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8702B1 - Apparatus and method for responding disaster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responding disas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8702B1
KR102518702B1 KR1020220103733A KR20220103733A KR102518702B1 KR 102518702 B1 KR102518702 B1 KR 102518702B1 KR 1020220103733 A KR1020220103733 A KR 1020220103733A KR 20220103733 A KR20220103733 A KR 20220103733A KR 102518702 B1 KR102518702 B1 KR 102518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aster
unit
location
information
occur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37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21230A (en
Inventor
신진호
이신호
이승준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20103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8702B1/en
Publication of KR20220121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12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8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87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40Controlling or monitoring, e.g. of flood or hurricane; Forecasting, e.g. risk assessment or mapp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Alarm System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난의 발생 여부 및 상기 재난이 발생된 지역을 인식하는 재난 인식부, 재난 인식부를 통해 재난의 발생이 인식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재난이 발생된 지역의 주변에 위치한 CCTV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수집하고, 수집된 영상에 기반하여 재난의 위치를 식별하는 위치 식별부, 위치 식별부를 통해 식별된 재난의 위치에 구비된 에너지 설비를 식별하고, 식별된 에너지 설비로부터 계측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계측 정보 및 수집된 영상에 기반하여 에너지 설비의 상태를 판단하는 상태 판단부, 위치 식별부를 통해 식별된 재난의 위치에 대응하는 교통 정보를 수집하는 교통 정보 수집부, 및 위치 식별부를 통해 식별된 재난의 위치와, 상태 판단부를 통해 판단된 에너지 설비의 상태와, 교통 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교통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유관기관으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disaster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whether a disaster has occurred and an area where the disaster has occurred, and an image captured through a CCTV located around the area where the disaster occurred in response to the occurrence of the disaster being recognized through the disaster recognition unit. Collects, identifies the location identification unit for identifying the location of the disaster based on the collected images, identifies the energy equipment provided at the location of the disaster identified through the location identification unit, collects and collects measurement information from the identified energy equipment A state judgment unit that determines the state of energy facilities based on the measured information and collected images, a traffic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traff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disaster identified through the location identification unit, and a location identification unit that identifies and 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the location of the disaster, the state of the energy facility determined through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and the traffic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traffic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o a related institution.

Description

재난 대응 시스템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SPONDING DISASTER}Disaster response system and method {APPARATUS AND METHOD FOR RESPONDING DISASTER}

본 발명은 재난 대응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재난의 발생을 인지하고, 인지된 재난의 발생에 대응할 수 있는 재난 대응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aster response system and method, and relates to a disaster response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recognizing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and 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the recognized disaster.

사물인터넷 기술이 빠르게 발전함에 따라 사물인터넷 기술을 기반으로 도시를 모니터링하는 기술, 이른바 스마트시티 기술 또한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스마트시티는 정보 및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도시 운영 핵심 시스템의 각종 주요 정보를 감지, 분석 및 통합함으로써 민생, 환경, 보호, 공공 안전, 도시 서비스, 공업 및 상업 활동을 포함한 다양한 요구에 지능적으로 대응하는 것을 말한다.As IoT technology develops rapidly, technology for monitoring cities based on IoT technology, so-called smart city technology, is also rapidly developing. Smart City use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o detect, analyze and integrate various key information from the city's core system to intelligently respond to various needs, including people's livelihood, environment, protection, public safety, city services, and industrial and commercial activities. say that

이러한 스마트시티 기술에는 재난 발생에 대응할 수 있는 재난 대응 서비스가 포함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국가 재난 정보 시스템과의 연계 방식 또는 CCTV를 모니터링하는 방식을 통해 재난 발생을 인지한 후, CCTV를 통해 현장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방식을 통해 재난에 대응하고 있다.These smart city technologies include disaster response services that can respond to disasters. In general, after recognizing a disaster through a linkage method with the national disaster information system or a method of monitoring CCTV, the on-site situation is monitored through CCTV. We respond to disasters through monitoring methods.

