수평유지를 위한 전후좌우 기울기를 교정하도록 마련된 기울기교정판넬(200)과; 드론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 고정판넬(100)을 거쳐 기울기교정판넬(200)을 통해 비행제어장치(FC)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고정판넬(100)과 기울기교정판넬(200) 사이에 결합되는 방진부재(300)와; 상기 기울기교정판넬(200)의 조임통공(202)을 거쳐 방진부재(300)를 통해 고정판넬(100)의 조절통공(106)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레벨볼트(402)가 구비되고, 상기 레벨볼트(402) 하단에 나사체결되어 레벨볼트의 이탈방지 및 레벨볼트의 레벨조정에 따른 위치고정이 되도록 마련된 레벨너트(404)로 형성된 레벨수단(400)과; 판체로 형성되어 상기 기울기교정판넬(200) 상부면에 안치되고, 안치된 동일 수평면상에서 좌우선회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에는 비행제어장치(FC)가 결합되며, 전후좌우로 상기 기울기교정판넬(200)의 볼트고정공(204) 간의 원형궤적에 일치되도록 마련된 장방형의 조절공(502)이 형성된 좌우선회 교정판넬(500)과; 상기 좌우선회 교정판넬(500)의 조절공(502)을 통해 관통결합되고, 상기 기울기교정판넬(200)의 볼트고정공(204)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좌우선회 교정판넬(500)이 볼트고정공(204) 간의 원형궤적에서 벗어나지 않고 선회되도록 마련되며, 좌우선회 교정판넬(500)의 좌우 선회 위치가 확정되면 확정된 위치에 좌우선회 교정판넬(500)이 기울기 교정판넬(200) 상에서 고정되도록 볼트로 마련된 가이드수단(600);으로 형성되고, 상기 좌우선회 교정판넬(500)의 상부면에는 비행제어장치(FC)가 정확한 중심과 방향성을 가진 위치에 결합되도록 홈 또는 돌기로 형성되는 위치결정부(700)가 더 형성되되,
    상기 방진부재(300)는 고정판넬(100)의 조절통공(106)이 형성된 방진받침부(102) 상면에 하단이 대응되고, 기울기교정판넬(200)의 조임통공(202)이 형성된 하면에 상단이 대응되어 레벨수단(400)에 의한 기울기교정판넬(200)의 조임통공(202)측 가압에 따라 압축 또는 복원되어 기울기교정판넬(200)이 고정판넬(100)측으로 기울기가 조정되도록 마련되고, 드론으로부터 진동이 상쇠되도록 원통형상으로 마련된 방진베이스(310)와; 상기 방진베이스(310) 상측으로 일체로 구성되고, 드론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 기울기교정판넬(200)과 레벨수단(400)의 레벨볼트(402) 헤드부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조임통공(202)의 내경에 대응되게 상향 돌출형성되는 상단방진부(320)와; 상기 방진베이스(310) 하측으로 일체로 구성되고, 드론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 고정판넬(100)과 레벨수단(400)의 레벨볼트(402) 하단과 레벨너트(404)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조절통공(106)의 내경에 대응되게 하향 돌출형성되는 하단방진부(330)와; 상기 상단방진부(320)로부터 방진베이스(310), 하단방진부(330)로 관통형성되고, 레벨수단(400)의 레벨볼트(402)가 끼움결합되는 레벨볼트공(34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의 비행제어장치용 얼라인유닛.
  3. 삭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선회 교정판넬(500)의 장방형의 조절공(502)은 비행제어장치(FC)가 전방을 향하도록 결합된 상태의 조절공 중심에서 ±3°각도의 길이로 조절공 간의 원형 궤적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의 비행제어장치용 얼라인유닛.
KR1020210069977A 2021-05-31 2021-05-31 드론의 비행제어장치용 얼라인유닛 KR102519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977A KR102519376B1 (ko) 2021-05-31 2021-05-31 드론의 비행제어장치용 얼라인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977A KR102519376B1 (ko) 2021-05-31 2021-05-31 드론의 비행제어장치용 얼라인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1793A KR20220161793A (ko) 2022-12-07
KR102519376B1 true KR102519376B1 (ko) 2023-04-10

Family

ID=84440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9977A KR102519376B1 (ko) 2021-05-31 2021-05-31 드론의 비행제어장치용 얼라인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937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34969A1 (en) * 2009-11-13 2012-09-20 Parrot Navigation electronic card support for a rotary wing dron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38402B2 (en) * 2014-06-30 2017-08-22 The Boeing Company Flight test equipment installation system and method
KR101880073B1 (ko) 2016-08-04 2018-07-19 권태욱 드론 추락방지를 위한 비행제어 전환 장치
KR102221381B1 (ko) 2019-07-29 2021-03-02 주식회사 아소아 멀티 어댑터를 구비하는 드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34969A1 (en) * 2009-11-13 2012-09-20 Parrot Navigation electronic card support for a rotary wing dr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1793A (ko) 2022-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34593B2 (en) Remote controlled aircraft, in particular for surveillance or inspection
EP159509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abilizing payloads, including airborne cameras
US20080034954A1 (en) Stabilizing mount for hands-on and remote operation of cameras, sensors, computer intelligent devices and weapons
JPWO2006098469A1 (ja) 飛行制御システム
US8755965B1 (en) Unmanned vehicle simulator based control methods and apparatus
US1168685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utilizing dual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antennas in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 aerial vehicles
WO2021253750A1 (zh) 云台、摄像载体及可移动平台
KR20180026280A (ko) 드론 실습장치
US3917199A (en) Detachable pod for aerial photography
KR102519376B1 (ko) 드론의 비행제어장치용 얼라인유닛
US4034208A (en) Acceleration aided tracking of a designated target
KR200489054Y1 (ko) 교육 실험용 비행기
KR101932930B1 (ko) 영상촬영을 위한 무인항공기 장착용 짐벌
KR102604812B1 (ko) 정밀 착륙 드론 스테이션 및 이를 이용한 드론 정밀 착륙 시스템
RU2339543C1 (ru) Летательный микроаппарат
KR102508583B1 (ko) 편대 유지 기구
Howard Automatic flight controls in fixed wing aircraft–The first 100 years
KR20190118842A (ko) 무게중심 조정 장치를 갖는 무인 항공기용 임무 장비 탑재 모듈 조립체
US4962424A (en) Video airdrop sight apparatus
KR102270282B1 (ko) 안정적인 동작 및 자유도를 가지는 드론
Gavrilets Avionics systems development for small unmanned aircraft
Rangel et al. Development of a multi-purpose uav with bio-inspired features
KR20230135899A (ko) 무인항공기의 정밀 착륙 유도 시스템 및 이를 사용한 무인항공기의 정밀 착륙 유도 방법
US2834563A (en) Aircraft automatic pilot
KR102107043B1 (ko) 진동 저감을 위한 짐벌 지지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