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8352B1 - Secondary battery - Google Patents

Secondary batte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8352B1
KR102518352B1 KR1020160044356A KR20160044356A KR102518352B1 KR 102518352 B1 KR102518352 B1 KR 102518352B1 KR 1020160044356 A KR1020160044356 A KR 1020160044356A KR 20160044356 A KR20160044356 A KR 20160044356A KR 102518352 B1 KR102518352 B1 KR 102518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rotective cover
electrode assembly
plate
secondary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43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16510A (en
Inventor
이원진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4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8352B1/en
Priority to PCT/KR2016/008011 priority patent/WO2017179768A1/en
Publication of KR20170116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65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8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83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55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57Inorganic material
    • H01M50/159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4Lid or cover comprising an axial bore for receiving a central current coll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55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01M50/169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by welding, brazing or solde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합에 의해 케이스를 밀봉하는 방식으로 제조되는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 양극판, 음극판 및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와, 일면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으로서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개구된 일면에 접합되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외부에 대해 밀봉하는 캡 조립체와, 단열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캡 조립체와 상기 전극 조립체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캡 조립체와 가까운 쪽의 모서리가 모따기되거나, 상기 케이스를 향한 일면 중 상기 케이스의 접합선에 대응하는 영역이 상기 전극 조립체를 향해 함몰되어 회피부를 형성하는 보호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ondary battery manufactured by sealing a case by bonding, 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 positive electrode plate, a negative electrode plate, and a separator, a case having a hexahedral shape with one surface open and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case A cap assembly bonded to one open surface of the cap assembly to seal the electrode assembly from the outside, and a cap assembly made of a heat insulating material and disposed between the cap assembly and the electrode assembly inside the case, the edge of which is close to the cap assembly A protective cover may be chamfered or a region corresponding to a joint line of the case among one surface facing the case is recessed toward the electrode assembly to form an avoidance portion.

Description

이차 전지{SECONDARY BATTERY}Secondary battery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접합에 의해 케이스를 밀봉하는 방식으로 제조되는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ondary battery,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condary battery manufactured by sealing a case by bonding.

휴대 전화, 노트북 컴퓨터, 캠코더와 같은 기존의 전자기기들의 고기능화, 경량화는 물론 웨어러블 디바이스, 드론 등 새로운 개념의 전자기기들이 속속 등장함에 따라, 그 구동용 전원으로 쓰이는 전지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이차 전지, 예컨대 리튬 이차 전지는 기존의 납축전지, 니켈-카드늄(Ni-Cd) 전지, 니켈-수소(Ni-MH) 전지, 니켈-아연 전지 등과 비교하여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3배 정도 높고 고속 충전이 가능하므로 전기 자동차의 에너지원은 물론 스마트 그리드의 보조 전원 등의 용도로도 그 활용 영역이 확장되고 있다.Existing electronic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laptop computers, and camcorders are highly functional and lightweight, as well as new electronic devices such as wearable devices and drones. . In particular, secondary batteries that can be charged and discharged, such as lithium secondary batteries, have energy per unit weight compared to conventional lead-acid batteries, nickel-cadmium (Ni-Cd) batteries, nickel-hydrogen (Ni-MH) batteries, and nickel-zinc batteries. Its density is about three times higher and it can be charged at high speed, so its application area is expanding not only as an energy source for electric vehicles but also as an auxiliary power source for smart grids.

이차 전지는 양극판과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적층된 전극 조립체와, 일측이 개구된 용기 형상으로서 개구를 통해 전극 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수용하는 케이스와, 전극 조립체 등이 수용된 상태에서 케이스의 일측 개구를 폐색하기 위한 캡 플레이트와, 캡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전극 조립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단자를 포함한다. 전극 조립체와 캡 플레이트 사이에서 전기적 절연을 유지하기 위해 절연 케이스를 개입시켜 두기도 한다. 여기서 전극 조립체는 양극판과 음극판, 그리고 이들 사이에 배치된 세퍼레이터가 순차 적층된 구조를 가지는데,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의 통전을 방지하기 위해 세퍼레이터는 통상적으로 두 극판보다 더 크게 만들어진다. 따라서 전극 조립체가, 예컨대 젤리-롤형(jelly-roll type)인 경우에는 롤의 축방향으로, 스택형(stack type)인 경우 적층된 양극판 및 음극판들의 두께방향 측면으로 각각 세퍼레이터가 일부나마 노출되기 마련이다. A secondary battery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in which a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a negative electrode plate are stacked with a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a container shape having one side open, and a case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together with an electrolyte solution through the opening, and an opening on one side of the case in a state where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like are accommodated. and an electrode terminal coupled to the cap plat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assembly. In order to maintain electrical insulation between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cap plate, an insulating case may be intervened. Here, the electrode assembly has a structure in which a positive plate, a negative plate, and a separator disposed therebetween are sequentially stacked. In order to prevent conduction between the positive plate and the negative plate, the separator is usually made larger than the two electrode plates.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electrode assembly, for example, a jelly-roll type, the separator is partially expos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ll, an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tacked positive and negative plates in the case of a stack type, respectively. am.

