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9316B1 - Non-point pollution treatment facilities - Google Patents

Non-point pollution treatment faciliti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9316B1
KR102519316B1 KR1020230002044A KR20230002044A KR102519316B1 KR 102519316 B1 KR102519316 B1 KR 102519316B1 KR 1020230002044 A KR1020230002044 A KR 1020230002044A KR 20230002044 A KR20230002044 A KR 20230002044A KR 102519316 B1 KR102519316 B1 KR 102519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rectifying plate
water
point pollu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20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고성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연안항만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연안항만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연안항만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30002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931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3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wag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cility for reducing a water pollutant unspecifically discharged from a place, such as a city, a road, a farmland, a mountain land, a construction site, and the like. The present invention realizes a new type of non-point pollution treatment facility filtering impurities, such as a coarse solid and the like contained in rainwater by using a multi-module screen during a process of discharging initial rainwater after guiding the initial rainwater to the non-point pollution treatment facility and treating the initial rainwater before discharging the initial rainwater flowing into a storm sewer along the surface of the road in case of rain to a discharge zone. The multi-module screen comprises a first screen distributing plate, a second screen distributing plate, and an inner screen module having the shape of an empty square block. The non-point pollution treatment facility can improve the purification efficiency of rainwater, for example, effectively treating the impurities remaining in the initial rainwater.

Description

비점오염저감시설{NON-POINT POLLUTION TREATMENT FACILITIES}Non-point pollution abatement facilities {NON-POINT POLLUTION TREATMENT FACILITIES}

본 발명은 비점오염저감시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시ㆍ도로ㆍ농지ㆍ산지ㆍ공사장 등과 같은 장소에서 불특정하게 배출되는 수질 오염물질을 줄이는 시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and more particularly, to a facility for reducing water pollutants discharged unspecified from places such as cities, roads, farmlands, mountains, and construction sites.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나 아스팔트 등으로 포장된 지역은 강우 시에 빗물의 침투나 저류기능 등이 저하되어 초기강우에 의해 오염도가 높은 물질들이 인근 하수도나 하천 등의 수계로 유출되면서 수계에 악영향을 미친다. In general, in areas paved with concrete or asphalt, rainwater permeation or retention function deteriorates during rainfall, and polluted substances are leaked into water systems such as nearby sewers or rivers due to early rainfall, adversely affecting water systems.

일 예로서, 초기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원이 공공 수역으로 유입될 경우 하천 및 호소의 오염을 유발시키며, 또한 지하로 침투되어 지하수자원의 오염을 유발시키는 하나의 요인이 된다.For example, when non-point pollution sources included in initial rainwater flow into public waters, they cause contamination of rivers and lakes, and also infiltrate into the ground to become a factor in causing contamination of groundwater resources.

따라서, 초기 우수와 함께 유입되는 오염물질은 처리 제거과정을 거쳐 배출수역으로 배출시켜야 하며, 이러한 초기 우수와 함께 유입되는 비점오염물질을 처리하는 설비는 되는 장치는 자연형 시설(저류지, 인공습지, 침투시설), 장치형 시설(여과시설, 와류형 시설, 스크린형 시설, 응집·침전 처리형 시설, 생물학적 처리형 시설), 기타 시설 등이 있다.Therefore, the pollutants that flow in with the initial rainwater must be discharged to the discharge area through a treatment and removal process, and the equipment that treats the nonpoint pollutants that flow in with the initial rainwater is a natural facility (reservoir, artificial wetland, Infiltration facilities), device-type facilities (filtration facilities, vortex-type facilities, screen-type facilities, flocculation/precipitation treatment-type facilities, biological treatment-type facilities), and other facilities.

상기 자연형 비점오염저감기술이라고 불리는 침투시설이나 저류시설 등은 설치 측면에서 장점이 있으나 부지를 많이 차지하는 단점이 있다. The infiltration facility or storage facility, which is called the natural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technology, has advantages in terms of installation, but has a disadvantage in occupying a lot of land.

상기 여과형 비점오염저감시설은 부지의 면적이 자연형에 비하여 적게 소요되고 처리속도가 빠른 장점이 있는 반면, 여과시설이 여재를 정기적으로 세척 및 교체하는 등의 유지관리가 필요한 단점이 있다. The filtering typ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has the advantage of requiring a smaller site area and faster processing speed than the natural type, but has the disadvantage that the filtering facility requires maintenance such as regular cleaning and replacement of filter media.

상기 비점오염저감시설은 통상적으로 시간당 2.5 내지 15.0mm 정도의 초기강우에 의한 오염물질을 처리하는 시설로서, 그 이후 강우는 대체로 깨끗하므로 비점오염저감시설로 유입시키지 않고 곧바로 방류하고, 강우가 종료되면 일정시간 내에 여재를 물이나 공기 등에 의해 역세한 후, 역세척수는 인근지역의 하수관으로 이송시켜 하수종말처리장등으로 연계처리하거나 준설장비 등을 통해 외부로 이송시켜 처리할 수 있는 등 효율적인 비점오염저감처리가 가능하여 최근 많이 적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Th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is a facility that usually treats pollutants caused by initial rainfall of about 2.5 to 15.0 mm per hour. Since the rainfall thereafter is generally clean, it is immediately discharged without flowing into th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and when the rainfall ends After backwashing the filter media with water or air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backwashing water is transported to a sewage pipe in a nearby area for treatment in connection with a sewage treatment plant, etc. It is a trend that has been applied a lot recently because it can be processed.