그러나, 종래의 재난 대응 서비스의 경우, 싱크홀 발생, 온수관 파열 사고, 교통사고에 의한 에너지설비 파손 등 도시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관련 재난을 즉각적으로 파악하지 못하는 문제점, 및 에너지 관련 재난의 인지부터 복구까지의 일련의 대응 체계가 미비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conventional disaster response services, problems in not immediately identifying energy-related disasters occurring in the city, such as sinkholes, hot water pipe rupture accidents, and damage to energy facilities due to traffic accidents, and recovery from recognition of energy-related disasters There is a problem that a series of response systems up to this point are insufficient.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27395호(2007.06.05.)의 '무선 인터넷을 활용한 재난 대응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The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Disaster Response Method Using Wireless Internet' of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727395 (2007.06.05.).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재난의 발생을 인지하고, 인지된 재난의 발생에 대응할 수 있는 재난 대응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aster response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recognizing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and 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the recognized disaster.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재난 대응 시스템은 재난의 발생 여부 및 상기 재난이 발생된 지역을 인식하는 재난 인식부; 상기 재난 인식부를 통해 재난의 발생이 인식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재난이 발생된 지역의 주변에 위치한 CCTV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영상에 기반하여 상기 재난의 위치를 식별하는 위치 식별부; 상기 위치 식별부를 통해 식별된 재난의 위치에 구비된 에너지 설비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에너지 설비로부터 계측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계측 정보 및 상기 수집된 영상에 기반하여 상기 에너지 설비의 상태를 판단하는 상태 판단부; 상기 위치 식별부를 통해 식별된 재난의 위치에 대응하는 교통 정보를 수집하는 교통 정보 수집부; 및 상기 위치 식별부를 통해 식별된 재난의 위치와, 상기 상태 판단부를 통해 판단된 에너지 설비의 상태와, 상기 교통 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교통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유관기관으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disaster response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aster recognition unit recognizing whether a disaster has occurred and an area where the disaster has occurred; In response to the occurrence of the disaster being recognized through the disaster recognition unit, location identification for collecting images captured through CCTVs located around the area where the disaster occurred and identifying the location of the disaster based on the collected images. wealth; Identify energy facilities provided at the location of the disaster identified through the location identification unit, collect measurement information from the identified energy facilities, and determine the state of the energy facilities based on the collected measurement information and the collected images. a state judgment unit that determines; a traffic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traff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disaster identified through the location identification unit; and a transmission unit that transmits at least one of the location of the disaster identified through the location identification unit, the state of the energy facility determined through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and the traffic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traffic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o a related institution. It is characterized by doing.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재난 인식부는, 상기 인식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서, 크라우드 소싱을 이용하여 재난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재난에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재난의 발생 여부 및 상기 재난이 발생된 지역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aster recognizing unit, as at least a part of the recognizing operation, collects disaster-related information using crowd sourcing, and determines whether the disaster has occurred and whether the disaster has occurred based on the collected disaster-related information. It is characterized by recognizing the generated area.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재난 인식부는, 상기 인식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서, 각 지역에 구비된 계측기로부터 측정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측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재난의 발생 여부 및 상기 재난이 발생된 지역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aster recognition unit, as at least a part of the recognizing operation, collects measurement information from measuring instruments provided in each region, and determines whether the disaster has occurred and whether or not the disaster has occurred based on the collected measurement information. It is characterized by recognizing the region.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계측기는, 상/하수도관 또는 난방/온수 배관에 구비되어 상기 상/하수도관 또는 상기 난방/온수 배관의 압력을 측정하는 수압계, 가스 배관에 구비되어 상기 가스 배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 전력선이 구비되어 상기 전력선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er is provided in the water supply / sewer pipe or heating / hot water pipe to measure the pressure of the water supply / sewage pipe or the heating / hot water pipe, and is provided in the gas pipe to measure the pressure of the gas pip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t least one of a pressure gauge for measuring and an ammeter provided with a power line and measuring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power line.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교통 정보 수집부는, 상기 교통 정보를 수집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서, 버스교통정보시스템(Bus Information System)으로부터 상기 식별된 재난의 위치에 대응하는 버스의 노선 정보 및 운행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ffic information collection unit collects route information and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bus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identified disaster from a bus information system as at least a part of the operation of collecting the traffic information. It is characterized by doing.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교통 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교통 정보와 상기 위치 식별부를 통해 식별된 재난의 위치에 기반하여 우회 정보를 생성하는 우회 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우회 정보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우회 정보를 상기 유관기관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our information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detour information based on the traffic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traffic information collection unit and the location of the disaster identified through the location identification unit; further includes, wherein the transmission unit includes the detour informa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tour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generating unit is transmitted to the related institution.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상태 판단부를 통해 판단된 에너지 설비의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재난에 관한 대응 방안을 도출하는 대응 방안 도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대응 방안 도출부를 통해 도출된 대응 방안을 상기 유관기관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state of the energy facility determined through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a response plan derivation unit for deriving a response plan for the disaster; further comprising, the transmission unit, the response derived through the response plan derivation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n is transmitted to the relevant institu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재난 대응 방법은 재난 인식부가, 재난의 발생 여부 및 상기 재난이 발생된 지역을 인식하는 단계; 위치 식별부가, 상기 재난 인식부를 통해 재난의 발생이 인식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재난이 발생된 지역의 주변에 위치한 CCTV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영상에 기반하여 상기 재난의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 상태 판단부가, 상기 위치 식별부를 통해 식별된 재난의 위치에 구비된 에너지 설비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에너지 설비로부터 계측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계측 정보 및 상기 수집된 영상에 기반하여 상기 에너지 설비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교통 정보 수집부가, 상기 위치 식별부를 통해 식별된 재난의 위치에 대응하는 교통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전송부가, 상기 위치 식별부를 통해 식별된 재난의 위치와, 상기 상태 판단부를 통해 판단된 에너지 설비의 상태와, 상기 교통 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교통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유관기관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disaster response metho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cognizing, by a disaster recognition unit, whether a disaster has occurred and an area where the disaster has occurred; The location identification unit, in response to recognizing the occurrence of the disaster through the disaster recognizing unit, collects images captured through CCTVs located around the area where the disaster occurred, and determines the location of the disaster based on the collected images. identifying; A state determination unit identifies an energy facility provided at the location of the disaster identified through the location identification unit, collects measurement information from the identified energy facility, and determines the energy based on the collected measurement information and the collected image. determining the state of the facility; Collecting, by a traffic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raff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disaster identified through the location identification unit; and transmitting, by a transmission unit, at least one of the location of the disaster identified through the location identification unit, the state of the energy facility determined through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and traffic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traffic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o a related institu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인식하는 단계에서, 상기 재난 인식부는, 크라우드 소싱을 이용하여 재난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재난에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재난의 발생 여부 및 상기 재난이 발생된 지역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recognizing step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aster recognition unit collects disaster-related information using crowd sourcing, and determines whether the disaster has occurred and the area where the disaster occurred based on the collected disaster-related information. It is characterized by recognizing.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인식하는 단계에서, 상기 재난 인식부는, 각 지역에 구비된 계측기로부터 측정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측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재난의 발생 여부 및 상기 재난이 발생된 지역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recognizing step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aster recognition unit collects measurement information from instruments provided in each region, and recognizes whether the disaster has occurred and the region where the disaster has occurred based on the collected measurement information. It is characterized by doing.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계측기는, 상/하수도관 또는 난방/온수 배관에 구비되어 상기 상/하수도관 또는 상기 난방/온수 배관의 압력을 측정하는 수압계, 가스 배관에 구비되어 상기 가스 배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 전력선이 구비되어 상기 전력선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er is provided in the water supply / sewer pipe or heating / hot water pipe to measure the pressure of the water supply / sewage pipe or the heating / hot water pipe, and is provided in the gas pipe to measure the pressure of the gas pip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t least one of a pressure gauge for measuring and an ammeter provided with a power line and measuring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power line.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교통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에서, 상기 교통 정보 수집부는, 버스교통정보시스템(Bus Information System)으로부터 상기 식별된 재난의 위치에 대응하는 버스의 노선 정보 및 운행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tep of collecting the traffic inform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ffic information collection unit collects route information and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bus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identified disaster from a bus information system. to be

본 발명에 있어 우회 정보 생성부가, 상기 교통 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교통 정보와 상기 위치 식별부를 통해 식별된 재난의 위치에 기반하여 우회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부가, 상기 우회 정보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우회 정보를 상기 유관기관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our information generation unit generates detour information based on the traffic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traffic information collection unit and the location of the disaster identified through the location identification unit; and transmitting, by the transmitting unit, the detour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detour information generating unit to the related institution.