한편, 케이스와 캡 플레이트는 전해액 유출 등을 막기 위해 내부 공간을 밀봉하여야 할 필요가 있으며, 따라서 레이저 용접과 같은 공정을 통해 확실한 접합을 보장하고 있다. 이와 같은 케이스와 캡 플레이트 사이의 용접 과정에서는 열이 발생하는데, 이 열에 의해 전극 조립체, 특히 두 극판 사이로 노출된 세퍼레이터가 열에 의해 손상되어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통전이 일어날 수 있다는 문제가 생긴다. 이런 문제는 노출된 세퍼레이터를 절연 케이스가 덮고 있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일어날 수 있는데, 이는 절연 케이스가 전극 조립체와 캡 조립체 사이의 전기적인 절연만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it is necessary to seal the inner space of the case and the cap plate to prevent leakage of the electrolyte, and thus secure bonding through a process such as laser welding. Heat is generated during the welding process between the case and the cap plate, and the electrode assembly, in particular, the separator exposed between the two electrode plates is damaged by the heat, resulting in a problem that current may occur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This problem may occur even when the insulating case covers the exposed separator, because the insulating case serves only electrical insulation between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cap assembly.

본 발명은 케이스를 용접에 의해 접합하는 과정에서 전극 조립체가 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preventing an electrode assembly from being damaged by heat in a process of joining cases by welding.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particular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preferred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는, 양극판, 음극판 및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와, 일면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으로서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개구된 일면에 접합되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외부에 대해 밀봉하는 캡 조립체와, 단열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캡 조립체와 상기 전극 조립체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캡 조립체와 가까운 쪽의 모서리가 모따기되어 회피부를 형성하는 보호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 positive electrode plate, a negative electrode plate, and a separator, a case having a hexahedral shape with one surface opened and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and a case bonded to the open surface of the case to protect the electrode assembly from the outside. A cap assembly that seals against the cap assembly, and a protective cover made of a heat insulating material and disposed between the cap assembly and the electrode assembly inside the case, the edge of the side close to the cap assembly being chamfered to form an avoidance portion. can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의 상기 모따기된 모서리의 내부면은 상기 모따기된 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 조립체는 양극판 및 음극판으로부터 각각 연장된 양극탭과 음극탭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양극탭 및 음극탭이 각각 통과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In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nner surface of the chamfered corner of the protective cover may b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chamfered surface. In addition, the electrode assembly may include a positive electrode tab and a negative electrode tab respectively extending from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and the protective cover may have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positive electrode tab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respectively pas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는, 양극판, 음극판 및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와, 제1 부분과 제2 부분이 서로 접합되어 외부에 대해 밀봉됨으로써 이루어지고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와, 단열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케이스와 상기 전극 조립체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케이스를 향한 일면 중 상기 케이스의 접합선에 대응하는 영역이 상기 전극 조립체를 향해 함몰되어 회피부를 형성하는 보호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 positive electrode plate, a negative electrode plate, and a separator, a case formed by bonding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to each other and sealing the electrode assembly, and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and a protective cover disposed inside the case between the case and the electrode assembly, where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joint line of the case among one surface facing the case is depressed toward the electrode assembly to form an avoidance portion. can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에 있어서, 상기 회피부의 일면은 단면이 U자형 또는 V자형인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 조립체는 양극판 및 음극판으로부터 각각 연장된 양극탭과 음극탭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양극탭 및 음극탭이 각각 통과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호커버의 회피부의 상기 전극 조립체를 향한 타면은 단면이 상기 회피부의 일면의 형상과 형합하는 형상의 돌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호커버는 일면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으로서 하나의 수평면과 4개의 수직면을 가지고, 상기 회피부는 상기 보호커버의 4개의 수직면을 따라 연장될 수도 있으며, 상기 보호커버는 일면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으로서 하나의 수평면과 4개의 수직면을 가지고, 상기 회피부는 상기 수평면과 수직면 사이의 모서리를 따라 연장될 수도 있다.In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surface of the avoidance portion may be formed as a U-shaped or V-shaped groove in cross section. In addition, the electrode assembly may include a positive electrode tab and a negative electrode tab respectively extending from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and the protective cover may have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positive electrode tab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respectively pass. At this time, the other surface of the avoiding portion of the protective cover facing the electrode assembly may be formed as a protrusion having a cross section matching the shape of one surface of the avoiding portion. On the other hand, the protective cover has a hexahedron shape with one surface opened and has one horizontal surface and four vertical surfaces, and the avoidance part may extend along the four vertical surfaces of the protective cover, and the protective cover is a hexahedron with one surface opened. It has one horizontal plane and four vertical planes as a shape, and the avoidance portion may extend along a corner between the horizontal plane and the vertical plane.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스를 용접에 의해 접합하더라도 그 내부에 수용된 전극 조립체가 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case is joined by weld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lectrode assembly accommodated therein from being damaged by hea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의 다른 실시예의 보호커버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의 또다른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의 또다른 실시예의 보호커버의 단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embodiment of Figure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rotective cover of another embodiment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rotective cover of another embodiment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embodiment of FIG. 1 .