그러나, 기존의 비점오염저감시설들은 정화성능 측면, 수명 측면, 유지관리 및 보수 측면, 시공성 측면, 비용 측면 등과 같은 종합적 관점에서 여전히 개선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However, the existing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facilities still require improvement from comprehensive viewpoints such as purification performance, lifespan, maintenance and repair, workability, and cost.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86610호Publication No. 10-2010-0086610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72555호Publication No. 10-2016-0072555 등록특허공보 제10-1764398호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764398 등록특허공보 제10-1812917호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812917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강우 발생 시 도로 노면을 따라 우수관에 유입되는 초기 우수를 방류수역으로 방류시키기 전 비점오염저감시설로 유도하여 처리한 후에 방류시키는 과정에서, 1차 스크린 정류판과 2차 스크린 정류판, 그리고 속이 비어 있는 사각블럭 형태의 내부 스크린 모듈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멀티 모듈 스크린을 이용하여 우수에 포함되어 있는 조대 고형물 등의 협잡물을 걸러주는 새로운 형태의 비점오염저감시설을 구현함으로써, 초기 우수에 잔존하는 협잡물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등 우수의 정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비점오염저감시설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in view of this point, and in the process of inducing and treating the initial rainwater flowing into the rainwater pipe along the road surface when rainfall occurs to th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before discharging it to the discharge area, and then discharging it, A new type of boiling point that filters impurities such as coarse solids contained in rainwater by using a multi-module screen consisting of a combination of a primary screen rectifying plate, a secondary screen rectifying plate, and a hollow square block-shaped inner screen modul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capable of improving the purification efficiency of rainwater, such as effectively treating impurities remaining in initial rainwater by implementing a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비점오염저감시설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상기 비점오염저감시설은 우수 집수조에서 연결되는 유입관과 우수관측으로 연결되는 유출관, 그리고 출입이 가능한 유지관리용 맨홀를 가지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내부에 설치되어 유입수 안에 포함되어 있는 협잡물을 걸러주는 멀티 모듈 스크린을 포함한다. Th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is a water tank having an inlet pipe connected to a rainwater collecting tank, an outflow pipe connected to a rainwater pipe, and a maintenance manhole that allows entry and exit, installed inside the tank to filter impurities contained in the influent Includes a multi-module screen.

특히, 상기 비점오염저감시설의 멀티 모듈 스크린은 상면부 뒤쪽에 유출관으로 연결되는 배출관을 가지면서 사각의 케이스 형태로 이루어진 스크린 본체와, 다수 개의 1차 타공홀을 가지면서 스크린 본체의 전면부에 수직 설치되는 1차 스크린 정류판과, 상기 1차 타공홀 대비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되어 있는 다수 개의 2차 타공홀을 가지면서 1차 스크린 정류판의 바로 뒤쪽에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수직 설치되는 2차 스크린 정류판과, 속이 비어 있는 사각블럭 형태로 이루어져 스크린 본체의 내부에서 2차 스크린 정류판의 뒤쪽으로 설치되는 내부 스크린 모듈로 구성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multi-module screen of th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has a screen body in the form of a square case with a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outlet pipe at the rear of the upper surface, and a plurality of primary perforated holes on the front portion of the screen body. It has a primary screen rectifying plate installed vertically and a plurality of secondary perforated holes having a relatively small diameter compared to the primary perforated hole, and vertically installed side by side at regular intervals right behind the primary screen rectifying plate It can be composed of a secondary screen rectifying plate and an internal screen module formed in the form of a hollow square block and installed behind the secondary screen rectifying plate from the inside of the screen body.

여기서, 상기 1차 스크린 정류판의 1차 타공홀과 2차 스크린 정류판의 2차 타공홀은 정류판 전체 면적에 걸쳐 오와 열을 맞춘 격자형 배치구조로 형성하여, 스크린 본체의 내부로 들어가는 유입수가 스크린 본체 전면 전체 면적에 걸쳐 균등하게 분배되면서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first perforated hole of the first screen rectifying plate and the second perforated hole of the second screen rectifying plate are formed in a lattice-like arrangement structure in which five and a row are aligned over the entire area of the rectifying plate to enter the inside of the screen body. It is desirable to ensure that influent water enters while being evenly distributed over the entire front area of the screen body.

이때의 1차 스크린 정류판의 1차 타공홀과 2차 스크린 정류판의 2차 타공홀은 동축을 이루도록 배치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perforated hole of the first screen rectifying plate and the second perforated hole of the second screen rectifying plate may be coaxially arranged.

이러한 비점오염저감시설의 내부 스크린 모듈은 사각블럭 형태의 외곽틀을 이루는 다중 타공 메쉬망과, 상기 다중 타공 메쉬망의 전후면, 상하면 및 좌우면의 바깥둘레를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감싸면서 격자망 형태를 이루는 여러 줄의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ternal screen module of this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is a multi-perforated mesh network forming an outer frame in the form of a square block, and a grid while vertically and horizontally wrappi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left and right surfaces of the multi-perforated mesh network. It may include several lines of wire forming a net shape.

그리고, 상기 스크린 본체의 상면부에는 개폐 가능한 유지관리용 덮개가 설치될 수 있다. Also, a cover for maintenance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creen body.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비점오염저감시설은 배출관의 곡선 구간에 위쪽으로 수직 설치되어 배출관을 통해 빠져나가는 처리수를 채수할 수 있고 또 배출관의 내부를 대기압 조건으로 만들어줄 수 있는 관 형태의 채수 및 압력 균등 게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s a preferred embodiment, th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is installed vertically upwards in the curved section of the discharge pipe to collect treated water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pipe and to make the inside of the discharge pipe an atmospheric pressure condition. A pressure equalization gate may be further included.

이러한 채수 및 압력 균등 게이트의 상단부에는 수조 내의 유입수가 배출관의 내부로 역류되어 들어오는 것을 막아주는 역지변이 설치될 수 있고, 또 채수 및 압력 균등 게이트는 배출관의 직경 대비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는 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At the upper end of the water sampling and pressure equalization gate, a check valve to prevent the inflow water in the tank from flowing back into the discharge pipe may be installed, and the water sampling and pressure equalization gate is in the form of a pipe having a relatively small diameter compared to the diameter of the discharge pipe. can be made with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비점오염저감시설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Th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오염된 유입수가 수조 내부로 들어와 수조 내부에서 1차 침전을 거친 후, 지속적인 오염수의 유입으로 인해 수위가 상승하면, 수조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멀티 모듈 스크린을 통해 유입수 안에 잔존해 있는 조대 협잡물(고형물)을 걸러주고, 이렇게 처리한 물을 방류함으로써, 초기 우수에 잔존하는 협잡물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등 우수의 정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rst, after the contaminated influent enters the tank and undergoes primary precipitation inside the tank, when the water level rises due to the continuous inflow of contaminated water, the coarse contaminants remaining in the influent through the multi-module screen installed inside the tank By filtering (solids) and discharging the treated water,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purification efficiency of rainwater, such as effectively treating impurities remaining in the initial rainwater.