본 발명에 있어 대응 방안 도출부가, 상기 상태 판단부를 통해 판단된 에너지 설비의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재난에 관한 대응 방안을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부가, 상기 대응 방안 도출부를 통해 생성된 대응 방안을 상기 유관기관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deriving a response plan for the disaster based on the state of the energy facility determined by the countermeasure derivation unit through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and transmitting, by the transmitter, the countermeasure generated through the countermeasure derivation unit to the related institu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크라우드 소싱을 통해 신속하게 재난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quickly recognize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through crowd sourcing.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재난 발생 시 재난이 발생된 지역의 주변에 위치한 CCTV와 연계하여 재난의 위치를 신속하게 식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disaster occurs, the location of the disaster can be quickly identified in association with CCTVs located around the area where the disaster occurred.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재난 발생 시 재난이 발생된 위치에 구비된 에너지 설비의 상태를 파악하고, 파악된 에너지 설비의 상태를 유관기관에 전송함으로써 신속한 대응을 유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disaster occurs, a quick response can be induced by determining the state of an energy facility provided at a location where a disaster has occurred and transmitting the state of the identified energy facility to related organizations.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재난 발생 시 재난이 발생된 위치에 대응하는 교통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교통 정보를 유관기관 또는 시민에게 전송함으로써 재난으로 인한 피해의 파급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disaster occurs, traff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location where a disaster occurs is collected, and the collected traffic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related organizations or citizens, thereby preventing the spread of damage caused by the disast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응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응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응 시스템이 싱크홀 발생에 대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1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응 시스템이 싱크홀 발생에 대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2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isaster respons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disaster respons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irst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responding to a sinkhole in a disaster respons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econd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responding to a sinkhole in a disaster respons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isaster respons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응 시스템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a disaster response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lines or the size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user or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will have to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응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응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1 is a block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a disaster respons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disaster respons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응 시스템은 재난 인식부(100), 위치 식별부(200), 상태 판단부(300), 교통 정보 수집부(400), 우회 정보 생성부(500), 대응 방안 도출부(600) 및 전송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1 and 2, the disaster respons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aster recognition unit 100, a location identification unit 200, a state determination unit 300, a traffic information collection unit 400, a detour It may include an information generator 500, a countermeasure derivation unit 600, and a transmission unit 700.

재난 인식부(100)는 재난의 발생 여부 및 재난이 발생된 지역을 인식할 수 있다.The disaster recognition unit 100 may recognize whether a disaster has occurred and an area where the disaster has occurred.

여기서, 재난은 국민의 생명, 신체 및 재산과 국가에 피해를 주거나 줄 수 있는 것으로서, 화재, 건물 붕괴, 지면 붕괴(씽크홀), 폭발, 교통사고 등과 같은 사건뿐만 아니라 상/하수관, 난방/온수 배관, 가스 배관, 전력선 등과 같은 공공시설의 파손 사건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또한, 재난은 사람의 실수 또는 부주의나 고의로 일어난 사건뿐만 아니라, 자연적 현상에 의해 일어난 사건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Here, disasters are those that cause or may cause damage to the lives, bodies, and properties of citizens and the country, including events such as fires, building collapses, ground collapses (sinkholes), explosions, and traffic accidents, as well as water supply/sewer pipes, heating/hot water, etc. It may be a concept including damage to public facilities such as pipes, gas pipes, power lines, and the like. In addition, a disaster may be a concept including an event caused by a natural phenomenon as well as an event caused by human error, negligence, or intentio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재난 인식부(100)는 크라우드 소싱(Crowd Sourcing)을 이용하여 재난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재난에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재난의 발생 및 재난이 발생된 지역을 인식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aster recognition unit 100 collects disaster-related information using crowd sourcing, and determines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and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based on the collected disaster-related information. area can be recognized.

예를 들어, 재난 인식부(100)는 스마트 폰을 포함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재난의 발생 여부, 및 재난이 발생한 지역을 포함하는 재난 제보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재난 제보 메시지에 기반하여 재난의 발생 및 재난이 발생된 지역을 인식할 수 있다. 즉, 재난 인식부(100)는 스마트 폰을 통한 시민의 제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제보에 기반하여 재난의 발생 및 재난이 발생된 지역을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지역은 후술하는 위치보다 포괄적인 개념일 수 있다. 재난 인식부(100)는 허위 재보를 배재하기 위해 해당 지역에 대한 재난 제보 메시지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기 설정된 개수 이상 수신되는 경우에 한하여 해당 지역에 재난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에는 해당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For example, the disaster recognition unit 100 receives a disaster report message including whether or not a disaster has occurred and the region where the disaster occurred from a user terminal including a smart phone, and based on the received disaster report message, the occurrence and Areas where disasters have occurred can be recognized. That is, the disaster recognition unit 100 may collect information from citizens through a smart phone, and recognize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and the area where the disaster occurred based on the collected information. Here, a region may be a more comprehensive concept than a location described later. The disaster recognition unit 100 may determine that a disaster has occurred in the corresponding region only when more than a preset number of disaster reporting messages for the corresponding region are received during a preset time in order to exclude false reports. Meanwhile, a dedicated application for supporting a corresponding function may be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재난 인식부(100)는 각 지역에 구비된 계측기로부터 측정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측정 정보에 기반하여 재난의 발생 여부 및 재난이 발생된 지역을 인식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aster recognition unit 100 may collect measurement information from instruments provided in each region, and recognize whether or not a disaster has occurred and the region where the disaster occurred based on the collected measurement information. there i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계측기는 상/하수도관 또는 난방/온수 배관에 구비되어 상/하수도관 또는 난방/온수 배관의 압력을 측정하는 수압계, 가스 배관에 구비되어 가스 배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 전력선이 구비되어 전력선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er is provided in the water supply / sewage pipe or heating / hot water pipe to measure the pressure of the water supply / sewage pipe or heating / hot water pipe, and is provided in the gas pipe to measure the pressure of the gas pip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ressure gauge for measuring and an ammeter provided with a power line and measuring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power line.

일부 지역에는 재난 인식부(100)와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는 계측기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으며, 재난 인식부(100)는 계측기로부터 실시간으로 측정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측정 정보를 분석하여 재난의 발생 여부 및 재난이 발생된 지역을 판단할 수 있다.In some areas, a measuring instrument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disaster recognition unit 100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may be provided, and the disaster recognition unit 100 collects measurement information from the measuring instrument in real time and analyzes the collected measurement information. Thu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a disaster has occurred and the area where the disaster occurred.