전극 조립체(110)는 양극판(111), 음극판(112), 및 양극판(111)과 음극판(112)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113)로 이루어져 있다. 전극 조립체(110)는 도시된 예와 같이 양극판(111), 음극판(112) 및 세퍼레이터(113)가 대략 젤리 롤(jelly roll)형태로 권취될 수 있다. 도시된 예와 달리 전극 조립체(110)는 스택형이나 폴딩형과 같은 다른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The electrode assembly 110 includes a positive electrode plate 111 , a negative electrode plate 112 , and a separator 113 interpos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111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112 . In the electrode assembly 110 ,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111 ,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112 , and the separator 113 may be wound in a jelly roll shape, as shown in the illustrated example. Unlike the illustrated example, the electrode assembly 110 may have other shapes such as a stack type or a folding type.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전극 조립체(110)는 양극 활물질이 코팅된 양극판(111), 음극 활물질이 코팅된 음극판(112), 및 양극판(111)과 음극판(112) 사이에 위치되어 쇼트를 방지하고 리튬 이온의 이동만 가능하게 하는 세퍼레이터(11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양극판(111)은 알루미늄(Al) 포일, 음극판(112)은 구리(Cu) 포일, 세퍼레이터(113)는 폴리에틸렌(PE) 또는 폴리프로필렌(PP)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러한 재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양극판(111)에는 상방으로 일정 길이 돌출된 양극탭(114)이 접속될 수 있고, 음극판(112)에도 상방으로 일정 길이 돌출된 음극탭(115)이 접속될 수 있다. 양극탭(114)은 알루미늄(Al) 재질, 음극탭(115)은 니켈(Ni) 재질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러한 재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More specifically, the electrode assembly 110 is position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111 coated with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112 coated with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111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112 to prevent a short circuit, It may be made of a separator 113 that allows only the movement of lithium ions. Here,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111 may be aluminum (Al) foil,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112 may be copper (Cu) foil, and the separator 113 may be polyethylene (PE) or polypropylene (PP),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se materials. it is not going to be In addition, a positive electrode tab 114 protruding up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may be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111 , and a negative electrode tab 115 protruding up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may be connected to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112 . The positive electrode tab 114 may be made of aluminum (Al),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115 may be made of nickel (Ni),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materials.

케이스는 제1 부분(120)과 제2 부분(130)의 두 부분으로 나뉘어 구비되며, 추후 이들 두 부분이 서로 접합되게 되는데, 도시된 예에서 제1 부분(120)은 일면이 개구되어 개구부(120a)가 형성된 대략 직육면체 형상이며, 제2 부분(130)은 제1 부분(130)의 개구부(120a)에 결합된다.The case is divided into two parts, a first part 120 and a second part 130, and these two parts are bonded to each other later. 120a)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the second part 130 is coupled to the opening 120a of the first part 130.

케이스의 제1 부분(120)은 상호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갖는 한 쌍의 장변부(121)와, 한 쌍의 장변부(121)에 대해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을 갖는 한 쌍의 단변부(122)와, 장변부(121) 및 단변부(122)의 하부에 이들과 수직으로 형성된 바닥부(123)가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part 120 of the case includes a pair of long side portions 12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having a relatively large area, and a pair of short sides having a relatively small area with respect to the pair of long side portions 121. A bottom portion 123 formed perpendicular to the portion 122, the long side portion 121, and the short side portion 122 is formed below them.

케이스의 제1 부분(120)은 딥 드로잉 방식으로 제조되어 장변부(121), 단변부(122) 및 바닥부(123)가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제1 부분(120)은 스틸, 알루미늄 또는 그 등가물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제1 부분(120)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first part 120 of the case is manufactured by a deep drawing method, so that the long side part 121, the short side part 122 and the bottom part 123 are integrally formed. Here, the first portion 120 may be formed using any one selected from steel, aluminum, or equivalents thereof, but the material of the first portion 120 is not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제1 부분(120)에는 전극 조립체(110)와 함께 전해액(미도시)이 수용된다. 이러한 전해액은 충방전시 전지(100) 내부의 양극판(111) 및 음극판(112)에서 전기 화학적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리튬 이온의 이동 매체 역할을 하며, 이는 리튬염과 고순도 유기 용매류의 혼합물인 비수질계 유기 전해액일 수 있다. 더불어, 전해액은 고분자 전해질을 이용한 폴리머일 수도 있다.An electrolyte solution (not shown)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portion 120 together with the electrode assembly 110 . This electrolyte serves as a moving medium for lithium ions generated by electrochemical reactions in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111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112 inside the battery 100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and is a mixture of lithium salt and high-purity organic solvents. It may be a water-based organic electrolyte solution. In addition, the electrolyte solution may be a polymer using a polymer electrolyte.

케이스의 제2 부분(130)은 제1 부분(120)의 상부에 결합되어 전극 조립체(11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또한 전해액이 누액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데, 제1 부분(120)의 상단을 덮는다는 점에서 캡 조립체라고도 한다. 캡 조립체(130)는 케이스의 제1 부분(120)의 개구부(120a)에 끼워맞춰지며 양자는 레이저 용접 등에 의해 서로 접합된다. 이때 생기는 접합선이 도 2에서 WL로 표시되어 있다. 이러한 캡 조립체(130)는 캡 플레이트(131), 절연 플레이트(132) 및 단자 플레이트(133)가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다.The second part 130 of the case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first part 120 to prevent the electrode assembly 110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and to prevent the electrolyte from leaking. It is also called a cap assembly in that it covers. The cap assembly 130 is fitted into the opening 120a of the first part 120 of the case, and both are bonded to each other by laser welding or the like. The joint line formed at this time is indicated by WL in FIG. 2 . The cap assembly 130 is formed by sequentially combining a cap plate 131 , an insulation plate 132 , and a terminal plate 133 .