둘째, 멀티 모듈 스크린의 전면부 배치되는 1차 스크린 정류판과 2차 스크린 정류판을 이용하여 오염수의 유량을 균등하게 분배함으로써, 멀티 모듈 스크린의 내부로 오염수가 균등하게 유입되도록 하여 멀티 모듈 스크린의 전체 영역을 활용하여 협잡물의 걸러줄 수 있는 등 멀티 모듈 스크린의 기능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Second, by using the primary screen rectifying plate and the secondary screen rectifying plate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multi-module screen to evenly distribute the flow rate of contaminated water, the polluted water is evenly introduced into the multi-module screen, resulting in a multi-module screen There is an effect of maximizing the functionality of the multi-module screen, such as filtering impurities by utilizing the entire area of the screen.

셋째, 멀티 모듈 스크린의 방류부 쪽에 채수 및 압력 균등 게이트를 구비함으로써, 강우 종료 후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처리 효율을 정확하고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등 채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또 처리수가 방류되는 관 내부의 압력을 대기압과 동일하게 만들어줄 수 있는 등 처리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확보할 수 있으며, 또 채수구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역지변을 이용하여 수조 내의 수위가 올라가더라도 오염수가 채수구를 통해 그대로 방류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등 미처리 오염수가 그대로 방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ird, by providing a water sampling and pressure equalization gate on the discharge side of the multi-module screen,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water collection operation, such as accurately and conveniently checking the treatment efficiency of th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after the end of the rain, and also to ensure that the treated water is discharged. Smooth flow of treated water can be ensured by making the pressure inside the pipe equal to atmospheric pressure, and even if the water level in the tank rises by using the check valv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water inlet, contaminated water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inlet.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untreated contaminated water from being discharged as it is, such as being able to prevent it from being discharged as it is.

넷째, 멀티 모듈 스크린의 상부에 유지관리용 덮개를 구비함으로써, 청소비용을 줄일 수 있는 동시에 청소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등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ourth, by providing a cover for maintenance on the upper part of the multi-module screen, there is an effect of facilitating maintenance and reducing maintenance costs, such as reducing cleaning costs and at the same time reducing cleaning time.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저감시설을 나타내는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저감시설의 멀티 스크린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
1 to 3 are a front view, a plan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a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multi-screen module of a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저감시설을 나타내는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저감시설의 멀티 스크린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to 3 are front views, plan views, and side views illustrating a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4 and 5 are multi-screen modules of a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rspective view that represents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비점오염저감시설은 강우 발생 시 도로 노면을 따라 우수 집수조(100)에 유입된 초기 우수를 필터링하여 정화 처리한 후에 재차 우수관(110)으로 보내서 방류시키는 시설이다. As shown in FIGS. 1 to 5, th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filters and purifies the initial rainwater flowing into the rainwater collection tank 100 along the road surface when rainfall occurs, and then sends it to the rainwater pipe 110 again to discharge it It is a facility.

이를 위하여, 상기 비점오염저감시설은 우수 집수조(100)에 모인 우수를 유도하여 체류시킨 후에 정화 처리를 마친 우수가 다시 우수관(110)으로 방류되도록 하는 수단으로 수조(13)를 포함한다. To this end, th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includes a water tank 13 as a means for inducing and retaining the rainwater collected in the rainwater collection tank 100 and then discharging the rainwater that has been purified and discharged to the rainwater pipe 110 again.

상기 수조(13)는 땅 속에 일정 깊이로 시공한 콘크리트 구조물, 예를 들면 우수 집수조(100)는 물론 우수관(110) 대비 상대적으로 깊은 깊이로 시공한 사각의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이러한 수조(13)에는 작업자의 출입을 위한 유지관리용 맨홀(12)과 사다리(25)가 갖추어지게 된다. The water tank 13 is a concrete structure constructed at a certain depth in the ground, for example, a rectangular concrete structure constructed at a relatively deep depth compared to the rainwater collection tank 100 as well as the rainwater pipe 110. A maintenance manhole 12 and a ladder 25 for the entry and exit of workers are provided.

그리고, 상기 수조(13)의 한쪽 벽체에는 우수 집수조(100)에서 연장되는 유입관(10)이 연결되는 동시에 다른 한쪽 벽체에는 우수관(110)으로 연장되는 유출관(11)이 연결된다. In addition, the inlet pipe 10 extending from the rainwater collecting tank 100 is connected to one wall of the water tank 13, and the outlet pipe 11 extending to the rainwater pipe 110 is connected to the other wall.

이때, 상기 유입관(10)은 우수 집수조(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웨어(Weir;120)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인 우수 집수조(100)의 바닥쪽에 연결되어 우수 집수조(100) 내의 우수가 웨어(120)를 넘어 우수관(110)으로 배출될 때, 이보다 앞서 유입관(10)으로 유도된 후에 수조(13)측으로 보내질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inlet pipe 10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rainwater collection tank 100, which is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weir 120 installed inside the rainwater collection tank 100, so that the rainwater in the rainwater collection tank 100 When discharged to the rainwater pipe 110 beyond the weir 120, it can be sent to the water tank 13 after being guided to the inlet pipe 10 before this.

이에 따라, 상기 우수 집수조(100)로 들어온 우수는 유입관(10)으로 유도되어 수조(13)의 내부로 유입되고, 계속해서 수조(13)의 내부에서 1차 침전을 거친 후, 지속적인 우수의 유입으로 인해 수위가 상승하게 되면, 수조(13)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멀티 모듈 스크린(14)을 거치면서 유입수에 포함되어 있는 조대 협잡물(고형물)이 걸러지게 되며, 이후 유출관(11)을 따라 유도되어 우수관(110)으로 방류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rainwater entering the rainwater collecting tank 100 is guided through the inlet pipe 10 and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13, and then undergoes primary precipitation in the water tank 13, and then continuously When the water level rises due to the inflow, the coarse contaminants (solids) contained in the inflow water are filtered through the multi-module screen 14 installed inside the water tank 13, and then the outflow pipe 11 It is induced along and can be discharged into the rain pipe (110).

또한, 상기 비점오염저감시설은 수조(13)의 내부에 설치되면서 유입수 안에 포함되어 있는 협잡물을 걸러주는 수단으로 멀티 모듈 스크린(14)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is installed inside the water tank 13 and includes a multi-module screen 14 as a means for filtering impurities contained in the inflow water.