예를 들어, 상/하수도관 또는 난방/온수 배관에 파손이 발생되는 경우, 상/하수도관 또는 난방/온수 배관에 구비된 수압계를 통해 측정되는 압력은 낮아지게 된다. 마찬가지로, 가스 배관에 파손이 발생되는 경우, 가스 배관에 구비된 압력계를 통해 측정되는 압력은 낮아지게 된다. 한편, 전력선에 지락이 발생되는 경우, 전력선에 구비된 전류계를 통해 고장전류가 감지된다. 재난 인식부(100)는 계측기를 통해 수집된 측정 정보에서 전술한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계측기가 구비된 지역에 재난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 water supply/sewer pipe or a heating/hot water pipe is damaged, a pressure measured through a water pressure gauge installed in the water supply/sewer pipe or the heating/hot water pipe becomes low. Similarly, when damage occurs in the gas pipe, the pressure measured through the pressure gauge provided in the gas pipe becomes low. Meanwhile, when a ground fault occurs in the power line, a fault current is sensed through an ammeter provided in the power line. The disaster recognition unit 100 may determine that a disaster has occurred in an area equipped with a corresponding instrument when the aforementioned change occurs in the measurement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instrument.

위치 식별부(200)는 재난 인식부(100)를 통해 재난의 발생이 인식된 것에 응답하여 재난이 발생된 지역의 주변에 위치한 CCTV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수집하고, 수집된 영상에 기반하여 재난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The location identification unit 200 responds to recognizing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through the disaster recognition unit 100, collects images captured through CCTVs located around the area where the disaster occurred, and based on the collected images, location can be identified.

예를 들어, 재난 인식부(100)를 통해 재난 제보 메시지가 수신되면, 위치 식별부(200)는 해당 재난 제보 메시지에 포함된 지역의 주변에 위치한 CCTV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수집하고, 수집된 영상을 분석하여 재난의 위치 및 규모를 보다 구체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disaster report message is received through the disaster recognition unit 100, the location identification unit 200 collects images captured through CCTVs located around the area included in the disaster report message, and collects the collected images. By analyzing the video, the location and scale of the disaster can be more specifically identified.

상태 판단부(300)는 위치 식별부(200)를 통해 식별된 재난의 위치에 구비된 에너지 설비를 식별하고, 식별된 에너지 설비로부터 계측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계측 정보 및 수집된 영상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에너지 설비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The state determination unit 300 identifies energy equipment provided at the location of the disaster identified through the location identification unit 200, collects measurement information from the identified energy equipment, and collects at least one of the collected measurement information and the collected image. Based on one, the state of the energy facility can be determined.

여기서, 에너지 설비는 상/하수도관, 난방/온수 배관, 가스 배관 및 전력선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기, 가스, 증기, 수도, 통신, 난방, 에너지 등의 공급, 생산, 분배와 관련된 모든 설비가 에너지 설비에 해당할 수 있다. Here, the energy facility may include water supply/sewer pipes, heating/hot water pipes, gas pipes, and power lines.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all facilities related to supply,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electricity, gas, steam, water supply, communication, heating, and energy may correspond to energy facilities.

구체적으로, 상태 판단부(300)는 에너지 설비에 관련된 위치 정보, 에너지 설비에 관련된 관경 정보, 및 에너지 설비에 관련된 토지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참고하여 해당 재난의 위치에 구비된 에너지 설비를 식별할 수 있다. 이어서, 상태 판단부(300)는 식별된 에너지 설비에 구비된 계측기로부터 계측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계측 정보와 앞서 CCTV를 통해 수집된 영상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식별된 에너지 설비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300 may identify the energy facility provided at the location of the disaster by referring to a database in which loc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energy facility, scenery information related to the energy facility, and l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energy facility are stored. there is. Subsequently, the state determining unit 300 collects measurement information from the measuring instrument provided in the identified energy facility, and determines the state of the identified energy facility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collected measurement information and an image previously collected through CCTV. can do.

예를 들어, 재난의 위치에 구비된 에너지 설비가 상/하수도관 또는 난방/온수 배관인 것으로 식별되는 경우, 상태 판단부(300)는 상/하수도관 또는 난방/온수 배관에 구비된 수압계를 통해 측정되는 압력에 기반하여 에너지 설비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재난의 위치에 구비된 에너지 설비가 가스 배관인 것으로 식별되는 경우, 상태 판단부(300)는 가스 배관에 구비된 압력계를 통해 측정되는 압력에 기반하여 에너지 설비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재난의 위치에 구비된 에너지 설비가 전력선인 것으로 식별되는 경우, 상태 판단부(300)는 잔력선에 구비된 전류계를 통해 고장전류가 감지되는지 여부에 기반하여 에너지 설비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태 판단부(300)는 CCTV를 통해 수집된 영상을 분석하여 에너지 설비의 파손 여부, 파손 정도, 파손 위치 등을 식별할 수 있고, 식별된 정보를 토대로 에너지 설비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it is identified that an energy facility provided at the location of a disaster is a water supply/sewer pipe or a heating/hot water pipe, the condition determining unit 300 measures a water pressure gauge installed in the water supply/sewer pipe or heating/hot water pipe. Based on the pressure measured through the system, the state of the energy facility can be determined. Meanwhile, when it is identified that the energy facility provided at the location of the disaster is a gas pipe,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300 may determine the state of the energy facility based on the pressure measured through a pressure gauge provided in the gas pip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identified that the energy facility provided at the location of the disaster is a power line,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300 may determine the state of the energy facility based on whether a fault current is detected through an ammeter provided in the remaining power line. there is. In addition,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300 can analyze the images collected through CCTV to identify whether the energy facility is damaged, the degree of damage, the location of the damage, etc., and determine the state of the energy facility based on the identified information. .

대응 방안 도출부(600)는 상태 판단부(300)를 통해 판단된 에너지 설비의 상태에 기반하여 대응 방안을 도출할 수 있다. 이때, 대응 방안 도출부(600)는 에너지 설비의 특성을 고려하여 대응 방안을 도출할 수 있다.The countermeasure derivation unit 600 may derive a countermeasure based on the state of the energy facility determined through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300 . At this time, the countermeasure derivation unit 600 may derive a countermeasur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nergy facility.

예를 들어, 파손이 발생된 에너지 설비가 상/하수도관, 난방/온수 배관, 또는 가스 배관인 것으로 식별되고, 상/하수도관, 난방/온수 배관, 또는 가스 배관의 상태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대응 방안 도출부(600)는 파손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제수변을 차단시키는 것을 대응 방안으로 도출할 수 있다. 반면, 파손이 발생된 에너지 설비가 전력선인 것으로 식별되고, 전력선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대응 방안 도출부(600)는 파손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차단기를 작동시키는 것을 대응 방안으로 도출할 수 있다. 이외에도 대응 방안 도출부(600)는 에너지 설비의 이상으로 인한 파급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대응 방안을 도출할 수 있다.For example, it is identified that the damaged energy facility is a water supply/sewer pipe, a heating/hot water pipe, or a gas pipe, and it is determined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water supply/sewer pipe, heating/hot water pipe, or gas pipe. In this case, the countermeasure derivation unit 600 may derive as a countermeasure to block the divisor closest to the damage location.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identified that the damaged energy facility is a power line and it is determined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power line, the countermeasure derivation unit 600 may derive a countermeasure to operate the circuit breaker closest to the damaged location. there is. In addition, the countermeasure derivation unit 600 may derive various countermeasures to prevent ripples due to abnormalities in energy facilities.