캡 플레이트(131)는 제1 부분(120)의 상단 개구부(120a)에 상응하는 크기와 형상의 금속판으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된다. 캡 플레이트(131)의 중앙에는 제1 단자홀(131a)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전해액 주입을 위한 전해액 주입공(131b)이 형성된다. 제1 단자홀(131a)에는 후술할 전극 단자(134)가 삽입되며, 또한 전극 단자(134)와 캡 플레이트(131) 사이의 절연을 위해서 튜브형의 가스켓(135)이 개재된다. 전해액 주입공(131b)은 캡 조립체(130)가 케이스(110)의 상단 개구부(120a)에 조립된 이후에 전해액 주입공(131b)을 통해 전해액이 주입되며, 전해액이 주입된 이후에 마개(136)에 의해 밀폐된다.The cap plate 131 is formed of a metal plate having a size and shape corresponding to the upper opening 120a of the first part 120, and is preferably made of aluminum or an aluminum alloy. A first terminal hole 131a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ap plate 131, and an electrolyte injection hole 131b for electrolyte injec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ap plate 131. An electrode terminal 134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into the first terminal hole 131a, and a tubular gasket 135 is interposed to insulate between the electrode terminal 134 and the cap plate 131. In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131b, the electrolyte is injected through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131b after the cap assembly 130 is assembled to the upper opening 120a of the case 110, and after the electrolyte is injected, the stopper 136 ) is sealed by

절연 플레이트(132)는 가스켓(135)과 같은 절연 물질로 형성되어, 캡 플레이트(131)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절연 플레이트(132)는 캡 플레이트(131)의 제1 단자홀(131a)과 대응되는 부위에 관통홀(132b)이 형성된 바닥판(132a)과, 바닥판(132a)의 가장자리에서 하측으로 연장형성된 고정부(132c)를 포함한다. 관통홀(132b)은 절연 플레이트(132)와 캡 플레이트(131)가 결합될 때 제1 단자홀(131a)을 관통한 전극 단자(134)가 삽입된다. 고정부(132c)는 하면에 결합되는 단자 플레이트(133)가 절연 플레이트(13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단자 플레이트(133)의 양측 장변과 일측 단변을 에워싸도록 연장 형성된다. 절연 플레이트(132)의 형상은 단자 플레이트(133)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The insulating plate 132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the gasket 135 and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ap plate 131 . The insulation plate 132 includes a bottom plate 132a having a through hole 132b form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erminal hole 131a of the cap plate 131 and extending downward from the edge of the bottom plate 132a. It includes a fixing part 132c. In the through hole 132b, when the insulation plate 132 and the cap plate 131 are coupled, the electrode terminal 134 penetrating the first terminal hole 131a is inserted. The fixing part 132c extends to surround both long sides and one short side of the terminal plate 133 to prevent the terminal plate 133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from moving relative to the insulation plate 132 . The shape of the insulating plate 132 may be variously modifi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terminal plate 133 .

단자 플레이트(133)는 니켈(Ni) 또는 니켈 합금 금속으로 형성되며, 절연 플레이트(132)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단자 플레이트(133)는, 바닥판(132a)의 면적에 대응되는 크기로 절연 플레이트(132)의 바닥판(132a)의 하면에 안착되는 제1 부분(1332)과, 제1 부분(1332)으로부터 연장되어 제1 부분(1332)의 폭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는 제2 부분(1331)을 포함하여, 대략 'T'자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제2 부분(1331)은 제1 부분(1332)에 집중될 수 있는 전류 흐름에 의한 저항열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terminal plate 133 is formed of nickel (Ni) or a nickel alloy metal and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insulation plate 132 . The terminal plate 133 has a size corresponding to the area of the bottom plate 132a and is formed from a first part 1332 se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32a of the insulating plate 132 and the first part 1332. It is formed to have a substantially 'T' shape, including the second part 1331 extending and formed to have a greater width than the width of the first part 1332 . The second portion 1331 serves to dissipate resistance heat caused by current flow that may be concentrated in the first portion 1332 .