상기 멀티 모듈 스크린(14)은 앞에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1차 스크린 정류판(18), 2차 스크린 정류판(20) 및 내부 스크린 모듈(21)은 물론 이것들을 수용하는 스크린 본체(16)를 포함한다. The multi-module screen 14 includes a primary screen rectifying plate 18, a secondary screen rectifying plate 20, and an internal screen module 21 sequentially disposed from the front as well as a screen body 16 accommodating them. include

상기 스크린 본체(16)는 사각의 케이스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며, 이러한 스크린 본체(16)는 수조(13)의 내부 바닥쪽에 설치된다. The screen body 16 is formed in the form of a square case, and the screen body 16 is installed on the inner bottom of the water tank 13.

그리고, 상기 스크린 본체(16)의 상면부 뒤쪽에는 위를 향하는 배출관(15)이 형성되고, 이렇게 형성되는 배출관(15)은 위쪽으로는 곡선 구간을 통해 유출관(11)에 연결되는 동시에 아래쪽으로는 내부 스크린 모듈(21)의 내부에 연결된다.In addition, an upward discharge pipe 15 is formed behind the upper surface of the screen body 16, and the discharge pipe 15 formed in this way is connected to the outlet pipe 11 through a curved section upward and downward at the same time.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inner screen module (21).

이에 따라, 상기 내부 스크린 모듈(21)의 내부에 들어와 있는 유입수, 즉 협잡물 필터링 과정을 거쳐 깨끗해진 유입수는 배출관(15)을 통해 유출관(11)으로 보내진 후에 우수관(110)으로 방류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inflow water entering the inside of the internal screen module 21, that is, the inflow water purified through the impurity filtering process is sent to the outflow pipe 11 through the discharge pipe 15 and then discharged to the rainwater pipe 110. do.

이와 더불어, 상기 스크린 본체(16)의 상면부에는 개폐 가능한 유지관리용 덮개(22)가 설치된다. In addition, a cover 22 for maintenance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creen body 16 .

이에 따라, 작업자는 유지관리용 덮개(22)를 열고 스크린 본체(16)의 내부 청소는 물론, 스크린 본체(16)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내부 스크린 모듈(21), 1차 스크린 정류판(18), 2차 스크린 정류판(20)을 세척하거나 점검, 보수하는 등의 작업을 손쉽게 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operator opens the cover 22 for maintenance and cleans the inside of the screen body 16 as well as the internal screen module 21 installed inside the screen body 16 and the primary screen rectifying plate 18. ), it is possible to easily perform tasks such as washing, inspecting, or repairing the secondary screen rectifying plate 20.

상기 1차 스크린 정류판(18)은 유입수 속의 협잡물을 1차적으로 선(先) 걸러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다수 개의 1차 타공홀(17)이 형성되어 있는 금속 소재 등의 사각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며, 이러한 1차 스크린 정류판(18)은 스크린 본체(16)의 전면부 가장 앞쪽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The primary screen rectifying plate 18 serves to primarily filter impurities in the influent, and is made in the form of a square plate made of metal or the like in which a plurality of primary perforated holes 17 are formed. The primary screen rectifying plate 18 is installed vertically at the frontmost front part of the screen body 16.

이때, 상기 1차 스크린 정류판(18)은 스크린 본체(16)의 양쪽 벽면에 레일 등의 가이드 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구조 또는 스크린 본체(16)의 양쪽 벽면에 용접 등으로 고정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primary screen rectifying plate 18 has a structure that is detachably inserted into both wall surfaces of the screen body 16 by guide means such as rails, or a structure that is fixed to both wall surfaces of the screen body 16 by welding, etc. can be installed with

이와 더불어, 상기 1차 스크린 정류판(18)의 1차 타공홀(17)은 정류판 전체 면적에 걸쳐 오와 열을 맞춘 격자형 배치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1차 스크린 정류판(18)의 1차 타공홀(17)을 통해 스크린 본체(16)의 내부로 들어가는 유입수는 각각의 1차 타공홀(17)을 통해 스크린 본체 전면 전체 면적에 걸쳐 균등하게 분배되면서 들어갈 수 있게 되고, 결국 유입수의 균등한 분배로 협잡물을 필터링하는 효율도 높일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primary perforated holes 17 of the primary screen rectifying plate 18 may be formed in a lattice-like arrangement structure in which five and a row are aligned over the entire area of the rectifying plate, and accordingly, the primary screen rectifying plate ( The inflow water entering the inside of the screen body 16 through the primary perforated holes 17 of 18) can enter while being equally distributed over the entire front area of the screen body through each primary perforated hole 17, As a result, the efficiency of filtering impurities can be increased by equal distribution of inflow water.

그리고, 상기 1차 스크린 정류판(18)에 있는 각각의 1차 타공홀(17)은 2차 스크린 정류판(20)에 있는 각각의 2차 타공홀(19)과 일대일 매칭 구조로 동축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유입수의 원활한 흐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each of the primary perforated holes 17 in the primary screen rectifying plate 18 is coaxial with each of the secondary perforated holes 19 in the secondary screen rectifying plate 20 in a one-to-one matching structure, It can be arranged, an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ecure a smooth flow of influent water.

여기서, 상기 1차 타공홀(17)의 직경은 약 50mm 정도의 직경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1차 타공홀(17)은 1차 스크린 정류판(18)의 크기가 400×400mm인 경우 정류판 전체 면적에 걸쳐 50개 정도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diameter of the primary perforated hole 17 can be set to a diameter of about 50 mm, and this primary perforated hole 17 is a rectifying plate when the size of the primary screen rectifying plate 18 is 400 × 400 mm. It is desirable to install about 50 of them over the entire area.

상기 2차 스크린 정류판(20)은 유입수 속의 협잡물을 1차적으로 후(後) 걸러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다수 개의 2차 타공홀(19), 예를 들면 1차 타공홀(17)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진 2차 타공홀(19)이 형성되어 있는 금속 소재 등의 사각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며, 이러한 2차 스크린 정류판(20)은 스크린 본체(16)의 내측에서 1차 스크린 정류판(18)의 바로 뒤쪽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이와 나란하게 수직으로 설치된다. The secondary screen rectifying plate 20 serves to primarily filter out contaminants in the influent, compared to a plurality of secondary perforated holes 19, for example, primary perforated holes 17. It is made in the form of a square plate made of metal or the like in which a secondary perforated hole 19 of a relatively small diameter is formed. It is installed vertically in parallel with it at regular intervals immediately behind the rectifying plate 18.