교통 정보 수집부(400)는 위치 식별부(200)를 통해 식별된 재난의 위치에 대응하는 교통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The traffic information collection unit 400 may collect traff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disaster identified through the location identification unit 2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교통 정보 수집부(400)는 위치 식별부(200)를 통해 식별된 위치에 대응하는 버스의 노선 정보 및 운행 정보를 버스교통정보시스템(Bus Information System)으로부터 수집할 수 있다. 즉, 교통 정보 수집부(400)는 버스교통정보시스템으로부터 재난이 발생된 위치를 경유하는 버스가 존재하는지 여부, 재난이 발생된 위치를 경유하는 버스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버스의 노선 정보 및 운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ffic information collection unit 400 may collect bus route information and oper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dentified through the location identification unit 200 from the Bus Information System. can That is, the traffic information collection unit 40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bus passing through the location where the disaster has occurred from the bus traffic information system, and if there is a bus passing through the location where the disaster has occurred, the route information and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bus exist. can be checked.

우회 정보 생성부(500)는 교통 정보 수집부(400)를 통해 수집된 교통 정보와 위치 식별부(200)를 통해 식별된 재난의 위치에 기반하여 우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우회 정보 생성부(500)는 재난으로 인해 일부 교통로가 이용 불가능하게 됨에 따른 시민의 불편이 최소화되도록 재난이 발생된 위치를 경유하지 않도록 하는 우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회 정보 생성부(500)는 버스의 노선 정보에 재난이 발생된 위치를 경유하는 경로가 포함되지 않도록 하는 우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detour information generation unit 500 may generate detour information based on the traffic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traffic information collection unit 400 and the location of the disaster identified through the location identification unit 200 . That is, the detour information generating unit 500 may generate detour information for not passing through a location where a disaster has occurred so as to minimize inconvenience to citizens due to unavailability of some traffic routes due to a disaster. For example, the detour information generation unit 500 may generate detour information so that a route passing through a location where a disaster has occurred is not included in bus route information.

전송부(700)는 위치 식별부(200)를 통해 식별된 재난의 위치, 상태 판단부(300)를 통해 판단된 에너지 설비의 상태, 및 교통 정보 수집부(400)를 통해 수집된 교통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유관기관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전송부(700)는 위치 식별부(200)를 통해 식별된 재난의 위치, 상태 판단부(300)를 통해 판단된 에너지 설비의 상태, 및 교통 정보 수집부(400)를 통해 수집된 교통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 설정된 담당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The transmission unit 700 includes the location of the disaster identified through the location identification unit 200, the state of energy facilities determined through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300, and traffic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traffic information collection unit 400. At least one may be transmitted to a related institution. In addition, the transmission unit 700 transmits the location of the disaster identified through the location identification unit 200, the state of the energy facility determined through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300, and the traffic collected through the traffic information collection unit 400. At least one of the pieces of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a user terminal of a preset person in charge.

여기서, 유관기관은 에너지 설비를 관리하는 에너지 기관, 경찰서, 소방서, 지방자치단체(즉, 시청), 및 교통회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전송부(700)는 재난의 위치, 에너지 설비의 상태 및 교통 정보를 유관기관에 전송함으로써 재난에 대한 신속한 대처를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부(700)는 재난의 위치, 에너지 설비의 상태 및 교통 정보를 경찰서에 전송함으로써 해당 재난의 위치에 대한 차량 통제 등의 조치가 신속하게 시행되도록 유도할 수 있고, 경찰서에 전송함으로써 화재 진압, 긴급 구조 등의 구조활동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고, 에너지 기관에 전송함으로써 파급 방지 작업 또는 재난의 복구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Here, the relevant institu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energy institution managing energy facilities, a police station, a fire department, a local government (ie, a city hall), and a transportation company. That is, the transmission unit 700 may induce prompt response to a disaster by transmitting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the disaster, the state of energy facilities, and traffic to related agencies. For example, the transmission unit 700 may promptly implement measures such as vehicle control for the location of the disaster by transmitting the location of the disaster, the state of energy facilities, and traffic information to the police station, and transmit the information to the police station. By doing so, rescue activities such as fire suppression and emergency rescue can be induced quickly, and ripple prevention work or disaster recovery can be induced quickly by transmitting to energy agencies.

또한, 전송부(700)는 우회 정보 생성부(500)를 통해 생성된 우회 정보를 유관기관으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전송부(700)는 재난으로 인한 2차 피해 또는 교통 혼잡을 방지하기 위해 우회 교통 정보를 버스회사, 택시회사와 같은 교통회사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nsmission unit 700 may transmit the detour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detour information generating unit 500 to related organizations. That is, the transmission unit 700 may transmit detour traffic information to transportation companies such as bus companies and taxi companies in order to prevent secondary damage or traffic congestion due to a disaster.

또한, 전송부(700)는 대응 방안 도출부(600)를 통해 도출된 대응 방안을 유관기관으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전송부(700)는 대응 방안을 유관기관으로 전송하여 재난에 대한 신속한 대처를 유도함으로써 피해가 파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nsmission unit 700 may transmit the response plan derived through the response plan derivation unit 600 to the related organization. That is, the transmission unit 700 can prevent damage from spreading by inducing prompt response to a disaster by transmitting a countermeasure plan to the relevant agency.