단자 플레이트(133)의 제1 부분(1332)은 절연 플레이트(132)의 관통홀(132b)과 대응되는 부위에 제2 단자홀(1334)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전극 단자(134)는 캡 플레이트(131), 절연 플레이트(132) 및 단자 플레이트(132)를 관통하여 음극탭(11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극 단자(134)는 스피닝 설비(미도시)에 의하여 그 상부가 회전 및 가압되어 제1 단자홀(131a), 관통홀(132b) 및 제2 단자홀(1334)에 끼워져 최종적으로 단자 플레이트(133)에 체결된다. 이때, 전극 단자(134)는 회전 및 가압에 의하여 제1 단자홀(131a), 관통홀(132b) 및 제2 단자홀(1334)에 끼워질 때, 제2 단자홀(1334)에서 전극 단자(134)의 단부가 제2 단자홀(1334)의 주변 방향으로 퍼지면서 단자 플레이트(133)에 체결된다. 제2 단자홀(1334)의 주변 방향으로 퍼지게 되는 전극 단자(134)에 의하여 단자 플레이트(132)가 회전되지 않고 고정되도록 제2 단자홀(1334)의 주변 영역에 회전 방지홈(1333)을 형성할 수 있다. 회전 방지홈(1333)의 내측벽과 전극 단자(134)의 단부의 외주면이 적어도 한 점 이상에서 접촉하게 함으로써, 전극 단자(134)와 단자 플레이트(133) 간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전극 단자(134)와 단자 플레이트(133) 간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러한 고정력에 의하여 단자 플레이트(133)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 second terminal hole 1334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first part 1332 of the terminal plate 133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132b of the insulating plate 132 . Accordingly, the electrode terminal 134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negative electrode tab 115 through the cap plate 131 , the insulating plate 132 , and the terminal plate 132 . The upper part of the electrode terminal 134 is rotated and pressed by a spinning facility (not shown)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terminal hole 131a, the through hole 132b, and the second terminal hole 1334, and finally the terminal plate 133 ) is concluded. At this time, when the electrode terminal 134 is inserted into the first terminal hole 131a, the through hole 132b, and the second terminal hole 1334 by rotation and pressing, the electrode terminal ( 134) is fastened to the terminal plate 133 while sprea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cond terminal hole 1334. An anti-rotation groove 1333 is formed in the peripheral area of the second terminal hole 1334 so that the terminal plate 132 is fixed without being rotated by the electrode terminal 134 spreading in the peripheral direction of the second terminal hole 1334. can do. By bringing the inner wall of the anti-rotation groove 1333 into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d of the electrode terminal 134 at least one point,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electrode terminal 134 and the terminal plate 133 is increased and the electrode terminal 134 ) and the terminal plate 133 can be improved, and rotation of the terminal plate 133 can be prevented by this fixing force.

전극 단자(134)는 캡 플레이트(131), 절연 플레이트(132) 및 단자 플레이트(133)에 각각 형성된 제1 단자홀(131a), 관통홀(132b) 및 제2 단자홀(1334)에 삽입되고, 단자 플레이트(133)를 통하여 전극 조립체(110)의 음극탭(11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극 단자(134)는 캡 플레이트(131)의 제1 단자홀(131a)에 삽입될 때 가스켓(135)에 의하여 캡 플레이트(131)와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전극 단자(134)는 일반적으로 음극 단자로 형성되지만, 이차 전지의 구조에 따라서는 반대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전극 단자(134)에 전극 조립체(110)의 형성방법에 따라 양극탭(114)이 연결될 수도 있다.The electrode terminal 134 is inserted into the first terminal hole 131a, the through hole 132b, and the second terminal hole 1334 formed in the cap plate 131, the insulation plate 132, and the terminal plate 133, respectively. ,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negative electrode tab 115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through the terminal plate 133. When the electrode terminal 134 is inserted into the first terminal hole 131a of the cap plate 131, it is electrically insulated from the cap plate 131 by the gasket 135. The electrode terminal 134 is generally formed as a negative terminal, but may be formed oppositely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the secondary battery. That is, the positive electrode tab 114 may be connected to the electrode terminal 134 according to the method of forming the electrode assembly 110 .

절연 케이스(140)는 케이스(120)의 내부에서 전극 조립체(110)와 캡 조립체(130) 사이에 형성된다. 절연 케이스(140)는 양극탭 통공(141)과 음극탭 통공(142)이 형성되어 양극탭 통공(141)을 통하여 양극탭(124)이 캡 플레이트(131)와 연결되고, 음극탭 통공(142)을 통하여 음극탭(125)이 단자 플레이트(133)와 연결된다.The insulating case 140 is formed between the electrode assembly 110 and the cap assembly 130 inside the case 120 . The insulating case 140 has a positive tab through hole 141 and a negative tab through hole 142 formed so that the positive tab 124 is connected to the cap plate 131 through the positive tab through hole 141, and the negative tab through hole 142 ) through which the negative electrode tab 125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plate 133.

보호커버(200)는 케이스 내부에서 절연 케이스(140)와 케이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절연 케이스(140)가 전극 조립체(110)와 캡 조립체(130)를 포함한 케이스 사이에서 전기적 절연을 제공한다는 한도 내에서, 보호커버(200)가 절연 케이스(140)의 기능을 함께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절연 케이스(140)는 생략되거나, 보호커버(200)에 통합될 수 있다. 보호커버(200)는 대략 일면(도면방향 기준 하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용기 형상을 가지는데, 그 개구된 면을 통해 전극 조립체(130)의 일부가 보호커버(200)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배치된다. 도 1의 예에서 보호커버(200)는 캡 형상으로서, 전극 조립체(130)와 절연 케이스(140)를 상방으로부터 일부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때 양극탭(114)와 음극탭(115)이 각각 보호커버(200)를 관통할 수 있도록 보호커버(200)에는 음극탭 관통구멍(201)과 양극탭 관통구멍(202)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The protective cover 2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insulating case 140 and the case inside the case. It is possible for the protective cover 200 t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insulating case 140 as long as the insulating case 140 provides electrical insulation between the case including the electrode assembly 110 and the cap assembly 130. If the insulating case 140 is omitted, it may be integrated into the protective cover (200). The protective cover 200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container shape with one surface (lower surface in the drawing direction) opened, and a part of the electrode assembly 130 is accommodated inside the protective cover 200 through the opened surface. . In the example of FIG. 1 , the protective cover 200 has a cap shape and is disposed to partially cover the electrode assembly 130 and the insulating case 140 from above. At this time, a negative electrode tab through-hole 201 and a positive electrode tab through-hole 202 may be respectively formed in the protective cover 200 so that the positive electrode tab 114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115 may pass through the protective cover 200, respectively. there is.