이때, 상기 2차 스크린 정류판(20)은 스크린 본체(16)의 양쪽 벽면에 레일 등의 가이드 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구조 또는 스크린 본체(16)의 양쪽 벽면에 용접 등으로 고정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secondary screen rectifying plate 20 has a structure that is detachably inserted into both wall surfaces of the screen body 16 by guide means such as rails, or a structure that is fixed to both wall surfaces of the screen body 16 by welding, etc. can be installed with

이와 더불어, 상기 2차 스크린 정류판(20)의 2차 타공홀(19)은 정류판 전체 면적에 걸쳐 오와 열을 맞춘 격자형 배치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2차 스크린 정류판(20)의 2차 타공홀(19)을 통해 스크린 본체(16)의 내부로 들어가는 유입수는 각각의 2차 타공홀(19)을 통해 스크린 본체 전면 전체 면적에 걸쳐 균등하게 분배되면서 들어갈 수 있게 되고, 결국 유입수의 균등한 분배로 협잡물을 필터링하는 효율도 높일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secondary perforated holes 19 of the secondary screen rectifying plate 20 may be formed in a lattice-like arrangement structure in which five and a row are aligned over the entire area of the rectifying plate, and accordingly, the secondary screen rectifying plate ( The inflow water entering the inside of the screen body 16 through the secondary perforated holes 19 of 20) can enter while being equally distributed over the entire front area of the screen body through each of the secondary perforated holes 19, As a result, the efficiency of filtering impurities can be increased by equal distribution of inflow water.

그리고, 상기 2차 스크린 정류판(20)에 있는 각각의 2차 타공홀(19)은 1차 스크린 정류판(18)에 있는 각각의 1차 타공홀(17)과 일대일 매칭 구조로 동축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유입수의 원활한 흐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each of the secondary perforated holes 19 in the secondary screen rectifying plate 20 is coaxial with each of the primary perforated holes 17 in the primary screen rectifying plate 18 in a one-to-one matching structure, It can be arranged, an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ecure a smooth flow of influent water.

여기서, 상기 2차 타공홀(19)의 직경은 약 30mm 정도의 직경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2차 타공홀(19)은 2차 스크린 정류판(20)의 크기가 400×400mm인 경우 정류판 전체 면적에 걸쳐 50개 정도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diameter of the secondary perforated hole 19 can be set to a diameter of about 30 mm, and this secondary perforated hole 19 is a rectifying plate when the size of the secondary screen rectifying plate 20 is 400 × 400 mm. It is desirable to install about 50 of them over the entire area.

상기 내부 스크린 모듈(21)은 1차 스크린 정류판(18)과 2차 스크린 정류판(20)을 거치면서 걸러지지 않은 협잡물을 2차적으로 필터링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내부 스크린 모듈(21)은 속이 비어 있는 사각블럭 형태로 이루어져 스크린 본체(16)의 내부에서 2차 스크린 정류판(20)의 뒤쪽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The internal screen module 21 serves to secondarily filter impurities that are not filtered through the primary screen rectifying plate 18 and the secondary screen rectifying plate 20, and the internal screen module 21 is formed in the form of a hollow square block and is installed from the inside of the screen body 16 to the rear of the secondary screen rectifying plate 20 at regular intervals.

이때, 상기 내부 스크린 모듈(21)은 스크린 본체(16)의 벽체측은 물론 천장측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스크린 본체(16)의 바닥측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internal screen module 21 can be detachably installed on the bottom side of the screen body 16 while maintaining a certain distance from the ceiling side as well as the wall side of the screen body 16 .

이와 더불어, 상기 내부 스크린 모듈(21)은 다중 타공 메쉬망(21a)과 여러 줄의 와이어(21b)를 결합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때의 다중 타공 메쉬망(21a)은 내부를 비워둔 사각블럭 형태의 틀 구조로 이루어지게 되고, 와이어(21b)는 다중 타공 메쉬망(21a)의 전후면, 상하면 및 좌우면의 바깥둘레를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감싸면서 다중 타공 메쉬망(21b)의 형태를 잡아주는 격자망 형태를 이룰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inner screen module 21 may be formed by combining a multi-perforated mesh network 21a and several lines of wires 21b. At this time, the multi-perforated mesh network 21a is a square block with an empty inside. It is made of a frame structure of the form, and the wire 21b is in the form of a multi-perforated mesh network 21b while wrappi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left and right surfaces of the multi-perforated mesh network 21a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It is possible to form a lattice network that holds the

이에 따라, 상기 1차 스크린 정류판(18)과 2차 스크린 정류판(20)을 거치면서 걸러지지 않은 협잡물은 유입수와 함께 내부 스크린 모듈(21)측으로 진행되고, 이렇게 진행된 유입수 속의 협잡물은 내부 스크린 모듈(21)에 의해 걸러지게 되며, 즉 협잡물은 내부 스크린 모듈(21)의 바깥둘레에 막혀 걸러지면서 그 내측으로는 들어가지 못하게 되며, 결국 내부 스크린 모듈(21)의 내측에는 협잡물이 제거된 깨끗한 처리수만 유입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impurities that have not been filtered through the primary screen rectifying plate 18 and the secondary screen rectifying plate 20 proceed to the internal screen module 21 together with the influent, and the impurities in the influent thus progressed are transferred to the internal screen. It is filtered by the module 21, that is, impurities are block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ner screen module 21 and cannot enter the inside, and eventually the inside of the inner screen module 21 is clean with impurities removed. Only treated water can flow in.

특히, 상기 비점오염저감시설은 강우 종료 후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처리효율을 확인하고, 또 원활한 유입수의 흐름을 위해 대기압 조건을 만들어주는 수단으로 채수 및 압력 균등 게이트(23)를 포함한다. In particular, th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includes a water sampling and pressure equalization gate 23 as a means for verifying the treatment efficiency of th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after the end of rainfall and creating atmospheric pressure conditions for smooth inflow water flow.

상기 채수 및 압력 균등 게이트(23)는 배출관(15)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는 원형의 관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고, 이러한 채수 및 압력 균등 게이트(23)는 배출관(15)의 곡선 구간에 위쪽으로 수직 설치된다. The water sampling and pressure equalizing gate 23 is made in the form of a circular tube having a relatively smaller diameter than the discharge pipe 15, and the water sampling and pressure equalizing gate 23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curved section of the discharge pipe 15. installed vertically.

이에 따라, 작업자는 강우 종료 후 채수 및 압력 균등 게이트(23)에서 처리수를 정확하고 간편하게 채수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worker can accurately and conveniently collect the treated water from the water sampling and pressure equalization gate 23 after the end of the rain.