또한, 전송부(700)는 식별된 재난의 위치, 에너지 설비의 상태, 및 교통 정보를 재난의 위치에 기반하여 해당 재난의 위치로의 접근을 자제하도록 요청하는 재난 매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재난 메시지를 해당 재난이 발생된 지역의 거주민, 또는 해당 재난의 위치에서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시민의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transmission unit 700 generates a disaster message requesting to refrain from approaching the location of the disaster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disaster, the state of the energy facility, and traffic information of the identified disaster, and generates the disaster. The message may be transmitted to a user terminal of a resident of an area where a corresponding disaster occurs or a citizen existing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the location of the corresponding disaster.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라우드 소싱을 통해 신속하게 재난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재난 발생 시 재난이 발생된 지역의 주변에 위치한 CCTV와 연계하여 재난의 위치를 신속하게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재난 발생 시 재난이 발생된 위치에 구비된 에너지 설비의 상태를 파악하고, 파악된 에너지 설비의 상태를 유관기관에 전송함으로써 신속한 대응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재난 발생 시 재난이 발생된 위치에 대응하는 교통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교통 정보를 유관기관 또는 시민에게 전송함으로써 재난으로 인한 피해의 파급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quickly recognize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through crowd sourcing. In addition, when a disaster occurs, the present invention can quickly identify the location of a disaster in association with CCTVs located around the area where the disaster occurred. In addition, when a disaster occurs, the present invention can induce prompt response by identifying the state of an energy facility provided at a location where a disaster has occurred and transmitting the state of the identified energy facility to related organization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spread of damage due to a disaster by collecting traff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location where a disaster occurs and transmitting the collected traffic information to related organizations or citizens when a disaster occur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응 시스템이 싱크홀의 발생에 대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1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응 시스템이 싱크홀의 발생에 대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2 예시도이다.3 is a first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sinkhole by the disaster respons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diagram showing the occurrence of a sinkhole by the disaster respons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econd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corresponding to .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응 시스템이 싱크홀의 발생에 대응하는 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a process of 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sinkhole in the disaster respons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재난 인식부(100)는 시민으로부터 싱크홀의 발생 및 싱크홀이 발생된 지역을 포함하는 재난 제보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재난 제보 메시지에 기반하여 싱크홀의 발생 및 싱크홀이 발생된 지역을 인식할 수 있다.The disaster recognition unit 100 receives a disaster report message including the occurrence of a sinkhole and the region where the sinkhole occurred from a citizen, and recognizes the occurrence of the sinkhole and the region where the sinkhole occurred based on the received disaster report message. can

이어서, 위치 식별부(200)는 위치 식별부(200)를 통해 싱크홀의 발생이 인식된 것에 응답하여 싱크홀이 발생된 지역의 주변에 위치한 CCTV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수집하고, 수집된 영상에 기반하여 싱크홀의 위치 및 규모를 식별할 수 있다. 즉, 위치 식별부(200)는 도 3과 같이 싱크홀이 발생된 지역의 주변에 위치한 CCTV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통해 싱크홀의 위치 및 규모를 식별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location identification unit 200 collects images captured through CCTVs located around the area where the sinkhole occurred in response to the occurrence of the sinkhole being recognized through the location identification unit 200, and displays the collected images. Based on this, the location and size of the sinkhole can be identified. That is, as shown in FIG. 3 , the location identification unit 200 can identify the location and scale of the sinkhole through an image captured by a CCTV located around the area where the sinkhole occurred.

이어서, 상태 판단부(300)는 위치 식별부(200)를 통해 식별된 싱크홀의 위치에 구비된 에너지 설비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태 판단부(300)는 싱크홀이 발생된 위치에 대응되는 도로횡단면도를 분석하여 싱크홀의 위치에 위치하는 전력, 상수, 하수, 가스, 난방, 통신 설비관 등의 에너지 설비를 식별할 수 있다. 즉, 상태 판단부(300)는 도 4와 같이 도로횡단면도를 분석하여 싱크홀의 위치에 위치하는 에너지 설비를 식별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300 may identify an energy facility installed at the location of the sinkhole identified through the location identification unit 200 . Specifically,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300 analyzes the cross-sectional view of the road corresponding to the sinkhole location to identify energy facilities such as power, water supply, sewage, gas, heating, and communication facilities located at the location of the sinkhole. can That is, the state determining unit 300 may analyze the cross-sectional view of the road as shown in FIG. 4 to identify an energy facility located at the location of the sinkhole.

이어서, 상태 판단부(300)는 식별된 에너지 설비에 구비된 계측기로부터 수집되는 계측 정보와 CCTV를 통해 수집된 영상를 이용하여 식별된 에너지 설비의 상태(파손 여부, 파손 정보, 파손 위치 등)을 판단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300 determines the state of the identified energy facility (whether or not it is damaged, damage information, location of damage, etc.) can do.

이어서, 교통 정보 수집부(400)는 위치 식별부(200)를 통해 식별된 싱크홀의 위치에 대응하는 교통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통 정보 수집부(400)는 싱크홀의 위치를 경유하는 버스가 존재하는지 여부, 싱크홀의 위치를 경유하는 버스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버스의 노선 정보 및 운행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traffic information collection unit 400 may collect traff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sinkhole identified through the location identification unit 200 . For example, the traffic information collection unit 400 may collect whether or not there is a bus passing through the location of the sinkhole, and if there is a bus passing through the location of the sinkhole, route information and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bus.

이어서, 전송부(700)는 위치 식별부(200)를 통해 식별된 싱크홀의 위치, 상태 판단부(300)를 통해 판단된 에너지 설비의 상태, 및 교통 정보 수집부(400)를 통해 수집된 교통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에너지 기관, 경찰서, 소방서, 지방자치단체, 및 교통회사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Subsequently, the transmission unit 700 transmits the location of the sinkhole identified through the location identification unit 200, the state of the energy facility determined through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300, and the traffic collected through the traffic information collection unit 400. At least one of the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at least one of an energy agency, a police department, a fire department, a local government, and a transportation company.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싱크홀을 인지하고, 싱크홀의 위치 및 규모를 파악하고, 싱크홀의 위치에 구비된 에너지 설비를 식별하고, 식별된 에너지 설비의 상태를 파악하고, 싱크홀의 위치와 관련된 교통 정보를 수집하고, 해당 정보들을 유관기관에 전송함으로써 싱크홀의 발생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the sinkhole, identifies the location and scale of the sinkhole, identifies energy facilities provided at the location of the sinkhole, identifies the state of the identified energy facilities, and is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sinkhole. By collecting traffic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o related organizations, it is possible to respond quickly to the occurrence of a sinkhol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isaster respons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응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disaster respons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

먼저, 재난 인식부(100)는 재난의 발생 여부 및 재난이 발생된 지역을 인식할 수 있다.(S100 단계)First, the disaster recognition unit 100 may recognize whether or not a disaster has occurred and the area where the disaster has occurred (step S1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재난 인식부(100)는 크라우드 소싱(Crowd Sourcing)을 이용하여 재난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재난에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재난의 발생 및 재난이 발생된 지역을 인식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aster recognition unit 100 collects disaster-related information using crowd sourcing, and determines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and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based on the collected disaster-related information. area can be recogniz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재난 인식부(100)는 각 지역에 구비된 계측기로부터 측정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측정 정보에 기반하여 재난의 발생 여부 및 재난이 발생된 지역을 인식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aster recognition unit 100 may collect measurement information from instruments provided in each region, and recognize whether or not a disaster has occurred and the region where the disaster occurred based on the collected measurement information. there i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계측기는 상/하수도관 또는 난방/온수 배관에 구비되어 상/하수도관 또는 난방/온수 배관의 압력을 측정하는 수압계, 가스 배관에 구비되어 가스 배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 전력선이 구비되어 전력선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er is provided in the water supply / sewage pipe or heating / hot water pipe to measure the pressure of the water supply / sewage pipe or heating / hot water pipe, and is provided in the gas pipe to measure the pressure of the gas pip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ressure gauge for measuring and an ammeter provided with a power line and measuring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power line.