보호커버(200)는 단열 소재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케이스의 접합선(WL)이 형성될 때 발생하는 열로부터 전극 조립체(130), 특히 세퍼레이터(113)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보호커버(200)는 케이스의 접합선(WL)에 가장 가까운 4개의 모서리, 즉 도 1, 도 2의 도면 방향을 기준으로 상단의 모서리들이 각각 모따기되어 있는 형상이다. 이 모따기에 의해 형성된 보호커버(200) 외측의 공간을 이하에서는 회피부(200a)로 지칭하는데, 회피부(200a)는 보호커버(200)와 케이스의 접합선(WL) 사이에 빈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양자가 직접 접촉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고, 이에 따라 전극 조립체(110)의 열에 대한 보호 효과를 더욱 강하게 해준다. 한편, 도 1 및 도 2에서 보호커버(200)가 하나의 수평면과 이 수평면으로부터 수직하게 하방으로 연장된 4개의 수직면을 가진 형상으로 예시되어 있는데, 보호커버(200)의 형상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는 평판 형상일 수도 있다. 어느 경우이든 회피부(200ㅁ)가 형성됨으로써 보호커버(200)의 두께에 차등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커버(200)의 모따기된 모서리에 상응하는 보호커버(200)의 내부면은 모따기되어 형성된 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otective cover 200 is made of a heat insulating material, which is to protect the electrode assembly 130, particularly the separator 113, from heat generated when the joint line WL of the case is formed. The protective cover 200 has a shape in which four corners closest to the joint line WL of the case, that is, upper corners are chamfered based on the drawing direction of FIGS. 1 and 2 . The outer space of the protective cover 200 formed by this chamfering is referred to as the avoiding part 200a below. Direct contact between the two is suppressed as much as possible, and thus the protection effect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against heat is further strengthened. On the other hand, in FIGS. 1 and 2, the protective cover 200 is illustrated as a shape having one horizontal plane and four vertical planes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horizontal plane, the shape of the protective cover 200 is necessarily limited to this It is not, and in some cases may be flat. In any case, the inner surface of the protective cover 200 corresponding to the chamfered edge of the protective cover 200 is chamfered in order to prevent a difference in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cover 200 by forming the avoidance portion 200ㅁ. It is preferable to b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surface on which it is formed.

도 3의 예는 도 1 및 도 2의 예로부터 보호커버의 형상을 달리한 예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 예에서 보호커버(210)는 도 1의 예와 마찬가지로 일면(도면방향 기준 하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 즉 하나의 수평면과 이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4개의 수직면을 가지는 형상이며, 케이스의 접합선(WL)에 가장 가까운 부분, 예컨대 도 2와 같이 접합선(WL)이 형성된 경우 보호커버(200)의 상단측 4개의 모서리가 모두 전극 조립체(130) 측으로 함몰되어 회피부(210a)를 형성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회피부(210a)는 보호커버(200)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홈의 형상을 갖게 되며, 이 홈은 도시된 예와 같이 단면이 U자형인 홈일 수 있다. 앞선 예에서와 마찬가지로, 회피부(210a)가 형성된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두께가 얇아지는 것에 상응하여, 회피부(210a)의 전극 조립체(130)를 향한 면에는 단면 U자형인 돌기, 즉 단면 U자형인 홈과 형합하는 형상의 돌기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xample of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xample in which the shape of the protective cover is different from the examples of FIGS. 1 and 2 . In this example, the protective cover 210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in which one side (a lower surface in the drawing direction) is opened, as in the example of FIG. The part closest to (WL), for example, when the joint line (WL) is formed as shown in FIG. 2, all four corners of the upper side of the protective cover 200 are depressed toward the electrode assembly 130 side to form the avoidance portion 210a. . As a result, the avoidance portion 210a has the shape of a groove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ective cover 200, and this groove may be a U-shaped cross section as shown in the illustrated example. As in the previous example,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portion where the avoidance portion 210a is formed is thinner than other portions, the surface of the avoidance portion 210a facing the electrode assembly 130 has a U-shaped protrusion, that is, a U-shaped protrusion in cross section. It is preferable to form protrusions matching the shape of the grooves.