예를 들면, 강우 종료 후 작업자가 수조 내에 진입한 다음, 수조(13) 내의 수위(예컨대, 유입수가 유출관과 배출관의 높이까지 채워져 있는 수위) 보다 높게 위치되어 있는 채수 및 압력 균등 게이트(23)에 자바라 등을 넣어서 처리수를 채수함으로써, 종전과 같이 우수관(110)에서 바가지 등으로 물을 떠서 채수하는 방식에 비해 채수 작업을 정확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된다. For example, after a worker enters the water tank after the end of the rain, the water sampling and pressure equalization gate 23 positioned higher than the water level in the water tank 13 (eg, the water level at which the inflow water is filled to the height of the outflow pipe and the discharge pipe) By putting a bellows or the like in the water collection system, the water sampl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accurately and conveniently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 of scooping water with a gourd or the like from the rainwater pipe 110.

이렇게 채수한 처리수(예컨대, 1차 스크린 정류판, 2차 스크린 정류판 및 내부 스크린 모듈을 거친 처리수)와 유입수(예컨대, 1차 스크린 정류판, 2차 스크린 정류판 및 내부 스크린 모듈을 거치기 전의 유입수) 간의 오염도 측정을 통해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처리 효율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The treated water collected in this way (eg, treated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primary screen rectifying plate, the secondary screen rectifying plate, and the internal screen module) and the influent (eg, the primary screen rectifying plate, the secondary screen rectifying plate, and the internal screen module before passing through It is possible to check the treatment efficiency of the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facility by measuring the pollution level between the inflow water).

또한, 상기 채수 및 압력 균등 게이트(23)를 이용하여 배출관(15)의 내부를 대기압 조건으로 만들어줌으로써, 즉 배출관(15)의 내부와 수조(13)의 내부를 서로 통하게 해줌으로써, 배출관(15)을 통해 빠져나가는 처리수의 방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by making the inside of the discharge pipe 15 an atmospheric pressure condition using the water sampling and pressure equalization gate 23, that is, by allowing the inside of the discharge pipe 15 and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13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discharge pipe 15 ) through which the discharge of the treated water can be made smoothly.

예를 들면, 수조(13)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멀티 모듈 스크린(14)의 방류부 쪽에 채수구를 두어 강우 종료 후 처리수를 용이하게 채수할 수 있는 한편, 멀티 모듈 스크린(14)에서 처리수가 외부로 방류될 때, 배출관(15)이 곡관의 형태로 되어 있어서 관 내부의 압력에 의해 처리수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게 되는데, 이때 채수 및 압력 균등 게이트(23)를 이용하여 배출관(15)의 내부를 외부(수조 내부)와 동일한 대기압으로 조성해줌으로써 처리수가 배출관(15) 내에서 막힘없이 원활하게 방류될 수 있게 된다. For example, by placing a water sampling port on the discharge side of the multi-module screen 14 installed inside the water tank 13, it is possible to easily collect the treated water after the end of the rain, while processing in the multi-module screen 14 When the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discharge pipe 15 is in the form of a bend pipe, so the flow of treated water is not smooth due to the pressure inside the pipe. By creating the same atmospheric pressure as the outside (inside the water tank), the treated water can be discharged smoothly without clogging in the discharge pipe (15).

그리고, 상기 채수 및 압력 균등 게이트(23)의 상단부에는 수조(13) 내의 유입수가 배출관(15)의 내부로 역류되어 들어오는 것을 막아주는 역지변(24)이 설치된다. In addition, a check valve 24 is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water sampling and pressure equalizing gate 23 to prevent the inflow water in the water tank 13 from flowing back into the discharge pipe 15.

즉, 수조(13)의 내부로 들어온 유입수(오염수)가 과다하게 증가하여 수조(13) 내의 수위가 올라가더라도 채수 및 압력 균등 게이트(23)의 상부에 있는 역지변(24)에 의해 채수 및 압력 균등 게이트(23)의 상단부가 닫히게 되고, 이에 따라 채수 및 압력 균등 게이트(23)가 잠길 정도로 수위가 상승되더라도 유입수가 채수 및 압력 균등 게이트(23)로 들어오지 못하게 되며, 결국 정화 처리되지 않은 오염수가 배출관(15)을 통해 방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even if the water level in the tank 13 rises due to an excessive increase in the inflow water (contaminated water) entering the water tank 13, the check valve 24 on the top of the water sampling and pressure equalization gate 23 The upper end of the pressure equalization gate 23 is closed, and accordingly, even if the water level rises to the point where the water sampling and pressure equalization gate 23 is locked, inflow water is prevented from entering the water sampling and pressure equalization gate 23, and consequently untreated contamin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water from being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15).

이때, 상기 채수 및 압력 균등 게이트(23)의 역지변(24)은 힌지 구조에 의해 개폐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며, 평상 시 항상 열려진 상태로 있게 되고, 수위가 높아지게 되면 물의 압력에 의해 닫혀질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check valve 24 of the water sampling and pressure equalization gate 23 is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it can be opened and closed by a hinge structure, and is normally always open, and when the water level rises, it can be closed by the pressure of water do.

여기서, 상기 역지변(24)은 힌지 구조에 스프링(미도시), 예를 들면 역지변은 위로 세워줄 수 있고 물의 누르는 힘에 의해 눌려질 수 있는 정도의 탄성을 가지는 스프링을 설치하여 상시 열림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거나, 또는 설치 시에 수직선을 기준으로 하여 뒤쪽(열려지는 쪽)으로 약간 비스듬하게 젖혀진 상태로 열어놓을 수 있다. Here, the check valve 24 is normally open by installing a spring (not shown) in the hinge structure, for example, a spring having elasticity to the extent that the check valve can be erected upward and pressed by the pressing force of water It can be retained, or it can be opened with a slight tilt to the rear (to the open side) relative to the vertical line at the time of installation.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비점오염저감시설을 이용하여 우수 속의 협잡물을 걸러주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Therefore, the process of filtering impurities in rainwater using th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먼저, 강우 발생 시 도로 노면을 따라 흐르는 우수(예컨대, 각종 협잡물이 섞여 있는 우수)는 우수 집수조(100)로 들어오게 되고, 이렇게 우수 집수조(100)의 내부로 들어온 우수는 유입관(10)을 통해 수조(13)의 내부로 유입된다. First, when rainfall occurs, rainwater flowing along the road surface (for example, rainwater mixed with various impurities) enters the rainwater collection tank 100, and the rainwater entering the inside of the rainwater collection tank 100 in this way flows through the inlet pipe 10. It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13 through.