위치 식별부(200)는 재난 인식부(100)를 통해 재난의 발생이 인식된 것에 응답하여 재난이 발생된 지역의 주변에 위치한 CCTV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수집하고, 수집된 영상에 기반하여 재난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S200 단계)The location identification unit 200 responds to recognizing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through the disaster recognition unit 100, collects images captured through CCTVs located around the area where the disaster occurred, and based on the collected images, The position of can be identified. (Step S200)

상태 판단부(300)는 위치 식별부(200)를 통해 식별된 재난의 위치에 구비된 에너지 설비를 식별하고, 식별된 에너지 설비로부터 계측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계측 정보 및 수집된 영상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에너지 설비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S300 단계)The state determination unit 300 identifies energy equipment provided at the location of the disaster identified through the location identification unit 200, collects measurement information from the identified energy equipment, and collects at least one of the collected measurement information and the collected image. Based on on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state of the energy facility. (Step S300)

대응 방안 도출부(600)는 상태 판단부(300)를 통해 판단된 에너지 설비의 상태에 기반하여 대응 방안을 도출할 수 있다.(S400 단계)The countermeasure derivation unit 600 may derive a countermeasure based on the state of the energy facility determined by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300 (step S400).

교통 정보 수집부(400)는 위치 식별부(200)를 통해 식별된 재난의 위치에 대응하는 교통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500 단계)The traffic information collection unit 400 may collect traff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disaster identified through the location identification unit 200 (step S500).

우회 정보 생성부(500)는 교통 정보 수집부(400)를 통해 수집된 교통 정보와 위치 식별부(200)를 통해 식별된 재난의 위치에 기반하여 우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600 단계)The detour information generation unit 500 may generate detour information based on the traffic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traffic information collection unit 400 and the location of the disaster identified through the location identification unit 200 (step S600).

전송부(700)는 위치 식별부(200)를 통해 식별된 재난의 위치, 상태 판단부(300)를 통해 판단된 에너지 설비의 상태, 교통 정보 수집부(400)를 통해 수집된 교통 정보, 우회 정보 생성부(500)를 통해 생성된 우회 정보, 대응 방안 도출부(600)를 통해 도출된 대응 방안 중 적어도 하나를 유관기관으로 전송할 수 있다.(S700 단계)The transmission unit 700 includes the location of the disaster identified through the location identification unit 200, the state of energy facilities determined through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300, traffic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traffic information collection unit 400, and detours. At least one of detour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500 and countermeasures derived through the countermeasure derivation unit 600 may be transmitted to a related institution (step S70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응 시스템 및 방법은 크라우드 소싱을 통해 신속하게 재난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재난 발생 시 재난이 발생된 지역의 주변에 위치한 CCTV와 연계하여 재난의 위치를 신속하게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재난 발생 시 재난이 발생된 위치에 구비된 에너지 설비의 상태를 파악하고, 파악된 에너지 설비의 상태를 유관기관에 전송함으로써 신속한 대응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재난 발생 시 재난이 발생된 위치에 대응하는 교통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교통 정보를 유관기관 또는 시민에게 전송함으로써 재난으로 인한 피해의 파급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isaster response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quickly recognize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through crowd sourcing. In addition, when a disaster occurs, the location of the disaster can be quickly identified in connection with CCTVs located around the area where the disaster occurred. In addition, when a disaster occurs, a quick response can be induced by identifying the state of the energy facility provided at the location where the disaster occurred and transmitting the state of the identified energy facility to the relevant agency. In addition, when a disaster occurs, traff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where the disaster occurred is collected, and the collected traffic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related organizations or citizens, thereby preventing the spread of damage caused by the disaster.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Implementations described herein may be embodied in, for example, a method or process, an apparatus, a software program, a data stream, or a signal. Even if discussed only in the context of a single form of implementation (eg, discussed only as a method), the implementation of features discuss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other forms (eg, an apparatus or program). The device may be implemented in suitable hardware, software and firmware. The method may be implemented in an apparatus such as a processor, which is generally referred to as a processing device including, for example, a computer, microprocessor, integrated circuit or programmable logic device or the like. Processors also include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computers, cell phone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and other devices that facilitate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between end-users.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is is only exemplary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from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technology pertains.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100: 재난 인식부
200: 위치 식별부
300: 상태 판단부
400: 교통 정보 수집부
500: 우회 정보 생성부
600: 대응 방안 도출부
700: 전송부
100: Disaster Recognition Department
200: location identification unit
300: state determination unit
400: traffic information collection unit
500: detour information generating unit
600: countermeasure derivation unit
700: transmission unit

Claims (1)