도 4는 도 1 내지 도 3의 예로부터 케이스의 접합선(WL)과 회피부의 위치가 각각 변형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예에서 케이스의 제2 부분, 즉 캡 조립체(130)가 플레이트 형상이 아니라 일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을 하고 있으며, 따라서 접합선(WL)은 도 2의 예에 비해 도면 방향을 기준으로 더 아래쪽으로 옮겨져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접합선(WL)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는 바, 이 예에서 보호커버(220)의 회피부(220a)는 이 옮겨진 접합선(WL)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보호커버(220)는 수평면과 이 수평면으로부터 수직하게 하방으로 연장된 4개의 수직면을 가지는 형상을 가지며, 회피부(220a)는 이들 4개의 수직면을 따라 함몰되어 형성된 부분으로서, 단면이 U자형인 홈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앞선 예에서와 마찬가지로, 회피부(220a)가 형성된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두께가 얇아지는 것에 상응하여, 회피부(220a)의 전극 조립체(130)를 향한 면에는 단면 U자형인 돌기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IG. 4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joint line WL of the case and the position of the avoidance portion are each modified from the examples of FIGS. 1 to 3 . In this example, the second part of the case, that is, the cap assembly 130 is not in the shape of a plate but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with one side open, and therefore, the joint line WL is more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drawing direction compared to the example of FIG. 2 . transferred and formed. As such, the junction line WL may be formed in various positions as needed. In this example, the avoidance portion 220a of the protective cover 220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oved junction line WL. To this end, the protective cover 220 has a shape having a horizontal surface and four vertical surfaces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horizontal surface, and the avoidance portion 220a is formed by being depressed along these four vertical surfaces, and has a U-shaped cross section. I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n in-home. As in the previous example,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portion where the avoidance portion 220a is formed is thinner than other portions, a protrusion having a U-shaped cross section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avoidance portion 220a facing the electrode assembly 130. it is desirable

도 5는 도 4의 보호커버(220)로부터 변형된 보호커버(230)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의 보호커버(200)는 도 4의 예에서와 같이 하나의 수평면과 이 수평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4개의 수직면을 가지는 형상인데, 4개의 수직면을 따라 형성된 회피부(230a)는 그 단면 형상이 V자형인 홈이다. 이 예에서도 보호커버(230)의 균일한 두께를 확보하기 위해 회피부(230a)가 형성된 부분의 전극 조립체(130)를 향한 면에는 단면 V자인 돌기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 5 shows an example of a protective cover 230 deformed from the protective cover 220 of FIG. 4 . Here, the protective cover 200 has a shape having one horizontal plane and four vertical planes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horizontal plane, as in the example of FIG. 4, and the avoidance portion 230a formed along the four vertical planes has It is a V-shaped home. In this example as well, in order to secure a uniform thickness of the protective cover 230, it is preferable to form a protrusion with a V cross section on the surface facing the electrode assembly 130 where the avoidance portion 230a is formed.

이상의 설명에서 케이스와 보호커버는 모두 대략 직육면체 형상인 것으로 예시하고는 있으나, 직육면체가 아닌 평행육면체를 포함한 육면체, 나아가서 원기둥, 각기둥, 타원체 등 다른 입체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육면체, 직육면체, 평행육면체, 직각 등과 같은 기하학 용어들이 사용되었다 하더라도, 이들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엄밀한 의미에서 그 용어의 기하학적 정의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므로, 대략적인 형상이 그와 같다고 볼 수 있는 정도까지 확대하여 해석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수직, 수평 등의 표현 역시 도면의 방향을 기준으로 한 상대적인 표현일 뿐이다.In the above description, both the case and the protective cover are exemplified as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but may have other three-dimensional shapes, such as a hexahedron including a parallelepiped, a cylinder, a prism, an ellipsoid, and the like. In addition, even if geometric terms such as hexahedron, rectangular parallelepiped, parallelepiped, right angle, etc. ar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do not have to be interpreted according to the geometric definition of the terms in a strict sense, so approximate shapes It should be interpreted by expanding it to the extent that it can be seen as the same. Likewise, expressions such as vertical and horizontal are also relative expressions based on the direction of the drawing.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shown in the drawing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improve and change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forms. Therefore, such improvements and changes will fall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they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laims (10)