다음, 수조(13)의 내부로 들어온 유입수 중에 섞여 있는 토사 등은 수조(13)의 내부 바닥에 침전되고, 계속해서 협잡물이 섞여 있는 유입수는 멀티 모듈 스크린(14)이 있는 쪽으로 진행된다. Next, soil and sand mixed in the inflow water entering the water tank 13 are deposited on the inner bottom of the water tank 13, and the inflow water mixed with impurities continues toward the multi-module screen 14.

다음, 멀티 모듈 스크린(14)측으로 흐르는 유입수 및 협잡물은 1차 스크린 정류판(18)→2차 스크린 정류판(20)→내부 스크린 모듈(21)을 순차적으로 경유하게 되고, 이러한 과정 중에 유입수에 섞어 있는 협잡물이 1차 스크린 정류판(18), 2차 스크린 정류판(20) 및 내부 스크린 모듈(21)에 의해 차례차례 걸러지게 된다. Next, the influent and impurities flowing toward the multi-module screen 14 pass through the first screen rectifying plate 18 → the second screen rectifying plate 20 → the internal screen module 21 in sequence, and during this process, the influent The mixed impurities are sequentially filtered by the primary screen rectifying plate 18, the secondary screen rectifying plate 20 and the internal screen module 21.

다음, 멀티 모듈 스크린(14)을 거친 처리수는 배출관(15)을 따라 빠져나간 후에 유출관(11)을 통해 유도되어 우수관(110)으로 방류된다. Next, treated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multi-module screen 14 exits along the discharge pipe 15, is guided through the outlet pipe 11, and is discharged to the rainwater pipe 110.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1차 스크린 정류판, 2차 스크린 정류판 및 내부 스크린 모듈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멀티 모듈 스크린을 이용하여 우수에 포함되어 있는 조대 고형물 등의 협잡물을 걸러주는 새로운 비점오염저감시설을 제공함으로써, 초기 우수에 잔존하는 협잡물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등 우수의 정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such, in the present invention, a new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that filters impurities such as coarse solids contained in rainwater by using a multi-module screen consisting of a combination of a primary screen rectifying plate, a secondary screen rectifying plate, and an internal screen module is provided. By providing the rainwater,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urification efficiency of rainwater, such as being able to effectively treat impurities remaining in the initial rainwater.

10 : 유입관
11 : 유출관
12 : 유지관리용 맨홀
13 : 수조
14 : 멀티 모듈 스크린
15 : 배출관
16 : 스크린 본체
17 : 1차 타공홀
18 : 1차 스크린 정류판
19 : 2차 타공홀
20 : 2차 스크린 정류판
21 : 내부 스크린 모듈
21a : 다중 타공 메쉬망
21b : 와이어
22 : 유지관리용 덮개
23 : 채수 및 압력 균등 게이트
24 : 역지변
25 : 사다리
10: inlet pipe
11: outflow pipe
12: Manhole for maintenance
13: water tank
14: multi-module screen
15: discharge pipe
16: screen body
17: 1st perforated hole
18: primary screen rectifying plate
19: 2nd perforated hole
20: secondary screen rectifying plate
21: internal screen module
21a: multi-perforated mesh network
21b: wire
22: cover for maintenance
23: water sampling and pressure equalization gate
24: reverse disaster
25 : Ladder

Claims (8)

우수 집수조에서 연결되는 유입관(10)과 우수관측으로 연결되는 유출관(11), 그리고 출입이 가능한 유지관리용 맨홀(12)를 가지는 수조(13)와, 상기 수조(13)의 내부에 설치되어 유입수 안에 포함되어 있는 협잡물을 걸러주는 멀티 모듈 스크린(14)을 포함하며,
상기 멀티 모듈 스크린(14)은 상면부 뒤쪽에 유출관(11)으로 연결되는 배출관(15)을 가지면서 사각의 케이스 형태로 이루어진 스크린 본체(16)와, 다수 개의 1차 타공홀(17)을 가지면서 스크린 본체(16)의 전면부에 수직 설치되는 1차 스크린 정류판(18)과, 상기 1차 타공홀(17) 대비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되어 있는 다수 개의 2차 타공홀(19)을 가지면서 1차 스크린 정류판(18)의 바로 뒤쪽에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수직 설치되는 2차 스크린 정류판(20)과, 속이 비어 있는 사각블럭 형태로 이루어져 스크린 본체(16)의 내부에서 2차 스크린 정류판(20)의 뒤쪽으로 설치되는 내부 스크린 모듈(21)로 구성되고,
상기 배출관(15)의 곡선 구간에 위쪽으로 수직 설치되어 배출관(15)을 통해 빠져나가는 처리수를 채수할 수 있고 또 배출관(15)의 내부를 대기압 조건으로 만들어줄 수 있는 관 형태의 채수 및 압력 균등 게이트(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저감시설.
A water tank 13 having an inlet pipe 10 connected from the rainwater collecting tank, an outflow pipe 11 connected to the rainwater pipe, and a maintenance manhole 12 that allows entry and exit, installed inside the water tank 13 It includes a multi-module screen 14 that filters impurities contained in the influent,
The multi-module screen 14 has a discharge pipe 15 connected to the outlet pipe 11 at the rear of the upper surface, a screen body 16 formed in the form of a square case, and a plurality of primary perforated holes 17. The primary screen rectifying plate 18 installed vertically on the front side of the screen body 16 while having a plurality of secondary perforated holes 19 having a relatively small diameter compared to the primary perforated holes 17 It consists of a secondary screen rectifier 20 installed vertically in parallel at regular intervals right behind the primary screen rectifier 18, and a hollow square block form inside the screen body 16. It consists of an internal screen module 21 installed behind the car screen rectifying plate 20,
Water sampling and pressure in the form of a tube that is installed vertically upward in the curved section of the discharge pipe 15 to collect treated water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pipe 15 and to make the inside of the discharge pipe 15 an atmospheric pressure condition.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equal gate (2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차 스크린 정류판(18)의 1차 타공홀(17)과 2차 스크린 정류판(20)의 2차 타공홀(19)은 정류판 전체 면적에 걸쳐 오와 열을 맞춘 격자형 배치구조로 형성되어, 스크린 본체(16)의 내부로 들어가는 유입수가 스크린 본체 전면 전체 면적에 걸쳐 균등하게 분배되면서 들어갈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저감시설.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perforated hole 17 of the first screen rectifying plate 18 and the second perforated hole 19 of the second screen rectifying plate 20 have a lattice arrangement structure in which five and a row are aligned over the entire area of the rectifying plate. Formed as,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low water entering the inside of the screen body 16 can enter while being equally distributed over the entire front area of the screen body.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1차 스크린 정류판(18)의 1차 타공홀(17)과 2차 스크린 정류판(20)의 2차 타공홀(19)은 동축을 이루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저감시설.
The method of claim 2,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primary perforated hole 17 of the primary screen rectifying plate 18 and the secondary perforated hole 19 of the secondary screen rectifying plate 20 are arranged coaxiall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 스크린 모듈(21)은 사각블럭 형태의 외곽틀을 이루는 다중 타공 메쉬망(21a)과, 상기 다중 타공 메쉬망(21a)의 전후면, 상하면 및 좌우면의 바깥둘레를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감싸면서 격자망 형태를 이루는 여러 줄의 와이어(21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저감시설.
The method of claim 1,
The inner screen module 21 has a multi-perforated mesh network 21a constituting an outer frame in the form of a square block,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left and right surfaces of the multi-perforated mesh network 21a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several lines of wires (21b) forming a lattice network while being wrapped with.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본체(16)의 상면부에는 개폐 가능한 유지관리용 덮개(2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저감시설.
The method of claim 1,
A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a cover 22 for maintenance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creen body 16.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채수 및 압력 균등 게이트(23)의 상단부에는 수조(13) 내의 유입수가 배출관(15)의 내부로 역류되어 들어오는 것을 막아주는 역지변(24)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저감시설.
The method of claim 1,
A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a check valve 24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water sampling and pressure equalization gate 23 to prevent the inflow water in the water tank 13 from flowing back into the discharge pipe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채수 및 압력 균등 게이트(23)는 배출관(15)의 직경 대비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는 관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저감시설.
The method of claim 1,
The water sampling and pressure equalization gate 23 is a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made in the form of a pipe having a relatively small diameter compared to the diameter of the discharge pipe (15).
KR1020230002044A 2023-01-06 2023-01-06 Non-point pollution treatment facilities KR1025193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2044A KR102519316B1 (en) 2023-01-06 2023-01-06 Non-point pollution treatment faciliti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2044A KR102519316B1 (en) 2023-01-06 2023-01-06 Non-point pollution treatment faciliti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9316B1 true KR102519316B1 (en) 2023-04-10