재난의 발생 여부 및 상기 재난이 발생된 지역을 인식하는 재난 인식부;
상기 재난 인식부를 통해 재난의 발생이 인식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재난이 발생된 지역의 주변에 위치한 CCTV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영상에 기반하여 상기 재난의 위치를 식별하는 위치 식별부;
상기 위치 식별부를 통해 식별된 재난의 위치에 구비된 에너지 설비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에너지 설비로부터 계측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계측 정보 및 상기 수집된 영상에 기반하여 상기 에너지 설비의 상태를 판단하는 상태 판단부;
상기 위치 식별부를 통해 식별된 재난의 위치에 대응하는 교통 정보를 수집하는 교통 정보 수집부; 및
상기 위치 식별부를 통해 식별된 재난의 위치와, 상기 상태 판단부를 통해 판단된 에너지 설비의 상태와, 상기 교통 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교통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유관기관으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재난 인식부는, 크라우드 소싱을 이용하여 재난이 발생된 지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재난 제보 메시지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재난 제보 메시지에 기반하여 재난의 발생 여부 및 재난이 발생된 지역을 인식하고,
상기 재난 인식부는, 특정 지역에 대한 재난 제보 메시지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기 설정된 개수 이상 수신되는 경우 상기 특정 지역에 재난이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교통 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교통 정보와 상기 위치 식별부를 통해 식별된 재난의 위치에 기반하여 우회 정보를 생성하는 우회 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우회 정보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우회 정보를 상기 유관기관으로 전송하고,
상기 교통 정보 수집부는, 버스교통정보시스템(Bus Information System)으로부터 상기 식별된 재난의 위치에 대응하는 버스의 노선 정보 및 운행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상태 판단부를 통해 판단된 에너지 설비의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재난에 관한 대응 방안을 도출하는 대응 방안 도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대응 방안 도출부를 통해 도출된 대응 방안을 상기 유관기관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대응 시스템.
Disaster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whether a disaster has occurred and an area where the disaster has occurred;
In response to the occurrence of the disaster being recognized through the disaster recognition unit, location identification for collecting images captured through CCTVs located around the area where the disaster occurred and identifying the location of the disaster based on the collected images. wealth;
Identify energy facilities provided at the location of the disaster identified through the location identification unit, collect measurement information from the identified energy facilities, and determine the state of the energy facilities based on the collected measurement information and the collected images. a state judgment unit that determines;
a traffic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traff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disaster identified through the location identification unit; and
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the location of the disaster identified through the location identification unit, the state of the energy facility determined through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and the traffic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traffic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o a related institution; and ,
The disaster recognition unit collects disaster reporting messages including information on areas where disasters have occurred using crowdsourcing, recognizes whether a disaster has occurred and the area where a disaster has occurred based on the collected disaster reporting messages, and ,
The disaster recognition unit recognizes that a disaster has occurred in the specific region when more than a preset number of disaster report messages for a specific region are received for a preset time period;
Further comprising a detour information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detour information based on the traffic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traffic information collection unit and the location of the disaster identified through the location identification unit,
The transmission unit transmits the bypass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bypass information generator to the related institution;
The traffic information collection unit collects route information and operation information of a bus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identified disaster from a Bus Information System,
Further comprising; a response plan derivation unit for deriving a response plan for the disaster based on the state of the energy facility determined through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Disaster respons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mission unit transmits the response plan derived through the response plan derivation unit to the relevant agency.
KR1020220103733A 2020-11-19 2022-08-19 Apparatus and method for responding disaster KR1025187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3733A KR102518702B1 (en) 2020-11-19 2022-08-19 Apparatus and method for responding disas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382A KR102436590B1 (en) 2020-11-19 2020-11-19 Apparatus and method for responding disaster
KR1020220103733A KR102518702B1 (en) 2020-11-19 2022-08-19 Apparatus and method for responding disast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5382A Division KR102436590B1 (en) 2020-11-19 2020-11-19 Apparatus and method for responding disas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1230A KR20220121230A (en) 2022-08-31
KR102518702B1 true KR102518702B1 (en) 2023-04-10

Family

ID=81809969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5382A KR102436590B1 (en) 2020-11-19 2020-11-19 Apparatus and method for responding disaster
KR1020220103732A KR102518701B1 (en) 2020-11-19 2022-08-19 Apparatus and method for responding disaster
KR1020220103731A KR102518700B1 (en) 2020-11-19 2022-08-19 Apparatus and method for responding disaster
KR1020220103730A KR102518699B1 (en) 2020-11-19 2022-08-19 Apparatus and method for responding disaster
KR1020220103733A KR102518702B1 (en) 2020-11-19 2022-08-19 Apparatus and method for responding disaster
KR1020220103729A KR102518698B1 (en) 2020-11-19 2022-08-19 Apparatus and method for responding disaster

Family Applications Before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5382A KR102436590B1 (en) 2020-11-19 2020-11-19 Apparatus and method for responding disaster
KR1020220103732A KR102518701B1 (en) 2020-11-19 2022-08-19 Apparatus and method for responding disaster
KR1020220103731A KR102518700B1 (en) 2020-11-19 2022-08-19 Apparatus and method for responding disaster
KR1020220103730A KR102518699B1 (en) 2020-11-19 2022-08-19 Apparatus and method for responding disaster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3729A KR102518698B1 (en) 2020-11-19 2022-08-19 Apparatus and method for responding disas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6) KR10243659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2515B1 (en) * 2022-05-31 2023-02-21 주식회사 그라운드원 Operating method of platform that provides convenience services based on augmented reality by processing scanning image of user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4651B1 (en) * 2018-12-13 2020-10-12 유재경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industrial gas supply faci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1230A (en) 2022-08-31
KR102518699B1 (en) 2023-04-10
KR102518700B1 (en) 2023-04-10
KR102518698B1 (en) 2023-04-10
KR20220068514A (en) 2022-05-26
KR20220120535A (en) 2022-08-30
KR102436590B1 (en) 2022-08-29
KR20220119350A (en) 2022-08-29
KR20220121229A (en) 2022-08-31
KR20220119349A (en) 2022-08-29
KR102518701B1 (en) 2023-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19473A2 (en) Multi-utility integrity monitoring and display system
KR100989332B1 (en) An integrated disaster prevention system and the emergency handling method using the same
US20220276116A1 (en) Non-intrusive integral system for pipelines monitoring in real time
WO2012047072A1 (en) Method and system for safely managing gas station
KR10251870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sponding disaster
KR20180090933A (en) Intelligent gas leakage alarm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2416892B1 (en) Intelligent disaster response system between sensors and servers based on disaster response procedures
CN112288320A (en) Subway operation risk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CN111550289A (en) Method, management server and system suitable for coal face area limitation
JP2011151656A (en) Disaster situation display system
KR101935798B1 (en) System for managing danger using beacon transmitter and method thereof
KR102538621B1 (en) Method for safety management of business place for PSM
KR2015005950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disaster using floating population of base station
KR20200073563A (en) Water leak detecting system of water pipe network
CN103930935A (en) System for monitoring installed infrastructure
KR101840855B1 (en) Method for generating a disaster warning signal and propagating the disaster warning signal between buildings
CN115826483A (en) Intelligent fire safety decision-mak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CN108650124A (en) A kind of communication system of power grids early warning system based on WebGIS
US7791474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KR20180070024A (en) Flooded manhole theft anti apparatus and method
CN111678054A (en) Pipeline fault detec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KR20130141404A (en) Real-time guardian system for moving user
JP2019164613A (en) Water leakage inspection system
JP4078160B2 (en) Disaster evacuation support system and disaster evacuation support method
CN114676347A (en) APP power supply service visualization method based on high-precision m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