양극판, 음극판 및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와,
일면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으로서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개구된 일면에 접합되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외부에 대해 밀봉하는 캡 조립체와,
단열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캡 조립체와 상기 전극 조립체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캡 조립체와 가까운 쪽의 모서리가 모따기되어 회피부를 형성하는 보호커버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 positive electrode plate, a negative electrode plate, and a separator;
A case having a hexahedral shape with one surface opened and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A cap assembly bonded to the open surface of the case to seal the electrode assembly from the outside;
A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 protective cover made of a heat-insulating material and disposed between the cap assembly and the electrode assembly inside the case, the edge of a side close to the cap assembly being chamfered to form an avoidance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의 상기 모따기된 모서리의 내부면은 상기 모따기된 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이차 전지.
According to claim 1,
An inner surface of the chamfered edge of the protective cover 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chamfered secondary batter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조립체는 양극판 및 음극판으로부터 각각 연장된 양극탭과 음극탭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양극탭 및 음극탭이 각각 통과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이차 전지.
According to claim 1,
The electrode assembly includes a positive electrode tab and a negative electrode tab respectively extending from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The protective cover is a secondary battery having through-holes through which the positive electrode tab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respectively pass.
양극판, 음극판 및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와,
제1 부분과 제2 부분이 서로 접합되어 외부에 대해 밀봉됨으로써 이루어지고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와,
단열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케이스와 상기 전극 조립체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케이스를 향한 일면 중 상기 케이스의 접합선에 대응하는 영역이 상기 전극 조립체를 향해 함몰되어 회피부를 형성하는 보호커버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 positive electrode plate, a negative electrode plate, and a separator;
A case formed by bonding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to each other and sealing against the outside and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A protective cover made of a heat-insulating material and disposed between the case and the electrode assembly inside the case, where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joint line of the case of one surface facing the case is depressed toward the electrode assembly to form an avoidance portion. Including secondary batter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피부의 일면은 단면이 U자형인 홈으로 형성된 이차 전지.
According to claim 4,
One surface of the avoiding portion is formed as a groove having a U-shaped cross sec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피부의 일면은 단면이 V자형인 홈으로 형성된 이차 전지.
According to claim 4,
One surface of the avoiding portion is formed as a groove having a V-shaped cross sec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조립체는 양극판 및 음극판으로부터 각각 연장된 양극탭과 음극탭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양극탭 및 음극탭이 각각 통과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이차 전지.
According to claim 4,
The electrode assembly includes a positive electrode tab and a negative electrode tab respectively extending from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The protective cover is a secondary battery having through-holes through which the positive electrode tab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respectively pass.
제4항 내지 제7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의 회피부의 상기 전극 조립체를 향한 타면은 단면이 상기 회피부의 일면의 형상과 형합하는 형상의 돌기로 형성된 이차 전지.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 to 7,
The secondary battery of claim 1 , wherein the other surface of the protective cover facing the electrode assembly is formed as a protrusion having a cross section matching a shape of one surface of the avoiding portion.
제4항 내지 제7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는 일면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으로서 하나의 수평면과 4개의 수직면을 가지고,
상기 회피부는 상기 보호커버의 4개의 수직면을 따라 연장된 이차 전지.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 to 7,
The protective cover has a hexahedral shape with one surface opened and has one horizontal surface and four vertical surfaces,
The avoidance part extends along four vertical surfaces of the protective cover.
제4항 내지 제7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는 일면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으로서 하나의 수평면과 4개의 수직면을 가지고,
상기 회피부는 상기 수평면과 수직면 사이의 모서리를 따라 연장된 이차 전지.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 to 7,
The protective cover has a hexahedral shape with one surface opened and has one horizontal surface and four vertical surfaces,
The avoidance portion extends along an edge betwee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urfaces of the secondary battery.
KR1020160044356A 2016-04-11 2016-04-11 Secondary battery KR1025183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356A KR102518352B1 (en) 2016-04-11 2016-04-11 Secondary battery
PCT/KR2016/008011 WO2017179768A1 (en) 2016-04-11 2016-07-22 Secondary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356A KR102518352B1 (en) 2016-04-11 2016-04-11 Secondary batte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6510A KR20170116510A (en) 2017-10-19
KR102518352B1 true KR102518352B1 (en) 2023-04-05

Family

ID=60041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4356A KR102518352B1 (en) 2016-04-11 2016-04-11 Secondary battery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18352B1 (en)
WO (1) WO2017179768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62184A1 (en) * 2022-01-05 2024-05-01 Contemporary Amperex Technology Co., Limited Battery cell and manufacturing method and device therefor, battery, and electric device
WO2023150080A2 (en) * 2022-02-03 2023-08-10 South 8 Technologies, Inc. Cap for electrochemical cell
WO2024011420A1 (en) * 2022-07-12 2024-01-18 Techtronic Cordless Gp Electrode assembly for cylindrical battery cell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506B1 (en) * 2008-09-18 2010-12-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Lithium Secondary Battery
US8057928B2 (en) * 2009-06-12 2011-11-15 Tesla Motors, Inc. Cell cap assembly with recessed terminal and enlarged insulating gasket
KR101050306B1 (en) * 2009-06-29 2011-07-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Secondary battery
US8697239B2 (en) * 2009-07-24 2014-04-15 Rohm And Haas Electronic Materials Cmp Holdings, Inc. Multi-functional polishing pad
KR101182935B1 (en) * 2010-09-13 2012-09-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Secondary Battery
US9564654B2 (en) * 2010-09-14 2017-02-07 Zhuhai Zhi Li Battery Co. Ltd. Rechargeable lithium ion button cell battery
JP5811949B2 (en) * 2012-05-23 2015-11-1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Power storage device
KR20140032712A (en) * 2012-09-07 2014-03-17 주식회사 엘지화학 Secondary battery
KR20150086797A (en) * 2014-01-20 2015-07-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Secondary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6510A (en) 2017-10-19
WO2017179768A1 (en) 2017-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3643B1 (en) Rechargeable battery
KR102273642B1 (en) Rechargeable battery
US8852793B2 (en) Secondary battery
KR102284572B1 (en) Rechargeable battery
US10826048B2 (en) Secondary battery
US10109838B2 (en) Rechargeable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201306B1 (en) Secondary Battery
US8999568B2 (en) Secondary battery having an electrode terminal including a collecting plate, a connecting part, and a terminal part
US8828571B2 (en) Secondary battery
US9853294B2 (en)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9755215B2 (en) Secondary battery
US20120196160A1 (en) Secondary battery
JP2014138001A (en) Secondary battery
US20130330581A1 (en) Secondary battery
KR102165332B1 (en) Secondary battery
US9166208B2 (en) Rechargeable battery
KR102518352B1 (en) Secondary battery
US9577229B2 (en) Secondary battery
KR20150089311A (en) Secondary Battery
US10193131B2 (en) Rechargeable battery
KR102470495B1 (en)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9768420B2 (en) Rechargeable battery
US9818991B2 (en) Secondary battery
KR20120008316A (en) Secondary battery
US9899637B2 (en) Rechargeable battery having insulating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