Family

ID=85984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2044A KR102519316B1 (en) 2023-01-06 2023-01-06 Non-point pollution treatment faciliti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9316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6610A (en) 2009-01-23 2010-08-02 주식회사 장호 Non-point pollution decrease facilities by using a turbulent flow and filtration function
KR101107783B1 (en) * 2011-12-09 2012-02-14 주식회사 더존이텍 Wire screen
KR101473631B1 (en) * 2014-02-18 2014-12-17 이경섭 Pollution purifying cleansing device
KR20160072555A (en) 2014-12-15 2016-06-23 그린워터 주식회사 Nonpoint pollution control facilities using the backwash facilities and stagnant water may exclude
KR101812917B1 (en) 2017-01-12 2018-01-30 경 택 임 A Non-Point Pollution Treatment Facility Of Driving Type Having Stagnating Water Fiter Bath
KR101940779B1 (en) * 2018-08-07 2019-01-22 (주)명보피앤씨 Early stormwater treatment unit with multifunctional screen modul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6610A (en) 2009-01-23 2010-08-02 주식회사 장호 Non-point pollution decrease facilities by using a turbulent flow and filtration function
KR101107783B1 (en) * 2011-12-09 2012-02-14 주식회사 더존이텍 Wire screen
KR101473631B1 (en) * 2014-02-18 2014-12-17 이경섭 Pollution purifying cleansing device
KR20160072555A (en) 2014-12-15 2016-06-23 그린워터 주식회사 Nonpoint pollution control facilities using the backwash facilities and stagnant water may exclude
KR101764398B1 (en) 2014-12-15 2017-08-11 그린워터 주식회사 Nonpoint pollution control facilities using the backwash facilities and stagnant water may exclude
KR101812917B1 (en) 2017-01-12 2018-01-30 경 택 임 A Non-Point Pollution Treatment Facility Of Driving Type Having Stagnating Water Fiter Bath
KR101940779B1 (en) * 2018-08-07 2019-01-22 (주)명보피앤씨 Early stormwater treatment unit with multifunctional screen modu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2216B2 (en) Water treatment and bypass system
KR101242275B1 (en) Back washing type apparatus for disposing non-point pollution source using power
KR100911819B1 (en) Apparatus of reducing non-point pollution material
KR100949325B1 (en) The reduction apparatus nonpoint pollution sources being able to adopt at the front of the water storing place
KR100924075B1 (en) Purification treatment device of rainwater
JP2001507091A (en) Total pollutant filtration equipment
KR100546061B1 (en) Filtering method and apparatus for first run-off using wide filter area then structure area
KR20130021598A (en) 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 for bridge or manhole
KR101244122B1 (en) Back washing type apparatus for disposing non-point pollution source using floating decanter
KR100673536B1 (en) 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
KR101582931B1 (en) Apparatus for reducing nonpoint source pollutants
US20130292315A1 (en) Device for Settlement of Particles from a Liquid
KR101846421B1 (en) Non-point pollution reducing system
KR20100086610A (en) Non-point pollution decrease facilities by using a turbulent flow and filtration function
KR20140081435A (en) Non - point pollution decrease apparatus using screen array
KR102519316B1 (en) Non-point pollution treatment facilities
KR101143320B1 (en) Apparatus for treating first rainwater
KR101195091B1 (en) Non-point Source Control Facility
KR101818020B1 (en) Back-washable filtering module for non-point pollution control system
KR101264381B1 (en) Nonpoint pollution source reducing apparatus
KR100980412B1 (en) Storm water treatment device
KR101203059B1 (en) First flush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KR101159474B1 (en) purifying device for non-point material
KR101036279B1 (en) Apparatus for purifying the osmotic non-point pollution material in water collecting and distributing structure
KR20100047032A (en) 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